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6보병사단 (미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6보병사단 (미국)은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 냉전 시기에 여러 차례 창설 및 해산 과정을 거친 미국의 보병 사단이다. 1917년 창설되어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으며, 이후 해산과 재창설을 반복했다. 제2차 세계 대전에는 뉴기니와 필리핀에서 전투를 치렀고, 한국 전쟁 중에는 훈련 부대로 활동했다. 1986년 재창설되어 알래스카를 기반으로 한 경보병 사단으로 활동하다가 1994년에 해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태평양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사단 - 제7보병사단 (미국)
제7보병사단 (미국)은 제1차 세계 대전 중 창설되어 여러 전쟁과 임무 수행을 거쳐 현재는 워싱턴주에 주둔하며 예하 부대를 감독한다. - 태평양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사단 - 제1기병사단 (미국)
제1기병사단은 1921년 창설되어 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 등 여러 분쟁에 참전했고, 헬리콥터 공중 기동 사단으로 재편성된 후 현재는 기갑, 전투 항공 여단 등으로 구성되어 다양한 해외 주둔 및 훈련에 참여한다. -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미국의 사단 - 제2보병사단 (미국)
제2보병사단은 1917년 창설되어 주요 전투에 참전한 미 육군의 보병사단으로, 현재 대한민국에 주둔하며 한반도 안보에 기여하고 있고, 냉전 시대 주요 사건 연루 및 21세기 미군 재편성 과정을 거치며 대한민국과 미국 워싱턴 주에 부대가 분산 배치되어 독특한 조직 구조를 유지하고 있다. -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미국의 사단 - 제7보병사단 (미국)
제7보병사단 (미국)은 제1차 세계 대전 중 창설되어 여러 전쟁과 임무 수행을 거쳐 현재는 워싱턴주에 주둔하며 예하 부대를 감독한다. - 1968년 폐지 - 대한민국 공보부
대한민국 공보부는 1961년부터 1968년까지 정부 정책 홍보, 언론 통제, 문화 검열, 해외 홍보, 방송 관리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국정 홍보에 기여한 정부 부처였다. - 1968년 폐지 - 제10군단 (미국)
제10군단은 미국 육군의 군단으로, 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태평양 전선과 인천 상륙 작전 등 주요 전투에 참여했으며, 냉전 시대에는 미국 본토 북서부 지역의 육군 예비군 부대 훈련을 담당하다 1968년 해체되었다.
제6보병사단 (미국)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별칭 | 레드 스타(Red Star) |
모토 | 경계 태세(On the Line) |
특기 | 경보병 (1986–1994) |
해체 | 1994년 7월 6일 |
역사 | |
창설 | 1917년 11월 26일 |
해체 | 1921년 9월 30일 1949년 1월 10일 1956년 4월 3일 1994년 7월 6일 |
재창설 | 1939년 10월 12일 1950년 10월 4일 1986년 4월 16일 |
전투 및 작전 | |
제1차 세계 대전 | 뫼즈-아르곤 공세 |
제2차 세계 대전 | 뉴기니 전역 필리핀 전역 (1944–1945) |
걸프 전쟁 | 사막 폭풍 작전 |
규모 | |
규모 | 사단 |
지휘관 | |
주요 지휘관 | 에드윈 D. 패트릭 올랜도 워드 로버트 T. 프레데릭 데이비드 브램릿 |
휘장 | |
![]() |
2. 역사
1917년 11월, 제6보병사단은 제1차 세계 대전 참전을 위해 창설되었다. 2개의 보병여단(제11, 제12여단)과 4개의 보병연대, 그리고 각각 3개의 기관총대대와 야전포병대대를 예속받아 훈련을 시작했다.[2] 이듬해 6월 프랑스로 이동하여 메우스-아르곤 공세를 포함한 여러 전투에 참여하였다. 43일간의 전투에서 38명이 전사하고 348명이 부상당하는 피해를 입었다.[2]
휴전 이후, 제6보병사단은 1919년 6월 뉴욕 캠프 밀스를 통해 귀국하였다. 프랑스 아니-르-뒤크에서 6개월간 훈련을 받고, 독일 바트 베르트리히 인근에서 점령 임무를 수행한 뒤였다. 귀국 후, 비상 기간 요원들은 캠프 밀스에서 제대했다. 사단은 일리노이주 캠프 그랜트로 이동하여 1921년 9월 30일까지 주둔하였다. 미 육군성의 결정에 따라 3개의 완전 활동 보병 사단만 유지하기로 하면서, 제6보병사단은 해산되었다.[2]
1939년 10월 12일, 제6보병사단이 재소집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의 진주만 공습 이후, 1943년 7월부터 8월까지 하와이 오아후섬을 방어하며 정글전 훈련을 받았다. 1944년 1월 31일 뉴기니아 마일른만으로 이동하여 6월까지 훈련을 계속하였다.
같은 해 6월 14일부터 18일까지 네덜란드령 뉴기니의 토엠-와케 지역에서 첫 전투를 치렀고, 이후 토엠 서부 지역으로 이동하여 외딴나무언덕 전투에 참전하였다.[4] 잠시 휴식을 취한 후, 산사포르에 상륙하여 와이맥 곶에서 메가 강까지의 해안을 확보하고 1944년 12월까지 그 지역을 수비했다.[4]
1945년 1월 9일, 필리핀 루손섬의 링가옌 만에 상륙하여 일본군을 카바나투안 언덕으로 추격했고, 2월 7일 무뇨스를 점령했다. 1월 27일에는 제6 미국 육군에 배속된 특수 작전 부대가 카바나투안 습격에 참여했다. 그 후 딩갈란 만과 발레르 만으로 진격하여 루손 남부의 일본군을 고립시켰다. 미국 제1 보병 연대는 바탄에서 작전을 수행하여 아부카이에서 바가크까지 반도를 차단했다.[4]
이후 마닐라 전투에 참여하여 마닐라 북동쪽의 쉼부 선으로 이동, 와와 댐 전투에서 일본군 쉼부 그룹과 치열한 전투를 벌였다. 제6보병사단은 리잘 주의 안티폴로, 산 마테오, 몬탈반 언덕에서 일본군의 강력한 저항에 직면했다. 4월 17일 마운트 마타바, 4월 29일 마운트 파카와간, 6월 29일 볼로그, 7월 10일 레인 능선 마운트 산토 도밍고, 7월 12일 키안간을 점령했다. VJ-데이까지 카가얀 계곡과 코르디예라 산맥에 주둔했다.[4]
종전 후, 대한민국으로 이동하여 미 군정의 남한 지역 통치를 담당했다.[5]
1950년 10월 1일, 캘리포니아주 포트 오드에서 재창설되었다. 한국 전쟁에는 참전하지 않았으나, 1956년 4월 3일까지 병력 보충을 위해 장병들을 훈련시켰다.[7]
베트남 전쟁 중 1967년 캔터키 주 포트 캠벨에서 제11보병여단을 예속받아 베트남 공화국에 파견될 예정이었으나, 로버트 맥나마라 국방부 장관에 의해 취소되어 1968년 7월 25일 해산되었다. 제11보병여단은 독립부대로 파견되었다.[8] 당시 사단의 견장 부착물(빨간색 육각형 별)이 "공산주의 유대인 사단"이라는 조롱 섞인 별명을 유발했고, 이는 부대 사기 문제를 인지하고 있던 윌리엄 웨스트모어랜드 장군에게 불쾌감을 주어 베트남 파병 반대 여론을 일으켰다. 대신 덜 공격적인 부대 표지를 가진 아메리컬 사단이 베트남에서 창설되었다. 1968년 6월, 미국 합동 참모 본부는 사단이 준비 보고서를 통과하지 못해 전투 배치에 부적합하다고 선언했고, 곧이어 1968년 7월 25일 사단은 해산되었다.[8]
1986년 4월 16일, 알래스카주 포트 리처드슨에서 제172보병여단을 제1여단으로 예속받아 경보병사단으로 재창설되었다. 1992년 냉전 종식 후 규모 감축의 일환으로 1994년 7월 6일 해체되었다. 제1여단은 제172보병여단으로 재편성되어 미국 유럽 육군 예속부대로 유럽에 배치되었다.
2. 1. 제1차 세계 대전 (1917-1919)
1917년 11월, 제6보병사단은 제1차 세계 대전 참전을 위해 창설되었다. 2개의 보병여단(제11, 제12여단)과 4개의 보병연대, 그리고 각각 3개의 기관총대대와 야전포병대대를 예속받아 훈련을 시작했다.[2] 이듬해 6월 프랑스로 이동하여 메우스-아르곤 공세를 포함한 여러 전투에 참여하였다. 43일간의 전투에서 38명이 전사하고 348명이 부상당하는 피해를 입었다.[2]휴전 이후, 제6보병사단은 1919년 6월에 뉴욕 캠프 밀스를 통해 귀국하였다. 프랑스 아니-르-뒤크에서 6개월간 훈련을 받고, 독일 바트 베르트리히 인근에서 점령 임무를 수행한 뒤였다. 귀국 후, 비상 기간 요원들은 캠프 밀스에서 제대했다. 사단은 일리노이주 캠프 그랜트로 이동하여 1921년 9월 30일까지 주둔하였다. 미 육군성의 결정에 따라 3개의 완전 활동 보병 사단만 유지하기로 하면서, 제6보병사단은 해산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제6보병사단의 예하 부대는 다음과 같다.
부대 종류 | 부대 명칭 | 비고 |
---|---|---|
사단 본부 | 제6사단 본부 | |
제11 보병 여단 | 제51 보병 연대 | 1917년 6월 제11 보병 연대에서 차출 |
제52 보병 연대 | 1917년 6월 제11 보병 연대에서 차출 | |
제17 기관총 대대 | ||
제12 보병 여단 | 제53 보병 연대 | 1917년 6월 제6 보병 연대에서 차출 |
제54 보병 연대 | 1917년 6월 제6 보병 연대에서 차출 | |
제18 기관총 대대 | ||
제6 야전 포병 여단 | 제3 야전 포병 연대 | 75mm 포 |
제11 야전 포병 연대 | 155mm 포, 1917년 6월 제6 야전 포병에서 차출 | |
제78 야전 포병 연대 | 75mm 포, 1917년 6월 제20 기병대에서 편성 | |
제6 참호 박격포 포대 | ||
기타 | 제16 기관총 대대 | |
제318 공병 연대 | ||
제6 야전 통신 대대 | ||
제6사단 본부 병력 | ||
제6 훈련 본부 및 헌병대 | ||
제6 탄약, 보급, 공병, 위생 열차 | ||
제20, 제37, 제38, 제40 구급대 및 야전 병원 |
2. 2. 제2차 세계 대전 (1939-1945)
1939년 10월 12일, 제6보병사단이 재소집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의 진주만 공습 이후, 1943년 7월부터 8월까지 하와이 오아후섬을 방어하며 정글전 훈련을 받았다. 1944년 1월 31일 뉴기니아 마일른만으로 이동하여 6월까지 훈련을 계속하였다.같은 해 6월 14일부터 18일까지 네덜란드령 뉴기니의 토엠-와케 지역에서 첫 전투를 치렀고, 이후 토엠 서부 지역으로 이동하여 외딴나무언덕 전투에 참전하였다.[4] 잠시 휴식을 취한 후, 산사포르에 상륙하여 와이맥 곶에서 메가 강까지의 해안을 확보하고 1944년 12월까지 그 지역을 수비했다.[4]
1945년 1월 9일, 필리핀 루손섬의 링가옌 만에 상륙하여 일본군을 카바나투안 언덕으로 추격했고, 2월 7일 무뇨스를 점령했다. 1월 27일에는 제6 미국 육군에 배속된 특수 작전 부대가 카바나투안 습격에 참여했다. 그 후 딩갈란 만과 발레르 만으로 진격하여 루손 남부의 일본군을 고립시켰다. 미국 제1 보병 연대는 바탄에서 작전을 수행하여 아부카이에서 바가크까지 반도를 차단했다.[4]
이후 마닐라 전투에 참여하여 마닐라 북동쪽의 쉼부 선으로 이동, 와와 댐 전투에서 일본군 쉼부 그룹과 치열한 전투를 벌였다. 제6보병사단은 리잘 주의 안티폴로, 산 마테오, 몬탈반 언덕에서 일본군의 강력한 저항에 직면했다. 4월 17일 마운트 마타바, 4월 29일 마운트 파카와간, 6월 29일 볼로그, 7월 10일 레인 능선 마운트 산토 도밍고, 7월 12일 키안간을 점령했다. VJ-데이까지 카가얀 계곡과 코르디예라 산맥에 주둔했다.[4]
종전 후, 대한민국으로 이동하여 미 군정의 남한 지역 통치를 담당했다.[5]
제2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제6보병사단은 총 2,370명의 사상자(전사 410명, 부상 1,957명, 실종 3명)를 기록했다.[6]
다음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제6보병사단 소속 명예 훈장 수훈자 명단이다.
- 병장 멜빈 메이필드 (제6보병사단 제20보병연대 D중대)—필리핀 루손섬 코르디예라 산맥, 1945년 7월 29일[4]
- 소위(당시 T/Sgt.) 도널드 E. 루돌프 (제6보병사단 제20보병연대 제2대대 E중대)—필리핀 루손섬 무뇨스, 1945년 2월 5일[4]
2. 3. 한국 전쟁과 냉전 (1945-1994)
1950년 10월 1일, 캘리포니아주 포트 오드에서 재창설되었다. 한국 전쟁에는 참전하지 않았으나, 1956년 4월 3일까지 병력 보충을 위해 장병들을 훈련시켰다.[7]베트남 전쟁 중 1967년 캔터키 주 포트 캠벨에서 제11보병여단을 예속받아 베트남 공화국에 파견될 예정이었으나, 로버트 맥나마라 국방부 장관에 의해 취소되어 1968년 7월 25일 해산되었다. 제11보병여단은 독립부대로 파견되었다.[8] 당시 사단의 견장 부착물(빨간색 육각형 별)이 "공산주의 유대인 사단"이라는 조롱 섞인 별명을 유발했고, 이는 부대 사기 문제를 인지하고 있던 윌리엄 웨스트모어랜드 장군에게 불쾌감을 주어 베트남 파병 반대 여론을 일으켰다. 대신 덜 공격적인 부대 표지를 가진 아메리컬 사단이 베트남에서 창설되었다. 1968년 6월, 미국 합동 참모 본부는 사단이 준비 보고서를 통과하지 못해 전투 배치에 부적합하다고 선언했고, 곧이어 1968년 7월 25일 사단은 해산되었다.[8]
1986년 4월 16일, 알래스카주 포트 리처드슨에서 제172보병여단을 제1여단으로 예속받아 경보병사단으로 재창설되었다. 1992년 냉전 종식 후 규모 감축의 일환으로 1994년 7월 6일 해체되었다. 제1여단은 제172보병여단으로 재편성되어 미국 유럽 육군 예속부대로 유럽에 배치되었다.
3. 전투 서열
제6보병사단은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냉전 시기에 걸쳐 다양한 전투 서열을 갖추었다.
; 제1차 세계 대전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제6보병사단은 제11보병여단과 제12보병여단을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각 여단은 2개의 보병연대와 1개의 기관총대대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사단 직할로 3개의 기관총대대와 3개의 야전포병대대가 편제되었다.[1]
;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시기에는 3개의 보병연대(제1보병연대, 제20보병연대, 제63보병연대)와 4개의 야전포병대대, 그리고 통신, 병기, 병참, 정찰, 공병, 의무, 방첩 등의 지원 부대로 구성되었다.[1]
; 냉전 (1989년)
냉전 말기, 제6보병사단은 경보병사단으로 알래스카에 주둔하며 북극 작전을 담당했다. 제1여단은 포트 리처드슨에, 제2여단은 포트 웨인라이트에 주둔했으며, 미네소타 방위군 소속 제205경보병여단이 사단에 배속되었다. 또한, 항공여단, 포병대, 지원사령부, 그리고 방공, 공병, 군사정보, 헌병 등의 부대가 사단을 지원했다. 1988년에는 공수 대대가, 1990년에는 제17보병연대 1대대가 시나이 반도에 배치되기도 했다.
3. 1. 제1차 세계 대전
1917년 11월 창설되었다. 제11보병여단, 제12보병여단 예하 4개 연대와 각각 3개 기관총대대, 야전포병대대를 예속받고 제1차 세계 대전 참전을 위해 훈련했다. 1918년 6월 프랑스로 건너가 43일 동안 메우스-아르곤 공세에 참여하고 여러 전투를 치렀으며, 38명이 전사하고 348명이 부상당했다.[1] 종전 후 1919년 6월 귀국하였고, 1921년 9월 30일 일리노이 주 캠프 그랜트에서 동원 해제되어 해산하였다.[1]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제6보병사단 예하 부대는 다음과 같다.
부대 |
---|
제11보병여단 |
* 제51보병연대 |
* 제52보병연대 |
* 제17기관총대대 |
제12보병여단 |
* 제53보병연대 |
* 제54보병연대 |
* 제18기관총대대 |
* 제16기관총대대 |
* 제3야전포병대대 |
* 제11야전포병대대 |
* 제78야전포병대대 |
3. 2. 제2차 세계 대전
1939년 10월 12일, 제6보병사단은 재소집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의 진주만 공습 이후, 사단은 제1, 제20, 제63보병연대를 이끌고 1943년 7월부터 8월까지 하와이 오아후섬을 방어하는 임무를 수행하였다. 이 기간 동안 정글전 훈련을 받았으며, 1944년 1월 31일 뉴기니아 마일른만으로 이동하여 6월까지 훈련을 계속하였다. 같은 달 14일부터 18일까지는 네덜란드령 뉴기니의 토엠-와케 지역에서 첫 전투를 치렀고, 이후 토엠 서부 지역으로 이동하여 외딴나무언덕 전투에 참전하였다.[1]마닐라 전투에도 참전하였다. VJ-데이까지 카가얀밸리 지방에서 필리핀군과 함께 주둔하였고, 이후 한반도로 이동하였다. 한국 군정기가 끝나고 주한 미군이 철수하는 과정에서 1949년 1월 10일, 대한민국 대구에서 해산하였다.[1]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제6보병사단의 전투 서열은 다음과 같다.[1]
부대 |
---|
제6보병사단 본부 |
제1보병연대 |
제20보병연대 |
제63보병연대 |
제6보병사단 포병대 본부 및 본부 포대 |
제1야전포병대대 |
제51야전포병대대 |
제53야전포병대대 |
제80야전포병대대 |
제6공병전투대대 |
제6의무대대 |
제6기갑수색중대(기계화) |
제6보병사단 특별부대 본부 |
제6보병사단 본부 중대 |
제706병기 경정비 중대 |
제6병참 중대 |
제6통신 중대 |
헌병 소대 |
군악대 |
제6방첩대 파견대 |
제2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제6보병사단은 306일 동안 교전에 참여했으며, 7회의 부대 표창을 받았다. 또한, 사단 장병들은 명예 훈장 2개, 육군 십자 훈장 10개, 공로 훈장 3개, 은성 훈장 697개, 레지옹 도뇌르 훈장 18개, 비행 십자 훈장 3개, 수훈 훈장 94개, 동성 무공 훈장 3,797개, 항공 훈장 45개를 수여받았다.[1]
3. 3. 냉전 (1989년)
냉전 종식 무렵, 제6보병사단 (경보병)은 미국 육군의 주요 북극 작전 부대였다. 1986년 4월 16일, 알래스카주 포트 리처드슨에서 제172보병여단을 기반으로 재창설되었으며, 1994년 해체될 때까지 활동했다.
1989년 당시 제6보병사단 (경보병)의 주요 편제는 다음과 같다.
부대 | 위치 | 구성 |
---|---|---|
제1여단 | 포트 리처드슨 | |
제2여단 | 포트 웨인라이트 | |
제205경보병여단 (미네소타 방위군) | (없음) | |
제6항공여단 | 포트 웨인라이트 | |
사단 포병대 | 포트 리처드슨 | |
사단지원사령부 | (없음) | |
기타 부대 | (없음) |
1988년에는 제1-17 보병, 제2-17 보병 및 제4-9 보병의 공수 중대(찰리 공수)가 제2-17 보병으로 통합되어 제6보병사단에 공수 대대가 편성되었다. 1990년에는 다국적군 및 감시단의 일환으로 이집트 시나이 반도에 제17보병연대 1대대가 8개월 동안 배치되었다.
4. 역대 지휘관
계급 | 성명 | 취임일 | 이임일 |
---|---|---|---|
대령 | 찰스 E. 테이먼 | 1917년 11월 26일 | 1917년 12월 28일 |
준장 | 제임스 브레일스포드 어윈 | 1917년 12월 29일 | 1918년 8월 27일 |
소장 | 월터 헨리 고든 | 1918년 8월 28일 | 1919년 6월 1일 |
준장 | 클레멘트 어거스터스 트로트 | 1939년 10월 | 1940년 10월 |
준장 | 프레데릭 E. 울 | 1940년 10월 | 1940년 12월 |
소장 | 클라렌스 S. 리들리 | 1941년 1월 | 1942년 8월 |
소장 | 더워드 S. 윌슨 | 1942년 9월 | 1942년 10월 |
소장 | 프랭클린 C. 시버트 | 1942년 10월 | 1944년 8월 |
소장 | 에드윈 데이비스 패트릭 | 1944년 8월 | 1945년 3월 |
소장 | 찰스 E. 허디스 | 1945년 3월 | 1946년 4월 |
대령 | 조지 M. 윌리엄슨 주니어 | 1946년 4월 | 1946년 6월 |
소장 | 앨버트 E. 브라운 | 1946년 6월 | 1946년 9월 |
준장 | 존 T. 피어스 | 1946년 9월 | 1946년 10월 |
소장 | 올랜도 워드 | 1946년 10월 | 1949년 1월 1일 |
소장 | 로버트 T. 프레드릭 | 1950년 10월 | 1951년 |
참조
[1]
웹사이트
Special Unit Designations
http://www.history.a[...]
United State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10-04-21
[2]
서적
The American Expeditionary Force in World War I: A Statistical History 1917–1919
McFarland
2012
[3]
서적
U.S. Army Order of Battle 1919-1941 Volume 1. The Arms: Major Commands and Infantry Organizations
Combat Studies Institute Press
2010
[4]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the 6th Infantry Division
https://www.6thinfan[...]
2023-04-23
[5]
서적
Major General Orlando Ward: Life of a Leader
Red Anvil Press
[6]
간행물
Army Battle Casualties and Nonbattle Deaths in World War II, Final Report
Statistical and Accounting Branch Office of the Adjutant General
1953-06-01
[7]
서적
Vietnam Order of Battle: A Complete Illustrated Reference to the U.S. Army and Allied Ground Forces in Vietnam, 1961–1973
Stackpole Books
2006
[8]
서적
The Rise and Fall of an American Army
Random House
2003
[9]
웹사이트
Department of Defense Appropriations for Fiscal Year 1989
https://books.google[...]
United States Congress. Senate Committee on Appropriations. Subcommittee on Defense
2020-07-02
[10]
웹사이트
Historical Summary: FY 1989
https://history.army[...]
Department of the Army
2020-06-22
[11]
웹사이트
Lineages and Honors Information
https://history.army[...]
[12]
뉴스
National Guard Given New Command, Duties
https://www.newspape[...]
1989-08-30
[13]
웹사이트
Arctic Fighters
https://books.google[...]
Army Reserve Magazine
2020-07-02
[14]
웹사이트
The 205th Infantry Brigade
https://books.google[...]
Infantry May–June 1986
2020-07-02
[15]
웹사이트
3rd U.S. Infantry Regiment (The Old Guard)
http://www.charlieco[...]
Charlie Company COMPANY 4th Bn. 3rd Infantry Reg. "The Old Guard"
2020-07-02
[16]
웹사이트
1st Battalion 409th Infantry Lineage
https://history.army[...]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20-06-22
[17]
웹사이트
1st Battalion 410th Infantry Lineage
https://history.army[...]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20-06-22
[18]
웹사이트
Field Artillery - Army Lineage Series - Part 1
https://history.army[...]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20-06-22
[19]
웹사이트
All about the Army Reserve
https://books.google[...]
Army Reserve Magazine Winter 1985
2020-06-22
[20]
웹사이트
From cold-weather tests to Strykers and helicopters - 70 years of history
https://www.army.mil[...]
2020-07-14
[21]
웹사이트
North Central Aviators find Alaska warmer than home
https://books.google[...]
Army Reserve Magazine, Volumes 37-38
2020-06-22
[22]
웹사이트
Activation of the 4th Battalion, 123rd Aviation
https://books.google[...]
United States Army Aviation Digest, Issue 9
2020-06-22
[23]
웹사이트
Field Artillery - February 1987
https://books.google[...]
US Army Field Artillery School
2020-06-28
[24]
웹사이트
Field Artillery - December 1989
https://books.google[...]
US Army Field Artillery School
2020-06-28
[25]
웹사이트
Field Artillery - February 1990
https://books.google[...]
US Army Field Artillery School
2020-06-28
[26]
웹사이트
1st Battalion, 188th Air Defense Artillery Lineage
https://history.army[...]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20-06-22
[27]
웹사이트
1-188th ADA trains at McGregor
https://books.google[...]
Air Defense Artillery, Issue 5
2020-06-22
[28]
웹사이트
6th Engineer Battalion Lineage
https://history.army[...]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20-06-22
[29]
웹사이트
Signal Corps
https://history.army[...]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20-06-21
[30]
웹사이트
Military Intelligence
https://history.army[...]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20-06-22
[31]
웹사이트
The Army in Alaska
http://www.usarak.ar[...]
[32]
웹사이트
Lieutenant General Samuel e. Ebbesen, United States Army | Capitol Wo…
http://capitolwords.[...]
[33]
웹사이트
Northern Edge
http://www.army.mil/[...]
[34]
웹사이트
1st Battalion, 188th Air Defense Artillery (HVY) (MSCS)
http://www.globalsec[...]
[35]
웹사이트
25th Infantry Division Association: The Units
http://www.25thida.o[...]
25thida.org
2011-05-21
[36]
웹사이트
6th Engineer Battalion
https://tioh.army.mi[...]
2023-09-03
[37]
웹사이트
6th Engineer Battalion
http://www.history.a[...]
[38]
웹사이트
23d Engineer Company
https://tioh.army.mi[...]
2023-09-03
[39]
웹사이트
84th Engineer Company
https://tioh.army.mi[...]
2023-09-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