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중등교육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등 교육은 고등학교, 중학교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며, 유네스코의 국제표준교육분류(ISCED)에서는 초중등 교육(레벨 2)과 고등 교육(레벨 3)으로 구분된다. 많은 국가에서 중등 교육을 의무 교육으로 지정하고 있으며, 프랑스, 독일, 영국 등에서는 무상으로 제공되기도 한다. 중세 시대에는 교회에서 중등 교육을 제공했으며, 종교 개혁 이후에는 코메니우스와 로크 등이 중등 교육 개선에 기여했다. 각 국가마다 중등 교육의 형태는 다르며, 국제학업성취도평가(PISA)를 통해 교육 효과를 비교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유네스코는 중등 교육이 급변하는 시대에 맞춰 학생들에게 다양한 생활 기술을 가르쳐야 한다고 강조하며, 정의, 민주주의, 인권에 대한 사고방식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등 교육 - 중등학교 졸업 증명
    중등학교 졸업 증명은 국가별 교육 시스템에 따라 형태가 다르지만, 중등학교 과정을 성공적으로 마쳤음을 공식적으로 인정하는 중요한 문서로서, 대학 입학이나 취업 등 사회 진출의 중요한 기준이 된다.
  • 중등 교육 - 일반사회
    일반사회는 시민 교육의 역사와 목표, 내용, 그리고 세계 각국의 시민 교육 현황을 다루는 주제로, 진보주의 교육 사상에서 시작하여 정보화 시대에 학습자 중심으로 발전해왔으며, 사회과 교육 모형을 통해 시민성 함양을 목표로 하지만 정부의 접근 방식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 교육 단계 - 졸업
    졸업은 학교의 교육 과정을 마치는 것으로, 학위 취득과 연관되며 졸업식에서는 학위 수여, 송별사, 학사복 착용 등의 절차가 진행되고, 중세 유럽 대학에서 유래되어 현대에는 다양한 졸업 문화가 존재한다.
  • 교육 단계 - 입학
    입학은 학교나 교육 기관에 학생이 등록하는 것을 의미하며, 각국은 다양한 입학 제도를 운영하고 초등학교 입학 나이는 만 5세에서 7세까지 차이가 있으며 학년 시작 시기도 다르다.
중등교육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분류교육 단계
이전 단계초등교육
다음 단계고등교육
영어 명칭secondary education
유형의무 교육 또는 선택 교육
한국
학교 종류중학교
고등학교
기간총 6년 (중학교 3년, 고등학교 3년)
일본
학교 종류중학교
고등학교
기간총 6년 (중학교 3년, 고등학교 3년)
기타중고 일관 교육을 하는 학교도 존재함
국제 표준 교육 분류 (ISCED)
수준ISCED 2단계 및 3단계
ISCED 2단계하위 중등 교육 (lower secondary education)
ISCED 3단계상위 중등 교육 (upper secondary education)
교육 내용
목표초등 교육에서 얻은 기초 지식과 기술을 바탕으로 더 심화된 학습을 제공
내용다양한 학문 분야
직업 교육
사회성 함양
기타
특징국가별, 지역별 다양한 교육 시스템 존재
중요성고등 교육 및 직업 세계로의 진출을 위한 중요한 단계

2. 용어

중등 교육은 국가별로 다양하게 불린다. 예를 들어, 고등학교(high school), 김나지움(gymnasium), 리세(lyceum), 중학교(middle school), secondary school, sixth-form, sixth-form colleges, 직업학교(vocational schools), 예비학교(preparatory schools) 등으로 불린다. 정확한 의미는 나라마다 약간씩 다르다.[16][17][18][19][20]

유네스코(UNESCO)가 제정한 국제표준교육분류(ISCED)는 '''초중등교육'''(lower secondary education)을 "레벨 2", '''고등교육'''(upper secondary education)을 "레벨 3"으로 분류하고 있다.[21] 따라서 ISCED 표의 "레벨 2"와 "레벨 3"이 중등교육에 해당한다.

국가별 중등교육 연령대
위치용어같은 연령대
11–1212–1313–1414–1515–1616–1717–18
[16]연도789101112
그룹주니어 하이스쿨시니어 하이스쿨
[17]중등/학년S1S2S3S4S5S6
그룹주니어 세컨더리시니어 세컨더리
rowspan="2" colspan="2" |학년6789101112
별칭SD Kelas 6SMP Kelas 7SMP Kelas 8SMP Kelas 9SMA Kelas 10SMA Kelas 11SMA Kelas 12
[18]다른 이름주니어 사이클전환년시니어 사이클
학년 및 연도6학년1학년2학년3학년4학년5학년6학년
rowspan="3" colspan="2" |학년123456B6A
연도78910111213
그룹로어 스쿨어퍼 스쿨식스폼 프로그램
rowspan="2" colspan="2" |학년123123
그룹중학교고등학교
rowspan="4" |/학년1234567
연도78910111213
S1S2S3S4S5S6
891011121314
[19]학년6789101112
별칭colspan="3"프레시먼소포모어주니어시니어
그룹미들 스쿨하이스쿨
[20]학년123412
그룹ESO (의무 중등교육)바칠레라토
ISCED 레벨[21]23


3. 국제 표준 교육 분류 (ISCED)

유네스코(UNESCO)가 제정한 국제표준교육분류(ISCED)는 교육 단계를 국제적으로 비교하기 위한 기준을 제시한다. ISCED 레벨 2는 '초중등교육'(lower secondary education), 레벨 3은 '고등교육'(upper secondary education)으로 분류된다.[21] 1989년 아동의 권리에 관한 협약은 모든 아동에게 중등교육이 제공되고 이용 가능해야 함을 명시하고 있다.

국제표준교육분류에 따르면:


  • 레벨 2: 기초 교육 단계를 마치기 위한 교육이며, 대개 객관적인 패턴 지향적이다. 초등교육(ISCED 레벨 1)의 학습 결과를 바탕으로 구축되며, 평생에 걸친 학습과 인간 개발의 기초가 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레벨 3: 15~16세 또는 중등교육을 마친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보다 전문적인 교육이며, 제3기 교육 준비 또는 고용 관련 기술, 또는 그 모두와 관련된다.
  • 3A: 대학교(레벨 5A) 진학 준비 과정
  • 3B: 직업 지향 교육(레벨 5B) 진학 준비 과정
  • 3C: 취업 준비 또는 레벨 4 진학 준비


→국제표준교육분류 문서도 참조하십시오.

4. 역사

유럽 중세에는 가톨릭교회의 각 교회 조직에 의해 중등교육이 제공되었으며, 귀족 자녀나 성직자가 되려는 이들이 주로 교육을 받았다.[3] 종교개혁 이후 얀 아모스 코메니우스와 존 로크 등은 중등교육 개선에 힘썼다.[4] 산업 혁명 이후에는 모든 근로자가 기본 교육을 이수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중등 교육의 중요성이 더욱 커졌다.

5. 국가별 현황

각국은 자국에 가장 적합한 교육 형태를 발전시켜왔다. 1997년 국제 교육 분류(Inter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of Education)는 교육을 국제적으로 비교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7가지 수준을 제시했다.


  • 수준 0 – 유치원 교육
  • 수준 1 – 초등교육 또는 기초 교육 제1단계
  • 수준 2 – 중학교 또는 기초 교육 제2단계
  • 수준 3 – (고등학교) 중등교육
  • 수준 4 – 고등교육 이전 비고등교육
  • 수준 5 – 고등교육 제1단계
  • 수준 6 – 고등교육 제2단계


이 시스템에서 수준 1과 2, 즉 초등교육과 중학교는 함께 '''기초 교육'''을 형성한다. 그 이상의 교육에 대해서는 국가 정부가 수준 2~4를 통틀어, 또는 수준 2와 3을 통틀어, 또는 수준 2만을 '''중등교육'''으로 분류할 수 있다.

'''중학교 교육'''의 시작은 모든 내용을 학생들에게 전달하는 단일 학급 담당 교사에서 여러 과목 전문가들이 내용을 전달하는 방식으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 교육 목표는 기초 교육을 완료하고(기본 기술 습득 완료) 평생 학습의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다.[19]

중학교 교육은 다음 기준을 충족할 가능성이 높다.

  • 약 6년의 초등교육 이수 후 입학
  • 전문 분야 내에서만 가르치는 고도로 자격을 갖춘 교사 필요
  • 9년 이상의 총 교육 기간 이수 후 수준 3 과정 또는 직업 교육 또는 취업


중학교 교육의 종료는 해당 국가에 의무 교육이 있는 경우 의무 교육의 종료 시점과 일치하는 경우가 많다.[19]

'''(고등학교) 중등교육'''은 기초 교육(중학교 교육 완료)을 마친 후 시작된다. 교육의 초점은 학생들의 관심사와 미래 방향에 따라 다양하다. 이 수준의 교육은 일반적으로 자발적인 것이다.

(고등학교) 중등교육은 다음 기준을 충족할 가능성이 높다.

  • 약 9년의 기초 교육 이수 후 입학
  • 일반적인 입학 연령은 14세에서 16세 사이
  • 모든 교사는 자신이 가르치는 과목에 대해 수준 5 자격을 갖추어야 함
  • 수준 4 또는 5 과정 또는 직접 취업으로 진출[19]


2012년 국제 교육 분류는 교육 수준에 대한 추가 연구를 발표하여 특정 경로를 규정하고 고등교육 수준을 재정의했다. 중학교 교육과 (고등학교) 중등교육은 2년에서 5년 사이가 될 수 있으며, 두 교육 단계 간의 전환은 학생들이 과목 선택을 허용받는 시점이 될 수 있다.[20]

중등학교의 명칭은 국가에 따라 다르며, 이러한 명칭들의 정확한 의미도 다양하다. 중등학교는 '''아카데미''', '''칼리지''', '''김나지움''', '''고등학교''', '''리세''', '''중학교''', '''예비학교''', '''식스폼 칼리지''', '''고등학교''', 또는 '''직업학교''' 등으로 불릴 수 있다.

매 3년마다 수학, 과학, 읽기 능력에 대한 15세 학생 5,000명의 대표 표본을 평가하는 PISA 결과를 이용하여 효과를 비교하려는 시도가 있다.[15]

; 국가별 중등학교 명칭

국가중등학교 명칭
아르헨티나secundaria 또는 polimodal, escuela secundaria
오스트레일리아high school, secondary college
오스트리아김나지움 (Ober- & Unterstufe), 하웁트슐레, 호어러 분데스레어난슈탈트 (HBLA), 호어러 테흐니셰 레어난슈탈트 (HTL)
아제르바이잔orta məktəb
방글라데시Maddhomik Biddalay 또는 중학교 (6~10학년)
바하마junior high (7~9학년), senior high (10~12학년)
벨기에secundair onderwijs/école secondaire, humaniora/humanités
볼리비아educación primaria superior (6~8학년) 및 educación secundaria (9~12학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srednja škola (직역: 중학교), gimnazija (김나지움)
브라질ensino médio (공식 명칭), segundo grau (구 명칭)
브루나이대부분 sekolah menengah (영어 번역: 중학교), 일부 maktab (영어 번역: 대학)
불가리아cредно образование (8~12학년)
캐나다고등학교, 중학교 또는 중학교, secondary school, école secondaire, 대학 부속 고등학교, polyvalente
칠레enseñanza media
중국zhong xue (中学; 직역: 중학교), chu zhong (初中; 初级中学|초급 중학중국어; 직역: 하위 중학교, 7~9학년)과 gao zhong (高中; 高级中学|고급 중학중국어; 직역: 상위 중학교, 10~12학년)으로 구성됨
콜롬비아bachillerato, segunda enseñanza (직역: 제2 교육)
크로아티아srednja škola (직역: 중학교), gimnazija (김나지움)
키프로스Γυμνάσιο (김나지움), Ενιαίο Λύκειο (리체오)
체코střední škola (직역: 중학교), gymnázium (김나지움), střední odborné učiliště
덴마크김나지움
도미니카 공화국nivel medio, bachillerato
이집트Thanawya Amma (ثانوية عامة), (공립 고등학교 졸업장)
에스토니아upper secondary school, gymnasium, 리체오
피지high school, college
핀란드lukio (핀란드어) 김나지움 (스웨덴어)
프랑스collège (하위), lycée (상위)
독일김나지움, 게잠트슐레, 레알슐레, 하웁트슐레, 파호보어슐레
그리스Γυμνάσιο (3년) (김나지움), Γενικό Λύκειο (3년) (~1996, 2006~현재), Ενιαίο Λύκειο (3년), (1997~2006) (리체오)
홍콩Secondary school (中學 zung1 hok6)
헝가리gimnázium (문법학교), középiskola (종합학교, 직역: 중학교), szakközépiskola (직업 고등학교, 직역: 특수 중학교)
아이슬란드framhaldsskóli (menntaskóli, iðnskóli, fjölbrautaskóli) 11~13학년. 초등학교(1~10학년) 이후 학생들은 최소 3년이 소요되는 framhaldsskóli(직역: 계속학교)에 진학할 수 있다.
인도secondary school or high school (8~10학년), higher secondary school or senior secondary school or intermediate college or pre-university college (11~12학년)
인도네시아sekolah menengah atas (SMA) (직역: 상위 중학교), sekolah menengah pertama (SMP) (직역: 하위 중학교), sekolah menengah kejuruan (SMK) (직업학교, 직역: 중등 직업학교)
아일랜드Meánscoil 또는 Secondary School
이라크Madrasa I'dadia (مدرسة اعدادية), (예비학교)
이란Madrese Rahnamaie (مدرسه راهنمایی), (공립 고등학교 졸업장)
이스라엘Bet Sefer Tichon (בית ספר תיכון) (직역: 중학교, 하지만 실제로는 9~12학년)
이탈리아scuola secondaria di primo grado (3년) + scuola secondaria di secondo grado (5년): Liceo, Istituto Tecnico 및 Istituto professionale
자메이카High School (공립학교 7~13학년), colleges (보조금 지원 학교 7~13학년)
일본chūgakkō (中学校; 직역: 중학교), kōtōgakkō (高等学校; 직역: 고등학교), chūtōkyōikugakkō (中等教育学校; 중등학교) – 메이지 이전 교육 제도에서는 "chūsei"라고 불림
라트비아vidusskola (직역: 중학교)
리히텐슈타인gymnasium
리투아니아vidurinė mokykla (직역: 중학교), gimnazija (김나지움), licėjus (리체오)
마카오Escola secundária (中學 zung1 hok6): 중등 과정이 있는 학교는 Ensino secundário (中學教育 zung1 hok6 gaau3 juk6)
말레이시아secondary school 또는 sekolah menengah, 때때로 high school 사용
몰타skola sekondarja 또는 secondary school
멕시코educación secundaria y preparatoria
몽골бүрэн дунд сургууль
모로코아랍어: 하위: Madrasa Idadia Tahilia" (مدرسة إعدادية تأهيلية / 예비 자격학교) ; 상위: Madrasa I'dadia Thanawia" (مدرسة إعدادية ثانوية / 예비 고등학교) - 프랑스어: lycée
네덜란드middelbare school 또는 voortgezet onderwijs
뉴질랜드high school, college 또는 secondary school
나이지리아Secondary school, Junior or senior secondary school
노르웨이videregående skole
파키스탄secondary school, higher secondary school
파라과이educación media
페루educación secundaria 또는 escuela secundaria
필리핀mataas na paaralan; "junior high school" (7~10학년)과 "senior high school" (11~12학년)로 나뉨
폴란드
포르투갈2º Ciclo do Ensino Básico (5~6학년), 3º Ciclo do Ensino Básico (7~9학년), Ensino Secundário, Liceu (10~12학년)
루마니아gimnaziu (5~8학년), liceu (9~12학년)
러시아средняя школа (직역: 중학교); 5~9학년 주니어 중학교 (의무), 10~11학년 시니어 중학교 (자율)
세르비아김나지움 (4년), 전문학교 (4년), 직업학교 (3년 또는 4년)
슬로바키아gymnázium (즉, 김나지움, 문법학교 또는 고등학교로도 번역됨)
슬로베니아gimnazija (김나지움), srednja šola (직역: 중학교)
남아프리카 공화국High School 또는 Hoërskool
대한민국중고등학교 (中高等學校・Chunggodŭnghakkyo), 중등교육 (Chungdŭnggyoyuk; 직역: 중등교육), 중학교 (Chunghakkyo; 하위 중등학교, 7~9학년, "중학교 1~3학년"으로 불림)와 고등학교 (Kodŭnghakkyo; 상위 중등학교, 10~12학년, "고등학교 1~3학년"으로 불림)로 구성됨
스페인educación secundaria, 두 주기로 구성됨: E.S.O. (Educación Secundaria Obligatoria, 의무 중등교육, 4년, 7~10학년) 및 bachillerato (비의무 중등교육, 2년, 11~12학년); 이전(1983년 12월 31일 이전 출생자의 경우), 초등교육은 8학년까지 포함되었고 중등교육은 두 개의 비의무 주기로 구성됨: B.U.P. (Bachillerato Unificado Polivalente, 3년, 9~11학년) 및 C.O.U. (Curso de Orientación Universitaria, 1년, 12학년)
스리랑카junior secondary school, senior secondary school
스웨덴김나지움
스위스김나지움, 중학교, collège 또는 lycée
타이완중학교(國民中學), 고등학교(高級中學), 직업 고등학교(高級職業中學), 군사학교(軍校), 종합 고등학교(完全中學).
태국matthayommasueksa (มัธยมศึกษา; 직역: 중등교육)
트리니다드 토바고Secondary School, 1학년부터 5학년(5년) 또는 1학년부터 6학년(7년)
터키Lise
우크라이나5~9학년 김나지움 (의무), 10~12학년 리체오 (자율)
영국
미국고등학교 (일반적으로 9~12학년이지만 때로는 10~12학년, senior high school이라고도 함)는 항상 중등교육으로 간주됨; junior high school 또는 intermediate school 또는 중학교 (6~8, 7~8, 6~9, 7~9 또는 기타 변형)는 때때로 중등교육으로 간주됨.
우루과이Liceo 또는 Secundaria (3년 의무 교육: Ciclo Básico; 3년 전문화 교육: Bachillerato Diversificado, 인문학(법학 또는 경제학), 생물학(의학 또는 농학), 과학(공학 또는 건축학), 예술로 분류)
베네수엘라bachillerato
베트남Trung học cơ sở|쭝 혹 꺼 써vi (약칭 THCS, 직역: 기초 중학교, 미국의 중학교에 해당); trung học phổ thông|쭝 혹 포 통vi (약칭 THPT, 직역: 일반 중학교, 미국의 고등학교에 해당)


5. 1.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중등 교육 기관은 중학교고등학교에 해당하며, 중학교 교육 기간은 의무 교육으로 지정되어 있다.[10]

1996년 유럽 평의회는 중등 교육을 보장하는 개정 유럽 사회 헌장을 채택했다.[10]

2017년 휴먼라이츠워치는 국가가 모든 사람이 무료로 이용할 수 있고 하위 중등 교육이 끝날 때까지 의무적인 중등 교육을 보장하기 위한 즉각적인 조치를 취할 것을 촉구했다. 이는 중등 교육을 교육받을 권리의 최소 핵심 요소로 포함하고 즉각적인 의무로 간주하자는 것이었다.[12]

5. 2. 아르헨티나

아르헨티나의 중등 교육은 무료이고 의무 교육이다.[1] 유네스코(UNESCO)는 급변하는 세계에서 젊은이들이 삶과 직업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중등 교육 시스템을 재편하여 광범위한 생활 기술을 전수해야 한다고 믿는다.[1] 이러한 기술에는 핵심적인 일반 역량, 직업 특정적이지 않은 실용적인 능력, 정보통신기술(ICT),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 팀워크, 기업가 정신 및 시민 의식이 포함되어야 한다.[1]

법치를 위한 GCED 중등 교육 수준의 학습 결과


이러한 기술은 공통적인 기초 학습 기간을 통해 가장 잘 함양될 수 있으며, 학생들을 학문적 및 직업적 분야로 진로를 지도하는 것은 가능한 한 늦추어야 한다.[1] 그 후에는 학생들의 적성과 성향에 따라 분야 간 자유로운 이동을 보장하는 유연성이 있어야 한다.[1] 한 분야의 자격 인정은 다른 분야에서도 동등하게 인정되어야 하며 고등 교육 진학에도 동등하게 적용되어야 한다.[1] 이를 통해 젊은이들은 다양한 기술을 갖추게 되어 임금 근로자 또는 자영업자로서 여러 번 직장에 입·퇴사하고, 기술이 쓸모없어졌을 때 스스로 재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준비된다.[1]

유네스코는 모든 국가 또는 특정 국가의 모든 공동체에 적합한 단일 모델이 없다는 것을 인식한다.[1] 중등 교육 정책은 과학 기술, 경제 및 사회적 변화에 발맞추기 위해 지속적으로 검토되어야 한다.[1]

5. 3. 벨기에

벨기에의 교육은 3단계로 나뉘며, 중등 교육은 3개의 순환 과정(cycle)으로 구성된다.[13]

  • 1년과 2년 (First cycle)
  • 3년과 4년 (Second cycle)
  • 5년과 6년 (Third cycle)


중등학교는 청소년의 사회화, 발달, 그리고 정의, 민주주의, 인권에 대한 사고방식과 접근 방식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13]

5. 4. 미국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미국' 또는 '중등교육'에 대한 내용이 없습니다. 따라서, 주어진 섹션 제목에 해당하는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이 결과는 이전 결과와 동일하며, 주어진 지시사항에 따라 수정할 부분이 없습니다.)

5. 5. 영국

영국의 공립 중등교육은 무상으로 제공된다. 잉글랜드는 전기 중등교육(키 스테이지 4, 16세 수료)까지 의무교육이며, 졸업 시험으로 GCSE가 시행된다. 후기 중등교육은 식스폼 칼리지와 지속교육 칼리지가 있으며, 전자는 대학 진학 자격인 A레벨을, 후자는 전국 직업 자격(NVQ) 취득 등을 목표로 한다. 퍼블릭 스쿨은 전기·후기를 일관하여 교육하는 중등교육학교이다.

5. 6. 이탈리아

이탈리아의 중등 교육은 다음 두 단계로 나뉜다.

  • 전기 중등교육 (Scuola secondaria di primo grado, 흔히 Scuola media로 불림): 11세부터 13세까지 3년 과정이다.
  • 후기 중등교육 (Scuola secondaria di secondo grado, 흔히 Scuola superiore로 불림): 14세부터 19세까지 5년 과정이다.


이 두 단계는 모두 의무교육이다.

5. 7. 네덜란드

네덜란드의 중등 교육은 12세부터 시작되며, 크게 세 가지 진로로 나뉜다.[7] 18세가 되거나 디플로마를 취득하면 의무 교육이 종료된다.[7]

네덜란드 교육 제도. 연구 계열과 직업 계열로 진로가 나뉜다

  • 직업 중등 교육 (VMBO)
  • 고등 일반 교육 (HAVO) - 고등직업교육기관 (HBO) 진학 준비
  • 대학 준비 중등 교육 (VWO) - 연구대학 (WO) 진학 준비

5. 8. 스페인

스페인의 중등 교육은 전기 중등 교육까지 의무 교육이다.[22]

  • 전기 의무 중등 교육 - 2년
  • 일반 후기 중등 교육 - 2년

5. 9. 대만

대만의 중등 교육은 전기와 후기로 나뉘며, 전기까지는 의무 교육이다.

  • 전기 중등 교육: 국민중학교(國民中學). 12~14세, 3년 과정.
  • 후기 중등 교육: 고급중학교(高級中學), 고급직업학교(高級職業學校), 5년제 전문학교 등.

5. 10. 중국

중화인민공화국의 중등 교육은 전기와 후기로 구분되며, 전기는 의무교육이다.

  • 전기 중등교육인 중학교는 기본적으로 3년제이지만, 농촌 지역에서는 4년제도 적지 않다.
  • 후기 중등교육은 일반 교육을 실시하는 학교와 직업 교육을 실시하는 학교로 나뉜다.
  • 일반 교육은 고급중학(3년제, 일본의 일반과 고등학교에 해당)에서 이루어진다.
  • 직업 교육은 중등전문학교(4~5년제, 일본의 고등학교에 해당), 기술노동자학교(3년제, 기술학교, 일본의 공업고등학교에 해당), 직업중학(2~3년제, 일본의 실업고등학교나 전문고등학교에 해당) 등에서 이루어진다.

5. 11. 덴마크

덴마크의 중등 교육은 초등학교(K7-10)까지가 의무교육이다.[23]

  • 전기 중등교육 - Grundskole (K7 - 10)
  • 후기 중등교육 - 고등교육 준비 과정과 직업 교육으로 나뉜다.

5. 12. 독일

독일의 중등 교육은 무상으로 제공된다.[7]

독일의 중등 교육은 초등 교육 종료 후 10세부터 시작되며, 다음 중 하나의 진로를 선택한다.[7]

  • 김나지움(Gymnasium) - 고등 교육 진학 준비 과정[7]
  • 기간 학교(Hauptschule) - 직업 학교 진학 준비 과정[7]
  • 실과 학교(Realschule) - 취업 준비 과정[7]


의무 교육은 15~16세에 종료되지만, 취업을 선택한 자는 18세가 될 때까지 취업과 직업 학교 파트타임 통학을 병행할 의무를 진다.[7] 이것을 듀얼 시스템이라고 한다.[7]

5. 13. 일본

일본의 중등 교육은 기본적으로 전기 중등 교육(중학교)과 후기 중등 교육(고등학교)으로 나뉜다.[24][25][26]

2007년 이후, 학교교육법에서는 중등교육학교에서 "의무 교육으로서 행해지는 보통 교육"(이 중 기본적인 것을 제외) 및 "고도의 보통 교육"과 "전문 교육"을 제공하게 되어 있으며, 중학교에서 "의무 교육으로서 행해지는 보통 교육"(이 중 기본적인 것을 제외)이, 고등학교에서 "고도의 보통 교육"과 "전문 교육"이 각각 제공된다.

학제 개혁 이후 일본에서는 거의 모든 성인이 중등 교육을 수료하고 있다.
전기 중등 교육 기관 (중학교 과정)

  • 중학교
  • 의무교육학교의 후기과정 - 2016년 4월 1일부터 시행
  • 중등교육학교의 전기과정
  • 특수학교("지원학교")의 중학교 과정

후기 중등 교육 기관 (고등학교 과정)

  • 고등학교(고교)
  • 중등교육학교의 후기 과정
  • 특수학교(지원학교)의 고등부
  • 전문학교의 고등과정(고등전문학교)
  • 각종학교(전기 중등교육 수료 이상이고 수업연한이 2년 이상인 경우)


전기 중등교육 수료자를 대상으로 하는 학교로서, 5년제[27]고등전문학교(고전)도 있으며, 교육과정은 후기 중등교육에서 다루는 내용도 포함하지만, 고등교육 기관이며, 후기 중등교육 기관인 고등학교와는 별개의 교육 편성이 이루어진다.

일본에서는 자유민권운동이 활발했던 시대에 각지의 민권 결사가 중등교육 기관을 설립했다. 토사의 립시학사, 후쿠시마의 석양관, 교토의 텐쿄기숙 등이 유명하며, 그곳에서는 높은 수준의 정치학, 경제학, 역사학 등이 가르쳐졌다.[28] 당시의 유능한 젊은이들은 중학교나 민권파의 중등학교에서 배우고, 운동가나 각 지역의 선도자로 활동했다.[28]

당시 중학교는 지방에서 문화 시설로 기능했고, 민권 운동가였던 지역의 명망층이 대부분을 장악하고 있었다. 민권파의 움직임에 대항하기 위해 정부는 중등교육 방침에서 통제 강화, 전통적인 도덕에 의한 국민 의식 통일, 실업 교육의 충실을 도모했다.[28]

초대 문부대신에 취임한 모리 아리토모(森有禮)는 중등교육 개혁에 착수했다. 그때까지 중등교육은 중등 수준의 교육, 고등교육은 고등 수준의 교육이라는 모호한 규정에 머물러 있던 것을, 중등교육은 국민의 중간층을 만드는 것이며, 또 사회 상류층 인사를 만드는 고등교육으로 가는 중간 교육의 역할과 위치를 정하고, 학교 체계를 계층 질서와 대응시켜 획기적인 의미를 부여했다.[28]

1886년(메이지 19년)의 학교령으로 학교는 국가의 인재 배분 기관으로 위치 지어지고, 근로 및 중간・상류라는 계층적 질서에 대응하여 초등, 중등, 고등 교육 기관이 배치되었다.[28]

1899년(메이지 32년) 2월 중학교령이 개정되어 진학 준비 교육과 직업 교육의 이중 체제였던 중학교 체제는 일반 교육으로 일원화되었다. 각 부현에서 중학교를 1교 이상 설립하는 것이 의무화되었고, 사립, 정립, 조합립 중학교의 설립이 인정되었으며, 아울러 실업학교령도 공포되었다.[28] 청일전쟁 이후 일본 사회의 근대화에 따라 중산층의 활동 범위가 넓어지면서 중등교육의 수요는 높아졌다.

1910년대(메이지 43년 - 다이쇼 8년)에 농촌 지역에서도 중・고등 교육 기관 진학이 가치 있는 진로로서 “마을의 자랑”으로 평가되었다. 역장 문서의 “마을 정치 일반” 등에 마을의 초등학교에서 중등교육 기관, 고등교육 기관으로 진학한 수가 기록되어 있다.[28]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후 1943년(쇼와 18년) 1월, 중등학교령으로 중학교・고등여학교・실업학교는 모두 4년제 “중등학교”로 통일되었다. 전시 체제였지만 중・고등 교육의 수요가 증가했지만, 전시였기에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대응을 요구하여 4년으로 통일했다.[28]

5. 14. 노르웨이

노르웨이의 중등 교육은 전기와 후기로 나뉘며, 전기는 의무교육이다.[29]

  • 전기 중등교육: 13~16세를 대상으로 하는 3년 과정이며, 사립학교도 있다.
  • 후기 중등교육: 3년 과정이며, 일반 교육과 직업 교육으로 나뉜다.

5. 15. 프랑스

프랑스의 중등 교육은 콜레주(4년)와 리세(2~3년)의 두 단계로 나뉜다. 콜레주 과정까지는 의무교육이며, 국립 및 공립 중등 교육은 무상으로 제공된다.[7] 리세에서는 바칼로레아 취득 코스(3년)와 직업 적성 증명서 취득 코스(2년)를 운영한다.[7]

5. 16. 폴란드

폴란드의 초기 중등 교육 기관은 김나지움(Gimnazja)이며, 13세부터 16세까지 3년 과정의 의무 교육이다.

그 후 진로는 일반 중등 교육을 실시하는 리체움(Lyceum)과 직업 교육을 실시하는 테흐니쿰(Technikum (Polish education))으로 나뉜다.

5. 17. 홍콩

홍콩의 중등 교육은 전기와 후기로 나뉜다.

  • 전기 중등교육: 중1부터 중3까지의 중학과정(3년)이며, 의무교육이다.
  • 후기 중등교육: 중4부터 중6까지의 고등학교 과정(3년)이다.

참조

[1] 서적 Gutenberg: How One Man Remade the World with Words https://archive.org/[...] John Wiley and Sons, Inc.
[2] 서적 English Biblical Translation Andrè Deutsch
[3] 서적 Comenius: A Critical Reassessment of his Life and Works
[4] 웹사이트 Didactica Magna https://web.archive.[...] 2017-03-13
[5] 뉴스
[6] 웹사이트 The Revolution, Napoleon, and Education http://www.napoleon-[...] 2017-03-16
[7] 간행물 Raising the Participation Age – Timeline http://media.educati[...] HMSO 2012-08-24
[8] 간행물 Raising the Participation Age (RPA) – Myth Buster for Young People http://media.educati[...] HMSO 2013-07-29
[9] 웹사이트 School leaving age https://www.gov.uk/k[...] HMSO 2014-11-19
[10] 웹사이트 European Social Charter https://rm.coe.int/1[...] 1996-06-18
[11] 뉴스 Malala Yousafzai receives offer to study at UK university https://www.theguard[...] 2017-03-11
[12] 학술지 It's Time to Expand the Right to Education 2022-05-30
[13] 서적 Empowering students for just societies: a handbook for secondary school teachers https://unesdoc.unes[...] UNESCO
[14] 학술지 Curriculum reform and supporting structures at schools: challenges for life skills planning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in China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Hong Kong) https://link.springe[...]
[15] 서적 Invitation to The Life Span worth 2014-03-03
[16] 웹사이트 The Australian educational system https://www.dfat.gov[...] 2024-08-31
[17] 웹사이트 Secondary Education in Hong Kong https://wenr.wes.org[...] 2013-01-01
[18] 웹사이트 A Brief Description of the Irish Education System https://assets.gov.i[...] 2024-08-31
[19] 웹사이트 Digest of Education Statistics, 2011 https://nces.ed.gov/[...] 2024-08-31
[20] 웹사이트 Educación Secundaria Obligatoria https://educagob.edu[...] 2024-08-31
[21] 웹사이트 Inter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of Education (ISCED) https://ec.europa.eu[...] 2024-08-31
[22] 웹사이트 ISCED 2011 Mappings - Spain http://www.uis.unesc[...] UNESCO 2016-03-05
[23] 웹사이트 ISCED mapping - Denmark http://www.uis.unesc[...] UNESCO 2015-11-13
[24] 법률 2007년 개정 전 学校教育法 제51조의2
[25] 법률 2007년 개정 전 学校教育法 제35조
[26] 법률 2007년 개정 전 学校教育法 제41조
[27] 백과사전 상선계 고등전문학교의 수업연한
[28] 서적 日本の教育改革--産業化社会を育てた130年 中央公論新社 2008-12-07
[29] 웹사이트 ISCED mapping - Norway http://www.uis.unesc[...] UNESCO 2015-11-13
[30] 웹사이트 중등 교육 http://www.encyber.c[...]
[31] 웹사이트 중등 교육 http://www.encybe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