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좌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좌사는 중국 서진 시대의 문인으로, 린쯔의 유교 학자 가문에서 태어났다. 그는 용모가 추하고 말더듬이였지만 학문에 힘썼으며, 특히 위, 오, 촉 삼국의 수도를 묘사한 10년에 걸쳐 완성한 작품 《삼도부》로 유명하다. 《삼도부》는 낙양의 종이 가격을 폭등시킬 정도로 인기를 얻어 '낙양의 지가'라는 고사를 낳았으며, 동시대 문인 육기에게 영향을 미쳤다. 이후 권신 가밀의 초청으로 《한서》를 강론했으나, 팔왕의 난으로 가밀이 주살되자 관직을 사임하고 은거했다. 좌사는 《삼도부》 외에도 《영사시》, 《초은시》, 《교녀시》 등의 작품을 남겼으며, 그의 시는 중세 중국의 은둔 시를 대표하는 것으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50년 출생 - 콘스탄티우스 클로루스
    콘스탄티우스 클로루스는 로마 제국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293년부터 306년까지 로마 제국의 부제와 정제를 역임하며 군사적 업적을 세우고 기독교 박해에 소극적이었으며 아들 콘스탄티누스 1세가 황제가 되었다.
  • 250년 출생 - 육경 (동오)
    육경은 오나라의 장수로, 육손의 손자이자 육항의 차남이며, 손호의 여동생과 결혼하여 기도위, 비릉후를 거쳐 편장군과 중하독을 역임했으나 서진의 오나라 정벌 때 포로로 잡혀 참수당했다.
  • 305년 사망 - 알렉산드리아의 카타리나
    알렉산드리아의 카타리나는 막센티우스 황제 치하에서 순교한 기독교 성녀로, 황제의 유혹을 거절하고 이교도 학자들과의 논쟁에서 승리했으나 순교했다는 전설이 있으며, 역사적 실존 여부는 논란이 있지만 중세 이후 널리 숭배받으며 학문과 순교의 상징으로 큰 영향을 미쳤다.
  • 305년 사망 - 야누아리오
    야누아리오는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 시대 나폴리의 주교 성인으로, 그의 혈액이 담긴 앰풀에서 주기적으로 일어나는 액화 현상인 '피의 기적'으로 유명하며, 유해는 나폴리 대성당에 안치되어 나폴리의 역사와 문화에서 중요한 상징으로 여겨진다.
  • 진나라 (위진)의 시인 - 반악
    반악은 서진 시대의 문인으로, 빼어난 문학적 재능과 외모로 명성을 얻었지만 사마륜의 쿠데타로 처형되었으며, 슬픔과 비애를 섬세하게 표현한 작품으로 태강문학을 이끌었다고 평가받는다.
  • 진나라 (위진)의 시인 - 도연명
    동진 말기에서 남조 송나라 초기에 활동한 도연명은 속세를 떠나 자연 속 은거 생활을 노래한 시인으로, 《귀거래사》, 《도화원기》 등의 대표작을 남기며 후대 문인들에게 큰 영향을 준 은일 시인이다.
좌사

2. 생애

서진 시대의 문인으로, 린쯔의 유교 학자 가문에서 태어났다. 사서에 따르면 용모는 뛰어나지 않고 말을 더듬었으나, 학문에 힘써 문장으로 뛰어난 재능을 보였다.

여동생 좌분이 서진의 무제 사마염후궁이 되면서 수도 낙양으로 이주하였다. 그곳에서 위, 오, 삼국의 수도를 소재로 한 「삼도부」 집필에 착수하여 10년 만에 완성했다. 이 작품은 초기에는 비판받았으나 장화, 황보밀 등 당대 명사들의 극찬을 받으며 큰 명성을 얻었다. 특히 사람들이 앞다투어 「삼도부」를 베껴 써 낙양의 종이 가격이 크게 오를 정도였는데, 이는 '낙양의 지가를 높이다'라는 고사의 유래가 되었다.[11]

이후 권력자 가밀의 초빙을 받아 활동하기도 했으나, 300년 팔왕의 난으로 가밀이 몰락하자 관직을 떠나 은거하며 학문에 몰두했다. 303년, 장방이 낙양에서 난을 일으키자 기주로 피난하였고, 수년 후 그곳에서 병으로 생을 마감했다.

2. 1. 초기 생애

좌사는 린쯔의 유교 학자 가문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좌옹(左雍)은 황실 기록 보관을 담당하는 황실 관료였으며, 어머니는 일찍 세상을 떠났다. 좌사에게는 누이 좌분이 있었는데, 그녀는 나중에 작가이자 진 무제의 후궁이 되었다. 좌사는 어릴 때 누이와 종종 말장난을 했다고 전해진다.[1]

사서 기록에 따르면, 좌사는 한문 출신으로 용모가 뛰어나지 않고 말을 더듬었지만, 학문에 매우 힘쓰고 문장 실력이 뛰어났다고 한다.

훗날 누이 좌분이 서진의 무제 사마염후궁으로 들어가자, 좌사는 가족과 함께 수도 낙양으로 이주했다.

2. 2. 낙양으로 이주와 삼도부 집필

여동생 좌분이 서진의 무제 사마염후궁에 들어가자, 수도 낙양으로 집을 옮겼다. 그는 위나라, 오나라, 촉나라 삼국의 수도를 소재로 한 「삼도부」의 집필을 구상하고 10년의 세월을 들여 이를 완성했다.

완성 초기에는 세상 사람들의 비판을 받았지만, 당시 문단의 거물인 장화에게 보여주자, 장화는 반고의 「양도부」나 장형의 「이경부」에 필적하는 걸작이라고 격찬했다. 장화는 무명이었던 좌사에게 명사의 도움을 받을 것을 권했다. 좌사가 명사인 황보밀에게 서문을 부탁하자, 「삼도부」의 명성은 크게 높아졌고, 이전에는 비판했던 자들도 손바닥 뒤집듯 태도를 바꾸어 칭찬했다고 한다[11]。 사람들이 다투어 「삼도부」를 필사했기 때문에, 낙양성 안의 종이 가격이 폭등했다는 일화는 후에 「'''낙양의 지가(紙價)를 높이다'''」라는 고사성어의 유래가 되었다.

좌사와 동시대의 문학가인 육기도 마찬가지로 「삼도부」의 제작을 구상하고 있었다. 낙양에 온 육기는 좌사의 소문을 들었지만, 동생 육운에게 보낸 편지에서 "시골뜨기의 「삼도부」가 완성되면 술병 덮개로 쓰는 것이 좋겠다"라고 말하며 무시했다. 그러나 완성된 좌사의 부를 읽고 나서는 그 솜씨에 감탄하여, 자신의 집필 계획을 단념했다고 한다.

2. 3. 관직 생활과 은거

여동생 좌분(左棻)이 서진의 무제 사마염의 후궁으로 들어가면서 수도 낙양으로 이주했다. 좌사는 위, 오, 삼국의 수도를 소재로 한 「삼도부」(三都賦) 집필을 구상하여 10년의 세월을 들여 완성했다. 초기에는 비판을 받았으나, 당시 문단의 거물이었던 장화(張華)는 이를 반고의 「양도부」(兩都賦)나 장형의 「이경부」(二京賦)에 버금가는 걸작이라 극찬했다. 장화의 권유로 명사 황보밀에게 서문을 부탁하자 「삼도부」의 명성은 크게 높아졌고, 이전의 비판자들도 태도를 바꾸어 칭찬했다고 한다[11]。 사람들이 다투어 「삼도부」를 필사했기 때문에, 낙양성 안의 종이 가격이 폭등했다는 일화는 후에 '글이나 책이 매우 잘 팔리는 상황'을 이르는 '''낙양의 지가(紙價)를 높이다'''라는 고사의 유래가 되었다. 동시대 문학가 육기 역시 「삼도부」를 구상하고 있었으나, 좌사의 작품을 보고 감탄하여 자신의 집필을 단념했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

이후 권력자 가밀의 초청을 받아 『한서』를 강론하기도 했다. 300년, 팔왕의 난으로 가밀이 조왕 사마륜에게 주살되자, 좌사는 관직을 사임하고 은거하여 전적(典籍)에 몰두했다.

303년, 하간왕 사마옹의 장군 장방이 낙양에서 폭정을 자행하자, 좌사는 집안을 모두 이끌고 기주로 피난했으며, 그곳에서 수년 후에 병사했다.

3. 문학 작품

좌사는 여러 문학 작품을 남겼으며, 특히 부(賦)와 시(詩)에 능했다. 그의 대표작으로는 삼국 시대 세 수도를 묘사한 「삼도부」(三都賦)가 유명하다.[2][3][4] 그는 한나라 시인들의 환상적인 묘사와 달리, 자신의 작품은 관찰에 기반한 정확성을 추구한다고 밝혔다.[6]

그의 시 중에서는 한미한 집안 출신으로서 당시 귀족 사회를 비판적으로 그린 「영사시」(詠史詩), 자연으로의 귀의를 노래한 「초은시」(招隱詩),[7] 그리고 자신의 딸들의 모습을 독특하게 묘사한 「교녀시」(嬌女詩) 등이 대표작으로 꼽힌다. 특히 「초은시」는 중세 중국의 "은둔 시"를 대표하는 작품으로 평가받으며, 이전 시들과 달리 관직 대신 자연으로 돌아갈 것을 강조했다.[7]

수서』 경적지에 따르면 그의 문집 2권(양나라 때는 5권, 목록 1권)이 있었다고 하나 지금은 전해지지 않는다.

3. 1. 삼도부 (三都賦)

280년경, 좌사는 삼국 시대 세 수도를 다룬 그의 첫 번째 부(賦)인 蜀都赋중국어를 썼다. 촉도부는 청두와 그 주변 지역을 묘사했으며, 어메이 산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을 담고 있다.[2] 이 작품은 발표되자마자 큰 인기를 얻어 널리 베껴졌고, 이로 인해 뤄양의 종이 가격이 급등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3] 이는 훗날 문학 작품을 칭찬할 때 쓰이는 중국 고사성어인 '뤄양지귀(洛陽紙貴, 뤄양의 종이 값은 비싸다)'의 유래가 되었다.[4]

좌사 자신은 삼도부가 장형반고의 유사한 작품에서 영향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마크 에드워드 루이스는 좌사의 부가 이전 작품들이 담고 있던 의례적이고 역사적인 틀에서 벗어나, 동시대의 세 수도를 병렬적으로 묘사함으로써 한나라 시대의 이상적인 수도 개념을 넘어서는 새로운 시도를 했다고 평가했다.[5] 좌사는 한나라 시인들의 환상적인 묘사와 달리, 자신의 작품은 정확성에 기반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세 편의 부 서문에서, 서정시 작가들이 "마음에 둔 것을 노래"하는 반면, 묘사적인 부의 작가들은 "관찰한 것을 칭찬"한다고 밝혔다.[6]

좌사의 시, 특히 「은사를 부르다」(招隱詩중국어)는 중세 중국의 "은둔 시" 또는 "은둔자의 시"를 대표하는 작품으로 여겨진다. 이전의 시들이 독자들에게 자연을 떠나 관직에 나아가도록 권했던 것과 달리, 좌사는 오히려 자연으로 돌아갈 것을 강조했다. 골과 힐츠는 이러한 관점의 변화를 샤머니즘적 믿음이 유교 윤리와 도교 사상으로 대체되는 과정과 연결지어 해석했다.[7]

수서』 경적지에 따르면 그의 문집 2권(양나라 때는 5권, 목록 1권)이 있었다고 하나 지금은 전해지지 않는다. 현존하는 작품으로는 앞서 언급한 「삼도부」 외에도, 한미한 가문 출신으로서 당시 귀족 사회를 비판적으로 그린 「영사시」(詠史詩중국어)와 「초은시」(招隱詩중국어), 그리고 자신의 딸들의 모습을 독특하게 묘사한 「교녀시」(嬌女詩중국어) 등이 대표작으로 꼽힌다. 종영의 『시품』에서는 좌사의 시를 최상위인 상품(上品)으로 분류하며, 유정의 힘찬 시풍을 계승하고 풍유(諷諭)의 정신을 잘 구현했다고 높이 평가했다.

3. 2. 영사시 (詠史詩)

좌사의 대표작 중 하나로 꼽히는 「영사시(詠史詩)」는 그가 한미한 집안 출신으로서 당시 귀족 사회를 비판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종융은 그의 저서 『시품』에서 좌사의 시를 최상위인 상품(上品)으로 분류하며 높이 평가했다. 또한 유정의 힘찬 시풍을 계승하고, 풍유(諷諭, 사회 현실을 풍자하여 깨우침을 주는 것)의 정신을 잘 구현했다고 평가했다.

3. 3. 초은시 (招隱詩)

좌사의 시 「초은시」(招隱詩)는 「은사를 부르다」라고도 불리며, 중세 중국의 "은둔 시" 또는 "은둔자의 시"를 대표하는 작품으로 평가받는다.[7] 이전의 시들이 독자들에게 관직에 나아가기 위해 은둔 생활을 그만두라고 권했던 것과는 달리, 좌사는 이 시에서 오히려 속세를 떠나 자연(야생)으로 돌아갈 것을 주장했다.[7] 이러한 관점의 변화는 당시 샤머니즘적 믿음이 유교 윤리나 도교 사상으로 대체되는 사회적 배경을 반영한다는 해석도 있다.[7]

「초은시」는 좌사의 대표작 중 하나로 꼽히며, 한미한 집안 출신이었던 그가 당시 귀족 중심 사회에 대해 가졌던 비판적인 시각을 「영사시」(詠史詩)와 함께 보여주는 작품이기도 하다. 종융은 그의 저서 『시품』에서 좌사의 시를 최상급인 상품(上品)으로 평가하며, 유정의 힘찬 시풍을 계승하고 풍유(諷諭)의 정신을 잘 담아냈다고 언급했다.

3. 4. 교녀시 (嬌女詩)

좌사의 현존하는 대표적인 문학 작품 중 하나로 「교녀시」(嬌女詩)가 있다. 이 작품은 자신의 딸의 모습을 그린 독특한 내용을 담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종융은 그의 저서 『시품』에서 좌사의 시를 최상위인 상품으로 분류하며 높이 평가했는데, 「교녀시」 역시 이러한 좌사의 대표작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4. 평가 및 영향

좌사의 작품은 후대 학자들에게 지속적으로 영향을 주었다. 청나라의 학자 원매는 좌사의 《역도》(詠史)에 대해 "역사적 인물들의 과거 행적을 빌려 자신의 마음속 생각을 표현했다"고 평가하며, 이를 역사시의 한 유형으로 꼽았다.[8] 당나라 시인 왕지(王績)는 좌사의 《은사초》(招隱詩)를 본떠 시를 지었으나, 자연 환경 묘사보다는 은둔자의 삶 자체에 더 초점을 맞추는 차이를 보였다. 또한 왕지는 좌사와 달리 관직에서의 명예와 영광을 완전히 포기하지는 않았다.[9]

수서』 경적지에는 좌사의 문집 2권(양나라 때에는 5권, 목록 1권)이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으나 현재는 전해지지 않는다. 현존하는 작품으로는 앞서 언급된 「삼도부」(三都賦) 외에도, 한미한 집안 출신으로서 당시 귀족 사회에 대한 비판 의식을 담은 「영사시」(詠史詩)와 「초은시」(招隱詩), 그리고 자신의 딸들의 모습을 그린 독특한 내용의 「교녀시」(嬌女詩) 등이 대표적으로 꼽힌다. 종융은 그의 저서 『시품』에서 좌사의 시를 최상위인 상품(上品)으로 분류하며, 유정(劉楨)의 힘찬 시풍을 계승하고 풍유(諷諭)의 정신을 잘 체득했다고 높이 평가했다.

참조

[1] 서적 Notable women of China: Shang Dynasty to the Early Twentieth Century M.E. Sharpe
[2] 서적 Stairway to Heaven: A Journey to the Summit of Mount Emei SUNY Press
[3] 서적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From Antiquity to the Tang Dynasty Columbia University Press
[4] 서적 The Stories Behind 100 Chinese Idioms https://archive.org/[...] Huayu Jiaoxue Chubanshe
[5] 서적 The Construction of Space in Early China SUNY Press
[6] 서적 The Retreat of the Elephants: An Environmental History of China Yale University Press
[7] 서적 Landscapes and Communities on the Pacific Rim: Cultural Perspectives from Asia to the Pacific Northwest M.E. Sharpe
[8] 서적 Harmony garden: The life, Literary Criticism, and Poetry of Yuan Mei (1716–1798) Routledge
[9] 서적 A Wild Deer Amid Soaring Phoenixes: The Opposition Poetics of Wang Ji University of Hawaii Press
[10] 서적 左思生平及其詩之折論 台湾文史哲出版社
[11] 서적 世説新語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