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청주군은 대한제국 시대인 1895년 5월 26일 공주부 산하에 설치되어 문의군을 관할하였다. 1896년 충청북도에 소속되었으며, 1914년 문의군을 병합하고 청안군 서면을 편입하는 등 행정구역 개편을 거쳤다. 1931년 청주면이 청주읍으로 승격되었고, 1946년 청주읍이 청주부로 승격되면서 청주군은 청원군으로 개칭되었다.
1946년 6월 1일 청주읍이 청주부로 승격되면서 청주군은 청원군으로 이름이 바뀌었다.[32]
2. 역사
2. 1. 일제강점기
구 구역 | 신 구역 |
---|---|
청주군 동주내면·서주내면·남주내면·북주내면 | 청주면(시내)·사주면 |
청주군 산외일면·북강내일면 | 북일면 |
청주군 산외이면·북강내이면, 청안군 서면 (여상리, 여중리, 여하리를 제외) | 북이면 |
청주군 산내일면, 산내이상면 일부 | 미원면 |
청주군 산내이하면, 산내이상면 일부 | 낭성면 |
청주군 남일상면·남일하면 | 남일면 |
청주군 남이면·남차이면 | 남이면 |
청주군 서강내일상면·서강내일하면 | 강서면 |
청주군 서강내이상면·서강내이하면 | 강내면 |
청주군 서강외일상면·서강외일하면 | 강외면 |
청주군 서강외이상면·서강외이하면 | 옥산면 |
청주군 북강외일상면·북강외일하면·북강외이면, 청안군 서면 여상리·여중리·여하리 | 오창면 |
문의군 동면 | 가덕면 |
문의군 남면 | 용흥면 |
문의군 삼도면 | 부용면 |
문의군 읍내면·북면 | 양성면 |
문의군 일도면·이도면 | 현도면 |
: 18면 - 청주면, 사주면, 강서면, 강내면, 강외면, 옥산면, 오창면, 북일면, 북이면, 낭성면, 남일면, 남이면, 부용면, 현도면, 양성면, 용흥면, 가덕면, 미원면
구 구역 | 신 구역 |
---|---|
보은군 회북면 계산리, 수곡리, 시동리 | 청주군 가덕면 일부 |
청주군 남일면 병암리, 금거리, 내암리 |
- 1917년 9월 25일: 양성면을 문의면으로 개칭했다.[26]
- 1922년 4월 1일: 사주면의 일부를 청주면에 편입해 청주면에 탑동정, 대성정, 수정, 본정6·7정목, 천정, 서천정, 석교정, 남천정을 설치하였다.[27]
- 1928년 4월 12일: 청주면의 정(町)명이 개정되었다.[28]
현 명칭 | 신 명칭 | 구 구역 |
---|---|---|
남문로1가 | 본정1정목 | 본정1정목, 본정2정목, 제정, 도하정, 욱정1정목 일부, 청수정 일부 |
남문로2가 | 본정2정목 | 본정3정목, 본정4정목 일부, 욱정1정목 일부, 동정 일부, 욱정2정목 일부, 상생정 일부, 서정 일부 |
북문로1가 | 본정3정목 | 본정4정목 일부, 본정5정목, 동정 일부, 북정, 서정 일부, 서성정 일부 |
북문로2가 | 본정4정목 | 본정6정목 일부, 본정7정목 일부 |
북문로3가 | 본정5정목 | 본정6정목 일부, 본정7정목 일부 |
서운동 | 도하정 | 문외리 |
남주동 | 청수정 | 청수정 일부, 남정, 대흑정, 시장정, 욱정2정목 일부, 욱정3정목, 상생정 일부, 신장대 일부 |
문화동 | 동정 | 욱정1정목 일부, 성동정, 대성정 일부, 본정6정목 일부 |
서문동 | 서정 | 상생정 일부, 서정 일부, 성서정 일부, 신장대 일부, 대교정, 서천정 일부, 천정 일부, 본정6정목 일부 |
영동 | 영정 | 본정6정목 일부, 본정7정목 일부, 천정 일부 |
수동 | 수정 | 수정, 본정6정목 일부, 본정7정목 일부 |
대성동 | 대성정 | 대성정 일부, 탑동정 일부 |
탑동 | 금정 | 탑동정 일부 |
석교동 | 석교정 | 석교정, 탑동정 일부 |
사직동 | 화천정 | 서천정 일부, 천정 일부 |
- 1930년 용흥면을 문의면에 합면하였다. (17면)
- 1931년 4월 1일 청주면을 청주읍으로 승격하였다.[29] (1읍 16면)
- 1937년 4월 1일: 청주읍에 사주면 외덕리, 내덕리, 교동리, 금천리, 산북리, 운천리, 영운리, 화흥리 등이 편입되어 남산정(산북리), 운천정, 외덕정, 내덕정, 문동정(교동리), 금천정, 영운정 등이 새로 설치되었다.[30][31]
- 1946년 6월 1일 청주읍을 '''청주부'''로 승격하고, 청주군은 '''청원군'''으로 개칭하였다.[32] (16면)
3. 행정 구역
1914년 일제는 청주군의 행정구역을 대대적으로 개편했는데, 이는 현재 청주시 행정구역의 기반이 되었다.[2]
당시 청주군은 청주면, 사주면, 강서면, 강내면, 강외면, 옥산면, 오창면, 북일면, 북이면, 미원면, 낭성면, 남일면, 남이면, 부용면, 현도면, 양성면, 용흥면, 가덕면으로 구성되었다. 이후 청주면은 청주시로 승격되었고, 일부 면은 세종특별자치시, 증평군, 진천군 등으로 이관되었다.
현재 청주시는 4개의 일반구 (상당구, 서원구, 흥덕구, 청원구)와 3개의 읍(오송읍, 오창읍, 내수읍), 10개의 면(강내면, 옥산면, 북이면, 미원면, 낭성면, 남일면, 남이면, 현도면, 문의면, 가덕면), 그리고 38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3. 1. 1914년의 행정구역과 현재의 행정구역 비교
(淸州面)[3](四州面)[4]
(江西面)[5]
(江外面)[7]
(玉山面)[8]
(北一面)[10]
(北二面)[11]
(南一面)[14]
(南二面)[15]
(芙蓉面)[16]
(養性面)[18]
(龍興面)[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