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콜라에 차우셰스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 1. 개요
- 2. 초기 활동
- 3. 루마니아의 국가주석
- 4. 개인 숭배
- 5. 권력 독점과 족벌 정치
- 6. 공포 정치
- 7. 국가 부채
- 8. 차우셰스쿠의 최후
- 9. 역대 선거 결과
- 10. Ceaușescu's policies
- 11. Revolution
- 12. Ceaușescu's policies
- 13. Legacy
- 14. Legacy
- 15. Cultural depictions
- 16. Honours and awards
- 17. In popular culture
- 18. Selected published works
- 참조
1. 개요
니콜라에 차우셰스쿠는 1965년부터 1989년까지 루마니아를 통치한 공산주의 정치인이자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가 원수였다. 그는 1971년 북한을 방문한 후, 김일성의 주체사상을 모방하여 개인 숭배를 강화하고, 사회주의 리얼리즘을 강조하는 등 독재 체제를 구축했다. 1974년에는 대통령직을 신설하여 권력을 더욱 강화했으며, 외교적으로는 서방 국가들과의 관계를 개선하려 노력했다. 그러나 무리한 공업화 정책과 외채 증가로 경제가 파탄났고, 1980년대에는 국민들의 생활 수준이 급격히 악화되었다. 1989년 티미쇼아라에서 시작된 시위는 전국으로 확산되었고, 차우셰스쿠는 도주하다 체포되어 인민 재판에서 사형을 선고받고 처형되었다. 그의 통치는 루마니아의 공포 정치와 족벌주의로 특징지어지며, 루마니아 혁명의 원인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루마니아에서 사형된 사람 - 엘레나 차우셰스쿠
엘레나 차우셰스쿠는 니콜라에 차우셰스쿠의 아내이자 루마니아 공산당 고위 간부로서 초등 교육만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남편의 권력을 등에 업고 고위직을 역임하며 막강한 권력을 행사했지만, 과학적 업적에 대한 의혹과 부정부패, 권력 남용으로 루마니아 혁명 당시 남편과 함께 처형당했다. - 루마니아의 무신론자 - 이온 일리에스쿠
이온 일리에스쿠는 루마니아의 정치인으로, 공산당 정부에서 요직을 거쳐 1989년 루마니아 혁명 이후 대통령 선거에서 당선되어 세 차례 대통령을 역임했으나, 공산주의 정권과의 연루 등으로 비판을 받았다. - 루마니아의 무신론자 - 게오르게 게오르기우데지
게오르게 게오르기우데지는 루마니아의 공산주의 정치인이자 지도자로서, 노동 운동 참여와 공산당 입당을 통해 정치 활동을 시작하여 루마니아 공산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독자적인 공산주의 노선을 추구하며 루마니아를 통치했다. - 사형된 루마니아 사람 - 이온 안토네스쿠
이온 안토네스쿠는 루마니아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중 국가 지도자를 역임하며 독일과 협력하여 독소전쟁에 참전, 홀로코스트에 적극 가담했지만, 쿠데타로 실각 후 처형되었고, 그의 복합적인 정치 이념과 반유대 정책, 독일 협력에 대한 논란은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 사형된 루마니아 사람 - 엘레나 차우셰스쿠
엘레나 차우셰스쿠는 니콜라에 차우셰스쿠의 아내이자 루마니아 공산당 고위 간부로서 초등 교육만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남편의 권력을 등에 업고 고위직을 역임하며 막강한 권력을 행사했지만, 과학적 업적에 대한 의혹과 부정부패, 권력 남용으로 루마니아 혁명 당시 남편과 함께 처형당했다.
니콜라에 차우셰스쿠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개요 | |
본명 | 니콜라에 차우셰스쿠 |
로마자 표기 | Nicolae Ceaușescu |
별칭 | "동지 콘두커토르"(Tovarășul Conducător) |
출생 | 1918년 1월 26일 (구 1월 13일) |
출생지 | 루마니아 왕국 스코르니체슈티 |
사망 | 1989년 12월 25일 (71세) |
사망 장소 | 루마니아 트르고비슈테 |
사인 | 총살형 |
국적 | 루마니아인 |
배우자 | 엘레나 차우셰스쿠 (1946년 결혼, 1989년 사망) |
자녀 | 발렌틴 차우셰스쿠 조이아 차우셰스쿠 니쿠 차우셰스쿠 |
형제자매 | 마린 차우셰스쿠 (형) 일리에 차우셰스쿠 (형) |
정당 | 루마니아 공산당 (1932년–1989년) |
경력 | |
루마니아 공산당 서기장 | 재임 기간: 1965년 3월 19일 – 1989년 12월 22일 이전: 게오르게 게오르기우데지 이후: "직책 폐지" |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대통령 | 재임 기간: 1974년 3월 28일 – 1989년 12월 22일 이전: "직책 신설" 이후: 구국전선 평의회 (임시), 이온 일리에스쿠 (대통령) |
각료 평의회 의장 | 마네아 마네스쿠 일리에 베르데츠 콘스탄틴 더스컬레스쿠 |
국가평의회 의장 | 재임 기간: 1967년 12월 9일 – 1989년 12월 22일 이전: 키부 스토이카 이후: "직책 폐지" |
각료 평의회 의장 | 이온 게오르게 마우레르 마네아 마네스쿠 일리에 베르데츠 콘스탄틴 더스컬레스쿠 |
대국민 의회 간부회 의원 | 재임 기간: 1950년 5월 31일 – 1955년 10월 3일 대통령: 콘스탄틴 이온 파르혼, 페트루 그로자 |
국방부 부장관 | 재임 기간: 1950년 – 1954년 총리: 페트루 그로자, 게오르게 게오르기우데지 장관: 에밀 보드너라슈 |
농업부 부장관 | 재임 기간: 1949년 – 1950년 총리: 페트루 그로자 장관: 바실레 바이다 |
농업부 차관 | 재임 기간: 1948년 5월 13일 – 1949년 총리: 페트루 그로자 장관: 바실레 바이다 |
공산당 중앙위원회 위원 | 재임 기간: 1945년 10월 21일 – 1989년 12월 25일 |
공산주의 청년 연합 제1서기 | 재임 기간: 1944년 8월 23일 – 1945년 6월 이후: 콘스탄틴 드라고에스쿠 |
올트 지역 공산당 위원회 제1서기 | 재임 기간: 1946년 12월 – 1948년 5월 제1서기: 게오르게 게오르기우데지 |
대국민 의회 의원 | 재임 기간: 1948년 3월 28일 – 1989년 12월 25일 선거구: 올트 주 (1948–1952), 피테슈티 지역 (1952–1969), 부쿠레슈티 (1969–1989) |
대의회 의원 | 재임 기간: 1946년 11월 19일 – 1948년 2월 25일 선거구: 올트 주 |
군사 경력 | |
복무 | 루마니아 육군 |
복무 기간 | 1944년–1989년 |
전투 | 루마니아 혁명 (1989) (사형) |
계급 | 중장 |
재판 정보 | |
범죄 | 집단 학살 |
재판 | 니콜라에 및 엘레나 차우셰스쿠의 재판 및 처형 |
형벌 | 사형 |
피해자 | 루마니아 반체제 인사 |
사인 | 총살형 |
2. 초기 활동
루마니아 왕국 남부 스코르니체슈티에서 부농의 아들로 태어난 니콜라에 차우셰스쿠는 11세에 부쿠레슈티로 이주하여 구두 수선공의 견습생이 되었다. 1932년 당시 불법 정당이었던 루마니아 공산당에 가입하여 지역 당서기를 역임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펼치며 위험한 공산주의 선동가로 낙인찍혔다. 이로 인해 그는 1936년부터 1938년까지 감옥 생활을 했다.[10] 출소 이후 그는 1939년에 섬유 공장 노동자 출신인 엘레나 페트레스쿠를 만났으며 1946년에 결혼했다. 엘레나는 이후 그의 정치적 동반자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1940년 다시 투옥된 차우셰스쿠는 1943년 트르구지우(Târgu Jiuro) 강제수용소로 옮겨져 철도원 출신 공산주의 운동가인 게오르게 게오르기우데지(Gheorghe Gheorghiu-Dejro, 1901년-1965년)와 같은 감방을 쓰게 되면서 그의 심복이 되었다. 게오르기우데지는 이후 차우셰스쿠가 권력을 장악하는 데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이후 루마니아가 소비에트 연방의 간섭권에 들어갈 때 그는 1944년부터 1945년까지 공산청년연합 서기관을 지냈다.
1947년 루마니아 공산당이 권력을 장악하고 1949년 공산주의 국가인 루마니아 인민 공화국이 수립되자, 차우셰스쿠는 게오르게 게오르기우데지의 스탈린주의 정권하에서 여러 요직을 맡았다. 그는 자신의 정적들을 제거하고 권력을 강화해 나갔으며, 나중에 루마니아 공산당에서 서열 2위에 오르게 된다.
차우셰스쿠는 올트 주 스코르니체슈티의 작은 마을에서 가난한 농민 가정의 아홉 자녀 중 셋째로 태어났다. 공식적인 출생일은 이지만, 실제로는 에 태어났다.[6][7] 그는 11세까지 마을 학교에 다니다가 부쿠레슈티로 떠나 견습생 구두장이가 되었다.[9] 당시 불법이었던 공산당의 적극적인 당원이었던 알렉산드루 샌둘레스쿠의 작업장에서 일하며 공산주의 활동에 참여했다.[9] 1933년에는 파업 중 길거리 싸움으로 처음 체포되었고, 이후에도 공산주의 활동으로 여러 차례 체포되었다.[10]
비밀 경찰인 시구란차 스타툴루이는 차우셰스쿠를 "위험한 공산주의 선동가"이자 "공산주의 및 반파시스트 선전 자료 배포자"라고 기록했다.[10] 이러한 혐의로 그는 1936년 6월 6일 브라쇼브 법원에서 징역 2년을 선고받고, 도프타나 교도소에서 형기의 대부분을 보냈다. 이곳에서 그는 게오르게 게오르기우-데즈를 만나 그의 후견인이 되었다.[138]
석방된 직후 그는 다시 체포되어 전쟁 기간 동안 감옥과 수용소에서 시간을 보냈다.[10] 1943년에는 터르구지우 수용소로 이감되어 게오르게 게오르기우-데즈와 같은 방을 쓰며 더욱 가까워졌다.[11] 제2차 세계 대전 후 루마니아가 소련의 영향력 아래 들어가기 시작하면서 차우셰스쿠는 루마니아 공산주의 청년 동맹(1944~1945)의 서기로 활동했다.[13]
1947년 공산주의자들이 루마니아에서 권력을 장악한 후, 게오르기우-데즈의 후원 아래 차우셰스쿠는 대의원회 의원으로 선출되었고, 농림부 장관, 국방부 차관 등 요직을 거쳤다.[14][15] 1952년에는 중앙위원회로 진입하여 사실상 국가 최고 권력의 자리에 오르게 되었다.
차우셰스쿠는 농업부와 국방부의 고위직 관리로서 강제 집단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이 과정에서 많은 농민들이 체포되고 투옥되었다.[16]
3. 루마니아의 국가주석
1965년 3월 게오르게 게오르기우데지 사망 이후 차우셰스쿠는 루마니아 공산당의 지도자를 승계받았으며 1967년에는 국가평의회 의장으로 취임,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가 원수가 되었다. 차우셰스쿠는 집권 초기 소련의 공산권 간섭에 맞서는 독자 노선으로 서방 국가들과 대중의 지지를 받았다. 차우셰스쿠는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의 바르샤바 조약 기구 활동을 사실상 중단시켰으며(형식적인 참여에 그침) 1968년에는 바르샤바 조약국들의 체코슬로바키아 침공에도 참여하지 않고 공개 비판하였다.
이러한 독자적인 외교 정책은 루마니아가 곧 산유국이며, 소련에 의존하지 않아도 독자적으로 외화 획득이나 에너지 자원 확보의 가능성의 토대를 만드는 것이다. 하지만 이는 자신의 독재 체제를 구축하기 위한 것일 뿐이었다.
1965년 3월 19일 게오르게 게오르기에프-데즈가 사망했을 때, 차우셰스쿠는 오랜 지도자와의 가까운 관계에도 불구하고 명확한 후계자가 아니었다. 그러나 나이가 많고 더 많은 인맥을 가진 관리들의 광범위한 내분으로 인해 정치국은 차우셰스쿠를 타협 후보로 선택했다.[62] 그는 게오르기에프-데즈 사망 3일 후인 1965년 3월 22일에 서기장으로 선출되었다.
차우셰스쿠의 첫 행동 중 하나는 루마니아 노동자당의 당명을 다시 루마니아 공산당으로 변경하고, 인민 공화국이 아닌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선포하는 것이었다. 1967년 그는 국가평의회 의장이 되어 국가원수가 되면서 권력을 공고히 했다. 그의 정치 기구는 수천 명의 정치적 반대자들을 감옥이나 정신병원으로 보냈다.
초기에는 차우셰스쿠는 소련의 권위에 도전하는 독자적인 외교 정책으로 인해 루마니아와 서구 모두에서 인기 있는 인물이 되었다. 1960년대에 그는 언론 검열을 완화하고 루마니아의 바르샤바 조약 적극적 참여를 종식시켰지만, 루마니아는 공식적으로 회원국으로 남아 있었다. 그는 바르샤바 조약군의 1968년 체코슬로바키아 침공에 참여하는 것을 거부했을 뿐만 아니라, 1968년 8월 21일 연설에서 공개적으로 비난하기도 했다. 그는 침공 한 주 전에 프라하를 방문하여 체코슬로바키아의 알렉산더 두브체크에게 도덕적 지원을 제공했다. 소련이 차우셰스쿠의 완고함을 대체로 용인했지만, 모스크바로부터의 그의 독립적인 모습은 루마니아에 동구권 내에서 독특한 지위를 부여했다.[62]
차우셰스쿠의 모든 경제, 외교 및 인구 정책은 그의 궁극적인 목표인 루마니아를 세계 강국 중 하나로 만드는 것을 달성하기 위한 것이었다.[20]
그 후 몇 년 동안, 차우셰스쿠는 미국과 서유럽에 대한 개방 정책을 추구했다. 루마니아는 서독을 인정한 최초의 바르샤바 조약 국가였고, 국제통화기금에 가입한 최초의 국가였으며, 미국 대통령 리처드 닉슨을 맞이한 최초의 국가였다.[21] 1971년 루마니아는 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 협정의 회원국이 되었다. 루마니아와 유고슬라비아는 동구권 붕괴 이전에 유럽 경제 공동체와 무역 협정을 체결한 유일한 동유럽 국가들이었다.[22]
미국, 프랑스, 영국, 스페인, 호주를 포함한 서구 국가들에 대한 일련의 공식 방문은 차우셰스쿠가 소련 블록 내에서 독립적인 외교 정책을 추구하는 개혁적인 공산주의자로서 자신을 보여주는 데 도움이 되었다. 그는 또한 국제 갈등에서 중재할 수 있는 계몽적인 국제 정치가로 여겨지고 루마니아에 대한 국제적 존중을 얻고자 열망했다.[23] 차우셰스쿠는 1969년 미국의 중국과의 관계 개방 및 1977년 이집트 대통령 안와르 사다트의 이스라엘 방문과 같은 국제 문제에 대해 협상했다. 또한 루마니아는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해방기구 모두와 정상적인 외교 관계를 유지한 세계 유일의 국가였다. 1980년 루마니아는 다른 소련 블록 동맹국들과 함께 모스크바에서 열린 1980년 하계 올림픽에 참가했지만, 1984년에는 동구권 대부분의 국가들이 이 행사를 보이콧했지만, 1984년 하계 올림픽에 참가한 몇 안 되는 공산주의 국가 중 하나였다(미국과 서독에 이어 전체 메달 수에서 53개의 메달을 획득).[24][25] [26]
소규모 루마니아 도시들에도 대학이 설립되어 국가의 산업화 및 개발 프로젝트에 필요한 엔지니어, 경제학자, 기획자 또는 법률가와 같은 자격을 갖춘 전문가를 양성하는 데 기여했다. 루마니아의 의료 서비스는 또한 세계보건기구(WHO)의 개선과 인정을 받았다. 1969년 5월, 이 기구의 사무총장인 마르콜리노 칸다우는 루마니아를 방문하여 WHO 직원들의 여러 루마니아 병원 시설 방문이 매우 좋은 인상을 남겼다고 선언했다.[27]
사회적, 경제적 변화는 루마니아인들의 생활 수준 향상으로 이어졌다. 경제 성장은 더 높은 임금을 가능하게 했고, 이는 국가가 제공하는 혜택(무료 의료 서비스, 연금, 모든 수준의 무료 보편적 교육 등)과 결합하여 루마니아 인구의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상황에 비해 큰 도약이었다. 농민들에게는 특정 추가 보상이 허용되었고, 그들은 더 많은 생산을 시작했다.[27]
미하이 1세가 일으킨 궁정 쿠데타로 이온 안토네스쿠 정권은 붕괴되고 친독일 정권은 종말을 맞았다. 루마니아 공산당은 아돌프 히틀러의 독일과의 군사 동맹에 처음부터 반대했던 유일한 정당이었다[125]. 1944년 8월 소련군의 루마니아 진군이 가속화되었다. 9월에는 소련이 루마니아 대부분을 점령했다. 9월 12일 루마니아와 소련 간 휴전 협정이 체결된 후 소련군은 루마니아 전역을 점령했다. 초기 소련 점령기에는 소련군 병사들에 의한 루마니아 여성 강간이 만연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143].
1947년 12월 30일, 페트루 그로자는 게오르기에-데쥐와 함께 엘리사베타 궁전을 방문하여 미하이 1세에게 퇴위를 압박했다. 미하이 1세의 퇴위 선언과 함께 루마니아 공산당이 정권을 장악하고 “루마니아 인민 공화국” 수립이 선포되었다[125]. 1948년 2월 4일 소련과 루마니아 간 우호, 협력, 상호 원조 조약이 체결되었다[125]. 같은 달 루마니아 노동자당 제1차 당 대회가 열렸다. 차우셰스쿠는 1944년 8월 23일부터 1945년 6월까지 루마니아 공산주의 청년 동맹 제1서기를 역임했다. 1948년 5월 13일, 장관평의회 의장 페트루 그로자에 의해 차우셰스쿠는 농업 차관으로 임명되었다. 농림부 장관 바실레 바이다의 부관이었다[144]. 1949년에는 농업 부장관, 1950년 3월 18일에는 국방 부장관 겸 육군 고등 정치국장에 임명되었다[145]. 차우셰스쿠는 결국 중장까지 승진했지만 군 복무 경험은 없었다[146]. 이전에 그는 미하일 프룬제 육군 사관학교에서 8개월 과정을 수료했다[125].
1949년 1월 루마니아는 동구권 국가들과 함께 상호경제원조회의(COMECON) 창설에 참여했고, 1955년 5월 폴란드에서 우호, 협력, 상호 원조 조약에 서명했다. 서구는 루마니아를 고립시키기 위해 루마니아의 연합국 가입을 방해하려 했다[125]. 1952년 게오르기에-데쥐의 추천으로 차우셰스쿠는 루마니아 노동자당 중앙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다. 1954년 중앙위원회 서기가 되었고, 1955년 중앙위원회 정치국 위원이 되었다[125]. 1950년대 중반 차우셰스쿠는 당과 국가 정치에 큰 영향력을 행사하는 인물이 되어 당내 서열 2위까지 올랐다[147].
당시 루마니아 노동자당 내에서는 아나 파우커와 같은 “모스크바파”(당원 다수가 모스크바에서 몇 년간 망명 생활을 했기에 이렇게 불린다)와 “옥중파”(대부분 제2차 세계 대전 중 도후타나 감옥에서 수감 생활을 했다)가 대립하고 있었다. “옥중파”의 사실상 지도자였던 게오르기에-데쥐는 집단 농장 강화를 지지했고[148], 1948년에는 법무장관 루크레치우 파트러슈카누를 체포하고 그의 쇼 재판을 후원했다[149]. 파트러슈카누는 1954년 지라바 감옥에서 사망했다[150]. 게오르기에-데쥐는 유대인일 뿐만 아니라 방해가 되는 존재였던 파우커를 제거할 좋은 기회로 여겼다. 게오르기에-데쥐는 스탈린에게 파우커 일파에 대한 대책을 적극적으로 요청했다. 1951년 8월 게오르기에-데쥐는 모스크바를 방문하여 파우커뿐만 아니라 서기국에 있는 그녀의 동맹자 바실레 루카와 테오하리 조르제스쿠를 숙청하기 위해 스탈린의 승인을 얻으려 했다[151]. 그러나 역사학자 블라디미르 티스마네아누에 따르면 기록 문서를 근거로 “아나 파우커의 실각은 1980년대 루마니아에서 출판된 어떤 소설이 우리에게 그렇게 생각하게끔 만들었지만, 게오르기에-데쥐의 교묘한 책략 때문만이 아니라, 무엇보다 스탈린이 루마니아에서 대규모 정치 숙청을 시작하기로 결정했기 때문이다”라고 했다[152]. 1952년 5월 27일 중앙위원회 서기국 위원이었던 아나 파우커, 바실레 루카, 테오하리 조르제스쿠는 서기국에서 숙청되었다. 모스크바파 동지를 숙청함으로써 게오르기에-데쥐의 당과 국가에 대한 지배력은 강화되었다. 차우셰스쿠는 게오르기에-데쥐의 결정을 지지했지만, 게오르기에-데쥐 사후 차우셰스쿠가 서기장이 되자 그들은 모두 명예 회복되었다.
게오르기에-데쥐는 니키타 흐루쇼프의 탈스탈린화에 대해 처음에는 동요를 보였다. 그 후 게오르기에-데쥐는 1950년대 후반 바르샤바 조약 기구와 상호경제원조회의에서 루마니아가 반자주적인 외교·경제 정책의 사업 계획 입안자가 되어 소련의 지시에 반항하는 형태로 루마니아 중공업 건설을 주도했다(인도와 호주에서 수입한 철광석을 활용하여 갈라치에 대규모 제철소를 새로 건설). 역설적이게도 게오르기에-데쥐 정권하의 루마니아는 한때 소련에 가장 충실한 위성국으로 여겨졌기 때문에 “외교 정책의 관대함과 ‘자유주의’가 국내 억압과 결합된 양식을 처음으로 확립한 사람이 누구인가”가 잊히는 경향이 있다[153]. 이러한 가치 체계에 기반한 조치는 “소브롬”(SovRom, 루마니아-소련 경제 기업. 소련이 자원을 확보하기 위해 설립. 1956년 해산) 추방이나 소련-루마니아 공동 문화 사업 축소와 함께 드러났다.
블라디미르 티스마네아누는 “스탈린이 없었다면 게오르기에-데쥐는 무명의 존재로 남았을 것이다. 스탈린 덕분에 게오르기에-데쥐는 루마니아의 절대적인 지도자가 될 수 있었다. 게오르기에-데쥐는 스탈린에게 충실했고, 일관된 스탈린주의자였으며 스탈린의 사상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였다. 그렇기 때문에 니키타 흐루쇼프가 한 스탈린 비판에 동요하고 분노까지 했던 것이다”라고 썼다[154]. 또한 도나우-흑해 운하 건설 사업은 게오르기에-데쥐가 스탈린을 기쁘게 하기 위해 추진한 것이었다[155].
1955년 니키타 흐루쇼프가 루마니아를 방문했을 때, 게오르기에-데쥐는 루마니아 주둔 소련군 철수를 요구했다[156]. 1950년대 말까지 소련은 루마니아에서 마지막 적군을 철수시켰다[125]. 이것은 게오르기에-데쥐 개인의 공적이다. 그러나 비밀경찰 세쿠리타테는 여전히 게오르기에-데쥐의 충실한 수족이었다[157]. 1956년 헝가리 혁명 당시 루마니아는 헝가리 탄압에 가담했다. 혁명 지도자 나기 임레에 대해 게오르기에-데쥐는 “혀로 끌어내야 한다”고 말했다[125]. 나기 임레는 1958년 6월 교수형에 처해졌다.
1949년 3월 2일, 루마니아 대국민의회 상임위원회는 법령 제82호를 발행하여 50헥타르의 토지 국유화를 결정했다. 1949년 초 차우셰스쿠는 농지 국유화를 위해 설립된 농림부 특별 위원회를 지휘했다. 농업 부장관에서 국방 부장관이 된 후에도 차우셰스쿠는 집단 농장 정책에 관여했다[158]. 1957년 12월 4일 루마니아 동부 마을 바두 로슈카에서 농민 봉기가 발생했다. 차우셰스쿠는 이를 진압하기 위해 부대를 이끌고 현장에 출동했다. 차우셰스쿠는 부대에 현지 농민들에게 기관총 사격을 명령했다. 이 봉기에서 18명이 체포되어 “반역”과 “사회 질서에 대한 음모” 혐의로 실형을 선고받았다[159]. 2006년 바루잔 보스가니안 재무장관은 루마니아 상원에서 차우셰스쿠가 진압한 이 사건을 언급하며 “9명의 농민이 사살되고 48명이 부상당했다”고 발표했다. 1949년부터 1952년까지 8만 명이 넘는 농민이 체포되었고 그중 3만 명이 실형을 선고받았다[160]. 집단 농장 정책은 루마니아 공산당이 수행한 가장 광범위한 “재생” 사업이었다. 산업과 은행 체계의 국유화 달성에 4년(1948-1952년)이 걸렸고, 집단 농장은 1962년까지 지속되었다. 루마니아 노동자당 활동가, 중앙 정부·지방 정부, 민병대, 치안 부대, 군대, 국경 경비대, 당과 국가의 모든 세력이 집단 농장에 관여했다. 루마니아 인구의 70%가 농민이었고, 그들에게 공산주의 생활 방식을 강요하는 것은 어려웠다. 1949년 3월 차우셰스쿠는 루마니아 노동자당 본회의에서 교육 현장에서 마르크스-레닌주의 교육을 강화할 것을 권고했다[125].
1957년 11월 4일 차우셰스쿠, 키브 스토이카, 레온테 로우투를 포함한 루마니아 노동자당 대표단은 일-14에 탑승하여 10월 혁명 40주년 기념식에 참석하기 위해 부쿠레슈티를 출발해 모스크바로 향했다. 처음에는 게오르기에-데쥐가 이들을 이끌 예정이었지만 건강상의 이유로 취소했다고 한다. 오후 5시 48분, 브누코보 국제공항에 착륙하기 직전 조종사의 실수로 기체가 추락했다. 이 항공 사고로 외무장관 그리고레 프레오테아사와 승무원 3명이 사망했지만, 차우셰스쿠는 무사했다[125]. 1950년대부터 1960년대 초까지 차우셰스쿠는 소련을 여러 차례 방문했다[125].
1965년 3월 19일 오후 5시 43분, 게오르기에-데쥐가 폐암으로 사망했다[161]. 1954년부터 1955년까지 게오르기에-데쥐로부터 루마니아 노동자당 제1서기 자리를 물려받았던 게오르게 아포스톨은 자신이 “게오르기에-데쥐에게 직접 후계자로 지명되었다”고 주장했지만, 장관평의회 의장 이온 게오르게 마오렐은 아포스톨에 대해 적개심을 품고 있었다. 마오렐은 아포스톨이 권력을 장악하는 것을 막으려 했고, 타협안으로 게오르기에-데쥐가 총애했던 차우셰스쿠에게 당 지도부를 맡기기로 했다[125]. 게오르기에-데쥐와 친분이 있던 알렉산드루 드러기치 내무장관이 당내 권력을 장악하는 것을 우려한 이온 게오르게 마오렐, 키브 스토이카, 에밀 보드나라슈는 당의 새로운 지도자로 니콜라에 차우셰스쿠에 대한 지지를 표명했다[162]. 키브 스토이카가 차우셰스쿠에 대한 지지를 표명한 것은 국가평의회 의장 직책과의 교환이었다. 그들은 차우셰스쿠를 “자신들에게 복종하는 꼭두각시로 만들려고” 했다[125][125].
1965년 3월 22일, 니콜라에 차우셰스쿠가 만장일치로 루마니아 노동자당 중앙위원회 제1서기에 취임했다[125]. 이온 게오르게 마오렐은 장관평의회 의장, 게오르게 아포스톨과 에밀 보드나라슈는 장관평의회 제1부의장 자리에 남았고, 키브 스토이카는 1965년 3월 24일 국가평의회 의장이 되어 1967년 12월 9일까지 재직했다. 1965년 7월 루마니아 노동자당 제9차 당 대회에서 차우셰스쿠는 정당명을 “루마니아 공산당”으로 되돌릴 것을 제안하고 가결되었다. 전임자 게오르기에-데쥐는 1948년 2월 이후 “루마니아 노동자당 제1서기” 직함을 사용했지만, 차우셰스쿠는 이 직함을 “루마니아 공산당 서기장”으로 되돌렸다. 1965년 8월 21일 차우셰스쿠는 새로운 헌법 제정을 선포하고 국호를 “루마니아 인민 공화국”에서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변경했다[125][125].
1990년 1월 4일, “루마니아 자유 텔레비전”에서 방영된 이온 게오르게 마오렐 인터뷰 영상에서 마오렐은 “차우셰스쿠를 서기장으로 지명한 것은 내 잘못이었다”고 답했다. 마오렐에 따르면 “국내에서 권력 투쟁이 공개적으로 시작된다면, 그것을 구실로 소련이 다시 군대를 파병할 위험이 있었다”고 했다. 마오렐은 차우셰스쿠에 대해 “충분한 교육은 받지 못했지만, 학습 의욕이 왕성하고 편견 없이 다른 사람의 의견을 경청하고 이해하려는 사람”이라고 말했다[163].
차우셰스쿠는 당 지도부 중 한 명인 알렉산드루 드러기치와도 대립 관계에 있었고, 드러기치의 숙청에 착수했다. 1965년 말부터 1966년 초까지 차우셰스쿠는 정치 문서 기록 전문가 바실레 파틸리네치에게 드러기치의 고위직 대응에 대한 광범위한 조사의 일환으로 “루크레치우 파트러슈카누 처형에 드러기치가 어떻게 관여했는가”에 대한 문서를 작성하도록 요청했다[164].[165] 드러기치 치하에서 자행된 악행이 공개적으로 알려지자, 차우셰스쿠는 당을 “정화”하기 위해 드러기치 제거에 착수했다[166]. 차우셰스쿠는 1952년부터 1965년까지 행해진 모든 탄압의 악당으로 세쿠리타테 전 책임자의 이름을 거론했고[125], 1956년 헝가리 혁명 후 추진된 구타 행위에 대한 인식 부족을 주장했다[167]. 1968년 4월 루마니아 공산당 본회의 총회에서 드러기치는 당 지배권을 놓고 차우셰스쿠와 대립하여 권력에서 추락했다[168]. 이 총회에서 1954년 처형된 루크레치우 파트러슈카누의 명예 회복이 채택됨과 동시에 드러기치는 당에서 완전히 축출되었다[125][169]. 드러기치는 그 해에 루마니아 공산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루마니아 대국민의회 상임위원회, 장관평의회에서도 제명되었고, 장교 지위에서 예비역 병졸로 강등되었다.
1969년 루마니아 공산당 제10차 당 대회에서 당 규약이 변경되었다. 그에 따르면 서기장은 중앙위원회 본회의가 아니라 당 대회에서 직접 선출된다. 이에 따라 차우셰스쿠에게 더욱 강력한 권력이 집중되었다. 이 무렵 정치국 인원의 3분의 2는 차우셰스쿠가 지명한 인물이었다.
키브 스토이카는 1970년대 초반 모든 직책에서 해임되었다. 1976년 2월 18일, 스토이카는 머리에 총상을 입고 사망했다. 그의 죽음은 공식적으로 “자살”로 발표되었지만[125], 스토이카의 부인은 남편의 죽음에 대해 “자살이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게오르게 아포스톨은 루마니아 공산당 제10차 당 대회에서 콘스탄틴 더스컬레스쿠의 비판을 받고 당 지도부에서 해임되었다. 아포스톨은 나중에 남미 국가에서 대사를 역임하게 된다. 이온 게오르게 마오렐은 1974년 3월 29일 장관평의회 의장직에서 해임되었다.
니콜라에의 부인 엘레나도 당 지도부의 일원이 되어 남편과 함께 당 운영에 깊이 관여하게 되었다. 엘레나는 1972년 7월 루마니아 공산당 중앙위원회 위원, 1973년 6월 루마니아 공산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위원, 에밀 보드나라슈의 추천으로 당 집행위원회에 선출되었다. 1980년 3월 니콜라에는 엘레나를 장관평의회 제1부의장으로 임명했다[170].
그 사이에도 차우셰스쿠에 대한 권력 집중은 계속되었다. 1967년 12월 9일 키브 스토이카가 국가평의회 의장직을 사임하자 차우셰스쿠는 스토이카의 후임으로 제3대 국가평의회 의장에 취임했다[171]. 같은 날 에밀 보드나라슈를 국가평의회 부의장으로 임명했다. 보드나라슈는 1976년 1월 24일까지 재직했다. 차우셰스쿠는 1967년 경제평
3. 1. 독재
1971년 중화인민공화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을 방문한 니콜라에 차우셰스쿠는 김일성의 주체사상과 마오쩌둥의 문화 대혁명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 루마니아로 돌아온 차우셰스쿠는 김일성을 "민족의 태양"으로 우상화하며 독재 체제를 유지하는 북한의 정치 체제를 모방하기 시작했고, 주체사상에 관한 서적은 루마니아어로 번역되어 보급되었다.[317] 또한 문화 대혁명으로 중국 사회가 획일화된 모습에도 영향을 받았다.
차우셰스쿠는 1971년 중국, 북한, 몽골, 북베트남을 방문하여 북한의 '주체'와 중국의 문화 대혁명 프로그램에 구현된 전국가적 변혁이라는 사상에 큰 관심을 가졌다. 그는 또한 북한의 김일성과 중국의 마오쩌둥의 개인숭배에서 영감을 받았다. 언론인 에드워드 베어는 차우셰스쿠가 마오와 김일성 모두 국가를 완전히 장악했을 뿐만 아니라 전체주의적 방법과 뚜렷한 극단적 민족주의를 공산주의와 결합하여 중국과 북한을 주요 세계 강국으로 변모시킨 지도자로 존경했다고 주장했다.[32] 김일성이 소련의 통제에서 벗어났다는 점 또한 차우셰스쿠에게는 존경의 이유가 되었다. 엘레나 차우셰스쿠는 마오쩌둥의 부인 장칭과 친분을 맺었다고 한다.[32] 귀국 직후 그는 북한의 체제를 모방하기 시작했다. 주체에 관한 북한 서적이 루마니아어로 번역되어 전국에 널리 배포되었다.[33]
1971년 7월 6일, 그는 루마니아 공산당 중앙위원회 앞에서 연설을 했다. 마오이즘적인 이 연설은 7월 테제로 알려지게 되었고, 17가지 제안을 담고 있었다. 여기에는 당의 "주도적 역할"의 지속적인 성장, 당 교육 및 대중 정치 활동의 개선, "애국적 활동"의 일환으로 대규모 건설 프로젝트에 대한 청소년 참여, 학교와 대학교뿐만 아니라 아동, 청소년 및 학생 단체에서의 정치 이념 교육 강화, 그리고 이를 위해 라디오와 텔레비전 프로그램, 출판사, 극장 및 영화관, 오페라, 발레, 예술가 연합회를 활용하는 정치 선전의 확장, 예술 작품에서 "투쟁적이고 혁명적인" 성격을 촉진하는 것이 포함되었다. 1965년 자유화는 비난을 받았고 금서 및 저자 목록이 재수립되었다. 이 테제는 루마니아에서 "소규모 문화 혁명"의 시작을 알리며 문화적 자율성에 대한 신스탈린주의적 공세를 시작했고, 이론적으로는 당이 거의 버리지 않았던 문학에 대한 이데올로기적 기반을 재확인했다. "사회주의적 휴머니즘"이라는 용어로 제시되었지만, 사실상 이 테제는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엄격한 지침으로의 복귀와 순응하지 않는 지식인들에 대한 공격을 의미했다. 인문학 및 사회 과학 분야에서 엄격한 이데올로기적 순응이 요구되었다.
1972년 연설에서 차우셰스쿠는 "당과 국가 활동의 특정한 융합... 장기적으로 우리는 당, 국가 및 기타 사회 기구 활동의 더욱 긴밀한 융합을 목격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사회주의 교육 및 문화위원회와 같이 동유럽의 다른 공산 국가에는 정확한 대응 기관이 없는 여러 당-국가 공동 기구가 설립되었고, 루마니아 공산당은 이전과는 달리 국가의 일상생활에 깊숙이 자리 잡게 되었다. 1974년 루마니아 공산당의 당 강령은 사회의 구조적 변화만으로는 국민에게 완전한 사회주의 의식을 심어줄 수 없으며, 전체 인구가 사회를 이끄는 사회주의 가치를 인식해야만 완전한 사회주의 의식을 가질 수 있다고 선언했다. 공산당은 인구를 "계몽"하는 기관이었다.
차우셰스쿠는 루마니아 공산당 서기장에 취임했을 무렵 국내 언론의 검열을 완화했다. 루마니아의 언론 자유는 다른 공산 국가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관대했으며, 루마니아 국민들은 국내뿐 아니라 외국 언론에도 접할 수 있었다. 루마니아 출입은 비교적 자유로웠고, 공산당 정부는 주민의 이주를 방해하지 않았다. 루마니아 거주 유대인들은 이스라엘로 갈 권리를 얻었으며, 예술과 문화에 있어 표현 양식은 당의 이데올로기에 반하지 않는 한 자유로웠다.[125]
1974년 차우셰스쿠는 자신의 직분에 대통령직을 추가하여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의 초대 대통령으로 취임한다. 차우셰스쿠는 외교 정책으로는 중소 분쟁 때 중화인민공화국과 옛 소비에트 연방 중 어느 한 편에 가담하지 않는 독자 노선을 걸었지만 민주주의를 요구하는 민주화에는 탄압하였다. 그는 민중들의 표현의 자유와 언론을 통제하고 반대 세력을 용납하지 않는 독재 정치를 하였다.
1971년 7월 6일, 차우셰스쿠는 루마니아 공산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본회의에서 연설을 하고 “7월의 주장”이라고 불리는 정치 강령을 발표했다.[220][221] 기본적인 내용은 사회에서 당의 영향력을 더욱 강화하고, 학교와 대학, 아동·청소년·학생 단체에서 정치·사상 교육을 강화하며, 정치 선전을 확대하고, 당의 교육 활동과 대중적 정치 활동을 개선하고, “애국 활동”의 일환으로 주요 건설 사업에 젊은이들의 참여를 촉진하며, 이를 위해 라디오, 텔레비전 방송, 출판사, 극장, 오페라, 발레, 예술 조합의 활동 지침을 결정하는 것이었다. 차우셰스쿠가 서기장에 취임했을 무렵의 자유주의적 정책은 끝을 고하고 검열이 부활했으며, 엄격한 국가주의적 이데올로기가 루마니아에 도입되었다.[125] 루마니아의 보도 기관은 북한의 정치 체제에 자극을 받아 차우셰스쿠를 찬미하는 정치 운동을 전개했고, 이것이 차우셰스쿠에 대한 개인숭배의 시작이 되었다. 차우셰스쿠는 김일성의 주체사상을 루마니아어로 번역하여 국내에 보급하고, 국가보안국(Departamentul Securității Statului), “세쿠리타테”의 권한을 대폭 확대했다.
1970년대 초부터 니콜라에 차우셰스쿠에 대한 개인숭배가 시작되었다. 이 무렵부터 차우셰스쿠는 당내에서 점차 “조국의 아버지”라는 칭호를 구축해 나갔다. 이 지도자상은 루마니아 공산당이 공식적으로 지지하는 “새로운 역사적 개념”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이었고, 차우셰스쿠 자신은 이 과정에 간섭하지 않았다. 1974년 이후부터 그는 역사상 저명한 인물과 자신을 비교하기 시작했다.[125] 차우셰스쿠에 대한 개인숭배는 조직적으로 전개되었고, 요시프 스탈린, 마오쩌둥, 요시프 브로즈 티토에 대한 개인숭배의 수준에 필적하거나, 혹은 그들을 능가할 정도로 강해졌고, 당시 루마니아 사람들은 은밀히 “마오-체스쿠”라고 불렀다.[222] 차우셰스쿠의 방문 국가에서는 성대한 열병식이 개최되었다.[223] 루마니아 국내에서는 차우셰스쿠의 비교적 젊은 시절의 초상화가 곳곳에 설치되었다. 국내 어느 서점에서든 차우셰스쿠에 관한 책(전 28권의 연설집)이 쌓여 있었고, 루마니아 일간지는 차우셰스쿠의 업적 기록에 전념했으며, 저녁 텔레비전 방송은 차우셰스쿠의 매일의 일정과 활동을 전달했고,[224] 신문 판매점과 악기점에서는 차우셰스쿠의 연설을 녹음한 것이 판매되었고, 화가와 시인은 차우셰스쿠를 칭송하는 작품을 창작해야 했다.[125] 차우셰스쿠는 슈테판 보이텍으로부터 홀을 건네받았고, 대국민 의회 개회식에 등장할 때는 이것을 손에 들고 나타났다.
차우셰스쿠 정권 시대에는 작가, 시인, 가수, 작곡가, 영화 감독, 화가에게 공금을 지불했다. 화가들은 차우셰스쿠와 그의 가족의 초상화를 매일 대량으로 그렸다. 차우셰스쿠는 자신의 생일에 일반 사람들로부터 무상의 사랑을 그린 그림을 받는 것을 좋아했다. 차우셰스쿠 시대에 그려진 그림은 부쿠레슈티에 있는 국립 근대 미술관에 전시되어 있지만, 차우셰스쿠에 대한 존경심을 보이지 않음을 나타내기 위해, 미술관 관리자의 결정에 따라 이 그림들은 비스듬히 기울어지고 거꾸로 매달려 있다.[225]
차우셰스쿠는 항상 “위대한 지도자”로 묘사되었다. “카르파티아의 천재”, “이성에 찬 도나우”, “우리의 빛의 근원”,[125] “전례 없는 새로운 시대의 창조자”,[226] “영웅 중의 영웅”, “노동자 중의 노동자”, “이 지상에 처음 등장한 유력자”[125] 등의 찬사로 장식되었다. 남편 니콜라에와 함께 아내 엘레나도 개인숭배의 대상이 되었다. 엘레나는 “무한히 이어지는 대공에 나란히 빛나는 별과 같이, 그녀는 위대한 남편 곁에서 빛나며, 루마니아의 승리의 길을 바라봅니다.”라는 찬사를 받았고, “Mama Neamului”( “국민의 어머니”)라는 칭호로 불리며, “당의 광명”, “여걸”, “문화와 과학을 인도하는 빛”이라고도 불렸다.[125]
1983년 12월,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루마니아 통일 65주년 기념 집회가 개최되었다. 그러나 다른 많은 행사와 마찬가지로 실제로는 니콜라에 차우셰스쿠를 축하하기 위한 행사였다. 회장 정면에는 “니콜라에 차우셰스쿠 서기장 동지가 이끄는 루마니아 공산당 만세!”라고 적힌 현수막이 걸렸고, 민속무용과 발레 공연도 이루어졌다. 서구의 어느 외교관은 차우셰스쿠에 대해 “동유럽에서 가장 독재적이고 권위주의적인 통치자”라고 표현하면서 “이것은 개인숭배이다”라고 말했다.[125]
많은 증언에 따르면, 차우셰스쿠 자신은 루마니아 국민으로부터의 인망과 강력한 지지를 끝까지 믿었다고 한다.[227] 그러나 루마니아의 경제 위기가 심화됨에 따라 차우셰스쿠에 대한 불신이 커지고, 루마니아 사회에서는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었다.[125]
루마니아 철학자 가브리엘 리체아누는 “중국과 북한 방문은 차우셰스쿠를 비참한 남자로 만들어 버렸다. 위대함에 대한 그의 원초적인 욕망을 최고의 형태로 자극해 버린 것이다.”라고 말했다.[125]
4. 개인 숭배
차우셰스쿠는 김일성의 개인 숭배 방식을 모방하여 자신을 우상화했다. "지도자"(콘두커토르/Conducătorro)나 "카르파티아산맥의 천재"(Geniul din Carpaţiro) 등으로 자처하며 개인 숭배를 강화한 것이다. 실제로 차우셰스쿠는 김일성과 의형제를 맺기도 했다.[125] 그러나 김일성이 독립투쟁 경력을 바탕으로 민족적 영웅 이미지를 구축하고 유교적 가치관을 활용하여 권력을 유지한 반면, 차우셰스쿠는 그러한 기반이 부족했다. 일부 제한적이나마 민주주의 경험이 있고 개인주의적 성향이 강한 루마니아인들에게 김일성의 독재 방식을 그대로 적용한 것은 큰 반감을 불러일으켰다.
1971년 6월, 차우셰스쿠는 중국과 북한을 방문하여 마오쩌둥과 김일성과 회담했다.[125] 이들의 개인숭배에 깊은 인상을 받은 차우셰스쿠는 귀국 후 루마니아 사회에 당의 영향력을 강화하고, 정치·사상 교육을 강화하는 내용의 "7월의 주장"을 발표하며 검열을 부활시키고 국가주의적 이데올로기를 도입했다.[216][217][218][219][220][221] 이를 계기로 루마니아 보도 기관은 차우셰스쿠를 찬양하는 정치 운동을 전개하며 개인 숭배를 시작했다. 차우셰스쿠는 김일성의 주체사상을 루마니아어로 번역하여 보급하고, 세쿠리타테의 권한을 확대했다.
차우셰스쿠는 당내에서 "조국의 아버지"라는 칭호를 구축하고 역사 속 저명한 인물과 자신을 비교하기 시작했다. 그의 개인 숭배는 요시프 스탈린, 마오쩌둥, 요시프 브로즈 티토에 필적하거나 능가할 정도로 강화되어 당시 루마니아 사람들은 그를 "마오-체스쿠"라고 불렀다.[222] 차우셰스쿠의 방문 국가에서는 성대한 열병식이 개최되었고,[223] 루마니아 국내에서는 그의 젊은 시절 초상화가 곳곳에 설치되었다. 서점에는 차우셰스쿠에 관한 책이 가득했으며, 언론은 그의 업적을 기록하고, 텔레비전은 그의 일정을 방송했다.[224] 화가와 시인은 그를 칭송하는 작품을 창작해야 했다.[125] 또한 그는 대통령 홀을 제작하여 왕실의 상징을 사칭하기도 했다. 화가 살바도르 달리는 이러한 행위에 대해 풍자적인 축전을 보내기도 했다.
차우셰스쿠 통치 시대의 가장 중요한 날은 그의 공식 생일인 1월 26일이었으며, 이날 루마니아 언론은 그를 칭찬하는 보도로 가득 찼다.[62] 파체파의 망명 이후, 차우셰스쿠는 아내 엘레나와 다른 가족 구성원들에게 정부의 중요한 직책을 부여하여 "한 가족 안의 사회주의"를 만들고 있다는 비판을 받았다.
차우셰스쿠는 자신의 대중 이미지에 매우 신경을 썼다. 그의 공식 사진은 거의 모두 40대 후반의 모습이었으며, 루마니아 국영 텔레비전은 그를 최대한 좋은 모습으로 보여주라는 지시를 받았다.[62] 차우셰스쿠의 키([95])가 화면에서 강조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였으며, 이를 어기는 경우 처벌을 받았다.[62]
차우셰스쿠 부부는 루마니아 대사관을 통해 여러 국가와 기관으로부터 훈장과 칭호를 받았다. 프랑스는 니콜라에 차우셰스쿠에게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수여했으며, 영국은 대영 제국 훈장 명예 기사 대십자장(GCB)을 수여했으나, 1989년에 박탈했다.[96]
차우셰스쿠 정권은 대규모 재개발 프로젝트를 실행하면서 루마니아의 교회와 역사적 건축물을 광범위하게 철거했다.
차우셰스쿠는 동구권 국가원수였지만, 서구 국가들과의 외교도 적극적으로 전개했다. 1975년 4월 4일부터 4월 9일까지 일본에 체류하며 쇼와 천황과 회담했고, 미키 다케오 일본 총리와 회담했다. 쇼와 천황과 차우셰스쿠 모두 1989년에 사망했지만, 그 최후는 극명하게 갈렸다.[318][319] 차우셰스쿠는 후안 카를로스 1세 스페인 국왕, 미사엘 파스트라나 콜롬비아 대통령, 지미 카터 미국 대통령, 장베델 보카사 중앙아프리카 제국 황제를 만나기도 했다.
파일:Nicolae e Juan Carlos.jpg|차우셰스쿠와 후안 카를로스 1세 스페인 국왕
파일:Bokassa with Ceausescu.jpg|차우셰스쿠와 장베델 보카사 중앙아프리카 제국 황제
파일:Nicolae Ceaușescu with Misael Pastrana.jpg|차우셰스쿠와 미사엘 파스트라나 콜롬비아 대통령
차우셰스쿠는 "카르파티아의 천재", "이성에 찬 도나우", "우리의 빛의 근원", "전례 없는 새로운 시대의 창조자", "영웅 중의 영웅", "노동자 중의 노동자", "이 지상에 처음 등장한 유력자" 등의 찬사를 받았다.[125] 아내 엘레나 역시 "국민의 어머니"(Mama Neamuluiro)로 불리며 개인 숭배의 대상이 되었다.[125]
1983년 12월, 루마니아 통일 65주년 기념 집회가 개최되었지만, 실제로는 차우셰스쿠를 축하하기 위한 행사였다. 한 서구 외교관은 차우셰스쿠를 "동유럽에서 가장 독재적이고 권위주의적인 통치자"라고 평가하며 "이것은 개인숭배이다"라고 말했다.[125]
차우셰스쿠는 루마니아 국민의 지지를 믿었지만, 경제 위기가 심화되면서 불신이 커지고 사회적 긴장이 고조되었다.[125] 철학자 가브리엘 리체아누는 "중국과 북한 방문은 차우셰스쿠를 위대함에 대한 욕망을 자극하여 비참한 남자로 만들었다"고 평가했다.[125]
4. 1. 김일성 모방
차우셰스쿠는 김일성의 개인 숭배 방식을 모방하여 권력을 유지하려 했다. 김일성은 "어버이 수령"이나 "민족의 태양"으로 존경받았고, 차우셰스쿠는 자신을 "지도자"(콘두커토르/Conducătorro)·"카르파티아산맥의 천재"(Geniul din Carpaţiro)라고 칭하며 개인 숭배 대상으로 만들려 했다. 차우셰스쿠는 실제로 김일성과 의형제를 맺기도 했다.하지만 차우셰스쿠가 김일성의 독재 방식을 루마니아에 적용한 것은 실수였다. 김일성의 왕조적인 독재는 유교 사상에 익숙한 북한 사람들에게 큰 반감을 주지 않았지만, 민주주의 경험이 있고 개인주의 성향이 강한 루마니아인들에게는 반감을 불러일으켰다. 또한 김일성은 일제강점기 독립투쟁의 공로를 세운 영웅으로 존경받았지만, 차우셰스쿠는 그런 민족적 전설이 없었다.
차우셰스쿠는 광범위한 개인숭배를 조성하여 자신에게 "콘두커터어"(Conducător, 지도자) 및 "게니울 딘 카르파치"(Geniul din Carpați, 카르파티아 산맥의 천재)와 같은 칭호를 부여했다. 루마니아 대통령으로 선출된 후에는 자신을 위해 "대통령 홀"을 제작하여 왕실의 상징을 사칭하기도 했다. 화가 살바도르 달리는 이러한 과장된 행위에 대해 루마니아 대통령에게 축하 전보를 보내 대통령 홀 도입을 비꼬아 축하했는데, 공산당 일간지 ''스컨테이아''(Scînteia)는 이 메시지가 풍자라는 것을 알지 못하고 게재했다.
차우셰스쿠 통치 시대의 가장 중요한 날은 그의 공식 생일인 1월 26일이었는데, 이날 루마니아 언론은 그를 칭찬하는 보도로 가득 찼다. 역사학자 빅터 세베스티엔(Victor Sebestyen)에 따르면, 이날은 평범한 루마니아인들이 행복한 표정을 짓는 몇 안 되는 날 중 하나였다. 이날 불행한 모습을 보이는 것은 위험했기 때문이다.[62]
파체파의 망명 이후 추가적인 반역을 막기 위해 차우셰스쿠는 아내 엘레나와 다른 가족 구성원들에게 정부의 중요한 직책을 부여했다. 루마니아 사람들은 차우셰스쿠가 "한 가족 안의 사회주의"를 만들고 있다고 농담했는데, 이는 "일국 사회주의"라는 말장난이다.
차우셰스쿠는 자신의 대중 이미지에 매우 신경을 썼다. 수년 동안 그의 공식 사진은 거의 모두 40대 후반의 모습이었다. 루마니아 국영 텔레비전은 그를 최대한 좋은 모습으로 보여주라는 엄격한 지시를 받았다.[62] 또한 제작자들은 차우셰스쿠의 키(1.68 m[95])가 화면에서 강조되지 않도록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했다. 이러한 규칙을 어기는 데 대한 결과는 심각했다. 한 제작자가 차우셰스쿠가 눈을 깜빡이고 말을 더듬는 장면을 보여준 후 3개월 동안 방송 금지 처분을 받았다.[62]
차우셰스쿠 부부는 루마니아 대사관의 영사 문화 참사관을 통해 여러 국가와 기관으로부터 훈장과 칭호를 받았다. 프랑스는 니콜라에 차우셰스쿠에게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수여했다. 1978년 그는 영국에서 대영 제국 훈장 명예 기사 대십자장(GCB)[96]이 되었지만, 1989년에 박탈당했다. 엘레나 차우셰스쿠는 미국의 과학 아카데미 회원으로 "선출"되도록 조작되었다.
차우셰스쿠 통치 기간 동안 대규모 재개발 프로젝트를 실행하기 위해 정부는 루마니아의 교회와 많은 다른 역사적 건축물을 광범위하게 철거했다. 부쿠레슈티 전 수석 건축가 알렉산드루 부디스테누(Alexandru Budistenu)에 따르면, "차우셰스쿠는 교회가 보이는 것을 싫어했다. 철거하든 옮기든 상관없이 시야에서 사라지기만 하면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루마니아 엔지니어 에우제니우 이오르다케스쿠(Eugeniu Iordachescu)가 주도한 프로젝트를 통해 많은 역사적 건축물을 덜 눈에 띄는 곳으로 옮겨 보존할 수 있었다.[97]

1971년 6월, 차우셰스쿠는 중국과 북한을 방문하여[125] 마오쩌둥과 김일성과 회담했다. 차우셰스쿠는 그들의 개인숭배에 강하게 영향을 받아 중국과 북한의 정치 체제를 모방하기 시작했다고 여겨진다.[216][217][218][219] 1971년 7월 6일, 차우셰스쿠는 루마니아 공산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본회의에서 연설을 하고 “7월의 주장”(Tezele din iulie)이라고 불리는 정치 강령을 발표했다.[220][221] 기본적인 내용은 사회에서 당의 영향력을 더욱 강화하고, 학교와 대학, 아동·청소년·학생 단체에서 정치·사상 교육을 강화하며, 정치 선전을 확대하고, 당의 교육 활동과 대중적 정치 활동을 개선하고, “애국 활동”의 일환으로 주요 건설 사업에 젊은이들의 참여를 촉진하며, 이를 위해 라디오, 텔레비전 방송, 출판사, 극장, 오페라, 발레, 예술 조합의 활동 지침을 결정하는 것이었다. 차우셰스쿠가 서기장에 취임했을 무렵의 자유주의적 정책은 끝을 고하고 검열이 부활했으며, 엄격한 국가주의적 이데올로기가 루마니아에 도입되었다.[125] 루마니아의 보도 기관은 북한의 정치 체제에 자극을 받아 차우셰스쿠를 찬미하는 정치 운동을 전개했고, 이것이 차우셰스쿠에 대한 개인숭배의 시작이 되었다. 차우셰스쿠는 김일성의 주체사상을 루마니아어로 번역하여 국내에 보급하고, 국가보안국(Departamentul Securității Statului), “세쿠리타테”의 권한을 대폭 확대했다.
1970년대 초부터 니콜라에 차우셰스쿠에 대한 개인숭배가 시작되었다. 이 무렵부터 차우셰스쿠는 당내에서 점차 “조국의 아버지”(Tatăl Patriei)라는 칭호를 구축해 나갔다. 이 지도자상은 루마니아 공산당이 공식적으로 지지하는 “새로운 역사적 개념”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이었고, 차우셰스쿠 자신은 이 과정에 간섭하지 않았다. 1974년 이후부터 그는 역사상 저명한 인물과 자신을 비교하기 시작했다.[125] 차우셰스쿠에 대한 개인숭배는 조직적으로 전개되었고, 요시프 스탈린(Иосиф Сталин), 마오쩌둥, 요시프 브로즈 티토(Јосип Броз Тито)에 대한 개인숭배의 수준에 필적하거나, 혹은 그들을 능가할 정도로 강해졌고, 당시 루마니아 사람들은 은밀히 “마오-체스쿠”(Mao-Cescu)라고 부르기도 했다.[222] 차우셰스쿠의 방문 국가에서는 성대한 열병식이 개최되었다.[223] 루마니아 국내에서는 차우셰스쿠의 비교적 젊은 시절의 초상화가 곳곳에 설치되었다. 국내 어느 서점에서든 차우셰스쿠에 관한 책(전 28권의 연설집)이 쌓여 있었고, 루마니아 일간지는 차우셰스쿠의 업적 기록에 전념했으며, 저녁 텔레비전 방송은 차우셰스쿠의 매일의 일정과 활동을 전달했고,[224] 신문 판매점과 악기점에서는 차우셰스쿠의 연설을 녹음한 것이 판매되었고, 화가와 시인은 차우셰스쿠를 칭송하는 작품을 창작해야 했다.[125] 차우셰스쿠는 로부터 홀을 건네받았고, 대국민 의회 개회식에 등장할 때는 이것을 손에 들고 나타났다.
차우셰스쿠 정권 시대에는 작가, 시인, 가수, 작곡가, 영화 감독, 화가에게 공금을 지불했다. 화가들은 차우셰스쿠와 그의 가족의 초상화를 매일 대량으로 그렸다. 차우셰스쿠는 자신의 생일에 일반 사람들로부터 무상의 사랑을 그린 그림을 받는 것을 좋아했다. 차우셰스쿠 시대에 그려진 그림은 부쿠레슈티에 있는 국립 근대 미술관에 전시되어 있지만, 차우셰스쿠에 대한 존경심을 보이지 않음을 나타내기 위해, 미술관 관리자의 결정에 따라 이 그림들은 비스듬히 기울어지고 거꾸로 매달려 있다.[225]
차우셰스쿠는 항상 “위대한 지도자”로 묘사되었다. “카르파티아의 천재”, “이성에 찬 도나우”, “우리의 빛의 근원”,[125] “전례 없는 새로운 시대의 창조자”,[226] “영웅 중의 영웅”, “노동자 중의 노동자”, “이 지상에 처음 등장한 유력자”[125] 등의 찬사로 장식되었다.
남편 니콜라에와 함께 아내 엘레나도 개인숭배의 대상이 되었다. 엘레나는 “무한히 이어지는 대공에 나란히 빛나는 별과 같이, 그녀는 위대한 남편 곁에서 빛나며, 루마니아의 승리의 길을 바라봅니다.”라는 찬사를 받았고, “''Mama Neamului''”( “국민의 어머니”)라는 칭호로 불리며, “당의 광명”, “여걸”, “문화와 과학을 인도하는 빛”이라고도 불렸다.[125]
1983년 12월,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루마니아 통일 65주년 기념 집회가 개최되었다. 그러나 다른 많은 행사와 마찬가지로 실제로는 니콜라에 차우셰스쿠를 축하하기 위한 행사였다. 회장 정면에는 “니콜라에 차우셰스쿠 서기장 동지가 이끄는 루마니아 공산당 만세!”라고 적힌 현수막이 걸렸고, 민속무용과 발레 공연도 이루어졌다. 서구의 어느 외교관은 차우셰스쿠에 대해 “동유럽에서 가장 독재적이고 권위주의적인 통치자”라고 표현하면서 “이것은 개인숭배이다”라고 말했다.[125]
많은 증언에 따르면, 차우셰스쿠 자신은 루마니아 국민으로부터의 인망과 강력한 지지를 끝까지 믿었다고 한다.[227] 그러나 루마니아의 경제 위기가 심화됨에 따라 차우셰스쿠에 대한 불신이 커지고, 루마니아 사회에서는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었다.[125]
루마니아 철학자, 는 “중국과 북한 방문은 차우셰스쿠를 비참한 남자로 만들어 버렸다. 위대함에 대한 그의 원초적인 욕망을 최고의 형태로 자극해 버린 것이다.”라고 말했다.[125]
4. 2. 서구권 방문
차우셰스쿠는 동구권 국가인 루마니아의 국가원수였음에도 서구 국가들과의 외교를 적극적으로 추진하며 자신의 이미지를 포장하려 했다. 1975년 4월 4일부터 4월 9일까지 일본에 체류하며 쇼와 천황과 4월 4일 회담을 가졌는데, 이는 "1945년 이전 독재자"(쇼와 천황)와 "1945년 이후 독재자"(차우셰스쿠)의 만남으로 기록된다.[318][319] 4월 5일에는 일본 총리대신 미키 다케오와 회담했다. 쇼와 천황과 차우셰스쿠는 모두 1989년에 사망했지만, 그 최후는 극명하게 갈렸다.차우셰스쿠는 후안 카를로스 1세 스페인 국왕, 미사엘 파스트라나 콜롬비아 대통령, 지미 카터 미국 대통령을 만났으며, 심지어 장베델 보카사 중앙아프리카 제국 황제를 만나기도 했다.
5. 권력 독점과 족벌 정치
니콜라에 차우셰스쿠는 권력 유지를 위해 족벌 정치를 펼쳤다. 특히 1978년 비밀경찰 고위 관리였던 이온 미하이 파체파의 미국 망명 이후, 자신을 배신할 것을 두려워하여 가족과 처가 식구들을 행정부 요직에 앉혔다.
배우자 엘레나 차우셰스쿠는 루마니아 공산당 내 서열 2위 자리를 차지하며 막강한 권력을 행사했다. 엘레나의 오빠 마린은 빈 주재 루마니아 경제국장을, 남동생 안드루타는 비밀경찰 총책임자를, 또 다른 남동생 일리에는 국방부 차관을 역임하는 등 친족들이 요직을 독점했다.[320] 차남 니쿠 역시 권력 후계자로 간주되어 '왕자'로 불리며, 며느리를 학생 친위대 책임자로 임명하는 등 40여 명의 일가친척을 요직에 앉혔다.
차우셰스쿠 자신 또한 루마니아사회주의공화국 대통령, 루마니아공산당 서기장, 국가평의회장, 군 통수권자 등 여러 직책을 겸하며 권력을 독점했다.
차우셰스쿠는 심각한 공포 정치를 통해 국민들을 통제했다. 도청을 통해 불만 세력을 색출하고 국민들의 행동과 말 모두를 감시했다. 당시 루마니아에는 2,000만 명의 인구에 300만 개의 도청기와 1,000여 개의 도청 센터가 설치되어 있었다. 심지어 어린이들의 동심을 국민 감시에 악용하여 초등학교 수업 시간에 학부모에 대한 이야기를 수집, 정권에 대한 불평불만이 담긴 내용은 상부에 보고되었다.[317] 또한, 루마니아 국민과 외국인 간의 접촉을 제한하는 특별법을 제정하여 외부와의 소통을 차단하고 반대 세력에 대한 탄압을 강화했다.[188]
독재 정권 유지를 위해 '세쿠리타테'라는 친위조직을 운영했는데, 고아 출신의 요원들을 어릴 때부터 훈련시켜 충성스러운 조직으로 만들었다.[317] 세쿠리타테는 암살, 정보 수집 등의 임무를 수행하며 정권 유지에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했고, 비밀경찰과 보안군으로 나뉘어 운영되었다. 차우셰스쿠는 정규군보다 세쿠리타테의 힘을 우위에 두었으며, 보안군에게는 최신 장비와 높은 보수를 제공하여 충성을 유도했다. 이러한 불균형은 반정부 시위에서 보안군과 정규군 간의 대립으로 이어지기도 했다.
이온 미하이 파체파는 망명 후 1986년 저서 『붉은 지평선: 공산주의 스파이 두목의 연대기』를 통해 차우셰스쿠 정권의 실체를 폭로했다. 그는 이 책에서 차우셰스쿠 정권이 아랍 테러 조직과 협력하고, 미국의 산업에 대한 첩보 활동을 벌이며, 서방 국가들로부터 정치적 지지를 얻기 위해 치밀한 계획을 세웠다고 주장했다.[181] 파체파는 2021년 COVID-19에 감염되어 사망했다.[182][183]
6. 공포 정치
차우셰스쿠의 통치는 심각한 공포 정치로 특징지어진다. 그는 도청을 통해 국민들을 감시하고 통제했으며, 세쿠리타테라는 친위조직을 통해 반대 세력을 탄압했다.
차우셰스쿠는 불만 세력을 색출하기 위해 도청을 적극적으로 활용했는데, 당시 루마니아에는 인구 2,000만 명에 300만 개의 도청기가 설치될 정도였다. 이러한 감시망은 국민들이 집 안에서조차 자유롭게 말하지 못하게 만들었다. 심지어 어린이들의 동심을 이용해 국민 감시에 활용하기도 했는데, 초등학교 수업 시간에 학부모에 대한 이야기를 수집하여 정권에 대한 불평이나 불만이 담긴 내용은 상부에 보고했다.[317]
세쿠리타테는 차우셰스쿠의 독재 정권 유지를 위한 핵심 기구였다. 그는 고아 출신의 세쿠리타테 요원들을 어릴 때부터 훈련시켜 자신의 충성스러운 친위 조직으로 만들었다.[317] 세쿠리타테는 암살, 정보 수집 등의 임무를 수행하며 차우셰스쿠 정권 유지의 핵심 역할을 담당했으며, 정규군 장군 못지않은 권력을 누렸다고 전해진다.[317] 세쿠리타테는 비밀경찰과 보안군으로 나뉘어 운영되었으며, 비밀경찰은 정보 수집과 암살을 주요 임무로 수행했다.
차우셰스쿠는 정규군을 신뢰하지 않고 자신의 지지자들로만 비밀경찰과 보안군을 조직하여 친위 세력으로 삼았다. 친위대 역할을 맡은 보안군에게는 정규군에는 제공되지 않던 최신 장비와 높은 보수가 주어졌다.
이러한 불균형은 훗날 반정부 시위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시위 진압을 시도하는 보안군과 이에 맞서는 정규군 간의 대립은 내전의 위기로까지 번졌다. 민주화 이후에도 세쿠리타테의 영향력은 남아있어, 잔재를 청산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차우셰스쿠는 또한 루마니아 국민과 외국인 간의 접촉을 제한하기 위해 특별법을 제정했다. 루마니아인이 외국인과 통화할 때는 반드시 신고해야 했으며,[125] 1982년에는 외국인과의 통화 횟수까지 제한되었다. 이러한 조치로 루마니아인들은 외부와의 접촉이 더욱 어려워졌고, 반대 세력에 대한 탄압은 더욱 가속화되었다.[188]
6. 1. 감시
차우셰스쿠의 정치는 심각한 공포 정치로, 도청을 통한 불만 세력 색출로 국민들의 행동과 말 모두를 통제했다. 당시 루마니아는 인구 2,000만 명에 각 도시 및 마을에 300만 개의 도청기와 1,000여 개의 도청 센터가 설치되어 있었다. 차우셰스쿠 치하의 루마니아 국민들은 집안에서조차 자유롭게 말하지 못했다.심지어 어린이들의 동심을 국민 감시에 악용했는데[317] 초등학교 수업 시간에 학부모가 한 이야기를 토론 수업을 통해 수집하기도 했다. 수집된 이야기 중 차우셰스쿠 정권에 대한 불평과 불만이 담긴 내용은 상부에 보고되었다.
루마니아 국민과 외국인 간의 접촉을 제한하고 통제하기 위해 특별법이 제정되었다. 루마니아인이 외국인과 통화할 때는 신고해야 했으며,[125] 1982년에는 외국인과 통화할 수 있는 횟수가 제한되었다. 이러한 조치로 루마니아인들은 외부와의 접촉이 어려워졌고, 반대하는 자들에 대한 탄압이 가속화되었다.[188]
6. 2. 친위조직
니콜라에 차우셰스쿠는 독재 정권 유지를 위해 세쿠리타테라는 친위조직을 운영했다. 차우셰스쿠는 고아 출신의 세쿠리타테 요원들을 어릴 때부터 훈련시켜 자신의 충성스러운 친위 조직으로 만들었다.[317] 세쿠리타테는 암살, 정보 수집 등의 임무를 수행하며 차우셰스쿠 정권 유지의 핵심 역할을 담당했으며, 정규군 장군 못지않은 권력을 누렸다고 전해진다.[317] 세쿠리타테는 비밀경찰과 보안군으로 나뉘어 운영되었으며, 비밀경찰은 정보 수집과 암살을 주요 임무로 수행했다.다른 국가들과는 달리 루마니아에서는 세쿠리타테의 힘이 정규군보다 우세했다. 이는 차우셰스쿠가 정규군을 신뢰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는 자신의 지지자들로만 비밀경찰과 보안군을 조직하여 자신에게 충성하도록 만들었다. 친위대 역할을 맡은 보안군에게는 정규군에는 제공되지 않던 최신 장비와 높은 보수가 주어졌다.
이러한 불균형은 훗날 반정부 시위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시위 진압을 시도하는 보안군과 이에 맞서는 정규군 간의 대립은 내전의 위기로까지 번졌다. 민주화 이후에도 세쿠리타테의 영향력은 남아있어, 잔재를 청산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7. 국가 부채
니콜라에 차우셰스쿠의 국가 부채는 그의 무리한 경제 정책으로 인해 심화되었다. 풍족한 농업 국가였던 루마니아는 차우셰스쿠의 비현실적인 공업화 정책으로 경제가 파탄나면서 1980년대에 111억 달러에 달하는 부채를 지게 되었다.
차우셰스쿠는 불어난 부채를 해결하기 위해 농산물과 공산물을 대량으로 수출하고 수입을 규제하는 정책을 시행했다. 1989년 여름, 정권이 무너지기 직전 부채는 청산되었지만, 생필품 부족으로 식량 배급제가 시행되고 수도, 가스, 전기 공급이 수시로 중단되는 등 국민들의 생활 수준은 1980년부터 1989년까지 꾸준히 하락했다. 고르바초프의 개혁·개방 정책과는 달리 폐쇄적인 정책을 고수하여 소련과의 관계가 악화되면서 경제적 어려움은 더욱 심화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1980년대 루마니아의 긴축 정책 문서를 참고하면 된다.
차우셰스쿠는 서방 세력의 관심을 끌기 위해 소련에 대한 정치적 독립을 주장하고 체코슬로바키아 침공을 반대했다. 서방 정부는 그를 소련 반대파로 여겨 자금을 지원하며 바르샤바 조약에 균열을 일으키기를 기대했지만, 차우셰스쿠는 서방으로부터 경제 개발 프로그램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130억 달러 이상을 차용했다가 결국 국가 재정을 파탄으로 몰고 갔다. 그는 또한 이란으로부터 저렴한 석유 거래를 성사시켰지만, 샤가 실각하면서 거래는 무산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차우셰스쿠는 루마니아의 외채 상환을 결정하고 1986년 군사 국민투표를 통해 헌법을 개정, 루마니아가 외국으로부터 대출을 받는 것을 금지하는 조항을 추가했다.[42] 루마니아는 상업 은행에 대한 모든 채무를 전액 상환한 기록을 가지고 있다.[43]
1980년대 후반, 외채 상환 정책이 우선시되면서 경제는 침체되었고 10년 말에는 경제 위기가 발생했다. 노후화된 장비와 증가한 에너지 강도로 국가의 산업 능력이 약화되었고, 생활 수준은 크게 악화되었다. 산업에 필요한 에너지를 충분히 공급하기 위해 가정의 에너지 사용에 대한 제한이 가해졌고, 어떤 비용을 치르더라도 환전 가능한 통화 수출을 장려하고 수입을 심각하게 줄였다. 1988년에는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인한 산업 생산 감소로 실질 GDP가 0.5% 감소했지만, 순외국 잔액은 10년 만에 최고치(GDP의 9.5%)에 도달했다. 1989년에는 심각한 부족 현상과 노후화되는 자본재로 GDP가 5.8% 더 감소했다. 1989년 3월까지 중장기 외채를 포함한 모든 외채가 사실상 전액 상환되었고, 100만 달러 미만의 잔액은 단기 신용으로 구성되었다. 1989년 법령은 루마니아 기업이 외채를 끌어들이는 것을 법적으로 금지했다.[44] CIA 월드 팩트북 1990년 판은 1989년 중반 기준 루마니아의 외채를 "없음"으로 기록했다.[45]
1973년 10월, 사우디아라비아가 이끄는 아랍 석유 輸出국 기구 회원국들이 제4차 중동 전쟁에서 이스라엘을 지지한 국가들을 대상으로 석유 금수 조치를 선포하면서 세계 각국의 정치와 경제가 영향을 받았고, 루마니아도 예외는 아니었다.[206] 석유 위기와 원유 가격 급등이 겹치면서 루마니아 경제는 침체에 빠졌다. 루마니아는 연간 약 1,000만~1,100만 톤의 석유를 생산했지만, 1980년대 초 루마니아는 생산량의 거의 2배에 달하는 양의 석유를 처리하고 있었다.[125] 석유 제품 수출 확대와 석유화학 산업 수요 충족을 위해 국내에서 처리되는 석유량은 급증했다.
급속한 경제 발전을 이룬 루마니아는 자국의 에너지 자원만으로는 산업과 생산을 감당할 수 없게 되어 외국에서 석유를 수입하기 시작했다. 루마니아의 석유 생산량은 1970년대 초반에는 연평균 10%의 증가율을 보였지만, 10년 후에는 3% 이하로 떨어졌다. 차우셰스쿠는 루마니아를 떠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허가증을 판매하는 수단을 떠올려 이스라엘로 향하는 유대인들을 위해 허가증을 발급했고, 이스라엘은 루마니아에 양계장 5개를 건설하고 유대인을 맞이할 때마다 루마니아에 돈을 지불했다.[125] 당시 루마니아에 살던 독일인이 서독으로 갈 경우, 서독은 독일인 1인당 5,000마르크를 루마니아에 지불했다.[125] 또한 소련제 "폐기된" 무기 시험품을 미국에 판매하여 외화 수입을 얻었는데, 미국은 과거 소련의 T-72 전차를 구입한 적이 있었다.[125] 차우셰스쿠는 이러한 수단으로 얻은 돈을 대외 채무 상환에 사용했다.[125]
루마니아의 1인당 발전량은 스페인이나 이탈리아보다 많았지만, 텔레비전 방송은 하루 2~3시간만 방영되었고, 공동주택에서는 15와트 전구 하나만 설치하는 정도였으며, 밤이 되면 전국이 암흑에 휩싸였다. 반면, 차우셰스쿠가 살던 인민의 궁전의 창문은 모두 불이 켜져 있었다.[125]
1975년, 미국은 루마니아에 무역에서 최혜국 대우 지위를 부여했다.[125] 1970년대 루마니아의 경제 성장은 최혜국 대우를 부여한 미국의 존재나 국제부흥개발은행과 같은 국제 금융 기구로부터의 신용 공여에 크게 좌우되었다. 1975년부터 1987년 사이에 약 220억 달러에 달하는 융자금이 루마니아에 공여되었고,[125] 그중 100억 달러는 미국으로부터였다.[125] 1971년, 루마니아는 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 협정에 정식으로 가입했다.[125] 같은 해 루마니아의 산업 발전을 위해 국제통화기금으로부터 많은 융자를 받았고, 1972년에는 IMF와 IBRD의 정식 회원국이 되었다.[207]
루마니아는 이란과 페르시아만 국가들과도 우호 관계를 맺었다. 1979년까지 차우셰스쿠는 이란의 파레비 황제로부터 지원을 받았고, 루마니아는 이란으로부터 석유를 정가로 매입했다.[125] 그러나 파레비 황제가 이란 혁명으로 실각하고 이슬람 원리주의자들이 권력을 장악하면서 서구 국가들과 이란 사이의 경제 관계가 단절되었고 페르시아만에서는 대규모 전쟁이 계속되었다. 1979년 이후 루마니아는 석유 대금을 외화로 지불해야 했다. 원유 가격은 1979년 봄 당시 1배럴당 16달러였던 것이 1980년 봄에는 40달러로 급등했다. 1977년 이후 루마니아는 석유 수입국이 되었다.
루마니아 일부 기업의 생산 비용은 서구 국가의 3~4배에 달했지만, 원유 가격이 싼 한 이것도 문제가 되지 않았다. 그러나 루마니아 경제는 국가 석유 매장량 고갈과 세계 경제 위기에 직면했고, 100억 달러의 대외 채무를 1981년까지 조기 상환해야 하는 어려움에 처하게 되었다.[208] 루마니아는 1980년대에 대외 채무 상환을 시작, 1990년대 중반까지 채무 상환 기한이었다.[125]
서구 지도자들은 차우셰스쿠에게 루마니아가 바르샤바 조약 기구와 경제 상호 원조 이사회에서 탈퇴하면 루마니아를 우대할 뜻을 내비쳤지만, 차우셰스쿠는 이를 거절하고 루마니아는 예정보다 앞당겨 채무와 이자를 상환하겠다고 선언했다.[125][209]
1983년, 차우셰스쿠는 루마니아가 대외 채무를 더 이상 늘리는 것을 금지하기 위해 국민 투표를 실시했다.[125] 대외 채무 상환을 확실히 하기 위해 식료품 배급제가 시작되어 1인당 계란 5개, 밀가루와 설탕 1kg, 마가린 250g[210] 등이 배급되었고, 고기와 유제품도 배급제가 되었다.[211] 자동차 소유자에 대한 휘발유 판매는 "한 달에 30리터"로 제한되었고, 일반 가정에서 온수가 나오는 것은 일주일에 한 번뿐이었다.[125] 하루에 여러 차례 정전이 발생하여 "겨울 동안 냉장고 사용 중지", "세탁기 및 기타 가전제품 사용 금지", "엘리베이터 사용 금지" 등의 절전이 호소되었다.[212] 루마니아 국내 에너지 소비량은 1979년과 1982년에 20% 감소, 1983년에 50% 감소, 1985년에는 다시 50% 감소했다. 건물에는 난방이 있어도 사용 금지였고, 의료는 무료였지만 약품과 설비가 만성적으로 부족했다.[125]
차우셰스쿠의 차남 니크는 아버지에게 "아버지, 이 나라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아십니까? 가게는 항상 손님으로 넘치고, 텔레비전 방송은 하루 2시간이고, 진공청소기와 냉장고는 경제적인 이유로 사용이 금지되어 있습니다."라고 질문했고, 차우셰스쿠는 "그것들은 일시적인 빈곤이며 국민은 대처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대답했다고 한다.[213]
에너지 생산량을 늘리기 위해 루마니아는 원자력 발전소 건설 계획을 채택, 체르너보다 원자력 발전소가 건설되었다. 캐나다와 이탈리아의 협력으로 1982년에 건설이 시작되었지만, 1986년 4월 체르노빌 원전 사고가 발생하자 건설이 일시적으로 중단되었다. 체르너보다 원자력 발전소는 차우셰스쿠 정권 이후에도 루마니아에서 유일한 원자력 발전소로 계속 가동되고 있다.
현재의 경제 정책이 옳다는 것을 국민에게 납득시키기 위한 선전 활동도 활발하게 실시되어 절전 호소와 기본적인 필수품에 대한 배급제 도입에 대해 공식 선전에서는 "보다 합리적으로 배분하려는 시도이다"라고 설명되었다.[214]
1980년대에는 "경제 정책 수행 중 실수를 저질렀다"는 이유로 주요 직책에 있던 사람들이 속속 해임되었다. 각료평의회 의장을 역임했던 일리에 베르데츠는 경제 위기 해결 방법을 놓고 차우셰스쿠와 격렬한 논쟁을 벌이다 1982년 5월 21일에 사임했다.[215]
긴축 재정을 거쳐 1988년 루마니아는 수출이 수입을 50억 달러 상회했는데,[125] 이는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이후 처음 있는 일이었다.[125] 1989년 4월까지 루마니아는 대외 채무를 거의 완전히 상환할 수 있었다.[125] 1989년 4월 12일, 루마니아 공산당 중앙위원회 본회의 총회 자리에서 차우셰스쿠는 "루마니아가 대외 채무를 완전 상환했다"고 발표하고 "루마니아는 앞으로 외국으로부터의 융자를 일절 받지 않겠다"고 선언했다.[125][125]
하지만 일련의 긴축 재정의 결과와 정치적 이유에 따른 서구 및 소련과의 협력 관계 중단으로 루마니아는 경제적 파국 직전에 놓였다. 대외 채무 완전 상환 후에도 차우셰스쿠가 내린 명령에 따라 루마니아 제품의 대량 수출은 계속되었지만, 국내 소비는 줄어들기만 했다. 그것이 멈춘 것은 차우셰스쿠 정권 멸망 이후의 일이었다.
차우셰스쿠는 경제 파탄을 국민에게 숨기기 위해 "경제 파탄이라구요? 웃기고 있네요. 우리 식료품 가게에는 유기농 식료품으로 가득하답니다."라는 내용의 선전 포스터를 제작했다. 국영 방송은 차우셰스쿠가 식품으로 꽉 찬 가게에 들어가는 모습을 보여주며 그의 통치 아래 높아진 생활 수준을 찬양하는 체제 선전 보도를 했지만, 실제로는 식품 가게의 진열장은 텅텅 비고, 사람들은 식량 배급을 받기 위해 줄을 서야 했다. 농산물 대량 수출과 수입 규제로 굶주리는 대중들의 삶과는 달리 차우셰스쿠는 '인민 궁전'을 세우면서 호화로운 생활을 했다. 인민 궁전은 일명 차우셰스쿠 궁이라고 불렸으며, 궁 내부에 1,500장이나 되는 카펫이 있다는 소문이 돌았다.[321]
차우셰스쿠는 자신의 거주지 확장을 목적으로 '차우셰스쿠 궁전'이라 불리는 궁을 건설하고자 했으나, 완공 당시 그는 이미 사망했다. 차우셰스쿠의 호화로운 궁전 건설로 강제 철거가 시행되어 민중들의 주거권이 짓밟혔으며, 건축가들은 자신만의 건축 세계를 만들기보다는 차우셰스쿠를 위해 봉사해야 했다.[322] 시스템화(Sistematizarea) 정책으로 민중들의 주거권이 짓밟혔다. 건축가들도 자신만의 건축세계를 만들기보다는 차우셰스쿠를 위해 봉사해야 했다.[322]
1971년 북한 방문 후 차우셰스쿠는 그 나라의 ''주체사상'' 이데올로기에 감명을 받아 1974년부터 시스템화 정책을 시작했다. 이 정책은 루마니아를 "다각적으로 발전된 사회주의 사회"로 만들겠다는 명분하에 기존 마을, 도시의 전부 또는 일부를 철거하고 재건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했으며, 주로 고밀도 아파트(블로쿠리, blocuri)의 대량 건설로 이루어졌다.
1980년대 차우셰스쿠는 전례 없는 규모의 궁전과 그에 걸맞는 웅장한 지역인 시민 센터(Centrul Civic) 건설에 집착했다. 1980년대에 발생한 대규모 철거는 부쿠레슈티 역사 지구 8km²에 달하는 지역을 파괴했는데, 수도원, 교회, 회당, 병원, 아르데코 양식의 스포츠 경기장 등이 포함되었다. 이는 웅장한 시민 센터와 공화국 의사당(현재 공식 명칭은 의회궁)을 건설하기 위한 것이었으며, 시스템화 정책의 가장 극단적인 모습이었다.
1988년 대규모 농촌 재정착 프로그램이 시작되어 농촌 가구를 대량으로 제거하고 주민들을 집단 거주지로 이주시켰다. 농촌의 해체는 루마니아 농촌 사회의 파괴로 이어졌다. 1984년, 도나우-흑해 운하가 개통된 후, 수도 부쿠레슈티와 흑해 사이의 해군 수송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도나우-부쿠레슈티 운하 건설 계획이 제기되었지만, 1989년 12월 혁명으로 차우셰스쿠 정권이 붕괴되면서 이 사업은 중단되었다. 도나우-부쿠레슈티 운하 건설과 체계화 “사업 계획”은 미허일레슈티우 지역 주민들을 공포에 떨게 했고, 1989년 말까지 차우셰스쿠는 이 지역의 농촌 대부분을 없애려 했다. 약 7,000~8,000개의 농촌 마을이 루마니아 지도에서 사라졌고, 남은 마을들도 파괴되었다.[180]
7. 1. 무리한 경제정책
무리한 공업화 정책은 풍족한 농업 국가였던 루마니아 경제를 파탄으로 이끌었다. 차우셰스쿠는 현실을 무시한 채 공업화를 추진하여 1980년대에 이르러 111억 달러라는 막대한 부채를 지게 되었다.[125] 이를 해결하기 위해 농산물과 공산물 대량 수출을 지시하고 수입을 규제하는 정책을 시행했다.차우셰스쿠는 루마니아의 대외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농업 국가에서 선진 공업 국가로의 변모를 추진했다. 1950년대부터 1960년대에 걸쳐 공업 생산량이 약 40배 성장했고[204][125], 대형 기계 제조 공장과 제련 공장, 수력 발전소가 건설되었다. 공업화 자체는 게오르기우-데즈 시대부터 시작되었으나, 차우셰스쿠 집권 초기에도 경제 성장이 지속되었다. 1960년대 후반에는 계획 경제 방식을 유지하면서도 국내 기업의 재정과 경제적 자율성을 인정하고, 종업원의 물질적 동기 부여를 위한 방책을 강구했다. 1970년대에는 공업화 성공과 무역 증가에 힘입어 경제 성장을 지속했다. 1973년에는 서방 자본에 의한 합작회사 설립을 허가하여 서방 기업의 루마니아 시장 진출을 장려했다.[125] 1970년에는 부쿠레슈티에 '인터컨티넨탈' 호텔이 건설되었고, 카르파티아 산맥과 흑해 연안에는 고급 휴양지가 들어섰다. 또한, 1970년대에는 피테슈티에서 자동차 "다치아"를 자체 생산하는 체제가 갖춰졌다. 1974년 루마니아의 공업 생산량은 1944년의 100배가 되었고[205][125], 1970년대 중반 국민 소득은 1938년의 15배에 달했다.[125]
루마니아는 석유 생산국으로서 석유 생산 및 정제, 석유 화학 공업이 급속히 발전하여 1976년에는 하루 30만 배럴의 석유를 생산했다.[125] 150개국 이상과 무역 관계를 맺었으며, 1987년 연간 무역액은 세계 12위였다. 1967년부터 1987년까지 수출 구조는 가공도가 높은 제품 중심으로 9.6배 이상 증가했다. 차우셰스쿠는 완제품 수출을 강조했지만,[125] 서방 시장에서 루마니아 제품의 경쟁력은 낮았다.[125]
1973년 석유 위기는 루마니아 경제에도 타격을 주었다. 루마니아는 연간 약 1,000만~1,100만 톤의 석유를 생산했지만, 1980년대 초에는 생산량의 거의 2배에 달하는 양을 처리하고 있었다.[125] 석유 제품 수출 확대와 석유화학 산업 수요 충족을 위해 국내에서 처리되는 석유량이 급증하여 1982년 2,260만 톤에서 1989년 3,060만 톤으로 증가했다.[125]
급속한 경제 발전으로 루마니아는 에너지 자원 부족에 직면하여 외국에서 석유를 수입하기 시작했다. 석유 생산량 증가율은 1970년대 초반 연평균 10%에서 10년 후 3% 이하로 떨어졌다. 루마니아가 수출하는 제품 가격은 서구 제품의 3~4배에 달했다. 차우셰스쿠는 루마니아를 떠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허가증을 판매하는 정책을 시행하여 외화 수입을 얻었다.[125] 또한, 소련제 무기를 미국에 판매하여 외화를 확보하고, 이를 대외 채무 상환에 사용했다.[125]
루마니아의 1인당 발전량은 스페인이나 이탈리아보다 많았지만, 텔레비전 방송은 하루 2~3시간만 방영되었고, 공동주택에서는 15와트 전구 하나만 설치하는 정도였으며, 밤에는 전국이 암흑에 휩싸였다. 반면, 차우셰스쿠가 살던 인민의 궁전은 항상 휘황찬란하게 불이 켜져 있었다.[125]
1975년 미국은 루마니아에 최혜국 대우 지위를 부여했고,[125] 이는 루마니아 경제 성장에 큰 영향을 미쳤다. 1975년부터 1987년 사이에 약 220억 달러의 융자금이 루마니아에 공여되었고,[125] 그중 100억 달러는 미국으로부터였다.[125] 1971년 루마니아는 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 협정(GATT)에 가입하고, 국제통화기금(IMF)으로부터 많은 융자를 받았으며, 1972년에는 IMF와 IBRD의 정식 회원국이 되었다. 루마니아는 1990년 이전에 이 기구들에 가입한 최초의 공산 국가였다.[207]
루마니아는 이란 및 페르시아만 국가들과도 우호 관계를 맺었으나, 이란 혁명 이후 석유 수입에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 원유 가격 급등으로 1980년대 초, 석유 구매 및 석유 제품 판매와 관련된 무역으로 루마니아는 하루 90만 달러의 손실을 입었다.[125][125]
루마니아 일부 기업의 생산 비용은 서구 국가의 3~4배에 달했지만, 원유 가격이 싼 덕분에 문제가 되지 않았다. 그러나 루마니아 경제는 국가 석유 매장량 고갈과 세계 경제 위기에 직면했고, 100억 달러의 대외 채무를 조기 상환해야 하는 어려움에 처하게 되었다.[208]
서구 지도자들은 차우셰스쿠에게 바르샤바 조약 기구와 경제 상호 원조 이사회에서 탈퇴하면 루마니아를 우대할 뜻을 내비쳤으나, 차우셰스쿠는 이를 거절하고 채무 조기 상환을 선택했다.[125][209]
1983년 차우셰스쿠는 대외 채무를 더 이상 늘리지 않기 위해 국민 투표를 실시하고,[125] 대외 채무 상환을 위해 식료품 배급제를 시행했다. 배급권이 발급되어 1인당 계란 5개, 밀가루와 설탕 2파운드, 마가린 반 파운드가 배급되었고,[210] 고기와 유제품도 배급 대상이었다.[211] 자동차 소유자에 대한 휘발유 판매는 "한 달에 30리터"로 제한되었고, 일반 가정에서는 온수가 일주일에 한 번만 공급되었다.[125] 잦은 정전으로 "겨울 동안 냉장고 사용 중지", "세탁기 및 기타 가전제품 사용 금지", "엘리베이터 사용 금지" 등의 절전이 강요되었다.[212] 루마니아 국내 에너지 소비량은 1979년과 1982년에 20% 감소, 1983년에 50% 감소, 1985년에 다시 50% 감소했다. 사람들은 음식을 사기 위해 긴 줄을 서야 했고, 건물에는 난방이 있어도 사용할 수 없었다. 의료는 무료였지만 약품과 설비가 부족했다.[125] 겨울에는 냉장고와 가전제품 사용이 엄격히 금지되었고, 주택 난방용 가스 사용도 금지되었다. 위반 시 "경제 경찰"에 적발되어 벌금을 부과받고 전기와 가스 공급이 중단되었다.[125]
차우셰스쿠의 차남 니쿠는 아버지에게 "아버지, 이 나라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아십니까? 가게는 항상 손님으로 넘치고, 텔레비전 방송은 하루 2시간이고, 진공청소기와 냉장고는 경제적인 이유로 사용이 금지되어 있습니다."라고 질문했다. 차우셰스쿠는 "그것들은 일시적인 빈곤이며 국민은 대처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대답했다고 한다.[213]
에너지 생산량 증대를 위해 루마니아는 원자력 발전소 건설 계획을 채택하여 체르너보다 원자력 발전소를 건설했다. 캐나다와 이탈리아의 협력으로 1982년에 건설이 시작되었지만, 1986년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사고로 인해 건설이 일시 중단되었다. 체르너보다 원자력 발전소는 차우셰스쿠 정권 이후에도 루마니아 유일의 원자력 발전소로 가동되고 있다.
정권은 현재의 경제 정책이 옳다는 것을 국민에게 납득시키기 위한 선전 활동을 활발하게 실시했다. 절전 호소와 기본적인 필수품에 대한 배급제 도입에 대해 "보다 합리적으로 배분하려는 시도"라고 선전했다.[214]
1980년대에는 "경제 정책 수행 중 실수를 저질렀다"는 이유로 주요 직책에 있던 사람들이 해임되었다. 각료평의회 의장을 역임했던 일리에 베르데츠는 경제 위기 해결 방법을 놓고 차우셰스쿠와 논쟁을 벌이다가 "대외 경제 관계에 대한 오해"를 지적받고 사임했다.[215]
긴축 재정의 결과, 1988년 루마니아는 수출이 수입을 50억 달러 상회했는데,[125] 이는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이후 처음 있는 일이었다.[125] 1989년 4월까지 루마니아는 대외 채무를 거의 완전히 상환할 수 있었다.[125] 이자를 포함한 채무액은 210억 달러에 달했다.[125] 1989년 4월 12일 루마니아 공산당 중앙위원회 본회의에서 차우셰스쿠는 루마니아가 대외 채무를 완전 상환했다고 발표하고,[125][125] 앞으로 외국으로부터 융자를 받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그러나 긴축 재정과 서구 및 소련과의 관계 단절로 루마니아는 경제적 파국 직전에 놓였다. 대외 채무 완전 상환 후에도 루마니아 제품의 대량 수출은 계속되었지만, 국내 소비는 줄어들었고, 이는 차우셰스쿠 정권 멸망 이후에야 멈추었다.
7. 2. 진실을 가리는 선전
차우셰스쿠는 경제 파탄을 국민에게 숨기기 위해 "경제 파탄이라구요? 웃기고 있네요. 우리 식료품 가게에는 유기농 식료품으로 가득하답니다."라는 내용의 선전 포스터를 제작했다.
하지만 1989년, 차우셰스쿠는 자신의 경제 정책 실패로 경제가 파탄난 현실을 전면적으로 부정했다. 국영 방송은 사실을 정확하게 전달하기보다는 차우셰스쿠가 식품으로 꽉 찬 가게에 들어가는 모습을 보여주며 그의 통치 아래 높아진 생활 수준을 찬양하는 체제 선전 보도를 했다. 그러나 실제로는 식품 가게의 진열장은 텅텅 비고, 사람들은 식량 배급을 받기 위해 줄을 서야 하는 모습이 현실이었다. 농산물 대량 수출과 수입 규제로 굶주리는 대중들의 삶과는 달리 차우셰스쿠는 '인민 궁전'을 세우면서 호화로운 생활을 했다. 인민 궁전은 일명 차우셰스쿠 궁이라고 불렸으며, 궁 내부에 1,500장이나 되는 카펫이 있다는 소문이 돌았다.[321]
차우셰스쿠는 자신의 거주지 확장을 목적으로 '차우셰스쿠 궁전'이라 불리는 궁을 건설하고자 했으나, 완공 당시 그는 이미 사망했다. 차우셰스쿠의 호화로운 궁전 건설로 강제 철거가 시행되어 민중들의 주거권이 짓밟혔으며, 건축가들은 자신만의 건축 세계를 만들기보다는 차우셰스쿠를 위해 봉사해야 했다.[322]
7. 3. 강제 철거
차우셰스쿠의 호화로운 궁전 건설로 인해 강제 철거가 시행되어 민중들의 주거권이 짓밟혔다. 건축가들도 자신만의 건축세계를 만들기보다는 차우셰스쿠를 위해 봉사해야 했다.[322]시스템화(Sistematizarea)는 차우셰스쿠 정권 하에 시행된 도시 계획 프로그램이었다. 1971년 북한 방문 후 차우셰스쿠는 그 나라의 ''주체사상'' 이데올로기에 감명을 받아 대규모 캠페인을 시작했다.
1974년부터 시작된 시스템화는 루마니아를 "다각적으로 발전된 사회주의 사회"로 만들겠다는 명분하에 기존 마을, 도시의 전부 또는 일부를 철거하고 재건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했다. 이 정책은 주로 고밀도 아파트(블로쿠리, blocuri)의 대량 건설로 이루어졌다.
1980년대 차우셰스쿠는 전례 없는 규모의 궁전과 그에 걸맞는 웅장한 지역인 시민 센터(Centrul Civic) 건설에 집착했다. 1980년대에 발생한 대규모 철거는 부쿠레슈티 역사 지구 8km²에 달하는 지역을 파괴했는데, 수도원, 교회, 회당, 병원, 아르데코 양식의 스포츠 경기장 등이 포함되었다. 이는 웅장한 시민 센터와 공화국 의사당(현재 공식 명칭은 의회궁)을 건설하기 위한 것이었으며, 시스템화 정책의 가장 극단적인 모습이었다.
1988년 대규모 농촌 재정착 프로그램이 시작되었다. 1972년 이후, 차우셰스쿠는 도시와 농촌 지역을 “체계화”하는 사업을 시작했다. “다국간으로 발전된 사회주의 사회를 건설하는” 중요한 단계로 선전된 이 사업 계획에 따라 농촌 가구를 대량으로 제거하고 주민들을 집단 거주지로 이주시켰다. 농촌의 해체는 루마니아 농촌 사회의 파괴로 이어졌다. 1984년, 9년의 세월을 거쳐 도나우-흑해 운하가 개통된 후, 수도 부쿠레슈티와 흑해 사이의 해군 수송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도나우-부쿠레슈티 운하 건설 계획이 제기되었다. 1986년 공사가 시작되었지만, 1989년 12월 혁명으로 차우셰스쿠 정권이 붕괴되면서 이 사업은 중단되었다. 도나우-부쿠레슈티 운하 건설과 체계화 “사업 계획”은 미허일레슈티우 지역 주민들을 공포에 떨게 했다. 1989년 말까지 차우셰스쿠는 이 지역의 농촌 대부분을 없애려 했다. 약 7,000~8,000개의 농촌 마을이 루마니아 지도에서 사라졌고, 남은 마을들도 파괴되었다.[180]
8. 차우셰스쿠의 최후
차우셰스쿠의 최후는 1989년 12월 티미쇼아라에서 시작된 시위와 그에 대한 유혈 진압, 그리고 부쿠레슈티를 비롯한 전국적인 시민 저항으로 이어진다. 군부의 일부가 시민 편에 서면서 정권은 급속도로 붕괴했고, 차우셰스쿠 부부는 도주했으나 체포되어 인민 재판을 받고 사형에 처해졌다. 이 과정은 루마니아 사회주의 체제의 종식을 알리는 사건이었다.[57][58][59]
혁명의 불씨: 티미쇼아라 시위
1989년 12월 15일, 정부는 헝가리인 목사 투르케슈 라슬로의 퇴거를 명령했다. 이 명령에 반발한 헝가리 개혁교회 교구민들이 교회 앞에 모여 시위를 벌였다. 시위는 곧 반정부 시위로 확대되었고, 12월 17일, 군과 세쿠리타테는 시위대에 발포하여 사상자가 발생했다. 이 사건은 차우셰스쿠 정권에 대한 국민적 분노를 촉발하는 계기가 되었다.
12월 20일, 이란 방문을 마치고 귀국한 차우셰스쿠는 TV 연설을 통해 티미쇼아라 사태를 "외세의 간섭"이자 "루마니아 주권에 대한 외부 침략"으로 규정했다. 하지만 이미 미국의 소리, 자유 유럽 방송 등 반공 라디오 방송을 통해 진실을 접한 국민들은 그의 주장을 믿지 않았다.
관제 대회와 시민들의 저항: 12월 21일, 차우셰스쿠는 인민궁전 발코니에서 10만 명을 동원한 관제 대회를 개최했다. 그러나 연설 도중 시위대가 야유를 보내면서 대회는 순식간에 반정부 시위로 변질되었다. 차우셰스쿠 부부는 중앙위원회 건물로 대피해야 했다.[60][61][62]
차우셰스쿠는 정규군을 동원했지만, 군은 오히려 시위대에 가담했다. 이는 평소 세쿠리타테만 편애했던 차우셰스쿠에 대한 군부의 불만이 폭발한 결과였다. 군부는 시민이 아닌 차우셰스쿠에게 총부리를 겨누었고, 루마니아 공산당원들마저 그를 제명했다.
시가전과 차우셰스쿠의 도주: 12월 22일, 시위는 전국으로 확산되었다. 정부군과 경찰 일부는 민주화 운동에 가담하여 방송국과 수도 대부분을 장악했다. 차우셰스쿠 친위대인 세쿠리타테는 시위대와 시가전을 벌였지만, 결국 굴복하고 중앙위원회 건물 보호를 포기했다.
차우셰스쿠 부부는 헬리콥터를 타고 부쿠레슈티에서 탈출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도피하려 했으나, 헬기 조종사의 기지로 실패하고 튀르고비슈테 근처에 불시착했다. 이후 경찰에 체포되어 군사 법정에 넘겨졌다.
인민 재판과 사형 집행: 12월 25일, 차우셰스쿠 부부는 구국전선의 군사 법정에서 인민 재판을 받았다. 그들은 반역과 살인 혐의로 기소되었고, 재판부는 사형을 선고했다. 차우셰스쿠는 재판 내내 자신이 루마니아의 합법적인 대통령임을 주장하며 재판의 정당성을 부정했다.
재판 과정은 매우 짧게 진행되었고, 변호인조차 변론을 포기하는 등 형식적인 절차에 불과했다. 차우셰스쿠 부부는 사형 선고 직후 총살형에 처해졌다. 처형 장면은 텔레비전을 통해 생중계되었고, 이는 전 세계에 큰 충격을 주었다.[68] 이온 일리에스쿠는 당시 상황이 혼란스러웠고, 국가를 안정시키기 위해 신속한 재판과 처형이 불가피했다고 주장했다.[69]
차우셰스쿠 부부는 헌체아 묘지(Ghencea Cemetery)에 묻혔다. 2007년, 아들 발렌틴 차우셰스쿠는 무덤의 진위 여부를 확인해달라는 소송을 제기했으나 기각되었다.
차우셰스쿠 부부의 재판과 처형은 법적인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는 비판이 제기되었다. 하지만 당시 루마니아 사회는 차우셰스쿠 정권의 잔혹함에 대한 분노로 가득 차 있었고, 신속한 처벌을 요구하는 여론이 압도적이었다.
차우셰스쿠의 몰락은 동유럽 공산주의 붕괴의 상징적인 사건 중 하나로 기억되고 있다. 그의 독재적인 통치와 경제 정책 실패는 루마니아 국민들에게 큰 고통을 안겨주었고, 결국 혁명으로 이어졌다. 그의 최후는 권위주의 정권의 종말을 보여주는 역사적인 사건으로 평가받고 있다.[71]
8. 1. 민중운동의 첫 시작
1980년대 후반, 서방의 지지를 받으며 독재를 강화하던 차우셰스쿠 정권에 대한 저항이 시작되었다. 1989년 12월 20일, 차우셰스쿠는 인민궁전 앞에서 관제 친정부 집회를 계획했으나, 당성이 약한 노동자들이 동원되면서 차질이 발생했다.티미쇼아라에서는 정부가 민족적 증오 선동 혐의로 기소한 헝가리계 목사 라슬로 퇴케슈(László Tőkés)의 퇴거 시도에 대한 시위가 촉발되었다. 헝가리계 신도들은 그의 아파트를 에워싸며 지지를 표명했고, 루마니아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시위에 참여하면서 반정부 시위로 확대되었다. 1989년 12월 17일, 정규군, 경찰, 세쿠리타테(Securitate)는 시위대에 발포하여 많은 사상자가 발생했다.
12월 18일, 차우셰스쿠는 이란 국빈 방문을 떠나 티미쇼아라 봉기 진압 임무를 부하들에게 맡겼다. 12월 20일 저녁 귀국 후, 그는 TV 연설을 통해 티미쇼아라 사태를 "루마니아 내정에 대한 외세의 간섭"과 "루마니아 주권에 대한 외부 침략"으로 규정했다.
국영 언론의 통제로 티미쇼아라 사건에 대한 정보를 얻기 어려웠던 국민들은 미국 음성(Voice of America), 자유 유럽 방송(Radio Free Europe)과 같은 반공 라디오 방송과 구전을 통해 봉기 소식을 접했다. 12월 21일, 차우셰스쿠는 부쿠레슈티에서 대규모 집회를 주최했지만, 이는 1968년 집회를 모방한 것으로, 차우셰스쿠에 대한 "자발적인 지지 운동"으로 보도되었다.[235]
1989년 12월 15일, 루마니아 정부는 티미쇼아라에 거주하는 헝가리인 목사 투르케슈 라슬로(Tukécs László)에게 교구에서 떠날 것을 명령했다. 12월 16일, 헝가리인 개혁교회 교구민들이 교회 앞에 모여 투르케슈에 대한 퇴거 명령에 항의하는 시위를 시작했다. 트란실바니아 주교에 의해 투르케슈는 주택 거주권을 박탈당하고 다른 곳으로 추방당했다. 1989년 7월 24일, 헝가리 TV 방송국이 투르케슈를 인터뷰했고 그는 이에 응했다. 이 행동은 개혁교회와 루마니아 정부를 화나게 했다. 주교는 투르케슈를 해임하고 다른 곳으로 이주할 것을 통보했다. 투르케슈가 이 결정을 거부하자 주교는 투르케슈가 살던 건물(개혁교회 교구가 소유한 집)에서의 퇴거를 요구하는 소송을 제기했다. 1989년 10월 20일, 티미쇼아라 법원은 "투르케슈 라슬로는 자택에서 퇴거해야 한다"는 취지의 판결을 내렸고, 투르케슈는 이에 불복하여 항소했다. 1989년 11월 28일, 티미쇼아라 법원은 투르케슈의 항소를 기각했다. 투르케슈는 교구민들에게 12월 15일 금요일에 자신이 퇴거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12월 11일 월요일, 그는 군 당위원회로부터 소환되어 퇴거일이 12월 18일 월요일로 변경된다는 것을 교구민들에게 알리라는 통보를 받았다.[235] 차우셰스쿠는 12월 17일에 루마니아 공산당 중앙위원회 정치집행위원회 임시 회의를 소집하여 투르케슈에 대해 "어떤 개혁파 사제가 자신의 잘못으로 제재를 받았다. 티미쇼아라에서 다른 군으로 이주하여 살던 집을 떠나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자택을 비우기를 원하지 않았다. 주교가 법원에 고소했고 법원은 그를 퇴거시키기로 결정했다. 이에는 오랜 시간이 걸렸다. 어제 법원 명령이 집행되려고 했지만, 사제는 단체를 조직했다. 이것은 부다페스트를 비롯한 외국의 첩보 기관의 방해 행위이다. 그는 외국 언론의 인터뷰에도 응하고 있다"고 말했다.[125] 16일 오후까지 교회 앞에 프로테스탄트 신자들의 집단이 생겨났고, 티미쇼아라에서는 행인들이 이 집단에 합류하여 군중은 점차 규모가 커졌다. 티미쇼아라 시장 페트레 모츠(Petre Moț)가 투르케슈의 퇴거 명령에 반대한다는 내용을 문서로 확인하는 것을 거부하자, 군중은 반공주의 구호를 외치기 시작했다. 성 마리아 광장에서는 노면전차가 멈춰 섰고, 이온 모노란(Ion Monoran), 다니엘 자거네스쿠(Daniel Zăgănescu), 볼비 라슬로(Borbély László) 등이 반공산당을 호소하는 연설을 했다. 다니엘 자거네스쿠는 노면전차에 올라타 "나는 다니엘 자거네스쿠입니다. 나는 세쿠리타테(Securitate) 따위는 두렵지 않습니다. 차우셰스쿠를 타도하라!"고 외쳤다.[236]
투르케슈에 대한 퇴거 명령에 항의하는 의미로 촛불을 든 사람들이 나타나면서 항의는 확대되었다. 오후 9시, 세쿠리타테(Securitate) 국장 유리안 블라드(Iulian Vlad)는 이 반란을 진압하기 위해 상급 작전 부대를 티미쇼아라에 파견했다.[237] 항의자들은 티미쇼아라 정교 대성당(Catedrala Mitropolitană din Timişoara) 주변을 이동하며 시내를 행진하고, 치안 부대와 다시 대치했다. 오후 9시부터 오후 11시 30분까지 민병대, 정보원, 소방대, 국경 경비대 등으로 구성된 부대가 180명을 체포했다.[125]
12월 17일 오전 9시, 육군 참모본부 요원들의 집단이 시내에 도착했다. 투르케슈 라슬로는 아내와 함께 밤중에 강제 퇴거당했다. 오전 11시, 티미쇼아라에서의 시위 참가자 수는 어느덧 수천 명으로 불어났다. 중심부에 있는 서점의 유리창이 깨지고, 차우셰스쿠를 찬양하는 책들은 심하게 손상되었다. 국방장관이자 장군인 바실레 미레아(Vasile Milea)는 티미쇼아라 시내에 있는 루마니아 공산당 본부 건물을 400명의 병사로 지키도록 명령했다. 오후 1시 30분, 미레아는 "티미쇼아라의 상황은 악화일로에 있습니다. 군의 개입 명령을 부탁드립니다. 군은 전투 상태에 돌입합니다. 티미쇼아라 군에서 긴급 사태가 진행 중입니다"라고 보고했다.[125] 군대에 명령을 내릴 수 있는 사람은 법적으로 니콜라에 차우셰스쿠(Nicolae Ceaușescu)뿐이었다. 차우셰스쿠는 유리안 블라드에게 두 번, 바실레 미레아에게 최소 여섯 번 전화하여 티미쇼아라에서의 폭동을 무력으로 신속히 진압하라는 지시를 내렸다.[125] 오후 1시 45분, 티미쇼아라 거리에 전차가 나타났다. 오후 4시경, 항의자들은 군 당위원회 건물에 난입하여 당 문서, 선전용 소책자, 차우셰스쿠 저서, 공산당 권력의 상징인 이들을 창문으로 하나씩 던져 버렸다. 그들은 건물에 불을 지르려 했지만, 이는 군 부대에 의해 저지되었다. 오후 4시 30분, 차우셰스쿠는 수도 부쿠레슈티(București)에서 루마니아 공산당 중앙위원회 정치집행위원회 임시 회의를 소집하고, 티미쇼아라에서의 사건에 대해 국방장관들과 논의하기 시작했다. 차우셰스쿠는 반란 진압을 주저한 투도르 포스텔니쿠(Tudor Postelnicu), 바실레 미레아, 유리안 블라드를 비난했다.[125] 차우셰스쿠는 바실레 미레아에게 "미레아, 당신의 부하들은 무엇을 하고 있었습니까? 왜 즉시 개입하지 않았습니까? 왜 발포하지 않았습니까? 부하들이 발밑에 맞아도 이상할 게 없을 텐데"라고 질문했다. 미레아가 "저는 어떤 종류의 탄약도 주지 않았습니다"라고 대답하자, 차우셰스쿠는 "왜 주지 않았습니까? 그럴 바에는 부하들을 집으로 돌려보내는 게 나을 겁니다"라고 비난했다.[238] 또한, 차우셰스쿠는 장관들에게 "여러분은 저에게 사실을 알리려 하지 않습니다. 이제 와서야 말해 주지만, 그전까지는 잘못된 정보를 전달해 왔습니다!"라고 비난의 말을 퍼부었다.[125] 차우셰스쿠는 치안 부대에 발포 명령을 내리지 않은 유리안 블라드에게 분노를 담아 응수했다. "당신이 한 행위는 국가의 이익, 인민의 이익, 사회주의의 이익에 대한 배신입니다. 책임 있는 행동을 하지 않았습니다. 당신에게 어떤 처벌을 내려야 할지 아십니까? 총살형입니다. 그것이 당신에게 합당한 것입니다. 당신이 한 행위는 적과 손을 잡은 것과 다름없는 행위이기 때문입니다!"[239]
바실레 미레아는 차우셰스쿠로부터 항의자들을 사살하라는 지시를 받았지만, 미레아는 이를 육군 부대에 전달하는 것을 거부했다. 미레아는 "군 규정을 확인했지만, 인민군은 인민을 사살하라는 조항은 어디에도 없습니다"라고 말했다.[125][125][240]
차우셰스쿠는 반역자들을 사살하라고 명령했다. 이 명령을 내린 차우셰스쿠에게 국방장관, 내무장관, 세쿠리타테(Securitate) 국장은 처음으로 반대 의견을 표명했다. 차우셰스쿠는 그들의 충성심과 복종심을 의심하여 세 사람에게 "직위를 해임한다"고 말했지만, 각료회의 의장 콘스탄틴 더스칼레스쿠(Constantin Dăscălescu)는 이에 반대하며 세 사람에 대한 지지를 표명했다. 차우셰스쿠는 분노를 드러내며 "그렇다면 나는 서기장을 사임하겠다. 다른 사람을 서기장으로 선출하는 게 좋을 것이다!"라고 말하고 회의장을 나갔다. 에밀 보부(Emil Bobu)와 콘스탄틴 더스칼레스쿠가 차우셰스쿠를 뒤쫓아가 방으로 돌아오도록 간청했다.[125] 몇 분 후, 차우셰스쿠는 회의장으로 돌아와 회의를 계속했다. 차우셰스쿠는 티미쇼아라 당 대표와 긴급 전화 회의를 실시하고, 민간인에 대한 발포 명령을 내렸다.[125] 차우셰스쿠는 이온 코만(Ion Coman) 장군을 사령관으로 임명했고,[241] 12월 17일 오후 3시 30분, 국방부와 내무부 장군 대표단이 티미쇼아라에 파견되었다. 오후 6시, 지로쿨루이(Girocului)에서 참모총장 슈테판 구샤(Ştefan Guşă)의 명령에 따라 길을 막은 전차를 회수한다는 명목으로 항의자들에 대한 발포가 시작되었다. 오후 6시 45분경, 티미쇼아라 부대는 "라두 첼 프루모스(Radu cel Frumos)" 신호를 받았다. 이것은 "군대에 전쟁 탄약을 장비시키고, 전투 태세로 전환하라"는 지령이었다.[125] 티미쇼아라에서는 국방부 부대의 발포가 마침내 시작되었고, 수 시간 만에 300명이 넘는 사람들이 총에 맞았다.
투르케슈 라슬로는 1989년 7월 헝가리 TV 방송국의 취재 방문에서 "루마니아인들은 자신의 인권조차 모릅니다"라고 말했다. 2008년에 투르케슈가 말한 바에 따르면 "이는 독재자 차우셰스쿠를 지지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전달하는 것이었습니다. 차우셰스쿠의 가면을 벗기기 위해 꼭 필요했습니다"라는 것이다.[242]
1989년 12월 22일, 투르케슈 라슬로는 구국전선평의회 위원 중 한 명으로 임명되었다.
8. 1. 1. 티미쇼아라 시위
1989년 12월, 니콜라에 차우셰스쿠 정권은 티미쇼아라와 부쿠레슈티에서 벌어진 자유 민주화 운동을 유혈 진압하면서 붕괴의 길을 걷게 되었다. 티미쇼아라에서는 차우셰스쿠 독재 정권의 인권 탄압과 소수 민족 차별에 반대하며 자유 민주화 운동을 지도하던 퇴케시 라슬로(László Tőkés, 1952년 ~ ) 목사를 체포한 사건에 대항하여 1989년 12월 17일 헝가리 개신교 신도가 시위를 시작했다. 이 시위는 루마니아 노동자들과 농민들이 가담하면서 반정부 시위로 확대되었다. 차우셰스쿠 정권은 경찰이 시위대에 발포하여 많은 사상자를 내는 국가 폭력을 자행하며 인권을 짓밟았다. 당시 이란을 방문 중이던 차우셰스쿠는 급히 귀국했다.티미쇼아라 시위는 정부가 민족적 증오 선동 혐의로 기소한 헝가리계 목사 라슬로 퇴케슈를 퇴거시키려 한 시도에서 비롯되었다. 그의 헝가리계 신도들은 지지를 표하기 위해 그의 아파트를 에워쌌다. 이후 루마니아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시위에 참여하면서 시위는 반정부 시위로 성격이 변화했다. 정규군, 경찰, 세쿠리타테는 12월 17일 시위대에 발포하여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고 사상자를 발생시켰다.
12월 18일, 차우셰스쿠는 이란 국빈 방문을 떠나 티미쇼아라 봉기 진압 임무를 부하들과 부인에게 맡겼다. 12월 20일 저녁 루마니아로 귀국했을 때 상황은 더욱 심각해졌다. 그는 중앙위원회 건물 내 TV 스튜디오에서 티미쇼아라 사태를 "루마니아 내정에 대한 외세의 간섭" 및 "루마니아 주권에 대한 외부 침략"으로 규정하는 TV 연설을 했다.
국영 언론으로부터 티미쇼아라 사건에 대한 정보를 거의 얻지 못한 국민들은 냉전 시대에 동구권 뉴스를 방송한 반공 라디오 방송국(예: 미국의 소리, 자유 유럽 방송)과 구전을 통해 봉기 소식을 접했다. 다음 날인 21일, 차우셰스쿠는 부쿠레슈티에서 대규모 집회를 주최했는데, 공식 언론은 이를 1968년 집회를 모방하여 바르샤바 조약군의 체코슬로바키아 침공에 반대했던 연설과 같이 차우셰스쿠에 대한 "자발적인 지지 운동"으로 보도했다.
1989년 12월 15일, 루마니아 정부는 티미쇼아라에 거주하는 헝가리인 목사 투르케슈 라슬로에게 교구에서 떠날 것을 명령했다. 12월 16일, 헝가리인 개혁교회 교구민들이 교회 앞에 모여 투르케슈에 대한 퇴거 명령에 항의하는 시위를 시작했다. 공산당 당국에 충실한 트란실바니아 주교에 의해 투르케슈는 주택 거주권을 박탈당하고 다른 곳으로 추방당했다. 1989년 7월 24일, 헝가리 TV 방송국이 투르케슈를 인터뷰했고 그는 이에 응했다. 이 행동은 개혁교회와 루마니아 정부를 분노하게 했다. 주교는 투르케슈를 해임하고 다른 곳으로 이주할 것을 통보했다. 투르케슈가 이 결정을 거부하자 주교는 투르케슈가 살던 건물(개혁교회 교구가 소유한 집)에서의 퇴거를 요구하는 소송을 제기했다. 1989년 10월 20일, 티미쇼아라 법원은 "투르케슈 라슬로는 자택에서 퇴거해야 한다"는 판결을 내렸고, 투르케슈는 이에 불복하여 항소했다. 1989년 11월 28일, 티미쇼아라 법원은 투르케슈의 항소를 기각했다. 투르케슈는 교구민들에게 12월 15일 금요일에 자신이 퇴거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12월 11일 월요일, 그는 군 당위원회로부터 소환되어 퇴거일이 12월 18일 월요일로 변경된다는 것을 교구민들에게 알리라는 통보를 받았다.[235] 차우셰스쿠는 12월 17일에 루마니아 공산당 중앙위원회 정치집행위원회 임시 회의를 소집하여 투르케슈에 대해 "어떤 개혁파 사제가 자신의 잘못으로 제재를 받았다. 티미쇼아라에서 다른 군으로 이주하여 살던 집을 떠나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자택을 비우기를 원하지 않았다. 주교가 법원에 고소했고 법원은 그를 퇴거시키기로 결정했다. 이에는 오랜 시간이 걸렸다. 어제 법원 명령이 집행되려고 했지만, 사제는 단체를 조직했다. 이것은 부다페스트를 비롯한 외국의 첩보 기관의 방해 행위이다. 그는 외국 언론의 인터뷰에도 응하고 있다"고 말했다.[125] 16일 오후까지 교회 앞에 프로테스탄트 신자들의 집단이 생겨났고, 티미쇼아라에서는 행인들이 이 집단에 합류하여 군중은 점차 규모가 커졌다. 티미쇼아라 시장 페트레 모츠(Petre Moț)가 투르케슈의 퇴거 명령에 반대한다는 내용을 문서로 확인하는 것을 거부하자, 군중은 반공주의 구호를 외치기 시작했다. 성 마리아 광장에서는 노면전차가 멈춰 섰고, 이온 모노란(Ion Monoran), 다니엘 자거네스쿠(Daniel Zăgănescu), 볼비 라슬로(Borbély László) 등이 반공산당을 호소하는 연설을 했다. 다니엘 자거네스쿠는 노면전차에 올라타 "나는 다니엘 자거네스쿠입니다. 나는 세쿠리타테 따위는 두렵지 않습니다. 차우셰스쿠를 타도하라!"고 외쳤다.[236]
투르케슈에 대한 퇴거 명령에 항의하는 의미로 촛불을 든 사람들이 나타나면서 항의는 확대되었다. 오후 9시, 세쿠리타테 국장 유리안 블라드(Iulian Vlad)는 이 반란을 진압하기 위해 상급 작전 부대를 티미쇼아라에 파견했다.[237] 항의자들은 티미쇼아라 정교 대성당 주변을 이동하며 시내를 행진하고, 치안 부대와 다시 대치했다. 오후 9시부터 오후 11시 30분까지 민병대, 정보원, 소방대, 국경 경비대 등으로 구성된 부대가 180명을 체포했다.[125]
12월 17일 오전 9시, 육군 참모본부 요원들의 집단이 시내에 도착했다. 투르케슈 라슬로는 아내와 함께 밤중에 강제 퇴거당했다. 오전 11시, 티미쇼아라에서의 시위 참가자 수는 수천 명으로 불어났다. 중심부에 있는 서점의 유리창이 깨지고, 차우셰스쿠를 찬양하는 책들은 심하게 손상되었다. 국방장관이자 장군인 바실레 미레아(Vasile Milea)는 티미쇼아라 시내에 있는 루마니아 공산당 본부 건물을 400명의 병사로 지키도록 명령했다. 오후 1시 30분, 미레아는 "티미쇼아라의 상황은 악화일로에 있습니다. 군의 개입 명령을 부탁드립니다. 군은 전투 상태에 돌입합니다. 티미쇼아라 군에서 긴급 사태가 진행 중입니다"라고 보고했다.[125] 군대에 명령을 내릴 수 있는 사람은 법적으로 니콜라에 차우셰스쿠뿐이었다. 차우셰스쿠는 유리안 블라드에게 두 번, 바실레 미레아에게 최소 여섯 번 전화하여 티미쇼아라에서의 폭동을 무력으로 신속히 진압하라는 지시를 내렸다.[125] 오후 1시 45분, 티미쇼아라 거리에 전차가 나타났다. 오후 4시경, 항의자들은 군 당위원회 건물에 난입하여 당 문서, 선전용 소책자, 차우셰스쿠 저서, 공산당 권력의 상징인 이들을 창문으로 하나씩 던져 버렸다. 그들은 건물에 불을 지르려 했지만, 이는 군 부대에 의해 저지되었다. 오후 4시 30분, 차우셰스쿠는 수도 부쿠레슈티에서 루마니아 공산당 중앙위원회 정치집행위원회 임시 회의를 소집하고, 티미쇼아라에서의 사건에 대해 국방장관들과 논의하기 시작했다. 차우셰스쿠는 반란 진압을 주저한 투도르 포스텔니쿠(Tudor Postelnicu), 바실레 미레아, 유리안 블라드를 비난했다.[125] 차우셰스쿠는 바실레 미레아에게 "미레아, 당신의 부하들은 무엇을 하고 있었습니까? 왜 즉시 개입하지 않았습니까? 왜 발포하지 않았습니까? 부하들이 발밑에 맞아도 이상할 게 없을 텐데"라고 질문했다. 미레아가 "저는 어떤 종류의 탄약도 주지 않았습니다"라고 대답하자, 차우셰스쿠는 "왜 주지 않았습니까? 그럴 바에는 부하들을 집으로 돌려보내는 게 나을 겁니다"라고 비난했다.[238] 또한, 차우셰스쿠는 장관들에게 "여러분은 저에게 사실을 알리려 하지 않습니다. 이제 와서야 말해 주지만, 그전까지는 잘못된 정보를 전달해 왔습니다!"라고 비난의 말을 퍼부었다.[125] 차우셰스쿠는 치안 부대에 발포 명령을 내리지 않은 유리안 블라드에게 분노를 담아 응수했다. "당신이 한 행위는 국가의 이익, 인민의 이익, 사회주의의 이익에 대한 배신입니다. 책임 있는 행동을 하지 않았습니다. 당신에게 어떤 처벌을 내려야 할지 아십니까? 총살형입니다. 그것이 당신에게 합당한 것입니다. 당신이 한 행위는 적과 손을 잡은 것과 다름없는 행위이기 때문입니다!"[239]
바실레 미레아는 차우셰스쿠로부터 항의자들을 사살하라는 지시를 받았지만, 미레아는 이를 육군 부대에 전달하는 것을 거부했다. 미레아는 "군 규정을 확인했지만, 인민군은 인민을 사살하라는 조항은 어디에도 없습니다"라고 말했다.[125][125][240]
차우셰스쿠는 반역자들을 사살하라고 명령했다. 이 명령을 내린 차우셰스쿠에게 국방장관, 내무장관, 세쿠리타테 국장은 처음으로 반대 의견을 표명했다. 차우셰스쿠는 그들의 충성심과 복종심을 의심하여 세 사람에게 "직위를 해임한다"고 말했지만, 각료회의 의장 콘스탄틴 더스칼레스쿠(Constantin Dăscălescu)는 이에 반대하며 세 사람에 대한 지지를 표명했다. 차우셰스쿠는 분노를 드러내며 "그렇다면 나는 서기장을 사임하겠다. 다른 사람을 서기장으로 선출하는 게 좋을 것이다!"라고 말하고 회의장을 나갔다. 에밀 보부(Emil Bobu)와 콘스탄틴 더스칼레스쿠가 차우셰스쿠를 뒤쫓아가 방으로 돌아오도록 간청했다.[125] 몇 분 후, 차우셰스쿠는 회의장으로 돌아와 회의를 계속했다. 차우셰스쿠는 티미쇼아라 당 대표와 긴급 전화 회의를 실시하고, 민간인에 대한 발포 명령을 내렸다.[125] 차우셰스쿠는 이온 코만(Ion Coman) 장군을 사령관으로 임명했고,[241] 12월 17일 오후 3시 30분, 국방부와 내무부 장군 대표단이 티미쇼아라에 파견되었다. 오후 6시, 지로쿨루이(Girocului)에서 참모총장 슈테판 구샤(Ştefan Guşă)의 명령에 따라 길을 막은 전차를 회수한다는 명목으로 항의자들에 대한 발포가 시작되었다. 오후 6시 45분경, 티미쇼아라 부대는 "라두 첼 프루모스(Radu cel Frumos)" 신호를 받았다. 이것은 "군대에 전쟁 탄약을 장비시키고, 전투 태세로 전환하라"는 지령이었다.[125] 티미쇼아라에서는 국방부 부대의 발포가 시작되었고, 수 시간 만에 300명이 넘는 사람들이 총에 맞았다.
투르케슈 라슬로는 1989년 7월 헝가리 TV 방송국의 취재 방문에서 "루마니아인들은 자신의 인권조차 모릅니다"라고 말했다. 2008년에 투르케슈가 말한 바에 따르면 "이는 독재자 차우셰스쿠를 지지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전달하는 것이었습니다. 차우셰스쿠의 가면을 벗기기 위해 꼭 필요했습니다"라는 것이다.[242]
1989년 12월 22일, 투르케슈 라슬로는 구국전선평의회 위원 중 한 명으로 임명되었다.
8. 1. 2. 관제 대회와 루마니아 시민들의 저항
12월 21일 12시 30분, 니콜라에 차우셰스쿠는 시위 사태를 진정시키기 위해 자신을 지지하는 관제 대회를 열어 인민궁전 발코니에서 10만 명을 모아 연설을 시작했다. 연설 내용은 경제와는 관련 없이 자신을 지지해야 하는 이유뿐이었는데, 대회 뒤쪽의 젊은 시위대가 갑자기 야유를 보내자 앞쪽 군중도 따라 야유를 보냈다. 차우셰스쿠는 "여러분, 조용히 하세요!"라고 외쳤지만, 이 장면은 생중계되었다. 대중은 차우셰스쿠의 독재에 저항하는 시위대로 돌변했고, 차우셰스쿠 내외는 중앙위원회 건물로 대피했다.[60][61][62]차우셰스쿠는 경찰만으로는 안 된다고 판단, 정규군을 출동시켰으나, 정규군은 오히려 시위대에 가담했다. 이는 차우셰스쿠가 평소 세쿠리타테만 편애했기에 불만을 품은 군부가 시위를 기회로 차우셰스쿠와 세쿠리타테를 제거하려 했기 때문이다. 군부는 시민이 아닌 차우셰스쿠에게 총부리를 겨누었고, 족벌 정치로 권력에서 소외된 루마니아 공산당원들마저 차우셰스쿠를 제명, 국민과 군경이 차우셰스쿠에게 재판을 통지했다.
차우셰스쿠는 세쿠리타테에게 시위대를 막으라고 지시, 광장은 처참한 상황이 되었다. 군중은 군경과 충돌했고, 수백 명이 체포되었다. 차우셰스쿠와 연루되기를 꺼린 장군 빅토르 스탄쿨레스쿠는 다리에 가짜 깁스를 하고 국방장관직을 거부했으나, 당시 국방장관이었던 바실리 밀레아가 국민에게 발포하라는 차우셰스쿠의 명령을 거부했다는 이유로 세쿠리타테에게 암살당했다. 결국 스탄쿨레스쿠는 엘레나 차우셰스쿠의 추천으로 국방장관이 되었다.
12월 21일, 혁명 광장에서 열린 대규모 집회에서 차우셰스쿠는 "사회주의 혁명"의 성과와 루마니아의 "다면적으로 발전된 사회주의 사회"에 대해 연설했다. 그는 또한 티미쇼아라 폭동을 "사회주의를 파괴하려는 파시스트 선동가들"의 탓으로 돌렸다.[60] 그러나 군중은 야유와 욕설을 퍼붓고 "티미쇼아라!"를 외쳤다.[61] 차우셰스쿠는 1월 1일까지 월 최저임금을 200 레우 인상하는 사회적 혜택 개혁을 발표했지만, 군중은 더욱 거세게 야유했다.
통제 불능 상태에 빠지자 차우셰스쿠 부부는 루마니아 공산당 중앙위원회 건물 안으로 피신했다. 부쿠레슈티 시민들은 대학 광장에 모여 바리케이드에서 경찰과 군대에 맞서며 봉기를 일으켰다. 그러나 시위대는 부쿠레슈티에 집중된 군사력에 밀려 자정까지 진압당하고, 수백 명이 체포되었다. 오전 9시, 시위대는 수만 명 규모로 불어났다. 티미쇼아라 중심부의 극장 광장에 모인 군중은 “독재자를 타도하라!”, “자유를!”, “하느님이 계시다!”, “군대는 우리 편이다!”라고 외쳤다. 오후 12시 30분, 시위대는 극장의 발코니를 열고 주기도문을 낭송하기 시작했다. 확성기를 통해 “티미쇼아라는 공산주의로부터 해방된 루마니아 최초의 도시이다”라고 선언되었다.
이란을 방문 중이던 차우셰스쿠는 급히 귀국, 빅토르 스탄쿨레스쿠를 티미쇼아라 사령관으로 임명하고 비상사태를 선포했다. 텔레비전 연설에서 차우셰스쿠는 티미쇼아라 시위대를 "무뢰배 집단"이라 부르며 "사회주의 혁명에 반대하는 자들"이라고 비난했다.[125] 그는 티미쇼아라 폭동이 "루마니아의 주권을 무력화하려는 제국주의자 단체와 외국 정보기관의 지원을 받아 조직된 것"이라 주장하며, 이는 "사회주의의 혜택을 없애고, 외국인의 지배하에 있던 옛 루마니아로 돌아가려는 음모"라고 주장했다.[125] 차우셰스쿠는 현재 상황이 소련의 체코슬로바키아 침공과 유사하며, 외국 공작원과 '돈을 받고 나라를 파는' 루마니아 내부 인사들의 협력 덕분에 가능했다고 덧붙였다.[125]
8. 1. 3. 시가전
루마니아 민주화 시위는 루마니아 전역으로 확산되었다. 극도의 혼란 속에서 시위 이튿날인 12월 22일, 정부군과 경찰이 루마니아 인민의 민주화 운동에 가담해 결성된 구국 전선은 방송국과 수도 대부분을 장악했으며 차우셰스쿠 친위대인 세쿠리타테와 시가전을 벌였다. 세쿠리타테는 시위대에 굴복, 중앙위원회 건물의 보호를 포기했다. 당시 국방장관인 빅토르 스탄쿨레스쿠는 차우셰스쿠를 돕지 말고 부대에 복귀하라고 군대에 명령했지만, 군인들의 민주화 시위 가담을 묵인했기에 군인들이 시위대에 대거 참여해 시위대 규모는 기하급수적으로 커졌으며 시위대에 가담한 군인 중에는 대령급 이상 고급 군인까지 포함되어 있었다.8. 1. 4. 도주
차우셰스쿠 부부는 누구도 자신들의 편을 들지 않는 상황을 인지하고 헬리콥터를 타고 부쿠레슈티에서 탈출했다. 당시 이들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도피할 계획이었다고 알려져 있으나, 헬기를 조종하던 중령 바실리 마루탄은 차우셰스쿠와 연루되기 싫어 대공 사격을 당한다고 거짓말하며 헬기를 흔들었다. 결국 차우셰스쿠 부부는 헬기에서 내려야 했고, 마루탄은 기지로 복귀했다.헬기로 도망갈 수 없게 된 차우셰스쿠는 운전사에게 도주를 지시했지만, 운전사는 엔진이 고장 났다는 거짓말로 그들을 내려주었다. 두 번째로 차우셰스쿠를 태운 운전사는 농업박물관으로 향했다. 박물관 근처에 살던 한 농민은 차우셰스쿠가 묵던 방을 잠그고 혁명 군경에 신고했고, 12월 23일 차우셰스쿠 부부는 혁명 군경에 붙잡혀 군사법원에 넘겨졌다.
12월 22일 아침, 반란은 전국 주요 도시로 확산되었다. 국방장관 바실레 밀레아의 의문스러운 죽음이 발표되었고, 이후 자살로 확인되었다.[63] 차우셰스쿠는 정치집행위원회 회의를 주재하며 군 지휘권을 장악했다. 밀레아가 살해당했다고 믿은 병사들은 혁명에 가담했다. 지휘관들은 차우셰스쿠를 끝장난 인물로 여기고 병사들의 충성심을 유지하려는 노력을 하지 않았다. 중앙위원회 건물 앞에 모인 군중에게 마지막 연설을 시도했지만, 군중이 돌을 던지자 건물 안으로 피신해야 했다. 그와 엘레나, 그리고 다른 네 명은 옥상으로 가서 헬리콥터를 타고 탈출했다.[62] 루마니아 공산당은 이후 사라졌다.
바실레 미라의 사망 소식이 발표된 직후, 차우셰스쿠는 루마니아 공산당 중앙위원회 정치집행위원회 임시 회의를 소집하여 자신이 직접 군 지휘를 맡겠다고 발표했다. 루마니아 공산당 중앙위원회 건물 앞에는 5만 명의 군중이 모여 있었다. 오전 11시 30분경, 차우셰스쿠는 발코니에 모습을 드러내 연설하려 했지만, 군중의 분노만 샀다. 세쿠리타테 국장 마린 네고에는 헬리콥터를 준비하라고 지시했다. 시위대가 건물 안으로 진입하기 시작했고, 오후 12시 6분, 차우셰스쿠 부부와 경호원들을 태운 헬리콥터가 건물 옥상에서 이륙했다.[247] 시위대는 니콜라에와 엘레나의 초상화를 창문에서 던져 버렸다. 군대는 군중 편에 서서 세쿠리타테와 대치했다. 12시 30분경, 시위대는 군대와 함께 국영 방송국을 점거했다. 오후 1시, 시위대는 차우셰스쿠 부부의 탈출을 알리고 "차우셰스쿠는 끝났다!"고 선언했다. 오후 1시 30분, 빅토르 스탕클레스쿠는 군대에 "국방부 장관의 명령에 따르라"는 지시를 내렸다.[125]
오후 2시 45분, 루마니아 공산당 간부 이온 일리에스쿠는 "차우셰스쿠가 저지른 일은 공산주의를 더럽힌 것에 그치지 않는다"고 말했다. 오후 3시경, 부쿠레슈티 공과대학교 강사이자 후에 총리가 된 페트레 로만이 루마니아 공산당 중앙위원회 건물 발코니에 등장하여 성명을 낭독했다.[248] 오후 4시, 이온 일리에스쿠와 페트레 로만은 육군 및 치안 유지 책임자들과 회담했다. 오후 5시, 이온 일리에스쿠가 루마니아 공산당 중앙위원회 건물 발코니에 등장하여 군중으로부터 비난을 받았다.[125]
구국전선 평의회 의장에 취임한 이온 일리에스쿠는 오후 10시 30분에 선서문을 낭독하고 차우셰스쿠의 권력 축출, 민주주의, 정치적 다원주의, 경제 회복을 선언했다.[125] 일리에스쿠는 또한 "혼란과 내전, 무정부 상태를 피하기 위해 총선거가 열릴 때까지 구국전선 평의회가 국가 권력을 이어받을 것"이라고 발표했다.[125]
차우셰스쿠 부부는 부쿠레슈티 북부에 있는 스나고프로 향했다. 그곳에는 빅토르 스탕클레스쿠가 약속한 예비대가 대기하고 있었다. 차우셰스쿠는 스나고프에서 군관구 사령관에게 전화를 걸어 충성을 맹세받았다.[249] 부부는 헬리콥터를 타고 현지로 향하려 했지만, 스탕클레스쿠가 영공을 폐쇄했다. 그는 차우셰스쿠가 탄 헬리콥터를 격추하려 했지만, 부하의 만류로 튀르고비슈테 근처 들판에 착륙시켰다.[125] 착륙 후, 헬리콥터 조종사는 반군 측으로 망명했다. 차우셰스쿠 부부는 경호원들과 함께 지나가는 차량 운전자에게 자신들을 태워달라고 요구하며 피테슈티로 향하려 했다. 두 번째 차량을 얻은 후, 엘레나는 "숲에 숨자"고 제안했고, 니콜라에는 "노동자들의 도움을 받자"고 답했다. 두 사람은 루마니아 공산당 지역위원회 건물로 피신하려 했지만 거절당했다. 12월 22일 오후 3시 30분, 차우셰스쿠 부부는 군대에 체포되어 구금되었다.[125]
차우셰스쿠의 약식 재판 참가자 중 한 명인 젤루 보이칸 보이쿨레스쿠에 따르면, 차우셰스쿠 부부는 자신들이 "체포되었다"는 것을 인식하지 못하고 튀르고비슈테 군대의 보호를 받고 있다고 믿었다고 한다.[125] 그 후 이틀 동안 부부는 기지 내 독방과 장갑차 안에서 지냈다. 이 기간 동안 간단한 건강 검진을 받았다.[250]
12월 24일, 미국의 국무장관 제임스 베이커는 소련 외무부에 "차우셰스쿠 정권 위기에 관련된 유혈 사태를 막기 위해 소련이나 와르샤와 조약 기구가 루마니아에 개입할 경우 미국은 반대하지 않는다"고 통보했다. 소련은 "루마니아인의 운명은 루마니아인 자신에게 달려 있다"고 결정했다고 한다.[125]
8. 1. 5. 사형
차우셰스쿠 부부는 12월 25일 구국전선의 군사 법정에서 인민재판으로 반역과 살인 혐의에 대한 사형을 선고받았다.[323] 차우셰스쿠의 변호사 카를로마저 "당신이 이 나라 루마니아를 멸망으로 몰고 간 것을 부인할 수가 없소. 나도 당신을 포기했소."라고 말하며 변론을 포기했다. 차우셰스쿠는 루마니아 국민을 배려해 사력을 다했다고 주장하여 재판장의 미움을 샀다. 소총수들은 차우셰스쿠를 죽이고자 총을 준비했고, 처형에 동참할 사람들을 뽑는 과정에서 수백 명이 지원했다. 결국 Captain Ionel Boeru, Sergeant-Major Georghin Octavian, Dorin-Marian Cîrlan 세 명의 군인이 사형을 집행하게 되었다. 이들은 총 6정, 총알 180발을 준비했다.차우셰스쿠 부부에게 사형이 선고되자 그들은 눈물을 흘리며 벽을 보고 "반역자들에게 죽음을!"이라 외쳤다. 사형 집행이 시작되자 공산 세력들이 즐겨 부르는 노래인 "인터내셔널"을 불렀지만, 1절이 끝나기도 전에 총탄 160여 발을 맞고 사망했다.[317] 차우셰스쿠의 처형 장면은 생중계로 공개되었다.
사형 집행 이후 차우셰스쿠 부부의 시신은 공동묘지 구석에 묻혔다. 유럽식 무덤과는 달리, 차우셰스쿠 부부의 무덤은 흙으로만 대충 만들어졌고, 잡초와 나무만 가득했다. 비석도 바로 세워지지 않았고, 함께 묻히는 것도 불허되어 50m쯤 떨어진 각자의 무덤에 매장되었다.[321] 차남 니쿠 차우셰스쿠도 공산 체제 붕괴 후 병사했으나, 차우셰스쿠의 묘지는 2010년 친자 확인 소송 문제로 파헤쳐졌다.[324]
차우셰스쿠와 그의 아내 엘레나는 에밀 보부(Emil Bobu)와 마네아 머네스쿠(Manea Mănescu)와 함께 헬리콥터를 타고 차우셰스쿠의 스나고브(Snagov) 저택으로 이동한 후 터르고비슈테(Târgoviște)로 도망쳤다. 루마니아 영공이 폐쇄된 상황에서 군의 명령에 따라 터르고비슈테 근처에서 헬리콥터를 버렸다. 차우셰스쿠 부부는 경찰에 체포되어 구금되었고, 결국 군에 인계되었다.
1989년 12월 25일, 차우셰스쿠 부부는 구국전선의 명령으로 작은 방에서 소집된 법정에서 재판을 받았다. 그들은 불법적인 재산 축적과 집단 학살 혐의를 받았다. 차우셰스쿠는 재판정의 재판 권한을 거듭 부인하며 자신이 여전히 루마니아의 합법적인 대통령이라고 주장했다. 재판 끝에 차우셰스쿠 부부는 유죄 판결을 받고 사형을 선고받았다.
차우셰스쿠 부부는 이오넬 보에루 대위, 게오르긴 옥타비안 상사, 도린-마리안 크를란 등 20명의 지원자 중에서 모집된 다른 5명의 하사관들에 의해 처형되었다. 니콜라에 차우셰스쿠는 사형 집행 전에 벽으로 향하는 동안 "인터나시오날레"를 불렀다.[67] 두 사람이 벽에 바싹 붙어 자리에 서자마자 총살이 시작되었다.[67]
같은 날, 처형 장면은 루마니아 텔레비전에서 방영되었다.[68] 서둘러 진행된 재판과 사망한 차우셰스쿠 부부의 모습은 비디오로 촬영되어 처형 이틀 후 여러 서방 국가에서 공개되었다.
재판 진행 방식은 비판을 받았다. 그러나 루마니아 임시 대통령인 이온 일리에스쿠는 2009년에 차우셰스쿠 부부가 부쿠레슈티를 탈출한 이후 사흘 동안 국가를 휩쓴 혼란을 종식시키기 위해 "매우 부끄럽지만 필요한" 재판이었다고 말했다.[69] 마찬가지로, 혁명에 가담하기 전 국방장관이었던 빅토르 스턴쿨레스쿠는 2009년에 대안은 차우셰스쿠 부부가 부쿠레슈티 거리에서 린치당하는 것을 보는 것이었을 것이라고 말했다.[70]
차우셰스쿠 부부는 사형제도가 폐지되기 전 루마니아에서 마지막으로 처형된 사람들이었다.[71]
니콜라에와 엘레나 차우셰스쿠는 처음에 부쿠레슈티의 헌체아 묘지(Ghencea Cemetery)에 있는 간단한 무덤에 길의 양쪽에 따로 매장되었다. 2007년 4월, 그들의 아들 발렌틴 차우셰스쿠는 무덤이 진짜인지 조사해 달라는 항소를 기각당했다. 그의 동생 니쿠 차우셰스쿠는 1996년 사망 후 같은 묘지 근처에 묻혔다.[73] 차우셰스쿠의 딸 조이아 차우셰스쿠와 그들의 정치적 견해를 지지하는 사람들이 유해를 영묘나 특별히 지은 교회로 이장해 달라는 요청을 했지만, 정부는 이를 거부했다.
바실레 미라의 사망 소식이 발표된 직후, 차우셰스쿠는 루마니아 공산당 중앙위원회 정치집행위원회의 임시 회의를 소집하여 자신이 직접 군 지휘를 맡겠다고 발표했다. 루마니아 공산당 중앙위원회 건물 앞에는 5만 명의 군중이 모여 있었다. 오전 11시 30분경, 차우셰스쿠는 발코니에 모습을 드러내 확성기를 들고 군중을 향해 연설하려 했지만, 오히려 그들의 분노만 샀다. 세쿠리타테(Securitate) 국장 마린 네고에(Marin Neagoe)는 헬리콥터를 준비하라고 지시했다. 시위대가 건물 안으로 진입하기 시작했다. 오후 12시 6분, 차우셰스쿠 부부와 경호원들을 태운 헬리콥터가 건물 옥상에서 이륙했다.[247] 시위대는 니콜라에와 엘레나의 초상화를 창문에서 던져 버렸다. 군대는 군중 편에 서서 세쿠리타테와 대치하는 태세를 취했다. 오후 1시, 시위대는 군대와 함께 국영 방송국을 점거했다. 오후 1시 30분, 빅토르 스탕클레스쿠는 군대에 "국방부 장관의 명령에 따르라"는 지시를 내렸다. 이 시점에서 차우셰스쿠를 권좌에서 끌어내리는 과정은 완료되었다.[125]
오후 2시 45분, 루마니아 공산당 간부 중 한 명인 이온 일리에스쿠는 연설을 통해 "차우셰스쿠가 저지른 일은 공산주의를 더럽힌 것에 그치지 않는다"고 말했다. 오후 3시경, 부쿠레슈티 공과대학교 강사이자 후에 총리가 된 페트레 로만이 루마니아 공산당 중앙위원회 건물 발코니에 등장하여 "Frontului Unităţii Poporului"(“인민 통일 전선”)의 성명을 낭독했다.[248] 오후 4시, 이온 일리에스쿠와 페트레 로만은 육군 및 치안 유지 책임자들과 회담했다. 오후 5시, 이온 일리에스쿠가 루마니아 공산당 중앙위원회 건물 발코니에 등장하여 "동지 여러분!"이라고 부른 것에 대해 군중으로부터 비난을 받고 표현 방식을 수정했다.[125]
구국전선 평의회 의장에 취임한 이온 일리에스쿠는 오후 10시 30분에 선서문을 낭독하고 차우셰스쿠의 권력 축출, 민주주의, 정치적 다원주의, 경제 회복을 위한 조치 도입을 선언했다.[125] 일리에스쿠는 또한 "혼란과 내전, 무정부 상태를 피하기 위해 총선거가 열릴 때까지 구국전선 평의회가 국가 권력을 이어받을 것"이라고 발표했다.[125]
차우셰스쿠 부부는 부쿠레슈티 북부에 있는 스나고프(Snagov)로 향했다. 여기에는 빅토르 스탕클레스쿠가 약속한 예비대가 대기하고 있었다. 차우셰스쿠는 스나고프에서 군관구 사령관에게 전화를 걸었다. 전화에서는 차우셰스쿠에 대한 충성을 맹세하는 말이 들려왔다.[249] 부부는 헬리콥터를 타고 현지로 향하려 했지만, 스탕클레스쿠가 영공을 폐쇄했다. 그는 차우셰스쿠가 탄 헬리콥터를 격추하려 했지만, 스탕클레스쿠의 부하 중 한 명이 그를 만류하여 튀르고비슈테(Târgoviște) 근처 들판에 착륙시켰다.[125] 착륙 후, 헬리콥터 조종사는 반군 측으로 망명했다. 차우셰스쿠 부부는 경호원들과 함께 지나가는 차량 운전자에게 자신들을 태워달라고 요구하며 피테슈티(Piteşti)로 향하려 했다. 차우셰스쿠 부부는 두 번째 차량을 얻었다. 엘레나는 "숲에 숨자"고 제안했고, 니콜라에는 "노동자들의 도움을 받자"고 답했다. 두 사람은 루마니아 공산당 지역위원회 건물로 피신하려 했지만 허락받지 못했다. 12월 22일 오후 3시 30분, 차우셰스쿠 부부는 군대에 체포되어 구금되었다.[125]
차우셰스쿠의 약식 재판 참가자 중 한 명인 젤루 보이칸 보이쿨레스쿠(Gelu Voican Voiculescu)에 따르면, 차우셰스쿠 부부는 자신들이 "체포되었다"는 것을 인식하지 못하고 튀르고비슈테 군대의 보호를 받고 있다고 믿었다고 한다.[125] 그 후 이틀 동안 부부는 기지 내 독방과 장갑차 안에서 지냈다. 이 기간 동안 부부는 간단한 건강 검진을 받았다.[250]
12월 24일, 미국의 국무장관 제임스 베이커(James Baker)는 소련 외무부에 "차우셰스쿠 정권 위기에 관련된 유혈 사태를 막기 위해 소련이나 와르샤와 조약 기구가 루마니아에 개입할 경우 미국은 반대하지 않는다"고 통보했다. 소련은 "루마니아인의 운명은 루마니아인 자신에게 달려 있다"고 결정했다고 한다.[125]


이온 일리에스쿠는 차우셰스쿠 부부를 재판에 넘길 "특별 군사 법정"을 설립하는 명령에 서명했다.[258][259][125]
1989년 12월 25일, 빅토르 슈탕클레스쿠, , 게르 보이칸 보이코레스쿠가 탄 헬리콥터가 투르고비슈테에 도착했다.
12월 25일 오후 1시 20분, 투르고비슈테 군 주둔지 내 병영에서 니콜라에와 엘레나에 대한 특별 군사 법정 "Tribunal al Poporului"(「인민 재판」)이 시작되었다. 차우셰스쿠 부부는 국가에 대한 범죄, 자국민 대량 학살, 외국 은행에 비밀 계좌 개설, 그리고 "국민 경제를 약화시켰다"는 혐의로 기소되어, 부부의 전 재산 몰수 및 사형이 선고되었다.[125] 1989년 12월 25일자 관보에는 구국전선평의회의 서명과 함께 다음과 같은 공식 성명이 게재되었다. "역사와 법 앞에, 독재자와 그의 추종자들이 저지른 죄는 국가를 파멸로 이끌려는 행위에 대한 응당한 제재를 엄정하게 결정하는 법정에서 입증될 것이다."[125]
이 공식 성명이 발표된 시점에, 차우셰스쿠는 이미 처형되었었다.
재판은 사전 범죄 수사도 실시되지 않은 채 즉시 시작되었다.[125] 피고인은 법률에서 의무화하고 있는 정신 감정을 받지 않았고, 스스로 변호사를 선택할 수도 없었다.[125]
차우셰스쿠의 변호인 역할을 맡은 니콜라에 테오도레스쿠는 형법 제162조, 제163조, 제165조, 제357조에 규정된 행위에 근거하여[260] 다음과 같은 혐의로 기소된 취지를 고했다.[261]
- 6만 명을 살해했다
- 국가와 국민에 대해 무장 행동을 조직하고, 국가 권력을 전복하려 했다
- 건물의 파괴·손괴, 도시에서의 폭발로 공공 재산을 파괴했다
- 국민 경제를 약화시켰다
- 외국 은행에 10억 달러를 부정하게 축재하고, 그것을 이용하여 해외 탈출을 시도했다
그러나 이러한 고소 내용이 입증된 것은 없다.
차우셰스쿠는 루마니아 대국민의회의 승인이 없다면 이 재판은 무효이며, 자신들을 재판하고 있는 군인들의 주장에는 아무런 근거가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며[262] 다음과 같이 반론했다. "나는 기소조차 되지 않았다. 나는 루마니아의 대통령이며, 최고 사령관이며, 대국민의회와 노동 계급 대표자 앞에서만 답하겠다. 그뿐이다. 이 쿠데타를 일으킨 자들의 행위는 국민에 대한 배신이며, 루마니아의 독립을 붕괴로 몰아넣었다. 처음부터 끝까지, 모든 것이 기만이다!"[263]
변호인 역할을 한 군인들은 동요를 보였고, 변호 전략도 확립하지 못했다. 그들에 따르면, 자신들이 앞으로 무엇을 할 것인지에 대해 헬리콥터 안에서 처음 들었다고 한다. 게다가, 아직 고소장이 읽히지도 않았는데도 불구하고, 차우셰스쿠 부부에게 "죄"를 인정하게 하려 했다.[125] 차우셰스쿠 부부의 재판은 요시프 스탈린 시대에 행해진 보복 재판처럼 전개되었다.[125] 검사 역할을 한 는 차우셰스쿠에게 "『정신 질환을 앓고 있다』고 인정한다면, 피고인에게 책임을 묻고자 하지 않는다"는 타협안을 제시했다. 그러나 차우셰스쿠 부부는 그것을 강하게 거부했다.[125]
부부의 전 재산 몰수와 사형이 선고된 후, 차우셰스쿠가 "어떤 판결이든, 나는 인정할 생각이 없다!"고 외치자, 변호인 니콜라에 테오도레스쿠는 "이 판결을 인정하지 않는다는 것은 피고인이 항소할 권리를 행사하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지금 이 자리에서, 이 판결은 최종 결정이라는 점에 유의하십시오"라고 말했다.[125]
이 재판은 텔레비전 방송을 통해 전 세계에 방영되었다. 텔레비전에 비친 영상에서는 엘레나가 소수의 질문에만 답했고, 울부짖거나 고함치는 모습이 눈에 띄었고, 니콜라에가 엘레나에게 진정하라고 달래는 모습도 보였다.
차우셰스쿠는 이 재판이 1965년의 루마니아 헌법에도 위반되고, 자신을 권력의 자리에서 몰아낼 권한이 있는 것은 대국민의회뿐이라는 취지를 명확히 했다. 또한 "이 재판에는 법적 근거가 없고, 이 쿠데타의 배후에는 소련이 있다"고 주장했다.[264] 차우셰스쿠는 처음부터 법적 관점에 근거하여 논의하고 있었다. 재판 시작부터 사망 순간까지, 차우셰스쿠는 명석함을 유지했다.[265] 재판은 1시간 20분 만에 끝났고, 앞서 언급된 혐의에 대해서는 하나도 입증되지 않았다.[125]
오후 2시 40분, 재판이 끝나고, 오후 2시 45분에 니콜라에와 엘레나에게 사형이 선고되었다. 그 직후, 부부는 양손을 끈으로 뒤로 묶인 채 건물에서 연행되었다. 연행되는 도중, 니콜라에는 "자유로운 독립국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만세!"라고 외쳤다.[125] 총살당하기 직전, 니콜라에는 공산 혁명의 노래 "인터내셔널"을 흥얼거리며, "배신자를 죽여라!"고 외쳤다.[125][125][266] 엘레나는 "남편과 함께 죽게 해달라", "나와 남편은 함께 싸웠다. 함께 죽겠다", "죽일 거라면, 구속을 푼 상태로 죽여달라", "우리는 언제나 함께다. 법이 그렇게 말하고 있다"고 요구하며, 자신의 양손을 끈으로 묶으려는 군인들에게 "이게 뭐야? 이걸로 뭘 할 생각이야? 만지지 마! 묶지 마! 우리를 화나게 할 생각이야!? 나는 너희들의 어머니로 남아 있었다고! 내 손이 부러진다! 손을 놓아, 그 손을 놓는다고! 부끄러운 줄 알아!"라고 외치며 저항하려 했다.[125] 엘레나는 또한, 총살대 앞에서 다음과 같이 절규했다. "잘 생각해 봐. 나는 이 20년 동안 너희들의 어머니로 남아 있었다고!"[125]
1989년 12월 25일 오후 2시 50분, 니콜라에 차우셰스쿠와 엘레나 차우셰스쿠는 총살형에 처해졌다.[125] 부부의 처형은 판결이 나온 지 10분 이내에 집행되었다. 부부가 총살당하기 전후의 영상도 텔레비전 중계를 통해 전 세계에 방영되었다.[125] 부부의 유해는 겐체아 묘지(Cimitirul Ghencea)에 매장되었다.
루마니아 국내 텔레비전에서 차우셰스쿠 부부가 총살된 영상이 공개되었고, 그때 아나운서는 "적그리스도가 크리스마스 날에 죽임을 당했습니다"라고 전했다.[125][125][125]
차우셰스쿠 부부의 처형을 지휘한 이오넬 보에루(Ionel Boeru)는 "두 사람에게는 아무런 동정심도 느껴지지 않았다. 시선을 교환하지도 않았다. 동물을 죽이는 것과 같았다"고 말했다.[267]
이 재판은 범죄 수사가 실시되지 않은 점, 기소장이 없는 점, 기소장을 피고인에게 통지하지 않은 점, 정신의학에 근거한 전문적인 검사를 실시하지 않은 점, 재판의 기한을 설정하지 않은 점, 변호인을 선정하지 않은 점, 상고의 제출 기한을 지키지 않고 재판하지 않은 점이 법률 위반이다. 군사 검찰관이었던 미하이 포포프(Mihai Popov)에 따르면, 루마니아 법률에서는 판결 후 10일이 경과해야 비로소 판결이 확정되지만, 그 규정에도 위반되었고, 그 10일 이내에 피고가 "항소하지 않는다"고 처음에 선언했다 해도, 생각을 바꿀 권리가 피고인에게 있다. 당시 절차에서는 항소 기간이 종료된 시점에서 유죄 판결을 받은 자는 사면을 신청하거나, 또는 사면을 신청하지 않는다는 뜻을 서면으로 표명해야 했다. 그 사면 신청이 기각되어야 비로소 형의 집행이 가능해졌다고 한다.[268]
미하이 포포프는 "차우셰스쿠 부부에 대한 『고소』 내용은 어디까지나 상식을 벗어난 것이었다. 차우셰스쿠 부부는 사형에 처할 가능성이 있는 살인죄로 재판받았어야 했다. 12월 22일 이전 티미쇼아라에서 일어난 일을 고려한다면, 이 판결은 타당하다고 말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살인 교사에 대한 유죄 판결은 대량 학살에 대한 유죄 판결과 달리 전 재산 몰수를 수반하는 것이 아니고, 그것을 실시할 권리도 없는 것이다"라고 말했다.[125] 또한, 포포프는 "차우셰스쿠 부부에 대한 재판은 루마니아의 수치를 전 세계에 드러냈다"고도 명언하고 있다.[125]
역사가 조에 페트레(Zoe Petre)는 "속칭 투르고비슈테 재판은 법률 위반도 심하고, 황당한 고소에 근거하고 있으며, 루마니아의 최근 역사에서 부끄러운 이정표로 남아 있다. 저 재판에는 아무런 법적 가치가 없고, 강도를 극적으로 연출하고, 마치 법에 따라 진행한 것처럼 보이게 한 실패작이다. 루마니아의 새로운 지도자가 될 인물에 대해 차우셰스쿠는 분명 많은 것을 알고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차우셰스쿠는 죽어야 했다"고 말했다.[125]
임시 법정을 설립하고 신속하게 진행시켜 차우셰스쿠 부부를 처형한다는 흐름에 대해, 이온 일리에스쿠는 2009년에 "부끄러운 일이지만, 필요한 일이었다"고 말했지만[269], 그 한편으로는 "나는 차우셰스쿠의 처형을 후회하지 않는다. 그는 악행의 주범이며, 응당한 보복을 받았을 뿐이다"라고도 말하고 있다.[125][270]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위원 중 한 명이었던 미하일 사로멘체프(Михаи́л Соло́менцев)는 차우셰스쿠의 처형에 대해 "나는 차우셰스쿠에게 거부 반응을 느낀 적이 없다. 그의 처형에 대해서는 전혀 불쾌하고, 잔혹하다. 재판도 수사도 기소장도 없지 않은가. 그들이 한 일은 단지 평결을 읽고 두 사람을 밖으로 데리고 나가 총살한 것이다. 어디서부터 어떻게 봐도 법률 위반이 아닌가?"라고 말하고 있다.[271]
루마니아 국립은행 전 총재로 재무부에서 30년 이상 근무했고, 차우셰스쿠와 함께 일한 경험이 있으며, 차우셰스쿠의 좋은 면과 나쁜 면 모두를 알고 있는 데체발 우르다(Decebal Urdea)는 "경제학자로서의 관점에서 보면, 차우셰스쿠가 국민 경제를 약화시켰다는 것은 무리가 있다. 약화라는 것은 자신의 개인적인 목적을 위해 어떤 피해를 입히고, 어떤 이익을 얻는다는 의도적인 행위를 말한다"면서 "차우셰스쿠가 국민 경제를 약화시켰다"는 것은 어리석은 주장이다"라고 단언하고 있다.[125]
1989년 12월 16일부터 22일까지 1104명이 사망하고 3352명이 부상을 입었다. 12월 22일 이후 등록된 희생자의 내역은 805명이 군인(260명 사망, 545명 부상), 138명이 경찰관(65명 사망, 73명 부상)이었다. 법정에 회부된 약 100건의 기소장 외에 검찰은 다른 5395건의 사건을 수사했고, 그중 4881건은 불기소 처분을 했다. 1990년 3월, 신체적 위해를 가하는 폭력 행위는 사면되었다. 불기소 처분된 이유 중 하나로, 이 혁명에서 발포한 군인들의 대부분이 "자신들은 적과 싸우고 있다", 또는 "자위를 위해 싸우고 있다"고 믿고 있었던 점이 있었다.[125] 또한, 시위대에게 발포하도록 명령한 것은 차우셰스쿠가 아니라 빅토르 슈탕클레스쿠였던 것이 밝혀졌다고 한다.[125]
공산 정권이 멸망한 후, 루마니아에서는 1990년 1월 7일에 사형을 폐지했다.[272] 니콜라에와 엘레나는 루마니아에서 사형이 집행된 마지막 존재가 되었다. 또한, 공산주의 체제하의 루마니아에서 사형이 도입된 것은 1957년 9월 30일이었다.[273]
약식 재판 당시, 차우셰스쿠는 "외국 은행에 비밀 계좌를 개설했다"고 말했지만, 그러한 계좌는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 밝혀졌다.[274] 2008년 10월 14일, 루마니아 의회는 조사위원회의 보고서를 채택했다. 국회 특별위원회 위원장 는 "은행가와 중앙은행 총재, 언론인에게 증언을 들은 결과, 『니콜라에 차우셰스쿠가 외국 은행에 비밀 계좌를 가지고 돈을 부정하게 이체했다』는 것을 보여주는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다"고 결론지었다.[125] 보고서에는 "취재를 받은 모든 사람들에게 공통되는 결론은 『차우셰스쿠는 해외에 계좌를 가지고 있지 않았다』이다"라고 적혀 있다.[125]
2010년에 루마니아를 방문한 미하일 고르바초프는 "루마니아의 상황이 아무리 어려웠다고 해도, 차우셰스쿠를 죽였어서는 안 되었다. 그의 죽음은 잔혹하다"고 말했다.[125][275]
루마니아의 언론인 는 "차우셰스쿠 부부는 빅토르 슈탕클레스쿠가 이끄는 공수부대의 손에 잡혔다"고 주장하고 있다.[125] 크리스토이우는 "리비아의 지도자를 암살한 범인들은 정신을 잃었다. 니콜라에 차우셰스쿠를 죽인 자들은 자신들이 하고 있는 일을 충분히 이해한 뒤 행동했다. 무아마르 알 카다피의 암살과는 달리, 니콜라에 차우셰스쿠의 살해는 잔혹한 극악 행위이다"라고 썼다.[125]
9. 역대 선거 결과
니콜라에 차우셰스쿠의 역대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차우셰스쿠는 루마니아의 대통령으로 1974년, 1980년, 1985년에 걸쳐 선출되었다. 각 선거에서 루마니아 공산당 후보로 출마하여 100%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선거명 | 직책명 | 대수 | 정당 | 득표율 | 득표수 | 결과 | 당락 |
---|---|---|---|---|---|---|---|
1974년 선거 | 루마니아의 대통령 | 1대 | 루마니아 공산당 | 100.00% | 465표 | 1위 | |
1980년 선거 | 루마니아의 대통령 | 1대 | 루마니아 공산당 | 100.00% | 369표 | 1위 | 당선 |
1985년 선거 | 루마니아의 대통령 | 1대 | 루마니아 공산당 | 100.00% | 369표 | 1위 | 당선 |
차우셰스쿠는 루마니아의 낮은 출산율을 높이기 위해 770호 법령을 발표하여 낙태와 피임을 제한했다. 이로 인해 인구가 급증했지만, 동시에 아동 유기 문제가 심각해져 고아원 수용 인구가 급증했다. 출산을 장려하기 위한 조치로 정부는 자녀를 낳은 가정에 재정적 지원, 육아휴직 등을 제공했다. 다섯 명 이상의 자녀를 둔 어머니는 상당한 혜택을 받았으며, 열 명 이상의 자녀를 둔 어머니는 "영웅 어머니"로 선포되었다.[30]
1971년 중국, 북한 등을 방문한 차우셰스쿠는 주체사상과 문화 대혁명에 깊은 인상을 받아 귀국 후 북한 체제를 모방하기 시작했다. 1971년 7월, 7월 테제로 알려진 연설에서 당의 "주도적 역할" 강화, 정치 이념 교육 강화 등을 강조하며 1965년 자유화를 비판했다.
1974년 차우셰스쿠는 국가 최고 의사결정권자로서 본격적인 집행부 대통령직을 도입했다. 대통령으로서 그는 국가평의회의 기능을 수행할 권한을 부여받았고, 의회가 휴회 중일 때는 대법원장과 검찰총장을 임명하고 해임할 수 있었다.[35]
1973년 석유 위기 이후 루마니아는 높은 유가로 이익을 얻었지만, 정유 공장 건설 자금이 부족했고, 1977년 지진으로 석유 계획이 지연되었다. 1980년대 초 유가가 폭락하면서 루마니아는 심각한 재정 문제에 직면하게 되었다.[37]
1978년, 이온 미하이 파체파가 미국으로 망명하면서 차우셰스쿠 정권에 큰 타격을 입었다.
시스템화 정책에 따라 기존 마을과 도시의 전부 또는 일부를 철거하고 재건하는 것을 목표로 고밀도 아파트 건설이 진행되었다. 1980년대에는 궁전과 시민 센터(Centrul Civic) 건설에 몰두하여 부쿠레슈티 역사 지구의 상당 부분을 파괴했다. 농촌 재정착 프로그램도 시작되어 농촌 사회 파괴로 이어졌다.[180]
차우셰스쿠는 서방으로부터 자금을 지원받았지만, 경제 개발을 위해 차용한 130억 달러 이상의 외채는 국가 재정을 파탄으로 이끌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외채 상환에 집중하면서 경제가 침체되고 국민 생활 수준이 악화되었다. 1989년 4월, 루마니아는 대외 채무를 완전히 상환했다고 발표했지만, 경제적 파국 직전에 놓였다.[125]
다음은 루마니아의 연도별 대외 총부채 변화를 보여주는 표이다.
1975 | 1980 | 1981 | 1982 | 1983 | 1984 | 1985 | 1986 | 1987 | 1988 | 1989 |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1995 | |
---|---|---|---|---|---|---|---|---|---|---|---|---|---|---|---|---|---|
대외 총부채 (십억 달러) | 2.9 | 9.4 | 10.2 | 9.8 | 8.8 | 7.1 | 6.6 | 6.4 | 5.1 | 2.2 | 0.0 | 0.2 | 2.2 | 3.5 | 4.5 | 5.5 | 6.7 |
순위 | 채무국 | 채무국 | 채무국 | 채무국 | 채무국 | 채무국 | 채무국 | 채무국 | 채무국 | 채권국 | 채권국 | 채권국 | 채권국 | 채무국 | 채무국 | 채무국 | 채무국 |
1987년 브라쇼브에서 대규모 파업이 발생하여 경제 정책에 대한 불만이 표출되었다. 2만 명이 넘는 노동자들이 배급 정책 등에 반대하며 시위를 벌였다. 1989년 3월에는 차우셰스쿠의 정책을 비난하는 "6인의 서한"이 발표되기도 했다.[229]
체우셰스쿠 정권 시기 루마니아의 로마인들은 소외된 채 방치되었으며, "공동 거주 민족" 목록에서 제외되어 민족 집단으로서 정부 대표를 가지지 못했다.
10. Ceaușescu's policies
## Ceaușescu's policies
차우셰스쿠주의는 루마니아 민족주의를 주요 특징으로 한다.[78] 이는 1965년 차우셰스쿠가 권력을 장악하는 데 기여했으며, 이온 게오르게 마우레르 하의 당 지도부가 그를 선택하게 된 배경 중 하나였다. 차우셰스쿠는 과거 공식 노선을 지지했지만, 소브롬(SovRom) 사건 이후 루마니아 사회의 독립에 대한 열망을 구현하게 되었다. 이러한 민족주의적 선택은 당 내부에서 그의 입지를 강화하는 데 활용되었다. 이전에도 게오르기우-데지가 1958년 소련군 철수를 감독하는 등 소극적인 선례가 존재했다.[79]
차우셰스쿠는 소련 이미지를 뒤엎는 여러 저작물의 출판을 장려하며 소련과의 긴장점을 간과하지 않았다. 그는 소련 정책에 의문을 제기하는 더욱 결정적인 조치를 취할 준비가 되어 있었다. 통치 초기에는 루마니아 사회 내부의 정치적 압력을 완화했는데,[80] 이는 1960년대 후반과 1970년대 초가 사회주의 루마니아에서 비교적 자유로운 시기로 평가받는 이유다. 대중의 신뢰를 얻은 차우셰스쿠는 레오니드 브레즈네프의 프라하의 봄 진압에 대해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 1968년 8월 21일, 그는 공개 연설을 통해 바르샤바 조약 기구의 체코슬로바키아 침공을 비난하며 큰 인기를 얻었다.[31] 이 연설은 대중에게 깊은 인상을 주었으며, 서방의 동정과 지원을 얻는 계기가 되었다. 동시에 무장한 소련의 침공 위협이 고조되기도 했으나, 많은 루마니아 젊은이들이 애국 수비대에 가입하여 위협에 대응했다.[81] 1969년에는 리처드 닉슨 미국 대통령이 부쿠레슈티를 방문했는데, 이는 냉전 시작 이후 미국 대통령의 공산국가 방문으로는 처음이었다.
알렉산데르 두브체크의 ''인간적인 얼굴을 한 사회주의'' 버전은 루마니아 공산주의의 목표와는 거리가 있었다. 차우셰스쿠는 잠시 두브체크의 체코슬로바키아와 요시프 브로즈 티토의 유고슬라비아와 동맹을 맺었다. 티토주의의 "독립적인 사회주의 발전"이라는 원칙을 자신의 목표에 맞게 적용했으며, 모스크바의 감시 없이 마르크스주의 목표를 달성하고 있음을 보여주기 위해 자신을 "사회주의" 공화국이라고 선언했다.
체제의 민족주의적 특징은 강화되었고 점차적으로 북한의 ''주체''와 중국의 마오이스트 이상과 융합되었다. 1971년 차우셰스쿠는 중국, 북한, 몽골, 북베트남을 방문하여 북한의 주체사상과 중국의 문화 대혁명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 특히 북한 김일성과 중국 마오쩌둥의 개인숭배에서도 영감을 얻었다.[32] 귀국 직후, 그는 북한 체제를 모방하기 시작했고, 주체에 관한 북한 서적이 루마니아어로 번역되어 전국에 배포되었다.[33] 같은 해, 내부 반대 세력이 완전히 제거된 당은 서구 모델 전반에 대한 차우셰스쿠의 멸시를 표현하는 ''7월 테제''를 승인했다. 1974년 제11차 당 대회는 루마니아 문화에 대한 당의 통제를 강화하여 차우셰스쿠의 민족주의 원칙을 향하게 했다.[82] 특히 루마니아 역사가들이 다키아인을 "조직되지 않은 국가"로 언급할 것을 요구했는데, 이는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이어지는 정치적 연속선의 일부였다.[82] 또한 도시 이름에 다키아 또는 로마 버전을 추가하기 시작했다( 투르누 세베린에 "드로베타", 클루지에 "나포카").[83]
차우셰스쿠는 독립적인 "국가 공산주의" 노선을 유지했지만, 국가에 대한 그의 절대적인 통제와 그를 둘러싼 인격 숭배의 강도로 인해 많은 비루마니아 관찰자들은 그의 통치를 구식 스탈린주의 체제에 가장 가까운 것으로 묘사했다.[84]
니콜라에 차우셰스쿠는 현대 루마니아 포퓰리즘 수사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말년에는 친-나치 독재자 이온 안토네스쿠의 이미지를 복원하기 시작했다. 헝가리와의 갈등은 여러 가지 특이한 측면이 있었는데, 공식적으로 사회주의 국가 사이의 논쟁이었을 뿐만 아니라, 헝가리가 루마니아에 대한 제재를 취하도록 유럽 안보 협력 기구에 호소한 순간을 기록하기도 했다. 이는 1980년대 후반이 마르크스주의보다는 민족주의적 전통에 더 의존하는 반헝가리 담론과 루마니아의 고립으로 특징지어졌음을 의미한다.[85]
차우셰스쿠는 모든 형태의 ''페레스트로이카''와 ''글라스노스트''에 대한 강력한 반대 때문에 미하일 고르바초프와 대립했다. 그는 다른 바르샤바 조약 국가들이 고르바초프의 개혁에 대한 자체 버전을 시도하기로 결정했을 때 매우 불쾌해했으며, 심지어 폴란드에 대한 바르샤바 조약 침공을 촉구하기까지 했다.[86] 고르바초프는 차우셰스쿠를 "루마니아 총통"이라고 부르며 그에 대한 불쾌감을 감추지 않았다.[62]
1989년 11월, 제14차이자 마지막 루마니아 공산당 대회에서 차우셰스쿠는 몰로토프-리벤트로프 조약을 규탄하고 그 결과를 무효화할 것을 요구했다. 사실상 이것은 소련에 의해 점령된 베사라비아와 북부 부코비나의 반환을 요구하는 것이었다.
1973년 석유 위기로 시작된 높은 유가 시대는 1970년대 후반까지 이어졌다. 루마니아는 주요 석유 장비 생산국으로서 높은 유가로 상당한 이익을 얻었고, 이는 차우셰스쿠가 야심찬 정유 공장 투자 계획을 세우는 계기가 되었다. 차우셰스쿠는 루마니아를 유럽 최대의 정유국으로 만들고자 했으나, 1977년 브란차 지진으로 부카레스트의 많은 지역이 파괴되면서 석유 계획은 지연되었다.[37] 1980년대 초 정유 공장이 완공될 무렵 유가가 폭락하면서 루마니아는 심각한 재정 문제에 직면하게 되었다.[37] 1977년 8월에는 저임금과 열악한 작업 환경에 항의하며 지우 강 계곡에서 광부 파업이 발생하기도 했다.[20] 차우셰스쿠는 결국 타협안을 통해 파업을 해결했다.[20]
차우셰스쿠는 외교 관계에서 독자적인 정책을 계속 추진했다. 1984년 루마니아는 소련 주도의 보이콧에도 불구하고 1984년 하계 올림픽에 참가한 몇 안 되는 공산 국가 중 하나였다. 루마니아는 동구권 국가 중 서구권 및 유럽 공동체와 공식 관계를 맺은 최초의 국가였으며, 1978년에는 영국을 국빈 방문하여 브리티시 에어로스페이스 간에 대규모 라이선스 계약이 체결되었다.[38] 또한 발칸 국가들 간의 지속적인 긴장 완화를 지지하며 그리스 군사 독재 정권과 우호적인 관계를 맺기도 했다.[87] 차우셰스쿠의 루마니아는 1967년 6일 전쟁이 시작될 때 이스라엘이 이집트를 공격한 후에도 이스라엘과 외교 관계를 유지한 유일한 동구권 국가였다.[89] 마찬가지로 루마니아는 소련과 다른 동맹국들이 1980년 모스크바 하계 올림픽에 대한 보이콧에 대한 보복으로 보이콧한 1984년 로스앤젤레스 하계 올림픽에 참가한 유일한 동구권 국가였다. 차우셰스쿠의 루마니아는 1973년 칠레 쿠데타 이후 칠레와의 외교 관계를 단절하지 않은 유일한 바르샤바 조약 기구 국가였다.[90]
1978년에는 세쿠리타테의 고위 간부였던 이온 미하이 파체파가 미국으로 망명하면서 차우셰스쿠 정권에 큰 타격을 입혔다.
시스템화는 차우셰스쿠 정권 하에 시행된 도시 계획 프로그램으로, 1974년부터 시작되어 기존 마을과 도시의 전부 또는 일부를 철거하고 재건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1980년대에는 궁전과 시민 센터(Centrul Civic) 건설에 몰두하여 부쿠레슈티 역사 지구의 상당 부분을 파괴했다. 1988년에는 대규모 농촌 재정착 프로그램이 시작되어 농촌 가구를 대량으로 제거하고 주민들을 집단 거주지로 이주시켰다. 또한 차우셰스쿠 정권 시대에 교회와 수도원 건물의 철거가 자행되기도 했다.[186]
차우셰스쿠는 경제 개발을 위해 서방으로부터 130억 달러 이상을 차용했지만, 이는 국가 재정을 파탄으로 이끌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루마니아의 외채를 상환하기로 결심하고, 1986년 군사 국민투표를 통해 헌법을 개정하여 루마니아가 외국으로부터 대출을 받는 것을 금지하는 조항을 추가했다.[42] 1980년대 후반, 외채 상환은 최우선 정책이 되었고, 그 결과 경제는 침체되고 경제 위기가 발생했다. 노후화된 장비와 높은 에너지 소비로 산업 능력이 약화되었고, 국민 생활 수준은 크게 악화되었다. 1989년 3월까지 외채가 사실상 전액 상환되었으며, 1990년판 CIA 월드 팩트북은 1989년 중반 기준 루마니아의 외채를 "없음"으로 기록했다.[45]
1973년 10월, 사우디아라비아가 이끄는 아랍 석유 수출국 기구(OAPEC) 회원국들이 이스라엘을 지지한 국가들을 대상으로 석유 금수 조치를 선포하면서 루마니아 경제도 침체에 빠졌다.[206] 루마니아는 석유 제품 수출 확대와 석유화학 산업 수요 충족을 위해 국내에서 처리되는 석유량을 급증시켰다. 1975년, 미국은 루마니아에 무역에서 최혜국 대우를 부여했고,[125] 1971년에는 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 협정(GATT)에 가입했다.[125]
1977년 6월 30일, 광산 노동자의 정년을 연장하고 장애 연금을 폐지하는 법령이 제정되면서 루페니에서 파업이 발생하기도 했다.[125]
다음은 루마니아의 연도별 대외 총부채 변화를 보여주는 표이다.
1975 | 1980 | 1981 | 1982 | 1983 | 1984 | 1985 | 1986 | 1987 | 1988 | 1989 |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1995 | |
---|---|---|---|---|---|---|---|---|---|---|---|---|---|---|---|---|---|
대외 총부채 (십억 달러) | 2.9 | 9.4 | 10.2 | 9.8 | 8.8 | 7.1 | 6.6 | 6.4 | 5.1 | 2.2 | 0.0 | 0.2 | 2.2 | 3.5 | 4.5 | 5.5 | 6.7 |
순위 | 채무국 | 채무국 | 채무국 | 채무국 | 채무국 | 채무국 | 채무국 | 채무국 | 채무국 | 채권국 | 채권국 | 채권국 | 채권국 | 채무국 | 채무국 | 채무국 | 채무국 |
1984년 10월에 계획되었던 쿠데타 시도는 쿠데타를 실행할 임무를 맡았던 군 부대가 대신 옥수수 수확에 투입되면서 실패했다.[53]
1987년 11월 14일, 브라쇼브에서 노동자들이 경제 정책과 배급 정책에 반대하여 시위를 벌였다. 시위는 세쿠리타테 부대와 군대에 의해 진압되었고, 시위대는 체포되어 처벌을 받았다. 1989년 3월 10일에는 차우셰스쿠의 정책을 비난하는 "6인의 서한"이 발표되기도 했다.[229]
체우셰스쿠 정권 시기 루마니아의 로마인들은 소외된 채 방치되었으며, "공동 거주 민족" 목록에서 제외되어 민족 집단으로서 정부 대표를 가지지 못하게 되었다.[56]
차우셰스쿠의 정책들은 루마니아의 민족주의를 고취하고 외교적 독립을 추구하는 데 기여했지만, 과도한 경제 개발과 외채 상환 정책은 국민 생활 수준을 악화시키고 사회적 불만을 야기했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이러한 정책들은 결국 1989년 루마니아 혁명의 배경이 되었다. 한국의 입장에서 볼 때, 차우셰스쿠의 정책들은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을 모두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의 자주적인 외교 노선은 본받을 만하나, 경제 정책의 실패는 반면교사로 삼아야 할 것이다.
10. 1. Decree 770
1966년 10월, 니콜라에 차우셰스쿠는 루마니아의 낮은 출산율을 높이기 위해 낙태와 피임을 제한하는 770호 법령을 발표했다.[28] 정부는 증가하는 이혼율을 억제하기 위해 이혼을 더욱 어렵게 만들었고, 예외적인 경우에만 이혼이 가능하도록 했다. 1960년대 후반, 인구가 급증하기 시작했지만, 동시에 아동 유기 문제가 심각해져 고아원 수용 인구가 급증했다(1980년대-1990년대 루마니아 고아 현상 참고). 많은 아이들이 정신적 및 신체적 결함을 겪었다(치히드 참고).[29]출산을 장려하기 위한 조치로 정부는 자녀를 낳은 가정에 대한 재정적 지원, 보장된 육아휴직, 직장에 복귀한 어머니를 위한 육아 지원, 여성의 직장 보호, 임신 및 출산 후 모든 단계에서 광범위한 의료 관리 접근 등을 제공했다. 특히 의료 관리는 농촌 지역에서도 모든 임산부가 자격을 갖춘 의사의 관리를 받을 수 있도록 하여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다. 필요한 경우, 의사가 직접 가정을 방문하기도 했다.[30] 다섯 명 이상의 자녀를 둔 어머니는 상당한 혜택을 받았으며, 열 명 이상의 자녀를 둔 어머니는 루마니아 국가에 의해 "영웅 어머니"로 선포되었다.
1966년 10월 1일, 차우셰스쿠는 낙태와 피임을 금지하는 「770호 법령」을 새로 제정하고, 10월 2일, 국가평의회 의장 키브 스토이카의 서명을 거쳐 법률이 공포되었다.[173] 이는 1957년에 낙태를 허용하는 법령을 폐지하는 것이었다. 자녀가 없는 여성의 낙태를 금지하고, 자녀가 없는 25세 이상의 여성과 남성에게는 약 30%의 소득세를 부과했다.[174] 자녀가 5명 미만인 여성에 대한 피임약 판매가 금지되었고, 이혼은 예외적인 경우에만 허용되었다. 5명 이상의 자녀를 낳은 여성에게는 국가로부터 물자 지원을 받을 권리가 주어졌고, 10명 이상 낳은 경우에는 「어머니 영웅」 훈장을 수여받았다.[125] 그러나 많은 여성들은 원치 않는 임신을 피하기 위해 비밀리에 낙태를 시도하여 부상을 입거나 사망하는 경우가 발생했다.[125]
차우셰스쿠는 "아이를 갖는 것을 피하는 자는 국가 법률을 위반하는 탈영병이다"라고 말하며 강압적인 정책을 폈다. 당시 루마니아 국민이 속칭 "월경 경찰"이라고 불렀던 공무원 앞에서 여성들은 임신 여부를 확인받아야 했다. 1986년, 공산주의 청년단 조직원들은 일반 가정을 방문하여 거주 여성들에게 성행위 빈도를 질문했고, 자녀가 없는 경우 "왜 아직 임신하지 않았는가"를 자세히 설명해야 했다. 만족스러운 설명을 하지 못하면 월수입의 10%에 해당하는 독신세가 부과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강압적인 정책은 바람직한 결과를 가져오지 못했고, 모든 임신 중 약 60%가 낙태로 끝났다.[125] 약 1만 명의 루마니아 여성이 비밀리에 낙태를 시도하여 합병증으로 사망했다고 한다.[125]
이 법으로 루마니아 인구는 증가했지만, 동시에 수천 명의 아이들이 고아원에 버려져 고아 수가 증가했을 뿐만 아니라,[125] HIV 감염까지 증가했다.[175] 고아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국영 "시설"이 만들어졌지만, 과밀 상태에 직원 수는 부족하여 아이들의 가장 기본적인 요구조차 충족하지 못했다.[176] 1966년부터 1967년까지 루마니아의 출생아 수는 거의 두 배로 늘었지만, 1970년대에 들어 다시 감소했다. 1990년대 초 루마니아에서는 약 10만 명의 아이들이 의료적 태만, 무관심, 시설 부족 등으로 인해 비참한 상황의 고아원에서 생활하고 있었다.[177] 당시 루마니아는 출산율과 유아 사망률 모두 유럽에서 가장 높았고,[125] 콘돔 밀수가 증가했다.[178]
에이즈 감염이 폭발적으로 확산된 원인 중 하나는 만료된 주사기로 인한 주사와 혈액의 미량 수혈이었다.[125] 차우셰스쿠는 루마니아에서 에이즈가 만연했던 사실에 대해 "자본주의 사회 특유의 현상"으로 간주하며 이데올로기적 이유로 HIV 감염 확산 문제를 무시했다. 1980년대 루마니아에서는 HIV 검사가 실시되지 않았다.
내무장관 알렉산드루 드러기치는 차우셰스쿠와 대립하여 숙청되었지만, 차우셰스쿠가 공포한 이 낙태 금지령에 대해서는 지지를 표명했고, 출산주의를 포함한 다른 정책 면에서 차우셰스쿠와 드러기치의 의견이 일치한 적도 있다.[179]
이 법률은 1989년 12월 26일 폐지되었다.
10. 2. Speech of 21 August 1968
차우셰스쿠의 1968년 8월 21일 연설은 니콜라에 차우셰스쿠 통치의 절정을 보여주는 사건이었다.[31] 이 연설은 차우셰스쿠의 인기가 최고조에 달했던 시점을 나타내는데, 그는 이 연설에서 바르샤바 조약 기구의 체코슬로바키아 침공을 공개적으로 비난했다.10. 3. July Theses
차우셰스쿠는 1971년 중국, 북한, 몽골, 북베트남을 방문했는데, 특히 북한의 주체와 중국의 문화 대혁명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 그는 북한 김일성과 중국 마오쩌둥의 개인숭배에서도 영감을 얻었다.[32] 언론인 에드워드 베어는 차우셰스쿠가 마오와 김일성을 국가를 완전히 장악하고, 전체주의적 방법과 극단적 민족주의를 공산주의와 결합하여 중국과 북한을 주요 강국으로 변모시킨 지도자로 존경했다고 주장했다.[32] 김일성과 마오쩌둥이 소련의 통제에서 벗어났다는 점 또한 차우셰스쿠에게는 매력적인 요소였다. 영국 언론인 에드워드 베어에 따르면, 엘레나 차우셰스쿠는 마오쩌둥의 부인 장칭과 친분을 맺었다고 한다.[32] 베어는 차우셰스쿠가 중국과 북한에서 본 것이 "잘 속는 외국 손님을 속이기 위한 거대한 포템킨 마을"일 가능성은 전혀 고려하지 않았던 것 같다고 평가했다.[32] 귀국 직후 그는 북한 체제를 모방하기 시작했고, 주체에 관한 북한 서적이 루마니아어로 번역되어 전국에 배포되었다.[33]
1971년 7월 6일, 차우셰스쿠는 루마니아 공산당 중앙위원회 앞에서 연설을 했는데, 이 마오이즘적인 연설은 7월 테제로 알려지게 되었으며 17가지 제안을 담고 있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당의 "주도적 역할" 강화, 당 교육 및 대중 정치 활동 개선, "애국적 활동"의 일환으로 대규모 건설 프로젝트에 청소년 참여 확대, 학교, 대학교, 아동, 청소년 단체에서의 정치 이념 교육 강화, 라디오, 텔레비전, 출판사, 극장, 영화관, 오페라, 발레, 예술가 연합회를 활용한 정치 선전 확대, 예술 작품에서 "투쟁적이고 혁명적인" 성격 강조 등이다. 또한 1965년 자유화를 비판하고 금서 및 저자 목록을 재수립했다.
7월 테제는 루마니아에서 "소규모 문화 혁명"의 시작을 알리며 문화적 자율성에 대한 신스탈린주의적 공세를 시작했다. 이는 당이 오랫동안 고수해 온 문학에 대한 이데올로기적 기반을 재확인하는 것이었다. "사회주의적 휴머니즘"이라는 이름으로 포장되었지만, 실제로는 사회주의 리얼리즘으로의 회귀와 순응하지 않는 지식인에 대한 공격을 의미했다. 인문학 및 사회 과학 분야에서 엄격한 이데올로기적 순응이 요구되었다.
1972년 연설에서 차우셰스쿠는 "당과 국가 활동의 특정한 융합... 장기적으로 우리는 당, 국가 및 기타 사회 기구 활동의 더욱 긴밀한 융합을 목격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사회주의 교육 및 문화위원회와 같이 동유럽의 다른 공산 국가에는 없는 당-국가 공동 기구가 설립되었고, 루마니아 공산당은 국가의 일상생활에 깊숙이 관여하게 되었다. 1974년 루마니아 공산당 강령은 사회의 구조적 변화만으로는 국민에게 완전한 사회주의 의식을 심어줄 수 없으며, 사회를 이끄는 사회주의 가치를 인구 전체가 인식해야 완전한 사회주의 의식을 가질 수 있다고 선언했다. 공산당은 인구를 "계몽"하는 기관이었고, 영국 역사가 리처드 크램프턴에 따르면 당은 "국가와 사회, 개인과 집단을 통합하고 '당원의 사회생활 전반에 대한 점점 더 유기적인 참여'를 촉진"하는 역할을 했다.[34]
1989년 10월경부터 니콜라에 차우셰스쿠의 권력 남용을 비판하는 서한이 전국적으로 유포되기 시작했다. 학자, 작가, 공산당 간부들이 서명에 참여했는데, 그중에는 이후 구국전선평의회 의장을 역임한 이온 일리에스쿠도 있었다.[125] 서한에는 "11월에 개최되는 제14차 당 대회에서 차우셰스쿠의 재선을 막아야 한다", "이 광인 부부에게 항의의 목소리를 높여라"는 내용이 담겨 있었다. 1989년 11월 20일부터 11월 24일까지 루마니아 공산당 제14차 당 대회가 개최되었다. 11월 20일, 차우셰스쿠는 당 대회에서 6시간에 걸쳐 보고서를 낭독했다. 11월 24일, 그는 3308표 만장일치로 루마니아 공산당 서기장에 재선되었고,[233] 공산당 서기장을 포함한 모든 직책에서 재선되었다. 참석자들은 자리에서 일어나 차우셰스쿠에게 박수갈채를 보냈다.[234] 차우셰스쿠는 제14차 당 대회에서 미하일 고르바초프의 페레스트로이카를 "사회주의를 붕괴시키고 공산당의 붕괴로 이어질 것"이라고 비판했다.[125] 이후 소련은 차우셰스쿠를 "독재자", "스탈린주의자"라고 불렀고, 1988년 이후 미국과 영국 언론은 "차우셰스쿠의 존재는 서방과 고르바초프 모두에게 문제가 되고 있다", "루마니아가 '페레스트로이카'에 반대하는 모든 사회주의 국가를 결집시킬 가능성이 있다"고 보도했다.[125] 1988년 10월, 차우셰스쿠는 모스크바에서 고르바초프와 회담을 가졌지만, "루마니아는 사회주의의 단계적 폐지를 의미하는 '페레스트로이카'를 거부했다"고 보도되었다.[125]
차우셰스쿠는 1989년 가을부터 겨울에 걸쳐 세계 각국의 대표단을 만나 취재에 응했고, 루마니아 국내 여러 기업을 방문하여 칭호를 받았다. 생산 담당자들의 이야기를 들으면서 국내 정세에 대해 많은 것을 알고 있었다고 한다.[125]
10. 4. President of the Socialist Republic of Romania
차우셰스쿠는 1967년부터 국가 원수였으나, 명목상 동등한 자들 중 첫 번째일 뿐이었으며, 실질적인 권력은 당 지도자로서의 지위에서 비롯되었다. 그러나 1974년 차우셰스쿠는 국가 최고 의사결정권자로서 본격적인 집행부 대통령직을 도입했다. 그는 1974년에 이 직책에 처음 당선되었으며, 1989년까지 5년마다 재선되었다.
대통령으로서 그는 전원회의를 필요로 하지 않는 국가평의회의 기능을 수행할 권한을 부여받았다. 또한 의회가 휴회 중일 때는 대법원장과 검찰총장을 임명하고 해임할 수 있었다.[35] 사실상 1974년 이후 차우셰스쿠는 빈번하게 법령으로 통치하였다.[36]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는 명목상 전체 국가평의회에 위임된 많은 권력과 기능을 탈취했다.[36]
사실상 차우셰스쿠는 이제 국가의 모든 통치권을 장악했으며, 거의 모든 당과 국가 기관이 그의 의지에 복종했다. 민주적 중앙집중주의 원칙과 의회의 드문 회의(연 2회 전체 회의 개최)를 감안할 때, 그의 결정은 모든 목적을 위해 법적 효력을 가졌다.
10. 5. Oil embargo, strike and foreign relations
1973년 석유 위기(1973~74년 아랍 석유 금수 조치)로 시작된 높은 유가 시대는 1970년대 후반까지 이어졌다. 루마니아는 주요 석유 장비 생산국으로서 높은 유가로 상당한 이익을 얻었고, 이는 차우셰스쿠가 야심찬 정유 공장 투자 계획을 세우는 계기가 되었다. 차우셰스쿠는 루마니아를 유럽 최대의 정유국으로 만들고자 자국산 석유뿐 아니라 이라크, 이란 등 중동 국가의 석유를 정제하여 로테르담 현물 시장에서 판매하려 했다.[37] 그러나 루마니아는 정유 공장 건설 자금이 부족했고, 차우셰스쿠는 높은 유가로 얻은 이익을 제3세계 원조에 사용하여 국제적 영향력을 확보하려 했다. 그는 서방 은행에서 많은 돈을 빌렸는데, 이는 석유 판매 이익이 대출금 상환액보다 많을 것이라는 계산 때문이었다.[37] 1977년 브란차 지진으로 부카레스트의 많은 지역이 파괴되면서 석유 계획은 지연되었다.[37] 1980년대 초 정유 공장이 완공될 무렵 유가가 폭락하면서 루마니아는 심각한 재정 문제에 직면하게 되었다.[37]
1977년 8월, 3만 명이 넘는 광부들이 저임금과 열악한 작업 환경에 항의하며 지우 강 계곡에서 파업을 벌였다.[20] 1977년 지우 계곡 광부 파업은 1980년대 후반 이전 차우셰스쿠 정권에 대한 가장 중요한 반대 시위였다. 파업에 참여한 광부들은 1970년 12월 폴란드 발트해 연안에서 발생한 유사한 파업에서 영감을 받았으며, 폴란드와 마찬가지로 루마니아 광부들은 자국의 지도자와 직접 협상할 것을 요구했다.[20] 파업 3일째 차우셰스쿠가 광부들 앞에 나타났을 때, 그는 "붉은 부르주아를 타도하라!"는 함성을 들었다.[20] 차우셰스쿠는 결국 타협안을 통해 파업을 해결했다.[20] 파업 이후 여러 지도자들이 사고와 "조기 질병"으로 사망했는데, ''세쿠리타테''가 의사들에게 파업 지도자들에게 5분짜리 흉부 X선 촬영을 하여 암 발생을 유도했다는 소문이 돌았다.[20]
차우셰스쿠는 외교 관계에서 독자적인 정책을 계속 추진했다. 1984년 루마니아는 소련 주도의 보이콧에도 불구하고 1984년 하계 올림픽에 참가한 몇 안 되는 공산 국가 중 하나였다(중화인민공화국,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포함).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은 동구권 국가 중 서구권 및 유럽 공동체와 공식 관계를 맺은 최초의 국가였다. 루마니아를 공동체의 일반 특혜 시스템에 포함시키는 협정이 1974년에 체결되었고, 1980년에는 산업 제품에 관한 협정이 체결되었다. 1975년 4월 4일 차우셰스쿠는 일본을 방문하여 히로히토 천황을 만났다. 1978년 6월 차우셰스쿠는 영국을 국빈 방문하여 루마니아 정부와 브리티시 에어로스페이스 간에 80대가 넘는 BAC 원-일레븐 항공기 생산에 대한 2억 파운드 규모의 라이선스 계약이 체결되었다. 당시 이 계약은 두 국가 간 민간 항공기 거래 중 최대 규모였다고 한다.[38] 이는 공산당 국가 수반의 영국 최초 국빈 방문이었으며, 차우셰스쿠는 여왕으로부터 기사 작위를 받았으나, 1989년 사망 전날 취소되었다.[39][40] 1983년에는 미국 부통령 조지 H. W. 부시가, 1985년에는 미국 국무장관 조지 슐츠가 루마니아 독재자를 칭찬하기도 했다.[41]
차우셰스쿠는 발칸 국가들 간의 지속적인 긴장 완화를 가장 열렬히 지지하는 사람들 중 한 명이었으며,[87] 발칸 국가들 간의 협력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극렬한 반공주의 국가인 그리스의 그리스 군사 독재 정권과 우호적인 관계를 맺을 정도였다.[88]
차우셰스쿠의 루마니아는 1967년 6일 전쟁이 시작될 때 이스라엘이 이집트를 공격한 후에도 이스라엘과 외교 관계를 유지한 유일한 동구권 국가였으며, 소련의 불만을 샀다.[89] 차우셰스쿠는 팔레스타인 해방기구와 이스라엘 간의 중재자 역할을 하려고 노력했다.
마찬가지로 루마니아는 소련과 다른 동맹국들이 1980년 모스크바 하계 올림픽에 대한 미국 주도의 보이콧에 대한 보복으로 보이콧한 1984년 로스앤젤레스 하계 올림픽에 참가한 유일한 동구권 국가였다.
차우셰스쿠의 루마니아는 1973년 칠레 쿠데타 이후 칠레와의 외교 관계를 단절하지 않은 유일한 바르샤바 조약 기구 국가였다.[90]
니콜라에 차우셰스쿠는 독재자 모부투 세세 세코(자이르)의 측근이자 친구였다. 그들의 관계는 국가 간의 관계를 넘어, 각각의 정치 기구인 혁명 인민 운동(MPR)과 루마니아 공산당(PCR) 간의 당 대 당 관계였다. 차우셰스쿠의 죽음은 1990년 모부투가 자이르를 "민주화"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고 보는 시각도 있다.[91]
차우셰스쿠는 루마니아 인민군 규모를 5% 감축하기 위해 가짜 국민투표를 조직했다.[92] 그는 또한 "인민 민주주의"의 허울을 유지하기 위한 정책에 따라 평화를 위한 대규모 집회를 개최하도록 명령했다.
10. 6. Pacepa defection
1978년, 루마니아 정치경찰 세쿠리타테의 고위 간부였던 이온 미하이 파체파가 미국으로 망명했다. 그는 중장 계급의 장교였으며, 냉전 시대 동구권에서 가장 고위급 망명자였다.[125] 그의 망명은 차우셰스쿠 정권에 큰 타격을 입히며 루마니아의 국가 안보 체계 개편을 강요했다.1978년 7월, 파체파는 차우셰스쿠의 지시로 서독으로 향했고, 그곳에서 헬무트 슈미트 서독 총리에게 비밀리에 연락하여 본에 있는 미국 대사관을 통해 미국으로의 망명을 요청했다.[125] 지미 카터 미국 대통령은 파체파의 망명 요청을 공식적으로 승인했다. 차우셰스쿠는 파체파의 배신에 격분하여 정신적으로 붕괴되었으며, 파체파에게 국가반역죄로 2건의 사형 선고를 내리고 그의 재산을 몰수하며 200만 달러의 현상금을 걸었다고 발표했다. 차우셰스쿠는 파체파를 찾아내어 죽이라는 지시를 내렸으나 실패로 끝났다.
1987년, 파체파는 저서 "Red Horizons: Chronicles of a Communist Spy Chief"(붉은 지평선: 공산주의 첩보 책임자의 기록)를 출판했다. 이 책은 파체파가 차우셰스쿠의 측근으로 일하던 시절의 다양한 사건들을 그의 기억을 바탕으로 영어로 상세히 서술한 것으로, 차우셰스쿠 정권이 아랍 테러 조직과 협력했던 이야기, 미국의 산업에 대한 첩보 활동, 서방 국가들로부터 정치적 지지를 얻기 위한 계획 등을 밝히고 있다. 이 책은 27개국에서 출판되었다.[181]
파체파는 2021년 COVID-19에 감염되어 사망했다.[182][183]
10. 6. 1. Systematization: demolition and reconstruction
시스템화Sistematizarearo는 니콜라에 차우셰스쿠 정권 하에 시행된 도시 계획 프로그램이었다. 1971년 북한 방문 후 차우셰스쿠는 북한의 주체사상 이념에 감명을 받아 대규모 캠페인을 시작했다.[180]1974년부터 시작된 시스템화는 루마니아를 "다각적으로 발전된 사회주의 사회"로 만들겠다는 명분하에 기존 마을과 도시의 전부 또는 일부를 철거하고 재건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이 정책은 주로 고밀도 아파트(블로쿠리, blocuriro)의 대량 건설로 진행되었다.
1980년대에 차우셰스쿠는 전례 없는 규모의 궁전과 그에 걸맞는 웅장한 지역인 시민 센터(Centrul Civic) 건설에 몰두했다. 1980년대의 대규모 철거는 부쿠레슈티 역사 지구 8km²에 달하는 지역을 파괴했는데, 여기에는 수도원, 교회, 회당, 병원, 그리고 유명한 아르데코 양식의 스포츠 경기장 등이 포함되었다. 이는 웅장한 시민 센터(Centrul Civic)와 공화국 의사당(현재 공식 명칭은 의회궁(Palace of Parliament))을 건설하기 위한 것이었으며, 시스템화 정책의 가장 극단적인 모습이었다.
1988년에는 대규모 농촌 재정착 프로그램이 시작되었다. 1972년부터 니콜라에 차우셰스쿠는 도시와 농촌 지역을 “체계화”하는 사업을 시작했다. “다국간으로 발전된 사회주의 사회를 건설하는” 중요한 단계로 선전된 이 사업 계획에 따라 농촌 가구를 대량으로 제거하고 주민들을 집단 거주지로 이주시켰다. 농촌의 해체는 루마니아 농촌 사회의 파괴로 이어졌다. 1984년, 9년의 세월을 거쳐 도나우-흑해 운하(Canalul Dunăre–Marea Neagră)가 개통된 후, 수도 부쿠레슈티와 흑해 사이의 해군 수송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도나우-부쿠레슈티 운하(Canalul Dunăre-București) 건설 계획이 제기되었다. 1986년 공사가 시작되었지만, 1989년 12월 혁명으로 차우셰스쿠 정권이 붕괴되면서 이 사업은 중단되었다. 도나우-부쿠레슈티 운하 건설과 체계화 “사업 계획”은 미허일레슈티우 지역 주민들을 공포에 떨게 했다. 1989년 말까지 차우셰스쿠는 이 지역의 농촌 대부분을 파괴하려 했다. 약 7,000~8,000개의 농촌 마을이 루마니아 지도에서 사라졌고, 남은 마을들도 파괴되었다.[180]
차우셰스쿠 정권 시대에 교회와 수도원 건물의 철거가 자행되었다. 수도 부쿠레슈티에서는 23개의 교회가 해체되었다.[186]
교회 해체에는 그의 아내 엘레나도 관여했다. 1987년 6월 13일, 엘레나는 부쿠레슈티에 있던 'Biserica „Sfânta Vineri”-Herasca'('성금요일 헤라스카 교회')의 해체를 명령했다. 그녀는 그 자리에서 "Jos porcăria!ro"("멸망하라!")라고 외쳤다고 한다. 이듬해 7월, 교회는 철거되었다. 이후 이 교회는 원래 있던 자리에서 150 m 떨어진 곳에 재건되었다. 부쿠레슈티에서는 23개의 교회가 공산주의자들에 의해 철거되었으며, '성금요일 헤라스카 교회'는 17번째로 파괴된 교회였다.[187]
10. 7. Foreign debt
차우셰스쿠는 소련에 대한 정치적 독립과 1968년 체코슬로바키아 침공에 대한 반대로 서방의 관심을 끌었다. 서방 정부는 차우셰스쿠를 소련 반대파로 여겨 자금을 지원하며 바르샤바 조약에 균열을 내기를 기대했지만, 차우셰스쿠는 이 자금 지원이 항상 호의적인 것만은 아님을 간과했다. 그는 경제 개발을 위해 서방으로부터 130억 달러 이상을 차용했지만, 이는 국가 재정을 파탄으로 이끌었다. 또한 이란으로부터 저렴한 석유 거래를 성사시켰으나, 샤가 실각하며 거래는 무산되었다.[125]이를 해결하기 위해 차우셰스쿠는 루마니아의 외채를 상환하기로 결심하고, 1986년 군사 국민투표를 통해 헌법을 개정하여 루마니아가 외국으로부터 대출을 받는 것을 금지하는 조항을 추가했다. 국민투표는 거의 만장일치로 "찬성" 투표를 얻었다고 발표되었다.[42]
루마니아는 상업 은행에 대한 모든 채무를 전액 상환한 기록을 세웠다.[43] 1980년대 후반, 외채 상환은 최우선 정책이 되었고, 그 결과 경제는 침체되고 경제 위기가 발생했다. 노후화된 장비와 높은 에너지 소비로 산업 능력이 약화되었고, 국민 생활 수준은 크게 악화되었다. 산업에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해 가정의 에너지 사용을 제한하고, 어떤 희생을 치르더라도 수출을 장려하고 수입을 줄였다. 1988년에는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산업 생산이 감소하면서 실질 GDP가 0.5% 감소했지만, 순외국 잔액은 10년 만에 최고치(GDP의 9.5%)에 도달했다. 1989년에는 심각한 물자 부족과 노후화된 자본재로 인해 GDP가 5.8% 더 감소했다. 1989년 3월까지 중장기 외채를 포함한 모든 외채가 사실상 전액 상환되었으며, 100만 달러 미만의 잔액은 단기 신용으로 구성되었다. 1989년 법령은 루마니아 기업이 외채를 끌어들이는 것을 법적으로 금지했다.[44] 1990년판 CIA 월드 팩트북은 1989년 중반 기준 루마니아의 외채를 "없음"으로 기록했다.[45]
1973년 10월, 사우디아라비아가 이끄는 아랍 석유 수출국 기구(OAPEC) 회원국들이 제4차 중동 전쟁에서 이스라엘을 지지한 국가들을 대상으로 석유 금수 조치를 선포했다.[206] 이로 인해 루마니아 경제도 침체에 빠졌다. 루마니아는 연간 약 1,000만~1,100만 톤의 석유를 생산했지만, 1980년대 초에는 생산량의 거의 2배에 달하는 석유를 처리하고 있었다.[125] 석유 제품 수출 확대와 석유화학 산업 수요 충족을 위해 국내에서 처리되는 석유량이 급증하여 1982년 2,260만 톤에서 1989년 3,060만 톤으로 증가했다.[125]
급속한 경제 발전으로 루마니아는 자국의 에너지 자원만으로는 산업과 생산을 감당할 수 없게 되어 외국에서 석유를 수입하기 시작했다. 루마니아의 석유 생산량은 1970년대 초반에는 연평균 10% 증가했지만, 10년 후에는 3% 이하로 떨어졌다. 루마니아가 수출하는 제품 가격은 서구 제품의 3~4배에 달했다. 차우셰스쿠는 루마니아를 떠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허가증을 판매했던 게오르기우-데지의 방식을 떠올려 이스라엘로 향하는 유대인들을 위해 허가증을 발급하고, 그 대가로 이스라엘은 루마니아에 양계장 5개를 건설하고 유대인을 맞이할 때마다 루마니아에 돈을 지불했다.[125] 당시 루마니아에 살던 독일인이 서독으로 갈 경우, 서독은 독일인 1인당 5,000 마르크를 루마니아에 지불했다.[125] 또한 루마니아는 소련제 "폐기된" 무기 시험품을 미국에 판매하여 외화 수입을 얻었다. 과거 미국은 소련의 T-72 전차를 구입한 적이 있었다.[125] 차우셰스쿠는 이러한 수단으로 얻은 돈을 대외 채무 상환에 사용했다.[125]
루마니아의 1인당 발전량은 스페인이나 이탈리아보다 많았지만, 텔레비전 방송은 하루 2~3시간만 방영되었고, 공동주택에서는 15와트 전구 하나만 설치하는 정도였으며, 밤이 되면 전국이 암흑에 휩싸였다. 반면, 차우셰스쿠가 살던 인민의 궁전은 휘황찬란하게 불이 켜져 있었다.[125]
1975년, 미국은 루마니아에 무역에서 최혜국 대우를 부여했다.[125] 1970년대 루마니아의 경제 성장은 최혜국 대우를 부여한 미국의 존재나 국제부흥개발은행(IBRD)과 같은 국제 금융 기구로부터의 신용 공여에 크게 좌우되었다. 1975년부터 1987년 사이에 약 220억 달러에 달하는 융자금이 루마니아에 공여되었고,[125] 그중 100억 달러는 미국으로부터였다.[125] 1971년, 루마니아는 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 협정(GATT)에 정식으로 가입했다.[125] 같은 해 루마니아의 산업 발전을 위해 국제 통화 기금(IMF)으로부터 많은 융자를 받았고, 1972년에는 IMF와 IBRD의 정식 회원국이 되었다. 루마니아는 1990년 이전에 이 기구들에 가입한 최초의 공산 국가이기도 했다.[207]
루마니아는 이란과 페르시아 만 국가들과도 우호 관계를 맺었다. 1979년까지 차우셰스쿠는 이란의 파레비 황제로부터 지원을 받았고, 루마니아는 이란으로부터 석유를 정가로 매입했다.[125] 그러나 파레비 황제는 이란 혁명으로 실각하고 이슬람 원리주의자들이 권력을 장악했다. 서구 국가들과 이란 사이의 경제 관계가 단절되었고 페르시아 만에서는 대규모 전쟁이 계속되었다. 1979년 이후 루마니아는 석유 대금을 외화로 지불해야 했고, 원유 가격은 1979년 봄 당시 1배럴당 16달러에서 1980년 봄에는 40달러로 급등했다. 서구 국가 정부는 석유 위기 이후 개발된 절약 전략과 석유 대체 에너지원 사용을 적극적으로 모색하기 시작했고, 1980년 이후 세계는 석유 및 석유 제품의 장기적인 수요 감소기에 돌입하게 되었다. 1977년 이후 루마니아는 석유 수입국이 되었으며, 자국의 석유 정제 산업 발전을 위한 전반적인 전략은 저가격을 유지하고 이 연료의 수요를 계속 늘리는 방식으로 설계되었다. 1980년대 초, 석유 구매 및 석유 제품 판매와 관련된 무역으로 루마니아는 하루 90만 달러의 손실을 입었다.[125][125]
루마니아 일부 기업의 생산 비용은 서구 국가의 3~4배에 달했지만, 원유 가격이 싼 한 문제가 되지 않았다. 그러나 루마니아 경제는 국가 석유 매장량 고갈과 세계 경제 위기에 직면했고, 100억 달러의 대외 채무를 1981년까지 조기 상환해야 하는 어려움에 처하게 되었다.[208] 루마니아는 1980년대에 대외 채무 상환을 시작했으며, 채무 상환 기한은 1990년대 중반이었다.[125]
서구 지도자들은 차우셰스쿠에게 루마니아가 바르샤바 조약 기구와 경제 상호 원조 이사회(COMECON)에서 탈퇴하면 루마니아를 우대할 뜻을 내비쳤다. 그러나 차우셰스쿠는 이를 거절하고 루마니아는 예정보다 앞당겨 채무와 이자를 상환하겠다고 선언했다.[125][209]
1983년, 차우셰스쿠는 루마니아가 대외 채무를 더 이상 늘리는 것을 금지하기 위해 국민 투표를 실시했다.[125] 대외 채무 상환을 확실히 하기 위해 식료품 배급제가 시작되어 1인당 계란 5개, 밀가루와 설탕 900 그램, 마가린 220 그램으로 제한되었고,[210] 고기와 유제품도 배급제가 되었다.[211] 자동차 소유자에 대한 휘발유 판매는 "한 달에 30리터"로 제한되었고, 일반 가정에서 온수가 나오는 것은 일주일에 한 번뿐이었다.[125] 하루에 여러 차례 정전이 발생하여 "겨울 동안 냉장고 사용 중지", "세탁기 및 기타 가전제품 사용 금지", "엘리베이터 사용 금지" 등의 절전이 호소되었다.[212] 루마니아 국내 에너지 소비량은 1979년과 1982년에 20% 감소하고, 1983년에 50% 감소하고, 1985년에는 다시 50% 감소했다. 사람들은 음식을 사기 위해 줄을 서는 것이 일상이었고, 건물에는 난방이 있어도 사용이 금지되었다. 의료는 무료였지만 약품과 설비가 부족했다.[125] 겨울에는 냉장고와 가전제품 사용이 엄격히 금지되었고, 주택에서도 난방용 가스 사용도 금지되었다. 위반 시 "경제 경찰"에 적발되어 벌금을 부과받을 뿐만 아니라 전기와 가스도 끊겼다.[125]
차우셰스쿠의 차남 니쿠는 아버지에게 "아버지, 이 나라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아십니까? 가게는 항상 손님으로 넘치고, 텔레비전 방송은 하루 2시간이고, 진공청소기와 냉장고는 경제적인 이유로 사용이 금지되어 있습니다."라고 질문했다. 그에 대해 차우셰스쿠는 "그것들은 일시적인 빈곤이며 국민은 대처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대답했다고 한다.[213]
에너지 생산량을 늘리기 위해 루마니아는 원자력 발전소 건설 계획을 채택하여 체르나보다 원자력 발전소를 건설했다. 캐나다와 이탈리아의 협력으로 1982년에 건설이 시작되었지만, 1986년 4월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사고가 발생하자 건설이 일시적으로 중단되었다. 체르나보다 원자력 발전소는 차우셰스쿠 정권 이후에도 루마니아에서 유일한 원자력 발전소로 계속 가동되고 있다.
현재의 경제 정책이 옳다는 것을 국민에게 납득시키기 위한 선전 활동도 활발하게 실시되었다. 절전 호소와 기본적인 필수품에 대한 배급제 도입에 대해 공식 선전에서는 "보다 합리적으로 배분하려는 시도이다"라고 설명되었다.[214]
1980년대에는 "경제 정책 수행 중 실수를 저질렀다"는 이유로 주요 직책에 있던 사람들이 속속 해임되었다. 각료평의회 의장을 역임했던 일리에 베르데츠는 경제 위기 해결 방법을 놓고 차우셰스쿠와 격렬한 논쟁을 벌였다. 베르데츠는 차우셰스쿠로부터 "대외 경제 관계에 대한 오해"를 지적받고 1982년 5월 21일에 사임했다. 그 후 베르데츠는 국가 평의회 부의장에 임명되었다.[215]
긴축 재정을 거쳐 1988년 루마니아는 수출이 수입을 50억 달러 상회했고,[125] 이는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이후 처음 있는 일이었다.[125] 1989년 4월까지 루마니아는 대외 채무를 거의 완전히 상환할 수 있었다.[125] 이자를 포함한 채무액은 210억 달러에 달했다.[125] 1989년 4월 12일, 루마니아 공산당 중앙위원회 본회의 총회 자리에서 차우셰스쿠는 "루마니아가 대외 채무를 완전 상환했다"고 발표하고,[125][125] "루마니아는 앞으로 외국으로부터의 융자를 일절 받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하지만 일련의 긴축 재정의 결과와 정치적 이유에 따른 서구 및 소련과의 협력 관계 중단으로 루마니아는 경제적 파국 직전에 놓였다. 대외 채무 완전 상환 후에도 차우셰스쿠가 내린 명령에 따라 루마니아 제품의 대량 수출은 계속되었지만, 국내 소비는 줄어들기만 했다. 이러한 상황은 차우셰스쿠 정권 멸망 이후에야 멈추게 되었다.
10. 7. 1. Yearly evolution (in billions of dollars)
루마니아 경제는 1995년까지 국가 주도 경제 체제를 유지했으며, 1996년부터 민간 부문이 GDP의 대부분을 차지했다.[46] 1973년 석유 파동으로 루마니아 경제가 침체에 빠졌고, 급속한 경제 발전으로 에너지 자원이 부족해지자 해외에서 석유를 수입하기 시작했다. 차우셰스쿠는 외화 확보를 위해 이스라엘행 유대인에게 허가증을 발급하고, 서독으로 이주하는 독일인에 대해 서독으로부터 돈을 받았으며, 소련제 무기를 미국에 판매했다.[125]1975년 미국은 루마니아에 최혜국 대우를 부여했고, 1970년대 루마니아의 경제 성장은 미국의 최혜국 대우와 국제 금융 기구의 신용 공여에 크게 의존했다. 1975년부터 1987년 사이에 약 220억 달러의 융자금이 루마니아에 공여되었으며, 그중 100억 달러는 미국으로부터였다.[125] 1971년 루마니아는 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 협정(GATT)에 가입하고, 국제통화기금(IMF)으로부터 융자를 받았으며, 1972년에는 IMF와 국제부흥개발은행(IBRD)의 정식 회원국이 되었다.[207]
1979년까지 차우셰스쿠는 이란의 파레비 황제로부터 지원을 받았으나, 이란 혁명으로 파레비 황제가 실각하면서 루마니아는 석유 대금을 외화로 지불해야 했다. 루마니아는 석유 제품 수출 확대와 석유화학 산업 수요 충족을 위해 국내에서 처리되는 석유량을 급증시켰다.[125]
1980년대 루마니아는 대외 채무 상환을 시작했고, 1983년에는 대외 채무를 더 이상 늘리는 것을 금지하기 위해 국민 투표를 실시했다.[125] 대외 채무 상환을 위해 식료품 배급제를 시행하고, 자동차 소유자에 대한 휘발유 판매를 제한했으며, 일반 가정에서 온수가 나오는 횟수를 줄이는 등 긴축 정책을 시행했다. 차우셰스쿠는 서구 및 소련과의 협력 관계를 중단하고 대외 채무 상환에 집중했다.[125]
에너지 생산량을 늘리기 위해 체르너보다 원자력 발전소를 건설했으나, 1986년 체르노빌 원전 사고로 건설이 일시적으로 중단되었다. 절전 호소와 필수품 배급제에 대해 "보다 합리적으로 배분하려는 시도"라는 선전 활동을 벌였다.[214]
1988년 루마니아는 수출이 수입을 50억 달러 상회했으며,[125] 1989년 4월까지 대외 채무를 거의 완전히 상환했다.[125] 1989년 4월 12일, 차우셰스쿠는 루마니아가 대외 채무를 완전 상환했다고 발표하고, 앞으로 외국으로부터의 융자를 일절 받지 않겠다고 선언했다.[125]
하지만 긴축 재정의 결과와 정치적 이유에 따른 서구 및 소련과의 협력 관계 중단으로 루마니아는 경제적 파국 직전에 놓였다.
다음은 루마니아의 연도별 대외 총부채 변화를 보여주는 표이다.
1975 | 1980 | 1981 | 1982 | 1983 | 1984 | 1985 | 1986 | 1987 | 1988 | 1989 |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1995 | |
---|---|---|---|---|---|---|---|---|---|---|---|---|---|---|---|---|---|
대외 총부채 (십억 달러) | 2.9 | 9.4 | 10.2 | 9.8 | 8.8 | 7.1 | 6.6 | 6.4 | 5.1 | 2.2 | 0.0 | 0.2 | 2.2 | 3.5 | 4.5 | 5.5 | 6.7 |
순위 | 채무국 | 채무국 | 채무국 | 채무국 | 채무국 | 채무국 | 채무국 | 채무국 | 채무국 | 채권국 | 채권국 | 채권국 | 채권국 | 채무국 | 채무국 | 채무국 | 채무국 |
1975년, 1980년, 1982년~1988년 데이터는 미국 통계 연감에서 가져왔다.[47] 1989년~1995년 데이터는 경제 협력 개발 기구(OECD)가 제공했다.[48] 1981년과 1985년 데이터는 월드북 연감에서 가져왔다.[49] 1989년 4월, 루마니아는 사실상 부채가 제로였고 순 채권국이었다. 1989년 12월 이후 외채 상환이 재개되었다.[50] 순 채권국 지위를 유지하기 위해 루마니아는 대외 채무를 25억 달러 미만으로 유지해야 했는데, 이는 석유 생산국 및 기타 최빈개발국이 루마니아에 빚진 금액의 하한 추정치였다. 이는 1988년에 처음 달성되었고[51] 1990년대 초까지 계속되었다.[52]
10. 8. 1984 failed coup d'état attempt
1984년 10월에 계획되었던 쿠데타 시도는 쿠데타를 실행할 임무를 맡았던 군 부대가 대신 옥수수 수확에 투입되면서 실패했다.[53]10. 9. 1987 Brașov rebellion
루마니아 노동자들은 니콜라에 차우셰스쿠의 경제 정책에 맞서 저항하기 시작했다. 제한적인 규모의 자발적인 노동 분쟁이 클루지-나포카(1986년 11월)와 이아시의 니콜리나 플랫폼(1987년 2월)과 같은 주요 산업 중심지에서 발생했고, 결국 브라쇼브에서 대규모 파업으로 이어졌다. 차우셰스쿠가 취한 가혹한 조치에는 에너지와 식량 소비 감소, 노동자 소득 감소가 포함되었는데, 이는 정치학자 블라디미르 티스머네아누가 "전반적인 불만"이라고 부른 상황으로 이어졌다.[54]2만 명이 넘는 노동자들과 여러 도시 주민들이 사회주의 루마니아의 경제 정책과 니콜라에 차우셰스쿠의 배급 정책, 특히 기본 식량, 전기 및 중앙 난방 배급에 반대하여 행진했다.
최초의 시위는 1987년 11월 14일, 붉은 깃발 트럭 회사의 440 "금형" 부서에서 사실상 시작되었다. 처음에는 기본적인 욕구를 위한 시위였다. "음식과 난방을 원한다!", "우리 돈을 돌려줘라!", "아이들을 위한 음식을 원한다!", "빛과 열을 원한다!", "배급 카드 없이 빵을 원한다!" 등의 구호가 외쳐졌다. 군 병원 옆에서는 1848년 혁명의 국가인 "데슈탸프터-테, 로므네!"를 불렀다. 시내 중심부에 도착하자 트랙토르 브라쇼브와 히드로메카니카 공장의 수천 명의 노동자, 학생, 그리고 다른 사람들이 시위에 합류했다. 이 순간부터 시위는 정치적인 성격을 띠게 되었다. 참가자들은 나중에 "차우셰스쿠 타도!", "공산주의 타도!", "독재 타도!", "폭군 타도!" 와 같은 구호를 외쳤다고 주장했다. 행진 중에, 세쿠리타테 요원들은 노동자로 위장하여 시위대에 잠입하거나 구경꾼으로 가장하여 사진을 찍거나 심지어 촬영하기도 했다.[55]
해가 질 무렵, 세쿠리타테 부대와 군대가 시내 중심부를 포위하고 무력으로 반란을 진압했다. 약 300명의 시위대가 체포되었고, 브라쇼브 봉기의 정치적 성격을 숨기기 위해 공공 질서 위반과 "도덕적 범죄"로 기소되었다.
수사 대상자들은 구타와 고문을 당했고, 61명이 6개월에서 3년의 징역형을 선고받았으며, 전국 각지의 여러 국영 기업에서 노역형을 포함한 형벌을 받았다. 이전 당 회의에서 본보기로 사형을 요구했음에도 불구하고, 정권은 이 봉기를 "고립된 폭행 사건"으로 축소하려고 애썼다. 1950년대 후반에 이미 폐지된 조치에도 불구하고, 시위대는 다른 도시로 강제 거주 이전을 선고받았다. 전체 재판은 단 1시간 30분 만에 끝났다.[55]
노동자 봉기 며칠 후, 임업학부 학생인 커털린 비아는 "체포된 노동자들이 죽어서는 안 된다"는 플래카드를 들고 식당 앞에 앉았다. 루시안 실라히와 호리아 셔반이라는 동료들이 그에게 합류했다. 세 사람은 즉시 체포되었다. 그 후, 노동자 봉기에 대한 연대 표시로 낙서가 캠퍼스에 나타났고, 일부 학생들은 선언문을 배포했다. 보안팀은 총 7명을 체포했다. 체포된 사람들은 조사를 받고, 학부에서 퇴학당했으며, 고향으로 돌아가 가족과 함께 엄격한 감시를 받았다.[55]
1977년 6월 30일, 제3호 법령(Legea nr. 3)이 제정되었다. 이 법률은 광산 노동자의 정년을 연장하고 장애 연금을 폐지했다.[125] 트란실바니아 남서부, 지우리 계곡(Valea Jiului)에 있는 루페니(Lupeni)에서 일하는 9만 명의 광산 노동자 중 3만 5천 명이 1977년 8월 1일 심야에 작업 중단을 결정하고 노동 쟁의를 벌였다. 원래 낮은 급여에 더해 노동 시간이 더욱 연장되었고, 3월부터는 초과 근무 수당이 지급되지 않았으며, 휴일 없이 일하도록 강요받았고, “생산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면 급여에서 공제한다”는 조치가 취해졌다. 노동자들의 빈곤한 생활 환경과 그들의 곤경에 대해 경영진이 무관심했던 것도 한몫했다. 노동자들은 노동 시간 단축과 노동 환경 개선을 요구했다. 8월 2일, 노동자들은 부쿠레슈티에서 온 당 대표단을 붙잡고 차우셰스쿠를 데려오라고 요구했다. 8월 3일 현장에 도착한 차우셰스쿠는 노동자들의 분노를 진정시키려 했지만, 수천 명의 군중은 차우셰스쿠의 말에 귀 기울이지 않고 강력한 항의로 맞섰다.[125] 군중 속에서는 “Lupeni '29!”라는 외침이 울려 퍼졌는데, 이는 1929년 8월에도 같은 지역에서 발생한 노동 쟁의를 언급하는 것이었다. 이 노동 쟁의의 주도자인 콘스탄틴 도브레(Constantin Dobre)는 차우셰스쿠의 눈앞에서 노동 일정, 근무 규칙, 연금, 물자 공급, 주택, 투자에 관한 요구 사항을 낭독했다. 차우셰스쿠는 광산 노동자들의 노동 조건과 생활 환경 개선을 약속하고 현장을 떠났다. 1977년 12월 31일까지, 직업상 장애 연금 수급자는 급여와 연금을 모두 받을 수 있도록 결정되었고, 노동 시간을 8시간에서 6시간으로 단축하고, 공급을 개선한다는 약속은 이행되었지만, 다른 요구 사항은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이 노동 쟁의에 참여한 노동자들 중 일부는 나중에 세쿠리타테로부터 구타를 당하거나 징역형을 선고받았다.[125] 또한 약 4천 명의 노동자가 해고되었다고 한다.[125] 징역형이 끝난 사람들 중 많은 수가 치안 당국의 엄격한 감시하에 놓여 수년 동안 괴롭힘을 당했다.
1981년, 광산 노동자들이 다시 봉기했고, 1982년에는 마람레슈(Maramureș)에서 폭동이 발생했다. 1986년부터 1987년까지는 클루지(Cluj)의 중공업, 냉장고 공장에서, 1987년에는 야시(Iași)에 있는 자동차 공장, 루마니아 국내 산업 중심지에서 대규모 노동 쟁의가 잇따라 발생했다. 1987년 11월 15일, 줄을 서는 데 지치고 만성적인 식량 부족에 시달리던 브라쇼브(Brașov)의 노동자들은 급여 삭감에 더해 대규모 인원 감축이 이루어진다는 것을 알고 시내 중심부로 이동했다. 처음에 그들은 “우리는 식량과 난방을 요구한다!”, “우리는 돈을 요구한다!”, “우리 아이들에게 식량이 필요하다!”, “우리에게는 불과 난방이 필요하다!”, “배급권 없이 빵을 살 수 있게 하라!”고 외쳤다.[228] 브라쇼브 시장(브라쇼브현 당위원회 서기이기도 함)이 나타나 “한 달만 더 지나면 여러분은 여러분의 아이들과 함께 기꺼이 짚을 먹게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125] 항의자들은 시장을 때렸고, 당위원회 건물과 시청에 난입했다. 거기에는 여러 종류의 음식으로 가득 찬 연회장이 있었다.[125] 군중은 “이 도둑놈아!”, “차우셰스쿠를 타도하라!”, “공산당을 박살내라!”고 외치며, 1848년의 국가 ‘Deșteaptă-te, române!’(‘깨어나라, 루마니아인들이여!’)를 불렀다.[125] 노동자들은 건물 내부 벽에서 차우셰스쿠의 초상화를 떼어내 건물 앞 광장에서 불태웠다.[125] 이 폭동은 치안 부대와 군대에 의해 진압되었지만, 사망자 발생에 대한 보고는 없다. 체포된 사람들은 구타를 당했고, 재판에서 유죄 판결을 받고 국내 다른 곳으로 강제 이송된 후에도 치안 당국의 감시하에 놓였다.
1989년 3월 10일, 게오르게 아포스톨(Gheorghe Apostol)이 기초하고 알렉산드루 벌러더누(Alexandru Bârlădeanu), 코르넬리우 머네스쿠(Corneliu Mănescu), 그리괴레 이온 러처누(Grigore Ion Răceanu), 콘스탄틴 펄벌레스쿠(Constantin Pârvulescu), 실비우 브루칸(Silviu Brucan)이 서명한 문서가 발표되었다. 이것은 차우셰스쿠의 일련의 정책을 비난하는 내용이었다.[229] “니콜라에 차우셰스쿠 대통령 각하. 우리 사회주의 이념 자체가 당신의 정책 때문에 신뢰를 잃고, 우리 국가가 유럽에서 고립되고 있는 현실을 받아들여, 우리는 목소리를 내고자 합니다.”라는 말로 시작하는 이 문서는 “6인의 서한(Scrisoarea celor șase)”으로 불리며,[230] 1989년 3월 11일에 BBC와 자유 유럽 방송(Radio Free Europe)에서도 다루어져 방송되었다. 1989년 3월 13일, 루마니아 공산당 중앙위원회 정치 집행 위원회 회의에서 이 서한이 의제로 다루어졌다. 차우셰스쿠는 루마니아 국민이 외국인과의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조건을 더욱 엄격하게 하기로 결정한 후, 이에 서명한 사람들을 “국가에 대한 반역자”로 규정했다. 게오르게 아포스톨을 비롯한 서한의 저자들은 체포되어 심문을 받고 가택 연금 상태에 놓였다.
블라디미르 티스머네아누(Vladimir Tismăneanu)에 따르면, 이 서한은 루마니아 국민에게 널리 지지를 받지는 못했지만, 차우셰스쿠 정권의 억압 체제를 폭로하고 그 붕괴로 이어졌다고 한다.[231] 또한 티스머네아누는 “‘6인의 서한’은 반 전체주의 선언서가 아니라, 차우셰스쿠 독재의 남용에 대한 당의 구 친위대의 반란의 외침이었다. 이것은 너무 늦은 반란이었고, 이데올로기에 관련된 것으로 한정되었으며, 정치와의 관련은 없었다”라고 적었다. 서명자 중 한 명인 실비우 브루칸에 대해서는 “그는 차우셰스쿠를 공개적으로 비판한 적이 없다. 브라쇼브에서 봉기가 일어날 때까지 브루칸은 이를 준수했다. 그 후에도 당의 지도적 역할에 대한 반대 태도를 보이지는 않았다. 그는 차우셰스쿠의 개인 숭배의 과도함과 ‘레닌주의 규범’으로부터의 일탈이 있었을 때만 이의를 제기했다.” “결코 반체제 인사가 아니라, 루마니아 공산당 내에서는 파벌주의자에 불과했다. 그는 자유 민주주의를 믿지 않았고, 다원주의를 소중히 여기는 인물도 아니었다”라고 적었다.[232]
10. 10. Romani minority rights
체우셰스쿠 정권 시기 루마니아의 로마인들은 소외된 채 방치되었다. 루마니아 공산당 중앙위원회 정치국의 결정은 이러한 상황을 명확히 보여준다.[56] 이 결정은 소수 민족 권리에 대한 정책의 근거가 되었으나, 로마인들은 완전히 배제되었다.정권은 로마인들을 "공동 거주 민족" 목록에서 제외하여 민족 집단으로서 정부 대표를 가지지 못하게 했다. 헝가리인, 독일인 등 다른 소수 민족의 대표성이 증가했음에도 로마인들의 배제는 지속되었다. 체우셰스쿠는 이온 안토네스쿠 시대로부터 이어진 제도적 방치를 겪던 로마인들의 생활 환경을 외면하려 했다.[56]
유럽 내에서 취약한 소수 민족이었던 로마인들은 빈곤에 시달렸고, 증오 범죄에 노출되었다.
11. Revolution
## Revolution
1989년 루마니아 혁명은 니콜라에 차우셰스쿠 정권의 붕괴를 가져온 결정적인 사건이다. 1989년 11월, 루마니아 공산당(PCR) 제14차 전당대회에서 71세의 차우셰스쿠는 PCR 지도자로 5년 더 재선되었으며, 동유럽의 반공산주의 혁명을 비난했다.[57][58][59] 그러나 그 다음 달 티미쇼아라와 부쿠레슈티에서 폭력적인 사건들이 연이어 발생하면서 정권은 급격히 흔들렸다.
1989년 12월 10일, 체코슬로바키아의 공산 정권이 무너지고 구스타프 후사크 대통령이 사임하면서, 차우셰스쿠의 루마니아는 바르샤바 조약 기구 내에서 유일하게 남은 강경파 공산 정권이 되었다.
### 정권의 몰락
12월 22일, 부쿠레슈티에서 시위대가 진압당했다는 소식이 퍼지면서 반차우셰스쿠 여론이 더욱 거세졌다. 노동자들과 시위대는 루마니아 공산당 중앙위원회 건물로 향했고, 니콜라에 차우셰스쿠는 군에 시위대의 접근을 막으라고 지시했다. 그러나 국방장관 바실레 밀라가 의문사하면서 상황은 더욱 악화되었다. 차우셰스쿠는 루마니아 전역에 계엄령을 선포했지만, 이미 민심은 그에게서 완전히 돌아선 상황이었다.
### 12월 21일 연설
12월 21일, 차우셰스쿠는 혁명 광장에서 대규모 집회를 열었지만, 군중의 야유와 욕설에 직면했다. 그는 최저임금 인상 등의 사회적 혜택을 발표했지만, 군중의 분노를 잠재우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시위는 전국으로 확산되었고, 부쿠레슈티 시민들은 바리케이드에서 경찰과 군대에 맞서 싸웠다.
12월 21일 오전 9시, 시위대는 혁명 광장에 집결했고, 차우셰스쿠는 연설을 위해 건물 발코니에 모습을 드러냈다. 그러나 연설이 시작되자마자 폭죽이 터지면서 소란이 일어났고, 차우셰스쿠는 연설을 중단해야 했다. 『''România Liberă''』는 티미쇼아라에서 부쿠레슈티로 이동해 온 집단이 차우셰스쿠 연설을 방해했다고 보도했다.[243] 차우셰스쿠는 군중을 진정시키려 했지만 실패했고, 혼란과 당황한 표정을 감추지 못한 채 건물 안으로 끌려들어갔다.
### 12월 22일 도주
12월 22일 아침, 반란은 전국 주요 도시로 확산되었고, 국방장관 바실레 밀레아의 죽음이 발표되었다. 차우셰스쿠는 중앙위원회 건물 앞에 모인 군중에게 마지막으로 연설하려 했지만, 군중의 분노에 건물 안으로 피신해야 했다. 그는 아내 엘레나와 함께 헬리콥터를 타고 탈출했다.[62]
차우셰스쿠 부부는 헬리콥터를 타고 부쿠레슈티 북부의 스나고프로 향했지만, 영공이 폐쇄되어 튀르고비슈테 근처 들판에 착륙해야 했다. 그들은 지나가는 차량 운전자에게 도움을 요청했지만, 결국 군대에 체포되었다.
### 죽음
12월 25일, 차우셰스쿠 부부는 구국전선의 군사 법정에서 인민재판을 받고 반역과 살인 혐의로 사형을 선고받았다.[323] 차우셰스쿠는 법정의 권한을 인정하지 않았지만, 재판은 강행되었다. 이온 일리에스쿠는 이 재판이 "부끄럽지만 필요한" 재판이었다고 옹호했다.[69]
차우셰스쿠 부부는 이오넬 보에루 대위, 게오르긴 옥타비안 상사, 도린-마리안 크를란 등에 의해 처형되었다.[66] 니콜라에 차우셰스쿠는 사형 집행 전에 "인터나시오날레"를 불렀다.[67] 처형 장면은 루마니아 텔레비전에서 생중계되었다.[68]
차우셰스쿠 부부의 시신은 부쿠레슈티의 헌체아 묘지(Ghencea Cemetery)에 매장되었다. 2010년에는 DNA 검사를 위해 유해가 발굴되었고,[73] 이후 가족들은 장례식을 치르고 겐체아에 함께 안장했다.[76]
차우셰스쿠의 처형은 루마니아 혁명의 비극적인 결말을 상징하며, 그의 죽음은 루마니아 현대사에서 논쟁적인 주제로 남아 있다.
11. 1. Timișoara
티미쇼아라에서는 1989년 12월, 자유 민주화 운동이 정부의 유혈 진압으로 인해 촉발되어 전국적인 혁명으로 이어졌다. 차우셰스쿠 독재 정권의 인권 탄압과 소수 민족 차별에 반대하며 자유 민주화 운동을 지도하던 헝가리계 퇴케시 라슬로 목사를 체포하려던 시도에 맞서, 12월 17일 헝가리 개신교 신자들이 시위를 시작했다. 이 시위는 곧 루마니아 노동자들과 농민들의 참여로 더욱 확대되어 반정부 시위로 발전했다. 당시 차우셰스쿠 정권은 경찰을 동원하여 시위대에 발포, 수많은 사상자를 발생시키며 인권을 짓밟았다. 이란을 방문 중이던 차우셰스쿠는 사태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급히 귀국했다.시위는 정부가 민족적 증오 선동 혐의로 기소한 라슬로 퇴케슈 목사를 퇴거시키려 하면서 촉발되었다. 이에 그의 신도들이 그의 아파트를 에워싸며 지지를 표명했다. 루마니아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시위에 참여하면서, 시위는 점차 반정부 시위로 성격이 변화했다. 12월 17일, 정규군, 경찰, 그리고 세쿠리타테는 시위대에 발포하여 무고한 시민들에게 큰 피해를 입혔다.
12월 18일, 차우셰스쿠는 이란 국빈 방문을 떠나면서 티미쇼아라 봉기 진압 임무를 부하들과 그의 아내에게 맡겼다. 12월 20일 저녁 루마니아로 귀국했을 때 상황은 더욱 악화되었고, 그는 중앙위원회 건물 내 TV 스튜디오에서 티미쇼아라 사태를 "루마니아 내정에 대한 외세의 간섭"이자 "루마니아 주권에 대한 외부 침략"으로 규정하는 TV 연설을 발표했다.
국영 언론은 티미쇼아라에서 벌어지는 사건에 대한 정보를 제대로 제공하지 않았고, 국민들은 냉전 시대에 동구권 소식을 전하던 반공 라디오 방송국(미국 음성, 자유 유럽 방송 등)과 입소문을 통해 봉기 소식을 접하게 되었다. 12월 21일, 차우셰스쿠는 부쿠레슈티에서 대규모 집회를 개최했다. 관영 언론은 이를 1968년 집회를 모방한 것으로, 당시 그는 바르샤바 조약군의 체코슬로바키아 침공에 반대하는 연설을 하여 대중의 지지를 얻은 바 있다.
11. 2. Overthrow
1989년 12월 22일 오전 3시부터 5시까지 소방차와 청소차가 출동하여 대학 광장과 지하철 계단, 주변 통로에 묻은 핏자국을 씻어냈다. 부쿠레슈티에서 시위대가 진압당했다는 소식이 순식간에 퍼지면서 반차우셰스쿠 여론은 더욱 고조되었다. 오전 7시, 노동자와 시위대가 루마니아 공산당 중앙위원회 건물로 향했다. 건물은 약 1000명의 병사가 경비하고 있었다. 오전 9시, 니콜라에 차우셰스쿠는 유리안 블라드와 바실레 밀라에게 시위대가 이 건물에 접근하는 것을 어떻게든 막으라고 지시했다. 오전 9시 30분경, 바실레 밀라가 심장에 총을 맞아 사망한 채 발견되었다. 밀라의 죽음을 알게 된 차우셰스쿠는 크게 동요하여 “밀라 장군은 국가와 국민을 배신했다”고 말했다. 오전 9시 45분, 루마니아 공산당 중앙위원회 정치집행위원회 회의가 시작되었다. 차우셰스쿠는 “밀라 장군이 내 곁을 떠난 2분 후에 자살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고 말했다.[125] 죽기 직전 밀라와 대화를 나눈 코르넬리우 퍼르컬러베스쿠에 따르면, 밀라가 “나는 니콜라에 차우셰스쿠로부터 국민을 향해 총을 쏘라는 명령을 받았다. 자국민에게 사살 명령을 내릴 수는 없다”고 말했다고 한다.[245] 차우셰스쿠는 “즉시 루마니아 전역에 계엄령을 선포한다. 이것은 헌법에 따른 것이며 대통령의 권한이기도 하다. 국가평의회를 소집할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콘스탄틴 더스컬레스쿠는 “성실한 노동자를 쏘아도 되는가”라고 의문을 제기했고, 그에 대해 투도르 포스테르니쿠는 “우리가 발포해야 할 대상은 성실한 노동자가 아니라 쓸모없는 놈들과 쓰레기들이다”라고 말했다. 차우셰스쿠는 “물론, 노동자에게 총을 겨눌 수는 없다. 우리는 노동자의 대표이며, 노동자를 쏠 수는 없다. 하지만 그중에는 비겁한 자들도 있다. 배신자 밀라에게 책임을 묻겠다. 다른 자들도 있을지 모른다”고 답했다.[125]차우셰스쿠는 루마니아 전역에 계엄령을 선포했다. 이 선포가 국영 TV와 라디오 방송을 통해 방송된 후 “국방장관이 루마니아의 독립과 주권에 반하는 배신 행위를 저지르고, 그것이 발각될 것을 알고 자살했다는 것을 알려드립니다”라고 보도되었다.[246] 바실레 밀라가 죽었기 때문에 차우셰스쿠는 티미쇼아라에서 돌아온 빅토르 아타나시에 스탕클레스쿠를 새로운 국방장관으로 임명했다. 그러나 스탕클레스쿠는 차우셰스쿠에게 충성을 보이는 한편, 다른 한편으로는 이중적인 책략을 시작했다. 오전 10시 7분, 그는 군대에 병영으로 복귀하고 시위대와 “대화”하라고 명령했다.
11. 2. 1. Speech on 21 December 1989
12월 21일 열린 대규모 집회는 현재 혁명 광장이 된 곳에서 시작되었는데, 수년간 차우셰스쿠의 많은 연설과 마찬가지였다. 그는 "사회주의 혁명"의 성과와 루마니아의 "다면적으로 발전된 사회주의 사회"에 대해 이야기했다. 그는 또한 티미쇼아라 폭동을 "사회주의를 파괴하려는 파시스트 선동가들" 탓으로 돌렸다.[60]그러나 차우셰스쿠는 군중의 심기를 잘못 판단했다. 연설을 시작한 지 약 8분 만에 여러 사람들이 야유와 욕설을 퍼붓기 시작했고, 다른 사람들은 "티미쇼아라!"를 외치기 시작했다.[61] 그는 오른손을 들어 군중의 주의를 환기시키려고 시도했고, 질서가 일시적으로 회복된 후, 1월 1일까지 월 최저임금을 200레우 인상하여 총 2,200레우로 하는 사회적 혜택 개혁을 발표했다. 군중이 야유와 조롱을 시작하자 차우셰스쿠의 얼굴 표정을 담은 영상은 동유럽 공산주의 붕괴 당시 가장 널리 방송된 영상 중 하나였다.[62]
군중을 통제하지 못하자 차우셰스쿠 부부는 루마니아 공산당 중앙위원회 건물 안으로 피신했다. 그날 남은 시간 동안 부쿠레슈티 시민들은 대대적인 봉기를 일으켜 대학 광장에 모여 바리케이드에서 경찰과 군대에 맞섰다. 그러나 폭도들은 부쿠레슈티에 집중된 군사력에 필적할 수 없었고, 자정까지 거리가 정리되었으며 수백 명이 체포되었다.
1989년 12월 21일 오전 9시, 수도 부쿠레슈티 중심부의 혁명광장에서 시위대가 루마니아 공산당 중앙위원회 건물 앞에 집결했다. 차우셰스쿠가 이 집회를 열기로 결정한 것은 자신이 여전히 국민의 지지를 받고 있다는 자신감 때문이었다.[125] 오전 11시, 집회가 시작되었다. 오후 12시, 차우셰스쿠가 건물 발코니에 모습을 드러내 연설을 시작했다.
그러나 연설이 시작되자마자 군중 속에서 갑자기 폭죽이 터지면서 소란이 일어났고, 차우셰스쿠는 연설을 중단해야만 했다. 구국전선평의회 위원 중 한 명인 카지미르 이오네스쿠(Cazimir Ionescu)가 나중에 말한 바에 따르면, "니콜라에 차우셰스쿠의 연설을 방해하기 위해 특별히 조직된 집단이 있었다"고 한다.[125] 루마니아 일간지 『''România Liberă''』(『자유 루마니아』)는 "12월 21일 차우셰스쿠 연설을 '망쳐 놓은' 것이 누구의 소행이었는가에 대해, 티미쇼아라에서 부쿠레슈티로 이동해 온 집단의 소행이라고 보도했다.[243]
차우셰스쿠는 군중에게 여러 번 "알로!"라고 외치며 정숙을 촉구하며 군중을 진정시키려 했다. 엘레나 차우셰스쿠와 세쿠리타테(Securitate) 직원들도 "못 듣겠어? 조용히 해!"라고 군중에게 고함을 질렀다. 군중이 일단 조용해지자 차우셰스쿠는 다시 연설을 계속했다. 차우셰스쿠는 이 연설에서 "최저임금 200레우, 연금 100레우, 사회복지 300레우, 아동수당 30~50레우, 출산수당 1000~2000레우 인상을 약속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전날 소집된 루마니아 공산당 중앙위원회 정치집행위원회에서 차우셰스쿠 자신이 제안한 내용이었다.[125] 그러나 소란은 점점 커졌고, 차우셰스쿠는 혼란과 당황한 표정을 감추지 못했다. 차우셰스쿠는 건물 안으로 끌려들어갔다. 차우셰스쿠는 군당위원회 제1서기와 전화 회의를 하고, "지난 며칠간의 일련의 사건은 국가를 불안정하게 만들고 루마니아의 독립과 주권에 대한 조직적인 책동의 결과이다"라고 선언하고, 당과 국가 권력, 민병, 치안부대, 군대를 총동원할 것을 요구한 뒤, "우리는 이 사건의 본질을 밝히고 단호하게 거부하고 해결해야 한다"고 말했다. 혁명광장을 나온 사람들은 공황 상태에 빠져 혁명광장 주변 거리에 모여 "독재자를 타도하라!", "차우셰스쿠, 너는 누구냐? - 스콜니체슈티 출신의 악당이다!"라고 외치기 시작했다.
오후 4시, 호텔 『''Intercontinental''』 앞에 있던 군중에게 루마니아 국방부 트럭이 제어 불능 상태로 돌진했다. 이로 인해 7명이 사망하고 8명이 부상을 입었다.[125]
오후 6시, 시위대 2000명이 대학광장(Piața Universității)에 장애물을 설치했다. 오후 8시, 치안부대가 시위대에 발포하기 시작하여 그들을 잇달아 체포했다. 오후 11시, 바실레 미야(Vasile Milea)가 장애물을 제거하라고 명령했다. 시위대는 지하철로 도망치려 했지만 치안부대에 붙잡혀 고문을 당했다. 그중에는 어린이, 여성, 노인도 포함되어 있었고, 역 계단과 승강장에는 피가 튀었다. 이 과정에서 50명이 살해되고 462명이 부상당했으며 1245명이 체포되어 지라바 교도소로 이송되었다. 니콜라에와 엘레나 두 사람은 루마니아 공산당 건물에서 시간을 보냈다. 오전 1시경, 바실레 미야와 유리안 블라드(Iulian Vlad)는 부쿠레슈티 중심부에서 시위대가 소탕되었다는 취지의 보고를 했다.[244]
11. 2. 2. Flight on 22 December
12월 22일 아침까지 반란은 전국 주요 도시로 확산되었다. 차우셰스쿠의 국방장관 바실레 밀레아의 의문스러운 죽음(나중에 자살로 확인됨[63])이 언론을 통해 발표되었다. 밀레아가 살해당했다고 믿은 병사들은 거의 전원이 혁명에 가담했다. 차우셰스쿠는 중앙위원회 건물 앞에 모인 군중에게 마지막으로 연설하려 했지만, 광장의 사람들이 그에게 돌을 던지기 시작하여 건물 안으로 피신해야 했다. 그와 엘레나, 그리고 다른 네 명은 옥상으로 가서 헬리콥터를 타고 탈출했다.[62] 루마니아 공산당은 그 후 곧 사라졌다.서방 언론은 세쿠리타테(Securitate)가 살해한 사람의 수에 대한 추정치를 발표했는데, 64,000명이 사망했다는 보도가 있었다.[64] 하지만 이는 과장된 수치라는 지적도 있다.[65]
12월 22일 오전, 소방차와 청소차가 출동하여 대학 광장의 핏자국을 씻어냈다. 오전 7시, 노동자와 시위대가 루마니아 공산당 중앙위원회 건물로 향했다. 건물은 약 1000명의 병사가 경비하고 있었다. 오전 9시, 니콜라에 차우셰스쿠는 유리안 블라드와 바실레 밀라에게 시위대가 건물에 접근하는 것을 막으라고 지시했다. 오전 9시 30분경, 바실레 밀라가 심장에 총을 맞아 사망한 채 발견되었다. 밀라의 죽음을 알게 된 차우셰스쿠는 “밀라 장군은 국가와 국민을 배신했다”고 말했다. 오전 9시 45분, 루마니아 공산당 중앙위원회 정치집행위원회 회의가 시작되었다. 차우셰스쿠는 루마니아 전역에 계엄령을 선포하고, 국영 TV와 라디오 방송을 통해 발표했다.[246]
바실레 밀라가 죽었기 때문에 차우셰스쿠는 티미쇼아라에서 돌아온 빅토르 아타나시에 스탕클레스쿠를 새로운 국방장관으로 임명했다. 오전 10시 7분, 그는 군대에 병영으로 복귀하고 시위대와 “대화”하라고 명령했다.
바실레 미라의 사망 소식이 발표된 직후, 차우셰스쿠는 루마니아 공산당 중앙위원회 정치집행위원회의 임시 회의를 소집하여 자신이 직접 군 지휘를 맡겠다고 발표했다. 루마니아 공산당 중앙위원회 건물 앞에는 5만 명의 군중이 모여 있었다. 오전 11시 30분경, 차우셰스쿠는 발코니에 모습을 드러내 확성기를 들고 군중을 향해 연설하려 했지만, 오히려 그들의 분노만 샀다. 세쿠리타테 국장 마린 네고에는 헬리콥터를 준비하라고 지시했다. 오후 12시 6분, 차우셰스쿠 부부와 경호원들을 태운 헬리콥터가 건물 옥상에서 이륙했다.[247] 시위대는 니콜라에와 엘레나의 초상화를 창문에서 던져 버렸다. 군대는 군중 편에 서서 세쿠리타테와 대치하는 태세를 취했다. 12시 30분경, 시위대는 군대와 함께 국영 방송국을 점거했다. 오후 1시, 시위대는 차우셰스쿠 부부의 탈출을 알리고 "차우셰스쿠는 끝났다!"고 선언했다. 오후 1시 30분, 빅토르 스탕클레스쿠는 군대에 "국방부 장관의 명령에 따르라"는 지시를 내렸다. 이 시점에서 차우셰스쿠를 권좌에서 끌어내리는 과정은 완료되었다.[125]
오후 2시 45분, 루마니아 공산당 간부 중 한 명인 이온 일리에스쿠(Ion Iliescu)는 연설을 통해 "차우셰스쿠가 저지른 일은 공산주의를 더럽힌 것에 그치지 않는다"고 말했다. 오후 3시경, 페트레 로만(Petre Roman)이 루마니아 공산당 중앙위원회 건물 발코니에 등장하여 성명을 낭독했다.[248] 오후 4시, 이온 일리에스쿠와 페트레 로만은 육군 및 치안 유지 책임자들과 회담했다.
구국전선 평의회 의장에 취임한 이온 일리에스쿠는 오후 10시 30분에 선서문을 낭독하고 차우셰스쿠의 권력 축출, 민주주의, 정치적 다원주의, 경제 회복을 위한 조치 도입을 선언했다.[125]
차우셰스쿠 부부는 부쿠레슈티 북부에 있는 스나고프(Snagov)로 향했다. 스탕클레스쿠가 영공을 폐쇄하여 헬리콥터는 튀르고비슈테(Târgoviște) 근처 들판에 착륙했다.[125] 착륙 후, 헬리콥터 조종사는 반군 측으로 망명했다. 차우셰스쿠 부부는 경호원들과 함께 지나가는 차량 운전자에게 자신들을 태워달라고 요구하며 피테슈티(Piteşti)로 향하려 했다. 12월 22일 오후 3시 30분, 차우셰스쿠 부부는 군대에 체포되어 구금되었다.[125]
차우셰스쿠의 약식 재판 참가자 중 한 명에 따르면, 차우셰스쿠 부부는 자신들이 "체포되었다"는 것을 인식하지 못하고 튀르고비슈테 군대의 보호를 받고 있다고 믿었다고 한다.[125] 그 후 이틀 동안 부부는 기지 내 독방과 장갑차 안에서 지냈다.[250]
12월 24일, 미국의 국무장관 제임스 베이커(James Baker)는 소련 외무부에 "차우셰스쿠 정권 위기에 관련된 유혈 사태를 막기 위해 소련이나 와르샤와 조약 기구가 루마니아에 개입할 경우 미국은 반대하지 않는다"고 통보했다.[125]
11. 3. Death
차우셰스쿠 부부는 12월 25일 구국전선의 군사 법정에서 인민재판으로 반역과 살인 혐의로 사형을 선고받았다.[323] 변호사 카를로마저 "당신이 이 나라에 해 놓은 짓을 보시오. 당신이 이 나라 루마니아를 멸망으로 몰고간 것을 부인할 수가 없소. 나도 당신을 포기했소."라고 말할 정도였다. 차우셰스쿠는 루마니아 국민을 배려해 사력을 다했다고 주장하여 재판장의 미움을 샀다. 소총수들은 차우셰스쿠를 죽이려 총을 준비했고, Captain Ionel Boeru, Sergeant-Major Georghin Octavian, Dorin-Marian Cîrlan 이 세 명의 군인이 사형을 집행했다. 이들은 총 6정, 총알 180발을 준비해 차우셰스쿠를 처형하기로 약속했다. 차우셰스쿠 부부에게 사형이 선고되자 그들은 눈물을 흘리며 벽을 보고 "반역자들에게 죽음을!"이라 외쳤고, 사형 집행이 시작되자 "인터내셔널"을 불렀지만, 1절이 끝나기도 전에 총탄 160여 발을 맞고 사망했다.[317] 차우셰스쿠 처형 장면은 공개 생중계되었다.사형 집행 후, 차우셰스쿠 부부의 시신은 공동묘지 구석에 묻혔다. 유럽식 무덤과는 달리 흙으로만 대충 만들어졌고, 잡초와 나무만 가득했다. 비석도 세워지지 않았고, 함께 묻히는 것도 불허되어 50m쯤 떨어진 각자의 무덤에 매장됐다.[321] 차남 니쿠 차우셰스쿠도 공산 체제 붕괴 후 병사했으나, 차우셰스쿠의 묘지는 2010년 친자 확인 소송 문제로 파헤쳐졌다.[324]
차우셰스쿠와 그의 아내 엘레나는 에밀 보부(Emil Bobu)와 마네아 머네스쿠(Manea Mănescu)와 함께 수도를 탈출, 헬리콥터를 타고 스나고브(Snagov) 저택으로 이동한 후 터르고비슈테(Târgoviște)로 도망쳤다. 루마니아 영공이 폐쇄된 상황에서 군의 명령에 따라 터르고비슈테 근처에 헬리콥터를 버렸다. 차우셰스쿠 부부는 경찰에 체포되어 구금되었고, 결국 군에 인계되었다.
1989년 12월 25일 크리스마스에 차우셰스쿠 부부는 루마니아 임시정부인 구국전선의 명령으로 작은 방에서 소집된 법정에서 재판을 받았다. 그들은 불법적인 재산 축적과 집단 학살 등의 혐의를 받았다. 차우셰스쿠는 재판정의 재판 권한을 거부하며 자신이 여전히 루마니아의 합법적인 대통령이라고 주장했다. 재판 끝에 차우셰스쿠 부부는 유죄 판결을 받고 사형을 선고받았다. 재판 과정에서 한 병사에게 차우셰스쿠 부부를 한 명씩 밖으로 데리고 나가 사살하라는 명령이 내려졌지만, 차우셰스쿠 부부는 함께 죽기를 원했다. 병사들은 이에 동의하고 그들의 손을 뒤로 묶기 시작했고, 차우셰스쿠 부부는 이에 항의했지만 막을 수 없었다.
차우셰스쿠 부부는 이오넬 보에루(Ionel Boeru) 대위, 게오르긴 옥타비안(Georghin Octavian) 상사, 도린-마리안 크를란(Dorin-Marian Cîrlan) 등[66] 20명의 지원자 중에서 모집된 다른 5명의 하사관들에 의해 처형되었다. 니콜라에 차우셰스쿠는 사형 집행 전에 벽으로 향하는 동안 "인터나시오날레"를 불렀다.[67] 두 사람이 벽에 바싹 붙어 자리에 서자마자 총살이 시작되었다.[67]
같은 날, 처형 장면은 루마니아 텔레비전에서 방영되었다.[68] 서둘러 진행된 재판과 사망한 차우셰스쿠 부부의 모습은 비디오로 촬영되어 처형 이틀 후 여러 서방 국가에서 공개되었다.
재판 진행 방식은 비판을 받았다. 이온 일리에스쿠는 2009년, 차우셰스쿠 부부가 부쿠레슈티를 탈출한 이후 사흘 동안 국가를 휩쓴 혼란을 종식시키기 위해 "매우 부끄럽지만 필요한" 재판이었다고 말했다.[69] 빅토르 스턴쿨레스쿠 또한 대안은 차우셰스쿠 부부가 부쿠레슈티 거리에서 린치당하는 것을 보는 것이었을 것이라고 말했다.[70]
차우셰스쿠 부부는 사형제도가 폐지되기 전 루마니아에서 마지막으로 처형된 사람들이었다.[71]
니콜라에와 엘레나 차우셰스쿠는 부쿠레슈티의 헌체아 묘지(Ghencea Cemetery)에 있는 간단한 무덤에 길의 양쪽에 따로 매장되었다. 그들의 무덤은 종종 꽃과 공산주의 지배의 상징으로 장식되었다. 2007년 4월, 아들 발렌틴 차우셰스쿠는 무덤이 진짜인지 조사해 달라는 항소를 기각당했다. 그의 동생 니쿠 차우셰스쿠는 1996년 사망 후 같은 묘지 근처에 묻혔다.[73] ''주르날루 나치오날''[72]에 따르면, 차우셰스쿠의 딸 조이아 차우셰스쿠와 지지자들이 유해를 영묘나 특별히 지은 교회로 이장해 달라는 요청을 했으나 정부는 거부했다.
2010년 7월 21일, 법의학자들은 DNA 검사를 실시하고자 유해를 발굴했다.[73] 엘레나로 추정되는 시신은 부패가 심해 신원 확인이 어려웠지만, 니콜라에의 시신은 총탄 자국이 남은 검은색 겨울 코트를 입고 있어 쉽게 신원을 확인할 수 있었다. DNA 검사를 통해 그의 신원을 확실히 밝힐 수 있었다.[74][75] 그의 가족은 부부를 위한 장례식을 치렀고,[73] 겐체아(Ghencea)에 함께 묻혔다.[76]
바실레 미라의 사망 소식이 발표된 직후, 차우셰스쿠는 루마니아 공산당 중앙위원회 정치집행위원회의 임시 회의를 소집하여 자신이 직접 군 지휘를 맡겠다고 발표했다. 루마니아 공산당 중앙위원회 건물 앞에는 5만 명의 군중이 모여 있었다. 오전 11시 30분경, 차우셰스쿠는 발코니에 모습을 드러내 확성기를 들고 군중을 향해 연설하려 했지만, 오히려 그들의 분노만 샀다. 세쿠리타테(Securitate) 국장 마린 네고에(Marin Neagoe)는 헬리콥터를 준비하라고 지시했다. 시위대가 건물 안으로 진입하기 시작했다. 오후 12시 6분, 차우셰스쿠 부부와 경호원들을 태운 헬리콥터가 건물 옥상에서 이륙했다.[247] 시위대는 니콜라에와 엘레나의 초상화를 창문에서 던져 버렸다. 군대는 군중 편에 서서 세쿠리타테와 대치하는 태세를 취했다. 12시 30분경, 시위대는 군대와 함께 국영 방송국을 점거했다. 오후 1시, 시위대는 차우셰스쿠 부부의 탈출을 알리고 "차우셰스쿠는 끝났다!"고 선언했다. 오후 1시 30분, 빅토르 스탕클레스쿠는 군대에 "국방부 장관의 명령에 따르라"는 지시를 내렸다. 이 시점에서 차우셰스쿠를 권좌에서 끌어내리는 과정은 완료되었다.[125]
오후 2시 45분, 루마니아 공산당 간부 중 한 명인 이온 일리에스쿠는 연설을 통해 "차우셰스쿠가 저지른 일은 공산주의를 더럽힌 것에 그치지 않는다"고 말했다. 오후 3시경, 부쿠레슈티 공과대학교(Universitatea Tehnică din București) 강사이자 후에 총리가 된 페트레 로만(Petre Roman)이 루마니아 공산당 중앙위원회 건물 발코니에 등장하여 "''Frontului Unităţii Poporului''"(“인민 통일 전선”)의 성명을 낭독했다.[248] 오후 4시, 이온 일리에스쿠와 페트레 로만은 육군 및 치안 유지 책임자들과 회담했다. 오후 5시, 이온 일리에스쿠가 루마니아 공산당 중앙위원회 건물 발코니에 등장하여 "동지 여러분!"이라고 부른 것에 대해 군중으로부터 비난을 받고 표현 방식을 수정했다.[125]
구국전선 평의회 의장에 취임한 이온 일리에스쿠는 오후 10시 30분에 선서문을 낭독하고 차우셰스쿠의 권력 축출, 민주주의, 정치적 다원주의, 경제 회복을 위한 조치 도입을 선언했다.[125] 일리에스쿠는 또한 "혼란과 내전, 무정부 상태를 피하기 위해 총선거가 열릴 때까지 구국전선 평의회가 국가 권력을 이어받을 것"이라고 발표했다.[125]
차우셰스쿠 부부는 부쿠레슈티 북부에 있는 스나고프(Snagov)로 향했다. 차우셰스쿠는 스나고프에서 군관구 사령관에게 전화를 걸어 충성을 맹세하는 말을 들었지만, 스탕클레스쿠가 영공을 폐쇄하여 헬리콥터를 타고 현지로 향할 수 없었다. 그는 차우셰스쿠가 탄 헬리콥터를 격추하려 했지만, 부하 중 한 명이 만류하여 튀르고비슈테(Târgoviște) 근처 들판에 착륙시켰다.[125] 착륙 후, 헬리콥터 조종사는 반군 측으로 망명했다. 차우셰스쿠 부부는 경호원들과 함께 지나가는 차량 운전자에게 자신들을 태워달라고 요구하며 피테슈티(Piteşti)로 향하려 했다. 엘레나는 "숲에 숨자"고 제안했고, 니콜라에는 "노동자들의 도움을 받자"고 답했다. 두 사람은 루마니아 공산당 지역위원회 건물로 피신하려 했지만 허락받지 못했다. 12월 22일 오후 3시 30분, 차우셰스쿠 부부는 군대에 체포되어 구금되었다.[125]
차우셰스쿠 부부는 자신들이 "체포되었다"는 것을 인식하지 못하고 튀르고비슈테 군대의 보호를 받고 있다고 믿었다고 한다.[125] 그 후 이틀 동안 부부는 기지 내 독방과 장갑차 안에서 지냈다. 이 기간 동안 부부는 간단한 건강 검진을 받았다.[250]
12월 24일, 미국의 국무장관 제임스 베이커(James Baker)는 소련 외무부에 "차우셰스쿠 정권 위기에 관련된 유혈 사태를 막기 위해 소련이나 와르샤와 조약 기구가 루마니아에 개입할 경우 미국은 반대하지 않는다"고 통보했다. 소련은 "루마니아인의 운명은 루마니아인 자신에게 달려 있다"고 결정했다고 한다.[125]
이온 일리에스쿠는 차우셰스쿠 부부를 재판에 넘길 "특별 군사 법정"을 설립하는 명령에 서명했다.[258][259][125]
1989년 12월 25일, 빅토르 슈탕클레스쿠, 비르질 머구레아누(Virgil Măgureanu), 게르 보이칸 보이코레스쿠가 탄 헬리콥터가 투르고비슈테에 도착했다.
12월 25일 오후 1시 20분, 투르고비슈테 군 주둔지 내 병영에서 니콜라에와 엘레나에 대한 특별 군사 법정 "''Tribunal al Poporului''"(「인민 재판」)이 시작되었다. 차우셰스쿠 부부는 국가에 대한 범죄, 자국민 대량 학살, 외국 은행에 비밀 계좌 개설, "국민 경제를 약화시켰다"는 혐의로 기소되어, 부부의 전 재산 몰수 및 사형이 선고되었다.[125] 1989년 12월 25일자 관보에는 구국전선평의회의 서명과 함께 다음과 같은 공식 성명이 게재되었다. "역사와 법 앞에, 독재자와 그의 추종자들이 저지른 죄는 국가를 파멸로 이끌려는 행위에 대한 응당한 제재를 엄정하게 결정하는 법정에서 입증될 것이다."[125]
이 공식 성명이 발표된 시점에, 차우셰스쿠는 이미 처형되었었다.
재판은 사전 범죄 수사도 실시되지 않은 채 즉시 시작되었다.[125] 피고인은 법률에서 의무화하고 있는 정신 감정을 받지 않았고, 스스로 변호사를 선택할 수도 없었다.[125]
차우셰스쿠의 변호인 역할을 맡은 니콜라에 테오도레스쿠는 형법 제162조, 제163조, 제165조, 제357조에 규정된 행위에 근거하여[260] 다음과 같은 혐의로 기소된 취지를 고했다.[261]
- 6만 명을 살해했다
- 국가와 국민에 대해 무장 행동을 조직하고, 국가 권력을 전복하려 했다
- 건물의 파괴·손괴, 도시에서의 폭발로 공공 재산을 파괴했다
- 국민 경제를 약화시켰다
- 외국 은행에 10억 달러를 부정하게 축재하고, 그것을 이용하여 해외 탈출을 시도했다
그러나 이러한 고소 내용이 입증된 것은 없다.
차우셰스쿠는 루마니아 대국민의회의 승인이 없다면 이 재판은 무효이며, 자신들을 재판하고 있는 군인들의 주장에는 아무런 근거가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며[262] 다음과 같이 반론했다. "나는 기소조차 되지 않았다. 나는 루마니아의 대통령이며, 최고 사령관이며, 대국민의회와 노동 계급 대표자 앞에서만 답하겠다. 그뿐이다. 이 쿠데타를 일으킨 자들의 행위는 국민에 대한 배신이며, 루마니아의 독립을 붕괴로 몰아넣었다. 처음부터 끝까지, 모든 것이 기만이다!"[263]
변호인 역할을 한 군인들은 동요를 보였고, 변호 전략도 확립하지 못했다. 그들에 따르면, 자신들이 앞으로 무엇을 할 것인지에 대해 헬리콥터 안에서 처음 들었다고 한다. 게다가, 아직 고소장이 읽히지도 않았는데도 불구하고, 차우셰스쿠 부부에게 "죄"를 인정하게 하려 했다.[125] 차우셰스쿠 부부의 재판은 요시프 스탈린(Иосиф Сталин) 시대에 행해진 보복 재판처럼 전개되었다.[125] 검사 역할을 한 단 보이네아(Dan Voinea)는 차우셰스쿠에게 "『정신 질환을 앓고 있다』고 인정한다면, 피고인에게 책임을 묻고자 하지 않는다"는 타협안을 제시했으나 차우셰스쿠 부부는 강하게 거부했다.[125]
부부의 전 재산 몰수와 사형이 선고된 후, 차우셰스쿠가 "어떤 판결이든, 나는 인정할 생각이 없다!"고 외치자, 변호인 니콜라에 테오도레스쿠는 "이 판결을 인정하지 않는다는 것은 피고인이 항소할 권리를 행사하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지금 이 자리에서, 이 판결은 최종 결정이라는 점에 유의하십시오"라고 말했다.[125]
이 재판은 텔레비전 방송을 통해 전 세계에 방영되었다. 텔레비전에 비친 영상에서는 엘레나가 소수의 질문에만 답했고, 울부짖거나 고함치는 모습이 눈에 띄었고, 니콜라에가 엘레나에게 진정하라고 달래는 모습도 보였다.
차우셰스쿠는 이 재판이 1965년의 루마니아 헌법에도 위반되고, 자신을 권력의 자리에서 몰아낼 권한이 있는 것은 대국민의회뿐이라는 취지를 명확히 했다. 또한 "이 재판에는 법적 근거가 없고, 이 쿠데타의 배후에는 소련이 있다"고 주장했다.[264] 차우셰스쿠는 처음부터 법적 관점에 근거하여 논의하고 있었다. 재판 시작부터 사망 순간까지, 차우셰스쿠는 명석함을 유지했다.[265] 재판은 1시간 20분 만에 끝났고, 앞서 언급된 혐의에 대해서는 하나도 입증되지 않았다.[125]
오후 2시 40분, 재판이 끝나고, 오후 2시 45분에 니콜라에와 엘레나에게 사형이 선고되었다. 그 직후, 부부는 양손을 끈으로 뒤로 묶인 채 건물에서 연행되었다. 연행되는 도중, 니콜라에는 "자유로운 독립국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만세!"라고 외쳤다.[125] 총살당하기 직전, 니콜라에는 공산 혁명의 노래 "인터내셔널"을 흥얼거리며, "배신자를 죽여라!"고 외쳤다.[125][125][266] 엘레나는 "남편과 함께 죽게 해달라", "나와 남편은 함께 싸웠다. 함께 죽겠다", "죽일 거라면, 구속을 푼 상태로 죽여달라", "우리는 언제나 함께다. 법이 그렇게 말하고 있다"고 요구하며, 자신의 양손을 끈으로 묶으려는 군인들에게 "이게 뭐야? 이걸로 뭘 할 생각이야? 만지지 마! 묶지 마! 우리를 화나게 할 생각이야!? 나는 너희들의 어머니로 남아 있었다고! 내 손이 부러진다! 손을 놓아, 그 손을 놓는다고! 부끄러운 줄 알아!"라고 외치며 저항하려 했다.[125] 엘레나는 또한, 총살대 앞에서 "잘 생각해 봐. 나는 이 20년 동안 너희들의 어머니로 남아 있었다고!"라고 절규했다.[125]
1989년 12월 25일 오후 2시 50분, 니콜라에 차우셰스쿠와 엘레나 차우셰스쿠는 총살형에 처해졌다.[125] 부부의 처형은 판결이 나온 지 10분 이내에 집행되었다. 부부가 총살당하기 전후의 영상도 텔레비전 중계를 통해 전 세계에 방영되었다.[125] 부부의 유해는 겐체아 묘지(''Cimitirul Ghencea'')에 매장되었다.
루마니아 국내 텔레비전에서 차우셰스쿠 부부가 총살된 영상이 공개되었고, 아나운서는 "적그리스도가 크리스마스 날에 죽임을 당했습니다"라고 전했다.[125][125][125]
차우셰스쿠 부부의 처형을 지휘한 이오넬 보에루(Ionel Boeru)는 "두 사람에게는 아무런 동정심도 느껴지지 않았다. 시선을 교환하지도 않았다. 동물을 죽이는 것과 같았다"고 말했다.[267]
이 재판은 범죄 수사가 실시되지 않은 점, 기소장이 없는 점, 기소장을 피고인에게 통지하지 않은 점, 정신의학에 근거한 전문적인 검사를 실시하지 않은 점, 재판의 기한을 설정하지 않은 점, 변호인을 선정하지 않은 점, 상고의 제출 기한을 지키지 않고 재판하지 않은 점 등 법률 위반이 있었다. 군사 검찰관이었던 미하이 포포프(Mihai Popov)에 따르면, 루마니아 법률에서는 판결 후 10일이 경과해야 비로소 판결이 확정되지만, 그 규정에도 위반되었고, 그 10일 이내에 피고가 "항소하지 않는다"고 처음에 선언했다 해도, 생각을 바꿀 권리가 피고인에게 있다. 당시 절차에서는 항소 기간이 종료된 시점에서 유죄 판결을 받은 자는 사면을 신청하거나, 또는 사면을 신청하지 않는다는 뜻을 서면으로 표명해야 했다. 그 사면 신청이 기각되어야 비로소 형의 집행이 가능해졌다고 한다.[268]
미하이 포포프는 "차우셰스쿠 부부에 대한 『고소』 내용은 어디까지나 상식을 벗어난 것이었다. 차우셰스쿠 부부는 사형에 처할 가능성이 있는 살인죄로 재판받았어야 했다. 12월 22일 이전 티미쇼아라에서 일어난 일을 고려한다면, 이 판결은 타당하다고 말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살인 교사에 대한 유죄 판결은 대량 학살에 대한 유죄 판결과 달리 전 재산 몰수를 수반하는 것이 아니고, 그것을 실시할 권리도 없는 것이다"라고 말했다.[125] 또한, 포포프는 "차우셰스쿠 부부에 대한 재판은 루마니아의 수치를 전 세계에 드러냈다"고도 말했다.[125]
역사가 조에 페트레(Zoe Petre)는 "속칭 투르고비슈테 재판은 법률 위반도 심하고, 황당한 고소에 근거하고 있으며, 루마니아의 최근 역사에서 부끄러운 이정표로 남아 있다. 저 재판에는 아무런 법적 가치가 없고, 강도를 극적으로 연출하고, 마치 법에 따라 진행한 것처럼 보이게 한 실패작이다. 루마니아의 새로운 지도자가 될 인물에 대해 차우셰스쿠는 분명 많은 것을 알고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차우셰스쿠는 죽어야 했다"고 말했다.[125]
임시 법정을 설립하고 신속하게 진행시켜 차우셰스쿠 부부를 처형한다는 흐름에 대해, 이온 일리에스쿠는 2009년에 "부끄러운 일이지만, 필요한 일이었다"고 말했지만[269], 한편으로는 "나는 차우셰스쿠의 처형을 후회하지 않는다. 그는 악행의 주범이며, 응당한 보복을 받았을 뿐이다"라고도 말했다.[125][270]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위원 중 한 명이었던 미하일 사로멘체프(Михаи́л Соло́менцев)는 차우셰스쿠의 처형에 대해 "나는 차우셰스쿠에게 거부 반응을 느낀 적이 없다. 그의 처형에 대해서는 전혀 불쾌하고, 잔혹하다. 재판도 수사도 기소장도 없지 않은가. 그들이 한 일은 단지 평결을 읽고 두 사람을 밖으로 데리고 나가 총살한 것이다. 어디서부터 어떻게 봐도 법률 위반이 아닌가?"라고 말했다.[271]
루마니아 국립은행 전 총재로 재무부에서 30년 이상 근무했고, 차우셰스쿠와 함께 일한 경험이 있는 데체발 우르다(Decebal Urdea)는 "차우셰스쿠가 국민 경제를 약화시켰다는 것은 어리석은 주장이다"라고 단언했다.[125]
1989년 12월 16일부터 22일까지 1104명이 사망하고 3352명이 부상을 입었다. 12월 22일 이후 등록된 희생자의 내역은 805명이 군인(260명 사망, 545명 부상), 138명이 경찰관(65명 사망, 73명 부상)이었다. 법정에 회부된 약 100건의 기소장 외에 검찰은 다른 5395건의 사건을 수사했고, 그중 4881건은 불기소 처분을 했다. 1990년 3월, 신체적 위해를 가하는 폭력 행위는 사면되었다. 시위대에게 발포하도록 명령한 것은 차우셰스쿠가 아니라 빅토르 슈탕클레스쿠였던 것이 밝혀졌다고 한다.[125]
공산 정권이 멸망한 후, 루마니아에서는 1990년 1월 7일에 사형을 폐지했다.[272] 니콜라에와 엘레나는 루마니아에서 사형이 집행된 마지막 존재가 되었다. 또한, 공산주의 체제하의 루마니아에서 사형이 도입된 것은 1957년 9월 30일이었다.[273]
약식 재판 당시, 차우셰스쿠는 "외국 은행에 비밀 계좌를 개설했다"고 말했지만, 그러한 계좌는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 밝혀졌다.[274] 2008년 10월 14일, 루마니아 의회는 조사위원회의 보고서를 채택했다. 국회 특별위원회 위원장 조르제 사빈 쿠타슈(George Sabin Cutaş)는 "은행가와 중앙은행 총재, 언론인에게 증언을 들은 결과, 『니콜라에 차우셰스쿠가 외국 은행에 비밀 계좌를 가지고 돈을 부정하게 이체했다』는 것을 보여주는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다"고 결론지었다.[125] 보고서에는 "취재를 받은 모든 사람들에게 공통되는 결론은 『차우셰스쿠는 해외에 계좌를 가지고 있지 않았다』이다"라고 적혀 있다.[125]
2010년에 루마니아를 방문한 미하일 고르바초프는 "루마니아의 상황이 아무리 어려웠다고 해도, 차우셰스쿠를 죽였어서는 안 되었다. 그의 죽음은 잔혹하다"고 말했다.[125][275]
루마니아의 언론인 이온 크리스토이우(Ion Cristoiu)는 "차우셰스쿠 부부는 빅토르 슈탕클레스쿠가 이끄는 공수부대의 손에 잡혔다"고 주장하며, "리비아의 지도자를 암살한 범인들은 정신을 잃었다. 니콜라에 차우셰스쿠를 죽인 자들은 자신들이 하고 있는 일을 충분히 이해한 뒤 행동했다. 무아마르 알 카다피의 암살과는 달리, 니콜라에 차우셰스쿠의 살해는 잔혹한 극악 행위이다"라고 썼다.[125]
12. Ceaușescu's policies
차우셰스쿠의 정책은 루마니아 민족주의, 경제 정책, 외교 정책을 중심으로 특징지어진다. 한국의 입장에서 볼 때, 그의 정책들은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을 모두 가지고 있다.
차우셰스쿠주의의 주요 특징은 루마니아 민족주의였다.[78] 이는 1965년 차우셰스쿠가 권력을 장악하는 데 기여했으며, 이온 게오르게 마우레르 하의 당 지도부가 게오르게 아포스톨보다 그를 선택하게 만들었을 것이다. 그는 소브롬(SovRom) 사건 당시와 그 이후 루마니아 사회의 독립에 대한 열망을 구현하게 되었다. 이 민족주의 정책은 더욱 소극적인 선례가 있었다.[79] 예를 들어, 게오르게 게오르기우-데지는 1958년 소련군 철수를 감독했다.
차우셰스쿠는 소련 정책에 의문을 제기하는 조치를 취했는데, 그의 통치 초기에는 루마니아 사회 내부의 정치적 압력을 완화했다.[80] 이는 1960년대 후반과 1970년대 초가 사회주의 루마니아에서 가장 자유로운 시기였다. 대중의 신뢰를 얻은 차우셰스쿠는 레오니드 브레즈네프에 의한 프라하의 봄 진압에 대해 분명한 입장을 취했다. 샤를 드골의 방문 후, 8월 차우셰스쿠의 공개 연설은 대중에게 깊은 인상을 주었다. 그는 즉시 서방의 동정과 지원을 받았으며, 동시에 무장한 소련의 침공 위협을 초래했다. 많은 루마니아 젊은이들이 당시 막 창설된 ''애국 수비대''에 가입하여 위협에 대응했다.[81] 리처드 닉슨 대통령은 1969년 부쿠레슈티를 방문했는데, 이는 냉전 시작 이후 미국 대통령의 공산국가 방문으로는 처음이었다.
알렉산데르 두브체크의 ''인간적인 얼굴을 한 사회주의'' 버전은 루마니아 공산주의의 목표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차우셰스쿠는 잠시 두브체크의 체코슬로바키아와 요시프 브로즈 티토의 유고슬라비아와 동맹을 맺었다. 그는 자신의 목표에 맞게 티토주의의 "독립적인 사회주의 발전"이라는 원칙을 적용했다. 루마니아는 모스크바의 감시 없이 마르크스주의 목표를 달성하고 있음을 보여주기 위해 자신을 "사회주의" 공화국이라고 선언했다.
체제의 민족주의적 특징은 강화되었고 점차적으로 북한의 ''주체''와 중국의 마오이스트 이상과 융합되었다. 1971년, 이미 내부 반대 세력이 완전히 제거된 당은 ''7월 테제''를 승인했다. 1974년 제11차 당 대회는 루마니아 문화에 대한 당의 통제를 강화하여 차우셰스쿠의 민족주의 원칙을 향하게 했다.[82] 특히 루마니아 역사가들이 다키아인을 "조직되지 않은 국가"로 언급할 것을 요구했는데, 이는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이어지는 정치적 연속선의 일부였다.[82] 정부는 고대 형태와의 문화적 대화를 계속했으며, 차우셰스쿠는 자신의 인격숭배를 미르체아 첼 버트린과 미하이 비테아줄과 같은 인물과 연결시켰다. 또한 도시 이름에 다키아 또는 로마 버전을 추가하기 시작했다. 차우셰스쿠는 독립적인 "국가 공산주의" 노선을 유지했지만, 국가에 대한 그의 절대적인 통제와 그를 둘러싼 인격 숭배의 강도로 인해 그의 통치를 구식 스탈린주의 체제에 가장 가까운 것으로 묘사했다.[84]
차우셰스쿠는 1976년 8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몰도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을 방문한 최초의 고위급 루마니아 인사였다.
니콜라에 차우셰스쿠는 현대 루마니아 포퓰리즘 수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의 말년에 그는 친-나치 독재자 이온 안토네스쿠의 이미지를 복원하기 시작했다. 루마니아의 마자르 소수 민족에 대한 처우를 둘러싼 헝가리와의 갈등은 여러 가지 특이한 측면이 있었다. 이는 1980년대 후반이 마르크스주의보다는 민족주의적 전통에 더 의존하는 두드러진 반헝가리 담론과 세계 무대에서 루마니아의 고립으로 특징지어졌음을 의미한다.[85]
차우셰스쿠는 모든 형태의 ''페레스트로이카''와 ''글라스노스트''에 대한 강력한 반대 때문에 미하일 고르바초프와 대립했다. 그는 다른 바르샤바 조약 국가들이 고르바초프의 개혁에 대한 자체 버전을 시도하기로 결정했을 때 매우 불쾌해했다. 특히 그는 폴란드 지도자들이 연대 노동조합과의 권력 분배에 찬성했을 때 격분했다. 그는 심지어 폴란드에 대한 바르샤바 조약 침공을 촉구하기까지 했다.[86] 고르바초프는 차우셰스쿠를 "루마니아 총통"이라고 부르며 그에 대한 불쾌감을 감추지 않았다.[62]
1989년 11월, 제14차 루마니아 공산당 대회에서 차우셰스쿠는 몰로토프-리벤트로프 조약을 규탄하고 그 결과를 무효화할 것을 요구했다. 사실상 이것은 베사라비아(당시 대부분 소비에트 공화국이었고 1991년 이후 독립된 몰도바)와 북부 부코비나의 반환을 요구하는 것이었다.
차우셰스쿠는 개인숭배를 통해 자신을 "콘두커터어"(Conducător, 지도자) 및 "게니울 딘 카르파치"(Geniul din Carpați, 카르파티아 산맥의 천재) 등의 칭호로 포장했는데, 이는 프롤레타리아 문화(프롤레트쿨트)에서 영감을 받은 것이다. 대통령으로 선출된 후에는 "대통령 홀"을 제작하여 왕실의 상징을 모방했다. 화가 살바도르 달리는 이러한 과장된 행위를 비꼬며 차우셰스쿠에게 축하 전보를 보냈지만, 공산당 일간지 ''스컨테이아''(Scînteia)는 이를 풍자로 인식하지 못하고 게재했다.
차우셰스쿠 통치 시대에 그의 공식 생일인 1월 26일은 루마니아 언론이 그를 칭찬하는 보도로 가득 차는 중요한 날이었다. 빅터 세베스티엔(Victor Sebestyen)에 따르면, 이날은 평범한 루마니아인들이 행복한 표정을 짓는 몇 안 되는 날 중 하나였는데, 불행한 모습을 보이는 것은 위험했기 때문이다.[62]
파체파의 망명 이후 추가적인 반역을 막기 위해 차우셰스쿠는 아내 엘레나와 다른 가족 구성원들에게 정부의 중요한 직책을 부여했다. 이는 차우셰스쿠가 "한 가족 안의 사회주의"를 만들고 있다는 비판으로 이어졌다.
차우셰스쿠는 자신의 대중 이미지에 매우 신경을 썼다. 그의 공식 사진은 거의 40대 후반의 모습으로 고정되었고, 루마니아 국영 텔레비전은 그를 최대한 좋은 모습으로 보여주라는 지시를 받았다.[62] 또한 제작자들은 차우셰스쿠의 키(1.68m[95])가 화면에서 부각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했다. 한 제작자가 차우셰스쿠가 눈을 깜빡이고 말을 더듬는 장면을 내보낸 후 3개월 동안 방송 금지 처분을 받았다.[62]
차우셰스쿠 부부는 여러 국가와 기관으로부터 훈장과 칭호를 받았다. 프랑스는 니콜라에 차우셰스쿠에게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수여했고, 1978년에는 영국에서 대영 제국 훈장 명예 기사 대십자장(GCB)[96]을 받았으나 1989년에 박탈당했다. 엘레나 차우셰스쿠는 미국의 과학 아카데미 회원으로 "선출"되도록 조작되었다.
차우셰스쿠 통치 기간 동안 정부는 루마니아의 교회와 역사적 건축물을 광범위하게 철거했다. 알렉산드루 부디스테누에 따르면, 차우셰스쿠는 교회가 보이는 것을 싫어했으며, 철거하거나 옮겨 시야에서 사라지게 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차우셰스쿠는 중국과 북한을 방문하여 마오쩌둥과 김일성과 회담했다. 그는 그들의 개인숭배에 영향을 받아 중국과 북한의 정치 체제를 모방하기 시작했다.[216][217][218][219] 1971년 7월 6일, 차우셰스쿠는 "7월의 주장”이라는 정치 강령을 발표했다.[220][221] 이는 사회에서 당의 영향력을 강화하고, 학교와 대학, 아동·청소년·학생 단체에서 정치·사상 교육을 강화하며, 정치 선전을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또한 라디오, 텔레비전 방송, 출판사, 극장, 오페라, 발레, 예술 조합의 활동 지침을 결정하는 내용도 포함되었다. 차우셰스쿠가 서기장에 취임했을 무렵의 자유주의적 정책은 끝나고 검열이 부활했으며, 국가주의적 이데올로기가 루마니아에 도입되었다.[125] 루마니아의 보도 기관은 차우셰스쿠를 찬미하는 정치 운동을 전개했고, 이는 차우셰스쿠에 대한 개인숭배의 시작이 되었다. 차우셰스쿠는 김일성의 주체사상을 루마니아어로 번역하여 국내에 보급하고, 국가보안국(세쿠리타테)의 권한을 확대했다.
1970년대 초부터 니콜라에 차우셰스쿠에 대한 개인숭배가 시작되었다. 그는 당내에서 "조국의 아버지"라는 칭호를 구축해 나갔으며, 이는 루마니아 공산당이 공식적으로 지지하는 "새로운 역사적 개념"의 일부였다. 1974년 이후부터 그는 역사 속 인물과 자신을 비교하기 시작했다.[125] 차우셰스쿠에 대한 개인숭배는 요시프 스탈린, 마오쩌둥, 요시프 브로즈 티토에 대한 개인숭배 수준에 필적하거나 능가할 정도로 강해졌고, 당시 루마니아 사람들은 그를 "마오-체스쿠"라고 불렀다.[222] 차우셰스쿠의 방문 국가에서는 성대한 열병식이 개최되었고,[223] 루마니아 국내에는 그의 젊은 시절 초상화가 곳곳에 설치되었다. 차우셰스쿠에 관한 책(전 28권의 연설집)이 판매되었고, 일간지는 그의 업적 기록에 전념했으며, 저녁 텔레비전 방송은 그의 매일의 일정과 활동을 전달했고,[224] 신문 판매점과 악기점에서는 그의 연설 녹음본이 판매되었으며, 화가와 시인은 그를 칭송하는 작품을 창작해야 했다.[125] 차우셰스쿠는 로부터 홀을 건네받아 대국민 의회 개회식에 들고 나타났다.
차우셰스쿠 정권은 작가, 시인, 가수, 작곡가, 영화 감독, 화가에게 공금을 지불하여 그를 찬양하도록 했다. 차우셰스쿠는 자신의 생일에 일반 사람들로부터 무상의 사랑을 그린 그림을 받는 것을 좋아했다.
차우셰스쿠는 "위대한 지도자"로 묘사되었으며, "카르파티아의 천재", "이성에 찬 도나우", "우리의 빛의 근원",[125] "전례 없는 새로운 시대의 창조자",[226] "영웅 중의 영웅", "노동자 중의 노동자", "이 지상에 처음 등장한 유력자"[125] 등의 찬사를 받았다.
아내 엘레나 또한 개인숭배의 대상이 되어 “당의 광명”, “여걸”, “문화와 과학을 인도하는 빛”이라고도 불렸다.[125]
1983년 12월,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루마니아 통일 65주년 기념 집회가 개최되었으나, 이는 니콜라에 차우셰스쿠를 축하하기 위한 행사였다. 한 서구 외교관은 차우셰스쿠를 "동유럽에서 가장 독재적이고 권위주의적인 통치자"라고 비판했다.[125]
차우셰스쿠는 루마니아 국민으로부터의 인망과 강력한 지지를 끝까지 믿었다고 전해지지만,[227] 경제 위기가 심화됨에 따라 그에 대한 불신이 커지고 루마니아 사회에는 긴장감이 고조되었다.[125]
루마니아 철학자 는 "중국과 북한 방문은 차우셰스쿠를 비참한 남자로 만들어 버렸다"고 평가했다.[125]
한편, 1980년대 니콜라에 차우셰스쿠 통치하의 루마니아 비밀경찰인 세쿠리타테는 이케아로부터 6자릿수의 금액을 받았다.[98][99] 이케아가 루마니아에서 생산된 제품에 대해 과다하게 지불하기로 합의했으며, 초과 지불금의 일부는 세쿠리타테가 관리하는 계좌에 입금되었다.[100]
차우셰스쿠주의는 루마니아의 사회주의 발전에서 새로운 단계를 의미하며, 루마니아 민족주의를 중심으로 경제, 외교 정책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의 정책은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을 동시에 지니고 있으며, 특히 개인숭배와 전체주의적 경향은 비판받을 만하다.
12. 1. Non-aligned policy feats
[[File:Bundesarchiv_Bild_183-1987-0529-029,_Berlin,_Tagung_Warschauer_Pakt,_Gruppenfoto.jpg|thumb|1987년 바르샤바 조약 기구 정상회담 단체사진. 왼쪽부터 후사크(체코슬로바키아), 지브코프(불가리아), 호네커(동독), 고르바초프(소련), 차우셰스쿠, 야루젤스키(폴란드), 카다르(헝가리])차우셰스쿠는 발칸 국가들 간의 지속적인 긴장 완화를 적극 지지하며, 발칸 국가 간 협력 목표를 위해 극렬한 반공주의 국가인 그리스의 군사 독재 정권과도 우호 관계를 맺었다.[88]
차우셰스쿠의 루마니아는 1967년 6일 전쟁 당시 이스라엘이 이집트를 공격한 후에도 이스라엘과 외교 관계를 유지한 유일한 동구권 국가였으며, 이는 소련의 심기를 불편하게 했다.[89] 차우셰스쿠는 팔레스타인 해방기구와 이스라엘 간 중재자 역할을 시도했다.
루마니아는 소련과 다른 동맹국들이 1980년 모스크바 하계 올림픽에 대한 미국 주도의 보이콧에 대한 보복으로 보이콧한 1984년 로스앤젤레스 하계 올림픽에 참가한 유일한 동구권 국가였다.
차우셰스쿠의 루마니아는 1973년 아우구스토 피노체트 쿠데타 이후 칠레와의 외교 관계를 단절하지 않은 유일한 바르샤바 조약 기구 국가였다.[90]
차우셰스쿠는 독재자 모부투 세세 세코(자이르)와 매우 가까운 사이였다. 이 관계는 국가 관계를 넘어 혁명 인민 운동(MPR)과 루마니아 공산당(PCR) 간의 관계로까지 이어졌다. 차우셰스쿠의 죽음이 1990년 모부투가 자이르를 "민주화"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는 시각도 있다.[91]
차우셰스쿠는 루마니아 인민군 규모를 5% 감축하기 위해 가짜 국민투표를 조직했다.[92] 그는 또한 "인민 민주주의"를 위한 평화 대규모 집회를 개최하도록 명령했다.
1968년 8월 16일, 소련의 체코슬로바키아 침공 직전 차우셰스쿠는 프라하를 방문하여 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 제1서기 알렉산더 두브체크와 회담하고 우호, 협력, 상호 원조 조약에 서명하며 두브체크와의 연대를 표명했다.[125] 소련이 체코슬로바키아를 점령한 후인 1968년 8월 21일, 부쿠레슈티에서 열린 국민 집회에서 차우셰스쿠는 소련을 강하게 비난하며 "체코슬로바키아 침공은 엄청난 실수이며, 유럽의 평화와 사회주의의 운명에 대한 심각한 위협이며, 혁명 운동의 역사에 수치스러운 오점을 남겼다. 형제 국가의 내정에 대한 군사 개입은 결코 용납될 수 없으며 정당화될 수도 없다. 각국에서 사회주의를 어떻게 건설해야 하는지는 외부인이 함부로 말할 권리가 없다"라고 주장했다.[189][125]
차우셰스쿠는 소련의 체코슬로바키아 침공에 루마니아군을 참여시키지 않았다.[125] 1979년 12월 소련이 아프가니스탄을 침공했을 때에도 소련을 비난하고 소련이 루마니아 영토에 군사 기지를 설치하는 것을 금지했다.[190]
1969년 다만스키섬에서 발생한 소련과 중국의 무력 충돌에 대해 차우셰스쿠는 중립적인 입장을 취했다. 루마니아는 1967년 6월 제3차 중동 전쟁 이후에도 이스라엘과의 외교 관계를 유지했고, 1973년 칠레에서 아우구스토 피노체트의 군사 쿠데타 발생 후에도 칠레와의 외교 관계를 유지했다. 미국 의회는 루마니아가 중동 전쟁 후에도 이스라엘과의 외교 관계를 유지한 점을 근거로 "루마니아에 무역에서의 최혜국 대우 지위를 부여하자"는 결정을 내렸다.[125]
1975년 4월 4일부터 9일까지 차우셰스쿠는 부인 엘레나와 함께 일본을 공식 방문하여 미키 다케오와 쇼와 천황과 회담했다.[191] 1975년 10월 9일에는 아키히토와 미치코가 루마니아를 방문했고, 차우셰스쿠는 부인 엘레나와 함께 두 사람을 맞이했다.[192]
차우셰스쿠는 외교 정책의 일환으로 여러 국제 분쟁에서 중재 역할을 맡았다. 1966년, 그는 북대서양 조약 기구와 바르샤바 조약 기구를 동시에 해체하자는 구상을 제시하기도 했다.[193] 또한 미국과 소련 양쪽에 핵 미사일 배치를 중단하라고 요구했다.[125] 1969년에는 미국과 중국의 국교 수립 중재 역할도 수행했다.[125]
차우셰스쿠는 1966년 3월 18일자 『타임지』 표지를 장식했다.[194]
차우셰스쿠의 외교 덕분에 루마니아는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양쪽과 모두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할 수 있었다.[125] 1977년 이집트 대통령 안와르 사다트가 이스라엘을 방문했을 때, 차우셰스쿠는 이스라엘 지도자와의 협상에 참가했다.
1970년대 초 리비아를 방문한 차우셰스쿠는 무암마르 알 카다피와 회담하여 "당신은 코란을 믿고 나는 마르크스주의를 믿지만, 나도 당신도 자국의 독립을 믿고 있다. 당신은 미국인을 몰아냈고 나는 러시아인을 몰아냈다. 당신은 이슬람 독립 국가를, 나는 마르크스주의 독립 국가를 건설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우리는 서로 협력해야 한다"라고 말했다.[195][125]
차우셰스쿠는 외교 수단을 활용하여 소련으로부터의 탈피를 꾀했다.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에 루마니아는 공식적으로 참가했다. 소련은 위성국들에게 불참을 호소했지만, 차우셰스쿠는 이를 무시하고 선수단을 미국에 파견했다.[125] 동유럽 공산권에서 루마니아는 이 올림픽에 참가한 몇 안 되는 국가 중 하나였다. 이후 차우셰스쿠는 올림픽 훈장을 받았다.
루마니아는 유럽 경제 공동체, 이스라엘, 서독과 국교를 맺었다. 1974년 루마니아를 유럽 경제 공동체의 특혜국 목록에 추가하는 조약이 체결되었고,[125] 1980년에는 루마니아와 유럽 경제 공동체 사이에 공산품 무역에 관한 협정이 체결되었다. 이는 리처드 닉슨과 제럴드 포드 두 사람의 루마니아 공식 방문으로 이어졌다.
차우셰스쿠는 서구 국가들을 활발하게 방문하며 자신을 "소련의 틀 안에서 독립적인 외교 정책을 추구하는 공산주의 개혁가"로 포장하여 서구 국가의 정치 지도자들로부터 호감을 얻으려 했다. 1967년 루마니아는 소련의 허락 없이 서독을 국가로 인정하고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했다. 루마니아는 양국 간 협정에 따라 트란실바니아에 거주하는 독일인들이 서독으로부터 금전적 보상을 받는 대신 출국을 허용했다.[196]
1969년 8월 리처드 닉슨이 루마니아를 방문하여 차우셰스쿠와 회담했다. 루마니아는 미국 대통령이 방문한 최초의 공산 국가가 되었다.[125] 그 후 30년 가까이 지명 수배를 받았던 반공주의 비정규군 부대 사령관 이온 가브릴라 오고라누가 사면으로 석방되었다. 이는 당시 국무장관 헨리 키신저의 요청에 따른 것이었다.[197] 닉슨은 차우셰스쿠에 대해 "골수 스탈린주의자이지만 외교의 자리에서 흔히 보이는 진부한 상투어를 쓰지 않는 사람"이라고 평가했다.[198][199] 차우셰스쿠는 닉슨과의 회담 사실을 회담 공식 발표 36시간 전에 소련에 통보했다고 한다. 닉슨과의 회담에서 차우셰스쿠는 "당신의 루마니아 방문에 대해 소련 동지들이 약간 동요하고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라고 말했다고 전해진다. 당시 차우셰스쿠는 "역사적 분석에 근거하여 소련의 패권은 그리 오래 가지 않을 것이다"라고 예측했다고 한다.[125]
1985년 3월 11일 미하일 고르바초프가 소련 공산당 서기장으로 선출되었다. 1986년 4월 8일, 탈린을 방문한 고르바초프는 "정치적 및 경제적 변혁"을 의미하는 "페레스트로이카"라는 단어를 처음 사용했다.[200] 이후 고르바초프는 글라스노스트라고 불리는 개혁을 추진하며 보도에 대한 검열 완화와 정보 공개를 시도했다. 차우셰스쿠는 고르바초프가 제시한 페레스트로이카를 비판하며,[125] 루마니아와 소련의 관계는 더욱 악화되었다. 1989년 8월 23일, 루마니아에서 열린 "파시스트 점령 해방 45주년 기념식"에 참석한 차우셰스쿠는 "루마니아에서 페레스트로이카가 이루어지기보다는 도나우 강이 역류할 가능성이 더 높을 것이다"라고 발언했다.[125][125][201]
1989년 12월 4일, 바르샤바 조약 기구 가맹국 정상 회담이 모스크바에서 개최되었다. 이 회담에서 불가리아, 동독, 폴란드, 헝가리, 소련 정상의 공동 선언이 채택되었다.
"1968년 체코슬로바키아에 대한 군사 개입은 주권 국가에 대한 내정 간섭이며 비난받아야 한다. 국가 간 관계에서 국가의 주권과 독립의 원칙은 엄격하게 존중되어야 한다. 매우 복잡한 국제 정세에서도 그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는 역사가 증명하고 있다."[202]
그러나 루마니아는 소련의 군사 침공에 참여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 공동 선언에 서명하지 않았다.[125] 이 정상 회담에 참석한 니콜라에 차우셰스쿠는 소련에 동유럽과 중앙유럽의 모든 국가, 즉 체코슬로바키아, 헝가리, 폴란드, 독일에서 소련군을 철수시킬 것을 요구했다.[125] 고르바초프와 차우셰스쿠의 마지막 회담에 동석했던 차우셰스쿠의 군사 고문 이온 딘카에 따르면 두 사람의 대화는 "저속한 말만 빠져 있었다"고 한다. 페레스트로이카에 대해 차우셰스쿠는 "어떤 개혁 정책도 실시하지 않겠다"라고 거부했고, 고르바초프는 "매우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것이다"라고 말하며 차우셰스쿠를 압박했다고 한다.[203]
차우셰스쿠와 서방의 관계는 1980년대에 현저히 악화되었다. 1987년 이후 차우셰스쿠는 경제 상호 원조 평의회 가맹국과 G7 국가들의 방문을 거부당했고, 1988년에는 무역에서의 최혜국 대우에서도 제외되었다.[125]
12. 1. 1. Moldavian Soviet Socialist Republic
1976년 8월, 니콜라에 차우셰스쿠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몰도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을 방문한 최초의 고위급 루마니아 인사였다. 1976년 12월, 부쿠레슈티에서 열린 회담 중 하나에서 이반 보디울은 "차우셰스쿠의 소비에트 몰도바 방문으로 좋은 관계가 시작되었다"고 말했다.[93]12. 2. Personality cult and totalitarianism
차우셰스쿠는 개인숭배를 통해 자신을 "콘두커터어"(Conducător, 지도자) 및 "게니울 딘 카르파치"(Geniul din Carpați, 카르파티아 산맥의 천재) 등의 칭호로 포장했는데, 이는 프롤레타리아 문화(프롤레트쿨트)에서 영감을 받은 것이다. 대통령으로 선출된 후에는 "대통령 홀"을 제작하여 왕실의 상징을 모방했다. 화가 살바도르 달리는 이러한 과장된 행위를 비꼬며 차우셰스쿠에게 축하 전보를 보냈지만, 공산당 일간지 ''스컨테이아''(Scînteia)는 이를 풍자로 인식하지 못하고 게재했다.
차우셰스쿠 통치 시대에 그의 공식 생일인 1월 26일은 루마니아 언론이 그를 칭찬하는 보도로 가득 차는 중요한 날이었다. 역사학자 빅터 세베스티엔(Victor Sebestyen)에 따르면, 이날은 평범한 루마니아인들이 행복한 표정을 짓는 몇 안 되는 날 중 하나였는데, 불행한 모습을 보이는 것은 위험했기 때문이다.[62]
파체파의 망명 이후 추가적인 반역을 막기 위해 차우셰스쿠는 아내 엘레나와 다른 가족 구성원들에게 정부의 중요한 직책을 부여했다. 이는 차우셰스쿠가 "한 가족 안의 사회주의"를 만들고 있다는 비판으로 이어졌다.
차우셰스쿠는 자신의 대중 이미지에 매우 신경을 썼다. 그의 공식 사진은 거의 40대 후반의 모습으로 고정되었고, 루마니아 국영 텔레비전은 그를 최대한 좋은 모습으로 보여주라는 지시를 받았다.[62] 또한 제작자들은 차우셰스쿠의 키(1.68m[95])가 화면에서 부각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했다. 한 제작자가 차우셰스쿠가 눈을 깜빡이고 말을 더듬는 장면을 내보낸 후 3개월 동안 방송 금지 처분을 받았다.[62]
차우셰스쿠 부부는 루마니아 대사관의 영사 문화 참사관을 통해 여러 국가와 기관으로부터 훈장과 칭호를 받았다. 프랑스는 니콜라에 차우셰스쿠에게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수여했고, 1978년에는 영국에서 대영 제국 훈장 명예 기사 대십자장(GCB)[96]을 받았으나 1989년에 박탈당했다. 엘레나 차우셰스쿠는 미국의 과학 아카데미 회원으로 "선출"되도록 조작되었다.
차우셰스쿠 통치 기간 동안 정부는 대규모 재개발 프로젝트를 실행하기 위해 루마니아의 교회와 역사적 건축물을 광범위하게 철거했다. 부쿠레슈티 전 수석 건축가 알렉산드루 부디스테누에 따르면, 차우셰스쿠는 교회가 보이는 것을 싫어했으며, 철거하거나 옮겨 시야에서 사라지게 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그러나 엔지니어 에우제니우 이오르다케스쿠가 주도한 프로젝트를 통해 많은 역사적 건축물을 덜 눈에 띄는 곳으로 옮겨 보존할 수 있었다.[97]
1971년 6월, 차우셰스쿠는 중국과 북한을 방문하여[125] 마오쩌둥과 김일성과 회담했다. 그는 그들의 개인숭배에 영향을 받아 중국과 북한의 정치 체제를 모방하기 시작했다고 전해진다.[216][217][218][219] 1971년 7월 6일, 차우셰스쿠는 루마니아 공산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본회의에서 "7월의 주장”이라는 정치 강령을 발표했다.[220][221] 이는 사회에서 당의 영향력을 강화하고, 학교와 대학, 아동·청소년·학생 단체에서 정치·사상 교육을 강화하며, 정치 선전을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또한 라디오, 텔레비전 방송, 출판사, 극장, 오페라, 발레, 예술 조합의 활동 지침을 결정하는 내용도 포함되었다. 차우셰스쿠가 서기장에 취임했을 무렵의 자유주의적 정책은 끝나고 검열이 부활했으며, 국가주의적 이데올로기가 루마니아에 도입되었다.[125] 루마니아의 보도 기관은 북한의 정치 체제에 자극을 받아 차우셰스쿠를 찬미하는 정치 운동을 전개했고, 이는 차우셰스쿠에 대한 개인숭배의 시작이 되었다. 차우셰스쿠는 김일성의 주체사상을 루마니아어로 번역하여 국내에 보급하고, 국가보안국(세쿠리타테)의 권한을 확대했다.
1970년대 초부터 니콜라에 차우셰스쿠에 대한 개인숭배가 시작되었다. 그는 당내에서 "조국의 아버지"라는 칭호를 구축해 나갔으며, 이는 루마니아 공산당이 공식적으로 지지하는 "새로운 역사적 개념"의 일부였다. 1974년 이후부터 그는 역사 속 인물과 자신을 비교하기 시작했다.[125] 차우셰스쿠에 대한 개인숭배는 요시프 스탈린, 마오쩌둥, 요시프 브로즈 티토에 대한 개인숭배 수준에 필적하거나 능가할 정도로 강해졌고, 당시 루마니아 사람들은 그를 "마오-체스쿠"라고 불렀다.[222] 차우셰스쿠의 방문 국가에서는 성대한 열병식이 개최되었고,[223] 루마니아 국내에는 그의 젊은 시절 초상화가 곳곳에 설치되었다. 서점에서는 차우셰스쿠에 관한 책(전 28권의 연설집)이 판매되었고, 일간지는 그의 업적 기록에 전념했으며, 저녁 텔레비전 방송은 그의 매일의 일정과 활동을 전달했고,[224] 신문 판매점과 악기점에서는 그의 연설 녹음본이 판매되었으며, 화가와 시인은 그를 칭송하는 작품을 창작해야 했다.[125] 차우셰스쿠는 로부터 홀을 건네받아 대국민 의회 개회식에 들고 나타났다.
차우셰스쿠 정권은 작가, 시인, 가수, 작곡가, 영화 감독, 화가에게 공금을 지불하여 그를 찬양하도록 했다. 화가들은 차우셰스쿠와 그의 가족의 초상화를 매일 대량으로 그렸고, 그는 자신의 생일에 일반 사람들로부터 무상의 사랑을 그린 그림을 받는 것을 좋아했다. 차우셰스쿠 시대에 그려진 그림은 부쿠레슈티에 있는 국립 근대 미술관에 전시되어 있지만, 미술관 관리자의 결정에 따라 차우셰스쿠에 대한 존경심을 보이지 않음을 나타내기 위해 비스듬히 기울어지거나 거꾸로 매달려 있다.[225]
차우셰스쿠는 "위대한 지도자"로 묘사되었으며, "카르파티아의 천재", "이성에 찬 도나우", "우리의 빛의 근원",[125] "전례 없는 새로운 시대의 창조자",[226] "영웅 중의 영웅", "노동자 중의 노동자", "이 지상에 처음 등장한 유력자"[125] 등의 찬사를 받았다.
아내 엘레나 또한 개인숭배의 대상이 되어 "무한히 이어지는 대공에 나란히 빛나는 별과 같이, 그녀는 위대한 남편 곁에서 빛나며, 루마니아의 승리의 길을 바라봅니다.”라는 찬사를 받았고, "Mama Neamului"(“국민의 어머니”)라는 칭호와 함께 “당의 광명”, “여걸”, “문화와 과학을 인도하는 빛”이라고도 불렸다.[125]
1983년 12월,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루마니아 통일 65주년 기념 집회가 개최되었으나, 이는 니콜라에 차우셰스쿠를 축하하기 위한 행사였다. 회장 정면에는 "니콜라에 차우셰스쿠 서기장 동지가 이끄는 루마니아 공산당 만세!"라고 적힌 현수막이 걸렸고, 민속무용과 발레 공연도 이루어졌다. 한 서구 외교관은 차우셰스쿠를 "동유럽에서 가장 독재적이고 권위주의적인 통치자"라고 표현하며 "이것은 개인숭배이다"라고 비판했다.[125]
차우셰스쿠는 루마니아 국민으로부터의 인망과 강력한 지지를 끝까지 믿었다고 전해지지만,[227] 경제 위기가 심화됨에 따라 그에 대한 불신이 커지고 루마니아 사회에는 긴장감이 고조되었다.[125]
루마니아 철학자 는 "중국과 북한 방문은 차우셰스쿠를 비참한 남자로 만들어 버렸다. 위대함에 대한 그의 원초적인 욕망을 최고의 형태로 자극해 버린 것이다.”라고 평가했다.[125]
12. 2. 1. Ikea
1980년대 니콜라에 차우셰스쿠 통치하의 루마니아 비밀경찰인 세쿠리타테는 이케아로부터 6자릿수의 금액을 받았다.[98][99] 세쿠리타테 기록 보관소 연구 국가대학의 기밀 해제된 자료에 따르면, 이케아가 루마니아에서 생산된 제품에 대해 과다하게 지불하기로 합의했으며, 초과 지불금의 일부는 세쿠리타테가 관리하는 계좌에 입금되었다.[100]13. Legacy
차우셰스쿠에 대한 국제적 평가는 엇갈렸다. 엔베르 호자는 차우셰스쿠와 그 일당이 제국주의를 무너뜨릴 것처럼 행동한다고 비판했으며[101], 무아마르 카다피는 그를 평생의 형제라고 칭했다.[102] 모하마드 레자 팔레비는 그의 애국심과 독립 의지를 높이 평가하며 진정한 우정을 느낀다고 밝혔다.[103]
차우셰스쿠는 인민궁 건설을 지휘했는데, 이는 루마니아의 시스템화 프로그램의 극단적인 표현이었다. 이 건물은 1,100개의 방을 가진 세계에서 가장 큰 민간 정부 건물 중 하나이며, 70만 톤의 강철과 청동, 백만 평방피트의 대리석 등으로 건설되어 세계에서 가장 무거운 건물이기도 하다.[105][106] 루마니아 상원은 2004년부터 의회궁에 본부를 두고 있다.
1976년 8월, 차우셰스쿠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몰도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을 방문한 최초의 루마니아 고위급 인사였다.[93]
차우셰스쿠는 광범위한 개인숭배를 조성하여 자신에게 "콘두커터어"(Conducător, 지도자)와 같은 칭호를 부여했다.[62] 루마니아 대통령으로 선출된 후에는 자신을 위해 "대통령 홀"을 제작하기도 했다. 살바도르 달리는 이를 비꼬는 축하 전보를 보내기도 했다. 차우셰스쿠 통치 시대의 가장 중요한 날은 그의 공식 생일인 1월 26일이었으며, 루마니아 언론은 그를 칭찬하는 보도로 가득 찼다.[62] 아내 엘레나와 다른 가족 구성원들에게 정부의 중요한 직책을 부여하여 "한 가족 안의 사회주의"를 만들고 있다는 비판도 받았다.
차우셰스쿠는 자신의 대중 이미지에 매우 신경을 썼다. 루마니아 국영 텔레비전은 그를 최대한 좋은 모습으로 보여주라는 엄격한 지시를 받았으며,[62] 키가 화면에서 강조되지 않도록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했다. 프랑스는 니콜라에 차우셰스쿠에게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수여했지만, 1978년 영국에서 받은 대영 제국 훈장 명예 기사 대십자장(GCB)은 1989년에 박탈당했다.
차우셰스쿠 통치 기간 동안 대규모 재개발 프로젝트를 실행하기 위해 정부는 루마니아의 교회와 많은 다른 역사적 건축물을 광범위하게 철거했다.
1971년 6월, 차우셰스쿠는 중국과 북한을 방문하여 마오쩌둥과 김일성과 회담했다.[125] 그는 그들의 개인숭배에 강하게 영향을 받아 중국과 북한의 정치 체제를 모방하기 시작했다고 여겨진다.[216][217][218][219] 1971년 7월 6일, 차우셰스쿠는 “7월의 주장”이라고 불리는 정치 강령을 발표하여 사회에서 당의 영향력을 강화하고, 검열을 부활시키고, 엄격한 국가주의적 이데올로기를 도입했다.[125] 루마니아의 보도 기관은 차우셰스쿠를 찬미하는 정치 운동을 전개했고, 이것이 차우셰스쿠에 대한 개인숭배의 시작이 되었다. 차우셰스쿠는 김일성의 주체사상을 루마니아어로 번역하여 국내에 보급하고, 세쿠리타테의 권한을 대폭 확대했다.
1970년대 초부터 차우셰스쿠는 당내에서 “조국의 아버지”라는 칭호를 구축해 나갔다.[125] 차우셰스쿠에 대한 개인숭배는 조직적으로 전개되었고, 요시프 스탈린, 마오쩌둥, 요시프 브로즈 티토에 대한 개인숭배의 수준에 필적할 정도로 강해졌다.[222] 루마니아 국내에서는 차우셰스쿠의 비교적 젊은 시절의 초상화가 곳곳에 설치되었고, 차우셰스쿠에 관한 책이 서점에 쌓여 있었으며, 루마니아 일간지는 차우셰스쿠의 업적 기록에 전념했다.[125] 화가와 시인은 차우셰스쿠를 칭송하는 작품을 창작해야 했다.[125]
차우셰스쿠 정권 시대에는 작가, 시인, 가수, 작곡가, 영화 감독, 화가에게 공금을 지불했다. 화가들은 차우셰스쿠와 그의 가족의 초상화를 매일 대량으로 그렸다.
차우셰스쿠는 항상 “위대한 지도자”로 묘사되었고, “카르파티아의 천재”, “이성에 찬 도나우”, “우리의 빛의 근원” 등의 찬사를 받았다.[125] 아내 엘레나 또한 “국민의 어머니”라는 칭호로 불리며 개인숭배의 대상이 되었다.[125]
1983년 12월,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루마니아 통일 65주년 기념 집회가 개최되었지만, 실제로는 니콜라에 차우셰스쿠를 축하하기 위한 행사였다.
루마니아 철학자 가브리엘 리체아누는 “중국과 북한 방문은 차우셰스쿠를 비참한 남자로 만들어 버렸다”고 말했다.[125]
1980년대 세쿠리타테는 이케아로부터 6자릿수의 금액을 받았다.[98][99] 이케아가 루마니아에서 생산된 제품에 대해 과다하게 지불하기로 합의했으며, 초과 지불금의 일부는 세쿠리타테가 관리하는 계좌에 입금되었다.[100]
니콜라에와 엘레나 차우셰스쿠는 세 자녀를 두었다. 핵물리학자인 발렌틴 차우셰스쿠(1948년생), 수학자인 조이아 차우셰스쿠(1949~2006), 물리학자인 니쿠 차우셰스쿠(1951~1996)이다. 장남 발렌틴은 정치에 전혀 관여하지 않았으며, 오랫동안 입양아라는 소문이 있었지만 구체적인 증거는 제시된 적이 없다.[125] 장녀 조이아는 수학자였으며, 2006년 11월 20일 폐암으로 사망했다.[312][313] 차남 니쿠는 정계에 입문했으나, 1989년 12월 혁명 당시 살인을 선동한 혐의로 체포되어 20년의 징역형을 선고받고 1996년 9월 26일 사망했다.[314]
루마니아에서는 전체주의 정부의 범죄를 칭찬하고 희생자를 비하하는 행위는 법으로 금지되어 있다.
2010년에 실시된 여론조사에 따르면, 루마니아인의 41%가 기회가 주어진다면 차우셰스쿠에게 투표했을 것이라고 답했으며,[108][109] 63%는 1989년 이전의 삶이 더 나았다고 느꼈다.[109][110] 2018년 12월 27일 여론조사 결과, 응답자의 64%가 그에 대해 호의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12] 2009년 루마니아에서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 응답자의 31%가 니콜라에 차우셰스쿠를 "루마니아에 이익을 가져다준 인물로 역사 교과서에 실어야 한다"고 생각했다.[297] 2010년 여론조사에서는 응답자의 63%가 "1989년 이전이 생활이 더 좋았다"고 응답했다.[299] 2014년 여론조사에서는 "만약 현재 루마니아에 차우셰스쿠가 부활하여 대통령 선거에 출마한다면, 루마니아 국민의 66%가 차우셰스쿠에게 투표하려 할 것이다"라는 결과가 나왔다.[301][302]
심리학자 조르제 뷔슈첼라누는 "루마니아의 '황금기'(차우셰스쿠의 공산주의 체제)를 후회하는 것은 물질적으로 혜택을 받은 사람이나 받은 교육 수준이 평균 이하인 사람들뿐이다"라고 말했다.[303]
13. 1. Non-aligned policy feats
차우셰스쿠는 발칸 국가들 간의 지속적인 긴장 완화를 지지하며, 발칸 국가들 간의 협력이라는 목표를 위해 반공주의 국가인 그리스 군사 독재 정권과도 우호적인 관계를 맺었다.[88]1967년 6일 전쟁 당시, 대부분의 동구권 국가들이 이스라엘과의 외교 관계를 단절했지만, 차우셰스쿠의 루마니아는 이스라엘과의 관계를 유지하여 소련의 불만을 샀다.[89] 그는 팔레스타인 해방기구와 이스라엘 간의 중재자 역할을 시도했다.
루마니아는 소련과 다른 동맹국들이 미국 주도의 보이콧에 대한 보복으로 보이콧한 1984년 로스앤젤레스 하계 올림픽에 참가한 유일한 동구권 국가였다.
차우셰스쿠의 루마니아는 1973년 아우구스토 피노체트 쿠데타 이후 칠레와의 외교 관계를 단절하지 않은 유일한 바르샤바 조약 기구 국가였다.[90]
차우셰스쿠는 독재자 모부투 세세 세코(자이르)의 측근이자 친구였다. 이들의 관계는 국가 간의 관계를 넘어, 각자의 정치 기구인 혁명 인민 운동(MPR)과 루마니아 공산당(PCR) 간의 관계였다.
차우셰스쿠는 루마니아 인민군 규모를 5% 감축하기 위해 가짜 국민투표를 조직했다.[92]
1968년 8월 16일, 소련의 체코슬로바키아 침공 전에 차우셰스쿠는 프라하를 방문하여 알렉산더 두브체크와 회담하고 우호, 협력, 상호 원조 조약에 서명하며[125] 두브체크와의 연대를 표명했다.[125] 소련이 체코슬로바키아를 점령한 후, 부쿠레슈티에서 열린 국민 집회에서 차우셰스쿠는 "체코슬로바키아 침공은 엄청난 실수이며, 유럽의 평화와 사회주의의 운명에 대한 심각한 위협"이라고 비난했다.[189][125]
차우셰스쿠는 이 군사 침공에 루마니아군의 참여를 거부했으며,[125] 1979년 12월 소련이 아프가니스탄에 군사 침공을 감행했을 때에도 소련을 비난하고 소련이 루마니아 영토에 군사 기지를 설치하는 것을 금지했다.[190]
1969년 다만스키섬에서 발생한 소련과 중국의 무력 충돌에 대해 중립적인 입장을 취했다. 루마니아는 제3차 중동 전쟁 이후에도 이스라엘과의 외교 관계를 유지했고, 1973년 칠레에서 아우구스토 피노체트의 군사 쿠데타가 발생한 후에도 칠레와의 외교 관계를 유지했다. 미국 의회는 루마니아의 이러한 외교적 행보를 고려하여 루마니아에 무역에서의 최혜국 대우 지위를 부여했다.[125]
1975년 4월 차우셰스쿠는 일본을 방문하여 미키 다케오와 쇼와 천황과 회담했고,[191] 1975년 10월에는 아키히토와 미치코가 루마니아를 방문하여 차우셰스쿠 부부와 만났다.[192]
차우셰스쿠는 외교 정책의 일환으로 여러 국제 분쟁에서 중재 역할을 맡기도 했다. 1966년, 그는 북대서양 조약 기구와 바르샤바 조약 기구를 동시에 해체하자는 구상을 제시했고,[193] 미국과 소련 양쪽에 핵 미사일 배치를 중단하라고 요구했다.[125] 1969년에는 미국과 중국의 국교 수립 중재 역할도 수행했다.[125]
차우셰스쿠는 1966년 3월 18일자 『타임지』 표지를 장식했다.[194]
차우셰스쿠의 외교 덕분에 루마니아는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양쪽과 모두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할 수 있었다.[125] 1977년 이집트 대통령 안와르 사다트가 이스라엘을 방문했을 때, 차우셰스쿠는 이스라엘 지도자와의 협상에 참가했다.
1970년대 초 리비아를 방문한 차우셰스쿠는 무암마르 알 카다피와 회담하며 "당신은 코란을 믿고 나는 마르크스주의를 믿지만, 우리 둘 다 자국의 독립을 믿고 있다"라고 말했다.[195][125]
차우셰스쿠는 외교 수단을 활용하여 소련으로부터의 탈피를 꾀했다.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에 루마니아는 공식적으로 참가했고, 소련의 불참 호소에도 불구하고 선수단을 미국에 파견했다.[125]
루마니아는 유럽 경제 공동체, 이스라엘, 서독과 국교를 맺었다. 1974년 루마니아를 유럽 경제 공동체의 특혜국 목록에 추가하는 조약이 체결되었고,[125] 1980년에는 루마니아와 유럽 경제 공동체 사이에 공산품 무역에 관한 협정이 체결되었다.
서구 국가들을 활발하게 방문한 차우셰스쿠는 자신을 "소련의 틀 안에서 독립적인 외교 정책을 추구하는 공산주의 개혁가"로 자리매김하며 서구 국가의 정치 지도자들로부터 호감을 얻었다. 1967년 루마니아는 소련의 허락 없이 서독을 국가로 인정하고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했다. 루마니아는 양국 간 협정에 따라 트란실바니아(Transylvania)에 거주하는 독일인들이 서독으로부터 금전적 보상을 받는 대신 출국을 허용했다.[196]
1969년 8월 리처드 닉슨이 루마니아를 방문하여 차우셰스쿠와 회담했다. 루마니아는 미국 대통령이 방문한 최초의 공산 국가가 되었다.[125] 차우셰스쿠와 회담한 닉슨은 그를 "골수 스탈린주의자이지만 외교의 자리에서 흔히 보이는 진부한 상투어를 쓰지 않는 사람"이라고 평가했다.[198][199] 닉슨과의 회담에서 차우셰스쿠는 "당신의 루마니아 방문에 대해 소련 동지들이 약간 동요하고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라고 말했다고 한다. 당시 차우셰스쿠는 "역사적 분석에 근거하여 소련의 패권은 그리 오래 가지 않을 것이다"라고 예측했다고 한다.[125][125]
1985년 3월 미하일 고르바초프가 소련 공산당 서기장으로 선출되었다. 고르바초프는 페레스트로이카와 글라스노스트 정책을 추진했으나, 차우셰스쿠는 이를 비판하며 소련과의 관계가 더욱 악화되었다.[125] 1989년 8월 차우셰스쿠는 "루마니아에서 페레스트로이카가 이루어지기보다는 도나우 강이 역류할 가능성이 더 높을 것이다"라고 말했다.[125][125][201]
1989년 12월 바르샤바 조약 기구 가맹국 정상 회담에서 체코슬로바키아에 대한 군사 개입을 비난하는 공동 선언이 채택되었지만, 루마니아는 소련의 군사 침공에 참여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 선언에 서명하지 않았다.[125] 차우셰스쿠는 소련에 동유럽과 중앙유럽에서 소련군을 철수시킬 것을 요구했다.[125]
차우셰스쿠와 서방의 관계는 1980년대에 현저히 악화되었다. 1987년 이후 차우셰스쿠는 경제 상호 원조 평의회 가맹국과 G7 국가들의 방문을 거부당했고, 1988년에는 무역에서의 최혜국 대우에서도 제외되었다.[125]
[[File:Bundesarchiv_Bild_183-1987-0529-029,_Berlin,_Tagung_Warschauer_Pakt,_Gruppenfoto.jpg|thumb|1987년 바르샤바 조약 기구 정상회담 단체사진. 왼쪽부터 후사크(체코슬로바키아), 지브코프(불가리아), 호네커(동독), 고르바초프(소련), 차우셰스쿠, 야루젤스키(폴란드), 카다르(헝가리])
13. 1. 1. Moldavian Soviet Socialist Republic
1976년 8월, 니콜라에 차우셰스쿠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몰도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을 방문한 최초의 고위급 루마니아 인사였다. 1976년 12월 부쿠레슈티에서 열린 회담에서 이반 보디울은 "차우셰스쿠의 소비에트 몰도바 방문으로 좋은 관계가 시작되었다"고 언급했다.[93]13. 2. Personality cult and totalitarianism
차우셰스쿠는 광범위한 개인숭배를 조성하여 자신에게 "콘두커터어"(Conducător, 지도자) 및 "게니울 딘 카르파치"(Geniul din Carpați, 카르파티아 산맥의 천재)와 같은 칭호를 부여했는데, 이는 프롤레타리아 문화에서 영감을 얻은 것이다. 루마니아 대통령으로 선출된 후에는 자신을 위해 "대통령 홀"을 제작하기까지 하여 왕실의 상징을 사칭했다. 이러한 과장된 행위에 대해 화가 살바도르 달리는 루마니아 대통령에게 축하 전보를 보내 대통령 홀을 도입한 것을 비꼬면서 축하했다. 공산당 일간지 ''스컨테이아''(Scînteia)는 이 메시지가 풍자라는 것을 알지 못하고 게재했다.
차우셰스쿠 통치 시대의 가장 중요한 날은 그의 공식 생일인 1월 26일이었는데, 이날 루마니아 언론은 그를 칭찬하는 보도로 가득 찼다. 역사학자 빅터 세베스티엔에 따르면, 이날은 평범한 루마니아인들이 행복한 표정을 짓는 몇 안 되는 날 중 하나였다. 이날 불행한 모습을 보이는 것은 너무 위험했기 때문이다.[62]
파체파의 망명 이후 추가적인 반역을 막기 위해 차우셰스쿠는 아내 엘레나와 다른 가족 구성원들에게 정부의 중요한 직책을 부여했다. 이 때문에 루마니아 사람들은 차우셰스쿠가 "한 가족 안의 사회주의"를 만들고 있다고 농담을 했는데, 이는 "일국 사회주의"라는 말장난이다.
차우셰스쿠는 자신의 대중 이미지에 매우 신경을 썼다. 수년 동안 그의 공식 사진은 거의 모두 40대 후반의 모습이었다. 루마니아 국영 텔레비전은 그를 최대한 좋은 모습으로 보여주라는 엄격한 지시를 받았다.[62] 또한 제작자들은 차우셰스쿠의 키(1.68m[95])가 화면에서 강조되지 않도록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했다. 이러한 규칙을 어기는 데 대한 결과는 심각했다. 한 제작자가 차우셰스쿠가 눈을 깜빡이고 말을 더듬는 장면을 보여준 후 3개월 동안 방송 금지 처분을 받았다.[62]
차우셰스쿠 부부가 루마니아 대사관의 영사 문화 참사관을 통해 조직한 선전 활동의 일환으로, 그들은 여러 국가와 기관으로부터 훈장과 칭호를 받았다. 프랑스는 니콜라에 차우셰스쿠에게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수여했다. 1978년 그는 영국에서 대영 제국 훈장 명예 기사 대십자장(GCB)이 되었지만, 1989년에 박탈당했다. 엘레나 차우셰스쿠는 미국의 과학 아카데미 회원으로 "선출"되도록 조작되었다.
니콜라에 차우셰스쿠 통치 기간 동안 대규모 재개발 프로젝트를 실행하기 위해 정부는 루마니아의 교회와 많은 다른 역사적 건축물을 광범위하게 철거했다. 부쿠레슈티 전 수석 건축가 알렉산드루 부디스테누에 따르면, "차우셰스쿠는 교회가 보이는 것을 싫어했다. 철거하든 옮기든 상관없이 시야에서 사라지기만 하면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루마니아 엔지니어 에우제니우 이오르다케스쿠가 주도한 프로젝트를 통해 많은 역사적 건축물을 덜 눈에 띄는 곳으로 옮겨 보존할 수 있었다.[97]
1971년 6월, 차우셰스쿠는 중국과 북한을 방문하여[125] 마오쩌둥과 김일성과 회담했다. 차우셰스쿠는 그들의 개인숭배에 강하게 영향을 받아 중국과 북한의 정치 체제를 모방하기 시작했다고 여겨진다.[216][217][218][219] 1971년 7월 6일, 차우셰스쿠는 루마니아 공산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본회의에서 연설을 하고 “7월의 주장”이라고 불리는 정치 강령을 발표했다.[220][221] 기본적인 내용은 사회에서 당의 영향력을 더욱 강화하고, 학교와 대학, 아동·청소년·학생 단체에서 정치·사상 교육을 강화하며, 정치 선전을 확대하고, 당의 교육 활동과 대중적 정치 활동을 개선하고, “애국 활동”의 일환으로 주요 건설 사업에 젊은이들의 참여를 촉진하며, 이를 위해 라디오, 텔레비전 방송, 출판사, 극장, 오페라, 발레, 예술 조합의 활동 지침을 결정하는 것이었다. 차우셰스쿠가 서기장에 취임했을 무렵의 자유주의적 정책은 끝을 고하고 검열이 부활했으며, 엄격한 국가주의적 이데올로기가 루마니아에 도입되었다.[125] 루마니아의 보도 기관은 북한의 정치 체제에 자극을 받아 차우셰스쿠를 찬미하는 정치 운동을 전개했고, 이것이 차우셰스쿠에 대한 개인숭배의 시작이 되었다. 차우셰스쿠는 김일성의 주체사상을 루마니아어로 번역하여 국내에 보급하고, 국가보안국(Departamentul Securității Statului), “세쿠리타테”의 권한을 대폭 확대했다.
1970년대 초부터 니콜라에 차우셰스쿠에 대한 개인숭배가 시작되었다. 이 무렵부터 차우셰스쿠는 당내에서 점차 “조국의 아버지”(Tatăl Patriei)라는 칭호를 구축해 나갔다. 이 지도자상은 루마니아 공산당이 공식적으로 지지하는 “새로운 역사적 개념”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이었고, 차우셰스쿠 자신은 이 과정에 간섭하지 않았다. 1974년 이후부터 그는 역사상 저명한 인물과 자신을 비교하기 시작했다.[125] 차우셰스쿠에 대한 개인숭배는 조직적으로 전개되었고, 요시프 스탈린, 마오쩌둥, 요시프 브로즈 티토에 대한 개인숭배의 수준에 필적하거나, 혹은 그들을 능가할 정도로 강해졌고, 당시 루마니아 사람들은 은밀히 “마오-체스쿠”라고 불렀다.[222] 차우셰스쿠의 방문 국가에서는 성대한 열병식이 개최되었다.[223] 루마니아 국내에서는 차우셰스쿠의 비교적 젊은 시절의 초상화가 곳곳에 설치되었다. 국내 어느 서점에서든 차우셰스쿠에 관한 책(전 28권의 연설집)이 쌓여 있었고, 루마니아 일간지는 차우셰스쿠의 업적 기록에 전념했으며, 저녁 텔레비전 방송은 차우셰스쿠의 매일의 일정과 활동을 전달했고,[224] 신문 판매점과 악기점에서는 차우셰스쿠의 연설을 녹음한 것이 판매되었고, 화가와 시인은 차우셰스쿠를 칭송하는 작품을 창작해야 했다.[125] 차우셰스쿠는 슈테판 보이텍으로부터 홀을 건네받았고, 대국민 의회 개회식에 등장할 때는 이것을 손에 들고 나타났다.
차우셰스쿠 정권 시대에는 작가, 시인, 가수, 작곡가, 영화 감독, 화가에게 공금을 지불했다. 화가들은 차우셰스쿠와 그의 가족의 초상화를 매일 대량으로 그렸다. 차우셰스쿠는 자신의 생일에 일반 사람들로부터 무상의 사랑을 그린 그림을 받는 것을 좋아했다. 차우셰스쿠 시대에 그려진 그림은 부쿠레슈티에 있는 국립 근대 미술관에 전시되어 있지만, 차우셰스쿠에 대한 존경심을 보이지 않음을 나타내기 위해, 미술관 관리자의 결정에 따라 이 그림들은 비스듬히 기울어지고 거꾸로 매달려 있다.[225]
차우셰스쿠는 항상 “위대한 지도자”로 묘사되었다. “카르파티아의 천재”, “이성에 찬 도나우”, “우리의 빛의 근원”,[125] “전례 없는 새로운 시대의 창조자”,[226] “영웅 중의 영웅”, “노동자 중의 노동자”, “이 지상에 처음 등장한 유력자” 등의 찬사로 장식되었다.
남편 니콜라에와 함께 아내 엘레나도 개인숭배의 대상이 되었다. 엘레나는 “무한히 이어지는 대공에 나란히 빛나는 별과 같이, 그녀는 위대한 남편 곁에서 빛나며, 루마니아의 승리의 길을 바라봅니다.”라는 찬사를 받았고, “Mama Neamului”( “국민의 어머니”)라는 칭호로 불리며, “당의 광명”, “여걸”, “문화와 과학을 인도하는 빛”이라고도 불렸다.[125]
1983년 12월,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루마니아 통일 65주년 기념 집회가 개최되었다. 그러나 다른 많은 행사와 마찬가지로 실제로는 니콜라에 차우셰스쿠를 축하하기 위한 행사였다. 회장 정면에는 “니콜라에 차우셰스쿠 서기장 동지가 이끄는 루마니아 공산당 만세!”라고 적힌 현수막이 걸렸고, 민속무용과 발레 공연도 이루어졌다. 서구의 어느 외교관은 차우셰스쿠에 대해 “동유럽에서 가장 독재적이고 권위주의적인 통치자”라고 표현하면서 “이것은 개인숭배이다”라고 말했다.[125]
많은 증언에 따르면, 차우셰스쿠 자신은 루마니아 국민으로부터의 인망과 강력한 지지를 끝까지 믿었다고 한다.[227] 그러나 루마니아의 경제 위기가 심화됨에 따라 차우셰스쿠에 대한 불신이 커지고, 루마니아 사회에서는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었다.[125]
루마니아 철학자, 가브리엘 리체아누는 “중국과 북한 방문은 차우셰스쿠를 비참한 남자로 만들어 버렸다. 위대함에 대한 그의 원초적인 욕망을 최고의 형태로 자극해 버린 것이다.”라고 말했다.[125]
13. 2. 1. Ikea
1980년대 니콜라에 차우셰스쿠 통치하의 루마니아 비밀경찰인 세쿠리타테는 이케아로부터 6자릿수의 금액을 받았다.[98][99] 세쿠리타테 기록 보관소 연구 국가대학의 기밀 해제된 자료에 따르면, 이케아가 루마니아에서 생산된 제품에 대해 과다하게 지불하기로 합의했으며, 초과 지불금의 일부는 세쿠리타테가 관리하는 계좌에 입금되었다.[100]14. Legacy
차우셰스쿠는 국제적으로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 엔베르 호자는 "차우셰스쿠와 그 일당이 제국주의를 무너뜨릴 것처럼! 세계가 차우셰스쿠를 기다린다면 제국주의는 영원할 것"이라고 비판했다.[101] 반면 무아마르 카다피는 "형제여! 당신은 영원한 나의 형제"라며 우호적인 태도를 보였다.[102] 심지어 모하마드 레자 팔레비는 "그의 애국심과 독립 의지를 높이 평가하며 그와 나는 진정한 우정이 있다"고 칭찬하기도 했다.[103]
|thumb|1976년 차우셰스쿠와 그의 후계자 이온 일리에스쿠
차우셰스쿠는 인민궁 건설을 지휘했는데, 이는 그가 추진한 시스템화 정책의 상징이었다. 시스템화는 농촌을 소규모 도시로 전환하는 도시 계획 프로그램이었다. 앙카 페트레스쿠가 28세의 나이에 설계를 시작하여 1997년에 완공되었다. 현재 루마니아 상원은 의회궁에 위치해 있다.
인민궁은 1,100개의 방을 갖춘 세계에서 가장 큰 민간 정부 건물 중 하나이며, 70만 톤의 강철과 청동, 백만 평방피트의 대리석으로 지어져 세계에서 가장 무거운 건물이기도 하다.[105][106]
차우셰스쿠는 엘레나 차우셰스쿠와의 사이에서 세 자녀를 두었다. 장남은 핵물리학자 발렌틴 차우셰스쿠(1948년생), 장녀는 수학자 조이아 차우셰스쿠(1949~2006), 차남은 물리학자 니쿠 차우셰스쿠(1951~1996)이다. 니쿠는 부모 사후 정교회 교회를 건설했는데, 교회 벽에는 부모의 초상화가 걸려 있다.[72]
루마니아에서는 전체주의 정부의 범죄를 칭찬하거나 희생자를 비하하는 행위가 법으로 금지되어 있다. 디넬 스타이쿠는 차우셰스쿠를 칭찬하고 그의 사진을 방송에 전시한 혐의로 벌금을 부과받았다.[107]
여론조사에 따르면 루마니아인의 상당수가 차우셰스쿠 시대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고 있다. 2010년 조사에서는 41%가 차우셰스쿠에게 투표했을 것이라고 답했으며,[108][109] 63%는 1989년 이전의 삶이 더 나았다고 응답했다.[109][110] 2018년 조사에서는 64%가 그에 대해 호의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었다.[112] 2009년 여론조사에서는 31%가 차우셰스쿠를 "루마니아에 이익을 가져다준 인물로 역사 교과서에 실어야 한다"고 답했다.[297]
또 다른 여론조사에서는 응답자의 60% 이상이 "현재 정치인들이 부패했고, 차우셰스쿠 정권 시절이 공공질서를 더 잘 지켰다"고 답했으며, 55.8%는 "공산당 독재 정권의 정치가 현재 정치보다 국민을 더 소중히 여겼다"고 답했다. 응답자의 35%는 "차우셰스쿠 정권의 붕괴는 루마니아에 불이익"이라고 답했으며, 22%는 "차우셰스쿠가 통치했던 시절로 돌아가고 싶다"고 답했다.[298]
2010년 여론조사에서는 응답자의 63%가 "1989년 이전이 생활이 더 좋았다"고 답했으며, 니콜라에 차우셰스쿠의 정치에 대해서는 49%가 "훌륭한 지도자였다"고 답했다.[299]
2010년 12월 조사에서는 응답자의 45%가 "1989년 사건이 없었다면 자신의 삶은 더 나아졌을 것"이라고 답했으며, 84%는 차우셰스쿠의 재판과 사형에 대해 "공정한 재판이 아니었고, 차우셰스쿠를 처형한 것은 잘못이었다"고 답했다.[300]
2014년 조사에서는 응답자의 66%가 "만약 현재 루마니아에 차우셰스쿠가 부활하여 대통령 선거에 출마한다면, 차우셰스쿠에게 투표하려 할 것이다"라고 답했다.[301][302]
심리학자 조르제 뷔슈첼라누는 "루마니아의 '황금기'(차우셰스쿠의 공산주의 체제)를 후회하는 것은 물질적으로 혜택을 받은 사람이나 받은 교육 수준이 평균 이하인 사람들뿐이다"라고 말했으며, 역사학자 바실레 레친찬은 "공산주의 시대에 대한 향수에는 청춘 시대가 지나가 버렸다는 후회가 있다"고 분석했다.[303]
장남 발렌틴 차우셰스쿠는 물리학자로, 정치와는 거리를 두었다. 일각에서는 그가 입양아라는 소문이 있었지만, 구체적인 증거는 제시되지 않았다.[125] 니콜라에와 엘레나가 결혼했을 당시 엘레나는 임신 7개월이었으며, 2개월 후 발렌틴을 낳았다.[125]
장녀 조이아 차우셰스쿠는 수학자로, 2006년 폐암으로 사망했다.[312][313]
차남 니쿠 차우셰스쿠는 부쿠레슈티 대학교 물리학과를 졸업 후 정계에 입문했으나, 1989년 혁명 당시 살인 선동 혐의로 체포되어 20년형을 선고받았다. 간경변과 당뇨병을 앓던 그는 1996년 사망하여 부모와 함께 겐차 묘지에 안장되었다.[314]
15. Cultural depictions
차우셰스쿠는 다양한 문화 작품에서 묘사되었다. 2011년에는 스위스에서 제작된 다큐멘터리 드라마 《Die letzten Tage der Ceaușescus》(체우셰스쿠 가의 마지막 날들)에서 콘스탄틴 코조카루가 차우셰스쿠 역할을 맡았다.[113]
2017년 5월 21일에는 리즈의 세븐 아츠에서 톰 베일리와 그렉 제이미슨이 쓰고 앨런 스텔마흐가 작곡한 코미디 뮤지컬이 세계 초연되었다. 이 작품은 니콜라에와 엘레나 차우셰스쿠, 그리고 그들의 아들 발렌틴을 묘사하며, 메타 뮤지컬 극장의 형식을 빌려 유명인 문화와 소셜 미디어, 정치적 올바름이 사회적 따돌림을 만드는 데 미치는 영향에 대한 논평을 담고 있다.[114]
안드레이 우지카 감독의 2010년 영화 《Autobiografia lui Nicolae Ceausescu》(니콜라에 차우셰스쿠 자서전)는 차우셰스쿠의 서기장 취임부터 1989년 혁명 이후 재판까지의 기록 영상을 편집하여 구성되었다.
크리스티안 문지우 감독의 2007년 루마니아 영화 《4개월, 3주와 2일》은 차우셰스쿠 정권 시대인 1987년 루마니아를 배경으로, 불법이었던 낙태를 소재로 하여 원치 않는 임신을 한 룸메이트의 낙태를 위해 고군분투하는 여대생의 하루를 그렸다. 이 영화는 칸 영화제에서 황금종려상을 수상했으며, 뉴욕 타임스의 영화 평론가 마놀라 달기스는 "아카데미상까지 수상하는 건 어리석은 일이지만, 가능한 한 많은 사람들이 시청할 가치가 있는 영화다"라고 평가했다.[315]
차우셰스쿠는 생전에 다양한 훈장을 받았다.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영웅, 사회주의 승리 훈장 등을 수여받았으며[304][305][306][125][125][125], 1988년에는 동독의 에리히 호네커로부터 카를 마르크스 훈장을 받기도 했다.[307] 한편, 1989년 12월 26일, 루마니아 임시정부는 니콜라에 차우셰스쿠에게 수여된 모든 훈장과 훈표를 박탈했다. 또한, 그가 받았던 소련 훈장 및 메달은 1990년에 모두 박탈되었다.
16. Honours and awards
니콜라에 차우셰스쿠는 재임 기간 동안 수많은 훈장과 상훈을 받았다. 그러나 그의 몰락 이후 상당수의 훈장이 박탈되었다.
차우셰스쿠는 덴마크 코끼리 훈장의 기사 작위를 받았으나, 이 작위는 1989년 12월 23일 마르그레테 2세 여왕에 의해 박탈되었다. 또한 처형 직전에는 엘리자베스 2세 여왕으로부터 명예 가장 존귀한 목욕의 훈장 대십자기사장(GCB) 작위를 박탈당했다. 엘리자베스 2세는 차우셰스쿠가 1978년 수여했던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별 훈장 훈장도 반환받았다.[115]
그가 수여받은 외국 훈장, 훈표 및 메달은 다음과 같다.
- 아르헨티나: 해방자 산마르틴 훈장 목걸이(1974)
- 오스트리아: 오스트리아 공화국 훈장 대수훈장(1969)[116]
- 브라질: 남십자훈장(1975)
- 불가리아: 스타라 플라니나 훈장(1983)
- 쿠바: 호세 마르티 훈장(1973)
- 쿠바: 몬카다 병영 습격 20주년 기념 메달(1976)
- 체코슬로바키아: 백사자 훈장 대수훈장(1987; 1989년 추방)[117]
- 덴마크: 코끼리 훈장 기사(1980; 1989년 추방)
- 프랑스: 레지옹 도뇌르 훈장[118]
- 서독: 독일 연방 공화국 공훈 훈장 대십자 특별훈장(1971)
- 그리스: 아테네 금메달(1976)
- 이란: 페르시아 제국 건국 2500주년 기념 메달(1971)[119][120]
- 이탈리아: 이탈리아 공화국 공훈 훈장 대십자수훈장(1973)
- 말레이시아: 왕관 훈장(1984)[121]
- 노르웨이: 성 올라프 훈장 대십자장(1989년 추방)
- 페루: 페루 태양 훈장 다이아몬드 대십자장(1973)[122]
- 필리핀: 시카투나 훈장 대수훈장(1975)[123]
- 포르투갈: 성 야고 검 훈장 목걸이(1975)
- 소련: 위대한 애국 전쟁 승리 30주년 기념 메달(1975)
- 소련: 레닌 훈장 2회 수여(1973년과 1988년)
- 소련: 10월 혁명 훈장(1983)
- 스웨덴: 세라핌 훈장 기사(1980)
- 영국: 목욕 훈장 대십자 기사(1978; 1989년 추방)
1988년 그의 70세 생일에 차우셰스쿠는 당시 독일 사회주의 통일당(SED) 서기장이었던 에리히 호네커에 의해 칼-마르크스-훈장을 받았다. 이는 미하일 고르바초프의 개혁을 거부한 것에 대한 지지를 표명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 외에도 차우셰스쿠는 국제올림픽위원회로부터 올림픽 훈장 금장을 받았는데, 이는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불참 결정에 대한 보상 차원으로 보인다. 또한 로마 국제관계연구소 금메달(1979년)을 수상하기도 했다.
차우셰스쿠는 부쿠레슈티 대학교(1973), 레바논 대학교(1974), 부에노스아이레스 대학교(1974), 유카탄 자치 대학교(1975), 니스 소피아 안티폴리스 대학교(1975), 필리핀 대학교(1975), 리베리아 대학교(1988), 김일성종합대학교(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1988) 등 여러 대학교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
차우셰스쿠는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영웅"(Erou Al Republicii Socialiste România)[304][305][306], "사회주의 승리 훈장"(Ordinul "Victoria Socialismului")[125][125][125]을 비롯한 루마니아 내 훈장도 다수 받았다.[307] 소련 훈장 및 메달은 1990년에 모두 박탈되었다.
16. 1. Romanian orders, decorations and medals
1989년 12월 26일, 루마니아 임시정부는 니콜라에 차우셰스쿠에게 수여된 모든 훈장과 훈표를 박탈했다.차우셰스쿠가 수여받은 훈장과 훈표는 다음과 같다.
- 루마니아 공화국 건국 5주년 기념 메달
- 루마니아 해방 35주년 기념 메달
-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영웅 (1971년, 1978년, 1988년 세 차례 수여)[304][305][306]
- 사회주의 노동 영웅 (1964년)
- 루마니아 군공 훈장
- 사회주의 승리 훈장 (루마니아 영웅 훈장과 함께 수여됨)[125][125][125]
- 노동 훈장
- 조국 방위 훈장
- 루마니아 공화국 별 훈장
- 칼 마르크스 훈장 (1988년 동독 에리히 호네커 수여)[307]
16. 2. Foreign state orders, decorations and medals
니콜라에 차우셰스쿠는 재임 기간 동안 여러 국가로부터 훈장과 메달을 받았다. 하지만 그의 통치 붕괴 후 상당수의 훈장이 박탈되었다.다음은 그가 수여받은 외국 훈장, 훈표 및 메달 목록이다.
- 아르헨티나: 해방자 산마르틴 훈장 목걸이(1974)
- 오스트리아: 오스트리아 공화국 훈장 대수훈장(1969)[116]
- 브라질: 남십자훈장(1975)
- 불가리아: 스타라 플라니나 훈장(1983)
- 쿠바: 호세 마르티 훈장(1973)
- 쿠바: 몬카다 병영 습격 20주년 기념 메달(1976)
- 체코슬로바키아: 백사자 훈장 대수훈장(1987; 1989년 추방)[117]
- 덴마크: 코끼리 훈장 기사(1980; 1989년 추방)
- 프랑스: 레지옹 도뇌르 훈장[118]
- 동독: 카를 마르크스 훈장(1988) - 고르바초프 개혁 거부를 통한 마르크스주의 옹호 공로
- 서독: 독일 연방 공화국 공훈 훈장 대십자 특별훈장(1971)
- 그리스: 아테네 금메달(1976)
- 이란: 페르시아 제국 건국 2500주년 기념 메달(1971)[119][120]
- 이탈리아: 이탈리아 공화국 공훈 훈장 대십자수훈장(1973)
- 말레이시아: 왕관 훈장(1984)[121]
- 노르웨이: 성 올라프 훈장 대십자장(1989년 추방)
- 페루: 페루 태양 훈장 다이아몬드 대십자장(1973)[122]
- 필리핀: 시카투나 훈장 대수훈장(1975)[123]
- 포르투갈: 성 야고 검 훈장 목걸이(1975)
- 소련: 위대한 애국 전쟁 승리 30주년 기념 메달(1975)
- 소련: 레닌 훈장 2회 수여(1973년과 1988년)
- 소련: 10월 혁명 훈장(1983)
- 스웨덴: 세라핌 훈장 기사(1980)
- 영국: 목욕 훈장 대십자 기사(1978; 1989년 추방)
차우셰스쿠는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영웅" 및 "사회주의 승리 훈장" 등 루마니아 내에서도 다양한 훈장을 받았다.[304][305][306][125][125][125] 1988년에는 동독의 에리히 호네커로부터 카를 마르크스 훈장을 받기도 했다.[307] 소련 훈장 및 메달은 1990년에 모두 박탈되었다.
16. 3. Foreign non-state decorations
니콜라에 차우셰스쿠는 다음과 같은 외국 비국가 훈장을 받았다.- 올림픽 훈장 금장(국제올림픽위원회, 1984년):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불참 결정에 대한 포상
- 로마 국제관계연구소 금메달(1979년): 이탈리아 비영리단체 수여
니콜라에 차우셰스쿠는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영웅"(Erou Al Republicii Socialiste România)[304][305][306], "사회주의 승리 훈장"(Ordinul "Victoria Socialismului")[125][125][125]을 비롯한 수많은 훈장을 받았다. 1988년에는 동독의 에리히 호네커로부터 "칼 마르크스 훈장"을 수여받았다.[307]
16. 4. Academic titles
니콜라에 차우셰스쿠는 다음과 같은 대학교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 부쿠레슈티 대학교(1973)
- 레바논 대학교(1974)
- 부에노스아이레스 대학교(1974)
- 유카탄 자치 대학교(1975)
- 니스 소피아 안티폴리스 대학교(1975)
- 필리핀 대학교(1975)
- 리베리아 대학교(1988)
- 김일성종합대학교(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1988)
차우셰스쿠는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영웅"称号, "사회주의 승리 훈장" 등을 받았으며, 1988년에는 동독의 에리히 호네커로부터 "칼 마르크스 훈장"을 수여받았다.[307]
17. In popular culture
21세기에 차우셰스쿠에 관한 다큐멘터리 두 편이 제작되었다. 벤 루이스가 BBC를 위해 각본 및 연출을 맡은 ''공산주의의 왕: 니콜라에 차우셰스쿠의 웅장함과 화려함''(2002)과 루마니아 작가 겸 감독 안드레이 우이차가 제작한 ''니콜라에 차우셰스쿠의 자서전''(2011)이다.[124]
팀 라헤이와 제리 B. 젠킨스의 소설 ''레프트 비하인드''에는 니콜라에 차우셰스쿠와 비슷한 인격숭배, 강압적 전술을 가진 가상의 루마니아 대통령 니콜라에 카르파티아가 등장한다.
2010년에는 차우셰스쿠의 서기장 취임부터 1989년 혁명 이후 재판까지의 기록 영상을 편집한 영화 ''Autobiografia lui Nicolae Ceausescu'' (『니콜라에 차우셰스쿠 자서전』)가 공개되었다. 감독은 안드레이 우지카이다.
2007년에 공개된 크리스티안 문지우 감독의 루마니아 영화 4개월, 3주와 2일(원제: 『''4 luni, 3 săptămâni și 2 zile''』)은 차우셰스쿠 정권 시대, 낙태가 불법이었던 1987년 루마니아를 배경으로 한다. 원치 않는 임신을 한 룸메이트의 낙태를 위해 뛰어다니는 여대생의 하루를 통해 당시의 암울한 현실을 보여준다. 이 영화는 칸 영화제에서 황금종려상을 수상했으며, 뉴욕 타임스(The New York Times)의 영화 평론가 마놀라 달기스는 "아카데미상까지 수상하는 건 어리석은 일이지만, 가능한 한 많은 사람들이 시청할 가치가 있는 영화다"라고 평가했다.[315]
18. Selected published works
다음은 니콜라에 차우셰스쿠가 저술하거나 관련된 서적 목록이다.
- 루마니아 공산당 중앙위원회, 사회주의 통일전선 국가평의회, 대의회 합동 엄숙 회의 보고서: 통일 루마니아 국가 건설 60주년 기념, 1978
- 우리 시대의 주요 문제: 저개발 극복, 국가 간 격차 해소, 새로운 국제 경제 질서 구축, 1980
- 루마니아에서의 국가 문제 해결 (루마니아 대통령의 사회 정치적 사상), 1980
- 차우셰스쿠: 현대 루마니아 건설자이자 국제 정치가, 1983
- 현대 시대의 국가와 공존하는 여러 민족 (루마니아 대통령의 철학적 사상), 1983
- 대통령의 관점에서 본 루마니아 인민의 역사 (''Istoria poporului român în concepția președintelui''), 1988
- 니콜라에 차우셰스쿠 사회주의 건설의 기수 (초야 고이치 편역, 항문사, 1971)
- 니콜라에 차우셰스쿠 평화와 국제 협력의 정책 (초야 고이치 편역, 항문사, 1971년 9월)
- 니콜라에 차우셰스쿠 국제 평화로의 길 (초야 고이치 편역, 항문사, 1978년 4월)
참조
[1]
서적
Kiss the hand you cannot bite: the rise and fall of the Ceaușescus
Hamish Hamilton
[2]
웹사이트
Nicolae Ceaușescu
http://www.biography[...]
2021-12-00
[3]
백과사전
Nicolae Ceaușescu – president of Romania
https://www.britanni[...]
2023-05-10
[4]
뉴스
Ceaușescu looked in my eyes and he knew that he was going to die
http://www.thetimes.[...]
2009-12-24
[5]
서적
Romania: The Entangled Revolution
Praeger Publishers
[6]
웹사이트
Unul dintre cele mai bine păzite secrete înainte de 1989: data reală a nașterii lui Nicolae Ceaușescu. Foto
https://www.gandul.r[...]
2015-01-27
[7]
웹사이트
Ceaușescu, între legendă și adevăr: data nașterii și alegerea numelui de botez
http://jurnalul.ro/s[...]
[8]
웹사이트
Cataloagele școlare și autobiografia lui Nicolae Ceaușescu, făcute publice de Arhivele Naționale
https://infocultural[...]
Info Cultural
2022-01-26
[9]
서적
The Man They Killed on Christmas Day
Createspace Independent Pub
[10]
서적
[11]
서적
Kiss the Hand You Cannot Bite
Villard Books
[12]
서적
Kiss the Hand You Cannot Bite
Villard Books
[13]
웹사이트
Pagina de istorie: Ascensiunea şi decăderea unui dictator
https://www.rfi.ro/p[...]
2017-07-19
[14]
웹사이트
10 lucruri de ştiut despre... Nicolae Ceauşescu
https://historia.ro/[...]
[15]
웹사이트
Cum a devenit Nicolae Ceaușescu general-maior al Armatei Române
https://www.impact.r[...]
2020-10-25
[16]
웹사이트
Muzeul Sighet: Sala 18 - Colectivizarea. Rezistenţă şi represiune
https://www.memorial[...]
2009-05-29
[17]
웹사이트
ZIUA
http://www.ziua.net/[...]
2007-12-15
[18]
웹사이트
Eroi printre noi / Niţu Stan, căpetenia anticomuniştilor din Vadu Roşca
https://adevarul.ro/[...]
2010-09-25
[19]
웹사이트
Martirii din Vadu Rosca
https://www.hotnews.[...]
2005-08-04
[20]
서적
Eastern Europe In the Twentieth Century – And After
Routledge
[21]
잡지
Rumania: Enfant Terrible
http://www.time.com/[...]
1973-04-02
[22]
서적
European Union enlargement: background, developments, facts
Transaction Publishers
[23]
서적
The EU and Romania: accession and beyond
Federal Trust for Education and Research
[24]
웹사이트
L.A.'s greatest sports moments No. 3: 1984 Olympics opening
http://latimesblogs.[...]
2013-04-09
[25]
웹사이트
1984 Los Angeles Summer Games
https://www.sports-r[...]
Sports Reference
[26]
서적
Romania versus the United States: diplomacy of the absurd, 1985–1989
https://archive.org/[...]
Institute for the Study of Diplomacy, Georgetown University
[27]
간행물
The contradictions between domestic and foreign policies in the Cold War Romania (1956–1975)
Historia Actual Online
[28]
서적
Eastern Europe in the Twentieth Century – And After
Routledge
[29]
웹사이트
The Lasting Impact of Neglect
https://www.apa.org/[...]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14-06-00
[30]
뉴스
Upheaval in the East: Romania's AIDS Babies: A Legacy of Neglect
https://query.nytime[...]
The New York Times
1990-02-08
[31]
웹사이트
Regimul Ceaușescu – de la mitingul din 1968 la cel din 1989
http://www.jurnalul.[...]
2005-12-21
[32]
서적
Kiss the Hand You Cannot Bite
Villard Books
[33]
서적
Narcissism and Politics: Dreams of Glor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4]
서적
Eastern Europe In the Twentieth Century – And After
Routledge
[35]
논문
The Political Regrouping of Romanian Nomenklatura during the 1989 Revolution
Romanian Journal of Society and Politics
[36]
간행물
[37]
서적
Eastern Europe in the Twentieth Century – And After
Routledge
[38]
뉴스
Britain and Romania sign £200m plane deal
1978-06-16
[39]
웹사이트
Nine controversial state visits to the UK
https://news.sky.com[...]
2020-05-20
[40]
웹사이트
Goodwin joins Mugabe, Mussolini and Ceausescu in gang of disgraced figures
https://www.theguard[...]
2020-05-20
[41]
뉴스
U.S. Shares Blame Government Ignored Romania's Abused
https://greensboro.c[...]
Greensboro News And Record
2015-01-28
[42]
논문
The Return of Populism‐The 2000 Romanian Elections
[43]
서적
The Impact of Governments on East-West Economic Relations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6-07-27
[44]
서적
The Romanian Economic Reform Program
https://books.googl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1991-06-15
[45]
서적
The World Factbook
https://books.google[...]
Central Intelligence Agency
1989-09-03
[46]
서적
OECD Economic Surveys: Romania 2002
https://books.google[...]
OECD Publishing
2002-10-29
[47]
서적
Statistical Abstract of the United States
https://books.google[...]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90-09-03
[48]
서적
OECD Review of Agricultural Policies: Romania 2000
https://books.google[...]
OECD Publishing
2000-09-29
[49]
서적
The World Book Year Book, 1987
https://books.google[...]
World Book – Childcraft International
1987-09-03
[50]
서적
Country Reports on Economic Policy and Trade Practices: Report Submitted to the Committee on Foreign Relations, Committee on Finance of the U.S. Senate and the Committee on Foreign Affairs, Committee on Ways and Means of the U.S. House of Representatives by the Department of State in Accordance with Section 2202 of the Omnibus Trade and Competitiveness Act of 1988
https://books.google[...]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95-02-03
[51]
서적
Romania
https://books.google[...]
U.S. Department of Commerce, International Trade Administration
1990-09-03
[52]
서적
Country Reports on Economic Policy and Trade Practices: Report Submitted to the Committee on Foreign Affairs, Committee on Ways and Means of the U.S. House of Representatives, Committee on Foreign Relations, Committee on Finance of the U.S. Senate by the Department of State, in Accordance with Section 2202 of the Omnibus Trade Competitiveness Act of 1988
https://books.google[...]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91-09-03
[53]
서적
Ceaușescu and the Securitate: Coercion and Dissent in Romania, 1965–1989
https://books.google[...]
M.E.Sharpe
[54]
뉴스
"Tremors in Romania"
1987-12-30
[55]
서적
"Decembrie '89. Deconstrucția unei revoluții"
Polirom
[56]
서적
The Roma in Romanian History
http://books.openedi[...]
Central European University Press
2019-08-29
[57]
서적
Revolution and Change in Central and Eastern Europe
https://books.google[...]
Bloomsbury
2016-10-06
[58]
서적
Romania since the Second World War
https://books.google[...]
2016-11-17
[59]
뉴스
Upheaval in the East; Hard-Line Czech President to Quit And Dissident Is Seen as Successor
https://www.nytimes.[...]
1989-12-10
[60]
문서
Text of Speech in Revolution Square
1989-12-21
[61]
웹사이트
Executing a dictator: Open wounds of Romania's Christmas revolution
https://www.bbc.com/[...]
2023-08-21
[62]
서적
Revolution 1989: The Fall of the Soviet Empire
https://archive.org/[...]
Pantheon Books
[63]
간행물
Revolution of 1989: Milea's Suicide
http://www.utgjiu.ro[...]
University of Târgu Jiu
2016-02-27
[64]
서적
Narcissism and politics: dreams of gl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65]
서적
Distorting defense: Network news and national security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08-06-28
[66]
뉴스
Ceausescu looked in my eyes and he knew that he was going to die
http://www.timesonli[...]
2010-05-20
[67]
웹사이트
Trial and Execution
https://artsandcultu[...]
2023-12-15
[68]
웹사이트
Der Diktator und sein Henker
https://www.stern.de[...]
2005-10-20
[69]
뉴스
In Romania, Ceausescu's death haunts Christmas
http://www.globalpos[...]
2013-03-30
[70]
뉴스
Ceausescu execution 'avoided mob lynching'
http://news.bbc.co.u[...]
2013-03-30
[71]
웹사이트
DECRET-LEGE nr.6 din 7 ianuarie 1990 pentru abolirea pedepsei cu moartea, pentru modificarea și abrogarea unor prevederi din Codul penal și alte acte normative
https://web.archive.[...]
2016-04-12
[72]
뉴스
Jurnalul Național
2005-01-25
[73]
뉴스
Nicolae Ceausescu exhumed 'wearing his black winter coat'
https://www.telegrap[...]
2010-07-21
[74]
뉴스
Reports: DNA Tests Confirm Ceausescu's Remains
http://www.rferl.org[...]
2016-04-12
[75]
뉴스
Exhumed body in Romania is Nicolae Ceausescu
https://www.telegrap[...]
2010-11-04
[76]
웹사이트
Palace of the damned dictator: The Ceausescu trail
http://www.cnn.com/2[...]
2014-12-05
[77]
서적
Mic Dicționar Enciclopedic
[78]
서적
Communism with a Nationalist Face
[79]
서적
[80]
서적
[81]
서적
[82]
서적
[83]
서적
[84]
웹사이트
Romania: Introduction
http://lcweb2.loc.go[...]
[85]
서적
[86]
논문
'Taunting the Bear': Romania and the Warsaw Pact, 1963–89
https://www.tandfonl[...]
2007-10-08
[87]
논문
Managing the "Helsinki Spirit" in the Balkans: The Greek Initiative for Balkan Co-operation, 1975–1976
https://www.research[...]
2013-11-26
[88]
논문
An Uneasy Triangle: Nicolae Ceaușescu, the Greek Colonels and the Greek Communists (1967–1974)
2020-05-14
[89]
논문
A lost chance for Balkan cooperation? The Romanian view on 'regional micro-détente', 1969—75
https://www.research[...]
2018-11-13
[90]
서적
Military Rule in Chile: Dictatorship and Oppositions
[91]
백과사전
Zaire: a country study
https://www.loc.gov/[...]
Federal Research Division, Library of Congress
1994
[92]
웹사이트
Rumänien, 23. November 1986 : Verkleinerung des Heeres, Senkung der Rüstungsausgaben um 5%
http://www.sudd.ch/e[...]
Direct Democracy
[93]
웹사이트
Romanian-Moldavian SSR relations, by Patrick Moore and the Romanian Section
https://web.archive.[...]
[94]
뉴스
Sceptrul lui Ceaușescu, scos la vânzare
http://www.romaniali[...]
România Liberă
2010-06-23
[95]
웹사이트
Un Ceaușescu pe care nu îl știați: creț, cu ochii "blonzi" și nasul borcănat
http://www.realitate[...]
Realitatea.net
2011-08-03
[96]
목록
List of honorary British Knights
[97]
뉴스
Obituaries: Eugeniu Iordachescu, Romanian engineer who saved condemned churches under communist rule, dies at 89.
https://www.washingt[...]
Washington Post
2019-01-07
[98]
뉴스
Ikea funds went to Romanian secret police in communist era
https://www.theguard[...]
2014-07-04
[99]
웹사이트
Ikea paid millions to Romania's communist secret police in 1980s
https://www.scmp.com[...]
2014-07-07
[100]
웹사이트
Programmable Search Engine
https://cse.google.c[...]
[101]
서적
The Artful Albanian
Chatto & Windus
[102]
서적
Red Horizons: Chronicles of a Communist Spy Chief
Regnery Gateway
[103]
서적
Answer to History
Albin Michel
[104]
뉴스
Palace of the damned dictator: On the trail of Ceausescu in Bucharest
http://edition.cnn.c[...]
2014-12-05
[105]
웹사이트
Heaviest building
https://www.guinness[...]
[106]
웹사이트
The heaviest building in the world
https://www.viacapit[...]
2018-11-01
[107]
웹사이트
Official communique of the National Board of the Audio-Visual
http://www.cna.ro/co[...]
[108]
웹사이트
Ceausescu – Back from the Dead
https://www.heise.de[...]
2010-08-08
[109]
뉴스
In Romania, Opinion Polls Show Nostalgia for Communism
http://www.balkanaly[...]
2011-12-27
[110]
웹사이트
Noul Partid Comunist Român, condus de un șofer de taxi
https://adevarul.ro/[...]
2010-11-07
[111]
웹사이트
SONDAJ. 46% dintre românii intervievați l-ar vota acum pe Nicolae Ceaușescu la prezidențiale
https://www.digi24.r[...]
2014-04-10
[112]
웹사이트
Ceaușescu still most beloved President of Romania
https://transylvania[...]
2018-12-27
[113]
웹사이트
IMDb entry for 'Die letzten Tage der Ceausescus'
https://www.imdb.com[...]
2011-01-22
[114]
웹사이트
Ceausescu the Musical {{!}} the culture vulture
https://theculturevu[...]
2017-05-23
[115]
웹사이트
Queen and Honours
http://www.royal.gov[...]
The Official Website of the British Monarchy
2010-10-13
[116]
웹사이트
Reply to a parliamentary question
http://www.parlament[...]
[117]
웹사이트
Československý řád Bílého lva 1923–1990
https://www.prazskyh[...]
[118]
서적
Dictators: The Cult of Personality in the Twentieth Century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119]
웹사이트
Grand State Banquet
http://badraie.com/g[...]
[120]
웹사이트
badraie.com
http://badraie.com/i[...]
[121]
웹사이트
Senarai Penuh Penerima Darjah Kebesaran, Bintang dan Pingat Persekutuan Tahun 1984.
http://www.istiadat.[...]
[122]
뉴스
Condecorados: Orden El Sol del Perú
https://cde.gestion2[...]
Ministerio de Relaciones Exteriores
[123]
뉴스
President's Week in Review: April 7 – April 13, 1975
https://www.official[...]
[124]
웹사이트
Awards.
https://imdb.com/tit[...]
2010
[125]
웹사이트
Ceausescu's Longest-Lasting Legacy -- the Cohort of '67
http://www.sustainab[...]
[126]
웹사이트
Restalinizarea culturii. Tezele din iulie 1971, revoluția lui Ceaușescu inspirată de Mao
https://www.digi24.r[...]
2014-07-21
[127]
논문
Sovereign Debt, Austerity, and Regime Change: The Case of Nicolae Ceausescu’s Romania
https://journals.sag[...]
Sage Publishing
2012-12-13
[128]
웹사이트
В расстреле президента Румынии Чаушеску и его жены не все чисто
http://pravo.ru/proc[...]
2010-08-04
[129]
웹사이트
Страта Чаушеску. Так закінчуються диктатури
https://www.istpravd[...]
2010-12-25
[130]
웹사이트
1989: Romania's 'first couple' executed
http://news.bbc.co.u[...]
1989-12-25
[131]
웹사이트
Ceauşescu, între legendă şi adevăr: data naşterii şi alegerea numelui de botez
https://jurnalul.ro/[...]
2011-05-02
[132]
웹사이트
Unul dintre cele mai bine păzite secrete înainte de 1989: data reală a naşterii lui Nicolae Ceauşescu. FOTO
http://www.gandul.in[...]
2015-01-26
[133]
웹사이트
Cataloagele școlare și autobiografia lui Nicolae Ceaușescu, făcute publice de Arhivele Naționale
https://infocultural[...]
Info Cultural
2022-01-26
[134]
웹사이트
Viata lui Nicolae Ceausescu
http://www.natgeo.ro[...]
[135]
웹사이트
Nicolae Ceauşescu, "devotat, disciplinat, inteligenţă vie"
https://jurnalul.ro/[...]
2009-07-24
[136]
웹사이트
Nicolae Ceausescu Chronology
http://www.ceausescu[...]
[137]
웹사이트
Реставрация капитализма в Восточной Европе
http://minspace.naro[...]
[138]
웹사이트
Nicolae Ceausescu Biography
https://www.biograph[...]
A&E Television Networks
2014-04-01
[139]
웹사이트
The Revolt of the Romanians
https://www.nybooks.[...]
1990-01-03
[140]
웹사이트
Amintirea lui Pavel Câmpeanu (1920–2003)
https://romania.euro[...]
2020-06-01
[141]
웹사이트
Nicu şi Lenuţa, sex cu gardianul la uşă
http://www.historia.[...]
2022-10-04
[142]
웹사이트
Apostolii Epocii de Aur. De ce era Nicolae Ceauşescu un pic cam trist
https://adevarul.ro/[...]
2022-10-04
[143]
서적
The Russians in Germany: a history of the Soviet Zone of occupation, 1945–1949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144]
웹사이트
Ceauşescu a colectivizat cu arma în mână
http://www.adevarul.[...]
2022-10-04
[145]
웹사이트
ROMÂNIA – VIAŢA POLITICĂ ÎN DOCUMENTE – 1950
http://www.arhivelen[...]
2022-10-04
[146]
서적
Rumânii fericiți. Vot și putere de la 1831 până în prezent.
Polirom
[147]
웹사이트
«Гений Карпат» Чаушеску Штрихи к политическому портрету
http://2000.net.ua/2[...]
2022-10-04
[148]
서적
Peasants Under Siege: The Collectivization of Romanian Agriculture, 1949–1962
[149]
서적
Stalinism for All Seasons: A Political History of Romanian Communism
[150]
웹사이트
Lucrețiu Pătrășcanu, destinul fabulos al unui om asasinat de propria convingere politică
https://historia.ro/[...]
2022-09-01
[151]
서적
Show trials: Stalinist purges in Eastern Europe, 1948–1954
Greenwood Publishing Group
[152]
서적
Stalinism for All Seasons: A Political History of Romanian Communism
[153]
웹사이트
Dej-a-Vu: Early Roots of Romania's Independence - East European Quarterly, vol. 42. no. 4 (Winter 2008): 365-404. , 2008
https://www.academia[...]
2022-10-04
[154]
웹사이트
Gheorghe Gheorghiu-Dej, micul Stalin de la București
https://www.contribu[...]
2022-09-01
[155]
웹사이트
Cine a fost Gheorghiu-Dej: Stalinul României
https://moldova.euro[...]
2022-09-01
[156]
웹사이트
Derusificarea României (II) – Dej şi Insurecţia anticomunistă din Ungaria. Bodnăraş, agentul Siguranţei
https://evz.ro/derus[...]
2022-03-03
[157]
서적
Communist Terror in Romania: Gheorghiu-Dej and the Police State, 1948–1965
St. Martin's Press
[158]
웹사이트
Ceauşescu a colectivizat cu arma în mână
http://www.adevarul.[...]
2022-10-04
[159]
서적
The Book of Whispers
Polirom Publishing House
[160]
웹사이트
"Mai rai ca Ceausescu"
http://www.ziua.net/[...]
2022-10-04
[161]
웹사이트
Calendar 19 martie: 1965 - Gheorghe Gheorghiu-Dej a murit din cauza unui dublu cancer galopant
https://historia.ro/[...]
2022-10-05
[162]
웹사이트
Biografiile nomenklaturii
http://www.crimeleco[...]
2022-02-25
[163]
웹사이트
История Румынии XX века. Политика Чаушеску
http://studyport.ru/[...]
2022-10-19
[164]
서적
Stalinism for All Seasons: A Political History of Romanian Communism
[165]
웹사이트
Alexandru Drăghici – biografia unui asasin
http://www.9am.ro/st[...]
2022-02-25
[166]
웹사이트
Cum l-a salvat Maurer pe Drăghici de la pușcărie
http://jurnalul.ro/s[...]
2022-02-25
[167]
서적
Bottoni
[168]
서적
Banu and Banu
[169]
웹사이트
VIAŢA LUI CEAUŞESCU Marele bal – reabilitarea lui Pătrăşcanu şi excluderea lui Drăghici
http://adevarul.ro/c[...]
2022-02-25
[170]
웹사이트
В Румынии эксгумированы останки Николае Чаушеску и его жены Елены
https://www.inright.[...]
2022-11-07
[171]
웹사이트
100 великих диктаторов - Страница
http://litrus.net/bo[...]
2022-10-05
[172]
웹사이트
Николае Чаушеску. Биографическая справка
http://ria.ru/politi[...]
2022-10-05
[173]
웹사이트
DECRET 770 /1966
http://www.lege-onli[...]
2022-10-05
[174]
웹사이트
The New Yorker: Puterea atingerii în dezvoltarea copiilor. Studiu de caz: leagănele din România comunistă
https://adevarul.ro/[...]
2022-10-30
[175]
웹사이트
Upheaval in the East: Romania's AIDS Babies: A Legacy of Neglect
https://query.nytime[...]
2022-10-05
[176]
논문
Pediatric AIDS in Romania – A Country Faces Its Epidemic and Serves as a Model of Success
https://www.ncbi.nlm[...]
The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2006-04-01
[177]
웹사이트
DOSAR: Generaţia SIDA - au supravieţuit, dar au stat ascunşi
https://adevarul.ro/[...]
Adevărul
2022-10-17
[178]
웹사이트
Последний вампир Трансильвании
https://www.kommersa[...]
2022-09-26
[179]
웹사이트
DOCUMENTE PRIVIND POLITICA SANITARĂ ÎN ROMÂNIA (1965—1989)
http://hiphi.ubbcluj[...]
2022-10-27
[180]
웹사이트
Sate "ciuntite" după un plan trasat pe hârtie
http://jurnalul.ro/s[...]
2022-10-17
[181]
웹사이트
Unde a fost înmormântat generalul Ion Mihai Pacepa. Ar fi murit de COVID-19. Video
https://evz.ro/inmor[...]
2022-10-19
[182]
웹사이트
Romanian Ex-Communist Spy Chief Ion Mihai Pacepa Dies Of Coronavirus At 92
https://www.romaniaj[...]
Romania Journal
2022-10-19
[183]
웹사이트
Generalul Ion Mihai Pacepa a murit de COVID în Statele Unite
https://www.realitat[...]
2022-10-19
[184]
웹사이트
Николае Чаушеску - конкурент Дракулы?
http://www.pravda.ru[...]
2022-10-17
[185]
웹사이트
Зря тронул Трансильванию
https://lenta.ru/art[...]
2022-10-17
[186]
웹사이트
Megastory: Cazul Ţundrea, misterul măştilor veneţiene şi buldozerele de la Sf. Vineri
http://realitatea.ne[...]
2022-10-17
[187]
웹사이트
Biserica demolată de Ceauşescu, reconstruită VIDEO
https://evz.ro/biser[...]
2022-09-26
[188]
서적
Istoria românilor de la origini până în zilele noastre
Editura Humanitas
[189]
웹사이트
Николае Чаушеску: «Перестройка ведет к крушению социализма»
http://establishment[...]
2022-10-17
[190]
웹사이트
Times Topics - Nicolae Ceausescu
http://topics.nytime[...]
2022-10-17
[191]
웹사이트
1975 - The History of the Soviet Bloc 1945–1991 A CHRONOLOGY
http://www.coldwar.h[...]
2022-10-17
[192]
웹사이트
Ceaușescu „Made in Japan”. Emperor Hirohito and Princess Nagako had meeting with President Ceausescu in Tokyo, Japan on 4 April 1975. Crown Prince Akihito and Crown Princess Michiko had meeting with President Ceausescu in Bucharest, Romania on 9 October 1979.
https://ceausescunic[...]
2022-10-17
[193]
웹사이트
Чаушеску свергло ЦРУ?
https://www.kp.ru/da[...]
2022-10-17
[194]
웹사이트
Nicolae Ceausescu Mar. 18, 1966
https://content.time[...]
2022-11-01
[195]
웹사이트
Европа / Тайны семейства Чаушеску
http://www.intertren[...]
2022-10-17
[196]
웹사이트
Румыния при Чаушеску
http://www.world-his[...]
2022-10-17
[197]
웹사이트
Ion Gavrila Ogoranu- luptatorul din Rezistenta care timp de 30 de ani nu a putut fi prins de Securitate
https://www.hotnews.[...]
2022-10-17
[198]
웹사이트
Ceauşescu a cerut rachete de la americani
https://evz.ro/ceaus[...]
2022-11-07
[199]
웹사이트
Ceauşescu vedea în Nixon un zarzavagiu
https://evz.ro/ceaus[...]
2022-11-07
[200]
웹사이트
8 апреля в истории
https://www.golosame[...]
2022-10-18
[201]
웹사이트
Как Дунай потек вспять: 25 лет румынской революции
https://www.bbc.com/[...]
2022-10-17
[202]
웹사이트
Gorbaciov la 80 de ani: De la încăierarea cu Ceauşescu la destrămarea URSS
https://historia.ro/[...]
2023-07-02
[203]
웹사이트
ПОЧЕМУ ПОТОРОПИЛИСЬ РАССТРЕЛЯТЬ НИКОЛАЯ ЧАУШЕСКУ?
http://planeta.by/ar[...]
2022-10-17
[204]
웹사이트
ЖОС ЧАУШЕСКУ! Жизнь и смерть одного диктатора
http://www.xxl-onlin[...]
2022-10-17
[205]
웹사이트
Николае Чаушеску впервые услышал о коммунистических идеалах в тюрьме, куда попал за воровство
http://fakty.ua/prin[...]
2014-10-19
[206]
웹사이트
Oil Embargo, 1973–1974
https://history.stat[...]
2022-10-19
[207]
웹사이트
Румыния и МВФ
http://www.rri.ro/ar[...]
2022-10-19
[208]
웹사이트
Румынская доля
http://www.business-[...]
2022-10-19
[209]
웹사이트
ЗА ЧТО УБИЛИ НИКОЛАЕ ЧАУШЕСКУ
http://www.duel.ru/1[...]
2022-10-19
[210]
웹사이트
румынском обществе 1970-1980-х
http://www.conflicto[...]
2022-10-19
[211]
웹사이트
Румынский диктатор Чаушеску, убитый 21 год назад, мог быть не похоронен
http://www.newsinfo.[...]
2010-07-21
[212]
서적
Romania. Politics, Economics, and Society. Political Stagnation and Simulated Change
Frances Pinter Publishers
1985
[213]
웹사이트
ЧАУШЕСКУ БОЯЛСЯ, ЧТО ЕГО ОТРАВЯТ
http://www.segodnya.[...]
2002-01-26
[214]
웹사이트
Режим Чаушеску глазами румынского поэта (весна 1989 г.)
http://ava.md/projec[...]
2012-06-21
[215]
웹사이트
„Stânga românească nr. 13/martie 2006 - In memoriam Ilie Verdeț”
http://62.231.119.10[...]
[216]
웹사이트
Gramatica obscurantismului
https://moldova.euro[...]
2016-07-14
[217]
웹사이트
Artă în spațiul public sau artă pentru sine Ipostaze ale artistului Ion Grigorescu în epoca comunistăși posttotalitară
https://www.ssoar.in[...]
[218]
웹사이트
Reprezentarea partidelor politice romanesti in Parlamentul European
http://revistasferap[...]
Revistasfera Politicii
[219]
서적
Cultul secretului. Mecanismele cenzurii în presa comunistă
Editura Polirom
2016
[220]
웹사이트
Tezele din Iulie (6 iulie 1971)
https://historia.ro/[...]
[221]
웹사이트
,,Tezele din iulie” 1971 –ultima etapă a reformelor iniţiate de Ceauşescu în 1967
https://adevarul.ro/[...]
2013-03-28
[222]
웹사이트
THE CULT OF CEAUSESCU
http://www.nytimes.c[...]
1986-11-30
[223]
웹사이트
Nicolae Ceausescu: a profile of the former communist dictator
http://www.telegraph[...]
2010-07-22
[224]
웹사이트
IN RUMANIA, ALL HAIL THE CHIEF, AND DRACULA, TOO
http://www.nytimes.c[...]
1983-12-24
[225]
웹사이트
Чаушеску -- мертвый король красного китча (Фото)
http://charter97.org[...]
2009-09-14
[226]
웹사이트
Король, королева и принц: таким был режим Чаушеску, рухнувший 30 лет назад
https://detaly.co.il[...]
2019-11-22
[227]
웹사이트
Путин и Первомай или урок от Чаушеску
http://echo.msk.ru/b[...]
2012-04-29
[228]
서적
Decembrie '89. Deconstrucţia unei revoluţii
Editura Polirom
2009
[229]
웹사이트
Румынская революция 1989 года. Часть 1
http://www.world-his[...]
[230]
웹사이트
„Scrisoarea celor 6“ adresată lui Nicolae Ceauşescu
https://historia.ro/[...]
2022
[231]
서적
Stalinism pentru eternitate
[232]
웹사이트
Cine a fost Silviu Brucan? Marele maestru al mistificarilor
https://www.contribu[...]
2013-04-19
[233]
웹사이트
Правда ли, что рейтинг Николае Чаушеску за неделю до его расстрела составлял 99%?
https://provereno.me[...]
2022-04-15
[234]
웹사이트
Румынская революция
http://www.conflicto[...]
[235]
웹사이트
FOTO Kilometrul zero al Revoluţiei din 1989. Asaltul asupra Bisericii Reformate din Timişoara
https://adevarul.ro/[...]
Adevărul
2014-12-15
[236]
웹사이트
Pentru timisoreni, ziua de 16 decembrie a fost trecerea de la o nemultumire, la o adevarata revolta ce avea sa declanseze Revolutia din 1989.
https://stirileprotv[...]
2012-10-30
[237]
웹사이트
30 de ani de la Revoluția din 1989. Ce s-a întâmplat între 16 și 22 decembrie 1989 în România
https://www.digi24.r[...]
2019-12-22
[238]
웹사이트
Comenzile lui Ceauşescu înainte de a fi împuşcat. Stenograme neştiute din timpul Revoluţiei: „Să fi tras în ei, să fi căzut şi pe urmă luaţi şi băgaţi în beci”
https://adevarul.ro/[...]
Adevărul
2016-12-23
[239]
웹사이트
Diversiune si represiune. timisoara, 16-17 decembrie 1989
https://www.qreferat[...]
[240]
웹사이트
“ЗОЛОТАЯ ЭРА” РУМЫНИИ : 6. “Антихрист был убит в Рождество”
http://www.allk.ru/b[...]
2008-07-25
[241]
웹사이트
FOCUS: 18 ani de la revoluţie
https://www.mediafax[...]
2007-12-16
[242]
영화
Der Grenzer am Eisernen Vorhang. Part 4
LE Vision GmbH. Mitteldeutsche Rundfunk (MDT)
2012-01-03
[243]
웹사이트
Timisorenii au "stricat" mitingul din 21 decembrie
http://www.romaniali[...]
2009-12-15
[244]
웹사이트
"Lovitura de Stat" data de generalul Stanculescu (22 Decembrie 1989)
http://www.ioanscurt[...]
2009
[245]
웹사이트
Un martor rupe tăcerea: Vasile Milea a fost împuşcat şi strangulat la ordin
http://www.amosnews.[...]
2005-05-16
[246]
웹사이트
Secretul "trădării" generalului Vasile Milea
http://www.jurnalul.[...]
2010-02-21
[247]
웹사이트
А говорили – мамалыга не взрывается
http://evartist.naro[...]
[248]
웹사이트
Decembrie 1989 - Verdictul Occidentului: a fost lovitura de stat
https://jurnalul.ro/[...]
2006-10-05
[249]
웹사이트
Румынская революция 1989 года. Часть 2
http://www.world-his[...]
[250]
웹사이트
20 лет после Чаушеску
http://ru.euronews.c[...]
2009-12-23
[251]
뉴스
POWER CRUMBLED QUICKLY CEAUSESCU'S DECLINE TOOK 4 SHORT DAYS
https://greensboro.c[...]
1990-01-06
[252]
웹사이트
Ultimele zile ale cuplului Ceausescu
https://jurnalul.ro/[...]
2004-03-15
[253]
웹사이트
Teroriştii din ’89, controlaţi de la Moscova
https://jurnalul.ro/[...]
2010-02-21
[254]
웹사이트
EXCLUSIV: Cum era să moară Ceauşescu în aprilie 1989 şi cum l-a dat Ceauşeasca de gol în străinătate că are diabet - VIDEO
https://www.dcnews.r[...]
2011-10-15
[255]
웹사이트
Teroriştii din ’89, controlaţi de la Moscova
https://jurnalul.ro/[...]
2010-02-21
[256]
웹사이트
Operaţiunea „Insulină pentru Ceauşescu“
https://adevarul.ro/[...]
2009-12-04
[257]
웹사이트
FOND C.C. AL P.C.R. –CABINETUL 2 – ELENA CEAUŞESCU INVENTAR Anii extremi: 1984–1989 Nr. u.a.: 180
http://arhivelenatio[...]
Arhivele Naționale (National Archives of Romania)
[258]
웹사이트
Cronologie Revoluţia Română din decembrie 1989
https://www.rador.ro[...]
2014-12-12
[259]
웹사이트
Primele decrete semnate de Ion Iliescu în 1989 au fost ilegale iar Monitorul Oficial a amânat publicarea lor
https://www.curentul[...]
2019-12-27
[260]
웹사이트
STENOGRAMA Procesului Ceausescu si Sentinta de la Targoviste
https://www.ziaristi[...]
2010-12-26
[261]
웹사이트
Procese, cazuri celebre- Procesul sotilor Ceausescu. Aspecte de teorie si practica judiciara. Cel mai controversat proces romanesc
http://www.avoconsul[...]
2007-05-19
[262]
웹사이트
Buletin de știri 25 decembrie 1989
https://romania.euro[...]
2019-12-24
[263]
웹사이트
Nicolae şi Elena Ceauşescu: „Împreună am luptat, să murim împreună!“
https://adevarul.ro/[...]
2009-12-19
[264]
서적
Dictatura lui Nicolae Ceauşescu 1965-1989. Geniul Carpaţilor
[265]
웹사이트
La Târgovişte s-a dezvăluit adevăratul Ceauşescu
https://historia.ro/[...]
[266]
웹사이트
Расстрел у стены солдатской уборной - Почему Михаил Горбачев дал согласие на казнь Николае Чаушеску?
http://www.argumenti[...]
2011-02-16
[267]
웹사이트
Der Diktator und sein Henker
https://www-stern-de[...]
2005-10-20
[268]
웹사이트
Adevăr şi minciună în procesul familiei Ceauşescu
https://adevarul.ro/[...]
2012-01-25
[269]
웹사이트
In Romania, Ceausescu's death haunts Christmas
http://www.globalpos[...]
2009-12-25
[270]
웹사이트
Ion Iliescu: „Nu regret executarea lui Nicolae Ceauşescu“
https://adevarul.ro/[...]
2009-11-30
[271]
웹사이트
Экс-глава комиссии партийного контроля при цк кпсс михаил соломенцев: «мне уже десятый десяток пошел. Живу прошлым… »
http://fakty.ua/6491[...]
2004-09-03
[272]
웹사이트
DECRET-LEGE nr.6 din 7 ianuarie 1990
http://www.cdep.ro/p[...]
1990
[273]
웹사이트
Constituţia şi opinia publică:consensul social privind pedeapsa cu moartea
http://www.sferapoli[...]
[274]
웹사이트
Misterul conturilor lui Ceauşescu VIDEO
https://www.romaniat[...]
2013-02-17
[275]
웹사이트
Gorbaciov, către Ceaușescu, în decembrie 89: „Veți mai trăi până în ianuarie 90”
https://click.ro/act[...]
2022-08-31
[276]
서적
(정보 부족)
[277]
웹사이트
Chapter Four: Regime-State Relations in Communist Romania (1944-1989) (Rewriting the Revolution, Ph.D. Dissertation, Indiana University, 1997)
https://romanianrevo[...]
[278]
웹사이트
Lista spionului Militaru în vremea lui Iliescu
https://adevarul.ro/[...]
2010-03-15
[279]
웹사이트
SOVIET HAND IN BUCHAREST
https://www.washingt[...]
1991-09-22
[280]
웹사이트
The December Revolt and the Coup D'Etat - 1989 : Origins Of The National Salvation Front (NSF)
http://www.ceausescu[...]
[281]
웹사이트
Russian dissident who copied the Gorbachev Foundation's archive: Mitterrand and Gorbachev wanted the European Socialist Union, Thatcher opposed Germany’s reunification
https://english.hotn[...]
2009-09-28
[282]
웹사이트
На фоне скандала в Румынии перезахоронили Чаушеску (фото) - Румынские политики спорят о законности расстрела Чаушеску и его жены.
https://news.tochka.[...]
2010-12-11
[283]
웹사이트
Daring to question the Romanian Revolution
http://news.bbc.co.u[...]
2009-12-21
[284]
웹사이트
Romania to Declassify Documents from Revolution
https://balkaninsigh[...]
2010-03-10
[285]
웹사이트
Romania To Investigate Deaths in 1989 Revolt
https://balkaninsigh[...]
2016-04-08
[286]
웹사이트
‘Ceausescu looked in my eyes, and he knew that he was going to die’
https://www.thetimes[...]
2009-12-24
[287]
웹사이트
Un adevăr crunt: în 1989, Iliescu a chemat trupele sovietice
https://historia.ro/[...]
[288]
웹사이트
Generalul Ștefan Gușă către Ion Iliescu, care vroia armata sovietică în România: „Nu, domnule Iliescu, nu e nevoie. Nu faceţi greşeala asta!”
https://anonimus.ro/[...]
2018-12-23
[289]
웹사이트
Brought to book in Bucharest Romania’s ex-president, Ion Iliescu, goes on trial
https://romanianrevo[...]
2018-05-03
[290]
웹사이트
Dan Voinea: Nu au existat teroristi in decembrie '89. Sotii Ceausescu au fost ucisi pentru a salva administratia comunista, care dureaza si azi
https://revistaprese[...]
2010-12-21
[291]
웹사이트
Stadiu Dosarul Revoluţiei
https://www.mpublic.[...]
2018-12-21
[292]
웹사이트
Romanian Ex-President Iliescu Indicted For 'Crimes Against Humanity'
https://www.rferl.or[...]
2018-12-21
[293]
웹사이트
Romania Indicts Former Officials for Usurping 1989 Revolution
https://balkaninsigh[...]
2019-04-08
[294]
웹사이트
BREAKING NEWS: Lovitură cumplită pentru Ion Iliescu! Ce au decis judecătorii
https://www.capital.[...]
2019-10-09
[295]
웹사이트
E timpul ca România să rupă tăcerea
http://revista.memor[...]
[296]
웹사이트
Dezvăluiri cutremurătoare din Dosarul Revoluției. Detaliile ascunse ale relației dintre Ion Iliescu și putere. Ceaușescu l-a numit „spion sovietic”
https://www.capital.[...]
2019-05-06
[297]
웹사이트
Cum ar trebui să fie apreciat Nicolae Ceauşescu în manualele de istorie?
http://www.jurnalul.[...]
2009-11-17
[298]
웹사이트
Romanii regreta comunismul si executia sotilor Ceausescu
https://ziare.com/po[...]
2009-11-11
[299]
웹사이트
Соцопрос: 41% румын хотят возвращения диктатора Чаушеску
http://www.regnum.ru[...]
2010-07-26
[300]
웹사이트
Опрос: больше половины румын сожалеют о смерти Чаушеску
https://www.blacksea[...]
2010-12-24
[301]
웹사이트
Sondaj: Dacă ar fi în viaţă, Nicolae Ceauşescu ar acumula 66% la alegerile prezidenţiale din România
https://www.publika.[...]
2014-04-10
[302]
웹사이트
Румыния: Спустя 25 лет после расстрела Чаушеску сравнивают с Христом
https://regnum.ru/ne[...]
2014-12-25
[303]
웹사이트
FOTO Amintiri din Epoca de Aur: de ce suntem nostalgici după Ceauşescu. Cum explică sociologii şi istoricii dorul românilor după comunism
https://adevarul.ro/[...]
2013-03-15
[304]
웹사이트
Decretul nr. 168/1971 privind conferirea titlului de Erou al Republicii Socialiste România şi a ordinului Victoria Socialismului tovarăşului Nicolae Ceauşescu
https://lege5.ro/Gra[...]
1971-05-06
[305]
웹사이트
Decretul 1 din 25 ianuarie 1978 (Decretul 1/1978)
http://www.legestart[...]
[306]
웹사이트
Decretul 10 din 25 ianuarie 1988 (Decretul 10/1988)
http://www.legestart[...]
[307]
웹사이트
15 noiembrie 1989 - Ziua internaţională de acţiune România
https://moldova.euro[...]
2009-11-17
[308]
웹사이트
SPECIAL EVZ. Copiii DICTATORULUI comunist. Valentin Ceaușescu, fiul model al unei familii-problemă
http://evz.ro/copiii[...]
2015-06-01
[309]
웹사이트
Femeile din viața lui Valentin Ceaușescu. Cum arăta prima soție, antipatizată de dictatori
https://www.click.ro[...]
2017-03-13
[310]
웹사이트
'Mega-interviu' cu Valentin Ceausescu
http://www.ceausescu[...]
2006-05-30
[311]
웹사이트
Zoia Ceaușescu on Google Scholar
https://scholar.goog[...]
[312]
웹사이트
Sub povara numelui
http://www.monitorul[...]
2006-11-22
[313]
웹사이트
Invinsa de cancer
http://www.evz.ro/ar[...]
2006-11-22
[314]
웹사이트
Дочь расстрелянного румынского экс-президента Чаушеску скончалась от рака
https://www.newsru.c[...]
2006-11-22
[315]
웹사이트
Friend Indeed Who Doesn’t Judge or Flinch
https://www.nytimes.[...]
2008-01-25
[316]
서적
가로 세로 세계사 (발칸 반도 편)
김영사
[317]
서적
루마니아와 차우셰스쿠
어문각
1990
[318]
웹인용
나카노 문고 「1975년 천황의 칙어」
https://web.archive.[...]
2010-11-28
[319]
웹사이트
도쿄대학 동양문화 연구소 다나카 아키히코 연구실
http://www.ioc.u-tok[...]
[320]
뉴스
차우셰스쿠次男 監房신세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92-02-24
[321]
뉴스
[중동구가 떠오른다/루마니아 현장] 초라한 차우셰스쿠묘
http://www.donga.com[...]
동아일보
1997-03-24
[322]
방송
세계의 건축
EBS
[323]
웹인용
Nicolae Elena Ceausescu executed
https://www.youtube.[...]
2009-04-15
[324]
웹인용
[World Topics] 독재자 차우셰스쿠 무덤서도 피곤?
https://www.chosun.c[...]
조선일보
2020-08-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