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더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창더시는 중화인민공화국 후난성 북서부에 위치한 지급시로, 구석기 시대부터 신석기 시대까지 유적지가 발견된 유서 깊은 곳이다. 19세기 후반 원강 분지의 상업 중심지로 발전했으며, 1905년 외국과의 무역 개방 이후 경제적 영향력을 확대했다. 1943년 창더 전투에서 일본군의 생화학 무기 공격을 겪었으며, 1949년 공산 정권 수립 이후에도 교역 중심지 역할을 유지하고 있다. 현재는 2개의 시할구, 1개의 현급시, 6개의 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토가족을 비롯한 다양한 소수 민족이 거주한다. 창더 쓰셴이라는 독특한 민속 음악과 뢰차를 마시는 문화가 있으며, 류예호, 타오위안 등 관광 명소와 후난 문리 대학을 비롯한 교육 기관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창더시 - 둥팅호
둥팅호는 양쯔강 중류에 위치한 중국에서 두 번째로 큰 담수호로, 홍수 조절 기능을 하며, 역사적 중요성과 문화적 이야기가 깃들어 있지만, 간척 사업과 환경 문제로 인해 생태 복원 노력이 필요한 곳이다. - 후난성의 지급시 - 창사시
창사시는 후난성의 성도로, 샹강 하류에 위치하며 주나라 시대부터 역사가 시작되었고 현재는 6개의 시할구, 2개의 현급시, 1개의 현을 관할하는 중국 중남부의 주요 도시이자 아열대 기후의 관광 도시이다. - 후난성의 지급시 - 헝양시
헝양시는 중국 후난성에 위치한 도시로, 남중국의 중요한 교통 중심지이며, 헝산, 석고서원 등 관광 명소가 있고, 화학, 농업, 제조업이 발달했으며, 샹어를 사용한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창더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별칭 | 창테, 창테흐 |
위치 | 후난성 내 창더 관할 구역 위치 |
중심 위치 | 창더 시 정부 |
기본 정보 | |
국가 | 중화인민공화국 |
성 | 후난성 |
현급 행정구 | 우링 구 |
시장 | 저우더루이 (周德睿) |
당 서기 | 왕췬 (王群) |
설립 | 알 수 없음 |
면적 | 18,177km² |
도시 면적 | 2,752km² |
인구 (2020년) | 5,279,102명 |
도시 인구 (2020년) | 1,469,055명 |
시간대 | 중국 표준시 (UTC+8) |
우편 번호 | 415000 |
지역 번호 | 0736 |
ISO 3166-2 | CN-HN-07 |
차량 번호판 | 湘J |
시 나무 | 녹나무 |
시 꽃 | 치자나무 |
웹사이트 | 창더 시 공식 웹사이트 (영어) |
경제 | |
GDP (2022년, 지급시) | 4,275억 인민폐 (634억 미국 달러) |
1인당 GDP | 80,980 인민폐 (12,042 미국 달러) |
2. 역사
창더는 구석기 시대와 신석기 시대의 많은 유적지로 유명하며, 현재까지 약 500개 정도가 발견되었다. 역사적으로 창더는 정부가 후난 성 서쪽 산악지대의 부족을 통제하는 중심지 역할을 했다. 창더의 행정구역 명은 진나라 시대에는 전통적으로 검중군(黔中郡)인 것으로 알려졌으나, 2002년 동정군이 발견되고 이 지역으로 비정되면서 검중군과 동정군의 관계에 대한 논쟁이 이어지고 있다. 기원 전 202년, 전한에 의해 무릉군으로 개칭되었고, 형주(荆州)에 귀속 되었다. 송나라 때 정주(鼎州)로 이름이 바뀌었고 이후 청나라 때까지 상덕로, 상덕부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다.
19세기 후반에 창더는 원강 분지의 번영하는 상업 중심지이자 농업 시장의 중심이 되었다. 1905년에 외국과의 무역이 개방되면서 많은 중국 기업들과 외국 기업들이 쌀, 면화, 동유, 목재를 구매하기 위해 창더에 지사를 두었다. 창더의 경제적인 영향력은 구이저우성 북부와 후베이성 남서부, 쓰촨성의 남동부 일부까지 미쳤다. 도시의 상인들은 후난 성 북서부 경제의 대부분을 통제했고 20세기 초에 창사에 이어 후난 성 제2의 도시가 되었다.
1943년의 창더 전투에서 국민당 군대는 쓰촨 성으로 침입하려는 일본군을 막으려 하였다. 그러나 일본군은 화학 무기를 사용하여 그들의 시도를 좌절시켰다. 하바롭스크 전범 재판에서 이르면 1941~1942년에 이 지역이 오염되어 페스트 등이 발생했다는 증거가 제시되었다.[1]
비록 1949년에 공산주의자들이 집권한 이래 창더의 상업적 우위가 사라지기는 했지만 도시는 여전히 교역의 중심지로 인구의 대부분이 상업과 운송업에 종사한다.
상덕(常徳)에서의 행정 구역 명칭은 춘추 시대에 설치된 검중군(黔中郡, 군 치소는 원릉현 서부)이 최초이다. 기원전 220년, 전한에 의해 무릉군(武陵郡)으로 개칭되어 형주에 귀속되었다. 당나라대에는 621년(무덕 4년)에 주(州) 제도가 시행되어 무릉군은 랑주(朗州)로 개칭되었으며, 그 이후 중화민국 초창기까지 랑주의 명칭이 사용되었고, 상덕은 그 중심지로서 존재했다.
1949년 이후 창더시의 행정 구역 변천 과정은 아래 표와 같다.
연도 | 사건 | 비고 |
---|---|---|
1949년 10월 1일 | 중화인민공화국 후난성 창리전구 성립 | 창더현, 린리현, 리현, 안샹현, 난현, 화룽현, 타오위안현, 츠리현, 스먼현 발족 (9현) |
1950년 8월 29일 | 창리전구가 창더전구로 개칭 | |
1950년 10월 19일 | 창더시, 진시시 발족 | 창더현 일부 → 창더시, 리현 일부 → 진시시 (2시 9현) |
1952년 11월 13일 | 이양 전구 편입 | 이양시, 이양현, 도강현, 안화현, 원강현, 한수현 편입 (2시 14현) |
1962년 10월 30일 | 이양 전구로 편입 | 이양시, 이양현, 도강현, 안화현, 원강현, 난현, 화룽현 이양 전구로 편입 (2시 8현) |
1970년 | 창더 전구가 창더 지구로 개칭 | (1시 8현) |
1988년 1월 23일 | 창더 지구가 창더시(지급시)로 승격 | 우링구 성립, 창더 지구의 린리시, 창더현, 타오위안현, 스먼현, 리현, 한서우현, 츠리현, 린리현, 안샹현 편입 (2구 1시 7현) |
1988년 5월 18일 | 츠리현 다용시에 편입 | (2구 1시 6현) |
2005년 8월 2일 | 장자제시 츠리현 일부 스먼현 편입 | (2구 1시 6현) |
2. 1. 선사 시대
창더는 구석기 시대와 신석기 시대의 많은 유적지로 유명하다. 오늘날까지 약 500개 정도가 발견되었다. 1984년, 창더시의 일부인 리현에서 신석기 시대 인류의 정착지가 발견되었다. 1988년에는 펑터우산 유적이 발굴되어 "펑터우산 문화"가 확인되었다. 이 유적은 지금까지 중국에서 발견된 정착 마을의 가장 오래된 증거를 포함하고 있다.[6] 2011년의 고고학적 연구에 따르면 펑터우산 문명의 일부인 산롱강이라는 정착지에서 8,000~9,000년 전에 벼를 재배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벼 재배의 발상지일 수 있다.[7]2. 2. 고대
진나라 시대에 창더 지역은 전통적으로 검중군(黔中郡)으로 알려졌으나, 2002년 동정군이 발견되면서 검중군과 동정군의 관계에 대한 논쟁이 이어지고 있다. 기원전 202년, 전한에 의해 무릉군으로 개칭되었고, 형주에 귀속되었다. 송나라 때 정주(鼎州)로 이름이 바뀌었다. 역사적으로 창더시는 후난성 서부의 산악 부족을 통제하는 중심지 역할을 했다. 기원전 2세기에는 이곳에 린위안현(臨沅縣)이 설치되었다.[8]하(夏), 상(商), 서주(西周) 시대에는 이 지역이 형주(荊州)의 관할 아래에 있었다.[9]
한나라 시대에는 이 지역을 "우링현(武陵縣)"이라고 불렀다. 이 이름은 도시의 우링 구(武陵区)에 남아있다. 수나라 시대에는 랑저우(朗州)라고 불렀다. 송나라 시대에는 딩청(鼎城)이라고 불렀다. 당나라 시대(618–907)에는 랑(朗) 주(州)의 치소가 되었다. 1117년에 창더현(常德縣)이 설치되었고, 1165년경에는 창더 푸(常德府)/부가 설치되었다. 창더(常德)라는 이름은 그 이후로 이 도시에서 계속 사용되었다.[4]
상덕(常徳)에서의 행정 구역 명칭은 춘추 시대에 설치된 검중군(黔中郡)이 최초이다. 기원전 220년, 전한에 의해 무릉군(武陵郡)으로 개칭되어 형주에 귀속되었다. 당나라대에는 621년 (무덕 4년)에 주(州) 제도가 시행되어 무릉군은 랑주(朗州)로 개칭되었으며, 그 이후 중화민국 초창기까지 랑주의 명칭이 사용되었고, 상덕은 그 중심지로서 존재했다.
2. 3. 19세기와 20세기 초
19세기 후반에 창더는 원강 분지의 번영하는 상업 중심지이자 농업 시장의 중심이 되었다. 1905년에 외국과의 무역이 개방되면서 많은 중국 기업들과 외국 기업들이 쌀, 면화, 동유, 목재를 구매하기 위해 창더에 지사를 두었다.[1] 창더의 경제적인 영향력은 구이저우성 북부와 후베이성 남서부, 쓰촨성의 남동부 일부까지 미쳤다.[1] 도시의 상인들은 후난 성 북서부 경제의 대부분을 통제했고 20세기 초에 창사에 이어 후난 성 제2의 도시가 되었다.[1]1943년의 창더 전투에서 국민당 군대는 쓰촨 성으로 침입하려는 일본군을 막으려 하였다.[1] 그러나 일본군은 생화학무기를 사용하여 그들의 시도를 좌절시켰다.[1] 하바롭스크 전범 재판에서 이르면 1941~1942년에 이 지역이 오염되어 선 페스트 등이 발생했다는 증거가 제시되었다.[1]
2. 4. 제2차 세계 대전
1943년 창더 전투에서 중화민국 국민혁명군은 일본 제국 육군이 쓰촨 성 침략을 완료하는 것을 막으려 했다. 좌절된 일본군은 길을 열기 위해 창더 화학 무기 공격과 같은 화학 무기를 사용했다.[10] 하바롭스크 전범 재판에서 1941년과 1942년 초부터 이 지역을 페스트로 오염시키는 작전의 증거가 제시되었다.[11]2. 5. 중화인민공화국
1949년 10월 1일 중화인민공화국 후난성 창리전구가 성립되면서 창더현, 린리현, 리현, 안샹현, 난현, 화룽현, 타오위안현, 츠리현, 스먼현이 발족하였다. (9현)[12] 1950년 8월 29일 창리전구는 창더전구로 개칭되었다.[12]1950년 10월 19일 창더현(常徳県) 일부가 분리되어 창더시가, 리현(澧県) 일부가 분리되어 진시시가 발족하였다. (2시 9현)[12] 이후 창더시는 여러 차례 행정 구역 변화를 겪었다.
1952년 11월 13일 이양 전구의 이양시, 이양현, 도강현, 안화현, 원강현, 한수현을 편입하였다. (2시 14현)[12]
1962년 10월 30일 이양시, 이양현, 도강현, 안화현, 원강현, 난현, 화룽현이 이양 전구로 편입되었다. (2시 8현)[12]
1970년 창더 전구가 창더 지구로 개칭되었다. (1시 8현)[12]
1988년 1월 23일 창더 지구가 창더시(지급시)로 승격하면서 우링구가 성립되었고, 창더 지구의 린리시, 창더현, 타오위안현, 스먼현, 리현, 한서우현, 츠리현, 린리현, 안샹현을 편입하였다. (2구 1시 7현)[12] 창더현 일부가 우링구에 편입되었고, 잔여 부분은 딩청구가 되었다.[12]
1988년 5월 18일 츠리현이 다용시에 편입되었다. (2구 1시 6현)[12]
2005년 8월 2일 장자제시 츠리현 일부가 스먼현에 편입되었다. (2구 1시 6현)[12]
창더시의 행정 구역 변천 과정은 아래 표와 같다.
연도 | 사건 | 비고 |
---|---|---|
1949년 10월 1일 | 중화인민공화국 후난성 창리전구 성립 | 창더현, 린리현, 리현, 안샹현, 난현, 화룽현, 타오위안현, 츠리현, 스먼현 발족 (9현) |
1950년 8월 29일 | 창리전구가 창더전구로 개칭 | |
1950년 10월 19일 | 창더시, 진시시 발족 | 창더현 일부 → 창더시, 리현 일부 → 진시시 (2시 9현) |
1952년 11월 13일 | 이양 전구 편입 | 이양시, 이양현, 도강현, 안화현, 원강현, 한수현 편입 (2시 14현) |
1962년 10월 30일 | 이양 전구로 편입 | 이양시, 이양현, 도강현, 안화현, 원강현, 난현, 화룽현 이양 전구로 편입 (2시 8현) |
1970년 | 창더 전구가 창더 지구로 개칭 | (1시 8현) |
1988년 1월 23일 | 창더 지구가 창더시(지급시)로 승격 | 우링구 성립, 창더 지구의 린리시, 창더현, 타오위안현, 스먼현, 리현, 한서우현, 츠리현, 린리현, 안샹현 편입 (2구 1시 7현) |
1988년 5월 18일 | 츠리현 다용시에 편입 | (2구 1시 6현) |
2005년 8월 2일 | 장자제시 츠리현 일부 스먼현 편입 | (2구 1시 6현) |
둥팅호 수계에 속하는 원강의 북안에 위치하고 후난성 북서쪽 평원의 중심에 있다. 연평균 기온은 17.7°C이고 1월 평균기온은 5°C, 7월 평균기온은 29.1°C이다. 연평균 강수량은 1368mm이고 강수는 4월부터 8월까지 집중된다.[63][64]
3. 지리
창더는 둥팅 호와 위안 강의 합류 지점 상류에 위치해 있으며, 후난 성 북서부 평원의 자연적인 중심지이다. 이 도시는 역사적으로 위안 강 북쪽에 위치해 있었으며, 이후 강 남쪽으로 개발이 확장되었다. "三山三水중국어" (문자 그대로 "세 개의 산과 세 개의 강")이라는 중국어 문구는 도시의 일반적인 물리적 지리를 언급하는 데 자주 사용된다. 도시 주변에는 북쪽의 타이양 산(), 남쪽의 더 산(), 서쪽의 허푸 산() 등 세 개의 산이 있다. 위안 강 외에도 츠안지 강과 신 강이 모두 우링 구를 통과하여 풍부한 수자원이 있다. 이 지역의 다른 주요 지리적 특징은 도시 중심부 북동쪽에 위치한 류예 호()이다. 도시에는 또한 수많은 호수, 연못 및 개울이 있지만, 많은 곳이 방향이 바뀌거나 매립되었다.[13]
창더의 더 큰 지급시 도시는 동쪽으로 둥팅 호, 남쪽으로 이양 시, 서쪽으로 우링 산과 쉐펑 산, 북쪽으로 후베이성과 인접해 있다.[4] 스먼현의 후베이 성 경계 근처에는 후난 성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인 후핑 산()(해발 2099m)이 있다.[14]
쉐펑 산과 우링 산은 역사적으로 화남 호랑이의 서식지였다. 이 종은 심각한 멸종 위기에 처해 있으며 야생에서는 멸종된 것으로 여겨진다. 최근 몇 년 동안 중국 정부는 사육된 호랑이를 야생에 재도입하기 위한 호랑이 보호 구역을 설립할 잠재적 부지를 식별하기 위해 노력했다. 스먼 현의 후핑산-허허 국립 자연 보호 구역 복합 단지가 여러 잠재 부지 중 하나로 선정되었다.[15]
3. 1. 기후
창더 시는 몬순의 영향을 받는 사계절 습윤 아열대 기후(쾨펜 ''Cfa'')로, 춥고 습한 겨울과 덥고 습한 여름이 나타난다. 겨울은 비교적 건조하게 시작하지만 맑지는 않으며, 점차 습하고 흐려진다. 봄에는 비가 자주 내리고 연중 가장 높은 습도를 보인다. 여름은 비교적 맑고, 가을은 다소 건조하다. 월별 24시간 평균 기온은 1월 5°C에서 7월 29.1°C 사이이며, 연평균 기온은 17.37°C이다. 연강수량은 약 1366mm이다. 월별 가조시간 비율은 2월과 3월 22%에서 7월 53%까지이며, 연간 1,602시간의 밝은 햇볕을 받는다.[16] 창더 시의 가장 큰 위험은 홍수이다. 홍수는 약 2년에 한 번 발생하며, 대규모 홍수는 약 4년에 한 번 발생한다. 홍수는 가뭄보다 더 흔하게 발생한다.[17]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 |
---|---|---|---|---|---|---|---|---|---|---|---|---|---|
평균 최고 기온 (℃) | 8.5°C | 11.7°C | 15.8°C | 22.3°C | 27.2°C | 30.2°C | 33.2°C | 32.4°C | 28.5°C | 23°C | 17.5°C | 11.4°C | 22.2°C |
평균 최저 기온 (℃) | 2.5°C | 5.2°C | 8.6°C | 14.5°C | 19.2°C | 23.1°C | 25.9°C | 25.2°C | 21.1°C | 15.7°C | 10.1°C | 5°C | 14.7°C |
평균 강수량 (mm) | 66.8mm | 76.8mm | 109.4mm | 171.8mm | 181.7mm | 205.5mm | 190.1mm | 112.7mm | 64.5mm | 81.9mm | 70mm | 36.7mm | 1368mm |
평균 상대 습도 (%) | 76 | 75 | 75 | 75 | 74 | 78 | 75 | 76 | 74 | 75 | 74 | 73 | 75 |
4. 행정 구역
(2010년 인구 조사)
(km2)
(km2당)
(2000년 인구 조사)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