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창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진창현은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김천에서 태어나 일본에서 바이올린을 배우고 제작한 한국인이다. 1957년 일본으로 이주하여 육체 노동을 하며 독학으로 바이올린 제작을 시작했으며, 1961년 도쿄예술대학 교수 시노자키 히로시를 만나 본격적인 제작가의 길을 걸었다. 1976년 국제 바이올린 콩쿠르에서 금메달을 수상하고, 1984년 '마스터 메이커' 칭호를 받았다. 대한민국 귀국 후 간첩 혐의로 고초를 겪었으나, 2008년 국민훈장 무궁화장을 받으며 명예를 회복했다. 그의 바이올린은 명기 스트라디바리에 근접했다는 평가를 받으며, 정경화, 아이작 스턴 등 세계적인 연주자들이 사용했다. 2004년 후지 TV 드라마와 2005년 SBS 다큐멘터리로 제작되었으며, 자서전 《천상의 바이올린》을 출간했다. 진창현은 2012년 도쿄에서 대장암으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민훈장 무궁화장 수훈자 - 한덕수
한덕수는 경제 관료 출신 정치인으로, 제47대 국무총리를 역임했으며, 윤석열 정부에서 국무총리로 임명되어 의사 파업 대응과 의료 개혁을 추진했고, 대통령 탄핵 이후 권한대행을 맡았으나 탄핵소추로 직무가 정지되었다. - 국민훈장 무궁화장 수훈자 - 주요한
주요한은 일제강점기 시인이자 언론인이자 정치인이며, 친일 행위로 인해 논란이 있으며, 국회의원과 상공부 장관을 역임했다. - 대장암으로 죽은 사람 - 황인철 (1940년)
황인철은 대한민국의 법조인, 변호사, 사회운동가로서, 판사 출신으로 인권변호사로 활동하며 민청학련 사건,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 등 시국사건 변론을 맡아 민주화 운동에 기여하고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창립, 천주교 정의구현전국연합 대표 등 사회운동에도 참여했다. - 대장암으로 죽은 사람 - 에드워드 엘가
에드워드 엘가는 1857년 영국에서 태어나 관현악 작품으로 명성을 얻었으며, 독학으로 음악을 공부하여 《수수께끼 변주곡》, 《위풍당당 행진곡》 등을 작곡하고 기사 작위와 공로 훈장을 받았으며 1934년에 사망했다.
진창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이름 | 진창현 |
한글 | 진창현 |
한자 | 陳昌鉉 |
히라가나 | 친 쇼겐 |
가타카나 | 친 찬히ョン |
로마자 표기 | Jin Chang Heryern |
기본 정보 | |
이름 (한글) | 진창현 |
출생일 | 1929년 |
출생지 | 일제강점기 조선 경상북도 김천 |
사망일 | 2012년 5월 13일 |
사망지 | 일본 도쿄도 |
사망 원인 | 대장암 |
거주지 | 일본 도쿄도 |
국적 | 대한민국 |
성별 | 남자 |
학력 | 메이지 대학교 영문과 졸업 |
직업 | 바이올린 제작자 |
2. 생애
진창현은 1929년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김천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부터 바이올린에 관심을 가졌다. 1943년 일본으로 건너가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학업과 바이올린 제작을 병행했다. 1955년 메이지 대학 영문과를 졸업했지만, 재일 한국인이라는 이유로 영어 교사의 꿈을 이루지 못하고 바이올린 제작자의 길을 걷게 된다.
1957년부터 건설 현장의 폐자재를 활용하여 바이올린을 만들기 시작했으며, 시노자키 히로쓰구와의 만남은 그의 바이올린 제작 인생에 큰 전환점이 되었다. 한일 국교 수립 후 고향을 찾았다가 간첩으로 몰려 고문을 당하기도 했지만, 무혐의로 풀려난 후 오히려 바이올린 제작에 더욱 매진하게 되었다.
1976년 국제 콩쿠르에서 5개 부문 금메달을 수상하며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고, 1984년에는 '마스터 메이커' 칭호를 받았다. 2008년에는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국민훈장 무궁화장을 받으며 명예를 회복했다. 2012년 5월 13일 대장암으로 도쿄에서 별세하기 전까지 도쿄 센가와(仙川) 소재 진(陳) 공방에서 바이올린 제작을 하였다.
2. 1. 초기 생애와 일본으로의 이주
1929년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김천에서 태어났다. 어렸을 적 떠돌이 약장수가 켜는 바이올린에 관심을 가졌고, 초등학교 4학년 때 일본인 교사에게서 바이올린 연주법을 배웠다.[5]1943년 일본으로 건너가 조선인 차별을 이겨내고 주경야독하며 야간 중학교를 졸업했고, 1955년 메이지 대학 영문과를 졸업했다.[5]
졸업 후 영어 교사가 되려고 했으나, 재일 한국인이라는 이유로 자리를 구하지 못했다.[5] 그러다가 우연히 스트라디바리우스에 대한 강연을 듣고 바이올린 제작을 시작하게 되었다.
2. 2. 바이올린 제작
1955년 메이지 대학 영문과를 졸업한 후, 영어교사가 되려고 했으나 재일 한국인이라는 이유로 자리를 구하지 못했다. 그러던 중 우연히 이토카와 히데오의 스트라디바리우스 관련 강연을 듣고 바이올린 제작을 결심했다.[1] 1957년 나가노현 기소후쿠시마정(현재의 기소정)으로 이주하여 독학으로 바이올린 제작을 시작했다.[1][3] 건설 현장 폐자재를 활용하는 등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바이올린 제작에 몰두했다.수소문 끝에 당시 일본의 3대 바이올린 연주 거장으로 칭송받던 시노자키 히로쓰구(篠崎弘嗣, しのざき ひろつぐ일본어)와 인연을 맺게 된다. 시노자키 히로쓰구는 홍난파 및 안익태의 대학교 동창으로, 당시 조선 유학생들에게 좋은 감정을 가지고 있었으며 차별받는 위치에 있던 진창현을 이해하고 경제적으로 도움을 주었다. 1961년, 시노자키 히로쓰구 (도쿄예술대학 교수)를 만나 본격적인 바이올린 제작가의 길을 걷게 되었고,[1] 도쿄도 조후시에 공방을 열었다.
2. 3. 국제적인 인정과 명예 회복
1976년 〈국제 바이올린·비올라·첼로 제작자 콩쿠르〉에서 5개 종목에 걸쳐 금메달을 수상했다.[5] 1984년 미국바이올린제작자협회로부터 '마스터 메이커'(Master Maker) 칭호를 받았다.[5]대한민국 귀국 후 간첩으로 몰려 고문을 받았으나, 무혐의로 풀려났다. 그는 고문으로 삶과 죽음을 넘나드는 경험이 오히려 삶의 소중함을 깨닫게 하면서 더 좋은 바이올린을 만들어야겠다는 동기를 부여하는 계기가 되었다고 밝혔다.
2008년 세계 한인의 날 기념식에서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국민훈장 무궁화장을 받아[6] 명예를 회복했다.
2. 4. 사망
진창현은 2012년 5월 13일 대장암으로 도쿄에 있는 자택에서 별세하였다. 향년 82세(한국식 84세)였다.[7][8][1]3. 평가 및 매체
진창현의 바이올린은 명기(名器) 제작자 안토니오 스트라디바리에 가장 근접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정경화, 강동석, 아이작 스턴, 로스트로포비치, 헨릭 쉐링 등 명연주자들이 그의 악기를 사용했다.[9]
2004년 11월 27일 후지 TV에서 그의 일생을 다룬 드라마 《해협을 건너는 바이올린》(海峡を渡るバイオリン일본어)이 방영되었고,[9] 2005년 SBS 특집 다큐멘터리 《천상의 바이올린》을 통해 그의 삶이 대한민국에 소개되었다. 2008년에는 한국 국적자로는 최초로 일본 고등학교 2학년 영어 교과서에 소개되기도 했다.[10]
3. 1. 평가
진창현의 바이올린은 명기(名器) 제작자 안토니오 스트라디바리에 가장 근접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정경화, 강동석, 아이작 스턴, 로스트로포비치, 헨릭 쉐링 등 세계적인 명연주자들이 그의 바이올린을 사용했다.[9]3. 2. 대중 매체
2004년 11월 27일 후지 TV에서 그의 일생을 다룬 드라마 《해협을 건너는 바이올린》(海峡を渡るバイオリン일본어)이 방영되었고[9], 2005년 SBS 특집 다큐멘터리 《천상의 바이올린》을 통해 그의 삶이 대한민국에 소개되었다. 2008년에는 한국 국적자로는 최초로 일본 고등학교 2학년 영어 교과서에 소개되기도 했다.[10]4. 관련 도서 및 작품
- 천상의 바이올린 : 진창현의 자서전형 수필이다.
- 《하늘을 울리는 바이올린》
4. 1. 관련 도서
- 《천상의 바이올린》: 진창현의 자서전형 수필.
- 《하늘을 울리는 바이올린》
5. 기여
기소정에서 청년 시절을 보낸 진창현은 기소후쿠시마정의 예술 문화 진흥 사업에 기여했다. 2005년 10월 23일 기소후쿠시마정은 진창현에게 명예주민장(名誉町民|메이요초민일본어)을 수여했으며, 이는 2005년 11월 1일 기소정 발족과 함께 기소정 명예주민으로 이어졌다.[1][3]
참조
[1]
웹사이트
東洋のストラディバリ 陳昌鉉
http://www.town-kiso[...]
木曽町公式サイト
2012-06-25
[2]
웹사이트
陳 昌鉉 JIN CHANG HERYERN
http://www.kansai-vi[...]
関西弦楽器製作者協会
2012-06-25
[3]
웹사이트
木曽福島とのかかわり
http://www.town-kiso[...]
木曽町公式サイト
2012-06-25
[4]
웹사이트
韓国最高国民勲章を授章
http://www.town-kiso[...]
木曽町公式サイト
2012-06-25
[5]
문서
감사(監査) 없이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를 만들 수 있는 실력자임을 나타내는 명칭.
[6]
웹인용
일본에 우뚝 선 재일동포 ‘바이올린 명장’
http://news.kbs.co.k[...]
KBS
2008-10-02
[7]
뉴스
'동양의 스트라디바리' 진창현씨 별세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2-05-15
[8]
뉴스
‘동양의 스트라디바리’ 진창현 씨 별세
http://news.kbs.co.k[...]
KBS뉴스
2012-05-15
[9]
웹인용
해협을 건너는 바이올린(2004)
http://movie.daum.ne[...]
다음
2009-04-26
[10]
웹인용
진창현, '동양의 스트라디바리'
http://www.cbs.co.kr[...]
데일리노컷뉴스
2007-04-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