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GM-52 랜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MGM-52 랜스는 미국에서 개발된 단거리 탄도 미사일로, 1972년부터 1992년까지 실전 배치되었다. MGR-1 오네스트 존과 MGM-29 서전트를 대체하여 무게와 부피를 줄이고 정확도와 기동성을 향상시켰다. W70 핵탄두, 중성자탄, 재래식 탄두를 탑재할 수 있었으며, 125km의 사거리를 가졌다. 랜스는 미국, 영국, 이스라엘, 네덜란드, 벨기에, 이탈리아, 독일 등 여러 국가에서 운용되었으며, 냉전 종식 이후 퇴역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탄도 미사일 - 퍼싱 II
퍼싱 II는 미국의 중거리 탄도 미사일로, SS-20 미사일에 대응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높은 정확도와 폭발력 조절 기능을 갖췄으나, 중거리 핵전력 조약에 따라 퇴역하였다. - 미국의 탄도 미사일 - MGM-31 퍼싱
MGM-31 퍼싱은 미국이 개발한 중거리 탄도 미사일로, 핵탄두를 탑재하고 유럽에 배치되었으며, 퍼싱 I, 퍼싱 II 등의 파생형으로 발전하여 1988년 중거리 핵전력 조약에 따라 폐기되었다. - 미국의 지대지 미사일 - 하푼
하푼은 보잉에서 제작한 미국의 대함 미사일로, 다양한 플랫폼에서 발사 가능하며 액티브 레이다 호밍 유도 방식과 시스키밍 순항 궤도를 통해 생존성과 유효성을 높여 전 세계 여러 국가에서 운용되고 있다. - 미국의 지대지 미사일 - MGM-140 ATACMS
MGM-140 ATACMS는 고체 연료 로켓을 사용하는 지대지 미사일로, 최대 사거리가 300km이며, 걸프 전쟁에서 실전 사용되었고, 대한민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에서 운용한다. - 단거리 탄도 미사일 - V-2 로켓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나치 독일이 개발한 세계 최초의 장거리 탄도 미사일인 V-2 로켓은 베르너 폰 브라운 연구팀에 의해 개발되어 액체 추진제를 사용, 최대 320km 사거리와 1톤의 탄두 운반 능력을 갖췄으나, 연합국 도시 공격에 사용되며 막대한 피해를 야기했고, 전후 미사일 및 우주 기술 발전에 영향을 미쳤지만, 개발 과정에서 강제 수용소 수감자들의 노예 노동이 동원되는 윤리적 문제와 군사적 효용성 논란이 있었다. - 단거리 탄도 미사일 - J-600T 을드름
J-600T 을드름은 터키 로켓산에서 개발 및 제조된 단거리 탄도 미사일로, 중국 B-611을 기반으로 국산화 및 개량되었으며, F-600T 발사 차량과 함께 2001년부터 터키군에서 운용되고 있다.
MGM-52 랜스 | |
---|---|
기본 정보 | |
![]() | |
유형 | 전술 탄도 미사일 |
개발 국가 | 미국 |
생산 회사 | LTV |
사용 국가 | 미국 육군 영국 벨기에 네덜란드 이탈리아 서독 |
제원 | |
사거리 | 72~120 km (탄두에 따라 다름) |
탄두 | W70 핵탄두 1개 M251 고폭탄 자탄 1개 |
핵탄두 위력 | 1~100 kt |
엔진 | 액체 추진 로켓 |
유도 방식 | 관성항법 |
속도 | 마하 3 이상 |
길이 | 6.1 m |
직경 | 560 mm |
발사 중량 | 1,292~1,527 kg (탄두에 따라 다름) |
생산 및 운용 | |
생산 수량 | 2,133기 |
도입 시기 | 1972년 |
퇴역 시기 | 1992년 |
단가 | 약 80만 US$ (1996년 기준), 2023년 기준 약 1.4백만 달러 |
사용 국가 | 미국 육군 영국 육군 이스라엘 방위군 이탈리아 이란군 네덜란드 서독 벨기에 |
2. 개발
2. 1. 미사일 "B"
미국 육군은 1950년대 후반에 "A"부터 "D"까지 명명된 일련의 신형 탄도미사일 요구 사항을 정립했다. 이 중 미사일 "B"는 MGR-1 오네스트 존(MGR-1 Honest John)을 대체하기 위한 것이었다. 1956년 10월 15일, 미사일 "B"에 대한 최초 요구 명세가 확립되었고, 1959년 3월 29일에는 미사일 "B"의 품질에 관한 개발 요구 정보(Qualitative Development Requirements Information, QDRI)가 공표되었다. 약 60개의 기업 및 단체가 사전 조사 요청에 응했으며, 미사일 "B" 프로젝트 사무국은 미국 육군 병기 미사일 사령부(Army Ordnance Missile Command, AOMC) 산하에 1961년 12월 11일에 설립되었다.AOMC는 1962년 6월 9일에 간이 플랫폼 관성 유도(Simple Platform Inertial, SPI)와 DCAM(#[#특징|후술])의 두 가지 기술적 개념 제안을 요구했다. 8개 회사가 응했고, 1962년 8월 1일에 60일간의 계획 수립을 위해 크라이슬러(Chrysler)사와 링 템코 보트(Ling-Temco-Vought, LTV)사, 2개 회사가 선정되었다. 1962년 10월 19일, 종합 개발 계획 제안이 제출되었고, 10일 후 미국 국방부(Department of Defense)에 미국 육군의 추천이 제출되었다. 1962년 11월 1일, AOMC는 LTV를 미사일 "B" 개발 주 계약자로 발표하고, MAMP를 LTV 개발팀의 연구 용지로 선정했다. 1963년 1월 11일, LTV는 MICOM으로부터 계약서를 수령하고 공식적으로 랜스 개발이 시작되었다. 미국 육군과 LTV의 계약은 5년간 7,500만 미국 달러의 CPIF(cost-plus-incentive-fee) 계약이었다.
2. 2. 개발 초기
1958년 8월 19일 대륙군사령부(CONARC)의 군수품 질적 요구 사항(QMR)에 대한 1961년 7월 5일 승인을 기반으로 미사일 "B"의 사양이 개발되었다. 450kg의 탑재량으로 핵탄두, 일반 탄두, 화학무기 탄두를 탑재하고 사거리가 75km인 것을 요구받았다. 정확도는 미사일 단가 절감을 위해 약 8km로 다소 낮게 설정되었다.1962년 11월 26일 미국 육군성은 미사일 "B"의 명칭을 "랜스"로 변경하고, 1963년 6월 새롭게 정해진 명명 규칙에 따라 제식명칭 '''MGM-52'''를 부여했다. LTV는 랜스 개발에 있어 엔지니어링 모델(EM), 전술 시제품(TP), 양산 모델(PM)의 세 가지 구성으로 미사일을 계획했다.
1963년 9월, 경량 발사대(LWL)의 요구 사양이 견인식에서 자주식으로 변경되었다. 캐나다 정부는 LWL 개발의 일부(175만 달러 상당)를 담당하기로 하고, 캐나다 토론토의 호커 시드리와 하청 계약을 체결했다. LWL은 M113 장갑차를 기반으로 한 M667 미사일 운반차가 되었다.
로켓다인에서 제조된 로켓 모터 개발은 초기부터 난항을 겪었다. 1964년 4월까지 추진 시스템 개발의 어려움이 확인되어, 로켓다인을 하청으로 두어 로켓 모터 관련 심각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다. 로켓다인 개발팀은 기술적 및 관리적 문제를 확인하고, 부스터 비추력, 엔진 공칭 추력 및 미사일 동력 비행 시간을 줄이는 방법으로 시정 조치를 취했지만, 그 결과 미사일의 전장을 연장하고 무게를 늘려야 했다. 이로 인해 개발 기간은 최소 6개월, 비용은 3천만 달러가 추가되었지만, 1965년 1월 16일 로켓 모터 시험은 처음으로 성공했다. 1966년 3월 LTV와의 계약이 갱신되어 새로운 비용과 예상 보상이 정해졌지만, 비용 초과와 계획 지연으로 인해 최초 계약의 보상금이 상쇄되었다.
2. 3. XMGM-52A
EM 미사일(XMGM-52A)의 최초 비행 시험은 1965년 3월 15일에 실시되었으며, 당시 랜스는 원점에서 125kt(약 60m/s)의 강한 측풍을 경험했음에도 성공적으로 수행되었다. 이 비행을 통해 랜스의 DCAM 보상 이론이 입증되었다. DCAM 유도 원리 확인을 포함한 시험은 1966년 10월 3일까지 계속되었고, 6회의 EM 시험이 반복되었다. 그 다음 달에 제한 생산(LP) 승인 요청이 육군성에 제출되었고, 1967년 6월 15일에 17세트의 지상 지원 장비(Ground Support Equipment, GSE) LP 획득이 승인되었다.
TP 미사일(XMGM-52A)의 비행 시험은 1967년 전반기에 시작되었고, 당시 미국 관할 지역이었던 파나마 운하 지역(파나마)에서의 열대 지역 운용 시험과 C-130 수송기를 통한 공중 투하 후 지상 기동성 시험 등 다양한 시험이 실시되었다. 그러나 1967년 4월 28일, 같은 해 6월에 TP 미사일 폭발 사고가 잇달아 발생했고, 1967년 10월 20일 TP-16 시험에서 발사 20초 후 통산 5번째 폭발이 발생하면서 시험 프로그램은 일시 중단되었다. 실패의 근본 원인을 찾기 위해 새로운 진단 방식이 개발되었고, 가장 가능성 있는 원인으로 압축되어 결함의 재현성이 확인되었다. 개선 작업은 재현성 확인 후부터 실시되었고, 이 실패의 근본 원인은 1968년 5월 13일에 확인되었다. 개선은 산소량이 많은 연소 가스가 고열의 많은 양의 고체 추진제 가스 발생기의 연소 가스와 섞이지 않도록 하는 적절한 SOS(Seal to Spring)에 의해 실현되었다. 새로운 연료 시스템을 이용한 비행은 1968년 8월 30일에 성공했고, 1969년 3월까지 추가로 4기의 시험 비행을 통해 그 개선이 확보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시험이 계속되는 동안, XRL 구성(후술)의 랜스만 배치하기로 1967년 12월 15일에 결정되었다.
2. 4. XMGM-52B
1965년 4월, 고성능 로켓 모터와 더 큰 미사일 핀을 사용하고, 탄두부에서 바라스트를 제거함으로써 랜스의 사거리를 약 125km로 대폭 연장할 수 있다는 것이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 개량된 미사일은 사거리 연장형 랜스(Extended Range Lance, XRL)로 불렸으며, 미사일 "B"와 "C"의 요구 사항을 동시에 충족했다. 2기의 XRL 시험기가 1966년 9월에 시험 비행을 실시하여 사거리 연장의 실현 가능성이 입증되었다. 육군성은 1967년 3월에 XRL 개발을 승인했고, XRL은 '''MGM-52B'''로 지정되었다.
XMGM-52B XRL 미사일의 첫 비행은 1969년 5월 13일에 있었고, 일단 성공을 거두었지만, 1969년 7월 11일에 XRL의 로켓 모터가 불안정한 연소를 일으켜 고장났다. 다시 고장 진단과 고장 분리가 실시되어 문제를 해결한 것이 1969년 10월 24일에 밝혀졌다. 그 다음 해인 1970년 3월 6일에는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 125km의 사거리와 3.5마일의 정확도를 보였고, 1970년 9월 10일에 75기의 미사일 생산이 승인되었지만, 화학무기 탄두의 비행은 취소되었다.
핵탄두를 장착한 XMGM-52B의 첫 번째 엔지니어링 테스트/서비스 테스트(ET/ST)는 1971년 8월 13일에 실시되었지만 실패로 끝났다. 원인은 핵탄두에 기인하는 미사일의 동력 정지였다. 개선 작업은 두 번째 핵탄두 미사일의 비행 시험이 실시된 1971년 11월 30일까지 계속되었지만, 이 시험도 실패했다. 이러한 실패로 인해 핵탄두 회로의 대대적인 재설계가 필요하게 되었고, 이후 12기의 미사일과 9개월의 기간이 재설계를 위해 투입되었다.
2. 5. 생산 승인
1972년, 랜스 미사일의 정식 생산이 승인되어 실전 배치되기 시작했다. 최초의 랜스 미사일은 호네스트 존 로켓과 서전트 SRBM 탄도 미사일을 대체했으며, 시스템의 무게와 부피가 크게 줄고 정확도와 기동성이 향상되었다.[3]랜스 미사일 발사대는 2대의 M752 발사 차량(각각 미사일 1발)과 2대의 M688 보조 차량(각각 미사일 2발)으로 구성되어 총 6발의 미사일을 보유했다. 발사 속도는 시간당 약 3발이었다.[3]
1972년 5월 9일 생산 확인 IPR에서 랜스 미사일을 표준 A로 지정하고, 핵탄두 LP 생산량 확대도 추천되었다. 1973년 4월 16일 IPR에서 핵탄두도 표준 A로 지정되어 배치 단계에 이르렀다. 배치 초기 모든 랜스는 W70 가변 핵출력 열핵탄두(핵출력 1-100kt)를 장착했다. 모든 개선 사항을 반영한 랜스의 최종 생산 구성은 '''MGM-52C'''로 지정되었다.[4]
2. 6. 통상탄두 개발
MGM-52 랜스는 W70 핵탄두 외에도 다양한 재래식 탄약을 탑재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5] 재래식 탄약에는 경질 표적 관통 및 벙커 파괴용 단일 재래식 성형작약 탄두, 대인 및 대물용 836개의 M74 소형 폭탄을 탑재한 클러스터형 구성이 포함되었다. 초기에는 화학 무기 탄두 옵션도 고려되었으나 1970년에 개발이 취소되었다.
1969 회계연도 후반, XM41 소형 폭탄의 높은 불발률 문제로 인해 표준 M40 소형 폭탄을 랜스 미사일에 사용하는 방안이 모색되었다. 그러나 미국 의회는 1971년 11월 비핵탄두 조달 관련 모든 자금을 취소했다.
이후 자금 조달이 가능해짐에 따라 1973년 1월 비핵탄두 개발이 재개되었고, 1974년 4월까지 M40 소형 폭탄을 사용하는 XM251 비핵탄두의 10회에 걸친 비행 시험이 실시되었다. XM811E5 주신관의 재설계 및 재시험으로 인해 개발이 3개월 지연되었다. 1976년 MGM-52C의 비핵탄두 생산이 승인되었고, 같은 해 10월부터 생산이 시작되었다. M251 클러스터탄 탄두는 1978년 미국 육군에서 운용이 시작되었다.
3. 특징
1978년 4월 25일자 동아일보와 1981년 8월 10일자 경향신문 보도에 따르면, 랜스 미사일은 10 킬로톤급 중성자탄을 장착하여 발사할 수 있다. 중성자탄은 500피트 상공에서 폭발하며, 1400피트 반경 내에서는 심각한 파괴와 함께 수 초 안에 사망, 2500피트 내에서는 2일 안에 사망, 3000피트 내에서는 6일 안에 사망, 4000피트 내에서는 수 주일 안에 사망에 이르게 한다. 중성자탄은 8인치 곡사포나 155mm 야포로도 발사 가능하다.
랜스는 저장 가능한 액체 추진제를 사용하는 신형 가변 추력 듀얼 스러스트 액체 연료 로켓 모터를 탑재했다. 발사 직후 특징적인 검은 연기를 내뿜는 4개의 스핀 모터를 사용했다. 1,500m 거리까지 가속하는 고추력 부스터로 발사되고, 그 후 가변 추력 서스테이너에 의한 탄도 유지 비행으로 이행한다.
유도에는 '''AN/DJW-48''' 완전 내장 관성 시스템을 사용했는데, 이 시스템은 1961년 5월 윌리엄 C. 매코클 박사와 레드스톤 무기 공장에 있던 OML(Ordnance Missile Laboratories)의 R. G. 코나드가 발명한 DCAM(Directional Control Automatic Meteorological) 보상 원리를 이용했다. 가속 단계의 방향을 부스터에 대한 2차 분사를 지령하는 자이로스코프로 제어하고, 미사일의 가속을 끊임없이 모니터하여 부스터의 정지와 가변 추력 서스테이너를 가속도계로 제어했다. 추력을 미사일의 공기 저항과 같게 하여 예정된 탄도에 미사일을 유지하기 위해 정확한 추력량을 제공함으로써, 어떠한 대기 조건의 변화나 장애에도 그것을 보상했다.
MGM-29 서전트와 비교하여 운용 및 유지가 훨씬 간편했다. 지체 없이 대응 시간 15분 미만으로 발사될 수 있었고, 소형 사이즈 덕분에 더 많은 미사일을 하나의 부대에서 이동시킬 수 있었다.
; 제원
- '''종류''': 단거리 탄도 미사일
- '''실전배치''': 1972년 – 1992년
- '''제조사''': LTV
- '''중량''': 1,292 kg
- '''길이''': 6 m
- '''직경''': 559 mm
- '''탄두''':
- * W-70 핵탄두 1개: TNT 1 - 100kt, 122 kg
- * 중성자탄
- * 재래식 탄두
- '''엔진''': 고체 추진제
- '''추력''': 45,000 lbf
- '''속도''': 마하 3 이상
- '''장전시간''': 15분
3. 1. 탄체
랜스는 저장 가능한 액체 추진제를 사용하는 신형 가변 추력 듀얼 스러스트 액체 연료 로켓 모터를 탑재했다. 또한 발사 직후 특징적인 검은 연기를 내뿜는 4개의 스핀 모터를 사용했다. 1,500m 거리까지 가속하는 고추력 부스터로 발사되고, 그 후 가변 추력 서스테이너에 의한 탄도 유지 비행으로 이행한다.유도에는 '''AN/DJW-48''' 완전 내장 관성 시스템을 사용했는데, 이 시스템은 1961년 5월 윌리엄 C. 매코클 박사와 레드스톤 무기 공장에 있던 OML(Ordnance Missile Laboratories)의 R. G. 코나드가 발명한 DCAM(Directional Control Automatic Meteorological) 보상 원리를 이용했다. 가속 단계의 방향을 부스터에 대한 2차 분사를 지령하는 자이로스코프로 제어하고, 미사일의 가속을 끊임없이 모니터하여 부스터의 정지와 가변 추력 서스테이너를 가속도계로 제어했다. 추력을 미사일의 공기 저항과 같게 하여 예정된 탄도에 미사일을 유지하기 위해 정확한 추력량을 제공함으로써, 어떠한 대기 조건의 변화나 장애에도 그것을 보상했다.
MGM-29 서전트와 비교하여 운용 및 유지가 훨씬 간편했다. 지체 없이 대응 시간 15분 미만으로 발사될 수 있었고, 소형 사이즈 덕분에 더 많은 미사일을 하나의 부대에서 이동시킬 수 있었다.
3. 2. 유도 방식
3. 3. 방사선 강화형 열핵탄두
W70 핵탄두의 파생형인 W70 Mod 3(W70-3)은 1977년에 생산 준비가 완료되었다.[5] 이 탄두는 방사선 강화(ER) 탄두[5], 즉 중성자 폭탄으로, 특정 범위 내에서 인간의 중추신경계를 공격하는 고강도 중성자선을 다량 방출하도록 설계되었다.[5] 중성자선은 납을 포함한 차폐물이나 강판 장갑에도 효과가 있어, 차폐물 뒤나 장갑 전투 차량 안에 있는 적병을 살상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또한, 민간 시설이나 인프라 피해를 줄이기 위해 일반적인 열핵탄두보다 폭풍과 열에 의한 파괴력은 작게 설계되었다.미국 정부는 랜스의 방사선 강화형 열핵탄두가 서독 영토를 불필요하게 파괴하지 않고 적병만을 살상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1977년 6월 6일 워싱턴 포스트는 건물은 보존하고 인명만을 빼앗는 "중성자 폭탄(Neutron Bomb)"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며 비인도적이라는 뉘앙스로 보도하여, 랜스는 일시적으로 악평을 얻었다.[5] 미국 의회는 1977년 7월 13일 ER 탄두 생산 자금을 승인했지만, 지미 카터 대통령은 1978년 4월 정치적 판단으로 생산을 연기했다. 1981년 8월 10일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은 생산을 승인하여 제조가 시작되었으나, ER 탄두는 미국 내에 보관되었고 해외로 이전되지 않았으며, 사용에도 엄격한 제한이 설정되어 실전 배치되지는 않았다.
4. 대한민국
대한민국에서 랜스 미사일은 197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 초반까지 한반도 안보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1976년 미국 국방부는 한국에 배치된 어네스트 존과 서전트 미사일을 랜스 미사일로 교체 중이라는 보도를 부인했다.[15] 그러나 1978년 3월, 팀스피리트 훈련을 위해 랜스 미사일 부대가 오산 기지에 도착했고, 박정희 대통령은 훈련을 참관하며 랜스 미사일 등 장비를 살펴보았다. 같은 해, 일본 교도통신은 한국이 미국에 랜스 미사일 제공을 비밀리에 요청했다는 정보가 있다고 보도했고, 소련 타스통신은 미국이 랜스 지대지 핵미사일을 한국에 넘겨줄 것으로 예상된다고 보도했다.[16][17] 1981년에는 중성자탄 한국 배치 가능성이 보도되며 랜스 미사일에 중성자탄이 장착될 수 있다는 내용이 언급되었다.[18][19]
1986년 11월, 주한 미8군 사령부는 랜스 포대의 배치 계획을 발표했고, 이듬해 2월에 배치됨으로써 극동 지방에서는 처음으로 도입되었다. 1991년, 미국의 부시 대통령은 모든 지상발사전술핵무기를 폐기한다고 선언했고, 노태우 대통령은 이를 환영하며 북한의 핵무기 개발 포기를 촉구했다. 1992년, 미국은 모든 전술 핵무기의 철수를 완료했다고 발표했다. 2008년, 북한은 군사 퍼레이드에서 SS-21을 개량한 KN-02 미사일을 선보였다.[20]
5. 운용
랜스 미사일은 1972년에 배치되어, 호네스트 존 로켓과 서전트 SRBM 탄도 미사일을 대체했다.[3] 이를 통해 시스템의 무게와 부피가 크게 줄어들었으며, 정확도와 기동성이 모두 향상되었다.[3] 랜스 미사일 발사대는 2대의 M752 발사 차량(각각 미사일 1발)과 2대의 M688 보조 차량(각각 미사일 2발)으로 구성되어 총 6발의 미사일을 보유했다.[3] 발사 속도는 시간당 약 3발이었다.[3]
1971년경에는 대한민국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미사일 개발 움직임을 견제하기 위해 XRL 구성의 랜스를 배치하고 훈련을 반복했다.[12] 1972년 6월 30일, 첫 랜스 훈련대대가 오클라호마주 포트 실에서 활동을 시작했다.[12] 첫 공식 랜스 대대는 1973년 9월 주한미군에 배치되었으며, 1975년 9월 주한미군의 랜스 배치가 완료되어 서전트 4개 대대와 어니스트 존 14개 대대를 대체했다.[12] 1975년 11월 포트 실에서 8번째 랜스 대대가 활동을 시작하여 전략군 대대로 지정됨으로써 미국 육군의 랜스 배치가 완료되었고, 유럽에 6개 대대, 미국 내에 2개 대대 등 총 8개의 랜스 대대가 있었다.[12]
랜스는 1975년 3월 이탈리아에 대한 전면 배치를 시작으로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가맹국(이탈리아, 영국, 독일 연방공화국(서독), 벨기에, 네덜란드) 및 이스라엘에 수출되었다.[12] 1976년 9월 30일 시점에서 랜스의 대외무상군사원조(FMS)에 의한 총 매출액은 발사기 76기, 미사일 903기에 달하며 10개 대대 규모에 이르렀다.[12]
1965년 8월 17일 알라바마주 애니스턴 육군 보급창(ANAD)에 랜스 미사일의 연료 공급 임무가 할당되었고, 1967년 5월 1일에 공급 활동이 시작되었지만, 1975년 6월 30일 시점에서 300기의 랜스 미사일이 연료를 충전하지 못한 채 남아 있었다.[12]
미국 육군에 대한 일반탄두형 랜스의 배치는 1978년 5월에 시작되어 1980년 9월에 완료되었지만, 1980년 10월 1일에 MAMP에서 랜스 생산이 종료되었다.[12]
냉전 종식 이후 랜스 미사일은 운용에서 제외되었고, 재래식 역할은 부분적으로 ATACMS가 대체했다.[6] 1990년 5월 NATO 정상회의는 랜스 후속(FOTL, Follow-on-to-Lance) 표준으로의 현대화를 진행하지 않기로 결정했다.[6]
1991년 9월 27일 조지 H. W. 부시 대통령의 전술핵무기 감축 발표와 소련 붕괴 이후, 1992년 2월 1일 부시 대통령과 러시아의 보리스 옐친 대통령이 워싱턴에서 냉전 종식을 선언했다.[13] 랜스의 퇴역은 1991년부터 시작되어 마지막 랜스 대대가 1992년 6월 30일 오클라호마주 포트 실에서 해산됨으로써 완료되었다.[13] 1991년에 일반탄두만 탑재 가능한 신형 MGM-140 ATACMS가 사용 가능해짐에 따라 이러한 신속한 퇴역이 가능해졌다.[13]
독일 국방 기술 박물관(Koblenz 소재)에는 이 미사일 중 하나가 소장되어 있다.
6. 성능 및 제원
wikitext
- '''종류''': 단거리 탄도 미사일
- '''실전배치''': 1972년 – 1992년
- '''제조사''': LTV
- '''중량''': 1,292 kg
- '''길이''': 6 m
- '''직경''': 559 mm
- '''탄두''':
- * W70 핵탄두 1개: TNT 1 - 100kt, 122 kg
- * 중성자탄
- * 재래식 탄두
- '''엔진''': 고체 추진제
- '''추력''': 45,000 lbf
- '''속도''': 마하 3 이상
- '''장전시간''': 15분
- '''전장''': 6.1m
- '''발사중량''': 1,290kg
- '''추진기관''': 로켓다인(Rocketdyne) 액체연료 로켓 모터
- : 추력(부스터): 186 kN
- : 추력(서스테이너): 최대 20kN, 가변
- '''도달고도''': 45km
- '''사거리''': 125km
- '''탄두''':
- * W70 열핵탄두 (핵출력: 1-100kt)
- * W70 Mod 3 방사선 강화형 열핵탄두 (중성자폭탄) (실전 배치 없음)
- * M251 클러스터 탄두 (M40 소형폭탄 사용)
1978년 4월 25일자 동아일보에는 랜스 미사일로 10 킬로톤급 중성자탄을 지상 152m 상공에서 폭발시킬 경우, 반경 427m 이내는 심각한 파괴와 함께 수 초 안에 사망하며, 762m 이내에서는 2일 안에 사망, 914m 이내에서는 6일 안에 사망, 1,219m 이내에서는 수 주일 안에 사망한다고 보도되었다. 1981년 8월 10일자 경향신문에는 랜스 미사일에 중성자탄을 장착하여 발사할 수 있다는 내용이 보도되었다.
6. 1. 제원
- 종류: 단거리 탄도 미사일
- 실전배치: 1972년 – 1992년
- 제조사: LTV
- 중량: 1,292 kg
- 길이: 6 m
- 직경: 559 mm
- 탄두:
- * W-70 핵탄두 1개: TNT 1 - 100kt, 122 kg
- * 중성자탄
- * 재래식 탄두
- 엔진: 고체 추진제
- 추력: 45,000 lbf
- 속도: 마하 3 이상
- 장전시간: 15분[14]
- 전장: 6.1m
- 직경: 0.56m
- 발사중량: 1,290kg
- 추진기관: 로켓다인(Rocketdyne) 액체연료 로켓 모터
- : 추력(부스터): 186 kN
- : 추력(서스테이너): 최대 20kN, 가변
- 도달고도: 45km
- 사거리: 125km
- 탄두:
- * W70 열핵탄두 (핵출력: 1-100kt)
- * W70 Mod 3 방사선 강화형 열핵탄두 (중성자폭탄) (실전 배치 없음)
- * M251 클러스터 탄두 (M40 소형폭탄 사용)
1978년 4월 25일자 동아일보에는 랜스 미사일로 10 킬로톤급 중성자탄을 500피트 상공에서 폭발시킬경우의 효과가 보도되었다. 1981년 8월 10일자 경향신문에는 랜스 미사일의 사진과 함께, 중성자탄을 장전해 발사할 수 있다고 보도하였다.
7. 운용 국가
- '''미국 육군'''[3][9][10]
- * 제1대대, 제12야전포병연대 (1973–1992) 포트 실, 오클라호마
- * 제1대대, 제32야전포병연대 (1975–1991) 하나우, 독일
- * 제6대대, 제33야전포병연대 (1975–1987); 제6대대, 제32야전포병연대 (1987–1991)로 재편성 포트 실 (하나의 포대는 한국에 배치됨)
- * 제2대대, 제42야전포병연대 (1974–1987); 제4대대, 제12야전포병연대 (1987–1991)로 재편성 크라일스하임, 독일
- * 제3대대, 제79야전포병연대 (1974–1986); 제2대대, 제32야전포병연대 (1986–1991)로 재편성 기센, 독일
- * 제1대대, 제80야전포병연대 (1974–1987); 제3대대, 제12야전포병연대 (1987–1991)로 재편성 아샤펜부르크, 독일
- * 제1대대, 제333야전포병연대 (1973–1986); 제3대대, 제32야전포병연대 (1986–?)로 재편성 비스바덴, 독일
- * 제2대대, 제377야전포병연대 (1974–1987); 제2대대, 제12야전포병연대 (1987–1992)로 재편성 헤르초게나우라흐, 독일
- '''영국 육군'''
- * 제50미사일연대 왕립포병 (1993년 해체 및 무기 퇴역)
- '''이스라엘 방위군'''
- '''네덜란드 왕립육군'''
- * 제129포병대대 (1979–1992)
- '''벨기에 육군'''
- * 제3포병대대 (1977-1992)
- '''이탈리아 육군'''
- * 제3미사일여단 "아퀼레이아" (1991년까지, 1992년부터 2001년까지 제3미사일연대)
- '''독일 육군'''
- * 제150로켓포병대대
- * 제250로켓포병대대
- * 제350로켓포병대대
- * 제650로켓포병대대
7. 1. 이전 운용 국가
- '''미국 육군'''[3][9][10]
- * 제1대대, 제12야전포병연대 (1973–1992) 포트 실, 오클라호마
- * 제1대대, 제32야전포병연대 (1975–1991) 하나우, 독일
- * 제6대대, 제33야전포병연대 (1975–1987); 제6대대, 제32야전포병연대 (1987–1991)로 재편성 포트 실 (하나의 포대는 한국에 배치됨)
- * 제2대대, 제42야전포병연대 (1974–1987); 제4대대, 제12야전포병연대 (1987–1991)로 재편성 크라일스하임, 독일
- * 제3대대, 제79야전포병연대 (1974–1986); 제2대대, 제32야전포병연대 (1986–1991)로 재편성 기센, 독일
- * 제1대대, 제80야전포병연대 (1974–1987); 제3대대, 제12야전포병연대 (1987–1991)로 재편성 아샤펜부르크, 독일
- * 제1대대, 제333야전포병연대 (1973–1986); 제3대대, 제32야전포병연대 (1986–?)로 재편성 비스바덴, 독일
- * 제2대대, 제377야전포병연대 (1974–1987); 제2대대, 제12야전포병연대 (1987–1992)로 재편성 헤르초게나우라흐, 독일
- '''영국 육군'''
- * 제50미사일연대 왕립포병 (1993년 해체 및 무기 퇴역)
- '''이스라엘 방위군'''
- '''네덜란드 왕립육군'''
- * 제129포병대대 (1979–1992)
- '''벨기에 육군'''
- * 제3포병대대 (1977-1992)
- '''이탈리아 육군'''
- * 제3미사일여단 "아퀼레이아" (1991년까지, 1992년부터 2001년까지 제3미사일연대)
- '''독일 육군'''
- * 제150로켓포병대대
- * 제250로켓포병대대
- * 제350로켓포병대대
- * 제650로켓포병대대
8. 각형
; XMGM-52A
초기 요구 사양에 기반한 랜스이다. 성능은 요구 사항을 충족했지만, 생산에는 이르지 못했다.
; XMGM-52B
사정거리 연장형 랜스(XRL)이다.
; MGM-52C
MGM-52C는 생산형 랜스이다.
8. 1. XMGM-52A
초기 요구 사양에 기반한 랜스이다. 성능은 요구 사항을 충족했지만, 생산에는 이르지 못했다.8. 2. XMGM-52B
사정거리 연장형 랜스(XRL)이다.8. 3. MGM-52C
MGM-52C는 생산형 랜스이다.참조
[1]
웹사이트
Lance Missile (MGM-52C)
http://www.brookings[...]
Brookings Institution
1998-08-00
[2]
뉴스
Senate Permits Study for New Tactical Nuclear Missile
https://www.latimes.[...]
1987-10-03
[3]
서적
The new illustrated guide to the modern US Army
Salamander Books Ltd
[4]
Youtube
A Rocket Engine Inside Another Rocket Engine - The Lance Missile
https://www.youtube.[...]
[5]
간행물
Amerykańskie rakiety operacyjno-taktyczne i taktyczne. Cz. IV. Ku nowym wojnom
1998-00-00
[6]
웹사이트
LTV MGM-52 Lance
http://www.designati[...]
2001-10-17
[7]
웹사이트
USAREUR Charts - LANCE Missile
http://www.usarmyger[...]
Usarmygermany.com
[8]
웹사이트
USAREUR Charts - LANCE Missile
http://www.usarmyger[...]
Usarmygermany.com
[9]
웹사이트
6th Battalion, 32nd Field Artillery Regiment
http://www.globalsec[...]
[10]
웹사이트
2/5FA
http://wiley2-5fa.co[...]
[11]
웹사이트
Missile.index
http://missile.index[...]
Missile.index Project
2007-06-09
[12]
웹사이트
북朝鮮의 미사일 게임
http://www.pyongyang[...]
North Korea Today
1999-08-00
[13]
논문
空自ペトリオットPAC-3実戦配備
2007-07-00
[14]
웹사이트
MGM-52
http://www.designati[...]
Designation-Systems.Net
2005-12-09
[15]
뉴스
티임 스피리트78 랜스 미사일部隊烏山着
동아일보
1978-03-04
[16]
뉴스
韓國전선에 랜스포대 첫 配置 地對地미사일 장착 8軍 배속
매일경제
1986-11-14
[17]
뉴스
駐韓美軍 (11) 核보유 공공연한 비밀
동아일보
1989-03-23
[18]
뉴스
美,地上전술核 폐기
매일경제
1991-09-28
[19]
뉴스
"韓半島주변核 모두 제거해야"
동아일보
1991-09-28
[20]
뉴스
美"모든戰術核 철수완료"
동아일보
1992-07-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