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해 경비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진해 경비부는 1904년 거제도에 설치된 임시 근거지 방비대에서 시작하여, 진해만 방비대, 진해 방비대를 거쳐 1916년 요항부로 승격되었다. 1941년 경비부로 승격되었으나, 1945년 11월 30일 폐지되었다. 일본 제국 해군은 진해에 항만 시설을 건설하여 주요 해군 항구로 만들었으며, 요항부는 2차 해군 기지로서 도크, 연료 공급 및 재보급 시설을 갖추었다. 광복 이후 미 해군에 의해 점령된 후 남조선 해안경비대를 거쳐 현재 대한민국 해군 진해 해군기지로 사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16년 설립된 단체 - 남미 축구 연맹
남미 축구 연맹(CONMEBOL)은 1916년 아르헨티나, 브라질, 칠레, 우루과이 축구 협회가 모여 창립되었으며, 코파 아메리카 등 남미의 축구를 관할하는 10개국 회원국으로 구성된 기구이다. - 1916년 설립된 단체 - 미국교사연맹
미국교사연맹은 1916년 설립된 미국의 교사 노동조합으로, 초등학교 교사들을 중심으로 시작하여 대공황 시기에 회원 수가 증가했으며, 단체 교섭권 확보, 교육 자료 공유, 정치 활동 등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 일본 제국 해군의 기지 - 사세보 해군공창
사세보 해군공창은 사세보항을 군항으로 정비하기로 결정한 1886년에 기원을 둔 일본 제국 해군의 공창으로, 함정 수리 및 보급 기지 역할을 수행하며 경순양함, 구축함, 보조 함정 등을 건조하고 항공모함 개장 공사를 담당했으며, 현재는 주사세보 미국 해군 시설과 사세보 중공업으로 재편되어 운영되고 있다. - 일본 제국 해군의 기지 - 히로 해군공창
히로 해군공창은 1921년 구레 해군 공창의 지창으로 설립되어 1923년 독립한 일본 해군의 군수 공창으로, 함정, 항공기, 무기 등의 수리 및 제조를 담당했으나 태평양 전쟁 중 미군의 공습으로 피해를 입어 폐쇄되었으며, 현재 일부 흔적이 남아있고 강제 징용 피해자 추모 공간 마련이 논의 중이다. - 주한 일본군 - 제150사단 (일본군)
제150사단은 1945년 일본 본토 결전 계획에 따라 창설되어 전라도 해안 방어를 맡았으나, 소련의 만주 침공 후 군산에서 항복한 일본군 해안배비사단이다. - 주한 일본군 - 제17방면군
제17방면군은 일본이 결호작전에 대비하여 한반도에 상륙하는 연합군을 저지하기 위해 창설한 군대로, 경성에 본부를 두고 조선군관구의 주요 직위 겸임, 관동군의 통제 하에 있었으나 실제 전투 없이 종전을 맞이했으며, 조선인 강제 동원의 대상이 되었다.
진해 경비부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명칭 | 진해 경비부 |
원래 명칭 | (친카이 케이비후) |
종류 | 경비부 |
역사 | |
건설 | 일본 제국 해군 |
재료 | 콘크리트 |
사용 기간 | 1916년 1월 12일 ~ 1945년 8월 15일 |
해체 | 1945년 11월 30일 |
현재 상태 | 대한민국 해군에서 진해 해군기지로 운용 중 |
소유 및 통제 | |
소유자 | 조선군(1916-1945) |
공개 여부 | 아니요 |
주둔 및 지휘 | |
전투 및 사건 |
2. 역사
1904년 1월, 거제도에 설치된 임시 근거지 방비대가 진해 경비부의 시초이다. 같은 해 12월 15일 진해만 방비대로 개칭되었다가,1907년 10월 1일 다시 진해 방비대로 개칭되었다. 1916년 4월 1일, 요항부로 승격되었다.[1][3]
진해는 15세기와 16세기에 일본 무역 정착지가 있었던 곳으로, 일본과 오랜 연관이 있는 지역이었다.[2] 러일 전쟁 당시 쓰시마 해전을 앞두고 도고 헤이하치로가 연합 함대를 집결한 곳이기도 하다.[2] 1905년 한일 병합 조약에 따라 일본 제국이 대한제국을 강제로 병합한 후, 일본 제국 해군은 진해에 광범위한 항만 시설을 건설하여 작은 어촌 마을을 주요 해군 항구로 탈바꿈시켰다.[3] 이는 일제의 침략적 야욕을 명백히 보여주는 사례이다.
요항부는 1차 해군 기지인 진수부와 유사한 2차 해군 기지로, 도크, 연료 공급 및 재보급 시설을 갖추고 있었지만, 일반적으로 조선소나 훈련 학교는 없었다.[1] 방어 목적으로 전략적 수로나 주요 항구 도시에 설치되는 경향이 있었다.[1] 개념적으로 경비부는 미국 해군의 해상 전선 개념과 유사했다.[1]
1936년 10월 1일에는 진해 해군 항공대가 설치되었다. 1941년 10월 1일에는 방비 전대와 나진 근거지대가 설치되었으나, 같은 해 11월 20일 태평양 전쟁 발발 직전, 경비부로 승격되면서 진해 요항부로서의 역할은 끝나게 되었다.[1]
1942년 1월 15일 특별 근거지대가 설치되었고, 10월 1일에는 방비 전대가 폐지되었다. 1944년 2월 1일에는 인사부가 설치되었으며, 1945년 7월 20일에는 연합 특별 육전대가 설치되었다. 같은 해 7월 25일에는 나진・청진에 항만 경비대가 설치되었다.
1945년 8월 15일 광복 이후, 같은 해 11월 30일 진해 경비부는 폐지되었다. 이후 진해는 USS ''해리 E. 허바드'' (DD-748)를 선두로 하는 미국 해군 제64 구축함대에 의해 점령되었다.[4] 해방 이후, 남조선 해안경비대를 거쳐 대한민국 해군이 진해 해군기지로 사용하고 있으며, 현재까지도 대한민국 해군의 중요한 거점 중 하나로 기능하고 있다.
2. 1. 설치 배경
1904년 1월, 거제도에 설치된 방위대가 진해 경비부의 시초이다.[1] 진해경비대로 개칭한 후 1916년 요항부로 승격되었다.[1] 1941년 11월 20일에는 경비부로 승격했으나,[1] 일본의 항복 이후 11월 30일에 폐지되었다.[1]경비부는 1차 해군 기지인 진수부와 유사한 2차 해군 기지였으며,[1] 도크, 연료 공급 및 재보급 시설을 갖추고 있었지만 일반적으로 조선소나 훈련 학교는 없었다.[1] 방어 목적으로 전략적 수로나 주요 항구 도시에 설립되는 경향이 있었다.[1] 개념적으로 경비부는 미국 해군의 해상 전선 개념과 유사했다.[1] 경비부는 경비부 사령관에게 직접 보고하는 소규모의 함대 및 해군 육전대 수비대를 유지했으며, 번호가 매겨진 함대의 분견대를 임시로 배속했다.[1]
진해 항은 15세기와 16세기에 일본 무역 정착지가 있었던 곳으로, 일본과 오랜 연관이 있는 지역이었다.[2] 러일 전쟁 당시 쓰시마 해전을 앞두고 도고 헤이하치로 제독이 연합 함대를 집결한 곳이기도 하다.[2]
1905년 한일 병합 조약에 따라 일본 제국이 대한제국을 병합한 후, 일본 제국 해군은 광범위한 항만 시설을 건설하여 작은 마을을 주요 해군 항구로 탈바꿈시켰다.[3] 이 항구는 1916년 4월 1일에 경비부로 승격되었지만,[3] 러일 전쟁 이후 전략적 중요성을 대부분 잃고 다소 한직으로 여겨졌다.[3]
2. 2. 요항부 시절 (1916년 ~ 1941년)
1904년 1월, 거제도에 설치된 방위대가 진해 경비부의 시초이다.[1] 같은 해 12월 15일 진해만 방비대로 개칭되었다가,1907년 10월 1일 다시 진해 방비대로 개칭되었다. 이후 1916년 4월 1일, 요항부로 승격되었다.[1][3]진해는 15세기와 16세기에 일본 무역 정착지가 있었던 곳으로, 일본과 오랜 연관이 있는 지역이었다.[2] 러일 전쟁 당시 도고 헤이하치로가 연합 함대를 집결한 곳이기도 했다.[2] 1905년 한일 병합 조약에 따라 일본 제국이 대한제국을 병합한 후, 일본 제국 해군은 광범위한 항만 시설을 건설하여 작은 마을을 주요 해군 항구로 탈바꿈시켰다.[3]
요항부는 1차 해군 기지인 진수부와 유사한 2차 해군 기지로, 도크, 연료 공급 및 재보급 시설을 갖추고 있었지만, 일반적으로 조선소나 훈련 학교는 없었다. 방어 목적으로 전략적 수로나 주요 항구 도시에 설치되는 경향이 있었다.[1] 개념적으로 경비부는 미국 해군의 해상 전선 개념과 유사했다.[1]
1936년 10월 1일에는 진해 해군 항공대가 설치되었다. 1941년 10월 1일에는 방비 전대와 나진 근거지대가 설치되었으나, 같은 해 11월 20일 경비부로 승격되면서 진해 요항부로서의 역할은 끝나게 되었다.[1]
2. 3. 경비부 승격과 태평양 전쟁 (1941년 ~ 1945년)
1904년 1월, 거제도에 설치된 방위대가 진해 경비부의 시초이다. 진해경비대로 개칭한 후 1916년 요항부로 승격되었다. 1941년 11월 20일에는 경비부로 승격했으나,[1] 눈앞에 다가온 태평양 전쟁에 대비한 조치였다. 일본의 항복 이후 1945년 11월 30일에 폐지되었다.경비부는 1차 해군 기지인 진수부와 유사한 2차 해군 기지였으며, 도크, 연료 공급 및 재보급 시설을 갖추고 있었지만 일반적으로 조선소나 훈련 학교는 없었다. 방어 목적으로 전략적 수로나 주요 항구 도시에 설립되는 경향이 있었다.[1] 개념적으로 경비부는 미국 해군의 해상 전선 개념과 유사했다.[1] 경비부는 경비부 사령관에게 직접 보고하는 소규모의 함대 및 해군 육전대 수비대를 유지했으며, 번호가 매겨진 함대의 분견대를 임시로 배속했다.
한국의 진해 항은 15세기와 16세기에 일본 무역 정착지가 있었던 곳으로, 일본과 오랜 연관이 있는 지역이었다. 더 최근에는 러시아 발트 함대가 쓰시마 해전을 앞두고 도착하기를 기다리는 동안 제독 도고 헤이하치로가 연합 함대를 집결한 곳이기도 했다.[2]
1905년 한일 병합 조약에 따라 일본 제국이 대한제국을 병합한 후, 일본 제국 해군은 광범위한 항만 시설을 건설하여 작은 마을을 주요 해군 항구로 탈바꿈시켰다. 이 항구는 1916년 4월 1일에 경비부로 승격되었지만, 러일 전쟁 이후 전략적 중요성을 대부분 잃고 다소 한직으로 여겨졌다.[3]
1936년 10월 1일 진해 해군 항공대가 설치되었고, 1941년 10월 1일에는 방비 전대, 나진 근거지대가 설치되었다. 1942년 1월 15일 특별 근거지대가 설치되었고, 10월 1일에는 방비 전대가 폐지되었다. 1944년 2월 1일에는 인사부가 설치되었으며, 1945년 7월 20일에는 연합 특별 육전대가 설치되었다. 같은 해 7월 25일에는 나진・청진에 항만 경비대가 설치되었다.
2. 4. 광복과 대한민국 해군 기지
1904년 1월, 거제도에 설치된 방위대가 진해 경비부의 시초이다.[1] 1904년 (광무 8년) 1월, 거제도에 설치된 임시 근거지 방비대를 효시로 하며, 이후 진해 방비대로 개칭하고, 1916년 (다이쇼 5년) 4월, 요항부로 승격되었다. 1916년 4월 1일에 경비부로 승격되었지만, 러일 전쟁 이후 전략적 중요성을 대부분 잃고 다소 한직으로 여겨졌다.[3] 1941년 (쇼와 16년) 11월 20일, 눈앞에 다가온 미일 개전에 대비하여 경비부로 승격되었다. 경비부는 1차 해군 기지인 진수부와 유사한 2차 해군 기지였으며, 도크, 연료 공급 및 재보급 시설을 갖추고 있었지만 일반적으로 조선소나 훈련 학교는 없었다. 방어 목적으로 전략적 수로나 주요 항구 도시에 설립되는 경향이 있었다.[1]일본의 항복 이후 1945년 (쇼와 20년) 11월 30일에 폐지되었다. 일본의 항복 이후 진해는 USS ''해리 E. 허바드'' (DD-748)를 선두로 하는 미국 해군 제64 구축함대에 의해 점령되었다.[4] 1945년 이후에는, 남조선 해안경비대, 대한민국 해군이 진해 해군기지로 사용하고 있으며, 중요한 거점 중 하나가 되었다. 한국 전쟁 동안 수리되어 해군 기지로 계속 사용되었다. 1945년 한국 독립 후, 해군 기지는 대한민국 해군으로 이관되었고, 현재까지 주요 해군 기지로 남아 있다.[4]
진해는 15세기와 16세기에 일본 무역 정착지가 있었던 곳으로, 일본과 오랜 연관이 있는 지역이었다. 러시아 발트 함대가 쓰시마 해전을 앞두고 도착하기를 기다리는 동안 제독 도고 헤이하치로가 연합 함대를 집결한 곳이기도 했다.[2] 1905년 한일 병합 조약에 따라 일본 제국이 대한제국을 병합한 후, 일본 제국 해군은 광범위한 항만 시설을 건설하여 작은 마을을 주요 해군 항구로 탈바꿈시켰다.[3]
3. 조직
; 요항부 (1916년 ~ 1941년)
진해 경비부의 요항부 시절(1916년 ~ 1941년)에는 막료, 항무부, 군수부, 공작부, 경리부, 병원, 방비대, 통신대, 감옥, 함선, 수리공장을 두었다. 1936년 10월 1일에는 항공대가 창설되었다. 1941년 10월 1일, 방비전대와 라선근거지대가 창설되었다.
; 경비부 (1941년 ~ 1945년)
진해 경비부는 막료, 항무부, 인사부(1944년 2월 1일 신설), 군수부, 공작부, 경리부, 병원, 해병단(1944년 2월 1일 창설), 항공대, 특별근거지대(1942년 1월 15일 창설), 함선, 연합특별육전대(1945년 7월 20일 창설)로 구성되었다. 1942년 10월 1일 방비전대가 해체되었고, 1945년 7월 25일 나진과 청진에 항구경비대가 창설되었다.
사카모토 이쿠타 제독이 지휘하는 진해 경비부에는 일본 구축함 '미네카제'와 AP '료타쿠 마루'가 배속되었다. 진해 항공대는 6대의 가와니시 E7K 알프 기종을 운용했다. 오와다 제독 휘하의 제32 구축대는 일본 구축함 '아사카오', 일본 구축함 '후요', 일본 구축함 '카루카야'로 구성되었고, 제48, 49 기뢰 처리대가 있었다. 스키가라 제독이 이끄는 나진 기지대가 있었다.
3. 1. 요항부 (1916년 ~ 1941년)
진해 경비부의 요항부 시절(1916년 ~ 1941년)에는 막료, 항무부, 군수부, 공작부, 경리부, 병원, 방비대, 통신대, 감옥, 함선, 수리공장을 두었다. 1936년 10월 1일에는 항공대가 창설되었다. 1941년 10월 1일, 방비전대와 라선근거지대가 창설되었다.3. 2. 경비부 (1941년 ~ 1945년)
진해 경비부는 막료, 항무부, 인사부(1944년 2월 1일 신설), 군수부, 공작부, 경리부, 병원, 해병단(1944년 2월 1일 창설), 항공대, 특별근거지대(1942년 1월 15일 창설), 함선, 연합특별육전대(1945년 7월 20일 창설)로 구성되었다. 1942년 10월 1일 방비전대가 해체되었고, 1945년 7월 25일 나진과 청진에 항구경비대가 창설되었다.사카모토 이쿠타 제독이 지휘하는 진해 경비부에는 일본 구축함 '미네카제'와 AP '료타쿠 마루'가 배속되었다. 진해 항공대는 6대의 가와니시 E7K 알프 기종을 운용했다. 오와다 제독 휘하의 제32 구축대는 일본 구축함 '아사카오', 일본 구축함 '후요', 일본 구축함 '카루카야'로 구성되었고, 제48, 49 기뢰 처리대가 있었다. 스키가라 제독이 이끄는 나진 기지대가 있었다.
4. 역대 사령관
- 떡원 헤이지 소장: 1904년 1월 12일 -
- 결원: 1905년 12월 12일 - 1907년 9월 8일
- (겸임) 미야오카 나오키 소장: 1907년 9월 9일 - 10월 21일
- 미야오카 나오키 소장: 1907년 10월 21일 -
- 센토 타케오 소장: 1910년 12월 1일 -
- 우에이즈미 토쿠야 소장: 1911년 9월 1일 - 1912년 7월 9일
- 야마다 나오스케 대좌: 1912년 7월 9일 -
- 야마구치 큐주로 소장: 1914년 8월 8일 - 1916년 4월 1일
- 사노 쓰네하 소장: 1916년 4월 4일 - 1917년 12월 1일
- 테라오카 헤이고 소장: 1917년 12월 1일 - 1919년 5월 26일
- 토리사키 야스조 소장: 1921년 6월 15일 - 1922년 11월 10일
- 타카사키 치카테루 소장: 1922년 11월 10일 - 1924년 12월 1일
- 혼슈쿠 나오지로 소장: 1924년 12월 1일 - 1926년 12월 1일
- 마쓰자키 스나오 소장: 1926년 12월 1일 - 1928년 12월 10일
- 코지마 겐타로 소장: 1930년 11월 15일 - 1932년 11월 15일
- 시시도 요시노부 중장: 1932년 11월 15일 - 1934년 11월 1일
- 오치 코헤이 소장: 1934년 11월 1일 - 1936년 12월 1일
- 미즈노 준이치 소장: 1936년 12월 1일 - 1937년 12월 1일
- 마쓰나가 사다이치 중장: 1937년 12월 1일 - 1939년 11월 15일
- 타카마 타모츠 중장: 1939년 11월 15일 - 1940년 11월 15일
- 안도 시게키 소장: 1940년 11월 15일 - 1942년 2월 25일
- 오니시 케이이치 소장: 1942년 2월 25일 - 1943년 6월 25일
- 사토 카츠야 소장: 1943년 6월 25일 - 1944년 8월 15일
- 이시즈카 치토시 소장: 1944년 8월 15일 - 1945년 4월 15일
- 카츠타 하루오 소장: 1945년 4월 15일 - 1945년 11월 29일
4. 1. 진해방비대 사령관 (1904년 ~ 1916년)
- 떡원 헤이지 소장: 1904년 1월 12일 -
- 결원: 1905년 12월 12일 - 1907년 9월 8일
- (겸임) 미야오카 나오키 소장: 1907년 9월 9일 - 10월 21일
- 미야오카 나오키 소장: 1907년 10월 21일 -
- 센토 타케오 소장: 1910년 12월 1일 -
- 우에이즈미 토쿠야 소장: 1911년 9월 1일 - 1912년 7월 9일
- 야마다 나오스케 대좌: 1912년 7월 9일 -
- 야마구치 큐주로 소장: 1914년 8월 8일 - 1916년 4월 1일
- 야마구치 구주로 중장: 1916년 4월 1일 - 1916년 12월 1일
- 사노 쓰네하 소장: 1916년 4월 4일 - 1917년 12월 1일
- 토고 기치타로 중장: 1916년 12월 1일 - 1918년 12월 1일
- 테라오카 헤이고 소장: 1917년 12월 1일 - 1919년 5월 26일
- 타도코로 히로미 중장: 1918년 12월 1일 - 1919년 12월 1일
- 치사카 토모지로 중장: 1919년 12월 1일 - 1920년 12월 1일
- 토리사키 야스조 소장: 1921년 6월 15일 - 1922년 11월 10일
- 야마지 가즈요시 중장: 1920년 12월 1일 - 1922년 12월 1일
- 효쿠타케 사부로 대장: 1922년 12월 1일 - 1923년 6월 1일
- 타카사키 치카테루 소장: 1922년 11월 10일 - 1924년 12월 1일
- 쿠와시마 쇼조 중장: 1923년 6월 1일 - 1924년 2월 5일
- 마츠무라 키쿠오 중장: 1924년 2월 5일 - 1925년 4월 15일
- 혼슈쿠 나오지로 소장: 1924년 12월 1일 - 1926년 12월 1일
- 이누즈카 타로 중장: 1925년 4월 15일 - 1926년 12월 1일
- 나가사와 나오타로 중장: 1926년 12월 1일 - 1927년 12월 1일
- 마쓰자키 스나오 소장: 1926년 12월 1일 - 1928년 12월 10일
- 키요카와 준이치 중장: 1927년 12월 1일 - 1929년 7월 1일
- 하라 간지로 중장: 1929년 7월 1일 - 1930년 12월 1일
- 코지마 겐타로 소장: 1930년 11월 15일 - 1932년 11월 15일
- 요나이 미츠마사 대장: 1930년 12월 1일 - 1932년 12월 1일
- 시오자와 코이치 대장: 1932년 12월 1일 - 1934년 1월 17일
- 시시도 요시노부 중장: 1932년 11월 15일 - 1934년 11월 1일
- 이치무라 히사오 중장: 1934년 1월 17일 - 1934년 11월 15일
- 코바야시 세이자부로 중장: 1934년 11월 15일 - 1936년 3월 16일
- 오치 코헤이 소장: 1934년 11월 1일 - 1936년 12월 1일
- 이노우에 츠구마츠 중장: 1936년 3월 16일 - 1936년 12월 1일
- 하라 케이타로 중장: 1936년 12월 1일 - 1937년 12월 1일
- 미즈노 준이치 소장: 1936년 12월 1일 - 1937년 12월 1일
- 아리치 쥬고로 중장: 1937년 12월 1일 - 1938년 11월 15일
- 마쓰나가 사다이치 중장: 1937년 12월 1일 - 1939년 11월 15일
- 코바야시 소노스케 중장: 1938년 11월 15일 - 1940년 4월 15일
- 타카마 타모츠 중장: 1939년 11월 15일 - 1940년 11월 15일
- 츠카하라 니시조 대장: 1940년 4월 15일 - 1941년 9월 1일
- 안도 시게키 소장: 1940년 11월 15일 - 1942년 2월 25일
- 사카모토 이쿠타 중장: 1941년 9월 1일 - 1942년 9월 15일
- 오니시 케이이치 소장: 1942년 2월 25일 - 1943년 6월 25일
- 고토 에이지 중장: 1942년 9월 15일 - 1944년 9월 9일
- 사토 카츠야 소장: 1943년 6월 25일 - 1944년 8월 15일
- 오카 타카즈미 중장: 1944년 9월 9일 - 1945년 4월 20일
- 이시즈카 치토시 소장: 1944년 8월 15일 - 1945년 4월 15일
- 야마구치 기사부로 중장: 1945년 4월 20일 - 1945년 9월
- 카츠타 하루오 소장: 1945년 4월 15일 - 1945년 11월 29일
4. 2. 진해 요항부 사령관 (1916년 ~ 1941년)
- 야마구치 구주로 중장: 1916년 4월 1일 - 1916년 12월 1일
- 도고 기치타로/東郷吉太郎일본어 중장: 1916년 12월 1일 - 1918년 12월 1일
- 다도코로 히로미/田所広海일본어 중장: 1918년 12월 1일 - 1919년 12월 1일
- 지사카 도모지로/千坂智次郎일본어 중장: 1919년 12월 1일 - 1920년 12월 1일
- 야마지 가즈요시/山路一善일본어 중장: 1920년 12월 1일 - 1922년 12월 1일
- 햐쿠타케 사부로/百武三郎일본어 대장: 1922년 12월 1일 - 1923년 6월 1일
- 구와시마 쇼조/桑島省三일본어 중장: 1923년 6월 1일 - 1924년 2월 5일
- 마쓰무라 기쿠오/松村菊雄일본어 중장: 1924년 2월 5일 - 1925년 4월 15일
- 이누즈카 다로/犬塚太郎일본어 중장: 1925년 4월 15일 - 1926년 12월 1일
- 나가사와 나오타로/長沢直太郎일본어 중장: 1926년 12월 1일 - 1927년 12월 1일
- 기요카와 준이치/清河純一일본어 중장: 1927년 12월 1일 - 1929년 7월 1일
- 하라 간지로/原幹二郎일본어 중장: 1929년 7월 1일 - 1930년 12월 1일
- 요나이 미쓰마사 대장: 1930년 12월 1일 - 1932년 12월 1일
- 시오자와 코이치 대장: 1932년 12월 1일 - 1934년 1월 17일
- 이치무라 히사오/市村久雄일본어 중장: 1934년 1월 17일 - 1934년 11월 15일
- 고바야시 세이자부로/小林省三郎일본어 중장: 1934년 11월 15일 - 1936년 3월 16일
- 이노우에 쓰구마쓰/井上継松일본어 중장: 1936년 3월 16일 - 1936년 12월 1일
- 하라 게이타로/原敬太郎일본어 중장: 1936년 12월 1일 - 1937년 12월 1일
- 아리치 주고로/有地十五郎일본어 중장: 1937년 12월 1일 - 1938년 11월 15일
- 고바야시 소노스케/小林宗之助일본어 중장: 1938년 11월 15일 - 1940년 4월 15일
- 쓰카하라 니시조 대장: 1940년 4월 15일 - 1941년 9월 1일
- 사카모토 이쿠타/坂本伊久太일본어 중장: 1941년 9월 1일 - 1942년 9월 15일
- 고토 에이지/後藤英次일본어 중장: 1942년 9월 15일 - 1944년 9월 9일
- 오카 다카즈미/岡敬純일본어 중장: 1944년 9월 9일 - 1945년 4월 20일
- 야마구치 기사부로/山口儀三郎일본어 중장: 1945년 4월 20일 - 1945년 9월
- 사노 쓰네하/佐野常羽일본어 소장: 1916년 4월 4일 - 1917년 12월 1일
- 테라오카 헤이고/寺岡平吾일본어 소장: 1917년 12월 1일 - 1919년 5월 26일
- 토리사키 야스조/鳥崎保三일본어 소장: 1921년 6월 15일 - 1922년 11월 10일
- 타카사키 치카테루/高崎親輝일본어 소장: 1922년 11월 10일 - 1924년 12월 1일
- 혼슈쿠 나오지로/本宿直次郎일본어 소장: 1924년 12월 1일 - 1926년 12월 1일
- 마쓰자키 스나오/松崎寸雄일본어 소장: 1926년 12월 1일 - 1928년 12월 10일
- 코지마 겐타로/小島源太郎일본어 소장: 1930년 11월 15일 - 1932년 11월 15일
- 시시도 요시노부/宍戸好信일본어 중장: 1932년 11월 15일 - 1934년 11월 1일
- 오치 코헤이/大知公平일본어 소장: 1934년 11월 1일 - 1936년 12월 1일
- 미즈노 준이치/水野準一일본어 소장: 1936년 12월 1일 - 1937년 12월 1일
- 마쓰나가 사다이치/松永貞市일본어 중장: 1937년 12월 1일 - 1939년 11월 15일
- 타카마 타모츠/高間完일본어 중장: 1939년 11월 15일 - 1940년 11월 15일
- 안도 시게키/安東茂일본어 소장: 1940년 11월 15일 - 1942년 2월 25일
- 오니시 케이이치/大西敬一일본어 소장: 1942년 2월 25일 - 1943년 6월 25일
- 사토 카츠야/佐藤勝也일본어 소장: 1943년 6월 25일 - 1944년 8월 15일
- 이시즈카 치토시/石塚千登勢일본어 소장: 1944년 8월 15일 - 1945년 4월 15일
- 카츠타 하루오/勝田治夫일본어 소장: 1945년 4월 15일 - 1945년 11월 29일
4. 3. 진해경비부 사령관 (1941년 ~ 1945년)
1941년 9월 1일부터 1942년 9월 15일까지 사카모토 이쿠타(坂本伊久太) 중장이 진해 경비부 사령관을 역임하였다. 이후 1942년 9월 15일부터 고토 에이지 중장이, 1944년 9월 9일부터 오카 케이준 중장이 사령관직을 수행했다. 1945년 4월 20일부터는 야마구치 기사부로 중장이 진해 경비부 사령관을 맡았다.5. 평가
5. 1. 부정적 평가
5. 2. 긍정적 평가
6. 같이 보기
참조
[1]
웹사이트
HyperWar: Japanese Naval Ground Forces (Know Your Enemy)
http://ibiblio.org/h[...]
[2]
웹사이트
Organizations of IJA&N: Glossaries
http://maisov.oops.j[...]
2008-12-03
[3]
서적
The Pacific War Papers
[4]
웹사이트
Uss Harry E
http://dd748.home.at[...]
2008-12-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