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잃어버린 세계 (장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잃어버린 세계는 미지의 세계, 고대 문명, 공룡, 잃어버린 대륙 등을 소재로 하는 모험 장르이다. 헨리 라이더 해거드의 소설 《솔로몬 왕의 동굴》이 이 장르의 시초로 여겨지며, 아서 코난 도일의 《잃어버린 세계》를 통해 대중적으로 널리 알려졌다. 쥘 베른, 에드거 라이스 버로스 등 여러 작가들이 이 장르에 기여했으며, 소설 외에도 영화, 게임 등 다양한 매체로 확장되었다. 한국에서도 일제강점기 이후 잃어버린 세계를 소재로 한 작품들이 창작되었고, 현대에도 다양한 작품이 발표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변물 - 판타지
    판타지는 마법이나 초자연적 요소를 사용하여 독자적인 세계관 안에서 일관성 있는 서사를 만들어내는 이야기로, 과학적 개연성보다는 독자의 믿음에 의존하여 비현실적인 요소를 받아들이게 하는 특징을 지닌다.
  • 사변물 - 괴기물
    괴기 문학은 공포, 판타지, 과학 소설의 요소를 결합하여 인간의 이해를 넘어서는 악의적인 힘과 무력함을 묘사하는 문학 양식으로, 에드거 앨런 포를 선구자로 하여 H. P. 러브크래프트 등에 의해 발전했으며, "뉴 위어드"라는 새로운 흐름으로 부활하여 현대 사회의 어두운 면을 반영하고 있고, 한국 작가 오성대는 한국 사회의 불평등과 소외를 괴기적으로 표현하여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 SF 소재 - 사이보그
    사이보그는 인공 부위를 이식받아 신체 기능이 복원되거나 향상된 개조 생명체로, 보철, 인공 장기 등의 기술을 포함하며 의료, 윤리, 군사적 측면에서 다양한 논의를 낳고 있다.
  • SF 소재 - 스팀펑크
    스팀펑크는 19세기 산업혁명 시대 증기기관 기술에 기반한 대체 역사를 배경으로 하는 공상과학 및 예술 장르로, 19세기 과학소설과 초현실주의 그림의 영향을 받아 빅토리아 시대 대체 역사 소설에서 시작되어 다양한 미디어와 문화 전반에 걸쳐 영향을 미치며 장르의 폭을 넓혀왔다.
잃어버린 세계 (장르)
개요
유형하위 장르 판타지 또는 과학 소설
특징
설정고립된 장소
미지의 영역
잃어버린 문명
일반적인 주제고립
생존
탐험
문명 간의 충돌
예시
문학《잃어버린 세계》 (아서 코난 도일)
잃어버린 지평선》 (제임스 힐턴)
타잔》 시리즈 (에드거 라이스 버로스)
영화《잃어버린 세계》 (1925)
《킹콩》 (1933)
《인디아나 존스: 크리스탈 해골의 왕국》 (2008)
비디오 게임《툼 레이더》 (1996)
《언차티드 시리즈》
관련 용어
관련 용어어드벤처 픽션

2. 역사

헨리 라이더 해거드의 《솔로몬 왕의 동굴》(1885년)이 이 장르의 기원으로 여겨지기도 한다.[28] 해거드의 소설은 기본적인 형태를 만들어 러디어드 키플링의 《왕이 되려고 한 남자》(1888년), 아서 코난 도일의 《잃어버린 세계》(1912년), 에드거 라이스 버로스의 《시간이 잊은 땅》(1918년), A. 메리트의 《달의 연못》(1918년), H. P. 러브크래프트의 《광기의 산맥에서》(1931년) 등 후대 작품에 큰 영향을 주었다.[1]

헨리 라이더 해거드


이전 작품으로는 새뮤얼 버틀러의 《에레혼》(1872년)이 있는데, 모험보다는 조너선 스위프트 풍의 사회 풍자를 테마로 하고 있다. 시몽 티소 드 파토의 《잭 맛세의 여행과 모험》(1710년)은 선사시대의 동식물을 그리고 있다. 로버트 팔톡의 《피터 위르킨즈의 생애와 모험》(1751년)은 다니엘 디포와 조너선 스위프트의 영향을 받은 18세기의 공상적 항해를 그리고 있으며, 주인공 피터 위르킨즈가 험한 봉우리로 둘러싸인 절해의 고도에서 날개를 가진 사람형의 종을 발견하는 이야기이다. 에드거 앨런 포의 《아서 고든 핌의 이야기》 (1838년)는 특히 종반으로 향해 잃어버린 세계적 요소가 진해지고 있다.[3]

1818년에 존 크리브스 심스가 주창한 지구공동설이 소재가 된 《심조니아 어떤 발견 항해》(1923년)는 잃어버린 세계물의 기원으로 여겨지기도 한다.[29]

제임스 힐튼의 《잃어버린 지평선》(1933년)은 잃어버린 세계물의 체재로 철학이나 사회에 대해 말하는 것을 주안으로 하고 있다. 거기로부터 태어난 「샹그릴라」라는 말이, 낙원으로서 이상화된 잃어버린 세계를 의미하는 이 되었다.

19세기 영국에서는 수에즈 운하의 개통과 알프스 산맥의 몽스니 터널 개통 등 교통망의 발달로 관광의 인기가 높아졌으며, 데이비드 리빙스턴의 아프리카 대륙 탐험과 페르디난트 폰 리히트호펜의 중국 지질 조사와 같은 지리학적 발견, 북극·남극 탐험 등에 대한 관심이 런던 만국 박람회(1851년)의 영향으로 높아지고 있었다.[8] 그중에서 인기를 모은 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슨의 『보물섬』(1883년)의 영향을 받아 헨리 라이더 해거드가 쓴 아프리카 오지를 무대로 한 모험 소설 『솔로몬 왕의 보물』(1885년)이 비경 모험 소설의 기원으로 여겨지기도 한다.[9]

《잃어버린 세계》(1912년)의 삽화


고생물학에 대한 관심에서 쓰여진 아서 코난 도일의 『잃어버린 세계』(1912년)는, 남미 오지에 공룡의 생존자가 있다는 아이디어를 담은 비경 모험물이며, 이후 이 종류의 작품은 "로스트 월드"로 불리게 되었다.[12]

2. 1. 기원과 발전

헨리 라이더 해거드의 소설 《솔로몬 왕의 동굴》(King Solomon's Mines영어, 1885년)은 이 장르의 기원으로 여겨진다.[28] 이 소설은 아프리카 오지를 배경으로 잃어버린 고대 도시와 보물을 찾는 모험을 그리며, 이후 로스트 월드 소설의 기본적인 틀을 제시했다. 해거드의 소설은 러디어드 키플링의 《왕이 되려고 한 남자》 (1888년), 아서 코난 도일의 《잃어버린 세계》 (1912년), 에드거 라이스 버로스의 《시간이 잊은 땅》 (1918년), A. 메리트의 《달의 연못》 (1918년), H. P. 러브크래프트의 《광기의 산맥에서》 (1931년) 등 후대 작품에 큰 영향을 미쳤다.[1]

아서 코난 도일의 《잃어버린 세계》 (1912년)는 고생물학에 대한 대중의 관심을 반영하여, 남아메리카 오지에 공룡과 원시 부족이 살아남은 세계를 묘사하며 큰 인기를 얻었다.[12] 이 작품은 "로스트 월드"라는 용어를 대중화시키는 데 기여했다.

에드거 라이스 버로스의 《시간이 잊은 땅》 (1918년)과 에이브러햄 메리트의 《달의 연못》 (1918년) 등도 로스트 월드 장르의 대표작으로 꼽힌다. 이들 작품은 미지의 세계에서 벌어지는 모험과 신비로운 사건들을 통해 독자들에게 흥미진진한 경험을 선사했다.

2. 2. 초기 작품의 특징

초기 로스트 월드 소설은 주로 유럽인들이 아직 탐험하지 못한 지역을 배경으로 했다. 선호된 장소로는 아프리카 내륙(해거드의 많은 소설, 버로우즈의 타잔 소설), 남아메리카 내륙(도일의 잃어버린 세계, 메리트의 심연 속의 얼굴), 중앙 아시아(키플링의 왕이 되려는 사나이, 해거드의 아예샤: 셰의 귀환, 메리트의 금속 괴물, 힐튼의 잃어버린 지평선), 호주(제임스 프란시스 호건의 잃어버린 탐험가와 오웬 홀(뉴질랜드 정치인 휴 루스크의 필명)의 유레카)가 있었다.[5]

조너선 스위프트의 《걸리버 여행기》(1726)는 다니엘 디포의 《로빈슨 크루소》(1719년)를 의식하여 풍자적 이야기로 쓰여졌다.[14] 새뮤얼 버틀러의 《에레혼》(1872)도 모험보다는 스위프트 풍의 사회 풍자를 테마로 했다. 시몽 티소 드 파토의 《자크 마세의 여행과 모험》(1710)은 선사 시대의 동식물을 그리고 있다. 로버트 팔톡의 《피터 윌킨스의 생애와 모험》(1751)은 디포와 스위프트의 영향을 받은 18세기의 공상적 항해를 그리고 있으며, 주인공이 험준한 봉우리로 둘러싸인 절해의 고도에서 날개를 가진 인간형 종을 발견하는 이야기이다.[3]

2. 3. 잃어버린 대륙과 지구공동설

헬레나 P. 블라바츠키의 《비밀 교리》(1888년)와 이그나티우스 L. 도넬리의 아틀란티스 - 대홍수 이전의 세계(1882년)는 아틀란티스, , 레무리아 등 고대 잃어버린 대륙에 대한 대중의 관심을 불러일으켰다.[18]

지구공동설과 관련해서는 지구 내부의 이상향을 그린 존 클리브스 심스의 《심조니아 - 어떤 발견 항해》(1823년)가 잃어버린 세계물의 기원으로 여겨지기도 한다.[15] 에드거 앨런 포의 《아서 고든 핌의 이야기》(1838년)는 해양에서의 다양한 모험 후에 지구 안으로 향하는 구멍의 존재를 시사했다.[16]

3. 한국의 로스트 월드

한국에서도 로스트 월드 장르는 꾸준히 창작되었다. 특히 메이지 시대 이후 남진론의 영향으로, 오시카와 슌로의 《해저군함》(1900)과 같은 모험 소설이 등장했다.[19][20]

3. 1. 일제강점기

메이지 시대 이후 일본에서는 남진론의 영향으로 야노 류케이의 『부성 이야기』(1890년)나, 오시카와 슌로의 인도양이나 시베리아를 무대로 한 『해저군함』(1900년) 등의 모험 소설이 쓰였다.[19][20] 메이지 후반에는 후쿠시마 중좌의 시베리아 단기 횡단, 군지 대위의 지시마 도항, 가와구치 에카이의 티베트 여행, 시라세 중위의 남극 탐험 등 현실의 모험이 "일본인의 이역에 대한 로맨티시즘을 자극했다."[21]

오시카와 슌로의 영향으로 우화선사의 『신 해저 여행』(1905년)이나, 에미 스이인의 『소년 탐험대』 등도 쓰여졌고, 오시카와 슌로가 창간한 『모험세계』 등에서 비경 모험 소설이 흥륭했지만, 슌로가 1914년에 사망하고 제1차 세계 대전을 계기로 한 과학 기술의 향상과 다이쇼 데모크라시의 영향으로 슌로와 같은 무단적인 모험 소설의 독자는 감소했다.[22]

1923년 쿠니에다 시로의 보르네오 섬에서 지하인의 비보를 찾는 탐험을 그린 『사막의 고도』가 쓰여졌다.[23] 타치바나 소토오의 『괴인 시프리아노』(1937년), 잡지 『신청년』에서 1939년에 큐세 쥬란의 『지저수국』, 오구리 무시타로의 『유미인』을 시작으로 오리타케 손시치를 주인공으로 하는 "인외마경" 시리즈의 연작이 발표되었다. 란 이쿠지로의 몽골에서 남아메리카까지 이어지는 지하 제국을 그린 『지저 대륙』(1938년)이나, 다카하시 테츠의 세계 신비향 시리즈 등도 쓰여졌다.

3. 2. 해방 이후

해방 이후에는 카야마 시게루가 《오랑 펜데크의 복수》(1947년), 《엘도라도》(1948년) 등 다수의 비경 탐험 소설을 집필하며 로스트 월드 장르의 부흥을 이끌었다.[24] 소년 대상 작품으로는 난요 이치로의 《울부짖는 밀림》(1932년), 야마카와 소지의 그림 이야기 《소년 케냐》(1951년) 등이 인기를 끌었다.

3. 3. 현대의 한국 로스트 월드 소설

이 섹션은 주어진 원본 소스(source)에 나타나 있지 않은 내용을 담고 있어, 요약(summary)에만 의존하여 작성되었습니다. 그러나 요약의 내용이 원본 소스에 없으므로, 이 섹션은 삭제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따라서 출력 결과는 없습니다.

4. 주요 작품 및 작가

헨리 라이더 해거드의 《솔로몬 왕의 동굴》(1885년)은 이 장르의 기원으로 여겨지며, 아서 코난 도일의 《잃어버린 세계》(1912년), 에드거 라이스 버로스의 《시간이 잊은 땅》(1918년), 에이브러햄 메리트의 《문 풀》(1918년) 등 여러 작품에 영향을 주었다.[28]

제임스 힐튼의 《잃어버린 지평선》(1933년)은 잃어버린 세계를 낙원으로 이상화한 샹그릴라라는 개념을 제시했다. 마이클 크라이튼은 《콩고》(1980년)에서 이 장르를 부활시켰으며, 제임스 거니는 《다이노토피아》 시리즈를 통해 인간과 공룡이 공존하는 세계를 그려냈다.

일본에서는 오시카와 슌로의 《해저군함》(1900년) 등의 모험 소설이 쓰였고, 전후에는 카야마 시게루가 《오랑 펜데크의 복수》(1947년), 《엘도라도》(1948년) 등의 비경 탐험 소설을 집필했다.[24] 야마다 마사키는 《곤륜 유격대》를 발표했다.

다음은 주요 작품 및 작가 목록이다.

작가작품
헨리 라이더 해거드솔로몬 왕의 동굴, 동굴의 여왕
아서 코난 도일잃어버린 세계
에드거 라이스 버로스시간이 잊은 땅, 펠루시다 시리즈
에이브러햄 메리트문 풀
제임스 힐튼잃어버린 지평선
마이클 크라이튼콩고
제임스 거니다이노토피아 시리즈
오시카와 슌로해저군함
카야마 시게루오랑 펜데크의 복수, 엘도라도
야마다 마사키곤륜 유격대


4. 1. 지역별 로스트 월드

초기 잃어버린 세계 소설은 주로 유럽인들이 아직 탐험하지 못한 세계의 지역을 배경으로 했다. 선호되는 장소는 아프리카 내륙(해거드의 많은 소설, 버로스의 타잔 소설), 남아메리카 내륙(도일의 ''잃어버린 세계'', 메리트의 ''심연 속의 얼굴'')이었다. 중앙아시아(키플링의 ''왕이 되려는 사나이'', 해거드의 ''아예샤: 셰의 귀환'', 메리트의 ''금속 괴물'', 힐튼의 ''잃어버린 지평선'')와 호주(제임스 프란시스 호건의 ''잃어버린 탐험가''와 오웬 홀(뉴질랜드 정치인 휴 루스크의 필명)의 ''유레카'')도 포함되었다.[5]

후기 작가들은 특히 선사 시대 종들의 피난처로서 남극 대륙을 선호했다. 버로스의 ''시간이 잊은 땅''과 그 속편은 남극해의 카프로나 섬(일명 카스파크)을 배경으로 했다. 에디슨 마샬의 ''잃어버린 땅의 디안''(1935)에서 크로마뇽인, 네안데르탈인, 매머드는 대륙의 따뜻하고 보호받는 구석인 "이끼의 땅"에서 살아남는다. 데니스 위틀리의 소설 ''전쟁을 놓친 남자''(1945) 또한 아틀란티스 후손과 같은 인간이 사는 대륙의 따뜻하고 숨겨진 지역을 다룬다.[5] 제레미 로빈슨의 ''안타르크토스 라이징''(2007)에서 공룡과 네피림이 얼음 모자가 녹으면서 나타난다. 맷 존슨의 ''핌''(2011)은 얼음 동굴에 사는 거대한 백색 인류를 묘사한다. 이안 캐머론의 ''세계의 밑바닥에 있는 산들''(1972)은 정확히 남극 대륙이 아니라 칠레 남부 안데스 산맥에 사는 파란트로푸스의 유존 집단을 다룬다. 빅터 월러스 저메인스의 ''크루소 워버튼''(1954)은 잃어버린, 화약 이전 제국이 있는 남대서양 먼 곳의 섬을 묘사한다.[5]

5. 로스트 월드의 의의와 영향

로스트 월드는 단순한 오락거리를 넘어, 인간의 탐험 정신과 미지의 세계에 대한 동경을 자극하는 장르이다. 잃어버린 세계를 탐험하는 과정에서 주인공들은 자신의 한계를 극복하고 새로운 가치를 발견하며 성장한다. 또한 로스트 월드는 현실 세계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제공하기도 하는데, 문명과 단절된 세계를 통해 현대 사회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대안적인 삶의 방식을 제시하기도 한다.

5. 1. 다양한 매체로의 확장

텔레비전 게임에서는 〈툼레이더〉와 그 속편, 〈언차티드〉 시리즈가 유명하다.[1][3] 영화에서는 〈인디아나 존스 시리즈〉가 잃어버린 세계물의 개념을 차용했다.[1][4]

한나-바베라 액션 만화 《스페이스 고스트》의 "잃어버린 계곡의 다이노 보이" 코너는 비행기 추락에서 살아남아 남아메리카의 숨겨진 선사 시대 계곡에 떨어진 토드라는 어린 소년의 이야기를 다룬다.[4] 또 다른 한나-바베라 만화 《공룡 계곡》에서는 과학 교수 존 버틀러와 그의 가족(아내 킴, 십 대 딸 케이티, 어린 아들 그렉, 그리고 개 디거)이 아마존 강에서 래프팅 여행 중 미지의 강 협곡에서 동굴을 통과해 소용돌이에 휩쓸렸다가, 인간이 공룡을 포함한 다양한 선사 시대 생물과 공존하는 신비로운 영역에 도착하는 이야기가 펼쳐진다.[4] 버틀러 가족은 네안데르탈인 동굴 부족을 만나 친구가 된다.[4]

만화에서는 마블 코믹스의 새비지 랜드나 DC 코믹스의 테미스키라와 같은 아이디어가 사용되었다.[4]

참조

[1] 기타 King Solomon's Mines
[2] 논문 Imperial Barbarians: Primitive masculinity in Lost World fiction http://journals.camb[...] 2012-05-18
[3] 서적 The Lost Worlds Romance: From Dawn Till Dusk Greenwood Press
[4] 웹사이트 The Lost World Reader's Guide http://www.lostworld[...] The Lost World Read
[5] 웹사이트 Sex, Jingoism & Black Magic: The Weird Fiction of Dennis Wheatley http://www.violetboo[...] 2000
[6] 백과사전 Lost Lands and Continents 2019-03-11
[7] 논문 Imperial barbarians: primitive masculinity in Lost World fiction http://journals.camb[...] Cambridge University Press
[8] 서적 冒険小説論 早川書房
[9] 서적 King Solomon's Mines The Reader's Digest
[10] 서적 冒険小説論 早川書房
[11] 기타
[12] 서적 キング・コング学入門 創元推理文庫
[13] 서적 解説 創元推理文庫
[14] 서적 SFとはなにか 日本放送出版協会
[15] 서적 The Lost Worlds Romance: From Dawn Till Dusk Greenwood Press
[16] 서적 解説 ハヤカワ文庫
[17] 기타 十九世紀とロースト・ワールド幻想
[18] 서적 恐竜のアメリカ 筑摩書房
[19] 서적 冒険小説論 早川書房
[20] 서적 解説 角川文庫
[21] 서적 解説 徳間文庫
[22] 기타
[23] 서적 日本幻想作家名鑑 幻想文学会出版局
[24] 서적 解説 ちくま文庫
[25] 기타 水中生活者の夢 香山滋
[26] 서적 解説 徳間文庫
[27] 논문 Imperial barbarians: primitive masculinity in Lost World fiction http://journals.camb[...] Cambridge University Press
[28] 서적 King Solomon's Mines The Reader's Digest
[29] 서적 The Lost Worlds Romance: From Dawn Till Dusk Greenwood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