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자기자본이익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자기자본이익률(ROE)은 기업이 주주 자본을 활용하여 1년 동안 얼마나 많은 이익을 얻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ROE는 주주 자본 1달러당 창출되는 이익을 측정하며, 기업이 자본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사용하는지를 보여준다. ROE는 당기순이익을 자기자본으로 나누어 계산하며, 주당순이익(EPS)과 주당순자산(BPS)을 활용하여 표현할 수도 있다. ROE는 다른 재무 지표인 PER, PBR과 함께 기업 가치를 판단하는 중요한 기준이며, 듀퐁 분석을 통해 ROE를 운영, 자산 사용, 재무 효율성으로 분해하여 분석할 수 있다. ROE는 일반적으로 15~20%가 좋은 것으로 간주되며, 투자 시 가치 판단의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재무비율 - 주가순자산비율
    주가순자산비율(PBR)은 주가를 주당 순자산으로 나눈 값으로, 기업의 시장 가치를 순자산과 비교 평가하는 투자 지표이며, 해산 가치 기준으로 주식의 저평가 여부를 판단하는 데 활용되지만 산업별 특성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 재무비율 - 지급준비제도
    지급준비제도는 금융기관이 예금 인출에 대비해 일정 비율의 자금을 중앙은행에 예치하도록 하는 제도로, 유동성 확보 및 금융 위기 예방을 목적으로 하며 중앙은행은 이를 통화량과 금리 조절 수단으로 활용하지만, 일부 국가에서는 폐지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관리되기도 한다.
자기자본이익률
개요
정의자기자본으로 창출한 이익을 측정하는 지표
중요성투자 효율성을 평가하고 기업 성과를 비교하는 데 중요
약자ROE
계산
공식ROE = 순이익 / 평균 자기자본
순이익일정 기간 동안의 순이익
평균 자기자본기초 자기자본과 기말 자기자본의 평균
해석
높은 ROE높은 수익성과 효율적인 자본 활용을 의미
낮은 ROE낮은 수익성 또는 비효율적인 자본 활용을 의미
활용
투자 결정ROE를 활용하여 투자할 기업을 결정
경영 평가경영진의 자본 관리 능력을 평가
기업 비교동일 산업 내 기업의 수익성을 비교
장점 및 단점
장점이해하기 쉬움
다른 재무 지표와 함께 사용 가능
단점부채 수준을 고려하지 않음
회계 처리 방식에 따라 왜곡될 수 있음
개선 방안
순이익 증가매출 증가, 비용 절감
자기자본 감소자사주 매입, 배당 증가

2. 개념

자기자본이익률(ROE)은 기업이 자기자본(주주지분)을 활용해 1년간 얼마를 벌어들였는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예를 들어 자본총액이 1억원인 회사가 1000만원의 당기순이익을 냈다면, ROE는 10%가 된다. 주의할 점은 자본총액을 시가총액과 혼동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자본총액은 회사가 실제로 보유한 자산을 의미하며, 주식의 가격으로 결정되는 시가총액과는 다르다.

ROE는 주주 자본 1달러당 얼마나 많은 달러의 이익을 창출하는지를 측정하며, 회사가 이익을 창출하기 위해 자본을 얼마나 잘 활용하는지를 보여준다. 특히 동일 산업 내 기업의 성과를 비교하는 데 유용하며, 경영진이 사용 가능한 자기자본으로부터 수익을 창출하는 능력을 측정하는 지표이다. 일반적으로 15~20%의 ROE는 좋은 것으로 간주된다.[4]

ROE는 주식 가치 평가의 요소로 활용될 수 있지만, ROE만으로 주가를 예측하기는 어렵다. 다른 여러 요인들이 함께 작용하기 때문이다.[2]

듀퐁 분석은 ROE를 세 가지 구성 요소로 나누어 분석하는 방법이다. 듀퐁 공식은 전략적 이익 모델이라고도 하며, 경영진이 자기자본이익률(ROE)을 세 가지 "실행 가능한" 구성 요소, 즉 순이익률, 자산 회전율, 회계 레버리지로 분해할 수 있도록 하는 프레임워크이다.

:\mathrm{ROE} = \frac{\mbox{순이익}}{\mbox{매출액}}\times\frac{\mbox{매출액}}{\mbox{총 자산}}\times\frac{\mbox{총 자산}}{\mbox{주주 지분}}


  • 순이익률: 매출액 대비 순이익의 비율
  • 자산 회전율: 총 자산 대비 매출액의 비율
  • 회계 레버리지: 주주 지분 대비 총 자산의 비율 (부채를 많이 사용할수록 레버리지가 높아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ROE의 원천을 분석하면, 투자 분석가도 회사를 더 잘 알고 회사를 가치 평가하는 방법을 알 수 있다.[1]

회사의 자본 구조에서 부채의 비율이 높을수록 ROE가 높아진다. 채권자에게 지급하는 이자 지급액은 세금 공제 대상이지만 주주에게 지급하는 배당금은 그렇지 않기 때문이다.[4] 재무 레버리지의 이점은 이자 지급 불이행 위험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한다. 회사가 너무 많은 부채를 떠안으면 채권자가 더 높은 위험 프리미엄을 요구함에 따라 부채 비용이 상승하고 ROE가 감소한다.[5] 부채 증가가 회사의 ROE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려면 해당 부채의 총자산수익률(ROA)이 부채의 이자율을 초과해야 한다.[6]

어떤 기업이 1년간의 기업 활동을 통해 "주주의 투자액에 비해 얼마나 효율적으로 이익을 획득했는가"를 판단하는 데 사용되는 지표는 당기순이익을 전기 및 당기의 자기자본 평균값으로 나눈 것이다. 또한 분자로서 경상이익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 자기자본이익률(ROE) = 당기순이익 ÷ 자기자본

주당 순이익(EPS)과 주당 순자산(BPS)을 사용해서도 표현 가능하며, 그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수식이 된다.

: 자기자본이익률(ROE) = 주당 순이익(EPS) ÷ 주당 순자산(BPS)

3. 다른 지표와의 관계

ROE는 PER, PBR과 함께 회사의 가치를 판단하는 중요한 세 가지 기준 중 하나이며, 주식투자를 할 때 회사의 가치를 분석하는 데 사용되는 주요 지표이다.


  • ROE = (당기순이익 / 자본총액) × 100
  • PBR = 현재주가 / 주당순자산 (BPS)
  • PER = 현재주가 / 주당순이익 (EPS)


위의 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공식도 성립한다.

  • ROE = (EPS / BPS) × 100
  • ROE = (PBR / PER) × 100


듀퐁 분석에 따르면, ROE는 매출액 순이익률, 총자산 회전율, 재무 레버리지의 곱으로 분해된다.

colspan=5|
××
매출액 이익률×총자산 회전율×재무 레버리지



매출액 이익률은 기업의 수익성을, 총자산 회전율은 효율성을, 재무 레버리지는 재무적인 안정성을 나타낸다. 또한, 수식에서 알 수 있듯이, 재무 레버리지는 자기자본비율의 역수이다.

ROE는 매출액 순이익률, 총자산 회전율, 재무 레버리지의 곱으로 나타내므로, 이러한 수치를 향상시킴으로써 ROE를 높일 수 있다.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 매출액 이익률 향상: 이익률이 높은 제품을 개발한다.
  • 총자산 회전율 향상: 매출액을 늘리거나 유휴 자산을 매각한다.
  • 재무 레버리지 향상: 부채의 이용 비율을 높여 주주에 대한 수익을 증가시킨다.

3. 1. ROE와 성장성

예를 들어 자본총액 1억인 회사가 1년에 5000만을 벌어들였다면, ROE는 50%가 된다. 즉, 1억의 생산설비와 자본금 등을 활용하여 1년에 5000만을 벌어들이고, 1년 후 총 자본은 1.5억이 된다. 만일 이듬해에도 ROE를 50%로 유지하려면, 그 1.5억의 50%인 7500만을 벌어들여야 하고, 그 다음 해의 자본총액은 2.25억이 된다. 이처럼 ROE는 회사 자본이 복리로 성장하는 비율을 나타내므로, 성장성을 나타내는 지표가 된다.

ROE는 주주 자본 1달러당 얼마나 많은 달러의 이익을 창출하는지를 측정하며, 따라서 회사가 이익을 창출하기 위해 자본을 얼마나 잘 활용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ROE는 특히 동일 산업 내 기업의 성과를 비교하는 데 사용된다. 자본 수익률과 마찬가지로 ROE는 경영진이 사용 가능한 자기자본으로부터 수익을 창출하는 능력을 측정하는 지표이다. 일반적으로 15~20%의 ROE는 좋은 것으로 간주된다.[4]

ROE는 다른 재무 비율과 함께 주식 가치 평가의 요소이기도 하다. 그러나 ROE가 높을수록 직관적으로 주가가 높다는 것을 의미하지만, 실제로 ROE를 기반으로 회사의 주식 가치를 예측하는 것은 너무 많은 다른 요인에 달려있어 자체적으로 유용하지 않다.[2]

3. 2. PBR과 자산 가치

PBR(주가순자산비율)은 자본총액과 비교하여 시가총액이 얼마나 고평가되었는지 보여준다. 예를 들어, 자본총액이 1억원인 회사가 수익성이 좋아 주가가 높게 형성되어 시가총액이 100억원이라면, 회사를 즉시 처분하고 주주들에게 자산을 모두 분배할 경우 주가의 1/100밖에 돌아가지 않는다. 이는 실제 자산 가치보다 주가가 고평가되었다는 의미이며, PBR은 이러한 고평가 정도를 나타낸다.[1]

3. 3. PER과 수익성

PER(주가수익률)은 이익에 대비해 주가가 얼마나 높게 형성되었는가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시가총액 100억원인 회사가 1년에 5천만원을 벌어들인다면, PER은 200으로 주가가 지나치게 높게 형성된 것이고, 이는 주가에 비해 수익성이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4]

ROE는 주주 자본 1달러당 얼마나 많은 달러의 이익을 창출하는지를 측정하며, 회사가 이익을 창출하기 위해 자본을 얼마나 잘 활용하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이다. ROE는 특히 동일 산업 내 기업의 성과를 비교하는 데 유용하다. 일반적으로 15~20%의 ROE는 좋은 것으로 간주된다.[4]

ROE는 다른 재무 비율과 함께 주식 가치 평가의 요소로 활용되지만, ROE가 높다고 해서 반드시 주가가 높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회사의 주식 가치를 예측하는 데에는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2]

ROE, PBR, PER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 ROE = (당기순이익 / 자본총액) × 100
  • PBR = 현재주가 / 주당순자산 (BPS)
  • PER = 현재주가 / 주당순이익 (EPS)
  • ROE = (EPS / BPS) × 100
  • ROE = (PBR / PER) × 100


이들 세 가지 지표를 비교하면, ROE는 성장성을, PBR은 자본 대비 주가 수준을, PER은 수익성 대비 주가를 나타낸다.

4. 듀퐁 분석 (DuPont Analysis)

듀퐁 공식은 전략적 이익 모델이라고도 하며, 경영진이 자기자본이익률(ROE)을 세 가지 구성 요소로 분해할 수 있도록 하는 프레임워크이다.[3] 이러한 "가치 동인"은 운영, 자산 사용 및 재무의 효율성이다.

ROE는 순이익률에 자산 회전율을 곱한 값에 회계 레버리지를 곱한 값으로 나타낼 수 있다.

:\mathrm{ROE} = \frac{\mbox{순이익}}{\mbox{매출액}}\times\frac{\mbox{매출액}}{\mbox{총 자산}}\times\frac{\mbox{총 자산}}{\mbox{주주 지분}}

이는 주로 재무 관리 또는 펀드 관리에 적용된다.

자기자본이익률을 세 가지 구성 요소로 나누면 재무 관리자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ROE의 변화를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순이익률이 증가하면 모든 판매에서 더 많은 돈이 발생하여 전체 ROE가 높아진다. 마찬가지로 자산 회전율이 증가하면 회사는 소유한 모든 자산 단위에 대해 더 많은 판매를 창출하여 전체 ROE가 다시 높아진다.

회계 레버리지를 늘리면 회사가 자기자본 자금 조달에 비해 더 많은 부채 자금 조달을 사용한다는 의미이다. 채권자에게 지급하는 이자 지급액은 세금 공제 대상이지만 주주에게 지급하는 배당금은 그렇지 않다. 따라서 회사의 자본 구조에서 부채의 비율이 높을수록 ROE가 높아진다.[4] 재무 레버리지의 이점은 이자 지급 불이행 위험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한다. 회사가 너무 많은 부채를 떠안으면 채권자가 더 높은 위험 프리미엄을 요구함에 따라 부채 비용이 상승하고 ROE가 감소한다.[5] 부채 증가가 회사의 ROE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려면 해당 부채의 총자산수익률(ROA)이 부채의 이자율을 초과해야 한다.[6]

듀퐁 분석(DuPont analysis)에 따르면, 자기자본이익률은 매출액 순이익률, 총자산 회전율, 재무 레버리지의 곱으로 분해된다.

이러한 지표의 관계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colspan=5|
매출액 이익률×총자산 회전율×재무 레버리지



매출액 이익률은 기업의 수익성을, 총자산 회전율은 효율성을, 재무 레버리지는 재무적인 안정성을 나타낸다. 또한, 수식에서 알 수 있듯이, 재무 레버리지는 자기자본비율의 역수이다.

4. 1. 듀퐁 분석의 활용 (한국의 관점)

듀퐁 분석은 기업의 자기자본이익률(ROE)을 세 가지 구성 요소로 분해하여 분석하는 방법이다. 이 분석을 통해 경영진과 투자자는 기업의 수익성, 효율성, 재무적 안정성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다.[3]

요소설명한국 기업에 미치는 영향
매출액 순이익률기업이 얼마나 효율적으로 이익을 창출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한국 기업은 높은 매출액 순이익률을 달성하기 위해 원가 절감, 기술 혁신,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 등의 노력을 기울인다.
총자산 회전율기업이 자산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매출을 발생시키는지를 나타내는 지표.한국 기업은 총자산 회전율을 높이기 위해 재고 관리 효율화, 생산 설비 최적화, 유휴 자산 매각 등의 노력을 기울인다.
재무 레버리지기업이 부채를 얼마나 활용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한국 기업은 재무 레버리지를 적절히 활용하여 투자 자금을 조달하고 성장을 가속화할 수 있지만, 과도한 부채는 재무적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


듀퐁 분석의 활용 (한국의 관점)


  • 기업 경영: 한국 기업의 경영진은 듀퐁 분석을 활용하여 ROE의 변화 요인을 파악하고, 각 요소별 개선 방안을 수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순이익률이 낮다면 원가 절감이나 판매 가격 인상 등을 고려할 수 있고, 총자산 회전율이 낮다면 재고 관리 효율화나 설비 투자 효율성 증대 등을 통해 개선할 수 있다.
  • 투자 분석: 한국 주식 시장의 투자자는 듀퐁 분석을 통해 기업의 ROE 구성 요소를 분석하고, 해당 기업의 강점과 약점을 파악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투자자는 기업의 성장 가능성과 투자 가치를 판단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1]
  • 재무 위험 관리: 듀퐁 분석은 기업의 재무 레버리지 수준을 평가하는 데에도 활용될 수 있다. 한국 기업은 듀퐁 분석을 통해 부채 비율의 적정성을 검토하고, 재무 위험을 관리할 수 있다. 과도한 부채는 이자 비용 증가와 채무 불이행 위험 증가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4][5]
  • 가치 평가: 듀퐁 분석을 통해 회사의 역사 및 경쟁사와 비교하여 가치의 동인을 더 잘 이해하고, 할인된 현금 흐름을 사용한 가치 평가를 할 수 있다.[1]
  • 주가 성장률 추정: ROE는 주식의 성장률 추정에 사용될 수 있으며, 배당금의 성장률로 이어져, 잔존 가치 계산 또는 배당 할인 모형 가치 평가에 사용 할 수 있다.
  • 주주 요구 수익률 관리: 경영진은 해당 분석을 통해 주주의 요구 수익률에 비해 실적이 저조할 가능성을 예방할 수 있다.[7]

5. 투자 활용

ROE는 회사가 주주 자본을 얼마나 잘 활용하여 이익을 창출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다른 재무 비율과 함께 주식 가치 평가에 사용된다.

기업이 1년 동안 주주의 투자액 대비 얼마나 효율적으로 이익을 냈는지 판단하는 지표로, 당기순이익을 전기 및 당기 자기자본 평균값으로 나눈 값이다. 경상이익을 분자로 사용하기도 한다.

: 자기자본이익률(ROE) = 당기순이익 ÷ 자기자본

주당 순이익(EPS)과 주당 순자산(BPS)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도 있다.

: 자기자본이익률(ROE) = 주당 순이익(EPS) ÷ 주당 순자산(BPS)

가치투자에서는 ROE가 높으면서 PBR이 낮은 기업에 투자하는 방식이 알려져 있는데, 이는 PER이 저평가된 기업에 투자하는 것과 같다.

5. 1. 한국 주식 시장에서의 ROE 활용

ROE는 높을수록 좋은 회사라고 할 수 있으며, 최소한 시중금리보다 높아야 투자가치가 있다. 시중금리보다 낮으면 회사에 투자하는 대신 은행에 예금하는 것이 더 낫기 때문이다. 워런 버핏은 가치투자의 기준 중 하나로 ROE를 꼽았으며, ROE가 최근 3년간 15% 이상인 회사라면 투자할 만하다고 말했다.[4]

ROE는 특히 동일 산업 내 기업의 성과를 비교하는 데 유용하다. 일반적으로 15~20%의 ROE는 좋은 것으로 간주된다.[4] 그러나 ROE가 높다고 해서 반드시 주가가 높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실제로 ROE를 기반으로 회사의 주식 가치를 예측하는 것은 여러 요인에 달려있어 유용하지 않다.[2]

듀퐁 분석을 통해 ROE의 원천을 파악하면 투자 분석가도 회사를 더 잘 이해하고 가치를 평가할 수 있다.[1] 듀퐁 공식에 따르면 ROE는 순이익률, 자산 회전율, 회계 레버리지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3]

:\mathrm{ROE} = \frac{\mbox{순이익}}{\mbox{매출액}}\times\frac{\mbox{매출액}}{\mbox{총 자산}}\times\frac{\mbox{총 자산}}{\mbox{주주 지분}}

회계 레버리지가 높을수록, 즉 부채 비율이 높을수록 ROE가 높아진다. 채권자에게 지급하는 이자는 세금 공제가 되지만, 주주에게 지급하는 배당금은 그렇지 않기 때문이다.[4] 그러나 부채가 너무 많으면 채권자가 더 높은 위험 프리미엄을 요구하여 부채 비용이 상승하고 ROE가 감소한다.[5]

투자자들은 회사가 위험이 낮은 투자에서 얻을 수 있는 수익보다 더 높은 ROE를 창출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8]

참조

[1] 웹사이트 Return on Equity (ROE) Calculation and What It Means http://www.investope[...] 2023
[2] 뉴스 Beware: Weak Link Between Return On Equity And High Stock Price Returns https://www.forbes.c[...] Forbes 2018-11-04
[3] 웹사이트 Dupont Analysis https://www.investop[...] 2022
[4] 웹사이트 Profitability Indicator Ratios: Return On Equity" http://www.investope[...]
[5] 서적 Applied Principles of Finance 2006
[6] 서적 Investments
[7] 서적 Financial Accounting in an Economic Context https://www.oreilly.[...] 2016
[8] 웹사이트 Return on Equity https://corporatefin[...] Corporate Finance Institute 2023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