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고부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고부면은 전라북도 정읍시에 속하는 면으로, 마한 시대에는 고비리국이었고 백제 시대에는 고사부리군으로 불렸다. 통일신라 시대에는 고부로 칭해졌으며, 고려 시대에는 고부군이 되었다. 조선 시대에도 고부군이었으며, 일제강점기인 1914년 정읍군 고부면으로 개편되었고, 1995년 정읍시 고부면이 되었다. 주요 문화재로는 정읍 고사부리성(사적), 정읍 고부향교, 정읍 유선사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북특별자치도의 읍·면 - 덕천면
    덕천면은 전라북도 정읍시에 위치한 면으로, 1914년 우덕면과 달천면이 통합되어 설치되었고, 동학농민혁명기념공원 등 다양한 문화유산과 관광 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6개의 법정리로 구성되어 있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읍·면 - 북면 (정읍시)
    전라북도 정읍시에 있는 북면은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으로 북일면과 북이면이 통합되어 설치되었고, 이후 보림사, 남산사 등의 문화재와 보림리, 마정리 등 10개의 법정리를 포함한다.
  • 정읍시의 행정 구역 - 상교동
    상교동은 전라북도 정읍시에 위치하며 상평동과 과교동이 통합되어 설치되었고 하모동, 상평동, 과교동 등 9개의 법정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고암서원지, 단군성전, 온조우 등 다양한 문화재와 관광 자원을 보유한 동이다.
  • 정읍시의 행정 구역 - 수성동 (정읍시)
    수성동은 전라북도 정읍시에 위치한 동으로, 정읍충렬사, 송우암 수명 유허비 등의 문화재와 쌍화차 거리가 위치해 있으며 영창동, 장명동, 시기동, 농소동을 관할한다.
  • 1914년 설치 - 이촌동
    이촌동은 서울 용산구에 위치하며, 한강변 모래벌판에서 이주한 주민들에 의해 "옮겨진 마을"이라는 뜻으로 이름 붙여졌으며, 동부이촌동은 일본인 거주 지역, 서부이촌동은 개발이 진행 중인 지역이고, 한강공원, 국립중앙박물관 등 주요 시설과 이촌역을 통해 편리한 교통 환경을 제공한다.
  • 1914년 설치 - 담양군
    담양군은 다양한 농산물과 대나무 공예품으로 유명하며, 소쇄원과 죽녹원 등의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문화유적을 가진 관광지이며, 1읍 11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메타세쿼이아 가로수길과 같은 관광 명소가 있고 고속도로 등의 교통망을 갖추고 있다.
고부면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고부면
한자 표기古阜面
영문 표기Gobu-myeon
광역시도전북특별자치도
시군구정읍시
면적40.02
세대1,585 (2024년 6월 30일 기준)
인구2,632 (2024년 6월 기준)
행정 구역
법정리13
행정리44
82
위치 및 연락처
면사무소고부면 영주로 542 -12
홈페이지고부면사무소

2. 연혁

(내용 없음)

2. 1. 마한 시대

마한 시대에 현재의 고부면 지역은 고비리국(古卑離國)이었다.

2. 2. 백제 시대

백제 시대에 고부 지역은 고사부리군()으로 불렸다. 이곳은 백제의 5방 중 하나인 중방(中方) 고사성(古沙城)이 위치했던 곳으로, 당시 백제의 중요한 행정 및 군사적 중심지 역할을 했다.

2. 3. 통일신라 시대

통일신라 시대에 이르러 고부라는 명칭으로 불리게 되었다.

2. 4. 고려 시대

고려 시대에 고부 지역은 행정 구역상 변화를 겪었다. 처음에는 영주관찰사의 관할 하에 있었으나, 이후 안남도호부를 거쳐 고부군으로 개편되었다.

2. 5. 조선 시대

조선 시대에는 고부군으로 불렸다.

2. 6. 일제강점기

일제강점기1914년 3월 1일에 시행된 부군면 통폐합으로 기존의 고부군이 폐지되고 정읍군에 편입되어 고부면으로 개편되었다.

2. 7. 대한민국

1995년 1월 1일부로 정읍시 고부면이 되었다.

3. 행정 구역

고부면은 총 13개의 법정리로 구성되어 있다. 대부분의 리는 1914년 일제강점기 행정구역 개편 과정에서 여러 작은 마을들을 병합하여 형성되었으며, 중심 마을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3. 1. 각 법정리별 자연마을

법정리명마을유래자연마을
장문리본래 고부군 동부면(東部面) 구역이었으나, 행정구역 개편 때 청룡리(靑龍里), 음지리(陰地里), 등전리(嶝田里), 양지리(陽地里), 월천리(月川里), 장문리(長文里), 허문리(許門里)와 남부면(南部面) 남복리(南輻里) 각 일부를 병합하여 중심 마을 이름을 따서 장문리라 하였다. 이후 정읍군 영원면에 편입되었다가 다시 고부면으로 편입되었다.1) 장문(長文) 마을 2) 양지(陽池) 마을 3) 음지(陰池) 마을
고부리본래 고부군 남부면(南部面) 구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상평리(上坪里), 하평리(下坪里), 남산리(南山里), 외남리(外南里)와 동부면(東部面) 허문리(許門里)의 각 일부를 병합하였다. 원래 고부군 치소(治所)가 있던 곳이기에 고부라 하고 고부면에 편입되었다. 고부의 역사를 보면, 마한 시대에는 고비리국(古卑離國)으로 추정되며, 백제 때에는 중방고사성(中方古沙城)이 있던 곳으로 고사부리군(古沙夫里郡)이라 불렸고, 그 고을 터는 현재 영원면 은선리(隱仙里)이다. 삼국 통일 후 신라 경덕왕 16년에 고부(古阜)라 불리게 되었다. 고려 시대에는 태조 19년에 영주(瀛州)로 불리고 관찰사(觀察使)를 두었으며, 고을 터는 현재의 입석리였다. 이후 951년(광종 2년)에는 안남(安南)으로 이름을 바꾸고 안남도호부(安南都護府)를 두었다. 1019년(현종 10년)에 고부군의 치소를 현재의 고부리인 성황산(城隍山)으로 옮겼다. 조선 시대에는 1765년(영조 41년)에 고을 터를 다시 고부리(현재 고부초등학교 자리)로 옮겼다.1) 고부(古阜) 마을 2) 교동(校洞) 마을 3) 남산(南山) 마을
남복리본래 고부군 남부면(南部面) 구역이었으나, 영광리(永光里), 남정리(南丁里), 허문리(許門里), 남복리(南福里) 각 일부를 합병하여 중심 마을 이름을 따 남복리라 하고 정읍군 고부면에 편입하였다.1) 남복(南福) 마을 2) 남영(南靈) 마을
입석리본래 고부군 남부면(南部面) 구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신장리(新場里), 성촌(星村), 입석리(立石里), 진장리(鎭將里), 만화리(萬化里)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중심 마을 이름을 따서 입석리라 하고 정읍군 고부면에 편입되었다.1) 입석(立石) 마을 2) 예천(禮川) 마을 3) 성촌(星村) 마을
만수리본래 고부군 소정면(所井面) 구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상만리(上萬里), 하만리(下萬里), 주안리(舟安里), 서당리(書堂里)의 일부를 병합하여 상하만수동(上下萬壽洞)의 이름을 따 정읍군 소성면에 편입되었다가 뒤에 고부면으로 다시 편입하였다.1) 상만(上萬) 마을 2) 하만(下萬) 마을 3) 서당(書堂) 마을
덕안리본래 고부군 남부면(南部面) 구역이었으나, 행정구역 개편 때 덕안리(德安里), 안영리(安永里), 진선리(鎭仙里), 육선리(六仙里), 회동(會洞), 진장리(鎭將里), 입석리(立石里) 각 일부를 병합하여 중심 마을의 이름을 따서 덕안리라 하고 정읍군 고부면에 편입하였다.1) 진선(鎭仙) 마을 2) 덕안(德安) 마을 3) 안영(安寧) 마을
신중리본래 고부군 서부면(西部面)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죽교리(竹橋里), 주산리(舟山里), 강고리(江古里)와 남부면(南部面) 구중리(九中里) 각 일부를 병합하여 중심 마을 이름을 따서 신중리라 하고 정읍군 고부면에 편입시켰다.1) 구중(舊中) 마을 2) 신중(新中) 마을 3) 주산(舟山) 마을
만화리본래 고부군 서부면(西部面) 구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토정리(土井里), 분토리(分土里), 신화리(新化里), 만화리(萬化里), 신중리(新中里)와 서부면(西部面) 신고리(新古里) 각 일부를 병합하여 중심 마을 이름을 따서 만화리라 하고 정읍군 고부면에 편입하였다.1) 만화(萬化) 마을 2) 신정(新井) 마을
용흥리본래 고부군 남부면(南部面) 구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해항리(亥項里), 학항리(鶴項里), 탑동(塔洞), 신용리(新龍里), 앵등리(鶯嶝里), 남흥리(南興里), 운흥리(雲興里)와 동부면(東部面) 발입리(發立里) 일부를 병합하여 신용(新龍)과 남흥(南興)을 약칭하여 용흥리라 하고 정읍군 고부면에 편입하였다.1) 해정(亥頂) 마을 2) 학정(鶴頂) 마을 3) 용흥(龍興) 마을 4) 신용1(新龍 1) 마을 5) 신용2 (新龍 2) 마을
관청리본래 고부군 남부면(南部面) 구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관청리(官淸里), 작산리(鵲山里), 기동(基洞), 신기리(新基里), 송정리(松亭里) 일부와 서부면(西部面) 청용리(靑龍里), 송정리(松亭里), 구고리(舊古里)를 병합하여 중심 마을 이름을 따서 관청리라 하고 정읍군 고부면에 편입하였다.1) 청용(靑龍) 마을 2) 칠정(七井) 마을 3) 앵곡(鶯谷) 마을 4) 송곡(松谷) 마을 5) 관청(官淸) 마을 6) 작산(鵲山) 마을
신흥리본래 고부군 서부면(西部面) 구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용회리(龍回里), 파산리(琶山里), 도산리(道山里), 홍원리(洪元里)와 남부면(南部面) 소정리(소停里), 서흥리(西興里) 및 부안군 입상면(立上面) 영수리(榮水里), 건선리(乾先里), 율지리(栗池里) 각 일부를 병합하였다. 고부 관청 서쪽에 새로 일어난 마을이어서 신흥이라 하고 고부면에 편입하였다.1) 신흥(新興) 마을 2) 홍원(洪元) 마을 3) 용회(龍回) 마을
강고리본래 고부군 서부면(西部面) 구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용등리(龍登里), 강고리(江古里), 종암리(種岩里), 마정리(馬頂里)와 남부면(南部面) 신중리(新中里)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중심 마을의 이름을 따서 강고리라 하고 정읍군 고부면에 편입하였다.1) 용등(龍登) 마을 2) 마정(馬頂) 마을 3) 강고(江古) 마을 4) 종암(鐘岩) 마을
백운리본래 고부군 서부면(西部面) 구역이었으나, 개편 때 백운리(白雲里), 구용리(九龍里), 용수리(龍水里), 반용리(盤龍里), 노승리(老僧里), 용출리(龍出里), 초하리(草下里), 서용리(西龍里), 화산리(化山里), 중리(中里)와 성포면(聲浦面) 금동리(琴洞里) 및 흥덕군 일동면(一東面) 양래리(良來里) 각 일부를 병합하여 중심 마을 이름을 따서 백운리라 하고 정읍군 고부면에 편입하였다.1) 용수(龍水) 마을 2) 백운(白雲) 마을 3) 운용(雲龍) 마을 4) 죽리(竹里) 마을 5) 반용(盤龍) 마을


4. 문화재 및 관광자원

고부면에는 국가 지정 문화재인 정읍 고사부리성(사적 제494호)을 비롯하여, 전북특별자치도 지정 문화재자료인 정읍 고부향교(제74호), 전통사찰인 정읍 유선사(제54호) 등 다양한 종류의 문화유산이 있다. 이 외에도 다수의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기념물이 지정되어 있다.

4. 1. 전북특별자치도 지정문화재

문화재명분류지정번호
정읍 고사부리성사적제494호
정읍 고부향교전북특별자치도 문화유산자료제74호
정읍 유선사전통사찰제54호
정읍 장문리 오층석탑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제13호
정읍 남복리 오층석탑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제95호
정읍 용흥리 해정사지 석탑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제96호
정읍 용흥리 석불입상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제97호
정읍 남복리 미륵암 석불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제99호
정읍 군자정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제133호
정읍 두승산성전북특별자치도 기념물제54호
정읍 고부관아터전북특별자치도 기념물제122호


4. 2. 기타 문화재

문화재 명칭지정 구분지정 번호
정읍 고사부리성사적제494호
정읍 고부향교전북특별자치도 문화재자료제74호
정읍 유선사전통사찰제54호
정읍 장문리 오층석탑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제13호
정읍 남복리 오층석탑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제95호
정읍 용흥리 해정사지 석탑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제96호
정읍 용흥리 석불입상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제97호
정읍 남복리 미륵암 석불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제99호
정읍 군자정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제133호
정읍 두승산성전북특별자치도 기념물제54호
정읍 고부관아터전북특별자치도 기념물제122호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