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정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길은 전한 시대의 군인으로, 서역 지역에서 활약하며 서역도호에 임명되었다. 그는 병졸로 시작하여 서역 원정에 여러 차례 참여했고, 지절 2년(기원전 68년) 시낭으로 임명되어 차사국을 공격했다. 이후 흉노의 일축왕 선현전의 항복을 받아 '호차사사이서북도' 벼슬을 겸하며 서역 남북의 사령관인 서역도호가 되었고, 안원후에 봉해졌다. 정길은 서역도호부를 중심으로 서역 제국을 다스리다 초원 원년(기원전 48년) 사망했으며, 아들 정광에게 안원후 직위가 이어졌으나 대가 끊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48년 사망 - 그나이우스 폼페이우스 마그누스
    그나이우스 폼페이우스 마그누스는 로마 공화정 말기의 장군이자 정치가로, 뛰어난 군사적 재능과 인기를 바탕으로 '마그누스' 칭호를 얻었으며, 술라 내전 참여, 마리우스파 잔당 소탕, 세르토리우스 전쟁 승리, 해적 토벌, 미트라다테스 전쟁 승리 등으로 명성을 쌓았으나, 카이사르와의 갈등으로 내전에서 패배 후 암살당했다.
  • 기원전 48년 사망 - 마르쿠스 칼푸르니우스 비불루스
    마르쿠스 칼푸르니우스 비불루스는 로마 공화정 말기의 정치인으로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정적이었으며, 집정관 시절 카이사르와 갈등을 겪고 시리아 총독을 지낸 후 카이사르 내전에서 폼페이우스 편에 서서 함대를 지휘하다 병사했다.
  • 한나라의 장군 - 반초
    반초는 후한 시대의 군인이자 외교관으로, 뛰어난 군사적 능력과 외교적 수완을 발휘하여 서역 경영에 크게 기여하고 실크로드를 확보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인물이다.
  • 한나라의 장군 - 장건
    장건은 한나라의 외교관이자 탐험가로, 한무제의 명을 받아 흉노 견제를 위한 대월지 동맹을 추진하며 서역에 파견되어 실크로드 개척의 계기를 마련하고 중국과 서역의 교류를 촉진하는 데 기여했다.
  • 전한의 공신후 - 신도가
    신도가는 전한 시대의 무관 출신으로, 항우와의 싸움과 영포의 난에 참여하고 혜제 때 회양태수를 거쳐 승상에 올랐으며, 청렴한 성품으로 황제의 총애를 받던 등통을 처벌하려 했으나 실패하고 조조와의 갈등 끝에 죽음을 맞이하여 절후의 시호를 받았다.
  • 전한의 공신후 - 구독
    구기(緱起)는 전한 시대에 기후(騎虎)에 봉해지고 태상(太常)을 역임한 인물로, 기원전 32년 사망 후 그의 아들 구숭(求崇)이 기후 자리를 계승했다.
정길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정길의 초상화
鄭吉의 초상화
정 (鄭)
이름길 (吉)
생몰년도기원전 1세기
시대한나라
활동 시기한 소제 ~ 한 선제 시대
군사 경력
소속한나라
계급기도위 (騎都尉)
주요 전투거사국 정벌
관직
관직기도위 (騎都尉)
서역도호 (西域都護)
기타 정보
관련 인물조충국
위율
기타서역도호부 설치 및 서역 경영

2. 생애

정길은 병졸로 종군하여 몇 차례 서역에 출정하였으며, 그곳에서 낭이 되었다. 힘과 의지가 강하고, 외국 일에 밝았다.[1]

한나라 선제 지절 2년(기원전 68년)에 차사국을 공격하여 공을 세웠다. 신작 연간에 흉노가 혼란해지자, 흉노의 일축왕(선우의 사촌형)이 한나라에 항복할 뜻을 정길에게 알려왔고, 신작 2년(기원전 60년)에 정길은 이들을 맞이하여 장안으로 연행하였다.[1]

이후 정길은 서역 남북 양도의 감독인 서역도호가 되었고, 신작 3년(기원전 59년)에는 안원후에 봉해졌다. 정길은 서역도호부를 룬타이 오루성(烏壘城)에 두고 서역 제국을 관리했다.[1]

초원 원년(기원전 48년)에 사망하여 후(繆侯)의 시호를 받았다. 아들 정광(鄭光)이 작위를 이었으나 아들이 없어 대가 끊겼다. 왕망이 정길의 증손 정영을 안원후로 봉했으나, 왕망이 멸망하면서 다시 단절되었다.

2. 1. 초기 활동

지절 2년(기원전 68년), 한나라는 정길을 시낭으로 임명하여 거려에 파견해 죄인에게 형을 면제해 주고 둔전으로 경작시키고 자금을 모아 차사국을 공격하려고 했다. 수확이 끝나자 정길은 주변의 나라들로부터 군사를 징병해, 자신이 인솔하는 둔전병 1,500명과 함께 차사국을 공격했다. 차사는 흉노에게 원군을 요청했지만, 흉노의 원군은 정길이 요격에 나서자 전진하지 못했고, 차사왕은 오손으로 도주했다. 한나라는 정길을 위사마(衞司馬)로 삼고, 또 호선선이서교위(護鄯善以西校尉)에 임명하여 선선 이서의 남방을 지키게 하였다.[1]

신작 2년(기원전 60년) 흉노가 혼란에 빠지면서, 흉노의 일축왕(선우의 사촌형) 선현전이 한나라에 항복할 뜻을 정길에게 알렸다. 정길은 거려, 구자의 군사를 징병해 일축왕과 그가 인솔해 온 12,000명을 맞이했고, 도중에 배반한 사람은 참형에 처하면서 장안까지 연행했다.

2. 2. 서역도호 설치

신작 2년(기원전 60년) 흉노가 혼란에 빠지면서, 흉노의 일축왕(선우의 사촌형) 선현전한나라에 항복할 것을 정길에게 타진했다. 정길은 거려, 구자의 군사를 징병해 일축왕과 그가 인솔해 온 12,000명을 맞이했고, 도중에 배반한 사람은 참형에 처하면서 장안까지 연행했다.[1]

일축왕의 항복으로 정길은 '호차사사이서북도'(護車師以西北道)라는 벼슬까지 겸하여 서역 남북 두 곳의 사령관이 되어 '서역도호'(西域都護)(「도」는 크다, 모두 라는 의미)가 되었다. 신작 3년(기원전 59년), 정길은 이전의 공적과 함께 안원후(安遠侯)에 봉해졌고, 항복한 일축왕은 이때 귀덕후(歸德侯)에 봉해졌다.[1]

정길은 도호의 사령부(서역도호부)를 서역의 중심으로 두고, 룬타이 오루성(烏壘城)에 만든 진을 근거지로 서역 제국의 진무에 종사했다.[1]

2. 3. 사망

초원 원년(기원전 48년)에 사망했고, 묘후라는 시호를 받았다. 아들 정광이 안원후를 계승했지만, 그에게 아들이 없어 그의 대에서 단절되었다. 거섭 원년(6년), 왕망이 단절된 공신을 부흥시킬 때, 정길의 증손에 해당하는 정영이 안원후가 되었지만, 왕망이 멸망하자 단절되었다.

3. 가계

정길

4. 참고 문헌


  • 한서(漢書) 권17 경무소선원성공신후표(景武昭宣元成功臣侯表)
  • 한서 권70 정길전(鄭吉傳)
  • 한서 권96 서역전(西域傳)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