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크트안톤암아를베르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크트안톤암아를베르크는 오스트리아 티롤 주와 포어아를베르크 주의 경계에 위치한 마을로, 아를베르크 고개에 자리 잡고 있으며, 스키 리조트로 유명하다. 로사나강이 마을을 가로지르고, 오스트리아와 스위스를 잇는 철도 노선이 통과하여 교통이 편리하다. 연평균 기온은 4.5℃이며, 겨울철 많은 적설량으로 스키를 즐기기에 적합하다. 1200년대부터 교통 요충지로 발전해 왔으며, 1884년 아를베르크 터널 개통과 함께 관광지로 부상했다. 알파인 스키의 발상지 중 하나로, 1907년 한네스 슈나이더가 스키 강습을 시작했고, 1920~30년대에는 스키 영화 촬영지로 명성을 얻었다. 현재는 오스트리아 최대 규모의 스키장인 아를베르크 스키 리조트의 일부이며, 2001년 알파인 스키 세계 선수권 대회를 개최했다. 관광 산업이 주를 이루며, 스키, 하이킹, 마운틴바이크 등 다양한 활동을 즐길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스트리아의 스키장 - 키츠뷔엘
키츠뷔엘은 오스트리아 티롤주에 위치한 세계적인 겨울 스포츠 리조트이자 고급 관광 도시로, 은광 개발을 통해 성장했으며, 다양한 역사적 사건을 거치며 발전해 왔고, 최고급 스키 시설과 하넨캄 국제 스키 경주 개최, 역사적 건축물, 다양한 문화 행사, 스포츠 스타 거주지로도 유명하며 여러 도시와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 - 오스트리아의 스키장 - 바트가슈타인
바트가슈타인은 오스트리아 퐁가우 구에 위치한 도시로, 가스타인 아체 시냇가에 자리 잡고 있으며, 알프스 농업과 금광, 온천 휴양지로 발전하여 겨울 스포츠와 온천으로 유명하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브루클린 미술관
브루클린 미술관은 1823년 브루클린 견습생 도서관으로 시작하여 현재 약 50만 점의 소장품을 보유한 뉴욕 브루클린 소재의 미술관으로, 다양한 분야의 예술 작품을 전시하며 특히 아프리카 미술과 여성주의 미술에 대한 기여가 크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광주지방기상청
광주지방기상청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지역의 기상 예보, 특보, 관측, 기후 정보 제공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기상청 소속 기관으로, 1949년 광주측후소로 설치되어 1992년 광주지방기상청으로 개편되었으며, 기획운영과, 예보과, 관측과, 기후서비스과와 전주기상지청, 목포기상대를 두고 있다.
장크트안톤암아를베르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지리적 위치 | 오스트리아 티롤주 란데크 |
시장 | 헬무트 말 (ÖVP) |
지리 | |
고도 | 1,304 m |
면적 | |
총 면적 | 165.78 km² |
인구 | |
인구 (2018년 1월 1일) | 2,416명 |
인구 밀도 | 자동 |
일반 정보 | |
시간대 | CET |
서머타임 | CEST |
UTC 오프셋 | +1 |
서머타임 | +2 |
차량 등록 번호 | LA |
우편 번호 | 6580 |
지역 번호 | 05446 |
웹사이트 | www.stantonamarlberg.com |
2. 지리
장크트안톤은 오스트리아 티롤 주와 포어아를베르크 주의 경계에 있는 아를베르크 고개에 위치하며, 해발 1,304m에 자리 잡고 있다. 로사나강이 마을을 가로지르며, 오스트리아와 스위스를 잇는 주요 동서 철도 노선이 통과한다. 인스브루크에서 서쪽으로 약 100km, 취리히에서 동쪽으로 약 250km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으며, 자동차나 철도로 인스브루크에서 약 1시간, 취리히에서 약 2시간 30분 정도 소요된다.
장크트안톤의 면적은 165km²로 리히텐슈타인 공국보다 넓다. 간펜산(1805m), 갈치크산(1905m), 발루가산(2811m) 등 주변 산들은 케이블카나 곤돌라를 이용하여 오를 수 있다.
2. 1. 기후
1971년부터 2000년까지의 기상 관측 자료에 따르면 장크트안톤암아를베르크의 연평균 기온은 4.5°C이며, 연평균 강수량은 1275.2mm이다.[4] 겨울철에는 많은 눈이 내려 스키를 즐기기에 좋은 환경을 제공한다.월 | 평균 최고 기온 (℃) | 평균 최저 기온 (℃) | 평균 강수량 (mm) | 평균 적설량 (cm) | 평균 강수일수 | 평균 상대 습도 (%) |
---|---|---|---|---|---|---|
1월 | 1°C | -8.8°C | 105.5mm | 71.1cm | 10.8 | 67.1 |
2월 | 3.1°C | -8.1°C | 93.3mm | 73.3cm | 9.1 | 57.5 |
3월 | 6.4°C | -4.4°C | 92.3mm | 59.7cm | 11.7 | 50.3 |
4월 | 9.7°C | -1°C | 63.5mm | 24.6cm | 10.8 | 48.2 |
5월 | 15.4°C | 3.3°C | 86.3mm | 3.6cm | 12.5 | 46.4 |
6월 | 18.1°C | 6.2°C | 133.8mm | 0cm | 15.6 | 50.0 |
7월 | 20.9°C | 8.5°C | 162mm | 0cm | 15.7 | 48.8 |
8월 | 20.6°C | 8.3°C | 162.1mm | 0cm | 15.2 | 50.9 |
9월 | 17.4°C | 5.3°C | 95.9mm | 0cm | 11.6 | 50.1 |
10월 | 12.7°C | 0.9°C | 74.1mm | 5.7cm | 9.2 | 52.4 |
11월 | 5.3°C | -4.4°C | 101.4mm | 33.1cm | 11.0 | 62.2 |
12월 | 0.9°C | -7.6°C | 105mm | 57.7cm | 11.5 | 71.0 |
연간 | 11°C | -0.2°C | 1275.2mm | 328.8cm | 144.7 | 54.6 |
[4]
장크트안톤은 아를베르크 고개를 넘는 교통의 발달과 함께 성장했다. 1363년 합스부르크 제국의 일부가 되면서, 오스트리아에서 아를베르크 고개를 넘어 스위스나 프랑스로 가는 중요한 지점이 되었다. 암염과 군수품 유통, 합스부르크 군대의 주둔으로 번영했다.
3. 역사
1450년, 아를베르크 고개 주변 토지 독점 이용권이 린다우에 매각되면서, 암염 물류 경로가 페른 고개로 변경되어 경제적 타격을 입었다. 15세기 말에는 도로 정비가 어려워 수레나 마차 통행이 불가능해졌다.
1787년 "요제피니셰 슈트라세" 국도 개통으로 물류가 다시 증가했지만, 1860년경 동쪽 방향 철도 운행으로 다시 바이에른 왕국을 경유하는 경로가 활성화되어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다. 주민들은 다른 지역으로 돈을 벌러 나가기도 했다.
1884년 아르베르크 터널 완공과 아를베르크 철도 개통으로 경제가 회복되고, 관광지로도 인기를 얻었다. 1895년 최초의 호텔 "호텔 포스트"가 문을 열었고, 1901년 장크트 크리스토프에서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스키 클럽 "스키 클럽 아를베르크"가 창립되었다.[1] 1907년 한네스 슈나이더가 스키 강습을 시작하고, 1922년 "스키 스쿨 아를베르크"를 설립했다.[1] 1923년 스키 교본 "스키의 경이"가 간행되었다.[1] 1920년대~1930년대 영화 촬영으로 스키 리조트로 국제적 명성을 얻었다.[1] 1937년 갈치크산에 곤돌라가 개통되었다.[1]
1938년 나치 독일의 오스트리아 병합(안슐루스)으로 유대인 탄압이 시작되었다. 한네스 슈나이더는 유대인 스키 교사를 계속 고용하고, 아리아인 이외의 사람들에게도 평등한 스키 강습을 했지만, 체포 후 미국으로 망명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종료 직전 독일군이 점령했지만, 1945년 5월 미군에게 넘겨졌다.
1947년경부터 관광 산업이 다시 성장하여, 1975년 스키장이 확대되어 '아를베르크 스키장'으로 통합되었다. 1995년 연간 관광객 숙박 수가 90만 박을 돌파했고, 2001년 알파인 스키 세계 선수권 대회를 개최했다.
대회 개최를 위해 인프라 투자가 이루어져, 새로운 스키 스타디움, 리프트, 웰니스 센터 "아를베르크 웰컴"이 건설되었다. 오스트리아 연방 철도 장크트안톤역이 이전하고(이전 비용 20억유로), 기존 철로 부지에 공원이 조성되었다. 2000년 신역이 사용되기 시작했고, 구 역사는 문화재 보호를 받게 되었다.
2009년 현재 침대 수 10,000개 이상, 관광객 숙박 수 110만 박 이상으로 오스트리아 대표 리조트 지역으로 자리 잡았다.
3. 1. 중세 시대
1275년 지도에 처음 등장한 "발리스 타베르나"로 표기된 장크트안톤은 아를베르크 고개를 넘는 교통 인프라의 발전과 함께 성장해 왔다.
1363년 현재의 티롤주가 합스부르크 제국의 일부가 되면서 장크트안톤은 오스트리아에서 아를베르크 고개를 넘어 스위스나 프랑스로 향하는 중요한 기점이 되었다. 다양한 물품과 사람들이 장크트안톤을 경유하는 가운데, 마을에 가장 큰 경제적 부를 가져다 준 것은 암염과 군수품의 유통, 그리고 합스부르크 제국의 군대였다. 합스부르크군은 오스트리아에서 서쪽으로 진격할 때 장크트안톤에 중요한 기지를 두었고, 그로 인해 막대한 부를 얻은 마을은 크게 번영했다.
그러나 1450년에 아를베르크 고개 주변의 알름 토지와 해당 토지의 독점 이용권이 린다우에 매각되면서 린다우는 아를베르크 고개를 넘는 모든 물류를 엄격하게 관리했고, 티롤주의 할 인 티롤에서 채굴되던 암염을 아를베르크 고개가 아닌, 새롭게 개척된 페른 고개를 넘는 루트를 통해 유통시켰다. 이 암염 물류 경로의 변경으로 중요한 수입원을 잃은 장크트안톤은 경제적인 타격을 입었다. 15세기 말에는 너무나 빈곤해져 아를베르크 고개를 넘는 길을 정비할 수 없게 되어, 수레나 마차가 고개를 통과할 수 없게 되었다.
3. 2. 19세기 후반
1787년 당시 최신 기술이 적용된 국도 "요제피니셰 슈트라세"가 개통되면서 일시적으로 물류와 인적 교류가 다시 증가하여 마을에 큰 부를 가져다주었다. 그러나 1860년경 인스브루크에서 동쪽 방향으로 철도가 운행되면서, 할 인 티롤에서 채굴된 암염을 포함한 다양한 물품과 사람들이 다시 장크트안톤을 경유하지 않고, 바이에른 왕국 (현재는 독일의 바이에른주)을 경유하여 스위스, 프랑스, 영국 등으로 운송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장크트안톤 마을은 다시 중요한 수입원을 잃고 경제적으로 어려운 상황에 놓이게 되었다. 원래 유통으로 번성했던 지역이었기에, 각 가구의 농업 규모는 작았고, 가정을 가진 아버지들은 새로운 수입을 찾아 합스부르크 제국의 다른 지역이나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등으로 돈을 벌러 나가게 되었다.
그러나 1884년 아르베르크 터널이 완공되어 합스부르크 제국 철도의 일부가 되는 아를베르크 철도 (현재는 오스트리아 연방 철도의 일부)가 개통되면서, 장크트안톤은 다시 경제적으로 회복되었다. 게다가 철도 운행으로 유통뿐만 아니라, 장크트안톤은 역사상 처음으로 관광지로서의 인기를 얻게 되었다.
3. 3. 알파인 스키의 성지
1895년 장크트안톤 역사상 최초의 호텔인 "호텔 포스트"가 문을 열었다. 1901년 1월 3일 장크트 크리스토프에서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스키 클럽인 "스키 클럽 아를베르크"가 창립되었고, 몇 년 후에는 알파인 스키 국제 대회가 개최되었다.[1] 1907년에는 한네스 슈나이더가 장크트안톤에서 스키 강습회를 시작했고, 1922년에는 "스키 스쿨 아를베르크"를 설립했다.[1] 1923년에는 "아를베르크 바이블"이라고 불린 스키 교본 "스키의 경이"가 간행되었다.[1] 1920년대부터 1930년대에 걸쳐 아르놀트 팡크 감독에 의해 "스키의 경이", "백은의 난무" 등 다양한 영화가 촬영되었고, 장크트안톤은 스키 리조트로서 국제적인 명성을 얻게 되었다.[1] 1937년에는 갈치크산에 곤돌라가 개통되었다.[1]
3. 4. 제2차 세계 대전의 영향
1938년 나치 독일이 오스트리아를 병합하면서(안슐루스) 장크트안톤에도 다른 나치 독일 제국의 지역과 마찬가지로 주로 유대인에 대한 가혹한 체제가 시작되었다. 자신의 스키 학교에서 유대인 스키 교사를 계속 고용하고, 아리아인 이외의 사람들에게도 평등한 스키 강습을 하는 것을 멈추지 않았던 한네스 슈나이더도 나치 독일 체제의 반대 세력의 일원으로 체포되었다. 한 번은 석방되었지만, 마지막까지 나치 독일에 저항을 멈추지 않았던 한네스 슈나이더는 결국 미국으로 망명해야만 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종료 직전에는 미국군으로부터 추적을 피해 도망친 독일군이 장크트안톤을 점령하고 있었지만, 결국 1945년 5월에 큰 전투 없이 미국군에게 넘겨졌다. 장크트안톤 주민 중 240명이 제2차 세계 대전 중에 전선으로 보내졌고, 86명이 마을로 돌아올 수 없었다.
3. 5. 현대: 리조트 발전과 국제 대회 개최
1947년경부터 여름과 겨울 관광 산업이 다시 성장하여, 1975년에는 연간 관광객 숙박 수가 56만 박을 넘었다. 같은 해부터 스키장이 점차 확대되어 장크트 크리스토프, 레히 등의 스키장을 통합하여 '아를베르크 스키장'으로 만들었다. 모든 리프트와 곤돌라를 하나의 공통권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되면서, 오스트리아 최대 규모의 스키장으로 성장했다. 1995년에는 장크트안톤의 연간 관광객 숙박 수가 90만 박을 돌파했다. 최신 설비를 갖춘 국제적인 스키장으로서 높은 평가를 받아, 1996년에는 2001년 알파인 스키 세계 선수권 대회 개최지로 결정되었다.
이러한 결정으로 추가적인 인프라 투자가 이루어져, 새로운 스키 스타디움과 많은 최신형 리프트가 도입되었다. 또한 최신 설비를 갖춘 웰니스 센터 "아를베르크 웰컴"이 건설되었다. 알파인 스키 세계 선수권 대회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이전까지 시내 중심지에 있던 오스트리아 연방 철도의 장크트안톤역이 중심지 옆 국도 반대편으로 이전했다(이전 공사 총비용은 20억유로). 이로 인해 열차로 인한 시내 소음 문제가 해결되었으며, 기존 철로가 있던 넓은 토지에는 공원 등이 조성되어 시내 중심에 새로운 녹지 공간이 생겨났다. 2000년 9월 10일부터 신역이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오래된 역 건물은 문화재 보호를 받게 되었다.
2009년 현재 침대 수는 10,000개 이상, 관광객 숙박 수는 110만 박 이상을 기록하여, 오스트리아를 대표하는 리조트 지역으로서의 지위를 확고히 했다.
4. 교통
장크트안톤은 로사나강에 위치해 있으며 오스트리아와 스위스를 잇는 주요 동서 철도 노선에 자리 잡고 있다. 뮌헨, 취리히, 인스브루크, 프리드리히스하펜 등 여러 공항에서 기차와 자동차로 장크트안톤에 접근할 수 있다. 시내는 보행자 전용 구역이다.
4. 1. 도로
장크트안톤은 A14 고속도로를 통해 자동차로 쉽게 접근할 수 있다.[1] 이 고속도로는 포어아를베르크주(오스트리아의 최서단 주로, 리히텐슈타인 및 스위스와 접경)에서 시작하여 티롤의 중심부를 통과한다.[1]4. 2. 철도
장크트안톤암아를베르크 기차역은 블루덴츠와 인스브루크 중앙역 사이의 아를베르크 철도 노선에 있는 철도역이다. 이 역은 오스트리아 연방 철도(ÖBB)의 레일젯, 유로시티, 인터시티, 유로나이트 및 나이트젯 열차와 웨스트반의 운행 노선이 지나간다. 랑겐암아를베르크와 함께 취리히와 부다페스트를 잇는 국제 열차 노선에도 포함되어 있다.[1]4. 3. 버스
장크트안톤과 주변 마을 및 리조트는 버스 노선으로 연결된다. 마을 자체에는 "터미널 오스트"와 "터미널 베스트"라는 두 개의 허브가 있다. "터미널 오스트"는 나세라인반 곤돌라로, "터미널 베스트"는 갈지그반/렌들반 곤돌라와 기차역으로 연결된다.장크트안톤과 란덱(주요 계곡인 슈탄처탈 입구에 위치) 사이에는 연중 운행하는 버스 노선이 있다. 또한 장크트안톤의 여러 지역과 페트노이, 슈난, 플리르슈 사이에도 무료 버스 서비스가 자주 운행된다.
5. 관광 산업
관광 산업은 장크트안톤암아를베르크뿐만 아니라 아를베르크 고개 전체에서 가장 중요한 산업이다. 매년 110만 박 이상의 관광객이 방문하며, 10,000개 이상의 침대가 제공된다.[1] 1970년대까지는 여름철에도 "알프스의 피서지"로 인기가 높았으나, 이후 북아프리카, 아시아, 아메리카 등지로 여행객이 분산되면서 겨울 리조트라는 이미지가 강해졌다.[1] 1990년대 초반부터 다시 하이킹, 트레킹, 마운틴바이크, 노르딕 워킹 등이 활발해지면서 여름에도 등산을 목적으로 하는 관광객이 많이 찾고 있다.[1] 이에 따라 여름철에도 곤돌라와 리프트가 운행되고, 호텔과 별장에서는 다양한 서비스와 패키지를 제공한다.[1] 또한, 마을 중심부의 스포츠 시설을 이용하여 테니스, 축구, 배구, 암벽 등반 팀 등이 고지대 훈련을 하기도 한다.[1]
한네스 슈나이더가 1930년대부터 "스키술" 강습회 등을 실시한 인연으로 일본 나가노현 노자와온센무라는 장크트안톤암아를베르크의 자매 도시가 되었으며, 현재까지도 교류가 이어지고 있다.[1]
5. 1. 스키


장크트안톤암아를베르크는 아를베르크 스키 리조트 지역의 일부로, 94개의 공중 리프트, 340km의 정비된 슬로프와 200km의 심설 코스를 갖추고 있으며, 이 모든 시설은 하나의 리프트권으로 이용할 수 있다.
마을 서쪽에는 푸니텔 곤돌라로 교체된 "갈치그반"이 있다. 새로운 곤돌라는 최초의 "관람차"를 포함하여 승객이 지상에서 곤돌라에 탑승한 후, 곤돌라가 고속 케이블로 회전하여 올라가는 방식이다. 푸니텔은 갈치그 슬로프로 접근하며, 쉰들러 및 발루가 봉우리와 연결된다. 마을 동쪽에는 ''나세라인반''이 나세라인 지역으로 올라가며 카팔 봉우리로 연결된다. 카팔, 발루가, 쉰들러 봉우리는 스키어들에게 거의 1500m의 수직 강하를 제공한다. 슬로프 옆의 애프레 스키 바는 장크트안톤 바로 위에 있는 슈타이스바흐탈 트레일에서 찾을 수 있다.
이 지역의 정비된 슬로프는 모든 수준의 스키어들을 위해 마련되어 있으며, 43%는 초급자(파란색), 41%는 중급자(빨간색), 16%는 상급자(검은색)를 위한 슬로프이다. 또한 이 지역에는 200km의 심설 코스도 있다.
전문가 코스에는 쉰들러카 및 마툰과 같이 자주 정비되지 않는 스키 코스, 그리고 발루가(2811m) 뒷면에서 Zürs로 내려가는 코스가 포함되며, 이는 가이드와 동행하는 전문가에게만 해당된다. 또한 전문가가 가이드의 도움을 받아 탐험할 수 있는 많은 오프피스트 코스가 이 지역에 있다.
6. 문화
장크트안톤암아를베르크에는 스키 향토 박물관, 발루가 산 정상 전망대, 아를베르크 스키장, 아를베르크 웰컴, 장크트안톤 교구 교회, 장크트 크리스토프 예배당, 장크트 야코브 교회 등 다양한 명소와 시설이 있다.
6. 1. 명소 및 시설
- 스키 향토 박물관: 장크트안톤과 알프스 스키 발달의 역사를 소개하는 박물관이다. 자매 도시인 나가노현 노자와온센을 소개하는 코너도 있다. 1층은 향토 요리 레스토랑이다.
- 발루가 산 정상 전망대: 곤돌라를 갈아타고 올라가며, 해발 2811m에 있는 전망대이다. 오스트리아, 독일, 스위스, 이탈리아 4개국을 한눈에 볼 수 있다.
- 아를베르크 스키장: 장크트안톤, 장크트 크리스토프, 레흐 등 아를베르크 고개의 각 스키장이 리프트와 곤돌라로 연결되어 있으며, 공통 리프트권으로 스키를 즐길 수 있는 오스트리아 최대 규모의 스키장이다.
- 아를베르크 웰컴: 최신 설비를 자랑하는 웰니스 센터이다.
- 장크트안톤 교구 교회: 1698년에 세워진 마을 중심부에 있는 교회이다.
- 장크트 크리스토프 예배당: 1386년 하인리히 핀델킨트에 의해 세워진 예배당이다.
- 장크트 야코브 교회: 1200년대에 세워진 마을에서 가장 오래된 교회이다.
7. 농업
최근 농업 인구는 감소하고 있지만, 여전히 41가구가 부업으로 농가를 경영하고 있다. 주변 산에서 소, 양, 하프링거(말) 등이 사육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St Anton
http://www.alpinemar[...]
2016-04-28
[2]
웹사이트
Klimadaten von Österreich 1971–2000 – Tirol-St. Anton am Arlberg
http://www.zamg.ac.a[...]
Central Institute for Meteorology and Geodynamics
2019-11-03
[3]
웹사이트
Sankt Anton Winter
http://www.stantonam[...]
2011
[4]
웹인용
Klimadaten von Österreich 1971–2000 – Tirol-St. Anton am Arlberg
http://www.zamg.ac.a[...]
Central Institute for Meteorology and Geodynamics
2019-11-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