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2보병사단 공병여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2보병사단 공병여단은 미국 육군의 공병 부대로, 1918년 3월 31일 제2공병단 (건설)으로 창설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에 참전했으며, 한국 전쟁 중 부산에 상륙하여 인천 상륙 작전 등에 참여했다. 휴전 후에는 주한 미군의 일원으로 김포시에 주둔하다가, 1991년 제2보병사단에 배속되어 공병여단으로 개편되었다. 2005년 모듈형 부대 구조 도입에 따라 해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8년 해체된 단체 - 제23병참여단
    제23병참여단은 미국 육군 훈련교리사령부 예하 병참 특기 장병 훈육 부대로, 1936년 창설되어 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에 참전했으며, 한국 전쟁 중 육군 우수부대표창과 대한민국 대통령 부대 표창을 받았다.
  • 2005년 해체된 단체 - 제6지역지원단
    제6지역지원단은 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연합군과 주한 미군을 지원하고 냉전 시대와 베트남 전쟁에도 활동했으며 현재는 미국 육군 슈투트가르트 주둔지 예하 부대로 군 가족과 군무원을 지원하며 한국 내 시설을 관할하고 스트리머 획득 및 운용 공로로 대통령 부대 표창을 받았다.
  • 2005년 해체된 단체 - 제7군단지원단
    제7군단지원단은 미국 육군의 전투 지원 부대로, 제2차 세계 대전, 냉전, 걸프 전쟁 등에서 물자 수송, 탄약 보급, 의료 지원 등의 임무를 수행하며 여러 차례 재창설되었다.
  • 미국 육군의 공병여단 - 제2공병여단 (미국)
    제2공병여단 (미국)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창설되어 한국 전쟁, 알래스카, 아프가니스탄 등에서 활동했으며, 여러 차례 개편과 해산을 거쳐 2011년 재소집되어 아프가니스탄에 파병되기도 했다.
  • 미국 육군의 공병여단 - 제36공병여단
    제36공병여단은 미국 육군의 공병 부대로, 제3기갑군단 소속으로 텍사스주 포트 카바조스에 위치하며, 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 등 다양한 전역에 참전했고, 2006년 미 육군 최초의 모듈형 공병 여단으로 재편성되어 독립적인 작전 수행 능력을 갖추고 있다.
제2보병사단 공병여단
일반 정보
이름제2보병사단 공병여단
원어 이름Engineer Brigade, 2nd Infantry Division
별명Face Setters (페이스 세터)
부대 역사
활동 기간1918년 3월 31일 ~ 1919년 6월 20일
1941년 8월 1일 ~ 1948년 9월 24일
1950년 ~ 2005년 5월 26일
국가미국
소속미국 육군
병과공병대
역할불명
규모4개 대대
명령 체계불명
본부불명
군가불명
마스코트불명
장비불명
참전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
기념일불명
장식불명
훈장불명
웹사이트불명
지휘관
지휘관불명
주요 지휘관불명
인식표
제2공병단 DUI
제2공병단 DUI

2. 역사

제2공병여단(The 2nd Engineer Brigade영어)은 1918년 3월 31일 앨라배마주 캠프 세리단에서 제47공병정비대대와 함께 제2공병단(건설)으로 창설되었다.[1] 1947년 6월 30일, 제1176공병건설단은 제2공병건설단으로 개칭되었고, 1948년 9월 24일에 종전에 따른 군축의 영향으로 해산되었다.[2]

1950년 7월 31일 오키나와를 떠나 8월 3일 부산 항구에 상륙한 후, 인천 상륙 작전에 참가하기 전 추수감사절까지 포항에 머물렀다. 휴전 후에는 주한 미군의 일원으로서 김포시 오소리의 캠프 리치몬드에 본부를 두고, 예하부대는 김포국제공항 등에 주둔하였다. 1991년 8월 캠프 호비를 거쳐 11월에 제2보병사단 공병여단이 되었고, 얼마 지나지 않아 캠프 호즈로 이동했다.[1] 이듬해 1992년 2월 16일 여단은 캠프 케이시의 인디언헤드 필드에서 정식으로 활동을 시작하였다.[1]

2005년 5월 26일, 여단 전투단 체계 도입으로 사단 지원사령부와 함께 해산하였다.[1]

2. 1. 창설과 초기 활동

1918년 3월 31일, 제47공병정비대대와 함께 앨라배마주 캠프 세리단에서 제2공병단(건설)으로 창설되었다.[1]

1947년 6월 30일, 제1176공병건설단은 제2공병건설단으로 개칭되었고, 1948년 9월 24일에 종전에 따른 군축의 영향으로 해산하였다.[2]

2. 2. 한국전쟁 참전

1950년 7월 31일 오키나와를 떠나 8월 3일 부산 항구에 상륙하였다. 이후, 인천 상륙 작전(크로마이트 작전)에 참가하기 전 추수감사절까지 포항에 머물렀다. 휴전 후에는 주한 미군의 일원으로서 김포시 오소리의 캠프 리치몬드에 본부를 두고, 예하부대는 김포국제공항(K-14) 등에 주둔하였다.

2. 3. 주한 미군 주둔과 해산

주한 미군의 일원으로서 김포시 오소리의 캠프 리치몬드에 본부를 두고, 예하부대는 김포국제공항(K-14) 등에 분산 주둔하였다.[1] 1991년 8월에 캠프 호비로 옮겨갔고, 11월에 제2보병사단 공병여단이 되었다.[1] 얼마 지나지 않아 캠프 호즈로 다시 옮겨갔다.[1] 이듬해 1992년 2월 16일 여단은 정식부대로서 캠프 케이시의 인디언헤드 필드에서 활동을 시작하였다.[1]

2005년 5월 26일, 모듈형 부대 구조인 여단 전투단 체계 도입으로 사단 지원사령부와 함께 해산하였다.[1]

3. 부대 구성

현재 제2보병사단 공병여단의 부대 구성은 다음과 같다.

3. 1. 제2공병건설단 시절

부대명역할존속 기간비고
본부 및 본부분견대
제2공병대대전투1950년 ~ 2005년 6월 15일해산[1]
제43공병대대건설1950년 ~ 1958년 6월 25일
제44공병대대전투1992년 ~ 2005년제2보병사단 2여단전투단으로 전속[2]
제76공병대대전투
제802공병대대중건설
제40공병중대지형 지도1959년 9월 25일 ~ 1972년 9월 15일해산[3]
제50공병중대강습 부교? ~ 1959년 3월 25일해산[4]
제74공병중대중장비
제82공병중대전투지원장비? ~ 1955년 8월 15일해산[5]
제3xx공병중대급수
제8xx공병파견대지도 재생산
제8xx공병파견대사진 재생산
KATUSA 제571공병중대화물차1954년 4월 1일 ~ 1959년 3월 25일[6]


3. 2. 제2보병사단 공병여단 시절

4. 역대 지휘관

역대 지휘관
사진성명취임이임참고
Donald C. Hill|도널드 C. 힐영어 대령1947년1948년
R. Begley|R. 베글리영어 대령1953년
Praught|프라우트영어 대령1954년
Liebe|리버영어 대령1956년1957년
Butler|버틀러영어 중령1957년1958년
DArezzo|디아레조영어 대령1959년1960년
Simpson|심프슨영어 대령1960년1961년
William W. Smith, Jr.|윌리엄 W. 스미스 Jr.영어 대령1961년1962년[7]
William H. Minnahan|윌리엄 H. 민나한영어 대령1963년1964년
Arno P. Herzer|아르너 P 헤르저영어 대령1965년[8]
White|화이트영어 대령1966년1967년
James Hyman|제임스 하이먼영어 대령1967년1968년
Richard F. McAdoo|리처드 F. 맥아두영어 대령1968년1969년[9]
맥스 W. 노아 대령1973년1974년


5. 소속

6. 계보

날짜명칭
1918년 3월 31일2nd Engineer Group (Construciton)영어 (제2공병단 (건설))[1]
1918년 9월 7일47th Regiment Transportation Corps영어 (수송대 제47연대)[1]
1918년 11월 12일47th Engineer Battalion (Separate)영어 (제47공병대대 (별동))[1]
1933년 10월 1일47th Engineer Regiment (General Service)영어 (제47공병연대 (종합근무))[1]
1944년 4월1176th Engineer Construction Group영어 (제1176공병건설단)[1]
1947년 6월 30일2nd Engineer Construction Group영어 (제2공병건설단)[1]
1992년 2월 16일Engineer Brigade, 2nd Infantry Division영어 (제2보병사단 공병여단)[1]


7. 상훈



1950년부터 1953년까지 한국에서 육군 공로부대표창을 받았다.

참조

[1] 웹인용 2d Engineer Battalion http://www.history.a[...] 미국 육군 역사관 2017-01-20
[2] 웹인용 44th Engineer Battalion http://www.history.a[...] 미국 육군 역사관 2017-01-20
[3] 웹인용 40th Engineer Company http://www.history.a[...] 미국 육군 역사관 2017-01-20
[4] 웹인용 50th Engineer Company http://www.history.a[...] 미국 육군 역사관 2017-01-20
[5] 웹인용 82d Engineer Company http://www.history.a[...] 미국 육군 역사관 2017-01-20
[6] 웹인용 571st Engineer Company http://www.history.a[...] 미국 육군 역사관 2017-01-20
[7] 문서 버지니아주 매클레인 (버지니아주)의 자택에서 사망 2013-10-27
[8] 문서 2008년 10월 24일 사망 2008-10-24
[9] 문서 1993년 사망 199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