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오화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임오화변은 1762년(영조 38년) 영조가 자신의 아들 사도세자를 뒤주에 가두어 죽음에 이르게 한 사건이다. 사도세자는 어릴 때부터 영조의 불신과 엄격한 훈육으로 인해 정신 질환을 앓았고, 비행을 저질렀으며, 이는 노론과 소론의 당쟁에 이용되었다. 영조는 사도세자의 비행을 문제 삼아 그를 폐위하고 뒤주에 가두었으며, 8일 만에 사도세자는 사망했다. 이 사건 이후 사도세자의 아들 정조는 즉위 후 아버지의 억울함을 풀기 위해 노력했고, 사도세자를 장헌세자로 추존했다. 노론은 사도세자의 죽음에 대한 입장에 따라 시파와 벽파로 나뉘어 정쟁을 벌였으며, 대한제국 고종 때 사도세자는 장종으로 추존되고 이후 장조로 추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임오화변 | |
---|---|
사건 개요 | |
원어이름 | 임오화변 |
별칭 | 임오옥, 사도세자사건 |
참가자 | 영조·노론·구선복(친 영조파) 세손 산, 이석문, 홍화보, 권정침, 이이장, 임성, 윤숙, 임덕제(세자 구명 청원자) |
장소 | 한성부 휘령전 |
날짜 | 1762년 (영조 38) 7월 4일 |
사망자 | 장조(사도세자) |
결과 | 세자의 지위를 사도세자의 아들(훗날 정조)가 계승 |
원인 | 영조와 사도세자의 성격적 갈등, 신임의리(辛壬義理)를 둘러싼 노·소론 당론의 대결 구도, 세자를 둘러싸고 궁중 세력과 연계된 당파 간 갈등 등 |
2. 배경
영조는 자신의 서자인 사도세자를 엄하게 키우며 한편으로는 의심했다. 사도세자는 어렸을 때부터 아버지 영조를 크게 두려워했으며, 1749년부터 15세의 나이로 대리청정을 13년 동안 수행하면서 영조와 갈등을 겪었다. 심한 압박 속에 병을 얻은 사도세자는 비행을 저질렀는데, 이는 서로 대립하는 당파였던 노론과 소론의 싸움에 이용되었다.[1]
2. 1. 영조와 사도세자의 갈등
영조는 자신의 서자인 사도세자를 엄하게 키우며 한편으로는 의심했다. 사도세자는 어렸을 때부터 아버지 영조를 크게 두려워했으며, 15세 때인 1749년부터 13년 동안 대리청정을 수행하면서 영조와 갈등을 겪었다.[1] 심한 압박 속에 병을 얻은 사도세자는 비행을 저질렀는데, 서로 대립하는 당파였던 노론과 소론의 싸움에 그의 비행이 이용되었다.사도세자는 장인 홍봉한에게 쓴 편지에서 ‘내 나이가 15세인데 아직 명릉(할아버지인 숙종의 능)을 참배하지 못했다’고 썼는데, 이는 그가 영조의 불신을 받고 있었음을 시사한다.[1] 영조가 병상에 있을 때 신하들이 세자에게 영조에게 약을 올릴 것을 권했지만 사도세자가 거부한 사건이 일어났다.[2]
부인 혜경궁 홍씨는 한중록에서 사도세자가 옷 입기를 꺼리거나 특정 옷감을 꺼리는 의대증(衣帶症)이 있었다고 기록하였다. 한중록은 혜경궁 홍씨가 자신을 변호하기 위해 쓴 글이라고는 하지만, 증상이 구체적으로 상세하게 쓰여 있기 때문에 그 전부를 지어낸 것이라 보기는 어렵다. 사도세자가 스스로 써서 장인 홍봉한에게 보낸 편지에도 자신이 울화증이 있다고 표현하고 있다.[1]
조선왕조실록에도 사도세자가 병이 있었다는 기록이 있고,[3] 그의 아들 정조도 아버지의 병에 대해 언급한 기록이 있다.[4] 또한 정조가 직접 지은 여귀를 달래는 제문에서도 "모년(某年, 1762년(영조 38년)을 말함) 이전의 의지할 곳 없는 귀신을 제사하여, 환후(患候)가 침독(沈篤)했음을 알게 하노니,"라며 사도세자에게 죽은 억울한 원혼들에게 자신의 아버지가 병이 심했음을 알아달라고 하고 있다.
심리학자 강현식은 사도세자의 심리상태를 감정 통제가 되지 않는 조증으로 판단하며 숙종, 영조, 정조에게도 나타나는 집안 내력이라고 보았다.[5]
사도세자는 궁녀와 궁인을 죽이는 등 비행을 저질렀다. 이것이 1762년 5월 22일(양력 6월 14일) 나경언에 의해 영조가 알게 되었다.[6] 사도세자를 옹호하는 노론과 반대하는 소론이 논쟁을 벌였다.
2. 2. 사도세자의 정신 질환과 비행
혜경궁 홍씨는 한중록에서 사도세자가 옷 입기를 꺼리거나 특정 옷감을 꺼리는 의대증(衣帶症)이 있었다고 기록하였다. 《한중록》은 혜경궁 홍씨가 자신을 변호하기 위해 쓴 글이라고는 하지만, 증상이 구체적으로 상세하게 쓰여 있기 때문에 그 전부를 지어낸 것이라 보기는 어렵다. 사도세자가 스스로 써서 장인 홍봉한에게 보낸 편지에도 자신이 울화증이 있다고 표현하고 있다.[1]조선왕조실록에도 사도세자가 병이 있었다는 기록이 있고,[3] 그의 아들 정조도 아버지의 병에 대해 언급한 기록이 있다.[4] 또한 정조가 직접 지은 여귀를 달래는 제문에서도 "모년(某年, 1762년(영조 38년)을 말함) 이전의 의지할 곳 없는 귀신을 제사하여, 환후(患候)가 침독(沈篤)했음을 알게 하노니,"라며 사도세자에게 죽은 억울한 원혼들에게 자신의 아버지가 병이 심했음을 알아달라고 하고 있다.
심리학자 강현식은 사도세자의 심리 상태를 감정 통제가 되지 않는 조증으로 판단하며 숙종, 영조, 정조에게도 나타나는 집안 내력이라고 보았다.[5]
사도세자는 궁녀와 궁인을 죽이는 등 비행을 저질렀다. 이것은 1762년 5월 22일(양력 6월 14일) 나경언에 의해 영조에게 알려졌다.[6]
2. 3. 노론과 소론의 대립
영조는 자신의 서자인 사도세자를 엄하게 키우며 한편으로는 의심했다. 사도세자는 어렸을 때부터 아버지 영조를 크게 두려워했으며, 1749년 15세 때부터 13년 동안 대리청정을 하면서 영조와 갈등을 겪었다. 심한 압박 속에 병을 얻은 사도세자는 비행을 저질렀는데, 서로 대립하는 당파였던 노론과 소론의 싸움에 그의 비행이 이용되었다.3. 임오화변
1762년 윤 5월 13일 영조는 사도세자를 폐서인하고 뒤주에 가두라는 명을 내렸다.[7] 이석문은 이 일로 모든 관직 도구를 버리고, 도연명의 귀거래사를 지어 바치고 낙향하였다.
그 뒤 동궁의 관료들이 뒤주의 틈으로 세자에게 미음과 물을 넣어주다가 발각되자, 영조는 이들의 출입을 금지하였다. 누군가가 세자가 갇힌 뒤주의 틈으로 미음과 물을 넣어준다는 것을 안 영조는 내관을 시켜 뒤주에 유약을 발라 틈새와 통풍을 막았다. 영조는 선전관 구선복을 시켜 뒤주를 감시하게 했고, 이 일로 훗날 정조가 되는 세손 산은 구선복에게 원한을 품게 되었다.
8일 뒤인 윤 5월 21일 세자가 죽자 영조는 세자의 지위를 회복시키며 사도세자(思悼世子)라는 시호를 내렸다.[9]
3. 1. 영조의 명과 신하들의 저항
1762년 윤 5월 13일 영조는 사도세자를 폐위하여 서인(庶人)으로 만들고 뒤주 속에 가뒀다.[7] 영조가 사도세자에게 뒤주에 들어가라고 하자, 무겸 선전관 이석문은 어린 세손 산을 도와 입궐하려 했으나, 수문장들이 이를 저지하였다. 그는 세손을 등에 업고 수문장들을 밀친 뒤 세손을 궁으로 들여보냈다. 세손은 영조에게 가서 아버지를 살려달라고 구원을 청하였다. 이때 권정침(權正忱), 이이장(李彝章), 임성(任珹), 윤숙(尹塾), 임덕제(林德躋) 등이 땅에 머리를 찧고 울며 세자의 억울함을 호소하였다.[8] 화가 난 영조는 권정침을 참형에 처하려 했으나 이석문은 선전관 홍화보(洪和輔)와 함께 이를 의로운 행동으로 여겨 명을 거부하였다.[8]어린 세손 산은 곧 끌려나갔고, 이석문은 엎드려 울며 물러나지 않았다. 영조는 이석문에게 뒤주에 큰 돌을 올리라고 명하였지만, 죽더라도 못하겠다며 역시 거부하고 실행하지 않았다. 1762년 5월 14일 이석문은 삭탈관직당하고 의금부로 끌려갔다. 영조는 의금부에서 그를 직접 국문한 뒤, 곤장 50도를 가하고 도성에서 쫓아냈다.
3. 2. 사도세자의 죽음
1762년 윤 5월 13일 영조는 사도세자를 폐위하여 서인(庶人)으로 만들고 뒤주 속에 가뒀다.[7] 영조가 사도세자를 뒤주에 들어가라 하자, 무겸 선전관 이석문은 어린 세손 산을 도와 입궐하려 했으나, 수문장들이 이를 막았다. 그는 세손을 등에 업고 수문장들을 밀친 뒤 세손을 궁으로 들여보냈다. 세손은 영조에게 가서 아버지를 살려달라고 빌었다. 이때 권정침(權正忱), 이이장(李彝章), 임성(任珹), 윤숙(尹塾), 임덕제(林德躋) 등이 땅에 머리를 찧고 울며 세자의 억울함을 호소하였다.[8]어린 세손 산은 곧 끌려나갔고, 동궁의 관료들이 뒤주의 틈으로 세자에게 미음(죽)과 물을 넣어주다가 발각되자, 영조는 이들의 출입을 금지하였다. 누군가가 세자가 갇힌 뒤주의 틈으로 미음과 물을 넣어준다는 것을 안 영조는 내관을 시켜 뒤주에 유약을 발라서 틈새와 통풍을 막았다. 영조는 선전관 구선복(具善復)을 시켜 뒤주를 감시하게 했고, 이 일로 세손 산(후일의 정조)은 구선복에게 원한을 품게 되었다.
8일 뒤인 윤 5월 21일 세자가 죽자, 영조는 세자의 지위를 회복시키며 사도세자(思悼世子)라는 시호를 내렸다.[9]
4. 사건 이후
정조는 영조의 요절한 맏아들 효장세자의 양자로 입적되었으나, 1777년 즉위 후 자신이 사도세자의 아들이라고 선언하고,[10] 아버지에게 장헌세자(莊獻世子)라는 시호를 올렸다.[11]
노론은 사도세자의 죽음을 애도하는 시파와 그렇지 않은 벽파로 나뉘어, 정조의 탕평책에 대한 입장 차이로 정쟁을 벌였다.
1899년 대한제국 고종은 사도세자를 왕으로 추존하여 시호(諡號)를 장종(莊宗)으로 하였고, 이후 황제로 다시 추존하면서 장조(莊祖)로 바꾸었다.
4. 1. 정조의 즉위와 사도세자 추숭
정조는 영조의 요절한 맏아들 효장세자의 양자로 입적되었으나, 1777년 즉위 후 자신이 사도세자의 아들이라고 선언했다.[10] 정조는 아버지 사도세자에게 장헌세자(莊獻世子)라는 시호를 올렸다.[11] 이후 사도세자를 추존해달라는 상소가 계속되었는데, 그 중 1792년(정조 16) 쓰여진 것은 조선 역사상 처음으로 만 명 이상이 참여한 만인소였다.노론은 사도세자의 죽음을 애도하는 시파와 그렇지 않은 벽파로 나뉘었다. 두 당파는 정조의 탕평책에 대한 입장 차이로 정쟁을 벌였다.
1899년 고종은 사도세자를 왕으로 추대하여 시호(諡號)를 장종(莊宗)으로 하였고, 후에 다시금 황제로 추존하면서 장조(莊祖)로 바꾸었다.
4. 2. 노론 시파와 벽파의 분열
정조는 즉위 초, 자신이 사도세자의 아들임을 선언하고,[10] 아버지에게 장헌세자(莊獻世子)라는 시호를 올렸다.[11] 이후 사도세자를 추존하라는 상소가 이어졌고, 1792년(정조 16)에는 조선 역사상 처음으로 만 명 이상이 참여한 만인소가 올려졌다.이러한 상황에서 노론은 사도세자의 죽음을 애도하는 시파와 그렇지 않은 벽파로 분열되었다. 이 두 당파는 정조의 탕평책에 대한 입장 차이를 보이며 정쟁을 벌였다.
4. 3. 대한제국 시기의 추존
1899년 대한제국 고종은 사도세자를 왕으로 추존하면서 시호(諡號)를 장종(莊宗)이라 하였고, 이후 황제로 다시 추존하면서 장조(莊祖)로 격상시켰다.5. 역사적 평가 및 의의
임오화변은 단순한 왕실의 비극을 넘어, 조선 후기 정치사의 중요한 분기점이 된 사건이다.
참조
[1]
뉴스
“울화증 약 몰래 보내주세요…”
http://news.chosun.c[...]
[2]
웹사이트
http://encykorea.aks[...]
[3]
사료
영조 99권, 38년(1762 임오 / 청 건륭(乾隆) 27년) 윤5월 13일(을해) 2번째기사
[4]
사료
정조 1권, 즉위년(1776 병신 / 청 건륭(乾隆) 41년) 5월 13일(계미) 2번째기사 윤음을 내려 문녀의 죄악을 포고하다
[5]
서적
심리학으로 보는 조선왕조실록
살림
2008
[6]
웹사이트
http://sillok.histor[...]
[7]
웹사이트
http://sillok.histor[...]
[8]
간행물
수당집 (修堂集) 제11권, 시장(諡狀)편, 평암(平庵) 권공(權公) 시장
[9]
웹사이트
http://sillok.histor[...]
[10]
웹사이트
http://sillok.histor[...]
[11]
웹사이트
http://sillok.histor[...]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펜타곤 진호·한지상 등 합류…임오화변 판타지 '쉐도우' 9월 초연 | JTBC 뉴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