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1사단 (영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1사단 (영국)은 1937년 기동사단으로 창설되어 제2차 세계 대전, 걸프 전쟁 등 주요 전쟁에 참전했다. 2021년 '퓨처 솔저' 계획에 따라 개편되었으며, 현재는 제4 경보병여단 전투단, 제7 경 기계화 여단 전투단, 제11 치안 부대 지원 여단, 제19 여단, 제8 공병 여단, 제102 작전 유지 여단 등을 예하 부대로 두고 있다. 2028년까지 노스요크셔 캐터릭 주둔지로 사령부를 이전할 예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국의 기갑사단 - 제6기갑사단 (영국)
    제6기갑사단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북아프리카와 이탈리아 전역에서 추축군과 싸웠으며 종전 후 트리에스테 지역 안정화 임무를 수행한 영국군의 기갑 사단으로, 창설과 해산을 반복하다 최종적으로 1958년 해산되었다.
  • 영국 육군의 사단 - 제3사단 (영국)
    영국 육군의 제3사단은 1809년 창설되어 반도 전쟁, 워털루 전투, 제2차 세계 대전 등 역사적 전투에 참전했으며 냉전 시대를 거쳐 2021년 재편 후 현재 2개의 장갑 여단 전투단, 1개의 심부 정찰 타격 여단 전투단, 1개의 작전 유지 여단을 예하에 두고 있다.
  • 영국 육군의 사단 - 제6사단 (영국)
    제6사단 (영국)은 영국 육군의 사단으로, 1차 세계 대전과 2차 세계 대전을 포함한 여러 전쟁에 참전했으며, 여러 차례 재편성을 거쳐 육군특수작전여단 등으로 구성되었다.
  • 걸프 전쟁에 참전한 영국의 부대 및 조직 - 특수주정임무대
    특수주정임무대(SBS)는 영국 해군의 특수 부대로, 해상 및 수륙 양용 작전을 수행하며, 1940년 카누를 이용한 해상 침투 부대로 시작되어, 걸프 전쟁 등 다양한 분쟁에 참여하고, SAS와 동일한 선발 과정을 거쳐 훈련을 받는다.
  • 걸프 전쟁에 참전한 영국의 부대 및 조직 - SAS (영국)
    SAS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데이비드 스털링 소령에 의해 창설된 영국 육군의 특수 부대로, 초기에는 적 보급선 공격 임무를 수행했으며 냉전 시대에는 대테러 부대로 명성을 얻어 현재는 대테러 작전 수행 및 주요 인사 경호 등의 임무를 수행한다.
제1사단 (영국)
개요
제1사단 휘장
제1사단 휘장
창설1809년 6월 18일
국가영국
소속[[File:Flag of the British Army.svg|28px]] 영국 육군
규모사단
병과보병
주둔지노스・요크셔, 요크
상위 부대야전군
주요 참전걸프 전쟁
이라크 전쟁
명칭
영어 명칭1st (United Kingdom) Division
위치
주둔지임팔 병영

2. 편성

아치볼드 몽고메리-매싱버드 경의 기획으로 1937년 11월 창설된 제1(영국)사단은 '기동사단'으로 명명되었다.[4] 사단장 임명을 두고 왕립전차연대와 기병 장교 간 갈등이 있었으나, 앨런 브룩 중장이 사단장으로 임명되면서 타협을 보았다.[4]

초기 기동사단은 제1경기갑여단, 제2경기갑여단, 제1육군전차여단, 포병, 왕립 공병대, 왕립 신호대로 구성되었다. 서류상 620대의 기갑전투차량을 보유했지만, 80% 이상이 정찰차량이었고 일부는 트럭과 유사했다. 중형전차는 전차여단에 배치되었고, 1938년 12월 순항전차가 배치되기 전까지 구식 중형전차가 배치되었다.

2021년 "퓨처 솔저" 개편 후 편성은 다음과 같다.[3]

퓨처 솔저 편성도


사단 사령부는 2028년까지 노스요크셔 캐터릭 주둔지로 이전할 예정이다.

  • 사단 직할 부대

부대주둔지
제1군사정보대대노스요크셔 리치몬드: 캐터릭 주둔지
제5군사정보대대노스요크셔 리치몬드: 캐터릭 주둔지
제2 통신 연대노스요크셔 요크: 임팔 병영
제37 통신 연대우스터셔 레디치


  • 제4 경보병여단 전투단 (노스요크셔 리치몬드: 캐터릭 주둔지)

부대주둔지
경룡기병연대노스요크셔 리치몬드: 캐터릭 주둔지
콜드스트림 근위대 제1대대버크셔 윈저: 빅토리아 병영
그레나디아 근위대 제1대대햄프셔 올더숏: 올더숏 주둔지
듀크 오브 랭커스터 연대 제1대대체셔 체스터: 데일 병영
더 라이플스 제2대대앤트림 리스번: 티프발 병영
로열 굴카 라이플스 제1대대브루나이 세리아
제75 공병 연대체셔 워링턴: 페닌슐라 병영
제154 병참 연대파이프 던펌린
제102 전자·기계기술대대더럼 뉴턴 에이클리프


  • 제7 경 기계화 여단 전투단 (러틀랜드 코츠모어: 켄드류 병영)

부대주둔지
로열 스코츠 드래군 가드파이프 루커스: 루커스 기지
스코츠 가드 제1대대노스요크셔 리치몬드: 캐터릭 주둔지
로열 스코틀랜드 연대 제4대대노스요크셔 리치몬드: 캐터릭 주둔지
로열 앵글리안 연대 제2대대러틀랜드 코츠모어: 켄드류 병영
더 라이플스 제1대대글로스터셔 비치리: 비치리 병영
왕립 제4 포병 연대노스요크셔 탑클리프: 앨런브룩 병영
제32 공병 연대노스요크셔 리치몬드: 캐터릭 주둔지
제6 병참 연대노스요크셔 디시포스: 디시포스 비행장
제1 근접 지원 대대노스요크셔 리치몬드: 캐터릭 주둔지


  • 제11 치안 부대 지원 여단 (햄프셔 올더숏: 올더숏 주둔지)

부대주둔지
아이리쉬 근위대 제1대대햄프셔 올더숏: 올더숏 주둔지
로열 스코틀랜드 연대 제3대대하이랜드 아더시어: 포트 조지
로열 앵글리안 연대 제1대대러틀랜드 코츠모어: 켄드류 병영
프린세스 오브 웨일스 로열 연대 제4대대서리 레드힐
아웃리치 그룹버크셔 허미티지: 데니슨 병영


  • 제19 여단 (노스요크셔 요크: 임팔 병영)

부대주둔지
스코티시 앤 노스 아이리쉬 요먼리에든버러: 레드포드 병영
퀸스 오운 요먼리타인 위어 뉴캐슬어폰타인: 페넘 병영
로열 앵글리안 연대 제3대대서퍽 버리세인트에드먼즈
로열 스코틀랜드 연대 제7대대퍼스 앤 킨로스 퍼스: 퀸스 병영
듀크 오브 랭커스터 연대 제4대대랭커셔 프레스턴: 풀우드 병영
요크셔 연대 제4대대노스요크셔 요크: 워슬리 병영
더 라이플스 제8대대더럼 비숍 오클랜드
로열 아이리시 연대 제2대대앤트림 리스번: 티프발 병영


  • 제8 공병 여단 (햄프셔 민리: 지브롤터 병영)

부대주둔지
제28 공병 연대서퍽 우드브리지: 록 병영
제33 공병 연대에식스 뎁덴: 카버 병영
제35 공병 연대에식스 뎁덴: 카버 병영
제36 공병 연대켄트 메이드스톤: 인빅타 파크 병영
제39 공병 연대머리 킨로스: 킨로스 병영
제71 공병 연대파이프 루커스: 루커스 기지
제101 공병 연대런던 캣퍼드
제11 폭발물 처리 및 수색 연대옥스퍼드셔 디드콧: 복스홀 병영
제1 군견 연대러틀랜드 노스 러페넘: 세인트 조지 병영
제20 작전 그룹케임브리지셔 위터링: RAF 위터링
제62 작전 그룹노팅엄셔 칠웰: 체트윈드 병영
제63 작전 그룹노팅엄셔 칠웰: 체트윈드 병영
제65 작전 그룹노팅엄셔 칠웰: 체트윈드 병영
제66 작전 그룹노팅엄셔 칠웰: 체트윈드 병영


  • 제102 작전 유지 여단 (링컨셔 그랜섬: 프린스 윌리엄 오브 글로스터 병영)

부대주둔지
제7 병참 연대러틀랜드 코츠모어: 켄드류 병영
제150 병참 연대킹스턴어폰헐: 론데스보로 병영
제158 병참 연대피터버러
제159 병참 연대웨스트미들랜즈 코번트리
제2 근접 지원 대대파이프 루커스: 루커스 기지
제101 부대 지원 대대서머싯 케인샴


2. 1. 초기 편성 (1937년)

아치볼드 몽고메리-매싱버드 경의 기획에 따라 1937년 11월 창립된 기동사단은 제1경기갑여단, 제2경기갑여단, 제1육군전차여단, 포병, 왕립 공병대, 왕립 신호대로 구성되었다.[5] 서류상 620대의 기갑전투차량을 보유했지만, 80% 이상이 정찰차량이었고 일부는 트럭과 비슷한 역할을 했다. 중전차는 전차여단에 배치되었고, 1938년 12월 순항전차가 배치되기 전까지 구식 중형전차가 배치되었다.[5] 이후 사단 편제는 경기갑여단, 중기갑여단, 지원단으로 변경되었으나, 순항전차 부족으로 두 여단 간 전차 종류에 큰 차이가 없었다.[5]

2. 2.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당시 로저 에반스 소장은 불완전한 편제의 제1기갑사단을 지휘하여 1940년 프랑스 공방전에 참전했다.[1] 제1기갑사단은 제2기갑여단, 제3기갑여단, 제1지원단으로 구성되었으나 보병 지원이 부족했고,[2] 1940년 5월 14일 프랑스에 상륙했다.[3] 프랑스 공방전에서 많은 전차를 잃은 제1기갑사단은 6월 16일 솜 강 남쪽에서 다른 영국군 부대로부터 떨어진 채 영국으로 철수했다.[2]

1941년 8월까지 영국에서 독일의 침공에 대비한 훈련을 맡았다.[1] 이후 이집트로 이동하여 1941년 11월 13일에 도착했다.[3] 제1기갑사단은 에르빈 롬멜 원수에 맞서 북아프리카 전역가잘라 전투, 메사 마트루스 전투, 제1차 엘 알라메인 전투, 제2차 엘 알라메인 전투, 테바가 포위전, 마레스선 전투, 튀니지 전역 등 많은 전투에 참전했다.[4]

1943년 5월 튀니지 전역이 거의 끝날 무렵, 제1기갑사단은 1944년 5월까지 북아프리카에 남았다. 제1기갑사단 중 제18보병여단만 안치오 상륙 작전에 참여했고,[5] 나머지 전 부대는 5월 말이 되어서야 이탈리아 전역에 참여했다.[3]

제1기갑사단은 엘 알라메인 전투에서 싸운 영국 사단 중 유일하게 영국 제8군 사령부 휘하로 재편입된 부대였다.[6] 고딕선 돌파전에서 제2기갑여단은 코리아노 전투에서 큰 피해를 입었다.[4][7] 1944년 8월부터 리처드 헐이 영국 육군의 참모총장이 되어 이탈리아 전역 일부를 이끌게 되었다.[1] 그러나 사단은 손실을 대체할만한 물자가 부족했기 때문에 제2기갑여단은 독립여단이 되었고, 제18보병여단은 해체되어 다른 영국 사단들의 손실을 보충했다.[8] 1945년 1월 11일 사단은 공식적으로 해체되었다.[1]

2. 3. 전후 및 냉전 시기

1960년대 영국 육군은 제1기갑사단을 재창설했다. 서독 베르덴 안 데르 알러에 주둔한 라인강 주둔 영국군의 일부였는데, 제1보병사단이 해체된 이후 영국 제1사단으로 재편성되었다.[6]

1970년대 사단은 제7기갑여단과 제22기갑여단으로 구성되었다.[7] 1976년 영국 육군은 사단을 제1기갑사단으로 다시 명명했고, 1978년부터 영국 제1군단과 함께 복무했다.[8] 1970년대 말 2개의 임무부대로 재편성된 후, 1980년대 제1기갑사단은 제7기갑여단, 제22기갑여단 외에 제12기갑여단도 휘하에 두게 되었다.[9] 1983년 제작된 사단 뱃지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제1기갑사단의 코뿔소 뱃지와 제1보병사단의 붉은 삼각형 선봉 뱃지를 합친 것이다.[10]

2. 4. 걸프 전쟁

1990년 영국 육상병력을 지휘하기 위해 제1기갑사단은 사우디아라비아에 배치되었다. 제4기갑여단과 제7기갑여단이 휘하 편제였다. 전쟁이 격화되면서 영국 제1기갑사단은 미국 제7군단 휘하 편제로 들어가 이라크 공화국 수비군을 격파하는데 일조했다.[11] 제1기갑사단은 노포크 전투에 참여하여 이라크 T-55 전차를 여럿 파괴했다. 48시간의 전투 끝에 사단은 4개의 이라크 보병사단을 격멸하거나 포위했고, 이라크 제52기갑사단을 돌파했다. 97시간 동안 제1기갑사단은 약 349.23km를 주파했고, 이 과정에서 300대의 전차를 파괴하거나 노획하고 다수의 차량을 파괴했다.[12]

2. 5. 21세기 및 현재

2015년 6월 1일, 사단은 요크의 임팔 막사로 이전하였다.[13] 2021년에 발표된 퓨처 솔저 개편에 따라, 사단 사령부는 2028년까지 노스요크셔의 캐터릭 주둔지로 이전할 예정이다.[3]

다음은 2021년 "퓨처 솔저" 개편 후 편제이다.[3]

직할 부대



제4 경보병여단 전투단 (노스요크셔 리치몬드: 캐터릭 주둔지)



제7 경 기계화 여단 전투단 (러틀랜드 코츠모어: 켄드류 병영)



제11 치안 부대 지원 여단 (햄프셔 올더숏: 올더숏 주둔지)



제19 여단 (노스요크셔 요크: 임팔 병영)



제8 공병 여단 (햄프셔 민리: 지브롤터 병영, 민리)



제102 작전 유지 여단 (링컨셔 그랜섬: 프린스 윌리엄 오브 글로스터 병영)


2. 6. 현재 편성 (퓨처 솔저 개편 이후)

2021년에 발표된 "퓨처 솔저"에 따른 개편 후 편성은 다음과 같다.[3]

이 개편으로 사단 사령부는 2028년까지 노스요크셔의 캐터릭 주둔지로 이전할 예정이다.

  • 사단 직할 부대

부대주둔지
제1군사정보대대노스요크셔 리치몬드: 캐터릭 주둔지
제5군사정보대대노스요크셔 리치몬드: 캐터릭 주둔지
제2 통신 연대노스요크셔 요크: 임팔 병영
제37 통신 연대우스터셔 레디치


  • 제4 경보병여단 전투단 (노스요크셔 리치몬드: 캐터릭 주둔지)

부대주둔지
경룡기병연대노스요크셔 리치몬드: 캐터릭 주둔지
콜드스트림 근위대 제1대대버크셔 윈저: 빅토리아 병영
그레나디아 근위대 제1대대햄프셔 올더숏: 올더숏 주둔지
듀크 오브 랭커스터 연대 제1대대체셔 체스터: 데일 병영
더 라이플스 제2대대앤트림 리스번: 티프발 병영
로열 굴카 라이플스 제1대대브루나이 세리아
제75 공병 연대체셔 워링턴: 페닌슐라 병영
제154 병참 연대파이프 던펌린
제102 전자·기계기술대대더럼 뉴턴 에이클리프


  • 제7 경 기계화 여단 전투단 (러틀랜드 코츠모어: 켄드류 병영)

부대주둔지
로열 스코츠 드래군 가드파이프 루커스: 루커스 기지
스코츠 가드 제1대대노스요크셔 리치몬드: 캐터릭 주둔지
로열 스코틀랜드 연대 제4대대노스요크셔 리치몬드: 캐터릭 주둔지
로열 앵글리안 연대 제2대대러틀랜드 코츠모어: 켄드류 병영
더 라이플스 제1대대글로스터셔 비치리: 비치리 병영
왕립 제4 포병 연대노스요크셔 탑클리프: 앨런브룩 병영
제32 공병 연대노스요크셔 리치몬드: 캐터릭 주둔지
제6 병참 연대노스요크셔 디시포스: 디시포스 비행장
제1 근접 지원 대대노스요크셔 리치몬드: 캐터릭 주둔지


  • 제11 치안 부대 지원 여단 (햄프셔 올더숏: 올더숏 주둔지)

부대주둔지
아이리쉬 근위대 제1대대햄프셔 올더숏: 올더숏 주둔지
로열 스코틀랜드 연대 제3대대하이랜드 아더시어: 포트 조지
로열 앵글리안 연대 제1대대러틀랜드 코츠모어: 켄드류 병영
프린세스 오브 웨일스 로열 연대 제4대대서리 레드힐
아웃리치 그룹버크셔 허미티지: 데니슨 병영


  • 제19 여단 (노스요크셔 요크: 임팔 병영)

부대주둔지
스코티시 앤 노스 아이리쉬 요먼리에든버러: 레드포드 병영
퀸스 오운 요먼리타인 위어 뉴캐슬어폰타인: 페넘 병영
로열 앵글리안 연대 제3대대서퍽 버리세인트에드먼즈
로열 스코틀랜드 연대 제7대대퍼스 앤 킨로스 퍼스: 퀸스 병영
듀크 오브 랭커스터 연대 제4대대랭커셔 프레스턴: 풀우드 병영
요크셔 연대 제4대대노스요크셔 요크: 워슬리 병영
더 라이플스 제8대대더럼 비숍 오클랜드
로열 아이리시 연대 제2대대앤트림 리스번: 티프발 병영


  • 제8 공병 여단 (햄프셔 민리: 지브롤터 병영)

부대주둔지
제28 공병 연대서퍽 우드브리지: 록 병영
제33 공병 연대에식스 뎁덴: 카버 병영
제35 공병 연대에식스 뎁덴: 카버 병영
제36 공병 연대켄트 메이드스톤: 인빅타 파크 병영
제39 공병 연대머리 킨로스: 킨로스 병영
제71 공병 연대파이프 루커스: 루커스 기지
제101 공병 연대런던 캣퍼드
제11 폭발물 처리 및 수색 연대옥스퍼드셔 디드콧: 복스홀 병영
제1 군견 연대러틀랜드 노스 러페넘: 세인트 조지 병영
제20 작전 그룹케임브리지셔 위터링: RAF 위터링
제62 작전 그룹노팅엄셔 칠웰: 체트윈드 병영
제63 작전 그룹노팅엄셔 칠웰: 체트윈드 병영
제65 작전 그룹노팅엄셔 칠웰: 체트윈드 병영
제66 작전 그룹노팅엄셔 칠웰: 체트윈드 병영


  • 제102 작전 유지 여단 (링컨셔 그랜섬: 프린스 윌리엄 오브 글로스터 병영)

부대주둔지
제7 병참 연대러틀랜드 코츠모어: 켄드류 병영
제150 병참 연대킹스턴어폰헐: 론데스보로 병영
제158 병참 연대피터버러
제159 병참 연대웨스트미들랜즈 코번트리
제2 근접 지원 대대파이프 루커스: 루커스 기지
제101 부대 지원 대대서머싯 케인샴


3. 전투 서열

시기전투
1939년 9월영국 육군의 1939년 9월 전투 서열
1940년영국 원정군의 1940년 전투 서열
1942년 5월~6월가잘라 전투
1942년 10월~11월제2차 엘 알라메인 전투
1943년 3월마레스선 전투
1943년 4월와디아카리트 전투
1943년 4월 20일1943년 4월 20일
1943년 5월 4일1943년 5월 4일
1944년고딕 전선
1991년걸프 전쟁
2003년텔릭 작전


4. 계보


  • Mobile Division|기동사단영어(1937년 11월)[1]
  • 1st Armoured Division|제1기갑사단영어(1938년)[1]
  • 1st Division|제1사단영어(1960년)[1]
  • 1st British Armoured Division|제1브리티시 기갑사단영어(1976년)[1]
  • 1st (United Kingdom) Division|제1(영국)사단영어(2014년 7월)[1]

참조

[1] 웹사이트 1st (UK) Division https://www.army.mod[...] "国防省 (イギリス)|イギリス国防省" 2022-06-27
[2] 웹사이트 Homecoming of a Yorkshire general http://www.yorkpress[...] The Press 2015-06-04
[3] 웹사이트 Future Soldier Guide https://www.army.mod[...] British Army 2023-06-23
[4] 서적 British and Commonwealth Armoured Formations (1919–1946) Profile Publishing
[5] 서적
[6] 웹사이트 British Army Units https://web.archive.[...]
[7] 웹인용 The British Army in Germany: An Organisational History 1947-2004 https://books.google[...] Tiger Lily
[8] 웹인용 Shiel Barracks http://baor-location[...] BAOR Locations 2015-10-27
[9] 웹인용 The Cold War Years. A Hot War in reality. Part 6. http://harveyblackau[...]
[10] 웹인용 Badge, formation, 1st Armoured Division & 2nd Armoured Brigade http://www.iwm.org.u[...] Imperial war Museum 2017-10-23
[11] 웹사이트 Order of Battle for VII Armoured Corps http://www.tim-thomp[...]
[12] 웹인용 Challenger 1 Main Battle Tank https://www.globalse[...] Global Security 2017-10-25
[13] 웹인용 Homecoming of a Yorkshire general http://www.yorkpress[...] The Press 2015-06-04
[14] 웹인용 Army basing plan https://www.gov.uk/g[...] Ministry of Defense 2013-03-05
[15] 웹인용 Army 2020 Report http://www.army.mod.[...] Ministry of Defence 2013-07-12
[16] 웹인용 Division Redesignated to 1 (UK) Division http://www.army.mod.[...] Ministry of Defence 2014-07-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