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체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체자는 한자 문화권에서 사용되는 한자의 한 형태로, 대만에서는 표준 한자로 여겨진다. 대한민국에서는 '번체자'로도 불리며, 중국 대륙에서는 간체자에 대비되는 용어로 사용된다. 대만, 홍콩, 마카오 등에서는 정체자가 사용되며, 중국 대륙에서는 간체자를 주로 사용하지만, 미적, 상업적 목적으로 정체자도 사용된다. 정체자는 컴퓨터에서 유니코드, Big5, HKSCS 등의 문자 집합을 통해 표현되며, 다양한 입력 방식과 글꼴이 존재한다. 중국 대륙에서는 간체자 사용을 권장하지만, 정체자는 문화재, 예술 작품 등에서 사용이 제한적으로 허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어 표기법 - 주음부호
주음부호는 장빙린이 창안한 중국어 표음 문자 체계로, 고대 한자 형태에서 유래한 37개 자모로 구성되어 대만에서 한자 교육, 컴퓨터 입력, 그리고 대만어와 광둥어 표기에 사용되며, 국제적으로 '보포모포'로 불린다. - 중국어 표기법 - 간체자
간체자는 중국에서 한자를 간략화한 문자로, 중화인민공화국과 싱가포르에서 주로 사용되며 중국 본토의 국가 표준 문자로서 교육 및 출판 등 공식적인 영역에서 널리 쓰인다. - 한국어 한자 - 한글전용과 국한문혼용
한글 전용과 국한문 혼용은 한국어 표기 방식을 두고 한글만을 사용할 것인지, 한자와 한글을 함께 사용할 것인지를 논쟁하는 것으로, 한국의 역사와 사회적 배경 속에서 다양한 쟁점을 통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 한국어 한자 -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는 초등학교 한자 교육 의무화와 공용 문서 등 한자 사용 확대를 주장하며 국어 교육 정상화, 전통 문화 계승 등을 목표로 활동하는 대한민국의 단체로, 한자의 기원을 한민족의 조상에서 찾는 독특한 주장을 펼치기도 한다. - 일본어의 한자 - 당용한자
당용한자는 일본에서 제정된 한자 제한 정책에 따라 선정된 1,850자의 한자 목록으로, 일본어 간소화와 교육 효율성 증진을 위해 공적 영역에서 한자 사용 범위를 제한하는 기준으로 사용되었으며, 상용한자표로 대체되었지만 일본 사회와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일본어의 한자 - 만요가나
만요가나는 7세기경부터 사용된 일본어 표기 방식으로, 한자의 음과 훈을 빌려 일본어를 표기했으며, 히라가나와 가타카나의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정체자 | |
---|---|
언어 체계 | |
유형 | 표의 문자 |
사용 언어 | 중국어 |
발표 | 타이완: 1979년 1982년 홍콩: 1986년 |
계통 | 갑골문 소전 예서 해서 |
자매 문자 | 간체자 한자 한자 쯔놈 주음부호 거란대자 거란소자 방괴장자 |
ISO 15924 | Hant |
쓰기 방향 | 왼쪽에서 오른쪽 위에서 아래, 오른쪽에서 왼쪽 열 |
공식 문자 | 타이완 홍콩 마카오 |
명칭 | |
정체자 | 중국어: 광둥어: zing3 tai2 zi6 객가어: Jing tái jih 웨이드-자일스 표기법: 민어: 광둥어 발음 (예일): 주음 부호: 통용병음: Jhèng-tǐ-zìh |
번체자 | 중국어: 광둥어: faan4 tai2 zi6 객가어: Fàahn tái jih 웨이드-자일스 표기법: 민어: 광둥어 발음 (예일): 주음 부호: 통용병음: Fán-tǐ-zìh |
설명 | 정통 형태의 문자 복잡한 형태의 문자 |
이미지 | |
![]() | |
기타 | |
관련 정보 | 간체자 신자체 |
2. 명칭 논쟁
한자 문화권에서는 전통 한자를 여러 가지로 부르고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주로 '번체자(繁體字)'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대만에서는 '정체자(正體字)'라는 명칭을 사용하는데, 이는 번체자가 정통성을 지닌 표준 자체라는 인식을 반영한다. 중국 대륙에서는 번체자를 '번체자(繁體字)'라고 부르는데, 이는 간체자에 비해 획수가 많고 복잡하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일본에서는 신자체(新字體)에 대비되는 개념으로 '구자체(舊字體)'라고 부른다.
번체자는 지역에 따라 미세한 차이를 보인다. 대한민국, 대만, 홍콩, 마카오에서 사용되는 번체자는 대체로 유사하지만, 일부 글자에서 형태나 획의 차이가 나타난다.
마잉주(馬英九) 전 중화민국 총통(中華民國總統)은 2004년 타이베이시(台北市) 시장 시절 강연에서 "번체자(繁體字)"라는 명칭은 한자 간체화가 진행될 당시 중국 대륙(中国大陸)에서 사용되었고, "번거롭다(煩)"와 통하는 부정적인 평가를 내포하는 불합리하고 잘못된 것이라고 언급하며, "정체자(正體字)"라고 불러야 하는 이유로 오래전부터 전해 내려오는 정통적인 문자라는 점과 속자, 이체자와의 대조를 들었다.[33]
3. 지역별 한자 비교
대만과 홍콩은 모두 번체자 사용 지역이지만, 한자의 용법과 자체에 차이가 있다. 홍콩에서는 과 을 구분해서 쓰지만, 대만에서는 일반적으로 구분하지 않고 로 쓴다. 반대로 대만에서는 와 를 구분해서 쓰지만, 홍콩에서는 로 쓴다. 대만에서는 , 가 규범이지만, 홍콩에서는 , 이다.
대만 | 홍콩 | 신자형 | 간체자 | 한국 | 구자체 | 신자체 |
---|---|---|---|---|---|---|
乘 | 乘 | 乘 | 乘 | 乘 | 乘 | 乗 |
亞 | 亞 | 亞 | 亚 | 亞 | 亞 | 亜 |
假 | 假 | 假 | 假 | 假 | 假 | 仮 |
冷 | 冷 | 冷 | 冷 | 冷 | 冷 | 冷 |
別 | 別 | 别 | 别 | 별 | 별 | 別 |
畫 | 畫 | 畫 | 画 | 화 | 화 | 画 |
劃 | 劃 | 劃 | 划 | 획 | 획 | 劃 |
勛 | 勛 | 勛 | 勋 | 훈 | 훈 | 勲 |
吳 | 吳 | 吴 | 吴 | 오 | 오 | 呉 |
啟 | 啟 | 啓 | 启 | 계 | 계 | 啓 |
圈 | 圈 | 圈 | 圈 | 권 | 권 | 圏 |
圖 | 圖 | 圖 | 图 | 도 | 도 | 図 |
塵 | 塵 | 塵 | 尘 | 먼지 | 먼지 | 塵 |
增 | 增 | 增 | 增 | 증 | 증 | 増 |
壞 | 壞 | 壞 | 坏 | 망가짐 | 망가짐 | 壊 |
奧 | 奧 | 奥 | 奥 | 오스트리아 | 오스트리아 | 奥 |
廠 | 廠 | 廠 | 厂 | 공장 | 공장 | 廠 |
廣 | 廣 | 廣 | 广 | 광 | 광 | 광 |
強 | 強 | 强 | 强 | 강 | 강 | 強 |
從 | 從 | 從 | 从 | 종 | 종 | 従 |
感 | 感 | 感 | 感 | 감 | 감 | 감 |
憲 | 憲 | 憲 | 宪 | 헌법 | 헌법 | 憲 |
戶 | 户 | 户 | 户 | 호 | 호 | 戸 |
臺 | 台 | 臺 | 台 | 대만 | 대만 | 台 |
抬 | 抬 | 抬 | 抬 | 들다 | 들다 | 擡 |
效 | 效 | 效 | 效 | 효과 | 효과 | 効 |
敘 | 敍 | 叙 | 叙 | 서술 | 서술 | 叙 |
於 | 於 | 於 | 于 | 에 | 에 | 於 |
東 | 東 | 東 | 东 | 동쪽 | 동쪽 | 東 |
樂 | 樂 | 樂 | 乐 | 즐거움 | 즐거움 | 楽 |
次 | 次 | 次 | 次 | 차례 | 차례 | 次 |
殺 | 殺 | 殺 | 杀 | 살해 | 살해 | 殺 |
溫 | 温 | 温 | 温 | 온화함 | 온화함 | 温 |
澀 | 澀 | 澀 | 涩 | 떫은 | 떫은 | 渋 |
為 | 為 | 爲 | 为 | ~을 위하여 | ~을 위하여 | 為 |
煙 | 煙 | 烟 | 烟 | 연기 | 연기 | 煙 |
獅 | 獅 | 獅 | 狮 | 사자 | 사자 | 獅 |
發 | 發 | 發 | 发 | 발 | 발 | 発 |
益 | 益 | 益 | 益 | 이익 | 이익 | 益 |
真 | 真 | 真 | 真 | 참 | 참 | 真 |
眾 | 眾 | 衆 | 众 | 무리 | 무리 | 衆 |
祕 | 祕 | 秘 | 秘 | 비밀 | 비밀 | 秘 |
窗 | 窗 | 窗 | 窗 | 창문 | 창문 | 窓 |
經 | 經 | 經 | 经 | 경전 | 경전 | 経 |
群 | 羣 | 群 | 群 | 무리 | 무리 | 群 |
肅 | 肅 | 肅 | 肃 | 엄숙함 | 엄숙함 | 粛 |
腦 | 腦 | 腦 | 脑 | 뇌 | 뇌 | 脳 |
腳 | 腳 | 脚 | 脚 | 발 | 발 | 脚 |
臥 | 卧 | 卧 | 卧 | 눕다 | 눕다 | 臥 |
與 | 與 | 與 | 与 | ~와 | ~와 | 与 |
舉 | 舉 | 舉 | 举 | 들다 | 들다 | 挙 |
花 | 花 | 花 | 花 | 꽃 | 꽃 | 花 |
華 | 華 | 華 | 华 | 화려함 | 화려함 | 華 |
菸 | 菸 | 菸 | 烟 | 담배 | 담배 | 菸 |
藥 | 藥 | 藥 | 药 | 약 | 약 | 薬 |
處 | 處 | 處 | 处 | 곳 | 곳 | 処 |
衛 | 衞 | 衛 | 卫 | 보호하다 | 보호하다 | 衛 |
裡 | 裏 | 裏 | 里 | 안쪽 | 안쪽 | 裏 |
見 | 見 | 見 | 见 | 보이다 | 보이다 | 見 |
角 | 角 | 角 | 角 | 각 | 각 | 角 |
說 | 説 | 説 | 说 | 말하다 | 말하다 | 説 |
讓 | 讓 | 讓 | 让 | 양보하다 | 양보하다 | 譲 |
貝 | 貝 | 貝 | 贝 | 조개 | 조개 | 貝 |
車 | 車 | 車 | 车 | 차 | 차 | 車 |
轉 | 轉 | 轉 | 转 | 돌리다 | 돌리다 | 転 |
選 | 選 | 選 | 选 | 선택하다 | 선택하다 | 選 |
鄉 | 鄉 | 鄉 | 乡 | 시골 | 시골 | 郷 |
錢 | 錢 | 錢 | 钱 | 돈 | 돈 | 銭 |
長 | 長 | 長 | 长 | 길다 | 길다 | 長 |
門 | 門 | 門 | 门 | 문 | 문 | 門 |
雜 | 雜 | 雜 | 杂 | 잡다한 | 잡다한 | 雑 |
雞 | 雞 | 鷄 | 鸡 | 닭 | 닭 | 鶏 |
靜 | 靜 | 静 | 静 | 조용한 | 조용한 | 静 |
飲 | 飲 | 飲 | 饮 | 마시다 | 마시다 | 飲 |
馬 | 馬 | 馬 | 马 | 말 | 말 | 馬 |
骨 | 骨 | 骨 | 骨 | 뼈 | 뼈 | 骨 |
體 | 體 | 體 | 体 | 몸 | 몸 | 体 |
髮 | 髮 | 髮 | 发 | 머리카락 | 머리카락 | 髪 |
鬥 | 鬥 | 鬥 | 斗 | 싸움 | 싸움 | 闘 |
鳥 | 鳥 | 鳥 | 鸟 | 새 | 새 | 鳥 |
鹽 | 鹽 | 鹽 | 盐 | 소금 | 소금 | 塩 |
麥 | 麥 | 麥 | 麦 | 보리 | 보리 | 麦 |
麵 | 麪 | 麵 | 面 | 면 | 면 | 麺 |
麻 | 麻 | 麻 | 麻 | 삼 | 삼 | 麻 |
麼 | 麼 | 麽 | 么 | 어찌 | 어찌 | 麼 |
黃 | 黃 | 黄 | 黄 | 누런 | 누런 | 黄 |
鼻 | 鼻 | 鼻 | 鼻 | 코 | 코 | 鼻 |
齊 | 齊 | 齊 | 齐 | 가지런하다 | 가지런하다 | 斉 |
齋 | 齋 | 齋 | 斋 | 제사 | 제사 | 斎 |
龍 | 龍 | 龍 | 龙 | 용 | 용 | 竜 |
龜 | 龜 | 龜 | 龟 | 거북이 | 거북이 | 亀 |
3. 1. 대한민국
대한민국에서 사용하는 한자는 강희자전체를 기본으로 하며, 중국의 현행 규범보다는 일본의 구자체에 가깝다. 한글 전용 정책으로 인해 한자 사용이 감소했지만, 여전히 번체자는 고유 명사, 학술 용어, 예술 작품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한국에서는 한글 전용 정책이 시행되어 한자의 간략화가 공식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래서 조선 한자(한국어로 “한자”)를 “번체자”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Ken Lunde의 『CJKV 일중한월 정보 처리』에서는 “KS X 1001:1992에 규정되어 있는 한자는 번체자로 생각할 수 있다”라고 언급하고 있다. 하지만 중국어 번체자 규범과는 용자법 및 글자체에 차이가 있다.
대만 | 홍콩, 마카오 | 간체자 | 한국 | 일본신자체 |
---|---|---|---|---|
乘 | 乘 | 乘 | 乘 | 乗 |
亞 | 亞 | 亚 | 亞 | 亜 |
假 | 假 | 假 | 假 | 仮 |
冷 | 冷 | 冷 | 冷 | 冷 |
別 | 別 | 别 | 別 | 別 |
畫 | 畫 | 画 | 畵 | 画 |
劃 | 劃 | 划 | 劃 | 劃 |
勛 | 勛 | 勋 | 勳 | 勲 |
吳 | 吳 | 吴 | 吳 | 呉 |
啟 | 啟 | 启 | 啓 | 啓 |
圈 | 圈 | 圈 | 圈 | 圏 |
圖 | 圖 | 图 | 圖 | 図 |
塵 | 塵 | 尘 | 塵 | 塵 |
增 | 增 | 增 | 增 | 増 |
壞 | 壞 | 坏 | 壞 | 壊 |
奧 | 奧 | 奥 | 奧 | 奥 |
廠 | 廠 | 厂 | 廠 | 場 |
廣 | 廣 | 广 | 廣 | 広 |
強 | 強 | 强 | 强 | 強 |
從 | 從 | 从 | 從 | 従 |
感 | 感 | 感 | 感 | 感 |
戶 | 户 | 户 | 戶 | 戸 |
臺 | 台 | 台 | 臺 | 台 |
抬 | 抬 | 抬 | 擡 | 擡 |
效 | 效 | 效 | 效 | 効 |
敘 | 敍 | 叙 | 敍 | 叙 |
於 | 於 | 于 | 於 | 於 |
東 | 東 | 东 | 東 | 東 |
樂 | 樂 | 乐 | 樂 | 楽 |
次 | 次 | 次 | 次 | 次 |
溫 | 温 | 温 | 溫 | 温 |
溼 | 濕 | 湿 | 濕 | 湿 |
澀 | 澀 | 涩 | 澁 | 渋 |
為 | 為 | 为 | 爲 | 為 |
煙 | 煙 | 烟 | 煙 | 煙 |
獅 | 獅 | 狮 | 獅 | 獅 |
發 | 發 | 发 | 發 | 発 |
益 | 益 | 益 | 益 | 益 |
真 | 真 | 真 | 眞 | 真 |
眾 | 眾 | 众 | 衆 | 衆 |
祕 | 祕 | 秘 | 秘 | 秘 |
窗 | 窗 | 窗 | 窓 | 窓 |
經 | 經 | 经 | 經 | 経 |
群 | 羣 | 群 | 群 | 群 |
肅 | 肅 | 肃 | 肅 | 粛 |
腦 | 腦 | 脑 | 腦 | 脳 |
卻 | 卻 | 却 | 却 | 却 |
腳 | 腳 | 脚 | 脚 | 脚 |
臥 | 卧 | 卧 | 臥 | 臥 |
與 | 與 | 与 | 與 | 与 |
舉 | 舉 | 举 | 擧 | 挙 |
華 | 華 | 华 | 華 | 華 |
菸 | 菸 | 烟 | 菸 | 菸 |
藥 | 藥 | 药 | 藥 | 薬 |
處 | 處 | 处 | 處 | 処 |
衛 | 衞 | 卫 | 衛 | 衛 |
裡 | 裏 | 里 | 裏 | 裏 |
見 | 見 | 见 | 見 | 見 |
說 | 説 | 说 | 說 | 説 |
讓 | 讓 | 让 | 讓 | 譲 |
貝 | 貝 | 贝 | 貝 | 貝 |
車 | 車 | 车 | 車 | 車 |
轉 | 轉 | 转 | 轉 | 転 |
選 | 選 | 选 | 選 | 選 |
錢 | 錢 | 钱 | 錢 | 銭 |
長 | 長 | 长 | 長 | 長 |
門 | 門 | 门 | 門 | 門 |
雜 | 雜 | 杂 | 雜 | 雑 |
雞 | 雞 | 鸡 | 鷄 | 鶏 |
靜 | 靜 | 静 | 靜 | 静 |
馬 | 馬 | 马 | 馬 | 馬 |
骨 | 骨 | 骨 | 骨 | 骨 |
體 | 體 | 体 | 體 | 体 |
髮 | 髮 | 发 | 髮 | 髪 |
鬥 | 鬥 | 斗 | 鬪 | 闘 |
鳥 | 鳥 | 鸟 | 鳥 | 鳥 |
鹽 | 鹽 | 盐 | 鹽 | 塩 |
麥 | 麥 | 麦 | 麥 | 麦 |
麵 | 麪 | 面 | 麵 | 麺 |
麻 | 麻 | 麻 | 麻 | 麻 |
麼 | 麼 | 么 | 麼 | 麼 |
黃 | 黃 | 黄 | 黃 | 黄 |
鼻 | 鼻 | 鼻 | 鼻 | 鼻 |
齊 | 齊 | 齐 | 齊 | 斉 |
齋 | 齋 | 斋 | 齋 | 斎 |
龍 | 龍 | 龙 | 龍 | 竜 |
龜 | 龜 | 龟 | 龜 | 亀 |
3. 2. 대만
대만의 표준 자체는 '국자표준자체(國字標準字體)'로 규정되어 있으며, 중화민국 교육부가 발표한 상용국자표준자체표(常用國字標準字體表) 등에 따른다.[21][22][23][24] 타이완은 간체자를 채택한 적이 없다. 타이완 정부는 정부 문서 및 교육 환경에서 간체자 사용을 권장하지 않는다.번체자와 간체자의 관계는 일본 한자에서 "메이지 이후 행해져 온 활자의 자체"(구자체)와 당용한자 이후의 "현대의 통용 자체"(신자체)와의 관계와 거의 일치한다. 다만 일본에서 말하는 "구자체"와는 달리, 번체자는 대만이나 홍콩 등에서는 현재도 표준적인 자체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개별적인 글자를 보면, 번체자는 구자체와 자체가 같은 것이 있지만, 다른 것도 있다. 현행의 규범과 습관에 따른 번체자서체는 일본에서 메이지 이후 행해져 온 활자의 것과는 자체나 디자인 면 등에서 다른 점이 많다.
대만과 홍콩은 모두 번체자 사용 지역이지만, 한자의 용법과 자체에 차이가 보인다. 홍콩에서는 과 을 구분해서 쓰지만, 대만에서는 일반적으로 구분하지 않고 로 쓴다. 반대로 대만에서는 와 를 구분해서 쓰지만, 홍콩에서는 일률적으로 로 쓴다. 대만에서는 가 규범으로 여겨지지만, 홍콩에서는 이다.
대만 | 홍콩 | 신자형 | 간체자 | 한국 | 구자체 | 신자체 |
---|---|---|---|---|---|---|
乘 | 乘 | 乘 | 乘 | 乘 | 乘 | 乗 |
亞 | 亞 | 亞 | 亚 | 亞 | 亞 | 亜 |
假 | 假 | 假 | 假 | 假 | 假 | 仮 |
冷 | 冷 | 冷 | 冷 | 冷 | 冷 | 冷 |
別 | 別 | 别 | 别 | 별 | 별 | 別 |
畫 | 畫 | 畫 | 画 | 화 | 화 | 画 |
劃 | 劃 | 劃 | 划 | 획 | 획 | 劃 |
勛 | 勛 | 勛 | 勋 | 훈 | 훈 | 勲 |
吳 | 吳 | 吴 | 吴 | 오 | 오 | 呉 |
啟 | 啟 | 啓 | 启 | 계 | 계 | 啓 |
圈 | 圈 | 圈 | 圈 | 권 | 권 | 圏 |
圖 | 圖 | 圖 | 图 | 도 | 도 | 図 |
塵 | 塵 | 塵 | 尘 | 먼지 | 먼지 | 塵 |
增 | 增 | 增 | 增 | 증 | 증 | 増 |
壞 | 壞 | 壞 | 坏 | 망가짐 | 망가짐 | 壊 |
奧 | 奧 | 奥 | 奥 | 오스트리아 | 오스트리아 | 奥 |
廠 | 廠 | 廠 | 厂 | 공장 | 공장 | 廠 |
廣 | 廣 | 廣 | 广 | 광 | 광 | 광 |
強 | 強 | 强 | 强 | 강 | 강 | 強 |
從 | 從 | 從 | 从 | 종 | 종 | 従 |
感 | 感 | 感 | 感 | 감 | 감 | 감 |
憲 | 憲 | 憲 | 宪 | 헌법 | 헌법 | 憲 |
戶 | 户 | 户 | 户 | 호 | 호 | 戸 |
臺 | 台 | 臺 | 台 | 대만 | 대만 | 台 |
抬 | 抬 | 抬 | 抬 | 들다 | 들다 | 擡 |
效 | 效 | 效 | 效 | 효과 | 효과 | 効 |
敘 | 敍 | 叙 | 叙 | 서술 | 서술 | 叙 |
於 | 於 | 於 | 于 | 에 | 에 | 於 |
東 | 東 | 東 | 东 | 동쪽 | 동쪽 | 東 |
樂 | 樂 | 樂 | 乐 | 즐거움 | 즐거움 | 楽 |
次 | 次 | 次 | 次 | 차례 | 차례 | 次 |
殺 | 殺 | 殺 | 杀 | 살해 | 살해 | 殺 |
溫 | 温 | 温 | 温 | 온화함 | 온화함 | 温 |
澀 | 澀 | 澀 | 涩 | 떫은 | 떫은 | 渋 |
為 | 為 | 爲 | 为 | ~을 위하여 | ~을 위하여 | 為 |
煙 | 煙 | 烟 | 烟 | 연기 | 연기 | 煙 |
獅 | 獅 | 獅 | 狮 | 사자 | 사자 | 獅 |
發 | 發 | 發 | 发 | 발 | 발 | 発 |
益 | 益 | 益 | 益 | 이익 | 이익 | 益 |
真 | 真 | 真 | 真 | 참 | 참 | 真 |
眾 | 眾 | 衆 | 众 | 무리 | 무리 | 衆 |
祕 | 祕 | 秘 | 秘 | 비밀 | 비밀 | 秘 |
窗 | 窗 | 窗 | 窗 | 창문 | 창문 | 窓 |
經 | 經 | 經 | 经 | 경전 | 경전 | 経 |
群 | 羣 | 群 | 群 | 무리 | 무리 | 群 |
肅 | 肅 | 肅 | 肃 | 엄숙함 | 엄숙함 | 粛 |
腦 | 腦 | 腦 | 脑 | 뇌 | 뇌 | 脳 |
腳 | 腳 | 脚 | 脚 | 발 | 발 | 脚 |
臥 | 卧 | 卧 | 卧 | 눕다 | 눕다 | 臥 |
與 | 與 | 與 | 与 | ~와 | ~와 | 与 |
舉 | 舉 | 舉 | 举 | 들다 | 들다 | 挙 |
花 | 花 | 花 | 花 | 꽃 | 꽃 | 花 |
華 | 華 | 華 | 华 | 화려함 | 화려함 | 華 |
菸 | 菸 | 菸 | 烟 | 담배 | 담배 | 菸 |
藥 | 藥 | 藥 | 药 | 약 | 약 | 薬 |
處 | 處 | 處 | 处 | 곳 | 곳 | 処 |
衛 | 衞 | 衛 | 卫 | 보호하다 | 보호하다 | 衛 |
裡 | 裏 | 裏 | 里 | 안쪽 | 안쪽 | 裏 |
見 | 見 | 見 | 见 | 보이다 | 보이다 | 見 |
角 | 角 | 角 | 角 | 각 | 각 | 角 |
說 | 説 | 説 | 说 | 말하다 | 말하다 | 説 |
讓 | 讓 | 讓 | 让 | 양보하다 | 양보하다 | 譲 |
貝 | 貝 | 貝 | 贝 | 조개 | 조개 | 貝 |
車 | 車 | 車 | 车 | 차 | 차 | 車 |
轉 | 轉 | 轉 | 转 | 돌리다 | 돌리다 | 転 |
選 | 選 | 選 | 选 | 선택하다 | 선택하다 | 選 |
鄉 | 鄉 | 鄉 | 乡 | 시골 | 시골 | 郷 |
錢 | 錢 | 錢 | 钱 | 돈 | 돈 | 銭 |
長 | 長 | 長 | 长 | 길다 | 길다 | 長 |
門 | 門 | 門 | 门 | 문 | 문 | 門 |
雜 | 雜 | 雜 | 杂 | 잡다한 | 잡다한 | 雑 |
雞 | 雞 | 鷄 | 鸡 | 닭 | 닭 | 鶏 |
靜 | 靜 | 静 | 静 | 조용한 | 조용한 | 静 |
飲 | 飲 | 飲 | 饮 | 마시다 | 마시다 | 飲 |
馬 | 馬 | 馬 | 马 | 말 | 말 | 馬 |
骨 | 骨 | 骨 | 骨 | 뼈 | 뼈 | 骨 |
體 | 體 | 體 | 体 | 몸 | 몸 | 体 |
髮 | 髮 | 髮 | 发 | 머리카락 | 머리카락 | 髪 |
鬥 | 鬥 | 鬥 | 斗 | 싸움 | 싸움 | 闘 |
鳥 | 鳥 | 鳥 | 鸟 | 새 | 새 | 鳥 |
鹽 | 鹽 | 鹽 | 盐 | 소금 | 소금 | 塩 |
麥 | 麥 | 麥 | 麦 | 보리 | 보리 | 麦 |
麵 | 麪 | 麵 | 面 | 면 | 면 | 麺 |
麻 | 麻 | 麻 | 麻 | 삼 | 삼 | 麻 |
麼 | 麼 | 麽 | 么 | 어찌 | 어찌 | 麼 |
黃 | 黃 | 黄 | 黄 | 누런 | 누런 | 黄 |
鼻 | 鼻 | 鼻 | 鼻 | 코 | 코 | 鼻 |
齊 | 齊 | 齊 | 齐 | 가지런하다 | 가지런하다 | 斉 |
齋 | 齋 | 齋 | 斋 | 제사 | 제사 | 斎 |
龍 | 龍 | 龍 | 龙 | 용 | 용 | 竜 |
龜 | 龜 | 龜 | 龟 | 거북이 | 거북이 | 亀 |
3. 3. 홍콩
홍콩의 표준 자체는 상용자자형표에 의해 규정되며, 대만의 국자표준자체와 대부분 일치한다.대만 | 홍콩 | 신자형 | 간체자 | 한국 | 구자체 | 신자체 |
---|---|---|---|---|---|---|
乘 | 乘 | 乘 | 乘 | 乘 | 乘 | 乗 |
亞 | 亞 | 亞 | 亚 | 亞 | 亞 | 亜 |
假 | 假 | 假 | 假 | 假 | 假 | 仮 |
冷 | 冷 | 冷 | 冷 | 冷 | 冷 | 冷 |
別 | 別 | 别 | 别 | 별 | 별 | 別 |
畫 | 畫 | 畫 | 画 | 화 | 화 | 画 |
劃 | 劃 | 劃 | 划 | 획 | 획 | 劃 |
勛 | 勛 | 勛 | 勋 | 훈 | 훈 | 勲 |
吳 | 吳 | 吴 | 吴 | 오 | 오 | 呉 |
啟 | 啟 | 啓 | 启 | 계 | 계 | 啓 |
圈 | 圈 | 圈 | 圈 | 권 | 권 | 圏 |
圖 | 圖 | 圖 | 图 | 도 | 도 | 図 |
塵 | 塵 | 塵 | 尘 | 먼지 | 먼지 | 塵 |
增 | 增 | 增 | 增 | 증 | 증 | 増 |
壞 | 壞 | 壞 | 坏 | 망가짐 | 망가짐 | 壊 |
奧 | 奧 | 奥 | 奥 | 오스트리아 | 오스트리아 | 奥 |
廠 | 廠 | 廠 | 厂 | 공장 | 공장 | 廠 |
廣 | 廣 | 廣 | 广 | 광 | 광 | 광 |
強 | 強 | 强 | 强 | 강 | 강 | 強 |
從 | 從 | 從 | 从 | 종 | 종 | 従 |
感 | 感 | 感 | 感 | 감 | 감 | 감 |
憲 | 憲 | 憲 | 宪 | 헌법 | 헌법 | 憲 |
戶 | 户 | 户 | 户 | 호 | 호 | 戸 |
臺 | 台 | 臺 | 台 | 대만 | 대만 | 台 |
抬 | 抬 | 抬 | 抬 | 들다 | 들다 | 擡 |
效 | 效 | 效 | 效 | 효과 | 효과 | 効 |
敘 | 敍 | 叙 | 叙 | 서술 | 서술 | 叙 |
於 | 於 | 於 | 于 | 에 | 에 | 於 |
東 | 東 | 東 | 东 | 동쪽 | 동쪽 | 東 |
樂 | 樂 | 樂 | 乐 | 즐거움 | 즐거움 | 楽 |
次 | 次 | 次 | 次 | 차례 | 차례 | 次 |
殺 | 殺 | 殺 | 杀 | 살해 | 살해 | 殺 |
溫 | 温 | 温 | 温 | 온화함 | 온화함 | 温 |
澀 | 澀 | 澀 | 涩 | 떫은 | 떫은 | 渋 |
為 | 為 | 爲 | 为 | ~을 위하여 | ~을 위하여 | 為 |
煙 | 煙 | 烟 | 烟 | 연기 | 연기 | 煙 |
獅 | 獅 | 獅 | 狮 | 사자 | 사자 | 獅 |
發 | 發 | 發 | 发 | 발 | 발 | 発 |
益 | 益 | 益 | 益 | 이익 | 이익 | 益 |
真 | 真 | 真 | 真 | 참 | 참 | 真 |
眾 | 眾 | 衆 | 众 | 무리 | 무리 | 衆 |
祕 | 祕 | 秘 | 秘 | 비밀 | 비밀 | 秘 |
窗 | 窗 | 窗 | 窗 | 창문 | 창문 | 窓 |
經 | 經 | 經 | 经 | 경전 | 경전 | 経 |
群 | 羣 | 群 | 群 | 무리 | 무리 | 群 |
肅 | 肅 | 肅 | 肃 | 엄숙함 | 엄숙함 | 粛 |
腦 | 腦 | 腦 | 脑 | 뇌 | 뇌 | 脳 |
腳 | 腳 | 脚 | 脚 | 발 | 발 | 脚 |
臥 | 卧 | 卧 | 卧 | 눕다 | 눕다 | 臥 |
與 | 與 | 與 | 与 | ~와 | ~와 | 与 |
舉 | 舉 | 舉 | 举 | 들다 | 들다 | 挙 |
花 | 花 | 花 | 花 | 꽃 | 꽃 | 花 |
華 | 華 | 華 | 华 | 화려함 | 화려함 | 華 |
菸 | 菸 | 菸 | 烟 | 담배 | 담배 | 菸 |
藥 | 藥 | 藥 | 药 | 약 | 약 | 薬 |
處 | 處 | 處 | 处 | 곳 | 곳 | 処 |
衛 | 衞 | 衛 | 卫 | 보호하다 | 보호하다 | 衛 |
裡 | 裏 | 裏 | 里 | 안쪽 | 안쪽 | 裏 |
見 | 見 | 見 | 见 | 보이다 | 보이다 | 見 |
角 | 角 | 角 | 角 | 각 | 각 | 角 |
說 | 説 | 説 | 说 | 말하다 | 말하다 | 説 |
讓 | 讓 | 讓 | 让 | 양보하다 | 양보하다 | 譲 |
貝 | 貝 | 貝 | 贝 | 조개 | 조개 | 貝 |
車 | 車 | 車 | 车 | 차 | 차 | 車 |
轉 | 轉 | 轉 | 转 | 돌리다 | 돌리다 | 転 |
選 | 選 | 選 | 选 | 선택하다 | 선택하다 | 選 |
鄉 | 鄉 | 鄉 | 乡 | 시골 | 시골 | 郷 |
錢 | 錢 | 錢 | 钱 | 돈 | 돈 | 銭 |
長 | 長 | 長 | 长 | 길다 | 길다 | 長 |
門 | 門 | 門 | 门 | 문 | 문 | 門 |
雜 | 雜 | 雜 | 杂 | 잡다한 | 잡다한 | 雑 |
雞 | 雞 | 鷄 | 鸡 | 닭 | 닭 | 鶏 |
靜 | 靜 | 静 | 静 | 조용한 | 조용한 | 静 |
飲 | 飲 | 飲 | 饮 | 마시다 | 마시다 | 飲 |
馬 | 馬 | 馬 | 马 | 말 | 말 | 馬 |
骨 | 骨 | 骨 | 骨 | 뼈 | 뼈 | 骨 |
體 | 體 | 體 | 体 | 몸 | 몸 | 体 |
髮 | 髮 | 髮 | 发 | 머리카락 | 머리카락 | 髪 |
鬥 | 鬥 | 鬥 | 斗 | 싸움 | 싸움 | 闘 |
鳥 | 鳥 | 鳥 | 鸟 | 새 | 새 | 鳥 |
鹽 | 鹽 | 鹽 | 盐 | 소금 | 소금 | 塩 |
麥 | 麥 | 麥 | 麦 | 보리 | 보리 | 麦 |
麵 | 麪 | 麵 | 面 | 면 | 면 | 麺 |
麻 | 麻 | 麻 | 麻 | 삼 | 삼 | 麻 |
麼 | 麼 | 麽 | 么 | 어찌 | 어찌 | 麼 |
黃 | 黃 | 黄 | 黄 | 누런 | 누런 | 黄 |
鼻 | 鼻 | 鼻 | 鼻 | 코 | 코 | 鼻 |
齊 | 齊 | 齊 | 齐 | 가지런하다 | 가지런하다 | 斉 |
齋 | 齋 | 齋 | 斋 | 제사 | 제사 | 斎 |
龍 | 龍 | 龍 | 龙 | 용 | 용 | 竜 |
龜 | 龜 | 龜 | 龟 | 거북이 | 거북이 | 亀 |
3. 4. 중국 대륙
중국 대륙의 인쇄 표준 자체는 '신자형(新字形)'이라고 통칭되며, 간체자와 마찬가지로 번체자에도 적용된다. 신자형은 현대한어통용자표(1988년), 통용규범한자표(2013년) 등에 기반한다.[15] 권위 있는 사전인 『신화사전』, 『현대한어사전』에 나오는 번체자, 이체자에도 원칙적으로 신자형이 적용된다.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간체자가 공식 문자이지만, 번체자 사용을 금지하는 법률은 없다. 따라서 상점 간판, 광고 등 미적, 상업적 목적이나 문화재, 종교 건물, 교육 기관, 역사적 유적 등에는 번체자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12] 특히 의례, 문화, 학술 연구, 예술/장식 목적으로 번체자가 계속 사용되고 있다.[12]
중국 본토에서 발행되는 사전에는 일반적으로 간체자와 번체자가 모두 표시된다.[14] 중국은 홍콩, 마카오, 대만 및 해외 중국인을 위한 자료를 번체자로 인쇄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인민일보의 여러 버전이 번체자로 인쇄되며, 신화사는 Big5 인코딩을 사용하는 번체자 웹사이트 버전을 제공한다.[16][17]

4. 컴퓨터와 번체자
번체자 폰트는 Big5-1984를 기본 문자 집합으로 사용해 왔다. 일본에서 판매되는 제품은 Big5-1984 범위에 머무르는 경우가 많다. 홍콩 등에서는 폰트 제작사가 자체적으로 확장한 제품을 판매했다. 유니코드 보급과 함께 Big5를 기반으로 CJK 통합 한자를 지원하거나 HKSCS 및 Big5 확장 규격에 대응하는 폰트도 OS 패키지나 업데이트·확장 기능, 시판품,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등을 통해 보급되고 있다.
한편, 간체중국어 폰트도 GBK, GB 18030 등의 문자 집합을 확장하면서 번체자를 지원하게 되었다. 중국 국가 규격에는 서체에 대한 규정도 있으며, 간체중국어 폰트는 비트맵 폰트와 GB 2312만 있던 시대부터 중국 대륙의 서체 규범에 따라 디자인되었다. GB 18030 대응 폰트도 규격 준수가 요구되며, 포함된 번체자의 대부분은 「신자형」에 따른 디자인이다(신자형의 奥|아오중국어, 吴|우중국어가 별도로 포함된 奧|아오중국어, 吳|우중국어와 같은 글자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대만과 홍콩 정부는 서체 관련 규범 준수를 적극적으로 요구하지 않았기 때문에, Big5 계열 폰트가 규범에 완벽하게 부합하는 경우는 드물었다. 그렇지만, 해서체 요소를 도입한 예가 있으며, 일본의 「메이지 이후 행해져 온 활자의 서체」보다 대만과 홍콩의 규범에 가까운 경우가 많다.
2005년경부터 특히 대만의 서체 규범에 부합하는 폰트 보급이 활발해지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의 경우 윈도 비스타 이후 버전부터 마이크로소프트 정흑체(微軟正黑體), 신세명체)가, 애플 macOS의 경우 OS X 10.11 El Capitan 이후 버전부터 핑팡(蘋方-繁〈PingFang TC〉)이 국자표준자체에 준거하여 제공되고 있다. Adobe가 구글 등과 공동 개발한 오픈 소스 글꼴의 繁体字판 본고딕(Source Han Sans TC)과 명조체에 해당하는 본명조(Source Han Serif TC)는 국자표준자체에 대응한다.
蘋方에는 「蘋方-港 (PingFang HK)」, 본고딕 버전 2.00 이후에는 「본고딕 홍콩 (Source Han Sans HC)」이라는 홍콩 자형 변형도 있다.
세계인권선언 제1조를 국자표준자체와 현재 사용 중인 폰트를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국자표준자체 | 사용 중인 폰트 |
---|---|
-- | 人人生來自由, 在尊嚴和權利上一律平等。 他們有理性和良心, 請以手足關係的精神相對待。 |
4. 1. 문자 집합
다음은 정체자(번체자)를 표현하기 위한 여러 문자 집합에 대한 설명이다.- Big5: 1984년 대만에서 제정된 문자 집합으로, 번체자권에서 사실상 표준으로 사용된다. 기본 세트인 오리지널은 '''Big5-1984'''라고도 불린다.
- CNS 11643: 중화민국의 국가 규격으로, Big5를 기반으로 만들어졌다.[1]
- GB 12345-90: 중화인민공화국의 국가 규격으로, 간체자 중국어의 기본 문자 집합인 GB 2312의 번체자판이다.[2]
- CJK 통합 한자: 유니코드 및 UCS 제정에 따라 중국, 일본, 한국의 한자를 통합한 문자 집합이다.[3]
- GBK: 중화인민공화국의 문자 집합으로, GB 2312를 확장하여 당시의 CJK 통합 한자를 모두 포함하며 번체자도 포함한다.[4]
- 홍콩 증보 문자 집합(HKSCS): 홍콩 정부가 Big5를 확장하여 제정한 문자 집합으로, 방언자와 홍콩에서 자주 쓰이는 이체자를 포함한다.[5]
- GB 18030: 중화인민공화국의 국가 규격으로, GBK를 더욱 확장한 것이다.[6]
대만 | 홍콩 | 신자형 | 간체자 | 한국 | 구자체 | 신자체 |
---|---|---|---|---|---|---|
乘 | (乘) | 乘 | 乘 | 乘 | 乘 | 乗 |
亞 | (亞) | 亞 | 亚 | 亞 | 亞 | 亜 |
假 | (假) | 假 | 假 | 假 | 假 | 仮 |
冷 | (冷) | 冷 | 冷 | 冷 | 冷 | 冷 |
別 | (別) | 别 | 别 | 별 | 별 | 別 |
畫 | (畫) | 畫 | 画 | 화 | 화 | 画 |
劃 | (劃) | 劃 | 划 | 획 | 획 | 劃 |
勛 | (勛) | 勛 | 勋 | 훈 | 훈 | 勲 |
吳 | (吳) | 吴 | 吴 | 오 | 오 | 呉 |
啟 | 啟 | 啓 | 启 | 계 | 계 | 啓 |
圈 | (圈) | 圈 | 圈 | 권 | 권 | 圏 |
圖 | (圖) | 圖 | 图 | 도 | 도 | 図 |
塵 | (塵) | 塵 | 尘 | 먼지 | 먼지 | 塵 |
增 | (增) | 增 | 增 | 증 | 증 | 増 |
壞 | (壞) | 壞 | 坏 | 망가짐 | 망가짐 | 壊 |
奧 | 奧 | 奥 | 奥 | 오스트리아 | 오스트리아 | 奥 |
廠 | (廠) | 廠 | 厂 | 공장 | 공장 | 廠 |
廣 | 廣 | 廣 | 广 | 광 | 광 | 광 |
強 | (強) | 强 | 强 | 강 | 강 | 強 |
從 | (從) | 從 | 从 | 종 | 종 | 従 |
感 | 感 | 感 | 感 | 감 | 감 | 감 |
憲 | 憲 | 憲 | 宪 | 헌법 | 헌법 | 憲 |
戶 | 户 | 户 | 户 | 호 | 호 | 戸 |
臺 | 台 | 臺 | 台 | 대만 | 대만 | 台 |
抬 | (抬) | 抬 | 抬 | 들다 | 들다 | 擡 |
效 | (效) | 效 | 效 | 효과 | 효과 | 効 |
敘 | 敍 | 叙 | 叙 | 서술 | 서술 | 叙 |
於 | 於 | 於 | 于 | 에 | 에 | 於 |
東 | (東) | 東 | 东 | 동쪽 | 동쪽 | 東 |
樂 | 樂 | 樂 | 乐 | 즐거움 | 즐거움 | 楽 |
次 | 次 | 次 | 次 | 차례 | 차례 | 次 |
殺 | (殺) | 殺 | 杀 | 살해 | 살해 | 殺 |
溫 | 温 | 温 | 温 | 온화함 | 온화함 | 温 |
澀 | (澀) | 澀 | 涩 | 떫은 | 떫은 | 渋 |
為 | (為) | 爲 | 为 | ~을 위하여 | ~을 위하여 | 為 |
煙 | (煙) | 烟 | 烟 | 연기 | 연기 | 煙 |
獅 | (獅) | 獅 | 狮 | 사자 | 사자 | 獅 |
發 | (發) | 發 | 发 | 발 | 발 | 発 |
益 | (益) | 益 | 益 | 이익 | 이익 | 益 |
真 | (真) | 真 | 真 | 참 | 참 | 真 |
眾 | (眾) | 衆 | 众 | 무리 | 무리 | 衆 |
祕 | (祕) | 秘 | 秘 | 비밀 | 비밀 | 秘 |
窗 | 窗 | 窗 | 窗 | 창문 | 창문 | 窓 |
經 | (經) | 經 | 经 | 경전 | 경전 | 経 |
群 | 羣 | 群 | 群 | 무리 | 무리 | 群 |
肅 | 肅 | 肅 | 肃 | 엄숙함 | 엄숙함 | 粛 |
腦 | (腦) | 腦 | 脑 | 뇌 | 뇌 | 脳 |
腳 | (腳) | 脚 | 脚 | 발 | 발 | 脚 |
臥 | 卧 | 卧 | 卧 | 눕다 | 눕다 | 臥 |
與 | 與 | 與 | 与 | ~와 | ~와 | 与 |
舉 | 舉 | 舉 | 举 | 들다 | 들다 | 挙 |
花 | 花 | 花 | 花 | 꽃 | 꽃 | 花 |
華 | (華) | 華 | 华 | 화려함 | 화려함 | 華 |
菸 | 菸 | 菸 | 烟 | 담배 | 담배 | 菸 |
藥 | 藥 | 藥 | 药 | 약 | 약 | 薬 |
處 | 處 | 處 | 处 | 곳 | 곳 | 処 |
衛 | 衞 | 衛 | 卫 | 보호하다 | 보호하다 | 衛 |
裡 | 裏 | 裏 | 里 | 안쪽 | 안쪽 | 裏 |
見 | (見) | 見 | 见 | 보이다 | 보이다 | 見 |
角 | (角) | 角 | 角 | 각 | 각 | 角 |
說 | 説 | 説 | 说 | 말하다 | 말하다 | 説 |
讓 | (讓) | 讓 | 让 | 양보하다 | 양보하다 | 譲 |
貝 | (貝) | 貝 | 贝 | 조개 | 조개 | 貝 |
車 | (車) | 車 | 车 | 차 | 차 | 車 |
轉 | (轉) | 轉 | 转 | 돌리다 | 돌리다 | 転 |
選 | 選 | 選 | 选 | 선택하다 | 선택하다 | 選 |
鄉 | (鄉) | 鄉 | 乡 | 시골 | 시골 | 郷 |
錢 | (錢) | 錢 | 钱 | 돈 | 돈 | 銭 |
長 | (長) | 長 | 长 | 길다 | 길다 | 長 |
門 | (門) | 門 | 门 | 문 | 문 | 門 |
雜 | (雜) | 雜 | 杂 | 잡다한 | 잡다한 | 雑 |
雞 | (雞) | 鷄 | 鸡 | 닭 | 닭 | 鶏 |
靜 | 靜 | 静 | 静 | 조용한 | 조용한 | 静 |
飲 | (飲) | 飲 | 饮 | 마시다 | 마시다 | 飲 |
馬 | (馬) | 馬 | 马 | 말 | 말 | 馬 |
骨 | 骨 | 骨 | 骨 | 뼈 | 뼈 | 骨 |
體 | 體 | 體 | 体 | 몸 | 몸 | 体 |
髮 | (髮) | 髮 | 发 | 머리카락 | 머리카락 | 髪 |
鬥 | (鬥) | 鬥 | 斗 | 싸움 | 싸움 | 闘 |
鳥 | (鳥) | 鳥 | 鸟 | 새 | 새 | 鳥 |
鹽 | (鹽) | 鹽 | 盐 | 소금 | 소금 | 塩 |
麥 | 麥 | 麥 | 麦 | 보리 | 보리 | 麦 |
麵 | 麪 | 麵 | 面 | 면 | 면 | 麺 |
麻 | 麻 | 麻 | 麻 | 삼 | 삼 | 麻 |
麼 | 麼 | 麽 | 么 | 어찌 | 어찌 | 麼 |
黃 | 黃 | 黄 | 黄 | 누런 | 누런 | 黄 |
鼻 | (鼻) | 鼻 | 鼻 | 코 | 코 | 鼻 |
齊 | 齊 | 齊 | 齐 | 가지런하다 | 가지런하다 | 斉 |
齋 | 齋 | 齋 | 斋 | 제사 | 제사 | 斎 |
龍 | 龍 | 龍 | 龙 | 용 | 용 | 竜 |
龜 | 龜 | 龜 | 龟 | 거북이 | 거북이 | 亀 |
4. 2. 입력 방식
컴퓨터로 번체자를 입력하기 위해 다양한 입력기(IME)가 존재한다. 특히 방언에서 쓰이는 많은 변형 문자들은 유니코드에 포함되어 있지만, 특정 입력기로는 입력할 수 없다. 예를 들어, 표준 중국어 嗎|마중국어 대신 사용되는 상하이 방언 伐|와중국어에 口|입 구중국어 획을 더한 문자가 그러하다.4. 3. 글꼴
번체자 글꼴은 Big5-1984를 기본 문자 집합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최근에는 유니코드의 보급과 함께 CJK 통합 한자를 지원하거나 HKSCS 및 Big5 확장 규격에 대응하는 글꼴도 OS 패키지나 업데이트, 확장 기능, 시판품,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등을 통해 보급되고 있다.[29]대만과 홍콩 정부는 글꼴 관련 규범 준수를 적극적으로 요구하지 않았지만, 최근에는 특히 대만의 국자표준자체에 부합하는 글꼴의 보급이 활발해지고 있다. Microsoft Windows의 경우 Windows Vista 이후 버전부터 마이크로소프트 정흑체(微軟正黑體), 신세명체)가, 애플 macOS의 경우 OS X 10.11 El Capitan 이후 버전부터 핑팡(蘋方-繁〈PingFang TC〉)이 국자표준자체에 준거하여 제공되고 있다. Adobe가 구글 등과 공동 개발한 오픈 소스 글꼴의 繁体字판 본고딕(Source Han Sans TC)과 명조체에 해당하는 본명조(Source Han Serif TC)는 국자표준자체에 대응한다.
蘋方에는 「蘋方-港 (PingFang HK)」, 본고딕 버전 2.00 이후에는 「본고딕 홍콩 (Source Han Sans HC)」이라는 홍콩 자형 변형도 있다.
국자표준자체 | 사용 중인 폰트 |
---|---|
-- | 人人生來自由, 在尊嚴和權利上一律平等。 他們有理性和良心, 請以手足關係的精神相對待。 |
5. 간체자와의 관계
한자 문화권에서는 전통 한자를 여러 가지로 부른다.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만, 홍콩, 마카오 등 전통 한자를 선호하는 지역에서는 전통 한자가 의미와 형식 모두에서 정통성이 있다는 의미에서 '''정체자'''(正體字)라고 부른다. 반면, 간략 한자(簡略漢字)를 선호하는 중국 대륙에서는 전통 한자가 너무 복잡하며, 현재 사용중인 간략한 한자와는 반대로 획수가 많고 번거롭다는 의미에서 '''번체자'''(繁體字)라고 부른다. 일본에서는 당용한자 또는 신자체에 대비되는 명칭으로 '''구자체'''(舊字體)라고 부른다.
중국 대륙에서는 1955년 이후 '문자 개혁' 정책의 일환으로 한자 간체화를 추진하여 간체자를 '규범 한자'로 하고 있다. 예를 들어, 톈안먼의 마오쩌둥 초상화 양쪽에 걸렸던 “”, ""는 1964년에 "”, ""로 바뀌었다. 2001년 시행된 “국가통용어문법”에서는 번체자 및 이체자의 사용은 문화재, 성명의 이체자, 서예·전각 등 예술 작품, 휘호 제사·간판의 손글씨, 출판·교육·연구상 필요한 경우,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관련 부처가 인정한 특별한 경우로 제한된다.[34]
1980년에는 '한자 현대화 연구회'가 베이징에서 발족하여 한자를 낙후된 것으로 보는 한자낙후론을 비판하고, 인쇄에는 시인성이 뛰어난 번체자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는 ‘식번사간(識繁寫簡)’을 주장했다. 이로 인해 문자 개혁에 긍정적인 학자들과 논쟁이 발생했다.[35]
2007년 11월, 제8회 국제한자회의에서 대만·홍콩·마카오의 번체자를 중심으로 일부 간체자만을 인정하고, 5000~6000자의 자체를 통일한 ‘표준자’를 정하는 데 중국·대만·일본·한국 등이 합의했다는 보도가 있었지만,[36][37] 중화인민공화국 교육부는 그러한 사실이 없다고 부정했다.[38]
2009년 3월 3일,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전국위원 판칭린은 간체자가 중국의 전통 문화 계승을 방해한다며 번체자로 단계적으로 복귀할 것을 제안했다.[39][40]
2009년 6월 19일, 대만의 마잉주 총통은 중국에 번체자 사용을 더 늘려달라는 이례적인 제안을 했다.[41]
참조
[1]
논문
The Origin and Evolvement of Chinese Characters
https://core.ac.uk/d[...]
2023-09-29
[2]
서적
New Word Order: Transnational Themes in Book History
Worldview Publications
[3]
서적
Script Effects as the Hidden Drive of the Mind, Cognition, and Culture
Springer
[4]
서적
Language and the Modern State: The Reform of Written Japanese
Taylor & Francis
[5]
논문
Two Diverging Roads: A Semantic Network Analysis of Chinese Social Connection ("Guanxi") on Twitter
[6]
웹사이트
China Should Restore Traditional Characters-Taiwan Scholar
https://www.ejinsigh[...]
Hong Kong Economic Journal
2021-03-30
[7]
뉴스
Taiwan Deletes Simplified Chinese from Official Sites
https://www.bbc.com/[...]
BBC
2021-03-30
[8]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Yazhou Zhoukan
2021-03-30
[9]
웹사이트
http://law.moj.gov.t[...]
Ministry of Justice (Republic of China)
2014-10-07
[10]
서적
Modern Chinese Dictionary
The Commercial Press
[11]
서적
Chines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
웹사이트
Taiwan promotes traditional Chinese characters
http://www.etaiwanne[...]
Etaiwannews.com
2014-02-09
[13]
웹사이트
国务院关于公布《通用规范汉字表》的通知
http://www.gov.cn/zw[...]
State Council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2013-06-05
[14]
서적
The Chinese Language: Fact and Fantasy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84
[15]
서적
印刷通用汉字字形表 (List of character forms of General Used Chinese characters for Publishing)
文字改革出版社
1986
[16]
웹사이트
People's Daily
http://www.people.co[...]
2024-11-11
[17]
웹사이트
Xinhua News
http://big5.news.cn/[...]
2024-11-11
[18]
웹사이트
http://www.bbc.com/z[...]
2016-02-24
[19]
웹사이트
Hong Kong Actor's Criticism of Simplified Chinese Character Use Stirs up Passions Online
http://www.scmp.com/[...]
South China Morning Post
2018-07-01
[20]
뉴스
Hong Kong TV Station Criticized for Using Simplified Chinese
http://english.sina.[...]
2018-07-01
[21]
뉴스
Character Debate Ends up Being Nothing but Hot Air: Traditional Chinese Will Always Be Used in Education, Minister Says
https://web.archive.[...]
2021-05-25
[22]
뉴스
Taiwan Rules out Official Use of Simplified Chinese
https://web.archive.[...]
2021-05-25
[23]
웹사이트
https://cap.rcpet.ed[...]
[24]
웹사이트
https://www.tres.ntp[...]
[25]
서적
Sociolinguistics Today: International Perspectives
Routledge
[26]
서적
Success with Asian Names: A Practical Guide for Business and Everyday Life
https://books.google[...]
Nicholas Brealey
[27]
학회발표
http://www.huayuqiao[...]
[28]
웹사이트
22.31.1.6.3
https://www.irs.gov/[...]
Internal Revenue Service
2012-11-06
[29]
웹사이트
Noto CJK
https://www.google.c[...]
[30]
웹사이트
Internationalization Best Practices: Specifying Language in XHTML & HTML Content
http://www.w3.org/TR[...]
W3C
2009-05-27
[31]
논문
Glossary of Aslian Languages: The Northern Aslian Languages of South Thailand
https://web.archive.[...]
2005
[32]
논문
Who's Who in Kensiw? Terms of Reference and Address in Kensiw
https://web.archive.[...]
2010-12-12
[33]
웹사이트
臺北市 正體字主題網
https://web.archive.[...]
[34]
웹사이트
中华人民共和国国家通用语言文字法
http://www.moe.edu.c[...]
[35]
서적
蒼頡たちの宴
筑摩書房(ちくま学芸文庫)
[36]
뉴스
韓・中・日・台が漢字の字体統一へ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07-11-03
[37]
뉴스
日・韓・中・台が漢字の字体統一を決定、主体は繁体字に―北京市
https://www.recordch[...]
Record China
2007-11-12
[38]
뉴스
「中・日・韓・台の漢字統一」報道を否定!簡体字使用の変更は不可能
http://www.recordchi[...]
Record China
2007-11-11
[39]
뉴스
中国で旧字体復活? 漢字の行き過ぎた簡略化めぐり論議
https://web.archive.[...]
産経新聞
2009-04-20
[40]
뉴스
<中台>漢字字体の統一を!繁体字の世界遺産化の動きも論議促進?…全国政協会議
https://www.recordch[...]
Record China
2009-03-05
[41]
뉴스
日本の漢字改革を手本に!中国と台湾の字体論争…香港メディア
https://www.recordch[...]
Record China
2009-06-24
[42]
웹사이트
Internal Revenue Manual 22.31.1.6.3 – "The standard language for translation is Traditional Chinese."
https://www.irs.gov/[...]
[43]
저널
The Origin and Evolvement of Chinese Characters
https://core.ac.uk/d[...]
20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