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정우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우면은 전라북도 정읍시에 속하는 면으로, 백제 시대에는 고부면 삼동방, 통일신라 시대에는 태산군 삼동방, 고려 시대에는 고부군 삼동방으로 불렸다. 조선 시대에는 고부군 수금면, 오금면, 벌미면, 우일면, 장순면으로 분리되었다가, 일제강점기인 1914년 정읍군 정토면과 우순면으로 통합되었고, 1935년 정우면으로 개칭되었다. 1995년 정읍시 정우면이 되었으며, 10개의 법정리(수금리, 산북리, 대사리, 회룡리, 화천리, 장순리, 초강리, 우산리, 대산리, 우일리)로 구성되어 있다. 정읍 정토사, 정읍 수금리 입석, 정읍 대산리 토성 등의 문화재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정우면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정우면사무소 전경
정우면사무소 전경
일반 정보
면적30.34km²
세대1436세대 (2009년 12월 31일 기준)
인구2373명 (2024년 1월 기준)
법정리10개
행정리38개
68개
면사무소 주소정우면 정신로 609
홈페이지정우면사무소
위치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행정 구역
법정리 목록대사리
산북리
수금리
옹동리
장순리
정우리의 일부
태곡리
도강리
송산리
화룡리

2. 연혁

백제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정우면의 행정 구역 변천 과정은 다음과 같다.

시기행정 구역
백제고부면 삼동방(古阜面 三洞坊)
통일신라한국어태산군 삼동방(太山郡 三洞坊)
고려고부군 삼동방(古阜郡 三洞坊)
조선고부군 수금면(古阜郡 水金面), 오금면(梧禁面), 벌미면(伐未面), 우일면(宇日面), 장순면(長順面)
일제강점기 (1914년)정읍군 정토면(井邑郡 淨土面)과 우순면(井邑郡 雨順面)으로 개편
일제강점기 (1935년)정읍군 정우면(井邑郡 淨雨面)으로 통합
1995년 1월 1일정읍시 정우면(井邑市 淨雨面)


2. 1. 백제

백제 시대에는 고부면 삼동방(古阜面 三洞坊)이었다.

2. 2. 통일신라 시대

통일신라한국어 시대에는 태산군 삼동방(太山郡 三洞坊)이었다.

2. 3. 고려 시대

고부군 삼동방(古阜郡 三洞坊)이었다.

2. 4. 조선 시대

조선 시대에는 고부군 수금면(古阜郡 水金面), 오금면(梧禁面), 벌미면(伐未面), 우일면(宇日面), 장순면(長順面)이었다.

2. 5. 일제 강점기

1914년 3월 1일 일제강점기에 정읍군 정토면(井邑郡 淨土面)과 우순면(井邑郡 雨順面)으로 개편되었다. 1935년 정읍군 정우면(井邑郡 淨雨面)으로 다시 통합되었다.

1914년 이전1914년1935년
고부군 수금면(古阜郡 水金面)정읍군 정토면(井邑郡 淨土面)정읍군 정우면(井邑郡 淨雨面)
고부군 오금면(古阜郡 梧禁面)
고부군 벌미면(古阜郡 伐未面)
고부군 우일면(古阜郡 宇日面)정읍군 우순면(井邑郡 雨順面)
고부군 장순면(古阜郡 長順面)


2. 6. 대한민국


  • 백제한국어: 고부면 삼동방(古阜面 三洞坊)이었다.
  • 통일신라: 태산군 삼동방(太山郡 三洞坊)이었다.
  • 고려: 고부군 삼동방(古阜郡 三洞坊)이었다.
  • 조선: 고부군 수금면 (古阜郡 水金面), 오금면(古阜郡 梧禁面), 벌미면(古阜郡 伐未面), 우일면(古阜郡 宇日面), 장순면(古阜郡 長順面)이었다.
  • 1914년 3월 1일: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령에 따라 정읍군 정토면(井邑郡 淨土面)과 우순면(井邑郡 雨順面)으로 개편되었다.
  • 1935년: 정읍군 정우면(井邑郡 淨雨面)으로 통합되었다.
  • 1995년 1월 1일: 정읍시 정우면(井邑市 淨雨面)이 되었다.

3. 행정 구역

정우면은 10개의 법정리로 구성되어 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이전에는 각 법정리가 여러 면에 속해 있었으나, 행정구역 개편을 통해 정우면에 편입되었다.

정우면의 법정리
법정리명마을 유래비고
수금리(水金里)본래 고부군 수금향(水金鄕) 및 수금면 구역. 1914년 신흥리, 월성리, 삼동, 좌두리, 야리, 규촌, 오금면 각목리, 장순면 신성리 일부 병합, 정토면(현 정우면) 편입.
산북리(山北里)본래 고부군 벌미면 구역. 1914년 산북리, 소사리, 삼산리, 수금면 대정리/신복리/삼동, 답내면 예동, 태인군 북촌면 이리/상삼리/오리 일부 병합, 정토면(현 정우면) 편입.
대사리(大寺里)본래 고부군 벌미면 구역. 1914년 배량리, 대사리, 마동, 태인군 북촌리 이리 일부 병합, 정토면(현 정우면) 편입. 1935년 우순면과 통합.
회룡리(回龍里)본래 고부군 벌미면 구역. 1914년 괴동, 와룡리, 신기리, 정토리, 회룡리, 수금면 규촌 일부 병합, 정토면(현 정우면) 편입. 지형은 회룡고조(回龍顧祖).
화천리(花川里)본래 고부군 벌미면 구역. 1914년 덕성리, 화천리, 덕촌, 태인군 서촌면 주산리 일부 병합, 정토면(현 정우면) 편입. 이후 우순면과 통합.
장순리(長順里)본래 고부군 장순면 구역. 1914년 송내리, 신기리, 양지리, 내장리, 후복리, 외장리, 천덕리, 망담리 일부 병합, 우수면(현 정우면) 편입.
초강리(楚江里)본래 고부군 장순면 구역. 1914년 창납리, 연봉리, 신성리, 천덕리, 외장리, 망담리, 우일면 유대리, 수금면 좌두리 일부 병합, 우수면(현 정우면) 편입. 정읍천의 다른 이름 사용.
우산리(牛山里)본래 고부군 장순면 구역. 1914년 시동, 송배리, 비선리, 서당리, 소상리, 사포리, 원두리, 사거리, 망담리, 우일면 남산리 일부 병합, 우순면(현 정우면) 편입.
대산리(垈山里)본래 고부군 우일면 구역. 1914년 야리, 유대리, 송덕리 일부 병합, 정토면(현 정우면) 편입. 태뫼의 다른 표기 사용.
우일리(宇日里)본래 고부군 우일부곡, 우일면 구역. 1914년 성동, 내기동, 도천리, 남산리 일부 병합, 우순면(현 정우면) 편입. 비나리, 피내에서 유래.


3. 1. 수금리(水金里)

수금리(水金里)는 본래 고부군 수금향(水金鄕)이었고, 이후 수금면 지역이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신흥리(新興里), 월성리(月成里), 삼동(三洞), 좌두리(左斗里), 야리(也里), 규촌(閨村)과 오금면 각목리(角木里) 및 장순면 신성리(新成里) 일부를 병합하여, 이전 면의 이름을 따서 수금리라 칭하고 정토면(현 정우면)에 편입되었다.

수금리의 자연마을은 다음과 같다.

자연마을
금북(金北) 마을
금남(金南) 마을
좌야(左野) 마을
월성(月城) 마을
금창(金昌) 마을


3. 2. 산북리(山北里)

본래 고부군 벌미면(伐米面) 구역이었는데, 1914년 일제강점기 행정구역 개편 때에 산북리(山北里), 소사리(小士里), 삼산리(三山里)와 수금면(水金面)의 대정리(大井里), 신복리(新福里), 삼동(三洞), 답내면(畓內面)의 예동(禮洞) 및 태인군 북촌면(北村面)의 이리(二里), 상삼리(上三里), 오리(五里)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그 중심 마을 이름을 따서 산북리라 하고, 정읍군 정토면(淨土面)에 편입하였다. 정토면은 이후 정우면이 되었다.

산북리에는 다음과 같은 자연마을이 있다.

자연마을
산북(山北) 마을
삼산(三山) 마을
대정(大井) 마을
신제(新堤) 마을


3. 3. 대사리(大寺里)

본래 고부군 벌미면(伐米面) 구역이었는데, 1914년 일제강점기 행정구역 개편 때 배량리(拜良里), 대사리(大寺里), 마동(馬洞)과 태인군(현 정읍시에 통합) 북촌리(北村里) 이리(二里) 일부를 병합하여, 이곳 중심 마을 이름을 따라 대사리라 하고, 정읍군 정토면(현 정우면)에 편입되었다. 그 뒤 정토면은 1935년에 이웃 우순면(雨順面)과 병합하여 정우면이 되었다.

대사리(大寺里)의 자연마을
마을 이름
대동(大東) 마을
대서(大西) 마을
대북(大北) 마을


3. 4. 회룡리(回龍里)

회룡리는 본래 고부군 벌미면(伐米面) 구역이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괴동(槐洞), 와룡리(臥龍里), 신기리(新基里), 정토리(淨土里), 회룡리(會龍里)와 수금면(水金面) 규촌(閨村) 일부를 병합하여 회룡리라 칭하고, 정읍군 정토면(현 정우면)에 편입되었다. 이 지역의 지형은 회룡고조(回龍顧祖)로 되어 있다고 한다.

회룡리에 속한 자연마을은 다음과 같다.

자연마을
교촌(校村) 마을
괴동(槐洞) 마을
정토(淨土) 마을
규촌(閨村) 마을


3. 5. 화천리(花川里)

본래 고부군 벌미면(伐米面) 구역이었는데, 1914년 일제강점기 행정구역 개편 때에 덕성리(德成里), 화천리(化川里), 덕촌(德村)과 태인군 서촌면(西村面) 주산리(舟山里) 각 일부를 병합하여, 중심 마을 이름을 따라 화천리라 하고, 정읍군 정토면(淨土面)에 편입하였다. 그 뒤 정토면은 우순면(雨順面)과 합병하여 정우면이 되었다.

화천리(花川里)의 자연마을
마을 이름한자 표기
화천花川
덕성德成
덕촌德村


3. 6. 장순리(長順里)

본래 고부군 장순면(長順面) 구역이었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송내리(送內里), 신기리(新基里), 양지리(良地里), 내장리(內場里), 후복리(厚福里), 외장리(外墻里), 천덕리(川德里), 망담리(望潭里)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이곳이 원래 장순리 소재지였기 때문에 장순리라 하고, 정읍군 우수면(현 정우면)에 편입되었다.

장순리의 자연마을은 다음과 같다.

자연마을
송내(松內) 마을
양지(陽池) 마을
구성(九城) 마을
외장(外墻) 마을


3. 7. 초강리(楚江里)

본래 고부군 장순면(長順面) 구역이었는데, 1914년 일제의 행정구역 개편 때 창납리(倉納里), 연봉리(蓮峰里), 신성리(新城里), 천덕리(川德里), 외장리(外墻里), 망담리(望潭里)와 우일면(雨日面) 유대리(兪垈里) 및 수금면(水金面) 좌두리(左斗里) 각 일부를 병합하여, 정읍천의 딴 이름을 붙여 초강리(楚江里)라고 하고, 정읍군 우수면에 편입하였다. 이후 우순면은 정우면으로 변경되었다.

초강리(楚江里)의 자연마을
마을 이름한자
창납倉納
신창新昌
천덕川德
초련楚蓮
천두川頭


3. 8. 우산리(牛山里)

본래 고부군 장순면(長順面) 구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에 시동(詩洞), 송배리(淞培里), 비선리(飛仙里), 서당리(書當里), 소상리(所山里), 사포리(沙浦里), 원두리(元斗里), 사거리(四巨里), 망담리(望潭理)와 우일면(雨日面) 남산리(藍山里) 각 일부를 병합하여, 중심 마을 소산의 이기(異記)인 우산리(牛山里)라 하고 정읍군 우순면(雨順面)에 편입되었다. 이후 우순면은 정우면(淨雨面)으로 변경되었다.

우산리(牛山里)의 자연마을
마을 이름한자명
우산牛山
송배松倍
비선飛仙
서산書山
망담望潭


3. 9. 대산리(垈山里)

본래 고부군 우일면(宇日面) 구역이었는데, 1914년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의 행정구역 개편 때 야리(野里), 유대리(有垈里), 송덕리(頌德里) 일부를 병합하여 '태뫼'(有垈里)의 이기(異記)인 대산리(垈山里)라 하고 정읍군 정토면(현 정우면)에 편입되었다. 뒤에 정토면은 정우면이 되었다.

대산리(垈山里)의 자연마을
마을 이름
대산(垈山) 마을


3. 10. 우일리(宇日里)

본래 고부군 우일부곡(雨日部曲)이었으며, 이후 우일면(雨日面) 구역이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성동(星洞), 내기동(內基洞), 도천리(道贊里), 남산리(藍山里) 일부를 병합하여 우일리(宇日里)라 칭하고 우순면에 편입하였다. '우일'이라는 이름은 예전의 '비나리', '피내'라는 지명에서 유래했다. 이후 우순면은 정우면이 되었다.

우일리에 속한 자연마을은 다음과 같다.

자연마을
남산 마을
성동 마을
내기 마을
도찬 마을


4. 문화재 및 관광 자원

정읍 정토사는 정우면 수금리에 있는 사찰이다.

정읍 수금리 입석은 정우면 수금리에 있는 입석이다.

정읍 대산리 토성은 정우면 대산리에 있는 토성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