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도7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진도7은 일본 기상청 진도 계급 중 가장 높은 단계로, 1949년 신설되었으며, 가옥 붕괴율과 지반의 변화를 기준으로 정의되었다. 1995년 효고현 남부 지진(한신·아와지 대지진)에서 처음 공식 적용되었고, 이후 계측진도에 따라 판정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계측진도 6.5 이상을 진도7로 정의하며, 2016년 구마모토 지진에서 최대 계측진도 6.7을 기록했다. 일본 기상청은 1995년 이후 7번의 진도7을 관측했으며, 역사 지진에서도 진도7로 추정되는 사례가 다수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진도 계급 - 수정 메르칼리 진도 계급
수정 메르칼리 진도 계급은 로마 숫자 I부터 XII까지 12단계로 지진의 강도를 나타내는 척도로, 사람의 감각이나 구조물 피해 정도를 기준으로 지진의 세기를 나타내며, 여러 차례 수정을 거쳐 현재 미국 지질조사국 등에서 사용되고 있고 대한민국 기상청도 자체적인 수정 메르칼리 진도 계급을 사용하고 있다. - 진도 계급 - 진도 (지진)
진도(지진)는 지진으로 인해 특정 지점에서 느껴지는 흔들림의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로, 지진 자체의 에너지 규모인 규모와 달리 진앙 거리, 진원 깊이, 지반 특성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지며, 각 국가 및 지역에서는 일본 기상청 진도 계급, 수정 메르칼리 진도 계급 등 다양한 진도 계급을 사용한다. - 좋은 글 - 쇼와 천황
쇼와 천황은 메이지 천황의 손자로 태어나 124대 일본 천황으로 즉위하여 사망할 때까지 재위하며 만주사변, 중일전쟁, 태평양 전쟁 등 침략 전쟁에 관여했다는 논란이 있으며, 전후에는 상징적인 천황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했고 그의 전쟁 책임 문제는 논쟁의 대상이다. - 좋은 글 - 히바 칸국
히바 칸국은 16세기 초에 건국되어 1920년까지 존속한 중앙아시아의 우즈베크 칸국으로, 초기 혼란과 수도 이전, 러시아 제국의 보호국 시기를 거쳐 소비에트 혁명으로 붕괴되었으며, 농업 기반 경제와 독특한 문화를 발전시켰다.
진도7 | |
---|---|
개요 | |
진도 | 7 |
계급 | 기상청 진도 계급 중 가장 높은 계급 |
체감 | 몸을 가누기가 불가능 |
시설물 피해 | |
정도 | 대부분의 목조 가옥이 기울어지거나 파손됨. 튼튼한 철근 콘크리트 건물이라도 파손될 수 있음 |
상황 | 보강되지 않은 블록 담은 붕괴되는 것이 많음 넓은 지역에서 지반 균열, 액상화 현상, 산사태 등이 발생할 수 있음 |
생활 영향 | |
정도 | 대피하지 않고는 아무것도 할 수 없음 |
일본 기상청 진도 계급 | |
최대 가속도 | 400–800 gal (경우에 따라 초과) |
측정 진도 | 6.5 이상 |
설명 | |
일본어 | 激震 (격진, Gekishin) |
영어 | Violent shake |
2. 역사
1948년 후쿠이 지진에서 기존 최대 진도6으로는 피해 규모를 적절하게 표현할 수 없다는 의견이 나오면서, 1949년 1월 '기상청 진도 계급' 개정을 통해 '진도7'이 신설되었다.[133] 당시 진도7은 "격진. 가옥 붕괴가 30% 이상이며 산이 무너지고 땅이 갈라진다. 단층이 눈에 띄게 일어난다."라고 정의되었다.[133]
하지만 이 정의는 '붕괴'나 '파괴'의 정의가 명확하지 않고, 일본에서 주로 사용하는 목조 주택의 내진성이 시간에 따라 변하면서 진도를 단순 비교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133]
1995년 효고현 남부 지진(한신·아와지 대진재)에서 진도7이 처음으로 공식 적용되었다.[134] 당시에는 지진계에서 진도7급 진동을 확인했어도 기상청 관계자가 현장에 파견되어 주변 피해 상황을 조사하기 전까지는 진도7을 발표하지 않았다.[139][140]
1995년 효고현 남부 지진 이후, 현지 조사 후 진도 7을 적용하는 것은 재해 대응을 지연시킨다는 비판이 강해지면서,[7] 1996년 이후 모든 진도가 계측 진도에 의한 판정으로 변경되었다. 또한, 피해가 컸던 지역에 계측 진도계가 설치되지 않아 진도를 알 수 없었다는 문제도 있었기 때문에,[13] 진도 관측점을 대폭 늘려 진도 관측점 데이터를 기상청의 정보 발표에 활용하게 되었다.[10]
2004년 니가타현 주에쓰 지진에서는 지진 직후 정전으로 속보 단계에서 정보가 들어오지 않았지만, 후에 회수된 지진계에 의해 처음으로 진도 7이 관측되었고, 2011년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 (동일본 대지진)이나 2016년 구마모토 지진에서는 진도 속보 시점에서 진도 7이 발표되었다.
2. 1. 진도7 (격진) 도입
진도7은 1949년 1월 '기상청 진도 계급' 개정을 통해 새로 만들어진 계급이다. 1948년 후쿠이 지진에서 기존 최대 진도6으로는 피해 규모를 적절하게 표현할 수 없다는 의견이 나오면서 신설되었다.[133] 당시 진도7은 "격진. 가옥 붕괴가 30% 이상이며 산이 무너지고 땅이 갈라진다. 단층이 눈에 띄게 일어난다."라고 정의되었다.[133]하지만 이 정의는 '붕괴'나 '파괴'의 정의가 명확하지 않고, 일본에서 주로 사용하는 목조 주택의 내진성이 시간에 따라 변하면서 진도를 단순 비교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133]


1995년 효고현 남부 지진(한신·아와지 대진재)에서 진도7이 처음으로 공식 적용되었다.[134] 처음 일본 기상청 '지진 정보'에서는 진도6으로 발표되었으나,[135] 당시 규정에 따라 현지 조사를 한 결과 아와지섬 북부에서 한신 일부 지역에서 '주택 붕괴가 30% 이상'이라는 기준을 넘어 진도7이 적용되었다.[136] 진도7이 처음 적용된 것은 지진 발생 3일 뒤인 1월 20일이며,[137] 상세 조사를 통해 진도7 지역 분포도를 발표한 것은 한 달 뒤인 2월 7일이었다.[138] 당시에는 지진계에서 진도7급 진동을 확인했어도 기상청 관계자가 현장에 파견되어 주변 피해 상황을 조사하기 전까지는 진도7을 발표하지 않았다.[139][140]
2. 2. 계측진도7 도입
1995년 효고현 남부 지진 당시 현지 조사를 실시한 후에 진도 7을 적용하는 것은 재해 대응을 지연시킨다는 비판이 강했기 때문에,[7] 1996년 이후 모든 진도가 계측 진도에 의한 판정으로 변경되었다. 효고현 남부 지진 이후 현지 조사에 의한 진도 7의 범위에서 관측된 강진 가속도 파형으로부터 계측 진도를 산출하면 6.5 전후가 되며, 계측 진도 6.5 이상을 새롭게 진도 7로 정의하면, 계측 진도를 반올림한 값이 진도라는 관계를 유지할 수 있게 되었다.[10]또한, 피해가 막심했던 아시야시, 니시노미야시, 이타미시, 다카라즈카시 등의 한신 간 도시에는 계측 진도계가 설치되지 않아 진도를 알 수 없었다는 문제도 있었기 때문에,[13] 기존 기상 관서, 쓰나미·지진 조기 감지망의 관측점 등으로 한정되어 있던 기상청의 발표 지점으로서의 진도 관측점을, 기상청 약 600개소, 방재과학기술연구소 약 800개소, 지방 공공 단체 약 2,800개소, 총 약 4,200개소로 대폭 증강하여 진도 관측점 데이터를 기상청의 정보 발표에 활용하게 되었다.[10]
2004년 니가타현 주에쓰 지진에서는 지진 직후의 정전으로 속보 단계에서 정보가 들어오지 않았지만, 후에 회수된 지진계에 의해 처음으로 진도 7이 관측되었고, 2011년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 (동일본 대지진)이나 2016년 구마모토 지진에서는 진도 속보 시점에서 진도 7이 발표되었다. 현재, 계측 진도의 최대는 2016년 4월 16일에 발생한 구마모토 지진의 본진 당시 구마모토현마시키정에서 관측된 계측 진도 6.7 (6.78)이다.[14]
3. 현대의 진도7
현재 일본 기상청 진도 계급에서 진도7은 계측진도 6.5 이상으로 정의된다.[141] 주기 1초에서 600gal 이상, 주기 0.1초에서 2700gal 이상의 가속도가 지속적으로 나타나야 한다.[146]
1995년 효고현 남부 지진에서 진도7을 배정하는데 현지 조사를 거쳐야 해서 시간이 매우 오래 걸려 재해 대응이 지연되었다는 비판이 나왔다.[136] 이에 1996년부터 모든 진도는 계측진도에 따라 판정되는 것으로 바뀌었다. 효고현 남부 지진 당시 현지 조사로 진도7을 받은 지역의 지진 가속도 파형을 분석한 결과, 이 지역의 계측진도는 약 6.5였다. 따라서 계측진도 6.5 이상을 진도7로 재정의하여 해당 지역은 진도7로 계속 유지되었다.[139]
당시 지진 피해가 가장 컸던 효고현 아시야시, 니시노미야시, 이타미시, 다카라즈카시 등 한신 지역 도시는 계측진도계가 설치되지 않아 추정 진도조차 알 수 없었다.[142]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상청 600개소, 일본 방재과학기술연구소 800개소, 지방자치단체 2,800개소 등 총 4,200개소에 지진계를 대폭 늘려 지진정보에 반영하기로 하였다.[139]
이후 2004년 니가타현 주에쓰 지진에서 처음으로 진도7이 계측되었고, 2011년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동일본 대지진)과 2016년 구마모토 지진에서는 진도 속보 발표 시점에서 진도7을 관측하였다.[143] 2024년 기준 계측진도가 가장 높았던 때는 2016년 4월 16일에 일어난 구마모토 지진 본진 당시 구마모토현 마시키정에서 관측한 계측진도 6.7(6.78)이다.[144][145]
1996년 진도 계급 개정 당시, 계측진도 7.0 이상을 진도8로 하는 방안도 검토되었으나, 방재 대응상의 실효성과 관측 사례 부족 등을 이유로 보류되었다.[139]
3. 1. 진도7의 영향 (일본 기상청 해설)
진도7은 낙하물이나 흔들림에 완전히 떠밀려 버려 자기 생각대로 몸을 움직일 수 없다. 대부분의 가구가 흔들림에 따라 이동하고, TV 등 가전제품 중에서도 수 kg 정도의 무거운 물건이 튀어나갈 수 있다.[3]실외에서는 비석이 무게 수십 kg에 해당하는 상앗돌 부분이 넘어진다. 가는 나무나 고목들이 뿌리부터 부러지는 경우가 있다. 대부분의 건물에서 외벽 타일이 떨어지며 유리창이 깨져 지상으로 떨어진다.[3]
내진성이 높은 주택이나 건축물도 기울어지거나 크게 파괴되는 경우가 발생한다.[3]
전기, 가스, 수도 등의 주요 인프라 공급이 중단된다. 많은 도로의 포장이 벗겨져 통행이 어려워진다. 철도나 고속도로 같은 광역 교통 시설이 파괴되어 도시 기능이 소멸하고 주변 지역과 고립된다.[3]
지형적으로는 땅이 크게 갈라진다. 산사태나 심하게는 산악 붕괴가 발생하며, 지표가 융기, 침강하여 지형이 변형된다.[3]
4. 가옥 붕괴율과 진도
1948년 후쿠이 지진에서 피해 규모가 당시 기준 진도6으로는 매우 커 상위 계급 신설 요구가 나오면서 진도7이 신설되었다. 당시 진도7은 가옥 붕괴가 30% 이상이며 산이 무너지고 땅이 갈라지며, 단층이 눈에 띄게 일어나는 '격진'으로 정의되었다.[133] 하지만 이 정의는 '붕괴'나 '파괴'의 정의가 애매모호하고 일본에서 주로 이용하는 목조 주택의 내진 정도가 시간에 따라 변하면서 이에 따라 진도를 단순 비교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133]
1995년 효고현 남부 지진(한신 아와지 대지진)은 진도7이 처음으로 적용된 지진이었다.[134] 처음에는 진도6으로 발표되었으나,[135] 현지 조사 결과 아와지섬 북부에서 한신 일부에 이르는 지역에 '주택 붕괴가 30% 이상'에 이른다는 기준을 넘어 진도7이 적용되었다.[136]
1923년 간토 대지진, 1948년 후쿠이 지진, 1952년 도카치 해역 지진에서 일어난 묘비 붕괴 현상과 목조 건축물 피해율을 검토한 결과, 이들 3가지 지진은 평균적으로 보면 같은 진도로 목조 건축물은 상당한 전체 붕괴율을 발생시켰음이 판명되었다.[147] 또한, 동일한 진도에서의 가옥 전체 붕괴율은 1891년 미노-오와리 지진에서 1948년 후쿠이 지진까지 크게 변하지 않았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133][147]
1948년 후쿠이 지진의 가옥 붕괴율 30% 이상의 영역은 1995년 효고현 남부 지진의 가옥 붕괴율 10% 이상의 영역에 해당한다는 견적이 있다.[149][150]
2011년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 당시 진도7을 관측한 미야기현 구리하라시 쓰키다테의 최대 가속도는 2,700 gal로, 1995년 효고현 남부 지진 당시 효고현 고베시 후키아이에서 관측된 가속도인 802 gal보다 컸음에도 불구하고 주변의 가옥 붕괴율은 쓰키다테는 0%인데 반해 효고현 남부 지진의 후키아이는 35.0%로 높았다. 이는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에서 가속도가 큰 성분이 주기 0.5초 미만의 짧은 주기 성분이었던 것에 반해, 효고현 남부 지진에서는 가옥에 큰 피해를 주기 쉬운 주기 1-2초의 가속도 응답 스펙트럼이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보다 약 4배나 높았기 때문으로 추정된다.[151]
5. 진도7 관측 지진 목록
일본 기상청은 1995년 효고현 남부 지진 이후 총 7번 진도7을 관측하였다. 이는 지진계 확충으로 진도7 관측 횟수가 늘어난 것이며, 강진 발생 빈도가 증가한 것은 아니다.[136][152] 1996년 이후 계측을 통해 진도7을 관측한 곳은 전부 기상청 관측점 이외 다른 지점이었다.[153]
발생일 | 지진 명칭 | 진앙 | 비고 | |||||
---|---|---|---|---|---|---|---|---|
1995년 1월 17일 | 효고현 남부 지진 (한신·아와지 대진재) | 오사카만 효고현 기타아와지 (현 아와지시) | Mw 6.9 (Mj 7.3) | 16 km | 고베시 등 한신 지역 | 6.4 (JR 다카토리)[26] 6.49[27] ~ 6.6[28] (후키아이) | ||
2004년 10월 23일 | 니가타현 주에쓰 지진 | 니가타현 주에쓰 지방 | Mw 6.6 (Mj 6.8) | 13 km | 니가타현 가와구치정 (현 나가오카시) | 6.5 (가와구치정 가와구치)[31] | 6.7 (K-NET 오지야)[32] | |
2011년 3월 11일 |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 (동일본 대지진) | 산리쿠 해역 | Mw 9.0 (Mj 8.4) | 24 km | 미야기현 구리하라시 | 6.6 (구리하라시 쓰키다테) [K-NET 쓰키다테][34] | 6.5 (KiK-net 하가)[35] | |
2016년 4월 14일 | 구마모토 지진 | 구마모토현 구마모토 지방 | Mw 6.2 (Mj 6.5) | 11 km | 구마모토현 마시키마치 | 6.6 (마시키마치 미야조노)[36] | rowspan="2" | | |
2016년 4월 16일 | Mw 7.0 (Mj 7.3) | 12 km | 구마모토현 마시키마치, 니시하라촌 | 6.7 (마시키마치 미야조노) 6.6 (니시하라촌 고모리)[14] | ||||
2018년 9월 6일 | 홋카이도 이부리 동부 지진 | 이부리 지방 중동부 | Mw 6.6 (Mj 6.7) | 37 km | 홋카이도 아쓰마정 | 6.5 (아쓰마정 가누마)[39] | 6.7 (KiK-net 오이와케)[40] | |
2024년 1월 1일 | 노토반도 지진 | 이시카와현 노토 지방 | Mw 7.5[41] (Mj 7.6) | 16 km | 이시카와현 와지마시, 시카정 | 6.5 (와지마시 몬젠정 하시다)[42] 6.6 (시카정 가노) [K-NET 도미라이][43] | 6.5 (K-NET 아나미즈)[44] |
6. 진도7로 추정되는 지진
진도7(VII)은 1949년 1월 '기상청 진도 계급' 개정을 통해 새로 만들어진 계급이다. 이는 1948년 후쿠이 지진을 겪고, 지진으로 인한 피해를 당시 최대 진도 6(VI)으로는 적절하게 표현할 수 없다는 의견이 나왔기 때문이다. 진도7은 "가옥 붕괴가 30% 이상에 달하며, 산사태, 땅 갈라짐, 단층 등을 발생시킨다."라고 정의되었다.
그러나 여기서 '붕괴'와 '전파'를 동의어로 사용할 경우, '전파'가 어떤 상태인지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또한 목조 가옥의 내진성은 시대와 함께 변화한다는 문제가 있다.[6]
1995년 효고현 남부 지진(한신·아와지 대지진)으로 진도7이 처음 적용되었다. 기상청의 '지진 정보' 단계에서는 진도 6이었지만 당시 규정에 따라 현지 조사가 이루어져 아와지섬 북부에서 한신 간의 일부 지역에서 '가옥 붕괴가 30% 이상에 달하는' 것을 기준으로 진도7이 적용되었다(엄밀히는 '관측'이 아닌 '적용'이라고 불렀다).[7] 진도7이 처음 적용된 것은 지진 3일 후인 1월 20일이었으며,[8] 더욱 상세한 현지 조사를 통한 진도7 분포의 인정은 다음 달(조사는 2월 6일, 발표는 2월 7일)까지 걸렸다.[9] 당시에는 설령 진도7을 진도계로 계측하더라도 기상청 직원이 주변의 피해 상황을 조사한 후에 정말 진도7이었는지 확인하기 전까지는 발표하지 않는 시스템이었다.[10][11]
이후, 진도7에 해당하는 흔들림이 있었다고 추정되는 지진은 아래와 같다.
- '''근대적 지진 관측 이전 역사지진'''은 #근대적 지진 관측 이전 역사지진 참고
- '''진도 계급 도입 후(진도 7 도입 전)'''은 #근대적 지진 관측 이후 근현대지진 참고
- '''계측 진도 7 도입 후'''는 #계측진도 진도7 도입 이후 지진 참고
6. 1. 근대적 지진 관측 이전 역사지진
이 문단에서는 진도7에 해당되는 흔들림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는 지진에 대해 설명한다.역사지진에서는 우사미(宇佐美, 1994) 교수가 에도 시대에 사용한다는 전제 하에 만든 진도 판정표 시안을 이용한다.[172] 일반적인 주택 피해를 기준으로 하여 대저택이나 대상점이 피해를 입은 경우 한 계급 더 높게 평가한다. 또한 1980년 도쿄도가 작성한 '지진 진도 단계별 해석표'[173]에 나온 '노후 주택'을 에도 시대 서민의 주택과 같다고 생각하고 평가하였다.[172][174][175] 고대 기록에서 붕괴된 주택 수가 확실하게 표기되어 있을 경우 피해율('전체 붕괴된 주택 수'+0.5×'반파된 주택 수')을 총 주택 수로 나눈 것이 70% 이상일 경우 진도7로 하고, 피해율을 알 수 없거나 기록이 '모두 무너졌다', '남아있는 주택이 없었다', '완전히 무너졌다' 등 애매모호하게 적힌 경우 진도7, '과반수가 무너졌다'로 적힌 경우 진도6-7 정도로 하였다.[172][174][175]
일본 내각부가 정한 '재해피해인정기준'에서는 기둥이 몇 차례 이상(1/20) 기울어진 경우 겉으로 보기엔 지붕이 무사해 보여도 거주가 불가능해 철거하고 재시공해야 하므로 전체 붕괴(全壊)로 처리하나, 에도 시대 기록에서 주택 붕괴(潰家)라 함은 지붕이 무너져 땅에 완전히 떨어진 상태(伏家)를 의미하므로 현대의 완전 붕괴보다 피해가 더 크다.[176] 일본의 전통적인 재래식 공법으로 건설된 목재 주택이 30% 이상 파괴되면 진도7로 책정되나 쓰지(都司, 2012) 등은 에도 시대의 주택은 내진 설계가 안 되어 있으므로 적어도 붕괴율이 20-80% 미만을 진도6강, 붕괴율 80% 이상을 진도7이라 판정하고 있다.[177] 쓰지(都司, 2011)에서는 붕괴율 20-70% 미만을 진도6강, 붕괴율 70% 이상을 진도7로 판정하고 있다.[178]
무라마쓰(村松, 2001)는 가옥 파괴율 30% 이상인 진도7 영역의 진도'선' 면적과 진도 사이의 관계를 분석해 log''S''7=1.25''M''j-6.88±0.24라는 실험식을 얻어 역사지진의 대략적인 ''M''j 규모를 추정하고 있다.[179] 또한 진도7의 영역은 진원 단층 부근에 있어 진도7의 분포를 통해 역사지진의 진원 단층확인 분석에 도움이 된다고 주장하고 있다.[179]
1872년 이후 날짜는 전부 양력으로 작성한다.

- 메이오 지진 (1498년 9월 20일): 아사바 저지대 부근에서 진도7을 관측했을 가능성이 있다.
- 덴쇼 지진 (1586년 1월 18일): 오가키성, 나가시마섬에서 진도7을 관측했을 것으로 추정된다.[180] 노비평야의 액상화 흔적을 볼 때 진도7급의 흔들림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181]
- 게이초 후시미 지진 (1596년 9월 5일): 후시미성, 하치만 등에서 진도7을 관측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효고의 항구 마을은 집 500여 채가 전부 붕괴되었다는 기록을 통해 현재의 고베 인근 지역도 진도7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 오다와라 지진 (1633년 3월 1일): 오다와라번 지역이 진도7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 간분오미-와카사 지진 (1662년 6월 16일): 비와호 서부 대부분 지역이 진도7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 겐로쿠 지진 (1703년 12월 31일): 오다와라 번 지역이 진도7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182]
- 호에이 노시로 지진 (1704년 5월 27일): 노시로, 하치모리 지역이 진도7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 호에이 지진 (1707년 10월 28일): 후쿠로이슈쿠, 후세 지역은 견고하게 세워진 집도 전부 다 무너졌으며, 토양 액상화 현상으로 물이 분출한 고치성, 나카무라 지역은 진도7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 호에이 후지노미야 지진 (1707년 10월 29일): 무라야마 센겐 신사, 후지산 혼구 센겐 신사의 신전이 완전 붕괴되었으며 인근 가옥도 붕괴된 점을 토대로 후지노미야시 지역이 진도7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 시나노 오타리 지진 (1714년 4월 28일): 코타니 평야 지역에서 대거 주택이 붕괴되었고 진도7급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 쓰가루 지진 (1766년 3월 8일): 아부라카와 지역이 진도7급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 기사카타 지진 (1804년 7월 10일): 기사카타 지역이 진도7급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 우고 지진 (1810년 9월 25일): 와키모토 지역이 진도7급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 산조 지진 (1828년 12월 18일): 산조 지역이 진도7급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 젠코지 지진 (1847년 5월 8일): 젠코지 신사가 완전히 붕괴하였으며 인근 지역에 진도7급의 지진동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 이가우에노 지진 (1854년 7월 9일): 기즈 지역이 진도7급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 안세이 도카이 지진 (1854년 12월 23일): 미시마슈쿠-간바라슈쿠 등 스루가만 동북 연안 지역 서쪽 슨푸 등에서 진도7급의 진동을 느꼈다는 기록이 있다.
- 안세이 난카이 지진 (1854년 12월 24일): 위의 도카이 지진과 연동하여 일어난 지진으로 신구 등의 지역에서 진도7급의 진동을 느꼈다는 기록이 있다.
- 도토미 지진 (1855년 11월 7일): 후쿠로이 지역이 진도7급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 안세이 에도 지진 (1855년 11월 11일): 혼조 등의 에도 일부 지역은 가옥 붕괴율이 94%에 달하는 등 진도7급의 극심한 재해를 입었다.
- 히에쓰 지진 (1858년 4월 9일): 아토쓰가와 단층 바로 위에 있던 지역은 가옥 붕괴율이 100%에 달했다.
- 하마다 지진 (1872년 3월 14일): 하마다 지역이 진도7급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6. 2. 근대적 지진 관측 이후 근현대지진
1872년 이후 날짜는 모두 양력으로 작성한다.일본 내각부가 정한 '재해피해인정기준'에서는 기둥이 일정 각도(1/20) 이상 기울어진 경우 겉보기에는 지붕이 멀쩡해 보여도 거주가 불가능하여 철거 후 재시공해야 하므로 전체 붕괴(全壊)로 처리한다. 하지만 에도 시대 기록에서 주택 붕괴(潰家)는 지붕이 무너져 땅에 완전히 떨어진 상태(伏家)를 의미하므로 현대의 완전 붕괴보다 피해가 더 크다.[176] 일본의 전통적인 재래식 공법으로 건설된 목조 주택이 30% 이상 파괴되면 진도7로 책정되나, 쓰지(都司, 2012) 등은 에도 시대의 주택은 내진 설계가 되어 있지 않으므로 붕괴율 20~80% 미만을 진도6강, 80% 이상을 진도7로 판정하고 있다.[177] 쓰지(都司, 2011)는 붕괴율 20~70% 미만을 진도6강, 70% 이상을 진도7로 판정하고 있다.[178]
무라마쓰(村松, 2001)는 가옥 파괴율 30% 이상인 진도7 영역의 면적과 진도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여 log''S''7=1.25''M''j-6.88±0.24라는 실험식을 얻어 역사지진의 대략적인 ''M''j 규모를 추정하고 있다.[179] 또한 진도7의 영역은 진원 단층 부근에 있어 진도7의 분포를 통해 역사지진의 진원 단층 확인 분석에 도움이 된다고 주장하고 있다.[179]
근현대에 일어난 지진 중에서도 진도7이 도입되지 않았던 시절 일본 기상대(현재의 일본 기상청)가 최대 진도 6 이하로 측정했으나 피해 상황이 진도7급으로 추정되는 지진이나, 진도7 도입 이후 지진계 관측 지점에서는 진도6강 이하이나 일부 지역에서 진도7급의 흔들림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는 지진도 아래에 나열한다.

- 노비 지진 (1891년 10월 28일, Mw8.0): 직하형지진 중 가장 큰 규모인 Mw8.0을 기록한 지진으로 당시 4개 계급 '미-약-강-열'진 중 가장 높은 열진으로 책정되었으나 사베정, 오타시마무라촌, 시가와정에서는 '격렬' 지진이라 표기하였다.[183] 미노-오와리 지역에 진도7을 관측한 것으로 추정되며,[184] 네오다니 단층 위에 위치한 모토스군, 기소 삼강 합류점에서는 주택이 100% 파괴된 곳도 있었다.[185]
- 쇼나이 지진 (1894년 10월 22일, Mw7.0): 히라타촌을 중심으로 쇼나이 평야에 진도7로 추정되는 지역이 분포한 것으로 보인다.[186]
- 리쿠 지진 (1896년 8월 31일, Mw7.2): 일부 지역에 진도7에 해당하는 흔들림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187]
- 아키타 센보쿠 지진 (1914년 3월 15일, Mw7.1): 코와쿠비촌에서 진도7을 느낀 것으로 추정된다.[188]
- 간토 대지진 (1923년 9월 1일, Mw7.9): 가나가와현에서 지바현 보소반도 충적 지대를 중심으로 진도7급의 흔들림을 느꼈으며,[189] 가나가와현 및 보소반도 서부 일부 지역은 주택 파괴 비율이 70%를 넘은 구역이 많았다.[190]
- 기타탄고 지진 (1927년 3월 7일, Mw7.3): 미네야마정과 노다가와정에서는 주택 파괴 비율이 90%를 넘겼으며 단층대 인근 지역은 진도7급의 진동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185][133]
- 기타이즈 지진 (1930년 11월 26일, Mw7.3): 진원역 단층대 인근 10km 이내 지역은 진도7급의 진동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133]
- 오가 지진 (1939년 5월 1일, Mw6.6): 오가반도 중앙부는 진도7급의 진동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191]
- 돗토리 지진 (1943년 9월 10일, Mw7.2): 돗토리 평야 중심부의 주택 파괴율이 30%를 넘겼다.[133]
- 쇼와 도난카이 지진 (1944년 12월 17일, Mw7.9): 후쿠치촌, 후쿠로이시를 중심으로 진도7급의 진동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192]
- 미카와 지진 (1945년 1월 13일, Mw6.8): 하즈군의 정촌(현재의 니시오시)에 진도7급의 진동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193]
- 후쿠이 지진 (1948년 6월 28일, Mw7.1): 후쿠이의 지진 피해가 그동안의 지진에 비해 월등히 컸던 것이 진도7의 도입 배경이 되었다.[194] 후쿠이평야를 중심으로 주택 파괴율 30% 이상 지역이 광범위했으며, 진원 단층 인근 지역은 주택 파괴율이 80%에 달했다.[133] 후쿠이평야 북부의 정촌에서는 주택 파괴율이 98~100%를 기록했다.[195]
이외에도 1925년 기타타지마 지진, 1941년 나가노 지진에서 주택 파괴율 30% 이상인 지역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179]
- 도카치 해역 지진 (1952년 3월 4일, Mw8.2): 중앙기상대 '지진조사' 원부에 따르면 오쓰 위탁기상관측소에서는 '파괴된 주택이 많다'며 진도7로 보고했으나 이후 진도5로 정정하여 발표하였다.[196]
이외에도 1949년 이마이치 지진, 1968년 에비노 지진, 1975년 오이타현 중부 지진에서도 주택 30% 이상이 파괴되어 진도7 진도선으로 둘러싸인 지역이 일부 있었다.[179]
6. 3. 계측진도 진도7 도입 이후 지진
2000년 10월 6일 돗토리현 서부 지진(M7.3) 발생. 방재과학기술연구소 KiK-Net 히노 지진관측계에서 계측진도 6.6 관측.[197]2005년 3월 20일 후쿠오카현 서쪽 해역 지진(Mj7.0) 발생. 도쿄대학지진연구소 미야케 히로에라 연구팀은 여진 관측 기록을 바탕으로 본진의 지진 진동 시뮬레이션 결과, 일부 지역에서 진도7(계측진도 6.5)의 진동이 있었다고 발표.[198][199]
2007년 3월 25일 노토반도 지진(M6.9) 발생. 주택 완전 붕괴가 많았으며, 일부 지역에서 진도7급 진동 추정.[200]
2007년 7월 16일 니가타현 주에쓰 해역 지진(M6.8) 발생. 가시와자키 가리와 원자력 발전소 내 지진계에서 진도7 상당(계측진도 6.5) 진동 관측.[201]
2008년 6월 14일 이와테·미야기 내륙지진(M7.2) 발생. 이와테현 오슈시 이시부치 댐에서 진도7급 흔들림 관측.[202]
2011년 3월 12일 나가노현 북부 지진(M6.7) 발생. 일본 기상청 추정진도 분포도에서 나가노현-니가타현 경계 지역에 진도7급 흔들림 추정.[203]
2011년 4월 7일 미야기현 해역 지진(M7.2) 발생. 일본 기상청 추정진도 분포도에서 후쿠시마현 이와키시 진도7급 흔들림 추정.
2011년 4월 11일 후쿠시마현 하마도리 지진(M7.0) 발생. 일본 기상청 추정진도 분포도에서 후쿠시마현 이와키시 진도7급 흔들림 추정.[204]
2011년 4월 12일 후쿠시마현 나카도리 지진(M6.4) 발생. 일본 기상청 추정진도 분포도에서 후쿠시마현 이와키시 진도7급 흔들림 추정.[205]
2014년 11월 22일 나가노현 가미시로 단층 지진(M6.7) 발생. 나가노현 일부 지역 진도7급 흔들림 추정.[206]
2019년 6월 18일 야마가타현 해역 지진(M6.7) 발생. 야마가타현 쓰루오카시 고이아가와 지구 묘비 전부 쓰러짐. 진도7급 흔들림 추정.[207]
2021년 2월 13일 후쿠시마현 해역 지진(M7.3) 발생. 방재과학기술연구소 크라이시스 리스폰스 사이트에서 미야기현 와타리군 야마모토정 진도 7 추정 영역 존재.[208]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 여진.
2022년 3월 16일 후쿠시마현 해역 지진(M7.4) 발생. 방재과학기술연구소 크라이시스 리스폰스 사이트에서 후쿠시마현 구니미정, 고오리정 진도 7 추정 영역 존재.[209]
2023년 5월 5일 오쿠노토 지진(M6.5) 발생. 방재과학기술연구소 추정진도분포지도에서 이시카와현 스즈시 진도7 해당 흔들림 관측 가능성 추정.[210]
참조
[1]
웹사이트
気象庁 ! 震度について
https://www.jma.go.j[...]
2021-12-02
[2]
문서
島村(2004), p138.
[3]
웹사이트
気象庁震度階級関連解説表
https://www.jma.go.j[...]
気象庁
2021-12-02
[4]
문서
宇津(2001), p125.
[5]
웹사이트
福井地震
https://www.data.jma[...]
福井地方気象台
2021-12-10
[6]
논문
明治以後の内陸浅発地震の被害から見た強震動の特徴 ―震度VIIの発生条件―
https://doi.org/10.4[...]
武村雅之, 諸井孝文, 八代和彦(1998)
1998-01-01
[7]
웹사이트
第1部:地震の基礎知識
http://www.hinet.bos[...]
防災科学技術研究所
2016-04-30
[8]
웹사이트
阪神・淡路大震災教訓情報資料集
https://www.bousai.g[...]
内閣府
[9]
간행물
第2章 現地調査
https://www.data.jma[...]
気象庁
1997-01-01
[10]
웹사이트
震度の活用と震度階級の変遷等に関する参考資料
https://www.data.jma[...]
気象庁
2016-11-18
[11]
문서
島村(2004), p106.
[12]
웹사이트
計測震度の算出方法
https://www.data.jma[...]
気象庁
[13]
문서
1 阪神・淡路大震災における初動情報
http://www.showado-k[...]
中森広道
[14]
뉴스
「平成28年(2016年)熊本地震」について(第22報)
https://www.jma.go.j[...]
気象庁
2016-04-20
[15]
웹사이트
気象庁 震度と加速度
https://www.data.jma[...]
気象庁
2016-04-30
[16]
문서
気象庁、2009年、36(II-15)-38(II-17)、54(II-33)頁
[17]
논문
墓石・ 木造建物被害等による震度に関する若干の検討
https://doi.org/10.2[...]
宮野道雄(1980)
1982-01-01
[18]
웹사이트
建築基準法施行令
https://laws.e-gov.g[...]
e-Gov
2019-12-28
[19]
논문
1948年福井地震の強震動 -ハイブリッド法による広周期帯域強震動の再現
https://doi.org/10.4[...]
入倉孝次郎, 釜江克宏(1999)
[20]
논문
1995年兵庫県南部地震による気象庁震度と住家全壊率の関係
https://doi.org/10.4[...]
諸井孝文, 武村雅之(1999)
[21]
간행물
3.11東日本大震災で何が起きたのか
http://www.ffr-plus.[...]
山田敏博(2011)
[22]
문서
山賀(2016), p227-228.
[23]
웹사이트
地震観測点一覧
https://www.data.jma[...]
気象庁
[24]
웹사이트
平成30年9月6日03時08分頃の胆振地方中東部の地震について(第3報)-厚真町で震度7を観測しました-
https://www.jma.go.j[...]
気象庁
2018-09-06
[25]
간행물
2016年熊本地震は異例ではない:大局的に活動の意味を考える
http://www.ikata-tom[...]
石橋克彦
2016-06-01
[26]
웹사이트
日本地震工学会論文集第7巻、第2号 2007年03月(特集号:震度計と強震計データの利活用)強震観測点周辺の被害データを用いた地震動の性質と建物被害の関係の検討
http://www.jaee.gr.j[...]
日本地震工学会
2016-04-22
[27]
웹사이트
現在の震度の問題点と代替案の提案
http://www.kz.tsukub[...]
境有紀
[28]
웹사이트
震度に関する検討会
http://www.data.jma.[...]
気象庁
[29]
웹사이트
新潟県中越地震 (中越地震に関するトピックス)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21-08-17
[30]
웹사이트
新潟県中越大震災の記録「第1章・第1節 地震の発生」
https://www.pref.nii[...]
新潟県
2021-08-17
[31]
웹사이트
気象庁 強震波形(平成16年(2004年)新潟県中越地震)
http://www.data.jma.[...]
気象庁
2016-04-22
[32]
웹사이트
発生した地震動の性質と予想される被害
https://sakaiy.main.[...]
境有紀
[33]
간행물
平成23年(2011年)東北地方太平洋沖地震(M9.0)の強震動について
http://www.ejec.ej-h[...]
(株)エイト日本技術開発
[34]
웹사이트
平成23年4月 地震・火山月報(防災編) 付録2.「平成23年(2011年)東北地方太平洋沖地震」による各地の震度
http://www.data.jma.[...]
気象庁
2016-04-22
[35]
논문
2011 年東北地方太平洋沖地震の余震観測と微動アレイ観測によるKiK-net 芳賀観測点周辺での地盤震動特性の評価
https://doi.org/10.5[...]
山中浩明, 津野靖士, 地元孝輔 ほか
[36]
웹사이트
気象庁 強震波形(熊本県熊本地方の地震)
http://www.data.jma.[...]
気象庁
2016-04-28
[37]
웹사이트
熊本地震、本震も震度7 同地点で2回観測は史上初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21-08-17
[38]
웹사이트
2016年布田川・日奈久断層帯地震(平成28年熊本地震)
https://www.komazawa[...]
駒澤大学
2021-08-17
[39]
Citation
北海道の地震、厚真町は「震度7」 気象庁が未入電データ確認(2018年9月6日)
https://www.youtube.[...]
2018-09-06
[40]
문서
胆振地方中東部の地震(2018/09/06)で発生した地震動
https://sakaiy.main.[...]
[41]
문서
令和6年1月1日16時10分頃の石川県能登地方の地震について
https://www.jma.go.j[...]
[42]
웹사이트
「令和6年能登半島地震」における震度について
https://www.jma.go.j[...]
気象庁
2024-01-25
[43]
웹사이트
J-RISQ地震速報
https://www.j-risq.b[...]
2024-01-06
[44]
문서
石川県能登地方の地震(2024/1 /1 )で発生した地震動
http://higaisuitei.h[...]
[45]
웹사이트
令和6年能登半島地震
https://xview.bosai.[...]
防災科学技術研究所
2024-01-05
[46]
문서
Usami(1994), 説明pp1-6.
[47]
문서
地震の震度階解説表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
1980
[48]
간행물
東海沖四大地震の震度分布(明応・宝永・安政東海・東南海地震)
http://cais.gsi.go.j[...]
1986
[49]
간행물
安政東海地震(1854-12-23),安政南海地震(1854-12-24)の震度分布
http://cais.gsi.go.j[...]
1989
[50]
문서
都司(2012), p65.
[51]
문서
都司(2012), p202.
[52]
문서
都司(2011), p232.
[53]
논문
震度分布と震源との関係
https://doi.org/10.4[...]
2001
[54]
문서
石橋(2014), p66.
[55]
간행물
歴史地震の研究(1) 天正13年11月29日(1586年1月18日)の地震の震害,震度分布および津波について
https://cir.nii.ac.j[...]
1979-03-31
[56]
논문
1586年天正地震の震央に関する一考察: 濃尾平野の発掘遺跡に認められた液状化跡
https://doi.org/10.4[...]
1993
[57]
문서
寒川(2010), p83.
[58]
문서
都司(2011), p246.
[59]
문서
寒川(2010), p255.
[60]
문서
石橋(1994), p135.
[61]
문서
大長昭雄・萩原(1982), p215.
[62]
문서
宇佐美(2003), p57.
[63]
문서
石橋(1994), p127.
[64]
문서
宇佐美(1994), p252.
[65]
간행물
元禄地震の震度分布
http://cais.gsi.go.j[...]
1984
[66]
문서
宇佐美(2003), p70.
[67]
문서
宇佐美(1994), p268.
[68]
간행물
宝永地震の震度分布
http://cais.gsi.go.j[...]
1984
[69]
문서
都司(2012), p59.
[70]
문서
石橋(2014), p51.
[71]
뉴스
【温故地震】300年前の直下型の再来か 長野県北部地震(2016年)
https://www.sankei.c[...]
都司
2014
[73]
간행물
遠山地震(1718年)の被害調査
飯田市美術博物館
2014
[93]
문서
文献・歴史資料に関する情報
https://www.jishin.g[...]
地震調査研究推進本部
[94]
문서
濃尾地震の震害と震度分布
http://www.seis.nago[...]
名古屋大学大学院環境学研究科附属 地震火山・防災研究センター
[95]
문서
全壊率100%、内陸活断層型の破壊力
http://www.ccn.yaman[...]
事例に学ぶ自治体防災
[96]
문서
主な地震記録と被害概況
http://www.pref.yama[...]
山形県
[97]
논문
1894.10.22庄内地震の大字別の被害分布に関する文献調査
https://doi.org/10.3[...]
2013
[99]
웹사이트
陸羽地震 (1896年8月31日 M7.2)
http://www.hp1039.ji[...]
[100]
논문
1914(大正3)年秋田仙北地震の被害データと震度分布
http://www.histeq.jp[...]
2016-11-12
[101]
웹사이트
災害教訓の継承に関する専門調査会報告書 平成18年7月 1923 関東大震災 第4章 揺れと被害
http://www.bousai.go[...]
中央防災会議
2016-11-09
[103]
문서
1927年北丹後地震における建物倒壊被害と地形の関係
https://www.jsnds.or[...]
2016
[104]
논문
1939.5.1男鹿地震の被害分布に関する文献調査
https://doi.org/10.3[...]
2016-11-13
[105]
논문
1944年東南海地震の広域震度分布の再評価と被害の特徴
https://doi.org/10.5[...]
[106]
간행물
災害教訓の継承に関する専門調査会報告書 平成19年3月 1944 東南海地震・1945 三河地震
http://www.bousai.go[...]
中央防災会議
[107]
문서
島村(2014), p166.
[108]
문서
宇津(2001), p125.
[109]
간행물
文献・歴史資料に関する情報
https://www.jishin.g[...]
地震調査研究推進本部
[110]
웹사이트
2000年10月6日 鳥取県西部地震の強震動
https://www.kyoshin.[...]
[111]
뉴스
読売新聞 西部版 朝刊
2005-05-25
[112]
논문
2005年福岡県西方沖の地震による地震動の特徴
https://www.jma.go.j[...]
気象庁
[113]
웹사이트
2005年福岡県西方沖の地震 -震源過程・強震動・被害-
http://taro.eri.u-to[...]
東京大学地震研究所強震動グループ
2005-03-31
[114]
웹사이트
福岡県西方沖地震で発生した地震動と被害速報
http://www.kz.tsukub[...]
筑波大学 境有紀のページ
2005-03-25
[115]
뉴스
読売新聞 西部版
2005-03-25
[116]
논문
2007年能登半島地震における地震動推定と建物被害との関係
https://doi.org/10.2[...]
[117]
PDF
2007年新潟県中越沖地震の強震動
http://www.kojiro-ir[...]
入倉孝次郎研究所
[118]
웹사이트
地震情報~石淵ダムに現地対策本部を設置~(第4報)
https://www.thr.mlit[...]
国土交通省 東北地方整備局 北上川ダム統合管理事務所
2008-06-14
[119]
학술지
平成20年(2008年)岩手・宮城内陸地震被害調査報告
https://www.nilim.go[...]
[120]
학술지
2008年岩手・宮城内陸地震によるダムの被害調査報告
http://www.jsde.jp/s[...]
ダム工学会
[121]
웹사이트
2011年03月12日03時59分 新潟県中越地方 M6.6
https://www.data.jma[...]
[122]
웹사이트
2011年04月11日17時16分 福島県浜通り M7.1
https://www.data.jma[...]
[123]
URL
https://www.data.jma[...]
[124]
논문
2014年長野県神城断層地震が提起した問題
https://doi.org/10.1[...]
[125]
URL
https://www.nikkei.c[...]
[126]
웹사이트
防災科研クライシスレスポンスサイト(NIED-CRS)
https://crs.bosai.go[...]
2021-02-14
[127]
웹사이트
福島県沖を震源とする地震
https://xview.bosai.[...]
2022-03-22
[128]
웹사이트
令和5年石川県能登地方を震源とする地震
https://xview.bosai.[...]
防災科学技術研究所
2023-05-09
[129]
뉴스
台湾、震度の段階を細分化へ 日本の階級を参考に
http://japan.cna.com[...]
フォーカス台湾
2019-04-09
[130]
문서
島村(2004), p138.
[131]
웹인용
気象庁震度階級関連解説表
http://www.jma.go.jp[...]
일본 기상청
2018-08-21
[132]
문서
宇津(2001), p125.
[133]
저널인용
明治以後の内陸浅発地震の被害から見た強震動の特徴 ―震度VIIの発生条件―
https://www.jstage.j[...]
2018-08-21
[134]
웹인용
各地の震度
http://www.data.jma.[...]
일본 기상청
2018-08-21
[135]
문서
일본 효고현 고베시 주오구 (고베시)|주오구에 있는 고베카이요 기상소의 지진계에서는 계측 진도 6.4였고 스모토시의 지진계는 손상되었지만 진도6 전후로 나왔다.
[136]
웹인용
第1部:地震の基礎知識
http://www.hinet.bos[...]
防災科学技術研究所
2018-08-21
[137]
웹인용
阪神・淡路大震災教訓情報資料集
http://www.bousai.go[...]
防災情報のページ
2018-08-21
[138]
웹인용
第2章 現地調査
http://www.data.jma.[...]
気象庁技術報告
2018-08-21
[139]
웹인용
震度の活用と震度階級の変遷等に関する参考資料
http://www.data.jma.[...]
気象庁 震度に関する検討会
2018-08-21
[140]
문서
島村(2004), p106.
[141]
웹사이트
計測震度の算出方法
https://www.data.jma[...]
気象庁
[142]
웹인용
1 阪神・淡路大震災における初動情報
http://www.showado-k[...]
2018-08-21
[143]
문서
[144]
간행물
「平成28年(2016年)熊本地震」について(第22報)
http://www.jma.go.jp[...]
気象庁
2018-08-21
[145]
웹인용
地震動・地盤震動:秦 吉弥(大阪大学)
http://committees.js[...]
土木学会
2018-08-21
[146]
웹인용
気象庁 震度と加速度
http://www.data.jma.[...]
気象庁
2018-08-21
[147]
논문
墓石・ 木造建物被害等による震度に関する若干の検討
https://doi.org/10.2[...]
1982-01-01
[148]
웹인용
建築基準法施行令
https://elaws.e-gov.[...]
e-Gov
2019-12-28
[149]
논문
1948年福井地震の強震動 -ハイブリッド法による広周期帯域強震動の再現
https://doi.org/10.4[...]
1999-01-01
[150]
논문
1995年兵庫県南部地震による気象庁震度と住家全壊率の関係
https://doi.org/10.4[...]
1999-01-01
[151]
웹인용
3.11東日本大震災で何が起きたのか
http://www.ffr-plus.[...]
応用アール・エム・エス株式会社
2021-06-23
[152]
문서
[153]
웹인용
第1章 計測震度と被害等との関係について
http://www.data.jma.[...]
震度に関する検討会
2018-08-21
[154]
웹인용
日本地震工学会論文集第7巻、第2号 2007年03月(特集号:震度計と強震計データの利活用)強震観測点周辺の被害データを用いた地震動の性質と建物被害の関係の検討
http://www.jaee.gr.j[...]
日本地震工学会
2018-08-21
[155]
문서
[156]
웹인용
現在の震度の問題点と代替案の提案
http://www.kz.tsukub[...]
2018-08-21
[157]
웹인용
震度に関する検討会
http://www.data.jma.[...]
"> 参考リンク > 震度の活用と震度階級の変遷等に関する参考資料"
2018-08-21
[158]
웹인용
気象庁 強震波形(平成16年(2004年)新潟県中越地震)
http://www.data.jma.[...]
気象庁
2018-08-21
[159]
웹사이트
発生した地震動の性質と予想される被害
https://sakaiy.main.[...]
[160]
문서
[161]
웹인용
平成23年(2011年)東北地方太平洋沖地震(M9.0)の強震動について
https://web.archive.[...]
エイト日本技術開発
2018-08-21
[162]
웹인용
平成23年4月 地震・火山月報(防災編) 付録2.「平成23年(2011年)東北地方太平洋沖地震」による各地の震度
http://www.data.jma.[...]
気象庁
2018-08-21
[163]
웹인용
2011 年東北地方太平洋沖地震のKiK-net 芳賀での地震動と周辺の被害状況
http://library.jsce.[...]
土木学会第66回年次学術講演会(平成23年度)
2018-08-21
[164]
웹인용
気象庁 強震波形(熊本県熊本地方の地震)
http://www.data.jma.[...]
気象庁
2018-08-21
[165]
웹인용
平成30年9月6日03時08分頃の胆振地方中東部の地震について(第3報)-厚真町で震度7を観測しました-
일본 기상청
2018-09-06
[166]
인용
北海道の地震、厚真町は「震度7」 気象庁が未入電データ確認(2018年9月6日)
https://www.youtube.[...]
2018-09-06
[167]
웹사이트
胆振地方中東部の地震(2018/09/06)で発生した地震動
https://sakaiy.main.[...]
[168]
웹사이트
令和6年1月1日16時10分頃の石川県能登地方の地震について
https://www.jma.go.j[...]
[169]
웹사이트
J-RISQ地震速報
https://www.j-risq.b[...]
2024-01-06
[170]
웹사이트
「令和6年能登半島地震」における震度について
https://www.jma.go.j[...]
気象庁
2024-01-25
[171]
웹사이트
石川県能登地方の地震(2024/1 /1 )で発生した地震動
http://higaisuitei.h[...]
[172]
문서
[173]
웹인용
地震の震度階解説表
http://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
2018-08-29
[174]
웹인용
東海沖四大地震の震度分布(明応・宝永・安政東海・東南海地震
http://cais.gsi.go.j[...]
地震予知連絡会報
2018-08-29
[175]
웹인용
安政東海地震(1854-12-23),安政南海地震(1854-12-24)の震度分布
http://cais.gsi.go.j[...]
地震予知連絡会報
2018-08-29
[176]
문서
都司(2012), p65
[177]
문서
都司(2012), p202
[178]
문서
都司(2011), p232
[179]
저널
震度分布と震源との関係
https://doi.org/10.4[...]
2018-08-29
[180]
간행물
歴史地震の研究(1) 天正13年11月29日(1586年1月18日)の地震の震害,震度分布および津波について
http://ci.nii.ac.jp/[...]
愛知工業大学研究報告. B, 専門関係論文集
1978-03-31
[181]
논문
1586年天正地震の震央に関する一考察: 濃尾平野の発掘遺跡に認められた液状化跡
https://doi.org/10.4[...]
1993
[182]
간행물
元禄地震の震度分布
http://cais.gsi.go.j[...]
地震予知連絡会会報
[183]
문서
文献・歴史資料に関する情報
https://www.jishin.g[...]
地震調査研究推進本部
[184]
웹인용
濃尾地震の震害と震度分布
http://www.seis.nago[...]
名古屋大学大学院環境学研究科附属
2010-05-20
[185]
웹인용
全壊率100%、内陸活断層型の破壊力
http://www.ccn.yaman[...]
事例に学ぶ自治体防災
2018-09-07
[186]
웹인용
主な地震記録と被害概況
http://www.pref.yama[...]
山形県
2018-09-07
[187]
웹인용
(5)陸羽地震(1896年8月31日、M7.2)
http://www.hp1039.ji[...]
지진조사연구추진본부
2018-09-07
[188]
웹인용
1914(大正3)年秋田仙北地震の被害データと震度分布
http://www.dl.ndl.go[...]
일본 국토지리원
2018-09-07
[189]
웹인용
災害教訓の継承に関する専門調査会報告(概要)
http://www.bousai.go[...]
일본 내각부
2018-09-07
[190]
문서
石橋(1994), p69
[191]
저널
1939.5.1男鹿地震の被害分布に関する文献調査
https://www.jstage.j[...]
2018-09-07
[192]
저널
Re-Evaluation of Seismic Intensity Distribution from the 1944 Tonankai Earthquake and Its Disaster Characteristics
https://www.jstage.j[...]
2018-09-07
[193]
웹인용
災害教訓の継承に関する専門調査会報告書 平成19年3月 1944 東南海地震・1945 三河地震
http://www.bousai.go[...]
일본 내각부
2018-09-07
[194]
문서
島村(2014), p166
[195]
문서
宇津(2001), p125
[196]
웹인용
文献・歴史資料に関する情報
http://www.jishin.go[...]
地震調査研究推進本部
2018-08-29
[197]
웹인용
2000年10月6日 鳥取県西部地震の強震動
http://www.k-net.bos[...]
防災科学技術研究所
2018-08-29
[198]
뉴스
読売新聞 西部版 朝刊、2005年5月25日付
読売新聞
[199]
간행물
2005年福岡県西方沖の地震による地震動の特徴
気象庁
2007
[200]
논문
2007年能登半島地震における地震動推定と建物被害との関係
https://doi.org/10.2[...]
2009
[201]
웹인용
2007年新潟県中越沖地震の強震動
http://www.kojiro-ir[...]
入倉孝次郎研究所
2018-08-29
[202]
웹인용
岩手・宮城内陸地震調査報告書
http://www.hakoken.j[...]
[203]
웹인용
2011年03月12日03時59分 新潟県中越地方 M6.6
http://www.data.jma.[...]
2018-08-29
[204]
웹인용
2011年04月11日17時16分 福島県浜通り M7.1
http://www.data.jma.[...]
2018-08-29
[205]
웹인용
推計震度分布図
http://www.data.jma.[...]
일본 기상청
2018-09-07
[206]
논문
2014年長野県神城断層地震が提起した問題
https://doi.org/10.1[...]
[207]
뉴스
山形大、鶴岡の地震を墓石転倒から推定 震度7の可能性も
https://r.nikkei.com[...]
닛케이 신문
2020-05-25
[208]
웹인용
防災科研クライシスレスポンスサイト(NIED-CRS)
http://crs.bosai.go.[...]
2021-02-14
[209]
웹인용
福島県沖を震源とする地震
https://xview.bosai.[...]
2022-03-22
[210]
웹인용
令和5年石川県能登地方を震源とする地震
https://xview.bosai.[...]
防災科学技術研究所
2023-05-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