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추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추덕은 플라톤이 제시한 이상적인 국가와 개인에게 필요한 네 가지 덕목인 지혜, 용기, 절제, 정의를 의미한다. 플라톤은 이 덕목들이 조화를 이룰 때 이상적인 사회와 개인의 삶이 가능하다고 보았다. 아리스토텔레스, 헬레니즘 시대의 유대 철학자 필론, 로마의 철학자 키케로 등 많은 철학자들이 추덕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중세 시대에는 기독교의 신앙, 희망, 사랑의 삼덕을 더하여 칠주덕을 제시하기도 했다. 추덕은 지혜, 정의, 용기, 절제로 구성되며, 각 덕목은 개인의 윤리적 완성뿐만 아니라 사회의 질서 유지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추덕은 종종 여성의 우화상으로 묘사되었으며, 다양한 상징물과 함께 예술 작품에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플라톤주의 - 기게스의 반지
    기게스의 반지는 리디아의 목동 기게스가 발견한 투명해지는 반지를 통해 권력과 부도덕성에 대한 철학적 질문을 던지는 고대 그리스 이야기로, 플라톤의 『국가』에 등장하며 정의와 불의, 인간 본성에 대한 논의를 이끌어낸다.
  • 플라톤주의 - 철인왕
    철인왕은 플라톤의 《국가》에서 제시된 이상적인 통치자로, 철학적 지혜와 덕성을 겸비하여 국가를 정의롭게 다스리는 인물이며, 체계적인 교육과 선발, 공동체 이익 우선의 특징을 지니지만, 민주주의적 가치와 엘리트주의적 권력 집중의 위험성 때문에 비판받기도 한다.
  • 기독교 윤리 - 기독교 평등주의
    기독교 평등주의는 성별에 관계없이 모든 신자가 동등한 은사와 사역의 부르심을 받았다고 믿는 성경적 관점으로, 갈라디아서 3장 28절과 같은 구절을 근거로 남녀의 동등한 봉사를 주장하며, 퀘이커교, 감리교회 등 다양한 교파와 "남성, 여성, 그리고 하나님"과 같은 단체들의 지지를 받는다.
  • 기독교 윤리 - 프로테스탄트 윤리
    프로테스탄트 윤리는 막스 베버의 연구로 알려진 개념으로, 프로테스탄티즘의 신학적 가치관이 자본주의 발전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는 이론이지만, 유일한 요인은 아니며 사회적 영향에 대한 비판과 현대적 영향력 감소에 대한 연구도 존재하는 복잡한 개념이다.
  • 덕 - 정의
    정의는 각자에게 그의 몫을 돌려주려는 의지이자 불평등이 없는 상태를 추구하는 가치로, 서양에서는 사법적 의미가, 동양에서는 도덕적 당위성을 포함하며, 권리 행사와 제한에 적용되는 원리이다.
  • 덕 - 양심
    양심은 옳고 그름을 판단하고 행동을 결정하는 내적 도덕적 인식으로,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연구되며 개인의 도덕적 판단과 사회적 행동, 그리고 초국가적 문제와도 관련되어 문학과 예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다루어진다.
추덕
개요
이름한국어: 추덕
한자: 樞要德
영어: Cardinal virtues (카디널 버추스)
라틴어: virtutes cardinales (비르투테스 카르디날레스)
정의인간의 기본적인 덕목
목록
4가지 추덕정의 (정의로움)
신중 (현명함, 지혜)
절제 (자제력)
용기 (굳셈, 강인함)
기원 및 역사
플라톤언급: 지혜, 용기, 절제
저서: 국가
아리스토텔레스강조: 정의
저서: 니코마코스 윤리학
암브로시우스발전: 플라톤의 3가지 덕목 + 정의 → 4가지 추덕 체계화
토마스 아퀴나스통합: 기독교 신학 + 아리스토텔레스 윤리학
저서: 신학 대전
성경솔로몬의 지혜서 8장 7절
마카베오기 하권 1장 18-19절
4가지 추덕 상세 설명
신중 (Prudence)의미: 올바른 행동 방식을 식별하고 실천하는 지적인 덕
특징: 상황 판단 능력, 분별력, 사려 깊음
관련: 지혜, 통찰력
정의 (Justice)의미: 타인에게 마땅한 것을 주는 의지
특징: 공정성, 공평함, 권리 존중
관련: 법, 도덕
절제 (Temperance)의미: 욕망과 쾌락을 적절하게 조절하는 덕
특징: 자제력, 균형, умеренность
관련: умеренность, 금욕주의
용기 (Fortitude)의미: 어려움과 고통 속에서도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의지
특징: 인내, 끈기, 담대함
관련: 인내, 불굴의 정신

2. 역사

추덕은 고대 그리스 철학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으며, 플라톤아리스토텔레스 등의 철학자들에 의해 체계화되었다. 네 가지 주요 덕목은 이 명칭이 부여되기 오래 전부터 하나의 그룹으로 나타났다.

2. 1. 고대 그리스

플라톤은 그의 저서 《국가》에서 이상적인 국가와 개인에게 필요한 네 가지 덕목으로 지혜, 용기, 절제, 정의를 제시했다.[5] 그는 이 네 가지 덕목이 조화를 이룰 때 이상적인 사회와 개인의 삶이 가능하다고 보았다. 플라톤은 절제를 농부와 장인 계층과 연관시켜 동물적인 욕구를 절제하는 역할로, 용기는 전사 계급의 투지를 강화하는 역할로, 신중함(지혜)은 통치자들의 이성을 인도하는 역할로 설명했다. 정의는 이 세 가지 덕목 위에 존재하며 이들 간의 관계를 규제하는 역할을 한다.[5] 때때로 플라톤은 거룩함(hosiotes|호시오테스grc, eusebeia|에우세베이아grc, aidos|아이도스grc)을 주요 덕목에 포함시키기도 했다.[24][25]

아리스토텔레스 역시 《니코마코스 윤리학》, 《수사학》 등에서 추덕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각 덕목의 구체적인 의미와 실천 방법을 설명했다.[7] 아리스토텔레스는 정의, 용기, 절제, 웅대함, 관대함, 자유로움, 온화함, 신중함, 지혜를 덕의 형태로 제시했다.[7]

헬레니즘 시대의 유대 철학자인 알렉산드리아의 필론도 사원덕을 신중함, 절제, 용기, 정의로 인식했다.[8]

2. 2. 중세

가톨릭 윤리학은 구약 외경인 지혜서와 마카베오 4서를 바탕으로 덕에 대한 개념을 발전시켰다.[14] 밀라노의 암브로시우스는 "4추덕"이라는 표현을 처음 사용하였다.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는 교회의 도덕에 대해 논하면서 절제, 용기, 정의, 신중함의 네 가지 덕을 정의했다.[15]

"추덕"은 세 가지 대신덕(對神德)인 믿음, 소망, 사랑과는 구별된다. 이 세 가지 덕은 고린도전서 13장에 명시되어 있다.

네 가지 추덕(신중, 절제, 용기, 정의)과 세 가지 신학적 덕(믿음, 소망, 사랑)을 합쳐 칠주덕으로 묶어 나열하기도 한다. 처음 네 가지 덕은 고대 그리스 철학에서 유래하여 도덕적인 삶을 살고자 하는 모든 이들에게 적용될 수 있었지만, ''신학적 덕''은 신약성경에서 바울이 기록한 것처럼 기독교인에게만 해당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아우구스티누스는 믿음을 정의의 범주에 포함시켰다. 단테 알리기에리는 그의 신곡에서, 특히 ''연옥'' 29~31장에 걸쳐 그려진 우화적 구성을 통해 추덕과 신학적 덕을 연결 지었다. 단테는 에덴 동산(연옥 산 정상에 위치)에서 그리폰이 끄는 전차를 묘사하는데, 그 옆에는 오른쪽에 빨강, 초록, 하얀색 옷을 입은 세 명의 여인(신학적 덕)과 왼쪽에 보라색 옷을 입은 네 명의 여인(추덕)이 서 있다.[16]

기독교에서는 사원덕에

  • 신앙 (πίστις|피스티스el)
  • 희망 (ἐλπίς|엘피스el)
  • (무상의) 사랑 (ἀγάπη|아가페el)

의 "대신덕" 3개를 더하여 "칠원덕"으로 삼았다.[22][21]

3. 네 가지 추덕

추덕은 지혜, 정의, 용기, 절제의 네 가지 덕목으로 구성된다.[22] 이들은 고대 그리스 철학에서 비롯되어 서양 철학과 기독교 신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지혜(신중) (φρόνησις|프로네시스grc, prudentiala)
  • 정의 (δικαιοσύνη|디카이오시네grc, iustitiala)
  • 용기 (ἀνδρεία|안드레이아grc, fortitudola)
  • 절제 (σωφροσύνη|소프로시네grc, temperantiala)


키케로는 ''변론술''에서 덕을 "이성과 자연의 질서에 조화롭게 따르는 마음의 습관"으로 정의하고, 지혜, 정의, 용기, 절제의 네 가지로 구분했다.[9] 세네카는 정의, 자제, 실용적 지혜, 헌신을,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는 ''명상록''에서 "부나 사치 또는 명예를 가져다주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자신의 마음속에서 파악해야 할 "선"으로 보았다.[11]

추덕은 종종 여성 우화상으로 묘사되며, 장례식 조각품의 주제로 자주 사용되었다. 각 덕목은 지역 전통에 따라 다른 이름과 속성을 가질 수 있다.

네 가지 추덕; 파리 루브르 박물관.


많은 교회와 예술 작품에서 추덕은 다음과 같은 상징적인 항목으로 묘사된다:[27]

덕목상징
정의칼, 저울과 천칭, 왕관
절제바퀴, 굴레와 고삐, 야채와 생선, 잔, 두 주전자 속 물과 포도주
용기갑옷, 곤봉, 사자, 손바닥, 탑, 멍에, 깨진 기둥
신중책, 두루마리, 거울 (뱀에 의해 때때로 공격 받음)



브리트니 공작, 프랜시스 2세의 무덤, 존 호섬의 무덤, 에절 성의 정원 등에서 추덕을 묘사한 조각상을 볼 수 있다.

밤베르크 대성당 교황 클레멘스 2세의 무덤에 묘사된 추덕
유스티티아 (정의)포르티투도 (용기)프루덴티아 (신중)템페란티아 (절제)


3. 1. 지혜 (신중)

φρόνησις|프로네시스|grc, prudentia|la 또는 지혜(소피아, sapientia|la)는 주어진 상황에서 적절한 행동 방침을 식별하고, 잠재적 결과를 고려하여 신중하게 판단하는 능력이다.[27] 이는 개인과 국가의 일을 처리하는 통찰력, 유익함과 해로움을 구별하는 능력, 행복을 성취하고 모든 상황에서 올바른 행동을 하는 기술을 포함한다.[12] 실용적 지혜의 반대는 어리석음이다.[12]

많은 교회와 예술 작품에서 지혜(신중)는 책, 두루마리, 거울(때때로 뱀이 공격함) 등의 상징으로 묘사된다.[27] 브리트니 공작, 프랜시스 2세의 무덤, 존 호섬의 무덤, 에절 성의 정원 등에서 지혜(신중)를 묘사한 조각상을 볼 수 있다. 존 호섬 경의 무덤은 지혜(신중)상으로 지지되어 있다.
추덕상으로 지지된 존 호섬 경의 무덤.


밤베르크 대성당 교황 클레멘스 2세의 무덤에는 지혜(신중)가 묘사되어 있다.

프루덴티아 (신중)



라로셸 시청 외관에도 지혜(신중)의 우화가 묘사되어 있다.--

3. 2. 정의

δικαιοσύνη|디카이오시네grc, iustitia|유스티티아la)는 가장 광범위하고 중요한 미덕으로, 공정성으로도 간주된다.[27] 그리스어 단어는 의로움이란 뜻도 가진다. 정의는 개인 간의 관계뿐만 아니라 사회 전체의 질서와 조화를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한국 사회에서는 공정성과 평등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면서 정의의 가치가 더욱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다.

정의()는 내면의 자아와 영혼의 포괄적인 통합의 조화로운 정렬이다. 이는 우리 존재의 각 측면 내에서 건전한 규율을 키우고, 다른 사람들과 함께 살고 모든 개인에게 동일한 존경심을 표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정의는 개인의 가치에 따라 자원을 공정하게 할당하는 국가의 적성에 해당한다. 여기에는 과도한 가혹함을 삼가고 보편적인 공정성 인식을 키우는 것이 포함된다. 또한, 사회 구성원으로서 법을 준수하는 시민의 자질을 구현하고 사회적 평등의 원칙을 옹호하는 것을 포함한다. 정의는 타당한 정당성으로 입증될 수 있는 법률의 제정을 포함하며, 이러한 법률에 따라 행동하는 사회로 이어진다.

많은 교회와 예술 작품에서 추덕은 상징적인 항목으로 묘사된다.

  • '''정의''' – 칼, 저울과 천칭, 왕관


밤베르크 대성당 교황 클레멘스 2세의 무덤에 묘사된 추덕
유스티티아 (정의)



'''라로셸 시청 외관의 미덕의 우화'''

3. 3. 용기

ἀνδρεία|안드레이아grc, fortitudo|포르티투도la라고도 불리는 용기는 불굴, 관용, 힘, 인내, 그리고 두려움, 불확실성 및 협박에 직면하는 능력이다.[27] ἀνδρεία|안드레이아grc는 ἀνήρ(성인 남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 '남자다움'으로 번역될 수도 있다. 용기는 안드레아, 비르투스, 정신, 심장, 기개, 투모스, 끈기, 투지, 결단력, 대담함, 용맹, 강인함, 자기 주장, 프레임, 위엄, 결의 등으로 정의되기도 한다.

행동이 필요할 때 자신 안의 두려움을 극복하는 능력으로 정의할 수 있다. 여기에는 군사적 자신감, 전쟁에 대한 깊은 이해, 그리고 어려움에 직면하여 흔들리지 않는 믿음을 유지하는 것이 포함된다. 두려움을 극복하고 지혜에 복종하며 죽음을 대담하게 맞이하기 위한 자기 훈련 또한 필요하다. 용기에는 어려운 상황에서 건전한 판단력을 유지하고, 적대감을 물리치고, 덕을 옹호하며, 무서운(또는 고무적인) 논쟁과 사건에 직면하여 침착함을 유지하며, 낙담하지 않는 것이 포함된다. 이는 일상생활에서 법치주의를 폄하하는 것이 아니라, 그 중요성을 소중히 여기는 것을 반영한다.

많은 교회와 예술 작품에서 용기는 갑옷, 곤봉, 사자, 손바닥, 탑, 멍에, 깨진 기둥 등의 상징적인 항목으로 묘사된다.[27]

주목할만한 상으로는 브리트니 공작, 프랜시스 2세의 무덤과 존 호섬의 무덤이 있다. 이는 또한 에절 성의 정원에도 묘사되었다.

밤베르크 대성당 교황 클레멘스 2세의 무덤에 묘사된 추덕
유스티티아 (정의)포르티투도 (용기)프루덴티아 (신중)템페란티아 (절제)



3. 4. 절제

절제(σωφροσύνη|소프로시네grc; temperantiala)는 규제, 자제, 자숙, 재량 및 욕구 조절을 의미한다. σωφροσύνηgrc는 건전한 정신으로 번역될 수도 있다.[22] 플라톤은 절제를 가장 중요한 덕목으로 여겼다.[22] σωφροσύνηgrc는 종종 음주와 "적절한 양을 아는 것"을 언급하여 호전성을 피하는 데 사용되었다.

절제는 욕망과 감각적 쾌락을 개인에게 관례적인 범위 내에서 조절하는 능력으로, 이미 영혼에게 친숙한 경험에만 맞춰진다. 여기에는 조화로운 균형을 이루고 전반적인 쾌락과 고통에 대해 절제된 통제를 행사하여 정상 범위 내로 유지하는 것이 포함된다. 또한 절제는 영혼의 지배와 피지배 측면 사이의 조화로운 관계와 균형 잡힌 규칙을 키우는 것을 포함한다. 그것은 자연스러운 자립 상태를 유지하고 영혼이 필요로 할 때 적절한 규율을 행사하는 것을 의미한다. 영혼 내의 합리적인 합의는 무엇이 존경받을 만하고 무엇이 경멸받을 만한지에 대해 필수적이다. 이 접근 방식은 한 사람의 선택이 양극단 사이를 오갈 때 신중한 주의를 기울이는 것을 포함한다.

절제는 종종 여성 우화상으로 묘사되며 장례식 조각품으로 인기있는 주제였다. 이 인물의 속성과 이름은 지역 전통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많은 교회와 예술 작품에서 절제는 다음과 같은 상징적인 항목으로 묘사된다:

  • 바퀴, 굴레와 고삐, 야채와 생선, 잔, 두 주전자 속 물과 포도주


주목할 만한 상으로는 브리트니 공작, 프랜시스 2세의 무덤과 존 호섬의 무덤이 있다. 이는 또한 에절 성의 정원에서 묘사되었다.

밤베르크 대성당 교황 클레멘스 2세의 무덤에 묘사된 추덕
템페란티아 (절제)



라로셸 시청 외관에는 절제의 우화상이 있다.

4. 우화

추덕은 종종 여성의 모습으로 우화적으로 묘사되어 예술 작품에 표현되었다. 특히 장례식 조각품의 주제로 인기가 많았다. 이러한 추덕을 묘사한 조각상들의 속성과 이름은 지역 전통에 따라 다를 수 있다.[3]

많은 교회와 예술 작품에서 추덕은 다음과 같은 상징적인 물건과 함께 묘사된다.[1]


  • '''정의''' - 칼, 저울, 왕관[1]
  • '''절제''' - 바퀴, 굴레와 고삐, 채소와 생선, 잔, 두 주전자에 담긴 물과 포도주[1]
  • '''용기''' - 갑옷, 곤봉, 사자, 종려나무, 탑, 멍에, 깨진 기둥[1]
  • '''신중''' - 책, 두루마리, 거울 (때때로 뱀의 공격을 받음)[1]


브리트니 공작 프란시스 2세의 무덤과 존 호섬의 무덤에 추덕을 묘사한 조각상이 있다.[2] 에절 성의 정원에도 추덕이 묘사되어 있다.[2]

밤베르크 대성당 교황 클레멘스 2세의 무덤에 묘사된 추덕[5]
유스티티아 (정의)포르티투도 (용기)프루덴티아 (신중)템페란티아 (절제)



참조

[1] etymonline Cardinal
[2] 웹사이트 What is Virtue and What are the Four Cardinal Virtues? https://catholicstra[...]
[3] 서적 Summa Theologica
[4] 웹사이트 Cardinal Virtues of Plato, Augustine and Confucius http://www.theplaton[...]
[5] 서적 The Republic of Plato: with an English translation by Paul Shorey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William Heinemann Ltd. 1937
[6] 서적 Beyond Literary Theory: Literature as a Search for the Meaning of Human Destin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America
[7] 웹사이트 Rhetoric Book I - Chapter 9 https://kairos.techn[...]
[8] 웹사이트 Philo: Works of Philo Judaeus https://ccel.org/cce[...] 2022-12-20
[9] 웹사이트 de Inventione II https://thelatinlibr[...]
[10] 서적 Seneca. La «Consolatio ad Helviam matrem» con un'antologia di testi Carocci 2004
[11] 서적 Meditations Penguin Classics 1976
[12] 서적 Works of Plato https://archive.org/[...] Henry G. Bohn
[13] 서적 The Expositor's Bible: The Pastoral Epistles https://books.google[...] Hodder & Stoughton 1888
[14] 서적 Catholic Moral Theology in the United States: A History https://books.google[...] Georgetown University Press
[15] 서적 Christian Love https://books.google[...] Georgetown University Press
[16] 서적 Dante: The Divine Comedy Vol. II: Purgatory Penguin Books 1981
[17] 서적 The Cardinal Virtues in the Middle Ages: A Study in Moral Thought from the Fourth to the Four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Brill 2011
[18] 서적 The Cardinal Virtues in the Middle Ages: A Study in Moral Thought from the Fourth to the Four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Brill
[19] 서적 Paul and Virtue Ethics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0
[20] 웹사이트 四徳とは https://kotobank.jp/[...]
[21] 웹사이트 四元徳とは https://kotobank.jp/[...]
[22] 웹사이트 枢要徳とは https://kotobank.jp/[...]
[23] 서적 국가 (대화편)
[24] 서적 프로타고라스 (대화편)
[25] 서적 고르기아스 (대화편)
[26] 서적 Summa Theologica
[27] 웹사이트 Cardinal Virtues of Plato, Augustine and Confucius http://www.theplat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