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사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반사회는 시민성 함양을 목표로, 사회과학 지식, 탐구 능력, 민주적 가치 등을 교육하는 교과목이다. 20세기 초 미국에서 이민자 교육을 위해 시작되어, 세계화, 정보화 시대를 거치며 인지 심리학적 학습 모형을 도입하는 등 변화를 겪었다.
사회과의 본질은 시민성 전달, 사회과학, 반성적 탐구, 사회 비판, 개인 발달 모형 등으로 다양하게 제시되며, 각국은 자국의 상황에 맞춰 시민 교육을 실시한다. 영국은 필수 과목으로 지정하여 정치, 금융, 자원 봉사, 법률 등을 가르치며, 프랑스는 테러 공격 이후 시민 의식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교육을 개편했다. 일본의 일반사회는 정치, 경제, 윤리, 사회 영역을 포괄하며, 교원 양성을 위한 다양한 학문 분야를 요구한다. 시민 교육은 비판적인 시각과 민주적 실천의 부재, 학교의 비민주적인 환경 등에서 비판을 받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등 교육 - 중등교육
중등 교육은 고등학교, 중학교 등을 포함하며, 유네스코의 분류에 따르면 초중등 교육에 해당하고, 많은 국가에서 의무 교육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시대 변화에 맞춰 다양한 생활 기술과 정의, 민주주의, 인권에 대한 사고방식을 가르치는 역할을 한다. - 중등 교육 - 중등학교 졸업 증명
중등학교 졸업 증명은 국가별 교육 시스템에 따라 형태가 다르지만, 중등학교 과정을 성공적으로 마쳤음을 공식적으로 인정하는 중요한 문서로서, 대학 입학이나 취업 등 사회 진출의 중요한 기준이 된다. - 사회과학 - 지리학
지리학은 지구와 천체의 특징, 현상, 그리고 공간적 요소를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으로, 고대부터 현재까지 이어진다. - 사회과학 - 정책학
정책학은 정책 과정, 형성, 집행, 분석, 평가 등을 연구하는 사회과학 분야로서, 다양한 과학적 방법론과 이론을 활용하여 민주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를 고려하며, 현대 사회 문제 해결 및 정책 전문가 양성을 목표로 한다. - 민주주의 - V-Dem 민주주의 지수
V-Dem 민주주의 지수는 민주주의 다양성 연구소에서 발표하는 지표로, 선거, 자유, 참여, 숙의, 평등 민주주의 등 다섯 가지 핵심 지수를 포함하여 민주주의의 다양한 측면을 측정한다. - 민주주의 - 시민
시민은 법적인 권리와 의무를 지니는 정치 공동체의 구성원이며, 고대 그리스 폴리스에서 유래하여 국민 국가의 구성원, 참정권과의 관계, 세계 시민주의 등의 다양한 의미로 사용된다.
일반사회 | |
---|---|
일반 | |
학문 분야 | 사회과학 |
하위 분야 | 정치학 경제학 사회학 |
교육 | |
목적 | 시민 의식 함양, 민주주의 가치 교육, 사회 참여 독려 |
내용 | 정치 제도 경제 원리 사회 구조 문화 다양성 역사 인식 |
방법 | 토론 프로젝트 학습 시뮬레이션 현장 학습 봉사 활동 |
관련 역량 | 비판적 사고 능력 문제 해결 능력 의사소통 능력 협업 능력 정보 활용 능력 시민 참여 능력 |
중요성 | 민주 시민 양성, 사회 통합, 국가 발전 기여 |
역사 | |
기원 | 고대 그리스, 로마 시대의 시민 교육 |
발전 | 계몽주의 시대의 시민 혁명 산업 혁명 시대의 공교육 확대 세계화 시대의 다문화 교육 강조 |
관련 학문 | |
관련 학문 | 정치학 경제학 사회학 역사학 교육학 |
관련 기관 | |
관련 기관 | 교육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전국사회교과모임 |
참고자료 | |
참고자료 | 차경수, 모경환 (2014년 2월 28일). 《사회과교육》. 동문사. ISBN 978-89-8251-302-2. |
2. 역사
2. 1. 세계 시민교육의 역사
2. 1. 1. 1920년대 이전
시민교육은 인류가 사회를 형성하면서 시작되었으나, 여러 사회과학 학문을 통합하여 사회과로 등장한 것은 20세기 초반, 미국 사회였다. 당시 미국은 이민자를 미국화하고, 미국 남부에서 북부로 이주한 이주민이 도시에 적응하도록 교육을 실시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러한 사회적 요구는 지식 전달 중심의 전통적 교육에 대한 개혁을 요구하는 형태로 나타났고, 이 요구에 부응하여 1892년 전미교육협회에서 10인 위원회를 조직해 직업생활과 시민교육을 포함한 교육과정을 제시하였으나, 여전히 지식 전달 중심의 전통적 교육을 벗어나지 못하였다.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해 전미교육협회는 7인 위원회를 조직하여 전통적인 역사교육에서 벗어나 과학적인 프로그램을 제시하였으나, 이 또한 시민교육의 이상에 미치지 못하였다. 이에 전미교육협회에서 사회과위원회가 등장하여 1916년에 '중등교육의 사회과' 등의 보고서를 통하여 사회과라는 교과를 창설할 것을 주장하였다.[21]2. 1. 2. 1920년대 ~ 1950년대
사회과가 본격적으로 학교에 도입된 것은 제1차 세계대전 이후인 1920년대이다. 이 시기 미국의 교육은 존 듀이의 진보주의 교육을 중심으로 하였고, 사회과 역시 학습자의 필요·흥미·성장에 맞추어 진행되었다. 특히 사회과는 융합형·통합형·중핵형 교육과정과 같은 교육적 실험을 통하여 기존의 교과목들과 차이를 두었으며, 내용 역시 학문보다는 실제 생활과 경험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그러나 제2차 세계대전과 냉전을 거치면서 보수주의의 움직임이 강화되어 애국적 시민교육이 강조되었다.[22]2. 1. 3. 신사회과 운동 (1960년대)
냉전과 스푸트니크 충격으로 인해 사회과의 교육과정은 문제 중심의 교육과정에서 학문 중심의 교육과정으로 선회하였으며, 특히 학문과 지식의 구조가 강화되면서 사회과는 사회과학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이 개혁되었다.[23] 또한 흑백갈등 등으로 큰 사회문제를 경험한 미국은 인간에 대한 이해를 강조하였다.[24] 교육방법적인 면에서는 발견학습·탐구학습·학제적 접근법이 새로 등장하여 학생들이 여러 가지 교육자료를 활용하여 학문적 구조를 스스로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25]2. 1. 4. 1980년대 ~ 1990년대
정보화·세계화·개방화로 인하여 인지심리학의 영향을 받아 사회과는 인지적 구성주의의 관점에서 학습모형이 개발되었다. 정보처리모형, 개념학습, 고차사고력, 의사결정학습모형이 발달하였다. 교육내용적인 면에서도 기존 사회과학을 넘어서 대중문화, 여성학과 같은 생활문제 영역이 교육자료로 구성되고 있다.[26]2. 1. 5. 2000년대 이후
2001년, 크릭 보고서(1998년)의 권고에 따라 잉글랜드에서 시민 교육이 국가 커리큘럼의 필수 과목으로 도입되었다. 1997년 선거 승리 이후 뉴 레이버 정부가 의뢰한 이 보고서는 '국가적으로나 지역적으로 이 나라의 정치 문화를 변화시키기 위해, 사람들이 스스로를 공공 생활에 영향력을 행사할 의지와 능력을 갖추고, 말하고 행동하기 전에 증거를 평가할 수 있는 비판적 능력을 가진 적극적인 시민으로 생각하도록 하는 것'을 요구했다.[1] 그 이전인 1990년부터 '시민 교육' (CG8)이라는 교과 과정 연계 주제가 존재했다.2001년 해당 과목이 도입됨과 동시에 종단 연구가 시작되었다. 이 연구는 10년 동안 시민 교육의 영향을 연구했다. 2007/8년에는 커리큘럼이 개정되어 민주주의와 정의, 권리와 책임, 정체성과 다양성(영국 내 공존)의 '핵심 개념'과 비판적 사고 및 탐구, 옹호 및 표현, 정보에 입각한 책임감 있는 행동의 '핵심 과정'에 중점을 두었다. 특히 이 버전의 커리큘럼은 제도에 대한 지식을 넘어 시민 교육의 실질적인 측면에 관심을 기울였다.
2010년 총선 이후 새로운 연립 정부가 선출되면서 시민 교육을 포함한 국가 커리큘럼에 대한 검토가 시작되었다. 과목이 국가 커리큘럼에서 완전히 삭제될 것이라는 초기 우려에도 불구하고, 시민 교육은 유지되었다. 그러나 기술과 실습보다는 지식에 초점을 맞춘 개정된 내용이 발표되었으며, 비판적 사고, 정치, 미디어 리터러시, 금융 기술 및 돈에 대한 강조가 있었다.[2][3]
GCSE "시민 교육 연구"는 Key Stage 4 학생들을 위해 제공된다. 이 자격증은 학생들이 참여한 적극적인 시민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한 통제된 평가를 포함한다. 또한 시민 교육 연구 A-레벨 과목도 있다. 이 자격증은 케임브리지 대학교와 옥스퍼드 대학교를 포함한 유수의 대학교에서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2017년 이후 GCSE 시민 교육 연구 응시가 급증하여 2017년부터 2023년까지 40% 증가했다.[4]
각 국가별로 시민 교육의 내용과 방식에 차이가 있지만, 민주주의 사회의 유지 및 발전을 위해 시민교육의 중요성은 점차 강조되고 있다.
2. 2. 한국의 시민교육
3. 사회과의 본질
바, 바스, 셔머스는 20세기 사회과교육가들이 발전시켜온 사회과의 본질을 세 가지로 분류하여 제시하였다. 넬슨과 마이클리스는 여기에 두 가지를 더하여 논의를 확장하였다. 그러나 어느 하나의 입장이 본질에 가깝다고 볼 수는 없고, 논의를 풍부하게 전개할 수 있다.
3. 1. 시민성 전달모형
시민성 전달모형은 교육학 일반의 '문화유산 전달모형'을 일반사회에 적용한 것이다. 문화 존속에 필요하다고 국가, 지방자치단체, 교사가 판단한 지식이나 기능, 가치 및 태도를 교수하여 학습자가 미래 시민으로 성장하도록 돕는 데 목적이 있다.[27] 주로 국가 단위 수준에서 표준화가 이루어지며, 직접 교수 방식인 강의식 수업을 주로 사용한다.[27] 시민성 전달모형은 전통 가치와 신념 체계를 전달해 사회 유지와 안정을 도모할 수 있으나, 시대 흐름에 대응하기 어렵고 다원적인 민주주의의 가치를 담보할 수 없다는 지적이 있다.[27]3. 2. 사회과학모형
사회과학모형은 사회과학의 탐구 방식과 학문 내용을 습득한 '꼬마 사회학자'를 양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는 1960년대 학문중심 교육과정이 대두되면서 부흥하였다.[28] 따라서 사회과 교사들은 학생들이 사회과학자들이 중요시하는 사회문제를 해결해야한다고 주장한다.[28] 그러나 실생활의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추상적인 사회과학의 문제해결방식이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비판이 있다.[28]3. 3. 반성적 탐구모형
반성적 탐구모형은 실생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반성적 사고력을 기르는 것을 중요시한다. 따라서 특정한 가치와 태도를 교수하기보다는 학습자 스스로 자신의 가치체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가르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종합적 사고와 통찰을 통해 분과학문적인 교육이 아닌 통합교과적인 교육이 진행된다. 급변하는 현대사회의 문제를 다루는 데에는 적합하나, 학문체계에 대한 기초가 약화되며, 실제 수업에서 활용하기에는 추상적이라는 지적이 있다.[29]3. 4. 사회비판모형
사회비판모형은 다양한 영역에서 정의·평등을 실현시키기 위하여 학습자가 어떠한 노력을 할 수 있는가를 깨닫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따라서 사회의 부정의·불평등을 인식하고 비판적 입장을 견지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한다.[30] 주로 사회적 소수자와 기회균등에 관한 내용을 교수한다. 그러나 비판적 사고력이 중요하지만 전통적 가치나 신념을 일방적으로 부정하고 지식의 기초가 약해질 수 있다는 지적이 존재한다.[30]3. 5. 개인발달모형
개인발달모형은 사회과교육을 개인의 발달을 추구하는 것을 본질로 본다. 진보주의와 실존주의 철학에 기반하며, 적극적인 자아개념과 자아발달 및 성취, 취업준비, 생활능력의 함양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31] 학생의 요구에 따른 학생중심의 교육과정이 구성될 수 있으나, 사회성 발달이 저해될 수 있다는 지적이 존재한다.[31]4. 사회과의 목표
사회과의 주된 목표는 '시민으로서의 실천적 행동', 즉 '시민성'을 함양하는 것이다.[32] 이를 위해 사회과학에 대한 지식, 자료의 탐색과 해석 등의 기능, 인간에 대한 인도적인 접근 등의 태도, 민주적 기본 가치를 익히도록 설정되어 있다.[32] 초기에는 강조되는 바의 통일성이 없이 중구난방이었고, 1950년대 이후 반성적 사고를 강조하였지만 행동적으로 세분화되지는 못하였다. 신사회화 시기에는 사회과를 구성하는 배경 학문을 구조화하고, 탐구기능이 강조되었다. 최근에는 고차사고력과 가치교육, 시민행동을 강조하고 있다.[33]
5. 각국의 시민 교육
5. 1. 영국
2001년부터 시민 교육이 잉글랜드 국민 교육 과정의 법정 과목이 되었다.[1] 잉글랜드의 공립학교에서 11세에서 16세 사이의 모든 학생들에게 학교 교육 과정의 일부로 가르쳐야 한다. 현재의 학습 프로그램은 2014년에 도입되었으며, 정치, 금융 기술, 자원 봉사, 법률의 4가지 주요 영역을 중심으로 교육한다.- 정치: 영국의 의회 민주주의; 의회, 투표, 선거, 정당; 민주적 절차를 통한 시민의 영향력; 영국 외의 다른 정부 체제; 영국과 유럽, 영연방, 더 넓은 세계와의 관계를 다룬다.
- 금융 기술: 돈의 기능과 사용; 개인 예산 편성, 자금 관리; 임금, 세금, 신용, 부채, 금융 위험, 금융 상품 및 금융 서비스를 다룬다.
- 자원 봉사: 시민이 지역 사회 개선에 기여할 수 있는 방법; 지역 사회 자원 봉사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기회를 제공한다.
- 법률: 영국의 시민들이 누리는 소중한 자유; 규칙과 법률의 본질, 형법 및 민법; 사법 제도; 영국의 다양성 - 상호 존중과 이해의 필요성을 다룬다.
1998년 크릭 보고서의 권고에 따라 2001년 잉글랜드 국가 커리큘럼의 필수 과목으로 도입되었다.[1] 1990년부터 '시민 교육' (CG8)이라는 교과 과정 연계 주제가 존재했지만, 1997년 뉴 레이버 정부는 국가적, 지역적으로 정치 문화를 변화시키기 위해 시민 교육을 강화했다.[1]
2001년 과목 도입과 함께 종단 연구가 시작되어 10년 동안 시민 교육의 영향을 연구했다. 2007/8년에는 커리큘럼이 개정되어 민주주의, 정의, 권리와 책임, 정체성과 다양성 등의 '핵심 개념'과 비판적 사고, 탐구, 옹호 및 표현, 정보에 입각한 책임감 있는 행동 등의 '핵심 과정'에 중점을 두었다.
2010년 총선 이후 시민 교육을 포함한 국가 커리큘럼에 대한 검토가 시작되었고, 시민 교육은 유지되었다. 그러나 기술과 실습보다는 지식에 초점을 맞춘 개정된 내용이 발표되었으며, 비판적 사고, 정치, 미디어 리터러시, 금융 기술 및 돈에 대한 강조가 있었다.[2][3]
GCSE "시민 교육 연구"는 Key Stage 4 학생들을 위해 제공되며, A-레벨 과목도 있다. 이 자격증은 케임브리지 대학교와 옥스퍼드 대학교를 포함한 유수의 대학교에서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2017년 이후 GCSE 시민 교육 연구 응시가 급증하여 2017년부터 2023년까지 40% 증가했다.[4]
5. 2. 아일랜드
1990년대 아일랜드 공화국에서 시민 교육이 의무 과목으로 도입되었다. 이는 CSPE(시민, 사회 및 정치 교육)로 알려져 있으며, 12세에서 16세 사이의 학생들에게 가르친다.5. 3. 프랑스
프랑스에서 시민 교육은 고등학교에서는 ECJS(교육 시민, 법률 및 사회)로, 중학교 및 초등학교에서는 "시민 교육"으로 알려져 있다.[5]2015년 1월 7일부터 9일까지 파리에서 발생한 테러 공격에 대한 대응으로 프랑스는 프랑스 교육 시스템에 시민 의식을 재통합하기 위한 새로운 계획을 발표했다. 이 계획은 교사의 권위를 회복하고, 공화국의 가치를 강화하며, 공동체 가치와 봉사를 장려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여기에는 교사 연수, 학생과 보호자가 모두 서명해야 하는 연례 헌장, 학생의 비행에 대한 사회 봉사 과제, 매년 12월 9일에 라이시테 (세속주의)의 날이 포함된다.[6][7][8]
5. 4. 폴란드
폴란드에서 시민 교육은 WoS( Wiedza o społeczeństwiepl, 문자 그대로 "사회 지식")로 알려져 있으며, 마투라 과목 중 하나로 학습된다.5. 5. 핀란드
핀란드의 시민 교육은 YH, YT 또는 YO(yhteiskuntaoppifi)로 알려져 있다.5. 6. 노르웨이
노르웨이에서 시민 교육은 사회과의 주요 임무이다.[9]5. 7. 스웨덴
스웨덴에서 시민 교육은 주로 사회 과목(삼헬스쿤스캅/Samhällskunskapsv)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가정 경제학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 ''Hem- och konsumentkunskap'' 과목 내의 소비자 경제학도 포함한다.5. 8.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의 시민 교육은 국가적으로 설계되고 시행된다.[10]5. 9. 중국
중국에는 "인민성" 교육이라고 불릴 수 있는 시민 교육이 존재한다.[11]5. 10. 온두라스
온두라스에서는 6학년 졸업을 위해 학생들은 "국가 시험"을 통과해야 한다. 이 시험은 학생들의 국가 역사에 대한 이해뿐만 아니라 국기와 국장에 대한 이해를 측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12]5. 11. 미국
미국에서 "시민 교육"으로 알려진 과정은 미국 정부의 구조와 운영에 대한 기본 사항과 미국 시민의 권리와 의무를 가르친다. 39개 주와 컬럼비아 특별구는 고등학교 시민 교육을 최소 6개월에서 1년 동안 이수하도록 요구하는 반면, 나머지 11개 주는 시민 교육 이수 요건이 없다.5. 12. 베트남
베트남에서 시민 교육은 철학, 윤리, 정치 경제, 과학적 사회주의, 법, 당의 지침 및 관점, 그리고 베트남 국가의 몇 가지 중요한 정책과 관련된 다양한 분야의 지식 체계이다.6. 일본의 시민 교육
6. 1. 개요
6. 2. 내용
일반사회는 교육 내용을 기준으로 정치, 경제, 윤리, 사회 영역으로 나눌 수 있다. 정치 영역은 국제 정치와 법을, 경제 영역은 국제 경제, 금융, 유통을 포함한다. 윤리 영역은 철학과 과학 기술에 대한 내용을, 사회 영역은 청년기의 문제를 포함한 현대 사회의 여러 문제를 다룬다.'현대 사회'에서는 이 모든 내용을 망라적으로 다루며, '정치·경제'에서는 정치와 경제 영역을, '윤리'에서는 윤리와 사회 영역을 중심으로 다룬다.
6. 3. 교원 양성
일본에서 고등학교 '공민'의 교원 면허를 취득하기 위해서는 교육 직원 면허법 시행 규칙 제5조에 따라 정치학(국제 정치 포함) 또는 법학(특히 헌법, 국제법 포함), 경제학(국제 경제 포함) 또는 사회학, 철학, 윤리학, 종교학, 심리학, 공민과 교육학(중학교의 경우 사회과 교육학) 등을 포함하는 과목을 각각 2단위 이상 이수해야 한다.[18] 2010년 2월 현재, 중학교 '사회'·고등학교 '공민'의 교원 면허는 교원 양성 계열이나 사회 과학 계열의 많은 대학·학부(통신 교육 포함)에서 취득 가능하다.[19]공민 교육이 다루어야 할 학문 영역이 다방면에 걸쳐 있어 면허 취득이 가능한 대학·학부가 다른 교과보다 많지만, 고등학교에서 교과 '공민'의 수요가 높지 않아(특히 대학 입시와 관련하여) 교원 채용 시험에서 높은 경쟁률을 보이기 쉽다. 따라서 복수 면허(특히 "지리 역사") 취득이 사실상 필수적이다.
중학교 '사회' 면허 취득을 위해서는 공민 교육 분야 외에 일본사, 외국사(서양사, 동양사), 지리학의 단위를 각각 2단위씩 이수해야 한다.
7. 시민 교육의 비판
일부 교육 철학자들은 대부분의 정부와 주류 정책이 시민 교육에 대한 의심스러운 접근 방식을 자극하고 옹호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학생들에게 정치 참여와 연대에 도움이 되는 특정 성향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지만, 좋은 시민의 본질에 대해서는 근본적으로 다른 견해가 있으며, 교육은 자율성과 열린 마음을 포함하고 발전시켜야 한다. 따라서 정치 참여와 연대를 교육의 목표로 간주할 때 가능한 것보다 더 비판적인 접근 방식이 필요하다.[15]
일부 교육학자들은 학교가 의사 결정에 아이들이 발언할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민주적 실천을 스스로 반영하지 않는 한, 아이들에게 시민의 이론을 가르치는 것만으로는 효과가 없다고 주장한다. 그들은 학교가 근본적으로 비민주적인 기관이며, 그러한 환경에서는 시민 교육이 적절한 영향을 미치기 위해 필요한 민주적 가치에 대한 헌신과 신념을 아이들에게 심어줄 수 없다고 제안한다.[16] 일부 교육학자들은 이러한 비판을 존 듀이(John Dewey)와 관련시키지만 (듀이에 대한 이러한 해석에 대한 비판적인 논평 참조: 반 데르 플로흐, 2016).[17]
8. 주요 학자
오타와 대학교 시민 교육 교수인 조엘 웨스트하이머가 있다.
참조
[1]
간행물
Education for citizenship and the teaching of democracy in schools
Qualifications and Curriculum Authority
1998
[2]
웹사이트
The Ties that Bind: Citizenship and Civic Engagement in the 21st Century
https://publications[...]
House of Lords
2018-04-18
[3]
웹사이트
Citizenship Education in the UK (England)
https://www.bpb.de/d[...]
2023-11-27
[4]
웹사이트
GCSE Citizenship Studies results 2023 - The value of Citizenship
https://www.teaching[...]
2023-11-27
[5]
웹사이트
Civic, Legal and Social Education in French Seconcary School
http://www.jsse.org/[...]
2002
[6]
웹사이트
Enseignement moral et civique – Éduscol
http://eduscol.educa[...]
2016-12-13
[7]
웹사이트
Une école qui porte haut les valeurs de la République
http://www.gouvernem[...]
2016-12-13
[8]
뉴스
France vows to restore French values in schools
http://www.thelocal.[...]
2016-12-13
[9]
웹사이트
Norwegian Civic Education – Beyond Formalism?
http://www.jsse.org/[...]
2010
[10]
논문
Decentralisation in Education, Institutional Culture and Teacher Autonomy in Indonesia
[11]
논문
China's peopleship education: Conceptual issues and policy analysis
2013
[12]
뉴스
Himno Nacional de Honduras {{!}} Simbolos Nacionales de Honduras
http://www.xplorhond[...]
2016-12-13
[13]
웹사이트
A Look at Civics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https://www.aft.org/[...]
2023-04-25
[14]
논문
Về đường hướng "Sống Phúc âm giữa lòng dân tộc" của Giáo hội Công giáo Việt Nam và một số quan điểm của Đảng về công tác Tôn giáo
http://dx.doi.org/10[...]
2008-12-03
[15]
간행물
Questioning Participation and Solidarity as Goals of Citizenship Education
https://www.academia[...]
2016
[16]
간행물
Education in America – A View from Sudbury Valley
https://books.google[...]
1992
[17]
간행물
Dewey versus ‘Dewey’ on democracy and education
https://www.academia[...]
2016
[18]
웹사이트
教育職員免許法施行規則(昭和二十九年文部省令第二十六号)第五条
https://laws.e-gov.g[...]
e-Gov法令検索. 総務省行政管理局
2020-01-08
[19]
웹사이트
中学校・高等学校教員(社会・地理歴史・公民)の免許資格を取得することのできる大学
http://www.mext.go.j[...]
[20]
서적
사회과교육
동문사
2018-01-13
[21]
서적
사회과교육
동문사
2018-01-13
[22]
서적
사회과교육
동문사
2018-01-13
[23]
서적
사회과교육
동문사
2018-01-13
[24]
서적
사회과교육
동문사
2018-01-13
[25]
서적
사회과교육
동문사
2018-01-13
[26]
서적
사회과교육
동문사
2018-01-13
[27]
서적
사회과교육
동문사
2018-01-13
[28]
서적
사회과교육
동문사
2018-01-13
[29]
서적
사회과교육
동문사
2018-01-13
[30]
서적
사회과교육
동문사
2018-01-13
[31]
서적
사회과교육
동문사
2018-01-13
[32]
서적
사회과교육
동문사
2018-01-13
[33]
서적
사회과교육
동문사
2018-01-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