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일은행 (일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일은행은 1873년 일본 최초의 은행으로 설립되어, 일본의 근대 금융 발전에 기여했다. 시부사와 에이이치가 초대 은행장을 맡았으며, 부산, 원산, 인천, 서울 등 조선에도 지점을 개설하여 경제적 영향력을 확대했다. 1902년에는 대한제국 정부의 허가 없이 은행권을 발행하기도 했으며, 1905년부터는 대한제국의 중앙은행 역할을 수행하며 일본의 한반도 금융 지배를 강화했다. 이후 여러 차례 합병과 분할을 거쳐, 2013년부터는 미즈호 은행의 일부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부사와 에이이치 - 이화학연구소
    이화학연구소는 1917년 설립된 일본의 국립 연구개발 법인으로, 물리학, 화학, 생명과학 등 기초과학 분야를 연구하며, 리켄 콘체른 형성, 노벨상 수상자 배출, 첨단 연구 시설 운영으로 일본 과학기술 발전에 기여했으나, 연구 윤리 문제와 과거 군사 연구 참여에 대한 비판도 있다.
  • 시부사와 에이이치 - 시부사와 사료관
    시부사와 사료관은 시부사와 에이이치 관련 자료를 보존, 전시하는 시설로, 그의 유품, 문서, 기업 자료 등을 통해 그의 업적을 기리고 있으며, 관련 자료는 중요문화재 지정 및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1873년 설립 - 육군 도야마 학교
    육군 도야마 학교는 일본 제국 육군의 교육 기관으로, 초급 장교 및 하사관에게 전투 기술, 사격술, 검술 등을 교육하고 연구하는 역할을 수행하다 태평양 전쟁 이후 폐교되었으며 현재 그 부지에는 국립국제의료연구센터가 위치한다.
  • 1873년 설립 - 하이네켄
    하이네켄은 헤라르트 아드리안 헤이네컨이 1864년에 설립한 네덜란드의 맥주 회사이며, 1873년 효모 개발을 통해 하면발효 방식으로 맥주를 생산하고, 다양한 마케팅 활동을 펼치며, 2022년 러시아 철수 발표 이후에도 사업을 지속하여 논란이 있었다.
  • 일본의 없어진 은행 - 조선은행
    1911년 설립된 조선은행은 중앙은행으로서 금융 및 통화 시스템을 통제하고, 발권은행으로서 조선은행권을 발행하며, 일본 정부의 재정 및 전쟁 자금을 지원하고, 상업은행으로서의 기능과 해외 영업을 확장했으나, 한국 경제 착취와 일본 제국주의 침략 전쟁을 지원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 일본의 없어진 은행 - 사쿠라은행
    사쿠라은행은 1989년 미쓰이은행과 태양고베은행의 합병으로 설립되어 대규모 부실채권 문제와 온라인 뱅킹 사업 진출 노력에도 불구하고 2001년 스미토모은행과 합병하여 미쓰이스미토모은행이 됨으로써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제일은행 (일본) - [회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회사명주식회사 제일은행
제일은행 본점 (1930년, [[니시무라 요시토키]] 설계)
제일은행 본점 (니시무라 요시토키 설계) 현재 동 위치에는 "마루노우치 센터 빌딩"이 있다.
종류주식회사
시장 정보동증 1부: 8316 (1949년5월 16일 ~ 1971년10월 1일)
대증 1부: 8316 (1949년5월 16일 ~ 1971년10월 1일)
경증(폐지): 8316 (1949년 12월 ~ 1971년10월 1일)
광증: 8316 (1951년 3월 ~ 1971년10월 1일)
본사 우편번호100
본사 위치도쿄도지요다구마루노우치 1초메 6번 1호
설립일1873년7월 20일 (제일국립은행)
재설립일1948년9월 23일 (주식회사 제일은행)
업종7050
통일 금융 기관 코드0001
관련 인물시부사와 에이이치 (초대 두취)
사사키 유노스케 (제2대 두취)
은행 정보
은행명제일은행
통일 금융 기관 코드0001
역사
설립1873년7월 20일 (제일국립은행)
주식회사 변경1948년9월 23일 (주식회사 제일은행)
합병1971년10월 1일, 일본실업은행과 합병하여 제일권업은행으로 출범
기타 정보
은행 발상지은행 발상지
은행 발상지 (도쿄)은행 발상지를 방문해보자! Find my Tokyo.
일본바시 가부토초 역사/사적일본바시 가부토초의 역사・사적|재개발 사업|사업 안내|평화부동산주식회사

2. 역사

1873년 일본 국립은행조례에 따라 민간 은행인 '''제일국립은행'''(다이이치코쿠리쓰긴코/第一国立銀行일본어)이 설립되었다. 이는 일본 최초의 은행이자 최초의 주식회사였다. 초대 은행장은 시부사와 에이이치였다.

1878년 부산에 지점을 낸 것을 시작으로 원산, 인천, 서울조선 땅에 지점을 내었다. 1884년 조선 정부에 차관을 제공하는 댓가로 인천항 등의 해관세 취급 특권을 얻었다. 이는 일본 자본의 조선 침투를 가속화하는 발판이 되었다. 이후 대한제국 정부가 다른 나라와 차관 교섭을 하는 것을 방해하는 등 한국 정부의 화폐 개혁을 무산시키고, 일본 상인들의 한반도 금융 장악을 지원하며 경제적 예속을 심화시켰다.

1902년 대한제국 정부의 허가 없이 한반도에서 일방적으로 은행권을 발행·유통하였다. 러일 전쟁 중에 맺어진 제1차 한일 협약 등의 결과로 1905년부터 대한제국의 중앙은행 역할을 맡게 되었다. 이 역할은 조선총독부 설치 후 1911년 조선은행이 설립될 때까지 계속되었다.

제일은행은 이후 분할·합병을 거듭하여 2013년 이후부터는 미즈호 은행의 일부로 남아 있다.


  • 1873년 (메이지 6년) 7월 20일 - '''주식회사 제일국립은행''' 개업. 자본금 250만 엔. 요코하마, 오사카, 고베에 지점을 개설. 8월 - 제일국립은행권 발행 시작.

  • 1874년 (메이지 7년) 2월 - 사이쿄(교토) 출장소를 개설.
  • 1875년 (메이지 8년) 8월 - 오노조의 도산으로 인해 150만 엔으로 감자. 총감역 시부사와 에이이치가 은행장 취임.
  • 1876년 (메이지 9년) 12월 - 센다이, 이시노마키에 출장소를 개설하고, 쌀 곡물 환어음 취급 개시.
  • 1877년 (메이지 10년) - 해상 보험, 환어음 신용장, 상업 어음 할인 개시.
  • 1878년 (메이지 11년) - 모리오카 지점, 부산 지점 개설. 어음·수표 배서 양도 제도 개시.
  • 1880년 (메이지 13년) - 아키타 지점, 원산 출장소 개설.
  • 1881년 (메이지 14년) - 후쿠시마 출장소 개설. 상하이, 홍콩에 주재원 파견.
  • 1882년 (메이지 15년) - 후시미 출장소 개설.
  • 1883년 (메이지 16년) - 일본은행 개업에 따라 국립은행은 영업 기간을 메이지 9년의 개업 면허로부터 20년으로 하고, 발행 지폐는 국립은행 영업 만기까지 상환하는 것이 정해짐. 인천 출장소 개설.
  • 1884년 (메이지 17년) - 이씨 조선 정부와 계약. 부산, 인천, 원산에서의 해관세 납부 접수 사무 개시. 니가타 지점, 욧카이치 지점, 사카타, 하나와, 유자와, 요코테, 오마가리 출장소 개설.
  • 1886년 (메이지 19년) - 츠 출장소, 후시키 출장소 개설.
  • 1887년 (메이지 20년) - 우츠노미야 지점, 가나자와 지점, 타카오카, 고마츠, 마츠토, 츠바타 출장소 개설.
  • 1888년 (메이지 21년) - 경성 출장소, 나고야 지점 개설.

  • 1892년 (메이지 25년) - 임원 개인 출자에 의해 도쿄 저축 은행을 설립. 이시노마키 지점을 제77국립은행에, 가나자와 지점을 가슈 은행에 양도.
  • 1896년 (메이지 29년) - 9월 25일 국립은행 조례에 따른 영업 만기가 되어 만료. 9월 26일 '''주식회사 제일은행'''으로 개칭하여 영업을 개시. 센다이 지점을 77은행, 아키타 지점을 구 아키타 은행에 양도.
  • 1898년 (메이지 31년) - 목포 출장소 개설.
  • 1899년 (메이지 32년) - 신오사카초(호리도메) 지점 개설.
  • 1900년 (메이지 33년) - 나가오카 출장소 개설.
  • 1902년 (메이지 35년) - 4월 신 본점 건물 준공. 니시구(오사카) 출장소 개설. 한국에서 제일은행권을 발행하는 것이 인정됨.
  • 1903년 (메이지 36년) - 진남포, 군산 출장소 개설.
  • 1905년 (메이지 38년) - 한국에서 중앙 은행 업무를 개시. 원산, 평양, 대구, 성진, 안동현, 개성 출장소 개설. 시모노세키 지점 개설. 니가타 지점, 나가오카 출장소를 나가오카 69은행에 양도.
  • 1906년 (메이지 39년) - 경성 지점을 한국 총지점으로 함. 마산, 함흥 출장소 개설.
  • 1907년 (메이지 40년) - 경성 출장소 개설.
  • 1908년 (메이지 41년) - 한국 통감 이토 히로부미로부터 한국 중앙 은행 설립에 관한 명령안이 내시됨.
  • 1909년 (메이지 42년) 11월 - 한국은행 (후의 조선은행)에 한국 중앙은행 업무를 양도. 보통 은행 업무를 하는 경성 지점, 부산 지점을 남기고, 13지점, 출장소를 폐지. 한국 총지점 지배인 이치하라 모리히로를 동행 총재로 파견.

  • 1912년 (다이쇼 원년) - 미나미구(오사카) 지점 개설. 9월 주식회사 20은행 (구·국립 제20은행[6])을 합병, 후카가와, 이세초(무로마치), 오타루, 하코다테, 구시로, 네무로 각 지점을 인수.
  • 1913년 (다이쇼 2년) - 쵸후 지점, 삿포로 지점 개설.
  • 1915년 (다이쇼 4년) - 히로시마 지점, 구마모토 지점 개설.

  • 1916년 (다이쇼 5년) - 구시로 지점, 네무로 지점을 홋카이도척식은행에 양도. 7월 시부사와 에이이치 은행장 사임하고 상담역이 됨. 사사키 유노스케 총지배인이 은행장 취임. 12월 교토상공은행을 합병, 히가시도인, 니시진, 마츠바라, 혼마치 각 지점을 인수.

  • 1917년 (다이쇼 6년) - 모지 지점, 마루노우치 지점 개설. 고가 은행 설립 시 카와노 마사지로를 파견.

  • 1918년 (다이쇼 7년) - 후쿠오카 지점 개설.
  • 1919년 (다이쇼 8년) - 부슈 은행 설립 시 감사역 오다카 지로를 은행장으로 파견. 가슈 은행에 이사 니시조노 카메지로를 파견. 구루메 지점 개설.

  • 1920년 (다이쇼 9년) - 엔슈 은행에 감사역 타케야마 준페이를 파견. 무로란 지점 개설.
  • 1922년 (다이쇼 11년) - 교마치 출장소 개설.
  • 1923년 (다이쇼 12년) - 타마야초 지점, 교바시 지점 개설. 9월 관동 대지진 피해, 본점은 고가 전기 본사 건물 내에 임시 이전하여 영업 계속.
  • 1924년 (다이쇼 13년) - 아사쿠사 지점 개설.
  • 1926년 (다이쇼 15년) - 도요하시 지점 개설.
  • 1927년 (쇼와 2년) - 히비야 출장소 개설. 5월 주식회사 도카이 은행을 합병[7], 고후쿠초, 토미자와초, 호리에초, 혼고, 아카사카, 혼조, 긴자, 미타, 코마고메, 우시고메, 아자부, 신주쿠, 우츠노미야, 아시카가, 아시카가니시, 토치기, 오야마, 사노, 타누마, 키류, 키류키타, 타테바야시, 우에다 지점을 인수.
  • 1928년 (쇼와 3년) - 마루타마치 지점 개설. 오야마, 타누마 지점을 아시카가 은행에, 우에다 지점을 제19은행에 양도.

  • 1930년 (쇼와 5년) - 간다 지점, 신사이바시 지점 개설. 11월 본점을 마루노우치로 이전, 카부토초 지점 개설.
  • 1931년 (쇼와 6년) - 사사키 유노스케 은행장 사임하고 상담역이 됨. 이시이 켄고 부은행장이 은행장 취임. 10월 주식회사 고가 은행을 도쿄 저축 은행, 일본 주야 은행, 쇼와 은행과 함께 분할 매수[8], 세토모노초, 야마야, 시부야, 오사키, 이마바시 지점을 인수. 11월 상담역 시부사와 에이이치 서거.
  • 1940년 (쇼와 15년) 4월 - 전년 산하에 둔 국제신탁 주식회사를 제일신탁 주식회사로 개칭.
  • 1943년 (쇼와 18년) 4월 - 주식회사 미쓰이 은행과 합병. 주식회사 '''제국은행''' 설립.
  • 1948년 (쇼와 23년) 10월 - 주식회사 '''제일은행''' 설립. 제국은행으로부터 영업 양도를 받아, 개업.
  • 1954년 (쇼와 29년) 7월 - 주식회사 도쿄 은행으로부터 6개 점포를 양수[9].
  • 1962년 (쇼와 37년) 12월 - 제일신탁은행 주식회사, 미쓰이중앙신탁은행 주식회사 (미쓰이중앙신탁은행 주식회사를 거쳐, 현·미쓰이스미토모신탁은행 주식회사)에 신탁 업무를 양도하고, 주식회사 아사히 은행으로 개칭. 보통 은행 (지방 은행)으로 전환[10].
  • 1964년 (쇼와 39년) 8월 - 제일은행, 아사히 은행을 합병.
  • 1969년 (쇼와 44년) 1월 - 주식회사 미쓰비시 은행과 합병을 발표했지만, 국내외의 반대가 많아 백지 철회.
  • 1971년 (쇼와 46년) 10월 - 주식회사 일본권업은행과 합병. '''제일권업은행''' 발족 (존속 회사는 일본권업은행).

2. 1. 설립 배경 (1873년 이전)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 정부는 근대적인 은행 제도의 도입을 추진하였다. 이러한 움직임 속에서 1873년 7월 20일, 시부사와 에이이치를 중심으로 자본금 250만 엔 규모의 '''주식회사 제일국립은행'''이 설립되었다. 제일국립은행은 요코하마, 오사카, 고베에 지점을 개설하고, 8월부터 제일국립은행권을 발행하기 시작했다.

2. 2. 제일국립은행 시대 (1873년 ~ 1896년)

1878년 부산에 지점을 낸 것을 시작으로 원산, 인천, 서울조선 땅에 지점을 내었다. 1884년 조선 정부에 차관을 제공하는 대가로 인천항 등의 해관세 취급 특권을 얻었다. 이는 일본 자본의 조선 침투를 가속화하는 발판이 되었다. 이후 대한제국 정부가 다른 나라와 차관 교섭을 하는 것을 방해하는 등 한국 정부의 화폐 개혁을 무산시키고, 일본 상인들의 한반도 금융 장악을 지원하며 경제적 예속을 심화시켰다.

2. 2. 1. 조선 진출

1878년 부산에 지점을 낸 것을 시작으로 원산·인천·서울 등 조선 땅에 지점을 내었다. 1884년 조선 정부에 차관을 제공하는 댓가로 인천항 등의 해관세 취급 특권을 얻었다. 이는 일본 자본의 조선 침투를 가속화하는 발판이 되었다. 이후 대한제국 정부가 다른 나라와 차관 교섭을 하는 것을 방해하는 등 한국 정부의 화폐 개혁을 무산시키고, 일본 상인들의 한반도 금융 장악을 지원하며 경제적 예속을 심화시켰다.

2. 3. 제일은행 시대 (1896년 ~ 1943년)

1896년 9월 25일 국립은행 조례에 따른 영업 만기가 되어 만료되자, 9월 26일 '''주식회사 제일은행'''으로 개칭하여 영업을 개시하였다. 센다이 지점을 77은행, 아키타 지점을 구 아키타 은행에 양도했다.[6]

1902년 대한제국 정부의 허가 없이 한반도에서 일방적으로 은행권을 발행·유통하였다. 러일 전쟁 중에 맺어진 제1차 한일 협약 등의 결과로 1905년부터 대한제국의 중앙은행 역할을 맡게 되었다. 제일은행은 1884년 조선 정부에 차관을 제공하는 댓가로 인천항 등의 해관세 취급 특권을 얻었다. 이후 대한제국 정부가 다른 나라와 차관 교섭을 하는 것을 방해하는 등 한국 정부의 화폐 개혁을 못 하도록 개입하고 일본 상인들의 한반도 금융 장악을 지원했다. 이 역할은 조선총독부 설치 후 1911년 조선은행이 설립될 때까지 계속되었다.

1909년 11월, 한국은행(후의 조선은행)에 한국 중앙은행 업무를 양도하였다. 보통 은행 업무를 하는 경성 지점, 부산 지점을 남기고 13지점, 출장소를 폐지하였다. 한국 총지점 지배인 이치하라 모리히로를 동행 총재로 파견했다.

1912년 미나미구(오사카) 지점을 개설하였다. 9월 주식회사 20은행 (구·국립 제20은행[6])을 합병, 후카가와, 이세초(무로마치), 오타루, 하코다테, 구시로, 네무로 각 지점을 인수했다. 1913년 쵸후 지점, 삿포로 지점을 개설했다. 1915년 히로시마 지점, 구마모토 지점을 개설했다.

1916년 구시로 지점, 네무로 지점을 홋카이도척식은행에 양도했다. 7월 시부사와 에이이치 은행장 사임하고 상담역이 되었다. 사사키 유노스케 총지배인이 은행장 취임했다. 12월 교토상공은행을 합병, 히가시도인, 니시진, 마츠바라, 혼마치 각 지점을 인수하였다.

1917년 모지 지점, 마루노우치 지점 개설했다. 고가 은행 설립 시 카와노 마사지로를 파견하였다.

1918년 후쿠오카 지점을 개설하였다. 1919년 부슈 은행 설립 시 감사역 오다카 지로를 은행장으로 파견하였다. 가슈 은행에 이사 니시조노 카메지로를 파견하였다. 구루메 지점 개설하였다.

1920년 엔슈 은행에 감사역 타케야마 준페이를 파견하였다. 무로란 지점 개설하였다. 1922년 교마치 출장소 개설하였다. 1923년 타마야초 지점, 교바시 지점 개설하였다. 9월 관동 대지진 피해, 본점은 고가 전기 본사 건물 내에 임시 이전하여 영업 계속하였다. 1924년 아사쿠사 지점 개설하였다. 1926년 도요하시 지점 개설하였다.

1927년 히비야 출장소 개설하였다. 5월 주식회사 도카이 은행을 합병[7], 고후쿠초, 토미자와초, 호리에초, 혼고, 아카사카, 혼조, 긴자, 미타, 코마고메, 우시고메, 아자부, 신주쿠, 우츠노미야, 아시카가, 아시카가니시, 토치기, 오야마, 사노, 타누마, 키류, 키류키타, 타테바야시, 우에다 지점을 인수하였다. 1928년 마루타마치 지점 개설하였다. 오야마, 타누마 지점을 아시카가 은행에, 우에다 지점을 제19은행에 양도하였다.

1930년 간다 지점, 신사이바시 지점 개설하였다. 11월 본점을 마루노우치로 이전, 카부토초 지점 개설하였다.

1931년 사사키 유노스케 은행장이 사임하고 상담역이 되었다. 이시이 켄고 부은행장이 은행장 취임하였다. 10월 주식회사 고가 은행을 도쿄 저축 은행, 일본 주야 은행, 쇼와 은행과 함께 분할 매수[8], 세토모노초, 야마야, 시부야, 오사키, 이마바시 지점을 인수하였다. 11월 상담역 시부사와 에이이치 서거하였다.

1940년 4월, 전년 산하에 둔 국제신탁 주식회사를 제일신탁 주식회사로 개칭하였다.

1943년 4월, 주식회사 미쓰이 은행과 합병하여 주식회사 '''제국은행'''을 설립하였다.

2. 3. 1. 대한제국에서의 중앙은행 역할

1902년 대한제국 정부의 허가 없이 한반도에서 일방적으로 은행권을 발행·유통하였다. 러일 전쟁 중에 맺어진 제1차 한일 협약 등의 결과로 1905년부터 대한제국의 중앙은행 역할을 맡게 되었다. 제일은행은 1884년 조선 정부에 차관을 제공하는 댓가로 인천항 등의 해관세 취급 특권을 얻었다. 이후 대한제국 정부가 다른 나라와 차관 교섭을 하는 것을 방해하는 등 한국 정부의 화폐 개혁을 못 하도록 개입하고 일본 상인들의 한반도 금융 장악을 지원했다. 이 역할은 조선총독부 설치 후 1911년 조선은행이 설립될 때까지 계속되었다.

2. 3. 2. 일본 내 영업 활동

요약(summary)과 원본 소스(source)에 내용이 없으므로, 현재 섹션에는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2. 4. 제국은행 시대 (1943년 ~ 1948년)

1943년 미쓰이 은행과의 합병으로 제국은행이 설립되었다.

2. 5. 제일은행 재건 (1948년 ~ 1971년)

1943년 미쓰이 은행과의 합병으로 제국은행이 설립되었으나, 1948년 10월 제국은행에서 영업 양도를 받아 주식회사 '''제일은행'''이 다시 설립되었다. 1954년에는 도쿄 은행으로부터 6개 점포를 양수했다. 1964년 8월에는 아사히 은행을 합병했다.

1969년 1월, 미쓰비시 은행과의 합병을 발표했으나 국내외의 반발로 인해 무산되었다. 이후 1971년 일본권업은행과 합병하여 '''제일권업은행'''이 발족되었다. (존속 회사는 일본권업은행).

2. 6. 제일권업은행 시대 (1971년 ~ 2002년)

2. 7. 미즈호 은행 시대 (2002년 ~ 현재)

3. 주요 관련 인물

시부사와 에이이치는 1873년(메이지 6년) 6월부터 제일국립은행 설립에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처음에는 총감역을 맡았고, 1874년(메이지 7년) 11월부터는 총감역과 함께 두취를 겸임했다. 1875년(메이지 8년) 8월부터는 두취로서 제일국립은행을 이끌었다.

미쓰이의 미쓰이 하치로에몬 다카토미는 1873년(메이지 6년) 6월부터 제일국립은행의 두취를 맡았다. 1874년(메이지 7년) 11월부터는 시부사와 에이이치와 함께 공동 두취를 맡았으며, 1875년(메이지 8년) 8월부터는 시부사와 에이이치가 단독으로 두취를 맡게 되었다.

오노조(小野組)의 대표 오노 젠스케는 1873년 (메이지 6년) 6월부터 제일국립은행 설립에 참여하여 미쓰이와 함께 두취를 맡았다. 그러나 1874년 (메이지 7년) 11월, 오노조(小野組)가 파산하면서 시부사와 에이이치가 단독 두취가 되었다.

시부사와 에이이치가 1916년(다이쇼 5년) 퇴임한 후, 사사키 유노스케가 제일은행 경영을 맡았다.

사사키 유노스케 퇴임 후, 1931년(쇼와 6년) 1월부터 이시이 겐고가 제일은행 경영을 맡았다.

3. 1. 시부사와 에이이치 (渋沢栄一)

시부사와 에이이치는 1873년(메이지 6년) 6월부터 제일국립은행 설립에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처음에는 총감역을 맡았고, 1874년(메이지 7년) 11월부터는 총감역과 함께 두취를 겸임했다. 1875년(메이지 8년) 8월부터는 두취로서 제일국립은행을 이끌었다.

3. 2. 미쓰이 하치로에몬 다카토미 (三井八郎右衛門高福)

미쓰이의 미쓰이 하치로에몬 다카토미는 1873년(메이지 6년) 6월부터 제일국립은행의 두취를 맡았다. 1874년(메이지 7년) 11월부터는 시부사와 에이이치와 함께 공동 두취를 맡았으며, 1875년(메이지 8년) 8월부터는 시부사와 에이이치가 단독으로 두취를 맡게 되었다.

3. 3. 오노 젠스케 (小野善助)

오노조(小野組)의 대표 오노 젠스케는 1873년 (메이지 6년) 6월부터 제일국립은행 설립에 참여하여 미쓰이와 함께 두취를 맡았다. 그러나 1874년 (메이지 7년) 11월, 오노조(小野組)가 파산하면서 시부사와 에이이치가 단독 두취가 되었다.

3. 4. 사사키 유노스케 (佐々木勇之助)

시부사와 에이이치가 1916년(다이쇼 5년) 퇴임한 후, 사사키 유노스케가 제일은행 경영을 맡았다.

3. 5. 이시이 겐고 (石井健吾)

사사키 유노스케 퇴임 후, 1931년(쇼와 6년) 1월부터 이시이 겐고가 제일은행 경영을 맡았다.

3. 6. 이토 히로부미 (伊藤博文)

4. 주요 건물

4. 1. 초대 본점 (1873년 ~ 1902년)



설계자는 시미즈 키스케]](시미즈 건설)이다. 위치는 도쿄 가부토초의 해운교 동쪽 둑이다. 일본 최초의 은행 건축을 시미즈 건설(현재의 시미즈 건설)이 수주했고, 2대 시미즈 키스케가 외국인의 도움 없이 설계와 시공을 모두 직접 수행했다. 목골 석조, 베란다, 일본식 지붕, 탑을 조합한 일본식 양식 절충・유사 양식 건축이다.[12] 당초 발주자는 미쓰이 그룹이었으며, 1872년(메이지 5년) 6월 준공 당시에는 '''해운교 미쓰이 그룹 하우스'''라고 불렸으나, 9월에는 제일국립은행이 매수하여 설립 준비부터 사용을 시작했다.[13] 1875년(메이지 8년) 10월 21일, 이 건물을 회장으로 팔미에리 자매에 의한 오페라 콘서트가 개최되었다.[14]

4. 2. 2대 본점 (1902년 ~ 1930년)



다쓰노 긴고의 설계로, 시미즈 구미가 시공을 맡아 초대 건물과 같은 장소에 건축되었다. 외벽은 석조이지만 철봉으로 보강했고, 바닥은 내화 구조, 셔터, 소화전 등 당시 최신 방재 설비를 갖추었다. 1923년 관동 대지진에서도 붕괴를 면했다.[12]

4. 3. 3대 본점 (1930년 ~ 1971년)

니시무라 요시토키의 설계, 시미즈 건설의 시공으로 마루노우치에 세워진 3대 본점은 도리스식 열주를 살린 역사주의 건축의 대작이다.[15] 가부토초에 있던 2대 본점 건물은 가부토초 지점으로 이용되었다. 니시무라 요시토키는 은행 건축 전문가로, 시미즈 건설을 거쳐 제일은행으로 옮겨왔다.[12] 일본권업은행과 합병하여 제일권업은행이 된 후에도 신 은행의 초대 본점이 되었다.

4. 4. 조선 내 주요 지점

5. 세이와엔 (清和園)

과거 서울특별시 세타가야구에 존재했던 제일은행의 휴양 및 스포츠 시설이다. 부지 내에는 시부사와 에이이치의 희수를 기념하여 세워진 세이시도(1916년 준공)와 제일은행 제2대 행장 사사키 유노스케의 고희를 기념하여 세워진 세이후테이(1926년 준공)가 나란히 세워져 있었다.[11] 이후 1971년에 세이와엔 부지의 과반이 성 마리아 학원(세인트 메리즈 국제학교)에 매각되었으며, 1975년대에는 「세이시도」는 외국인 교사의 학교 주택으로, 「세이후테이」는 집회소로 대여되었다.[11] 현재 두 시설은 시부사와 에이이치의 출생지인 사이타마현 후카야시로 이전, 복원되었다.[11]

참조

[1] 웹사이트 銀行発祥の地 https://www.pref.sai[...] 埼玉県 2024-01-17
[2] 웹사이트 銀行発祥の地を訪れよう! {{!}} Find my Tokyo. {{!}} 東京メトロ https://findmy.tokyo[...] 2024-03-01
[3] 웹사이트 日本橋兜町の歴史・史跡|再開発事業|事業案内|平和不動産株式会社 https://www.heiwa-ne[...] 2024-03-01
[4] 문서 第一国立銀行の創立準備機関として三井組為替座内に三井小野組合銀行が置かれた 『稿本三井家資料 北家第八代高福』第三巻
[5] 서적 第一銀行史 第一銀行 1957
[6] 웹사이트 株式会社二十銀行 https://www.shibusaw[...] 渋沢栄一記念財団
[7] 문서 本店は東京であり、現在の[[三菱UFJ銀行]]の[[東海銀行|前身のひとつ]]とは無関係。
[8] 문서 東京貯蓄銀行は(現:[[りそな銀行]])、日本昼夜銀行、昭和銀行に譲渡されたが後者2者については[[安田銀行]]に合併され(安田銀行は戦後に富士銀行と名前を変え、2002年に[[日本興業銀行]]と合併し、[[みずほコーポレート銀行]]に改称。その11年後には旧みずほ銀行と合併)、現在は[[みずほ銀行]]となっている。
[9] 문서 その他の譲渡先は三井銀行に6店舗、[[大和銀行]]に7店舗であった。
[10] 문서 現在の[[りそな銀行]]の[[あさひ銀行|前身行のひとつ]]とは無関係。
[11] 웹사이트 深谷市への移築/深谷市ホームページ http://www.city.fuka[...] 2021-03-01
[12] 서적 銀行発祥の地兜町にて 清和綜合建物 2012
[13] 서적 三井銀行五十年史 三井銀行 1926
[14] 문서 McVean Diary October 21, 1875. In the evening Colin and I went out by invitation to be present at a concert given in the Government Bank house. The concert commenced by the Mikado’s Band playing two pieces on native instruments there were two beautifully made Kotos one large gong one small & various instruments I cannot say the effect to my ears was very musical but it was very interesting to be present at such a performance & possibly one wld get to appreciate it better if one were to hear it often then followed two or three songs sung by Signora Palmieri & Signorina Persioni then we went downstairs for refreshments (very good grapes), after which we returned to the concert room & saw some Japanese dancing, First came in the sun goddess & performed a slow kind of minuet She was elaborately dressed with an ornamental gilt Horen [Heron?] (Sacred bird) on her head, After that some one dressed to represent a prime minister came on the stage To the dancing of both music like the caterwalling of cats was played.
[15] 서적 日本の近代建築(下) 岩波書店 199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