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임학은 산림의 보존과 관리를 연구하는 학문으로, 임업 기술자 양성을 목표로 1763년 독일에서 교육이 시작되었다. 이후 유럽과 미국 등지에서 대학 내 임학 학교가 설립되었고, 일본에서는 메이지 유신 이후 서구 임학을 수용하여 교육 체계를 확립했다. 임학 연구는 정치학, 경제학, 공학, 생태학 등 다양한 분야와 융합되어 진행되며, 임목 육종 및 관리, 산림 수확 방법, 벌채지 정비 등 다양한 기술을 포함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벌채 - 나무꾼
나무꾼은 과거 도끼나 톱으로 벌목하던 사람을 지칭하는 용어였으나, 현대에는 로거라는 용어로 대체되었으며, 벌목 기술 발전과 문화적 요소와 관련되어 있고, 높은 산업 재해 위험에도 불구하고 럼버섹슈얼 패션 트렌드를 탄생시키기도 했다. - 벌채 - 체인톱
체인톱은 20세기 초 가솔린 엔진을 동력으로 하는 모델이 등장하여 널리 사용되었으며, 톱 체인과 가이드 바를 이용하여 나무를 절단하는 데 주로 사용되는 본체와 커팅 어태치먼트로 구성된 도구이다. - 삼림경영학 - 혼농임업
- 삼림경영학 - 재배품종
재배품종은 재배를 목적으로 선택되거나 변경된 식물로, 품종, 변종 등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유전자 변형 식물도 포함되고, 국제 재배식물 명명 규약에 따라 명명 및 관리된다. - 숲 - 맹그로브
맹그로브는 열대 및 아열대 해안가 기수역 염성 습지에 형성되는 삼림 생태계를 이루는 나무와 관목 또는 서식지 전체를 뜻하며, 다양한 동식물 서식지 제공, 탄소 저장, 극한 환경 적응, 태생 종자를 통한 번식 등의 특징을 갖지만, 숲 파괴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복원 및 보존 노력이 진행 중이다. - 숲 - 임도
임도는 산림 경영과 보전을 위해 산림 내에 설치되는 아스팔트, 자갈 등으로 포장된 도로를 의미하며, 목재 벌채, 발전소 건설 등의 배경으로 정비되어 대규모 임도, 특정 산림 지역 개발 임도 등으로 분류된다.
임학 | |
---|---|
정의 | |
정의 | 임학은 목재 생산을 위해 숲을 관리하는 기술이다. |
어원 | |
어원 | silvi- (숲) + culture (경작)의 합성어이다. |
2. 임학 교육의 역사
임학 교육은 18세기 독일에서 임업 기술자 양성을 위한 대가 학교(마이스터슐레)에서 시작되었다.[1] 당시 임학의 대가였던 Heinrich Cotta|하인리히 코타de와 게오르크 루트비히 하르티히는 각각 제자들을 양성했다.[1] 이들은 학생들과 함께 생활하며 산림 관리 경영자로서의 자질을 판단하고, 산림관의 책임과 역할, 기술을 가르쳤다.[1] 이후 대학 내 임학 학교가 설립되면서 체계적인 교육이 이루어졌다.[1]
2. 1. 서양
1763년 독일에서 최초의 임업 기술자 교육 방식인 대가 학교(마이스터슐레)가 시작되었다.[1] 게오르크 루트비히 하르티히와 Heinrich Cotta|하인리히 코타de는 각각 대가 학교를 설립하여 제자들을 양성했다.[1] 코타의 학교는 후에 타란트 임학 학교로 발전했다.[1]19세기 이후, 오스트리아, 이탈리아, 스위스 등 유럽 각국에서 대학 내 임학 학교가 설립되었다.[1] 오스트리아의 임학 학교는 1875년에 마리아브룬에서 빈 농과 대학으로 이관되었고, 이탈리아의 임학 학교는 1910년에 피렌체 대학교로 이전되었다.[1] 스위스의 임학 교육은 처음부터 취리히 연방 공과대학교에서 1885년에 시작되었다.[1]
1898년 미국 최초의 임학 학교가 코넬 대학교에 창설되었고,[1] 1900년 예일 대학교에 임학 대학원이 설치되었다.[1] 20세기에는 대부분의 임학 학교가 종합대학 내에 위치하게 되었으며, 일부 독립적인 임학 학교는 기존 대학과 합병되거나 협력 관계를 맺었다.[1]
2. 2. 일본
유신 이후, 마쓰노 미사키는 1870년 후시미 미야(기타시라카와노미야 요시히사 친왕)를 수행하여 독일에 건너가, 1872년에 프로이센의 에버스발데 산림학교에 입학했다. 그는 해외에서 임학을 배운 최초의 일본인이었으며, 에버스발데에서 하르티히에게 가르침을 받고 귀국 후에도 그의 학풍을 전했다. 마쓰노는 일본 임업 교육의 선구자이자 공로자이다.[194]1874년에는 오스트리아의 마리아브룬 산림학교에서 산림 관련 과목을 청강한 오가타 도헤이도 있었다. 그는 1873년 빈 만국 박람회에 사노 쓰네타미의 수행원으로 유럽에 건너가 체류하며 여러 기술을 전수받았다.
1882년, 일본 최초의 임학 고등 교육 기관으로 도쿄 산림학교가 발족했다. 메이지 15년 (1882년) 12월 사이고 주도 농상무경 임석 하에 열린 개교식은 일본 임학 교육사 및 임업 발전사에 획기적인 사건이었다. 산림학교는 당시 문부성이 아니라 농상무성 산림국 직할이었는데, 이는 이러한 교육 기관이 실제 필요에 의해 생겨났음을 보여준다.
고마바 농학교도 권농국 또는 농무국에 직속되었다. 여러 외국도 마찬가지였으며, 당시 프랑스 산림국 사무 규정에는 "산림학교로부터의 신청 승인", "학술 목적의 나무 심기 시험" 등이 포함되어 있어 유사점을 확인할 수 있다.
도쿄 산림학교의 교육 내용 및 방법은 설립 경위에서 알 수 있듯이, 마쓰노가 배운 에버스발데 산림학교와 유사했다. 학과목 구성, 입학 지원 자격 중 수학 습득 정도 조건, 산림 사업 개요 기수 조건 등이 그 예이다.
1886년, 도쿄 산림학교는 고마바 농학교와 합병하여 도쿄 농림학교가 되었고, 본성 직할이 되었다. 1890년, 도쿄 농림학교는 제국대학 농과대학이 되었다. 동시에 문부성에 이관했다.
3. 임학 연구 방법
임학 연구는 여러 학문 분야와 연계하여 이루어진다. 원래는 숲을 자원으로 간주한 임업 측면에서 연구가 주로 이루어졌으나, 현대에는 환경 문제에 중점을 두고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임학 연구 방법은 크게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3. 1. 정치학, 경제학적 접근
현대에는 환경 문제에 중점을 두고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원래 임학은 숲을 자원으로 간주한 임업 측면에서의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임학 연구 방법은 크게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1]이 중에서 정치학, 경제학적 접근은 임업 정책, 경영, 산림 자원 관리 등을 연구한다.
3. 2. 공학적 접근
임업 측면에서 숲을 자원으로 간주하여 치산이나 자원으로서의 목재에 대해 연구하는 공학적 접근이 이루어졌다. 여러 종의 침엽수 씨앗, 특히 가문비나무의 플루오레세인 디아세테이트(FDA) 생화학적 생존력 검사는 종자 묶음에서 생존 씨앗(생존력)의 비율을 추정하며, 따라서 종자 묶음의 발아 비율을 추정한다. 발아율 예측의 정확도는 대부분의 종자 묶음에 대해 +/- 5 이내였다.[41] 가문비나무 씨앗은 플루오레세인 디아세테이트(FDA) 검사[41] 또는 '초음파'와 같은 간접적인 방법이나,[135] '발아'라는 직접적인 성장 방법으로 생존력 검사를 받을 수 있다. 1928년에 검사된 가문비나무 씨앗 샘플은 생존력이 50%에서 100%까지 다양했지만 평균 93%였다.[42] 1915년 검사에서는 가문비나무 씨앗의 생존력이 97%로 보고되었다.[39]3. 3. 생태학, 환경학적 접근
현대에는 숲을 생태계로 파악하여 환경 문제에 중점을 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숲 생태계, 생물 다양성, 기후변화 영향 등이 주요 연구 주제이며, 한국의 특수한 환경 문제와 관련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4. 임목 육종 및 관리
씨앗 휴면은 종 내에서도 일관되지 않은 복잡한 현상이다.[45] 흰가문비나무 씨앗의 휴면을 깨기 위해 저온 층적 처리가 필요하다고 알려져 있지만,[46][47][48][49] 일부 연구자들은 이를 불필요하다고 보았다.[50][51] 원뿔의 취급 및 보관 조건이 휴면에 영향을 주는데, 원뿔을 추출하기 전에 저온 다습한 환경(5°C, 상대 습도 75% ~ 95%)에 보관하면 층적 처리 없이도 휴면이 제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45] Haddon과 Winston (1982)은 2년간 보관된 층적 처리된 씨앗의 생존율 감소를 발견하고, 층적 처리가 씨앗에 스트레스를 유발했을 수 있다고 제안했다.[45]
4. 1. 임목 육종
씨앗 휴면은 복잡한 현상이며 종 내에서도 항상 일관되지는 않는다.[45] 흰가문비나무 씨앗의 휴면을 깨기 위한 저온 층적 처리가 요구 사항으로 명시되었지만,[46][47][48][49] Heit (1961)[50]과 Hellum (1968)[51]은 층적 처리를 불필요하다고 여겼다. 원뿔 취급 및 보관 조건은 휴면에 영향을 미치는데, 추출 전에 원뿔을 저온 다습한 환경(5°C, 상대 습도 75% ~ 95%)에 보관하면 층적 처리의 필요성을 극복하여 휴면이 제거되는 것으로 보인다.[45] 원뿔 보관 기간 동안의 차고 습한 날씨는 자연적인 저온(층적) 처리를 제공할 수 있다. 원뿔 보관에서 휴면이 제거되면, 이후의 건조 및 씨앗 보관은 휴면을 다시 활성화시키지 않았다.Haddon과 Winston (1982)[45]는 2년 동안 보관된 층적 처리된 씨앗의 생존율 감소를 발견했으며, 층적 처리로 인해 스트레스가 발생했을 수 있다고 제안했다. 예를 들어 씨앗 생화학적 변화, 배아 활력 감소, 씨앗 노화 또는 배아에 대한 실제 손상 등이 원인일 수 있다. 그들은 층적 처리되지 않은 샘플에서 높은 발아가 발생했음에도 불구하고, 2년 된 씨앗의 품질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
4. 2. 실비컬처 시스템 (Silvicultural systems)
독일어를 사용하는 유럽에서 기원한 임업은 다양한 임목 재배 시스템을 정의했는데, 여기에는 고목림(Hochwaldde), 표준목을 갖춘 장벌림(Mittelwaldde), 복합 장벌림, 단기 윤벌림, 단벌림(Niederwaldde) 등이 포함된다.[3] 이 외에도 다른 시스템이 존재한다. 이러한 시스템들은 다양한 벌채 방법을 포함하는데, 이는 종종 임목 재배 시스템으로 잘못 불리기도 하지만, 목적에 따라 갱신 또는 재생 방법이라고도 불릴 수 있다.고목림 시스템은 독일어로 다음과 같이 세분화된다:[3]
- 고목림 (Hochwaldde)
- * 임령 구분림 (Altersklassenwaldde)
- ** 동령림
개벌(Kahlschlagde)
모수 벌채(Schirmschlagde)
모수법(Seed tree method)
- ** 이령림
택벌(Femelschlagde)
띠 선택 벌채(띠 및 그룹 벌채) (Saumschlagde)
모수 쐐기 벌채 (Schirmkeilschlagde)
혼합형 재생 방법 (Mischformende)
- * 연속 임관 산림 관리(Dauerwaldde)
- ** 이령림
택벌(Plenterwaldde)
목표 직경 벌채 (Zielstärkennutzungde)
이러한 명칭들은 깔끔하게 정의된 시스템이라는 인상을 주지만, 실제로는 지역 생태 및 입지 조건에 따라 벌채 방법 내에 변형이 존재한다.
온대 기후 및 아한대 기후에서 목재 생산을 문화적으로 전제로 한 임목 재배는 열대 임업을 다루지 않았다. 또한 일본에서는 사토야마라고 불리는 다른 생물 문화적 경관을 만든 대체적인 임목 재배 전통이 발전했다.
4. 3. 갱신 (Regeneration)
임학에서 갱신은 숲을 지속시키고 나무가 없던 땅에 조림을 하는 데 중요한 과정이다. 갱신은 자연적으로 씨앗이 뿌려지는 "자연 갱신"과 인공적으로 씨앗을 뿌리거나 묘목을 심는 "인공 갱신"으로 나눌 수 있다. 어떤 방법이든, 갱신의 성공은 식물이 자랄 수 있는 잠재력과 환경이 그 잠재력을 얼마나 잘 발휘하게 해주는지에 달려있다.[5]자연 갱신은 스스로 뿌려진 씨앗, 뿌리에서 나오는 새싹(뿌리 맹아), 또는 그루터기에서 나오는 싹(그루터기 싹)을 통해 숲이 다시 살아나는 것을 말한다. 자연 상태의 숲에서 침엽수는 주로 씨앗을 통해 번식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활엽수는 그루터기나 부러진 줄기에서 싹이 터서 번식할 수 있다.[6]
발아 검사 결과는 보통 "발아 능력" 또는 "발아율"로 나타내는데, 이는 일정 기간 동안 발아하는 씨앗의 비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흰가문비나무 씨앗은 추출 및 가공 과정에서 서서히 수분을 잃으면서 총 발아율이 증가했다. 온타리오 주 앨곤퀸 공원의 흰가문비나무 씨앗은 14주간의 저온 처리를 거친 후 6일 만에 최대 발아율(94%), 21일 만에 총 발아율 99%를 기록했다.[43] 1% 차아염소산 나트륨으로 전처리하면 발아율이 더 높아졌다. 러시아에서는 농작물 씨앗의 발아 에너지와 발아율을 높이기 위해 초음파를 사용했는데, 이를 바탕으로 흰가문비나무 씨앗에 1~4분간 초음파를 처리했을 때 발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44] 그러나 6분 이상 초음파에 노출된 씨앗은 발아하지 않았다.
씨앗의 성숙도는 구과(솔방울)의 뜨는 정도, 수분 함량, 비중으로는 정확히 예측하기 어렵다. 하지만 브리티시컬럼비아주에서는 배아가 부식 공동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자성배우체가 단단하고 흰색을 띠는 것이 가문비나무 씨앗의 성숙도를 가장 잘 나타내는 지표였다.[57] 퀘벡주에서는 열량 합계와 관련 식물 종인 큰꿩의다리의 꽃차례 모양 변화를 관찰하여 몇 주 전에 씨앗 성숙도를 예측할 수 있다.[58] 씨앗이 성숙하기 1주일 전에 구과를 채집하면 저장 중 씨앗의 발아율과 생존율이 떨어진다.[58] 가문비나무 씨앗은 최대 발아율을 얻기 위해 구과 내에서 6주간의 숙성 기간이 필요하지만,[59] 누적 일평균기온을 기준으로 하면 같은 나무와 임분에서 얻은 종자는 2주간 구과 보관으로 충분했다.[60]
산림 자원 관리자는 나무의 종류, 수(밀도), 분포를 조절하여 성장과 수확량에 영향을 줄 수 있다.[107][108] 북미의 많은 보레알 숲은 예전과 비교했을 때 종 구성이 크게 달라졌다. 이차림에는 원래 숲보다 가문비나무가 적고 활엽수가 더 많다. 온타리오에서는 가문비나무 덮개 유형이 총 산림 면적의 18%에서 4%로 감소했다.[109]
묘목의 성장에는 입지 조건이 큰 영향을 미치므로, 입지의 특성에 맞는 적절한 준비 작업이 필요하다. "표토 파쇄"는[2] "직접 파종 또는 자연 종자 낙하를 통한 재생을 준비하기 위해 개방된 지역의 표토를 풀거나 숲 바닥을 파괴하는 것"으로 정의되지만, 실제로는 잡초가 없는 표면을 만들기 위해 표면의 낮은 식생과 뿌리를 제거하는 작업(스컬핑, 스크리핑, 블레이딩 등)에 잘못 적용되는 경우가 많다. 표토 파쇄된 곳에서 묘목 성장이 더 좋다는 연구 결과도 있지만,[110][111][112] 표토 파쇄가 오히려 성장을 저해할 수 있다는 상반된 연구 결과도 있다.[144][113][114]
소각을 통해 입지를 준비하면 가문비나무 묘목 성장이 향상되기도 하지만,[111] 영양분이 크게 고갈되면 오히려 해로울 수 있다. 다른 식생과의 경쟁도 재생에 큰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노르웨이 가문비나무 숲에서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나타났다.
피복율 (%) | 식생 설명 |
---|---|
1 미만 | 식생 없음 |
1-3 | 소수의 전나무 묘목이 있는 이끼 카펫 |
4-10 | 초본 식물 출현 |
10-25 | 덩굴, 초본, 상당히 튼튼한 가문비나무 묘목 |
>25 | 초본, 덩굴 매우 빽빽하고 튼튼함, 이끼 없음 |
햇빛에 의한 토양 표면의 과도한 가열도 묘목 생존에 영향을 줄 수 있다.[116] 특히 첫 번째 잎이 토양 표면의 줄기 밑부분을 가리지 않는 가문비나무와 같은 묘목에게 중요하다. 모래 토양의 표면 온도는 때때로 50 °C ~ 60 °C의 치명적인 온도에 도달하기도 한다.
점파종(spot seeding)과 줄뿌림 파종(row seeding)은 흩어뿌림(broadcast seeding)이나 공중 파종보다 적은 양의 씨앗을 사용하지만, 덩어리짐을 유발할 수 있다. 점파종과 줄뿌림은 흩어뿌림 파종보다 씨앗 배치를 더 잘 제어할 수 있고, 전체 면적의 작은 부분만 처리하면 된다.
오대호 지역의 사시나무 숲에 구과식물 씨앗을 직접 파종하는 것은 대부분 실패했다.[150] 그러나 유콘(Yukon)에서는 가문비나무 씨앗을 흩어뿌림 파종한 결과, 3년 후 66.5%의 재적률을 보여 이 기술이 "상당한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는 결론이 나왔다.[131] 점파종 시 발아와 생존을 개선하기 위해 쉘터(shelter)를 사용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Hakmet 종자 쉘터는 높이 8 cm의 반투명 플라스틱 원뿔이다.[136] 알래스카 내륙에서 실시한 시험 결과, 원뿔형 쉘터(Cerkon™)는 긁어놓은 종자 부위에서, 깔때기형 쉘터(Cerbel™)는 긁지 않은 종자 부위에서 생존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었다.[137]
1960년부터 1966년 사이에 매니토바에서 사시나무림을 가문비나무-사시나무 혼효림으로 전환하기 위한 파종 시험이 실시되었는데, 덕 마운틴 주립 공원에서 1961년에 긁어놓은 곳은 수년 동안 자연 파종을 받아들였다.[139] 점파종은 사시나무와 자작나무를 가문비나무와 소나무로 전환하는 가장 경제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방법으로 밝혀졌다.[149]
구과식물 씨앗의 점파종은 가끔 성공을 거두기도 하지만, 묘목의 뿌리가 수분을 흡수하기 전에 숲 바닥이 건조되거나, 낙엽에 묻히거나, 어린 묘목이 다른 식물에 의해 질식하는 등의 문제로 인해 발아 성공이 제한되는 경우가 많다. 점파종은 광범위 파종보다 적은 씨앗을 필요로 하며, 더 균일한 간격을 얻는 경향이 있다. 온타리오에서는 "오일 캔" 파종기, 파종 막대기, 쉐이커 등의 장치를 사용하여 수동 점파종을 한다.[151]
4. 3. 1. 종자 발아 조건
씨앗이 발아하려면 적절한 온도, 수분, 통기 조건이 필요하다. 많은 종의 씨앗은 빛도 필요하며, 다른 종의 씨앗 발아를 촉진한다.[7] 하지만 가문비나무는 빛이 없어도 발아할 정도로 빛 요구 조건이 까다롭지 않다. 흰 가문비나무 씨앗은 1년 이상 층화를 거친 후 약 1.7°C 및 약 4.4°C에서 발아했으며, 냉장실에서 6cm 미만의 뿌리를 발달시켰다.[8] 빛에 노출된 발아 묘목은 엽록소를 생성하고 계속 신장하며 정상적인 광굴성을 보였다.씨앗 발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씨앗 특성, 빛, 산소, 토양 반응(pH), 온도, 수분, 씨앗의 천적 등 최소 7가지이다.[18] 이 중 수분과 온도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며, 이 둘은 모두 노출에 영향을 받는다.
냉층 처리는 종자의 생존력을 유지하고 휴면 상태를 극복하기 위해 종자를 습한 배지(엄밀히는 층을 이루는)에 저장하는 방법이다. 주로 이탄이나 모래를 사용한다. 냉층 처리는 배지를 사용하지 않고 거의 영하의 온도에서 보관하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일반적인 냉층 처리 방법은 종자를 수돗물에 최대 24시간 동안 담근 후 표면을 건조시키고, 몇 주 또는 몇 달 동안 어는점 바로 위 온도에서 습하게 보관하는 것이다.[52][53][54]
4. 3. 2. 씨앗 자리 요구 사항
발아를 보장하기 위해서는 적합한 씨앗 자리가 필요하다. 씨앗은 적절한 온도, 수분, 통기 조건이 필요하며, 많은 종의 씨앗은 빛도 필요하다. 하지만 가문비나무는 빛 없이도 발아한다. 흰 가문비나무 씨앗은 1년 이상 층화 후 1.7°C 및 4.4°C에서 발아하며, 냉장실에서 6cm 미만의 뿌리를 발달시켰다.[8]발아한 묘목은 지속적인 수분 공급, 적절한 온도와 빛, 초식 동물, 밟는 동물, 병원체로부터의 보호, 안정적인 뿌리 시스템이 필요하다. 그늘은 어린 묘목의 생존에 매우 중요하다.[9][10] 장기적으로는 필수 영양분 공급과 덮여지는 현상이 없어야 한다.
방해받지 않은 숲에서는 부패한 도복 줄기 목재가 발아와 생존에 가장 유리한 씨앗 자리를 제공한다. 묘목은 낙엽에 묻히거나 홍수의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적고, 더 많은 빛, 높은 온도, 더 나은 균근 발달 등의 이점을 얻는다.[11][12][13]
광물질 토양 씨앗 자리는 방해받지 않은 숲 바닥보다 더 수용적이며,[15] 유기질 숲 바닥보다 더 습하고 쉽게 재습윤된다. 그러나 노출된 광물질 토양은 상승 작용과 가뭄 동안의 수축에 취약하다. 서리나 가뭄으로 인해 토양에서 발생하는 힘은 뿌리를 끊을 수 있다.[16]
방위는 특히 온도 및 수분 체제와 관련하여 미기후의 중요한 구성 요소이다. 엥겔만 가문비나무의 발아 및 묘목 정착은 남쪽 방위 씨앗 자리보다 북쪽 방위 씨앗 자리에서 훨씬 더 좋았다.[17]
씨앗 발아에 영향을 미치는 최소 7가지 변수는 씨앗 특성, 빛, 산소, 토양 반응(pH), 온도, 수분 및 씨앗의 적이다.[18] 이 중 수분과 온도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며, 둘 다 노출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준비된 씨앗 자리는 비교적 짧은 기간 동안 수용성을 유지한다. 습하고 비옥한 장소에서는 씨앗 자리 수용성이 빠르게 감소하며, 특히 풍년을 활용하기 위해 씨앗 자리 준비를 계획해야 한다. 척박한 씨앗 해에는 수분 조절 및 건조한 장소에서 더 성공적으로 현장 준비를 수행할 수 있다.[22]
전면 소각은 자연 재생을 위한 현장 준비 방법으로 권장되지 않는데, 이는 충분한 광물질 토양을 노출하는 경우가 드물고, 탄화된 유기물 표면은 가문비나무에 적합하지 않은 씨앗 자리이기 때문이다.[25][26][27][28]
4. 3. 3. 인공 갱신
인공 갱신은 묘목 생산, 식재, 종자 파종 등의 방법을 통해 이루어진다. 어떤 방법을 선택하든 육림 기술의 지원을 받을 수 있다.[34]씨앗 발아에는 적절한 온도, 수분, 통기 조건이 필요하며, 많은 종의 씨앗은 빛도 필요하다. 하지만 가문비나무는 빛 없이도 발아한다.[7] 흰 가문비나무 씨앗은 1년 이상 층화 후 1.7°C ~ 4.4°C에서 발아하며, 냉장실에서 6cm 미만의 뿌리를 발달시키기도 한다.[8]
발아한 묘목은 지속적인 수분 공급, 적절한 온도, 충분한 빛, 초식 동물, 병원체로부터의 보호, 안정적인 뿌리 시스템이 필요하다. 장기적으로는 영양분 공급과 덮임 현상의 부재도 중요하다.[9][10]
숲에서는 부패한 도복 줄기 목재가 발아와 생존에 유리한 장소를 제공한다. 이러한 장소는 더 많은 빛, 높은 뿌리 구역 온도, 더 나은 균근 발달 등의 이점을 제공한다.[11][12][13] 매니토바 호저 언덕의 조사에 따르면 가문비나무 묘목의 약 90%가 이러한 기질에서 발아했다.[13][14]
광물질 토양 씨앗 자리는 유기질 숲 바닥보다 더 습하고 재습윤이 쉽지만, 상승 작용과 가뭄 동안의 수축에 취약하다. 서리나 가뭄으로 인한 토양의 힘은 뿌리를 끊을 수 있다.[15][16]
방위는 미기후의 중요한 요소이며, 특히 온도와 수분 체제에 영향을 미친다. 콜로라도 프레이저 실험 숲에서 엥겔만 가문비나무의 발아 및 묘목 정착은 남쪽보다 북쪽 방위 씨앗 자리에서 더 좋았다.[17]
씨앗 발아에는 씨앗 특성, 빛, 산소, 토양 반응(pH), 온도, 수분, 씨앗의 적 등 최소 7가지 변수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수분과 온도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며, 노출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18]
준비된 씨앗 자리는 5년, 때로는 3년 정도로 짧은 기간 동안만 수용성을 유지한다. 습하고 비옥한 장소에서는 씨앗 자리 수용성이 빠르게 감소하므로 풍년을 활용하여 씨앗 자리 준비를 계획해야 한다. 척박한 씨앗 해에는 건조한 장소에서 현장 준비를 하는 것이 더 성공적일 수 있다.[22]
전면 소각은 자연 재생을 위한 현장 준비 방법으로 권장되지 않는다. 광물질 토양 노출이 충분하지 않고, 탄화된 유기물 표면은 가문비나무에 적합하지 않기 때문이다.[25][26][27][28] 탄화된 표면은 발아에 너무 뜨거워 가을까지 발아를 지연시켜 겨울 사망을 초래할 수 있다.[29]
묘목 생산 시간을 줄이기 위해 위스콘신에서 채취한 흰가문비나무와 다른 침엽수를 플로리다의 긴 생육 기간(위스콘신 125일, 플로리다 265일)에서 실험했다.[30] 긴 광주기에 적응된 종들을 위해 플로리다에서는 20시간의 일장이 적용되었다. 플로리다에서 긴 일장 하에 재배된 흰가문비나무는 위스콘신에서 자란 것과 거의 같았지만, 위스콘신의 자연 광주기 하의 식물보다 키가 두 배 컸다. 검은가문비나무도 유사하게 반응했다.
묘목 성장을 위한 최적 조건은 컨테이너 묘목 생산을 위해 결정되었다.[31] 일정한 온도보다 낮과 밤의 온도 변화가 더 적합하며, 400 루멘/m2의 광 환경에서 흰가문비나무는 28°C/20°C의 낮/밤 온도가 권장된다.[31][32] 그러나 온도 최적치는 연령과 크기에 따라 반드시 같지는 않다.[31]
인공 갱신에서 수목 원산지는 중요하다. 적절한 원산지는 숲에 심거나 파종된 나무에 대한 적절한 나무 유전학과 환경 적합성을 고려한다. 잘못된 유전자형은 갱신 실패나 병원체에 취약한 불량한 나무로 이어질 수 있다.
인공 갱신은 자연 갱신보다 더 신뢰할 수 있어 식재가 더 일반적인 방법이다. 식재는 묘목(묘포에서), (무)근삽, 또는 종자를 사용할 수 있다.[34]
종자 및 묘목 배치의 관리 방법은 기후 부적응 위험 없이 종자와 묘목을 이동할 수 있는 종자 구역 시스템을 통해 이루어진다.[35] 온타리오는 1970년대에 G.A. Hills의 1952년 현장 지역과 주 자원 구역 경계를 기반으로 종자 구역 시스템을 채택했지만,[36] 현재 온타리오의 종자 구역은 온타리오 기후 모델을 사용하여 개발된 균질한 기후 지역을 기반으로 한다.[37][35] 퀘벡의 흰가문비나무에 대한 12개의 종자 구역은 주로 생태 지역을 기반으로 한다.[38]
종자 품질은 원산지에 따라 다르다. 종자원은 최고 품질의 종자를 생산하고, 종자 생산 구역과 종자 수집 구역이 그 뒤를 잇는다.
씨앗 휴면은 복잡하며 종 내에서도 항상 일관되지는 않다.[45] 흰가문비나무 씨앗의 휴면을 깨기 위한 저온 층적 처리가 요구 사항으로 명시되었지만,[46][47][48][49] 일부 연구자들은 불필요하다고 여겼다.[50][51] 원뿔 취급 및 보관 조건은 휴면에 영향을 미치는데, 추출 전 저온 다습한 환경(5°C, 상대 습도 75% ~ 95%)에 원뿔을 보관하면 층적 처리 없이 휴면이 제거되는 것으로 보인다.[45]
냉층 처리는 종자의 생존력을 유지하고 휴면 상태를 극복하기 위해 습한 배지(이탄, 모래 등)에 종자를 저장하는 것이다. 냉층 처리의 일반적인 방법은 수돗물에 최대 24시간 동안 종자를 담근 후, 표면을 건조시키고 몇 주 또는 몇 달 동안 어는점 바로 위 온도에서 습하게 보관하는 것이다.[52][53][54]
점파종 및 줄뿌림 파종은 흩어뿌림이나 공중 파종보다 적은 종자를 사용하지만 덩어리짐을 유발할 수 있다. 점파종은 광범위 파종보다 적은 씨앗을 필요로 하며, 때로는 뭉쳐지는 경우도 있지만 더 균일한 간격을 얻는 경향이 있다.
4. 4. 육림 (Tending)
육림(Tending)은 식재 또는 파종 이후부터 수확 전까지 임목을 관리하고 임업적으로 처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에는 경쟁 관리, 간벌, 가지치기, 임상 전환 등 다양한 방법이 포함된다.[2]단위 면적당 심어야 할 나무의 수(간격)는 쉽게 결정하기 어렵다. 묘목 생장 목표나 갱신 기준은 보통 전통적인 관행에 기반하며, 임상의 초기 생장을 목표로 한다.[78] 원하는 재적률을 달성하는 데 필요한 것보다 많은 나무를 심는 것은 낭비이며, 다른 조림지를 조성할 기회를 줄인다. 임지 내 자연 갱신(자연 발생)은 예측하기 어렵고, 종종 식재 후 몇 년이 지나서야 뚜렷해진다. 벌채나 다른 교란 후 초기 임분 발달은 임지마다 고유한 특성을 가지므로, 임지 간에 큰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실질적으로, 주어진 임지에 있는 임분에서 생산되는 총재적은 밀도나 재적률의 넓은 범위에서 일정하고 최적이다. 이 범위를 벗어나는 수준으로 생장량을 변경하면 감소할 수 있지만 증가할 수는 없다.[79] 초기 밀도는 임분 발달에 영향을 주는데, 밀집한 간격은 넓은 간격보다 더 빠르게 완전한 임지 이용을 가능하게 한다.[80] 총 생산량이 밀집한 임분보다 적더라도, 경제적인 운영성은 넓은 간격에서 개선될 수 있다.
묘목 생장 단계를 지나면, 평균 나무 크기와 임분 밀도의 관계가 매우 중요해진다.[78] 밀도에 따라 달라지는 임분 동태를 개념화하는 다양한 밀도 관리 도표가 개발되었다.[81][82] Smith와 Brand(1988)[83]의 도표는 수직축에 평균 나무 부피, 수평축에 ha당 나무 수를 나타낸다. 즉, 임분은 작고 많은 나무를 가질 수도 있고 크고 적은 나무를 가질 수도 있다. 자가 솎아내기 선은 주어진 크기의 나무/ha가 어느 시점에 유지될 수 있는 최대 수를 보여준다. 그러나 Willcocks와 Bell (1995)[78]는 임분 궤적에 대한 특정 지식이 알려지지 않는 한, 이러한 도표를 사용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레이크 주(Lake States)에서는 나무 간 간격을 0.9m x 0.9m ~ 3m x 3m까지 다양하게 식재했다.[84] Kittredge는 조림지 초기에 에이커당 600그루(1483/ha) 이상의 나무가 있어야 한다고 권고했다. 이를 위해 생존율이 85%로 예상되는 경우 에이커당 최소 800그루(1077/ha)를 심어야 하며, 그중 절반만 살아남을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최소 1200/ac(2970/ha)를 심어야 한다.[85] 이는 레이크 주에서 흰가문비나무를 포함한 침엽수 식재에 대해 1.5m x 1.5m ~ 2.4m x 2.4m의 권장 간격으로 이어진다.
천연림의 경제적 가치를 높이기 위해 보강 식재를 통해 경제적으로 중요한 자생 수종의 밀도를 높일 수 있다.[86][87] 과밀한 갱신은 정체를 유발할 수 있으며, 가문비나무와 같이 자가 가지치기 능력이 거의 없는 종에서 더욱 심화된다.
간벌(spacing)은 고정된 간격으로 유지하기 위해 선택된 나무 이외의 모든 나무를 잘라내는 (자연 갱신의) [간벌](thinning)이다. 절단된 나무의 대부분 또는 전부가 상업적 가치가 없을 때 [유령 간벌](juvenile spacing)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89] 간벌은 광범위한 산림 관리 목표를 달성하는 데 사용할 수 있지만, 특히 밀도를 줄이고 어린 임분에서 축적을 제어하여 정체를 방지하고, 회전 기간을 단축, 즉, 주어진 크기의 나무 생산을 가속화하기 위해 수행된다. 개별 나무의 부피 생장과 임분의 상업적 생장이 증가한다.[90] 간벌의 주요 근거는 간벌이 최대 허용 벌채량의 예상 감소이기 때문이다.[91] 또한 목재가 더 적고 크고 균일한 줄기에 집중되므로 운영 및 제재 비용이 최소화된다.
간벌은 수동(전기톱, 덤불 톱, 클리퍼 등), 기계(쵸퍼, 멀처), 화학적 방법 또는 여러 방법을 조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메인 주에서는 헬리콥터에 장착된 Thru-Valve 붐을 이용하여 직경 1000 μm ~ 2000 μm의 제초제 방울을 매우 낮은 압력으로 방출하는 방식으로 가문비나무와 전나무의 간벌에 성공했다.[92] 1.2m 너비의 살포 구역과 2.4m 너비의 띠를 40–48 km/h의 속도로 21m 높이에서 비행하는 헬리콥터로 제초제를 살포했을 때 "칼날" 정밀도를 얻었다.
2.5m × 2.5m로 간벌한 지 20년 후, 뉴브런즈윅 주 그린 리버 유역의 전나무와 흰 가문비나무 혼합 임분은 평균 156.9 m3/ha였다.[93] 매니토바 주 무디의 평평하고 모래가 많으며 영양분이 부족한 토양에서 3가지 침엽수(흰 가문비나무, 적송, 잭파인)의 간벌 연구 결과, 식재 20년 후 적송의 평균 흉고 직경이 가장 컸으며, 잭파인보다 15% 더 컸고, 흰 가문비나무의 흉고 직경은 소나무의 절반 미만이었다. 두 소나무 모두 1.8m ~ 2.4m 사이의 최적 간격을 보였으며, 흰 가문비나무는 해당 장소에 심는 것을 권장하지 않았다.[94]
1922년 온타리오 주 페타와와에서 1.25m, 1.5m, 1.75m, 2m, 2.5m, 3m 간격으로 4개의 임지 등급에 나무를 심은 결과, 20년령의 상업적 부피와 임지 등급 50 및 60을 제외하고는 더 좁은 간격이 더 넓은 간격보다 모든 연령대에서 더 큰 현존 부피를 보였으며, 상대적 차이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감소했다.[95] 상업적 부피는 총 부피의 비율로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증가하며, 더 좁은 간격보다 더 넓은 간격에서 더 컸다. 현재 연간 부피 증가율은 더 넓은 간격보다 더 좁은 간격에서 더 빨리 정점에 달했다. 1951년 온타리오 주 선더 베이 근처에서 1.8m, 2.7m, 3.6m 간격으로 흰 가문비나무를 심은 결과, 가장 좁은 간격에서는 37세에 사망이 시작되었지만, 더 넓은 간격에서는 그렇지 않았다.[96]
1959년 브리티시 컬럼비아 주 휴스턴 근처에서 1.2m, 2.7m, 3.7m, 4.9m 간격으로 내륙 가문비나무를 심은 결과, 넓은 간격에서는 나무의 직경, 수관, 가지가 더 커졌지만, 30년 후 기저 면적 및 총 부피/ha는 가장 좁은 간격에서 가장 컸다.[97] 브리티시 컬럼비아 주 프린스 조지 지역과 매니토바 주에서 최근 실시된 시험에서는 흰 가문비나무의 식재 밀도가 최대 16개의 생장기 이후 생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1.2m와 같은 좁은 간격에서도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98]
"임상 전환"은 한 수확 시스템에서 다른 수확 시스템으로의 변화를 의미하며, "수종 전환"(한 수종에서 다른 수종으로의 변화)을 포함한다.[2] 이러한 변화는 의도적일 수도, 침엽수가 혼효림에서 제거된 경우처럼 우연히 발생할 수도 있다. DeLong 등(1991년)[154]은 30~40년생 사시나무 임분에 하층 식재를 제안했는데, 이는 그러한 임분의 하층에서 자연적인 가문비나무의 갱신이 성공적인 것에 근거한다.
4. 4. 1. 경쟁 (Competition)
경쟁 역학 연구에는 경쟁 수준과 작물 반응의 측정이 모두 필요하다. 다양한 경쟁 지수가 개발되었는데, 벨라(Bella, 1971)[68]와 헤기(Hegyi, 1974)[69]는 줄기 지름을 기반으로, 아르니(Arney, 1972),[70] 에크와 몬세루드(Ek and Monserud, 1974),[71] 하워드와 뉴턴(Howard and Newton, 1984)[72]은 수관 발달을 기반으로, 다니엘스(Daniels, 1976),[73] 와그너(Wagner, 1982),[74] 위너(Weiner, 1984)[75]는 근접 기반 모델을 사용했다. 연구에서는 보통 절대 높이나 기저 면적을 기준으로 경쟁에 대한 나무의 반응을 고려했지만, 제다커(Zedaker, 1982)[76]와 브랜드(Brand, 1986)[77]는 상대 성장 측정을 통해 작물 나무 크기와 환경적 영향을 정량화하려 했다.수관 관리는 초기 식재 또는 파종 이후 모든 단계에서 임업 작물 수목에 적용되는 수확 전 임업적 처리 용어이다. 이러한 처리는 작물 자체(예: 간벌, 가지치기, 솎아베기, 개량 벌채) 또는 경쟁 식생(예: 제초, 솎아내기)에 대한 처리가 될 수 있다.[2]
- 제초: 묘목 또는 묘생장의 경쟁을 제거하는 과정으로, 베기, 제초제 살포 또는 주변에서 제거하는 기타 방법을 사용한다.[88]
- 정리벌채: 비슷한 수령의 나무가 덮어씌우는 경쟁으로부터 선택된 묘목을 해방시키는 것. 이 처리는 원하는 수종과 줄기 품질의 나무를 선호한다.
- 해방벌채: 더 오래된 나무를 제거하여 묘목 또는 묘생장을 해방시키는 처리.
산림 자원 관리자는 수관을 형성하는 개체의 종 혼합, 수(밀도), 분포(재적)를 조작하여 성장과 수확량에 영향을 미친다.[107][108]
재생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는 다른 식생과의 경쟁이다. 예를 들어, 노르웨이 가문비나무의 순수한 임분에서 Roussel (1948)[115]은 다음과 같은 관계를 발견했다.
피복율(%) | 식생 설명 |
---|---|
1 미만 | 식생 없음 |
1-3 | 소수의 전나무 묘목이 있는 이끼 카펫 |
4-10 | 초본 식물 출현 |
10-25 | 덩굴, 초본, 상당히 튼튼한 가문비나무 묘목 |
>25 | 초본, 덩굴 매우 빽빽하고 튼튼함, 이끼 없음 |
4. 4. 2. 간벌 (Thinning)
간벌은 남아있는 나무의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인위적으로 임분 내 나무의 수를 줄이는 작업이다.[99] 간벌의 목표는 이용 가능한 생장 공간의 양과 분포를 제어하는 것이다. 임분 밀도(임분 밀도)를 변경함으로써 산림 기술자는 잔존 나무의 성장, 품질 및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상업적으로 덜 바람직한, 일반적으로 더 작고 기형적인 나무의 고사목을 활용하고 제거할 기회를 제공한다. 갱신 처리와 달리 간벌은 새로운 나무 작물을 조성하거나 영구적인 수관 개방을 만드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간벌은 임분의 생태와 미기상에 큰 영향을 미치며, 나무 간의 물 경쟁을 줄인다. 임분에서 나무를 제거하면 지상과 지하 모두에서 남아있는 나무에 영향을 미친다. 산림 간벌은 임분 발달, 임분 안정성 및 수확 가능한 제품의 특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강력한 도구이다.
최대 생산을 위해 설계된 집약적인 침엽수 플랜테이션을 고려할 때, 관리 및 간벌 체제와 바람 및 눈 피해는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100]
이전 연구에 따르면 숲의 윤벌 기간 동안 반복적인 간벌은 짧은 윤벌 기간으로 벌채된 임분에 비해 탄소 저장량을 증가시키며, 탄소 혜택은 간벌 방법에 따라 다릅니다(예: 위에서 간벌 대 아래에서 간벌).[101] 숲의 초기 발달 단계에서 나무의 밀도는 높게 유지되며 나무 간의 양분 경쟁이 발생한다. 자연 갱신이나 인공 파종으로 인해 밀도가 높고 과밀한 어린 임분이 형성되면, 자연적인 솎아베기가 대부분의 경우 결국 임목 밀도를 임업적으로 더 바람직한 수준으로 감소시킬 것이다. 그러나 일부 나무가 상품 가치가 있는 크기에 도달할 때쯤이면, 다른 나무들은 과숙되고 불량해지며, 또 다른 나무들은 여전히 상품 가치가 없을 것이다. 이러한 불균형을 줄이고 더 많은 경제적 수익을 얻기 위해, 초기 단계에서 전벌솎아베기라고 알려진 일종의 정리 작업이 수행된다. 일반적으로, 나무의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한두 번의 전벌솎아베기가 수행된다.
상품 가치가 있는 목재의 생산량은 전벌솎아베기를 통해 크게 증가될 수 있으며, 벌채 주기도 단축될 수 있다.[102] 기계적 방법과 화학적 방법이 적용되어 왔지만, 그 비용이 많이 들어 널리 채택되지 못했다.
4. 4. 3. 가지치기 (Pruning)
가지치기는 조림 기술의 하나로, 어린 나무의 아랫부분 가지를 제거하여 옹이가 없는 깨끗한 목재를 생산하고, 나무의 모양을 만들기 위해 시행한다.[103] 옹이가 없는 깨끗한 목재는 더 높은 가치를 지닌다. 뉴질랜드와 칠레의 라디아타 소나무 조림지에서 가지치기가 광범위하게 시행되었으나, 핑거 조인트 기술이 목재 및 몰딩 생산에 개발되면서 많은 임업 회사들이 가지치기 관행을 재검토하게 되었다. '브래싱'은 가지치기와 같은 과정을 가리키는 다른 용어이다.[103]가지치기에는 자연 가지치기와 인공 가지치기의 두 가지 유형이 있다. 자연 가지치기는 가지가 충분한 햇빛을 받지 못해 죽을 때 발생한다. 바람 또한 가지를 부러뜨려 자연 가지치기에 영향을 줄 수 있다.[104] 인공 가지치기는 사람이 직접 가지를 자르는 것이다. 또는 나무를 충분히 가깝게 심어 빛을 받기 위해 위로 자라게 하고, 낮은 가지가 스스로 가지치기되도록 유도하는 자연적인 방법을 활용할 수도 있다.
5. 산림 수확 방법
독일어를 사용하는 유럽에서 임업이 시작되었으며, 임목 재배 시스템은 크게 고목림(Hochwaldde), 표준목을 갖춘 장벌림(Mittelwaldde), 복합 장벌림, 단기 윤벌림, 단벌림(Niederwaldde)으로 구분된다.[3] 이 외에도 다른 시스템이 존재한다. 이러한 다양한 임목 재배 시스템은 여러 가지 벌채 방법을 포함하는데, 이는 종종 임목 재배 시스템이라고 잘못 불리기도 하지만, 목적에 따라 갱신 또는 재생 방법이라고도 불린다.
고목림 시스템은 독일어로 다음과 같이 세분화된다:[3]
- 고목림 (Hochwaldde)
- * 임령 구분림 (Altersklassenwaldde)
- ** 동령림
개벌(Kahlschlagde)
모수 벌채(Schirmschlagde)
모수법(Seed tree method)
- ** 이령림
택벌(Femelschlagde)
띠 선택 벌채(띠 및 그룹 벌채) (Saumschlagde)
모수 쐐기 벌채 (Schirmkeilschlagde)
혼합형 재생 방법 (Mischformende)
- * 연속 임관 산림 관리(Dauerwaldde)
- ** 이령림
택벌(Plenterwaldde)
목표 직경 벌채 (Zielstärkennutzungde)
이러한 명칭들은 깔끔하게 정의된 시스템이라는 인상을 주지만, 실제로는 지역 생태 및 입지 조건에 따라 벌채 방법 내에 변형이 존재한다.
벌채 후에는 자연 재생과 인공 재생으로 나뉘는 재생이 이루어지며,[4] 방임 처리, 가지치기, 간벌 및 중간 처리를 포함하는 관리가 뒤따른다.[4]
임업적 갱신 방법은 임지 내 목재 수확과 숲의 재조성을 결합한다. 지속 가능한 임업[117]의 실천은 잠재적인 부정적 영향을 완화해야 하지만, 모든 수확 방법은 토지와 잔존 임지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친다.[118] 지속 가능한 임업은 숲의 가치가 영구적으로 유지되도록 영향을 제한한다. 임업적 처방은 특정 상황과 관리 목표에 대한 구체적인 해결책이다.[119]
선택 시스템은 불균등한 임분 구조가 바람직한 경우, 특히 미적 또는 환경적 이유로 연속 임관 산림을 유지해야 할 필요성이 다른 관리 고려 사항보다 우선하는 경우에 적합하다.
가변 보존은 삼림 구조 요소(그루터기, 통나무, 그루터기, 나무, 하층 식생 종, 교란되지 않은 임상층)를 최소한 한 번의 윤작 동안 유지하여 구조적으로 복잡한 숲과 관련된 환경적 가치를 보존하는 비교적 새로운 임업 시스템인 수확 및 재생 방법이다.[155]
5. 1. 개벌 (Clearcutting)
개벌(皆伐, clearcutting)은 특정 구역의 모든 나무를 한 번에 베어내는 수확 및 갱신 방법이다.[121] 이는 산불 등 큰 교란 이후 갱신되는 소나무와 같은 수종에 적합하며, 비토착 및 침입종 도입을 통해 임지의 수종을 바꿀 수도 있다.[121] 그러나 개벌은 토양 침식, 경관 훼손, 야생 동물 서식지 제거 등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121] 특히 그늘에 약한 수종의 갱신에 유용하다.[121]개벌은 갱신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환경 요인, 특히 공기와 토양 온도에 영향을 준다.[124] 핀란드 북부의 연구에 따르면, 개벌 지역은 미절단 산림보다 지상 10cm 높이에서 일 최고 기온이 높고 일 최저 기온은 낮았으며, 밤 서리 발생 빈도도 높았다.[124] 또한, 토양 온도도 개벌 지역이 더 높았으며, 이러한 차이는 개벌 후 12년 동안 지속되었다.[124]
일반적인 벌채 방식은 벌채 구역 내 모든 나무를 베어낸 후 집재하여 목재 야적장으로 운반하는 것이다.[120] 벌목기와 집재기는 서로 독립적으로 작업하여 생산성을 높인다.[120]
5. 2. 윤벌 (Coppicing)
나무를 베어낸 후 싹이 트는 것을 이용하는 갱신 방법이다. 대부분의 활엽수, 해안 세쿼이아 및 특정 소나무는 자연적으로 그루터기에서 싹이 트며, 나무 자르기를 통해 관리할 수 있다.[125] 나무 자르기는 일반적으로 장작, 펄프용 목재 및 작은 나무에 의존하는 기타 제품을 생산하는 데 사용된다. 나무 자르기의 가까운 친척은 가지치기이다.[125] 일반적으로 세 가지의 나무 자르기 산림 관리 시스템(단순 나무 자르기, 표준 나무 자르기, 선택적 나무 자르기 시스템)이 인정된다.[126]- 복합 나무 자르기 또는 '''표준 나무 자르기'''에서는 다른 목적으로 더 큰 나무를 얻기 위해 최고 품질의 나무 중 일부를 여러 번 회전시키기 위해 유지한다.
5. 3. 점파 (Selection cutting)
군상 택벌(Group selection)은 중간 정도의 내음성을 가진 수종의 갱신에 적합한 불균등 연령 갱신 방법이다. 빽빽한 임분에서 잔존 임목의 피해를 초래할 수 있지만, 방향 벌목을 통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임업기술자는 임분 내의 다양한 흉고 직경 급을 선택하여 연령 및 흉고 직경 급의 모자이크를 유지할 수 있다.5. 3. 1. 택벌 (Single-tree selection)
단일목 선택 벌채는 내음성 수종의 갱신에 가장 적합한 불균등 연령 임분 갱신 방법이다.[148] 이 방법은 늙고 병든 나무를 제거하여 임분을 솎아내고, 젊고 건강한 나무가 자랄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밀도가 높거나 민감한 임분에서는 시행하기 매우 어려워 잔존 임분에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이 방법은 다른 방법에 비해 임관층 교란을 최소화한다.[148]5. 3. 2. 군상 택벌 (Group selection)
군상 택벌(Group selection)은 중간 정도의 내음성을 가진 수종의 갱신에 적합한 불균등 연령 갱신 방법이다.[132][133][134][135] 특히 미적 또는 환경적 이유로 연속 임관 산림을 유지해야 할 필요성이 우선시되는 경우, 불균등한 임분 구조를 만드는 데 유용하다. 브리티시컬럼비아 남부의 오래된 엥겔만 가문비나무-고산 구상나무(ESSF) 임분을 갱신하는 데에는 보호 벌채 시스템보다 군상 택벌이 더 유용하다는 제안이 있었다.[132] 대부분 지역에서 선택 벌채는 빛을 더 많이 필요로 하는 가문비나무보다 전나무의 갱신을 선호한다.[133][134][135]5. 4. 산벌 (Shelterwood cutting)
쉘터우드 시스템(산벌)은 기존 임분의 나무를 여러 해에 걸쳐 부분적으로 벌채하여 새로운 동령 임분을 만드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준비 벌채, 갱신 벌채, 제거 벌채의 세 단계로 이루어진다.[140] 쉘터우드 시스템의 성공적인 실행은 갱신 기간, 새로운 나무 임분의 질, 쉘터우드의 가치 증가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141] 이 방법은 남겨진 나무의 보호 아래 새로운 산림을 갱신하며, 하층 식생의 환경 조건(햇빛, 온도, 수분)을 조절하여 묘목 성장에 영향을 준다. 시드트리(seed-tree) 방법과는 다르게, 경쟁 식생에게는 빛을 줄이고 갱신에 필요한 빛은 충분히 제공하여 빛 환경의 균형을 맞춘다.[142] 따라서 쉘터우드 방법은 건조하고 척박하거나 습하고 비옥한 평지처럼 극단적인 조건의 토지에 적합하며, 합리적인 기간 안에 새로운 나무 세대를 만들 수 있다.[143]쉘터우드 시스템은 두 번, 세 번, 또는 예외적으로 더 많은 부분 벌채를 포함한다. 충분한 자연 갱신이 이루어지면 마지막 벌채가 진행된다. 가장 일반적인 형태는 균일 쉘터우드 방식으로, 두 번의 벌채(초기 갱신(종자) 벌채, 최종 수확 벌채)를 실시한다. 수령이 100년 미만인 임분에서는 가벼운 예비 벌채가 유용할 수 있으며,[145] 집중 관리되는 임분에서는 10~20년 간격으로 중간 벌채를 하는 것이 좋다.[133]
하지만 쉘터우드 시스템은 운영 및 경제적 관점에서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 벌채 비용이 높다.
- 갱신 벌채나 임목 수집 작업 중 남겨진 나무가 손상될 수 있다.
- 도복 위험으로 종자원이 위협받을 수 있다.
- 나무껍질 딱정벌레 피해가 증가할 수 있다.
- 최종 벌채 및 임목 수집 작업 중 갱신이 손상될 수 있다.
- 입지 준비가 어렵고, 이로 인해 갱신에 부수적인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17][144][145][146][147]
5. 5. 대상 벌채 (Strip cutting)
대상(帶狀) 벌채는 나무를 띠 모양으로 베어내는 방법으로, 종자 공급과 발아상 확보에 유리하다. 그러나 가문비나무 딱정벌레와 같은 병해충 발생 위험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153] 브리티시컬럼비아와 앨버타에서는 대체 스트립 벌채, 즉 띠 모양으로 번갈아 가며 나무를 베는 방식을 시도하여 종자 공급원을 늘리고 임상(林床) 교란을 통해 자연적인 갱신(자연적으로 숲이 다시 조성되는 것)을 촉진하려 했다.[152] 하지만 잔존 스트립(벌채하지 않고 남겨둔 띠 모양의 구역)의 큰 나무들이 종종 과도하게 벌채되어 주요 종자 공급원이 제거되는 문제가 발생했다.[135] 또한, 초기 벌채로 인해 그늘진 잔재와 잔존 스트립에서 풍도목(바람에 쓰러진 나무)의 수가 늘어나면서 딱정벌레에게 이상적인 서식 환경이 제공되었다.[153]5. 6. 종자목 벌채 (Seed-tree)
수확 구역 전체에 균일하게 종자가 퍼지도록 하기 위해 넓은 간격을 두고 나무를 남겨두는 동일 연령 갱신 방법이다. 종자목 방법에서는 1에이커(5-30/ha)당 2~12 그루의 종자목을 남겨 숲을 갱신한다.[119] 갱신이 이루어질 때까지 나무를 유지하며, 이 시점에서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남은 종자목을 제거하기 위해 임지에 다시 들어가는 것이 항상 경제적으로 타당하거나 생물학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종자목 벌채는 자연 갱신을 동반한 벌채로 간주될 수 있으며, 벌채와 관련된 모든 문제를 가질 수도 있다. 이 방법은 씨앗이 가벼운 수종과 풍도에 약한 수종에 가장 적합하다.6. 기타 관련 내용
브리티시컬럼비아주에서는 배아가 부식 공동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자성배우체가 단단하고 흰색을 띠는 것이 가문비나무의 종자 성숙도를 예측하는 가장 좋은 변수라는 것을 발견했다.[57] 퀘벡주는 열량 합계와 관련 식물 종인 큰꿩의다리의 꽃차례의 표현형적 진행을 모니터링하여 종자 성숙도를 예측할 수 있다.[58] 종자 성숙 1주일 전보다 일찍 구과를 채집하면 저장 중 종자 발아율과 생존율이 감소한다.[58] 가문비나무 종자는 최대 발아율을 얻기 위해 구과 내에서 수확 후 6주간의 숙성 기간이 필요하지만,[59] 누적 일평균기온을 기준으로 동일한 나무와 임분에서 얻은 종자는 2주간 구과 보관으로 충분하다.[60]
6. 1. 사전 생장 관리 (Advance growth management)
사전 생장 관리(Advance growth management영어)는 억제된 하층 식생을 활용하여 조림 비용을 절감하고, 벌채 주기를 단축하며, 산림 황폐화를 방지하는 방법이다.[166][167] 또한, 미관, 야생 동물 및 유역 가치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을 줄일 수 있다.[166][167]사전 생장이 가치를 가지려면 수용 가능한 수종 구성 및 분포를 가져야 하고, 방출 후 성장 가능성이 있어야 하며, 벌채로 인한 과도한 피해에 취약하지 않아야 한다. 사전 생장의 나이는 크기로 추정하기 어렵다.[168] 2~3년생으로 보이는 나무도 20년 이상 되었을 수 있다.[169] 그러나 나이는 가문비나무의 사전 생장이 방출에 반응하는 능력을 결정하는 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이며,[166][167][170] 100년 이상 된 나무도 방출 후 빠른 성장률을 보였다. 또한 사전 생장의 크기와 방출 시 성장률 사이에는 뚜렷한 관계가 없다.
사전 생장이 가문비나무와 전나무로 구성된 경우, 전나무가 가문비나무보다 방출에 더 빠르게 반응하는 경향이 있지만, 가문비나무도 반응한다.[171][172] 그러나 전나무와 가문비나무의 비율이 높으면 전나무의 더 큰 방출 반응성은 가문비나무가 방출 처치의 효과를 거의 무효화할 정도로 심한 경쟁에 노출될 수 있다. 관목 경쟁으로부터 일시적인 해방조차도 뉴브런즈윅 북서부의 흰가문비나무의 키 성장률을 증가시켜 가문비나무가 관목을 넘어설 수 있게 했다.[173]
6. 2. 벌채지 정비 (Site preparation)
벌채지 정비(Site preparation)는 파종이나 식재를 하기 위해 현장에 적용하는 다양한 처리 방법을 말한다. 그 목적은 선택한 방법에 따라 해당 지역의 나무를 다시 심는 것을 돕는 것이다. 벌채지 정비는 접근성을 개선하고, 불리한 환경 조건, 토양, 식생 또는 기타 생물학적 요인을 개선하기 위해 단독으로 또는 어떤 조합으로든 시행할 수 있다.[174]벌채지 정비는 산림 지역에 나무를 다시 심기 전에 수행되는 작업이다. 벌채지 정비의 몇 가지 유형에는 소각이 있다.
방송 소각은 중앙 브리티시컬럼비아주[175]와 북미 온대 지역에서 조림을 위한 벌채지 준비에 흔히 사용된다.[176]
계획 소각은 주로 벌채 잔재 위험을 줄이고 나무를 다시 심기 위한 현장 조건을 개선하기 위해 수행되며,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을 수 있다.
:a) 직접 파종, 식재, 파종 전 또는 부분 벌채지나 종자 시스템과 관련된 자연 파종을 예상하여 벌채 잔재, 식물 경쟁 및 부엽토(腐葉土, 낙엽이 쌓여 분해된 흙)를 줄인다.
:b) 식재 또는 파종 전, 또는 예비 파종 전에 원치 않는 산림 덮개를 줄이거나 제거한다.
:c) 나무를 다시 심기 위해 차갑고 습한 지역의 부엽토를 줄인다.
:d) 산불로 인한 피해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산림 지역 주변의 전략적 지역에서 잔재, 풀 또는 관목 연료를 줄이거나 제거한다.
온타리오주에서는 직접 파종을 위한 계획 소각이 몇 차례 시도되었지만, 어떤 소각도 보조적인 기계적 현장 준비 없이는 적절한 종자상을 만들 만큼 충분히 뜨겁지 않았다.[151]
소각과 관련된 토양 화학적 특성의 변화에는 pH(수소 이온 농도 지수)의 현저한 증가가 포함되며, 이는 중앙 브리티시컬럼비아주의 아북극 가문비나무 지대에서 소각 후 1년 이상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175] 평균 연료 소비량은 20t/ha~24t/ha였고, 산림 바닥 깊이는 28%에서 36% 감소했다. pH 변화는 소각의 심각성과 소모량에 따라 다르며, 최대 2단위, 즉 100배의 변화가 있을 수 있다.[177] 중앙 브리티시컬럼비아의 소각된 벌채지에서 흰 가문비나무 잎에 있는 구리와 철의 결핍은 상승된 pH 수치 때문일 수 있다.[178]
벌채지에서의 방송 소각조차도 전체 지역에 걸쳐 균일한 소각을 제공하지 못한다. 예를 들어, 140ha의 잔재 소각에서 단 4%만 심하게 소각되었고, 47%는 가볍게 소각되었으며, 49%는 소각되지 않았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179]
교환성 칼슘(Ca)의 현저한 증가는 직경 7cm 이상의 소모된 잔재량과 관련이 있었다.[175] 인(P)의 가용성 또한 산림 바닥과 0cm에서 15cm 광물 토양층 모두에서 증가했으며, 소각 후 21개월 후에도 증가가 여전히 나타났지만 다소 감소했다. 그러나 동일한 아북극 가문비나무 지대에서 다른 연구[180]에 따르면 소각 직후에는 증가했지만 인 가용성은 소각 전 수준 이하로 9개월 이내에 떨어졌다.
소각으로 인해 질소(N)가 현장에서 손실될 것이다.[175][180][181] 영양 손실은 적어도 단기적으로는 토양 온도가 제한적인 요인인 얇아진 산림 바닥을 통해 개선된 토양 미기후(微氣候, 주변의 작은 지역에서 나타나는 기후)로 인해 상쇄될 수 있다.
앨버타주 산기슭의 ''가문비나무/전나무''(Picea/Abies) 숲은 종종 토양 표면에 유기물이 깊게 쌓이고 토양 온도가 낮아 재조림이 어렵고 현장 생산성이 떨어진다. 대표적인 벌채된 ''가문비나무/전나무'' 지역에서 종자상 준비와 현장 개선의 수단으로 계획 소각을 시험하는 실험 결과, 일반적으로 계획 소각이 시험된 현장에서 유기층을 만족스럽게 줄이지 못했으며, 토양 온도를 증가시키지도 못했다.[182] 소각된 현장에서 묘목 정착, 생존 및 성장의 증가는 아마도 유기층 깊이의 약간의 감소, 토양 온도의 약간의 증가 및 식재 인력의 효율성 개선의 결과일 것이다. 결과는 또한 적용된 소각 처리로 현장 악화 과정이 역전되지 않았음을 시사했다.
잘린 무게(전체 수관과 지름이 4인치 미만인 줄기의 건조 중량)와 크기 분포는 벌채지에서 산불 위험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이다.[183] 알버타 중서부에서 60그루의 가문비나무를 베어 측정하고 무게를 측정하여 (a) 흉고(胸高, 가슴 높이) 직경에 대한 상업적 단위 부피당 잘린 무게, (b) 얇은 잘린 나무(<1.27 cm) 무게도 흉고 직경에 대해 그래프를 그렸고, 가문비나무의 가상 임지(林地, 숲을 이루고 있는 땅) 1에이커에 대한 잘린 무게와 크기 분포 표를 만들었다.[184] 임지의 직경 분포를 알 수 없는 경우, 평균 임지 직경, 단위 면적당 나무 수, 상업적 입방 피트 부피를 사용하여 잘린 나무의 무게와 크기 분포를 추정할 수 있다.
미국 산림청은 로키 산맥 고지대에서 엥겔만가문비나무의 어린 묘목에 그늘을 제공할 필요성을 강조한다. 허용 가능한 식재 장소는 쓰러진 통나무, 그루터기 또는 잘린 나무의 북쪽과 동쪽에 있는 미세 지역이며, 이러한 재료에 의해 드리워진 그림자에 놓여 있다.[185]
일부 부지에서의 부지 정비는 단순히 식재자의 접근을 용이하게 하거나, 식재 또는 파종에 적합한 미세 부지의 수나 분포를 개선하고 증가시키기 위해 수행될 수 있다.
매니토바 남동부의 두 가지 조림 유형(개방형 대 피복형)에서 부지 정비(Donaren 디스크 트렌칭 대 트렌칭 없음) 후 보레알 혼합목 부지에 흰 가문비나무와 검은 가문비나무를 이식한 지 8년 및 9년 후의 현장 성능을 측정한 결과, Donaren 트렌칭은 검은 가문비나무의 사망률을 약간 감소시켰지만 흰 가문비나무의 사망률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186] 검은 가문비나무의 경우 개방형과 피복형 조림지 사이에 키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지만 흰 가문비나무의 경우 차이가 없었으며, 피복형 조림지의 근경(根莖, 뿌리 줄기) 직경은 검은 가문비나무의 경우 개방형 조림지보다 유의하게 더 컸지만 흰 가문비나무의 경우 차이가 없었다. 검은 가문비나무 개방형 조림지는 검은 가문비나무 피복형(210cm3), 흰 가문비나무 개방형(175cm3) 및 피복형(229cm3) 조림지에 비해 부피가 유의하게 작았다(97cm3). 흰 가문비나무 개방형 조림지도 흰 가문비나무 피복형 조림지보다 부피가 작았다. 이식용 묘목의 경우, 띠 조림지는 개방형 조림지(204cm3)보다 부피가 유의하게 더 컸다(329cm3). 피복형 조림 부지 정비를 사용할 것을 권장했다.[186]
1970년까지 온타리오주에서는 "정교한" 현장 준비 장비가 작동하지 않았지만,[187] 더 효과적이고 다재다능한 장비에 대한 필요성이 점점 더 인식되었다. 이 무렵, 현장 직원이 원래 개발한 장비가 개선되었고, 다른 출처의 장비에 대한 현장 테스트가 증가했다.
적어도 온타리오주에서는 가장 널리 사용되는 현장 준비 기술은 불도저에 앞쪽에 장착된 장비(블레이드, 갈퀴, V-플로우 또는 이빨) 또는 트랙터 뒤에 끌어서 사용하는 수확 후 기계적 긁기(임세트 또는 S.F.I. 긁기, 또는 롤링 쵸퍼)였다.[187] 온타리오주 토지 및 산림부에서 설계하고 제작한 드래그형 장치는 앵커 체인 또는 트랙터 패드를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하거나, 다양한 크기의 핀이 달린 강철 드럼 또는 배럴을 단독으로 또는 트랙터 패드 또는 앵커 체인 장치와 결합하여 사용했다.
블레이드와 갈퀴는 노란 자작나무의 자연 재생을 위해 내성적인 활엽수림에서 수확 후 긁기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187] 쟁기는 식재 전에 빽빽한 덤불을 처리하는 데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종종 식재기와 함께 사용되었다. 영의 이빨과 같은 긁기 이빨은 때때로 식재를 위한 현장을 준비하는 데 사용되었지만, 가장 효과적인 사용은 파종을 위한 현장, 특히 가벼운 덤불과 빽빽한 초본 식생이 있는 미개발 지역을 준비하는 데 있었다. 롤링 쵸퍼는 무거운 덤불을 처리하는 데 사용되었지만 돌이 없는 토양에서만 사용할 수 있었다. 핀이 달린 드럼은 신선한 덤불이 많고 두꺼운 부엽토 층과 많은 잔해가 있는 잭 파인-가문비나무 벌채지에 일반적으로 사용되었으며, 잔해의 적절한 분포를 확보하기 위해 트랙터 패드 장치와 함께 사용해야 했다. S.F.I. 긁기는 강화된 후 2년 동안 "상당히 성공적"이었고, 원추형 긁기 및 배럴 링 긁기를 통한 유망한 시험이 진행 중이었으며, 얕고 돌이 많은 토양의 현장에서 사용할 새로운 플레일 긁기에 대한 개발이 시작되었다. 현장 준비에서 더욱 효과적이고 효율적이 되어야 할 필요성을 인식한 온타리오주 토지 및 산림부는 주로 북부에서 온타리오주 조건에 유망해 보이는 스칸디나비아 및 기타 지역에서 새로운 장비를 찾아 현장 테스트를 위해 획득하는 정책을 채택했다. 따라서 스웨덴의 Brackekultivator와 핀란드의 Vako-Visko 로터리 굴삭기에 대한 테스트가 시작되었다.
모토수동 긁기는 작은 복원 프로젝트(25,000 그루 미만) 또는 하천변 구역이나 침식되기 쉬운 지역과 같은 생태적으로 민감한 지역에 가장 적합하다.[188]
긁기 강도는 첫해 묘목 사망률과 성장에 영향을 줄 수 있다.[189] 긁기는 식재된 묘목에 긍정적인 방식으로 작용하도록 다양한 현장 조건에 적절하게 적용해야 한다. 불꽃과 겨이삭새 풀이 모두 토양 수분 조절제로 나타났기 때문에, 긁기 강도 감소는 케나이 반도에서 발견되는 더 습한 지역에서 식재된 묘목에 유익할 수 있다. 그러나 종 조성을 증진하기 위해 자연 재생을 장려하는 것과 같은 다른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조림 관리자는 식재된 묘목 생존 및 성장과 원하는 수준의 자연 재생을 달성하는 것 사이에서 적절한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습한 지역에서의 긁기에 대한 반응의 균형을 맞춰야 한다.
토양 온도 저하 및 과도한 토양 수분에 취약한 지역에서 식재 지점을 높이는 토지 정리 처리는 일반적으로 이식 묘목의 생장을 향상시켰다. 둔덕(흙을 쌓아 올려 만든 언덕) 조성은 토양 온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식 묘목의 뿌리 생장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표 30).[190]
미세 지역 | 5월 25일 | 6월 1일 | 6월 8일 | 6월 15일 | 6월 22일 | 6월 29일 | 7월 6일 | 7월 13일 | 7월 20일 | 7월 27일 |
---|---|---|---|---|---|---|---|---|---|---|
둔덕 | 1.8cm | 3.3cm | 4.3cm | 7.4cm | 10.1cm | 11.4cm | 19cm | 23.9cm | 27.2cm | 28.8cm |
경첩 | 0 | 0 | 0 | 2.1cm | 4.3cm | 6.9cm | 8.6cm | 14.2cm | 18.8cm | 19.3cm |
대조군 | 0 | 0 | 0 | 0 | 0 | 0 | 2.6cm | 6.4cm | 9.1cm | 11.7cm |
평균 | 0.6cm | 1.1cm | 1.4cm | 3.2cm | 4.8cm | 6.1cm | 10.1cm | 14.8cm | 18.4cm | 19.9cm |
둔덕은 가장 빠르게 따뜻해졌으며, 토양 깊이 0.5cm 및 10cm에서 대조군보다 각각 평균 10 및 7 °C 더 높았다. 맑은 날에는 둔덕과 유기 매트의 낮 동안의 표면 온도 최댓값이 토양 습도와 음영에 따라 25 °C에서 60 °C에 달했다. 둔덕은 식재 후 5일 만에 10cm 깊이에서 평균 토양 온도 10 °C에 도달했지만, 대조군은 식재 후 58일이 되어서야 해당 온도에 도달했다. 첫 번째 생장 기간 동안 둔덕은 평균 토양 온도가 10 °C 이상인 날이 대조군 미세 지역보다 세 배나 많았다.
둔덕은 첫 번째 생장 기간 동안 모든 표본 미세 지역을 통틀어 광합성 유효 방사선(PAR) 양이 다섯 배나 더 많았다.[190] 대조군 처리는 일일 배경 PAR의 약 14%를 일관되게 받았지만, 둔덕은 70% 이상을 받았다. 11월이 되자 가을 서리가 음영을 줄여 이러한 차이가 사라졌다. 온도에 미치는 영향과는 별개로, 입사(入射, 들어오는) 방사선 또한 광합성에 중요하다. 평균 대조군 미세 지역은 광보상점(빛의 세기가 약하여 광합성량이 호흡량과 같아지는 지점) 이상의 빛에 단 3시간, 즉 일일 광주기(光週期, 낮과 밤의 주기)의 4분의 1만 노출된 반면, 둔덕은 광보상점 이상의 빛을 11시간, 즉 동일한 일일 기간의 86% 동안 받았다. 100-600 μE/m2/s 강도 범위의 입사광이 광합성에 가장 중요하다고 가정할 때, 둔덕은 대조군 미세 지역에 도달한 총 일일 광 에너지의 네 배 이상을 받았다.
선형(線形, 선 모양) 벌채지 정지에서 방향은 때때로 지형이나 다른 고려 사항에 의해 결정되지만, 방향을 선택할 수 있는 경우 상당한 차이를 만들 수 있다. 브리티시컬럼비아 내륙의 아한대 가문비나무 지대에서 수행된 디스크 트렌칭 실험은 13개의 미세 입지 식재 위치(둑, 경첩 및 참호)에서 어린 묘목(로지폴 소나무)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북향, 남향, 동향, 서향, 그리고 고랑 사이의 처리되지 않은 위치에서 남향, 동향, 서향 미세 입지의 나무의 10년 차 줄기 부피는 북향 및 처리되지 않은 미세 입지의 나무보다 유의하게 컸다.[191] 그러나 참호 방향보다 전반적으로 식재 지점 선택이 더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네소타 연구에서 N-S(남북) 띠는 눈이 더 많이 쌓였지만, 벌채 후 첫 해에는 E-W(동서) 띠보다 눈이 더 빨리 녹았다.[192] 눈은 약 4.88m(4.88m) 폭의 미벌채 띠와 교대로 약 15.24m(15.24m) 폭의 띠에서 벌채된 90~100년 된 ''Pinus resinosa'' 임분에서, 띠의 중앙 근처에서 더 빨리 녹았다.
6. 3. 가변 보존 (Variable retention)
가변 보존은 그루터기, 통나무, 나무, 하층 식생 종, 교란되지 않은 임상층 등의 삼림 구조 요소를 최소한 한 번의 윤작(輪作, rotation)[1] 동안 유지하여 구조적으로 복잡한 숲과 관련된 환경적 가치를 보존하는 비교적 새로운 임업 시스템인 수확 및 재생 방법이다.[155]- ----
[1] 윤작(輪作, rotation): 임업에서 묘목을 심어 벌채하기까지 걸리는 기간.
참조
[1]
서적
The Practice of Silviculture
Wiley
[2]
서적
Terminology of Forest Science, Technology Practice and Products: English-Language Version
Society of American Foresters
[3]
웹사이트
Invented by Reiniger at The Schlägl Monastery, Austria
http://www.stift-sch[...]
[4]
서적
Silviculture: Concepts and Applications
McGraw-Hill
[5]
서적
Ecophysiology of Northern Spruce Species: The Performance of Planted Seedlings
NRC Research Press
[6]
간행물
Afforestation | Stand establishment, treatment and promotion – European experience
https://doi.org/10.1[...]
Elsevier
[7]
서적
Seeds of Woody Plants in the United States
https://archive.org/[...]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Forest Service
[8]
논문
Low temperature germination of some eastern Canadian tree seed
http://nofc.cfs.nrca[...]
1963
[9]
서적
Direct Seeding Symposium. Timmins, Ontario. September 11, 12, 13, 1973
Canadian Forestry Services
[10]
서적
Natural Regeneration of Engelmann Spruce After Clearcutting in the Central Rocky Mountains in Relation to Environmental Factors.
https://archive.org/[...]
U.S. Dept. of Agriculture, Forest Service
[11]
논문
A Humus Study in Norway
1927-07-01
[12]
논문
"[Temperature as a factor of regeneration in the spruce forests of Northern Trondhjem]"
1933
[13]
논문
Factors influencing white spruce reproduction in Manitoba and Saskatchewan
http://cfs.nrcan.gc.[...]
1955
[14]
논문
Spruce regeneration in Canada: the Prairie Provinces.
1940
[15]
논문
Silvical characteristics of Engelmann spruce.
https://www.fs.fed.u[...]
1984
[16]
간행물
Soil properties and root development in forest trees: a review.
For. Can., Ont. Region, Sault Ste. Marie ON
[17]
서적
Seed: Seedling Ratios of Engelmann Spruce After Clearcutting in the Central Rocky Mountains
https://books.google[...]
USDA Forest Service, Rocky Mountain Forest and Range Experiment Station
[18]
서적
Forest Tree Seed of the North Temperate Regions With Special Reference to North America
Chronica Botanica Co.
[19]
논문
The Density of Spruce and Fir Reproduction Related to the Direction of Exposure
1933-04-01
[20]
논문
Moderna huggningsformer tillämpade pâ Finspång
1925
[21]
논문
Stem lesions caused by excessive heat
https://naldc.nal.us[...]
1918
[22]
논문
White Spruce Cone Production and Prediction of Cone Crops
1972-12-01
[23]
서적
Seedfall and Establishment of Engelmann Spruce and Subalpine Fir in Clearcut Openings in Colorado
https://archive.org/[...]
U.S. Dept. of Agriculture Forest Service
[24]
논문
Small Mammals and Regeneration of White Spruce Forests in Western Alberta
1970
[25]
논문
The effect of various seedbed treatments on the germination and survival of white spruce and lodgepole pine seedlings
http://www.cfs.nrcan[...]
1957
[26]
서적
Early Results of the Rosie Creek Fire Research Project, 1984
University of Alaska, Fairbanks Agricultural and Forestry Experiment Station
[27]
서적
Forest Ecosystems in the Alaskan Taiga
Springer-Verlag
[28]
논문
Prescribed Burning White Spruce Slash in Interior Alaska
1986-03-01
[29]
간행물
Critical silvics of conifer crop species and selected competitive vegetation in northwestern Ontario.
For. Can., Sault Ste. Marie, Ont./Ont. Min. Nat. Resour., Northwestern Ont. For. Tech. Devel. Unit, Thunder Bay ON
[30]
간행물
Northern conifer planting stock produced under long photoperiods in Florida.
[31]
Silvics
[32]
논문
Prescription for the aerial environment of a plastic greenhouse nursery
http://admin.rngr.ne[...]
1976
[33]
서적
Optimum Temperatures for Growth of Southern Rocky Mountain Engelmann Spruce and Douglas-Fir Seedlings
https://books.google[...]
USDA Forest Service, Rocky Mountain Forest and Range Experiment Station
[34]
서적
Silviculture and Ecology of Western U.S. Forests
Oregon State University Press
[35]
서적
Regenerating the Canadian Forest: Principles and Practice for Ontario
Fitzhenry & Whiteside
[36]
서적
The Classification and Evaluation of Site for Forestry
Ontario Department of Lands and Forests, Division of Research
[37]
논문
Site regions revisited: a climatic analysis of Hills' site regions for the province of Ontario using a parametric method
1996-03-01
[38]
논문
Genetic structure and patterns of genetic variation among populations in eastern white spruce (''Picea glauca'')
https://www.research[...]
1997-02-01
[39]
서적
Seeding and Planting in the Practice of Forestry
Wiley & Son
[40]
간행물
Collecting, processing and storing tree seed for research use
https://digitalcommo[...]
1973
[41]
문서
Testing tree seed viability with FDA: what does it tell you?
2001
[42]
서적
The Testing of Coniferous Tree Seeds at the School of Forestry, Yale University, 1906-1926
Yale University
[43]
논문
Fungi associated with seeds of eastern white pine and white spruce during cone processing and seed extraction.
1987
[44]
논문
Effect of ultra-sound on the germination of white spruce and jack pine.
1966
[45]
간행물
Germination after two years storage of artificially ripened white spruce seed.
1982
[46]
간행물
Testing and treatment of Canadian white spruce seed to overcome dormancy.
1974
[47]
간행물
Case history of an excellent white spruce cone and seed crop in interior Alaska: cone and seed production, germination and seedling survival.
USDA, For. Serv., Pacific NW For. Range Exp. Sta.
1978
[48]
서적
Forest tree nursery [[soil management]] and related practices – metric edition.
Ont. Min. Nat. Resour., Div. For. For. Manage. Branch
1979
[49]
논문
Long-term storage of various Canadian hardwoods and conifers.
2004
[50]
간행물
Laboratory determination and recommended testing methods for 16 spruce (''Picea'') species.
1961
[51]
간행물
A case against cold stratification of white spruce seed prior to nursery seeding.
Can. Dep. For. and Rural Devel., For. Branch
1968
[52]
간행물
Forest nursery handbook.
B.C. For. Serv.
1969
[53]
간행물
Effect of stratification on germination of freshly harvested seed of several spruce and pine species in eastern Canada.
Can. Dep. Fish. For., Can. For. Serv., Petawawa For. Exp. Sta.
1970
[54]
간행물
The beneficial effects of stratification on germination of tree seeds.
1987
[55]
간행물
Effects of stratification of Alberta white spruce and lodgepole pine seeds on emergence in operational seedbeds.
1972
[56]
논문
Effects of early cone collection and artificial ripening on white spruce and red pine germination.
1981
[57]
문서
Anatomy and morphology of conifer tree seed.
B.C. Min. for.
1997
[58]
문서
Maturation et indices de maturité des semences d'épinette blanche. [Maturation and maturity indexes of white spruce seeds.]
Quebec Min. For.
1991
[59]
논문
Effect of tree spacing, cone storage, and prechilling on germination of ''Picea glauca'' seed.
1990
[60]
논문
Variation in ''Picea glauca'' seed germination associated with the year of cone collection.
1993
[61]
문서
Ontario Class Environmental Assessment for Timber Management.
Ont. Min. Nat. Resour.
1989
[62]
문서
Forest practices code of British Columbia: Silvicultural systems guidebook.
BC MoF, BC Ministry of Environment
1995
[63]
간행물
The nature and analysis of competition between plants of different species.
1961
[64]
문서
Determining necessity and priority for tending in young spruce plantations in northwestern Ontario.
Ont. Min. Nat. Resour., Northwestern Ont. For. Technol. Devel. Unit
1991
[65]
문서
Mixtures of paper birch and conifers: An ecological balancing act.
1996
[66]
논문
Describing condition-specific determinants of competition in boreal and sub-boreal mixedwood stands.
2004
[67]
논문
Light dynamics and free-to-grow standards in aspen-dominated mixedwood forests.
2002
[68]
논문
A new competition model for individual trees.
1971
[69]
간행물
A simulation model for managing jack pine stands.
1974
[70]
문서
Computer simulation of Douglas-fir tree and stand growth.
Oregon State Univ.
1972
[71]
간행물
Trials with program FOREST: Growth and reproduction simulation of mixed species forest stands
R. Coll. For., Dep. For. Yield Res.
1974
[72]
논문
Overtopping by successional coast range vegetation slows Douglas-fir seedlings
1984
[73]
논문
Simple competition indices and their correlation with annual loblolly pine tree growth
1976
[74]
간행물
A method for assessing severity of weeds in young plantations
1982
[75]
논문
Neighbourhood interference amongst Pinus rigida individuals
1984
[76]
학위논문
Growth and development of young Douglas-fir in relation to intra- and inter-specific competition
1982
[77]
논문
Coniferous afforestation leads to soil acidification in central Ontario
1986
[78]
간행물
How initial forest plantation density affects future stand growth
OMNR, Northeast Science & Technology
1995
[79]
서적
The Practice of Silviculture
Wiley & Sons, New York NY
1962
[80]
간행물
Operational guidelines for tree improvement in Ontario
Ont. Min. Nat. Resour., Toronto ON
1989
[81]
논문
Stand density management: an alternative approach and its application to Douglas-fir plantations
1979
[82]
간행물
Jack pine density management diagram for boreal Ontario
Ont. Min. Nat. Resour., Northeast Science & Technology
1995
[83]
간행물
Compatible growth models and stand density diagrams
1988
[84]
논문
Forest planting in the Lake States
1929
[85]
서적
Seeding and Planting in the Practice of Forestry
Wiley & Son, New York NY
1954
[86]
문서
5 Keefe, K.
2012
[87]
웹사이트
'Fact Sheet 4.12. Forest Regeneration'
http://www.grida.no/[...]
[88]
서적
Principles of Silviculture
McGraw-Hill, New York
1979
[89]
간행물
Juvenile spacing in rgw sub-boreal spruce biogeoclimatic region of British Columbia
1991
[90]
간행물
Spacing in eastern Canada: the New Brunswick experience
1991
[91]
간행물
A company perspective on spacing and thinning
1991
[92]
간행물
Reducing stem density with herbicides: what are the options?
1991
[93]
간행물
Early response of balsam fir to spacing in northwestern New Brunswick
Environment Canada, Canadian Forestry Service, Maritimes Forestry Centre, Fredericton, New Brunswick
1981
[94]
간행물
Spacing effects 20 years after planting three conifers in Manitoba
Can., Can. For. Serv., Edmonton AB
1986
[95]
간행물
Development of unthinned white spruce plantations to age 50 at Petawawa Forest Experiment Station
Can. Dep. Environ., Can. For. Serv., Ottawa ON
1973
[96]
간행물
Forest management research area Thunder Bay spacing trial
OMNR, Toronto ON, Queen's Printer
1989
[97]
간행물
The influence of initial espacement on the growth of a 32-year-old white spruce plantation
B.C. Min. For., Victoria BC
1992
[98]
간행물
Spacing effects 15 years after planting three conifers in Manitoba
Can. Dep. Environ., Can. For. Serv., Northern For. Res. Centre, Edmonton AB
1980
[99]
문서
6 Savill, P.S.
2004
[100]
간행물
Regeneration in the mixedwoods
1991
[101]
문서
7 D'Amato, Anthony W.
2011
[102]
논문
Pre-commercial thinning in conifers with silvicides
1967
[103]
웹사이트
The Dictionary of Forestry
http://dictionaryoff[...]
[104]
서적
The Practice of Silviculture: Applied Forest Ecology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
1997
[105]
논문
Silvicultural views on the Canadian spruce forests
1961
[106]
논문
The Canadian spruce forest
1959
[107]
서적
Forest Management
McGraw-Hill
1987
[108]
간행물
Forest growth and future yields: the importance of today's regeneration practices
2001
[109]
간행물
Ontario Independent Forest Audit Committee
Ont. Min. Nat. Resour.
1996
[110]
간행물
Factors affecting natural white spruce regeneration on prepared seedbeds at the Riding Mountain Forest Experimental Area, Manitoba
Can. Dep. For. Rural Devel., For. Branch
1966
[111]
보고서
Ingress of Engelmann spruce and subalpine fir in southern interior ESSF
For. Can./B.C. Min. For.
1989
[112]
논문
White spruce artificial regeneration options on river floodplains in interior Alaska
1991
[113]
논문
Natural and advanced regeneration of Engelmann spruce and subalpine fir compared 21 years after site treatment
1980
[114]
간행물
Comparative productivity of seedbed, natural and planted regeneration following various site treatments in white spruce clearcuts
1986
[115]
논문
Couvert et photométrie
1948
[116]
보고서
Radiant Energy in Relation to Forests
USDA, For. Serv.
1965
[117]
웹사이트
Oregon State University Extension Service
http://oregonfuture.[...]
[118]
웹사이트
RESIDUAL DAMAGE IN A CONIFER STAND THINNED WITH A CTL SYSTEM, University of Idaho
http://www.cnrhome.u[...]
[119]
문서
2009
[120]
간행물
Techniques to maintain a windfirm understory
1996
[121]
논문
Effects of Group-Selection Opening Size on Breeding Bird Habitat Use in a Bottomland Forest
2013-10-04
[122]
문서
1998
[123]
문서
2003
[124]
간행물
Effect of clearcutting of boreal spruce forest on air and soil temperature conditions
1991
[125]
서적
The Practice of Silviculture: Applied Forest Ecology
John Wiley & Sons
1997
[126]
문서
2004
[127]
보고서
Direct seeding experiments with white spruce, alpine fir, Douglas fir and lodgepole pine in the central interior of British Columbia
B.C. Min. For. Lands
1963
[128]
논문
Growth and survival of Engelmann spruce and alpine fir on seed spots at Bolean Lake, B.V. 1954–59
1960
[129]
서적
L'aménagement des forêts par la méthode expérimentale et spécialement la méthode du contrôle
Paris, Attinger frères
1920
[130]
논문
Continuous cover forestry in Britain: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https://www.research[...]
2012
[131]
간행물
Regeneration problems and options for white spruce on river floodplains in the Yukon Territory
1980
[132]
간행물
Natural regeneration
1990
[133]
보고서
Ecology, silviculture, and management of the Engelmann spruce–subalpine fir type in the central and southern Rocky Mountains
USDA, For. Serv.
1987
[134]
보고서
The results of stand treatment in the white spruce–alpine fir type of the northern interior of British Columbia
B.C. Dep. Lands For. Water Resour., B.C. For. Serv.
1963
[135]
웹사이트
Ecology and silviculture of interior spruce in British Columbia
https://www.for.gov.[...]
1994
[136]
논문
An ecological study on the effects of shelters on germination and germling development of Scotch pine, Norway spruce and Siberian larch
1976
[137]
논문
Direct seeding techniques to regenerate white spruce in interior Alaska
1986
[138]
논문
Raven damage to plastic seeding shelters in interior Alaska
1985
[139]
보고서
Converting aspen stands to white spruce–aspen mixedwoods by planting and seeding, Manitoba: Manitoba forestry demonstration areas
Can./Manitoba Partnership in For.
1994
[140]
문서
2008
[141]
문서
4 Holgén, Per 2000; 4 Holgén, Per 2000
[142]
논문
Survival and Growth of Under-Planted Trees: A Meta-Analysis across Four Biomes
2006-08
[143]
문서
4 Holgén, Per 2000
[144]
간행물
Development of a white spruce plantation
Michigan State Univ., Agric. Exp. Sta., East Lansing MI
1970
[145]
간행물
Guidelines for obtaining natural regeneration of white spruce in Alaska
USDA, For. Serv., Pacific Northwest For. Range Exp. Sta., Portland OR
1972
[146]
간행물
Regeneration following shelterwood cutting in a New Brunswick softwood stand
Can. Dep. Fish. & Environ., Can. For. Serv., Fredericton NB
1977
[147]
간행물
Partial cutting in old-growth spruce-fir
USDA For. Serv., Rocky Mountain and Range Exp. Sta., Fort Collins, CO
1973
[148]
웹사이트
Conservation Approaches for Woody, Early Successional Communities in the Eastern United States
2013-10-04
[149]
논문
Cutting for reproduction in spruce stands
1927
[150]
간행물
Forest possibilities of aspen lands in the Lake States
Minnesota Agricultural Exp. Sta., Minneapolis, Minnesota
1929
[151]
논문
Direct seeding in Ontario
1970
[152]
간행물
Backlog forest land rehabilitation in the SBS and BWBS zones in the northern interior of British Columbia
Can./B.C. FRDA
1988
[153]
논문
Attractiveness of logs containing female spruce beetles Dendroctontus obesus (ColeopteraL Scolytidae)
1968
[154]
문서
Dynamics of boreal mixedwood ecosystems
1991
[155]
서적
Creating a forestry for the 21st century: the science of ecosystem management
Island Press
1997
[156]
웹사이트
The Role of Disturbance in the Ecology and Conservation of Birds
2013-10-04
[157]
웹사이트
Effects of Selection Cutting on Bird Communities in Contiguous Eastern Hardwood Forests
2013-10-04
[158]
간행물
Pulpwood plantations in Ontario and Quebec
Can. Pulp Pap. Assoc., Woodlands Section
1958
[159]
간행물
Forest regions of Canada
Can. Dep. Environ., Can. For. Serv., Ottawa ON
1972
[160]
문서
Understanding the understorey: dilemma and opportunity
1988
[161]
문서
Mixedwood harvesting
1990
[162]
문서
Harvesting in the mixedwood forest
1989
[163]
문서
Protecting understorey white spruce when harvesting aspen
1989
[164]
문서
A test of three logging systems in Alberta
1990
[165]
논문
Predicting natural regeneration of white spruce in boreal mixedwood understories
2001
[166]
간행물
Understory tree release following harvest cutting in spruce–fir forests of the Intermountain West
USDA, For. Serv., Intermountain For. Range Exp. Sta.
1982
[167]
간행물
Growth of fir and spruce advance growth and logging residuals following logging in west-central Alberta
Can. Dep. Environ., Can. For. Serv., Northern For. Res. Centre, Edmonton AB
1978
[168]
간행물
Silvical characteristics of Engelmann spruce
USDA, For. Serv., Rocky Mountain For. Range Exp. Sta., Fort Collins CO
1958
[169]
간행물
An aerial reconnaissance of softwood regeneration on mixedwood sites in Saskatchewan
Can. Dep. Environ., Can. For. Serv., Northern For. Res. Centre, Edmonton AB
1979
[170]
문서
Response of advance regeneration to release in the Inland Mountain West: a summary
1988
[171]
간행물
Tree growth on and adjacent to contour skid roads in the subalpine zone, southeastern British Columbia
Can. Dep. Environ., Can. For. Serv., Victoria BC
1979
[172]
간행물
Development of a residual stand of interior spruce–alpine fir during the first twenty-eight years following cutting to a 12-inch diameter limit
For. Serv., Victoria BC
1958
[173]
간행물
Response of young fir and spruce to release from shrub competition
Can. Dep. Northern Affairs and National Resources, For. Branch, Ottawa ON
1961
[174]
간행물
The effects of soil temperature and site preparation on subalpine and boreal tree species: a bibliography
Nat. Resour., Can., Can. For. Serv., Victoria BC
2002
[175]
논문
Effects of broadcast slash burning on fuels and soil chemical properties in the sub-boreal spruce zone of central British Columbia
1987
[176]
간행물
Prescribed fire – its place in reforestation
1970
[177]
간행물
White spruce seedbeds as related to natural regeneration
Pulp Paper Res. Instit. Can., Montreal QC
1955
[178]
간행물
Spruce nutrition problems in the central interior and their relationship with site preparation
Proc. Interior spruce seedling performance: state of the art Symposium. Northern Silviculture Committee Workshop, Feb. 1985, Prince George BC
1985
[179]
간행물
Effect of slash burning on soil pH
USDA, For. Serv., Pacific Northwest For. and Range Exp. Sta., Portland OR, Res. Note 102
1954
[180]
간행물
Initial effects of slashburning on the nutrient status of Sub-boreal Spruce Zone ecosystems
"In'' Papers presented at the Fire Management Symposium, April 1987, Prince George BC, Central Interior Fire Protection Committee, Smithers BC"
1987
[181]
간행물
The influence of residue removal and prescribed fire on distribution of forest nutrients
USDA, For. Serv., Res. Pap. PNW-333
1985
[182]
간행물
Prescribed fire and regeneration on clearcut spruce–fir sites in the foothills of Alberta
Environ. Can., Can. For. Serv., Northern For. Res. Centre, Edmonton AB, Inf. Rep. NOR-X-126
1974
[183]
간행물
Weight and size distribution of slash of white spruce and lodgepole pine
1965
[184]
간행물
Weight of the fuel complex in 70-year-old lodgepole pine stands of different densities
Department of Forestry and Rural Development, Forest Research Laboratory, Calgary, Alberta. Departmental Publication 1228
1968
[185]
간행물
Diagnosis: sunburned trees
1975
[186]
간행물
Survival and growth of black and white spruce seedlings in relation to stock type, site preparation and plantation type in southeastern Manitoba
2000
[187]
간행물
Site preparation in Ontario
1970
[188]
논문
Motormanual Scarification: A Tool for Forest Restoration (Alaska)
http://er.uwpress.or[...]
2000
[189]
서적
Scarification Intensity, Its Effect on First Year Survival and Growth of Machine Planted Spruce Seedlings
https://books.google[...]
Alaska Pacific University
2001
[190]
간행물
Post-planting ecophysiology of Interior spruce
Interior Spruce Seedling Performance: State of the Art. Northern Silvic. Committee, Prince George BC
1985
[191]
간행물
Effect of disk trench orientation and planting spot position on the ten-year performance of lodgepole pine
2000
[192]
간행물
Accumulation and snowmelt on north–south versus east–west oriented clearcut strips
Univ. Minnesota, Coll. For., St. Paul MN, Minn. For. Res. Notes No. 34
1972
[193]
웹사이트
林学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24-05-06
[194]
논문
明治初期の林業教育
https://doi.org/10.1[...]
日本森林学会
[195]
논문
進徳の森と中村弥六の関連資料群
https://doi.org/10.1[...]
日本森林学会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