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생산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재생산권은 개인이 자신의 신체와 성적 및 생식 건강에 관해 자유롭게 결정을 내릴 권리를 의미하며, 1960년대부터 국제적으로 논의되어 왔다. 1968년 테헤란 선언에서 처음 인권의 하위 집합으로 등장했으며, 1994년 카이로 행동 강령에서 생식 건강 개념이 정의되었다. 여성의 권리, 남성의 권리, 간성인의 권리, 청소년의 권리 등 다양한 측면에서 논의되며, 피임, 낙태, 인구 조절, 여성 성기 절제, 신부 납치, 신부 값, 강제 불임, 종교적 반대 등 다양한 쟁점과 관련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재생산권 - 초야권
초야권은 영주가 농노 딸이나 신부의 첫날밤을 가질 수 있는 권리라는 의미로 알려진 용어로, 역사적 근거는 부족하지만 다양한 지역에서 유사한 풍습이 있었다는 주장이 있으며, 문학 작품 등에서 소재로 사용되어 왔지만 그 진위 여부에 대한 논쟁이 있다. - 재생산권 - 화학적 거세
화학적 거세는 성욕 감퇴를 위해 항남성호르몬제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성범죄자 치료 및 호르몬 의존성 암 치료에 사용되며, 부작용과 윤리적 논쟁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 남성의 권리 - 남성인권 운동
남성인권 운동은 남성이 여성에 비해 차별받는다고 주장하며 페미니즘에 대한 반발로 시작되었고 양육권, 가정 폭력, 징병제 등 여러 쟁점에 대해 온라인을 중심으로 활동하는 사회 운동이다. - 남성의 권리 - 남성계
남성계는 페미니즘에 대한 반발로 시작되어 남성성을 옹호하고 여성주의에 반대하는 이념을 공유하는 온라인 커뮤니티 및 관련 운동을 통칭하며, 익명성과 소셜 미디어 발달로 반페미니즘 및 여성 혐오적 콘텐츠가 확산되어 사회적 비판을 받기도 한다.
재생산권 |
---|
2. 역사
1968년 테헤란 선언에서 "부모는 자녀의 수와 터울을 자유롭고 책임감 있게 결정할 기본적인 인권을 가진다"고 명시하며 생식권이 인권의 일부로 등장했다.[10] 1969년 유엔총회는 "가족은 사회의 기본 단위이자 모든 구성원, 특히 아동과 청소년의 성장과 복지를 위한 자연적인 환경이므로, 공동체 내에서 책임을 다할 수 있도록 지원받고 보호받아야 한다. 부모는 자녀의 수와 터울을 자유롭고 책임감 있게 결정할 배타적 권리를 가진다"고 밝히며 이 권리를 다시 확인했다.[9][16] 1975년 유엔 국제부녀의 해 회의에서도 테헤란 선언의 내용이 반복되었다.[17]
1994년 국제인구개발회의(ICPD)에서 채택된 '카이로 행동 강령'은 생식 건강을 처음으로 정의한 국제 정책 문서였다.[18] 이 강령은 강제성이 없는 비구속 결의였지만, 개인의 생식 건강 요구를 충족하는 것이 정부의 책임임을 명시했다. 건강하고 안전한 출산, 성병 치료, 낙태 후 관리 등 생식 건강 서비스와 함께 가족 계획 서비스를 제공할 것을 권고했으며, 여성에 대한 폭력, 성매매, 청소년 건강 문제 등도 다루었다.[18]
요크야카르타 원칙은 성적 지향 및 성 정체성과 관련한 국제 인권법 적용에 관한 것으로, 2006년에 제안되었지만, 아직 국제법으로 통합되지는 않았다.[27][28]
국가 개입에 의한 생식권 침해 사례는 우익 정부와 좌익 정부 모두에서 나타났다. 루마니아 공산주의 정권은 출산율을 높이기 위해 낙태와 피임을 불법화하고, 무자녀 세금을 부과하는 등 강압적인 정책을 시행했다. 중국의 한 자녀 정책은 출산율을 낮추기 위한 정책이었다. 캄보디아의 크메르 루주 정권은 인구 증가를 위해 강제 결혼을 시행했다.[31] 페루에서는 알베르토 후지모리 대통령이 원주민을 대상으로 강제 불임 수술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집단 학살과 반인도 범죄 혐의를 받았다.[32]
이스탄불 협약은 유럽에서 여성에 대한 폭력 및 가정 폭력 분야의 최초의 법적 구속력 있는 문서로,[33] 강제 불임 수술과 강제 낙태를 금지한다.[34]
2. 1. 국제적 발전
1945년 유엔헌장은 인종, 성별, 언어, 종교에 관계없이 모든 사람의 인권과 기본적인 자유를 존중하고 증진해야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그러나 이 헌장은 이러한 권리들을 구체적으로 명시하지는 않았다. 3년 후, 유엔은 세계인권선언(UDHR)을 채택하여 인권을 구체적으로 명시했지만, 여기에는 생식권이 언급되지 않았다.[10]생식권은 1968년 테헤란 선언에서 처음으로 인권의 일부로 등장했는데, 이 선언은 "부모는 자녀의 수와 터울을 자유롭고 책임감 있게 결정할 기본적인 인권을 가진다"고 명시했다.[10] 1969년 유엔총회는 이 권리를 다시 확인하며, "가족은 사회의 기본 단위이자 모든 구성원, 특히 아동과 청소년의 성장과 복지를 위한 자연적인 환경이므로, 공동체 내에서 책임을 다할 수 있도록 지원받고 보호받아야 한다. 부모는 자녀의 수와 터울을 자유롭고 책임감 있게 결정할 배타적 권리를 가진다"고 밝혔다.[9][16] 1975년 유엔 국제부녀의 해 회의에서도 테헤란 선언의 내용이 반복되었다.[17]
1994년 국제인구개발회의(ICPD)에서 채택된 '카이로 행동 강령'은 생식 건강을 처음으로 정의한 국제 정책 문서였다.[18] 이 강령은 강제성이 없는 비구속 결의였지만, 인구 목표보다는 개인의 생식 건강 요구를 충족하는 것이 정부의 책임임을 명시했다. 건강하고 안전한 출산, 성병 치료, 낙태 후 관리 등 생식 건강 서비스와 함께 가족 계획 서비스를 제공할 것을 권고했으며, 여성에 대한 폭력, 성매매, 청소년 건강 문제 등도 다루었다.[18] 생식 건강은 질병이나 허약함이 없는 상태를 넘어, 생식계와 관련된 모든 문제에서 완전한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안녕 상태를 의미한다. 이는 만족스럽고 안전한 성생활, 생식 능력, 그리고 임신과 출산의 시기와 빈도를 결정할 자유를 포함한다.[1]
카이로 회의에는 풀뿌리 단체부터 정부까지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참여했다. 179개국에서 정부, (NGO), 국제기구, 시민 운동가 등 1만 1천 명의 대표가 참석했다.[18] 1999년 ICPD+5에서는 HIV/AIDS 유행병에 대한 교육, 연구, 모자 간 감염 예방, 백신 및 미세 살균제 개발에 대한 내용이 추가되었다.[19]
카이로 행동 강령은 184개 UN 회원국에 의해 채택되었지만, 많은 라틴 아메리카와 이슬람 국가들은 생식권, 성적 자유, 낙태, 이슬람법과의 잠재적 불일치 등에 대해 정식 유보를 표명했다.[20]
1995년 베이징에서 열린 제4차 세계 여성 회의는 선언과 행동 강령을 통해 카이로 프로그램의 생식 건강 정의를 지지하고, 생식권을 더 넓은 맥락에서 확립했다.[1] 여성의 인권에는 강압, 차별, 폭력 없이 성과 관련된 문제에 대해 자유롭고 책임감 있게 결정할 권리가 포함되며, 성관계와 생식 문제에서 여성과 남성 간의 평등한 관계는 상호 존중, 동의, 그리고 성 행위와 그 결과에 대한 공동 책임을 필요로 한다고 명시했다.[22]
요크야카르타 원칙은 성적 지향 및 성 정체성과 관련한 국제 인권법 적용에 관한 것으로, 2006년에 제안되었지만, 아직 국제법으로 통합되지는 않았다.[27][28] 이 원칙은 생식 건강과 관련하여, 구금 중인 사람들이 성적 지향 및 성 정체성에 기반한 특별한 필요, HIV/AIDS 정보 및 치료, 호르몬 치료, 성전환 치료 등에 접근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29] 그러나 아프리카, 카리브해, 이슬람 국가들과 러시아 연방은 이러한 원칙을 인권 기준으로 사용하는 것에 반대했다.[30]
국가 개입에 의한 생식권 침해 사례는 우익 정부와 좌익 정부 모두에서 나타났다. 루마니아 공산주의 정권은 출산율을 높이기 위해 낙태와 피임을 불법화하고, 무자녀 세금을 부과하는 등 강압적인 정책을 시행했다. 중국의 한 자녀 정책은 출산율을 낮추기 위한 정책이었다. 캄보디아의 크메르 루주 정권은 인구 증가를 위해 강제 결혼을 시행했다.[31] 페루에서는 알베르토 후지모리 대통령이 원주민을 대상으로 강제 불임 수술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집단 학살과 반인도 범죄 혐의를 받았다.[32]
이스탄불 협약은 유럽에서 여성에 대한 폭력 및 가정 폭력 분야의 최초의 법적 구속력 있는 문서로,[33] 강제 불임 수술과 강제 낙태를 금지한다.[34]
3. 주요 내용
유엔헌장은 모든 사람의 인권과 기본적인 자유를 보편적으로 존중하고 준수하도록 촉진해야 하지만, 이러한 권리가 무엇인지는 정의하지 않았다.[10] 1968년 테헤란 선언에서 "부모는 자녀의 수와 간격을 자유롭고 책임감 있게 결정할 기본적인 인권을 가진다"고 명시하면서, 생식권이 인권의 하위 집합으로 등장하기 시작했다.[10]
이후 1969년 유엔총회에서 이 권리가 재확인되었고,[15] 1975년 유엔 국제부녀의 해 회의는 테헤란 선언을 다시 한번 반복했다.[17] 1994년 국제인구개발회의(ICPD) 카이로 회의에서 채택된 "카이로 행동 강령"은 생식 건강을 최초로 정의한 국제 정책 문서가 되었다.[18] 1995년 베이징에서 열린 제4차 세계 여성 회의는 선언과 행동 강령에서 카이로 프로그램의 생식 건강 정의를 지지하면서, 더 넓은 맥락에서 생식권을 확립했다.[1]
세계인권선언(1948),[40] 여성에 대한 모든 형태의 차별 철폐 협약(1979),[41] 유엔의 새천년 개발 목표,[42] 그리고 보편적인 생식 건강 관리 접근을 국가 가족 계획 프로그램에 통합하는 데 중점을 둔 새로운 지속가능한 개발 목표[43] 등 여러 인권 문서와 선언은 가족 계획을 포함한 자신의 생식 건강 관리 결정을 내릴 수 있는 능력을 포함하여 여성의 생식권을 명시적으로 천명하고 있다.[44]
국제앰네스티는 생식권 실현이 건강권, 차별 금지권, 사생활권, 고문 또는 학대를 받지 않을 권리를 포함한 일련의 인정된 인권 실현과 관련이 있다고 주장했다.[48] 세계보건기구(WHO)는 성 및 생식 건강과 권리가 예방 가능한 모성 및 신생아 사망률 및 이환율을 없애고, 피임 서비스를 포함한 양질의 성 및 생식 건강 서비스를 보장하며, 성병(STI)과 자궁경부암, 여성과 소녀에 대한 폭력, 청소년의 성 및 생식 건강 요구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을 포함한다고 명시한다.[49] 또한, 성 및 생식 건강에 대한 보편적 접근은 지속 가능한 개발을 달성하는 것뿐만 아니라 이 새로운 틀이 전 세계 사람들의 요구와 열망을 반영하고 건강과 인권의 실현으로 이어지도록 하는 데 필수적이라고 말한다. 국제연합 인구기금(UNFPA)과 세계보건기구(WHO)는 여성의 권리를 중심으로 생식권을 옹호한다.
생식 정의라는 용어는 광범위한 사회적, 경제적 문제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생식 정의 옹호자들은 합법화된 낙태[53]와 피임에 대한 권리는 모든 사람에게 적용되지만, 이러한 선택은 자원이 있는 사람들에게만 의미가 있고 접근성과 경제적 형평성 사이의 격차가 커지고 있다고 주장한다.[54]
'''생식 정의:''' 문제 간의 상호 관계, 생식 건강 및 권리를 다른 사회적 문제(더 넓은 인권 프레임워크)와 연결
- "낙태에만 초점을 맞추고 '''어떤 여성에게는 생식이 장려되고 다른 여성에게는 낙담된다는 현실'''을 간과한 친낙태 운동의 백인 중심 부문"(221)
남성의 생식권은 생식 건강 문제와 성적 생식과 관련된 다른 권리 문제를 위해 다양한 단체에서 주장되어 왔다. 남성 생식 건강의 세 가지 국제적인 문제는 성병, 암, 그리고 독소 노출이다.[55] 최근 미국에서는 부권과 관련된 남성의 생식권이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 "남성 낙태"라는 용어는 1998년 기사에서 사우스캐롤라이나 주 변호사인 멜라니 맥컬리(Melanie McCulley)가 만들었다. 이 주장에 따르면 여성이 임신하게 되면 낙태, 입양, 양육 중 선택할 수 있지만, 남성은 그러한 선택권이 없지만 여성의 결정에 영향을 받는다. 성평등의 맥락에서 임신 초기 단계에 추정 아버지는 모든 미래의 부권 및 재정적 책임을 포기할 권리를 가져야 하며, 이는 여성에게 동일한 세 가지 옵션을 제공한다는 것이다.[56] 이 개념은 여성주의 단체 미국 여성 국민 기구의 전 회장이자 변호사인 카렌 드크로우(Karen DeCrow)가 지지했다.[57] 남성의 생식 선택에 대한 여성주의적 주장은 양육과 관련하여 남성과 여성이 선택할 수 있는 능력의 불균형이 전통적인 성역할을 선호하는 국가가 강제하는 강압의 증거라는 것이다.[58]
2006년, 전미 남성 센터(National Center for Men)는 미국에서 “두베 대 웰스” 사건(일부에서는 "남성을 위한 로 대 웨이드"라고 부름)을 제기했는데, 이는 계획되지 않은 임신의 경우 미혼 여성이 자신이 어떤 남성에 의해 임신했다고 알리면 그 남성은 모든 부권과 책임을 포기할 기회를 가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지자들은 이것이 여성에게 정보에 입각한 결정을 내릴 시간을 주고 여성과 동일한 생식권을 남성에게 부여할 것이라고 주장한다.[59][60] 항소법원(제6순회)은 이 사건을 기각하면서 "[국가]가 서로 다른 계층의 사람들을 다르게 대우하는 것을 14차 수정헌법이 금지하지 않는다"고 밝혔다.[61]
요크야카르타 원칙은 성 정체성과 관련한 국제 인권법 적용에 관한 것이지만, 아직 국가들이 국제법에 통합하지는 않았다.[27][28]
간성(intersex)은 염색체, 생식샘, 생식기 등 성적 특징에 변이가 있어, 남성 또는 여성으로 명확하게 구분할 수 없는 경우를 말한다. 이러한 변이는 생식기 모호성과 XY 남성 및 XX 여성 이외의 염색체 유전형과 성 표현형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62][63] 간성인은 유아기와 아동기에 종종 비자발적인 "성 정상화" 수술 및 호르몬 치료를 받는데, 여기에는 불임 시술도 포함되는 경우가 많다.[64][65][66][67][68]
2013년 2월 1일, 고문 및 기타 잔혹하거나 비인도적 또는 굴욕적인 처우 또는 형벌에 관한 유엔 특별 보고관 후안 E 멘데스(Juan E Mendés)는 간성인에 대한 비자발적 수술 개입을 규탄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그의 보고서는 "비정형 성적 특징을 가진 아이들은 종종 본인이나 부모의 사전 동의 없이 '성을 바로잡기 위해' 돌이킬 수 없는 성 할당, 비자발적 불임 시술, 비자발적 생식기 정상화 수술을 받아 영구적이고 돌이킬 수 없는 불임을 겪고 심각한 정신적 고통을 겪는다"고 밝혔다.[69] 2014년 5월, 세계보건기구(WHO)는 OHCHR, UN Women, UNAIDS, UNDP, UNFPA, UNICEF과 함께 ''강제적, 강압적 또는 기타 비자발적 불임 시술 제거, 기관 간 성명''이라는 공동 성명을 발표했다. 이 보고서는 "간성인"에 대한 비자발적 "성 정상화 또는 기타 시술"을 언급하며, 이러한 치료의 의학적 필요성, 환자의 동의 능력, 약한 증거 기반에 의문을 제기한다.[70]
많은 관할 구역에서 미성년자는 피임, 낙태, 산부인과 상담, 성병 검사 등 다양한 생식 건강 서비스에 접근하기 위해 부모의 동의 또는 부모에게 알리는 것을 요구받는다.[72][73][74] 청소년은 보건 종사자들이 청소년의 성적 활동을 용납할 수 없다고 생각하거나 성교육을 부모의 책임으로 본다는 이유로 생식 건강 서비스에 대한 동등한 접근을 종종 거부당한다.[77] 많은 국가에서는 법률과 관계없이 미성년자가 부모와 동행하지 않으면 가장 기본적인 생식 의료 서비스조차 거부당한다.
미성년자가 자신의 상황을 이해할 만큼 충분히 성숙한 경우, 부모의 의무적인 개입은 보건기구에 의해 미성년자의 권리 침해이자 건강에 해로운 것으로 간주된다. 세계보건기구는 부모 동의/알림 법률을 비판했다.[80] UNICEF에 따르면, "성과 생식 건강을 다룰 때 부모에게 알리고 동의를 얻어야 할 의무는 청소년의 삶과 공중 보건에 전반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장벽이 된다."[81]
3. 1. 여성의 권리
유엔헌장은 "인종, 성, 언어 또는 종교를 불문하고 모든 사람의 인권과 기본적 자유에 대한 보편적 존중과 준수를 증진할" 의무를 포함하고 있지만, 이러한 권리를 정의하지는 않았다.[10] 1968년 테헤란 선언에서 생식권이 인권의 하위 집합으로 등장하기 시작했는데, 이 선언은 "부모는 자녀의 수와 간격을 자유롭고 책임감 있게 결정할 기본적인 인권을 가진다"고 명시하고 있다.[10]이 권리는 1969년 유엔총회에서 재확인되었고,[15] 1975년 유엔 국제부녀의 해 회의는 테헤란 선언을 반복했다.[17] 1994년 국제인구개발회의(ICPD) 카이로 회의에서 채택된 "카이로 행동 강령"은 생식 건강을 최초로 정의한 국제 정책 문서이다.[18]
1995년 베이징에서 열린 제4차 세계 여성 회의는 선언과 행동 강령에서 카이로 프로그램의 생식 건강 정의를 지지했지만, 더 넓은 맥락에서 생식권을 확립했다.[1]
여러 인권 문서와 선언은 가족 계획을 포함한 자신의 생식 건강 관리 결정을 내릴 수 있는 능력을 포함하여 여성의 생식권을 명시적으로 천명하고 있으며, 여기에는 세계인권선언(1948),[40] 여성에 대한 모든 형태의 차별 철폐 협약(1979),[41] 유엔의 새천년 개발 목표,[42] 그리고 보편적인 생식 건강 관리 접근을 국가 가족 계획 프로그램에 통합하는 데 중점을 둔 새로운 지속가능한 개발 목표[43]가 포함된다.[44]
국제앰네스티는 생식권의 실현이 건강권, 차별 금지권, 사생활권, 고문 또는 학대를 받지 않을 권리를 포함한 일련의 인정된 인권의 실현과 관련이 있다고 주장했다.[48]
세계보건기구(WHO)는 다음과 같이 명시한다.[49]
> 성 및 생식 건강과 권리는 예방 가능한 모성 및 신생아 사망률 및 이환율을 없애고, 피임 서비스를 포함한 양질의 성 및 생식 건강 서비스를 보장하고, 성병(STI)과 자궁경부암, 여성과 소녀에 대한 폭력, 청소년의 성 및 생식 건강 요구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을 포함한다. 성 및 생식 건강에 대한 보편적 접근은 지속 가능한 개발을 달성하는 것뿐만 아니라 이 새로운 틀이 전 세계 사람들의 요구와 열망을 반영하고 건강과 인권의 실현으로 이어지도록 하는 데 필수적이다.
국제연합 인구기금(UNFPA)과 세계보건기구(WHO)는 여성의 권리를 중심으로 생식권을 옹호한다.
생식 정의라는 용어는 광범위한 사회적, 경제적 문제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었다. 생식 정의 옹호자들은 합법화된 낙태[53]와 피임에 대한 권리는 모든 사람에게 적용되지만, 이러한 선택은 자원이 있는 사람들에게만 의미가 있고 접근성과 경제적 형평성 사이의 격차가 커지고 있다고 주장한다.[54]
'''생식 정의:''' 문제 간의 상호 관계, 생식 건강 및 권리를 다른 사회적 문제(더 넓은 인권 프레임워크)와 연결
- "낙태에만 초점을 맞추고 '''어떤 여성에게는 생식이 장려되고 다른 여성에게는 낙담된다는 현실'''을 간과한 친낙태 운동의 백인 중심 부문"(221)
3. 2. 남성의 권리
남성의 생식권은 생식 건강 문제와 성적 생식과 관련된 다른 권리 문제를 위해 다양한 단체에서 주장되어 왔다. 남성 생식 건강의 세 가지 국제적인 문제는 성병, 암, 그리고 독소 노출이다.[55]최근 미국에서는 부권과 관련된 남성의 생식권이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 "남성 낙태"라는 용어는 1998년 기사에서 사우스캐롤라이나 주 변호사인 멜라니 맥컬리(Melanie McCulley)가 만들었다. 이 이론은 여성이 임신하게 되면 낙태, 입양, 양육 중 선택할 수 있는 옵션이 있다는 전제에서 시작한다. 그러나 남성은 그러한 옵션이 없지만 여전히 여성의 결정에 영향을 받는다. 이는 법적으로 인정된 성평등의 맥락에서 임신 초기 단계에 추정(추정) 아버지는 모든 미래의 부권 및 재정적 책임을 포기할 권리를 가져야 하며, 이는 여성에게 동일한 세 가지 옵션을 제공한다는 주장이다.[56] 이 개념은 여성주의 단체 미국 여성 국민 기구의 전 회장이자 변호사인 카렌 드크로우(Karen DeCrow)가 지지했다.[57] 남성의 생식 선택에 대한 여성주의적 주장은 양육과 관련하여 남성과 여성이 선택할 수 있는 능력의 불균형이 전통적인 성역할을 선호하는 국가가 강제하는 강압의 증거라는 것이다.[58]
2006년, 전미 남성 센터(National Center for Men)는 미국에서 “두베 대 웰스” 사건(일부에서는 "남성을 위한 로 대 웨이드"라고 부름)을 제기했는데, 이는 계획되지 않은 임신의 경우 미혼 여성이 자신이 어떤 남성에 의해 임신했다고 알리면 그 남성은 모든 부권과 책임을 포기할 기회를 가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지자들은 이것이 여성에게 정보에 입각한 결정을 내릴 시간을 주고 여성과 동일한 생식권을 남성에게 부여할 것이라고 주장한다.[59][60] 항소법원(제6순회)은 이 사건을 기각하면서 "[국가]가 서로 다른 계층의 사람들을 다르게 대우하는 것을 14차 수정헌법이 금지하지 않는다"고 밝혔다.[61]
남성에게 서류상 낙태 권리를 부여할 기회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다. 정자 절도 또한 관련 문제이다.
3. 3. 간성(Intersex)의 권리
요크야카르타 원칙은 성 정체성과 관련한 국제 인권법 적용에 관한 것이지만, 아직 국가들이 국제법에 통합하지는 않았다.[27][28]간성(intersex)은 염색체, 생식샘, 생식기 등 성적 특징에 변이가 있어, 남성 또는 여성으로 명확하게 구분할 수 없는 경우를 말한다. 이러한 변이는 생식기 모호성과 XY 남성 및 XX 여성 이외의 염색체 유전형과 성 표현형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62][63] 간성인은 유아기와 아동기에 종종 비자발적인 "성 정상화" 수술 및 호르몬 치료를 받는데, 여기에는 불임 시술도 포함되는 경우가 많다.[64][65][66][67][68]
UN 기구들이 이에 주목하기 시작했다. 2013년 2월 1일, 고문 및 기타 잔혹하거나 비인도적 또는 굴욕적인 처우 또는 형벌에 관한 유엔 특별 보고관 후안 E 멘데스(Juan E Mendés)는 간성인에 대한 비자발적 수술 개입을 규탄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그의 보고서는 "비정형 성적 특징을 가진 아이들은 종종 본인이나 부모의 사전 동의 없이 '성을 바로잡기 위해' 돌이킬 수 없는 성 할당, 비자발적 불임 시술, 비자발적 생식기 정상화 수술을 받아 영구적이고 돌이킬 수 없는 불임을 겪고 심각한 정신적 고통을 겪는다"고 밝혔다.[69] 2014년 5월, 세계보건기구(WHO)는 OHCHR, UN Women, UNAIDS, UNDP, UNFPA, UNICEF과 함께 ''강제적, 강압적 또는 기타 비자발적 불임 시술 제거, 기관 간 성명''이라는 공동 성명을 발표했다. 이 보고서는 "간성인"에 대한 비자발적 "성 정상화 또는 기타 시술"을 언급하며, 이러한 치료의 의학적 필요성, 환자의 동의 능력, 약한 증거 기반에 의문을 제기한다.[70] 이 보고서는 환자의 자율적인 의사 결정 보장, 차별 금지, 책임 및 구제 수단 접근을 포함하여 의료 치료에서 강제 불임 시술을 예방하기 위한 일련의 지침 원칙을 권장한다.[71]
3. 4. 청소년의 권리
많은 관할 구역에서 미성년자는 피임, 낙태, 산부인과 상담, 성병 검사 등 다양한 생식 건강 서비스에 접근하기 위해 부모의 동의 또는 부모에게 알리는 것을 요구받는다.[72][73][74] 특히 HIV/AIDS 검사에 대한 미성년자의 부모 동의/알림 요건은 진단 및 치료 지연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논란이 많다. 미성년자의 권리 대 부모의 권리의 균형은 의학 및 법률에서 윤리적인 문제로 간주되며, 미국에서는 이 문제에 대한 많은 법원 판결이 있었다.[75] 1989년 아동의 권리에 관한 협약 이후로 인정된 중요한 개념은 미성년자의 발달하는 능력 즉, 미성년자는 자신의 성숙도와 이해 수준에 따라 자신에게 영향을 미치는 결정에 참여해야 한다는 것이다.[76]청소년은 보건 종사자들이 청소년의 성적 활동을 용납할 수 없다고 생각하거나 성교육을 부모의 책임으로 본다는 이유로 생식 건강 서비스에 대한 동등한 접근을 종종 거부당한다.[77] 많은 국가에서는 법률과 관계없이 미성년자가 부모와 동행하지 않으면 가장 기본적인 생식 의료 서비스조차 거부당한다. 예를 들어 인도에서는 2017년 임신으로 인해 가족에게 버림받은 17세 소녀가 병원에서도 거부당하고 길거리에서 출산했다.[78] 최근 몇 년 동안 청소년의 생식권 부족은 UNFPA와 같은 국제기구의 우려 사항이 되고 있다.[79]
미성년자가 자신의 상황을 이해할 만큼 충분히 성숙한 경우, 부모의 의무적인 개입은 보건기구에 의해 미성년자의 권리 침해이자 건강에 해로운 것으로 간주된다. 세계보건기구는 부모 동의/알림 법률을 비판했다.[80]
UNICEF에 따르면, "성과 생식 건강을 다룰 때 부모에게 알리고 동의를 얻어야 할 의무는 청소년의 삶과 공중 보건에 전반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장벽이 된다."[81] 입법자들의 위선의 한 형태로 간주되는 특정 문제는 생식 및 성 건강을 위한 의료 동의 연령이 성적 동의 연령보다 높은 것이다. 이러한 경우 법률은 청소년이 성적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허용하지만, 성적으로 활동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의료 절차에 동의할 수 있도록 허용하지 않는다. UNICEF는 "성 및 생식 건강 문제에 대해 의료 동의 최소 연령은 성적 동의 연령보다 높아서는 안 된다."라고 명시한다.[81]
4. 쟁점
피임은 임신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이나 기구이다.[124] 효과적이고 안전한 피임 방법은 20세기에 들어서야 가능해졌다.[125] 어떤 문화권에서는 종교적, 정치적인 이유로 피임을 제한하기도 하며,[125] 퀴버풀 운동과 같이 모든 형태의 피임에 반대하는 경우도 있다.[128] 유럽 여성의 85% 이상은 평생 동안 어떤 형태의 피임을 사용한 경험이 있으며, 경구피임약과 콘돔이 가장 흔하게 사용된다.[88]
세계보건기구(WHO)와 구트마허 연구소에 따르면, 2010년부터 2014년까지 매년 2500만 건의 불안전 낙태가 발생했으며, 이 중 97%는 개발도상국에서 발생한다.[129] 여성에 대한 차별 철폐 위원회는 낙태의 형사화를 "여성의 성 건강 및 생식 건강과 권리 침해"이자 "성차별적 폭력"의 한 형태로 간주한다.[130] 세계보건기구(WHO)는 안전하고 합법적인 낙태를 여성의 기본권으로 보고, 불안전 낙태를 "침묵하는 팬데믹"이라 부른다.[131] 마푸토 의정서는 특정 조건에서 낙태를 여성의 인권으로 인정하는 최초의 국제 조약이다.[143] 유럽 인권 재판소는 ''A. B. 및 C. 대 아일랜드'' 판결에서 건강이나 복지를 이유로 낙태를 거부하는 것은 유럽 인권 조약 8조(사생활 및 가족 생활 존중권)를 간섭하는 것이며, 일부 경우에는 정당화될 수 있다고 판시했다.
역사적으로 특정 인구 목표를 달성하려는 정부의 정책은 인권 침해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았다. 루마니아 공산주의 시대 니콜라에 차우셰스쿠는 매우 공격적인 출산 장려 정책을 시행하여 불법 낙태로 인한 사망자가 속출했다.[154] 반면, 중국의 한 자녀 정책은 강제 낙태 등 인권 침해를 야기했다.[156]
여성 성기 절제(FGM)는 비의료적인 이유로 여성의 외부 생식기를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제거하는 절차로, 건강상의 이점이 없으며 심각한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다.[161] 이스탄불 협약은 여성 성기 절제(FGM)를 금지한다(제38조).[164]
신부 납치(납치 결혼)는 강제 결혼을 목적으로 여성을 납치하는 관행으로, 강간범과의 결혼 법률로 뒷받침되기도 한다.[172] 신부 값은 신랑이나 가족이 신부 부모에게 지불하는 돈, 재산 등을 의미하며, 아프리카 전역에서 일반적이다.[175]
가톨릭 교회는 인공 피임, 낙태, 결혼 외 성관계에 반대한다.[191] 중앙아메리카 일부 국가, 특히 엘살바도르는 낙태 반대 법률을 강력하게 집행하여 국제적인 주목을 받고 있다.[195][196]
낙태 반대 폭력은 단일 이슈 테러리즘이나 기독교 테러리즘의 형태로 인식되기도 한다.[199][200] 1978년 이후 미국에서 낙태 반대 폭력으로 인해 의료진 11명이 살인되고, 26건의 살인 미수가 발생했다.[201]
4. 1. 피임
피임은 임신을 예방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 또는 기구이다.[124] 피임 계획, 제공 및 사용은 가족 계획이라고 한다.[126][127] 피임은 고대부터 사용되어 왔지만, 효과적이고 안전한 피임 방법은 20세기에 들어서야 이용 가능하게 되었다.[125]어떤 문화권에서는 도덕적, 종교적 또는 정치적으로 바람직하지 않다고 여겨 피임에 대한 접근을 제한하거나 권장하지 않는다.[125] 모든 피임 방법은 전 세계 일부 지역에서, 특히 종교적 반대에 직면한다. 이러한 반대는 현대적인 방법뿐만 아니라 '전통적인' 방법도 대상으로 한다. 예를 들어, 보수적인 기독교 이념인 퀴버풀 운동은 출산 극대화를 장려하고 자연 가족 계획을 포함한 모든 형태의 피임에 반대한다.[128]
유럽 여성의 85% 이상(모든 연령대)이 평생 동안 어떤 형태의 피임을 사용한 경험이 있다.[88] 유럽 전체적으로는 경구피임약과 콘돔이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피임 방법으로 보고된다.[88] 스웨덴은 평생 피임 사용률이 가장 높은 국가로, 주민의 96%가 평생 동안 피임을 사용한 적이 있다고 답했으며, 사후피임약 사용률도 자가 보고에 의하면 높다.[88]
미국의 경우, 성경험이 있는 10대 청소년 중 78%의 여성과 85%의 남성이 첫 성관계 시 피임을 사용했으며, 같은 여성과 남성 중 각각 86%와 93%가 마지막 성관계 시에도 피임을 사용했다고 보고했다.[95] 첫 성관계 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은 남성용 콘돔이지만, 미국 젊은 여성의 54%는 피임약에 의존한다.[95]
4. 2. 낙태


세계보건기구(WHO)와 구트마허 연구소의 연구에 따르면, 2010년부터 2014년까지 매년 2500만 건의 불안전 낙태(전체 낙태의 45%)가 발생했다.[129] 불안전 낙태의 97%는 아프리카, 아시아, 라틴 아메리카의 개발도상국에서 발생하며, 서유럽, 북유럽 및 북미에서 이루어지는 대부분의 낙태는 안전하다.[129]
여성에 대한 차별 철폐 위원회는 낙태의 형사화를 "여성의 성 건강 및 생식 건강과 권리 침해"이자 "성차별적 폭력"의 한 형태로 간주한다. ''여성에 대한 성차별적 폭력에 관한 일반 권고 제35호(일반 권고 제19호 개정)'' 18항은 다음과 같이 명시한다. "강제 불임 수술, 강제 낙태, 강제 임신, 낙태의 형사화, 안전한 낙태 및 낙태 후 관리 거부 또는 지연, 강제 임신 지속, 성 건강 정보, 재화 및 서비스를 찾는 여성과 소녀에 대한 학대 및 혹독한 대우는 성차별적 폭력의 형태이며, 상황에 따라 고문 또는 잔혹하고 비인도적이거나 굴욕적인 처우에 해당할 수 있다."[130] 같은 ''일반 권고'' 31항은 국가들에게 "특히 다음을 폐지할 것: a) 여성에 대한 성차별적 폭력의 형태를 허용, 관용하거나 묵인하는 조항, 여기에는 [...] 낙태를 형사화하는 법률이 포함됩니다."라고 촉구한다.[130]
세계보건기구(WHO)는 안전하고 합법적인 낙태를 "거주 지역에 관계없이 여성의 기본권"이라 하고, 불안전 낙태를 "침묵하는 팬데믹"이라 부른다.[131] "불안전 낙태라는 침묵하는 팬데믹을 종식시키는 것은 시급한 공중 보건 및 인권의 책무"이며, "안전한 낙태에 대한 접근성은 여성 건강을 개선하고,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라고 명시한다.[131] 니콜라에 차우셰스쿠 대통령 집권 시절 루마니아에서 이 사실이 문서화되었으며, "요청에 따른 낙태 합법화는 여성의 건강을 개선하기 위한 필요하지만 충분하지 않은 단계"이다.[131] 수십 년 동안 낙태가 합법이었던 인도와 같은 일부 국가에서는 다른 장벽으로 인해 여전히 치료 접근이 제한적이다.[131] 2004년 5월 세계보건총회에서 채택된 WHO의 생식 건강에 관한 세계 전략은 "모성 사망률과 이환율의 예방 가능한 원인으로서 불안전 낙태는 모성 건강 개선에 관한 MDG 및 기타 국제 개발 목표와 목표의 일환으로 다루어져야 합니다."라고 언급했다.[132] 인간 생식에 대한 개발 및 연구 훈련(HRP)을 담당하는 WHO 부서는 사람들의 성 건강 및 생식 건강과 삶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며,[133] 불안전 낙태와 싸우기 위한 포괄적인 전략(네 가지 상호 연관된 활동)을 가지고 있다.[132]
- 불안전 낙태의 유병률과 관행에 대한 과학적 증거 수집, 종합 및 생성.
- 낙태 안전성 개선 기술 개발 및 개입 실행.
- 증거를 규범, 도구 및 지침으로 변환.
- 불안전 낙태 감소 및 안전한 낙태, 고품질 낙태 후 관리에 대한 접근성 개선 프로그램 및 정책 개발 지원.
유엔은 2017년 낙태 반대 법률 폐지로 매년 약 5만 명의 여성 생명을 구할 수 있다고 추산했다.[134] 잉글랜드와 웨일스에서만 209,519건의 낙태가 이루어진다.[135] 불안전 낙태는 주로 낙태가 불법인 국가에서 발생하지만, 합법인 국가에서도 발생한다.[136][137] 다른 이유로는 낙태 합법 여부 인지 부족, 낮은 사회경제적 배경 및 공간적 불균형이 있다.[138][139] 유엔은 2017년 결의에서 "국내법이 허용하는 경우 안전한 낙태에 대한 접근 보장"을 촉구했다.[140] 2008년 휴먼 라이츠 워치는 "낙태가 법으로 허용되는 경우에도 부적절한 규제, 보건 서비스 또는 정치적 의지 부족으로 여성의 안전한 낙태 서비스 접근이 제한되는 경우가 많다"며, "전 세계 모성 사망의 약 13%가 불안전 낙태로 인한 것으로, 매년 68,000~78,000명의 사망자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추산된다."라고 밝혔다.[141]
마푸토 의정서는 아프리카 연합이 아프리카 인권 및 인민 권리 헌장에 대한 의정서 형태로 채택한 것으로, 14조(보건 및 생식권)에서 "성폭행, 강간, 근친상간의 경우, 그리고 임신 지속이 어머니의 정신 및 신체 건강 또는 어머니나 태아의 생명을 위협하는 경우 의료 낙태를 허가하여 여성의 생식권을 보호"해야 한다고 명시한다.[142] 마푸토 의정서는 특정 조건에서 낙태를 여성의 인권으로 인정하는 최초의 국제 조약이다.[143]
2018년 인권위원회가 채택한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 6조(생명권)에 관한 ''일반 의견 제36호(2018)''는 (비록 연성법으로 간주되어 법적 구속력은 없지만[144]) 처음으로 특정 상황에서 낙태에 대한 인권을 정의한다.
당사국은 임신의 자발적 종결 규제 조치를 채택할 수 있지만, 임산부 또는 소녀의 생명권이나 규약상 다른 권리를 침해해서는 안 된다. 낙태 추구 능력 제한은 생명을 위태롭게 하거나, 7조 위반 신체/정신적 고통, 차별, 사생활 임의 방해를 해선 안 된다. ''생명과 건강 위험, 임신 지속이 상당한 고통 초래, 특히 강간/근친상간, 생존 불가능한 경우 안전하고 합법적이며 효과적인 낙태 접근을 제공해야 한다.'' 불안전 낙태 방지 의무에 반하는 방식으로 임신/낙태를 규제해선 안 되며, 낙태법을 개정해야 한다. 미혼 여성 임신 형사화, 낙태 여성/소녀, 의료 제공자 형사 처벌은 불안전 낙태를 유발하므로 금지한다. 새로운 장벽 도입, 의료 제공자 양심적 거부 등 기존 장벽 제거해야 한다.[145]
1994년 인구 및 개발에 관한 국제회의(ICPD) 카이로 행동 강령 협상 시, 이 문제는 너무 논쟁적이어서 낙태 합법화 권고를 생략하고, 정부에 적절한 낙태 후 관리 제공 및 원치 않는 임신 감소 프로그램 투자를 권고했다.[146]
2008년 4월 18일, 유럽 평의회 의회 의회는 합리적인 임신 기간 내 낙태 비범죄화 및 안전한 낙태 절차 접근 보장 촉구 결의안을 채택했다(102대 69 투표 통과).[147]
ICPD 기간과 이후 일부는 "생식 건강" 용어를 가족 계획 수단 또는 낙태 권리로 해석하려 했으나, 이는 회의 합의 내용을 반영하지 않는다. 유럽 연합의 경우, 이사회 의장은 "생식 건강" 증진 노력이 낙태 증진을 포함하지 않는다고 밝혔다.[148] 유럽 집행위원회도 "생식 건강" 용어는 1994년 카이로 국제회의에서 유엔이 정의했으며, 연합 회원국은 카이로 행동 강령을 승인했고, 연합은 행동 강령과 다른 정의를 채택한 적 없다"고 밝혔다.[149]
미국 관련, 카이로 회의 며칠 전 앨 고어 부통령은 "거짓된 문제를 제거해 봅시다. 미국은 새로운 국제적 낙태 권리 설정을 시도하지 않으며, 낙태를 가족 계획 방법으로 장려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합니다."라고 공식 진술했다.[150] 몇 년 후, 유엔 주재 미국 대사 엘렌 자우어브레이는 "비정부기구(NGO)가 베이징이 국제적 낙태 기본권 창출에 기여한다고 주장하려 한다"며, "낙태 기본권은 없으나, NGO가 용어를 탈취하고 정의로 만들려는 주된 이유로 계속 나타난다."라고 밝혔다.[151][152]
개발 연구소의 공동 연구는 "안전한 낙태 접근은 인권, 민주주의, 공중 보건 문제이며, 접근 거부는 사망 및 장애 주요 원인, [국제] 개발에 상당한 비용 초래"라고 명시한다.[153] 이 연구는 안전한 낙태 접근 불평등을 강조하고, 해결을 위한 전 세계 및 전국적 개혁 운동 중요성을 강조한다. 생식 권리 운동가들은 낙태 권리 의제에서 안전하고 합법적인 낙태를 인권, 민주주의, 시민권과 관련된 것으로 전환하여 낙태 논쟁과 생식 정의 의제를 재구성했다.[153]
유럽 인권 재판소는 ''A. B. 및 C. 대 아일랜드'' 판결에서 건강/복지 이유 낙태 거부는 유럽 인권 조약 8조(사생활 및 가족 생활 존중권) 간섭이며, 일부 경우 정당화될 수 있다고 판시했다.
4. 3. 인구 조절


역사적으로 특정 인구 목표를 달성하려는 정부의 정책은 인권 침해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았다. 20세기 여러 권위주의 정부는 강제적인 방법을 통해 출산율을 조절하려 했다.[154]
1967년부터 1990년까지 루마니아 공산주의 시대 니콜라에 차우셰스쿠는 낙태와 피임을 금지하고, 여성들에게 정기적인 임신 검사를 강요했으며, 무자녀 세금 부과 및 무자녀에 대한 법적 차별 등 매우 공격적인 출산 장려 정책을 시행했다. 이로 인해 불법 낙태로 9,000명 이상의 여성이 사망했고,[154] 많은 아이들이 루마니아 고아원에 버려졌다. 1990년대에는 거리 아동 문제가 발생했고, 가정과 학교는 과밀 현상을 겪었다. 역설적이게도, 차우셰스쿠의 정책으로 태어난 세대가 루마니아 혁명을 이끌고 그를 처형했다.[155]
반면, 1978년부터 2015년까지 중국의 한 자녀 정책은 강제 낙태 등 인권 침해를 야기했다.[156] 이 정책은 성별 선택적 낙태를 유발해 성비 불균형을 초래했다.[157]
197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여성 건강 운동가들은 여성의 생식권을 인권으로 증진하려 했으나, 인구 억제 옹호자들은 출산율 감소에만 집중하여 갈등을 빚었다.[158] 1984년 멕시코시티 유엔 세계 인구 회의에서 여성 건강 운동가들은 인구 억제 정책의 문제점을 비판했다. 1980년대 HIV/AIDS 유행은 생식 건강 문제 전반에 대한 관심을 높였다. 1990년대 초, 과거 인구 억제 정책에서 벗어나려는 움직임이 나타났다.[159] 미국에서는 낙태 반대론자들이 생식권 옹호자들이 인종차별적 우생학 의제를 추진한다며 음모론을 퍼뜨렸다.[160]
4. 4. 기타 쟁점



여성 성기 절제(FGM)는 비의료적 이유로 여성 외부 생식기를 부분적/전체적으로 제거하거나, 여성 생식 기관에 손상을 가하는 절차다.[161] 건강상 이점이 없으며, 심한 출혈, 배뇨 문제, 낭종, 감염, 출산 합병증, 신생아 사망 위험 증가를 초래한다.[161] 국제앰네스티는 여성 폭력이 여성의 생명권, 신체/정신적 건전성권, 최고 수준 건강권, 고문으로부터의 자유를 침해하며, 성/재생산권을 침해한다고 밝힌다.[106]
전 세계적, 특히 아프리카,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이라크 쿠르디스탄, 예멘 등 아시아 일부 지역에서 전통적, 문화적, 종교적 이유로 수행된다.[162][163] 이스탄불 협약은 여성 성기 절제(FGM)를 금지한다(제38조).[164] 전 세계 2억 명 여성, 유럽 내 이민 여성 50만 명 이상이 FGM을 받았다.[165] 3형 여성 성기 절제(할례)[166]는 가장 극단적 형태로, 지부티, 에리트레아, 에티오피아, 소말리아, 수단 등 아프리카 북동부에서 주로 행해진다.[167]
신부 납치(납치 결혼)는 여성/소녀가 강제 결혼 목적으로 납치되는 관행이다. 역사적으로 세계 여러 지역, 특히 중앙아시아(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카자흐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 코카서스(아르메니아), 에티오피아 등에서 발생한다.[168][169][170][171]
신부 납치는 강제 결혼을 위한 강간(임신)이 선행/뒤따르며, "강간범과의 결혼 법률"(성폭력, 납치 관련, 가해자가 피해자와 결혼 시 기소/처벌 면제 법률[172])로 뒷받침된다. 여성 납치는 개별적/대규모로 발생한다. 랍티오(Raptio)는 전시 중 결혼/성적 노예 목적 대규모 여성 납치 라틴어다.
신부 값은 신부 부모에게 신랑/가족이 지불하는 돈, 재산 등이다. 신부 값 관행은 부모의 어린 딸 결혼 판매, 인신매매로 이어진다.[173][174] 아프리카 전역에서 일반적이다.[175] 강제 결혼은 성폭력, 강제 임신으로 이어진다. 가나 북부에서 신부 값 지불은 여성 출산 의무 의미, 피임 사용 여성은 위협/강압 위험에 처한다.[176]
1956년 노예제도, 노예 매매 및 노예제도와 유사한 제도 및 관행 철폐에 관한 보충 협약은 "노예제도 유사 제도/관행"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177]
> c) 다음 제도/관행:
> * (i) 여성 거부권 없이 돈/현물로 부모, 보호자, 가족, 타인/집단에게 대가 지불, 결혼 약정/제공;
> * (ii) 여성 남편, 가족, 씨족이 대가/기타 이유로 타인에게 양도 권리;
> * (iii) 여성, 남편 사망 시 타인에게 상속;
소수 민족 여성(아메리카 원주민, 로마 여성)은 강제 불임 수술 프로그램 피해자가 되는 경우가 많았다.
페루 알베르토 후지모리 대통령(1990~2000년 재임)은 정부 시행 '국가 인구 프로그램'으로 집단 학살, 반인도 범죄 혐의를 받았다.[178] 1995년 7월 28일 발표 "공중 보건 계획" 명목 페루 원주민(주로 케추아족, 아이마라족) 대상 강제 불임 수술이 시행되었다.
20세기 유럽, 특히 옛 공산권 국가에서 로마 여성 대상 강제 불임 수술 자행,[179][180] 체코, 불가리아, 헝가리, 루마니아 등 일부 국가 비공식적 지속 주장.[181][182] 유럽인권재판소, 2000년 슬로바키아 공립 병원 강제 불임 수술 로마 여성 'V. C. 대 슬로바키아' 사건 원고 승소 판결.[183]
미국 강제 불임 수술 19세기 시작. 1890~1920년 미국 진보주의 시대 우생학 목적 강제 불임 프로그램 체계적 수행 최초 국가.[184] 프린스턴 대학교 토마스 C. 레너드 교수, 미국 우생학/불임 수술 경제 논리 기반, 임금 통제, 이민 제한, 연금 프로그램 도입, 진보주의 중심 요소 설명.[185] 프로그램 책임자들은 열렬한 우생학 지지자, 20세기 전반 전국적 성공 거둔 프로그램 옹호.
캐나다 역사적 강제 불임 수술 시행. 알버타주, 브리티시컬럼비아주 20세기 우생학 목표 강제 불임 프로그램 실시. 캐나다 강제 불임 수술, 미국 시스템처럼 제도화, 판결, 수술 메커니즘. 정신병 없는 범죄자 처리 방식 차이 - 캐나다 법률, 수감자 처벌적 불임 수술 허용 X.
알버타주 「성적 불임 수술법」(1928년 제정, 1972년 폐지). 1995년 레일라니 무어, 1959년 의지/허락 없이 강제 불임 수술, 알버타주 고소. 무어 사건 이후 알버타주 정부, 2,800명 이상 강제 불임 수술 사과. 「성적 불임 수술법」따라 불임 수술 받은 알버타 주민 약 850명, 1억 4,200만 캐나다 달러 손해배상금 지급.[186][187]
가톨릭 교회는 인공 피임, 낙태, 결혼 외 성관계 반대.[191] 초기 기독교 시대부터 시작된 믿음.[192][193] 가톨릭 교회만 이런 견해 가진 것 아니지만, 가톨릭 신자 다수 국가 영향력 큼. 전 세계 낙태 완전 금지 국가 대부분 가톨릭 신자 다수 국가.[92] 유럽 몰타(완전 금지), 안도라, 산마리노, 리히텐슈타인 등 가톨릭 신자 다수 국가 낙태 엄격 제한, 폴란드, 모나코 다소 제한적.
로마 가톨릭 전통 프랑스, 1943년 7월 30일 권위주의적 비시 정권 하 낙태 시술자 마리-루이즈 지로 단두대형.[194]
중앙아메리카 일부 국가, 특히 엘살바도르 낙태 반대 법률 강력 집행 국제적 주목.[195][196] 엘살바도르 유엔 반복 비판. 유엔 인권 고등판무관실(OHCHR) "세계 가장 가혹 낙태 법률 중 하나" 명명, 완화 촉구,[188] 유엔 인권 고등판무관 자이드 라아드 알 후세인 "엘살바도르 절대적 낙태 금지, 여성 유산/기타 산과 응급 상황 처벌, 임신 중절 혐의 기소/유죄 판결 경악".[189]
낙태 반대 운동 특정 형태 비판. 낙태 반대 폭력 특히 북미 포함 세계 여러 지역 심각 문제.[197][198] 단일 이슈 테러리즘 인식.[199] 많은 단체 낙태 반대 극단주의 기독교 테러리즘 형태 인식.[200]
사건: 낙태 클리닉 훼손, 방화, 폭파 (에릭 루돌프, 1996~98), 의사/클리닉 직원 살인/살인 미수 (제임스 코프(1998), 폴 제닝스 힐(1994), 스콧 로더(2009), 마이클 F. 그리핀(1993), 피터 제임스 나이트(2001)).
1978년 이후 미국 낙태 반대 폭력, 의료진 11명 살인, 26건 살인 미수, 42건 폭파, 187건 방화 발생.[201]
참조
[1]
논문
Advancing Reproductive Rights Beyond Cairo and Beijing
[2]
논문
The moral imperative of reproductive rights, health, and justice
2020
[3]
논문
Women's Reproductive Rights: A literary perspective
2012
[4]
논문
Beyond fertility figures: towards reproductive rights and choices
2024
[5]
웹사이트
Gender and reproductive rights
http://who.int/repro[...]
2010-08-29
[6]
웹사이트
Tackling the taboo of menstrual hygiene in the European Region
http://www.euro.who.[...]
2018-11-08
[7]
논문
Inclusion of menstrual health in sexual and reproductive health and rights — Authors' reply
https://www.thelance[...]
[8]
웹사이트
GENITAL MUTILATION & THE UNITED NATIONS: MALE AND FEMALE CIRCUMCISION, HUMAN RIGHTS, & THE RESTORATION OF SPIRITUAL INTEGRITY & FREEDOM
http://www.nocirc.or[...]
2017-08-19
[9]
논문
Human Rights and Reproductive Choice
[10]
웹사이트
Proclamation of Teheran
http://www.unhchr.c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uman Rights
2007-11-08
[11]
서적
Cutting the rose : female genital mutilation : the practice and its prevention
Minority Rights Publications
1995
[12]
간행물
Establishing International Reproductive Rights Norms: Theory for Change
http://thomas.loc.go[...]
US CONG. REC. 108th CONG. 1 Sess. E2534 E2547 (Rep. Smith)
2003-12-08
[13]
서적
Reproductive Rights in a Global Context
https://archive.org/[...]
Vanderbilt University Press
[14]
웹사이트
Population Matters search on "reproductive rights"
http://populationmat[...]
2017-08-19
[15]
문서
Declaration on Social Progress and Development
https://www.ohchr.or[...]
[16]
웹사이트
unhchr.ch
http://www.unhchr.ch[...]
[17]
웹사이트
Fourth World Conference on Women, Beijing 1995
https://www.un.org/w[...]
2020-07-07
[18]
서적
Reproductive Rights in a Global Context
https://archive.org/[...]
Vanderbilt University Press
[19]
서적
Reproductive Rights in a Global Context
https://archive.org/[...]
Vanderbilt University Press
[20]
웹사이트
A/CONF.171/13: Report of the ICPD (94/10/18) (385k)
https://www.un.org/p[...]
2017-08-19
[21]
서적
Reproductive Rights in a Global Context
https://archive.org/[...]
Vanderbilt University Press
[22]
논문
Beijing '95: Moving Women's Human Rights from Margin to Center
[23]
서적
Women, Violence, and the Human Rights System. Women, Gender, and Human Rights: A Global Perspective
Rutgers University Press
[24]
논문
Sexual and reproductive rights and the human rights agenda: controversial and contested
2011
[25]
서적
INDIGENOUS WOMEN'S MOVEMENTS IN LATIN AMERICA : gender and ethnicity in peru, mexico, and bolivia
PALGRAVE MACMILLAN
2019
[26]
서적
Reproductive politics : what everyone needs to know
Oxford University Press
2013-02-27
[27]
웹사이트
About the Yogyakarta Principles
http://www.yogyakart[...]
2017-08-19
[28]
간행물
Majority of GA Third Committee unable to accept report on the human right to sexual education
http://www.ishr.ch/a[...]
International Service for Human Rights
[29]
문서
The Yogyakarta Principles Preamble and Principle 9. The Rights to Treatment with Humanity While in Detention
[30]
간행물
Summary record of the 29th meeting held in New York, on Monday, 25 October 2010, at 3 p.m
http://daccess-dds-n[...]
United Nations General Assembly, Official Records, Third Committee
[31]
웹사이트
Memorandum: Charging Forced Marriage as a Crime Against Humanity
http://www.d.dccam.o[...]
2017-08-19
[32]
뉴스
BBC NEWS – World – Americas – Mass sterilisation scandal shocks Peru
http://news.bbc.co.u[...]
2002-07-24
[33]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ww.oas.org/[...]
2015-11-20
[34]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rm.coe.int/C[...]
2016-09-26
[35]
논문
In the name of reproductive rights: race, neoliberalism and the embodied violence of population policies
https://eprints.bbk.[...]
2017
[36]
서적
Globalization of the Local/Localization of the Global: Mapping Transnational Women's Movements. In Feminist Theory Reader: Local and Global Perspectives
Routledge
[37]
서적
The politics of motherhood maternity and women's rights in twentieth-century Chile
University of Pittsburgh Press
2009
[38]
서적
Feminist and human rights struggles in Peru : decolonizing transitional justice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39]
서적
Women's Rights as Human Rights: Women as Agents of Social Change. Women, Gender, and Human Rights: A Global Perspective
Rutgers University Press
[40]
학술지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http://radicalteache[...]
2014-05-28
[41]
학술지
Violence Against Women
2012-01-01
[42]
웹사이트
U.N.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https://www.un.org/m[...]
[43]
웹사이트
U.N.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https://www.un.org/s[...]
[44]
학술지
Shifting to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 Implications for Global Health
2015
[45]
학술지
Sexuality, health, and human rights: self-identified priorities of indigenous women in Peru
2008
[46]
웹사이트
Defenders of Sexual and Reproductive Rights
https://www.amnesty.[...]
Amnesty International
2013-10-02
[47]
웹사이트
[programme] Basis for action
http://www.iisd.ca/C[...]
Iisd.ca
2017-02-16
[48]
웹사이트
Stop Violence Against Women: Reproductive rights
http://www.amnestyus[...]
Amnesty International USA
2008-01-20
[49]
웹사이트
WHO Sexual and reproductive health and rights: a global development, health, and human rights priority
https://www.who.int/[...]
2019-06-19
[50]
간행물
Report of the Four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opulation and Development, Cario, 5 – 13 September 1994
https://www.un.org/p[...]
United Nations
[51]
뉴스
Sir David Attenborough on the roots of Climatic problems
https://www.independ[...]
[52]
웹사이트
OHCHR Sexual and reproductive health and rights
https://www.ohchr.or[...]
2019-06-19
[53]
웹사이트
Women's History
http://womenshistory[...]
2017-08-19
[54]
서적
Women's Lives: Multicultural Perspectives (Third Edition)
[55]
학술지
Men's Reproductive Health Risks: Threats to men's fertility and reproductive health include disease, cancer and exposure to toxins
http://www.fhi.org/e[...]
1998-01-01
[56]
학술지
The male abortion: the putative father's right to terminate his interests in and obligations to the unborn child
[57]
웹사이트
A man's right to choose
http://www.salon.com[...]
2011-05-10
[58]
학술지
Coerced Parenthood as Family Policy: Feminism, the Moral Agency of Women, and Men's 'Right to Choose'
[59]
웹사이트
Roe for men?
http://www.salon.com[...]
2007-12-17
[60]
웹사이트
ROE vs. WADE… FOR MEN: Men's Center files pro-choice lawsuit in federal court
http://www.nationalc[...]
[61]
법률문서
U.S. Court of Appeals for the Sixth Circuit, case No. 06-11016
http://www.ca6.uscou[...]
[62]
서적
Man & Woman Boy & Girl. Differentiation and dimorphism of gender identity from conception to maturity
https://archive.org/[...]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63]
서적
Hermaphrodites and the Medical Invention of Sex
Harvard University Press
[64]
법률문서
Resolution 1952/2013, Provision version, Children’s right to physical integrity
http://www.assembly.[...]
Council of Europe
2013-10-01
[65]
보고서
Involuntary or coerced sterilisation of intersex people in Australia
http://www.aph.gov.a[...]
Australian Senate Community Affairs Committee
2013-10-01
[66]
뉴스
It's time to defend intersex rights
http://www.abc.net.a[...]
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
2013-11-15
[67]
뉴스
Australian Parliament committee releases intersex rights report
http://www.gaystarne[...]
Gay Star News
2013-10-28
[68]
보고서
On the management of differences of sex development, Ethical issues relating to "intersexuality", Opinion No. 20/2012
http://www.bag.admin[...]
Swiss National Advisory Commission on Biomedical Ethics
2013-06-20
[69]
보고서
Report of the UN Special Rapporteur on Torture
http://www.ohchr.org[...]
Office of the UN High Commissioner for Human Rights
2013-02-01
[70]
웹사이트
WHO/UN interagency statement on involuntary or coerced sterilisation
http://oii.org.au/27[...]
Organisation Intersex International Australia
2014-05-30
[71]
간행물
Eliminating forced, coercive and otherwise involuntary sterilization, An interagency statement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4-05-01
[72]
서적
HIV and Adolescents: Guidance for HIV Testing and Counselling and Care for Adolescents Living with HIV
https://www.ncbi.nlm[...]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3-01-01
[73]
뉴스
DOH backs bill allowing minor to get HIV, AIDS tests without parental consent
http://newsinfo.inqu[...]
2015-06-07
[74]
웹사이트
Challenging parental consent laws to increase young people's access to vital HIV services – UNAIDS
http://www.unaids.or[...]
[75]
논문
Minor's Rights Versus Parental Rights: Review of Legal Issues in Adolescent Health Care
http://www.medscape.[...]
[76]
웹사이트
Sexual and Reproductive Rights of Young People: Autonomous decision making and confidential services
https://www.ippfwhr.[...]
2017-10-01
[77]
서적
Handbook of Youth and Young Adulthood
Routledge
[78]
뉴스
Homeless girl in India forced to give birth on street metres away from health centre: She was shivering and unable to lift and cuddle her infant
https://www.independ[...]
2017-08-29
[79]
웹사이트
Adolescent sexual and reproductive health – UNFPA – United Nations Population Fund
http://www.unfpa.org[...]
[80]
웹사이트
Joint United Nations statement on ending discrimination in health care settings — Joint WHO/UN statement
https://www.who.int/[...]
2017-06-27
[81]
웹사이트
Legal minimum ages and the realization of adolescents' rights
https://www.unicef.o[...]
[82]
논문
Sexual Reproductive Health and Rights for Young People in Africa
[83]
서적
Reproductive Rights in a Global Context: South Africa, Uganda, Peru, Denmark, United States, Vietnam, Jordan
Vanderbilt University Press
[84]
웹사이트
HIV/AIDS Factsheet
http://www.afro.who.[...]
[85]
논문
From Unsafe to Safe Abortion in Sub-Saharan Africa: Slow but Steady Progress
https://www.guttmach[...]
2020-12-01
[86]
뉴스
While Abortion Rights Shrink in U.S., This Small Country Expanded Access
https://www.nytimes.[...]
2022-11-13
[87]
웹사이트
UN Report on Sexual and Reproductive Justice Highlights Global Progress (and Lost Ground)
https://www.publiche[...]
2022-11-10
[88]
논문
Choice of birth control methods among European women and the role of partners and providers
http://dadun.unav.ed[...]
[89]
논문
Contraceptive use and associated factors among Swedish high school students
[90]
서적
Sexual and reproductive health rights and the implication of conscientious objection : study.
https://www.europarl[...]
European Parliament
[91]
웹사이트
Women's sexual and reproductive rights in Europe
https://www.coe.int/[...]
[92]
뉴스
Chile abortion: Court approves easing total ban
https://www.bbc.com/[...]
2017-08-21
[93]
뉴스
Chile: the long road to abortion reform — After a fierce debate, one of the most restrictive reproductive laws in the world has been eased
https://www.independ[...]
2017-08-29
[94]
논문
Adolescent Pregnancies in the Amazon Basin of Ecuador: A Rights and Gender Approach to Adolescents' Sexual and Reproductive Health
[95]
웹사이트
Fact Sheet: Contraceptive Use in the United States
http://www.guttmache[...]
Guttmacher Institute
2004-08-04
[96]
논문
Brazilian obstetrician-gynecologists and abortion: a survey of knowledge, opinions and practices
2005-11-15
[97]
웹사이트
Abortion in Ghana
https://www.guttmach[...]
2016-02-24
[98]
뉴스
NEPAL: Only Half of Women Know Abortion is Legal – Inter Press Service
http://www.ipsnews.n[...]
2006-09-09
[99]
뉴스
Wayback Machine
https://www.amnesty.[...]
2011-06-08
[100]
웹사이트
The Eight Point Agenda: Practical, positive outcomes for girls and women in crisis
http://www.undp.org/[...]
[101]
웹사이트
A/RES/48/104 – Declaration on the Elimination of Violence against Women – UN Documents: Gathering a body of global agreements
http://www.un-docume[...]
[102]
서적
Am I allowed? What every woman should know before she gives birth.
Birth Practice and Politics Forum
[103]
웹사이트
United Nations Population Fund | Supporting the Constellation of Reproductive Rights
http://www.unfpa.org[...]
UNFPA
[104]
웹사이트
United Nations Population Fund | State of World Population 2005
http://www.unfpa.org[...]
UNFPA
[105]
웹사이트
WHO | Gender and Reproductive Rights
https://www.who.int/[...]
Who.int
[106]
웹사이트
Sexual and reproductive rights | Amnesty International
https://www.amnesty.[...]
Amnesty.org
2007-11-06
[107]
웹사이트
WHO | Gender and human rights
https://www.who.int/[...]
Who.int
2002-01-31
[108]
웹사이트
Bioline International Official Site (site up-dated regularly)
http://www.bioline.o[...]
Bioline.org.br
2015-02-09
[109]
웹사이트
Ethics: Honour Crimes
https://www.bbc.co.u[...]
BBC
1970-01-01
[110]
웹사이트
AIDSinfo
http://www.unaids.or[...]
[111]
웹사이트
HIV Basics {{!}} HIV/AIDS {{!}} CDC
https://www.cdc.gov/[...]
2018-07-23
[112]
웹사이트
WHO | Reproductive choices for women with HIV
https://www.who.int/[...]
Who.int
[113]
웹사이트
Child marriage – a threat to health
http://www.euro.who.[...]
2012-12-20
[114]
웹사이트
Child marriage – UNFPA – United Nations Population Fund
http://www.unfpa.org[...]
[115]
웹사이트
The Convention of Belem do Para and the Istanbul Convention : A response to violence against women worldwide
https://www.oas.org/[...]
Oas.org
[116]
웹사이트
Council of Europe Convention on preventing and combating violence against women and domestic violence
https://rm.coe.int/1[...]
[117]
웹사이트
OHCHR {{!}} Rape: Weapon of war
https://www.ohchr.or[...]
[118]
논문
Women, war, and reproductive health in developing countries
[119]
논문
Rates of Sexual Violence Are High in Democratic Republic of the Congo
[120]
논문
Dangerous Tales: Dominant Narratives on the Congo and their Unintended Consequences
[121]
웹사이트
Country Comparison: Maternal Mortality Rate
https://web.archive.[...]
2010
[122]
웹사이트
WHO – Maternal mortality ratio (per 100 000 live births)
https://www.who.int/[...]
[123]
웹사이트
Maternal mortality
https://www.who.int/[...]
[124]
뉴스
Definition of Birth control
http://www.medterms.[...]
[125]
서적
The Johns Hopkins manual of gynecology and obstetrics
Wolters Kluwer Health/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10-12-21
[126]
서적
Oxford English Dictionary
http://www.oed.com/v[...]
Oxford University Press
2012-06
[127]
웹사이트
Family planning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128]
뉴스
Arrows for the War
https://www.thenatio[...]
2006-11-09
[129]
웹사이트
Worldwide, an estimated 25 million unsafe abortions occur each year
https://www.who.int/[...]
[130]
웹사이트
General recommendation No. 35 on gender-based violence against women, updating general recommendation No. 19
https://tbinternet.o[...]
UN Human Rights
2017-07-14
[131]
웹사이트
WHO: Unsafe Abortion – The Preventable Pandemic
https://web.archive.[...]
[132]
웹사이트
WHO | Preventing unsafe abortion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133]
웹사이트
HRP | World Health Organization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134]
뉴스
UN News – Repealing anti-abortion laws would save the lives of nearly 50,000 women a year – UN experts
http://www.un.org/ap[...]
2016-09-27
[135]
웹사이트
Abortion Statistics, England and Wales: 2019
https://assets.publi[...]
2020-06-11
[136]
뉴스
Seven in 10 Italian gynaecologists refuse to carry out abortions
https://www.theguard[...]
2016-03-11
[137]
웹사이트
Doctors' Refusal to Perform Abortions Divides Croatia
http://www.balkanins[...]
2017-02-14
[138]
논문
At What Cost? Payment for Abortion Care by U.S. Women
2013
[139]
논문
Disparities and change over time in distance women would need to travel to have an abortion in the USA: a spatial analysis
2017
[140]
웹사이트
Resolution adopted by the General Assembly on 19 December 2016: 71/170. Intensification of efforts to prevent and eliminate all forms of violence against women and girls: domestic violence
https://www.un.org/e[...]
2017-02-07
[141]
웹사이트
Women's Human Rights: Abortion
https://www.hrw.org/[...]
[142]
웹사이트
Protocol to the African Charter on Human and Peoples' Rights on the Rights of Women in Africa / Legal Instruments / ACHPR
http://www.achpr.org[...]
2019-06-19
[143]
웹사이트
General Comment No. 2 on Article 14.1 (a), (b), (c) and (f) and Article 14. 2 (a) and (c) of the Protocol to the African Charter on Human and Peoples' Rights on the Rights of Women in Africa / Legal Instruments / ACHPR
http://www.achpr.org[...]
2019-06-19
[144]
서적
General Comments of the Human Rights Committee and their legitimacy
https://www.cambridg[...]
2019-06-19
[145]
웹사이트
General comment No. 36 (2018) on article 6 of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Civil and Political Rights, on the right to life
https://tbinternet.o[...]
UN Human Rights
2020-10-23
[146]
서적
Reproductive Rights in a Global Context
https://archive.org/[...]
Vanderbilt University Press
[147]
웹사이트
Council of Europe Urges Member States to Decriminalize Abortion
http://www.guttmache[...]
Guttmacher.org
2015-02-17
[148]
간행물
Oral Question (H-0794/03) for Question Time at the part-session in December 2003
European Parliament
2003-12-04
[149]
간행물
Question no 86 by Dana Scallon (H-0670/02)
European Parliament
2002-10-24
[150]
서적
Creating a New Consensus on Population
Earthscan
[151]
뉴스
San Francisco Chronicle
2005-03-01
[152]
뉴스
2005-02-28
[153]
간행물
Unsafe Abortion: A Development Issue
http://www3.intersci[...]
2009-07-01
[154]
서적
Conceiving the New World Order: The Global Politics of Reproduc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55]
서적
Freakonomics
Penguin Group
[156]
뉴스
China forced abortion photo sparks outrage – BBC News
https://www.bbc.com/[...]
2017-03-11
[157]
간행물
China's one-child policy and 'the mystery of missing women': ethnic minorities and male-biased sex ratios
[158]
서적
Reproductive Rights in a Global Context
https://archive.org/[...]
Vanderbilt University Press
[159]
서적
Reproductive Rights in a Global Context
https://archive.org/[...]
Vanderbilt University Press
[160]
뉴스
To Court Blacks, Foes of Abortion Make Racial Case
https://www.nytimes.[...]
2010-06-07
[161]
웹사이트
Female genital mutilation
https://www.who.int/[...]
[162]
웹사이트
Archived copy
2022-12-13
[163]
웹사이트
» Malaysia
http://www.stopfgmmi[...]
[164]
웹사이트
Archived copy
2017-08-07
[165]
웹사이트
Press corner
https://ec.europa.eu[...]
[166]
웹사이트
Female genital mutilation
https://www.who.int/[...]
[167]
간행물
Numbers of women circumcised in Africa: The Production of a Total
http://dhsprogram.co[...]
USAID, DHS Working Papers
2008-03-01
[168]
뉴스
One in five girls and women kidnapped for marriage in Kyrgyzstan
https://www.reuters.[...]
2017-08-01
[169]
뉴스
Chechen stolen brides 'exorcised'
https://www.bbc.com/[...]
2010-08-10
[170]
웹사이트
Kidnapped. Raped. Married. The extraordinary rebellion of Ethiopia's
https://www.independ[...]
2010-03-17
[171]
뉴스
Ethiopian girls fear forced marriage
http://news.bbc.co.u[...]
2006-05-14
[172]
간행물
The Rapist's Loophole: Marriage
2017-03-01
[173]
웹사이트
Human rights groups ask NWFP Govt. To ban 'bride price' to curb women Trafficking. – Free Online Library
https://www.thefreel[...]
[174]
웹사이트
Islands Business – PNG Police blame bride price for violence in marri…
http://www.islandsbu[...]
2013-01-26
[175]
뉴스
Bride price practices in Africa
https://www.bbc.com/[...]
2015-08-06
[176]
논문
Women's fears and men's anxieties: the impact of family planning on gender relations in Northern Ghana
https://www.popcounc[...]
1999-01-01
[177]
웹사이트
OHCHR | Supplementary Convention on the Abolition of Slavery
http://www.ohchr.org[...]
[178]
뉴스
Mass sterilization scandal shocks Peru
http://news.bbc.co.u[...]
2002-07-24
[179]
뉴스
Czech regret over sterilisation
http://news.bbc.co.u[...]
2009-11-24
[180]
웹사이트
PopDev
http://popdev.hampsh[...]
[181]
뉴스
Europe | Sterilised Roma accuse Czechs
http://news.bbc.co.u[...]
2007-03-12
[182]
웹사이트
Kocáb draws attention to the forced sterilization of Romani women; most recent incident allegedly took place in 2007
http://www.romea.cz/[...]
Romea.cz
2009-07-21
[183]
웹아카이브
https://web.archive.[...]
2014-03-01
[184]
논문
Eugenics And Its Relevance To Contemporary Health Care
[185]
논문
Retrospectives: Eugenics and Economics in the Progressive Era
https://www.princeto[...]
[186]
뉴스
Alberta Apologizes for Forced Sterilization
https://www.cbc.ca/n[...]
1999-11-09
[187]
뉴스
Victims of sterilization finally get day in court.
https://news.google.[...]
Lawrence Journal-World
1996-12-23
[188]
웹사이트
UN rights office urges el Salvador to reform 'draconian' abortion laws
http://www.un.org/ap[...]
2017-12-15
[189]
뉴스
U.N. Calls on el Salvador to stop jailing women for abortion
https://www.reuters.[...]
2017-11-18
[190]
뉴스
The mothers being criminalised in el Salvador
https://www.bbc.com/[...]
2015-04-28
[191]
웹사이트
Gen 38:8–10 NIV – Then Judah said to Onan, "Sleep with – Bible Gateway
http://www.biblegate[...]
[192]
웹사이트
Contraception and Sterilization
http://www.catholic.[...]
[193]
웹사이트
Fr. Hardon Archives – The Catholic Tradition on the Morality of Contraception
http://www.therealpr[...]
[194]
웹사이트
1943: Marie-Louise Giraud, Vichy abortionist
https://www.executed[...]
2016-07-30
[195]
웹사이트
El Salvador: Rape survivor sentenced to 30 years in jail under extreme anti-abortion law
https://www.amnesty.[...]
2017-07-06
[196]
뉴스
Jailed for a miscarriage
https://www.bbc.com/[...]
[197]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anti-abortion violence
https://www.cnn.com/[...]
2015-11-30
[198]
백과사전
Abortion
http://hirr.hartsem.[...]
AltaMira Press
[199]
웹사이트
Single Issue Terrorism Commentary
http://www.csis-scrs[...]
Canadian Security Intelligence Service
[200]
서적
Religion and terrorism: an interfaith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0]
서적
Inside terrorism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
서적
Terrorism today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00]
서적
Terror in the mind of God: the global rise of religious violenc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
서적
Handbook of death & dying, Volume 1
https://books.google[...]
SAGE
[200]
서적
The Dialogue Comes of Age: Christian Encounters with Other Traditions
https://books.google[...]
Fortress Press
[200]
서적
Introduction to geopolitics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00]
서적
Humanity: an introduction to cultural anthropology
https://books.google[...]
Cengage
[200]
서적
The politics of terrorism: a survey
Taylor & Francis
[200]
서적
The terrorism ahead: confronting transnational violence in the twenty-first century
[200]
서적
Religion and Politics in America: The Rise of Christian Evangelists
[200]
서적
Terrorism: An Investigator's Handbook
[200]
서적
Encyclopedia of terrorism
[200]
서적
Armed for Life: The Army of God and Anti-Abortion Terror in the United States
[201]
웹사이트
Threats of violence against US abortion clinics almost doubled in 2017, industry group says
https://www.independ[...]
2018-05-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