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평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증평역은 충청북도 증평군에 있는 철도역이다. 1923년 청안역으로 영업을 시작했으며, 충북증평역을 거쳐 1948년 현재의 증평역으로 개칭되었다. 1967년 역사 증축 및 신축을 거쳐 1980년 현재 위치로 이전했다. 충북선 누리로, 충북종단열차 등이 운행했으며, 현재는 무궁화호가 정차한다. 섬식 승강장 2면 4선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변에는 제37보병사단, 학교, 공공기관 등이 위치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증평군의 건축물 - 증평 추성산성
증평 추성산성은 충청북도 증평군에 위치한 한성백제 시기 토축 산성으로, 이중 구조와 초기 판축 기법, 성문 및 수문 발전 양상, 국제 정세 파악 단서 등의 학술적 가치를 인정받아 대한민국의 사적으로 지정되었으며, 2003년 충청북도 기념물로 지정될 당시 현재의 명칭을 얻었다. - 증평군의 건축물 - 증평시외버스터미널
증평시외버스터미널은 충청북도 증평군에 위치하며, 수도권, 강원권, 충청권, 호남권, 영남권 등 다양한 지역으로 시외버스가 운행된다. - 증평군의 교통 - 증평 나들목
증평 나들목은 충청북도 청주시 오창읍에 위치한 중부고속도로의 나들목으로, 1988년 개통되었으며 지방도 제510호선과 연결되지만, 명칭 혼란으로 인해 변경 의견이 제기되고 있고, 2019년 기준 하루 평균 통행량은 약 7,806대이다. - 증평군의 교통 - 국도 제36호선
국도 제36호선은 충청남도 보령시부터 경상북도 울진군까지 약 270km에 걸쳐 충청남도, 세종특별자치시, 충청북도, 경상북도를 연결하는 국도로, 여러 차례의 노선 변경 및 확장 공사를 거쳐 지역 간 교통의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어 있다. - 충북선 - 충주역
충주역은 충청북도 충주시에 위치한 경부선과 중부내륙선이 교차하는 철도역으로, 1928년 개업 후 한국 전쟁으로 소실되어 이전, 2005년 전철화와 2021년, 2024년 중부내륙선 개통을 거치며 교통 요충지로 발전할 예정이며, 무궁화호와 KTX-이음이 정차하고 주변에 터미널, 축구장, 공원 등이 위치해 있다. - 충북선 - 음성역
음성역은 1928년 영업을 시작한 충북선 소재의 지상역으로, 섬식 승강장 2면 4선을 갖추고 증평역과 주덕역 사이에 위치하며, 누리로 운행 중단 후 현재는 무궁화호가 정차하고, 역 주변에 학교와 우체국 등이 위치하며 고속도로 접근성은 높지만 소음 문제가 있고, 충북선 여객 운행 중단으로 주민 불편이 지속되어 운행 재개 및 시설 개선 노력이 진행 중이다.
증평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역 이름 | 증평역 |
한자 표기 | 曾坪驛 |
로마자 표기 | Jeungpyeong Station |
위치 | 충청북도 증평군 증평읍 역전로 92 |
역 종류 | 보통역 |
소속 사업자 | 한국철도공사 |
소속 노선 | 충북선 |
관리역 | 오송관리역 |
역사 | |
개업일 | 1928년 12월 25일 |
(다른 문서) 개업일 | 1923년 4월 28일 |
역 구조 | |
승강장 | 2면 4선 (쌍섬식) |
구조 | 지상역 |
노선 정보 | |
기점역 | 조치원 |
역간 거리 | 조치원 기점 36.6km |
이전 역 | 내수 |
이전 역간 거리 | 7.8 km |
다음 역 | 도안 |
다음 역간 거리 | 6.6 km (다른 문서: 6.2 km) |
기타 | |
![]() |
2. 연혁
1923년 4월 28일 : '''청안역'''(淸安驛)으로 영업 시작[1]
- 일자 불명 : '''충북증평역'''(忠北曾坪驛)으로 개칭[1]
- 1948년 1월 22일 : '''증평역'''으로 개칭[1]
- 1967년 4월 7일 : 역사 증축[1]
- 1967년 7월 27일 : 역사 신축 준공[1]
- 1979년 10월 10일 : 충북선 복선화로 역사 이전 공사 시작[1]
- 1980년 9월 10일 : 현 위치로 이전 준공[1]
- 2010년 3월 31일 : 충북선 누리로 개통[1]
- 2012년 9월 17일 : 누리로 운행 종료[1]
- 2014년 5월 1일 : 충북종단열차 개통[1]
- 2015년 12월 31일 : 충북선 누리로 재운행[1]
- 2016년 12월 9일 : 누리로 운행 종료[1]
- 2018년 7월 1일 : 충북선 1281(제천행 하행), 1282(서울행 상행) 열차 누리로 운행 개시[1]
- 2020년 3월 2일 : 충북선 1281, 1282 열차 무궁화호 노선으로 대체[1]
2. 1. 초기 역사 (1923년 ~ 1948년)
1923년 4월 28일, '''청안역'''(淸安驛)이라는 이름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1] 이후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으나 '''충북증평역'''(忠北曾坪驛)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1] 1945년 10월 1일에 '''증평역'''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1]2. 2. 역사 증축 및 신축 (1967년 ~ 1980년)
1967년 4월 7일 : 역사 증축.[1]1967년 7월 27일 : 역사 신축 준공.[1]
1979년 10월 10일 : 충북선 복선화로 역사 이전 공사 시작.[1]
1980년 9월 10일 : 현 위치로 이전 준공.[1]
2. 3. 열차 운행 변화 (2010년 ~ 현재)
2010년 3월 31일 충북선에 누리로가 개통되어 운행을 시작했다.[1] 2012년 9월 17일 누리로 운행이 종료되었다.[1] 2014년 5월 1일 충북종단열차가 개통되어 운행을 시작했다.[1] 2015년 12월 31일 충북선에 누리로가 다시 운행을 시작했으나, 2016년 12월 9일 운행이 종료되었다.[1] 2018년 7월 1일부터 충북선 1281(제천행 하행), 1282(서울행 상행) 열차가 누리로로 운행을 시작했다.[1] 2020년 3월 2일부터 해당 열차는 무궁화호 노선으로 대체되어 운행된다.[1]3. 역 구조
증평역은 2면 4선의 섬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3. 1. 승강장
증평역은 2면 4선의 섬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4. 역 주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