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해병사단 (미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3해병사단은 1942년 창설된 미국 해병대 사단으로, 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 베트남 전쟁, 걸프 전쟁, 아프가니스탄 및 이라크 전쟁 등 여러 분쟁에 참전했다. 1942년 창설되어 부건빌 전투, 괌 전투, 이오지마 전투 등에 참전했으며, 1945년 해체되었다가 1952년 재창설되었다. 베트남 전쟁에 참전하여 격전을 치렀으며, 2001년 이후에는 테러와의 전쟁에 참여했다. 현재는 인도-태평양 지역의 비상사태에 대비한 훈련을 지속하고 있으며, 다양한 부대 표창을 수여받았다. 주요 편성으로는 본부 대대, 해안연안연대, 해병연대, 정찰대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 해병대의 사단 - 제1해병사단 (미국)
제1해병사단은 1941년 창설된 미국 해병대 사단으로, 태평양 전쟁, 한국 전쟁, 베트남 전쟁, 걸프 전쟁, 이라크 전쟁, 아프가니스탄 전쟁 등 주요 전쟁에 참전하여 다양한 전투에서 활약하고 대통령 부대 표창을 포함한 다수의 부대 표창을 수상했다. - 주오키나와 미군의 부대 - 류큐사령부
류큐사령부는 1946년 오키나와섬과 이에섬 사령부를 통합하여 창설된 미국 육군 부대로, 류큐 열도 미국군정부 및 미국민정부 역할을 수행하다가 1972년 류큐 열도가 일본에 반환되면서 해산되었다. - 주오키나와 미군의 부대 - 제3해병군수단
제3해병군수단은 제3해병기동군을 지원하는 미국 해병대의 전투 지원 부대로, 1958년 창설되어 여러 차례 개편을 거쳐 현재의 명칭으로 재편성되었으며, 다양한 작전 및 인도적 지원 활동을 수행해왔다. - 태평양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사단 - 제7보병사단 (미국)
제7보병사단 (미국)은 제1차 세계 대전 중 창설되어 여러 전쟁과 임무 수행을 거쳐 현재는 워싱턴주에 주둔하며 예하 부대를 감독한다. - 태평양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사단 - 제1기병사단 (미국)
제1기병사단은 1921년 창설되어 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 등 여러 분쟁에 참전했고, 헬리콥터 공중 기동 사단으로 재편성된 후 현재는 기갑, 전투 항공 여단 등으로 구성되어 다양한 해외 주둔 및 훈련에 참여한다.
제3해병사단 (미국)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소속 | 미국 해병대 |
종류 | 지상 전투 부대 |
규모 | 해병 사단 |
지휘 구조 | 제3해병원정군 |
현재 사령관 | 크리스천 F. 워트먼 소장 |
주둔지 | 캠프 코트니 |
사령관 | 크리스천 F. 워트먼 소장 |
주임원사 | 로버트 W. 쉴러 원사 |
별칭 | 파이팅 서드 마름쇠 |
표어 | 충성, 용기, 명예 |
창설일 | 1942년 9월 16일 |
참전 | |
제2차 세계 대전 | 부건빌 전투 괌 전투 이오 섬 전투 |
베트남 전쟁 | 스타라이트 작전 제1차 케산 전투 헤이스팅스 작전 버팔로 작전 킹피셔 작전 켄터키 작전 버지니아 리지 작전 아이다호 캐니언 작전 뗏 공세 케산 전투 콘티엔 |
걸프 전쟁 | 카프지 전투 |
테러와의 전쟁 | 아프가니스탄 전쟁 |
역대 지휘관 | |
주요 지휘관 | 찰스 D. 배럿 그레이브스 B. 어스킨 윌리엄 E. 라일리 윌리엄 R. 콜린스 우드 B. 카일 라스본 M. 톰킨스 브루노 호흐무트 레이먼드 G. 데이비스 |
2. 역사
1942년 9월 16일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 캠프 엘리엇에서 창설된 제3해병사단은 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 베트남 전쟁 등 주요 전쟁에 참전하며 뚜렷한 발자취를 남겼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제3해병사단은 제2해병사단 출신 베테랑들을 중심으로 제9해병연대를 주축으로 편성되어 1943년 11월 1일 부건빌 전투를 시작으로 괌 전투, 이오지마 전투 등 태평양 전선의 주요 격전지에서 용맹을 떨쳤다. 특히 이오지마 전투에서는 1,131명이 전사하고 4,438명이 부상당하는 큰 피해를 입기도 했다.[10] 종전 후 1945년 12월 28일 해체되었다.
한국 전쟁 중이던 1952년 1월 7일 캘리포니아주 캠프 펜들턴에서 재창설된 제3해병사단은 제1해병사단을 지원하며, 공중 강습 (헬리콥터 상륙)과 같은 새로운 전술 훈련에 집중했다. 1953년 8월에는 일본으로 이동하여 극동 지역 방어 임무를 수행했고, 1956년 3월부터는 오키나와현에 주둔하였다.
1965년 3월, 제3해병연대 제9대대가 다낭 공군 기지 방어를 위해 베트남 공화국에 파병되면서 제3해병사단은 베트남 전쟁에 본격적으로 참전하게 된다. 1966년에는 베트남 비무장 지대(DMZ) 남쪽에 요새를 구축하고 베트남 인민군과 격전을 벌였다. 1967년 11월 14일에는 사단장 브루노 호흐무트 소장이 헬리콥터 추락 사고로 사망하는 비극을 겪기도 했다. 1968년 테트 공세 당시에는 DMZ를 따라 작전을 수행하며 후에 전투 등에 참여하였다. 베트남 전쟁에서 제3해병사단은 6,869명의 전사자를 기록했다.[19] 1969년 11월 남베트남을 떠나 오키나와 캠프 코트니로 이동하였다.
1990년 8월 2일 이라크의 쿠웨이트 침공에 대응하여 제3해병연대는 사우디 아라비아에 최초로 배치된 전투 부대 중 하나였다. '태스크 포스 타로'(Task Force Taro)로 명명된 이 연대는 1991년 1월 18일 이라크의 포병 공격을 받았고, 하프지 전투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2001년부터 시작된 테러와의 전쟁에서 제3해병사단은 항구적 자유 작전과 모쉬타라크 작전 등에 참여했다. 2011년 3월부터 5월까지는 도모다치 작전에 참가하여 일본 혼슈에서 인도주의적 지원 및 재난 구호 활동을 펼쳤다.[1]
2. 1. 제2차 세계 대전
1942년 9월 16일,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의 캠프 엘리엇에서 제2해병사단 간부 요원들을 주축으로 창설되었다. 사단은 제9해병연대를 중심으로 편성되었으며, 초대 사단장은 찰스 D. 배럿 소장이었다.[3]1943년 1월부터 3월까지 뉴질랜드 오클랜드에 배치되었다. 그해 6월 과달카날로 이동하여 추가 훈련을 받았으며, 뉴헤브리디스 제도 에파테에서 예행 연습(1943년 10월 16-20일)을 하고, 뉴헤브리디스 제도 산토(1943년 10월 21-29일)에서 선상 대기했다. 1943년 11월 1일, 부건빌 전투에 참전하여 1944년 1월 9일까지 전투를 벌였으며, 이 과정에서 약 400명의 해병이 사망했다.[4]

1944년 1월 과달카날로 돌아가 휴식, 재정비 및 재훈련을 받았다. 이후 괌 전투에 참전하여 1944년 7월 21일부터 8월 10일까지 전투를 벌였다. 이 전투에서 사단은 약 155.40km2 이상의 영토를 점령하고 5,000명 이상의 적군을 사살했으며, 677명의 해병 사망, 3,626명 부상, 9명 실종의 피해를 입었다.[5][6]
이후 이오지마 전투에 예비대로 참전하였다.[7] 제21해병연대는 2월 21일에 상륙했고[7], 제9해병연대, 제12해병연대, 제3전차대대는 2월 24일에 상륙했다.[8] 이들은 3월 16일까지 전투를 벌였으며, 이후 소탕 작전을 수행했다. 사단의 모든 부대는 1945년 4월 17일까지 괌으로 복귀했다.[9] 이오지마 전투에서 제3해병사단은 1,131명이 전사하고 4,438명이 부상당했다.[10]
괌으로 돌아온 후, 일본 본토 침공을 준비했으나, 1945년 8월 15일 일본이 항복하면서 침공은 무산되었다. 제3해병사단은 1945년 12월 28일 해병대 기지 캠프 펜들턴에서 해체되었다.[11][12]
전쟁 중 제3해병사단에는 3개의 시비(Seabee) 대대가 배속되었다. 제25해군 건설 대대(NCB)는 제19해병연대에 배치되어 부건빌에 상륙했으며, 제71NCB도 제3사단의 해안 지원 부대로 배치되었다.[13] 제25NCB는 괌 공격 작전에도 상륙했으며, 제62NCB는 이오지마에 제3해병사단에 임시로 배속되어 제1 비행장을 운영하는 주력 대대가 되었다.[14]
2. 2. 한국 전쟁
1950년대 초,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1952년 1월 7일, 캘리포니아 주 캠프 펜들턴에서 제3해병여단을 기반으로 제3해병사단이 재창설되었다.[1] 재창설 직후, 사단은 조직을 정비하면서도 한국 전쟁의 교훈을 바탕으로 새로운 전술과 기동을 포함한 강도 높은 전투 훈련을 시작했다.[2] 1952년 남은 기간 동안, 사단 부대들은 공중 강습 (헬리콥터 상륙), 공수 작전 및 공격, 핵무기와 미사일에 대한 방어 등 수많은 훈련에 참여했다.[2]1953년 8월, 사단은 극동 지역 방어를 위해 제1해병사단을 지원하러 일본에 도착했다.[1][2] 휴전 후, 1956년 3월에 오키나와현으로 이동하여 주둔하기 시작했다.[1][2]
2. 3. 베트남 전쟁
1965년 3월, 제3해병연대 1대대가 베트남 공화국에 파견된 것을 시작으로 베트남 전쟁에 참전하였다.[15] 제3해병연대 제9대대는 다낭 공군 기지를 보호하기 위해 베트남에 파견된 최초의 해병대였다.[15] 같은 해 5월 6일, 제3해병사단은 다낭 공군 기지에 해병대 기지를 열었다. 1965년 말까지 제3해병연대는 모든 예하 연대(제3, 제4, 제9해병연대)를 베트남에 투입했다.1966년 8월, 제26해병연대의 대대(제5해병사단 부대)가 제3해병사단에 배속되어 남베트남에서 전투 임무를 수행하기 시작했다. 같은 해 10월, 당시 사령관 루이스 W. 월트는 베트남 비무장 지대(DMZ) 바로 남쪽에 요새를 구축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제3사단은 1966년 말에 사령부를 다낭에서 푸바이로 이동시켰다. 동시에 사단은 꼰티엔, 지오린, 깜로, 동하 등 DMZ 남쪽 절반을 따라 전초 기지를 건설했다. 베트남 인민군을 상대로 한 최초의 주요 다연대 작전은 1966년 7월의 해스팅스 작전이었다. 프레리 작전은 10월에 이어졌다. 이 지역은 레더넥 스퀘어로 알려지게 되었다.
1967년 말, 사령부는 다시 푸바이에서 꽝찌성의 동하로 이동했고, 캠프 캐롤, 록파일, 까루, 케산 등 더 많은 전초 기지가 문을 열었다. 해병대가 싸운 두 주요 적 사단은 제320사단과 제324B사단이었다.
1967년 11월 14일, 제3해병사단 사령관 브루노 호흐무트 소장이 후에 북서쪽에서 헬리콥터 추락 사고로 사망하였다. 1967년과 1968년 초 이 지역의 주요 작전에는 프레리 III 작전, 프레리 IV 작전, 히코리 I 작전, 시마론 작전, 버팔로 작전, 킹피셔 작전, 켄터키 작전이 있었다.
이 기간 동안 거의 8,000명의 베트남 인민군이 사망했다. 해병대는 1,400명 이상이 사망하고 9,000명 이상이 부상당했다. 이 기간 동안 5개의 명예 훈장과 약 40개의 해군 십자 훈장이 수여되었다. 1965년 3월 8일부터 1967년 9월 15일까지 남베트남에서 뛰어난 영웅적 행위에 대해 사단은 해군 대통령 부대 표창을 받았다.[16]
1968년 테트 공세 동안, 사단은 DMZ를 따라 작전을 수행했으며, 사단의 일부가 후에 전투에서 싸웠다. 당시 제3해병사단의 정보에 따르면 DMZ 지역의 베트남 인민군과 베트콩 병력은 40,943명으로 추정되었다.[17] 이들은 사단 작전 구역의 모든 전투 기지에 대한 공격을 강화했다. 여기에는 동하 근처의 쿠아비엣 강에서 해상 교통을 차단하려는 시도가 포함되었다. 사단은 쿠아비엣 강을 교통에 개방하기 위해 많은 자원을 투입해야 했다.
베트남 전쟁 동안 제3해병사단은 6,869명의 전사자를 냈다.[19]
사단은 1969년 11월 키스톤 카디널 작전의 일환으로 남베트남을 떠나 캠프 코트니(오키나와)로 이동했다.
2. 4. 테러와의 전쟁
2008년 9월, 3해병연대는 특별 임무 해병 항공 지상 기동 부대 - 아프가니스탄(SPMAGTF-A)의 지휘 요소로 임명되었다. 2008년 10월, SPMAGTF-A는 아프가니스탄 칸다하르에 배치되어 항구적 자유 작전을 지원했다.[3] 2009년 말부터 2010년 5월까지 헬만드주로 돌아와 모쉬타라크 작전(마르자 전투)에 참여했다.[3]2004년 7월부터 2005년 4월까지, 제3해병사단의 찰리 포대(제1대대 제12해병)는 이라크 자유 작전을 지원하기 위해 배치되었다. 제1대대 제3해병에 배속되어 이라크 팔루자에서 팬텀 퓨리 작전(팔루자 전투)에 참여했다.[4]
2. 5. 기타 주요 활동
제3해병연대는 1990년 8월 2일 이라크의 쿠웨이트 침공에 대응하여 사우디 아라비아에 최초로 배치된 전투 부대 중 하나였다. 하와이 주의 명칭과 주민들을 기리기 위해 '태스크 포스 타로'(Task Force Taro)로 알려진 이 연대는 1991년 1월 18일 이라크 포병, 로켓 및 미사일 공격을 받은 최초의 미군 부대가 되었다. 태스크 포스 타로는 전쟁의 첫 지상 공격 작전으로 쿠웨이트에 대한 포병 공격을 감행하여 이라크의 지원 공격에 맞섰다. 태스크 포스 타로는 하프지 탈환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쿠웨이트로 진격한 최초의 부대였고, 전쟁 중 유일한 헬기 강습을 수행했으며, 해병대의 전쟁 최종 목표인 쿠웨이트 국제공항을 확보했다.2011년 3월부터 5월까지, 제3해병사단은 도모다치 작전 기간 동안 인도주의적 구호 활동에 참여하여 일본 혼슈에서 인도주의적 지원과 재난 구호를 제공했다.[1]
3. 편성
제3해병사단은 다른 해병사단에 비해 전력이 적다. 전차대대가 없고 보병 연대도 1개 적으며, 많은 부대가 편성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2]
다른 사단에는 없는 특징으로, Unit Deployment Program|유닛 배치 프로그램영어(UDP)을 실시하고 있다. UDP는 예하 부대 중 보병 대대, 포병 중대 등을 본토에 주둔시키고, 필요에 따라 6개월 주기로 오키나와에 순환 배치하는 프로그램이다. 따라서 편성상 오키나와에 주력이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많은 병력이 오키나와에 거주하는 것은 사실이나, 대부분 본토에서 순환 파견되는 부대이다. 오키나와 상주 부대는 소수이며, 순환 배치되는 해병대원들은 오키나와 문화에 익숙해지기도 전에 교대하므로 현지 주민과의 마찰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2]
3. 1. 현재 (2024년 기준)
2024년 3월 현재, 제3해병사단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2]
부대 | 설명 |
---|---|
![]() | 캠프 커트니 주둔 |
![]() | MCB 하와이 주둔 |
![]() | 보병, 캠프 슈왑 주둔 |
![]() | 포병, MCBC 스메들리 D. 버틀러 주둔 |
캠프 슈왑 주둔 | |
![]() | 오키나와 주둔, TECOM로 전환 중 |
제3해병사단은 인도-태평양 지역 내 비상사태에 대응하기 위한 훈련을 지속하고 있다. 2011년 3월부터 5월까지 도모다치 작전 기간 동안 인도주의적 구호 활동에 참여하여 일본 혼슈에서 인도주의적 지원과 재난 구호를 제공했다. 오늘날 제3해병사단은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미국 정부 정책 지원, 외교 활동 지원, 전투 훈련 실시, 다른 미국 연방 기관과의 통합, 인도주의적 지원 임무 수행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제3해병사단은 다른 해병사단에 비해 전력이 적다. 전차대대가 배치되어 있지 않고 보병 연대도 1개 적으며, 많은 부대가 편성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
또한, 제3해병사단은 다른 사단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특징으로, Unit Deployment Program (UDP)을 실시하고 있다. UDP는 사단 예하 부대 중 보병 대대, 포병 중대 등의 부대를 평소에는 본토에 전개해 놓고, 그중 필요한 부대를 6개월 정도의 주기로 오키나와로 전개시키는 프로그램이다. 따라서 편성상 오키나와에 주력이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많은 장병이 오키나와에 거주하는 것은 사실이나, 대부분 본토에서 순환 파견되어 오는 부대이다. 오키나와에 상주하는 부대는 편성표 중에서도 소수 부대에 한정되며, 전개된 해병대원의 대부분은 오키나와의 문화에 익숙해지기도 전에 교대하므로 현지 주민과의 마찰의 원인 중 하나로 지적되기도 한다.
3. 2.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편성
- 제3해병연대 (보병)
- 제9해병연대 (보병)
- 제12해병연대 (포병)
- 제19해병연대 (공병, 1942년 ~ 1944년)
- 제21해병연대 (보병)
- 제3전차대대
4. 수상 내역
제3해병사단은 창설 이후 여러 전투에 참여하여 많은 부대 표창을 받았다. 부대 표창은 특정 전투나 작전에서 뛰어난 공을 세운 부대에게 수여되는 상으로, 해당 전투에 참여한 부대원들은 제복에 해당 부대 표창 리본을 착용할 수 있다.[20]
스트리머 | 연도 | 추가 설명 |
---|---|---|
1965년–1968년 1968년–1971년 2001년–2003년 | 베트남 전쟁, 이라크 전쟁, 아프가니스탄 전쟁 | |
![]() | 2004년–2005년 | 이라크 전쟁, 아프가니스탄 전쟁 |
1942년–1946년 | 제2차 세계 대전 | |
1945년 | 제2차 세계 대전 | |
1945년-1946년 | 중국 북부 점령 | |
1961년–1974년 1990년–1995년 2001년–현재 | 베트남 전쟁, 걸프 전쟁, 이라크 전쟁, 아프가니스탄 전쟁 | |
1965년–1971년 | 꽝찌, 투아티엔, 꽝남, Quang Tin, 꽝응아이 | |
![]() | 2001년–현재 | 테러와의 전쟁 |
![]() | 1965년–1971년 | 베트남 공화국 외국계 표창 |
1965년–1971년 | 베트남 공화국 외국계 표창 | |
4. 1. 부대 표창
리본 | 상 | 연도 | 추가 정보 |
---|---|---|---|
대통령 부대 표창 (청동 별 1개 포함) | 1945년, 1965–1967년 | 이오지마, 베트남 전쟁 | |
해군 부대 표창 (청동 별 1개 포함) | 1945년, 2002–2003년 | 이오지마, 서태평양 | |
우수 부대 표창 | 2004–2005년 | 인도네시아 쓰나미 구호 | |
아시아-태평양 전역 메달 (청동 별 4개 포함) | 부겐빌, 북부 솔로몬, 괌, 이오지마 | ||
제2차 세계 대전 승리 메달 | 1942–1945년 | 태평양 전쟁 | |
국가 방위 복무 메달 (청동 별 3개 포함) | 1950–1954년, 1961–1974년, 1990–1995년, 2001년–현재 | 한국 전쟁, 베트남 전쟁, 걸프 전쟁, 테러와의 전쟁 | |
![]() | 한국 참전 메달 | ||
베트남 참전 메달 (은별 2개, 청동 별 1개 포함) | 1965년 4월 – 1969년 5월, 1975년 3월 – 5월 | 꽝찌, 꽝남, 트어티엔, 베트남 및 캄보디아 철수 작전 | |
테러와의 지구전 원정 메달 | |||
테러와의 지구전 복무 메달 | 2001년 – 현재 | ||
베트남 용무 십자 훈장 (팜 리본 포함) |
참조
[1]
뉴스
3rd Marine Division celebrates 66th birthday
http://www.okinawa.u[...]
United States Marine Corps
2008-12-09
[2]
웹사이트
3rd Marine Division
https://www.3rdmardi[...]
3rd Marine Division
2024-03-08
[3]
서적
2002
[4]
서적
1948
[5]
서적
1948
[6]
서적
1948
[7]
서적
1948
[8]
서적
1948
[9]
서적
1948
[10]
서적
1948
[11]
서적
2002
[12]
뉴스
Third Division Disbanded Here
https://issuu.com/mc[...]
2021-12-22
[13]
간행물
71st U.S Naval Construction Battalion, Seabee Museum Archives, Port Hueneme, CA
https://books.google[...]
[14]
간행물
History of the U.S. Marine Corps in WWII Vol IV- Western Pacific Operations
http://www.marines.m[...]
Historical Branch, G3- Division, Headquarters, U.S.Marine Corps
1971
[15]
웹사이트
Facts about the Vietnam Veterans memorial collection
https://web.archive.[...]
NPS.gov
2010-04-26
[16]
웹사이트
Lyndon B. Johnson: Presidential Unit Citation Awarded to Third Marine Division, Reinforced, Fleet Marine Force Pacific.
https://web.archive.[...]
2018-04-05
[17]
서적
3rd Marine Division: The Tet Offensive
1968-02
[18]
문서
Military Records, February 1968, 3rd Marine Division: The Tet Offensive
https://www.amazon.c[...]
[19]
문서
[20]
웹사이트
Lineage and Honors
http://www.caltrap.o[...]
2018-11-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