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중합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합체는 "많다"는 뜻의 그리스어에서 유래된 용어로, 작은 분자들이 공유 결합으로 연결되어 형성된 거대 분자를 의미한다. 1920년 헤르만 슈타우딩거에 의해 현대적인 개념이 제안되었으며, 인류는 고대부터 양모, 면, 셀룰로스 등으로 만든 종이 등 천연 고분자를 활용해왔다. 중합체는 천연과 합성으로 분류되며,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중합체는 단량체의 종류, 배열, 구조에 따라 특성이 달라지며, 기계적, 수송, 상, 혼합, 화학적, 광학적, 전기적 특성을 가진다. 고분자의 특성은 유리 전이 온도와 녹는점에 의해 결정되며, 가소제의 첨가, 사슬 간 인력, 화학적 상호 작용 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중합체는 의류, 전자, 포장, 건축, 의료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며, 고분자의 분해는 열, 빛, 화학 물질 등의 영향으로 발생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분자 - 유기 반도체
    유기 반도체는 탄소 기반 유기 분자로 구성된 반도체 물질로, 넓은 밴드갭을 가지며 전하 주입, 도핑, 광여기 등을 통해 반도체 특성을 나타내고, OLED, 유기 태양 전지, OFET 등의 광전자 소자에 활용되며 제작 용이성, 유연성, 저렴함 등의 장점을 가진다.
  • 고분자 - 실리콘
    실리콘은 실록산 결합을 주 골격으로 하는 유기규소 화합물인 폴리실록산으로, 다양한 유기 치환기를 포함하여 여러 특성을 지니며, 다양한 형태로 광범위한 산업 분야에 활용되지만, 일부 고리형 실록산의 환경 및 건강에 대한 우려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중합체
정의
IUPAC 정의고분자는 거대 분자로 구성된 물질이다. 거대 분자는 상대 분자량이 큰 분자이며, 그 구조는 본질적으로 상대 분자량이 작은 분자에서 유래된 단위의 다중 반복으로 구성된다.
일반 정의반복되는 구조 단위(반복 단위)를 가진 거대 분자로 구성된 물질이다.
고분자 과학
건축구조
입체 규칙성입체 규칙성
형태형태
분해분해
상 거동상 거동
마르크-호윙크 이론마르크-호윙크 이론
상한 임계 용액 온도UCST
하한 임계 용액 온도LCST
플로리-허긴스 용액 이론플로리-허긴스 용액 이론
코일-구형 전이코일-구형 전이
합성
사슬 성장 중합사슬 성장 중합
자유 라디칼 중합자유 라디칼 중합
제어 라디칼 중합제어 라디칼 중합
원자 이동 라디칼 중합ATRP
가역적 첨가-단편화 연쇄 이동 중합RAFT
니트록사이드 매개 라디칼 중합니트록사이드 매개 라디칼 중합
단계 성장 중합단계 성장 중합
축합 중합축합 중합
첨가 중합첨가 중합
분류
폴리올레핀폴리올레핀
폴리에틸렌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폴리프로필렌
폴리이소부틸렌폴리이소부틸렌
폴리우레탄폴리우레탄
폴리에스터폴리에스터
폴리카보네이트폴리카보네이트
비닐 고분자비닐 고분자
폴리염화 비닐PVC
폴리비닐 알코올PVA
폴리비닐 아세테이트PVAc
폴리스티렌폴리스티렌
단일 중합체단일 중합체
공중합체공중합체
하이드로겔하이드로겔
자가 치유 하이드로겔자가 치유 하이드로겔
특성 분석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GPC
적외선 분광법FTIR
X선 결정학X선 결정학
시차 주사 열량계DSC
핵자기 공명 분광법NMR
열중량 분석TGA
동적 기계 분석DMA
유변학유변학
유변계유변 측정
점도계점도 측정
과학자
플로리플로리
앨런 히거히거
앨런 맥더미드맥더미드
시라카와 히데키시라카와
나타나타
에드워즈에드워즈
드 젠드 젠
지글러지글러
슈타우딩거슈타우딩거
굿이어굿이어
베이클랜드베이클랜드
헤이워드헤이워드
브라코노브라코노
응용
압출 성형압출
블로우 성형블로우 성형
압출 코팅도포
산업 코팅보호 코팅
3D 프린팅3D 프린팅
타이어타이어
화이트월 타이어화이트월
조리 기구 및 제빵 기구조리 기구 및 제빵 기구
베이클라이트베이클라이트
발포 식품 용기식품 용기
레코드판레코드판
케블라케블라
플라스틱 병플라스틱 병
비닐 봉투비닐 봉투

2. 역사

"폴리머(polymer)"라는 용어는 그리스어 ''πολύς''(폴루스, "많은, 매우 많은")와 ''μέρος''(메로스, "부분")에서 유래했다. 이 용어는 1833년 옌스 야코브 베르셀리우스(Jöns Jacob Berzelius)에 의해 만들어졌지만, 정의는 현대 국제순수응용화학연합(IUPAC)의 정의와는 달랐다.[10][11] 공유 결합된 거대분자 구조로서의 폴리머에 대한 현대적 개념은 1920년 헤르만 슈타우딩거(Hermann Staudinger)에 의해 제안되었으며, 그는 그 후 10년 동안 이 가설에 대한 실험적 증거를 찾는 데 힘썼다.[12][13]

고분자는 인류 초기부터 상품의 필수 구성 요소였다. 의류용 양모(케라틴), 섬유(셀룰로스), 파피루스(셀룰로스)로 만든 종이 등은 고대 사회가 고분자 함유 원료를 이용하여 인공물을 얻었던 몇 가지 예이다. 고무나무(천연 고무)의 라텍스 수액은 올멕, 마야, 아즈텍이 공을 만들고, 방수 섬유와 용기를 만드는 데 사용하기 시작한 후 오랜 시간이 지난 16세기에 남아메리카에서 유럽에 도착했다.[68]

고분자의 화학적 조작은 19세기로 거슬러 올라가지만, 당시에는 그 특성이 이해되지 않았다. 고분자의 거동은 토마스 그레이엄이 제안한 이론에 따라 고분자를 알 수 없는 힘에 의해 결합된 작은 분자들의 콜로이드 응집체로 간주했다.

이론적 지식이 부족했음에도 불구하고, 혁신적이고, 접근하기 쉽고, 저렴한 재료를 제공할 수 있는 고분자의 잠재력은 즉시 인식되었다. 브라코노, 파크스, 뤼더스도르프, 헤이워드 등이 천연 고분자의 변형에 대해 수행한 연구는 이 분야에서 많은 중요한 발전을 가져왔다.[69] 그들의 공헌은 셀룰로이드, 갈랄리스, 파크세인, 레이온, 가황 고무 및 나중에 베이클라이트와 같은 재료의 발견으로 이어졌다.

1920년, 헤르만 슈타우딩거는 "Über Polymerisation"[70]에서 고분자는 공유 결합으로 연결된 긴 원자 사슬이라고 제안했다. 그의 연구는 과학계에서 받아들여졌고, 1953년 노벨상을 수상했다.[71]

1930년대 이후 고분자는 새로운 유형이 발견되고 빠르게 상업적 응용 분야가 주어지면서 천연 소재를 대체하는 황금기를 맞이했다. 이러한 발전은 산업 부문에 의해 촉진되었으며, 학계의 지원을 받았다.[69]

922x922px


1953년 이후 6개의 노벨상이 생체 거대 분자에 대한 연구를 제외한 고분자 과학 분야에서 수여되었다. 토드 경은 1980년에 "중합의 발전은 화학이 이룬 가장 큰 업적이며, 일상생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 같다"라고 요약했다.[73]

2. 1. 한국의 고분자 과학 및 산업

한국의 고분자 과학은 1950년대 후반부터 학계와 연구기관을 중심으로 연구가 시작되었으며, 1960년대부터는 석유화학 산업과 함께 합성 고분자 산업이 본격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1970년대 이후, 정부의 중화학공업 육성 정책에 힘입어 고분자 산업은 급속도로 성장하였으며, 현재는 세계적인 수준의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LG화학, SK이노베이션, 롯데케미칼 등 주요 화학 기업들은 고성능 플라스틱, 합성 고무, 섬유 등 다양한 고분자 제품을 생산하며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최근에는 친환경, 고기능성 고분자 소재 개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이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이끌어갈 핵심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3. 고분자의 분류

중합체는 크게 천연 고분자와 합성 고분자로 분류할 수 있다. 천연 고분자는 자연에서 발견되는 고분자이며, 합성 고분자는 인공적으로 합성된 고분자를 말한다.

스티렌-부타디엔 사슬 구조의 분자 시뮬레이션


합성 고분자와 천연 고분자는 그 특성이 다양하여[80] 일상생활에서 널리 쓰이고 있다.[81] 폴리스티렌과 같은 합성수지부터 DNA단백질과 같이 생물학적 구조와 기능의 기초를 이루는 천연 생체고분자(biopolymer)까지 그 종류가 다양하다. 천연 고분자이든 합성 고분자이든, 단량체(monomer)라고 불리는 저분자가 여러 개 중합 반응(polymerization)을 통해 형성된다. 그 결과, 저분자 화합물에 비해 분자량이 커지고, 강인성, 탄성, 점탄성, 비정질 또는 반결정 구조를 형성하기 쉬운 등 특징적인 물리적 특성이 나타난다.

"고분자(polymer)"라는 용어는 그리스어 πολύς (''polus'', "많은, 다수의"라는 의미)와 μέρος (''meros'', "부분"이라는 의미)에서 유래했다. 이 용어는 1833년 예른스 야코브 베르셀리우스가 만들었지만,[82] 그 정의는 현대 국제순수 및 응용화학연합(IUPAC)의 정의와는 달랐다.[83] 공유 결합된 고분자 구조라는 현대적인 개념은 1920년 헤르만 슈타우딩거가 제안했고,[84] 그는 그 후 10년간 이 가설의 실험적 증거를 찾는 데 전념했다.[85]

3. 1. 천연 고분자

대마, 셸락, 호박, 양모, 비단, 천연 고무와 같은 천연 고분자 재료는 수 세기 동안 사용되어 왔다. 나무종이 주성분인 셀룰로스를 비롯한 다양한 다른 천연 고분자도 존재한다.[139] 인류는 양모(케라틴)나 면화· 섬유(셀룰로스)를 의류에, 파피루스(셀룰로스)를 종이에 사용했다. 고무나무라텍스 수액(천연고무)는 올멕 문명, 마야 문명, 아즈텍 문명이 그릇이나 방수포, 용기의 재료로 사용하기 시작하여 훨씬 후인 16세기에 남미를 거쳐 유럽에 전래되었다.[139]

19세기에는 앙리 브라코노, 알렉산더 파크스, 프리드리히 빌헬름 뤼더스도르프, 내사니얼 헤이워드를 비롯한 많은 연구자들이 천연 고분자 개질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여 셀룰로이드, 갈랄리스, 파크신, 레이온, 가황고무 등의 재료를 발견했다.[140]

3. 1. 1. 우주 고분자

헤모글리신(이전 명칭 헤몰리신)은 운석에서 발견된 최초의 아미노산 중합체이다.[14][15][16]

3. 2. 합성 고분자

합성 고분자는 인공적으로 합성된 고분자를 말하며, 대부분 석유화학 제품을 기반으로 만들어진다. 산업적으로 가장 많이 합성되는 고분자는 폴리에틸렌이며, 역사적으로 가장 유명한 예는 합성고무인 폴리아이소프렌이다. 폴리아이소프렌은 분자 구조가 고무나무 수액에서 나오는 라텍스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물질로서, 자연에서 얻어야만 했던 물질을 인간이 스스로 합성해낼 수 있었던 좋은 예이다.

세계 수요가 높은 순서대로 대략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이러한 고분자는 매년 3억 3천만 톤 이상 생산되고 있다(2015년).[17]

가장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원료가 되는 고분자의 주쇄는 주로 탄소 원자가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구성되어 있다. 간단한 예로 폴리에틸렌이 있으며, 그 반복 단위(모노머)는 에틸렌이다. 그 외에도 많은 구조가 존재하며, 예를 들어 규소와 같은 원소는 실리콘과 같은 친숙한 재료를 형성하여 실리콘 오일이나 방수성 배관 실링재 등에 사용된다. 또한 산소는 폴리에틸렌글리콜, 다당류(글리코시드 결합), DNA(포스포디에스터 결합) 등의 고분자 골격에도 존재한다.

4. 고분자의 합성

고분자는 단위체(단량체)가 중합 반응을 통해 결합하여 생성된다. 단위체의 종류에 따라 중합체의 성질이 달라진다. 스타이렌이 반복 연결된 폴리스타이렌을 예로 들 수 있다. 산업적으로 가장 많이 합성되는 중합체는 폴리에틸렌이며, 합성고무인 폴리아이소프렌고무나무 수액에서 나오는 라텍스와 동일한 분자 구조를 가져, 자연에서만 얻을 수 있었던 물질을 인간이 합성할 수 있게 된 좋은 예시이다.

고분자의 물리적 특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변수는 유리전이온도(Tg)와 녹는점(Tm)이다. 유리전이온도는 중합체가 액체에서 유리처럼 과냉각액체 상태로 변하는 온도로, 이 온도 이하에서는 딱딱해져 흐르지 않게 된다. 폴리스타이렌은 약 100℃에서 유리 전이를 일으킨다. 녹는점은 중합체 분자들이 결정을 이루는 온도인데, 이 결정은 국지적으로만 발생한다. 따라서 녹는점은 유리전이 온도보다 낮으며, 과냉각된 액체 상태 내부에 작은 결정들이 생성되는 구조가 된다.

4. 1. 중합 반응

단량체라고 알려진 많은 작은 분자들이 공유 결합 사슬이나 네트워크로 결합하는 과정을 중합이라고 한다. 중합 과정에서 각 단량체의 일부 작용기가 손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ET 폴리에스터테레프탈산(HOOC-C6H4-COOH)과 에틸렌 글리콜(HO-CH2-CH2-OH)이 단량체이지만, 반복 단위는 -OC-C6H4-COO-CH2-CH2-O-이다. 이는 두 단량체의 결합과 두 물 분자가 손실된 형태이다.[18] 중합체에 포함된 각 단량체의 독립적인 부분을 반복 단위 또는 단량체 잔기라고 한다.

중합의 합성 방법은 크게 단계 성장 중합과 사슬 중합으로 나뉜다.[18] 폴리스티렌과 같이 사슬 중합에서는 단량체가 한 번에 하나씩만 사슬에 추가된다.[19] 반면 폴리에스터와 같이 단계 성장 중합에서는 단량체 사슬이 서로 직접 결합될 수 있다.[20] 단계 성장 중합은 다시 축합 중합과 첨가 중합으로 나눌 수 있는데, 축합 중합은 매 반응 단계에서 저분자량 부산물이 생성된다.

440x440px


스티렌의 라디칼 중합(사슬 중합의 예): R.은 개시 라디칼, P.는 라디칼 재결합에 의해 형성된 사슬을 종결시키는 또 다른 중합체 사슬 라디칼이다.

4. 2. 생체 고분자의 합성

생체 고분자는 생체 내에서 효소의 촉매 작용을 통해 합성된다. 생세포 내에서는 DNA 중합효소가 촉매하는 DNA 형성, 단백질 생합성과 같이 효소 매개 과정을 통해 합성될 수 있다. 단백질 생합성DNA의 유전 정보를 RNA로 전사하고, 그 정보를 번역하여 아미노산으로부터 특정 단백질을 합성하는 여러 효소 매개 과정을 포함한다. 생성된 단백질은 적절한 구조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번역 후 추가적인 변형을 거칠 수 있다.[18][19][20] 고무, 수베린, 멜라닌, 리그닌과 같은 다른 생체고분자들도 존재한다.

4. 3. 천연 고분자의 변형

면, 녹말, 고무와 같은 천연 고분자는 폴리에틸렌이나 아크릴 수지와 같은 합성 고분자가 시장에 나오기 전까지 오랫동안 친숙한 소재였다. 상업적으로 중요한 고분자의 대부분은 천연 고분자를 화학적으로 개질하여 합성된다. 대표적인 예로는 질산셀룰로스의 반응으로 니트로셀룰로스를 생성하는 것과 천연 고무를 이 있는 상태에서 가열하여 가황고무를 만드는 것이 있다. 고분자를 개질하는 방법으로는 산화, 가교, 말단 캡핑 등이 있다.[96]

5. 고분자의 구조

고분자 물질의 구조는 나노미터(nm) 이하의 길이부터 거시적인 스케일까지 다양한 길이 스케일에서 설명될 수 있으며, 각 단계가 다음 단계의 기초를 제공하는 구조의 계층이 존재한다.[23] 고분자 구조를 설명하는 출발점은 구성 단량체의 종류이다. 미세구조는 기본적으로 단일 사슬의 스케일에서 고분자 내 단량체의 배열을 설명한다. 미세구조는 고분자의 결정화, 유리 전이, 미세상 분리와 같이 서로 다른 배열의 상을 형성할 가능성을 결정하며,[24] 고분자의 물리적 및 화학적 특성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고분자 내의 가지점


고분자의 미세구조에서 중요한 특징은 구조와 모양이며, 이는 가지점이 단순한 직쇄로부터 벗어나는 방식과 관련이 있다.[101] 가지형 고분자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를 갖는 측쇄 또는 가지를 갖는 주쇄로 구성된다. 가지형 고분자의 종류에는 별형 고분자, 빗살형 고분자, 고분자 브러시, 덴드론화 고분자, 사다리형 고분자, 덴드리머 등이 있다.[101] 위상수학적으로 평면적인 반복 단위로 구성되는 2차원 고분자도 존재한다. 고분자의 구조는 용액 점도, 용융 점도, 다양한 용매에 대한 용해도, 유리 전이 온도, 용액 중의 개별 고분자 코일의 크기 등 그 물리적 특성에 영향을 미친다.

5. 1. 단량체와 반복 단위

고분자 분자의 개략도


고분자 물질의 구조는 나노미터(nm)보다 작은 길이(1 nm 미만)에서 거시적인 길이까지 다양한 길이 스케일로 나타낼 수 있다. 실제 구조는 계층을 이루며, 각 계층이 다음 구조의 기반이 된다.[96] 고분자 구조를 나타내는 기준은 구성 단량체의 동일성이다.

중합체를 구성하는 반복 단위(단량체 잔기, "머"라고도 함)의 정체는 중합체의 첫 번째이자 가장 중요한 속성이다. 중합체 명명법은 일반적으로 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 잔기의 종류를 기반으로 한다. 단 한 종류의 반복 단위만 포함하는 중합체는 '''단일 중합체'''(호모폴리머)로 알려져 있으며, 두 종류 이상의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중합체는 '''공중합체'''로 알려져 있다.[25] 세 종류의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는 '''삼원 공중합체'''이다.[26]

폴리스티렌은 스티렌 기반의 반복 단위로만 구성되며 단일 중합체로 분류된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는 두 가지 다른 단량체(에틸렌 글리콜과 테레프탈산)로 생산되지만, 한 종류의 반복 단위만 형성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단일 중합체로 간주된다.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는 두 가지 이상의 다양한 반복 단위를 포함하며 공중합체이다. 일부 생체 중합체는 다양하지만 구조적으로 관련된 단량체 잔기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DNA와 같은 폴리뉴클레오티드는 네 가지 유형의 뉴클레오티드 하위 단위로 구성된다.

단일 중합체와 공중합체 (예시)
폴리스티렌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단일 중합체 폴리스티렌단일 중합체 폴리디메틸실록산, 실리콘. 주쇄는 실리콘과 산소 원자로 형성된다.단일 중합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는 단 하나의 반복 단위를 가진다.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스티렌과 1,3-부타디엔을 기반으로 하는 반복 단위는 두 개의 반복 단위를 형성하며, 이는 고분자 내에서 어떤 순서로든 번갈아 나타날 수 있어 중합체를 무작위 공중합체로 만든다.



미세구조는 기본적으로 단일 사슬의 스케일에서 고분자 내 단량체의 배열을 설명한다. 미세구조는 고분자의 결정화, 유리 전이 또는 미세상 분리와 같이 서로 다른 배열의 상을 형성할 가능성을 결정한다.[24] 이러한 특징은 고분자의 물리적 및 화학적 특성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5. 2. 미세 구조

고분자의 미세 구조는 기본적으로 단일 사슬 크기에서 고분자 내 단량체의 배열을 의미한다.[24] 이는 고분자의 결정화, 유리 전이, 미세상 분리 등 다양한 배열의 상을 형성할 가능성을 결정하며,[24] 고분자의 물리적 및 화학적 특성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고분자의 미세구조는 사슬 주골격을 따라 단량체 잔기가 물리적으로 배열되는 방식과 관련이 있다.[27] 이는 공유 결합을 끊어야만 변화될 수 있다. 단량체와 반응 조건에 따라 다양한 구조가 만들어질 수 있는데, 가지가 없는 선형 고분자는 사슬이 긴 n-알칸 형태이며, 고체 상태에서 반결정질일 수 있다. 가지 달린 고분자와 가지 없는 고분자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이지만, 엘라스토머는 주사슬 사이에 넓은 그물망 형태의 가교 결합을 가진다. 촘촘한 가교 결합은 열경화성 수지를 만든다.

다음은 미세구조에 따른 고분자의 형태를 나타낸 표이다.


선형 고분자

가지 달린 고분자

반결정질 구조

엘라스토머

열경화성 고분자


5. 2. 1. 고분자 구조 (세부)

가지형 고분자 분자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를 갖는 측쇄 또는 가지를 갖는 주쇄로 구성된다. 가지형 고분자의 종류에는 별형 고분자, 빗살형 고분자, 고분자 브러시, 덴드론화 고분자, 사다리형 고분자, 덴드리머 등이 있다.[28] 위상수학적으로 평면적인 반복 단위로 구성되는 2차원 고분자(2DP)도 존재한다. 고분자의 구조는 용액 점도, 용융 점도, 다양한 용매에 대한 용해도, 유리 전이 온도, 용액 중의 개별 고분자 코일의 크기 등 그 물리적 특성의 대부분에 영향을 미친다. 다양한 구조를 갖는 고분자 재료를 합성하기 위해, 예를 들어 활성 중합 등 다양한 기술을 채택할 수 있다.

5. 2. 2. 사슬 길이

사슬의 길이를 나타내는 일반적인 방법은 중합도이며, 이는 사슬에 포함된 단량체의 수를 정량화한다.[29][30] 고분자의 크기는 분자량으로도 나타낼 수 있다. 합성 중합 기술은 일반적으로 사슬 길이의 통계적 분포를 생성하므로 분자량은 가중 평균으로 표현된다. 수평균 분자량(''M''n)과 중량평균 분자량(''M''w)이 가장 일반적으로 보고된다.[31][32] 이 두 값의 비율(''M''w / ''M''n)은 분산도(''Đ'')이며, 분자량 분포의 폭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33]

고분자의 물리적 특성[34]은 사슬의 길이(또는 그에 상응하는 분자량)에 크게 의존한다.[35] 분자량의 중요한 물리적 결과는 용융 상태의 점도(흐름에 대한 저항)이다.[36] 중량평균 분자량(M_w)이 용융 점도(\eta)에 미치는 영향은 고분자가 엉킴의 시작점 이상인지 이하인지에 따라 달라진다. 엉킴 분자량 이하에서는 \eta \sim {M_w}^{1}인 반면, 엉킴 분자량 이상에서는 \eta \sim {M_w}^{3.4}이다. 후자의 경우 사슬 길이를 10배 증가시키면 점도가 1000배 이상 증가한다.[37] 사슬 길이가 증가하면 사슬 이동성이 감소하고, 강도와 인성이 증가하며, 유리 전이 온도(Tg)가 증가한다.[38] 이것은 사슬 길이가 증가함에 따라 반데르발스 힘과 엉킴과 같은 사슬 상호 작용이 증가하기 때문이다.[39][40] 이러한 상호 작용은 개별 사슬을 더 강하게 고정시켜 높은 응력과 높은 온도에서 변형과 매트릭스 파괴에 저항하게 한다.

5. 2. 3. 공중합체의 단량체 배열

(무작위 공중합체)단량체들이 통계적 규칙에 따라 불규칙하게 배열된다. 특정 위치에서 특정 단량체를 발견할 확률이 주변 단량체의 종류와 무관한 경우, 이를 진정한 무작위 공중합체라고 한다.[45][46] 염화 비닐과 초산 비닐의 공중합체가 그 예이다.[42]
통계적 공중합체
경사 공중합체단량체의 조성이 사슬을 따라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공중합체이다.
경사 공중합체
접목 공중합체주 사슬에 다른 종류의 단량체들이 곁사슬(가지) 형태로 붙어 있는 구조이다.[43]
접목 공중합체
교대 공중합체두 종류의 단량체가 규칙적으로 번갈아 가며 배열된다. 예를 들어 스티렌과 말레산 무수물이 반응하여 생성되는 공중합체가 있다.[42]
교대 공중합체
블록 공중합체서로 다른 단량체들이 긴 사슬 형태로 블록을 이루어 배열된다.[42][43]
블록 공중합체
주기적 공중합체세 종류 이상의 단량체가 규칙적인 순서로 배열된다.[44](이미지 없음)



단량체의 배열이 제어된 공중합체를 순차 제어 중합체라고 부르며,[47] 교대, 주기, 블록 공중합체는 순차 제어 중합체의 예시이다.

5. 2. 4. 입체 규칙성

고분자 사슬 내에서 치환기의 상대적인 공간 배열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24]

등정입체
신디오택틱
무정입체


5. 3. 형태학

고분자의 형태는 공간에서 고분자 사슬의 배열과 미시적 배열을 설명하며, 고분자의 거시적 물리적 특성은 고분자 사슬 간의 상호 작용과 관련이 있다.

무작위로 배향된 고분자


여러 고분자의 얽힘


폴리에틸렌: 밀집된 사슬에서 분자의 지그재그 입체 배좌


결합 분자를 가진 라멜라


고분자 물리학의 구상체


폴리프로필렌 나선


''p''-아라미드, 빨간 점선: 수소 결합


인장 응력 하의 넓은 메쉬 가교 고분자(엘라스토머)


"가교 결합 부위"로서의 결정체: 한 유형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인장 응력 하의 반결정질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5. 3. 1. 결정화도

고분자 물질의 구조는 나노미터 이하의 길이 스케일부터 거시적인 스케일까지 다양한 길이 스케일에서 설명될 수 있으며, 각 단계가 다음 단계의 기초를 제공하는 구조의 계층이 존재한다.[23] 고분자 구조를 설명하는 출발점은 구성 단량체의 종류이며, 미세구조는 기본적으로 단일 사슬의 스케일에서 고분자 내 단량체의 배열을 설명한다. 미세구조는 고분자의 결정화와 같이 서로 다른 배열의 상을 형성할 가능성을 결정한다.[24]

'결정성'이라는 용어는 고분자에 적용될 때 다소 모호하게 사용된다. 결정학에서 사용되는 것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경우, X선 결정학을 위해 준비된 시료와 같은 결정성 단백질이나 폴리뉴클레오티드의 구조는 하나 이상의 고분자 분자로 구성된 기존의 단위세포로 정의될 수 있으며, 단위세포의 크기는 수백 옹스트롬 이상이다. 합성 고분자는 원자 길이 척도에서 3차원적 질서 영역을 포함하는 경우 느슨하게 결정성으로 묘사될 수 있으며, 이는 일반적으로 분자 내 접힘이나 인접 사슬의 적층으로 인해 발생한다. 합성 고분자는 결정성 영역과 비정질 영역 모두로 구성될 수 있으며, 결정화도는 결정성 물질의 무게 분율 또는 부피 분율로 표현될 수 있다. 완전히 결정성인 합성 고분자는 거의 없다.[50]

고분자의 결정화도는 완전히 비정질 고분자의 경우 0에서 이론적으로 완전히 결정성인 고분자의 경우 1까지의 범위를 갖는다. 미결정 영역을 갖는 고분자는 일반적으로 완전히 비정질 고분자보다 더 질기고(깨지지 않고 더 많이 구부릴 수 있고) 충격에 더 강하다.[51] 결정화도가 0 또는 1에 가까운 고분자는 투명한 경향이 있는 반면, 중간 정도의 결정화도를 갖는 고분자는 결정질 또는 유리질 영역에 의한 빛 산란으로 인해 불투명한 경향이 있다. 많은 고분자의 경우 결정화도는 투명도 감소와도 관련될 수 있다.

5. 3. 2. 분자 사슬 입체 구조

고분자 분자의 부피는 일반적으로 회전반경으로 나타내는데, 이는 사슬의 질량 중심에서 사슬 자체까지의 평균 거리이다. 또는 침투 부피로 나타낼 수도 있는데, 이는 고분자 사슬이 차지하는 부피이며 회전반경의 세제곱에 비례한다.[52]

6. 고분자의 특성

고분자의 특성은 그 구조에 의존하며, 물리적 기반에 따라 분류된다. 고분자가 연속적인 거시적 물질로서 어떻게 거동하는지는 많은 물리적 특성과 화학적 특성으로 설명된다. 이들은 열역학에 따라 벌크 특성 또는 강도 성질로 분류된다.

합성 고분자와 천연 고분자는 광범위한 특성으로 인해[80] 일상생활에서 필수적이고[81] 널리 존재한다.[81] 고분자는 폴리스티렌과 같은 친숙한 합성수지에서부터 DNA단백질과 같이 생물학적 구조와 기능의 기초를 이루는 천연 생체고분자까지 다양하다. 고분자는 천연이든 합성이든, 단량체라고 불리는 저분자가 여러 개 중합 반응을 통해 형성된다. 그 결과, 저분자 화합물에 비해 분자량이 커지고, 강인성, 탄성, 점탄성, 비정질 또는 반결정 구조를 형성하기 쉬운 등 특징적인 물리적 특성이 나타난다.

고분자의 물리적 특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변수로는 유리전이온도(Tg)와 녹는점(Tm)이 있다. 유리전이온도는 중합체가 액체 상태에서 유리처럼 과냉각액체 상태로 변하게 되는 온도를 말하며, 이 온도 이하에서는 딱딱해져 더 이상 흐르지 않는다. 녹는점은 중합체 분자들끼리 결정을 만드는 온도이며, 유리전이 온도보다 낮다.

6. 1. 기계적 특성

고분자의 인장강도는 재료가 파손되기 전까지 견딜 수 있는 신장 응력의 양을 나타낸다.[53][54] 이는 고분자의 물리적 강도나 내구성이 중요한 응용 분야에서 매우 중요하다. 예를 들어, 인장강도가 더 높은 고무줄은 끊어지기 전에 더 무거운 무게를 지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인장강도는 고분자 사슬 길이와 고분자 사슬의 가교결합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다.

영률은 고분자의 탄성을 정량화하며, 작은 변형률에 대해 응력 변화율과 변형률의 비율로 정의된다. 인장 강도와 마찬가지로 고무줄과 같이 고분자의 물리적 특성이 관련된 응용 분야에서 매우 중요하다. 영률은 온도에 크게 의존한다. 점탄성은 복잡한 시간 의존적 탄성 반응을 설명하며, 하중이 제거될 때 응력-변형률 곡선에서 히스테리시스를 나타낸다. 동적 기계 분석(DMA)은 하중을 진동시키고 시간의 함수로서 결과적인 변형률을 측정하여 이 복합 영률을 측정한다.

6. 2. 수송 특성

수송 특성은 분자가 고분자 매트릭스 내에서 이동하는 속도를 나타낸다. 확산 계수 등의 특성이 여기에 해당한다. 이러한 특성은 필름이나 막과 같은 폴리머의 많은 용도에서 매우 중요하다.[55]

개별 고분자의 이동은 사행 이동이라고 하는 과정에 의해 일어나며, 각각의 사슬 분자는 인접한 사슬과의 얽힘으로 인해 구속을 받고, 가상의 튜브 내에서 이동한다. 사행 이동 이론에 의해 폴리머 분자의 동역학과 점탄성을 설명할 수 있다.[128]

6. 3. 상 거동

고분자의 상 거동은 그 구조에 따라 달라지며, 반결정성 또는 비결정성일 수 있다. 반결정성 고분자는 결정화 및 용융 전이를 겪을 수 있지만, 비결정성 고분자는 그렇지 않다. 고분자에서 결정화 및 용융은 액체-고체 상전이를 의미하지 않고, 두 가지 고체 상태(반결정성 및 비결정성) 사이의 상전이를 의미한다. 결정화는 유리 전이 온도(''T''g) 이상, 녹는점(''T''m) 이하에서 발생한다.[56]

모든 고분자는 유리 전이를 거치며, 유리 전이 온도(''T''g)는 고분자 제조, 가공 및 사용에 있어 중요한 물리적 변수이다. ''T''g 이하에서는 분자 운동이 정지되어 고분자는 유리처럼 부서지기 쉽고, ''T''g 이상에서는 분자 운동이 활성화되어 고무와 같고 점성을 가진다. 유리 전이 온도는 고분자의 가지화 또는 가교 결합 정도를 변경하거나 가소제를 첨가하여 조절할 수 있다.[56]

결정화와 용융은 1차 상전이인 반면, 유리 전이는 그렇지 않다.[57] 유리 전이는 2차 상전이의 특징을 공유하지만, 일반적으로 평형 상태 간의 열역학적 전이로 간주되지는 않는다.

시차주사열량계에 의한 '''(A)''' 비정질 고분자와 '''(B)''' 반결정성 고분자의 열전이. 온도가 상승하면 비정질 고분자와 반결정성 고분자 모두 유리전이(''T''g)를 일으킨다. 비정질 고분자 '''(A)'''는 다른 상전이를 나타내지 않지만, 반결정성 고분자 '''(B)'''는 결정화와 용융(각각 온도 ''T''c 와 ''T''m)을 일으킨다.

6. 3. 1. 혼합 거동

약하게 상호작용하는 고분자 용액의 전형적인 혼합 거동 상태도 (스피노달 곡선과 바이노달 공존곡선)


일반적으로 고분자 혼합물은 저분자 물질 혼합물보다 훨씬 낮은 혼화성을 보인다. 이는 혼합의 원동력이 상호작용 에너지보다는 엔트로피이기 때문이다. 혼화성 물질은 서로의 상호작용이 자기 상호작용보다 유리해서 용액을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각 성분이 이용 가능한 부피 증가에 따른 엔트로피 증가, 즉 자유 에너지 증가로 인해 용액을 형성한다. 이 엔트로피 증가는 혼합되는 입자 수(또는 몰 수)에 비례한다. 고분자 분자는 저분자보다 훨씬 크고 비체적(비용)이 크기 때문에, 고분자 혼합물에 포함된 분자 수는 같은 부피의 저분자 혼합물보다 훨씬 적다. 반면, 혼합 에너지는 고분자 혼합물과 저분자 혼합물에서 부피당 동등하다. 따라서 고분자 용액의 혼합 자유 에너지는 증가하고, 용매화는 불리해진다. 결과적으로, 고분자의 농축 용액은 저분자 용액보다 훨씬 드물다.[90]

고분자 용액이나 혼합물의 상 거동은 저분자 혼합물보다 복잡하다. 대부분의 저분자 용액은 냉각 시 상 분리를 보이는 상부 임계 용액 온도(UCST) 상전이만 나타내는 반면, 고분자 혼합물은 가열 시 상 분리를 보이는 하부 임계 용액 온도(LCST) 상전이를 보인다.[90]

묽은 용액에서 고분자 특성은 용매와 고분자의 상호작용으로 특징지어진다. 양용매에서는 고분자가 팽윤하여 큰 부피를 차지한다. 이때 용매와 단량체 반복 단위(monomer subunits) 사이의 분자간 힘이 분자내 상호작용보다 지배적이다. 빈용매에서는 분자내 힘이 지배적이며 사슬은 수축한다. (θ 용매)(θ solvent), 즉 제2 비리알 계수가 0이 되는 고분자 용액 상태에서는 고분자-용매 간 분자간 반발력과 단량체-단량체 간 분자내 인력이 균형을 이룬다. θ 조건(플로리 조건)에서 고분자는 이상적인 무작위 코일처럼 행동한다. 이 상태 전이는 (Coil–globule transition)로 알려져 있다.[90]

6. 3. 2. 가소제의 영향

가소제는 유리 전이 온도(Tg)를 낮추고 고분자의 유연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58] 수소 결합을 형성하는 가소제 분자는 고분자 사슬 사이에 틈을 만들어 이동성을 높이고, 사슬 간 상호작용을 줄여 사슬의 이동성을 더욱 변화시킨다.[131]

폴리염화비닐(PVC)은 가소제의 작용을 보여주는 좋은 예이다. 가소제가 없는 폴리염화비닐(uPVC)은 파이프처럼 강도와 내열성이 필요한 곳에 쓰인다. 반면 가소화된 PVC는 유연성이 필요한 의류나 신축성 필름 등에 사용된다.[58]

6. 4. 화학적 특성

고분자 사슬 사이의 인력은 고분자의 특성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고분자 사슬은 매우 길기 때문에 분자당 많은 사슬 간 상호작용이 있으며, 이러한 상호작용은 일반적인 분자 사이의 인력에 비해 고분자 특성에 큰 영향을 준다.[80]

고분자의 서로 다른 측쇄는 고분자 자체 사슬 사이에 이온 결합 또는 수소 결합을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강한 힘은 일반적으로 높은 인장 강도와 높은 결정질 용융점을 유발한다.

고분자의 분자간 힘은 단량체 단위의 쌍극자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아마이드 또는 카르보닐기를 포함하는 고분자는 인접한 사슬 사이에 수소 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한 사슬의 N-H기의 부분적으로 양전하를 띤 수소 원자는 다른 사슬의 C=O기의 부분적으로 음전하를 띤 산소 원자에 강하게 끌린다. 예를 들어, 이러한 강한 수소 결합은 우레탄 또는 요소 결합을 포함하는 고분자의 높은 인장 강도와 용융점을 초래한다.[80] 폴리에스터는 C=O기의 산소 원자와 H-C기의 수소 원자 사이에 쌍극자-쌍극자 결합을 갖는다. 쌍극자 결합은 수소 결합만큼 강하지 않으므로 폴리에스터의 용융점과 강도는 케블라(트와론)보다 낮지만, 폴리에스터는 더 큰 유연성을 갖는다.

폴리에틸렌과 같은 비극성 단위를 가진 고분자는 약한 반데르발스 힘을 통해서만 상호 작용한다. 결과적으로, 이들은 일반적으로 다른 고분자보다 용융 온도가 낮다.[80]

페인트와 접착제와 같은 상업용 제품에서 고분자가 액체에 분산되거나 용해될 때, 화학적 특성과 분자 상호 작용은 용액의 흐름에 영향을 미치며, 심지어 고분자가 복잡한 구조로 자가 조립되는 것을 초래할 수 있다. 고분자를 코팅으로 적용할 때, 화학적 특성은 코팅의 접착력과 외부 재료와의 상호 작용에 영향을 미치며, 예를 들어 초소수성 고분자 코팅은 내수성을 제공한다. 전반적으로 고분자의 화학적 특성은 새로운 고분자 재료 제품을 설계하는 데 중요한 요소이다.[80]

6. 5. 광학적 특성

고분자는 고체 염료 레이저(고체 염료 도핑 고분자 레이저라고도 함)의 이득 매질(gain medium)에서 매트릭스(matrix)로 사용된다.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나 HEMA:MMA와 같은 고분자가 이러한 레이저에 사용된다. 이러한 고분자는 높은 표면 품질과 투명도를 가지므로 레이저 특성은 고분자 매트릭스에 도핑된 레이저 염료에 의해 결정된다.[59] 이 유형의 레이저는 매우 좁은 레이저 선폭을 생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분광법 및 분석 응용 분야에 유용하다.[59] 레이저 응용 분야에 사용되는 고분자에서 중요한 광학적 매개변수는 온도에 따른 굴절률 변화(dn/dT)이다. 297 ≤ T ≤ 337 K 범위에서 (dn/dT)는 K−1 단위로 약 −1.4 × 10−4이다.[60]

6. 6. 전기적 특성

폴리에틸렌과 같은 대부분의 일반적인 고분자는 전기 절연체이지만, π-공액 결합을 포함하는 고분자의 개발로 인해 폴리티오펜과 같은 고분자 기반의 반도체가 많이 등장하게 되었다. 이는 유기 전자공학 분야에서 많은 응용으로 이어졌다.[80]

7. 고분자의 응용

합성 고분자는 오늘날 우리 생활의 거의 모든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현대 사회는 고분자 없이는 매우 달라 보일 것이다. 고분자 사용의 확산은 낮은 밀도, 낮은 비용, 우수한 열/전기 절연성, 높은 내식성, 낮은 에너지 소비의 고분자 제조 및 최종 제품으로의 용이한 가공과 같은 고유한 특성과 관련이 있다.[80] 특정 용도의 경우, 복합재료에서와 같이 다른 재료와 결합하여 고분자의 특성을 조정하거나 향상시킬 수 있다. 고분자의 응용은 에너지 절약(가벼운 자동차와 비행기, 단열 건물), 식품 및 식수 보호(포장), 토지 절약 및 비료 사용량 감소(합성 섬유), 기타 재료 보존(코팅), 생명 보호 및 구조(위생, 의료 응용)를 가능하게 한다.[80]

대표적인 응용 분야는 다음과 같다.

8. 고분자의 표준 명명법

미국화학회(ACS)와 국제순수 및 응용화학연합(IUPAC)은 표준화된 고분자 명명 규칙을 제안했다.[63] ACS와 IUPAC 규칙은 유사하지만 동일하지 않다.[63]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고분자는 관용명으로 불리는 경우가 많다.

일반명ACS 명명법IUPAC 명명법
폴리에틸렌 옥사이드(Poly(ethylene oxide)) 또는 PEOPoly(oxyethylene)Poly(oxyethylen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또는 PETPoly(oxy-1,2-ethanediyloxycarbonyl-1,4-phenylenecarbonyl)Poly(oxyethyleneoxyterephthaloyl)
나일론 6(Nylon 6) 또는 폴리아미드 6(Polyamide 6)Poly[imino(1-oxo-1,6-hexanediyl)]Poly[azanediyl(1-oxohexane-1,6-diyl)]



두 표준 규칙에서 고분자의 이름은 합성된 단량체를 반영한다(출처 기반 명명법). 예를 들어, 에텐(ethene)으로 합성된 고분자는 폴리에텐(polyethene)이라고 하며, 중합 과정에서 이중 결합이 제거되더라도 ''-ene'' 접미사를 유지한다.

에텐의 중합 과정
frameless


그러나 IUPAC 구조 기반 명명법은 기본적인 구성 반복 단위의 명명을 기반으로 한다.[64]

IUPAC은 또한 새로운 고분자 이름의 약어에 대한 지침을 발표했다.[65] 138가지 일반적인 고분자 약어는 표준 ISO 1043-1에도 표준화되어 있다.[66]

9. 고분자의 특성 평가

화학적 조성, 분자량 분포 및 물리적 특성을 결정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들이 고분자 특성 분석에 사용된다. 일반적인 기술은 다음과 같다:

10. 고분자의 열화

열과 추위, 브레이크액, 햇빛에 30년간 노출된 플라스틱 제품. 변색과 균열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전경의 교체품과 비교).


고분자 열화란 열, 빛, 특정 화학 물질, 산소, 효소 등 하나 또는 여러 환경 요인의 영향으로 고분자 또는 고분자계 제품의 특성(인장강도, , 형태, 분자량)이 변화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물성 변화는 대부분 고분자 골격의 사슬 절단(결합 파괴) 결과이며, 분자 사슬의 말단이나 사슬 내 임의의 위치에서 발생할 수 있다.[67]

이러한 변화는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가 많지만, 때로는 생분해재활용처럼 환경 오염을 막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분해는 생의학적인 측면에서도 유용하다. 예를 들어, 폴리락트산과 폴리글리콜산의 공중합체는 상처를 봉합한 후 천천히 분해되는 가수분해성 봉합사로 사용되고 있다.

고분자의 분해되기 쉬운 정도는 그 구조에 따라 달라진다. 에폭시나 방향족 작용기를 포함하는 사슬은 특히 자외선에 의한 분해를 받기 쉽고, 폴리에스터는 가수분해에 의한 열화를 받기 쉽다. 불포화 골격을 포함하는 고분자는 오존 크래킹에 의해 열화된다. 탄소계 고분자는 폴리디메틸실록산과 같은 무기 고분자보다 열열화가 일어나기 쉽기 때문에 대부분의 고온 용도에는 적합하지 않다.

폴리에틸렌의 열화는 고분자의 원자를 결합하고 있는 결합이 무작위로 끊어지는 무작위 절단에 의해 발생한다. 폴리에틸렌은 450 °C 이상으로 가열하면 분해되어 탄화수소 혼합물을 형성한다. 또한, 분자 사슬 말단의 절단의 경우, 단량체가 방출되고, 이 과정은 언지핑(unzipping) 또는 해중합이라고 불린다. 어떤 메커니즘이 지배적인지는 고분자의 종류와 온도에 따라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반복 단위에 작은 치환기를 갖지 않거나 하나만 갖는 고분자는 무작위 사슬 절단에 의해 분해된다.

재활용 목적의 고분자 폐기물 분류에서는, 플라스틱의 종류를 식별하기 위해 미국 플라스틱 산업 협회가 개발한 수지 식별 코드를 사용함으로써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염소 부식으로 손상된 아세탈 수지 배관 이음쇠


안전 중요한 고분자 부품의 고장은 고분자로 만들어진 연료 배관의 균열이나 열화로 인한 화재 등 중대한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1990년대 미국에서 아세탈 수지로 만든 배관 이음쇠와 폴리부틸렌 배관의 염소에 의한 균열로 인해 주택에서 많은 심각한 침수 사고가 발생했다. 수돗물 속 미량의 염소가 배관의 고분자를 열화시키는 문제는 부품의 압출 성형이나 사출 성형이 불충분한 경우에 빠르게 발생했다. 성형 불량 아세탈 이음쇠가 부식되어 응력이 집중되는 이음쇠 나사산을 따라 균열이 발생했다.
천연 고무관에 발생한 오존 크랙킹


고분자의 산화는 의료 기기에서도 사고를 일으키고 있다. 가장 오래전부터 알려진 고장 모드 중 하나가 오존 크랙킹(균열)으로, 이는 천연 고무나 니트릴 고무 등 영향을 받기 쉬운 엘라스토머에서 오존이 공격할 때 분자 사슬 절단에 의해 발생한다. 이러한 고무는 반복 단위에 이중 결합을 포함하고 있어 오존 산화에 의해 절단된다. 연료 배관에 균열이 생기면 튜브 단면을 관통하여 연료 누출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엔진룸 내부에서 균열이 발생하면 전기 불꽃이 휘발유에 인화하여 중대한 화재를 일으킬 수 있다. 의료 용도에서는 고분자의 열화가 이식형 기구의 물리적 및 화학적 특성 변화를 초래할 수 있다.[138]

나일론 6,6은 산에 의한 가수분해되기 쉽고, 어떤 사고에서는 연료 배관의 파열로 경유가 도로에 유출되었다. 경유가 도로에 유출되면 퇴적물이 블랙 아이스처럼 미끄럽게 되어 후속 차량 사고를 일으킬 수 있다. 또한, 경유가 아스팔트 합재에서 아스팔텐을 용출시키기 때문에 아스팔트 콘크리트 도로면이 손상되어 아스팔트 도로면의 열화와 도로의 구조적 완전성이 손상된다.

참조

[1] 논문 AFM Single Molecule Experiments at the Solid-Liquid Interface: In Situ Conformation of Adsorbed Flexible Polyelectrolyte Chains
[2] GoldBook polymer
[3] GoldBook macromolecule (polymer molecule)
[4] 웹사이트 Polymer – Definition of polymer https://www.thefreed[...] The Free Dictionary 2013-07-23
[5] 백과사전 Define polymer https://www.dictiona[...] 2013-07-23
[6] 웹사이트 Polymer on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12-25
[7] 서적 Fundamentals of polymer science: an introductory text Technomic Pub. Co.
[8] 서적 Principles of polymer engineering Oxford University Press
[9] 논문 Oligosaccharide microarrays to decipher the glyco code
[10] 문서 Isomeric, distinction from relations analogous to it https://books.google[...]
[11] 논문 Ask the Historian: The origin of the polymer concept http://www.che.uc.ed[...] 2013-03-04
[12] 논문 Über Polymerisation https://babel.hathit[...]
[13] 서적 Contemporary Polymer Chemistry Pearson Education
[14] 논문 Polymer amide in the Allende and Murchison meteorites. 2015
[15] 논문 Chiral 480nm absorption in the hemoglycin space polymer: a possible link to replication 2022-09-28
[16] 뉴스 Polymers in meteorites provide clues to early solar system https://www.scienced[...] 2023-01-09
[17] 웹사이트 World Plastics Production https://committee.is[...]
[18] 서적 Introduction to physical polymer science Wiley
[19] 서적 Introduction to physical polymer science
[20] 서적 Introduction to physical polymer science
[21] 웹사이트 Membranes on Polyolefins Plants Vent Recovery, Improvement Economics Program http://www.slideshar[...] Intratec 2012-08-02
[22] 논문 Multiscale modeling of polymer materials using field-theoretic methodologies: a survey about recent developments
[23] 서적 Introduction to physical polymer science
[24] 서적 An introduction to polymer phys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25] 서적 An introduction to polymer physics
[26] 서적 An introduction to polymer physics
[27] 서적 Introduction to physical polymer science
[28] 서적 Polymer physics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9] 서적 Principles of polymer engineering
[30] 서적 Polymer physics
[31] 서적 Principles of polymer engineering
[32] 서적 Polymer physics
[33] 서적 Fundamentals of polymer science: an introductory text
[34] 서적 Scaling concepts in polymer physics Cornell University Press
[35] 서적 Polymer physics
[36] 서적 McCrum
[37] 서적 Introduction to Polymer Science and Chemistry: A Problem-Solving Approach
[38] 논문 Chain-length dependence of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1991-07-01
[39] 서적 The Mesoscopic Theory of Polymer Dynamics https://cds.cern.ch/[...]
[40] 논문 The statistical mechanics of polymerized material
[41] 서적 Painter
[42] 서적 Rudin
[43] 서적 Cowie
[44] 웹사이트 Periodic copolymer https://goldbook.iup[...] International Union of Pure and Applied Chemistry 2020-04-09
[45] 서적 Painter
[46] 서적 Sperling
[47] 논문 Sequence-Controlled Polymers 2013-08-09
[48] 서적 Makromolekulare Chemie Wiley-VCH
[49] 서적 Kunststoffchemie für Ingenieure Carl Hanser
[50] 웹사이트 Types of polymer: Requirements of fibre forming polymer https://textileapex.[...] 2014-08-01
[51] 서적 Contemporary Polymer Chemistry Pearson Education
[52] 서적 Rubinstein
[53] 서적 Engineering Materials https://archive.org/[...] Butterworth-Heinermann
[54] 서적 Mechanical Behavior of Materials http://www.toodoc.co[...]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8-12-31
[55] 서적 Polymer Science & Technology Prentice Hall
[56] 서적 Polymer Handbook Wiley-Interscience
[57] 논문 Definitions of terms relating to crystalline polymers (IUPAC Recommendations 2011) https://www.degruyte[...] 2018-12-31
[58] 논문 Free Volume in a PVME Polymer–Water Solution
[59] 논문 Multiple-prism grating solid-state dye laser oscillator: optimized architecture
[60] 서적 Tunable Laser Optics Elsevier Academic
[61] 간행물 CAS: Index Guide, Appendix IV
[62] 논문 Nomenclature of Regular Single-Strand Organic Polymers
[63] 웹사이트 Macromolecular Nomenclature Note No. 18 http://www.polyacs.o[...]
[64] 논문 A brief guide to polymer nomenclature (IUPAC Technical Report) 2012-10-03
[65] 논문 Abbreviations of polymer names and guidelines for abbreviating polymer names (IUPAC Recommendations 2014) https://www.degruyte[...] 2014-06-18
[66] 웹사이트 ISO 1043-1:2011 https://www.iso.org/[...] 2024-09-21
[67] 논문 Degradation of polypropylene in vivo: A microscopic analysis of meshes explanted from patients 2015-08-28
[68] 논문 History of Natural Rubber 1981-05-01
[69] 논문 Polymer History 2008-01-01
[70] 논문 Über Polymerisation https://zenodo.org/r[...] 1920-06-12
[71]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Chemistry 1953 https://www.nobelpri[...] 2020-06-25
[72] 논문 Polymer History 2008-01-01
[73] 논문 Lord Todd: the state of chemistry 1980-10-06
[74] 논문 AFM Single Molecule Experiments at the Solid-Liquid Interface: In Situ Conformation of Adsorbed Flexible Polyelectrolyte Chains
[75] GoldBook polymer
[76] GoldBook macromolecule (polymer molecule)
[77] 웹사이트 Polymer – Definition of polymer https://www.thefreed[...] The Free Dictionary 2013-07-23
[78] 웹사이트 Define polymer https://www.dictiona[...] 2013-07-23
[79] 웹사이트 Polymer on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08-11
[80] 서적 Fundamentals of polymer science: an introductory text Technomic Pub. Co.
[81] 서적 Principles of polymer engineering Oxford University Press
[82] 서적 Isomeric, distinction from relations analogous to it https://books.google[...] Jahres-Bericht über die Fortschitte der physischen Wissenschaften …
[83] 논문 Ask the Historian: The origin of the polymer concept https://web.archive.[...] 2013-03-04
[84] 논문 Über Polymerisation https://babel.hathit[...]
[85] 서적 Contemporary Polymer Chemistry Pearson Education
[86] 논문 Oligosaccharide microarrays to decipher the glyco code
[87] 논문 Polymer amide in the Allende and Murchison meteorites. 2015
[88] 논문 Chiral 480nm absorption in the hemoglycin space polymer: a possible link to replication 2022-09-28
[89] 뉴스 Polymers in meteorites provide clues to early solar system https://www.scienced[...] 2021-06-29
[90] 웹사이트 World Plastics Production https://committee.is[...] 2023-08-11
[91] 서적 Introduction to physical polymer science Wiley
[92] 서적 Sperling
[93] 서적 Sperling
[94] 웹사이트 Membranes on Polyolefins Plants Vent Recovery, Improvement Economics Program https://web.archive.[...] Intratec 2012-08-02
[95] 논문 Multiscale modeling of polymer materials using field-theoretic methodologies: a survey about recent developments
[96] 서적 Sperling
[97] 서적 An introduction to polymer phys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98] 서적 Rudin
[99] 서적 Cowie
[100] 서적 Sperling
[101] 서적 Polymer physics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02] 서적 McCrum
[103] 서적 Rubinstein
[104] 서적 McCrum
[105] 서적 Rubinstein
[106] 서적 Painter
[107] 서적 Scaling concepts in polymer physics Cornell University Press
[108] 서적 Rubinstein
[109] 서적 McCrum
[110] 서적 Introduction to Polymer Science and Chemistry: A Problem-Solving Approach
[111] 학술지 Chain-length dependence of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1991-07
[112] 서적 The Mesoscopic Theory of Polymer Dynamics https://cds.cern.ch/[...]
[113] 학술지 The statistical mechanics of polymerized material http://www.samedward[...]
[114] 서적 Painter
[115] 서적 Rudin
[116] 서적 Cowie
[117] 학술지 Periodic copolymer https://goldbook.iup[...] International Union of Pure and Applied Chemistry 2020-04-09
[118] 서적 Painter
[119] 서적 Sperling
[120] 학술지 Sequence-Controlled Polymers 2013-08-09
[121] 서적 Makromolekulare Chemie Wiley-VCH
[122] 서적 Kunststoffchemie für Ingenieure Carl Hanser
[123] 학술지 Types of polymer: Requirements of fibre forming polymer https://textileapex.[...] 2014-08
[124] 서적 Contemporary Polymer Chemistry Pearson Education
[125] 서적 Rubinstein
[126] 서적 Engineering Materials https://archive.org/[...] Butterworth-Heinermann
[127] 서적 Mechanical Behavior of Materials http://www.toodoc.co[...]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11-02
[128] 서적 Polymer Science & Technology Prentice Hall
[129] 서적 Polymer Handbook Wiley-Interscience
[130] 학술지 Definitions of terms relating to crystalline polymers (IUPAC Recommendations 2011) https://www.degruyte[...] 2018-12-31
[131] 학술지 Free Volume in a PVME Polymer–Water Solution
[132] 학술지 Multiple-prism grating solid-state dye laser oscillator: optimized architecture
[133] 서적 Tunable Laser Optics Elsevier Academic
[134] 서적 CAS: Index Guide, Appendix IV
[135] 학술지 Nomenclature of Regular Single-Strand Organic Polymers
[136] 웹사이트 Macromolecular Nomenclature Note No. 18 http://www.polyacs.o[...] 2003-09-25
[137] 학술지 A brief guide to polymer nomenclature (IUPAC Technical Report) https://www.degruyte[...] 2012-10-03
[138] 학술지 Degradation of polypropylene in vivo: A microscopic analysis of meshes explanted from patients 2015-08-28
[139] 학술지 History of Natural Rubber 1981-05
[140] 학술지 Polymer History 2008-01
[141] 논문 Über Polymerisation https://zenodo.org/r[...] 1920-06-12
[142]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Chemistry 1953 https://www.nobelpri[...] 2020-06-25
[143] 논문 Polymer History 2008-01-01
[144] 논문 Lord Todd: the state of chemistry 1980-10-06
[145]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acswebcontent[...] 2006-07-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