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전라북도 (일제강점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라북도 (일제강점기)는 일제강점기 시기 전라북도의 인구, 행정 구역, 사법, 경찰, 세무, 전매, 기상, 교통, 광업, 종교, 산업, 미디어 등 다양한 분야에 걸친 정보를 담고 있다. 1925년부터 1944년까지 인구 통계가 제시되었으며, 1945년 당시의 행정 구역과 역대 도지사 명단이 수록되어 있다. 또한, 사법, 경찰, 세무, 전매, 기상, 교통, 광업, 종교, 산업, 미디어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정보와 주요 시설, 기업, 언론 매체 등에 대한 정보도 포함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북특별자치도의 역사 - 완산주
    완산주는 신라 신문왕 때 설치된 구주 중 하나로, 후백제 건국 시 중심지가 되었으며, 현재의 전북특별자치도와 영역이 대체로 일치한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역사 - 보덕국
    보덕국은 668년 고구려 멸망 후 신라가 고구려 유민을 통합하고 당나라를 견제하기 위해 익산에 건국한 국가이며, 고구려의 국호를 사용하고 자치적인 모습을 보였으나 안승의 신라 귀속과 반란 진압으로 멸망했다.
  • 일제강점기의 도 - 경상남도 (일제강점기)
    일제강점기 경상남도는 인구가 증가하고 농림수산업, 광업 등 다양한 산업이 발달했으며, 철도와 항만이 주요 교통 시설로 이용되었고, 부산, 마산 등지에 신사가 있었으며, 조선방송협회 방송국이 운영되었다.
  • 일제강점기의 도 - 경상북도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일제강점기)는 1925년부터 1944년까지의 인구, 행정 구역, 도지사, 사법, 경찰, 세무, 교육, 교통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며, 1945년 당시 대구부와 20개 군, 울릉도를 관할 구역으로 두었다.
전라북도 (일제강점기)
지도 정보
기본 정보
행정 구역 명칭전라북도
로마자 표기Jeollabuk-do
로마자 표기 (매큔-라이샤워 표기법)Chŏllabukto
영어 표기Jeollabuk-do
한글 표기전라북도
한자 표기全羅北道
일본어 표기ぜんらほくどう
일본어 표기 (가나)チョルラブクト
역사
설치1896년 8월 4일 (13도제)
폐지1945년 8월 15일
일제강점기 정보
관할전라북도
제주도
행정 구역
도청 소재지전주부
전주부
군산부
익산부
고창군
김제군
남원군
무주군
부안군
순창군
임실군
장수군
정읍군
진안군
완주군
옥구군
통계
기타
국가대한민국

2. 인구

연도인구인구 그래프비고
1925년1,369,010명
1930년1,503,695명
1935년1,607,236명
1940년1,598,614명
1944년1,674,692명



1944년에 실시된 인구 조사에서는 다음과 같은 인구가 분포했다.


  • 전체 인구: 1,674,692명
  • * 일본인: 33,068명
  • * 조선인: 1,640,643명
  • * 그 외의 민족: 981명

쇼와 11년 현주 호구 조사에 따르면, 총인구는 1,540,686명이었다. 그 내역은 다음과 같다.

  • 내지인: 35,844명
  • 조선인: 1,502,380명
  • 기타: 2,462명

3. 행정 구역

1945년 당시를 기준으로 한다.




1914년 4월 1일 전라북도의 전주군(全州郡) 일원과 고산군의 우동면(優東面), 삼기면(三奇面)을 통합하여 전주부를 설치하였다. 같은 날 전주군 잔여 지역은 완주군으로 개칭하였다. 1935년 10월 1일 전주면이 전주부로 승격되면서 전주읍이 분리되고, 전주읍을 제외한 전주군의 나머지 지역은 완주군으로 개칭되었다. 1940년 완주군 우전면(右田面)과 조촌면(助村面)의 일부가 전주부에 편입되었다.

군산부1899년 5월 1일 대한제국 칙령에 의거 옥구군의 일부 지역을 개항하면서 설치되었다. 1910년 10월 1일 한일합방과 동시에 조선총독부 지방관제에 의하여 군산부로 개칭되었다. 1914년 4월 1일 군산부의 도시 지역인 부내면(府內面)을 군산부로 지정하고, 부내면을 제외한 옥구군의 나머지 지역은 옥구군으로 개칭하였다.



완주군, 진안군, 금산군, 무주군, 장수군, 임실군, 남원군(남원시), 순창군, 정읍군(정읍시), 고창군, 부안군, 김제군(김제시), 옥구군(군산시), 익산군(익산시)이 있었다. 각 군에는 읍(邑)과 면(面)을 두었다.

3. 1. 부

1914년 4월 1일 전라북도의 전주군(全州郡) 일원과 고산군의 우동면(優東面), 삼기면(三奇面)을 통합하여 전주부를 설치하였다. 같은 날 전주군 잔여 지역은 완주군으로 개칭하였다. 1935년 10월 1일 전주면이 전주부로 승격되면서 전주읍이 분리되고, 전주읍을 제외한 전주군의 나머지 지역은 완주군으로 개칭되었다. 1940년 완주군 우전면(右田面)과 조촌면(助村面)의 일부가 전주부에 편입되었다.

군산부1899년 5월 1일 대한제국 칙령에 의거 옥구군의 일부 지역을 개항하면서 설치되었다. 1910년 10월 1일 한일합방과 동시에 조선총독부 지방관제에 의하여 군산부로 개칭되었다. 1914년 4월 1일 군산부의 도시 지역인 부내면(府內面)을 군산부로 지정하고, 부내면을 제외한 옥구군의 나머지 지역은 옥구군으로 개칭하였다.

3. 2. 군

완주군, 진안군, 금산군, 무주군, 장수군, 임실군, 남원군(남원시), 순창군, 정읍군(정읍시), 고창군, 부안군, 김제군(김제시), 옥구군(군산시), 익산군(익산시)이 있었다. 각 군에는 읍(邑)과 면(面)을 두었다.

4. 역대 도지사

호적이름한자 표기재임 기간비고
조선인이두황李斗璜1910년 10월 1일 - 1916년 3월 9일전라북도 장관, 사망[1]
조선인이진호李軫鎬1916년 3월 28일 - 1921년 8월 5일장관, 1919년 8월부터 전라북도지사[1]
내지인이스미 주조해각중장/亥角仲蔵일본어1921년 8월 5일 - 1925년 8월 11일[1]
내지인아오키 가이조청목계삼/青木戒三일본어1925년 8월 11일 - 1926년 3월 8일[1]
내지인와타나베 시노부도변인/渡辺忍일본어1926년 3월 8일 - 1929년 1월 21일[1]
내지인하야시 시게키임무수/林茂樹일본어1929년 1월 21일 - 1929년 12월 11일[1]
조선인김서규金瑞圭1929년 12월 11일 - 1931년 9월 23일[1]
조선인홍승균洪承均1931년 9월 23일 - 1932년 9월 27일[1]
조선인고원훈高元勳1932년 9월 27일 - 1936년 5월 21일[1]
조선인김시권金時權1936년 5월 21일 - 1937년 4월 1일[1]
조선인손영목孫永穆1937년 4월 1일 - 1940년 9월 2일[1]
조선인이가원보/李家源甫일본어1940년 9월 2일 - 1942년 1월 24일이원보(李源甫)에서 개명[1]
조선인김촌태남/金村泰男일본어1942년 1월 24일 - 1943년 8월 18일김병태(金秉泰)에서 개명[1]
조선인김대우金大羽1943년 8월 18일 - 1945년 6월 16일[1]
조선인초본연기/草本然基일본어1945년 6월 16일 - 1945년 8월 15일정연기(鄭然基)에서 개명, 광복[1]



1919년 8월 이전에는 전라북도 도장관이었다.

5. 사법

1941년 당시 전라북도에는 전주지방법원과 전주지방법원 군산지청, 전주지방법원 남원지청, 전주지방법원 이읍지청이 있었다.

=== 형무소 ===

전주형무소는 1941년(쇼와 16년) 당시 있었다.

5. 1. 법원

1941년 당시 전라북도에는 전주지방법원과 전주지방법원 군산지청, 남원지청, 이읍지청이 있었다.

5. 2. 형무소

전주형무소는 1941년(쇼와 16년) 당시 있었다.

6. 경찰

1927년(쇼와 2년) 당시 전라북도 경찰부는 다음과 같았다.



==== 헌병 경찰 제도 ====

1915년 당시 전주헌병대 예하에 이리, 정읍, 남원, 금산 헌병 분대가 있었다.

6. 1. 헌병 경찰 제도

1915년 당시 전주헌병대 예하에 이리, 정읍, 남원, 금산 헌병 분대가 있었다.

7. 세무

1941년(쇼와 16년) 당시 전라북도에는 군산세무서와 전주세무서가 있었다.

8. 전매

전주지방전매국은 1941년(쇼와 16년) 당시 전라북도를 관할하던 전매국이었다.

9. 기상

전라북도 지역의 기상 관측은 1942년 당시 전주기상관측소에서 담당하였다.

10. 교통

1945년(쇼와 20년) 당시 호남선, 전라선, 군산화물선 노선이 있었다.

전라북도를 지나는 도로는 1927년 당시 경성목포선, 전주군산선, 군산-수산선, 전주-진주선, 영동-전주선, 전주-묘포선, 전주-여수선이 있었다.

군산항과 줄포항이 있었다.

10. 1. 철도

1945년(쇼와 20년) 당시 호남선, 전라선, 군산화물선 노선이 있었다.

10. 2. 도로

전라북도를 지나는 도로는 1927년 당시 경성목포선, 전주군산선, 군산-수산선, 전주-진주선, 영동-전주선, 전주-묘포선, 전주-여수선이 있었다.

10. 3. 항만

군산항과 줄포항이 있었다.

11. 광업

장수군에서는 장수광산이 있었으며, 동우흥업에서 개발하였다.

12. 종교

전라북도에는 전주신사, 군산신사를 비롯하여 리리신사, 김제신사, 공주신사, 남원신사, 수호신사, 대장신사, 태인신사, 조촌신사, 신태인신사 등이 있었다.

12. 1. 신사

전라북도에는 전주신사, 군산신사를 비롯하여 리리신사, 김제신사, 공주신사, 남원신사, 수호신사, 대장신사, 태인신사, 조촌신사, 신태인신사 등이 있었다.

13. 산업

본사를 홋카이도에 두고 자본금 50만 엔 이상인 기업(1940년 당시)이 있었다.


  • 이시카와현 농업
  • 나카시바 산업
  • 오하시 농장
  • 시마야 농장
  • 시마야 산업
  • 하시모토 농장
  • 모리기쿠 농장
  • 쿠마모토 농장
  • 동우흥업

군산조선철공

남한 수력발전

  • 전북트럭(全北トラック)
  • 군산기선(群山汽船)
  • 전라산업
  • 조선지업
  • 조선산업흥행
  • 전북무진

13. 1. 기업

본사를 홋카이도에 두고 자본금 50만 엔 이상인 기업(1940년 당시)이 있었다.

14. 미디어

조선방송협회 경성방송국(호출 부호: JBFK)이 1945년 8월 당시 존재하였다.

1941년(쇼와 16년) 당시 전라북도에서 발행된 일본어 신문은 다음과 같다.


  • 전북일보
  • 군산일보
  • 동광일보

14. 1. 라디오 방송국

조선방송협회 경성방송국(호출 부호: JBFK)이 1945년 8월 당시 존재하였다.

14. 2. 일본어 신문

1941년(쇼와 16년) 당시 전라북도에서 발행된 일본어 신문은 다음과 같다.

  • 전북일보
  • 군산일보
  • 동광일보

15. 출신 유명인

이 시대에 태어나 자랐거나 활동한 인물들이다.


  • 마스토미 안자에몬(교육자)
  • 조남철 (기사)
  • 최영의 (공수도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