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2보병사단 (미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2보병사단 (미국)은 1917년 창설된 미국 육군 보병 사단으로,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 이라크 전쟁, 아프가니스탄 전쟁 등에 참전했다. 현재는 대한민국에 주둔하며, 전투항공여단, 지원여단, 포병여단, 그리고 순환 배치되는 기갑여단전투단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한국전쟁에서 많은 활약을 했으며, 1950년 한국에 파병된 최초의 부대이기도 하다. 2024년 기준 사단장은 소장 윌리엄 D. 테일러이며, 한국군과 연합하여 한반도의 안보를 담당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 육군에 관한 -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연합군 최고 사령관을 지낸 5성 장군이자, 1950년대 미국 대통령으로서 한국 전쟁 종식, 냉전 시대 핵 억제 정책 추진, 사회보장제도 강화, 주간 고속도로 시스템 건설, 아이젠하워 독트린 발표, 리틀록 고등학교 사건 개입 등 국내외 정책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미국 육군에 관한 - 알렉산더 해밀턴
    알렉산더 해밀턴은 미국의 건국 아버지이자 초대 재무장관으로, 미국의 경제 시스템 구축에 기여했으며, 독립 전쟁에서 활약, 강력한 중앙 정부 수립을 옹호했고, 국가 부채 해결과 국립은행 설립 등 경제적 기반을 다졌으나, 에런 버와의 결투로 사망한 후 뮤지컬을 통해 재조명되고 있다.
  • 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년~2021년)에 참전한 미국의 사단 - 제101공수사단
    제101공수사단은 미국 육군의 공수사단으로, 뛰어난 전투력과 다양한 참전 경력을 바탕으로 미 육군의 신속대응군 역할을 수행하며, 현재는 유럽에 배치되어 NATO 동부 전선을 강화하는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 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년~2021년)에 참전한 미국의 사단 - 제1보병사단 (미국)
    미국 육군의 제1보병사단은 "빅 레드 원"이라는 별칭으로 알려졌으며, 두 차례의 세계 대전, 베트남 전쟁, 걸프 전쟁, 이라크 전쟁, 아프가니스탄 전쟁 등 주요 전쟁에 참전했고 냉전 시대에는 유럽에서 소련의 위협을 억제하는 임무를 수행했으며 현재는 캔자스주에 주둔하고 있다.
제2보병사단 (미국)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제2보병사단 어깨 소매 휘장
창설일1917년 10월 26일
국가
종류보병
역할본부
규모사단
지휘 구조[[파일:Flag of the Eighth United States Army.svg|20px]] 제8군
현재 사령관소장 찰스 T. 롬바르도
부사령관 (기동)준장 로버트 S. 브라운
부사령관 (지원)준장 스콧 C. 우드워드
부사령관 (ROKA)준장 김정혁, ROKA
주임원사주임원사 케네스 R. 프랑코
주둔지캠프 험프리스, 대한민국 (본부)
루이스-맥코드 합동기지, 워싱턴주, 미국
별칭인디언헤드
모토누구에게도 뒤지지 않는다
색상빨강 및 파랑
행진곡전사 행진곡
웹사이트페이스북 페이지
전투
참전 전투제1차 세계 대전

벨로 우드
앤-마른
생미엘
뫼즈-아르곤
제2차 세계 대전
오버로드 작전
파리에서 라인강까지의 연합군 진격
벌지 전투
독일 서부 침공
한국 전쟁
부산 교두보 전투
청천강 전투
제1차 및 제2차 원주 전투
지평리 전투
피의 능선 전투
단장의 능선 전투
한국 DMZ 분쟁
테러와의 전쟁
이라크 전쟁
아프가니스탄 전쟁
지휘관
주요 지휘관전체 지휘관 목록
휘장
전투 근무 식별 휘장
고유 부대 휘장
군기
제2사단 및 제16기계화보병여단 (ROKA) 연합사단 본부 탭
추가 정보
참고육군, 한국 제2사단에 음주 금지
한국 전쟁 - 역사적 임무
한국 전쟁에서의 네덜란드 역할 - 역사적 임무

2. 역사

조선인민군의 침공에 대비하여 다른 미군 부대가 대한민국에 도착할 때까지 전쟁 초기에 시간을 버는 것을 주요 임무로 삼고 있었다.

제2보병사단은 대략 15,000명의 병사로 구성되었으며, 카투사로 불리는 한국군 병력 일부가 포함되어 있었다. 이승만 대통령에 의해 1950년에 창설된 카투사 27,000명은 미군과 함께 한국전쟁에서 복무하였다. 카투사 이외에도 1950년~1954년 동안 3,000여 명의 네덜란드 군인이 복무하기도 했다.[19]

1952년 5월 11일, 한국 전쟁 당시 한국 육군 8사단을 지원하고 있는 미 보병 2사단의 M4A3E8 셔먼 전차. 적의 벙커에 76mm 포를 사격 중이다.


1950년 11월 말, 청천강 전투 당시 작전 중인 제2보병사단 병사들


한국 전쟁 동안 사단은 전사 7,094명, 부상 16,575명, 부상으로 인한 사망 338명의 피해를 입었다.

1950년 6월 25일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제2보병사단은 즉시 극동사령부로 이동하여 미 제8군에 배속될 준비를 했다. 7월 23일 부산을 경유하여 한국에 도착했으며, 미국에서 한국으로 직접 온 최초의 부대가 되었다. 1950년 8월 24일 낙동강 방어선에서 제24보병사단을 교체하며 본격적으로 전투에 투입되었다. 8월 31일 밤 조선인민군(KPA)의 인해전술 공격을 시작으로 16일간의 치열한 전투에서 사단의 사무직원, 군악대원, 기술 및 보급 인원까지 참전하여 방어에 성공했다.

9월 16일, 제2보병사단은 부산 주변 지역에서 돌파한 최초의 부대가 되었고, 미 제8군은 북쪽으로의 총반격을 시작했다. 남쪽에서 북상하는 제7보병사단과의 접촉을 시도하는 과정에서 KPA의 주요 부대가 파괴 및 격리되었으며, 9월 26일 수원 남쪽에서 두 부대가 합류했다. 9월 23일, 제2보병사단은 새로 활성화된 미 제9군단에 배속되었다. 10월 1일, 유엔군은 38선을 넘어 북한으로 진격했다. 10월 19일, 제1보병사단과 제1기갑사단이 평양을 점령했다. 중국인민지원군(PVA)은 10월 말 첫 공격을 가하며 북한 편에 참전했고, 11월 25일 제2차 공세를 시작했다. 청천강 전투에서 제2보병사단은 남쪽으로 후퇴하는 제8군의 후방과 우측 측면을 보호하는 임무를 맡았다. 포위되고 화력이 열세인 상황에서 약 9.66km 길이의 PVA 도로 차단 지점("장갑차 통로")을 통과해야 했다. 제23보병연대는 20분 안에 3,206발의 포탄을 발사하는 대규모 포격으로 PVA 부대의 추격을 막았다. 전투 중 미 제2보병사단과 미 제24보병연대의 기록 대부분이 분실되어 정확한 피해 규모 파악은 어려우나,[19] 4,037명의 사상자와 대부분의 포, 통신 장비의 40%, 분대 지원 무기의 45%, 차량의 30%를 손실한 것으로 추정된다.[20] 이로 인해 제2보병사단은 큰 피해를 입었고,[21] 로렌스 B. 카이저 소장은 사령관직에서 해임되었다.[22]

1951년 1월 1일, PVA 부대는 임진강에서 제8군의 방어선을 공격하여 약 80.47km 후퇴하게 만들고 서울을 점령하도록 했다. PVA의 공세는 1월 20일 원주에서 제2보병사단에 의해 저지되었다. 매슈 B. 리지웨이 장군은 미 제1군단, 제9군단, 제10군단에게 썬더볼트 작전을 명령, 총반격을 개시했다. 1951년 2월, 제2보병사단은 칩용니와 원주에서 PVA의 반격을 격퇴했다.

1951년 8월, 제2보병사단은 피의 고지 전투애처로운 고지 전투에 참전했다. 10월까지 보충을 받지 못해 큰 손실을 입었으며, 특히 제23보병연대가 큰 피해를 입었다. 제2보병사단은 피의 고지와 애처로운 고지를 점령한 후 철수했으며, PVA/KPA에 25,000명의 사상자를 낸 것으로 추산된다. 이후 고지전은 군사 전략으로 채택되지 않았다.[23] 1953년 1월, 제2보병사단은 제9군단에서 제1군단으로 이동했다.

1953년 7월 27일 한국 휴전 협정 체결 후, 제2보병사단은 한국 비무장 지대 남쪽 지역으로 철수했다.[24] 맥스웰 D. 테일러 장군은 존 F. R. 자이츠 준장을 제2보병사단 사령관으로 임명했다.[25][26] 자이츠 준장은 휴전 이후 긴장된 시기에 대한민국 육군의 경계와 훈련을 지원했으며, 제2보병사단은 1954년 미국으로 재배치될 때까지 이 임무를 수행했다.[25]

한국전쟁에서 제9, 제23, 제38보병연대는 미국 본토 지원군으로 1950년 7월 31일부터 8월 19일 사이에 한반도에 상륙하여 부산 주변 전투 중반부터 참전했다.[76] 제9보병연대는 제24보병사단 지휘 하에 낙동강 전선에 투입, 조선인민군제4보병사단과 “클로버 고지”에서 교전하여 큰 피해를 입었지만 격퇴했다.[77] 제3대대는 포항 남쪽 영일비행장 방어에 배치되었다.[78] 8월 전투 후, 제2보병사단은 제24보병사단의 전선을 이어받아 낙동강 방어 임무를 맡았다.[79] 8월 31일 조선인민군 3개 사단의 공격을 받았으나, 제1해병사단 증원을 받아 반격, 9월 9일까지 격퇴했다.[80]

2. 1. 제1차 세계 대전 (1917-1918)

제2보병사단은 1917년 9월 21일에 사단 본부가 창설되고, 10월 26일 프랑스 북동부 오뜨 마른뉴 부르몽에서 편성되었다. 당시에 사단은 제9보병연대, 제23보병연대, 제5기관총대대로 이루어진 제3보병여단과 제5해병연대, 제6해병연대, 제6기관총대대로 이루어진 제4해병여단[86], 야전포병대대와 사단 지원부대로 편성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미군 역사상 처음으로 해병대 장군인 준장 찰스 A. 도옌과 소장 존 A. 르주느가 육군 사단을 지휘했다.[12] 1918년 7월 28일, 르주느 소장이 제2사단 사령관을 맡아 1919년 8월 부대가 미국으로 돌아올 때까지 그 직책을 유지했다.

사단은 1917년에서 1918년 겨울에 프랑스와 스코틀랜드 베테랑들과 함께 훈련을 받았다. 비록 프랑스 전술가들에게는 준비가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았지만, 미국 원정군(AEF)는 1918년 봄, 독일군의 진격을 막기 위해 긴급히 전투에 투입되었다. 소장 에드워드 맨 루이스는 파리-메츠 도로를 따라 격전을 치른 프랑스군을 지원하기 위해 제3여단을 지휘했다. 이 사단은 벨라우 숲 전투에서 처음으로 전투를 치렀고, 이어진 샤토티에리 전투에서는 4년간 지속된 교착 상태를 깨뜨리는 데 기여했다.

제2사단은 벨라우 숲 전투, 샤토티에리 전투, 수아송, 블랑몽에서의 용감한 전투로 세 차례에 걸쳐 프랑스 크루아 드 게르를 수여받았다. 이에 따라 현재 사단 및 당시 사단에 소속되었던 연대(제5 및 제6 해병연대 포함)의 구성원들은 포라제르를 착용할 자격이 있다. 해군은 제5 및 제6 해병연대에 배속된 병원 군의관이 예복의 왼쪽 어깨에 어깨띠를 착용하여 포라제르를 착용할 수 있도록 특별히 제복 변경을 승인했다.

1918년 11월 11일 휴전이 선포되자, 제2사단은 독일에 진주하여 1919년 4월까지 점령 임무를 수행했다.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사단은 전사 1,964명(미 해병대: 4,478명 포함)과 전상 9,782명(미 해병대: 17,752명 포함)의 손실을 입었다.

제2보병사단이 참전한 주요 전투는 다음과 같다.

  • 제3차 엔 전투
  • 벨라우 숲 전투, 제4해병여단만 참전[86]
  • 샤토티에리 전투, 1918년
  • 셍미하히 전투
  • 뫼즈-아르곤느 공세
  • 엔-마른 공세

2. 2. 전간기 (1919-1941)

제2사단은 1919년 8월 3일, 독일 코블렌츠, 헤데스도르프, 디어도르프 근처에서 8개월간의 점령 임무를 완료하고 뉴저지주 호보켄에 도착했다. 이후 뉴욕주 캠프 밀스로 이동하여 비상 시기의 모든 인원이 전역했고, 제4해병여단은 사단 배속에서 해제되었다. 1919년 8월 16일 텍사스주 샌안토니오의 캠프 트래비스로 이동하여 1922년 캠프 트래비스가 포트 샘 휴스턴에 통합될 때까지 주둔했다. 제4 보병여단(제1 및 제20 보병연대)이 사단 편제에서 제4 해병여단을 대체하도록 배속되었고, 1920년 10월 캠프 트래비스에서 활성화되었다. 이 사단은 1921년 제8군관구 및 제8군단에 배속되었다. 제2사단은 전간기 대부분 동안 미국 본토에 주둔한 사단 중 가장 전투 준비 태세가 갖춰진 사단이었다.[15]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초기에는 사단의 시간이 제한된 규모로 재건과 훈련에 할애되었다. 느린 진행 속도 덕분에 사단은 할리우드가 육군에 관한 영화 제작을 돕는 데 시간을 낼 수 있었다. 사단 부대는 1925년 5월과 6월에 메트로 골드윈 메이어의 영화 《위대한 행진》에 참여했고, 1926년 4월에는 《날개》에 참여했다. 그러나 1926년까지 사단 부대의 기동 훈련이 더 빈번해지면서 영화에 시간을 할애할 여유가 적어졌다. 기동 훈련은 일반적으로 5월에 이루어졌고, 그 후 사단 부대는 여름 동안 미 육군 예비군, 시민 군사 훈련 캠프 및 ROTC 생도의 훈련을 지원했다. 일반적으로 사단은 텍사스주 캠프 불리스 또는 샌안토니오 서쪽 지역에 배치되어, 주로 중대 및 대대급 야전 훈련을 수행했다. 사단 배치는 야전 훈련 기간 말기에 여단 대 여단 기동으로 절정에 달했다.[15]

1927년 제4 보병여단이 와이오밍주 포트 D. A. 러셀(후에 포트 프랜시스 E. 워런으로 개명)로 이동한 후, 제1기병사단의 제1기병여단이 텍사스주 포트 클라크에서 매년 5월 합동 무기 기동에 참여하기 위해 도로 행군을 시작했다. 사단 기동이 완료되면 사단은 예비군 부대 훈련으로 전환했다. 제3 보병여단은 일반적으로 제90사단, 보병 CMTC 및 ROTC 생도의 예비 장교를 훈련시켰다. 제2 야전포병여단의 부대는 제90사단, 제18군단 및 제8군관구의 여러 육군본부 예비군 포병 장교를 훈련시켰다. 제4 보병여단은 포트 프랜시스 E. 워런으로 이동한 후, 폴 마운틴 군사 예비지역에서 기동 훈련을 실시하고 제104사단의 제휴 예비 부대를 훈련시켰다. 1936년, 사단은 캠프 불리스에서 제3군 사령부 연습에 참여하여 향후 대규모 육군 기동을 위한 군, 군단 및 사단 참모진을 준비했다. 사단의 다음 주요 훈련 행사는 1937년 9월 캠프 불리스에서 임시 보병사단 시험에 참여했을 때였다. “인디언헤드” 사단은 “삼각형” 사단의 개념을 시험하기 위해 세 개의 연대로 일시적으로 재편성되었다. 이 훈련은 육군 계획가들의 결과 분석 후 추가 시험이 요구될 정도로 매우 성공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듬해, 제2사단을 포함한 제8군관구의 부대가 제3군 기동을 위해 캠프 불리스에 집결했다. 1939년 1월, 사단은 임시 제2사단 시험을 위해 두 번째로 삼각형 사단으로 재편성되었다. 이 시험은 정규군 사단에 새로운 삼각형 조직을 채택하기로 하는 결정을 확정지었다. 그 결과 1939년 10월, 사단의 제4 보병여단이 해산되었고, 제1 및 제20 보병연대가 배속에서 해제되었으며, 제38 보병연대가 사단에 배속되어 삼각형 개념으로의 전환이 완료되었다.[15]

1940년 5월, “인디언헤드” 사단은 다음 제3군 기동을 준비하기 위해 새로운 조직 하에 훈련을 받기 위해 텍사스주 호튼 근처에 배치되었다. 1940년 제3군 기동은 1940년 8월 중부 루이지애나주 서부에서 실시되었으며, 주로 제4 및 제8군관구에 주둔한 정규군 및 주방위군 사단을 중심으로 수행되었다. 루이지애나 기동 후 “인디언헤드” 사단은 포트 샘 휴스턴으로 돌아왔다. 이듬해 6월, 사단은 그 달에 열린 제8군단 기동에 참여하기 위해 텍사스주 브라운우드로 이동했다. 1941년 8월, 이제 제2보병사단으로 재지정된 사단은 제2군과 제3군 간의 육군본부 기동을 위해 루이지애나 기동 지역으로 돌아왔다가 본거지로 복귀했다.[15]

2. 3. 제2차 세계 대전 (1941-1945)

오마하 해변 E-1 지점에서 언덕을 올라가는 제2보병사단(1944년 6월 7일). 생 로랑 쉬르 메르로 가는 길을 방어하는 독일군 저항 거점 65호를 지나가고 있다.


제2보병사단은 1943년 10월부터 1944년 6월까지 북아일랜드웨일스에서 훈련을 받았다. 이후 D-데이 다음 날인 1944년 6월 7일(D+1)에 오마하 해변에 상륙했다.[17] 생 로랑 쉬르 메르 근처였지만, 제9 및 제23보병연대와 제2전투공병대대에서 약 150명의 병사가 특수 공병 임무 부대의 작전을 지원하기 위해 자원했다. 이들은 6월 6일 여러 돌격 갭 팀(146 및 299 전투 공병 대대)에 배치되어 오마하 해변에서 H+3에 상륙했다. 6월 10일 오르강강을 건너 공격한 사단은 트레비에르를 해방시키고 생로로 가는 길에 있는 주요 적군 요새인 192고지를 공격하여 확보했다. 3주 동안 방어 시설을 구축한 후, 사단장 월터 M. 로버트슨 장군의 명령에 따라 192고지를 점령하라는 명령이 내려왔다. 7월 11일 랄프 와이즈 츠비커 대령의 지휘하에 제38보병연대가 제9 및 제23보병연대와 함께 오전 5시 45분에 전투를 시작했다. 제1차 세계 대전의 포병 전술인 롤링 배러지를 사용하고 8개 포병대대가 발사한 2만 5천 발의 고폭탄/발화탄의 지원을 받아 고지를 점령했다. 불지 작전 기간 3일을 제외하고 이는 제38야전포병대대가 사용한 가장 많은 탄약 소모였으며, 제2사단 포병이 롤링 배러지를 사용한 유일한 때였다.

이 사단은 7월 26일까지 방어 태세를 유지했다. 생로 돌파 후 제2사단은 비르강을 건너 1944년 8월 15일 탱슈브레를 점령했다. 그런 다음 독일 U보트의 주요 항구였던 방어가 강화된 항구 요새인 브레스트로 진격했다. 39일간의 전투 끝에 브레스트 전투가 승리로 끝났으며, 미 육군 항공대벙커버스터 폭탄을 처음 사용한 곳이기도 하다.

사단은 9월 19일부터 26일까지 잠시 휴식을 취한 후 1944년 9월 29일 벨기에 생비트에 방어 진지를 구축했다. 사단은 1944년 10월 3일 독일에 진입했고, 1944년 12월 11일 로어 강 댐을 공격하여 점령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12월 중순 독일의 아르덴 공세로 인해 사단은 엘젠본 능선 근처 방어 진지로 후퇴해야 했다.

제2사단 제9보병연대의 두 병사가 군용 영화관 앞에 서 있다. 병사들의 오락을 위해 마련된 곳이다.(1945년 3월 1일).


1945년 2월 사단은 공격을 개시하여 잃어버린 지역을 탈환하고 3월 4일 게문트를 점령했다. 3월 9일 라인강에 도달한 사단은 남쪽으로 진격하여 3월 10일부터 11일까지 브라이지크를 점령하고 3월 12일부터 20일까지 레마겐 다리를 지켰다.

사단은 3월 21일 라인강을 건너 하다마르와 림부르크 안 데어 란으로 진격하여 3월 28일 제9기갑사단 부대를 구출했다. 제9기갑사단의 뒤를 빠르게 추격한 제2보병사단은 4월 6일부터 7일까지 베커하겐에서 베저강을 건너 4월 8일 괴팅겐을 점령하고 4월 14일 잘레강에 교두보를 확보하여 4월 15일 머제부르크를 점령했다. 4월 18일 사단은 라이프치히를 점령하고[17] 그 지역을 정리하고 물데강에 초소를 설치했다. 강을 건넌 부대는 4월 24일 철수했다. 물데강에서 교대된 제2사단은 5월 1일부터 3일까지 200마일 이동하여 쇤제와 발트뮌헨 근처 독일-체코 국경에 있는 진지로 이동하여 제2보병사단이 제97사단과 제99사단을 구출했다. 사단은 1945년 5월 4일 체코슬로바키아를 넘어 플젠 방향으로 공격하여 V-E 데이에 그 도시를 공격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부대 역사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제2보병사단은 유럽 전선에서 303일 동안 전투를 치렀다. 이 과정에서 3,031명이 전사했고, 12,785명이 부상을 입었으며, 그 중 457명은 끝내 회복하지 못하고 사망했다.[17]

2. 4. 한국 전쟁 (1950-1953)

조선인민군의 침공에 대비하여 다른 미군 부대가 대한민국에 도착할 때까지 전쟁 초기에 시간을 버는 것을 주요 임무로 삼고 있었다.

제2보병사단은 대략 15,000명의 병사로 구성되었으며, 다른 육군 부대와 달리 일부는 카투사로 불리는 한국군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카투사는 1950년 대한민국의 대통령 이승만에 의해 만들어졌는데, 27,000명의 카투사가 미군과 함께 한국전쟁에서 복무하였다. 카투사 이외에도 1950년~1954년 동안 3,000여명의 네덜란드 군인이 복무하기도 했다.[19]

한국 전쟁 동안 사단의 피해는 전사 7,094명, 부상 16,575명, 부상으로 인한 사망 338명이었다.

1950년 6월 25일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제2보병사단은 즉시 극동사령부로 이동하여 미 제8군에 배속될 준비를 했다. 7월 23일 부산을 경유하여 한국에 도착했으며, 미국에서 한국으로 직접 온 최초의 부대가 되었다. 처음에는 부분적으로 투입되었지만, 1950년 8월 24일에는 전체 사단이 하나의 부대로 투입되어 낙동강 방어선에서 제24보병사단을 교체했다. 8월 31일 밤 북한의 조선인민군(KPA)이 인해전술로 공격을 감행하면서 첫 번째 큰 시험이 시작되었다. 이후 16일간의 전투에서 사단의 사무직원, 군악대원, 기술 및 보급 인원까지 참전하여 공격자들을 방어했다.

그 직후, 사단은 9월 16일 부산 주변 지역에서 돌파한 최초의 부대가 되었고, 미 제8군은 북쪽으로의 총반격을 시작하여 무너지는 KPA의 저항을 극복하고 남쪽에서 북상하는 제7보병사단과의 접촉을 시도했다. 이 공격적인 돌파 작전에서 KPA의 주요 부대가 파괴되고 격리되었으며, 9월 26일 수원 남쪽에서 합류가 이루어졌다. 9월 23일, 사단은 새로 활성화된 미 제9군단에 배속되었다. 유엔군의 공세는 서울을 지나 38선을 넘어 북한으로 10월 1일에 계속되었다. 공격의 기세는 유지되었고, 10월 19일 대한민국 제1보병사단과 미 제1기갑사단이 모두 평양을 점령하면서 북한 수도인 평양을 향한 경쟁은 끝났다. 진격은 계속되었지만 예상치 못하게 강해지는 저항에 직면했다. 중국의 중국인민지원군(PVA)이 10월 말 첫 공격을 가하며 북한 편에 참전했다. 중공군 제1차 공세에서 사단은 만주 국경에서 약 약 80.47km 떨어진 곳에 있었는데, PVA가 11월 25일 제2차 공세를 시작했다. 청천강 전투에서 제2보병사단 병사들은 남쪽으로 후퇴하는 제8군의 후방과 우측 측면을 보호하는 임무를 맡았다. 이 전투 후, 포위되고 화력이 열세인 상황에서 사단은 "장갑차 통로"로 알려지게 된 곳, 즉 길이 약 9.66km의 PVA 도로 차단 지점을 통해 남쪽으로 싸워 나가야 했다. 제23보병연대는 20분 안에 3,206발의 포탄을 발사하는 대규모 포격을 가해 PVA 부대가 연대를 추격하는 것을 막았다. 미 제2보병사단과 미 제24보병연대의 모든 기록을 포함한 많은 양의 문서가 전투 중에 분실되어 역사가들이 사건을 자세히 분석하거나 정확한 전투 피해와 손실을 평가하기 어려웠다.[19] 그러나 나중에 미 제2보병사단이 4,037명의 사상자를 냈고, 대부분의 포, 통신 장비의 40%, 분대 지원 무기의 45%, 차량의 30%가 전투 중에 손실된 것으로 추정되었다.[20] 따라서 미 제2보병사단은 크게 피해를 입은 것으로 간주되었고,[21] 제2보병사단 사령관인 로렌스 B. 카이저 소장은 전투가 끝날 무렵 사령관직에서 해임되었다.[22]

제8군은 38선 남쪽의 임진강으로 완전 철수를 명령했다. 1951년 1월 1일, PVA 부대는 임진강에서 제8군의 방어선을 공격하여 약 80.47km 후퇴하게 만들고 PVA가 서울을 점령하도록 허용했다. PVA의 공세는 1월 20일 원주에서 제2보병사단에 의해 마침내 막혔다. 서울 남쪽에 방어선이 구축된 후, 매슈 B. 리지웨이 장군은 미 제1군단, 제9군단, 제10군단에게 PVA/KPA에 대한 총반격 작전인 썬더볼트 작전을 수행하도록 명령했다. 1951년 2월 두 갈래 공격으로 공세를 취한 사단은 칩용니와 원주에서 벌어진 전투에서 강력한 PVA 반격을 격퇴했다. 유엔군 전선은 유지되었고 총반격은 계속되었다.

1951년 8월, 사단은 다시 공세를 취하여 제8군 전선에 위협이 되는 것으로 지정된 일련의 고지를 공격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이러한 행동은 피의 고지 전투와 애처로운 고지 전투로 발전했다. 사단은 10월까지 보충을 받지 못했고, 보병 연대는 큰 손실을 입었다. 제23보병연대가 애처로운 고지에서 심각한 피해를 입으면서 가장 큰 타격을 입었다. 제2사단은 피의 고지와 애처로운 고지를 점령한 후 철수했고, 고지를 점령했던 PVA/KPA에 가한 피해는 25,000명의 사상자로 추산되었다. 전쟁이 끝날 때까지 고지전은 다시는 군사 전략으로 채택되지 않았다.[23] 1953년 1월, 사단은 제9군단에서 제1군단으로 이동했다.

1953년 7월 27일 한국 휴전 협정이 체결된 후, 제2보병사단은 한국 비무장 지대 남쪽 지역으로 철수했다.[24] 휴전 직후 미 제8군 사령관인 장군 맥스웰 D. 테일러는 존 F. R. 자이츠 준장을 제2보병사단 사령관으로 임명했고, 사단은 한국에 주둔했다.[25][26] 자이츠는 휴전 이후 긴장된 시기에 사단을 지휘했으며, 미 육군은 대한민국 육군의 경계와 집중적인 훈련이 필요했고, 제2보병사단은 1954년 미국으로 재배치될 때까지 이를 수행했다.[25]

한국전쟁에서는 제9, 제23, 제38보병연대를 중심으로 미국 본토에서 지원군으로 파병되어 1950년 7월 31일부터 8월 19일 사이에 한반도에 상륙하여 부산 주변 전투에 중반부터 참전했다.[76] 선발대인 제9보병연대는 도착하자마자 제24보병사단의 지휘를 받아 낙동강 전선에 투입되었다. 연대는 이미 강을 건넌 조선인민군제4보병사단과 “클로버 고지”에서 교전하여 큰 피해를 입었지만, 격퇴하는 데 성공했다.[77] 같은 시각, 같은 연대의 제3대대는 동해안 포항 남쪽의 영일비행장 방어에 배치되었다(포항 전투)[78].

8월 전투가 일단락된 후, 제2사단은 제24사단의 전선을 이어받아 낙동강 방어 임무를 맡았다.[79] 8월 31일 조선인민군 3개 사단의 공격을 받은 제2사단은 일시적으로 적의 돌파를 허용했지만, 제1해병사단의 증원을 받아 반격하여 9월 9일까지의 전투에서 격퇴했다.[80]

2. 5. 냉전 (1954-1991)

1963년 객체형 육군사단 재조직화(Reorganization Objective Army Division (ROAD)영어) 계획에 따라 3개 여단을 가지는 구조로 재편성되었다.

1965년 7월 1일, 베트남 전쟁에 참전하기 위해 베트남 공화국으로 배치되는 제1기병사단 (공중기동)을 대신하여 제2보병사단은 한반도에 배치되었다. 제1군단으로 예속되어 동두천시 동두리의 캠프 레드 클라우드에 사단 본부를 설치하고, 한반도 비무장지대를 순찰하며 조선인민군의 저강도 분쟁에 맞섰다.

1976년 8월 8일, 공동경비구역에서 관측에 거슬리는 미루나무를 베려고하던 유엔사경비대대의 장교 2명이 조선인민군 측의 국경경비대원들에게 도끼로 찍혔다. 두 장교는 삼일 뒤에 죽었고, 폴 버니언 작전을 집행하여 대한민국 육군과 함께 반격하였다.

한국 전쟁 참전 이후 북한의 침공에 대비한 신속대응부대(즉응부대)로서 한국군사분계선 부근에 주둔하고 있으며 KATUSA(미 육군 한국인 증강병)를 포함하고 있다. 제2보병사단 본부와 예하 여단 2개는 한국에, 1개 여단은 미국 본토 서해안 워싱턴주 포트 루이스(시애틀 남쪽)에 주둔하는 형태가 냉전 이후 육군 감축에도 불구하고 유지되고 있다. 주한미군의 제8군 지휘하에 있다.

2. 6. 21세기

2002년 6월 13일, 미군 장갑차에 의한 중학생 압사 사건이 발생하여 반미 감정이 고조되고 주한미군 주둔반대 시위가 벌어졌다.

2005년 미국 육군부는 여단 전투단 체계를 도입하면서 재편성을 시작했다. 제2보병사단은 5월 16일에 캠프 에세이욘의 제102군사정보대대를 기반으로 특수병력대대를 창설하고, 제122통신대대를 중대로 축소하여 특수병력대대에 편성했다.[88][87] 5월 26일, 캠프 케이시의 사단 지원사령부(DISCOM)와 캠프 하우즈의 사단 공병여단이 해체되고, 각 부대의 예하 대대는 각각의 여단전투단에 배치되었다.[89] 6월 16일, 사단 항공여단은 제17항공여단의 일부 예하 부대와 제6기병여단을 병합하여 제2전투항공여단 "탈론"(2nd Combat Aviation Brigade "Talon"영어)으로 개편되었다.[90][91][92][93]

2012년 4월 26일, 존 M. 휴그 미국 육군청장의 지시에 따라 루이스-맥코드 합동 기지에서 제7보병사단 본부가 다시 활동을 시작했다. 제7보병사단 본부는 관리 본부로서, 제1(I)군단을 대신하여 제2보병사단의 제2, 3, 4여단전투단과 제16항공여단, 제17야전포병여단을 감독한다.[94]

세계 경제 불황으로 미국 국방부의 예산이 줄어들어, 2017년까지 부대 구조 개편 계획에 따라 제4여단전투단 해체가 확정되었다.[95] 2014년 3월 14일, 제4여단전투단은 "장병의 집"(Solider field house영어)에서 공식적으로 해산되었고, 예하 부대는 같은 사단 예하의 제1, 2, 3여단전투단에 재배속되었다.[96]

9월 25일, 사단 포병대가 재소집되어 제2, 3여단전투단에 화력 지원을 맡게 되었으며, 해외 훈련 및 개발을 위해 예하의 두개 부대는 알래스카에 배치되었다. 사단 포병대는 제7보병사단 본부에서 행정관리를 맡는다.[97]

2015년 7월, 제1기갑여단전투단이 1965년 7월부터 맡아온 한반도 방어 임무를 종료하고 해체되었다. 이는 미국 육군의 여단 전투단을 45개에서 32개로 감축하는 과정의 일환이었다.[98] 장비는 그대로 두고 텍사스주 포트 후드제1기병사단 제2기갑여단전투단의 병력 4,600명이 6월에 도착하여 제2보병사단 제1기갑여단전투단 본부를 해체하고 9개월 주기로 순환 배치될 예정이었다.[99][100] 이는 전략적 유연성을 위한 시험 및 준비 과정이었으며, 2015년 늦은 여름부터 본격적으로 집행될 예정이었다.[101][102][103]

2009년 2월 17일,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아프가니스탄 상황 악화에 따라 제5 스트라이커 여단 전투팀 소속 군인 4,000명과 해병대 8,000명을 아프가니스탄에 파병했다. 이들은 아프가니스탄-파키스탄 국경의 남동부에 배치되었다. 파병 기간 동안 전투 중 35명의 군인이 사망하고, 사고로 2명이 사망했으며, 239명이 부상을 입었다.[51] 2010년 7월, 제5 스트라이커 여단 전투팀은 해체되었고 제2 스트라이커 여단 전투팀으로 재편성되었다. 여단의 특수부대 대대 또한 해체 및 재편성되었고, 나머지 하급 부대는 재활성화된 제2 SBCT에 재배치되었다.[52] 제3 SBCT는 2011년 12월에 파병되어 1년간 아프가니스탄에서 복무하며 16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53][54] 이들은 봄에 제2 SBCT와 합류했다.[55] 제2 여단은 2012년 12월에서 2013년 1월 사이에 귀환했으며, 파병 기간 동안 8명의 군인이 사망했다. 제4 스트라이커 BCT 또한 2012년 가을에 처음으로 아프가니스탄에 파병되어 2013년 여름에 귀환했으며, 4명의 군인이 사망했다.[56][57]

2015년, 평시부터 합동 참모 조직을 운영하고 한국 육군의 1개 여단을 전시에 제2사단과 통합 운용하는 한미연합사단이 "한미연합사단"이라는 한국 측 명칭으로 창설되었다.[84]

2. 6. 1. 테러와의 전쟁

이전 출력은 "테러와의 전쟁" 섹션에 대한 내용이 아니었기 때문에, 주어진 원본 소스를 바탕으로 섹션 내용을 구성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이전 출력을 수정하는 대신, 오류 메시지를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제2차 세계 대전 문서를 잘못 입력하신 것 같습니다. 현재 주어진 문서는 "테러와의 전쟁" 섹션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테러와의 전쟁" 섹션에 해당하는 문서를 입력해주시면 위키텍스트를 작성해 드리겠습니다.

2. 6. 2. 이주 계획

2002년 6월 13일, 미군 장갑차에 의한 중학생 압사 사건이 발생하였다. 이 사건으로 반미 감정이 높아졌고, 주한미군 주둔반대 시위가 벌어졌다.

2015년 12월 1일, 한미 전시 작전통제권이 주한 미군에서 한국군으로 이양될 예정이었고, 제2보병사단은 캠프 험프리스로 이전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2012년 6월 15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도발 수위가 높아지면서 한미연합사단으로 개편하는 방안이 검토되었다. 한미연합사단으로 개편되면, 주한 미군과 한국군 사이의 정보 공유와 제2보병사단의 전력을 더 빠르게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104]

3. 구조

2021년 당시 제2보병사단의 편제도


제2보병사단은 독특한 조직 구조를 가지고 있다. 대한민국과 워싱턴 주 루이스-맥코드 합동 기지에 제2보병사단 명칭을 사용하는 여단이 배치되어 있다. 제2보병사단 사단장은 대한민국에 주둔하는 유지여단, 전투항공여단, 제210야전포병여단, 순환 배치되는 기갑여단전투단 등에 대한 지휘권을 행사한다. 루이스-맥코드 합동기지에 주둔하는 사단포병대와 2개의 스트라이커 여단전투단은 제7보병사단의 지휘를 받는다. 제2보병사단은 한미 연합 작전 수행을 위해 대한민국 육군의 기계화여단을 지휘하에 두고 있다.

  • '''제16기계화여단''' (미-한 군사 통합 계획의 일환으로 수도기계화보병사단에서 편입):
  • * 제19기갑대대
  • * 제136기계화보병대대
  • * 제137기계화보병대대


이 외에, 하위 섹션 "전투 서열 (2024년 기준)"에 상세 편제가 기술되어 있다.

3. 1. 지휘부 (2024년 기준)


  • 사단장: 소장 윌리엄 D. 테일러 (William D. “Hank” Taylor)[1]
  • 주임원사: 원사 케네스 프랑코 (Kenneth Franco)[2]
  • 한측 부사단장: 준장 김정혁[3]
  • 작전 부사단장: 대령 로버트 브라운 (Robert S. "TODD" Brown)[4]
  • 행정 부사단장: 준장 브랜든 앤더슨 (Brandon Anderson)[5]
  • 참모장: 대령 웨이드 거먼 (Wade Germann)[6]
  • 한측 참모장: 대령 이동명[7]

3. 2. 위치

경기도 평택시캠프 험프리스에 제2보병사단 본부가 있으며, 동두천시캠프 케이시를 주축으로 캠프 캐슬호비에 사단 부대가 주둔하고 있다.[45] 사령부는 서울에서 남쪽으로 약 40마일 떨어진 평택시캠프 험프리스에 있다.[46][47]

구분주둔지주둔 부대
캠프 험프리스사단 본부, 제23화학대대, 제2전투항공여단, 순환배치 스트라이커 여단, 사단 포병 여단
캠프 케이시비무장지대 남쪽 27 km(17 마일)
캠프 캐슬
캠프 호비
루이스-맥코드 합동 기지제2, 3여단전투단
포트 카슨콜로라도주 스프링, 제2항공연대 1대대


3. 3. 전투 서열 (2024년 기준)

부대예하 부대
제2보병사단 본부 및 본부대대
제1스트라이커여단전투단 "고스트"
제2스트라이커여단전투단 "랜서"
제2보병사단 포병대
제2전투항공여단 "탈론"
제2보병사단 지원여단 "챔피언"
제210야전포병여단


4. 한미 연합

2015년 12월 1일에 한미 전시 작전통제권이 주한 미군에서 한국군으로 이양되면, 제2보병사단은 캠프 레드 클라우드를 떠나 경기도 평택시의 캠프 험프리스로 옮겨갈 예정이었다. 그러나 2012년 6월 15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도발 수위가 높아지면서 캠프 험프리스로 이전하는 대신 대한민국 육군의 1개 여단과 통합하여 한미 연합부대로 개편하는 방안이 검토되었다. 한미연합사단으로 개편되면, 주한 미군과 한국군 사이의 정보 공유와 제2보병사단의 전력을 더 빠르게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생긴다.[104]

5. 논란 및 사건 사고

2007년 3월 7일, 이라크 도라에서 스트라이커 차량의 은폐물 뒤에서 사격 지원을 하는 SGT Karl King과 PFC David Valenzuela. 병사들은 제3 여단 전투팀, 제2 보병사단, 제20 보병연대 제5대대 C중대 소속이다.


라마디에서 부상당한 2사단 병사 치료


2003년 11월부터 2004년 11월까지 제3 스트라이커 여단 전투팀은 이라크 자유 작전 지원을 위해 워싱턴주 포트 루이스에서 이라크로 배치되었다. 이라크 사막에서 제3 여단 스트라이커 여단 전투팀은 전투 및 물류 작전에서 스트라이커 여단 개념의 가치를 증명했다.[48]

2004년 늦봄, 제2 보병사단 제2 여단 전투팀의 많은 병사들은 이라크 파병 명령을 받을 것이라는 통보를 받았다. 이 소집에는 제1대대, 제503 보병연대, 제506 보병연대 (공수) 제1대대, 제17 야전포병연대 제2대대, 제9 보병연대 (기계화) 제1대대, 제44 공병대대, 제2 전방지원대대, 제102 군사정보대대 A중대, 제122 신호대대 B중대, 제2대대, 제72 장갑연대의 일부 요소, 제509 인사지원대대 팀, 그리고 제5대대 제5 방공포병연대 B포대 등이 참여했다. 이들은 짧은 통보를 받고 한국 방어에서 이라크 공격 작전으로 초점을 전환하면서 광범위한 훈련을 실시했다.

이라크에 도착한 제2 여단 전투팀은 팔루자 남서쪽 지역 대부분에 대한 전략적 지휘권을 부여받았으나, 주요 작전이 팔루자에서 시작되면서 라마디 동부 지역을 장악하는 것으로 임무가 변경되었다. 이후 제2 여단은 폭력 사태로 인한 사상자를 내기 시작했다.

여단은 라마디 서쪽의 정션 시티 캠프와 동쪽의 전초기지 등 여러 캠프에 분산되어 있었다. 정션 시티 캠프에는 제2 여단 전투팀, 제2 사단 사령부, 제2-17 야전포병대, 제1-9 보병대, 제44 공병대대, 제102 군사정보대대 A중대, 제122 신호대대 B중대, 그리고 제2 전방지원대대 C중대(의무)가 주둔했다. 전초기지에는 제1-503 보병연대가 주둔했다.

제2 여단 전투팀은 라마디에 주둔하는 동안 처음 6개월 동안은 미국 제1 해병사단의 지휘를, 후반기에는 미국 제2 해병사단의 지휘를 받았다. 해병대는 유니폼에 부대 패치를 부착하지 않지만, 제2 여단 전투팀에 참여한 부대는 제2 보병사단 패치, 미국 제1 해병사단 부대 패치 또는 미국 제2 해병사단 부대 패치를 착용할 수 있었다.

제2 여단 전투팀은 2005년 1월 이라크 총선 등 라마디시에서 여러 사건에 참여했다. 투표는 완료되었고 도시 내에서 폭력이 거의 또는 전혀 발생하지 않았지만, 투표율은 낮았다. 제2 여단 전투팀은 또한 도시 내에 여러 개의 새로운 캠프를 건설했다.

2005년 7월, 여단은 주방위군 부대와 정규군 제3 보병사단에 의해 교대되기 시작했다. 파병 6개월 만에, 제2 여단 전투팀 부대는 한국으로 복귀하지 않고, 콜로라도주 포트 카슨으로 돌아갔다.

2006년 6월부터 2007년 9월까지, 제3 스트라이커 여단 전투팀은 이라크 자유 작전 지원을 위해 워싱턴주 포트 루이스에서 배치되었다. 이 배치 기간 동안 여단에서 46명의 병사가 사망했다.

2006년 6월 1일 워싱턴주 포트 루이스에서 제2 보병사단 제4여단이 편성되었다. 2007년 4월부터 2008년 7월까지 제4 스트라이커 여단 전투팀은 이라크 상황 장악을 위한 증원 작전의 일환으로 배치되었다. 여단은 바그다드 북부 지역과 디얄라 주의 책임을 맡았다. 이 배치 기간 동안 여단에서 35명의 병사가 사망했다.

2006년 10월부터 2008년 1월까지, 제2 보병여단 전투팀은 다국적사단 – 바그다드(제1 기갑사단) 지원을 위해 콜로라도주 포트 카슨에서 배치되었다. 이 배치 기간 동안 여단에서 43명의 병사가 사망했다.

제3 여단 전투팀, 제20 보병연대 제5대대의 크리스토퍼 B. 웨이터스 SSG는 2007년 4월 5일 이등병일 때의 행동으로 2008년 10월 23일 미국 훈장을 수여받았다. 얼마 후, 제4 여단 전투팀, 제9 보병연대 제4대대의 에릭 오로페자 SPC[49]도 미국 훈장을 수여받았다.

제2 보병사단의 제4 여단 전투팀은 2009년 가을 이라크에 배치되었다.[50]

제3 여단은 2009년 8월 4일 이라크에 배치되어 스트라이커 여단 전투팀(SBCT) 중 가장 많은 이라크 배치(3회) 기록을 세웠다.

6. 명예 훈장 수여자

한국 전쟁 당시 제2보병사단 소속으로 명예 훈장을 받은 군인은 총 17명이다. 이들은 제9보병연대, 제23보병연대, 제38보병연대, 제15야전포병대대, 제2수색중대 등 다양한 부대에서 헌신했다.

6. 1. 한국 전쟁 (17명)



한국 전쟁 동안 제2보병사단은 전사자 7,094명, 부상자 16,575명, 부상으로 인한 사망자 338명의 피해를 입었다.[58]

다음은 한국 전쟁 당시 제2보병사단 소속으로 명예 훈장을 수여받은 17명의 군인 목록이다.

소속 부대이름수여 날짜
제9보병연대로렌 R. 카우프만1950년 9월 4일 ~ 5일
제9보병연대에드워드 C. 크리지조브스키1951년 8월 31일 ~ 9월 3일
제9보병연대조셉 R. 우엘레트1950년 8월 31일 ~ 9월 3일
제9보병연대데이비드 M. 스미스1950년 9월 1일
제9보병연대루터 H. 스토리1950년 9월 1일
제9보병연대트래비스 E. 와킨스1950년 8월 31일 ~ 9월 3일
제23보병연대주니어 D. 에드워즈1951년 1월 2일
제23보병연대허버트 L. 리1951년 2월 1일
제23보병연대허버트 K. 필릴라우1951년 9월 17일
제23보병연대존 A. 핏맨1950년 11월 26일
제23보병연대윌리엄 S. 시트먼1951년 2월 14일
제38보병연대토니 K. 버리스1950년 10월 8일 ~ 9일
제38보병연대프레드릭 F. 헨리1950년 9월 1일
제38보병연대찰스 R. 롱1951년 2월 12일
제38보병연대로널드 E. 로서1952년 1월 12일
제15야전포병대대리 R. 하텔1951년 8월 27일
제2정찰중대찰스 W. 터너1950년 9월 1일


7. 기록

제2보병사단은 여러 기지에 본부를 두고 있다. 주요 기지는 다음과 같다.


  • 험프리스 기지 - 평택시 남쪽, 서울 근교
  • 케이시 기지 - 동두천시, 서울에서 북쪽으로 72km, 비무장지대에서 남쪽으로 27km
  • 호비 기지 - 케이시 기지 인근
  • 캐슬 기지(구) - 케이시 기지 근교
  • 모바일 기지 - 케이시 기지 인근
  • 스탠리 기지(구) - 의정부 동쪽
  • 캐롤 기지 - 대구
  • 루이스 기지 - 워싱턴주 타코마
  • K-16 - 한국, 용산 미군기지 근처
  • 레드 클라우드 기지 (구) - 의정부

7. 1. 계보


  • 1917년 9월 21일, 정규군에 Headquarters, 2d Division|제2사단, 본부영어로 배정되었다.
  • 1942년 8월 1일, Headquarters, 2d Infantry Division|제2보병사단, 본부영어로 개칭되었다.
  • 1960년 5월 2일,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Company, 2d Infantry Division|제2보병사단, 본부 및 본부중대영어로 개칭되었다.
  • 2005년 6월 16일, Headquarters and Tactical Command Posts, 2d Infantry Division|제2보병사단, 본부 및 전술지휘소영어로 개칭되었다.
  • 2010년 5월 16일,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Battalion, 2d Infantry Division|제2보병사단, 본부 및 본부대대영어로 개칭되었다.

7. 2. 전역

7. 3. 장식

프랑스 Croix de Guerre (+종려잎)엔-마른뫼즈-아르곤느

프랑스 Croix de Guerre제1차 세계 대전벨기에 Fourragere안데스 전투에서 벨기에군으로부터 수여받음Elsenborn Crest에서 벨기에군으로부터 수여받음

대한민국 대통령 부대 표창낙동강 전선1950년 ~ 1953년1982년 6월 14일1994년, 한반도1999년, 한반도2011년, 한반도2016년, 한반도


참조

[1] 웹사이트 Commanding General, 2ID/RUCD https://www.2id.kore[...] 2024-06-27
[2] 웹사이트 Special Unit Designations http://www.history.a[...] United State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10-04-21
[3] 뉴스 Army bans alcohol for 2nd ID in South Korea http://www.armytimes[...] 2013-04-05
[4] 웹사이트 Rotational units join 2ID/RUCD, ensure continued Fight Tonight readiness https://www.army.mil[...] 2016-10-28
[5] 웹사이트 2ID Regimental Walk, A New Chapter https://www.army.mil[...] Sgt. Raquel Villlalona, 2ID/RUCD Public Affairs 2018-11-05
[6] 웹사이트 US-South Korea combined division celebrates its seventh anniversary https://www.stripes.[...] David Choi 2022-06-03
[7] 웹사이트 Korea-oorlog - Historische missies https://www.defensie[...] Ministerie van Defensie (www.defensie.nl) 2016-01-13
[8] 웹사이트 Nederlands aandeel Korea-oorlog - Historische missies https://www.defensie[...] Ministerie van Defensie (www.defensie.nl) 2016-01-13
[9] 웹사이트 Lineage and Honors Information: 2nd Infantry Division http://www.history.a[...] United State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09-11-03
[10] 일반
[11] 서적 The U. S. Army in World War I: Orders of Battle General Data LLC
[12] 웹사이트 2nd Infantry Division Homepage: History http://www.2id.korea[...] 2nd Infantry Division 2009-11-04
[13] 서적 The United States Marine Corps in the World War http://www.au.af.mil[...] U.S. Marine Corps History Division 2017-02-23
[14] 서적 The Brigade: A History: Its Organization and Employment in the US Army Combat Studies Institute Press
[15] 서적 U.S. Army Order of Battle, 1919-1941, Volume 1. The Arms: Major Commands and Infantry Organizations, 1919-41 Combat Studies Institute Press 2010
[16] 서적 World War II Order of Battle: An Encyclopedic Reference to U.S. Army Ground Forces from Battalion through Division, 1939–1946 Stackpole Books
[17] 이미지 American soldiers crossing Zeppelin Bridge, Leipzig, Germany, April 18, 1945 https://www.stadtmus[...] Stadtgeschichtliches Museum Leipzig
[18] 일반
[19] 서적 Disaster in Korea: The Chinese Confront MacArthur Texas A and M University Military History Series
[20] 서적 Disaster in Korea: The Chinese Confront MacArthur
[21] 서적 Disaster in Korea: The Chinese Confront MacArthur
[22] 서적 Disaster in Korea: The Chinese Confront MacArthur
[23] 서적 Korea: The First War We Lost https://archive.org/[...] Hippocrene Vooks
[24] 웹사이트 Second Indianhead Division Association web site. History page. http://2ida.org/Hist[...] 2016-08-09
[25] 서적 Assembly
[26] 서적 Armies, Corps, Divisions, and Separate Brigades Department of the Army
[27] 서적 Vietnam Order of Battle: A Complete Illustrated Reference to the U.S. Army and Allied Ground Forces in Vietnam, 1961–1973 Stackpole Books
[28] 웹사이트 Bring your Career to Korea! https://books.google[...] US Army Aviation Digest - July / August 1993 2020-06-28
[29] 웹사이트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Company, Combat Aviation Brigade, 2d Infantry Division | Lineage and Honors |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https://history.army[...]
[30] 웹사이트 2nd Battalion, 2nd Aviation Lineage https://history.army[...]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20-06-28
[31] 웹사이트 Field Artillery - February 1987 https://books.google[...] US Army Field Artillery School 2020-06-28
[32] 웹사이트 Field Artillery - December 1989 https://books.google[...] US Army Field Artillery School 2020-06-28
[33] 웹사이트 Field Artillery - February 1990 https://books.google[...] US Army Field Artillery School 2020-06-28
[34] 웹사이트 Field Artillery - Army Lineage Series - Part 1 https://history.army[...]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20-06-28
[35] 웹사이트 Field Artillery - Army Lineage Series - Part 2 https://history.army[...]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20-06-28
[36] 웹사이트 Battery F, 26th Field Artillery Lineage https://history.army[...]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20-06-28
[37] 웹사이트 296th Support Battalion Lineage https://history.army[...]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20-06-28
[38] 웹사이트 5th Battalion, 5th Air Defense Artillery Lineage https://history.army[...]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20-06-28
[39] 웹사이트 2nd Engineer Battalion Lineage https://history.army[...]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20-06-28
[40] 웹사이트 Signal Corps https://history.army[...]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20-06-28
[41] 웹사이트 122nd Signal Battalion Lineage https://history.army[...]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20-06-28
[42] 웹사이트 102nd Military Intelligence Battalion Lineage https://history.army[...]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20-06-28
[43] 웹사이트 4th Chemical Company Lineage https://history.army[...]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20-06-28
[44] 웹사이트 2nd Infantry Division Band Lineage https://history.army[...]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20-06-28
[45] 웹사이트 Organization https://www.2id.kore[...] 2023-08-16
[46] 웹사이트 MSC Organization § 2nd Infantry Division (ROK-US Combined Division) https://8tharmy.kore[...] 2023-08-15
[47] 뉴스 2nd ID dedicates new headquarters south of Seoul at Camp Humphreys https://www.stripes.[...] 2018-11-20
[48] 웹사이트 US Army, 2D Infantry Division/ROK-US Combined Division-Our History https://web.archive.[...] 2018-03-20
[49] 뉴스 Spc. earns DSC for heroism during ambush http://www.armytimes[...] Army Times Publishing Company 2009-02-07
[50] 보도자료 DoD Announces Iraq Unit Rotations http://www.defenseli[...] Department of Defense 2009-03-02
[51] 뉴스 Army monitored Stryker brigade, hit hard in Afghanistan, for signs of stress https://www.washingt[...] 2010-09-18
[52] 웹사이트 5th Stryker Brigade Combat Team, 2nd Infantry Division https://www.globalse[...]
[53] 뉴스 Lewis' 3rd Stryker Brigade to deploy again http://www.armytimes[...] 2011-08-27
[54] 웹사이트 Ground leveling | Flickr - Photo Sharing! https://www.flickr.c[...] Flickr 2012-02-10
[55] 뉴스 Lewis-based Stryker BCT headed to Afghanistan https://archive.toda[...] 2012-02-16
[56] 뉴스 4th Stryker brigade deploying to Afghanistan https://komonews.com[...] 2012-04-19
[57] 웹사이트 Stryker prep | Flickr - Photo Sharing! https://www.flickr.c[...] Flickr 2012-06-05
[58] 뉴스 Members of U.S. platoon in Afghanistan accused of killing civilians for sport https://www.washingt[...] 2010-09-18
[59] 웹사이트 Competition, unity and community encompass 7th Infantry Division’s culture during Week of the Bayonet https://www.army.mil[...] 2024-08-18
[60] 웹사이트 South Korean troops form combined division with U.S. Army http://www.armytimes[...] Armytimes.com 2015-01-15
[61] 웹사이트 Army Leaders Defend Aviation Cuts http://www.ausa.org/[...] Association of the United States Army
[62] 웹사이트 Army announces Korea Rotational Force Transition https://www.army.mil[...] 2023-05-19
[63] 웹사이트 It's our fight now https://www.army.mil[...] 2015-07-13
[64] 웹사이트 Department of the Army announces 1st Armored Brigade Combat Team, 1st Infantry Division deployment https://www.army.mil[...] 2016-10-19
[65] 웹사이트 Department of the Army announces 1st Cavalry Division deployment https://www.army.mil[...] 2017-05-19
[66] 웹사이트 Department of the Army announces upcoming 3rd Infantry Division deployment https://www.army.mil[...] 2018-01-10
[67] 웹사이트 Department of the Army announces upcoming 3rd ABCT, 1st Armored Division deployment https://www.army.mil[...] 2018-07-26
[68] 웹사이트 Department of the Army announces upcoming 3rd ABCT, 1st Cavalry Division, unit rotation https://www.army.mil[...] 2019-03-29
[69] 웹사이트 Army announces upcoming 1st ABCT, 3rd Infantry Division unit rotation https://www.army.mil[...] 2020-09-24
[70] 웹사이트 Army announces upcoming 3rd ABCT, 1st Armored Division, unit rotation https://www.army.mil[...] 2021-03-25
[71] 웹사이트 Army announces upcoming 1st ABCT, 1st Armored Division, unit rotation https://www.army.mil[...] 2021-12-16
[72] 웹사이트 Army Stryker brigade arrives in South Korea as rotational force https://www.stripes.[...] Stars and Stripes 2022-10-11
[73] 웹사이트 Army announces upcoming unit deployments https://www.army.mil[...] 2023-05-19
[74] 웹사이트 3rd Cavalry Regiment arrives in South Korea as rotational force https://www.army.mil[...] 2024-01-31
[75] 웹사이트 ‘Ready to fight tonight’: Strykers take their turn as Army’s rotational force in South Korea https://www.stripes.[...] 2024-10-26
[76] 서적 한국전쟁 한국국방군사연구소
[77] 서적 한국전쟁 한국국방군사연구소
[78] 서적 한국전쟁 한국국방군사연구소
[79] 서적 한국전쟁 한국국방군사연구소
[80] 서적 한국전쟁 한국국방군사연구소
[81] 기타
[82] 웹사이트 1st BCT inactivates as 2nd ID marks 50 years in Korea http://www.armytimes[...] Army Times 2015-07-01
[83] 웹사이트 End of an era: Iron Brigade to deactivate in Korea http://www.armytimes[...] 2014-11-06
[84] 뉴스 한미연합사단이 발족 한미 동수로 구성=방위체제 강화 http://japanese.yonh[...] 연합뉴스 2015-01-15
[85] 뉴스 주한미군의 주력부대 이전 서울 북쪽에서 남쪽으로 https://web.archive.[...] 산케이 뉴스 2016-07-18
[86] 웹사이트 The United States Marine Corps in the World War https://web.archive.[...] 미국 해병대 본부 1920-01-01
[87] 웹사이트 Special Troops Battalion, 2d Infantry Division https://web.archive.[...] 미국 육군 역사관 2008-07-16
[88] 뉴스 2nd Infantry Division prepares for Special Troops Battalion https://www.stripes.[...] 스타스 앤 스트립스 2005-05-12
[89] 뉴스 2nd ID Support Command cases colors http://www.stripes.c[...] 스타스 앤 스트립스 2005-06-26
[90] 뉴스 주한미군, 제17 항공여단 해체 http://www.newswire.[...] 뉴스와이어 2005-04-15
[91] 뉴스 병력 위주에서 업그레이드 최첨단 장비로 http://kookbang.dema[...] 국방일보 2005-06-01
[92] 뉴스 美8군 17항공여단 일부 철수…잔류 전력 2항공여단에 배치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05-04-15
[93] 웹사이트 46+1' 기억하며 … 하나로 뭉친 동맹의 밤` https://web.archive.[...] 국방일보 2011-03-28
[94] 웹사이트 SecArmy announces new division headquarters coming to Lewis-McChord http://www.army.mil/[...] JBLM 공사 사무국 2012-04-26
[95] 뉴스 JBLM's Losing 4th Stryker Brigade Combat Team, 2nd Infantry Division http://lakewood-jblm[...] Lakewood-JBLM Patch 2013-06-23
[96] 웹사이트 4-2 SBCT Inactivation http://www.dvidshub.[...] DVIDS 2014-03-13
[97] 뉴스 2nd Infantry DIVARTY activates on JBLM http://www.army.mil/[...] 제7보병사단 공사 사무국 2014-09-14
[98] 뉴스 Rotational Force will arrive for deactivating 1st Armored Brigade Combat Team http://www.army.mil/[...] 제8군 공사 사무국 2014-11-06
[99] 뉴스 美 항공정찰대 평택 배치…"아태지역 첫 지상군 순환배치" http://news.sbs.co.k[...] SBS 2013-09-19
[100] 뉴스 미국본토 기갑부대 2월 한국에 추가배치 https://web.archive.[...] 이코노믹리뷰 2014-01-08
[101] 뉴스 동두천 美 1기갑여단 해체…본토 전투여단이 대체 https://web.archive.[...] 뉴시스 2014-11-07
[102] 뉴스 2nd ID unit in Korea to deactivate, be replaced by rotational force http://www.stripes.c[...] 스타 앤 스트립스 2014-11-06
[103] 뉴스 End of an era: Iron Brigade to deactivate in Korea http://www.armytimes[...] 아미 타임스 2014-11-06
[104] 뉴스 "미 2사단, 한·미 연합부대로 재편"…논란 예상 http://news.sbs.co.k[...] SBS 2012-06-15
[105] 뉴스 5th Bde., 2nd Inf. Div. reflags, redirects https://www.army.mil[...] 2010-07-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