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중세 토너먼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세 토너먼트는 12세기부터 16세기까지 유럽에서 유행한 기사들의 무술 시합으로, 어원은 고대 프랑스어 'torneiement'에서 유래되었다. 토너먼트는 멜레(난전), 마상 시합 등 다양한 형태로 진행되었으며, 초기에는 실제 전쟁과 유사한 형태로 치러졌으나 점차 의례적이고 화려한 형태로 변화했다. 토너먼트는 기사들의 기량과 용맹을 과시하는 동시에, 사회적, 정치적 의미를 지니며 대중적인 인기를 누렸으나, 금지령과 규제 속에서 변화를 겪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세 토너먼트 - 마상창시합
    마상창시합은 중세 기사들이 전쟁 훈련으로 시작하여 기사도 정신과 결합해 스포츠 형태로 발전한 기마 무술 시합으로, 창을 사용하여 상대를 낙마시키는 틸트가 대표적인 경기 방식이며, 현대에 다양한 형태로 부활하고 있다.
  • 중세 토너먼트 - 애그니스 호톳
    애그니스 호톳은 14세기 영국 전설 속 여성으로, 통풍으로 싸울 수 없는 아버지를 대신해 남장을 하고 결투에서 승리하여 가문의 명예를 지켰으며, 더들리 가문과 결혼하여 중세 시대 여성의 용기를 보여주는 인물로 평가받는다.
  • 유럽의 축제 - 핑크팝 페스티벌
    핑크팝 페스티벌은 네덜란드에서 가장 큰 팝 음악 축제 중 하나로, 1969년 '핑크닉'으로 시작하여 1976년 현재 이름으로 변경되었고, 오순절 주말에 열리다 2022년부터 6월 중순으로 시기를 옮겨 다양한 장르의 음악 공연을 선보이며, 2024년부터는 4일간의 축제로 확장될 예정이다.
  • 결투 - 결투 재판
    결투 재판은 기독교적 신앙에 기반하여 유럽에서 시행된 분쟁 해결 방식이었으나 배심 재판 등의 발전으로 쇠퇴하였고, 주로 민사 사건에 귀족이나 자유민에게만 허용되었으며, 이후 명예 결투의 형태로 이어졌다.
  • 결투 - 슬러그테라
    슬러그테라는 2012년부터 2016년까지 방영된 애니메이션 시리즈로, 일라이 셰인이 슬러그테라의 수호자가 되어 동료들과 악당에 맞서 싸우는 이야기를 다루며, 2020년과 2022년에 각각 새로운 에피소드와 스핀오프 시리즈가 공개될 예정이다.
중세 토너먼트
어원
어원프랑스어 단어 "torneiement"에서 유래. 이는 "돌다", "회전하다"를 뜻하는 고대 프랑스어 "tornoier"에서 파생됨.
개요
유형무예 시합
스포츠 행사
축제
목적기사들의 무예 숙련도 향상 및 과시, 사회적 교류, 명예 획득
특징다양한 무기 및 기술 사용
엄격한 규칙 및 의례 준수
높은 사회적 지위의 참가자
역사
기원11세기 프랑스
발전12~14세기 유럽 전역으로 확산
쇠퇴16세기 화약 무기의 발달과 함께 점차 쇠퇴
구성 요소
장소경기장 (lists), 도시 광장, 특별히 마련된 토너먼트 장소
참가자기사, 귀족, 왕족
무기창, 검, 둔기, 철퇴 등
갑옷풀 플레이트 아머, 체인메일, 헬멧
규칙경기 규칙
무기 사용 제한
안전 규정
심판헤럴드, 귀족
관중왕족, 귀족, 일반 시민
종류
멜리집단 전투 시뮬레이션
주스트1대1 기마 창 시합
토너먼트 파스 다름기사들이 특정 장소를 방어하며 도전자를 맞이하는 형태
규칙 및 의례
서약참가자들은 경기 규칙을 준수하고 명예롭게 싸울 것을 서약
개회식화려한 의상과 깃발, 음악과 함께 시작
경기 진행헤럴드의 진행
심판의 판정
안전을 위한 규칙 준수
시상식승자에게는 상금, 명예, 선물 등이 수여
영향
사회적 영향기사 문화 발달
귀족 사회의 유대 강화
도시 경제 활성화
문화적 영향문학, 예술 작품의 소재
기사도 정신 고취
현대 스포츠 정신의 기원

2. 어원

'토너먼트'(tournament)라는 단어는 12세기경 고대 프랑스어 'torneiement'에서 중세 영어 'tornement'로 진화하여 영어 어휘에 들어왔다. 이 명사와 관련된 동사 'tornoier'는 궁극적으로 라틴어 tornarela ("돌다")에서 파생되었으며, 이 단어는 이탈리아어 torneoenm, 현대 프랑스어 tournoi프랑스어 및 현대 영어의 'tourney'의 기원이기도 하다.[2] '토너먼트'와 그 파생어는 1300년까지 영어 (앵글로-노르만어를 통해)에 채택되었다.

고대 프랑스어 'tornoier'는 원래 "마상 시합과 틸트"를 의미했지만, 더 일반적으로 기사 토너먼트를 지칭하게 되었으며, 'joster'는 "접근하다, 만나다" (또한 1300년 이전에 채택됨)는 특히 마상 시합을 지칭하게 되었다.

12세기 말까지, ''tornementfro''와 라틴어화된 ''torneamentumla''은 모든 종류의 기사 하스틸루드 또는 무술 시합을 지칭하는 일반적인 용어가 되었다. 12세기 후반에 글을 쓴 로저 오브 호베든은 ''torneamentumla''을 "기사의 적대감 (''nullo interveniente odiola'')이 아닌, 단지 연습과 기량 과시 (''pro solo exercitio, atque ostentatione viriumla'')를 위해 수행되는 군사 훈련"으로 정의했다.[3]

3. 기원

로마 기병의 "히피카 김나시아"와 중세 기마전투 및 기마술은 연관성이 있을 수 있지만, 5세기에서 8세기 사이 기록 부족으로 인해 이를 확인하기는 어렵다.[4] 카롤링거 제국 시대에는 기병 경기가 군사 훈련의 핵심이었으며, 843년 보름스에서 루이와 샤를의 군사 경기에 대한 기록이 남아있다. 니타르트가 기록한 이 행사에서는 처음에는 추격전과 도주전이 벌어졌으며, 이어서 모든 참가자가 참여하는 일반적인 백병전이 벌어졌다.

9세기에서 10세기 사이 기마술에 대한 기록은 부족하지만, 토너먼트는 중세 성기에 발전했음은 분명하다. 12세기 말 투르의 연대기 작가는 앙주의 남작 제프루아 드 프렐리가 1066년에 토너먼트를 "발명"했다고 주장했다.[5] 독일 르네상스 시대 역사 기술에서는 하인리히 1세(919–936 재위)가 최초의 토너먼트 법을 제정했다고 전한다. 이 전통은 게오르크 뤼크스너의 1530년경 "투르니에르부흐"와 파울루스 헥터 마이어의 "De Arte Athletica"(1544/5년경)에 인용되어 있다.[5]

'토너먼트'라는 단어가 처음 사용된 것은 1114년 에노 백작 보두앵 3세가 발렌시엔시에 대한 평화 법령에서였다. 이 법령은 "창 던지기 스포츠, 토너먼트 등과 같은 행사에 참여하기 위해" 도시를 떠나는 평화 유지자들을 언급하고 있다.

최초로 문헌에 나타난 토너먼트는 1140년대 에르망 드 투르네가 저술한 '투르네의 생 마르탱 교회의 역사'에 언급되어 있는데, 1095년 브라반트 백작 하인리히 3세가 그의 기사와 투르네 수비대 간 경기에서 사고사한 것이 기술되어 있다. 또한, '플랑드르 백작 샤를(재위: 1119 - 1127)의 생애'에는 북프랑스에서 정기적으로 토너먼트가 열렸다는 내용이 나타난다. 1160년대 사료에서는 이미 14세기 무렵과 변함없는 경기로 발전하고 있음이 나타난다.

4. 중세 시대의 토너먼트

중세 시대 토너먼트는 기사들이 두 편으로 나뉘어 둔탁한 무기로 서로 돌진하여 싸우는 멜레를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마상 시합은 토너먼트의 구성 요소였지만 주요 특징은 아니었다.[6]

토너먼트는 사순절을 제외하고 연중 개최되었으며, 주로 월요일과 화요일에 열렸다. 토너먼트 장소는 개최 2주 전에 발표되었으며, 프랑스 북동부 지역이 가장 유명했다. 1160년대와 1240년대 사이에 Compiègne 근처 Ressons-sur-Matz와 Gournay-sur-Aronde 사이 지역은 '론 세조르'(토너먼트 시즌)를 위해 유럽 전역에서 수백 명의 외국 기사들이 모여들었다.

기사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집단으로 도착하여 숙소로 지정된 두 정착지 중 한 곳에 머물렀다. 토너먼트는 주요 정착지 밖의 들판에서 시작되었으며 관람석이 세워졌다. 토너먼트 당일에는 양측이 '내부'와 '외부'로 나뉘어 구성되었다.

토너먼트는 양측의 검토(regarsfro)로 시작되었다. 양측이 퍼레이드를 하고 서로의 함성을 외치는 것이었다. 그 후, 두 줄의 기사들(rencsfro) 사이에서 개별 마상 시합을 할 기회가 주어졌다. 이때 마상 시합의 기회는 주로 새롭고 젊은 기사들에게 제공되었다.

오전 중 어느 시점에 기사들은 돌격(''estor'')을 위해 줄을 섰다. 나팔이나 전령관의 외침 신호에 따라 두 기사가 서로를 향해 돌진하여 을 수평으로 하여 만났다. 말에 남아 있는 사람들은 재빨리 돌아서서 공격할 기사를 골랐다. 시종들이 목록(관람석 앞의 말뚝과 둑으로 된 선)에 참석하여 주인에게 최대 3개의 교체용 창을 제공했다. 멜레는 몸값을 받으려는 기사들의 파티 간의 난투전으로 악화되는 경향이 있었고, 토너먼트 구역을 정의하는 두 정착지 사이의 여러 제곱마일에 걸쳐 확산되었다. 대부분의 토너먼트는 양쪽이 지칠 때까지 또는 빛이 사라질 때까지 계속되었다.

토너먼트 후 그날의 후원자는 호화로운 연회와 오락을 제공했다. 양쪽 최고의 기사에게 상품이 제공되었고 식사 중에 수여되었다.[8]

4. 1. 멜레 (Melee)

중세 토너먼트에서 멜레(mêlée)는 두 팀의 기사들이 대형을 이루어 충돌하는 모의 전투였다.[11][12][13] 멜레는 중세 토너먼트의 주요한 형태 중 하나였다.[6]



진행 중인 토너먼트 (앙주 공작 르네), 화면에 왼쪽에는 부르봉과 브르타뉴의 기치만 보인다.


멜레의 목표는 대규모 대형으로 적에게 돌진하여 적을 뒤로 물러나게 하거나 대열을 무너뜨리는 것이었다. 성공적인 기동 후, 대열은 대형을 유지하면서 방향을 바꾸려고 시도했다(widerkerefro 또는 torneifro).[11][12][13] 이 행위는 매우 중요하여 12세기 중반에 "토너먼트"라는 단어의 어원이 되었다. 심각한 부상을 방지하기 위해 싸움 전에 무기는 무디게 만들었다.

이러한 유형의 경기에 대한 중고 독일어 용어는 buhurtgmh였다. 일부 자료에서는 ''멜레'' 또는 대규모 토너먼트와 buhurtgmh를 구분하기도 하는데, 후자는 귀족에게만 제한되지 않는 승마 게임의 더 넓은 범주를 지칭할 수 있기 때문이다. ''buhurt''라는 용어는 ''hurter'' "밀다, 충돌하다" (영어 ''to hurt''와 동족어) 또는 고대 프랑크어 ''bihurdan'' "울타리를 치다; 울타리나 말뚝으로 둘러싸다")에서 유래했을 수 있다.[11][12][13]

멜레는 12세기와 13세기 초기의 토너먼트의 주요 형태였다. 마상 창 시합은 적어도 12세기부터 토너먼트의 일부로 존재했지만, 15세기 후반에 중심적인 역할을 하지는 못했다.[6]

4. 2. 마상 시합 (Jousting)

마상 시합은 초기부터 토너먼트의 일부였다. 마상 시합은 주요 경기인 투르네(단체전)의 전날 저녁 전야제로 개최되었으며, 투르네의 전초전으로도 진행되었다.[2] 12세기경에는 토너먼트에서 마상 시합이 자주 금지되었다. 금지 이유는 마상 시합으로 인해 기사가 메인 투르네에 참가하지 않거나, 부정 행위에 이용되는 경우가 있었기 때문이다. 1160년대 토너먼트에서 플랑드르 백작 필리프는 그의 수행원들과 함께 전초전 마상 시합을 진행한 후, 다른 기사들이 지쳐서 포획하기 쉬워질 때까지 투르네에 참여하지 않았다.[3]

그러나 13세기 초부터 마상 시합은 인기를 얻었고, 1220년대부터는 토너먼트와는 별도로 개최되었다. 《윌리엄 마셜의 생애》에는 1224년경 마상 시합이 투르네보다 귀족들에게 더 인기가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1223년 키프로스에서 베이루트 영주 장 디블랭이 개최한, 마상 시합만을 위한 최초의 "원탁의 연회"가 기록되어 있다. 이는 참가자들이 아서 왕 전설의 기사로 분장하여 원탁에 모여 마상 시합의 대전 상대를 결정하는 행사였다. "원탁의 연회"는 13세기에 인기를 얻어, 마상 시합 경기의 예선으로도 활용되었으며, 기사뿐만 아니라 종자들도 참여했다. 그 외 다른 형태의 마상 시합 경기 또한 같은 시기에 시작되었으며, 14세기까지 마상 시합은 토너먼트가 쇠퇴함에 따라 귀족들의 오락을 대체하는 수단이 되었다.[3]

5. 인기와 금지령

토너먼트는 초기부터 매우 인기가 있어 유럽 전역으로 확산되었다. 1179년 라니쉬르마른에서 열린 토너먼트에는 3,000명의 기사가 참가했다는 기록이 있다.[15] 1120년대에는 이미 잉글랜드와 라인란트에서도 개최되었다.

교회는 토너먼트가 기독교 방어에 필요한 전쟁(십자군, 레콩키스타 등)을 소홀히 하게 만든다고 비난하며 금지령을 내렸다. 1130년 교황 인노첸시오 2세는 클레르몽 공의회에서 토너먼트를 금지하고, 경기에서 사망한 기사의 기독교매장을 금지했다.[16] 헨리 2세는 공공 질서 유지를 위해 잉글랜드에서 토너먼트를 금지했다.[16] 하지만 그의 아들들은 토너먼트를 매우 좋아했다.

1192년 이후 잉글랜드에서 토너먼트가 다시 허용되었는데, 리처드 1세는 토너먼트가 허용되는 6개의 장소를 지정하고 후원자가 면허를 얻기 위해 지불할 수 있는 수수료를 정했다. 그러나 존 왕과 헨리 3세는 변덕스러운 금지령을 내려 귀족들을 화나게 하고 토너먼트의 인기를 떨어뜨렸다. 프랑스에서는 루이 9세가 1260년에 토너먼트를 금지했으며, 그의 후계자들도 대체로 금지령을 유지했다.

6. 장비

초기 토너먼트에서는 실전에서 사용되는 무기와 갑옷이 그대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토너먼트에서 사용된 무기는 처음에는 전쟁에서 사용된 무기와 동일했음이 분명하다. 토너먼트 역사 대부분에서 칼이 무뎌졌는지는 확실하지 않다.[17]

13세기 중반부터는 마상 시합에서 변화가 일어났다. 1220년경의 《란슬롯의 시》에서는 마상 시합에 사용하기 위한 특수 을 사용했다고 한다. 1252년 월든에서 열린 마상 시합에서는 창 끝 부분 대신 soketsmhg(곡선 고리 모양 펀치)가 달린 창이 사용되었다. 잉글랜드의 에드워드 1세는 1292년 《무기 법령》을 통해 토너먼트에서 무딘 나이프와 검을 사용하도록 규정했다. 그러나 이 규정은 오히려 그 전까지 일반적으로 그렇지 않은 것을 사용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17]

7. 중세 후기 및 근대 초기의 토너먼트

토너먼트는 잉글랜드의 에드워드 1세(재위: 1272년 - 1307년)와 그의 손자 잉글랜드의 에드워드 3세(재위: 1327년 - 1377년) 통치 기간에 인기를 다시 얻었지만, 에드워드 3세의 통치 기간에 쇠퇴했다. 에드워드 3세는 자신이 후원하는 행사에서 화려함과 마상 시합의 우위를 장려했다. 잉글랜드에서 열린 마지막 진정한 토너먼트 중 하나는 1342년 던스터블에서 열렸는데, 멜레(난투)가 마상 시합으로 인해 너무 오래 지연되어 대열이 돌격할 때쯤 해가 지고 있었다.[18]

1350년 노리치에서 흑태자 에드워드가 참석한 토너먼트가 열렸다. 노리치 시민들의 비용으로 열린 토너먼트 비용은 37파운드 4실링 6펜스였으며, 이는 숙련된 장인의 약 5년치 임금에 해당했다. 프랑스나 부르고뉴 공국에서 토너먼트는 얼마 더 지속되지 못했다. 브뤼헤에서 열린 마지막 토너먼트는 1379년에 열렸다. 같은 해에 플랑드르 백작이 토너먼트를 개최한다고 발표하자 겐트 시민들은 폭동을 일으켰다. 그들의 불만은 토너먼트 개최 비용과 관련이 있었다.[18]

의상, 드라마, 상징주의를 사용하여 토너먼트는 예술의 한 형태가 되었고, 이로 인해 이러한 행사의 비용이 상당히 증가했다. 토너먼트는 일반 대중과 손님에게 부유함과 참가자들의 용기를 인상적으로 보여주는 정치적인 목적을 가지고 있었다. 영주나 부인에 대한 충성은 옷과 점점 더 정교해지는 연기를 통해 표현되었다. 토너먼트는 또한 궁정적 사랑의 이상이 더욱 영향력을 발휘하면서 여성들이 행사에서 더 중요한 역할을 하는 문화적인 목적도 수행했다. 행사는 종종 여성을 기리기 위해 열렸고, 여성들은 연극과 상징주의에 참여했다.[19]

잉글랜드의 에드워드 3세는 정기적으로 토너먼트를 개최했으며, 사람들은 종종 원탁의 기사처럼 옷을 입었다. 1331년, 한 토너먼트의 참가자들은 모두 금색 화살로 장식된 녹색 망토를 입었다. 같은 해 칩사이드에서 열린 토너먼트에서 국왕과 다른 참가자들은 타타르인으로 분장하고 성 게오르기우스의 색상을 입은 여성들을 행사의 시작 시점에 행진으로 이끌었다. 에드워드 3세의 손자인 잉글랜드의 리처드 2세(재위: 1377년 - 1399년)는 처음으로 리버리 배지를 화이트 하트와 함께 스미스필드에서 열린 토너먼트에서 배포했다.[19]

신화와 스토리텔링은 토너먼트의 인기 있는 측면이었다. 이의 예로는 부르고뉴의 용담공 샤를이 요크의 마가렛과의 결혼을 기념하기 위해 조직한 1468년 토너먼트가 있다. 토너먼트는 '숨겨진 섬의 여인'의 지시를 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황금 나무가 세워져 참가 기사들의 모든 문장이 걸려 있었다. 그들은 전설과 역사 속 유명 인물처럼 옷을 입었고, 시종들은 광대처럼 옷을 입었다. 정교한 의상의 주목할 만한 예로는 룩셈부르크의 앙투안이 있었다. 그는 검은 성에 갇힌 채 경기에 들어섰다. 그는 황금 열쇠와 참석한 여성들의 승인을 통해서만 풀려날 수 있었다.[20]

''1511년 웨스트민스터 토너먼트 롤'' 헨리 8세가 아라곤의 캐서린 앞에 있는 모습이 상세하게 묘사됨


피렌체에서 토너먼트의 군사적 측면은 부의 과시에 부차적인 것이었다. 1469년 클라리체 오르시니와의 결혼을 기념하는 토너먼트에서 로렌초 데 메디치레오나르도 다 빈치안드레아 델 베로키오에게 자신의 깃발을 디자인하게 했다. 그는 또한 유명한 메디치 다이아몬드 '일 리브로'를 포함하여 많은 양의 보석을 착용했다.[21]

왕족들도 특정 사건의 중요성과 귀족들의 충성을 강조하기 위해 토너먼트를 개최했다. 잉글랜드의 헨리 7세와 그의 왕비 요크의 엘리자베스는 1494년 그들의 어린 아들 헨리가 요크 공작이 되자 일련의 토너먼트를 주재했다. 이 토너먼트는 부의 과시로 유명했다. 첫날, 참가자들은 왕의 색상을 몸에, 왕비의 색상을 헬멧에 착용하여 충성을 보여주었다. 그들은 다음 날 마가렛 보퍼트의 색상을 착용하여 왕가를 더욱 기렸다.[22]

1511년 잉글랜드의 헨리 8세의 궁정에서 국왕의 아내 아라곤의 캐서린을 기리는 토너먼트가 열렸다. 찰스 브랜든은 참배자처럼 분장하고 전장으로 옮겨진 탑에서 나왔다. 그는 여왕의 허락을 받은 후에야 참배자 옷을 벗었다.[23] 1559년, 프랑스의 앙리 2세는 토너먼트 중 프랑스 궁정의 스코틀랜드 경비대 대장인 가브리엘 몽고메리의 부러진 창에서 나온 파편이 그의 눈을 꿰뚫고 뇌로 들어가면서 사망했다. 앙리 2세의 죽음으로 그의 15세 아들 프랑수아 2세가 왕위를 계승하게 되었고, 이는 결국 프랑스 종교 전쟁으로 이어진 정치적 불안정의 시대를 시작했다.[24]

16세기의 스페인 기사들도 "지팡이 게임"이라고 알려진 팀 전투를 연습했다. 스페인 이탈리아에서 토너먼트는 gioco de canneit에 상응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었다.[25]

8. 도시 토너먼트

도시의 부유한 젊은이들 사이에서 도시 토너먼트가 열렸다. 이는 귀족 토너먼트를 모방한 것이었다. 이러한 종류의 토너먼트 중 가장 유명한 것은 플랑드르의 큰 도시 시장 거리에서 열린 것이었으며, 1283년 이전에 릴에서의 예가 처음 언급되었다.[1] 출전자는 도시 시민뿐만 아니라 인근 시골의 기사도 참가했지만, 개최 장소와 주최자는 귀족이 여는 토너먼트와는 명확히 달랐다.[1] 투르네이(단체전)는 이러한 종류의 토너먼트에서 더 오래 지속되었다.[1]

참조

[1] 웹사이트 Henry the Young King: Top Star in the Tournament World https://www.medieval[...] 2022-12-16
[2] 웹사이트 joust {{!}} Etymology, origin and meaning of joust by etymonline https://www.etymonli[...] 2022-12-10
[3] 문서 cited after [[Charles du Fresne, sieur du Cange|Du Cange]] (''Glossarium'', 1678, s.v. 'Tourneamentum'
[4] 웹사이트 The Knight's Code: What Does Chivalry Really Mean? https://www.historyh[...] 2022-12-10
[5] 문서 ''Disem Eerliebenden gebreuch des ritterspils hat Heinricus des namens der erst, Römisch Kaiser, auff das er nicht gar verfiele, [...] und das hochloblich ritterspil den turnier aufgerichtet, unnd denselben anno .938. mit rat seiner fürsten und herren, [...] mitt zwelff loblichen eerlichen und Christlichen Articulen gezieret. Dergestalt, das niemandt von dem Adel, Fürsten oder Grafen, das ritterspil den turnier hat gebrauchen dürffen, der wider bemelte zwelff artickel gehandlet hat''. \n("So that this honourable custom of knightly sport should not be lost, Henry, the first of this name, Roman Emperor, did establish the noble knightly sport of the tournament, and in the year 938 aided by the counsel of his lords and noblemen, did adorn it with twelve honourable and Christian articles, in such a manner that nobody from among the noblemen, dukes or counts, who had acted against any of the twelve articles, might participate in the knightly game of tournament.") Mair, preface
[6] 웹사이트 Medieval Jousting https://www.worldhis[...] 2022-12-10
[7] 웹사이트 Chretien de Troyes https://www.worldhis[...] 2023-09-15
[8] 문서 For the reconstruction, see {{Harvnb|Crouch|2006}}.
[9] 서적 [[King René's Tournament Book]]
[10] 문서 The motto ''plus est en vous'' (''meer is in u'') goes back to a tournament between [[Jean III de Gruuthuse]] and Jean de Ghistelles on 11 March 1393. Octave Delepierre, '' Précis des annales de Bruges'' (1835) [https://books.google.com/books?id=eIpDAAAAYAAJ&pg=PA38 38f]. René of Anjou's contemporary [[Louis de Gruuthuse]] himself was a famous competitor in tournaments during the 1440s.
[11] 웹사이트 Definition of MELEE https://www.merriam-[...] 2023-06-17
[12] 웹사이트 Melee Definition & Meaning https://www.dictiona[...] 2023-06-17
[13] 웹사이트 Mêlée {{!}} medieval military games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06-17
[14] 웹사이트 Definition of MELEE https://www.merriam-[...] 2023-09-15
[15] 서적 Tournament https://books.google[...] A&C Black 2018-04-01
[16] 웹사이트 Henry the Young King: Top Star in the Tournament World https://www.medieval[...] 2022-12-10
[17] 웹사이트 Tournament {{!}} Medieval Combat, Jousting & Archery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09-15
[18] 서적 A History of Norfolk Vol 3
[19] 서적 The Age of Richard II
[20] 서적 Margaret of York Blackwell
[21] 서적 The Deadly Sisterhood Weidenfeld & Nicolson
[22] 서적 Elizabeth of York Vintage Books
[23] 서적 The Life and Death of Anne Boleyn https://archive.org/[...] Blackwell
[24] 서적 Chivalry and the Perfect Prince: Tournaments, Art, and Armor at the Spanish Habsburg Court https://books.google[...] Truman State University Press 2024-06-08
[25] 서적 Chivalry and the Perfect Prince: Tournaments, Art, and Armor at the Spanish Habsburg Court https://books.google[...] Truman State University Press 2024-06-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