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최인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최인덕은 일제강점기 항일 유격대에서 활동했으며, 6.25 전쟁에 참전한 북한의 군인이다. 그는 1967년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으로 선출된 후, 중장,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영웅 칭호를 받았으며,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위원, 제1군단 사령관, 함흥지구 사령관 등을 역임했다. 1980년 조선로동당 제6차 대회에서 중앙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고, 김일성군사종합대학 총장을 지냈다. 1992년 다시 공화국 영웅 칭호를 받았으며, 차수 계급을 받았다. 2003년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선거에서 낙선 후 사망했다. 저서로는 《반일 게릴라 회상》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인민군 차수 - 최룡해
    최룡해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으로,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 국무위원회 제1부위원장,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으며, 김일성종합대학에서 정치경제학을 전공하고 김일성사회주의청년동맹에서 정치 경력을 시작했다.
  • 조선인민군 차수 - 김정각
    김정각은 김일성군사종합대학을 졸업하고 조선인민군에서 주요 직책을 역임한 북한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김정은 체제 초기 권력 공고화에 기여했으나 부침을 겪으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위원 등을 지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장군 - 박헌영
    박헌영은 일제강점기 사회주의 운동가이자 독립운동가, 정치인으로, 조선공산당 창당에 참여하고 해방 후 조선공산당 재건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했으나, 한국 전쟁 이후 김일성 정권에 의해 처형되어 그의 생애와 활동은 논란과 재평가의 대상이 되고 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장군 - 변인선
    변인선은 평양 출신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군인으로, 인민군 상장까지 진급하여 제7군단 및 제4군단 사령관, 당 중앙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했으나, 2014년 예편 후 목함 지뢰 도발을 일으켜 2015년 총살형을 당했다.
  • 조선로동당의 정치인 - 박태원 (1909년)
    박태원은 일제 강점기와 북한에서 활동한 소설가로, 모더니즘 소설을 주로 썼으며, 해방 후 월북하여 북한에서 활동하다 사망했다.
  • 조선로동당의 정치인 - 박헌영
    박헌영은 일제강점기 사회주의 운동가이자 독립운동가, 정치인으로, 조선공산당 창당에 참여하고 해방 후 조선공산당 재건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했으나, 한국 전쟁 이후 김일성 정권에 의해 처형되어 그의 생애와 활동은 논란과 재평가의 대상이 되고 있다.
최인덕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최인덕
한자 표기崔仁德
로마자 표기Choe In-deok
출생1920년
출생지일제강점기 조선 함경북도 온성군
사망2003년 8월 31일
사망지평양, 북한
국적북한
민족한국인
소속 정당조선로동당
경력
직위최고인민회의 대의원
당선 횟수7회
임기 시작1967년 11월
임기 종료2003년 8월
기타 직책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위원
기타 직책김일성군사종합대학 총장
임기 시작1982년 2월
임기 종료2003년 8월 31일
군사 경력
소속조선인민군
복무 기간알 수 없음
계급차수
훈장
훈장김일성훈장, 공화국2중영웅

2. 생애

최인덕은 일제강점기북한에서 활동한 군인이자 정치인이다. 항일 유격대 활동부터 북한 정권 수립 이후까지 주요 직책을 역임했다.

최인덕의 생애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시기주요 활동
일제강점기항일 유격대 활동, 김일성 전령 및 중대장 역임[4]
1946년 6월철도경비대 창설, 보병 독립여단 포병사령관[4][5]
1950년6.25 전쟁 참전, 제5연대장 역임[6]
1967년 11월최고인민회의 제4기 대의원 선출
1970년 10월중장 진급,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영웅 칭호 수여
1970년 11월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위원
1972년지역 사령관, 최고인민회의 제5기 대의원 선출
1975년 7월제1군단 사령관
1977년 11월최고인민회의 제6기 대의원
1978년 9월함흥지구 사령관
1980년 10월조선로동당 제6차 대회에서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제6기 정식 위원
1982년 2월최고인민회의 제7기 대의원, 김일성군사종합대학 총장[7]
1986년 ~ 1998년제8기, 제9기, 제10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8]
1992년 4월 20일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영웅 칭호, 차수 계급[9][10]
2003년 8월최고인민회의 제11기 대의원 낙선, 사망[12]


2. 1. 초기 생애 및 항일 무장 투쟁

최인덕은 1920년 함경북도 온성에서 태어났다.[3] 崔仁德|최인덕중국어일제강점기 항일 유격대에서 활동하며 김일성의 전령 및 중대장을 역임했다.[4] 1946년 6월 철도경비대 창설 요원 중 한 명이었고,[5] 이후 보병독립여단 포병대장을 거쳐,[6] 1950년 6.25 전쟁 당시 제5연대장을 역임했다.[13]

2. 2. 해방 이후 군 경력

최인덕은 일제강점기 항일 유격대에서 활동하며 김일성의 심부름꾼이자 중대장을 역임했다.[4] 해방 이후인 1946년 6월에는 철도경비대 창설 멤버 중 한 명이었으며,[4] 이후 보병 독립여단 포병사령관을 지냈다.[5] 1950년 6.25 전쟁이 발발하자 제5연대장을 역임했다.[6]

1967년 11월 제4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에 선출되었다. 1970년 10월 중장으로 진급하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영웅 칭호를 받았다. 같은 해 11월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위원이 되었고, 1972년 9월 지역 사령관에 임명되었다. 1972년 12월 제5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에 선출되었다.

1975년 7월 제1군단 사령관에 임명되었고, 1977년 11월 제6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에 선출되었다. 1978년 9월 함흥지구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1980년 10월 조선로동당 제6차 대회에서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제6기 정식(투표권) 위원으로 임명되었다.

1982년 2월 제7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에 선출되었고, 같은 해 4월 김일성군사종합대학 총장에 임명되었다.[7] 1986년 11월 제8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1990년 제9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1998년 9월 제10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에 선출되었다.[8] 1992년 4월 20일 다시 한번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영웅 칭호를 받고 차수 계급을 받았다.[9][10]

2. 3. 군 및 정치 활동

최인덕은 일제강점기 항일 유격대에서 활동하며 김일성의 전령 및 중대장을 역임했다.[4] 1946년 6월, 철도경비대 창설 요원 중 한 명이었으며,[4] 이후 보병 독립여단 포병사령관을 지냈다.[5] 1950년 6.25 전쟁이 발발하자 제5연대장을 역임했다.[6]

1967년 11월, 1967년 북한 최고인민회의 선거를 통해 최고인민회의 제4기 대의원으로 선출되었다. 1970년 10월 중장으로 진급하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영웅 칭호를 받았다. 같은 해 11월,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위원이 되었고, 1972년 9월 지역 사령관에 임명되었다. 1972년 12월, 1972년 북한 최고인민회의 선거를 통해 최고인민회의 제5기 대의원으로 선출되었다.

1975년 7월, 제1군단 사령관에 임명되었고, 1977년 11월 1977년 북한 최고인민회의 선거를 통해 최고인민회의 제6기 대의원으로 선출되었다. 1978년 9월, 함흥지구 사령관에 임명되었다. 1980년 10월 조선로동당 제6차 대회에서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제6기 정식 위원으로 임명되었다.

1982년 2월, 1982년 북한 최고인민회의 선거를 통해 최고인민회의 제7기 대의원으로 선출되었고, 같은 해 4월 김일성군사종합대학 총장에 임명되었다.[7] 1986년 11월, 1986년 북한 최고인민회의 선거를 통해 최고인민회의 제8기 대의원으로, 1990년 1990년 북한 최고인민회의 선거를 통해 제9기 대의원으로, 1998년 9월 1998년 북한 최고인민회의 선거를 통해 604번 선거구 제10기 대의원으로 선출되었다.[8]

1992년 4월 20일, 다시 한번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영웅 칭호를 받았으며, 차수 계급을 받았다.[9][10]

2. 4. 사망

최인덕은 2003년 8월 최고인민회의 제11기 대의원 선거에서 낙선되었고, 같은 해 8월 31일 지병으로 사망했다.[12]

3. 저술 활동

최인덕은 1970년 평양의 외국어출판사에서 《반일 게릴라 회상: 적진을 돌파하여》를 출간했고,[1] 1971년에는 《반일 게릴라 회상: 게릴라의 건강을 염려하며》를 출간했다.[2]

4. 평가

최인덕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군인으로, 항일 빨치산 활동과 한국 전쟁 참전 경력이 있다. 그의 회고록인 《반일 게릴라 회상》은 1970년과 1971년에 평양의 외국어출판사에서 출간되었다.[1][2] 이 책은 항일 무장 투쟁 시기의 경험을 담고 있으며, "적진을 돌파하여", "게릴라의 건강을 염려하며" 등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4. 1. 긍정적 평가

최인덕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군인으로, 항일 빨치산 활동과 한국 전쟁 참전 경력을 바탕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그의 회고록인 《반일 게릴라 회상》은 1970년과 1971년에 평양의 외국어출판사에서 출간되었다.[1][2] 이 책은 항일 무장 투쟁 시기의 경험을 담고 있으며, "적진을 돌파하여", "게릴라의 건강을 염려하며" 등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4. 2. 부정적 평가

주어진 자료에는 최인덕에 대한 부정적 평가를 찾을 수 없다. 따라서 이 섹션에 작성할 내용이 없다.

5. 가족 관계

최인덕한국어은 1920년 평안남도 안주에서 태어났다.[3]

6. 기타

최인덕은 1920년 평안남도 안주에서 태어났다.[3] 일제강점기 한국 독립운동의 항일 유격대에서 활동하며 김일성의 심부름꾼이자 중대장을 역임했다. 1970년과 1992년 두 차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영웅 칭호를 받았다.[9][10]

참조

[1] 웹사이트 북한권력층 재편움직임 본격화 http://www.munhwa.co[...]
[2] 웹사이트 최인덕(남성) https://nkinfo.uniko[...]
[3] 웹사이트 北 최인덕 인민군 차수 사망 http://www.tongilnew[...]
[4] 서적 조선인민군 : 북한 무력의 형성과 유일체제의 기원 한양대학교 출판부 2020
[5] 서적 조선인민군 : 북한 무력의 형성과 유일체제의 기원 한양대학교 출판부 2020
[6] 서적 6⋅25전쟁사 2 북한의 전면남침과 초기 방어전투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2020-08-26 # access-date를 date로 변환
[7] 웹사이트 全世界独一无二的军衔:朝鲜次帅到底是个啥 https://www.hotbak.n[...] 2023-02 # dead link date를 date로 변환
[8] 간행물 통일정세분석 2009-04 http://repo.kinu.or.[...] Korea Institute for National Unification 2018-08-08 # access-date를 date로 변환
[9] 웹사이트 최인덕(남성) https://nkinfo.uniko[...]
[10] 웹사이트 군부 대부분 승진인사 단행 https://nkinfo.uniko[...]
[11] 웹사이트 최인덕(崔仁德) http://www.cybernk.n[...]
[12] 뉴스 北 최인덕 인민군 차수 사망 http://www.tongilnew[...] 統一ニュース 2003-09-02
[13] 서적 6⋅25전쟁사 2 북한의 전면남침과 초기 방어전투 http://www.imhc.mil.[...]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2020-08-26 #accessdate를 date로 변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