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구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좌구명은 《춘추좌씨전》과 《국어》의 저자로 알려진 고대 중국의 인물이다. 이름에 대한 다양한 설이 존재하며, 공자와 동시대 인물 또는 그 이전 시대 인물로 추정된다. 사마천은 좌구명을 맹인으로 기록했으며, 《춘추좌씨전》과 《국어》의 저술과 관련하여 논란이 있다. 《좌전》은 유교적 가치관을 바탕으로 객관적인 시점에서 역사적 사실과 도덕적 교훈을 제시하며, 좌구명은 군자로 칭송받았다. 제주 좌씨의 시조인 좌형소가 좌구명의 후손으로 알려져 한국과도 관련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춘추 전국 시대의 역사가 - 공자
공자는 기원전 551년에 태어난 유교의 창시자이며, 덕치주의와 사회 질서를 중시하고 인과 예를 통해 사회적 조화를 추구했으며, 동아시아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좌구명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이름 | 좌구명 |
한자 표기 | 左丘明 |
로마자 표기 | Zuǒ Qiūmíng Zuǒqiū Míng |
웨이드-자일스 표기 | Tso Ch'iu-ming Tso-ch'iu Ming |
활동 기간 | 556 – 451 BC 또는 502 – 422 BC |
주요 작품 | 좌전 |
2. 이름
'좌구명(左丘明)'이라는 이름의 구성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존재한다.
- '좌(左)'가 성이고 '구명(丘明)'이 이름이다.[32][22]
- '좌구(左丘)'가 성이고 '명(明)'이 이름이다.[33][23]
- '좌(左)'는 좌사(左史)라는 관직명이고, '구(丘)'가 성이며, '명(明)'이 이름이다.[34][24]
'좌구명(左邱明)'으로 표기된 문헌도 있는데, 이는 공자의 이름 '구(丘)'를 피휘한 것이다.[25] 청 옹정 3년(1725년) 옹정제의 명으로 구(丘)에 阝(언덕 부) 변을 더해 '구(邱)'로 쓰도록 하면서, 좌구명의 후손들은 구(邱)씨를 사용하게 되었다.[35]
3. 출신
좌구명은 전통적으로 공자와 같은 노나라 사람이라고 알려져 왔다.[36]
위서 지형지(地形志)에는 연주(兗州) 동평군(東平郡) 부성현(富城県)에 좌구명의 무덤이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곳은 오늘날의 중화인민공화국 산둥성 타이안시 페이청시에 해당한다. 북송 범풍(范諷)이 쓴 《송상부2년평양현령범풍중수좌전정사기》(宋祥符二年平阴县令范讽重修左传精舍记)에는 "(대중상부) 2년(1099년) 봄에 나(범풍)는 황명을 받들고 이 읍으로 부임해 왔다. 현의 동쪽은 옛날 패자국(肥子国)의 땅으로 좌자(左子)의 옛 마을이라, 옛 사당이 아직도 남아 있다."라고 하여, 오늘날의 페이청 시 일대를 가리켜 좌구명 집안의 식읍으로 전하고 있다. 또한 페이청시의 석황동형어촌(石横东衡鱼村)에는 구씨(邱氏)들이 거주하고 있는데, 이들은 모두 좌구명의 후손으로 알려져 있다.
4. 시대
《논어》 공야장편(公冶長篇)에서 공자가 좌구명을 칭찬하고 있으며, 《춘추좌씨전》의 작자에 대해 유향의 《별록》에 좌구명이 《좌전》을 증자의 아들 증신(曾申)에게 전하고 증신이 다시 오기에게 전하였다고 기록하고 있어[37] 이 기록을 통해 공자와 같은 시대거나 그보다 조금 이후의 사람임을 짐작할 수 있다.
5. 실명설
《사기》 태사공 자서(太史公自序)에 따르면, 좌구명은 눈이 보이지 않았다고 한다.[38][28]
6.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과 좌구명
《사기》 십이제후연표(十二諸侯年表)에는 좌구명이 《좌씨춘추》(左氏春秋)를 지었다고 기록되어 있고[36], 《한서(漢書)》 사마천전(司馬遷傳)도 마찬가지이다.[39] 그러나 당나라 이후부터 《춘추좌씨전》의 '좌씨(左氏)'가 좌구명이 아니라는 주장이 제기되었다.[40] 또한, 사마천이 언급한 《좌씨춘추》가 현재 전해지는 《춘추좌씨전》과 동일한 책인지에 대해서는 청나라 고증학자 유봉록 이후로 여러 논의가 진행되어 왔다.
7. 《국어》(國語)와 좌구명
《사기》 태사공자서[38]나 《한서》 사마천전[39]에서는 좌구명을 《국어(國語)》의 저자라고 언급하고 있다. 사마천은 좌구명이 《국어》의 저자라고 처음 주장했다.[7][15][16] 당나라 학자 안사고는 《한서》를 주석하면서 《국어》의 저자를 좌구명으로 보았다.[16][17] 이후 다른 학자들은 이에 의문을 제기하며 《국어》의 저자에 대해 다른 의견을 제시했는데, 그 예로 부현은 좌구명이 《좌전》의 저자가 아니라는 반론을 처음 제기했다.[18][19]
8. 사상
《좌전》은 강한 유교적 가치관을 드러낸다.[9] 《좌전》의 전반적인 주제는 오만하고 사악하며 어리석은 사람들은 재앙을 초래하고, 선하고 지혜로우며 겸손한 사람들은 보상을 받는다는 권선징악이다.[9] 유교의 '예'(禮)를 강조하며, 전쟁을 포함한 모든 행동에서 '예'를 따르는 것이 중요하다고 가르친다.禮|예중국어 그러나 '예'를 지킨다고 해서 반드시 승리하는 것은 아니며, 《좌전》에는 선하고 순수한 사람들이 고통받는 사례도 많이 나온다.[9] 《좌전》은 격동의 시대를 사실적으로 묘사하여 문학 걸작으로 평가받는다.[9]
《좌전》의 서술은 교훈적이며, 도덕적 원칙을 가르치고 설명하는 방식으로 제시된다.[10] 3인칭 시점으로 서술되어 객관적인 사실 기록처럼 묘사된다.[11] 독일의 중국학자 마틴 컨은 "《좌전》은 저자의 판단이나 해석을 제공하는 대신, 서술 자체에서 도덕적 교훈이 펼쳐지도록 하여 역사와 역사적 판단을 동시에 가르친다"고 언급했다.[12]
《좌전》은 jūnzǐ(君子)가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를 가르친다. 노나라 조공 31년(기원전 511년) 기록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다.[13]
9. 평가
증자의 제자 악정자춘은 좌구명을 군자라고 칭찬했고,[20] 사마천은 좌구명을 노의 군자로 존경했다.[1][2][21] 좌구명은 "백가 문자(百家文字)의 종주, 만세 고문(万世古文)의 조상"으로 여겨진다.
10. 후손
참조
[1]
웹사이트
Volume 14 - Twelve Vassals' Chronology
https://ctext.org/sh[...]
Shiji
[2]
논문
Merging Horizons: Authority, Hermeneutics, and the Zuo Tradition from Western Han to Western Jin (2nd c. BCE -3rd c. CE)
https://escholarship[...]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2013
[3]
간행물
《左丘明姓氏推考》 A Study of Zuo Qiu ming's Family Names
2001
[4]
웹사이트
Chunqiu 春秋 and Zuozhuan 左傳
http://www.chinaknow[...]
2010
[5]
간행물
Confucius and Lao Zi" Their Differing Social Foundations and Cultures
http://www.sino-plat[...]
2011-05
[6]
서적
Rhetoric in ancient China, fifth to third century, B.C.: a comparison with classical Greek rhetoric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Press
[7]
웹사이트
Grand Historian's Autobiographical Postface
https://ctext.org/sh[...]
Shiji
[8]
웹사이트
Analects
https://ctext.org/di[...]
James Legge
[9]
서적
The Indiana Companion to Traditional Chinese Literature
Indiana University Press
[10]
서적
The Tso chuan: Selections from China's Oldest Narrative History
Columbia University Press
[11]
서적
The Columbia History of Chinese Literature
Columbia University Press
[12]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ese Literature, Volume 1: To 1375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
서적
Zuo Tradition (Zuozhuan): Commentary on the "Spring and Autumn Annals"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14]
서적
中國文學大辭典
http://worldcat.org/[...]
百川書局
[15]
웹사이트
Vol. 62 - Account of Sima Qian
https://ctext.org/ha[...]
Book of Han
[16]
서적
汉书
http://worldcat.org/[...]
Si chuan mei shu chu ban she
2019
[17]
웹사이트
Vol. 30 - Treatises about Literature
http://www.guoxue123[...]
Book of Han
[18]
웹사이트
vol. 60: Duke Ai's 13th year - zhuan
https://ctext.org/li[...]
True Meaning of Chunqiu Zuozhuan
[19]
서적
Zuo Zhuan
http://worldcat.org/[...]
Zhonghua Book Company
2016-03-01
[20]
웹사이트
Commentary on the Water Classic
https://zh.wikisourc[...]
[21]
서적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of China
http://worldcat.org/[...]
[22]
문서
春秋左伝正義
[23]
서적
通志
https://archive.org/[...]
[24]
서적
癸巳類稿
https://archive.org/[...]
[25]
서적
欽定大清会典則例
https://archive.org/[...]
[26]
문서
十二諸侯年表
[27]
문서
春秋左伝正義
[28]
문서
太史公自序
[29]
문서
漢書
[30]
문서
新唐書
[31]
웹사이트
성씨의 고향{{!}}청주좌씨
https://www.joongang[...]
1982-03-04
[32]
문서
춘추좌전정의
[33]
문서
통지
[34]
문서
계사류고
[35]
문서
欽定大清会典則例
[36]
서적
史記
[37]
서적
춘추좌전정의
[38]
서적
史記
[39]
서적
漢書
[40]
서적
新唐書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