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물포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물포역은 1959년 7월 1일에 영업을 시작한 경인선(수도권 전철 1호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2면 4선의 지상역으로, 급행열차와 완행열차가 정차한다. 2009년 부기역명이 재능대학, 2010년 인천대학교 제물포캠퍼스로 변경되었고, 2016년부터 급행열차가 정차한다. 역 주변에는 미추홀구청, 인천대학교 제물포캠퍼스 등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천광역시의 철도역 - 동인천역
동인천역은 인천광역시 중구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인선의 역으로, 경인선 개통과 함께 축현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여 현재의 역명으로 개칭되었으며, 수도권 전철 1호선 개통, 민자역사 준공, 급행 및 특급열차 운행 등을 거치며 인천의 주요 교통 중심지로 성장한 고가역이다. - 인천광역시의 철도역 - 주안역
주안역은 인천 남구에 있는 수도권 전철 1호선과 인천 도시철도 2호선의 환승역으로, 경인선 보통역으로 시작해 1호선, 2호선 개통을 거치며 성장했고, 다양한 시설 접근성이 좋으며 2024년 역명 변경 예정이다. - 인천 미추홀구의 전철역 - 도화역
도화역은 인천 미추홀구 도화동에 있는 수도권 전철 1호선 지상역으로, 2001년 개통되어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과 4개의 출구를 갖추고 있으며 경인선 완행만 정차하고 주변에 아파트 단지, 학교, 공원 등과 인접해있다. - 인천 미추홀구의 전철역 - 주안역
주안역은 인천 남구에 있는 수도권 전철 1호선과 인천 도시철도 2호선의 환승역으로, 경인선 보통역으로 시작해 1호선, 2호선 개통을 거치며 성장했고, 다양한 시설 접근성이 좋으며 2024년 역명 변경 예정이다. - 경인선 - 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 1호선은 대한민국 최초의 지하철 노선이자 수도권 전철의 핵심 노선으로, 1974년 개통 이후 경원선, 경부선, 경인선, 장항선 등 여러 노선을 경유하며 한국철도공사와 서울교통공사가 공동 운영하고 완행 및 급행 열차를 운행한다. - 경인선 - 구로역
구로역은 서울 구로구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1호선 역으로, 복잡한 배선 구조를 가지며 1974년 보통역으로 승격, 모든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고, 구로차량사업소와 연결되어 있으며, 다양한 상업시설과 공공기관이 인접해 있다.
제물포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 | |
역 이름 | 제물포역 (인천대학교 제물포캠퍼스) |
역 번호 | 158 |
주소 | 인천광역시 남구 경인로 129 (도화1동 649-9) |
운영 기관 | 한국철도공사 |
승강장 | 2 |
선로 | 4 |
구조 | 지상역 |
개업일 | 1957년 11월 1일 |
한국어 표기 | |
한글 | 제물포역 |
한자 | 濟物浦驛 |
로마자 표기 | Jemulpo-yeok |
로마자 표기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 Chemulp'o-yŏk |
부역명 | 인천대학교 제물포캠퍼스 |
역 정보 (한국어 위키백과) | |
소속 노선 | (경인선) |
역 등급 | 3급 |
관리역 | 인천관리역 |
영업 거리 | 구로 기점 22.5km |
승강장 구조 | 2면 4선 (쌍섬식 승강장) |
전역 | 157 도화 |
전역 거리 | 1.0 km |
후역 | 159 도원 |
후역 거리 | 1.4 km |
개업일 (경인선) | 1959년 7월 1일 |
개업일 (1호선) | 1974년 5월 15일 |
승객 정보 | |
2012년 일일 승차객 수 (1호선) | 16,475명 |
2018년 일일 승차객 수 | 11,424명 |
2018년 일일 승강객 수 | 22,200명 |
일본어 표기 | |
역 이름 | 済物浦駅 |
일본어 (가나) | さいもっぽえき |
로마자 | Jemulpo |
추가 정보 | |
참고 | 경인선의 기점 역할을 함 수도권 전철 1호선의 기점 역할을 함 |
다국어 표기 | |
한국어 | 제물포 |
영어 | Jemulpo |
한자 | 濟物浦 |
중국어 | 济物浦 |
일본어 | 済物浦(チェムルポ) |
2. 역사
- 1957년 11월: 가칭 숭의역 신설 계획 입안.
- 1957년 11월 1일: 숭의역(崇義驛)으로 영업 개시.
- 1959년 3월: 단층 목조 역사 준공.
- 1959년 7월 1일: 제물포역(濟物浦驛)으로 역명 변경.[10][7]
- 1965년 1월 12일: 단층 적조 역사 준공.
- 1974년 8월 15일: 수도권 전철 1호선 운행 개시.
- 2005년 1월 1일: 운영 주체 한국철도공사로 변경.
- 2007년: 역사 재건축 계획 발표.[4]
- 2009년 9월 1일: 부기역명으로 재능대학교 병기.
- 2009년 12월 1일: 철도승차권 단말기 철거.
- 2010년 10월: 부기역명을 인천대학교 제물포캠퍼스로 변경.
- 2016년 2월 1일: 수도권 전철 1호선 급행열차 정차 개시.
3. 역 구조
수도권 전철 1호선이 운행하는 지상역이자 교상역사이다. 승강장은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모든 승강장에는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출구는 2개가 있다.
3. 1. 승강장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며, 교상역사 형태이다. 출구는 2개가 있으며, 현재 모든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3. 2. 배선도
제물포역과 경인선의 배선도는 다음과 같다.
4. 이용객 변동
다음은 제물포역의 연도별 일평균 승하차 인원 변동 추이이다.[8]
노선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
---|---|---|---|---|---|---|---|---|---|---|---|
-- 경인선 | 승차 인원 | 18,053 | 18,226 | 16,230 | 15,434 | 11,302 | 11,267 | 10,056 | 10,120 | 9,978 | 9,175 |
하차 인원 | 14,195 | 16,712 | 17,735 | 14,310 | 10,800 | 10,760 | 10,510 | 9,846 | 9,600 | 8,813 | |
노선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
-- 경인선 | 승차 인원 | 8,237 | 8,660 | 8,496 | 8,377 | 8,243 | 8,089 | 9,823 | 11,115 | 11,424 | 11,526 |
하차 인원 | 7,857 | 8,194 | 7,979 | 7,852 | 7,650 | 7,538 | 9,309 | 10,434 | 10,776 | 10,871 | |
노선 | 2020년 | 2021년 | 2022년 | ||||||||
-- 경인선 | 승차 인원 | 8,233 | 8,710 | 9,595 | |||||||
하차 인원 | 7,794 | 8,406 | 9,154 |
5. 역 주변
- '''관공서 및 치안'''
- * 미추홀구청·의회
- * 도화2·3동행정복지센터
- * 송림3·5동행정복지센터
- * 숭의4동행정복지센터
- * 인천미추홀경찰서
- * 인천미추홀경찰서 제물포치안센터
- * 송도파출소
- '''교육기관'''
- * 인천대학교 제물포캠퍼스[5]
- * 인천대학교 송도캠퍼스
- * 인천재능대학교[6]
- * 청운대학교 인천캠퍼스
- * 선인고등학교
- * 인화여자고등학교
- * 박문여자고등학교
- * 선인중학교
- * 인천남중학교
- * 인화여자중학교
- * 선화여자중학교
- * 박문여자중학교
- * 인천서화초등학교
- * 인천숭의초등학교
- '''의료기관'''
- * 인천의료원
- '''공원 및 시장'''
- * 수봉공원
- * 제물포시장
- '''출구 정보'''
- * 1번 출구: 선인고등학교 방면
- * 2번 출구: 인천숭의초등학교 방면
6. 인접한 역
(157)
(연천 방면)
경인선 완행
(159)
(인천 방면)
(156)
(용산 방면)
경인선 급행 B (준급)
(160)
(동인천 방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