일본 기상청 진도 계급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본 기상청 진도 계급은 일본에서 지진의 세기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척도이다. 1884년 세키야 기요카게가 4단계 진도 계급을 처음 수립한 이후, 여러 차례 개정을 거쳐 1996년 계측진도 방식을 도입하여 현재 0부터 7까지의 10단계로 운영되고 있다. 1996년 이전에는 사람이 느끼는 체감이나 피해 상황을 기준으로 진도를 결정했지만, 현재는 전국에 설치된 진도계를 통해 가속도를 측정하여 진도를 계산한다. 기상청은 지진 발생 시 진도 정보를 발표하며, 이는 방재 조치 결정의 중요한 기준으로 활용된다. 또한 장주기 지진동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장주기 지진동 계급을 운영하고 있으며, 과거에는 타이완과 대한민국에서도 일본 기상청 진도 계급을 사용했으나 현재는 다른 척도를 사용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진도 계급 - 수정 메르칼리 진도 계급
수정 메르칼리 진도 계급은 로마 숫자 I부터 XII까지 12단계로 지진의 강도를 나타내는 척도로, 사람의 감각이나 구조물 피해 정도를 기준으로 지진의 세기를 나타내며, 여러 차례 수정을 거쳐 현재 미국 지질조사국 등에서 사용되고 있고 대한민국 기상청도 자체적인 수정 메르칼리 진도 계급을 사용하고 있다. - 진도 계급 - 진도 (지진)
진도(지진)는 지진으로 인해 특정 지점에서 느껴지는 흔들림의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로, 지진 자체의 에너지 규모인 규모와 달리 진앙 거리, 진원 깊이, 지반 특성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지며, 각 국가 및 지역에서는 일본 기상청 진도 계급, 수정 메르칼리 진도 계급 등 다양한 진도 계급을 사용한다. - 일본 기상청 - 긴급지진속보
긴급지진속보는 지진 발생 직후 지진파를 감지하여 규모와 진앙지 등을 신속히 추정하고 예상 진도와 도달 시간을 예측하여 발표하는 경보 시스템으로, 기술 개발과 시스템 개선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 일본 기상청 - 히마와리 (기상위성)
일본의 정지 궤도 기상 위성 시리즈인 히마와리는 1977년 1호 발사 이후 현재 8호와 9호가 운용 중이며 2028년 발사 예정인 10호가 개발 중으로, 초기 미국 기술 기반에서 점차 국산화되어 기상 관측과 재해 감시에 기여하고 있다. - 일본의 과학과 기술 - 신에너지산업기술종합개발기구
현재 제공된 정보 부족으로 신에너지산업기술종합개발기구에 대한 정의나 설명을 제공할 수 없습니다. - 일본의 과학과 기술 - 트론 프로젝트
트론 프로젝트는 1984년 사카무라 켄 교수가 시작한 일본의 컴퓨터 아키텍처 개발 프로젝트로, ITRON, BTRON 등을 포함하며 IoT 시대를 위한 개방형 표준 플랫폼 구축을 시도한다.
일본 기상청 진도 계급 |
---|
2. 역사
1872년 일본에서 지진계를 사용한 지진 관측이 시작되었고, 1884년 내무성 산하 지리국의 세키야 세이케이가 "지진 보고 지침"을 작성하여 전국 약 600개 군청에서 지진 정보를 수집했다. 이는 일본 최초의 통일된 지진 규모 척도였다. 당시 규모는 微震|비신|미진일본어, 弱震|자쿠신|약진일본어, 強震|교신|강진일본어, 烈震|렛신|열진일본어의 4단계였다.[10][11]
1898년 "무감" 단계와 "약진(약간 약한 강도)", "강진(약간 약한 강도)"이 추가되어 0부터 6까지 7단계로 확장되었으나, 설명 텍스트는 생략되었다. 1908년 설명 텍스트가 다시 추가되었고, 1936년 "지진 관측법" 제정으로 "무감", "경진", "중진"으로 용어가 변경되었다.[11] 1904년에는 1,437개, 1950년대까지는 비슷한 수의 관측 지점이 있었다.[11]
1949년 1월, 1948년 후쿠이 지진 피해를 계기로 "지진 관측법"이 개정되어 진도 7단계가 신설, 0부터 7까지 8단계로 확장되었다. 각 단계에 "무감", "미진", "경진", "약진", "중진", "강진", "격진", "최격진" 용어가 할당되었고,[11] 1978년에는 모든 진도 단계의 감각이 추가되었다.[11]
과거 지진 규모는 관측자 감각과 건물 피해를 바탕으로 결정되어 주관적이었고, 헤이세이 시대 초기에는 정보 수집에 10분 이상이 걸렸다.[11] 1958년부터 1969년 사이 관측소는 약 150개로 감소했다.[11]
이러한 문제로 1985년 기상청 내 위원회가 설립, 1988년 실험적 측정을 거쳐 1994년 3월까지 모든 관측 지점에 지진계가 설치되었고, 1996년에는 600개로 늘었다.[11]
1994년 산리쿠 해역 지진, 1995년 한신·아와지 대지진으로 진도 5와 6 지역의 피해 변동, 진도 7 결정 지연 문제가 드러났다.[12]
1996년 4월 1일, 등급 개정으로 감각 기반 관측이 폐지되고 계측기 기반으로 전환, 진도 5와 6은 "하"와 "상"으로 세분화되어 10단계가 되었다. 진도 7은 계측 척도 6.5 이상으로 분류되었고,[11] 일본 방재과학기술연구소와 지방 자치 단체 데이터도 활용, 총 관측 지점은 약 4,200개로 증가했다.[11]
2. 1. 진도 계급의 수립과 개정
1872년(메이지 5년) 일본에서 지진계를 이용한 지진 관측이 시작되었고, 1884년(메이지 13년) 일본 내무성 지리국 제4부 검진과장이었던 세키야 기요카게가 '지진보고수칙'을 만들어 일본 전역 600개 군청에서 체계적인 지진 정보 수집을 시작했다. 이 수칙에는 일본 최초로 통일된 양식의 진도 계급이 포함되었는데, 微震|비신일본어(미진), 弱震|자쿠신일본어(약진), 強震|교신일본어(강진), 烈震|렛신일본어(열진)의 4단계로 구분되었다.[121][122]1898년에는 '미진 (감각 없음)'(무감), '약진 (진도 약한 편)'(경진), '강진 (진도 약한 편)'(중진) 등급이 추가되고 각 등급에 0에서 6까지 숫자를 부여하여 총 7단계 체제가 되었다. 1936년(쇼와 11년)에는 '지진관측법'이 제정되어 명칭이 일부 변경되었다.[123] 1904년 당시 일본 기상청 자료에 따르면 기상관서[124]와 민간위탁(구내관측소 등)을 포함해 총 1,437개 지진 관측소가 있었으며, 이 수는 1955-1964년경까지 유지되었다.[122]
1949년 1월 지진관측법 개정으로 1948년 후쿠이 지진의 피해를 계기로 진도7이 추가되어 진도 0에서 7까지 총 8단계 체제가 되었다.[125] 진도7은 기동관측반의 측정 결과 특정 지구의 가옥파괴율이 30% 이상일 때만 지정되었으나, 정확한 계기나 가옥붕괴율을 30%로 정한 구체적인 이유는 알려지지 않았다.[126] 또한 '무감', '미진', '경진', '약진', '중진', '강진', '열진', '격진'이라는 명칭이 추가되었다.[125] 1978년(쇼와 53년)에는 모든 진도에 실제 체감 상황 설명문이 추가되었다.[127]
진도 계급 제정 당시에는 관측원이 체감이나 건물 피해 상황을 바탕으로 진도를 결정했기 때문에 객관성이 부족했다. 헤이세이 초기에는 진도 정보 수집에 10분 이상 소요되었고,[128] 1958년부터 1969년 사이에는 지진관측소가 150개로 대폭 감소했다.[124][128]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1985년(쇼와 60년) 일본 기상청 내에 진도 계측화(기계 계측) 검토 위원회가 발족되었고, 1988년 진도계를 통한 계기 관측을 시험적으로 시작, 1994년(헤이세이 6년) 3월 말까지 모든 지진관측소에 진도계를 설치했다. 관측소는 1993년 300개소, 1996년 600개소로 늘었다.[128]
1994년 산리쿠 먼바다 지진, 1995년 효고현 남부 지진 등 대지진을 겪으면서 진도5와 진도6의 피해 정도 오차가 크고, 진도7 판정에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보다 세밀한 피해 판정을 신속하게 진행해야 한다는 요구가 높아졌다.[126]
1996년 4월 1일 진도 계급 개정으로 체감 관측을 완전히 폐지하고 계측진도 방식으로 전환하면서 진도5와 6을 각각 '약'과 '강'으로 세분화하여 현재의 10단계 체제가 되었다. '경진', '강진' 등의 표기도 폐지되었고, 피해 정도를 통해 책정하던 진도7도 계측진도 6.5 이상으로 변경되었다.[129] 일본 방재과학기술연구소와 지방공공단체 소속 관측소 데이터를 활용하면서 기상청 발표 진도 관측점은 총 4,200개소로 증가하였다.[130]
2. 2. 체감 관측에서 기계 관측으로 변화
과거 일본에서는 지진의 진도를 관측원이 직접 체감하거나 건물 등의 피해 상황을 보고 판단했다. 이는 지침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관측원의 주관이 개입되어 객관성이 부족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헤이세이 시대 초기에는 각 기상대에서 정보를 수집하여 발표하기까지 10분 이상 걸리기도 했다.[128]1958년부터 1969년 사이에는 위탁 관측소가 폐지, 정리되면서 지진 관측소 수가 1,000여 곳에서 150여 곳으로 대폭 감소했다.[124][128]
이러한 관측소 부족, 관측원의 주관에 따른 정밀도 저하, 진도 5 이상에서의 피해 편차, 신속한 진도 발표 필요성 등의 문제로 인해 무인 관측 계기를 통한 자동 진도 결정 시스템이 검토되기 시작했다. 1985년 일본 기상청 내에 진도 계측화 검토 위원회가 발족되었고, 1988년부터 진도계를 이용한 시험 관측이 시작되었다. 1994년 3월 말까지 모든 지진 관측소에 진도계가 설치되었으며, 관측소는 1993년에 300개소, 1996년에 600개소로 늘어났다.[128]
1994년 산리쿠 먼바다 지진, 1995년 효고현 남부 지진(한신·아와지 대진재) 등 대지진을 겪으면서 진도 5와 6 지역의 피해 정도 차이가 크고, 진도7 판정에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발생했다. 이에 따라 더 세밀하고 신속한 피해 판정이 필요하다는 요구가 높아졌다.[126]
1996년 4월 1일, 진도 계급 개정을 통해 체감 관측이 완전히 폐지되고 계측 진도 방식으로 전환되었다. 진도 5와 6은 각각 '강'과 '약'으로 세분화되어 10단계 체제가 되었고, '경진', '강진' 등의 표기는 폐지되었다. 또한, 피해 정도를 통해 책정하던 진도 7도 계측 진도 6.5 이상으로 변경되었다.[129] 일본 방재과학기술연구소와 지방 공공 단체의 진도계 데이터도 활용하면서 기상청 발표 진도 관측점은 총 4,200개소로 크게 증가했다.[130]
2. 2. 1. 체감진도와 계측진도의 관계
1968년 도카치 해역 지진부터 1995년 효고현 남부 지진까지 체감진도(1990년대 이후 시험적인 계기관측 포함)로 책정한 구 기상청의 진도와 그 당시 지진계에서 수집된 지진동 데이터로 현재의 계측진도 계산식을 통해 계산된 계측진도를 서로 비교 검토한 연구가 진행되었다.[131]그 결과 진도 3 이상에서는 구 체감진도와 현재의 계측진도가 상당히 높은 수준의 상관관계를 이루며 통계적인 연속성이 나타남이 확인되었다. 하지만 진도 2 이하에서는 상관관계가 약해졌는데, 예를 들어 구 체감진도에서 진도 0으로 간주된 관측점의 지진계를 통해 계측진도를 계산하면 0-2.7(진도 0-진도 3)까지 편차가 있었으며 특히 계측진도 1.0에서 1.8 사이(진도 1-진도 2)에 집중되었다. 즉, 계측진도계에 진도 1이나 진도 2가 기록되어도 사람이 체감한 진도는 '무감'인 진도 0인 상태가 될 수도 있다.[131]
2. 3. 진도해설표와 장주기 지진동의 재검토
2008년 이와테·미야기 내륙지진과 이와테현 연안북부 지진에서 실제 피해 모습과 그 진도에서 일어나는 피해라고 해설한 피해 모습과 거리가 멀어 2008년 여름에는 진도 계급표의 해설표를 재검토한다는 보도가 나왔다.[132] 2008년 겨울부터 2009년 봄에 걸쳐 검토회가 열렸으며, 2009년 3월 31일부터 일본 기상청이 개정된 "기상청 진도 계급 관련 해설표"를 공개하였다. 주요 변경사항으로는 내진설계 공법의 보급에 맞춰 건물의 내진도에 따른 피해 변화를 기록하였으며, 건물과 지형에 따른 피해를 각각 별도로 표기하고 특히 건축물 피해의 경우 목조와 철근 콘크리트조를 나누어 대규모 구조물이나 인프라에 미치는 영향을 세분화했다는 점 등이 있다. 계측진도를 계산하는 공식 자체는 변화하지 않았다.[133][134]장주기 지진동의 영향을 크게 받는 고층 건물의 흔들림은 특히 계측진도와의 괴리가 커 2003년 도카치 해역 지진에서는 석유 탱크가 슬로싱 운동으로 화재 피해가 발생했으며, 2011년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동일본대진재) 당시에는 진원역과 매우 멀리 떨어진 대도시에서도 고층 건물이 심하게 흔들려 큰 피해가 발생했다. 이런 문제로 장주기 지진동에 대한 새로운 정보 발표가 검토되었다.[135] 2013년 3월 23일부터 총 4단계로 구성된 "장주기 지진동 계급"을 신설하고 일본 기상청 홈페이지에 "장주기 지진동에 관련된 정보" 발표를 시험 운용하기 시작했으며,[136] 2019년 3월부터 본 운용에 들어갔다.
3. 진도 측정
진도계는 흙을 쌓은 곳이나 절벽 주변에서는 진동이 증폭될 수 있으므로, 지형이 평탄하고 주변에 단차가 없으며 지반이 안정된 옥외에 설치하여 받침대 아래 2/3 이상이 지면 아래 묻혀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주위 구조물에도 규정이 있는데, 물건이 쓰러져 진도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나무나 울타리 등과는 충분한 거리를 두어야 한다. 실내의 경우 가급적이면 1층에 기둥과 가까운 곳에 설치하도록 하며 지하 1-2층까지는 허용된다. 또한 면진이나 제진 공사를 받은 건물에는 진도계를 설치하지 않는다. 진도계는 진도계대 혹은 실내의 경우 바닥에 단단히 고정해야 하며, 진도계의 기종별로 정해진 설치 방법을 지키며 가능하면 앵커볼트로 고정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다.[143]
기상청은 진도 정보에 사용하는 진도계의 선별을 위해 설치 환경을 A-E까지 5단계로 구분하고 있다. A-C까지는 이용 가능, D는 원칙적으로 사용하지 않지만 정밀 조사 후 사용 가능, E는 사용 불가능하다.
과거에는 지진의 규모를 관측자(예: 일본 기상청 직원)가 자신의 감각과 건물 피해를 바탕으로 결정했으며, 이를 지침에 따라 등급표에 맞춰 판단했다. 지침이 있었지만, 판단은 주관적이었고 객관성이 부족했다.
3. 1. 관측 체제
1996년 4월 1일부터 일본 기상청 진도 계급은 체감이나 피해 상황이 아닌, 계측진도계를 통해 자동으로 진도를 측정하고 발표한다.[129] 이전에는 관측원이 체감이나 건물 피해 상황을 바탕으로 진도를 결정했기 때문에 주관적이고 객관성이 부족했다.[57] 또한, 진도 정보 발표까지 10분 이상 소요되었고, 지진관측소도 150개소로 감소하여 관측망이 부족했다.[124][128]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1985년 일본 기상청 내에 진도 계측화 검토 위원회가 발족되었고, 1988년부터 진도계를 통한 계기 관측을 시험적으로 시작하였다. 1994년 3월 말까지 모든 지진관측소에 진도계가 설치되었고, 관측소는 1993년 300개소, 1996년 600개소로 증가했다.[128][57]
1991년에는 90형 진도계가 설치되었고, 1994년에는 디지털 파형을 메모리 카드에 저장하는 기능이 추가된 93형 진도계가 설치되었다. 현재는 관측 가능한 가속도 상한을 2배 이상으로 늘리고 샘플링 속도를 2배로 하는 등의 개선을 거친 95형 진도계로 전환되었다.[138][139][68][69]
95형 진도계는 3성분(남북, 동서, 상하) 가속도를 측정하며, 샘플링 속도는 100Hz, 24비트이다.[140][70]
2011년 8월 기준, 일본 기상청이 관리하는 진도계는 약 600기, 방재과학기술연구소가 관리하는 진도계는 약 800기, 지방공공단체(도도부현, 시정촌, 기타 행정기관)가 설치한 진도계는 약 2,900기 등 총 4,313기의 진도계가 설치되어 있다.[141][142][71][72] 이는 헤이세이 대합병 이전 시구정촌마다 1개 이상의 진도계를 설치하고, 도서 지역과 인구밀도가 적은 지역은 더 많은 진도계를 설치하는 것을 목표로 정비되었기 때문이다.
이 외에도 지방공공단체가 설치한 진도계 중 기상청의 진도 정보에는 사용하지 않지만, 공공기관이나 대중교통 기관이 댐이나 하천, 철도 등의 안전 확보를 위해 독자적으로 설치한 진도계도 존재한다.
3. 2. 진도계 설치 환경
진도계는 견고한 받침대 위에 설치해야 하며, 지형, 주변 구조물, 실내 설치 위치 등에 대한 규정이 있다. 진도계는 흙을 쌓은 곳이나 절벽 주변에서는 진동이 증폭될 수 있으므로, 지형이 평탄하고 주변에 단차가 없으며 지반이 안정된 옥외에 설치하여 받침대 아래 2/3 이상이 지면 아래 묻혀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주위 구조물에도 규정이 있는데, 물건이 쓰러져 진도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나무나 울타리 등과는 충분한 거리를 두어야 한다. 실내의 경우 가급적이면 1층에 기둥과 가까운 곳에 설치하도록 하며 지하 1-2층까지는 허용된다. 또한 면진이나 제진 공사를 받은 건물에는 진도계를 설치하지 않는다. 진도계는 진도계대 혹은 실내의 경우 바닥에 단단히 고정해야 하며, 진도계의 기종별로 정해진 설치 방법을 지키며 가능하면 앵커볼트로 고정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다.[73]기상청은 진도 정보에 이용할 진도계의 선별을 위해, 설치 환경을 A - E의 5단계로 평가하고 있다. A - C는 이용 가능, D는 원칙적으로 이용하지 않지만 정밀 검토 후 이용하는 것, E는 이용 불가이다.
하지만, 진도계의 설치 환경이 좋지 않은 채로 진도 정보가 이용되어, 후에 그 정밀도가 의문시되어 수정된 예가 있다. 2008년 7월 24일 이와테현 연안 북부 지진에서는 이와테현 히로노정 오노에서 이 지진의 최대 진도가 되는 진도 6강 (후에 6약으로 변경)이 관측되었지만, 주변 시정촌보다 두드러지게 컸기 때문에 조사가 이루어졌고, 같은 해 10월 29일에는, 오노의 진도계는 진도 관측에 부적절한 환경으로 진도 데이터에서 제외하고, 최대 진도를 6강에서 6약으로 수정한다고 기상청이 발표했다.[73] 오노의 진도계는 원래 이용 가능으로 평가된 진도계였기 때문에, 이러한 설치 환경 악화 사례가 다른 지진계에서 발생하고 있을 가능성도 지적되고 있다.
3. 3. 관측소의 배치밀도와 최대진도
1996년 이후 일본 기상청이 발표하는 진도 관측점의 수가 대폭 증가하면서 관측소의 배치 밀도가 비약적으로 높아졌고, 진원 근처에서 큰 진도를 관측할 가능성도 높아졌다. 1995년 이전에는 큰 지진이라도 진원 근처에 관측점이 없으면 최대 진도가 작게 측정되었다. 예를 들어 1984년 큰 피해를 입었음에도 최대 진도 4로 기록된 나가노현 서부 지진이나 1946년 거대지진임에도 최대 진도 5로 기록된 쇼와 난카이 지진이 이에 해당한다. 관측점이 증가한 이후에는 지진의 규모가 이전과 동일하더라도 최대 진도가 더 크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으며, 진도 6약 등 큰 진도가 더욱 자주 보고되고 있다.[144] 진도 관측점 증가로 인해 더욱 진원에 가까운 위치에서 진도 관측이 가능해졌으며, 이로 인한 최대 진도의 변화를 검토하기 위해 일본 기상청은 모든 관측점에서 관측한 계측 진도의 최대값과 기상관서[124]에서 관측한 계측 진도를 비교 검토하고 있다.[145] 다음은 그 예시이다.지진명 | 전체 관측점 최대 진도 | 기상 관서 최대 진도 | ||
---|---|---|---|---|
진도 | 지점 | 진도 | 지점 | |
2004년 니가타현 주에쓰 지진 | 가와구치정 가와구치 | 니가타시 오테마치 (다카다) | ||
2005년 후쿠오카현 서쪽 해역 지진 | 후쿠오카시 주오구 마이즈루 | 후쿠오카시 주오구 오호리 | ||
2007년 노토반도 지진 | 와지마시 몬젠마치 하시데 | 와지마시 후게마치 | ||
2007년 니가타현 주에쓰 해역 지진 | 가시와자키시 주오정 | 니가타시 오테마치 (다카다) | ||
2008년 이와테·미야기 내륙지진 | 구리하라시 이치하사마정 | 센다이시 미야기노구 고린 | ||
2008년 이와테현 연안북부 지진 | 고노헤정 후루타치 | 오후나토시 오후나토 | ||
2011년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 | 구리하라시 쓰키다테정 | 미토시 가나[146] | ||
2016년 구마모토 지진 (본진) | 마시키정 미야조노 | 구마모토시 니시구 가스가[147] | ||
2018년 홋카이도 이부리 동부 지진 | 아쓰마정 시카누마[148] | 오타루시 가쓰나이정[149] |
규모가 작은 지진에서는 진도 6약 이상의 범위를 관측하는 곳이 매우 좁아진다. 하지만 관측점이 많은 경우 진도 6약을 느끼는 범위에 관측점이 있을 확률이 높아지는데, 관측점이 적을 경우 강한 진도가 관측점에서 느껴지지 않아 최대진도가 낮아질 가능성이 높아진다. 1995년 이전에는 최대진도 6의 지진은 규모 측면에서도 확실히 대지진이었으나, 1996년 이후에는 진원 깊이가 극히 얕은 소규모 지진의 경우에도 진도 5나 6이 관측되기 쉬워 "최대진도 6의 지진"을 1995년 이전과 같은 측면에서 다루기 어렵다.[144] "한신·아와지 대진재 이후 지진이 훨씬 늘어난 느낌이다"라는 주장도 간혹 나오나 이는 지진의 절대적인 발생 횟수가 늘어난 것이 아니라, 높은 진도의 관측이 증가했기 때문이다.[144]
3. 4. 진도 계산식
일본 기상청(JMA) 등에서 사용하는 진도계는 가속도계로 흔들림을 관측한다. 우선 가속도의 시간 영역 신호로 상하 진동(UD), 남북 진동(NS), 동서 진동(EW) 방향 3개 성분의 가속도를 측정하고, 아래의 과정을 통해 계측진도를 계산한다.[150]1. 상하 진동, 남북 진동, 동서 진동의 샘플링된 시간 영역 신호를 푸리에 변환하여 주파수 영역 신호로 변환한다.
2. 지진파의 주기 영향을 보정하기 위해 상하 진동, 남북 진동, 동서 진동의 주파수 영역 신호를 각각 필터 처리를 시행한다. 여기서 거치는 필터는 다음의 각 필터를 곱셈 연산한 것이다.(여기서 는 주파수)
3. 필터를 거친 각 주파수 영역의 신호를 각각 푸리에 역변환하여 시간 영역 신호로 되돌린다.
4. 상하 진동, 남북 진동, 동서 진동의 3개 성분을 합성하여 하나의 합성 가속도로 만든다.
5. 합성 가속도의 절댓값 이상이 되는 시간의 총 합이 0.3초인 가속도 를 구한다. 이는 진도 산출 기준이 되는 흔들림의 크기 를 0.3초간의 간헐적인 흔들림으로 통일시켜 실제 흔들림으로 발생하는 피해와 산출 진도를 비슷하게 맞추기 위해서이다.
6. 의 값을 구한다.
7. 의 소수점 이하 3번째 값 이상을 반올림하고 소수점 이하 2번째 값 이하를 전부 잘라낸 것을 '''계측진도'''라고 부른다.
8. 계측진도를 반올림한 값(단 음의 값이면 0, 8 이상은 7)을 0부터 7까지의 진도 계급이라고 부른다. 단 진도5와 진도6은 반올림 기준에 따라 각각 약과 강을 나눈다( 진도와 계측진도의 관계 표 참조).
3. 5. 계측진도와 가속도 및 속도
카와스미 히로시는 과거 지진의 진도와 최대 지반 가속도(PGA) 사이의 관계를 찾아 '카와스미 공식'으로 정리했다.[152] 카와스미 공식은 다음과 같다.[153]:
:여기서 I는 기상청 진도 계급(소수점 이하 반올림), a는 최대 지반 가속도(gal)이다.
진도는 가속도뿐만 아니라 최대 지반 속도(PGV)와 더 높은 상관관계를 보인다는 연구도 있다.[154] 지진조사연구추진본부는 최대 지반 속도를 활용하여 진도를 추정하는 방식을 사용하기도 한다.[155]
진도와 가속도의 관계는 단순하지 않은데, 지진동의 주기에 따라 사람이 느끼는 흔들림의 정도가 다르기 때문이다.[150] 주기 1초 정도의 지진동은 사람에게 민감하게 느껴지지만, 이보다 길거나 짧은 주기의 지진동은 같은 가속도라도 약하게 느껴진다.
현재 사용되는 계측진도 계산식은 카와스미 공식을 바탕으로 하되, 지진동의 진폭, 주기, 지속시간 등을 고려하여 실제 체감 진도와 더 가깝게 개선되었다.[150]
4. 진도 발표
일본 기상청은 지진 발생 시 지진정보를 통해 최대진도, 진원, 쓰나미 발생 유무 등을 발표한다.[158] 과거에는 관측자가 자신의 감각과 건물 피해를 바탕으로 지진 규모를 결정하고 등급표에 맞춰 판단했으나, 이는 주관적이고 객관성이 부족했다.[11]
1958년부터 1969년 사이 지진 관측소 수가 대폭 감소하여 약 150개의 공식 기상 관측소만 남게 되면서,[41][11] 지진 관측소 부족, 관측자의 주관적 판단, 진도 5 이상에서의 피해 변동, 지진 규모 보고 지연 등의 문제점이 발생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1985년 일본 기상청은 기기 사용을 탐색하기 위한 위원회를 설립, 1988년 지진계를 이용한 실험적 측정을 시작했다. 1994년 3월까지 모든 관측 지점에 지진계가 설치되었고, 1993년 300개, 1996년 600개로 관측 지점이 증가했다.[11]
1994년 산리쿠 해역 지진, 1995년 한신·아와지 대지진 등 대규모 지진으로 진도 5와 6 지역의 넓은 피해 변동, 진도 7 결정 지연 등의 문제점이 드러나면서, 더 빠르고 자세한 피해 평가의 필요성이 강조되었다.[12]
1996년 4월 1일, 지진 규모 등급이 개정되어 감각 기반 관측이 폐지되고 계측기 기반 측정으로 전환되었다. 진도 5와 6은 "하"와 "상"으로 세분화되어 10단계 척도가 되었다. 또한, 약 600개의 기상청 관측 지점 외에 국립 방재 과학 기술 연구소(NIED) 운영 약 800개 지점과 약 2,800개의 지방 자치 단체 지점 데이터도 기상청 보고에 사용되어 총 관측 지점 수가 약 4,200개로 증가했다.[11]
4. 1. 지진정보의 종류
지진이 발생하면, 일본 기상청은 지진정보를 통해 관측된 최대 진도, 지진의 진원, 쓰나미 발생 유무 등을 발표한다. 진도와 관련된 정보는 다음과 같다.[158]- 진도 속보: 지진 발생 약 1분 30초 후, 진도 3 이상을 관측한 지역을 발표한다.
- 진원·진도에 관한 정보: 진도 3 이상 등 조건을 만족했을 경우, 진도 3 이상의 지역명과 시정촌명을 발표한다. 진도가 판명되지 않았지만 진도 5약 이상으로 추정되는 시정촌명도 함께 발표한다.
- 각지의 진도에 관한 정보: 지진의 최대 진도가 1 이상인 경우, 진도 1 이상을 관측한 관측점과 진도가 판명되지 않았지만 진도 5약 이상으로 추정되는 관측 지점을 발표한다.
- 그 외의 정보: 지진이 다발할 경우 등, 상황에 따라 진도 1 이상의 지진 발생 횟수 등을 발표한다.
- 추계진도분포도: 지진의 최대 진도가 5약 이상인 경우, 진도 4 이상의 상세한 진도 분포 지역을 그린 지도를 발표한다.
4. 2. 기상청 웹사이트의 진도 보도 체제
일본 기상청은 2013년 3월 7일부터 시각 장애인과 고령자를 배려하여 웹사이트에 발표하는 기상 정보에 컬러 유니버설 디자인을 도입하고, 지진 정보의 색상도 변경했다.[159][160]진도 표시는 색깔로 구분된다. 진도7은 자주색, 진도6강은 진한 빨강, 진도6약은 빨강, 진도5강은 주황, 진도5약은 노랑, 진도4는 크림슨, 진도3은 파랑, 진도2는 하늘색, 진도1은 흰색으로 표시한다.[159][161]
진원 표시는 이전에는 빨간 X자 표시만 사용했지만, 변경 후에는 빨간 X자 표시에 노란 테두리를 추가한 형태로 바뀌었다.[161]
4. 3. 텔레비전 및 라디오의 진도 보도 체제
지진이 발생하면, 일본 기상청은 지진정보를 통해 관측된 진도, 지진의 진원, 쓰나미 발생 유무 등을 발표한다.[158]NHK의 긴급지진속보와 각 민방에서는 대략 아래의 표와 같이 진도를 구분하여 발표한다. 각 방송국은 진도분포도에서 기상청의 진도속보에서 사용되는 일본 전역을 188개 지역으로 나눈 구분을 사용하고 있으며, 기상청으로부터 각지의 세세한 진도가 발표되었을 때 사용하는 시정촌별 표시도 사용하고 있다.
진도 | 7 | 6강 | 6약 | 5강 | 5약 | 4 | 3 | 2 | 1 | |
---|---|---|---|---|---|---|---|---|---|---|
NHK[162] | 7 | 6+ | 6− | 5+ | 5− | 4 | 3 | 2 | 1 | |
NNN[163] | 7 | 6+ | 6− | 5+ | 5− | 4 | 3 | 2 | 1 | |
ANN (TV 아사히의 경우)[164] | 7 | 6강 | 6약 | 5강 | 5약 | 4 | 3 | 2 | 1 | |
JNN[165] | | | | | |colspan="2"| |colspan="2"| | |||||||||
| | | | | | |colspan="2"| | ||||||||||
colspan="2"| | | | | | | | | ||||||||||
colspan="3"| | | | | | | | ||||||||||
colspan="4"| | | | | | | ||||||||||
colspan="5"| | | | | | ||||||||||
TXN (테레비 도쿄의 경우)[166] | 7 | 6+ | 6− | 5+ | 5− | 4 | 3 | 2 | 1 | |
FNN (후지 테레비의 경우)[167] | 7 | 6강 | 6약 | 5강 | 5약 | 4 | 3 | 2 | 1 | |
NHK에서의 지진 속보는 대개 진도 5약 이상일 때는 "강한 지진", 진도 4일 때는 "다소 강한 지진", 진도 3일 때는 "지진"으로 지진의 강도를 언급하는 경우가 많다. 진도 3 이상일 경우에는 지상 디지털 방송의 데이터 방송으로 전국에 속보한다.
한편, 민방에서는 진도 7·진도 6강일 때는 "매우 강한 지진"이라고 표현하는 경우도 있다.
5. 진도와 방재 조치
일본 내 행정기관들은 기상청의 진도 정보를 바탕으로 지진 발생 직후 초기 대응을 결정한다. 경찰청이나 소방청은 진도 4~5약 이상에서, 해상보안청이나 방위성은 진도 5약 이상에서 피해 조사를 실시한다.[168] 내각부는 진도 4 이상에서 지진 피해를 추정하고, 도쿄 23구는 진도 5강 이상, 기타 지역은 진도 6강 이상에서 총리대신 관저 지하의 "내각부 위기관리센터"에 주요 인원이 소집된다.[169] 2007년 10월부터 일반인 대상 긴급지진속보(경보)는 추정 최대진도 5약 이상일 때, 진도 4 이상 예상 지역에 발표된다.
6. 진도별 해설표
2008년 이와테·미야기 내륙지진과 이와테현 연안북부 지진에서 실제 피해 모습과 진도 해설표의 내용과 차이가 발생하여, 2008년 여름 진도 계급표의 해설표를 재검토한다는 보도가 나왔다.[132] 2008년 겨울부터 2009년 봄에 걸쳐 검토회가 열렸으며, 2009년 3월 31일부터 일본 기상청이 개정된 "기상청 진도 계급 관련 해설표"를 공개하였다. 주요 변경사항으로는 내진설계 공법 보급에 맞춰 건물 내진도에 따른 피해 변화를 기록하고, 건물과 지형에 따른 피해를 각각 별도로 표기했으며, 특히 건축물 피해의 경우 목조와 철근 콘크리트조를 나누어 대규모 구조물이나 인프라에 미치는 영향을 세분화했다는 점 등이 있다. 계측진도 계산 공식 자체는 변화하지 않았다.[133][134]
1996년 3월까지는 인간의 체감이나 피해 상황을 묘사하는 설명문이 진도 판정표로 활용되었으나, 같은 해 4월부터는 계측진도에서의 피해를 나타내는 해설문(정식 명칭은 "기상청 진도 계급 관련 해설표")으로 역할이 바뀌었다.[174] 이후 1996년 10월 1일과 2009년 3월 31일에 두 차례 해설표가 개정되었다.
아래는 일본 기상청 진도 계급의 기간에 따른 변천도를 나타낸 표이다.
1884년~1898년 | 1898년~1936년 | 1936년~1949년 | 1949년~1996년 | 1996년~현재 |
---|---|---|---|---|
진도0 / 미진/감각 없음 | 진도0 / 무감 | 진도0 | ||
미진 | 진도1 / 미진 | 진도1 / 미진 | ||
약진 | 진도2 / 약진(진도 약한 편) | 진도2 / 경진 | ||
진도3 / 약진 | 진도3 / 약진 | |||
강진 | 진도4 / 강진(진도 약한 편) | 진도4 / 중진 | ||
진도5 / 강진 | 진도5 / 강진 | |||
열진 | 진도6 / 열진 | 진도6 / 열진 | ||
colspan="3" | | 진도7 / 격진 |
특정 지역에서 진도0을 관측하면 '무감'이라고 하며, 최대진도가 진도0인 지진을 '무감지진'이라고 한다. 최대진도가 진도1 이상일 경우에는 '유감지진'이라고 부른다.
6. 1. 1996년 9월 30일 이전
1884년(메이지 13년), 일본 내무성 지리국 제4부 검진과장이었던 세키야 기요카게가 "지진보고수칙"을 제정하면서 일본 최초의 통일된 진도 계급이 마련되었다. 당시 진도 계급은 미진(微震|비신일본어), 약진(弱震|자쿠신일본어), 강진(強震|교신일본어), 열진(烈震|렛신일본어)의 4단계로 구분되었고, 각 단계별로 짧은 해설문이 붙어 있었다.[121][122] 예를 들어 미진은 "인간이 겨우 느낄 수 있는 약한 지진"으로 설명되었다.1898년에는 미진 아래에 "무감"(無感), 미진과 약진 사이에 "약진 (진도 약한 편)", 약진과 강진 사이에 "강진 (진도 약한 편)" 등급이 신설되고, 각 등급에 0에서 6까지 숫자를 부여하여 총 7단계 체제로 바뀌었다. 이 때는 진도별 해설문이 생략되었다가 1908년에 다시 부활하였다. 1936년(쇼와 11년)에는 '지진관측법'이 제정되어 "무감", "경진"(軽震), "중진"(中震)으로 용어가 개정되었다.[123]
1949년 1월 지진관측법 개정으로 진도7이 추가되어 진도 0에서 7까지 총 8단계 체제가 되었다.[125] 이는 1948년 후쿠이 지진의 피해를 진도6으로 적절하게 표현할 수 없다는 주장에 따른 것이었다. 1949년 제정된 진도7은 기상청 기동관측반의 실사 결과 특정 지구의 가옥파괴율이 30% 이상일 때만 지정되었다. 또한, '무감', '미진', '경진', '약진', '중진', '강진', '열진', '격진'이라는 명칭이 추가되었다.[125] 1978년(쇼와 53년)에는 모든 진도에 실제 체감 상황 설명문이 추가되었다.[127]
진도 계급 제정 초기에는 관측원이 체감한 느낌이나 건물 피해 상황을 바탕으로 진도를 결정했기 때문에 주관이 개입될 여지가 있었다. 1996년 3월까지는 인간의 체감이나 피해 상황을 묘사하는 설명문이 진도 판정표로 활용되었다.
다음은 1996년 9월 30일 이전까지 사용된 진도 계급표이다.
진도 | 주변 상황과 피해 |
---|---|
0 (무감) | 지진계(진도계)가 감지하며, 사람은 흔들림을 느끼지 못한다. |
1 (미진) | 가만히 있는 사람이나 특히 주의 깊게 살피는 사람만 느낄 수 있다. |
2 (경진) | 사람에게 느껴지며, 창호지 등이 미세하게 움직인다. |
3 (약진) | 집이 흔들리고, 문과 창호지 등이 소리를 낸다. |
4 (중진) | 집이 심하게 흔들리고, 8부 정도 채운 물이 용기에서 넘쳐흐른다. |
5 (강진) | 벽이 갈라지고, 굴뚝이 부서지기도 한다. |
6 (열진) | 가옥 붕괴 비율이 30% 이하이며, 산사태, 땅 갈라짐이 일어난다. |
7 (격진) | 가옥의 30% 이상이 무너지고, 산사태나 땅 갈라짐이 발생한다. |
6. 2. 1996년 10월 1일 이후
1996년 4월 1일, 일본 기상청은 진도 계급을 개정하여 사람의 체감으로 측정하던 방식을 폐지하고 진도계를 이용한 계측진도 방식으로 완전히 전환했다. 이와 함께 진도 5와 6에 각각 '강'(強)과 '약'(弱)을 추가하여 10단계 체제로 변경하고, '경진', '강진' 등의 표기도 완전히 폐지했다. 기존 설명문은 '관련해설표'로 대체되었으며, 피해 정도를 기준으로 판정하던 진도 7도 계측진도 6.5 이상이면 진도 7로 책정하도록 변경되었다.[129]이러한 변화와 함께 일본 기상청은 자체 600개 지진관측소 외에도 일본 방재과학기술연구소의 800개 지진관측소, 지방공공단체 소속 2,800개 관측소의 데이터도 지진정보 발표에 활용하기 시작하여, 진도 관측점은 총 4,200개소로 대폭 증가했다.[130]
2008년 이와테·미야기 내륙지진과 이와테현 연안북부 지진 발생 이후, 실제 피해 상황과 진도 해설표에 나타난 피해 모습 사이에 차이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었다. 이에 따라 2008년 여름부터 진도 계급표 해설표 재검토가 이루어졌고, 2009년 3월 31일부터 개정된 "기상청 진도 계급 관련 해설표"가 공개되었다. 개정된 해설표의 주요 변경 사항은 다음과 같다.[133][134]
- 내진설계 공법 보급에 따라 건물 내진도에 따른 피해 변화를 기록
- 건물과 지형에 따른 피해를 각각 별도로 표기
- 건축물 피해의 경우 목조와 철근 콘크리트조로 나누어 대규모 구조물이나 인프라에 미치는 영향 세분화
계측진도 계산 공식 자체는 변경되지 않았다.[133][134]
다음은 2009년 3월 31일부터 적용된 "기상청 진도 계급 관련 해설표"의 내용이다.[175]
진도 | 실내 | 실외 | 건축물 | 설비 및 인프라 | 지형 |
---|---|---|---|---|---|
0 | 지진계(진도계)로만 감지할 수 있으며, 사람은 흔들림을 느낄 수 없다. | 변화가 보이지 않는다. | 변화가 보이지 않는다. | 변화가 보이지 않는다. | 변화가 보이지 않는다. |
1 | 지진이나 흔들림에 민감하거나, 과민한 일부 사람들이 지진이 일어났음을 알아차린다. 어지럼증으로 착각할 수 있다. | ||||
2 | 많은 사람들이 지진이 일어났음을 알아채고, 수면 중인 사람 중 일부는 잠에서 깬다. 천장에 매달아 놓은 전등의 끈이 좌우 수 cm의 진폭으로 흔들린다. | ||||
3 | 대부분의 사람들이 흔들림을 느낀다. 흔들리는 시간이 오래 지속되면 공포나 불안감을 느끼는 사람들이 생긴다. 겹쳐 있는 도자기 등의 식기류가 부딪혀 소리를 낸다. | 바람이 없을 때도 전선이 조금씩 흔들린다. | |||
4 | 대부분의 사람들이 공포를 느끼고 위험에서 피하려고 움직이기 시작한다. 책상 밑에 숨는 사람이 나타난다. 수면 중인 사람 대부분이 잠에서 깬다. 매달아 놓은 물건이 크게 흔들린다. 서로 맞닿아 있는 식기끼리 부딪혀 소리를 낸다. 무게중심이 높은 장식물 등이 넘어질 수 있다. | 전선이 흔들리는 모습을 확실하게 볼 수 있다. 나무가 흔들리는 것이 바람 때문이 아닌 것을 알 수 있다. 걷다가 흔들림을 느낀다. 주저앉으면 땅이 흔들리고 있음을 느낄 수 있다. 자동차를 운전하던 도중에 돌풍에 핸들이 흔들리는 감각과 비슷하게 지진의 흔들림을 깨닫는 사람이 나타난다. | 목조: 알루미늄 합금 새시를 이용하지 않는 오래된 목조가옥에서는 유리가 진동하여 흔들리는 소리가 난다. 연약 지반인 습지 등을 간척하여 개발한 지역에 건설한 건물은 다른 지역에 비해 크게 흔들린다. 노후 가옥은 기둥과 벽에 틈이 생긴다. RC구조: 순간적으로 알루미늄 새시의 유리와 유리 고리가 부딪혀 삐걱대는 소리를 낸다. | 일부 엘리베이터는 지진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정지한다(이후 큰 흔들림이 없으면 자동으로 복구되는 경우가 많다.) | |
5약 | 대부분의 사람들이 두려움을 느끼고 위험을 피하기 위해 움직인다. 걷는 데 지장이 생기기 시작한다. 천장에 매달아 놓은 전등 본체를 비롯해 매달린 물건 대부분이 크게 흔들리고 가구는 소리를 내기 시작한다. 무게중심이 높은 서적이 책장에서 떨어진다. | 보행 중에 비틀거린다. | 목조: 내진성이 낮은 가옥은 지주나 화타보 등 건축배율이 낮은 부위를 중심으로 응력이 집중되어 벽에 균열이 생기고 기둥의 이음부가 파괴된다. RC구조: 내진성이 높은 가옥은 기둥이나 보의 접합 부분이 삐걱거리는 소리가 난다. | 지중화하여 매설된 노후화가 큰 수도관이 지하의 흔들림으로 접합부가 느슨해져 단수되는 지역이 발생한다. 도시가스에서 사용하는 마이컴이 내장된 가스미터의 자동 차단 밸브가 작동하는 집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엘리베이터는 정지하고 유지보수 회사가 점검하지 않으면 운행 재개가 불가능하다(이하 진도5강 이상의 흔들림에도 동일하다). | 연약 지반에서는 땅바닥에 균열이 생길 수 있다. 산악 지방에서 낙석이 떨어지는 등 작은 붕괴가 발생할 수 있다. |
5강 | 두려움을 느끼고 대부분의 사람들이 하던 행동을 멈춘다. 찬장 등의 선반 위에 있던 물건이 바닥으로 떨어진다. TV도 TV 책장 위에서 떨어지기도 한다. 문 일부는 빠지거나 뒤틀려서 여닫을 수 없다. 실내에서 쓰러진 물건에 맞거나 넘어지는 등 부상자가 발생할 수 있다. | 유리창이 깨지거나 보강하지 않은 벽돌담이 무너진다. 도로에도 피해가 발생한다. | 목조: 내진성이 낮은 주택은 벽이나 기둥이 파괴된다. RC구조: 내진성이 낮은 주택에서는 벽이나 기둥에 큰 균열이 발생한다. 내진성이 높은 건물이라도 간혹 벽에 균열이 발생할 수 있다. | 정전이 발생하는 주택이 생겨난다. 가스관과 수도관에 피해가 발생해 일시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 | 연약 지반에는 균열이 발생할 수 있다. 산지에서 낙석이나 작은 산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 |
6약 | 서 있기 어렵다. 고정하지 않은 무거운 가구 대부분이 움직이거나 넘어진다. 뒤틀려 열리지 않는 문이 많다. | 상당수의 건물에서 유리창이 깨지거나 외벽 타일이 떨어져 나간다. | 목조: 내진성이 낮은 주택은 붕괴할 수 있다. 내진성이 높은 주택에서도 벽이나 기둥이 파손되는 경우가 있다. RC구조: 내진성이 낮은 건물에서는 벽이나 기둥이 파괴될 수 있다. 내진성이 높은 경우에도 벽, 보, 기둥에 큰 균열이 발생할 수 있다. | 일부 열차에서 탈선 사고가 발생한다. 엘리베이터는 기기나 승강로가 손상되어 승객이 장시간 갇힐 수 있다. | |
6강 | 서 있을 수 없고, 기지 않으면 움직일 수 없다. | 많은 건물에서 외벽 타일이 벗겨지거나 유리창이 깨져 땅으로 떨어진다. 보강하지 않은 벽돌담 대부분이 무너진다. 오래된 가로수들이 뿌리부터 부러질 수 있다. | 목조: 내진성이 낮은 주택은 대부분 붕괴된다. 내진성이 높은 주택에서도 벽이나 기둥이 파손되는 경우가 있다. RC구조: 내진성이 낮은 주택은 붕괴될 수 있다. 내진성이 높은 주택도 벽이나 기둥이 파손되는 경우가 있다. | 가스관, 수도 배수설비에 피해가 발생하고 넓은 범위에서 가스와 수도 공급이 끊길 수 있다. 또한 일부 지역이 정전된다. 도시가스 회사는 이 진도에서부터 각 지역구 공급소를 원격으로 조종하여 가스 공급을 중지한다. | 진앙 인근 지역에서는 땅이 갈라지는 현상이 확인되고 지표에서 단층이 드러나기도 한다. 나무가 적은 산악 지대에서는 산사태가 발생한다. |
7 | 낙하물이나 흔들림에 완전히 떠밀려 버리며 자기 생각대로 몸을 움직일 수 없다. 대부분의 가구가 흔들림에 따라 이동한다. TV 등 가전제품 중에서도 수 kg 정도의 무거운 물건이 튀어나갈 수 있다. | 비석이 무게 수십 kg에 해당하는 상앗돌 부분이 넘어진다. 가는 나무나 고목들이 뿌리부터 부러지는 경우가 있다. 대부분의 건물에서 외벽 타일이 떨어지며 유리창이 깨져 지상으로 떨어진다. | 내진성이 높은 주택이나 건축물도 기울어지거나 크게 파괴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 전기, 가스, 수도 등의 주요 인프라 공급이 중단된다. 많은 도로의 포장이 벗겨져 통행이 어려워진다. 철도나 고속도로 같은 광역 교통 시설이 파괴된다. 도시 기능이 소멸하여 주변 지역과 고립된다. | 땅이 크게 갈라진다. 산사태나 심하게는 산악 붕괴가 발생한다. 지표가 융기, 침강하여 지형이 변형된다. |
7. 진도 7 이상의 진도
일본 기상청이 정한 최대 진도 계급은 진도7이며, 그 이상의 진도는 정의되어 있지 않다. 1996년 진도 개정 이전 검토 위원회에서는 진도8 도입을 검토했으나, 방재 대응 상 의미가 없고 피해 상황이 불확실하다는 이유로 보류되었다.[178] 학계 등에서는 편의상 '초진도 7'(超震度7) 등의 용어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통일된 정의는 없다.[179][180]
다음은 진도7을 관측한 지진 목록이다.
지진 | 날짜 | 규모 | 진도 7 지역 |
---|---|---|---|
1995년 한신·아와지 대지진 | 1995년 1월 17일 | 6.9 [15] | 고베, 니시노미야, 아시야, 다카라즈카, 쓰나, 호쿠단, 이치노미야 (효고) |
2004년 니가타현 주에쓰 지진 | 2004년 10월 23일 | 6.6 | 가와구치 (니가타) |
2011년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 | 2011년 3월 11일 | 9.0 | 구리하라 (미야기)[16] |
2016년 구마모토 지진 | 2016년 4월 14일 | 6.2 | 마시키 (구마모토) |
2016년 4월 16일 | 7.0 | 니시하라, 마시키 (구마모토) | |
2018년 홋카이도 이부리 동부 지진 | 2018년 9월 6일 | 6.6 | 아쓰마 (홋카이도) |
2024년 노토반도 지진 | 2024년 1월 1일 | 7.5 | 시카, 와지마 (이시카와) |
8. 장주기 지진동 계급
2011년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동일본대진재) 당시 진원역과 매우 멀리 떨어진 대도시에서도 고층 건물이 심하게 흔들려 큰 피해가 발생했다. 이 때문에 장주기 지진동에 대한 새로운 정보 발표가 검토되었다.[135]
2011년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에서는 초고층 건물에서 강하게 흔들리는 영상이 언론을 통해 전파되었고, 실제로 고층 건물 내에서 사람이 걷기 어려울 정도로 흔들리거나 기존의 단주기 지진동과는 다른 흔들림을 보였다. 당시 분석에 따르면 진동변위 지진 파형 그래프에서는 7초를 주기로 변위가 4-50cm 최대치를 찍었고, 이를 통해 고유 진동이 7초 전후인 건물이 심하게 흔들렸을 것으로 추정한다. 여기에 고층건물의 진폭이 최대 3-60cm 정도로 크게 흔들렸던 것으로 관측되었다.[181][182] 이 당시 관측한 장주기 지진동은 주기 0.2-1초의 단주기 지진동을 기준으로 발표하는 일본 기상청 진도 계급으로는 파악하기 어렵다는 점이 지적되었다.
이에 일본 기상청은 2012년부터 장주기 지진동에 관한 검토회를 열고 이듬해인 2013년부터 현재의 진도 계급과는 별개로 4단계의 '''일본 기상청 장주기 지진동 계급'''(気象庁長周期地震動階級|기상청장주기지진동계급일본어)을 설정해 3월 28일부터 시범적으로 "장주기 지진동 관련 관측정보"를 운용하기 시작했고, 2019년 3월 19일부터 본운영을 시작했다. 일본 기상청 홈페이지에 공개된 2013년 3월부터 2019년 2월 시범운영 종료까지 발표한 장주기 지진동 계급은 계급4가 3번, 계급3이 4번, 계급2가 16번, 계급1이 55번 관측되었다.[183]
9. 일본 이외 국가의 사용
타이완에서는 1996년 3월 이전 일본에서 사용하던 진도 계급표 중 진도7을 제외한 진도 계급, 즉 1949년 이전 일본의 진도 계급과 거의 유사한 중화민국 중앙기상국 진도 계급(CWB 계급)을 오랫동안 사용했다.[184] 2000년 8월 1일 개정 진도 계급에서는 진도7까지 정의하였으나 일본과 달리 진도5, 진도6의 강/약 구분이 없었다.[185] 2019년 4월 중앙기상국은 일본과 같은 10단계 계급으로 바꿀 예정이라고 발표하였고, 2020년 1월 1일부터 일본과 같은 10단계 진도 계급으로 변경되었다.[186]
대한민국에서도 대한민국 기상청이 2000년까지는 일본 기상청 진도 계급을 사용하고 있었으나, 2001년 1월 1일부터 사용하는 진도 계급을 수정 메르칼리 진도 계급으로 바꾸면서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다.[118]
참조
[1]
웹사이트
This is the official name; see
http://www.jma.go.jp[...]
[1]
웹사이트
This is the official name; see
http://www.jma.go.jp[...]
[2]
웹사이트
A closer look at the shindo seismic scale (in Japanese)
https://www.japantim[...]
2018-06-27
[3]
웹사이트
気象庁震度観測点一覧表
http://www.data.jma.[...]
2019-01-22
[4]
웹사이트
Japan Meteorological Agency – Earthquake Information
http://www.jma.go.jp[...]
[5]
웹사이트
Seismic intensity and acceleration (Japanese)
http://www.seisvol.k[...]
[6]
웹사이트
JMA seismic intensity scale
http://www.hp1039.ji[...]
[7]
웹사이트
気象庁 震度について
https://www.jma.go.j[...]
Japan Meteorological Agency
2021-07-23
[8]
웹사이트
気象庁 気象庁震度階級関連解説表
https://www.jma.go.j[...]
Japan Meteorological Agency
2021-07-23
[9]
웹사이트
The Great Hanshin Earthquake Disaster
http://geoinfo.usc.e[...]
2006-09-09
[10]
논문
歴史的視点から見た地震学と社会
https://eprints.lib.[...]
2010-03-19
[11]
문서
震度の活用と震度階級の変遷等に関する参考資料
https://www.data.jma[...]
Japan Meteorological Agency
2024-12-19
[12]
문서
福井地震50周年特集 震度の歴史と福井地震
https://www.zisin.jp[...]
zisin.jp
2024-12-19
[13]
논문
計測震度と旧気象庁震度および地震動強さの指標との関係
https://www.jstage.j[...]
1999
[14]
뉴스
【図解】最大震度7を観測した地震(Yahoo!ニュース オリジナル THE PAGE)
https://news.yahoo.c[...]
Yahooニュース
2022-04-04
[15]
간행물
ISC-GEM Global Instrumental Earthquake Catalogue (1900–2009)
http://www.isc.ac.uk[...]
International Seismological Centre
[16]
웹사이트
3.11東日本大震災 最大震度7と大津波 巨大地震の衝撃 – NHK
https://www3.nhk.or.[...]
日本放送協会
2022-04-04
[17]
웹사이트
気象庁|強震観測について
https://www.data.jma[...]
Japan Meteorological Agency
2024-01-17
[18]
웹사이트
3 観測と地震予知
http://www.bousaihak[...]
[19]
웹사이트
気象庁における強震波形観測・収録と提供
https://www.mmjp.or.[...]
[20]
보고서
震度に関する検討会報告書
https://www.data.jma[...]
2009-03
[21]
웹사이트
Monitoring of Earthquakes, Tsunamis and Volcanic Activity
https://www.jma.go.j[...]
Japan Meteorological Agency
2024-01-17
[22]
문서
震度に関する検討会 報告書
https://www.fdma.go.[...]
Fire and Disaster Management Agency
2024-12-16
[23]
보도자료
岩手県洋野町大野の震度データについて- 本年7月の岩手県沿岸北部の地震の最大震度を6強から6弱に修正 -
https://www.jma.go.j[...]
Japan Meteorological Agency
2008-10-29
[24]
웹사이트
第1部:地震の基礎知識、1章:大きな地震と小さな地震
https://www.hinet.bo[...]
2024-01-17
[25]
문서
観測点配置に着目した震度観測の変遷と最大震度に関する研究
http://www.sharaku.n[...]
2024-01-17
[26]
웹사이트
Seismic Station List
https://www.data.jma[...]
Japan Meteorological Agency
2024-01-17
[27]
문서
平成 23 年3月 地震・火山月報(防災編)
https://www.data.jma[...]
2024-01-17
[28]
문서
平成28年4月 地震・火山月報(防災編)
https://www.data.jma[...]
2024-01-17
[29]
문서
平成30年9月 地震・火山月報(防災編)
https://www.data.jma[...]
2024-01-17
[30]
문서
平成 30 年9月 地震・火山月報(防災編)
https://www.data.jma[...]
2024-01-17
[31]
문서
令和6年1月 地震・火山月報(防災編)
https://www.data.jma[...]
2024-12-16
[32]
웹사이트
計測震度の算出方法
https://www.data.jma[...]
Japan Meteorological Agency
2024-01-17
[33]
웹사이트
気象庁|地震情報について
https://www.data.jma[...]
2024-12-16
[34]
웹사이트
気象庁 緊急地震速報や震度情報で用いる区域の名称
https://www.data.jma[...]
2024-12-17
[35]
웹사이트
気象庁 推計震度分布図について
https://www.data.jma[...]
2024-12-17
[36]
웹사이트
緊急地震速報の内容
http://www.seisvol.k[...]
2024-12-19
[37]
간행물
気象庁ホームページにおける気象情報の配色に関する設定指針
https://www.jma.go.j[...]
Japan Meteorological Agency
2024-12-17
[38]
웹사이트
[39]
웹사이트
熊本大地震21分後にF-2発進 何も見えない戦闘機、災害時になぜ飛ぶ?
https://trafficnews.[...]
2014-03-06
[40]
간행물
気象庁における情報通信
https://www.soumu.go[...]
Japan Meteorological Agency
2024-12-18
[41]
웹사이트
気象庁|地震観測点一覧
https://www.data.jma[...]
2024-12-18
[42]
웹사이트
第1部:地震の基礎知識
https://www.hinet.bo[...]
2024-12-18
[43]
웹사이트
境有紀のホームページ,提案する震度算定法に関するQ&A,Q2.
http://sakaiy.main.j[...]
2024-12-18
[44]
웹사이트
境有紀のホームページ現在の震度の問題点と代替案の提案
http://sakaiy.main.j[...]
2024-12-18
[45]
논문
建物被害率の予測を目的とした地震動の破壊力指標の提案
https://www.jstage.j[...]
2002
[46]
웹사이트
境有紀のホームページ、1995年兵庫県南部地震の神戸海洋気象台の強震記録について
http://sakaiy.main.j[...]
2024-12-18
[47]
웹사이트
境有紀のホームページ、コラム、やばい雰囲気
https://www.kz.tsuku[...]
2024-12-18
[48]
웹사이트
震度観測点
https://www.data.jma[...]
[49]
웹사이트
気象庁震度階級関連解説表
https://www.jma.go.j[...]
[50]
논문
歴史的視点から見た地震学と社会
https://hdl.handle.n[...]
2019-02-12
[51]
문서
気象庁
2009
[52]
문서
気象庁
2009
[53]
웹사이트
気象官署(特別地域気象観測所を含む)計測震度計, 地震観測点一覧
https://www.data.jma[...]
[54]
문서
気象庁
2009
[55]
간행물
福井地震50周年特集 震度の歴史と福井地震
http://www.zisin.jp/[...]
[56]
문서
気象庁
2009
[57]
문서
気象庁
2009
[58]
문서
気象庁
2009
[59]
간행물
震度の活用と震度階級の変遷等に関する参考資料
https://www.data.jma[...]
[60]
논문
計測震度と旧気象庁震度および地震動強さの指標との関係
1999
[61]
뉴스
高層ビルの揺れ、震度の目安に 気象庁「解説表」見直し
朝日新聞
2008-09-01
[62]
웹사이트
震度に関する検討会 検討結果の概要
https://www.data.jma[...]
気象庁
2009-03-23
[63]
웹사이트
3月31日から「気象庁震度階級関連解説表」が新しくなります
https://www.jma.go.j[...]
気象庁
2009-03-30
[64]
웹사이트
「長周期地震動に関する情報のあり方報告書」について
https://www.data.jma[...]
気象庁
2012-04-26
[65]
웹사이트
長周期地震動に関する観測情報(試行)の気象庁HPへの掲載について
https://www.jma.go.j[...]
気象庁
2013-03-23
[66]
문서
気象庁
2009
[67]
웹사이트
計測震度の算出方法
https://www.data.jma[...]
気象庁
[68]
웹사이트
強震観測について
https://www.data.jma[...]
気象庁
2013-05-26
[69]
웹사이트
地震災害の基礎知識 3 観測と地震予知
http://www.bousaihak[...]
消防防災博物館(消防科学総合センター)
2013-05-26
[70]
간행물
強震観測の最新情報(2) 気象庁における強震波形観測・収録と提供
http://www.mmjp.or.j[...]
1998
[71]
간행물
震度に関する検討会報告書
https://www.data.jma[...]
気象庁・消防庁
2009-03-00
[72]
웹사이트
地震・津波
https://www.data.jma[...]
気象庁
2014-03-18
[73]
뉴스
岩手県洋野町大野の震度データについて- 本年7月の岩手県沿岸北部の地震の最大震度を6強から6弱に修正 -
https://www.jma.go.j[...]
気象庁
2008-10-29
[74]
웹사이트
第1部:地震の基礎知識、1章:大きな地震と小さな地震
http://www.hinet.bos[...]
防災科学技術研究所
2016-11-21
[75]
논문
観測点配置に着目した震度観測の変遷と最大震度に関する研究
http://www.sharaku.n[...]
名古屋大学 地震工学・防災グループ 福和研究室
[76]
간행물
震度に関する検討会
https://www.data.jma[...]
気象庁
[77]
간행물
平成23年3月 地震・火山月報(防災編)
https://www.data.jma[...]
気象庁
[78]
웹사이트
平成28年4月 地震・火山月報(防災編)
https://www.data.jma[...]
気象庁
[79]
간행물
平成30年9月 地震・火山月報(防災編)
https://www.data.jma[...]
気象庁
[80]
웹사이트
平成30年9月 地震・火山月報(防災編)
https://www.data.jma[...]
気象庁
2019-10-02
[81]
웹사이트
令和6年1月 地震・火山月報(防災編)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4-10-31
[82]
웹사이트
計測震度の算出方法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3-09-02
[83]
간행물
気象庁震度階
http://konomi.nagaok[...]
国立天文台
[84]
논문
震度と震度階
https://doi.org/10.1[...]
地震 第1輯
1943-00-00
[85]
문서
気象庁
気象庁
[86]
논문
[報告]歴史地震の震度について
http://www.histeq.jp[...]
歴史地震
[87]
논문
震度は加速度ではない(震度の人体実験)
https://doi.org/10.2[...]
気象庁気象研究所報告
1972-00-00
[88]
논문
断層近傍まで適用可能な震度の距離減衰式の開発
http://kouzou.cc.kog[...]
日本建築学会
2006-06-00
[89]
웹사이트
提案する震度算定法に関するQ&A、Q9.
http://sakaiy.main.j[...]
境有紀のホームページ
[90]
웹사이트
現在の震度の問題点と代替案の提案
http://sakaiy.main.j[...]
境有紀のホームページ
[91]
웹사이트
地震情報について
https://www.data.jma[...]
気象庁
2014-10-25
[92]
웹사이트
震度情報や緊急地震速報で用いる区域の名称
https://www.data.jma[...]
気象庁
[93]
웹사이트
気象庁ホームページにおける気象情報の配色に関する設定指針
https://www.jma.go.j[...]
気象庁
2018-08-14
[94]
웹사이트
メディアのUDプロジェクト:色のユニヴァーサルデザインの取組み成果紹介
https://www.iaud.net[...]
一般財団法人 国際ユニヴァーサルデザイン協議会(IAUD)
2018-08-14
[95]
웹사이트
気象庁:地震情報
https://www.jma.go.j[...]
[96]
웹사이트
NHK NEWS WEB:地震情報
http://www3.nhk.or.j[...]
[97]
웹사이트
地震情報 {{!}} 日テレ 気象・防災サイト
https://bosai.news.n[...]
2024-01-03
[98]
웹사이트
地震情報
https://news.tv-asah[...]
2024-01-03
[99]
웹사이트
地震情報
https://newsdig.tbs.[...]
2024-01-03
[100]
웹사이트
青森で震度5強 津波の心配なし
https://txbiz.tv-tok[...]
2021-11-21
[101]
웹사이트
【地震】富山県内で震度5強 石川県能登地方を震源とする最大震度7の地震が発生 津波警報等発表中|FNNプライムオンライン
https://www.fnn.jp/a[...]
2024-01-03
[102]
뉴스
熊本大地震21分後にF-2発進 何も見えない戦闘機、災害時になぜ飛ぶ?
https://trafficnews.[...]
[103]
간행물
気象庁における情報通信
https://www.soumu.go[...]
気象庁、総務省 重要通信の高度化のあり方に関する研究会
2007-12-21
[104]
웹사이트
提案する震度算定法に関するQ&A,Q2.
http://sakaiy.main.j[...]
境有紀のホームページ
[105]
논문
建物被害率の予測を目的とした地震動の破壊力指標の提案
https://doi.org/10.3[...]
日本建築学会構造系論文集
2002-05-00
[106]
웹사이트
1995年兵庫県南部地震の神戸海洋気象台の強震記録について
http://sakaiy.main.j[...]
[107]
웹사이트
コラム、やばい雰囲気
https://www.kz.tsuku[...]
[108]
간행물
気象庁
気象庁
2009
[109]
웹사이트
気象庁震度階級関連解説表
https://www.jma.go.j[...]
気象庁
2011-04-15
[110]
웹사이트
最大震度は7?10?半数以上が誤解、震度階級に関する意識調査
http://econte.co.jp/[...]
2020-07-03
[111]
웹사이트
「サンデーモーニング」で謝罪 「震度8以上の地震」との発言めぐり(2016年4月24日掲載)
https://news.livedoo[...]
2020-07-04
[112]
PDF
震度の活用と震度階級の変遷等に関する参考資料
https://www.data.jma[...]
2009-03
[113]
웹사이트
兵庫県南部地震による建造物の被害と地形・地質および地盤条件
http://www.gsj.jp/Pu[...]
地質ニュース491号
2011-04-18
[114]
웹사이트
1923年関東地震の被害分布と強震動 その2.千葉県内の詳細震度分布
http://wwwsoc.nii.ac[...]
地球惑星科学関連学会2000 年合同大会
2011-04-18
[115]
뉴스
台湾、震度の段階を細分化へ 日本の階級を参考に
http://japan.cna.com[...]
フォーカス台湾
2019-04-09
[116]
웹사이트
35.何謂震度?(震度とは?)
http://scman.cwb.gov[...]
中央気象局
2013-10-26
[117]
웹사이트
研究速報 福岡県西方沖の地震の韓国を含めた震度分布 石川有三
http://wwwsoc.nii.ac[...]
日本地震学会
2011-04-15
[118]
웹인용
気象庁震度階級関連解説表
http://www.jma.go.jp[...]
일본 기상청
2018-09-07
[119]
보도자료
2001 지진연보
http://www.kma.go.kr[...]
대한민국 기상청
2018-09-07
[120]
웹사이트
震度観測点
https://www.data.jma[...]
気象庁
[121]
저널
歴史的視点から見た地震学と社会
https://hdl.handle.n[...]
2019-02-12
[122]
간행물
気象庁
気象庁
2009
[123]
간행물
気象庁
気象庁
2009
[124]
웹사이트
気象官署(特別地域気象観測所を含む)計測震度計, 地震観測点一覧
https://www.data.jma[...]
気象庁
[125]
간행물
気象庁
気象庁
2009
[126]
저널
福井地震50周年特集 震度の歴史と福井地震
http://www.zisin.jp/[...]
[127]
간행물
気象庁
気象庁
2009
[128]
간행물
気象庁
気象庁
2009
[129]
간행물
気象庁
気象庁
2009
[130]
PDF
震度の活用と震度階級の変遷等に関する参考資料
https://www.data.jma[...]
気象庁
[131]
저널
計測震度と旧気象庁震度および地震動強さの指標との関係
1999
[132]
뉴스
高層ビルの揺れ、震度の目安に 気象庁「解説表」見直し
朝日新聞
2008-09-01
[133]
웹사이트
震度に関する検討会 検討結果の概要
https://www.data.jma[...]
気象庁
2013-05-26
[134]
웹사이트
3月31日から「気象庁震度階級関連解説表」が新しくなります
https://www.jma.go.j[...]
気象庁
2013-05-26
[135]
웹사이트
「長周期地震動に関する情報のあり方報告書」について
https://www.data.jma[...]
気象庁
2013-05-26
[136]
웹사이트
長周期地震動に関する観測情報(試行)の気象庁HPへの掲載について
https://www.jma.go.j[...]
気象庁
2013-05-26
[137]
웹사이트
計測震度の算出方法
https://www.data.jma[...]
気象庁
[138]
웹사이트
強震観測について
https://www.data.jma[...]
気象庁
2013-05-26
[139]
웹사이트
地震災害の基礎知識 3 観測と地震予知
http://www.bousaihak[...]
消防防災博物館(消防科学総合センター)
2013-05-26
[140]
저널
強震観測の最新情報(2) 気象庁における強震波形観測・収録と提供
http://www.mmjp.or.j[...]
1998
[141]
간행물
震度に関する検討会報告書
https://www.data.jma[...]
気象庁・消防庁
2009-03
[142]
웹사이트
地震・津波
https://www.data.jma[...]
2014-03-18
[143]
뉴스
岩手県洋野町大野の震度データについて- 本年7月の岩手県沿岸北部の地震の最大震度を6強から6弱に修正 -
https://www.jma.go.j[...]
気象庁
2008-10-29
[144]
웹인용
第1部:地震の基礎知識, 1章:大きな地震と小さな地震
http://www.hinet.bos[...]
防災科学技術研究所
2016-11-21
[145]
간행물
第1章 計測震度と被害等との関係について, 震度に関する検討会, (参考III)震度観測点の数と震度の観測について
https://www.data.jma[...]
気象庁
[146]
간행물
平成23年3月 地震・火山月報(防災編)
https://www.data.jma[...]
気象庁
[147]
간행물
平成28年4月 地震・火山月報(防災編)
https://www.data.jma[...]
気象庁
[148]
간행물
平成30年9月 地震・火山月報(防災編)
https://www.data.jma[...]
気象庁
[149]
웹인용
平成30年9月 地震・火山月報(防災編)
https://www.data.jma[...]
気象庁
2019-10-02
[150]
웹사이트
計測震度の算出方法
[151]
간행물
気象庁震度階
http://konomi.nagaok[...]
国立天文台
1991
[152]
논문
震度と震度階
https://doi.org/10.1[...]
1943
[153]
간행물
気象庁
2009
[154]
논문
震度は加速度ではない(震度の人体実験)
https://doi.org/10.2[...]
1972
[155]
논문
断層近傍まで適用可能な震度の距離減衰式の開発
http://kouzou.cc.kog[...]
2006-06
[156]
웹사이트
提案する震度算定法に関するQ&A, Q9.
http://sakaiy.main.j[...]
[157]
웹사이트
現在の震度の問題点と代替案の提案
http://sakaiy.main.j[...]
[158]
웹사이트
地震情報について
https://www.data.jma[...]
2014-10-25
[159]
웹인용
気象庁ホームページにおける気象情報の配色に関する設定指針
https://www.jma.go.j[...]
気象庁
2018-08-14
[160]
웹인용
メディアのUDプロジェクト:色のユニヴァーサルデザインの取組み成果紹介
https://www.iaud.net[...]
一般財団法人 国際ユニヴァーサルデザイン協議会 (IAUD)
2018-08-14
[161]
웹사이트
気象庁:地震情報
https://www.jma.go.j[...]
[162]
웹사이트
NHK NEWS WEB:地震情報
http://www3.nhk.or.j[...]
[163]
웹사이트
日テレ防災情報 Web:地震情報
http://www.news24.jp[...]
[164]
웹사이트
テレビ朝日|テレ朝天気
https://www.tv-asahi[...]
[165]
웹인용
TBS NEWS:地震情報
http://news.tbs.co.j[...]
2022-08-27
[166]
웹인용
青森で震度5強 津波の心配なし
https://txbiz.tv-tok[...]
2021-11-21
[167]
웹사이트
気象・災害一覧
http://www.fnn-news.[...]
[168]
뉴스
熊本大地震21分後にF-2発進 何も見えない戦闘機、災害時になぜ飛ぶ?
https://trafficnews.[...]
[169]
간행물
気象庁における情報通信
https://www.soumu.go[...]
気象庁、総務省 重要通信の高度化のあり方に関する研究会
2007-12-21
[170]
웹사이트
提案する震度算定法に関するQ&A,Q2.
http://sakaiy.main.j[...]
[171]
논문
建物被害率の予測を目的とした地震動の破壊力指標の提案
https://doi.org/10.3[...]
2002-05
[172]
웹사이트
1995年兵庫県南部地震の神戸海洋気象台の強震記録について
http://sakaiy.main.j[...]
[173]
웹사이트
コラム, やばい雰囲気
https://www.kz.tsuku[...]
[174]
간행물
気象庁
2009
[175]
웹인용
気象庁震度階級関連解説表
https://www.jma.go.j[...]
気象庁
2011-04-15
[176]
웹인용
最大震度は7?10?半数以上が誤解、震度階級に関する意識調査
http://econte.co.jp/[...]
2020-07-03
[177]
웹인용
「サンデーモーニング」で謝罪 「震度8以上の地震」との発言めぐり (2016年4月24日掲載)
https://news.livedoo[...]
2020-07-04
[178]
간행물
震度の活用と震度階級の変遷等に関する参考資料
https://www.data.jma[...]
気象庁
2009-03
[179]
웹인용
兵庫県南部地震による建造物の被害と地形・地質および地盤条件
http://www.gsj.jp/Pu[...]
地質ニュース491号
2011-04-18
[180]
웹인용
1923年関東地震の被害分布と強震動 その2.千葉県内の詳細震度分布
http://wwwsoc.nii.ac[...]
地球惑星科学関連学会2000 年合同大会
2011-04-18
[181]
웹인용
平成23年(2011年)東北地方太平洋沖地震(東日本大震災)調査研究(速報) 第4章 地震および地震動、津波
http://www.kenken.go[...]
국토기술정책종합연구소, 건축연구소
2017-06-22
[182]
웹인용
資料6(東北地方太平洋沖地震での長周期地震動の影響および室内被害についてのメモ)
http://www.bousai.go[...]
翠川三郎、中央防災会議 東北地方太平洋沖地震を教訓とした地震・津波対策に関する専門調査会
2017-06-22
[183]
웹사이트
長周期地震動階級1以上を観測した地震
https://www.data.jma[...]
気象庁
[184]
웹인용
震度Intensity
https://twgeoref.moe[...]
經濟部中央地質調查所
2019-04-21
[185]
웹인용
增修中央氣象局震度分級-新增震度七級劇震
http://www.rel.org.t[...]
중화미국 중앙기상국
2019-04-21
[186]
보도자료
震度新分級 應變更實用
https://www.cwb.gov.[...]
交通部中央氣象局
2019-12-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