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래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래혁은 일제강점기 만주에서 군 복무를 시작하여 대한민국 육군 장성으로 예편한 인물이다. 그는 1926년 전라남도 담양에서 태어나 광주중학교, 일본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했다. 한국 전쟁에 참전하고 육군 참모총장 비서실장, 제3사단장, 제2군 사령관 등을 역임했다. 5.16 군사정변에 참여하여 상공부 장관, 국방부 장관을 지냈으며, 제9, 10대 국회의원과 제11대 국회의장을 역임했다. 1984년 부정축재 혐의로 재산을 헌납하고, 2002년 욱일대수장을 수훈받았다. 2022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상공부 장관 - 주요한
주요한은 일제강점기 시인이자 언론인이자 정치인이며, 친일 행위로 인해 논란이 있으며, 국회의원과 상공부 장관을 역임했다. - 대한민국의 상공부 장관 - 윤보선
윤보선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독립운동가로, 대한민국 임시정부 참여, 한국민주당 창당, 서울특별시장 및 상공부 장관 역임, 제2공화국 대통령 역임, 그리고 민주화 운동 참여 등의 활동을 했다. - 곡성군 출신 - 오연호
오연호는 대한민국의 언론인이자 작가로, 《오마이뉴스》를 창간하여 시민 참여 저널리즘을 구현했으며 덴마크의 행복 사회 모델을 연구하여 행복한 삶과 사회에 대한 담론을 제시하고 꿈틀리인생학교 이사장 및 사단법인 꿈틀리 대표로 활동하고 있다. - 곡성군 출신 - 이정현 (정치인)
이정현은 민주정의당 당직자로 정계에 입문하여 박근혜 정부에서 대통령비서실 정무수석비서관과 홍보수석비서관을 역임하고, 호남 지역구 당선, 새누리당 대표를 지냈으며, 현재 윤석열 정부에서 대통령 직속 지방시대위원회 부위원장을 맡고 있다. - 5·16 군사정변 관련자 - 김종필
5·16 군사정변 주역이자 초대 중앙정보부장, 두 차례 국무총리를 지낸 김종필은 한일 국교 정상화 기여와 '김-오히라 메모' 논란, 9선 국회의원, DJP 연합을 통한 총리 재임 등 한국 현대사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권위주의 시대의 어두운 면과 지역주의 정치의 상징으로도 평가받는 정치인이다. - 5·16 군사정변 관련자 - 윤태일 (1918년)
윤태일은 만주군 장교 출신으로 한국 전쟁에 참전한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인, 기업인이며, 박정희 정권에서 서울특별시장과 대한주택공사 총재, 제9대 국회의원을 지냈으나 만주군 복무 경력으로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되었다.
정래혁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정래혁 |
로마자 표기 | Jeong Rae-hyuk |
한자 표기 | 丁來赫 |
출생일 | 1926년 1월 17일 |
출생지 | 일제 강점기 조선 전라남도 곡성군 |
사망일 | 2022년 5월 17일 |
사망지 | 서울특별시 |
국적 | 대한민국 |
본관 | 나주(羅州) |
호 | 석연(石淵) |
직업 | 군인, 정치인 |
교육 | 한국국방대학교 |
정당 | 민주공화당, 민주정의당 |
군 경력 | |
최종 계급 | 소위(일본군), 중장(대한민국 국군) |
복무 기간 | 일본군(1945), 대한민국 육군(1948~1968) |
지휘 경력 | 제3사단 제27사단 제6군단 육군사관학교 제2군 |
참전 | 한국 전쟁 |
정치 경력 | |
국회의원 | 제9대 국회의원 (1973년 3월 12일 ~ 1979년 3월 11일) 제10대 국회의원 (1979년 3월 12일 ~ 1980년 10월 26일) 제11대 국회의원 (1981년 4월 11일 ~ 1985년 4월 10일) |
지역구 | 성북구(1973), 담양군·곡성군·화순군(1981) |
국회의장 | 제11대 국회 전반기 국회의장 |
주요 직책 | |
국방부 장관 | 제18대 국방부 장관 (1970년 3월 10일 ~ 1971년 8월 25일) |
상공부 장관 | 제17대 상공부 장관 (1961년 5월 20일 ~ 1962년 7월 10일) |
훈장 | |
주요 훈장 | 충무무공훈장 화랑무공훈장 에티오피아훈장 페루 대훈장 |
가족 관계 | |
배우자 | 주숙 |
자녀 | 4남 1녀 |
기타 |
2. 생애
정래혁은 1926년 전라남도 담양군에서 태어나 2022년 5월 17일 노환으로 별세하기까지 군인, 정치인으로서 굴곡진 삶을 살았다.
그는 일제강점기에 일본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해방 후 군과 경찰에서 경력을 쌓았다.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육군본부 작전과장, 제3사단 참모장 등을 역임하며 군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이후 미국 유학을 다녀온 후, 제3보병사단장, 보병학교장, 제27보병사단장 등 군 요직을 두루 거쳤다.
1961년 5·16 군사정변에 가담하여 국가재건최고회의 최고위원, 상공부 장관 등을 역임하며 군사정권의 핵심 인물로 부상했다. 이후에도 제1군 부사령관, 제6군단장, 육군사관학교 교장, 제2군 사령관 등을 역임하며 군 내 영향력을 유지했다. 1968년 예편 후에는 한국전력공사 사장을 지냈다.
1970년 국방부 장관에 임명되었으나, 요도호 납치 사건 협상과 실미도 사건 처리 과정에서 논란을 겪고 1971년 장관직에서 물러났다.
1972년 민주공화당 소속으로 국회의원에 당선되어 정계에 입문했다. 이후 민주정의당으로 당적을 옮겨 국회의장까지 역임하며 정치 경력의 정점을 찍었다.
그러나 1984년 부정축재 사실이 드러나 재산을 헌납하고 정치적 몰락을 겪었다. 이후 재산 반환 소송을 제기했으나 패소하였다.
2002년에는 안보 및 한일 양국의 경제 교류와 우호 친선에 기여한 공로로 일본 정부로부터 훈일등 욱일대수장을 받았다.[13]
2. 1. 초기 생애 및 군 경력
정래혁은 1926년 1월 전라남도 담양군에서 태어났다. 광주중학교를 졸업한 후, 일본 육군사관학교 58기생으로 입학하여 예과를 졸업하고 만주 부대에서 수습 장교로 근무하다 1945년 6월 졸업하였다.[6] 조선군에 배치되어 광주를 거쳐 전주에 신규 편성된 연대 작전과에서 근무 중 종전을 맞이하였다.[6]귀국 후 경찰에 들어갔으나, 1946년 2월 3일 군사영어학교를 졸업하고 소위로 임관(군번 10040번)하여 제3연대 창설에 참여하였다. 그러나 미군 고문과 충돌하여 사직하고 다시 경찰에 들어가 전라남도 경찰청 경비과장으로 근무하였다.[7]
이후 군에 복귀하여 1948년 8월 경비사관학교 특별 7기생으로 졸업하고 소위로 임관(군번 11547번)하였다. 한국육군사관학교 교관을 거쳐 1949년 육군참모학교 교관이 되었다.
1950년 6월 10일 육군본부 작전과장이 되었고, 6월 30일 임시 편성군 사령부 참모가 되었다. 7월 하순 임시 편성군 사령관 채병덕 소장이 전사하자 육군본부 작전과장으로 복귀하였다. 9월 1일 제3사단 참모장이 되었다.
1951년 1월 제3군단 작전주임참모가 되었고, 3월 육군본부 작전과장이 되었다. 7월에는 육군 참모총장 비서실장이 되었다.
1952년 6월 미국 육군 지휘참모대학교에 유학하였다.
1953년 9월 보병학교 부교장이 되었다.
1954년 4월 제3보병사단 부사단장이 되고, 6월 사단장에 취임하였다. 8월 보병학교장이 되었다.
1956년 4월 제27보병사단 사단장이 되었고, 11월 육군본부 작전국장이 되었다.
1958년 9월 군수참모부 차장이 되었다.
1959년 5월 대한민국 국방부 총무국장이 되었다.
1961년 국방대학원을 졸업하고, 5월 16일 군사혁명위원, 국가재건최고회의 최고위원이 되었다. 5월 20일 상공부 장관이 되었다.
1962년 7월 제1군 부사령관이 되었다.
1963년 제6군단장이 되었다.
1964년 육군사관학교 교장이 되었다.
1966년 제2군 사령관이 되었다.
1968년 예편하고 한국전력공사 사장이 되었다.
2. 2. 5.16 군사정변과 군사정권
1961년 국방대학원을 졸업하고, 5.16 군사정변에 참여하여 군사혁명위원과 국가재건최고회의 최고위원이 되었다.[6] 5월 20일 상공부 장관에 취임했다.[6]1962년 제1군 부사령관, 1963년 제6군단장을 거쳐 1964년 육군사관학교 교장을 역임했다. 1966년 제2군 사령관을 지냈다.
1968년 예편 후 한국전력공사 사장을 지냈다. 1970년 국방부 장관이 되었고, 같은 해 요도호 납치 사건 당시 일본 적군파와의 협상을 맡았다. 1971년 8월 23일 발생한 실미도 사건의 책임을 지고 국방부 장관직에서 물러났다.[8]
2. 3. 국방부 장관과 실미도 사건
1970년 3월 국방부 장관이 되었고, 같은 해 요도호 납치 사건 당시 일본 적군파와 협상을 맡았다.[8] 1971년 8월 25일 실미도 사건의 책임을 지고 국방부 장관직에서 물러났다.[8]2. 4. 정치 활동
1970년 3월 국방부 장관이 되었고, 같은 해 요도호 납치 사건 당시 일본 적군파와 협상을 맡았다.[8] 1971년 8월 25일 실미도 사건의 책임을 지고 국방부 장관직에서 물러났다.[8]1972년 제9대 국회의원(서울 성북구, 민주공화당)이 되었다. 1978년 제10대 국회의원(서울 성북구, 민주공화당)이 되었다.
1980년 국가보위입법회의 위원[9] 겸 부의장이 되었다. 1981년 제11대 국회의원(전라남도 담양군·곡성군·화순군, 민주정의당)이 되어 국회의장을 역임하였다.
1983년 10월 15일 민주정의당 대표위원이 되었다.[10]
1984년 세무조사를 통해 부정축재가 발각되어, 부정축재로 모은 돈을 국가에 헌납하였다.[11] 발각 전에 관련 내용을 각종 기관에 고발하는 문서가 접수되었으나, 조사 결과 당시 같은 선거구에서 경쟁 관계였던 문형태가 작성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후 문형태는 공식 사과문을 발표하고 정계 은퇴를 선언하였다.[12] 제5공화국 체제 종결 후인 1988년 3월 “헌납한 재산은 정치 권력에 의해 강제로 빼앗긴 것”이라며 소송을 제기하였으나 대법원에서 패소하였다. 이후 그의 아들 정영하는 “당시 제가 건축 사업을 했는데, 그것을 아버지가 한 것처럼 몰아세워 빼앗긴 것이다. 한마디로 정치적인 사건이었다.”고 주장하였다.[7]
2. 5. 부정축재와 몰락
1984년 세무조사를 통해 부정축재 사실이 발각되어, 부정하게 모은 돈을 국가에 헌납하였다.[11] 발각 전, 각종 기관에 관련 내용을 고발하는 문서가 접수되었으나, 조사 결과 당시 같은 선거구에서 경쟁 관계였던 문형태가 작성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후 문형태는 공식 사과문을 발표하고 정계에서 은퇴하였다.[12] 제5공화국 체제 종결 후인 1988년 3월, 정래혁은 “헌납한 재산은 정치 권력에 의해 강제로 빼앗긴 것”이라며 소송을 제기하였으나 대법원에서 패소하였다. 이후 그의 아들 정영하는 “당시 제가 건축 사업을 했는데, 그것을 아버지가 한 것처럼 몰아세워 빼앗긴 것이다. 한마디로 정치적인 사건이었다.”고 주장하였다.[7]2. 6. 사망
鄭來赫|정래혁일본어은 2022년 5월 17일 오전 5시 14분에 노환으로 별세하였다.[7]3. 학력
4. 경력
연도 | 직책 및 내용 |
---|---|
1946년 | 군사영어학교 졸업, 소위 임관 (군번 10040번), 제3연대 창설 참여[7] |
1948년 | 경비사관학교 특별 7기생 졸업, 소위 임관 (군번 11547번)[7] |
1949년 | 육군참모학교 교관[7] |
1950년 | 육군본부 작전과장 (6월 10일), 임시 편성군 사령부 참모 (6월 30일), 육군본부 작전과장 복귀 (7월 하순), 제3사단 참모장 (9월 1일)[7] |
1951년 | 제3군단 작전주임참모 (1월), 육군본부 작전과장 (3월), 대한민국 육군 참모총장 비서실장 (7월)[7] |
1952년 | 미국 육군지휘참모대학교 유학[7] |
1953년 | 보병학교 부교장[7] |
1954년 | 제3보병사단 부사단장 (4월), 사단장 (6월), 보병학교장 (8월)[7] |
1956년 | 제27보병사단 사단장 (4월), 육군본부 작전국장 (11월)[7] |
1958년 | 군수참모부 차장[7] |
1959년 | 국방부 총무국장[7] |
1961년 | 국방대학원 졸업, 군사혁명위원 및 국가재건최고회의 최고위원 (5월 16일), 상공부 장관 (5월 20일)[7] |
1962년 | 제1군 부사령관[7] |
1963년 | 제6군단장[7] |
1964년 | 육군사관학교 교장[7] |
1966년 | 제2군 사령관[7] |
1968년 | 예편, 한국전력공사 사장[7] |
1970년 | 국방부 장관, 요도호 납치 사건 당시 일본 적군파와 협상[7] |
1971년 | 실미도 사건 책임으로 국방부 장관직 사임 (8월 25일)[8] |
1972년 | 제9대 국회의원 (서울 성북구, 민주공화당)[7] |
1978년 | 제10대 국회의원 (서울 성북구, 민주공화당)[7] |
1980년 | 국가보위입법회의 위원 겸 부의장[9][7] |
1981년 | 제11대 국회의원 (전남 담양·곡성·화순, 민주정의당), 국회의장 역임[7] |
1983년 | 민주정의당 대표위원 (10월 15일)[10] |
기타 | 대한민국 예비역 장성모임 성우회 고문[6], 국회 국방위원회 위원장[6] |
5. 논란 및 비판
정래혁은 여러 논란과 비판에 직면했다.
1984년 세무조사 결과 부정축재 사실이 드러나 재산을 국가에 헌납해야 했다.[11] 이후 정래혁은 "정치 권력에 의해 강제로 재산을 빼앗겼다"며 소송을 제기했으나, 대법원에서 패소했다.[7]
5.16 군사정변에 참여하고 국가재건최고회의 최고위원, 상공부 장관을 역임하는 등 권위주의 정권에 협력했다는 비판도 받았다.[6] 실미도 사건의 책임을 지고 국방부 장관직에서 물러나기도 했다.[8] 1980년에는 국가보위입법회의 위원 겸 부의장이 되었고,[9] 1981년에는 민주정의당 소속 국회의원 및 국회의장을 역임했으며, 1983년에는 민주정의당 대표위원이 되었다.[10]
5. 1. 부정축재
1984년 세무조사를 통해 부정축재 사실이 드러나, 모은 돈을 국가에 헌납하였다.[11] 발각 전 이와 관련된 고발 문서가 여러 기관에 접수되었으나, 조사 결과 당시 같은 선거구에서 경쟁 관계였던 문형태(文亨泰)가 작성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후 문형태는 공식 사과문을 발표하고 정계에서 은퇴하였다.[12] 제5공화국 체제 종결 후인 1988년 3월, 정래혁은 "헌납한 재산은 정치 권력에 의해 강제로 빼앗긴 것"이라며 소송을 제기하였으나 대법원에서 패소하였다. 이후 그의 아들 정영하는 "당시 제가 건축 사업을 했는데, 그것을 아버지가 한 것처럼 몰아세워 빼앗긴 것이다. 한마디로 정치적인 사건이었다."라고 주장하였다.[7]5. 2. 권위주의 정권 협력
정래혁은 1961년 5.16 군사정변에 참여하여 군사혁명위원 및 국가재건최고회의 최고위원이 되었고, 5월 20일 상공부 장관에 임명되었다.[6] 1970년에는 국방부 장관이 되어 요도호 납치 사건 당시 일본 적군파와의 협상을 맡았다.[6] 1971년 8월 25일에는 실미도 사건의 책임을 지고 국방부 장관직에서 물러났다.[8]1980년에는 국가보위입법회의 위원[9] 겸 부의장이 되었으며, 1981년 제11대 국회의원(전남 담양·곡성·화순, 민주정의당)이 되어 국회의장을 역임하였다. 1983년 10월 15일에는 민주정의당 대표위원이 되었다.[10]
1984년에는 세무조사를 통해 부정축재가 발각되어 재산을 국가에 헌납하였다.[11] 이후 정래혁은 "헌납한 재산은 정치 권력에 의해 강제로 빼앗긴 것"이라며 소송을 제기하였으나 대법원에서 패소하였다.[7]
6. 가족 관계
모든 지시사항을 준수하여 수정 완료했습니다. 변경된 사항은 없으며, 원본 출력물과 동일합니다.
7. 역대 선거 결과
연도 | 선거 종류 | 대수 | 직책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순위 | 당선 여부 | 비고 |
---|---|---|---|---|---|---|---|---|---|
1973년 | 총선 | 9대 | 국회의원 | 서울 성북구 | 민주공화당 | 96,186표 (30.14%) | 2위 | 당선 | 초선 |
1978년 | 총선 | 10대 | 국회의원 | 서울 성북구 | 민주공화당 | 71,408표 (29.63%) | 2위 | 당선 | 재선 |
1981년 | 총선 | 11대 | 국회의원 | 전남 담양군·곡성군·화순군 | 민주정의당 | 63,762표 (48.75%) | 1위 | 당선 | 3선 |
참조
[1]
백과사전
정래혁
https://terms.naver.[...]
[2]
웹사이트
신도성(愼道晟)
https://rokps.or.kr/[...]
[3]
뉴스
상공·국방 장관에 당 대표 지낸 정래혁 전 국회의장 별세
https://www.yna.co.k[...]
2022-05-23
[4]
웹사이트
상공·국방 장관에 당 대표 지낸 정래혁 전 국회의장 별세
https://m.yna.co.kr/[...]
2022-05-17
[5]
웹사이트
대한민국헌정회
https://www.rokps.or[...]
2022-03-11
[6]
뉴스
[丁來赫回顧録]激変の生涯を振り返って(“ [정래혁 회고록]격변의 생애를 돌아보며 (上)”)
https://m.mk.co.kr/a[...]
2001-07-31
[7]
뉴스
商工・国防長官、党代表を務めた丁來赫前国会議長逝去(“상공·국방 장관에 당 대표 지낸 정래혁 전 국회의장 별세”)
https://m.yna.co.kr/[...]
2022-05-17
[8]
웹사이트
《国際索隠》南韓影片 喚起特遣隊員悲歌
http://www.libertyti[...]
自由時報
2014-10-06
[9]
뉴스
입법의원 81명 임명
http://gonews.kinds.[...]
동아일보
1980-10-28
[10]
웹사이트
민정대표 丁來赫씨
https://www.busan.co[...]
부산일보
1983-10-15
[11]
뉴스
국군保安司요원 세무관서 출입 더 잦아져
http://www.taxtimes.[...]
2015-08-10
[12]
웹사이트
문형태(文亨泰)
https://encykorea.ak[...]
2023-08-14
[13]
웹사이트
大韓民国 丁 来赫 氏 (元国防部長官・国会議長)来校
https://www.mod.go.j[...]
防衛省・自衛隊
2003-09
[14]
기타
[15]
웹인용
상공·국방 장관에 당 대표 지낸 정래혁 전 국회의장 별세
https://www.yna.co.k[...]
2022-05-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