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증편은 기증떡, 기지떡, 술떡, 벙거지떡 등으로 불리는 떡의 일종이다. 쌀가루에 막걸리 등 술을 넣어 발효시킨 후 밤, 대추, 잣, 깨, 석이버섯, 꽃 등의 고명을 얹어 쪄낸다. 술 향기와 새콤한 맛이 특징이며, 여름에 시원하게 먹기 좋은 떡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술 요리 - 카사타
카사타는 10세기 시칠리아 이슬람 에미르국 시대 팔레르모에서 기원한 시칠리아 디저트로, 리코타 치즈를 사용한 둥근 형태 외에 다양한 형태와 변형이 존재하며, 미국과 인도 등지에서도 독특한 형태로 만들어진다. - 술 요리 - 트라이플
트라이플은 영국에서 유래된 디저트로, 커스터드 크림, 과일, 스펀지 케이크 등을 층층이 쌓아 만들며, 다양한 재료와 조리법으로 맛과 외관을 다채롭게 연출할 수 있고 한국적인 재료를 활용한 형태로도 발전하고 있다. - 떡 - 백설기
- 떡 - 시루떡
시루떡은 멥쌀이나 찹쌀을 주재료로 여러 곡물과 함께 찌는 한국 전통 떡으로, 만드는 방법에 따라 설기떡과 켜떡으로 나뉘며 고사떡이나 잔치 등 다양한 행사에 사용된다. - 한국 요리 - 호박죽
호박죽은 늙은 호박이나 단호박을 삶아 으깬 후 찹쌀가루 등을 넣어 끓여 만든 한국 전통 음식이다. - 한국 요리 - 애호박
애호박은 한국 요리에서 볶음, 전, 찌개 등 다양한 요리에 활용되는 채소이며, 말린 형태인 호박고지는 볶음이나 나물로 조리되고 궁중 요리에도 사용된다.
증편 - [음식]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종류 | 떡 |
국가 | 한국 |
지역 | 해당 없음 |
주재료 | 쌀가루, 막걸리 |
칼로리 | 200 |
이름 | |
한국어 | 증편 |
로마자 표기 | jeungpyeon |
다른 이름 | 술떡(sultteok) |
영양 정보 | |
1회 제공량 | 4인분 |
2. 명칭과 역사
증편은 기증떡, 기지떡, 술떡, 벙거지떡 등 여러 이름으로 불린다.[6][5]
증편을 언제부터 먹기 시작했는지는 분명하지 않으나, 증편과 유사하게 발효시키는 방식으로 만드는 떡인 상화를 고려 시대에 먹었다는 기록이 있다.[7] 상화는 원나라에서 전해진 떡으로, 밀가루에 술과 팥소를 넣고 발효시킨 뒤 쪄낸다.
2. 1. 역사
증편은 기증떡, 기지떡, 술떡, 벙거지떡 등 여러 이름으로 불린다.[6][5]증편을 언제부터 먹기 시작했는지는 분명하지 않으나, 증편과 유사하게 발효시키는 방식으로 만드는 떡인 상화를 고려 시대에 먹었다는 기록이 있다.[7] 상화는 원나라에서 전해진 떡으로, 밀가루에 술과 팥소를 넣고 발효시킨 뒤 쪄낸다.
3. 조리법
쌀가루에 막걸리 등의 술을 넣어 발효시킨 뒤 밤, 대추, 잣, 깨, 석이버섯, 각종 꽃 등의 고명을 뿌리고 쪄낸다.[4] 술향기와 함께 새콤한 맛이 나는 것이 특징으로, 더운 여름에 시원한 느낌을 주고 소화가 잘 되며 빨리 쉬지도 않아 여름에 주로 먹는 떡이다.
체에 친 찹쌀가루를 뜨거운 막걸리와 섞어 덮은 후 따뜻한 방에서 부풀도록 둔다.[4] 부풀어 오른 반죽을 다시 한번 섞어 공기방울을 빼고 덮어 다시 부풀린다.[4] 그런 다음 증편틀에 넣고 솔잎, 잣, 검은깨, 채썬 대추, 채썬 석이버섯, 국화꽃잎, 계관화 꽃잎 등의 고명을 얹어 찐다.[4]
3. 1. 재료
쌀가루에 술을 넣어 발효시킨 뒤에 고명을 뿌리고 쪄낸다. 이때 술은 쌀로 만든 술로 막걸리 등이 사용된다. 고명으로는 밤, 대추, 잣, 깨, 석이버섯, 각종 꽃이 들어갈 수 있다.체에 친 찹쌀가루를 뜨거운 막걸리와 섞어 덮은 후 따뜻한 방에서 부풀도록 둔다. 부풀어 오른 반죽을 다시 한번 섞어 공기방울을 빼고 덮어 다시 부풀린다. 그런 다음 증편틀에 넣고 솔잎, 잣, 검은깨, 채썬 대추, 채썬 석이버섯, 국화꽃잎, 계관화 꽃잎 등의 고명을 얹어 찐다.
3. 2. 만드는 법
쌀가루에 막걸리 등의 술을 넣어 발효시킨 뒤 밤, 대추, 잣, 깨, 석이버섯, 각종 꽃 등의 고명을 뿌리고 쪄낸다.[4] 술향기와 함께 새콤한 맛이 나는 것이 특징으로, 더운 여름에 시원한 느낌을 주고 소화가 잘 되며 빨리 쉬지도 않아 여름에 주로 먹는 떡이다.체에 친 찹쌀가루를 뜨거운 막걸리와 섞어 덮은 후 따뜻한 방에서 부풀도록 둔다.[4] 부풀어 오른 반죽을 다시 한번 섞어 공기방울을 빼고 덮어 다시 부풀린다.[4] 그런 다음 증편틀에 넣고 솔잎, 잣, 검은깨, 채썬 대추, 채썬 석이버섯, 국화꽃잎, 계관화 꽃잎 등의 고명을 얹어 찐다.[4]
4. 특징
참조
[1]
웹사이트
jeungpyeon
http://www.hansik.or[...]
2017-04-27
[2]
웹사이트
jeungpyeon
http://stdweb2.korea[...]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2017-04-28
[3]
웹사이트
sultteok
http://stdweb2.korea[...]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2017-04-28
[4]
웹사이트
jeungpyeon
http://www.doopedia.[...]
Doosan Corporation
2017-04-28
[5]
웹사이트
증편
https://ko.wikipedia[...]
2019-04-04
[6]
웹인용
영양 증편
http://pr.korean.net[...]
한국관
2008-09-14
[7]
웹인용
기주떡
http://100.empas.com[...]
엠파스 백과사전
2008-09-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