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가치투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가치 투자는 내재 가치보다 낮은 가격에 거래되는 자산을 매수하여 장기적인 수익을 추구하는 투자 방식이다. 1600년대부터 그 개념이 인식되었으며, 벤저민 그레이엄과 데이비드 도드가 가치 투자를 확립했다. 이들은 안전 마진 개념을 통해 주식 선택의 기준을 제시했으며, 벤저민 그레이엄의 제자 워렌 버핏은 가치 투자를 통해 성공적인 투자를 이어갔다. 계량적 가치 투자는 체계적인 분석을 통해 투자 결정을 내리는 방식으로 발전했으며, 가치 투자는 장기적으로 시장을 능가하는 성과를 보여왔다. 하지만, 가치 투자는 성장주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수익률을 기록할 수도 있으며, 내재 가치 평가의 주관성, 낮은 가격에 대한 맹목적인 추종 등의 비판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금융 이론 - 전망 이론
    전망 이론은 사람들이 위험 상황에서 의사 결정을 내리는 과정을 설명하는 이론으로, 편집과 평가 단계를 거쳐 손실 회피, 민감도 체감 등의 개념을 포함하며 행동 경제학 분야에 기여한다.
  • 금융 이론 - 알파 (금융)
    알파는 현대 포트폴리오 이론과 자본 자산 가격 결정 모형에 기반하여 투자의 효율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시장의 베타 조정 수익률을 초과하는 추가 수익을 의미하며 펀드 운용자의 투자 판단 능력을 측정하는 데 활용된다.
  • 수리금융학 - 이자율
    이자율은 자금의 시간 가치를 반영하는 금리로서, 대출 또는 차입 시 지불되는 이자의 비율이며, 통화정책, 기준금리, 만기, 신용도, 시장 수요 공급 등 다양한 요인의 영향을 받는다.
  • 수리금융학 - 72의 법칙
    72의 법칙은 복리 계산 시 투자 원금이 두 배가 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수익률로 나누어 어림수로 추정하는 방법으로, 투자 결정 시 참고 자료로 활용되며, 이자율 조건에 따라 다른 숫자를 사용하는 것이 더 정확할 수 있다.
  • 투자 - 신흥 시장
    신흥 시장은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사이 과도기 국가들의 시장을 지칭하는 복합적 개념으로, 빠른 경제 성장과 산업화를 특징으로 하지만 불균형, 환경 문제, 정치적 불안정 등의 과제도 안고 있어 투자 및 무역 관점에서 중요성이 커지고 있으며, 용어 정의와 적용에 대한 논의가 지속되고 있다.
  • 투자 - 투자 전략
    투자 전략은 투자 목표 달성을 위해 개인의 위험 감수 수준, 투자 기간, 자본 규모 등을 고려하여 선택하는 체계적인 계획으로, 소극적 투자와 적극적 투자 등 다양한 전략이 존재하며, 신중한 결정과 장기적인 계획 및 위험 관리가 필요하다.
가치투자
가치 투자
워렌 버핏
가치 투자는 시장 가격보다 낮은 가격으로 주식을 매수하는 투자 전략이다.
유형투자 패러다임
설명내재 가치 분석을 통한 저평가된 자산 매수
창시자벤저민 그레이엄, 데이비드 도드
영향력 있는 인물워렌 버핏, 찰리 멍거, 세스 클라먼
반대성장 투자
상세 정보
핵심 원칙기업의 내재 가치 평가
안전 마진 확보
시장의 비합리성 활용
장기 투자
가치 평가 방법재무제표 분석 (수익성, 안정성, 성장성)
현금 흐름 할인 (DCF) 모형
상대 가치 비교 (PER, PBR 등)
주요 투자 지표주가수익비율 (PER)
주가순자산비율 (PBR)
배당수익률
부채비율
자기자본이익률 (ROE)
투자 대상 선정시장에서 소외된 기업
일시적인 어려움을 겪는 기업
숨겨진 가치를 가진 기업
위험 관리분산 투자
안전 마진 확보
장기적인 관점 유지
역사
기원1920년대, 벤저민 그레이엄과 데이비드 도드의 연구
발전워렌 버핏 등의 실전 투자 사례를 통해 확립
현대다양한 변형과 응용이 존재
관련 서적

2. 역사

가치 투자의 개념은 1600년대 초부터 알려져 있었다. 내재 가치보다 훨씬 높은 가격을 지불하면 장기적으로 좋지 않은 투자가 될 수 있다는 인식도 있었다. 대니얼 디포는 1690년대에 동인도 회사의 주식이 액면가보다 300% 이상 높은, "내재 가치의 실질적인 차이 없이" 높은 가격에 거래되고 있다고 언급했다.[5]

헤티 그린(1834-1916)은 "미국 최초의 가치 투자자"로 불리기도 한다.[6] 그녀는 원치 않는 자산을 낮은 가격에 사서 "가격이 올라가고 사람들이 사고 싶어할 때까지" 보유했다.[6]

투이디 브라운(Tweedy, Browne) 투자 회사는 1920년에 설립되었으며 "월스트리트에서 가장 오래된 가치 투자 회사"로 묘사되었다.[7] 창업자 포레스트 베르윈드 "빌" 투이디는 소규모 회사, 종종 가족 소유의 주식에 집중하여 예상 장부가보다 상당한 할인을 받아 주식을 구매할 수 있었다.[8] 투이디와 벤저민 그레이엄은 친구가 되어 뉴욕 시 브로드웨이 52번가에 있는 같은 사무실 건물에서 함께 일했다.

경제학자 존 메이너드 케인스 또한 초기 가치 투자자로 인정받는다. 1920년대부터 케임브리지 킹스 칼리지의 기금을 관리하면서, 처음에는 시장 타이밍을 기반으로 한 주식 거래 전략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가치 투자와 유사한 전략으로 전환했다. 그는 모멘텀 투자 대신, 넉넉한 배당금을 가진 저평가된 주식을 샀다. 케인스는 그레이엄과 도드와 유사한 용어와 개념을 사용했지만(예: 주식의 내재 가치 강조), 둘 사이에 접촉한 증거는 없으며, 그의 투자 이론을 독자적으로 개발한 것으로 여겨진다. 그의 투자 이론에 대한 세부 사항은 1946년 사망 후 수십 년이 지나서야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10]

벤저민 그레이엄


컬럼비아 대학교 경영대학원 교수였던 벤저민 그레이엄과 데이비드 도드는 가치 투자를 확립했다. 그레이엄은 데이비드 도드와 1934년에 공동 저술한 책 ''증권 분석''에서 안전 마진 개념을 소개했으며, 저서 ''현명한 투자자''에서 이 개념을 옹호했다. 안전 마진은 내재 가치보다 낮은 가격에 주식을 구매하는 투자 접근 방식을 의미한다.[12]

1970년대 이후 가치라는 개념은 상당한 발전을 이루었다. 장부가는 유형 자산이 많은 산업에서 유용하지만, 특허, 브랜드 또는 영업권과 같은 무형 자산은 정량화하기 어렵다. 산업이 급격한 기술 발전을 겪을 때, 자산 가치를 쉽게 추정하기 어려우며, 경쟁적인 파괴적 혁신으로 인해 자산 가치가 영구적으로 손상될 수 있다. 가치를 계산하는 현대적인 모델 중 하나는 할인된 현금 흐름 모델(DCF)로, 자산 가치는 미래의 현금 흐름을 현재 가치로 할인한 값의 합이다.

2. 1. 초기 선구자들

가치 투자의 개념은 1600년대 초부터 인식되었으며, 내재 가치보다 훨씬 높은 가격을 지불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부실한 투자가 될 가능성이 있다는 생각도 마찬가지였다. 대니얼 디포는 1690년대에 동인도 회사의 주식이 액면가보다 300% 이상 높은, "내재 가치의 실질적인 차이 없이" 높은 가격에 거래되고 있다고 관찰했다.[5]

헤티 그린(1834-1916)은 "미국 최초의 가치 투자자"로 묘사되었다.[6] 그녀는 원치 않는 자산을 낮은 가격에 사들여 보유하는 습관이 있었으며, 1905년에 "가격이 올라가고 사람들이 사고 싶어할 때까지" 보유한다고 말했다.[6]

투이디 브라운(Tweedy, Browne) 투자 회사는 1920년에 설립되었으며 "월스트리트에서 가장 오래된 가치 투자 회사"로 묘사되었다.[7] 창업자인 포레스트 베르윈드 "빌" 투이디는 처음에 더 적은 수와 거래량으로 거래되는 소규모 회사, 종종 가족 소유의 주식에 집중했다. 이러한 틈새 시장을 통해 투이디는 판매 옵션이 제한되어 예상 장부가보다 상당한 할인을 받아 주식을 구매할 수 있었다.[8] 투이디와 벤저민 그레이엄은 결국 친구가 되었고, 뉴욕 시 브로드웨이 52번가에 있는 같은 사무실 건물에서 함께 일했다.

경제학자 존 메이너드 케인스 또한 초기 가치 투자자로 인정받고 있다. 1920년대부터 케임브리지 킹스 칼리지의 기금을 관리하면서, 케인스는 처음에는 시장 타이밍을 기반으로 한 주식 거래 전략을 시도했다. 이 방법이 실패하자, 그는 가치 투자와 유사한 전략으로 전환했다. 2017년, 피델리티 인베스트먼트의 조엘 틸링해스트는 다음과 같이 썼다.

> 케인스는 거시 경제를 사용하는 대신, 그가 매우 잘 아는 소수의 회사에 점점 더 집중했다. 그는 모멘텀 투자를 쫓는 대신, 넉넉한 배당금을 가진 저평가된 주식을 샀다. [...] 대부분은 대공황 한가운데서 광업 및 자동차와 같은 지루하거나 인기가 없는 산업의 중소기업이었다. [시장 타이밍으로 인해] 그는 20년 이상 연평균 6%의 수익률로 시장 평균을 능가했다.[9]

케인스는 그레이엄과 도드와 유사한 용어와 개념을 사용했다 (예: 주식의 내재 가치 강조). 킹스 칼리지의 그의 기록을 검토한 결과 케인스와 그의 미국 상대방 사이에 접촉한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으며, 케인스는 그의 투자 이론을 독자적으로 개발한 것으로 여겨진다. 케인스는 그레이엄과 도드와 달리 그의 개념을 수업이나 세미나에서 가르치지 않았고, 그의 투자 이론에 대한 세부 사항은 1946년 사망 후 수십 년이 지나서야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10] 케인스의 아이디어와 그레이엄과 도드의 아이디어 사이에는 "상당한 중복"이 있었지만, 그들의 아이디어가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았다.[11]

2. 2. 벤저민 그레이엄



컬럼비아 대학교 경영대학원 교수였던 벤저민 그레이엄과 데이비드 도드는 가치 투자를 확립했다. 그레이엄은 데이비드 도드와 1934년에 공동 저술한 책 ''증권 분석''에서 안전 마진 개념을 소개했으며, 저서 ''현명한 투자자''에서 이 개념을 옹호했다. 안전 마진은 내재 가치보다 낮은 가격에 주식을 구매하는 투자 접근 방식을 의미한다.[12] 그레이엄은 꾸준한 수익을 내고, 장부가치 대비 낮은 가격으로 거래되며, 낮은 주가수익비율을 가지고, 비교적 낮은 부채를 가진 기업의 주식을 구매할 것을 권장했다.[12]

2. 3. 추가적인 발전

그러나 가치라는 개념(그리고 "장부가")은 1970년대 이후 상당한 발전을 이루었다. 장부가는 대부분의 자산이 유형 자산인 산업에서 가장 유용하다. 특허, 브랜드 또는 영업권과 같은 무형 자산은 정량화하기 어렵고, 회사가 해체될 경우 존속되지 못할 수도 있다. 산업이 급격한 기술 발전을 겪고 있을 때, 자산 가치를 쉽게 추정하기 어렵다. 때로는 경쟁적인 파괴적 혁신으로 인해 자산의 생산 능력이 크게 감소할 수 있으며, 따라서 그 가치가 영구적으로 손상될 수 있다. 자산 가치가 감소하는 좋은 예는 개인용 컴퓨터이다. 장부가가 큰 의미가 없는 예는 서비스 및 소매 부문이다. 가치를 계산하는 현대적인 모델 중 하나는 할인된 현금 흐름 모델(DCF)로, 자산 가치는 미래의 현금 흐름을 현재 가치로 할인한 값의 합이다.

3. 계량적 가치 투자

계량적 가치 투자(또는 체계적 가치 투자)는 재무제표 항목, 경제 데이터, 비정형 데이터와 같은 기본 데이터를 엄격하고 체계적인 방식으로 분석하는 가치 투자의 한 형태이다.[13] 실무자들은 통계/실증적 금융, 수리 금융, 행동 경제학, 자연어 처리, 기계 학습과 같은 계량적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한다.

계량적 투자 분석은 벤저민 그레이엄과 데이비드 도드의 저서 증권 분석에서 시작되었다. 이 책에서 저자들은 특정 주식의 객관적인 재무 지표에 대한 상세한 분석을 옹호했다. 계량적 투자는 사람이 설계하고 프로그래밍하지만, 열등한 투자 결정을 초래하는 인지 편향을 피하기 위해 주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체계적인 프레임워크로 대체한다.[14] 벤저민 그레이엄은 한 인터뷰에서[15] 당시에도 단일 주식에 대한 즉흥적인 상세 재무 분석은 좋은 위험 조정 수익률을 낼 가능성이 낮다고 인정했다. 대신 그는 상대적으로 제한된 일련의 객관적인 기본 재무 요소를 기반으로 일관성 있는 포트폴리오를 구축하는 규칙 기반 접근 방식을 옹호했다.

조엘 그린블라트의 마법 공식 투자는 계량적 가치 투자 전략의 간단한 예시이다. 많은 현대 실무자들은 "마법 공식"처럼 단 두 가지가 아닌, 더 정교한 형태의 계량적 분석을 사용하고 수많은 재무 지표를 평가한다.[16] 제임스 오쇼네시의 월가에서 통하는 투자 전략은 계량적 가치 투자의 고전적인 가이드로, 1927년 1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Compustat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계량적 가치 전략과 가치 요소의 백테스팅 성과 데이터를 담고 있다.[17][18]

4. 가치 투자 성과

가치 투자는 장기간에 걸쳐 성공적인 투자 전략으로 입증되었다. 낮은 주가수익비율, 낮은 주가 현금 흐름 비율, 또는 낮은 주가순자산비율 주식을 매수하는 단순한 전략을 통해 그 성과를 확인할 수 있다. 여러 학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가치주는 성장주와 전체 시장을 능가하는 수익률을 보여주었으며, 이는 19세기부터 장기간에 걸쳐 일관되게 나타났다.[19][20][21][22][23] 1990년부터 2015년까지 26년간의 미국 시장 데이터 분석 결과, 가치 투자의 초과 성과는 중소기업 주식에서 더 두드러졌으며, 개인 포트폴리오에서는 성장 투자보다 가치에 집중하는 "가치 쏠림" 전략이 권장되었다.[24]

4. 1. 가치 투자 전략의 성과

가치 투자는 성공적인 투자 전략으로 입증되었다. 성공 여부를 평가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한 가지 방법은 낮은 주가수익비율 주식, 낮은 주가 현금 흐름 비율 주식, 또는 낮은 주가순자산비율 주식을 매수하는 것과 같은 단순한 가치 투자 전략의 성과를 검토하는 것이다. 수많은 학자들이 가치주 매수의 효과를 연구한 결과를 발표했으며, 이러한 연구들은 가치주가 성장주 및 전체 시장을 능가한다는 사실을 일관되게 밝혀냈다. 이는 단기간이 아닌 장기간에 걸쳐 추적했을 때, 심지어 19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도 마찬가지였다.[19][20][21][22][23] 1990년부터 2015년까지 26년간의 미국 시장 데이터를 검토한 결과, 가치 투자의 초과 성과는 대기업보다 중소기업 주식에서 더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개인 포트폴리오에서는 성장 투자보다 가치에 더 중점을 둔 "가치 쏠림"을 권장했다.[24]

4. 2. 가치 투자자들의 성과

워렌 버핏은 1984년 그레이엄-앤-도드빌의 슈퍼 투자자 연설에서 가치 투자자 그룹의 성과를 조사하는 방법을 제시했다. 이 방법은 유명 가치 투자자들의 성과만을 검토할 때 발생하는 선택 편향(투자자는 성공하지 않으면 잘 알려지지 않기 때문)을 피할 수 있게 해준다.[25] 버핏은 이 연설에서 벤저민 그레이엄의 영향을 받은 투자자, 즉 그레이엄-뉴먼 코퍼레이션에서 일했던 투자자들의 성과를 조사했다. 버핏의 결론은 가치 투자가 평균적으로 장기적인 성공을 가져다준다는 것이었다. 이는 단순한 가치 투자 전략에 대한 학술 연구의 결론과도 일치한다.[25]

1965년부터 1990년까지 가치 투자에 대한 연구 및 주요 학술지 게재 기사가 거의 없었다.[25]

5. 유명한 가치 투자자

워렌 버핏은 1984년 그레이엄-앤-도드빌의 슈퍼 투자자 연설에서 벤저민 그레이엄의 영향을 받은 투자자들의 성과를 통해 가치 투자가 장기적으로 성공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는 가치 투자 전략에 대한 학술 연구 결과와도 일치한다. 1965년부터 1990년까지는 가치 투자에 대한 연구 및 주요 학술지 게재가 거의 없었다.[25]

이후 가치 투자는 여러 투자자들에 의해 실천되고 발전되었다. 주요 가치 투자자들은 다음과 같다.


  • 벤저민 그레이엄과 데이비드 도드의 제자들: 컬럼비아 대학교 경영대학원에서 그레이엄과 도드의 가르침을 받은 어빙 칸, 월터 슐로스 등이 있다.
  • 워렌 버핏찰리 멍거: 버핏은 그레이엄의 제자로, 버크셔 해서웨이를 통해 가치 투자를 실천했다. 멍거는 버핏의 투자 철학에 영향을 주어, 장기적인 경쟁 우위를 가진 기업에 집중하도록 했다.
  • 마이클 버리: 사이언 캐피탈 창립자로,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를 예측하고 안전 마진에 기반한 가치 투자로 큰 수익을 올렸다.
  • 뮤추얼 시리즈와 프랭클린 템플턴 인베스트먼트: 맥스 하이네와 마이클 F. 프라이스는 뮤추얼 시리즈를 통해, 존 템플턴은 프랭클린 템플턴 인베스트먼트를 통해 가치 투자를 실천했다. 뮤추얼 시리즈 출신 세스 클라만은 보포스트 그룹을 설립하고 가치 투자의 고전 ''안전 마진''을 저술했다.
  • 기타 가치 투자자: 로렌스 티쉬, 마이클 라슨(Michael Larson), 마틴 J. 휘트먼, 조엘 그린블라트, 샤를 드 보, 장-마리 에빌라르, 메이슨 호킨스, 토마스 포레스터, 위트니 틸슨,[38] 모니시 파브라이, 리 루, 가이 스피어,[39] 톰 게이너, 도지 앤 콕스[40][41] 등이 있다.

5. 1. 그레이엄과 도드의 제자들

벤저민 그레이엄과 데이비드 도드는 컬럼비아 대학교 경영대학원 교수로서 가치 투자를 확립했으며, 수많은 제자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그레이엄은 저서 ''현명한 투자자''에서 안전 마진 개념을 옹호했다.[12] 이는 내재 가치보다 낮은 가격에 주식을 구매하는 투자 접근 방식으로, 꾸준한 수익, 낮은 주가수익비율, 낮은 부채를 가진 기업을 선호하는 전략이다.[12]

1984년 워렌 버핏의 연설 그레이엄-앤-도드빌의 슈퍼 투자자에서는 그레이엄의 영향을 받은 투자자들의 성과를 통해 가치 투자가 장기적으로 성공적임을 보여주었다.

그레이엄의 주요 제자들은 다음과 같다:

투자자주요 내용
어빙 칸1930년대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그레이엄의 조교, 증권 분석 등 그레이엄 저서 연구 기여, 1978년 가치 투자 회사 설립 후 109세까지 회장 역임.[26]
월터 슐로스정규 교육을 받지 못했지만 그레이엄의 투자 강좌 수강 및 그레이엄-뉴먼 파트너십 근무, 1955년 투자 회사 설립 후 50년 가까이 운영.[27]


5. 1. 1. 벤저민 그레이엄의 학생들

벤저민 그레이엄은 많은 제자를 두었으며, 그들 중 일부는 스스로 성공적인 투자자가 되었다. 어빙 칸은 1930년대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그레이엄의 조교 중 한 명이었다. 그는 그레이엄의 저서 ''증권 분석'', ''저장과 안정'', ''세계 상품과 세계 통화'', ''현명한 투자자''에 연구 기여를 했다.[26] 1978년, 그는 아들들과 함께 가치 투자 회사인 칸 브라더스 앤 컴퍼니(Kahn Brothers & Company)를 설립하고 109세까지 회장으로 재직했다.[26]

월터 슐로스는 정규 교육을 받지 못했지만, 뉴욕 증권 거래소 연구소에서 벤저민 그레이엄의 투자 강좌를 수강하고 그레이엄-뉴먼 파트너십에서 일했다.[27] 1955년, 그는 자신의 투자 회사를 설립하여 거의 50년 동안 운영했다.[27] 워렌 버핏은 슐로스를 "그레이엄-앤-도드스빌의 슈퍼 투자자들" 중 한 명으로 소개했다.

5. 1. 2. 워렌 버핏과 찰리 멍거

워렌 버핏벤저민 그레이엄의 가장 유명한 제자 중 한 명으로, 1969년 버크셔 해서웨이를 운영하기 전까지 성공적인 투자 조합을 운영했다.[32] 버핏은 그레이엄의 가르침을 강력하게 지지했으며, 자신의 성공이 그레이엄의 가르침 덕분이라고 믿었다. 1970년대에 버크셔 해서웨이에 합류하여 부회장으로 일한 찰리 멍거는 그레이엄의 기본적인 가치 투자 접근 방식을 따르면서도, 통계적으로 저렴하지 않더라도 강력한 질적 특성을 가진 기업에 집중했다.[32]

멍거의 접근 방식은 점차 버핏에게 영향을 주어, 정량적으로 저렴한 자산보다는 기업의 장기적인 지속 가능한 경쟁 우위를 찾는 방향으로 이끌었다. 버핏은 "괜찮은 가격에 훌륭한 회사를 사는 것이 훌륭한 가격에 괜찮은 회사를 사는 것보다 낫다"는 말을 자주 인용한다.[32]

버핏은 "다른 사람이 두려워할 때 탐욕스러워지고, 다른 사람이 탐욕스러울 때 두려워하라"는 유명한 말을 남겼다. 그는 그레이엄의 가르침을 수정하여, 통계적 수치로 저렴한 기업보다 근본적으로 좋은 사업을 우선시하는 투자 스타일을 확립했다. 또한 "그레이엄과 도드스빌의 슈퍼 투자자들"이라는 강연을 통해 벤저민 그레이엄의 기본 원리에 대한 공개적인 감사를 표했다.

5. 1. 3. 마이클 버리

마이클 버리는 사이언 캐피탈(Scion Capital)의 창립자이자 가치 투자를 강력하게 지지하는 인물이다. 영화 ''빅 쇼트''에서 크리스찬 베일이 연기한 역할로,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를 최초로 인지하고 이익을 얻은 투자자로 유명하다. 버리는 자신의 투자 스타일이 벤저민 그레이엄과 데이비드 도드의 1934년 저서 ''증권 분석''을 기반으로 한다고 여러 차례 언급했으며, "나의 모든 주식 선택은 100% 안전 마진의 개념에 기반하고 있다"라고 말했다.[33]

5. 1. 4. 컬럼비아 경영대학원 가치 투자자들

컬럼비아 대학교 경영대학원은 벤저민 그레이엄과 데이비드 도드 교수가 가치 투자를 확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레이엄은 저서 ''현명한 투자자''에서 안전 마진 개념을 옹호했는데, 이는 내재 가치보다 낮은 가격에 주식을 구매하는 투자 방식이다.[12]

워렌 버핏은 1984년 연설 그레이엄-앤-도드빌의 슈퍼 투자자에서 그레이엄의 영향을 받은 투자자들의 성과를 조사하여 가치 투자가 장기적으로 성공한다는 결론을 내렸다.[12]

그레이엄의 제자들인 어빙 칸은 그레이엄의 저서 집필에 기여했으며, 109세까지 가치 투자 회사를 운영했다.[26] 월터 슐로스는 정규 교육을 받지 못했지만, 그레이엄의 가르침을 받아 50년 가까이 투자 회사를 성공적으로 이끌었다.[27] 트위디, 브라운의 크리스토퍼 H. 브라운 역시 가치 투자자로 잘 알려져 있으며, 트위디, 브라운은 벤저민 그레이엄이 선호하는 증권 중개 회사였다.[28] 피터 컨딜은 그레이엄의 원칙을 따르는 캐나다의 가치 투자자로, 그의 펀드는 캐나다 투자자들이 가치 투자에 접근할 수 있도록 했다.[30]

이처럼 컬럼비아 경영대학원은 교수와 학생들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가치 투자의 원칙을 발전시키고 확산시키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해 왔다. 특히 벤저민 그레이엄의 저서 ''현명한 투자자''는 워렌 버핏에게 큰 영향을 주었으며, "투자에 관해 쓰인 최고의 책"이라고 언급될 정도로 가치 투자의 바이블로 여겨진다. 워렌 버핏은 컬럼비아 경영대학원에서 벤자민 그레이엄의 가르침을 받았고, 그의 회사에서 일하며 가치 투자의 정수를 익혔다.

5. 2. 뮤추얼 시리즈와 프랭클린 템플턴 제자들

뮤추얼 시리즈(Mutual Series)는 1965년부터 1990년까지 가치 투자에 대한 연구 및 주요 학술지 게재 기사가 거의 없던 시기에 최고의 가치 투자 매니저와 분석가를 배출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었다.[25] 이러한 전통은 1949년 유명 가치 투자 회사인 뮤추얼 셰어스 펀드를 설립한 맥스 하이네(Max Heine)와 그의 제자이자 전설적인 가치 투자자인 마이클 F. 프라이스(Michael F. Price)라는 두 인물에서 비롯되었다. 뮤추얼 시리즈는 1996년 프랭클린 템플턴 인베스트먼트(Franklin Templeton Investments)에 매각되었다. 하이네와 프라이스의 제자들은 미국에서 가장 성공적인 투자 회사 중 일부에서 조용히 가치 투자를 실천하고 있다. 프랭클린 템플턴 인베스트먼트(Franklin Templeton Investments)는 또 다른 역발상 가치 투자자인 존 템플턴(John Templeton) 경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뮤추얼 시리즈 출신인 세스 클라만(Seth Klarman)은 보스턴에 본사를 둔 사모 투자 파트너십인 보포스트 그룹(The Baupost Group)의 설립자이자 회장이자, 가치 투자의 고전이 된 ''안전 마진, 사려 깊은 투자자를 위한 위험 회피 투자 전략''(Margin of Safety, Risk Averse Investing Strategies for the Thoughtful Investor)의 저자이다. 절판된 ''안전 마진''은 아마존에서 1200USD, 이베이에서 2000USD에 판매되었다.

5. 3. 기타 가치 투자자

로렌스 티쉬는 형제인 로버트 티쉬와 함께 로우스 코퍼레이션(Loews Corporation)을 이끌며 가치 투자를 실천했다. 그는 다른 투자자들이 보지 못하는 가치를 발견하고 역발상 투자를 통해 성공을 거두었다.[35]

마이클 라슨(Michael Larson)은 빌 & 멜린다 게이츠 재단과 게이츠 개인 재산의 투자 수단인 캐스케이드 인베스트먼트(Cascade Investment)의 최고 투자 책임자(CIO)이다. 그는 가치 투자 전략을 통해 시장 수익률을 꾸준히 능가하는 성과를 보여주었다.

마틴 J. 휘트먼(Martin J. Whitman)은 '안전하고 저렴한' 투자 방식을 추구하며, 재무 구조가 튼튼한 회사의 주식을 순자산가치(NAV)보다 할인된 가격에 매수하는 전략을 사용한다. 그는 거시적 요인보다는 기업의 내재 가치에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조엘 그린블라트(Joel Greenblatt)는 헤지 펀드인 고담 캐피탈(Gotham Capital)을 운영하며 연간 50% 이상의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다. 그는 스핀오프, 합병, 자산 매각과 같은 특수한 상황에 투자하는 것으로 유명하다.[36]

샤를 드 보(Charles de Vaulx)와 장-마리 에빌라르(Jean-Marie Eveillard)는 글로벌 가치 투자자로, 퍼스트 이글 펀드(First Eagle Funds)에서 뛰어난 성과를 거두었다. 특히 에빌라르는 마진이나 레버리지 사용을 경계하며, 장기적인 관점에서 가치 투자를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37]

이 외에도 메이슨 호킨스(Mason Hawkins), 토마스 포레스터(Thomas Forester), 위트니 틸슨(Whitney Tilson),[38] 모니시 파브라이(Mohnish Pabrai), 리 루(Li Lu), 가이 스피어(Guy Spier),[39] 톰 게이너(Tom Gayner) 등 다양한 가치 투자자들이 존재한다. 또한, 샌프란시스코의 투자 회사 도지 앤 콕스(Dodge & Cox)는 오랜 기간 가치 투자를 실천해오고 있다.[40][41]

6. 비판

가치주는 1990년대 후반에 나타난 것처럼 항상 성장주를 능가하는 것은 아니다.[42] 게다가, 가치주가 좋은 성과를 보일 때, 이는 시장이 비효율적임을 의미하는 것이 아닐 수 있으며, 단순히 가치주가 더 위험하고 따라서 더 높은 수익을 요구한다는 것을 암시할 수 있다.[42] 또한, Foye와 Mramor(2016)은 국가별 요인이 가치 지표(예: 장부가/시장가 비율)에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는 가치주가 초과 성과를 내는 이유가 국가별로 다르다는 결론으로 이어진다.[43]

또한, 가격 중심의 가치 투자에 대한 가장 큰 비판 중 하나는 낮은 가격(그리고 최근에 하락한 가격)에 대한 강조가 개인 투자자를 자주 오도한다는 것이다. 근본적으로 낮은(그리고 최근에 하락한) 가격은 종종 회사의 상대적인 재무 건전성의 근본적인 차이(또는 변화)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워렌 버핏은 "훌륭한 회사를 적정 가격에 사는 것이, 적정 회사를 훌륭한 가격에 사는 것보다 훨씬 낫다"라고 강조해 왔다.

2000년에 스탠퍼드 대학교 회계학 교수 조셉 피트로스키는 가치주 후보군 내에서 더 높은 잠재력을 가진 종목을 구별하는 F-스코어를 개발했다.[44] F-스코어는 장부가/시장가와 같은 정적 지표의 초기 선별 후, 회사의 연간 재무제표 시리즈의 신호에서 추가적인 가치를 발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F-스코어 공식은 재무제표를 입력하고 미리 결정된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 점수를 부여한다. 피트로스키는 1976–1996년 기간 동안 높은 장부가/시장가 주식군을 소급 분석하여, 높은 F-스코어 선택이 해당 주식군 전체에 비해 연간 7.5%의 수익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입증했다. 미국 개인 투자자 협회는 2008년 금융 위기에 대한 소급 분석에서 56개의 선별 방법을 검토했으며, F-스코어만이 긍정적인 결과를 냈다는 것을 발견했다.[45]

참조

[1] 서적 Security Analysis McGraw Hill Book Co. 1934
[2] 서적 The Intelligent Investor Collins 1949
[3] 서적 Margin of Safety: Risk-averse Value Investing Strategies for the Thoughtful Investor HarperCollins 1991
[4] 웹사이트 Value Investing Program https://www8.gsb.col[...] 2015-08-18
[5] 서적 Devil Take the Hindmost: A History of Financial Speculation Plume/Penguin 1999
[6] 간행물 The Story of Hetty Green: America's First Value Investor and Financial Grandmaster https://fhmagazine.o[...] Financial History. Museum of American Finance 2022
[7] 서적 The Little Book of Big Dividends John Wiley & Sons 2010
[8] 간행물 Profiles in Investing: A Legacy of Value http://www.grahamand[...] Graham & Doddsville Newsletter, Columbia Business School 2004-02-12
[9] 서적 Big Money Thinks Small: Biases, Blind Spots and Smarter Investing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7
[10] 논문 John Maynard Keynes, Investment Innovator https://ssrn.com/abs[...] 2013-06-30
[11] 논문 On Keynes as an investor https://doi.org/10.1[...] 2013-03
[12] 웹사이트 The Benjamin Graham Stock Screen - Investing Like the Godfather of Value Investing http://www.penniesan[...] 2022-06-08
[13] 서적 Quantitative Value: A Practitioner's Guide to Automating Intelligent Investment and Eliminating Behavioral Errors Wiley Finance 2013
[14] Youtube The Psychology of Human Misjudgement https://www.youtube.[...] 2021-06-21
[15] 웹사이트 A Conversation with Benjamin Graham http://www.bylo.org/[...]
[16] 서적 The Little Book That Still Beats the Market Wiley 2010
[17] 서적 What Works on Wall Street Fourth Edition McGraw Hill 2014
[18] 웹사이트 Machine Learning & Equity Investing http://www.euclidean[...]
[19] 논문 Investment Performance of Common Stocks in Relation to Their Price-Earnings Ratios: A Test of the Efficient Market Hypothesis http://e-m-h.org/Bas[...] 1977-06
[20] 웹사이트 The Cross-Section of Expected Stock Returns, by Fama & French, 1992, Journal of Finance http://ideas.repec.o[...]
[21] 웹사이트 Firm Size, Book-to-Market Ratio, and Security Returns: A Holdout Sample of Financial Firms, by Lyon & Barber, 1997, Journal of Finance http://ideas.repec.o[...]
[22] 논문 Overreaction, Underreaction, and the Low-P/E Effect, by Dreman & Berry, 1995, Financial Analysts Journal http://www.cfapubs.o[...] 1995-07
[23] 논문 The Cross-Section of Stock Returns before CRSP https://papers.ssrn.[...] 2023-02-07
[24] 웹사이트 Comparing the results of value and growth stock market indexes https://www.fidelity[...] Fidelity.com 2011
[25] 뉴스 The Heresy That Made Them Rich The New York Times 2005-10-29
[26] 웹사이트 IRVING KAHN's Obituary on New York Times http://www.legacy.co[...]
[27] 웹사이트 The Walter Schloss Approach to Value Investing http://vintagevaluei[...]
[28] 뉴스 A Career Spent Finding Value https://www.wsj.com/[...] 2009-12-16
[29] 웹사이트 The Little Book of Value Investing https://www.wiley.co[...]
[30] 웹사이트 R.I.P. Peter Cundill https://web.archive.[...]
[31] 웹사이트 Buffett likes the cut of Cundill's jib https://web.archive.[...]
[32] 웹사이트 Warren Buffett's 1989 letter to Berkshire Hathaway shareholders http://www.berkshire[...]
[33] 웹사이트 Learning From Dr. Michael Burry's Investment Philosophy https://www.valuewal[...] 2016-12-20
[34] 뉴스 The $700 Used Book https://web.archive.[...] BusinessWeek 2006-08-07
[35] 웹사이트 Like father, like son: A Tisch family story. Fortune, 2004-06-17 https://money.cnn.co[...]
[36] 서적 You Can Be a Stock Market Genius https://archive.org/[...] Simon and Schuster 1999-02-25
[37] 웹사이트 Morningstar Hall of Fame: Fund Manager of the Year Winners https://newsroom.mor[...] 2020-11-02
[38] 웹사이트 Tilson Funds http://www.tilsonfun[...] 2016-11-18
[39] 웹사이트 Guy Spier - Aquamarine Capital http://aquamarinefun[...] 2016-11-18
[40] 서적 The Soul of the Organization: How to Ignite Employee Engagement and Productivity at Every Level Apress 2014-03-01
[41] 웹사이트 Dodge & Cox: Built to Last https://www.mornings[...] 2017
[42] 웹사이트 Burton Malkiel Talks the Random Walk http://www.advisorpe[...] 2009-07-07
[43] 간행물 A New Perspective on the International Evidence Concerning the Book-Price Effect https://papers.ssrn.[...] 2017-08-05
[44] 간행물 Value Investing: The Use of Historical Financial Statement Information to Separate Winners from Losers https://web.archive.[...] The University of Chicago Graduate School of Business 2020-03-15
[45] 뉴스 AAII: The American Association of Individual Investors http://www.aaii.com/[...] 2016-11-18
[46] 뉴스 Why the division between value and growth investing is a hoax and always has been https://financialpos[...] 2021-05-17
[47] 웹사이트 "It's All About Style: Growth and Value Investing in Institutional Portfolios" http://www.jpmorgan.[...]
[48] 간행물 The value premium and time-varying volatility 2009
[49] 뉴스 "[숨은 투자의 거장들]보수적 가치투자자 세스 클라먼" http://www.asiae.co.[...] 2020-06-23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