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지 W. 크로퍼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지 W. 크로퍼드는 1798년 조지아주에서 태어나 변호사로 경력을 시작했으며, 조지아주 법무장관을 거쳐 조지아주 하원 의원과 미국 하원 의원을 역임했다. 1843년 조지아 주지사로 선출되어 재정 건전성을 강조하며 주립 교도소 개혁, 조지아 대법원 설립 등 업적을 남겼다. 재커리 테일러 대통령의 임명으로 미국 육군 장관을 지냈으나, 내각 스캔들로 사임했다. 이후 조지아주 연방 탈퇴 회의 의장으로 활동하며, 1872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재커리 테일러 행정부의 각료 - 밀러드 필모어
빈농의 아들로 태어나 독학으로 변호사가 된 밀러드 필모어는 휘그당 소속으로 정치 경력을 쌓아 제13대 미국 대통령이 되었으며, 1850년 타협을 관철시키고 미국-일본 간 최초 통상 조약을 체결하는 등 성과를 남겼으나, 노예제 문제에 대한 미온적 태도로 비판을 받으며 긍정적, 부정적 평가가 공존한다. - 조지아주지사 - 지미 카터
지미 카터는 해군 장교와 땅콩 농장 운영을 거쳐 조지아 주지사를 역임하고 도덕적, 진보적 이미지로 미국의 제39대 대통령을 지냈으며, 퇴임 후 카터 센터 설립과 인도주의 활동으로 2002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하고 미국 역대 대통령 중 최장수 기록을 세웠다. - 조지아주지사 - 존 포사이스 (정치인)
존 포사이스는 조지아주 출신의 미국 정치인으로, 하원 의원, 상원 의원, 주지사를 역임하고 앤드루 잭슨과 마틴 밴 뷰런 행정부에서 국무 장관을 지냈으며, 인디언 강제 이주 정책 옹호와 노예 제도 옹호, 아미스타드호 사건 대응 주도 등의 활동을 했다.
조지 W. 크로퍼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 이름 | George Walker Crawford |
출생일 | 1798년 12월 22일 |
출생지 | 미국 조지아주컬럼비아 카운티 |
사망일 | 1872년 7월 27일 |
사망지 | 미국 조지아주오거스타 |
정당 | 휘그당 |
배우자 | 메리 매킨토시 |
자녀 | 4명 |
안장지 | 서머빌 공동묘지 |
교육 | 프린스턴 대학교 (B.A.) 조지아 대학교 (M.A.) |
공직 경력 | |
미국 전쟁부 장관 | 대통령: 재커리 테일러, 밀러드 필모어 임기 시작: 1849년 3월 8일 임기 종료: 1850년 7월 23일 전임: 윌리엄 L. 마시 후임: 찰스 콘라드 |
조지아 주지사 | 임기 시작: 1843년 11월 8일 임기 종료: 1847년 11월 3일 전임: 찰스 맥도널드 후임: 조지 W. 타운스 |
조지아주 연방 하원 의원 | 선거구: 조지아주 광역선거구 임기 시작: 1843년 1월 7일 임기 종료: 1843년 3월 3일 전임: 리처드 W. 하버섐 후임: 휴 A. 해럴슨 |
조지아주 법무 장관 | 주지사: 존 포사이스, 조지 길머 임기 시작: 1827년 임기 종료: 1831년 전임: 토마스 F. 웰스 후임: 찰스 J. 젠킨스 |
2. 어린 시절과 교육
1798년 12월 22일 조지아주 컬럼비아군에서 태어났다. 그는 피터 크로퍼드(Peter Crawford)와 메리 앤 크로퍼드(Mary Ann Crawford)의 넷째 아들이었다. 그의 아버지 피터는 버지니아주 출신의 미국 독립 전쟁 참전 용사였으며, 전쟁 후 조지아주로 이주하여 군 복무에 대한 보상으로 받은 토지에 정착했다. 피터 크로퍼드는 '벨에어(Belair)'라는 이름의 상당한 규모의 농가를 소유했으며, 현직 변호사이자 조지아주 의회에서 10선 의원을 지낸 인물이었다. 조지 W. 크로퍼드의 사촌은 당시 유명한 정치가였던 윌리엄 H. 크로퍼드로, 그는 1816년과 1824년에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기도 했다.
1827년, 주지사 존 포사이스는 공석이 된 조지아주 법무장관으로 크로퍼드를 임명했다. 이듬해 1828년, 크로퍼드는 조지아주 의회 의원인 토머스 E. 번사이드가 자신의 아버지에 대해 쓴 글이 명예훼손에 해당한다고 판단하여 그에게 결투를 신청했다. 당시 ''오거스타 크로니클''에 익명으로 기고된 이 글은 건강이 악화되던 크로퍼드 아버지의 정치적 견해를 비판하는 내용이었고, 크로퍼드는 이를 아버지의 명예를 훼손하는 공격으로 받아들였다.
존 포사이스 주지사는 1827년 크로퍼드를 조지아주 검찰 총장으로 임명하여 공석을 채웠다. 이듬해 크로퍼드는 토머스 번사이드가 자신의 부친에 대해 비난하는 글을 발표하자 그와 결투를 벌였다. 이 결투에서 크로퍼드는 번사이드를 총으로 쏘아 숨지게 했으나, 이 사건은 그의 정치 경력에 큰 장애가 되지 않았다. 논란에도 불구하고 그는 1831년까지 검찰 총장직을 유지했다.
조지 크로퍼드는 가족 소유지에서 자랐으며, 아버지와 사촌 윌리엄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그는 홈스쿨링으로 교육을 받았고, 아버지의 잘 갖춰진 개인 서재를 이용하며 공부했다. 이후 뉴저지 칼리지(현 프린스턴 대학교)에 진학하여 1820년 문학사 학사 학위를 받았다. 졸업 후에는 리처드 헨리 와일드의 지도 아래 인턴십을 거쳐 법학을 공부했으며, 1822년 변호사 자격을 취득했다. 그는 조지아주 오거스타에서 헨리 하포드 커밍과 함께 법률 사무소를 열었다. 또한 조지아 대학교의 프랭클린 예술 과학 칼리지에서 1826년 문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학업을 마친 후 크로퍼드는 1824년부터 1825년까지 조지아 민병대 제10 연대에서 소위로 복무했다. 1826년에는 메리 앤 매킨토시(Mary Ann MacIntosh)와 결혼하여 윌리엄 피터, 사라 매킨토시, 안나 엘리자베스, 찰스 등 네 명의 자녀를 두었다.
3. 초기 경력
결투는 조지아주에서 이미 불법이었기 때문에, 두 사람은 앨라배마주 포트 미첼로 이동하여 결투를 진행했다. 크로퍼드는 이 결투에서 번사이드를 총으로 쏘아 사살했다.[3] 이 사건으로 인해 조지아주에서는 결투에 연루된 사람의 공직을 금지하는 새로운 법률이 통과되었지만, 이 법은 제정 이후의 결투에만 적용되었기 때문에 크로퍼드의 정치 경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크로퍼드는 이 사건을 "유감스럽고 불행한 사건"이라고 부르며 후회했으며, 번사이드의 미망인과 자녀들에게 익명으로 재정적 지원을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논란에도 불구하고 크로퍼드는 1831년까지 법무장관직을 유지했으며, 이후 찰스 J. 젠킨스에게 자리를 넘겨주었다. 1837년 리치먼드군 주민들은 주의 권리 공천 후보였던 크로퍼드를 주 입법부 의원으로 선출했다. 그는 5번의 임기 동안 활동하며 재정보수주의자로서의 면모를 보였다. 1842년에는 휘그당 소속으로 미국 하원 의원 보궐선거에서 당선되어 1년간 의정 활동을 했다.
4. 정치 경력
4. 1. 조지아주 하원의원과 미국 하원의원
1837년, 크로퍼드는 조지아주 의회 하원의 리치먼드군 대표로 선출되었다.[1] 그는 하원에서 재정 보수주의자로 활동하며 명성을 얻었다. 1842년, 연방 하원의원 리처드 W. 해버샴이 사망하자, 크로퍼드는 그의 빈자리를 채우기 위해 휘그당 소속으로 미국 하원 의원에 선출되었다. 그의 임기는 1843년 1월 7일부터 3월 3일까지 약 2개월간으로 짧았다.
4. 2. 조지아 주지사
1843년 조지아주 휘그당은 만장일치로 크로퍼드를 주지사 후보로 선출했다. 당시 조지아주 민주당 내부 분열 상황에 힘입어, 크로퍼드는 민주당 후보 마크 앤서니 쿠퍼를 38,813표 대 35,325표 차이로 꺾고 조지아 주지사에 당선되었다. 이로써 그는 찰스 제임스 맥도널드의 뒤를 이어 조지아 주지사가 된 최초이자, 현재까지 유일한 휘그당 소속 인물이 되었다. 1843년 선거에서 휘그당은 조지아 주의회 양원에서도 과반수를 확보했다.
주지사로서 첫 임기(1843년 ~ 1845년) 동안 크로퍼드는 의회의 지지를 바탕으로 휘그당의 주요 정책인 부채 감축과 재정 건전성 확보에 집중했다. 그의 행정부는 첫 해 지출을 6.6만달러 이상 절감했으며, 임기 말에는 약 50만달러에 달했던 주 정부 부채를 거의 청산했다. 또한, 오랜 기간 휘그당의 숙원이었던 조지아 중앙 은행을 폐지하는 데 성공했다. 이와 함께 웨스턴 앤 애틀랜틱 철도 건설을 촉진하고, 주립 교도소를 경제적으로 더 효율적인 기관으로 개혁했으며, 주 내 교육 기회 확대에도 기여했다.[2]
전년도 대통령 선거에서 휘그당 후보 헨리 클레이가 조지아주에서 패배했음에도 불구하고, 크로퍼드는 1845년 주지사 선거에서 민주당 후보 매튜 홀 맥앨리스터를 1,751표 차이로 누르고 재선에 성공했다.
두 번째 임기(1845년 ~ 1847년) 동안 크로퍼드는 첫 임기에서 시작한 정책들을 지속하는 한편, 수십 년간 설립되지 못했던 조지아주 대법원을 마침내 창설했다. 그는 주의 의회 선거구를 재조정했으며, 당시 국가적 쟁점에 대한 조지아 휘그당 내 이견 때문에 주로 조지아주 내부 문제 해결에 집중했다.
크로퍼드는 세 번째 임기에는 출마하지 않았고, 후임으로 조지 W. 타운스가 주지사직을 계승했다. 그는 조지아 역사상 유일한 휘그당 출신 주지사로 기록되었다.
4. 3. 미국 육군 장관
1849년 재커리 테일러가 미국 대통령으로 취임하자, 크로퍼드를 미국 육군 장관으로 임명했다. 육군 장관으로서 크로퍼드는 미국 정부가 미국 원주민과의 교역을 하던 상인 조지 갈핀의 후손인 갈핀 가문에게 제기한 청구 소송 해결에 관여했다. 이 과정에서 크로퍼드는 상당한 보수를 받았고, 이는 그의 정치적 반대자들에게 부정 행위가 있었다는 의혹을 제기하는 빌미를 주었다.
이후 크로퍼드는 정부 기관의 조사를 받았으나, 어떠한 잘못도 없었음이 밝혀져 완전히 무죄 방면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판자들은 계속해서 그를 비방했다. 1850년 재커리 테일러 대통령이 재임 중 갑작스럽게 사망하고 밀러드 필모어가 대통령직을 승계하자, 크로퍼드는 테일러 행정부의 다른 각료들과 마찬가지로 밀러드 필모어 행정부에서 일하는 대신 사임하는 길을 택했다. 그는 이후 약 10년간 공직에서 물러나 있었다.
5. 조지아주 연방 탈퇴 회의
전쟁 장관 직에서 물러난 후 약 10년간 공공 생활에서 물러나 있던 크로퍼드는 1861년 조지아주 연방 탈퇴 회의에 리치먼드 군 대표로 선출되며 다시 활동을 시작했다. 대표단은 만장일치로 크로퍼드를 회의 의장으로 선출했고, 그는 조지아주의 미국 연방 탈퇴 여부를 결정하는 투표 과정을 감독했다.
회의 의장으로서 크로퍼드는 조지아주의 연방 탈퇴를 공식적으로 선언하는 문서인 Ordinance of Secession|탈퇴 조례eng의 주요 작성자로 여겨진다. 이 조례를 통해 조지아주는 처음에는 독립적인 공화국을 선언했다가 이후 미국 남부 연합에 가입하게 되었다. 대표단은 1861년 1월 19일, 찬성 208표, 반대 89표로 탈퇴 조례를 승인했다. 이틀 뒤인 1월 21일, 대표들은 회의가 열린 밀리지빌의 주 의사당 앞 광장에서 축제 분위기 속에 조례에 서명했다. 크로퍼드는 조례 시행 이후 남북 전쟁으로 이어진 조지아 시민들의 희생을 지켜보며 이를 애도했다고 전해진다.
연방 탈퇴를 주도한 역할 때문에 크로퍼드는 반란 선동 혐의로 재판을 받을 위기에 처했다. 그는 회의 의장이라는 지도자적 위치 때문에 에이브러햄 링컨 대통령과 앤드루 존슨 대통령의 사면 선언 대상에서도 제외되었다. 그러나 1865년 크로퍼드는 존슨 대통령에게 직접 사면을 신청했고, 이것이 승인되면서 미국 시민으로서의 지위를 회복하고 처벌을 면할 수 있었다. 이 사면으로 그의 신분과 재산은 모든 형태의 보복으로부터 보호받게 되었다.
6. 말년과 유산
전쟁 장관 직에서 물러난 후 약 10년 동안 공직을 떠나 은둔 생활을 했다. 1861년, 크로퍼드는 조지아주 연방 탈퇴 회의에 리치먼드 군 대표로 선출되었다. 대표단은 회의 진행을 위해 크로퍼드를 의장으로 선출했고, 그는 연방 탈퇴를 결정하는 투표 과정을 감독했다. 회의 이후에는 리치먼드 군으로 돌아갔다.
1872년 7월 27일, 크로퍼드는 조지아주 오거스타 근교 벨에어(Bel Air)에 위치한 자택에서 73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그의 장례식은 세인트 폴 성공회 교회에서 거행되었으며, 유해는 오거스타의 서머빌 묘지에 안장되었다.
크로퍼드의 전기 작가 렌 클리블랜드는 자료를 조사하며 "크로퍼드의 정치 경력 전체는 깊은 정치적 신념보다는 전통적인 의무감에 의해 동기 부여되었다"고 평가했다. 반면, 동시대 정치인 로버트 툼스는 크로퍼드에 대해 "미국에서 그보다 유능하고 순수한 사람은 거의 없으며, 그는 특별히 뛰어난 행정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칭찬했다.
사후인 1943년 11월 16일, 조지아주에 대한 그의 공헌을 기리기 위해 브런즈윅의 J.A. 존스 건설 회사에서 자유선인 ''SS 조지 워커 크로퍼드''의 기공식이 열렸다. 이 배는 1944년 1월 1일 진수되었고, 같은 해 1월 13일 연방 정부에 인도되어 운용되었다.
7. 역대 선거 결과
wikitext
선거명 | 직책명 | 대수 | 정당 | 득표율 | 득표수 | 결과 | 당락 |
---|---|---|---|---|---|---|---|
1843년 재선거 | 하원의원 (조지아 광역선거구) | 27대 | 휘그당 | 55.21% | 24,645표 | 1위 | |
1843년 선거 | 조지아 주지사 | 38대 | 휘그당 | 52.29% | 38,713표 | 1위 | |
1845년 선거 | 조지아 주지사 | 38대 | 휘그당 | 51.20% | 41,059표 | 1위 |
참조
[1]
서적
Historical collections of Georgia : containing the most interesting facts, traditions, biographical sketches, anecdotes, etc., relating to its history and antiquities, from its first settlement to the present time
https://archive.org/[...]
Pudney & Russell
1854
[2]
간행물
The Impact of the Western & Atlantic Railroad on the Development of the Georgia Upcountry, 1840–1860
http://search.ebscoh[...]
2007-06-01
[3]
뉴스
Delaware Weekly Advertiser And Farmers Journal, The Thursday, February 14, 1828
1828-02-14
[4]
문서
左から[[リヴァーディ・ジョンソン|ジョンソン]][[アメリカ合衆国司法長官|司法長官]]、[[ウィリアム・メレディス|メレディス]][[アメリカ合衆国財務長官|財務長官]]、[[ウィリアム・プレストン (海軍長官)|プレストン]][[アメリカ合衆国海軍長官|海軍長官]]、[[ザカリー・テイラー|テイラー]][[アメリカ合衆国大統領|大統領]]、クロウフォード[[アメリカ合衆国陸軍長官|陸軍長官]]、[[ジェイコブ・コラマー|コラマー]][[アメリカ合衆国郵政長官|郵政長官]]、[[トマス・ユーイング|ユーイング]][[アメリカ合衆国内務長官|内務長官]]、[[ジョン・ミドルトン・クレイトン (国務長官)|クレイトン]][[アメリカ合衆国国務長官|国務長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