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판타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판타지는 마법, 초자연적 요소, 상상의 세계를 배경으로 하는 문학 장르이다. 신화, 전설, 동화 등에서 기원했으며, 19세기 리얼리즘 문학에 대한 반테제로 등장했다. 아동 문학에서 시작하여 점차 성인 독자를 위한 작품으로 확장되었으며, 공상 과학 소설과도 영향을 주고받으며 발전했다. 판타지는 하이 판타지, 로우 판타지, 현대 판타지 등 다양한 하위 장르로 분류되며, 세계관 구축, 마법, 민속과 신화의 영향 등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에서는 1990년대 PC통신을 통해 성장했으며, 이영도의 《드래곤 라자》를 기점으로 다양한 작품들이 등장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판타지 - 판타지 문학
    판타지 문학은 마법, 초자연적 현상, 가상 세계를 주요 요소로 하는 픽션 장르로, 신화와 전설에 기원을 두며 20세기 중반 톨킨과 루이스의 작품을 통해 대중적 인기를 얻어 현재는 다양한 하위 장르로 확장되고 있고 여러 매체와 학문 분야에서 활용 및 연구되고 있다.
  • 허구 장르 - 판타지 문학
    판타지 문학은 마법, 초자연적 현상, 가상 세계를 주요 요소로 하는 픽션 장르로, 신화와 전설에 기원을 두며 20세기 중반 톨킨과 루이스의 작품을 통해 대중적 인기를 얻어 현재는 다양한 하위 장르로 확장되고 있고 여러 매체와 학문 분야에서 활용 및 연구되고 있다.
  • 예술과 문화 사이드바 - 판타지 문학
    판타지 문학은 마법, 초자연적 현상, 가상 세계를 주요 요소로 하는 픽션 장르로, 신화와 전설에 기원을 두며 20세기 중반 톨킨과 루이스의 작품을 통해 대중적 인기를 얻어 현재는 다양한 하위 장르로 확장되고 있고 여러 매체와 학문 분야에서 활용 및 연구되고 있다.
판타지
지도 정보
장르 및 개념
분야환상 문학
하위 장르뱅시언 판타지
아동 판타지
코믹 판타지
현대 판타지
다크 판타지
요정 이야기
요정 이야기 패러디
판타스티크
매너의 판타지
민속
가스램프 판타지
유령 이야기
그림다크
하드 판타지
하이 판타지
역사 판타지
이세계
라이트 노벨
러브크래프트 호러
로우 판타지
마법소녀
신화펑크
오컬트 탐정 소설
로맨틱 판타지
과학 판타지
선모 소설
스플래터펑크
슈퍼히어로 소설
초자연 소설
소드 앤 샌들
검과 마법
특촬
도시 판타지
괴기 소설
판타지 서부극
무협
특징마법 및 기타 초자연적인 요소
신화, 민속, 전설에서 영감을 얻은 모티프
가상의 세계나 현실의 변형된 버전
종종 영웅적인 인물과 서사적 싸움
미디어
예술환상 예술
화가
문학작가
판타지 소설
잡지
라이트 노벨
만화 및 애니메이션판타지 만화
만화
애니메이션
웹코믹
영화 및 텔레비전판타지 영화
판타지 텔레비전
기타팟캐스트
출판사
연구 및 주제
장르 연구전설의 생물
판타스틱
프랑스 판타지
기환문학적 역사
러브크래프트 공포
허구의 마법
마법사
종족
종교적 주제
판타지의 기원
톨킨 팬덤
비유와 관습
판타지 세계
팬덤해리 포터 팬덤
러브크래프트 팬덤
슈렉 팬덤
톨킨 팬덤
기타
관련 분류판타지

하위 장르
텔레비전
비유
포털포털

2. 역사

문학사에서 판타지의 기원을 찾으면 고대와 중세의 서적에 기록된 신화전설, 영웅 이야기 등에 이른다.。예를 들어 『베오울프』, 『니벨룽겐의 노래』, 중세 로망스, 아서왕 전설 등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신화와 전설을 소재로 하여 만들어진 수많은 문학 작품이 판타지의 원류가 되었고, 또한 판타지의 계보에는 이솝 이야기와 같은 동화에서 아동 문학으로 이어지는 흐름도 있다.。

근대 문학에서 판타지는 19세기부터 20세기 초에 걸쳐 번성했던 리얼리즘 문학에 대한 반(反)테제로 출발했다.。즉, 소설 세계의 규칙은 현실 세계에 준하여 현실의 한 장면으로 존재할 수 있는 이야기라는 리얼리즘 문학에 대해, 소설 세계의 규칙을 소설 세계에서 규정하고 현실에는 있을 수 없는 이야기를 판타지 문학이라고 불렀던 것이다.。

초기 판타지는 주로 아동 문학 분야에서 볼 수 있다. 즉 찰스 킹즐리의 『물의 아이들: 육지의 아이들을 위한 동화』(1863년)이나 루이스 캐롤의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1865년) 등이다. 이 작품들은 이미 단순히 어린이를 위한 것이 아니라 어른을 위한 함축적인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초기 판타지 문학으로서의 특징을 지니고 있다. 그 후의 흐름으로는 라이먼 프랭크 바움의 『오즈의 마법사』(1900년), 제임스 매슈 배리의 『피터 팬과 웬디』(1911년), 패멀라 트래버스의 『바람을 타고 온 메리 포핀스』(1934년) 등이 있다. 이들도 판타지 문학과 아동 문학 모두로 분류된다.

이윽고 판타지는 아동 문학의 한 분야로 취급되면서도, 점차 대상(독자)을 어른에게까지 넓히고, 또 공상 과학 소설과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발전해 간다. 아동 문학으로 분류되지 않는 어른을 위한 판타지로는 로버트 네이선의 『제니의 초상』(1939년)이나 잭 피니의 『게일즈버그의 봄을 사랑하여』(1963년) 등이 대표작으로 꼽힌다. 다만 이 두 작품은 공상 과학 소설의 시간 테마 작품으로서도 취급되고 있으며, 판타지 문학과 SF 모두로 분류되는 작품이기도 하다.

2. 1. 초기 역사

세계 각지의 신화와 민담은 판타지 장르의 중요한 기원이 되었다.[14] 특히, 서구권에서는 그리스 로마 신화, 노르드 신화, 켈트 신화 등이 판타지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23][24] 고대 그리스 문학의 주요 장르였던 신화는 환상적인 요소를 포함하고 있었으며,[19] 아리스토파네스의 희극 ''새들''에서는 구름 위에 도시를 건설하고 제우스의 권위에 도전하는 내용이 나타난다.[20] 오비디우스의 ''변신 이야기''와 아풀레이우스의 ''황금 당나귀''는 인간이 동물이나 무생물로 변하는 복잡한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이는 판타지 장르의 발전에 영향을 미친 작품이다.[20]

플라톤은 풍유를 사용하여 가르침을 전달했고,[20] 초기 기독교 작가들은 구약신약성경을 영적인 진실을 전달하기 위한 비유로 해석하여, 문자 그대로 사실이 아닌 이야기에서 의미를 찾는 능력을 통해 현대 판타지 장르가 발전할 수 있는 기반이 되었다.[20]

이슬람 세계에서 가장 잘 알려진 소설은 여러 고대 및 중세 민담을 모아 놓은 ''천일야화 (아라비안나이트)''이며, 알라딘, 신밧드, 알리 바바 등의 등장인물들은 서구 문화에서 문화적 아이콘이 되었다.[21] 힌두 신화는 인도 서사시에서 더 많은 환상적인 이야기와 등장인물을 가지고 있으며, ''판차탄트라''(''비드파이의 우화'')는 다양한 동물 우화와 마법 이야기를 사용하여 인도의 정치학 원리를 설명했다.

''보라색 요정 이야기''(1906)에 실린 삽화


동양에서는 한국의 단군 신화, 중국의 서유기, 일본의 고지키 등 다양한 신화와 전설이 판타지 작품의 소재로 활용되고 있다. 문학사에서 판타지의 기원은 고대와 중세의 서적에 기록된 신화전설, 영웅 이야기 등에서 찾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오울프』, 『니벨룽겐의 노래』, 중세 로망스, 아서왕 전설 등이 있다.

''베오울프''는 영어권에서 가장 잘 알려진 고대 영어 이야기 중 하나이며, 판타지 장르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22] 존 가드너의 ''그렌델''과 같이 여러 판타지 작품이 이 이야기를 다시 풀어냈다.[22]

이러한 신화와 전설을 소재로 하여 만들어진 수많은 문학 작품이 판타지의 원류가 되었고, 판타지의 계보에는 이솝 이야기와 같은 동화에서 아동 문학으로 이어지는 흐름도 있다. 근대 문학에서 판타지는 19세기부터 20세기 초에 걸쳐 번성했던 리얼리즘 문학에 대한 반테제로 출발했다. 초기 판타지는 주로 아동 문학 분야에서 볼 수 있으며, 찰스 킹즐리의 『물의 아이들: 육지의 아이들을 위한 동화』(1863년), 루이스 캐롤의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1865년) 등이 대표적이다.

2. 2. 근대 판타지의 형성

존 러스킨의 《황금강의 왕》(1841)보다 앞서 출판되었지만, 현대 판타지 문학의 역사는 보통 《판타스테스》(1858)와 《고블린 공주》(1872)와 같은 소설을 쓴 스코틀랜드 작가 조지 맥도널드로부터 시작되었다고 여겨진다.[26] 전자는 성인을 위해 쓰여진 최초의 판타지 소설로 널리 여겨진다. 맥도널드는 J.R.R. 톨킨과 C.S. 루이스 모두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26] 이 시대의 또 다른 주요 판타지 작가는 영국의 시인 윌리엄 모리스였는데, 그는 19세기 후반에 《세상 저편의 숲》(1894)과 《세상 끝의 우물》(1896)을 포함한 여러 편의 소설을 썼다.

1920년판 조지 맥도널드의 소설 《고블린 공주》 삽화


맥도널드의 후속 작품 《북풍의 뒤편에서》(1871), 당대의 인기를 누렸던 모리스의 작품, 그리고 H.G. 웰스의 《놀라운 방문》(1895)에도 불구하고, 판타지 소설이 대중에게 널리 알려지기 시작한 것은 20세기가 되어서였다. 던세이 경은 소설과 단편 소설 형식 모두에서 이 장르의 인기를 확립했다. H. 라이더 해거드, 러디어드 키플링, 그리고 에드거 라이스 버로스는 이 무렵 판타지를 쓰기 시작했다. 이들 작가는 아브라함 메리트와 함께 "잃어버린 세계" 하위 장르를 확립했는데, 이는 20세기 초반 가장 인기 있는 판타지 형식이었다.

아동 판타지는 성인을 위한 판타지보다 더 받아들여졌기 때문에, 판타지를 쓰고 싶어하는 작가들은 자신의 작품을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형식에 맞춰야 했다.[27] 내덜니얼 호손은 아동을 위해 쓰인 《소녀와 소년을 위한 경이로운 책》에서 판타지를 썼지만,[28] 그의 성인을 위한 작품은 판타지에 가까워졌을 뿐이다.

정치적, 사회적 동향은 사회가 판타지에 대해 받아들이는 방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20세기 초, 중국의 신문화운동은 서구화와 과학에 대한 열정으로 전통 중국 문학의 환상적인 신모 장르를 비난했다. 공산당이 권력을 잡은 후에도 초자연적인 이야기는 계속 비난되었고, 중국 본토는 문화 대혁명이 끝난 후에야 판타지 부흥을 경험했다.[29]

아동 문학으로 분류되지 않는 근대 판타지의 형성은, 1920년대부터 1940년대에 걸쳐 번성했던 펄프 매거진을 시초로 할 수 있다. 특히 SF와 판타지의 경계라고도 할 수 있으며, 양쪽 모두로 분류되는 에드거 라이스 버로즈의 화성 시리즈(제1작 『화성의 공주』는 1912년에 원형이 발표되어 1917년에 완성됨), 로버트 E. 하워드의 영웅 판타지의 최초 완성형이라고도 불리는 코난 시리즈(1932년에 제1작 발표)가 이 시대의 대표작이며, 동시에 J.R.R. 톨킨 이전의 근대 판타지 문학의 한 유형이라고 할 수 있다.

동시대의 특필할 만한 사항으로는, 1923년 창간의 펄프 매거진 『위어드 테일즈』, 마찬가지로 1939년 창간의 『언노운』의 두 잡지의 존재이다. 『위어드 테일즈』는 호러 픽션에, 『언노운』은 과학소설에 가까운 잡지이지만, 판타지적인 요소도 강하며, 톨킨 이전의 근대 판타지 형성에는 무시할 수 없는 존재가 되고 있다.

1910년대부터 펄프 매거진의 시장이 사실상 소멸하는 제2차 세계 대전 직전까지의 기간에서는, 시장을 봐도 판타지라는 장르는 黎明期였다. 예를 들어, 아동 문학으로 분류되지 않는 어른을 위한 판타지 작품을 전문적으로 소개하는 펄프 매거진은 사실상 존재하지 않는다. 이 시대의 판타지 작품은, 사실상 호러 노벨이나 당시 번성했던 괴인물이라고 불리는 위어드 메나스, 그리고 과학소설의 시장 속에서 발표되고 있으며, 시장으로서도 장르로서도 독립된 존재로 인식되는 것은 1930년대 후기에 전술한 『언노운』지나 『Fantastic Adventures』지 등이 창간한 무렵부터이다.

근대 판타지 문학의 전환점이 된 작품은 J・R・R・톨킨의 『반지의 제왕』(1937년부터 1949년 집필, 1954년 출간)이다. 『반지의 제왕』은 1960년대 후반 북미에서 인기를 얻었고, 그 영향으로 많은 판타지 작가들이 등장했다.[57] 톨킨 작품의 영향은 문예 이외의 형식의 표현에도 미치고 있다.

유럽에서는 톨킨의 "리얼리즘 문학에 대한 반(反)테제"라는 제2자적 입장에서 벗어난 "신화의 구축"이라는 독자적인 입장이나, 전문 지식을 활용하여 허구의 신화부터 인공 언어까지 만들어 배경 세계를 구축하고 있다는 점 등이 높이 평가되고 있다. 이 점에서 톨킨은 종래의 판타지 작가들과는 확연히 구분되는 존재였다. 전문 지식에 따라 세계관을 구축한 유사한 예로는 톨킨의 동료였던 종교학자 C・S・루이스의 『나니아 연대기』 시리즈(1950년 - 1956년)나, 문화인류학자 상브리지 나오코(上橋菜穂子)의 『모리인』 시리즈(1996년 -) 등이 있다. 이러한 경향의 작품을 "하이 판타지"라고 부르기도 한다.

하지만 톨킨 이전에 상당한 규모를 가진 성인 대상 판타지 문학 시장이 형성되어 있던 미국에서는 사정이 다르다. 북미에서는 톨킨의 문학성이나 세계관은 평가받고, 후에 그 양식의 작품도 만들어지기는 하지만, "신화의 구축"이라는 관점은 전전(戰前) 로버트 E. 하워드 시점에서 이미 형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그것이 평가받는 경우는 드물었다.

사이언스 픽션이 판타지의 요소를 융합한 작품을 다수 내놓은 1960년대부터 1970년대에 걸쳐 유럽과 북미의 교류가 진전되는 과정에서, 1980년대 중반에는 양자의 태도에 그다지 차이가 없어지고 있다.

그 외에도 다양한 작품이 만들어지고 있다. W・P・킨셀라의 『슈어리스 조』(1982년)는 판타지의 걸작으로 영화화되었다(『필드 오브 드림스』 1989년). J・K・롤링의 『해리 포터』(1997년 -)는 현대 영국의 현실 공간 바로 옆에 마법이 통하는 가상 공간을 배치함으로써 리얼리즘 문학과 판타지 문학의 융합을 도모하는 독특한 작풍을 가지고 있으며, 세계적인 베스트셀러가 되고 있다.

2. 3. 현대 판타지



현대에 이르러 판타지는 더욱 다양한 하위 장르로 분화하며 발전하고 있다.[31] J.K. 롤링의 《해리 포터》 시리즈는 전 세계적인 판타지 열풍을 일으켰으며, 영화로도 제작되어 큰 성공을 거두었다.[31] 로버트 조던의 《시간의 바퀴》 시리즈, 조지 R.R. 마틴의 《얼음과 불의 노래》 시리즈, 스티븐 에릭슨의 몰라잔 서사시 대서사시, 브랜든 샌더슨의 《폭풍광의 기록》 시리즈와 《미스트본》 시리즈, 그리고 안제이 사프콥스키의 《위쳐》 사가 또한 베스트셀러 지위를 얻으며 판타지 장르의 인기를 증명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웹소설 플랫폼을 중심으로 다양한 판타지 작품들이 창작되고 있으며, 게임, 드라마, 영화 등 다양한 매체로 확장되고 있다. 특히, 이세계 전생, 퓨전 판타지, 게임 판타지 등의 하위 장르가 큰 인기를 얻고 있다. 과학 판타지 역할 수행 게임 시리즈 파이널 판타지는 역할 수행 비디오 게임 장르의 아이콘이며, 최초의 수집형 카드 게임인 매직: 더 개더링도 판타지 테마를 가지고 있다.[34]

3. 특징



많은 판타지 작품들은 마법이나 다른 초자연적인 요소들을 주요 플롯 요소, 주제 또는 배경으로 사용한다.[9] 마법, 마법사, 마녀 등)와 마법 생물은 이러한 세계관에서 흔히 볼 수 있다.[7]

판타지의 특징적인 요소는 작가가 역사나 자연에 의존하지 않고도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는 서사적 요소들을 사용하는 것이다.[10] 이는 현실의 역사와 자연 법칙을 따라야 하는 현실주의 소설과는 다르다. 판타지에서는 세계관 구축을 통해 현실에서는 불가능한 등장인물, 상황 및 배경을 창조할 수 있다.

많은 판타지 작가들은 실제 세계의 민속과 신화를 영감의 원천으로 사용한다.[11] 판타지 장르는 마법과 같은 초자연적인 요소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지만,[12] 반드시 그래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판타지는 공상과학소설, 공포 소설과 함께 추측 소설의 주요 범주이다. 판타지는 서사적 요소의 개연성으로 공상과학소설과 구분된다. 공상과학소설의 서사는 논리적인 과학적 또는 기술적 외삽을 통해 가능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가능성이 낮은 반면, 판타지 서사는 과학적으로 가능할 필요가 없다.[10] 효과적인 판타지를 쓰기 위해 작가는 독자의 믿음의 정지, 즉 즐거움을 위해 믿을 수 없거나 불가능한 것을 받아들이는 것을 의존해야 한다. 공포 소설은 주로 주인공의 약점이나 적대자에게 대처할 수 없는 능력을 통해 공포를 불러일으킨다는 점에서 판타지와 구별된다.[13]

판타지의 특징으로서 어휘와 용어에 구애하는 형식주의가 있다. 허구의 설정에 일관성과 견고한 구조를 갖게 하고 복잡한 사상을 전달하기 위해 선택된 역사를 지닌다. 예를 들어, 일본의 아동문학 연구자인 이시이 모모코는 『아이와 문학』(1960년)의 판타지 장에서 그렇게 지적하고 있다.

필립 풀먼이나 J. K. 롤링은 작품 속에 기독교적 도그마가 담긴 『나니아 연대기』에 대해 강력하게 비판하는 등, 외관으로부터 사상이나 종교에 치우친 경향에 대한 비판도 있다. 오늘날 문예에 대해서는 우회적인 사상보다 현실 사회가 지닌 문제에 개인이 어떻게 대처하는지를 시사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여기서 형식주의를 이용한 새로운 창작자들은 현실과 사상 모두를 수용하여 문제에 대처하는 수사법을 작품의 주제로 삼고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작품 자체가 어른인 작가의 집필론에 머물러 있으며, 더 나아가 미이즘으로 심화되고 있다는 비판이 있다. 작가 사네토 아키라는 『초격암폭소정담・뭐가 어렵다는 거야! 아동문학』(2000년, 성운사)에서 판타지의 “불연속성”을 지적하고 있다.

3. 1. 마법과 초자연적 요소

많은 판타지 작품들은 마법이나 다른 초자연적인 요소들을 주요 플롯 요소, 주제 또는 배경으로 사용한다.[9] 마법, 마법사, 마녀 등)와 마법 생물은 이러한 세계관에서 흔히 볼 수 있다.[7]

판타지의 특징적인 요소는 작가가 역사나 자연에 의존하지 않고도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는 서사적 요소들을 사용하는 것이다.[10] 이는 현실의 역사와 자연 법칙을 따라야 하는 현실주의 소설과는 다르다. 판타지에서는 세계관 구축을 통해 현실에서는 불가능한 등장인물, 상황 및 배경을 창조할 수 있다.

많은 판타지 작가들은 실제 세계의 민속과 신화를 영감의 원천으로 사용한다.[11] 판타지 장르는 마법과 같은 초자연적인 요소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지만,[12] 반드시 그래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판타지는 공상과학소설, 공포 소설과 함께 추측 소설의 주요 범주이다. 판타지는 서사적 요소의 개연성으로 공상과학소설과 구분된다. 공상과학소설의 서사는 논리적인 과학적 또는 기술적 외삽을 통해 가능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가능성이 낮은 반면, 판타지 서사는 과학적으로 가능할 필요가 없다.[10] 효과적인 판타지를 쓰기 위해 작가는 독자의 믿음의 정지, 즉 즐거움을 위해 믿을 수 없거나 불가능한 것을 받아들이는 것을 의존해야 한다. 공포 소설은 주로 주인공의 약점이나 적대자에게 대처할 수 없는 능력을 통해 공포를 불러일으킨다는 점에서 판타지와 구별된다.[13]

판타지의 특징으로서 어휘와 용어에 구애하는 형식주의가 있다. 허구의 설정에 일관성과 견고한 구조를 갖게 하고 복잡한 사상을 전달하기 위해 선택된 역사를 지닌다. 예를 들어, 일본의 아동문학 연구자인 이시이 모모코는 『아이와 문학』(1960년)의 판타지 장에서 그렇게 지적하고 있다.

필립 풀먼이나 J. K. 롤링은 작품 속에 기독교적 도그마가 담긴 『나니아 연대기』에 대해 강력하게 비판하는 등, 외관으로부터 사상이나 종교에 치우친 경향에 대한 비판도 있다. 오늘날 문예에 대해서는 우회적인 사상보다 현실 사회가 지닌 문제에 개인이 어떻게 대처하는지를 시사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여기서 형식주의를 이용한 새로운 창작자들은 현실과 사상 모두를 수용하여 문제에 대처하는 수사법을 작품의 주제로 삼고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작품 자체가 어른인 작가의 집필론에 머물러 있으며, 더 나아가 미이즘으로 심화되고 있다는 비판이 있다. 작가 사네토 아키라는 『초격암폭소정담・뭐가 어렵다는 거야! 아동문학』(2000년, 성운사)에서 판타지의 “불연속성”을 지적하고 있다.

3. 2. 세계관 구축

많은 판타지 작품들은 마법이나 다른 초자연적인 요소들을 주요 플롯 요소, 주제 또는 배경으로 사용하며, 마법사, 마녀, 마법 생물 등이 이러한 세계관에서 흔히 등장한다.[9][7] 판타지 작가는 세계관 구축을 통해 현실에서는 불가능할 수도 있는 등장인물, 상황 및 배경을 창조하며, 이는 현실의 역사와 자연 법칙을 따르는 현실주의 소설과 구별된다.[10]

많은 판타지 작가들은 실제 세계의 민속과 신화를 영감의 원천으로 사용하며,[11] 판타지 장르에서 마법과 같은 초자연적인 요소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12] 효과적인 판타지 집필을 위해서는 독자의 믿음의 정지가 필요하다.[10] 판타지는 추측 소설의 주요 범주로서 공상과학소설, 공포 소설과 비교되는데, 서사적 요소의 개연성으로 공상과학소설과 구분되며, 주인공의 약점이나 대처 불가능한 능력으로 공포를 불러일으키는 공포 소설과도 구별된다.[13]

일본의 아동문학 연구자 이시이 모모코(石井桃子)는 『아이와 문학』(1960년)에서 판타지의 어휘와 용어에 구애받는 형식주의를 지적했다. 필립 풀먼(Philip Pullman)이나 J. K. 롤링(J. K. Rowling)은 『나니아 연대기』(1950년-1952년)에 기독교적 도그마가 담겨있다고 비판하는 등, 외관으로부터 사상이나 종교에 치우친 경향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오늘날 문예는 우회적인 사상보다 현실 사회의 문제에 개인이 어떻게 대처하는지를 시사하는 것이 요구된다. 작가 사네토 아키라(さねとうあきら)는 『초격암폭소정담・뭐가 어렵다는 거야! 아동문학』(2000년, 성운사)에서 판타지의 “불연속성”을 지적하기도 했다.

3. 3. 민속과 신화의 영향

많은 판타지 작품들은 실제 세계의 민속과 신화를 영감의 원천으로 사용한다.[11] 이는 판타지 세계관에 깊이와 현실감을 부여하며, 독자들에게 친숙하면서도 새로운 경험을 제공한다. 문학사에서 판타지의 기원을 찾으면 고대와 중세의 서적에 기록된 신화전설, 영웅 이야기 등에서 찾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오울프』, 『니벨룽겐의 노래』, 중세 로망스, 아서왕 전설 등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신화와 전설을 소재로 하여 만들어진 수많은 문학 작품이 판타지의 원류가 되었다.

4. 분류

판타지는 특정 주제나 배경, 또는 다른 문학 장르나 공상 과학 소설의 형태와의 중첩을 특징으로 하는 수많은 하위 장르를 포함한다.


  • 뱅시안 판타지: 존 켄드릭 뱅스의 이름을 딴, 사후 세계에서 유명한 역사적 인물과의 상호 작용을 다룬다.
  • 코믹 판타지: 유머러스한 어조를 가진다.
  • 현대 판타지: 현대 세계 또는 현대를 기반으로 한 세계를 배경으로 하지만 마법이나 다른 초자연적인 요소를 포함한다.
  • 다크 판타지: 호러 소설의 요소를 포함한다.
  • 유사 판타지 제품: 파생 작품에 대한 경멸적인 용어이다.[36]
  • 우화: 비인간적인 등장인물이 등장하는 이야기로, "교훈"이나 가르침으로 이어진다.
  • 동화 자체뿐만 아니라 동화의 주제를 활용하는 동화 판타지
  • 환상시: 환상적인 주제를 가진 시
  • ''판타스틱'': 초자연적인 요소가 이야기의 현실적인 틀에 침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르로, 그 존재에 대한 불확실성을 동반한다.
  • 매너 판타지 (매너펑크): 매너 코미디 방식으로 사회적 지위 문제에 초점을 맞춘다.
  • 가스램프 판타지: 빅토리아 시대 또는 에드워드 시대를 배경으로 하며, 고딕 소설의 영향을 받았다.
  • 신과 악마 소설(''선모''): 중국 신화의 신과 괴물을 포함한다.
  • "그림다크" 소설: 특히 폭력적인 어조나 디스토피아적 주제를 가진 소설에 대한 다소 반어적인 표현이다.
  • 하드 판타지: 초자연적인 측면이 내부적으로 일관되고 설명 가능하도록 의도된 것으로, 하드 SF와 유사하게 명명되었다.
  • 영웅 판타지: 상상의 땅에서 영웅들의 이야기에 관심을 갖는다.
  • 하이 판타지 (서사시 판타지): 서사적인 규모의 줄거리와 주제를 특징으로 한다.
  • 역사 판타지: 판타지 요소가 포함된 역사 소설
  • 이세계 이능: 주로 일본 소설(애니메이션, 라이트 노벨, 만화)에서 현실 세계에서 다른 세계로 이동하는 사람들을 다룬다.
  • 청소년 판타지: 판타지 요소가 포함된 아동 문학
  • 리트RPG: 탁상용 또는 컴퓨터 롤플레잉 게임을 배경으로 하며, 게임의 진행과 메커니즘을 묘사한다.
  • 로우 판타지: 하이 판타지와 대조적으로 초자연적인 요소가 거의 없거나 미미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 매직 리얼리즘: 사소한 초자연적인 요소를 통합하는 문학 소설 장르
  • 마법소녀 판타지: 주로 일본 소설에서 마법 능력을 가진 어린 소녀들을 포함한다.
  • 초자연 로맨스: 초자연적인 또는 환상적인 생물이 등장하는 로맨스 소설
  • 로맨틱 판타지: 로맨틱한 관계에 초점을 맞춘다.
  • SF 판타지: 고급 기술, 외계인, 우주 여행과 같은 공상 과학 소설의 요소를 포함하지만 환상적인 것들도 포함하는 판타지
  • 스팀펑크: 때때로 일종의 판타지인 장르로, 19세기 증기 기술(역사 판타지와 SF 판타지 모두와 겹침)의 요소를 포함한다.
  • 검과 마법: 검을 휘두르는 영웅들의 모험으로, 일반적으로 서사시 판타지보다 범위가 제한적이다.
  • 도시 판타지: 도시를 배경으로 한다.
  • 괴기 소설: "판타지"와 "호러"라는 용어가 널리 사용되기 전의 섬뜩하고 불안한 이야기. 보다 현대적인 형태의 슬립스트림 소설과 뉴 위어드도 참조.
  • 선협 (장르): 신, 요정, 악마, 마법의 영역, 윤회와 같은 판타지 요소를 종종 통합하는 중국 무술 소설


앞서 설명했듯이, 판타지는 상당히 성격이 다른 여러 작품군을 포함하고 있으며, 그것들은 하위 장르를 형성하고 있다.

  • 하이 판타지: 다른 세계, 특히 초자연 현상이 당연하게 존재하는 허구의 세계를 무대로 한 판타지.
  • : 1차적인 요소로서 이세계 창조를 중심으로 하며, 이 세상이 아닌 존재·현상이 자연법칙으로 존재하는 세계를 무대로 한 판타지를 가리킨다.
  • : 대립하는 개념으로 후술하는 로우 판타지가 존재하지만, 이쪽에는 명확한 정의가 없다고 여겨진다.
  • * 에픽 판타지: 서사시 판타지.
  • * 히어로 판타지: 영웅 판타지. 주로 주인공이 초자연적인 힘을 가지고 악의 세력을 토벌하는 형식.
  • * 역사 판타지/Historical fantasy영어
  • * 다크 판타지: 암울한 전개나 비극적인 전개를 중시한 판타지.
  • * 배틀 판타지
  • * 이세계 전이 판타지: 현실(을 모델로 한 세계)의 주민이 이세계로 이동하여, 거기서 어떤 활약을 하는 판타지. (현재 세계의 시간 축을 사용하여 이동하거나, 전생·전이한 주인공이 활약하는 이 장르는 하이 판타지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 * 동양 판타지
  • ** 중화풍 판타지
  • ** 일본풍 판타지
  • 로우 판타지: 앞서 언급한 하이 판타지와 대립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현실 세계를 무대로 하며, 초자연적인 요소가 가미된 판타지를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 * 오컬트 판타지/Occult detective fiction영어: 마법이나 유령, 초고대 문명 등과 같이 오컬트로 분류되는 것을 주제로 한 판타지.
  • * 전기 판타지
  • * 초능력 배틀 판타지(초능력)
  • 사이언스 판타지: SF와 판타지의 요소를 혼합한 작품.
  • 동화·메르헨 판타지: 막연한 설정, 고정관념적인 인물, 의인화, 마법이 당연하게 받아들여지는 등, 전승 문학의 특징을 가진 판타지.
  • 게임 판타지: 레벨·용사·스테이터스·몬스터·마왕 등, RPG의 여러 요소의 존재를 전제로 한 세계를 그리는 판타지.
  • *마왕물: 사악한 마왕과 그것에 맞서는 용사라는 RPG의 왕도 전개를 전제로 한 패러디적인 판타지.
  • 로맨틱 판타지/Romantic fantasy영어 - 로맨스 판타지의 약자로, 연애 요소를 포함한 판타지 작품의 장르.[60]

4. 1. 주제별 분류 (하위 장르)

판타지는 다른 장르나 배경 설정과 결합하기 용이하여 다양한 하위 장르를 만들어낸다.

  • 하이 판타지: 현실과 무관한 가공의 세계관을 배경으로 하는 판타지이다. 특히 초자연 현상이 당연하게 존재하는 허구의 세계를 무대로 하며, 1차적인 요소로서 이세계 창조를 중심으로, 이 세상이 아닌 존재나 현상이 자연법칙으로 존재하는 세계를 무대로 한다.
  • * 에픽 판타지: 서사시 판타지이다.
  • * 히어로 판타지: 영웅 판타지로, 주로 주인공이 초자연적인 힘을 가지고 악의 세력을 토벌하는 형식이다.
  • 로우 판타지: 하이 판타지와 대조적인 개념으로, 현실 세계를 배경으로 하되 마법 등의 초자연적 요소가 가미된 판타지를 가리킨다. 명확한 정의는 없지만, 현실 세계를 무대로 하며 초자연적인 요소가 가미된 판타지를 지칭하는 경우가 많다.
  • * 오컬트 판타지/Occult detective fiction영어: 마법, 유령, 초고대 문명 등 오컬트로 분류되는 것을 주제로 한다.
  • * 전기 판타지
  • * 초능력 배틀 판타지(초능력)
  • 역사 판타지/Historical fantasy영어: 역사적 사실에 판타지적 요소를 결합한 판타지이다.
  • 현대 판타지: 현대 사회를 배경으로 하는 판타지이다.
  • 다크 판타지: 어둡고 잔혹하며 암울하거나 비극적인 전개를 중시하는 판타지이다.
  • 코믹 판타지: 작품의 톤이 해학적인 판타지이다.
  • 로맨틱 판타지/Romantic fantasy영어: 로맨스를 중심으로 하는 판타지로, 연애 요소를 포함한다.[60]
  • 게임 판타지: 게임의 시스템이나 설정을 차용한 판타지로, 레벨, 용사, 스테이터스, 몬스터, 마왕롤플레잉 게임(RPG)의 여러 요소의 존재를 전제로 한 세계를 그린다. 이영도의 《드래곤 라자》가 그 예시이다.
  • *마왕물: 사악한 마왕과 그에 맞서는 용사라는 롤플레잉 게임(RPG)의 왕도 전개를 전제로 한 패러디적인 판타지이다.
  • 퓨전 판타지: 여러 장르의 요소를 혼합한 판타지이다.
  • 이세계물: 주인공이 현실 세계에서 다른 세계로 이동하는 이야기를 다루는 판타지이다. 현실(을 모델로 한 세계)의 주민이 이세계로 이동하여 활약하는 내용을 다룬다. (현재 세계의 시간 축을 사용하여 이동하거나, 전생·전이한 주인공이 활약하는 이 장르는 하이 판타지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 한국형 판타지: 한국의 역사, 문화, 정서를 반영한 판타지이다. 이영도의 《눈물을 마시는 새》, 전민희의 《룬의 아이들》이 대표적이다.
  • 동양 판타지: 동양(주로 한국, 중국, 일본)의 전통적인 세계관을 바탕으로 하는 판타지이다.
  • ** 중화풍 판타지
  • ** 일본풍 판타지
  • 사이언스 판타지: 사이언스 픽션(SF)와 판타지의 요소를 혼합한 작품이다.
  • 동화·메르헨 판타지: 막연한 설정, 고정관념적인 인물, 의인화, 마법이 당연하게 받아들여지는 등, 전승 문학의 특징을 가진 판타지이다.
  • **배틀 판타지


4. 2. 서사기능적 분류

파라 멘들레손은 2008년 책 ''Rhetorics of Fantasy''에서 판타지를 “환상이 서사에 진입하는 수단”을 통해 분류하는 방법을 제안했다.[61]

  • '''포털 판타지'''(Portal fantasy): 판타지 세계가 따로 존재하고, 주인공이 그 세계에 진입하여 이야기가 전개되는 유형이다. 오즈의 마법사, 사자, 마녀, 그리고 옷장 등이 대표적이다.[39][40] 일본에서는 이세계 장르라고 불린다.
  • '''몰입형 판타지'''(Immersive fantasy): 환상적인 요소들이 자연스러운 것으로 여겨지는 완전한 세계를 배경으로, 독자는 등장인물의 시각을 통해 세계를 이해한다. SF와 친연성이 높으며, “경이의 감각”을 의식적으로 부정하는 서사기법을 사용한다.[42] 차이나 미에빌퍼디도 스트리트 정거장 등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 '''틈입형 판타지'''(Intrusion fantasy): 환상적 요소가 현실을 침범하고, 주인공이 이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이야기가 진행된다. 리얼리즘적이며, 묘사와 설명에 의존적이다.[43] 드라큘라, 메리 포핀스 등이 대표적이며, 프랑스어권에서는 판타스틱이라는 별개의 장르로 취급된다.[44]
  • '''리미널 판타지'''(Liminal fantasy): 환상적 존재가 현실세계에 나타나지만, 그것이 이상하게 여겨지지 않거나 이상하게 여기는 지점이 상식과 다른 유형이다. 독자에게 소격효과를 발생시킨다.[45] 조앤 에이컨의 아미티지 가족 시리즈가 그 예시인데, 아미티지 가족은 유니콘이 월요일이 아닌 화요일에 나타났다고 놀란다.[44]

5. 한국 판타지

한국 판타지 문학은 1990년대 PC통신을 통해 성장하기 시작했다. 이영도의 《드래곤 라자》는 한국형 판타지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후 《퇴마록》, 《눈물을 마시는 새》, 《룬의 아이들》 등 다양한 한국 판타지 소설들이 출간되며 큰 인기를 얻었다. 최근에는 웹소설 플랫폼을 중심으로 다양한 한국 판타지 작품들이 창작되고 있으며, 게임, 드라마, 영화 등 다양한 매체로 확장되고 있다. 한국 판타지는 한국의 역사, 문화, 정서를 반영하여 독자들에게 더욱 친숙하고 매력적인 세계관을 제공하고 있다.

6. 관련 장르


  • 공포 소설은 공포와 불안감을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장르이다.
  • 사이언스 판타지
  • 공상과학 소설은 과학 기술의 발전과 미래 사회를 다루는 장르이다.
  • 슈퍼히어로 소설
  • 초자연 소설
  • 유토피아와 디스토피아 소설은 현실 세계와는 다른 가상의 세계를 배경으로 하는 장르의 총칭이다.

참조

[1] 웹사이트 Fantasy https://www.thefreed[...] 2023-05-03
[2] 웹사이트 Definition of FANTASY https://www.merriam-[...] 2024-09-03
[3] 서적 The Fantastic in Literature Princeton University Press
[4] 서적 Fantasy: The Literature of Subversion Methuen
[5] 서적 Theorising the Fantastic Arnold
[6] 서적 Fantastic Literature: A Critical Reader CT: Praeger.
[7] 웹사이트 fantasy https://www.britanni[...] Encyclopedia Britannica 2023-05-03
[8] 서적 The readers' advisory guide to genre fiction http://worldcat.org/[...]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2001
[9] 웹사이트 fantasy - Students https://kids.britann[...] Encyclopedia Britannica 2023-05-03
[10] 서적 Cambridge Companion to Fantasy Literature
[11] 서적 The Encyclopedia of Fantasy
[12] 서적 The Hills of Faraway: A Guide to Fantasy
[13] 웹사이트 The Key Difference Between Urban Fantasy and Horror https://io9.gizmodo.[...] io9 2017-02-11
[14] 서적 The Encyclopedia of Fantasy Palgrave Macmillan 1997
[15] 서적 The New Testament as Literature: A Very Short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8-10-24
[16] 서적 The Face of the Ancient Orient: Near Eastern Civilization in Pre-Classical Times https://books.google[...] Dover Publications, Inc. 2001-08-09
[17] 서적 Writings from Ancient Egypt https://books.google[...] Penguin Classics 2017-01-03
[18] 서적 Egyptian Myths British Museum Press and University of Texas Press, Austin 2003
[19] 서적 Anthology of Ancient Greek Popular Literature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1998
[20] 서적 Fantasy: The Liberation of Imaginat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2
[21] 서적 The Encyclopedia of Fantasy
[22] 서적 The Encyclopedia of Fantasy
[23] 서적 The Encyclopedia of Fantasy
[24] 서적 The Encyclopedia of Fantasy
[25] 서적 The Fantasy Tradition in American Literature
[26] 서적 Stories about Stories: Fantasy and the Remaking of Myth Oxford University Press 2014
[27] 서적 Of Other Worlds: Essays and Stories
[28] 서적 The Fantasy Tradition in American Literature
[29] 서적 The Monster that is History: History, Violence, and Fictional Writing in Twentieth-century China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30] 서적 Literary Swordsmen and Sorcerers: The Makers of Heroic Fantasy
[31] 서적 After the King: Stories in Honor of J.R.R. Tolkien
[32] 웹사이트 Adventure Game Industry Market Research Summary (RPGs) http://www.rpg.net/n[...] Wizards of the Coast 2007-02-23
[33] 웹사이트 State of the Industry 2005: Another Such Victory Will Destroy Us http://gamingreport.[...] GamingReport.com 2007-02-21
[34] 웹사이트 'Magic' Doubled Since 2008 http://www.icv2.com/[...] 2011-11-10
[35] 웹사이트 The Open Game License as I See It, Part II http://www.montecook[...] montecook.com 2007-03-15
[36] 웹사이트 My love-hate relationship with fantasy https://www.tor.com/[...] Tor.com 2008-08-29
[37] 서적 Rhetorics of Fantasy Wesleyan University Press 2008
[38] 서적 Introduction
[39] 서적 Introduction: The Portal-Quest Fantasy
[40] 서적 Chapter 1
[41] 뉴스 From Wonderland to Outlander, Your Guide to Portals to Other Worlds https://www.phoenixn[...] 2020-03-19
[42] 서적 Introduction: The Immersive Fantasy
[43] 서적 Introduction: The Intrusion Fantasy
[44] 서적 Chapter 3
[45] 서적 Introduction: The Liminal Fantasy
[46] 웹사이트 SEXISM IN GENRE PUBLISHING: A PUBLISHER'S PERSPECTIVE http://www.torbooks.[...] 2013-07-10
[47] 간행물 Medievalism and the Fantasy Heroine 2006-07
[48] 서적 Introduction a la litterature fantastique Seuil
[49] 웹사이트 Todorov's Fantastic Theory of Literature https://www.depauw.e[...]
[50] 서적 Fantasy: The Literature of Subversion Methuen & Co. Ltd. 1981
[51] 서적 The Female Fantastic: Gender and the Supernatural in the 1890s and 1920s Routledge 2019
[52] 서적 幻想文学入門 筑摩書房 2012
[53] 서적 The Hills of Faraway: A Guide to Fantasy
[54] 서적 The Encyclopedia of Fantasy
[55] 서적 The Weak Place in the Cloth
[56] 서적 大辞林 三省堂
[57] 서적 現代イギリス読本 丸善出版 2012
[58] 서적 中世への旅 騎士と城 白水社 2010
[59] 서적 大学で学ぶ西洋史 [古代・中世] ミネルヴァ書房 2006
[60] 웹사이트 Oxford Word of 2024: What should be the word of the year? https://www.bbc.com/[...] 2024-12-06
[61] 서적 Rhetorics of Fantasy https://archive.org/[...] Wesleyan University Press 2008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