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자오저우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오저우만은 산둥반도 남부 해안에 위치한 황해의 만으로, 칭다오시와 자오저우시를 접하고 있으며, 칭다오시의 황다오구를 분리한다. 만의 길이는 약 32km, 폭은 약 27km이며, 지속적인 간척 사업으로 면적이 감소해왔다. 자오저우만은 칭다오항을 포함한 여러 항구와 철도, 공항을 통해 교통이 발달했으며, 다수의 하천이 유입된다. 과거에는 독일 조차지였으며, 일본의 점령기를 거쳐 중국에 반환되었다. 현재 자오저우만은 오염과 생물 다양성 감소 등의 환경 문제에 직면해 있으며, 칭다오 시 정부는 보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칭다오시 - 칭다오 방송
    칭다오 방송은 1933년 칭다오 최초의 라디오 방송국에서 시작되어 여러 시기를 거쳐 2009년 라디오 및 텔레비전 방송국이 합병되어 설립되었으며, 현재 9개의 텔레비전 채널과 9개의 라디오 채널을 운영하고 일부는 칭다오 방언으로 방송한다.
  • 칭다오시 - 북해함대
    북해함대는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 소속으로 칭다오에 사령부를 두고 황해 및 발해만 지역을 관할하며 냉전 시대 소련 해군의 전략적 요충지였고 현재는 러시아 해군이 계승하여 전력 현대화를 추진 중인 중국 해군력의 핵심 전력이다.
  • 중국의 만 - 통킹만
    통킹만은 베트남 북부와 중국 남부에 위치한 만으로, 1964년 통킹만 사건으로 미국이 베트남 전쟁에 참전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해양 경계 분쟁이 있었으나 2000년 양국 간 협정을 통해 획정되었고, 2024년 중국의 선언에 베트남이 국제법 준수를 촉구하고 있다.
  • 중국의 만 - 항저우만
    중국 저장성에 위치한 항저우만은 상하이 남쪽에서 항저우까지 이어지는 넓은 만으로, 강한 조류와 풍부한 어장을 갖고 있으며, 교통 인프라 확충 및 개발 계획을 통해 저장성 경제의 핵심 지역으로 발전하고 있다.
  • 황해 - 다롄시
    다롄시는 랴오닝성 남단의 주요 항구 도시이자 경제 특구로서, 러시아와 일본 점령기를 거쳐 중국에 반환되었고, 개혁 개방 이후 경제 발전과 함께 환경 및 사회 문제에 직면하며, 다양한 산업과 무역, 관광 자원을 바탕으로 중국 동북부의 주요 도시로 성장하였다.
  • 황해 - 남해
    남해는 대한민국 정부 기관에 따라 다르게 정의되는 해역이며,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 기상청 등 기관별로 경계 설정이 달라 부산 해운대구와 남구 간의 갈등이 발생하기도 한다.
자오저우만
지리 정보
일반 정보
중국어 간체胶州湾
중국어 정체膠州灣
병음Jiāozhōu Wān
웨이드-자일스Ch'iao¹-chou¹ Wan¹
우어Koh 평 tseu 평 uae 평
예일Chiao1 chou1 wan1
민난어Kau-chiu-ôan
독일어Kiautschou Bucht
과거 로마자 표기 (독일어)Kiautschou Bay (1898–1922)
광둥어gaau1 zau1 waan1
한국어교주만
위치
좌표36°7′24.44″N 120°14′44.3″E

2. 지리

자오저우만은 황해에 있는 만으로, 산둥반도 남쪽 해안에 자리 잡고 있다. 칭다오시황다오구자오저우시를 나누는 지형이기도 하다. 수심은 10m 에서 15m이며, 만 주변에는 칭다오, 황다오, 홍다오 등 3개의 주요 항구가 있는데, 이 항구들까지는 깊은 준설 수로가 있어 겨울에도 얼지 않는다.

지난 50년 동안 도시와 산업이 발달하고 만 주변 지역이 성장하면서 해양 생물 종도 2/3가 감소했다.[2] 1970년대에 만 북서부에서 170종의 유기체가 발견되었으나, 1989년에는 17종만 발견되었다.[3] 거짓돌고래는 1980년대까지 이 지역에서 정기적으로 나타났지만, 지금은 가끔씩만 나타난다.[4] 한편, 자오저우만은 해안 해양 생태계 회복을 연구하기에 적합한 장소가 될 수 있다.[5]

자오저우만 전체는 산둥성 칭다오시의 시역 내에 있다.

2. 1. 지형 및 수심

자오저우만은 황해의 자연적인 만으로, 좁은 입구 뒤에 넓은 수면을 가지고 있다. 만의 크기는 남북 32km, 동서 25km이며, 평균 수심은 7m, 최대 수심은 64m이다.[14][15] 수심 5m 미만인 부분은 만 면적의 52.7%를 차지하고, 수심 20m 이상인 부분은 5.4%를 차지한다.[16] 만 입구(화이자이커우)의 폭은 약 3,000m이다.[13]

만 주변의 칭다오, 황다오 구, 홍다오 등 3개의 주요 항구까지는 깊은 준설 수로가 있어 겨울에도 선박 운행이 가능하다.

자오저우만 북부는 지모 분지이며, 만의 서북쪽은 산둥반도 북부의 라이저우만에서 남부의 자오저우만까지 펼쳐지는 자오라이 평원이 있다. 자오라이 평원의 주요 하천인 자오라이허는 도중에 두 갈래로 나뉘어 각각 북쪽의 라이저우만과 남쪽의 자오저우만으로 유입된다. 자오저우만 주변의 주요 산지로는 동쪽의 라오산과, 남부에서 서남부에 걸쳐 펼쳐지는 샤오주산이 있다.[14]

2. 2. 면적 변화

1928년 560km2였던 자오저우만의 면적은 지속적인 간척 사업으로 인해 감소했다. 연도별 면적은 다음과 같다.

연도면적(km²)
1958년535km2
1971년452km2
1977년423km2
1986년403km2
1988년390km2[19]
2001년367km2
2003년362km2[20]
2006년353.92km2[13]


2. 3. 유입 하천

자오라이허에서 갈라져 나온 지류인 난자오라이허가 흘러들어가는 다구허를 비롯하여 리춘허, 하이보허, 바이샤허, 양허, 러우산허, 모수이허, 창러루허, 항저우루허 등 여러 하천이 자오저우만으로 유입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하천은 주변 시가지와 촌락의 공업 및 농업 폐수와 생활 폐수로 오염되어 있다.[14]

2. 4. 주변 지역

칭다오시의 시난구, 스베이구, 리창구, 청양구(칭다오 류팅 국제공항이 있음), 자오저우시, 황다오구가 자오저우만을 둘러싸고 있다.[13]

3. 역사

자오저우만은 과거 '자오아오'(膠澳|자오아오중국어)라고 불렸다. 청나라 시대에는 이곳에 세관이 설치되어 정크 무역이 발달했다.[6]

1898년, 독일 제국은 청나라와 조차 계약을 맺어 99년 동안 자오저우만을 조차했다. 이후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일본 제국이 점령하기도 했다. 1922년, 미국의 중재를 통해 자오저우만은 다시 중국의 주권으로 반환되었다.

3. 1. 독일 조차지 시대 (1898년 ~ 1914년)

청나라 시대 칭다오 해안 근처에 세관이 설치되면서 대규모 정크 무역이 발달했다.[6]

1898년 3월 독일 제국은 청나라와 조차 계약을 체결하여 자오저우만을 99년간 조차했다. 이로써 자오저우만은 자오저우만 조차지가 되었고, 칭다오 마을은 독일 식민지 '''칭다오'''가 되었다. 이 지역은 독일의 중국 내 상업 개발 중심지이자 독일 제국 해군 동아시아 함대의 기지가 되었다.

독일은 아프리카 식민지에서 토지 투기가 발생하자, 자오저우만 조차지에 토지 가치세를 도입했다. 이는 식민지에 부와 재정적 안정을 가져다주는 매우 성공적인 정책이었다.[7] 자오저우만 조차지는 토지 가치에 대한 단일세에만 전적으로 의존한 유일한 정부 기관이었으며, 오늘날까지 이러한 세금 제도의 실행 가능성에 대한 학문적 사례 연구로 사용되고 있다. 독일 식민지는 또한 통화를 발행했다.[8][9]

3. 2. 일본 점령기 (1914년 ~ 1922년)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일본 제국독일 제국에게 자오저우만에서 무조건 철수하라는 최후통첩을 보냈고, 시한이 만료되자 1914년 8월 23일 독일에 선전포고를 했다.[10] 영국군과 일본군은 두 달간 자오저우만을 포위 공격했고, 결국 독일 식민지는 항복했다.[10] 이후 자오저우만은 영국과 일본에 의해 점령되었다.

중화민국은 1917년 8월 14일 독일 제국에 선전포고를 하고, 승전국으로서 자오저우만이 반환될 것을 기대했다.[11] 그러나 베르사유 조약은 파리 평화 회의에서 일본의 요구를 수용하여 자오저우만을 포함한 적도 이북의 모든 구 독일 태평양 영토와 섬을 일본에 할당했다.[10] 이 결정은 중국에서 5·4 운동이라는 전국적인 항의 시위를 불러일으켰고, 베이양 정부는 조약 서명을 거부했다.[11]

이 문제는 "산둥 문제"로 알려졌는데, 결국 미국의 중재를 통해 1922년 2월에 자오저우만이 중국 주권으로 반환되었다.[11]

일본의 자오저우만 점령은 한국의 독립운동에도 영향을 미쳤다. 3·1 운동과 같은 항일 운동은 이러한 국제 정세 속에서 전개된 사건이었다.

3. 3. 중국 반환 (1922년)

미국의 중재를 통해 1922년 2월에 이전 식민지였던 자오저우만은 중국 주권으로 반환되었다.[11] 이 상황은 "산둥 문제"로 알려졌다.[10] 1914년 10월 31일부터 시작된 칭다오 전투의 결과, 11월 7일에 자오저우만 조차지는 일본군이 점령했었다. 이후 1922년 12월 10일에 일본은 중국 정부에 자오저우만을 반환하였다. 중화민국은 1917년 8월 14일 독일 제국에 선전포고를 하였고, 승전국의 일원으로서 이전 독일 식민지가 자신들에게 반환될 것으로 기대했다. 그러나 베르사유 조약은 파리 평화 회의에서 일본의 요구를 수용하여 자오저우만을 포함한 적도 이북의 모든 구 독일 태평양 영토와 섬을 일본에 할당했다. 이 예상치 못한 결정은 5·4 운동으로 알려진 중국 전역의 시위를 불러 일으켰고, 베이양 정부는 조약 서명을 거부했다.[11]

4. 교통

자오저우만은 겨울에도 얼지 않고 수심이 깊어 중국 북부의 양항 중 하나로 손꼽힌다. 중국 유수의 항만인 칭다오항이 만 입구에 자리 잡고 있다.

4. 1. 철도

만 북부와 동부에는 칭다오시 도심으로 향하는 자오지 철로와 자오지 여객 전용선이 지나가고, 만 서부에는 자오황 철로와 자오신 철로가 지나간다.[17]

4. 2. 공항

칭다오 류팅 국제공항이 자오저우 만 북동쪽에 있다.

4. 3. 도로

만 주변의 주요 고속도로에는 칭다오시에서 북서쪽으로 뻗어 지난시로 향하는 지칭 고속도로, 칭다오시에서 만 북부를 횡단하는 칭다오 자오저우만 대교를 지나 서쪽으로 뻗는 칭란 고속도로, 만을 둘러싼 환자오저우만 고속도로, 만의 서쪽을 남북으로 달리는 퉁산 고속도로가 있다. 세계 최장의 수상 다리(다리 길이 26.7km, 해상 부분 25.9km)인 칭다오 자오저우만 대교는 2011년6월 30일에 개통했으며, 같은 날 만 입구의 양쪽 끝을 잇는 해저 터널인 칭다오 자오저우만 터널(길이 9.47km, 해저 부분 3.95km)도 개통했다.[17]

4. 4. 연결 프로젝트


  • 칭다오 자오저우만 대교는 42.5km로, 바다를 가로지르는 다리 중 세계에서 가장 긴 다리이며, 동해대교의 길이를 능가한다. 총 예산은 약 99.38억위안 (약 15억달러[12])으로 추산된다. 칭다오에서 외곽 지역까지의 이동 시간을 절반 이상 단축하고 기존의 자오저우만 고속도로의 교통 체증을 완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 칭다오 자오저우만 터널은 칭다오 중심부와 황다오구를 연결하며, 길이는 7km 이상이고, 건설 예산은 30억위안 (약 4.4억달러)이다. 칭다오 중심부에서 황다오구까지 자동차로 약 10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칭다오 자오저우만 대교는 세계 최장의 수상 다리(다리 길이 26.7km, 해상 부분 25.9km)로 2011년6월 30일에 개통했으며, 같은 날 만 입구의 양쪽 끝을 잇는 해저 터널인 칭다오 자오저우만 터널(길이 9.47km, 해저 부분 3.95km)도 개통했다[17]

5. 환경 문제와 보호

칭다오 자오저우만 대교와 자오저우만 해안


자오저우만은 산둥반도에서 가장 큰 하구 해만형 습지로, 습지 총면적은 약 37km2이다. 이곳은 아시아 태평양 지역 철새의 중요한 중간 기착지이자 월동지이며, 12목 26과 156종의 조류가 확인되었다. 이 중에는 멸종 위기에 처한 종도 많이 포함되어 있다.[18]

5. 1. 생물 다양성 감소

지난 50년 동안 도시 및 산업 발달과 만 주변 지역의 성장에 따라 해양 생물 종의 2/3가 감소했다.[2] 1970년대에 만 북서부에서 발견된 170종의 유기체 중 1989년에는 17종만 발견되었다.[3] 거짓돌고래는 1980년대까지 이 지역에서 정기적으로 출현했지만, 지금은 가끔씩만 나타난다.[4]

매립으로 자오저우만의 면적이 축소되면서 조류량도 감소하고, 조절 기능이 저하되어 해수 오염은 더욱 심각해졌다. 습지 면적도 줄어들어 생태 환경이 파괴되었으며, 1960년대 자오저우만 하구 부근의 조간대에 있던 생물 종이 54종이었던 것이, 1970년대에는 33종, 1980년대에는 17종으로 감소했다.[23]

5. 2. 수질 오염

자오저우만 주변은 공장 밀집으로 오수량이 증가하여 오염이 날마다 심해지고 있다.[14] 2000년 7월에는 면적 약 10km2에 달하는 대규모 적조가 발생했다.[21] 2002년 조사에서 국가 2급 해수 수질 표준을 충족하는 곳은 다구허 하구의 극히 좁은 수역뿐이었으며, 그 외 수역은 해당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오염된 해역이었다.[22]

매립으로 자오저우만의 면적이 축소되면서 조류량도 감소하고 조절 기능이 저하되어 해수 오염은 더욱 심각해졌다. 습지 면적 감소로 생태 환경이 파괴되어, 1960년대 자오저우만 하구 부근 조간대에 있던 생물 종이 54종에서 1970년대 33종, 1980년대 17종으로 감소했다.[23]

5. 3. 매립으로 인한 문제

오랜 매립으로 인해 자오저우 만의 수역 면적은 점차 감소하고 있다. 1928년에는 560km2였지만, 2006년에는 353.92km2로 줄어들었다.[13]

이러한 매립은 자오저우 만의 면적을 축소시켜 조류량을 감소시키고, 조절 기능을 저하시켜 해수 오염을 더욱 심각하게 만들었다. 또한 습지 면적도 줄어들어 생태 환경이 파괴되었는데, 1960년대 자오저우 만 하구 부근의 조간대에 있던 생물 종이 54종이었던 것이, 70년대에는 33종, 80년대에는 17종으로 감소했다.[23]

5. 4. 보호 노력

칭다오 시 정부는 "환만 보호, 옹만 발전"이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공장을 자오저우만 연안에서 점차 내륙으로 이전시키는 정책과, 매립 제한을 엄격하게 함으로써 자오저우만의 면적 급감을 규제하는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23]

참조

[1] 간행물 Chorography of Jiao'ao China State Oceanic Administration
[2] 웹사이트 http://www.soa.gov.c[...]
[3] 논문 Report of the Second Workshop on The Biology and Conservation of Small Cetaceans and Dugongs of South-East Asia http://www.iucn-csg.[...] 2015-01-06
[4] 뉴스 青岛海水水质变好引来"深海贵客" 鲸鱼群嬉水胶州湾(组图) http://news.sina.com[...] News.sina.com.cn 2016-08-29
[5] 간행물 PICES Scientific Report No. 22 2002 - PICES Science: The first ten years and a look to the future http://meetings.pice[...] North Pacific Marine Science Organization 2017-02-27
[6] 웹사이트 Qingdao https://www.britanni[...] 2022-08-07
[7] 웹사이트 Tertius Chandler / The Tax We Need -- Part 2 of 2 http://www.cooperati[...] 2012-10-24
[8] 문서 Bank Note Book - Kiau Chau chapter, 7-page catalogue covering notes issued by the Deutsch-Asiatische Bank (German-Asian Bank) from 1907 to 1914, and the Greater Japan Imperial Government in 1914 http://www.coinbooks[...] 2018-01-19
[9] 웹사이트 See coins in the British Museum collection http://www.britishmu[...]
[10] 논문 German Imperialism in China: the leasehold of Kiaochow Bay (1897–1914) 2020-05-22
[11] 논문 German Imperialism in China: the leasehold of Kiaochow Bay (1897–1914) 2020-05-22
[12] 문서 per XE.com Universal Currency Converter 2009-07
[13] 논문 2006年胶州湾现有水域面积与岸线的卫星调査与历史演变分析 http://www.cqvip.com[...]
[14] 논문 胶州湾的重金属汚染研究 http://msj.qdio.ac.c[...]
[15] 논문 胶州湾水交換的数値研究 http://ols.qdio.ac.c[...]
[16] 논문 胶州湾桡足类幼虫和浮游生纤毛虫的丰度与生物量 http://ols.qdio.ac.c[...]
[17] 뉴스 中国北方首条海底隧道—膠州湾隧道全綫貫通 http://www.sd.xinhua[...]
[18] 논문 青岛胶州湾湿地水鸟资源现状及保护对策 http://www.cqvip.com[...]
[19] 논문 填海造地对胶洲湾汚染物输运影响的数值研究 http://msj.qdio.ac.c[...]
[20] 논문 围海造地的生态环境影响分析 http://www.ballcup.c[...]
[21] 논문 赤潮的生物毒性评价初步研究——生物毒性测试方法在一次胶州湾赤潮中的应用 http://www.cqvip.com[...]
[22] 논문 胶州湾大沽河口邻近海域海水水质预测 http://www.cqvip.com[...]
[23] 뉴스 胶州湾是青岛的“母亲湾” 保护它就是保护我们的母亲 http://news.qingdaon[...] 青岛新闻网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