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르노보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체르노보그는 슬라브 신화에 등장하는 신으로, 역사적 기록과 학계의 해석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묘사된다. 16세기 기록에서는 흑신(검은 신)으로 언급되었으며, 학계에서는 사탄, 이원론적 존재, 또는 기독교적 영향을 받은 허구적 인물로 해석되기도 한다. 디즈니의 '환타지아'를 비롯한 다양한 대중문화 작품에서 악마 또는 어둠의 존재로 묘사되며, 소설, 게임 등에서도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슬라브 남신 - 페룬
페룬은 슬라브 신화에서 천둥과 번개의 신이자 전사의 수호신으로, 금빛 또는 구릿빛 수염을 가진 모습으로 도끼 몰니야를 들고 다니며 동슬라브족에게 최고신으로 숭배받았고, 기독교 전파 후 엘리야와 결부되어 현대 슬라브 네오페이건교에서도 중요한 신으로 여겨진다. - 슬라브 남신 - 호르스
호르스는 초기 슬라브족 신화에 등장하는 신으로, 블라디미르 1세의 신상 중 하나로 기록되어 있으며 기원과 역할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 - 악신 - 앙그라 마이뉴
조로아스터교에서 앙그라 마이뉴는 '파괴적인 정신'이라는 뜻을 가진 절대 악으로, 최고신 아후라 마즈다에 대항하여 재앙을 일으키고 세상을 혼란에 빠뜨리는 존재이다. - 악신 - 환두
환두는 요 임금의 아들 단주의 다른 이름으로, 삼묘와 함께 반란을 꾀했다는 전설 속 인물이며 반란 실패 후 남쪽으로 이주한 후손들이 환두국을 세웠다고 전해진다. - 죽음의 남신 - 페브루우스
페브루우스는 (주제)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문서이며, 역사, 주요 특징, 사회적 영향, 비판과 논란, 한국 현황, 미래 전망 등을 다룬다. - 죽음의 남신 - 염라대왕
염라대왕은 불교, 중국 신화, 도교 등 여러 문화권에서 사후 세계를 다스리는 신으로 나타나며, 망자를 심판하고 윤회할 곳을 결정하거나 지옥의 심판관으로 숭배받고 죽음과 환생의 순환을 주관하는 존재로 여겨진다.
체르노보그 | |
---|---|
이름 | |
한국어 | 체르노보그 |
다른 이름 | 조르니보그 초르니보흐 치에르네보흐 체르니보흐 검은 신 |
우크라이나어 | Чорнобог |
러시아어 | Чернобог |
벨로보그와 대비 | |
역할 | 체르노보그는 벨로보그와 함께 슬라브 신화의 이원성을 나타내는 신으로 여겨짐 |
의미 | 체르노보그는 "검은 신" 이라는 뜻 벨로보그는 "하얀 신" 이라는 뜻 |
특징 | |
숭배 | 체르노보그는 숭배의 대상이었는지, 아니면 악령으로 여겨졌는지에 대해 논쟁이 있음 일부 학자들은 체르노보그가 서슬라브족에 의해 숭배되었다고 주장 |
신화 | 체르노보그에 대한 신화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음 |
연관 | 불운, 어둠, 파괴와 관련됨 |
현대 문화 | |
대중문화 | 디즈니의 환타지아에서 체르나보그라는 악마로 등장 비디오 게임과 소설에도 등장 |
2. 역사적 기록
16세기부터 체르노보그 및 벨로보그를 언급하는 자료들이 나타난다. 1530년경 피르나 출신 도미니크 수도회 수사 요한 린드너는 자신의 편집물에서 이 신들을 언급했지만, 게오르크 파브리치우스와 페트루스 알비누스 등 많은 역사가들은 그의 연구를 신뢰하지 않았다.[1] 17세기 말 Abraham Frencel도 루사티아 신 목록에서 체르노보그를 언급했지만, 이 역시 루사티아 이교주의가 사라진 후 프로이센 기원의 신들이 섞여 있어 신뢰하기 어렵다.[1][2]
1538년 포메라니아 연대기 작가 토마스 칸초우는 ''포메라니아 연대기''에서 슬라브족이 "비알부크"(흰 신, 선신)와 "체르네부크"(검은 신, 악신)를 숭배했다고 기록했다.[3] 1550년 세바스티안 뮌스터는 ''코스모그래피아 우니베르살리스''에서 스베토비트 관련 수확 의식을 설명하며, 루기안족이 벨부크와 체르네부크를 흰 신과 검은 신, 선한 지니와 악한 지니, 선과 악의 근원인 신과 사탄으로 숭배했으며, 이는 마니교와 유사하다고 언급했다.[4]
체르노보그는 익명의 ''히스토리아 카미넨시스''에서 반달족의 신으로도 나타나며, 다른 부수적인 텍스트에도 등장한다.[4]
2. 1. 후대 자료
16세기에 체르노보그 및/또는 벨로보그를 언급하는 자료들이 나타난다. 1530년경, 피르나 출신의 도미니크 수도회 수사 요한 린드너는 자신의 편집물에서 신들을 언급한다. 그는 루사티아 지역에서 거주하거나 그 근처에 살았지만, 현장 연구 대신 서면 자료와 수도원 이야기를 사용했을 가능성이 높아, 게오르크 파브리치우스와 페트루스 알비누스를 포함한 많은 역사가들은 그의 연구를 신뢰할 수 없다고 여겼다.[1] 17세기 말, 아브라함 프렌첼|Abraham Frencelde 또한 루사티아 신들의 목록에서 체르노보그를 언급했다. 이 정보 또한 신뢰할 수 없는 것으로 간주되는데, 이는 루사티아 이교주의가 완전히 사라졌을 때, 그리고 그가 언급한 신들의 절반 정도가 프로이센 기원을 가지고 있을 때 늦게 등장했기 때문이다.[1][2]1538년, 포메라니아 연대기 작가인 토마스 칸초우는 그의 ''포메라니아 연대기''에서 다음과 같이 썼다.
"나는 지금까지 독일 제국 시대 이전 그들이 관여했던 모든 종류의 불신과 우상 숭배를 이야기했다. 그 이전에는, 그들의 방식이 훨씬 더 이교적이었다고 한다. (중략) 마지막으로, 그들은 다른 모든 신들보다 더 존경했던 두 신을 숭배했다. 그들 중 하나를 그들은 ''비알부크''라고 불렀는데, 이는 흰 신을 의미한다. 그들은 그를 선한 신으로 여겼다. 다른 하나는 ''체르네부크''라고 불렀는데, 이는 검은 신을 의미한다. 그들은 그를 해를 입히는 신으로 여겼다."[3]
세바스티안 뮌스터는 1550년의 ''코스모그래피아 우니베르살리스''에서 스베토비트와 관련된 수확 의식을 설명하며 다음과 같이 이었다. "일반적으로 그들(루기안족)은 두 신, 즉 ''벨부크''와 ''체르네부크''를 숭배했는데, 마치 흰 신과 검은 신, 선한 지니와 악한 지니, 선과 악의 근원으로서의 신과 사탄, 마치 마니교도의 오류와 같았다." 칸초우와 뮌스터의 작품은 아마도 서로 독립적일 것이지만, 공통의 자료를 사용하는데, 미로슬라바 즈나옌코에 따르면 이는 벨로보그가 조작된 비아워보키 (제르제바토프)|Białoboki (Trzebiatów)pl 수도원의 기록 보관소일 수 있다.[4] 다니엘 크라머는 아마도 이 기록 보관소의 연대기 사본을 손에 들고 있었거나 거기에서 인용문을 보았을 것인데, 왜냐하면 그의 ''폼메리셰 키르헨-크로니콘''에서 그는 아마도 그 일부를 의역했기 때문이다.[4]
"이 수도원에 그들(설립 수도사들)은 ''벨부크'', [더] 정확히는 ''비알부크''라는 이름을 부여했는데, 이는 벤드어(Wendish) 언어로 문자 그대로 '흰 신'을 의미하며, 이는 [슬라브족]에게 그들의 (슬라브족) 이교 조상과 달리 기독교인들은 어떤 ''검은 신''도 알지 못한다는 것을 이해시키기 위함이었다."[5]
체르노보그는 또한 익명의 ''히스토리아 카미넨시스''에서 반달족의 신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뮌스터의 작품을 기반으로 한다(두 작품 모두 "마니교도들의 오류"에 대해 이야기한다). 체르노보그와 벨로보그는 다른 부수적인 텍스트에도 등장한다.[4]
3. 학계의 해석
슬라브 신화에서 체르노보그와 벨로보그의 지위, 또는 이 두 신이 실제로 슬라브 신화에 존재했는지에 대해 학계에서는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일부 연구자들은 출처에 벨로보그가 등장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그의 존재를 완전히 부정하기도 한다.[1][2] 학계에서는 적어도 네 가지 견해가 발전했다.[2]
# 체르노보그는 사탄의 별칭이며, 벨로보그는 후대의 문학에서 이차적으로 생겨났다.
# 체르노보그와 벨로보그는 슬라브 신 (실제 신격 또는 다른 신의 별칭)이다.
# 체르노보그와 벨로보그는 기독교적 기원을 가진 기독교 인물의 이름이다.
# 체르노보그와 벨로보그는 가짜 신이며, 기독교 또는 이교도 어휘에 존재하지 않았다.
3. 1. 신으로 보는 관점
슬라브 신화에서 체르노보그와 벨로보그의 실제 존재 여부 및 그 지위에 대해서는 학계에서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다. 일부 연구자들은 벨로보그가 사료에 등장하지 않는다는 점을 들어 그의 존재를 부정하기도 한다.[1] 학계에서는 최소 네 가지 관점이 존재한다.[1]# 체르노보그는 사탄의 별칭이며, 벨로보그는 후대에 문학적으로 만들어진 존재이다.
# 체르노보그와 벨로보그는 실제 슬라브 신이거나, 다른 신의 별칭이다.
# 체르노보그와 벨로보그는 기독교에서 유래한 인물들의 이름이다.
# 체르노보그와 벨로보그는 가짜 신이며, 기독교나 이교도 어휘에 존재하지 않았다.
헬몰트의 기록은 19세기에 슬라브 종교에 이원론이 존재했다는 개념으로 이어졌고, 이는 이란 민족(스키타이인, 사르마티아인, 보고밀파)에게서 전해진 것으로 여겨졌다.[1] 체르노보그와 벨로보그는 조로아스터교 신화의 아흐리만과 오르마즈드에 비유되기도 했다.[1] 알렉산드르 힐페르딩은 이러한 맥락에서 체르노보그를 해석했고, 알렉산드르 아파나시에프와 알렉산드르 파미친은 벨로보그의 동쪽 대응 신으로 벨룬(들판의 정령)을 제시했다. 그러나 이들은 이원론을 슬라브 종교의 핵심 요소로 보지 않았다.[1] 니콜라이 크바시닌-사마린만이 그의 아마추어 작품에서 이원론을 주장했지만, 그의 작품은 중요하게 여겨지지 않는다.[1]
프란치셰크 슬라프스키는 원시 슬라브어 ''*bělъ bogъ'' ("하얗고 밝은 신")[1]과 ''*čŕ̥nъ bogъ'' ("검은 신, 어두운 신")을 재구성했고, 후자는 헬몰트의 기록을 주요 증거로 보았다.[1] 알렉산데르 기에이스토르,[1] 뱌체슬라프 이바노프, 블라디미르 토포로프는 이러한 이원론을 옹호했으며, 체르노보그를 불행을 가져오는 신으로 여겼다.[1]
일부 저자들은 상부 루사티아의 ''Czorneboh''와 ''Bieleboh'' 산의 이름을 통해 체르노보그 숭배를 증명하려 했지만, 이 이름들은 이 지역 문화에서 인기를 얻으면서 현대에 만들어진 것이다.[1] 체르노보그와 벨로보그를 언급한다고 여겨지는 지명들(예: 러시아의 Chernobozhye|체르노보지예ru 마을, 우크라이나의 Chernobozhna|체르노보즈나uk 마을, 체코의 체르니코비체와 Bělbožice|벨보지체cs 인근 마을)도 숭배의 증거로 언급되지만, 체르노보지예는 실제로는 창시자의 개인 이름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1]
3. 2. 의사 신으로 보는 관점
슬라브 신화에서 체르노보그와 벨로보그의 실제 존재 여부에 대해서는 학계에서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다. 일부 연구자들은 벨로보그가 사료에 등장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그의 존재를 부정한다.[1],[2] 학계에서는 최소 네 가지 학설이 존재한다.[2]# 체르노보그는 사탄의 별칭이며, 벨로보그는 후대에 문학적으로 만들어졌다.
# 체르노보그와 벨로보그는 슬라브 신 (실제 신격 또는 다른 신의 별칭)이다.
# 체르노보그와 벨로보그는 기독교에서 기원한 인물들의 이름이다.
# 체르노보그와 벨로보그는 가짜 신이며, 기독교 또는 이교도 어휘에 존재하지 않았다.
많은 연구자들은 체르노보그를 불운의 의인화, 헬몰드의 실수, 또는 가짜 신으로 여겼다. 안제제이 시제프스키는 체르노보그를 악마에 대한 경멸적인 별칭으로만 간주했고,[3] 스타니스와프 우르반치크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예지 스트젤치크도 이와 같은 견해를 지지했다.[5] 마틴 피트로와 페트르 보카치,[6] 스타니스와프 로식도 체르노보그를 불운의 의인화로 보았다.[7]
알렉산데르 브뤼크너는 슬라브 종교에서 체르노보그(그리고 벨로보그)의 존재를 부정하고, 체르노보그가 중세 시대 악마를 검은 악마로 묘사하는 것을 포함하여 기독교의 영향으로 만들어졌다고 주장했다. 그는 체르노보그를 폴란드어 단어 piekło|지옥pl에서 파생된 것으로 추정되는 프러시아 신 ''피쿨라스''와 비교했다. 헨리크 워미안스키도 이러한 견해를 지지했다.
미하우 워친스키는 '체르노보그'와 '벨로보그'에 대한 광범위한 분석을 통해 '검은 신'과 '하얀 신'과 같은 단어가 범슬라브적 범위와 원시 슬라브어 기원을 가지고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2] '검은 신'에 대한 증거로는 슬로빈어 ''čǻrnï bȯ́u̯g'' (악마), 슐레지엔어 Czorny Bóg|악령, 악마szl 그리고 지명인 러시아어 Чернобожье|체르노보지예ru, 우크라이나어 Чернобожна|체르노보주나uk, 세르비아어 Чернобожеский городок|체르노보제스키 고로도크sr 등이 있다. '하얀 신'에 대한 증거로는 슬로빈어 ''bjǻu̯lï bȯ́u̯g'' (신), 슐레지엔어 Bioły Bóg|좋은, 인간 친화적인 신; 좋은 영szl, 세르비아어 бел(и) бог|벨리 보그sr (운명), 불가리아어 бял бог|뱔 보그bg (행운, 성공) 등과 지명인 체코어 Bělbog|벨보그cs, Bělbožice|벨보지체cs, 러시아어 Белые боги|벨리예 보기ru, Беловожский монастырь|벨로보시스키 모나스티리ru, 독일어 Belboh|벨보de, Belbog|벨보크de, Belbuk|벨부크de 등이 있다.[2]
워친스키는 위의 자료를 바탕으로 '검은'과 '하얀'이라는 단어가 각각 "나쁜"과 "좋은"이라는 은유적 의미로, '신'이라는 단어는 "운명, 행운, 운명"이라는 추상적인 의미로 사용되었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원시 슬라브어 ''*čŕ̥nъ bogъ''는 "나쁜 운명", ''*bělъ bogъ''는 "좋은 운명"을 의미했을 것이라고 추정한다. 이러한 어원적 증거는 폴란드어 czarna dola|차르나 돌라pl, 세르비아어 црна срећа|츠르나 스레차sr, црна судбина|츠르나 수드비나sr, 크로아티아어 crna sudba|츠르나 수드바hr가 모두 "나쁜 운명"을 의미하는 것과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2]
이후 이러한 용어는 신/예수와 악마를 묘사하는 데 사용되었고, 헬몰드의 체르노보그는 의사 신으로 간주되며, 헬몰드의 '검은 신'과 '하얀 신'을 라틴어로 ''niger deus''와 ''bonus deus''로 번역한 데 기인하여 현대 학자들에 의해 신으로 잘못 식별되었다고 워친스키는 주장한다.[2]
4. 대중문화 속 체르노보그
체르노보그는 여러 대중문화 작품에서 등장하거나 언급된다.
- 모데스트 무소르그스키의 교향시 ''민둥산의 하룻밤''에 등장하는 캐릭터는 월트 디즈니의 ''환타지아''(1940)에서 거대한 날개 달린 악마로 묘사되었다.[2] 디즈니는 이 캐릭터를 "사탄 그 자체"라고 불렀다.[2] 이후, ''환타지아 2000''(1999)에서는 첫 번째 영화에 대한 언급으로 등장하고,[3] ''하우스 오브 마우스''(2001–2003)에서는 ''환타지아''의 다른 캐릭터들과 함께 게스트로 출연했으며,[2] ''미키 마우스''(2013)에서는 미키 마우스의 상대방 및 배경으로 등장한다.
- 킹덤 하츠 시리즈에서는 ''킹덤 하츠''(2002)에서 ''세상의 종말'' 동안 보스로 등장하고,[2] ''킹덤 하츠 3D: 드림 드롭 디스턴스''(2012)에도 등장한다.[3]
- 원스 어폰 어 타임(2011–2018)의 "어둠의 가장자리" 에피소드,[2] 닐 게이먼의 소설 아메리칸 갓을 각색한 드라마 아메리칸 갓(2017–2021)에 등장한다.[4]
- 월터 스콧의 소설 ''아이반호''(1820)에서 체르네보그는 고대 색슨족의 신으로 묘사된다.[5]
- ''알렉산드리아의 상속자'' 시리즈 (2002), S. M. 스터링의 ''페샤와르 랜서스'' (2002)에서 러시아인들이 하느님과 예수가 세상을 버렸다고 믿고 체르노보그를 숭배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 마블 유니버스에서 체르노보그는 발토-슬라브 신화에서 혼돈, 어둠, 밤의 신으로 등장하며,[6] 윈터 가드의 일원이다.
- ''스피닝 실버'' (2018)에서 체르노보그는 차르를 사로잡는 불의 악마이자 주요 악당이다.
- ''블러드''(1997)에서 체르노보그는 "카발"이라는 컬트를 조종하는 주요 적대자이고, ''페르소나 3'' (2006)에서 체르노보그는 주인공이 전투에서 능력을 발휘하기 위해 구현할 수 있는 페르소나 중 하나이다.
- ''크루세이더 킹즈 II'' (2012)의 확장팩 ''수도원과 신비주의자''에서 체르노보그는 "사탄적인" 신으로 등장한다.
- Smite영어(스마이트)(2014)에서 체르노보그는 2018년 5월 업데이트에 추가된 플레이 가능한 캐릭터이다.[7]
- ''명일방주'' (2019)에서 체르노보그는 이야기의 배경이 되는 첫 번째 도시 이름이고, ''붕괴: 스타레일'' (2023)에서 벨로보그는 이야기의 배경이 되는 첫 번째 행성의 도시 이름이다.
- ''그랜드 테프트 오토 온라인'' (2017)에서 소련의 MAZ-543M을 기반으로 한 MLRS가 체르노보그로 등장하고, ''젠레스 존 제로'' (2024)에서 코레다 벨로보그는 플레이 가능한 캐릭터 중 한 명의 이름이다.
4. 1. 디즈니 작품
체르노보그는 러시아 작곡가 모데스트 무소르그스키의 교향시 ''민둥산의 하룻밤''에 등장하는 캐릭터의 대체 버전이다. 그는 죽은 자들의 영혼을 소환하는 거대한 날개 달린 악마로 묘사된다. 월트 디즈니의 ''환타지아''(1940)의 한 부분은 이 작품을 기반으로 했다.[2] 이 캐릭터는 원래 사탄을 표현하기 위해 의도되었을 수 있으며, 영화에서 디즈니는 그를 "사탄 그 자체"라고 부른다. 이 부분을 기반으로 한 장편 실사 영화가 2015년에 발표되었다.[2] ''환타지아'' 이후, 체르노보그는 다음과 같은 많은 디즈니 작품에 등장했다.
- ''환타지아 2000'' (1999) – 1940년 영화의 속편; 체르노보그는 첫 번째 영화에 대한 언급으로 등장[3]
- ''하우스 오브 마우스'' (2001–2003) – ''환타지아''의 다른 캐릭터들과 함께 한 에피소드에 게스트로 출연[2]
- ''미키 마우스'' (2013) – "터치다운 앤 아웃" 에피소드에서 미키 마우스의 상대방으로 등장한다. "가장 무서운 이야기: 미키 마우스 할로윈 스푸케큘러!" 에피소드에서는 도입부 자막 동안 배경에서 볼 수 있다.
- ''킹덤 하츠'' (2002) – ''세상의 종말'' 동안 보스로 등장[2]
- ''킹덤 하츠 3D: 드림 드롭 디스턴스'' (2012)[3]
4. 2. 기타 작품
다음은 체르노보그가 등장하거나 언급되는 작품들이다.- Once Upon a Time영어(원스 어폰 어 타임)(2011–2018) – "어둠의 가장자리" 에피소드에 등장[2]
- American Gods영어(아메리칸 갓)(2017–2021) – 닐 게이먼의 동명 소설 아메리칸 갓을 각색한 텔레비전 드라마[4]
- 월터 스콧의 소설 ''아이반호''(1820)에서 체르네보그는 고대 색슨족의 신으로 묘사된다.[5]
- ''알렉산드리아의 상속자'' 시리즈 (2002)에서 적대자로 등장한다.
- S. M. 스터링의 ''페샤와르 랜서스'' (2002)는 지구를 파괴한 운석우가 내린 지 147년 후인 2025년을 배경으로 한다. 러시아인들은 하느님과 예수가 세상을 버렸다고 믿고 체르노보그를 숭배하기 시작한다.
- 마블 유니버스에서 체르노보그는 발토-슬라브 신화에서 혼돈, 어둠, 밤의 신으로 등장한다.[6] 그는 러시아 슈퍼히어로 그룹인 윈터 가드의 일원이다.
- ''스피닝 실버'' (2018)에서 체르노보그는 차르를 사로잡는 불의 악마로 등장하며 주요 악당 역할을 한다.
- Blood영어(블러드)(1997)에서 체르노보그는 "카발"이라는 컬트를 조종하는 "피투성이의 뿔 달린 끔찍한 모습의 어둠의 신"으로 묘사되며 주요 적대자이다.
- ''페르소나 3'' (2006)에서 체르노보그는 주인공이 전투에서 능력을 발휘하기 위해 구현할 수 있는 많은 페르소나 중 하나이다.
- ''크루세이더 킹즈 II'' (2012)의 확장팩 ''수도원과 신비주의자''에서 플레이어가 이교 슬라브 통치자로 플레이할 때, 체르노보그는 "사탄적인" 신으로 등장하며, "콜드 블러드" 종파가 숭배한다.
- Smite영어(스마이트)(2014)에서 체르노보그는 2018년 5월 업데이트에 추가된 플레이 가능한 캐릭터로 등장한다. 또한 이 게임에서 슬라브 신화의 첫 번째 신이기도 하다.[7]
- ''명일방주'' (2019)에서 체르노보그는 이야기의 배경이 되는 첫 번째 도시의 이름이다.
- ''붕괴: 스타레일'' (2023)에서 벨로보그는 이야기의 배경이 되는 첫 번째 행성, 자릴로-VI의 눈보라가 몰아치는 도시의 이름이다.
- ''그랜드 테프트 오토 온라인'' (2017)에서 소련의 MAZ-543M을 기반으로 한 MLRS가 체르노보그로 등장한다.
- ''젠레스 존 제로'' (2024)에서 코레다 벨로보그는 플레이 가능한 캐릭터 중 한 명의 이름이며, 건설 회사 벨로보그 중공업의 사장이다.
참조
[1]
간행물
Specifika některých českých oikonym
https://theses.cz/id[...]
[2]
웹사이트
"Disney's giving one of its darkest characters -- a demon gargoyle from 'Fantasia' -- its own movie"
https://www.business[...]
2020-09-29
[3]
웹사이트
Chernabog - Kingdom Hearts 3D Wiki Guide
https://www.ign.com/[...]
2012-06-25
[4]
웹사이트
American Gods mythology guide: Who is bloodthirsty Slavic deity Czernobog?
https://www.radiotim[...]
2020-09-29
[5]
서적
Ivanhoe.
https://www.worldcat[...]
OUP Oxford
1996
[6]
웹사이트
Chernobog Powers, Enemies, History {{!}} Marvel
https://www.marvel.c[...]
2020-09-29
[7]
웹사이트
Pierwszy słowiański bóg zawitał do SMITE. Robi wrażenie... {{!}} Portal o grach MMO
https://mmorpg.org.p[...]
2020-09-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