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2사단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12사단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육군의 사단으로, 한국 전쟁에 참전했다. 원산에서 창설되었으며, 중국 인민해방군 제156사단의 한국인 병력 연대로 구성되었다. 한국 전쟁 중 서울에서 대전까지 진격했으며, 낙동강 방어선 전투에도 참전했다. 주요 전투로는 안동 전투, 포항 전투, 제1차 인제 부근 전투, 설악산 부근 전투 등이 있다. 사단장으로는 전우, 최충국, 최인 등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보병사단 - 제1사단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1947년 창설된 조선인민군 제1사단은 한국 전쟁 발발 전 개성 부근에서 도발을 감행했으며, 전쟁 발발 후 개성, 문산 전투에서 대한민국 제1보병사단을 격파하고 남진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보병사단 - 제6사단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제6사단은 한국 전쟁 초기에 남침의 선봉 부대였으며, 중국 인민해방군 부대를 모체로 재편성되어 개성 점령과 서울 점령에 기여, 이후 낙동강 전선까지 진격 후 철수하여 현재는 군사 분계선에 전개하고 있는 조선인민군 예하 사단이다. - 한국 전쟁에 참전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사단 - 제1사단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1947년 창설된 조선인민군 제1사단은 한국 전쟁 발발 전 개성 부근에서 도발을 감행했으며, 전쟁 발발 후 개성, 문산 전투에서 대한민국 제1보병사단을 격파하고 남진했다. - 한국 전쟁에 참전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사단 - 제6사단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제6사단은 한국 전쟁 초기에 남침의 선봉 부대였으며, 중국 인민해방군 부대를 모체로 재편성되어 개성 점령과 서울 점령에 기여, 이후 낙동강 전선까지 진격 후 철수하여 현재는 군사 분계선에 전개하고 있는 조선인민군 예하 사단이다. - 1950년 설립된 단체 - 국립국악원
국립국악원은 신라시대 음성서에 뿌리를 둔 한국 대표 국악 기관으로, 조선시대 장악원의 후신이며, 국악 공연, 연구, 교육, 국제 교류, 그리고 전국 국악원 운영을 통해 국악의 전승과 발전에 기여한다. - 1950년 설립된 단체 - 유럽 방송 연맹
유럽 방송 연맹은 1950년 설립된 국제 방송 연합으로, 프로그램 교류, 기술적 분쟁 중재, 기술 정보 제공 등을 주요 활동으로 하며,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와 같은 행사를 주최한다.
제12사단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부대 명칭 | 안동 최춘국 제12보병사단 |
영문 명칭 | Antong Choe Chun Guk 12th Infantry Division |
창설일 | 1949년 7월 |
소속 | 조선인민군 륙군 |
병과 | 보병 |
규모 | 사단 |
주둔지 | 안변군 |
별칭 | 알 수 없음 |
사령부 위치 | 안변군 |
현재 사령관 | 알 수 없음 |
지휘 관계 | |
상위 부대 | 제5군단 |
전투 기록 | |
주요 전투 | 6.25 전쟁 |
2. 역사
조선인민군 제12사단은 본래 제7사단으로 한국 전쟁에 참전했다. 강원도 홍천군으로 진격이 늦어져 전선사령관 김일성에 의해 전우 소장이 해임되고, 팔로군 출신 최충국 소장이 후임으로 임명되면서 제7사단은 제12사단으로 변경되었다.[2]
안동 전투에서 최충국 소장이 포탄에 맞아 전사한 후, 최인 소장이 후임으로 임명되었다. 최인 지휘 아래 제12사단은 안동을 점령, 김일성에게 "안동" 명예 칭호를 받았다. 이후 포항으로 진격, 8월 19일 제766독립보병연대를 병합해 피해를 복구했다.[4]
2. 1. 중국 인민해방군 시기
제156사단은 중국군과 한국군으로 구성된 한중 연합 부대로, 중국 인민해방군 제43군에 배속되어 중국 내전에 참전했다.[1] 1949년 6월 25일, 사단은 해산되어 구장시와 남창시 군사 구역으로 재편성되었다.[1] 1950년 2월, 제156사단의 모든 한국군은 남창시에서 재집결하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이동, 조선인민군 제7사단(후에 제12사단)으로 재편성되었다.[1] 사단 본부는 제2임업공정사단 본부로 재편성되었다.[1]해산 당시 사단의 연대 구성은 다음과 같다.[1]
연대 | 구성 |
---|---|
제466연대 | 대부분 한국인 |
제467연대 | 기본적으로 한국인 |
제468연대 | 기본적으로 중국인 |
2. 2. 조선인민군 시기
제12사단은 원산에서 창설되었으며, 초기에는 중국 인민해방군 제156사단의 한국인 병력 연대로 구성되었고, 제30보병연대, 제31보병연대, 제32보병연대로 구성되었다.[2] 이 부대는 1950년 4월 직후 소련으로부터 북한으로 이전된 차량으로 처음 장비되었다.[2]1950년 4월, 중화인민공화국은 인민지원군의 베테랑 12,000명을 더 한국으로 돌려보냈고, 이들은 제7사단을 형성했다(1950년 7월 2일경에 '''제12사단'''으로 재지정).[2] 제12사단의 포병 부대는 1950년 4월 또는 5월 원산에서 사단이 창설될 당시 중국 인민해방군에서 전투 경험이 풍부한 한국인 베테랑들로 구성되었다.[3]
2. 3. 한국 전쟁 참전
제12사단은 한국 전쟁 당시 서울에서 대전까지 진격했으며, 낙동강 방어선 전투에도 참전했다. 이 전투에서 큰 피해를 입어 제766보병연대와 통합하여 전력을 보충했다.[4]1950년 9월 16일, 대한민국 제1군단 지역에서 수도사단이 안강리 시가지를 돌파하며 진격했다. 다음 날, 대한민국 제2군단 지역 서쪽에서 진격해 온 대한민국 제7보병사단의 한 대대가 수도사단과 합류하여, 2주 전에 발생했던 대한민국 제1군단과 제2군단 사이의 간격을 메웠다. 조선인민군 제12사단은 북한군이 산악 지대로 후퇴하는 동안 기계 지역에서 수도사단을 상대로 끈질기게 지연전을 펼쳤다. 기계는 1950년 9월 22일 대한민국에 의해 점령되었다.[5]
3. 주요 전투
제12사단은 한국 전쟁 당시 신남 전투, 안흥리 일대 전투, 풍기 전투, 단양 전투, 충주 전투, 제1차 보현산 전투, 안동 전투, 의성 전투, 포항 전투, 제1차 인제 부근 전투, 설악산 부근 전투, 현리 전투, 도솔산-대우산 전투, 등매동-송정동 부근 전투, 백석산 전투 등 다양한 전투에 참전했다. 낙동강 방어선 전투에서 큰 피해를 입어 제766보병연대와 통합되기도 했다.[4]
대한민국 제1군단과 제2군단 사이의 틈을 메우기 위한 전투에서, 제12사단은 기계 일대에서 수도사단을 상대로 지연전을 펼쳤다. 기계는 1950년 9월 22일 대한민국에 의해 탈환되었다.[5]
3. 1. 신남 전투
신남 지역에서 벌어진 전투에 대한 내용은 신남 전투 문서를 참고하라.3. 2. 안흥리 일대 전투
신남 전투 이후 제12사단이 참여한 안흥리 일대 전투이다.3. 3. 풍기 전투
신남 전투, 안흥리 일대 전투에 이어 풍기 전투에 참가하였다.[1]3. 4. 단양 전투
제12사단은 단양 전투에 참여했다.[1]3. 5. 충주 전투
제12사단은 忠州戰鬪|충주 전투중국어에서 한국 전쟁 중 서울에서 대전까지 진격했다. 또한 낙동강 방어선 전투에도 참전했다. 이 전투에서 심각한 손실을 입어 제766보병연대와 통합하여 전력을 회복했다.[4]9월 16일, 대한민국 제1군단 구역에서 수도사단의 병력이 안강리 시가지를 뚫고 진격했다. 다음 날, 대한민국 제2군단 구역 서쪽에서 진격한 대한민국 제7보병사단의 한 대대가 수도사단 병력과 연결되어, 2주 전에 발생했던 대한민국 제1군단과 제2군단 사이의 틈을 메웠다. 조선인민군 제12사단은 북한군이 산악 지역으로 북상하는 동안 기계 일대에서 수도사단을 상대로 완강한 지연전을 펼쳤다. 기계는 1950년 9월 22일 대한민국 통제 하에 들어갔다.[5]
3. 6. 제1차 보현산 전투
신남 전투, 안흥리 일대 전투, 풍기 전투, 단양 전투, 충주 전투를 거쳐 제1차 보현산 전투가 벌어졌다. 이후 안동 전투, 의성 전투, 포항 전투, 제1차 인제 부근 전투, 설악산 부근 전투, 현리 전투, 도솔산-대우산 전투, 등매동-송정동 부근 전투, 백석산 전투가 이어졌다.3. 7. 안동 전투
안동 전투는 한국 전쟁 당시 조선인민군 제12사단이 안동 지역에서 벌인 전투이다.3. 8. 의성 전투
의성 전투는 조선인민군 제12사단이 관련된 전투 중 하나이다.3. 9. 포항 전투
신남 전투, 안흥리 일대 전투, 풍기 전투, 단양 전투, 충주 전투, 제1차 보현산 전투, 안동 전투, 의성 전투를 거쳐 포항 전투에 참가하였다.3. 10. 제1차 인제 부근 전투
신남 전투, 안흥리 일대 전투, 풍기 전투, 단양 전투, 충주 전투, 제1차 보현산 전투, 안동 전투, 의성 전투, 포항 전투, 설악산 부근 전투, 현리 전투, 도솔산-대우산 전투, 등매동-송정동 부근 전투, 백석산 전투3. 11. 설악산 부근 전투
이 부분은 한국 전쟁 당시 조선인민군 제12사단이 강원도 설악산 부근에서 벌인 전투들을 기록하고 있다. 이 사단은 신남 전투, 안흥리 일대 전투, 제1차 인제 부근 전투 등 여러 전투에 참여하였다.3. 12. 현리 전투
현리 전투는 한국 전쟁의 전투 중 하나이다.3. 13. 도솔산-대우산 전투
도솔산과 대우산에서 벌어진 전투에 대한 내용은 도솔산-대우산 전투에서 확인할 수 있다.3. 14. 등매동-송정동 부근 전투
제12사단은 신남 전투 이후 안흥리 일대 전투, 풍기 전투, 단양 전투, 충주 전투에 참여했다. 이후 풍기 전투, 제1차 보현산 전투, 안동 전투, 의성 전투, 포항 전투, 제1차 인제 부근 전투, 설악산 부근 전투, 현리 전투, 도솔산-대우산 전투를 거쳐 등매동-송정동 부근 전투에 참여했다.3. 15. 백석산 전투
백석산 전투한국어는 백석산에서 벌어진 전투이다.4. 사단장
다음은 제12사단을 지휘했던 주요 사단장 목록이다.
4. 1. 전우
전우는 소장이었으나, 계획보다 늦어져 해임되었다.[1]4. 2. 최충국
최충국은 안동 전투에서 전사했다.[2]4. 3. 최인
최인 소장[3]참조
[1]
문서
中央军委关于统一全军组织及部队番号的规定
http://blog.sina.com[...]
[2]
서적
South to the Naktong, North to the Yalu
https://web.archive.[...]
United State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10-07-14
[3]
웹사이트
12th Infantry Division
http://www.globalsec[...]
[4]
서적
The Korean War: The Outbreak
https://web.archive.[...]
United State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10-07-14
[5]
서적
The Korean War: The UN Offensive
https://web.archive.[...]
United State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6]
웹사이트
더 북한 뉴스
http://nk.joins.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