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정중신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중신경은 상완신경총의 가쪽다발과 안쪽다발에서 갈라져 나와 위팔, 아래팔, 손의 앞쪽 부분을 지나 손의 근육에 분포하는 신경이다. 팔꿈치, 아래팔, 손목, 손 부위에서 손상될 수 있으며, 손목 터널 증후군, 골절, 외상 등이 원인이 되어 마비가 발생할 수 있다. 정중신경의 손상은 운동 및 감각 기능에 다양한 이상을 일으키며, 진단을 위해 설문 조사, 도발 검사, 감각 및 운동 기능 검사, 전기 진단 검사, 초음파 영상 등을 활용한다. 치료는 손상 부위와 증상에 따라 달라지며, 손목 터널 증후군의 경우 보존적 치료 또는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상지의 신경 - 팔신경얼기
    팔신경얼기는 팔의 감각, 운동, 고유수용성감각 기능을 담당하는 신경 네트워크로, 손상은 교통사고나 신생아에게서 발생하며, MRI 촬영과 상지 수술 마취에 활용된다.
  • 상지의 신경 - 겨드랑신경
    겨드랑신경은 팔신경얼기에서 시작하여 어깨세모근과 작은원근을 지배하고 어깨 관절 감각 정보 전달 및 어깨세모근 아래쪽 피부 감각을 담당하며, 손상 시 마비, 감각 소실, 납작어깨 변형 등이 나타날 수 있고 물리치료, 약물 치료, 수술적 치료로 치료한다.
  • 그레이 해부학 20판 (1918)의 본문을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목동맥고랑
  • 그레이 해부학 20판 (1918)의 본문을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의학 용어집
    의학 용어집은 의학 분야의 다양한 용어와 정의를 모아놓은 목록으로, 인체 해부학적 용어인 '복부'와 희귀 유전 질환인 '아르스코그-스콧 증후군' 등이 포함된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정중신경
개요
왼쪽 위 팔의 신경
왼쪽 위 팔의 신경
세부 정보
라틴어 이름nervus medianus
기원팔신경얼기가쪽다발안쪽다발
분지앞뼈사이신경
온바닥쪽손가락신경
고유바닥쪽손가락신경
분포아래팔앞칸(깊은손가락굽힘근의 안쪽 절반과 자쪽손목굽힘근 제외), 엄지두덩, 벌레근, 손의 피부 일부

2. 구조

정중신경은 팔신경얼기외측신경속내측신경속에서 갈라져 나온 가지들이 합쳐져 형성된다. 위팔, 아래팔, 손의 앞쪽 부분을 지나가 손의 근육들에 분포한다.[19]

2. 1. 위팔

가쪽다발과 안쪽다발에서 나온 가지가 합쳐진 이후, 정중신경은 겨드랑이에서 큰원근의 아래쪽 모서리를 거쳐 위팔로 들어온다. 그 후 위팔을 수직으로 내려가며 위팔두갈래근(위쪽)과 위팔근(아래쪽) 사이에서, 위팔동맥의 가쪽에 놓인 채로 주행한다. 처음에는 위팔동맥의 가쪽, 어깨관절의 앞쪽에 위치하나 그 후 위팔 먼쪽에서는 위팔동맥을 앞쪽에서 가로질러 동맥의 안쪽에 놓이게 된다. 팔오금으로 들어간 정중신경은 위팔동맥의 안쪽에서 주행한다.[19] 여기서 팔꿉관절로 관절가지를 낸다. 원엎침근에 분포하는 가지는 팔꿉관절 바로 위에서 갈라져 나온다.[21]

2. 2. 아래팔

정중신경은 위팔동맥 안쪽에서 팔오금을 주행하며 두갈래근널힘줄보다 깊고 위팔근보다는 얕게, 원엎침근의 두 갈래 사이를 지나간다. 이때 자동맥을 가로지르며, 자동맥과 정중신경은 원엎침근 깊은갈래에 의해 분리된다. 아래팔에서 정중신경은 얕은손가락굽힘근깊은손가락굽힘근 사이에서 주행하며 (존재할 경우) 앞뼈사이동맥의 가지인 정중동맥을 동반한다. 이후 굽힘근지지띠의 5cm 정도 위쪽에서, 얕은손가락굽힘근과 노쪽손목굽힘근 사이를 통해 손으로 들어간다.[21]

정중신경의 주된 줄기는 아래팔앞칸의 근육들에 분포하는데, 자신경이 분포하는 자쪽손목굽힘근만은 예외이다. 아래팔을 주행하는 정중신경은 두 종류의 가지를 낸다.

  • 팔오금에서는 근육가지가 나와 노쪽손목굽힘근, 긴손바닥근, 얕은손가락굽힘근에 분포한다.[21]
  • 앞뼈사이신경은 아래팔의 위쪽에서 갈라져 나와[22] 앞뼈사이동맥과 함께 주행하며, 깊은손가락굽힘근의 가쪽 절반과 긴엄지굽힘근을 지배한다. 깊은손가락굽힘근의 안쪽 절반은 자쪽손목굽힘근과 함께 자신경이 지배한다. 앞뼈사이신경은 네모엎침근에 분포하며 끝난다. 이때 먼쪽노자관절과 손목관절에도 분포한다.[21]


정중신경은 아래팔에 감각신경 가지나 기타 다른 가지들도 낸다. 정중신경 손바닥가지는 아래팔 먼쪽에서 갈라져 나온다. 손바닥가지는 손바닥의 엄지두덩과 가운데 부분에 분포한다. 정중신경에서 갈라져 나온 관절가지는 팔꿉관절과 몸쪽노자관절을 지배한다. 혈관가지는 노동맥자동맥에 분포한다. 한편 교통가지가 갈라져 나와 자신경과 합류한다.[19][21]

2. 3. 손

정중신경은 굽힘근지지띠 깊은쪽의 손목터널을 통해 얕은손가락굽힘근, 깊은손가락굽힘근, 긴엄지굽힘근의 힘줄과 함께 손으로 들어간다. 여기서 정중신경은 정중신경되돌이가지(되돌이가지)와 손가락가지로 나뉜다.[21]

  • 정중신경되돌이가지(근육가지)는 엄지두덩의 근육들(짧은엄지굽힘근의 얕은 부분, 엄지맞섬근, 짧은엄지벌림근)에 분포한다.[21]
  • 손바닥가지는 고유바닥쪽손가락신경과 온바닥쪽손가락신경으로 나누어진다. 고유바닥쪽손가락신경은 가쪽 1.5개의 손가락으로 세 개의 손가락가지를 낸다. 두 개의 손가락가지는 엄지로, 한 개의 손가락가지는 검지의 가쪽 부분으로 간다. 검지로 가는 손가락가지는 첫째 벌레근에도 분포한다. 온바닥쪽손가락신경은 안쪽가지와 가쪽가지, 총 두 개의 가지로 갈라진다. 두 가지 모두 검지, 중지, 약지의 가쪽 절반에 분포한다. 가쪽가지는 둘째 벌레근에도 분포한다.[21]

2. 4. 변이

정중신경의 변이는 다음과 같다.[23]

정중신경의 서로 다른 손 분포 양상

  • 정중신경이 둘로 갈라지는 지점은 일반적으로 손목터널을 나간 이후이다. 그러나 5~10% 정도의 사람들에서는 정중신경이 손목굴, 손목, 아래팔 등 더 몸쪽의 지점에서 갈라진다.[24]
  • 태아기에 손에 혈액을 공급하는 정중동맥은 일반적으로 퇴화한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정중동맥이 퇴화하지 않고 정중신경이 손으로 주행하는 경로를 따라간다.
  • 마틴-그루버 문합(Martin Gruber Anastomosis)은 정중신경의 가지가 아래팔에서 자신경을 가로질러 합쳐지는 변이이다.[25]
  • 리체-카니유 문합(Riche-Cannieu anastomosis)은 정중신경되돌이가지와 자신경 깊은가지 간의 연결이 있는 변이이다.[26]

3. 기능

정중신경은 아래팔 앞쪽의 주된 신경으로, 아래팔 앞쪽과 엄지두덩 근육에 분포하여 손의 여러 거친 움직임을 조절한다. 이러한 기능 때문에 '노동자의 신경'(labourer's nerve)이라고도 불린다.[21][3]

정중신경의 주 줄기는 자신경이 분포하는 자쪽손목굽힘근을 제외한, 아래팔앞칸의 근육들에 분포한다. 아래팔에서 정중신경은 두 종류의 가지를 낸다. 팔오금에서는 근육가지가 나와 노쪽손목굽힘근, 긴손바닥근, 얕은손가락굽힘근에 분포한다.[21] 앞뼈사이신경은 정중신경의 가지로, 아래팔 위쪽에서 갈라져 나와[22] 앞뼈사이동맥과 함께 주행하며, 깊은손가락굽힘근의 가쪽 절반과 긴엄지굽힘근을 지배한다. 앞뼈사이신경은 네모엎침근에 분포하며 끝날 때 먼쪽노자관절과 손목관절에도 분포한다.[21]

정중신경은 손에서 첫째와 둘째 벌레근에 운동신경 성분으로 분포하며, 정중신경되돌이가지를 통해 엄지두덩의 근육들(짧은엄지굽힘근의 얕은 부분, 엄지맞섬근, 짧은엄지벌림근)에도 분포한다.[21][27] 또한 엄지, 검지, 중지, 가쪽 절반의 약지의 피부와 손톱에 분포한다. 손바닥의 노쪽 부분은 손목보다 몸쪽에서 갈라져 나온 정중신경 손바닥가지가 지배한다.

3. 1. 위팔

가쪽다발과 안쪽다발에서 나온 가지가 합쳐진 이후, 정중신경은 겨드랑이에서 큰원근의 아래쪽 모서리를 거쳐 위팔로 들어온다. 그 후 위팔을 수직으로 내려가며 위팔두갈래근(위쪽)과 위팔근(아래쪽) 사이에서, 위팔동맥의 가쪽에 놓인 채로 주행한다. 처음에는 위팔동맥의 가쪽, 어깨관절의 앞쪽에 위치하나 그 후 위팔 먼쪽에서는 위팔동맥을 앞쪽에서 가로질러 동맥의 안쪽에 놓이게 된다. 팔오금으로 들어간 정중신경은 위팔동맥의 안쪽에서 주행한다.[19] 여기서 팔꿉관절로 관절가지를 낸다. 원엎침근에 분포하는 가지는 팔꿉관절 바로 위에서 갈라져 나온다.[21]

위팔에서 정중신경은 운동신경이나 피부신경 가지를 내지 않는다. 위팔동맥의 벽에 혈관가지를 내는데, 이 혈관가지들은 교감신경 성분을 운반한다.

3. 2. 아래팔

위팔동맥 안쪽에 놓인 채 팔오금을 주행하는 정중신경은 원엎침근의 두 갈래 사이를 지나가며, 이때 두갈래근널힘줄(위팔두갈래근의 널힘줄)보다는 깊고 위팔근보다는 얕다. 또한 위팔동맥의 가지인 자동맥을 가로지르며, 자동맥과 정중신경은 원엎침근 깊은갈래에 의해 분리되어 있다. 아래팔에서 정중신경은 얕은손가락굽힘근(위쪽)과 깊은손가락굽힘근(아래쪽) 사이에서 주행하며 (존재할 경우) 앞뼈사이동맥의 가지인 정중동맥을 동반한다. 이후 굽힘근지지띠(손목의 인대)의 5cm 정도 위쪽에서, 얕은손가락굽힘근(안쪽)과 노쪽손목굽힘근(가쪽) 사이를 통해 손으로 들어간다.[21]

정중신경의 주된 줄기는 자신경이 분포하는 자쪽손목굽힘근을 제외한, 아래팔앞칸의 근육들에 분포한다. 아래팔을 주행하는 정중신경은 두 종류의 가지를 낸다.

  • 팔오금에서는 근육가지(muscular branches)가 나와 노쪽손목굽힘근, 긴손바닥근, 얕은손가락굽힘근에 분포한다.[21]
  • 앞뼈사이신경은 정중신경의 가지로, 아래팔의 위쪽에서 갈라져 나와[22] 앞뼈사이동맥과 함께 주행하며, 깊은손가락굽힘근의 가쪽 절반과 긴엄지굽힘근을 지배한다. 깊은손가락굽힘근의 안쪽 절반은 자쪽손목굽힘근과 함께 자신경이 지배한다. 앞뼈사이신경은 네모엎침근에 분포하며 끝난다. 이때 먼쪽노자관절과 손목관절에도 분포한다.[21]


또한 정중신경은 아래팔에 감각신경 가지나 기타 다른 가지들도 낸다. 정중신경 손바닥가지는 아래팔 먼쪽에서 갈라져 나온다. 손바닥가지는 손바닥의 엄지두덩과 가운데 부분에 분포한다. 정중신경에서 갈라져 나온 관절가지는 팔꿉관절과 몸쪽노자관절을 지배한다. 혈관가지는 노동맥자동맥에 분포한다. 한편 교통가지가 갈라져 나와 자신경과 합류한다.[19][21]

정중신경은 자쪽손목굽힘근, 넷째와 다섯째 손가락에 분포하는 깊은손가락굽힘근 일부를 제외한 모든 아래팔굽힘근에 분포한다.[27]

정중신경의 주 줄기가 분포하는 근육은 다음과 같다.

'''얕은층'''

정중신경에서 갈라져 나온 앞뼈사이신경은 다음 근육들에 분포한다.

'''깊은층'''

3. 3. 손

정중신경은 굽힘근지지띠 깊은쪽의 손목터널을 통해 얕은손가락굽힘근, 깊은손가락굽힘근, 긴엄지굽힘근의 힘줄과 함께 손으로 들어간다. 여기서 정중신경은 정중신경되돌이가지(또는 근육가지)와 손가락가지로 나뉜다.[21]

  • 정중신경되돌이가지(또는 근육가지)는 엄지두덩의 근육들(짧은엄지굽힘근의 얕은 부분, 엄지맞섬근, 짧은엄지벌림근)에 분포한다.[21]
  • 손바닥가지는 고유바닥쪽손가락신경과 온바닥쪽손가락신경으로 나누어진다. 고유바닥쪽손가락신경은 가쪽 1.5개의 손가락으로 세 개의 손가락가지를 낸다. 두 개의 손가락가지는 엄지로, 한 개의 손가락가지는 검지의 가쪽 부분으로 간다. 검지로 가는 손가락가지는 첫째 벌레근에도 분포한다. 온바닥쪽손가락신경은 안쪽가지와 가쪽가지, 총 두 개의 가지로 갈라진다. 두 가지 모두 검지, 중지, 약지의 가쪽 절반에 분포한다. 가쪽가지는 둘째 벌레근에도 분포한다.[21]


손에서 정중신경은 첫째와 둘째 벌레근에 운동신경 성분으로 분포하며, 되돌이가지를 통해 엄지두덩의 근육들에도 분포한다.[27] 손의 나머지 자체기원근육들은 자신경이 지배한다.

정중신경은 엄지, 검지, 중지, 가쪽 절반의 약지의 피부와 손톱에 분포한다. 손바닥의 노쪽 부분은 손목보다 몸쪽에서 갈라져 나온 정중신경 손바닥가지가 지배한다. 이 손바닥가지는 노쪽손목굽힘근에 인접하여 정중신경 본 줄기와는 별개의 근막 고랑을 타고 주행하며 이때 굽힘근지지띠보다는 얕은쪽에 위치한다. 따라서 손목터널 증후군이 발생해도 손바닥가지는 굽힘근지지띠에 의해 눌리지 않는다.

4. 임상적 중요성

정중신경은 다양한 위치에서 손상될 수 있으며, 손상 위치에 따라 운동 및 감각 기능에 이상이 생길 수 있다. 흔히 발생하는 손상 원인으로는 위팔뼈 관절융기위 골절, 너무 꽉 조이는 깁스, 노뼈 골절, 손목의 찢긴 상처, 손목터널 증후군 등이 있다.

정중신경 손상으로 인해 나타나는 증상은 다음과 같다.


  • 운동 이상:
  • 아래팔 엎침(forearm pronation) 소실
  • 손목 굽힘 약화
  • 엄지를 포함한 노쪽(lateral) 절반 손가락 굽힘의 어려움
  • 엄지 벌림(abduction)과 맞섬(opposition) 소실
  • 원숭이 손 변형
  • 베네딕트 손
  • 감각 이상:
  • 가쪽(lateral) 3½개 손가락과 그 손톱, 엄지두덩(thenar eminence) 영역의 감각 소실


정중신경 마비의 원인으로는 손목 터널 증후군, 손목 골절이나 외상(유리에 의한 깊은 베인 상처나 손목 자해 등), 키보드 입력처럼 손목을 혹사하는 노동 등이 있다.[28]

정중 신경 마비는 손상 위치에 따라 저위 마비와 고위 마비로 나뉜다.

  • 저위 마비: 손목 관절 부근 손상으로 발생하며, 엄지두덩근 위축에 의한 원숭이 손 변형, perfect O 징후, 엄지 대립 운동 불능과 같은 운동 장애와 손바닥의 노쪽, 엄지, 검지, 중지 및 약지 노쪽 절반의 감각 장애가 나타난다. 손목 터널 증후군(티넬 징후, 팔렌 검사 양성)이나 손목 자해 등의 외에도 사고로 인한 손목 압박 등으로 발병하기도 한다.
  • 고위 마비: 팔꿈치 오목보다 근위부 손상으로 발생하며, 저위 마비 증상에 더하여 전완 회내가 불가능하고, 손목 관절, 엄지와 검지를 굽히기 어려운 증상(기도 지위) 등이 나타날 수 있다. (Pronator teres syndrome|원회내근 증후군영어)


침술 치료 혈로는 극문혈, 내관혈, 대릉혈, 곡택혈이 있다.

정중신경 손상의 진단에는 저림, 무감각, 통증, 근력 약화 등의 증상에 대한 환자의 주관적 설문 조사, 증상 유발 및 악화 검사, 감각 및 운동 기능 검사, 진단 장비 등을 이용한 다양한 평가가 시행된다.

흔히 사용되는 환자 보고 증상 및 기능 측정에는 다음이 있다.

설문지/지수설명
보스턴 손목 터널 설문지(BCTQ)손목 터널 증후군 증상 평가
CTS-6BCTQ의 단축 버전
상지 장애 설문(DASH)[12]상지 기능 장애 평가
상지 기능 지수(Upper Limb Functional Index)[13]상지 기능 평가



팔렌 검사, 티넬 징후, 듀칸 검사 등을 통해 손목에서 손목 터널 증후군으로 인한 압박을 평가한다. 정중 신경 전체 길이의 움직임을 검사하기 위해 상지 긴장 검사를 시행한다.

감각 검사는 단섬유 또는 두 점 변별 기기를 사용하여 정중 신경의 감각 기능과 관련된 피부 분절을 통해 이루어진다. 운동 기능 검사는 주로 손 안의 무지구근(엄지두덩근)을 검사하며, 파악력 및 핀치력 평가, 퍼듀 페그보드, 9홀 페그 검사 등을 통해 운동 협응 능력을 평가한다.

표면 또는 바늘 근전도 검사를 사용하는 전기 진단 검사는 신경 압박/손상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정중 신경 손상과 유사한 다른 중추 신경계 질환을 배제하는 데 사용된다. 초음파 영상은 정중 신경의 크기, 모양, 움직임을 평가하고,[14] 특히 손목 터널 내 신경 압박의 위치나 원인을 식별하여 치료 계획 수립에 도움을 줄 수 있다.[15]

이러한 평가들을 종합하여 다른 질환을 감별하고, 신경 손상 또는 압박 위치를 찾고, 증상의 원인을 밝혀내며, 신경 손상의 심각도를 파악하여 환자 맞춤형 치료 계획을 수립한다.[16] 이러한 정중 신경 평가 조합은 손목 터널 증후군 평가에서 가장 널리 검증되었다.[17][18]

4. 1. 손상

정중신경은 다양한 높이에서 손상될 수 있으며, 손상 위치에 따라 운동 및 감각 기능에 이상이 생길 수 있다. 흔히 발생하는 손상 기전으로는 위팔뼈 관절융기위 골절, 너무 꽉 조이는 깁스, 노뼈 골절, 손목의 열상(찢긴 상처), 손목터널 증후군 등이 있다.

정중신경 손상으로 인해 나타나는 증상은 다음과 같다.

  • 운동 이상:
  • 아래팔 엎침(forearm pronation) 소실
  • 손목 굽힘 약화
  • 엄지를 포함한 노쪽(lateral) 절반 손가락 굽힘의 어려움
  • 엄지 벌림(abduction)과 맞섬(opposition) 소실
  • 원숭이 손 변형
  • 베네딕트 손
  • 감각 이상:
  • 가쪽(lateral) 3½개 손가락과 그 손톱, 엄지두덩(thenar eminence) 영역의 감각 소실


정중신경 마비의 원인으로는 손목 터널 증후군, 손목 골절이나 외상(유리에 의한 깊은 베인 상처나 손목 자해 등), 키보드 입력처럼 손목을 혹사하는 노동 등이 있다.

  • 저위 마비: 손목 관절 부근 손상으로 발생하며, 엄지두덩근 위축에 의한 원숭이 손 변형, perfect O 징후, 엄지 대립 운동 불능과 같은 운동 장애와 손바닥의 노쪽, 엄지, 검지, 중지 및 약지 노쪽 절반의 감각 장애가 나타난다. 손목 터널 증후군(티넬 징후, 팔렌 검사 양성)이나 손목 자해 등의 외에도 사고로 인한 손목 압박 등으로 발병하기도 한다.
  • 고위 마비: 팔꿈치 오목보다 근위부 손상으로 발생하며, 저위 마비 증상에 더하여 전완 회내 불가능, 손목 관절, 엄지와 검지 굽힘 불가능(기도 지위)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Pronator teres syndrome|원회내근 증후군영어)


침술 치료 혈로는 극문혈, 내관혈, 대릉혈, 곡택혈이 있다.

4. 1. 1. 어깨

팔신경얼기에서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28]

4. 1. 2. 팔꿈치 위

위팔뼈 관절융기위 골절은 정중신경이 손상되는 흔한 기전 중 하나이다.[28] 이로 인해 다음과 같은 운동 이상과 감각 이상이 나타날 수 있다.

  • 운동 이상
  • 아래팔 엎침(pronation)이 소실되고, 손목을 굽히는 힘이 약해진다.
  • 엄지를 포함한 노쪽(lateral) 절반의 손가락을 굽히기 힘들어진다.
  • 엄지의 벌림(abduction)과 맞섬(opposition)이 소실된다.
  • 손이 가만히 있을 때 원숭이 손 변형(ape hand deformity)이 나타난다. 이는 엄지와 검지가 젖힘(hyperextension)되고 엄지가 모음(adduction)된 상태이다.
  • 주먹을 쥐려고 할 때 베네딕트 손(Benedict hand) 소견이 관찰되는데, 이는 노쪽 절반의 손가락을 굽히지 못해 나타난다.
  • 감각 이상
  • 가쪽(lateral) 3 1/2개 손가락과 그 손톱들, 엄지두덩(thenar eminence) 영역의 감각이 소실된다.

4. 1. 3. 팔꿈치

정중신경이 팔꿈치나 몸쪽 아래팔 높이에서 포착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원엎침근 증후군이라고 한다.

'''앞뼈사이신경 증후군'''

몸쪽 아래팔에서 정중신경의 가지인 앞뼈사이신경이 손상되면 앞뼈사이신경 증후군이 나타난다.[22] 너무 꽉 조이는 깁스를 하거나 노뼈가 골절되면 앞뼈사이신경이 손상될 수 있다. 앞뼈사이신경 손상 시에는 아래팔 엎침이 소실되고, 엄지를 포함한 노쪽 절반 손가락의 굽힘이 소실되지만, 감각 이상은 나타나지 않는다.

4. 1. 4. 몸쪽 아래팔

앞뼈사이신경 증후군으로 인해 몸쪽 아래팔에서 정중신경의 가지인 앞뼈사이신경이 손상될 수 있다.[22] 흔한 손상 원인으로는 너무 꽉 조이는 깁스나 노뼈 골절이 있다. 앞뼈사이신경이 손상되면 아래팔 엎침이 소실되고, 엄지를 포함한 노쪽 절반 손가락의 굽힘이 소실된다. 그러나 감각 이상은 나타나지 않는다.

4. 1. 5. 손목


  • 흔한 손상의 원인은 손목의 열상(찢긴 상처)이다.[28]
  • 운동 이상
  • * 엄지를 포함한 노쪽 절반 손가락의 굽힘이 약해지며, 엄지의 벌림과 맞섬이 소실된다.
  • * 원숭이 손 변형이 엄지와 검지의 젖힘, 엄지의 모음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원숭이 손 변형이 손목터널 증후군을 진단하는 필요조건은 아니다.
  • * 주먹을 쥘 때 노쪽 절반 손가락의 굽힘이 약해져 베네딕트 손이 나타난다.
  • 감각 이상: 가쪽 3½개 손가락과 그 손톱들, 엄지두덩 영역의 감각이 소실된다.[28]


'''손목터널 증후군'''

  • 흔한 원인은 타자를 많이 치거나 요리 등의 활동이 많아 정중신경이 손목터널에서 압박되는 손목터널 증후군이다.[28]
  • 운동 이상
  • * 엄지를 포함한 노쪽 절반 손가락의 굽힘이 약해지며, 엄지의 벌림과 맞섬이 소실된다.
  • * 정중신경이 압박되어 원숭이 손 변형이나 주먹을 쥘 때 베네딕트 손이 발생한다.
  • 감각 이상: 가쪽 3½개 손가락과 그 손톱들에 감각이 소실되고(무감각) 저린 느낌이 든다. 그러나 이때 정중신경 손바닥가지가 분포하는 엄지두덩에는 이런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29] 손목의 열상과 다르게 손바닥 중앙의 감각은 정상적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정중신경의 손바닥가지가 굽힘근지지띠 위쪽으로 주행하여 손목터널 증후군의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이다.[28]

4. 1. 6. 손목 터널 증후군

타자를 많이 치거나 요리 등의 활동으로 인해 정중신경이 손목 터널에서 압박되는 손목터널 증후군이 흔한 원인이다.[29]

  • 운동 이상
  • * 엄지를 포함한 노쪽 절반 손가락의 굽힘이 약해지며, 엄지의 벌림과 맞섬이 소실된다.
  • * 정중신경이 압박되어 원숭이 손 변형이나 주먹을 쥘 때 베네딕트 손이 발생한다.
  • 감각 이상: 가쪽 3½개 손가락과 그 손톱들에 감각이 소실되고(무감각) 저린 느낌이 든다. 그러나 정중신경 손바닥가지가 분포하는 엄지두덩에는 이런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29] 손목의 열상과 다르게 손바닥 중앙의 감각은 정상적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정중신경의 손바닥가지가 굽힘근지지띠 위쪽으로 주행하여 손목터널 증후군의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이다.

4. 2. 진단

저림, 무감각, 통증, 근력 약화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환자의 주관적 설문 조사, 증상 유발 및 악화 검사, 감각 및 운동 기능 검사, 진단 장비 등을 통해 다양한 평가를 시행한다.

흔히 사용되는 환자 보고 증상 및 기능 측정에는 다음이 있다.

설문지/지수설명
보스턴 손목 터널 설문지(BCTQ)손목 터널 증후군 증상 평가
CTS-6BCTQ의 단축 버전
상지 장애 설문(DASH)[12]상지 기능 장애 평가
상지 기능 지수(Upper Limb Functional Index)[13]상지 기능 평가



팔렌 검사, 티넬 징후, 듀칸 검사 등을 통해 손목에서 손목 터널 증후군으로 인한 압박을 평가한다. 정중 신경 전체 길이의 움직임을 검사하기 위해 상지 긴장 검사를 시행한다.

감각 검사는 단섬유 또는 두 점 변별 기기를 사용하여 정중 신경의 감각 기능과 관련된 피부 분절을 통해 이루어진다. 운동 기능 검사는 주로 손 안의 무지구근(엄지두덩근)을 검사하며, 파악력 및 핀치력 평가, 퍼듀 페그보드, 9홀 페그 검사 등을 통해 운동 협응 능력을 평가한다.

표면 또는 바늘 근전도 검사를 사용하는 전기 진단 검사는 신경 압박/손상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정중 신경 손상과 유사한 다른 중추 신경계 질환을 배제하는 데 사용된다. 초음파 영상은 정중 신경의 크기, 모양, 움직임을 평가하고,[14] 특히 손목 터널 내 신경 압박의 위치나 원인을 식별하여 치료 계획 수립에 도움을 줄 수 있다.[15]

이러한 평가들을 종합하여 다른 질환을 감별하고, 신경 손상 또는 압박 위치를 찾고, 증상의 원인을 밝혀내며, 신경 손상의 심각도를 파악하여 환자 맞춤형 치료 계획을 수립한다.[16] 이러한 정중 신경 평가 조합은 손목 터널 증후군 평가에서 가장 널리 검증되었다.[17][18]

4. 3. 치료

정중 신경 마비의 치료에는 여러 방법이 있다. 원인으로는 손목 터널 증후군, 손목 골절이나 외상(유리에 의한 깊은 베인 상처나 손목 자해 등), 키보드 입력처럼 손목을 혹사하는 노동 등이 있다.

정중 신경 마비는 손상 위치에 따라 저위 마비와 고위 마비로 나뉜다.

  • 저위 마비: 손목 관절 부근이 손상되어 발생한다. 엄지두덩근이 위축되어 Ape hand deformity|원숭이 손 변형영어이 나타나고, perfect O 징후가 나타나며, 엄지 대립 운동이 불가능해지는 운동 장애가 발생한다. 또한, 손바닥의 요측, 엄지, 시지, 중지 및 환지의 요측 절반의 지각 장애를 나타낸다. 손목 터널 증후군(티넬 징후, 팔렌 검사 양성)이나 손목 자해 외에도 사고로 인한 손목 압박 등으로 발병하기도 한다.

  • 고위 마비: 팔꿈치 오목보다 근위부가 손상되어 발생한다. 정중 신경이 지배하는 근육 및 지각 범위가 손상된다. 저위 마비 증상에 더하여, 전완 회내가 불가능하고, 손목 관절, 엄지와 시지를 굴곡하는 것이 불가능해지는(기도 지위) 증상도 나타날 수 있다.(Pronator teres syndrome|원회내근 증후군영어)


침술 치료에서는 극문혈, 내관혈, 대릉혈, 곡택혈을 치료 혈로 사용한다.

참조

[1] 간행물 Chapter 3 - Neck http://www.sciencedi[...] Academic Press 2020-10-25
[2] 간행물 Chapter 14 – Mononeuropathies http://www.sciencedi[...] Academic Press 2020-10-25
[3] 서적 BD Chaurasia's Human Anatomy (Regional and Applied Dissection and Clinical) Volume 1 - Upper limb and thorax CBS Publishers and Distributors Pvt Ltd 2010
[4] 간행물 Chapter 45 - Anterior Interosseous Syndrome http://www.sciencedi[...] W.B. Saunders 2020-10-25
[5] 논문 Sonographic Representation of Bifid Median Nerve and Persistent Median Artery 2011
[6] 논문 Clinical repercussions of Martin-Gruber anastomosis: anatomical study 2016-02-23
[7] 논문 Riché-Cannieu Anastomosis: Structure, Function, and Clinical Significance 2019-11-14
[8] 간행물 Chapter 22 - Occupational mononeuropathies in industry http://www.sciencedi[...] Elsevier 2020-10-25
[9] 간행물 Chapter 33 - Peripheral Nerve Injury of the Upper Extremity http://www.sciencedi[...] Academic Press 2020-10-25
[10] 그림 Figure 6.86, Moore Clinically Orientated Anatomy 7th Edition
[11] 논문 Structural validity of the Boston Carpal Tunnel Questionnaire and its short version, the 6-Item CTS symptoms scale: A Rasch analysis one year after surgery 2020
[12] 논문 Development of an upper extremity outcome measure: The DASH (Disabilities of the arm, shoulder, and head) 1996
[13] 논문 The Upper Limb Functional Index: Development and Determination of Reliability, Validity, and Responsiveness 2006
[14] 논문 Sonographic Reference Values for Median Nerve Cross-sectional Area: A Meta-analysis of Data from Healthy Individuals 2023
[15] 논문 Evidence-based guideline: Neuromuscular ultrasound for the diagnosis of carpal tunnel syndrome 2012
[16] 논문 A Quality Collaborative Study of the Concordance of Electrodiagnostic Scores and Clinical Severity in Carpal Tunnel Syndrome 2022
[17] 논문 Carpal tunnel syndrome severity staging using sonographic and clinical measures 2015
[18] 논문 A Comparison of 6 Diagnostic Tests for Carpal Tunnel Syndrome Using Latent Class Analysis 2020
[19] 간행물 Chapter 3 - Neck http://www.sciencedi[...] Academic Press 2020-10-25
[20] 간행물 Chapter 14 – Mononeuropathies http://www.sciencedi[...] Academic Press 2020-10-25
[21] 서적 BD Chaurasia's Human Anatomy (Regional and Applied Dissection and Clinical) Volume 1 - Upper limb and thorax https://archive.org/[...] CBS Publishers and Distributors Pvt Ltd 2010
[22] 간행물 Chapter 45 - Anterior Interosseous Syndrome http://www.sciencedi[...] W.B. Saunders 2020-10-25
[23] 서적 Kinesiology in Physical Education https://books.google[...]
[24] 논문 Sonographic Representation of Bifid Median Nerve and Persistent Median Artery http://jdm.sagepub.c[...] 2011-08-24
[25] 논문 Clinical repercussions of Martin-Gruber anastomosis: anatomical study https://www.ncbi.nlm[...] 2016-02-23
[26] 논문 Riché-Cannieu Anastomosis: Structure, Function, and Clinical Significance http://www.scielo.br[...] 2019-11-14
[27] 간행물 Chapter 22 - Occupational mononeuropathies in industry http://www.sciencedi[...] Elsevier 2020-10-25
[28] 간행물 Chapter 33 - Peripheral Nerve Injury of the Upper Extremity http://www.sciencedi[...] Academic Press 2020-10-25
[29] 그림 Figure 6.86, Moore Clinically Orientated Anatomy 7th Editi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