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상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상요는 강원도 정선 출신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이다. 1906년 의병을 조직하여 일본군과 교전했으며, 3·1 운동 당시 체포되어 투옥되었으나 탈옥 후 은거했다. 광복 후 정선향교 유림회 회장, 정선군 북면장 등을 역임했고, 1954년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당선되어 국회의원이 되었다. 당시 72세로 최고령 당선자였으며, 저서로 『어암건의록』과 『어암집』이 있다. 퇴임 이후의 행적은 알려진 바 없으며, 1971년에 사망했다는 설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강원특별자치도의 국회의원 - 장기영 (1903년)
장기영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으로, 제헌 국회의원, 외무부 차관보, 체신부 장관, 서울특별시장을 역임했으며, 이승만 측근으로 활동하다 결별 후 독립운동에 참여했고, 건국포장이 추서되었다. - 강원특별자치도의 국회의원 - 조순
대한민국의 경제학자이자 정치인인 조순은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부총리 겸 경제기획원 장관, 한국은행 총재, 민선 1기 서울특별시장을 역임하고 한나라당 국회의원을 지냈다. - 강원특별자치도의 국회의원 - 장기영 (1903년)
장기영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으로, 제헌 국회의원, 외무부 차관보, 체신부 장관, 서울특별시장을 역임했으며, 이승만 측근으로 활동하다 결별 후 독립운동에 참여했고, 건국포장이 추서되었다. - 강원특별자치도의 국회의원 - 조순
대한민국의 경제학자이자 정치인인 조순은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부총리 겸 경제기획원 장관, 한국은행 총재, 민선 1기 서울특별시장을 역임하고 한나라당 국회의원을 지냈다. - 대한민국의 제3대 국회의원 - 김영삼
김영삼은 1929년 거제 출생으로, 제14대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군사 정권에 저항하고 민주화 운동을 이끌었으며, 금융실명제 실시 등의 개혁 정책을 추진했으나 IMF 외환 위기를 겪고 2015년 서거했다. - 대한민국의 제3대 국회의원 - 유옥우
유옥우는 자유당에서 정계 입문 후 야당에서 활동하며 여러 차례 국회의원을 지냈고, 한일협정 반대 운동 중 옥고를 치렀으며 정치 테러를 당하기도 했으나, 국가보위입법회의 참여 경력으로 비판받기도 한 정치인이다.
전상요 | |
---|---|
기본 정보 | |
![]() | |
출생 | 1915년 6월 15일 |
사망 | 1987년 2월 26일 (71세) |
직업 | 군인, 정치인, 기업인 |
배우자 | 김정자 |
자녀 | 4남 2녀 |
종교 | 천주교 |
경력 | |
소속 정당 | 민주공화당 |
주요 경력 | 육군사관학교 졸업 제5대 국회의원 제6대 국회의원 제7대 국회의원 대한석탄공사 사장 한국전력공사 사장 |
학력 | |
학교 | 평양고등보통학교 졸업 육군사관학교 졸업 |
학위 | 국방대학원 수료 |
2. 생애
강원도정선군(현 대한민국 강원도 관할) 출신이다. 한문을 배운 후, 1906년에 이현범, 이종규 등과 의병을 조직하여 영서 지방의 이강년 의병 부대와 합류하여 정선군 지역에서 일본군과 싸웠으나 패배했다.[1] 1919년 3·1 운동 당시 경상북도 안동에서 일본 관헌에게 체포되어 대구 형무소에 투옥되었으나, 복역 중 탈옥하여 정선군으로 돌아와 광복 때까지 동군 북면 북평리 산중에 은거했다[1]。
이후 정선향교 유림회 회장, 정선군 북면장, 개헌 투쟁 강원도 대표, 정선군 농민회 회장, 자유당 정선군 당 부위원장 등을 역임했다[2]。 1954년 제3대 총선거에 정선군에서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당선, 국회의원이 되었다. 또한 해당 선거에서 당선된 국회의원 중 당시 72세로 최고령이었으며, 개원식에서는 사회를 맡았다[3][4]。 저서로는 1956년의 『어암건의록』 외에, 발행년도 미상의 『어암집』이 있다[5]。 퇴임 이후의 행적에 대한 정보는 없으며, 몰년은 미상이다. 일부 문헌에서는 1971년에 사망했다고 전해진다[6]。
2. 1. 독립운동과 투옥
전상요는 강원도 정선군(현 대한민국 강원도 관할) 출신으로, 한문을 배웠다. 1906년에 이현범, 이종규 등과 의병을 조직하여 영서 지방의 이강년 의병 부대와 합류, 정선군 지역에서 일본군과 싸웠으나 패배했다.[1] 1919년 3·1 운동 당시 경상북도 안동에서 일본 관헌에게 체포되어 대구 형무소에 투옥되었으나, 복역 중 탈옥하여 정선군으로 돌아와 광복 때까지 동군 북면 북평리 산중에 은거했다.[1]2. 2. 정치 활동
전상요는 강원도 정선군 출신으로, 한문을 배웠다.[1] 1906년 이현범, 이종규 등과 의병을 조직하여 영서 지방의 이강년 의병 부대와 합류, 정선군 지역에서 일본군과 싸웠으나 패배했다.[1] 1919년 3·1 운동 당시 경상북도 안동에서 일본 관헌에게 체포되어 대구 형무소에 투옥되었으나, 복역 중 탈옥하여 광복 때까지 정선군 북면 북평리 산중에 은거했다.[1]광복 후 정선향교 유림회 회장, 정선군 북면장, 개헌 투쟁 강원도 대표, 정선군 농민회 회장, 자유당 정선군 당 부위원장 등을 역임했다.[2] 1954년 제3대 총선거에 정선군에서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당선, 국회의원이 되었다.[2] 당시 72세로 최고령 당선자였으며, 개원식에서 사회를 맡았다.[3][4] 저서로는 1956년의 『어암건의록』 외에, 발행년도 미상의 『어암집』이 있다.[5] 퇴임 이후의 행적에 대한 정보는 없으며, 몰년은 미상이다. 일부 문헌에서는 1971년에 사망했다고 전해진다.[6]
2. 3. 사망
3. 저서
4. 역대 선거 결과
5. 외부 링크
참조
[1]
웹사이트
인물 - 전상요(全相堯) {{!}} 강원도청 > 강원도 소개 > 강원도 역사와 문화
https://www.provin.g[...]
2023-01-25
[2]
웹사이트
대한민국헌정회
https://rokps.or.kr/[...]
2023-01-25
[3]
웹사이트
자료일람 {{!}} 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s://db.history.g[...]
韓国史データベース
2023-10-03
[4]
웹사이트
半世紀(반세기)를隔(격)한두選良(선량)
https://newslibrary.[...]
1954-05-30
[5]
웹사이트
도서관 - 상세보기
https://lib.mois.go.[...]
行政安全部
2023-01-25
[6]
웹사이트
정계(政界) 페이지입니다.
http://www.jsjc.kr/p[...]
2023-10-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