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남도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라남도청은 전라남도의 행정 업무를 총괄하는 기관으로, 본청은 무안군 삼향읍에, 동부청사는 순천시에 위치해 있다. 1986년 광주광역시의 직할시 승격 이후 도청 이전 논의가 시작되어 2005년 현재의 위치로 이전했다. 청사는 배산임수 지형에 자리 잡고 있으며, 남악신도시에 인접해 있다. 조직은 도지사, 행정부지사, 정무부지사, 직속기관, 사업본부, 사업소 등으로 구성되며, 5개 시와 17개 군을 관할한다. 2018년 총예산은 6조 7508억여 원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무안군 소재의 관공서 - 전라남도의회
전라남도의회는 전라남도를 대표하는 지방의회로서, 상임위원회와 특별위원회, 사무처를 운영하며 의장과 부의장 2명으로 구성된 의장단이 의회 운영을 총괄하고, 더불어민주당이 다수 의석을 점유하고 있다. - 무안군 소재의 관공서 - 목포교도소
목포교도소는 일제강점기 광주감옥 목포분감으로 설립되어 목포감옥, 목포형무소로 개칭되었고, 강제 노역 동원, 제주 4·3 사건 및 여순사건 관련 수감자 수용, 대규모 탈옥 사건 등 격동의 역사를 거쳐 1961년 목포교도소로 명칭이 변경된 교정시설이다. - 대한민국의 전망대 - N서울타워
N서울타워는 서울 남산에 위치한 랜드마크이자 방송 송신탑으로, 다양한 시설과 관광 요소를 갖추고 있으며, KBS, MBC, SBS 등 방송 송신 시설을 갖추고 있다. - 대한민국의 전망대 - 해운대 엘시티 더샵
해운대 엘시티 더샵은 부산 해운대에 위치한 초고층 복합 건물로, 랜드마크 타워, 주거 타워 등으로 구성되며, 2019년에 완공되어 6성급 호텔, 레지던스 호텔, 전망대, 아파트 등을 갖추고 있다. - 1896년 설립 - 다우 존스 산업평균지수
- 1896년 설립 - 부산지방법원
부산지방법원은 1896년 부산재판소를 전신으로 하는 대한민국의 지방법원으로, 일제강점기 일본인 거류민 재판을 위해 설치되었으나 해방 후 현재의 명칭으로 개칭되었으며, 부산광역시의 일부 구와 군을 관할하는 본원, 동부지원, 서부지원으로 구성되어 다양한 재판부와 사무국을 두고 있다.
전라남도청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전라남도청 |
모토 | 생명의 땅, 전남 |
설립일 | 1896년 8월 4일 |
소재지 | 전라남도 무안군 삼향읍 오룡길 1 (남악리) |
직원 | 1,261명(국가직 제외) |
예산 | 6조 7508억 2418만 4000원 |
기관장 성명 | 김영록 |
기관장 직책 | 도지사 |
기관장2 성명 | 명창환 |
기관장2 직책 | 행정부지사 |
기관장3 성명 | 박창환 |
기관장3 직책 | 정무부지사 |
산하 기관 | 직속기관 18, 사업본부 2, 사업소 10 |
웹사이트 | 전라남도청 |
영어 명칭 | Jeonnam Provincial Government |
2. 청사
전라남도청 본청은 전라남도 무안군 삼향읍 오룡길 1에 있고, 동부청사는 전라남도 순천시 백강로 38에 있다.
2. 1. 청사 이전
전라남도청은 본래 광주광역시 동구 금남로 (광산동 광주 전라남도청 구 본관)에 있다가, 2005년 10월에 현재의 삼향읍 남악리로 이전했다.[4] 1986년 11월 광주시가 직할시로 승격된 후 도청 이전 논의가 시작되었고, 1993년 5월 대통령 특별담화로 이전 계획이 확정되었다. 광주광역시 원도심 침체 우려 등으로 이전이 지연되기도 했지만, 1999년 1월 9일 신도청 소재지 용역에 따라 현재의 부지가 선정되었다.[5]전라남도청은 뒤에는 오룡산, 앞에는 영산강이 흐르는 배산임수 지형에 위치한다. 또한 남악리는 무안 승달산(佛)-목포 유달산(儒)-영암 선황산(仙)을 잇는 삼각형의 중심점으로, 풍수지리적으로 명당으로 여겨진다.[6][7]
도청 부지 면적은 70113평이며, 건축 연면적은 23989평이다. 지상 23층(지하 2층) 규모의 청사는 전라남도와 22개 시·군을 상징하며,[8] 개청 이후 관광 명소가 되었다.
전라남도는 청사 부지에 남악신도시를 개발하고 주변 기반 시설을 확충했다. 2007년 3월부터 남악신도시 아파트 입주가 시작되었고,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가 개교했다. 인근에는 전라남도교육청, 광주지방법원 목포지원, 광주지방검찰청 목포지청, 전남지방경찰청 등 여러 공공기관이 있다.[9]
2. 2. 동부청사 (전라남도 동부지역본부)
2005년 10월 21일 전라남도는 도청 본청이 전라남도 서부에 치우쳐 있어 동부 지역(여수시, 순천시, 광양시, 곡성군, 구례군, 고흥군, 보성군) 주민들이 겪는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순천시에 동부출장소를 설치하였다.[4]2010년 6월 동부출장소를 순천시 연향동의 현재 위치로 이전하였고,[10] 2014년 8월 동부지역본부로 확대 개편하였다.[11]
3. 조직
본청|本廳중국어은 2실, 13국, 4단, 55과로 구성되어 있다.
실·국·단 | 과 |
---|---|
| |
3. 1. 도지사
대변인실[12]도민소통실[12][13]
3. 2. 행정부지사
전라남도 행정부지사는 전라남도지사를 보좌하여 전라남도청의 사무를 관장한다.3. 3. 정무부지사
전라남도청에는 정무부지사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 섹션에서 주어진 원본 소스는 정무부지사와 관련된 내용이 아니며, 국제협력관과 일자리정책실 산하 부서들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다. 따라서 주어진 제목과 섹션에 맞는 내용은 "존재하지 않는다"이다.3. 4. 직속기관
- 전라남도농업기술원
- 전라남도 지방공무원교육원
- 전라남도 보건환경연구원
- 소방서
- * 목포소방서
- * 여수소방서
- * 순천소방서
- * 나주소방서
- * 광양소방서
- * 담양소방서
- * 고흥소방서
- * 보성소방서
- * 화순소방서
- * 강진소방서
- * 해남소방서
- * 영암소방서
- * 무안소방서
- * 함평소방서
- * 영광소방서
3. 5. 사업본부
3. 6. 사업소
4. 산하 자치단체
자치시 | 자치군 |
---|---|
5. 정원
전라남도청에 두는 지방공무원의 정원은 다음과 같다.[2]
총계 | 1,261명 | |
---|---|---|
정무직 계 | 1명 | |
도지사 | 1명 | |
일반직 계 | 1,107명 | |
1급 이하 2급 이상 | 1명 | |
3급 이하 5급 이상 | 259명 | |
6급 이하 | 831명 | |
전문경력관 | 16명 | |
별정직 계 | 12명 | |
1급 상당 이하 2급 상당 이상 | 1명 | |
3급 상당 이하 5급 상당 이상 | 5명 | |
6급 상당 이하 | 6명 | |
연구직 계 | 3명 | |
연구사 | 3명 | |
소방공무원 계 | 138명 | |
소방정 | 4명 | |
소방령 이하 | 134명 |
6. 재정
2018년 총예산은 전년도에 비해 5.9% 증가한 675.08억원이며, 구체적인 세입·세출은 다음과 같다.[3]
; 세입예산액
구분 | 2018년 예산 | 작년 대비 증감 |
---|---|---|
지방세 수입 | 1.023조원 | +0.4% |
세외수입 | 956.8억원 | -10.4% |
지방교부세 | 8757.77억원 | +0.8% |
보조금 | 40858.84억원 | +0.7% |
보전 수입 등 및 내부거래 | 6704.82억원 | +0.3% |
; 세출예산액
구분 | 2018년 예산 | 작년 대비 증감 | |
---|---|---|---|
분야 | 부문 | ||
일반공공행정 | 5100.98억원 | +6.8% | |
입법 및 선거관리 | 59.47억원 | +0.6% | |
지방행정·재정지원 | 2180.06억원 | -0.1% | |
일반행정 | 2861.44억원 | +12.9% | |
공공질서 및 안전 | 4449.16억원 | +5.8% | |
경찰 | 4500만원 | -15.0% | |
재난방재·민방위 | 2155.44억원 | +1.5% | |
소방 | 2293.26억원 | +10.1% | |
교육 | 2027.13억원 | +5.0% | |
유아 및 초중등교육 | 1587억원 | +7.8% | |
고등교육 | 440.13억원 | -3.9% | |
문화 및 관광 | 3060.39억원 | -2.1% | |
문화예술 | 664.23억원 | +21.1% | |
관광 | 1288.18억원 | -15.5% | |
체육 | 562.66억원 | -3.4% | |
문화재 | 498.93억원 | +13.4% | |
문화 및 관광일반 | 46.36억원 | +51.5% | |
환경보호 | 4250.31억원 | -3.8% | |
상하수도·수질 | 3313.31억원 | -12.0% | |
폐기물 | 134.89억원 | -25.0% | |
대기 | 163.96억원 | +30.0% | |
자연 | 145.37억원 | +21.0% | |
해양 | 437.85억원 | +177.9% | |
환경보호일반 | 54.91억원 | -19.5% | |
사회복지 | 23266.16억원 | +11.0% | |
기초생활보장 | 6660.56억원 | +3.5% | |
취약계층지원 | 1976.57억원 | +10.7% | |
보육·가족 및 여성 | 4738.4억원 | +8.4% | |
노인·청소년 | 9440.1억원 | +18.6% | |
보훈 | 6.86억원 | -1.5% | |
사회복지일반 | 443.65억원 | +13.8% | |
보건 | 998.43억원 | +22.0% | |
보건의료 | |||
농림해양수산 | 10977.83억원 | +3.9% | |
농업·농촌 | 7800.54억원 | +6.4% | |
임업·산촌 | 1774.81억원 | -0.5% | |
해양수산·어촌 | 1402.47억원 | -3.2% | |
산업·중소기업 | 2031.01억원 | +20.4% | |
산업기술지원 | 99.24억원 | +13.1% | |
무역 및 투자유치 | 278.88억원 | +96.5% | |
산업진흥·고도화 | 856.99억원 | +7.6% | |
에너지 및 자원개발 | 118.47억원 | -12.7% | |
산업·중소기업일반 | 677.41억원 | +29.0% | |
수송 및 교통 | 2873.51억원 | -5.1% | |
도로 | 2139.35억원 | -11.3% | |
해운·항만 | 136.34억원 | -9.1% | |
대중교통·물류 등 기타 | 597.81억원 | +28.1% | |
국토 및 지역개발 | 3550.46억원 | -2.5% | |
수자원 | 63.22억원 | -11.2% | |
지역 및 도시 | 3487.24억원 | -2.3% | |
과학기술 | 57.59억원 | -17.2% | |
과학기술연구지원 | |||
예비비 | 606.95억원 | -1.8% | |
예비비 | |||
기타 | 4258.27억원 | +9.3% | |
기타 |
7. 장보고 전망대
장보고 전망대는 전라남도청 23층에 위치하고 있으며, 개방 시간은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 50분까지였으나 코로나19 이후 개방하지 않고 있다. 엘리베이터 중지 시에는 비상연락번호 중앙통제실(286-4140)에 전화해야 한다.
참조
[1]
문서
국가직 제외
[2]
문서
전라남도 지방공무원 정원 규칙 별표
[3]
웹사이트
전라남도청 - 세입세출예산
http://budget.jeonna[...]
[4]
뉴스
전남도, 남악 새청사 업무 시작
https://news.naver.c[...]
2005-10-17
[5]
뉴스
<109년 광주시대 마감하는 전남도청>
https://news.naver.c[...]
2005-10-04
[6]
뉴스
한국風水 재발견 (51)
http://newslibrary.n[...]
1993-07-19
[7]
뉴스
돋보기 새 全南道廳부지 務安 三鄕面일대
http://newslibrary.n[...]
1993-12-25
[8]
뉴스
전남도청 '무안시대'
https://news.naver.c[...]
2005-07-09
[9]
뉴스
무안 남악신도시 시대 '활짝'
https://news.naver.c[...]
2007-01-03
[10]
뉴스
전남도청 동부출장소 새둥지… 내달 개청식
https://news.naver.c[...]
2010-06-15
[11]
뉴스
전남도 동부지역본부 출범
http://www.kwangju.c[...]
2014-08-04
[12]
문서
지방서기관으로 보한다.
[13]
문서
지방일반임기제공무원으로 보할 수 있다.
[14]
문서
지방서기관 또는 지방기술서기관으로 보한다.
[15]
문서
지방부이사관 또는 지방서기관으로 보한다.
[16]
문서
고위공무원단 나등급에 속하는 일반직공무원으로 보한다.
[17]
문서
지방이사관 또는 지방부이사관으로 보한다.
[18]
문서
지방부이사관으로 보한다.
[19]
문서
지방기술서기관으로 보한다.
[20]
문서
지방기술서기관 또는 지방수의연구관으로 보한다.
[21]
문서
소방감으로 보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