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추오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춘추오패는 춘추 시대에 주(周) 왕조의 권위가 약해진 틈을 타 제후국들을 이끌었던 다섯 명의 패자를 일컫는 말이다. 춘추오패에 대한 명확한 정설은 없으며, 사마천의 《사기》, 《순자》 등 여러 문헌에서 제 환공, 진 문공, 초 장왕, 오왕 합려, 월왕 구천 등을 오패로 언급한다. 춘추오패는 춘추 시대의 국가 간 관계와 권력 구도를 보여주는 중요한 개념으로, 각 문헌마다 제시하는 인물에 차이가 있으며, 제 환공과 진 문공은 널리 인정받는 오패로 여겨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춘추오패 - 제 환공
제 환공은 춘추 시대 제나라의 제후이자 춘추오패의 첫 번째 패자로, 관중을 등용하여 제나라를 강성하게 만들고 초나라의 남진을 저지하는 등 춘추 시대 초반 질서 확립에 기여했으나, 관중 사후 정치적 혼란과 후계자 다툼으로 비참한 최후를 맞이하여 복합적인 평가를 받는다. - 춘추오패 - 진 문공
진 문공은 춘추 시대 진나라의 군주로, 여희의 난으로 망명 생활을 거쳐 즉위 후 주나라 왕실을 안정시키고 초나라와의 전투에서 승리하여 패권을 확립했으며, 군사 및 정치 개혁을 통해 진나라의 국력을 강화했다. - 패권 - 패권주의
패권주의는 특정 국가나 세력이 힘을 이용하여 다른 국가들을 지배하고 세계 질서를 자기중심적으로 재편하려는 시도로, 역사적으로 강대국들이 추구해 왔으며 국제 관계의 갈등과 불안정을 야기하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고, 극복을 위한 다양한 시도가 존재한다. - 패권 - 패자
패(覇)는 주 왕실을 지켜낸 제후에게 부여된 칭호로, 춘추 시대에는 제 환공이 최초의 패주로 칭해졌으며 춘추오패 외에도 준패자가 존재하고 왕도와 대비되는 패도로 규정되었다. - 춘추 시대 - 와신상담
와신상담은 오나라와 월나라의 대립에서 유래하여 복수를 위해 고난을 감내하며 노력하는 것을 비유하는 고사성어이다. - 춘추 시대 - 소 (기성)
소(蘇)씨는 중국 성씨로, 주나라 시대 소분생을 시조로 하며 춘추시대 자퇴의 난과 온나라 멸망과 관련된 사건이 있었다.
춘추오패 | |
---|---|
개요 | |
![]() | |
춘추오패 | |
정의 | 춘추 시대의 패자로, 시대에 따라 지칭하는 인물이 다르다. |
존왕양이 | 존왕양이를 내세워 중원을 안정시키고 이민족의 침입을 막았다. |
주요 인물 | |
제 환공 | 춘추오패의 첫 번째 인물로, 관중을 등용하여 제나라를 강대국으로 만들었다. |
송 양공 | 인의를 숭상했으나, 시대의 흐름에 맞지 않아 실패했다. |
진 문공 | 퇴피삼사와 성복 전투 승리로 명성을 떨쳤다. |
진 목공 | 서융을 정벌하고 진나라의 패업을 이루었다. |
초 장왕 | 장강 유역을 장악하고 중원에 진출하여 패권을 다투었다. |
기타 | 월왕 구천 오왕 합려 |
평가 | |
긍정적 평가 | 중원 질서 유지 이민족 방어 문화 보존 |
부정적 평가 | 패권 다툼으로 인한 혼란 전쟁의 빈번한 발생 국력 소모 |
논쟁 | |
오패의 선정 기준 | 시대, 학자마다 오패를 선정하는 기준이 다르다. |
오패의 공적 | 오패의 공적에 대한 다양한 평가가 존재한다. |
2. 용어의 사용
춘추 시대에 '패(霸)'라는 용어는 주로 특정 국가의 패권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 예를 들어, 진나라와 초나라가 주나라에 대한 패권을 다투는 것을 언급할 수 있다. 그러나 역사 기록에서는 개별 통치자, 즉 자신의 국가를 처음으로 지배적인 위치로 이끈 통치자들과 관련되어 사용되었다. 춘추 시대 동안 각 패자의 통치는 자국 권력의 정점에 해당되는 경향이 있었다.
동주 시대의 약세 속에서 패권(覇權)의 개념이 등장하였다. 이전 시대인 서주 시대 역시 봉건제였지만, 중앙 정부는 대부분 제후들의 복종을 받고 중앙군을 유지할 만큼 강력했다. 주 유왕의 죽음과 기원전 771년 주나라 수도의 함락은 중앙 조정의 입지를 유지하기 어렵게 만들었고, 결국 주변 국가의 보호에 의존하게 되었다.[5]
춘추오패는 춘추시대에 패권을 장악했던 다섯 제후를 의미하지만, 그 명단에 대해서는 명확한 정설이 없다. 여러 문헌에서 다양한 인물들이 오패로 거론되고 있다.
3. 패자 시스템
패권자의 개념은 춘추 시대의 국가 간 관계에서 중요했는데, 패권자는 명목상 전체 시스템의 안정을 보장하는 책임을 맡았고, 종종 조공을 대가로 안전이 어느 정도 보장되는 소규모 국가 연맹을 이끌었다.[5]
4. 춘추오패 목록
대표적인 문헌별 오패는 다음과 같다.
"오패(五覇)"라는 말은 『맹자』에서 유래했지만, 맹자는 제나라 환공 외에 구체적인 이름을 언급하지 않아 문헌마다 오패에 대한 기록이 다르다.
제나라 환공과 진나라 문공은 대부분의 문헌에서 오패로 인정받아 춘추오패의 대표로 '''제환진문'''이라고 불린다.
4. 1. 사마천의 사기
사마천의 《사기》에서는 다음 다섯 명을 오패로 꼽는다.[3][4][5][6][7]
패자 | 『사기색은』 | 『순자』왕패 | 『백호통』호편 | 『사자강덕론』 | 『한서』주 | 전조망 | 『사통』 |
---|---|---|---|---|---|---|---|
정나라 장공 | × | × | × | × | × | × | ○ |
제나라 환공 | ○ | ○ | ○ | ○ | ○ | ○ | ○ |
진나라 목공 | ○ | × | ○ | ○ | ○ | × | ○ |
송나라 양공 | ○ | × | × | × | ○ | × | × |
진나라 문공 | ○ | ○ | ○ | ○ | ○ | ○ | ○ |
진나라 양공 | × | × | × | × | × | ○ | × |
진나라 경공 | × | × | × | × | × | ○ | × |
진나라 도공 | × | × | × | × | × | ○ | × |
초나라 장왕 | ○ | ○ | ○ | ○ | × | × | ○ |
오나라 왕 합려 | × | ○ | ○ | × | × | × | × |
오나라 왕 부차 | × | × | × | × | ○ | × | × |
월나라 왕 구천 | × | ○ | × | ○ | × | × | × |
4. 2. 순자
《순자》에서는 다음 다섯 명을 오패로 꼽는다.[3][4][5][6][7]패자 | 사기색은 | 순자왕패 | 백호통호편 | 사자강덕론 | 한서주 | 전조망 | 사통 |
---|---|---|---|---|---|---|---|
정나라 장공 | × | × | × | × | × | × | ○ |
제나라 환공 | ○ | ○ | ○ | ○ | ○ | ○ | ○ |
진나라 목공 | ○ | × | ○ | ○ | ○ | × | ○ |
송나라 양공 | ○ | × | × | × | ○ | × | × |
진나라 문공 | ○ | ○ | ○ | ○ | ○ | ○ | ○ |
진나라 양공 | × | × | × | × | × | ○ | × |
진나라 경공 | × | × | × | × | × | ○ | × |
진나라 도공 | × | × | × | × | × | ○ | × |
초나라 장왕 | ○ | ○ | ○ | ○ | × | × | ○ |
오나라 왕 합려 | × | ○ | ○ | × | × | × | × |
오나라 왕 부차 | × | × | × | × | ○ | × | × |
월나라 왕 구천 | × | ○ | × | ○ | × | × | × |
4. 3. 기타 문헌
《사통》, 《四子講德論|사자강덕론중국어》, 《백호통》, 《한서》 등 다양한 문헌에서 각기 다른 오패 명단을 제시하고 있다. 정나라 장공과 오나라 왕 부차 역시 일부 문헌에서 오패로 언급된다.[9][10]각 문헌에 따른 오패 목록은 다음과 같다.
패자 | 사기색은 | 순자 왕패 | 백호통 호편 | 四子講德論|사자강덕론중국어 | 한서 주 | 전조망 | 사통 |
---|---|---|---|---|---|---|---|
정나라 장공 | × | × | × | × | × | × | ○ |
제나라 환공 | ○ | ○ | ○ | ○ | ○ | ○ | ○ |
진나라 목공 | ○ | × | ○ | ○ | ○ | × | ○ |
송나라 양공 | ○ | × | × | × | ○ | × | × |
진나라 문공 | ○ | ○ | ○ | ○ | ○ | ○ | ○ |
진나라 양공 | × | × | × | × | × | ○ | × |
진나라 경공 | × | × | × | × | × | ○ | × |
진나라 도공 | × | × | × | × | × | ○ | × |
초나라 장왕 | ○ | ○ | ○ | ○ | × | × | ○ |
오나라 왕 합려 | × | ○ | ○ | × | × | × | × |
오나라 왕 부차 | × | × | × | × | ○ | × | × |
월나라 왕 구천 | × | ○ | × | ○ | × | × | × |
5. 주요 패자
여러 문헌에서 공통적으로 오패로 자주 언급되는 주요 패자는 다음과 같다.
- '''제 환공''': 춘추시대 최초의 패자이다. 관중을 등용하여 부국강병을 이루고 제후들을 규합했다.
- '''진 문공''': 19년간의 망명 생활 끝에 귀국하여 군주가 된 후, 뛰어난 신하들과 함께 국력을 키워 패자가 되었다.
- '''초 장왕''': 진나라 군대를 격파하고 명분을 중시한 왕으로, 신하의 간언을 받아들여 멸망시킨 나라를 다시 독립시켜 주기도 했다.
- '''오왕 합려''': 오자서를 등용하여 초나라를 공격하고, 월나라와의 전쟁에서 승리하며 패자의 반열에 올랐다.
- '''월왕 구천''': 오나라에 패배하여 항복하였으나, 와신상담 끝에 복수에 성공하고 춘추시대 최후의 패자가 되었다.
이 외에도 진나라 목공, 송나라 양공, 오나라 왕 부차 등이 오패로 언급되기도 한다. 누가 오패에 포함되는지에 대해서는 문헌마다 차이가 있다.
다음은 각 문헌에서 언급되는 춘추오패의 조합을 나타낸 표이다.
패자 | 『사기색은』 | 『순자』 왕패 | 『백호통』 호편 | 『사자강덕론』 | 『한서』 주 | 전조망 | 『사통』 |
---|---|---|---|---|---|---|---|
정나라 장공 | × | × | × | × | × | × | ○ |
제나라 환공 | ○ | ○ | ○ | ○ | ○ | ○ | ○ |
진나라 목공 | ○ | × | ○ | ○ | ○ | × | ○ |
송나라 양공 | ○ | × | × | × | ○ | × | × |
진나라 문공 | ○ | ○ | ○ | ○ | ○ | ○ | ○ |
진나라 양공 | × | × | × | × | × | ○ | × |
진나라 경공 | × | × | × | × | × | ○ | × |
진나라 도공 | × | × | × | × | × | ○ | × |
초나라 장왕 | ○ | ○ | ○ | ○ | × | × | ○ |
오나라 왕 합려 | × | ○ | ○ | × | × | × | × |
오나라 왕 부차 | × | × | × | × | ○ | × | × |
월나라 왕 구천 | × | ○ | × | ○ | × | × | × |
5. 1. 제 환공
제 환공(? ~ 기원전 643년, 재위: 기원전 685년 ~ 기원전 643년)의 이름은 소백(小白)이다. 전설에 따르면 제나라는 주나라를 도와 은나라를 멸망시키는 데 공을 세운 태공망 여상이 문왕으로부터 산둥성 임치에 영지를 받아 세운 나라이다. 기원전 7세기에 환공이 왕이 되자 제나라는 부강하게 되었다. 환공은 이복형 규(糾)와 싸워 즉위하고 관중을 재상으로 등용했다. 관중의 헌책에 의해 어업·제염업·양잠업 등의 경제 정책을 장려하고 군대를 정비하여 기원전 679년 제후들과 견(甄)에서 회맹하여 춘추시대 최초의 패자가 되었다. 기원전 651년 규구(葵丘)의 회에서 패업을 자랑했지만, 관중 사후에 3총(三寵)에게 권력을 빼앗기고 사후 내란에 의해 두 달 동안이나 시체를 매장하지 못했다고 한다.5. 2. 진 문공
진 문공(? ~ 기원전 628년, 재위: 기원전 636년 ~ 기원전 628년)은 춘추시대 진(晉)의 제24대 군주로, 이름은 중이(重耳)이다. 아버지 헌공에게 추방당하여 19년 동안 열국을 유랑하다가, 의형(義兄)인 진(秦)나라 목공의 도움으로 62세에 고국으로 돌아와 군주가 되었다. 현신(賢臣)들을 등용하고, 주(周)나라 양왕을 도와 왕위를 되찾게 하였으며, 송나라의 요청으로 초나라 군대를 격파하였다(기원전 632년). 제나라 환공과 함께 제후의 패자(覇者)로 불렸으나, 패자가 된 지 3년 만에 사망하였다. 유랑 시절 자신을 박대했던 정(鄭), 위(衛), 조(曺)나라에 복수하는 등 은원 관계가 철저하였다.5. 3. 초 장왕
초 장왕(? ~ 기원전 591년, 재위: 기원전 614년 ~ 기원전 591년)은 이름이 려(侶)이며, 초나라 목왕의 아들이다. 진나라 군대를 격파하여 대승을 거두었고, 역대 초나라 왕 중 명분을 중시했던 첫 군주였다. 한때 진(陳)나라를 멸망시켰으나 명신 신숙시의 간언을 듣고 독립시켜 주었다.5. 4. 오왕 합려
오나라 왕 합려(재위 기원전 515년 - 기원전 496년)는 초나라의 망명 신하 오자서를 기용하여 기원전 506년 초나라의 서울 영(郢)을 함락시켰다. 월나라 윤상의 침입으로 오나라와 월나라의 다툼이 시작되었다. 합려는 윤상의 사후 월나라를 공격했지만, 월나라 왕 구천에 의해 참패당하고 그 아들 부차에게 복수를 서약시켰다. 『순자』 왕패 편에서는 춘추오패에 진나라 목공, 송나라 양공이 없고, 그 대신 오나라 왕 합려와 월나라 왕 구천을 포함시키고 있다.[1]
5. 5. 월왕 구천
월나라 왕 구천(? ~ 기원전 465년, 재위: 기원전 496년 ~ 기원전 465년)은 춘추시대 최후의 패자이다. 윤상의 아들이다. 오왕 합려는 월나라에 침입했지만 구천은 그를 격파했다. 오왕 부차는 와신(臥薪)하여 2년 후 회계에서 구천을 항복시켰다. 구천은 명신 범려와 상담(嘗膽)하고 기원전 477년 부차를 고소에서 포위하여 자살하게 하였다. 구천은 북상하여 산동의 서주에서 제후들을 모이게 하여 패자가 되었다. 오나라와 월나라의 싸움은 이 고사를 말한다.[1]
6. 춘추시대 외의 오패
춘추좌씨전 성공 2년의 "오백지패야(五伯之覇也)"에 대해 두예는 "하백 곤오(夏伯昆吾), 상백 대팽(商伯大彭)·저위(豕韋), 주백 제환(周伯齊桓)·진문(晉文)"이라고 주석을 달았다. 이 오패는 백호통과 풍속통에도 보인다.[1]
참조
[1]
논문
Baxter–Sagart Old Chinese Reconstruction
https://web.archive.[...]
2011
[2]
논문
Baxter–Sagart Old Chinese Reconstruction
https://web.archive.[...]
2011
[3]
문서
Duke Zhuang - 15th year - zhuan
https://zh.wikisourc[...]
Zuozhuan
[4]
문서
Basic Annals of Zhou
https://ctext.org/sh[...]
Shiji
[5]
문서
Duke Xi - 28th year - zhuan
https://zh.wikisourc[...]
Zuo zhuan
[6]
문서
Basic Annals of Zhou
https://ctext.org/sh[...]
Shiji
[7]
서적
Zuo tradition: Commentary on the Spring and Autumn Annals
2016
[8]
문서
Duke Cheng's 18th year - zhuan
https://zh.wikisourc[...]
Chun Qiu Zuo Zhuan
[9]
서적
The Confucian-Legalist State: A New Theory of Chinese History
https://books.google[...]
2015
[10]
문서
commentary on Book of Han, vol. 14
http://www.guoxue123[...]
[11]
문서
풍속통의
[12]
문서
『史記』十二諸侯年表
[13]
문서
『荀子』王覇
[14]
문서
『漢書』諸侯王表
[15]
서적
鮚埼亭集外編
https://archive.org/[...]
[16]
문서
『白虎通』号
[17]
문서
『文選』巻51・王褒「四子講徳論」
[18]
문서
代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