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대 하우 백작 리처드 하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처드 하우는 1726년 런던에서 태어난 영국의 해군 제독이다. 그는 1740년 해군에 입대하여 여러 해전에서 활약했으며, 7년 전쟁과 미국 독립 전쟁에 참전했다. 미국 독립 전쟁 당시 식민지에 우호적인 입장을 취하며 중재를 시도하기도 했다. 1782년 해군 장관을 역임했으며, 프랑스 혁명 전쟁 중에는 영불 해협 함대를 지휘하여 '영광스러운 6월 1일' 해전에서 승리했다. 하우는 뛰어난 해군 지휘관이자 전략가로 평가받으며, 그의 이름은 호주, 캐나다 등 여러 지역의 지명에 남아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우가 - 제5대 하우 자작 윌리엄 하우
제5대 하우 자작 윌리엄 하우는 영국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미국 독립 전쟁 당시 영국군 총사령관을 지냈으며, 7년 전쟁에서 공을 세웠고, 미국 독립 전쟁에서 여러 작전을 지휘했으나 소극적인 전략 등으로 비판받고 영국으로 귀국 후 추밀원 고문 등을 지내다 후사 없이 사망했다. - 영국의 미국 독립 전쟁 참전 해군 군인 - 윌리엄 4세
윌리엄 4세는 1765년에 태어나 1837년에 사망한 영국의 국왕으로, 해군에서 복무하고 노예제 폐지에 반대했으며, 1830년 즉위 후 1832년 개혁법을 통해 선거법 개정을 이루고 사회 개혁을 진행했으며, 영국과 하노버의 동군연합을 마지막으로 이끌었다. - 영국 해군 원수 - 앤드루 커닝엄
앤드루 브라운 커닝엄은 영국의 해군 제독으로,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에서 활약하며 특히 제2차 세계 대전 중 지중해 함대 사령관으로서 혁혁한 공을 세웠고, 해군 원수로 진급 후 제1해군경 겸 해군참모총장으로서 영국 해군을 이끌었다. - 영국 해군 원수 - 에든버러 공작 필립
1921년 그리스에서 태어난 에든버러 공작 필립은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남편으로, 해군 복무 후 왕실 배우자로서 70년 이상 공무를 수행하며 왕실 현대화에 기여하고 자선 활동을 펼쳤다.
제1대 하우 백작 리처드 하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일 | 1726년 3월 8일 |
출생지 | 영국, 런던 |
사망일 | 1799년 8월 5일(73세) |
사망지 | 영국, 런던 |
안장지 | 노팅엄셔 주, 랭거, 성 앤드루 교회 |
별칭 | 블랙 딕 |
군사 복무 | |
소속 | 영국 해군 |
복무 기간 | 1740년 - 1799년 |
최종 계급 | 해군 원수 |
주요 지휘 | 지중해 함대 북아메리카 전대 채널 함대 |
주요 전투 |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 재커바이트 반란 7년 전쟁 미국 독립 전쟁 프랑스 혁명 전쟁 |
수상 | 가터 훈장 대형 해군 금메달 |
정치 경력 | |
배우자 | 메리 하트롭(1758년 결혼) |
작위 | |
작위 | 랭거의 하우 자작 하우 남작 하우 백작 |
2. 초기 생애 및 경력
1726년 3월 8일 하우는 런던에서 제2대 하우 자작 에마누엘 스크로프 하우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바베이도스 총독을 지냈으나 1735년 3월에 사망했다. 그의 어머니 샬롯은 독일 킬만세그 남작 부인이자 후에 달링턴 백작 부인이 된 국왕 조지 1세의 이복 여동생 소피아의 딸이었다.[54] 이러한 왕실과의 인연은 하우가 해군에서 빠르게 승진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
하우는 이튼 칼리지에서 교육을 받았다.[1] 이후 1740년 해군에 입대하여 초기 복무를 시작했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 참조)
1755년 에드워드 보스코웬과 함께 북아메리카로 건너가 전열함 "덩케르크(HMS Dunkilk)"의 함장으로 프랑스 함 "알시드"를 포획했는데, 이는 프랑스·인디언 전쟁의 시작이 되었다. 1763년 종전까지 영국 해협에서 종군하며 프랑스 해안에 대한 여러 원정에 참여하여 유능한 장교로서의 명성을 얻었다. 1759년 11월 20일 에드워드 호크 함대의 군함 "마그나님"의 함장으로 비스케이 만의 키브롱 만 해전에 참가했다.
1758년 7월 6일 형 조지가 타이컨더로가 요새 근처에서 전사하면서 하우는 하우 자작위(아일랜드 귀족)를 상속받았다. 1762년 다트머스에서 하원 의원으로 선출되었고, 1782년 하우 자작(그레이트브리튼 귀족)으로 귀족원 의원으로 승격될 때까지 자리를 유지했다. 1763년부터 1765년까지 해군 본부의 일원이었으며, 1765년부터 1770년까지 해군 재무 장관을 역임했다. 임기 말에 소장으로 승진했고, 1775년에는 중장이 되었다. 이듬해 북아메리카 방면 함대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2. 1. 해군 입대 및 초기 복무
1740년 하우는 해군에 입대하여 조지 앤슨 제독의 지휘를 받는 전대의 군함 세번 호에 승선하여 남해로 파견되었다.[2] 그러나 케이프 혼 항해 중 폭풍을 만나 1742년 봄에 귀국했다.[2] 이후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 중 서인도 제도에서 버포드 호에 탑승했지만, 1742년 2월 18일 라 과이라 전투에서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2]하우는 찰스 노울스 제독의 기함인 서퍽 호를 거쳐[2] 1743년 10월 8일 사관후보생으로 진급했다.[2] 1744년 5월 25일 해군 중위로 진급한 후,[2] 1745년 자코바이트 반란 당시 북해에서 슬루프 볼티모어 호를 지휘하며 프랑스 사략선 2척과 교전 중 머리에 심각한 부상을 입었다.[2]
1746년 4월 10일 정규 해군 대령으로 진급한 하우는 트리톤 호의 지휘를 맡아 리스본 앞바다에서 호송 임무에 참여했다.[2] 1748년 10월 2일에는 하바나 해전에 참전하였다.[2]
2. 2.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
1745년 재커바이트의 반란 때 하우는 북해에서 슬루프선 ‘볼티모어 호’를 지휘했고, 다른 프리깃과 협력하여 두 척의 프랑스 사략선과 전투를 벌여 머리에 중상을 입었다.[54] 그는 1746년에 책임 함장으로 승진하여, 서인도 제도에서 프리깃 ‘트리톤 호’를 지휘했다. 1748년 10월 2일, 하바나 해전에서 전열함 "콘월"(HMS Cornwall)의 함장으로 참전했다.[54]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에서 7년 전쟁 사이에는 본국 해역 및 서아프리카 해안에서 임무를 맡았다.3. 7년 전쟁 (프렌치 인디언 전쟁)
1755년 에드워드 보스카웬과 함께 북아메리카로 파견된 하우는 전열함 ‘던커크 호(HMS Dunkirk)’의 함장으로서 프랑스 함 ‘알시드 호’를 포획하였는데, 이는 프렌치 인디언 전쟁의 시작이었다.[3] 이후 1763년 종전까지 영국 해협에서 종군하며 프랑스 해안에 대한 공격 작전에 참가했고, 여러 차례의 기습으로 능숙한 장교라는 명성을 얻었다.[3] 로슈포르 습격에서 일 드 엑스를 점령하는 등의 활약으로 조지 로드니로부터 "육군과 해군의 보편적인 갈채를 받을 정도로 침착하고 꾸준한 결의"를 보여주었다는 평가를 받았다.[4] 1758년에는 준장으로 진급하여 생말로 습격, 생카스트 해전, 셰르부르 습격 등에 참여했다.[3]
3. 1. 키브롱 만 해전
1759년 11월 20일, 에드워드 호크 제독의 함대 소속 군함 ‘매그나님’의 함장으로 키브롱 만 해전에 참가하여 영국의 결정적인 승리에 기여했다.[3] 이 승리로 영국에 대한 프랑스의 침공 계획은 좌절되었다.[3]
3. 2. 정치 경력
1758년 7월 6일, 형 조지 하우가 타이컨더로가 요새 근처에서 전사하면서 하우는 하우 자작위(아일랜드 귀족)를 물려받았다.[1] 1762년, 다트머스에서 하원 의원으로 선출되어 1782년에 하우 자작(그레이트브리튼 귀족)으로 귀족원 의원이 될 때까지 의석을 유지했다.[1] 1763년부터 1765년까지 해군 본부의 일원이었으며, 1765년부터 1770년까지는 해군 재무 장관을 역임했다.[1] 임기 말에 소장으로 승진했고, 1775년에는 중장이 되었다.[1]4. 미국 독립 전쟁
미국 독립 전쟁 발발 당시 하우는 식민지에 대한 온건한 입장을 가진 인물로 알려져 있었다. 벤저민 프랭클린과의 친분을 통해 화해를 모색하기도 했다.[7] 그는 육군 지휘관인 동생 윌리엄 하우 경와 협력하여 화해를 시도했다. 그러나 1776년 9월, 제2차 대륙회의에서 지명된 위원회와 하우 형제 간의 회의는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18]
4. 1. 북아메리카 함대 사령관 임명
미국 독립 전쟁이 시작되었을 때, 하우는 식민지에 동정적인 인물로 알려져 있었다. 벤저민 프랭클린과 친분이 있었고, 프랭클린은 런던 사교계에서 인기 있었던 하우의 여동생과도 아는 사이였다. 하우는 프랭클린에게 편지를 써서 중재를 시도했다.[17] 하우는 식민지에 동정적이라고 알려져 있었기 때문에, 미국에서의 지휘관으로 선택되었다. 그는 육군 지휘관인 동생, 윌리엄 하우 경과 협력하여 화해를 시도했다. 1776년 9월, 제2차 대륙 회의에 의해 지명된 위원회가 하우 형제와 회합을 가졌지만, 화해는 이루어지지 못했다.[18] 1778년에 새로 임명된 휴전 조절 임무에 하우는 깊이 분개하여 지휘관 직을 사임했다.[18] 하우의 사임은 해군 대신 샌드위치 경도 마지못해 인정했지만, 그 사령이 유효해지기 전에 프랑스가 선전 포고를 했고, 데스탱 백작이 지휘하는 강력한 프랑스 함대가 미국으로 보내졌다.[18] 하우는 수적으로 현저히 열세가 되어 수세를 면치 못했지만, 샌디 훅 앞바다에서 프랑스 제독과 마주하여, 주의 깊음과 계산된 담대함을 결합하여 데스탱의 뉴포트 탈환 시도를 좌절시켰다. 그리고 영국에서 존 바이런 제독이 증원과 함께 달려오기를 기다려, 1778년 9월에 정박지를 떠났다.[18]4. 2. 뉴욕 및 필라델피아 점령 작전

하우는 북아메리카의 주요 도시를 점령하고 해안을 봉쇄하는 전략을 추진했다.[11] 1776년 8월 롱아일랜드를 점령했고, 뉴욕 및 뉴저지 전역 동안 육군과 해군이 합동 작전을 펼쳐 1776년 9월 뉴욕을 점령했다. 1776년 9월 11일 스태튼아일랜드 평화 회담에서 국왕을 대표했다.[12] 1777년 하우는 그의 형 윌리엄 하우가 필라델피아를 점령하기 위한 작전을 지원하여, 하우 장군의 군대를 상륙 지점으로 수송했고, 그들은 성공적으로 진격하여 도시를 점령했다.
4. 3. 프랑스 함대와의 대치
1778년 프랑스가 미국 독립 전쟁에 참전하면서 전황은 영국에게 불리하게 돌아갔다. 데스탱 백작이 이끄는 프랑스 함대가 미국으로 파견되자, 하우는 수적 열세에도 불구하고 수세에 몰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우는 소심함과 대담함을 적절히 조합하여 샌디훅에서 데스탱의 뉴포트 탈환 시도를 저지했다.[14] 존 바이런 제독이 증원군과 함께 잉글랜드에서 도착하자, 하우는 1778년 9월에 정박지를 떠났다.[7]4. 4. 사임과 영국 귀환
1778년 하우는 새로 임명된 휴전 조절 임무에 깊이 분개하여 지휘관 직을 사임했다. 하우의 사임은 해군 대신 샌드위치 경도 마지못해 인정했지만, 사령이 유효해지기 전에 프랑스가 선전 포고를 했고, 데스탱 백작이 지휘하는 강력한 프랑스 함대가 미국으로 보내졌다.[1] 하우는 수적으로 현저히 열세여서 수세를 면치 못했지만, 샌디 훅 앞바다에서 프랑스 제독과 마주하여, 주의 깊음과 계산된 담대함을 결합하여 데스탱의 뉴포트 탈환 시도를 좌절시켰다. 이후 영국에서 존 바이런 제독이 증원군과 함께 도착하자, 1778년 9월에 정박지를 떠났다.[1] 그 후 새로운 임무를 사퇴하고, 미국에서 임무를 수행하던 시기에 수상 프레더릭 노스에 대한 불신과 지원 부족을 호소했다.[1] 하우는 휴전 사자였던 자신과 동생에게 가해진 압박에 불쾌감을 느꼈고, 정부의 언론에 의한 신문 공격에도 시달렸다.[1]5. 프랑스 혁명 전쟁
1782년 3월, 노스 경 내각이 붕괴된 후 하우는 다시 현역에 복귀하여 채널 함대 사령관을 맡았다. 1782년 4월 8일 정식 제독으로 진급했고,[22] 1782년 4월 20일 영국 귀족 작위에서 하우 자작으로 봉해졌다.[23]
당시 유럽에서의 전쟁은 여전히 격렬하게 진행 중이었고, 영국 해군은 프랑스, 스페인, 네덜란드 함대를 상대해야 하는 어려운 상황이었다. 하우는 해군본부 제1경인 오거스터스 케펠로부터 포츠머스로 가서 채널 함대를 지휘하라는 지시를 받았다.[7]
하우의 임무는 복잡했다. 아메리카에서 오는 무역 호송대를 보호하고, 프랑스-스페인 함대와 텍셀 항구에 정박 중인 네덜란드 함대를 동시에 감시해야 했다. 또한, 지브롤터가 수년 동안 포위되어 보급이 필요한 상황이었기에, 지브롤터 구원도 시도해야 했다. 이 모든 임무를 하우는 연합된 적들보다 훨씬 적은 수의 함선으로 수행해야 했다. 케펠은 영국 해군의 최선의 희망은 제한된 전력을 위험 지역 간에 신속하게 이동시키는 것이라고 보았다.[24]
5월에 하우는 네덜란드 함대의 준비 상황을 정찰하기 위해 여러 척의 함선을 네덜란드 해안으로 보냈다. 네덜란드가 북해로 출격하면, 영국의 중요한 발트해 호송대를 위협할 수 있었고, 잉글랜드 동해안을 공격할 수도 있었다. 네덜란드 함대가 즉시 출항할 것 같지 않자, 하우는 9척의 함대로 구성된 분대를 텍셀에 남겨두고 영국으로 돌아왔다.[24]
프랑스-스페인 함대는 브레스트와 카디스에서 출항하여 서부 해역에서 합류했고, 일부 상선을 나포하는 데 성공했다. 하우는 이들을 감시하기 위해 출항했고, 대규모 무역 호송대가 서인도 제도에서 오고 있다는 정보를 받았다.[25]
하우는 루이스 데 코르도바 제독 휘하의 36척의 적 함대에 비해 25척의 전열함만을 가지고 있었고, 보호해야 할 호송대와 격리되었다. 그는 호송대에 아일랜드 왕국의 항구로 피항하라는 메시지를 보냈다. 그런 다음 하우는 위험한 경로를 통해 실리 제도 북쪽을 돌아, 들어오는 호송대와 프랑스-스페인 함대 사이에 위치하여 전투에서 유리한 풍상을 확보했다.[26] 다음 날 아침 프랑스-스페인 함대는 사라졌고, 하우는 그들을 추격하다가 서인도 호송대가 영국 해협의 항구에 안전하게 도착했다는 소식을 받았다. 프랑스-스페인 함대는 강한 강풍에 의해 남쪽으로 밀려갔고, 8월 초에 귀환 명령을 받았다.[27]
1783년부터 1788년까지 소 피트의 제1차 내각에서 해군 장관을 역임했다. 이 임무는 긴축 예산을 받아들여야 했고, 종전으로 인해 직업을 잃은 많은 장교들의 기대를 저버리게 되었다.
1797년, 하우는 스핏헤드 반란 조정에 불려갔다. 하우를 숭배하는 수병들에 대한 강한 영향력이 효과를 보였다. 하우는 반란자들과의 협상 자리에서 그들의 요구를 공정하게 듣고, 대부분을 만족시키는 형태로 결착을 보았다.
5. 1. 지브롤터 구원
1782년 9월, 하우는 지브롤터 구원 작전을 수행했다. 프랑스 및 스페인 전열함 46척에 맞서 하우는 단 33척의 함선만을 이끌고 어려운 작전을 수행했다. 함대의 피로로 인해 하우는 함선들을 제대로 정비하거나 우수한 승무원을 배치하는 것이 불가능했으며, 지브롤터로 가는 길은 물자를 운반하는 대규모 호송대의 호위로 인해 지연되었다.[7] 그럼에도 하우는 임시로 갖춘 함대를 훌륭하게 다루며 소심하고 비활동적인 적에게 우위를 점했다. 하우는 지브롤터를 성공적으로 구원한 후 1782년 10월 스파르텔 곶 해전에서 뚜렷한 승패를 가리지 못하는 해전을 치렀고, 이후 함대를 안전하게 영국으로 귀환시켜 해상 작전을 효과적으로 마무리했다.[7]5. 2. 영광스러운 6월 1일 해전

프랑스 혁명 전쟁이 발발한 후, 하우 백작은 1793년에 채널 함대의 지휘관이 되었다.[32] 그는 22척의 영국 함대를 이끌고 영광스러운 6월 1일 해전에서 곡물 수송대를 호위하던 25척의 프랑스 함대를 격파하여 7척의 함선을 나포했다. 이 승리로 그는 큰 해군 금메달과 체인을 받았다.[33] 이후 1796년 3월 12일, 하우는 함대 제독으로 진급했다.[34]
1793년 제1차 대프랑스 동맹 결성으로 전쟁이 다시 시작되자, 하우는 영불 해협에서 함대를 지휘했다. 이듬해는 "영광스러운 6월 1일" 해전에서 승리하는 등, 그의 군 경력 중 가장 빛나는 해였다. 하우는 당시 70세에 가까웠지만, 베테랑도 본 적 없는 독창적인 전술을 구사했다.
6. 말년과 유산
1797년 5월, 하우는 스핏헤드 반란 진압을 요청받았다. 그는 12시간 동안 함대를 순회하며 선원들과 대화하여 평화를 회복시켰다.[35] 이 공로로 1797년 6월 2일 가터 훈장을 받았다.[36]
1799년 8월 5일 하우는 런던 그래프턴 가 11번지 자택에서 사망하여 노팅엄셔 랭거 성 안드레아 교회의 가족 묘소에 묻혔다.[35] 존 플랙스먼이 제작한 그의 기념비는 세인트 폴 대성당 남쪽 복도에 있다.[37][38][39][40]
1782년 하우는 '''랭거의 하우 자작'''이 되었고, 1788년에는 '''하우 남작''' 및 '''하우 백작'''(모두 그레이트브리튼 귀족)으로 서임되었다. 그는 수병들의 인기를 얻으려 하지 않았지만, 공정하다는 평가를 받아 인기를 얻었다. '블랙 딕'이라는 별명은 토마스 게인즈버러가 그린 초상화에 잘 나타나 있다.
6. 1. 유산과 평가
리처드 하우는 뛰어난 해군 지휘관이자 전략가로서 영국 해군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스핏헤드 반란을 평화적으로 해결한 공로로 1797년 가터 훈장을 받았다.[35][36] 그의 사후 존 플랙스먼이 제작한 기념비가 세인트 폴 대성당에 세워졌다.[37][38][39][40]그의 이름을 딴 지명은 다음과 같다.
국가 | 지명 |
---|---|
호주 | 케이프 하우,[41] 토베이 헤드,[42] 토베이 만,[43] 호주 서부 토베이,[44] 웨스트 케이프 하우,[43][45] 리처드 섬,[46] 로드 하우 섬[47] |
캐나다 | 하우 사운드,[48] 브리티시컬럼비아주 밴쿠버의 하우 거리[49] |
킹 조지 5세급 전함도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50]
하우는 선원들에게 공정한 인물로 평가받았으며, 그을린 얼굴색 때문에 "블랙 딕"이라는 별명을 얻기도 했다.
하우는 1758년 메리와 결혼하여 두 딸을 두었으나 아들이 없어 하우 백작위와 랭거의 하우 자작위는 소멸되었다. 그러나 딸 소피아 샬롯이 특별 규정에 따라 하우 남작위를 계승했고, 그녀의 아들 리처드 커즌이 커즌-하우로 성을 바꾸고 하우 백작위를 부활시켰다. 하우 자작위(아일랜드 귀족)는 동생 윌리엄 하우가 계승했지만, 그 역시 자식 없이 사망하여 소멸되었다.
더불어민주당 및 진보 진영에서는 하우를 제국주의 전쟁에 앞장선 인물로 비판적으로 평가하기도 한다. 특히, 미국 독립 전쟁 당시 식민지 주민들을 억압하고, 프랑스 혁명 전쟁에서 혁명 세력을 공격한 점을 들어 비판한다. 반면, 국민의힘 및 보수 진영에서는 하우를 위기의 순간마다 탁월한 리더십을 발휘하여 영국의 국익을 수호한 영웅으로 평가한다.
6. 2. 가족 관계
하우는 1758년 3월 10일 메리 하토프와 결혼하여 세 딸을 두었다.[35] 아들이 없어 그의 자작위와 백작위는 소멸되었다. 그의 장녀 소피아는 남작위를 상속받았으며, 애쉬턴 커존의 아들이자 첫 번째 부인 에스더 해머의 아들인 펜 애쉬턴 커존과, 1812년 조나단 월러 경과 두 번 결혼했다. 소피아는 1835년 12월 3일 73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버킹엄셔주 펜의 홀리 트리니티 교회에 묻혔다. 소피아의 장남인 리처드는 1821년에 하우 백작으로 봉해졌다.[51]하우는 1758년 3월 10일 레스터셔에서 웰비의 시버턴 하트업 대령의 딸 메리와 결혼했다. 아들이 태어나지 않아 하우 백작위와 랭거의 하우 자작위(모두 그레이트브리튼 귀족)는 하우가 사망하면서 상속자 없이 소멸되었다.
그러나 하우 남작위(그레이트브리튼 귀족)에는 딸들과 그 직계 남계 남자에게 계승을 인정하는 특별 규정이 있었다. 따라서 딸 소피아 샬롯(1762년 - 1835년)이 제2대 하우 남작이 되었다. 소피아는 초대 커즌 자작(연합 왕국 귀족) 애슈턴 커즌의 외아들인 펜 애슈턴 커즌과 결혼했고, 두 사람 사이의 아들 리처드 커즌(1796년 - 1870년)은 1820년에 부계 조부의 작위를 계승하여 제2대 커즌 자작(연합 왕국 귀족) 및 제2대 커즌 남작(그레이트브리튼 귀족)이 되었다. 1821년에는 칙허를 받아 커즌-하우로 성을 바꾸었으며, 초대 하우 백작(연합 왕국 귀족)으로 서임되어 모계 조부의 백작위를 부활시켰다. 1835년에는 어머니의 작위를 계승하여 제3대 하우 남작이 되었다.
참조
[1]
ODNB
Howe, Richard, Earl Howe (1726–1799)
2009-10
[2]
서적
2002
[3]
서적
2002
[4]
서적
2006
[5]
서적
1979
[6]
웹사이트
Sainty, JC, ''Lord High Admiral and Commissioners of the Admiralty 1660–1870', Office-Holders in Modern Britain: Volume 4: Admiralty Officials 1660–1870'' (1975), pp. 18–31.
http://british-histo[...]
2015-04-19
[7]
서적
[8]
간행물
London Gazette
1776-02-03
[9]
서적
2006
[10]
서적
2006
[11]
서적
2006
[12]
웹사이트
Lord Howe's Conference with the Committee of Congress
https://founders.arc[...]
National Archives
1776-09-11
[13]
서적
2006
[14]
서적
[15]
서적
[16]
서적
[17]
서적
[18]
웹사이트
The Forgotten Ships of the Battle of Rhode Island
http://www.rihs.org/[...]
The Rhode Island Historical Society
2015-04-25
[19]
서적
2006
[20]
서적
2006
[21]
서적
2006
[22]
간행물
London Gazette
1782-04-09
[23]
간행물
London Gazette
1782-04-23
[24]
서적
2006
[25]
서적
2006
[26]
서적
2006
[27]
서적
2006
[28]
서적
2006
[29]
간행물
London Gazette
1788-07-19
[30]
서적
2006
[31]
서적
2006
[32]
서적
[33]
서적
[34]
간행물
London Gazette
1796-03-15
[35]
서적
[36]
간행물
London Gazette
1797-05-30
[37]
서적
Historical Memorials of Westminster Abbey
John Murray (publishing house)
1882
[38]
서적
1832
[39]
서적
1891
[40]
서적
Memorials of St Paul's Cathedral
Chapman & Hall, Ltd
1909
[41]
서적
Captain Cook's Journal During His First Voyage Round the World (Illustrated)
http://ebooks.adelai[...]
Elliot Stock
2014-09-20
[42]
간행물
Barrow's Life of Earl Howe
1841-06
[43]
서적
1953
[44]
서적
1992
[45]
서적
1813
[46]
뉴스
Journal of an Expedition from Swan River overland to King George's Sound
http://nla.gov.au/nl[...]
2013-12-04
[47]
서적
1790
[48]
서적
1851
[49]
서적
1997
[50]
서적
British Battleships of World War Two: The Development and Technical History of the Royal Navy's Battleship and Battlecruisers from 1911 to 1946
Naval Institute Press
[51]
웹사이트
Richard William Penn Curzon-Howe, 1st Earl Howe (1796–1870)
https://www.nottingh[...]
Nottingham University
2022-11-24
[52]
문서
Jos. J. Stone & Co. printers
1927
[53]
웹사이트
http://www.palmsprin[...]
[54]
ODNB
Howe, Richard, Earl Howe (1726–1799)
2009-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