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펠마이스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펠마이스터(Kapellmeister)는 독일어로 '예배의 장'이라는 뜻으로, 원래는 성가대를 관장하는 사람을 지칭했으나, 이후 왕과 귀족의 음악 총괄 직책을 의미하게 되었다. 현재는 독일에서 음악 감독을 뜻하며, 다른 유럽 국가에서도 유사한 직책으로 사용되었다. 15세기부터 19세기까지 유럽에서 악장은 지휘자, 작곡가, 편곡자, 그리고 조직상의 임무까지 담당하는 창조적인 통솔자였다. 1900년경 지휘자와 작곡가가 분리된 이후에도, 오페라 극장에서는 카펠마이스터가 제1 지휘자를 지칭하는 직함으로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의 음악사 - 독일 오페라
독일 오페라는 1598년 '다프네'에서 시작되어 이탈리아 오페라의 영향을 받으며 발전, 징슈필과 낭만주의 오페라를 거쳐 바그너의 '총체예술' 개념에 이르기까지 독일어 오페라 역사와 고유 양식을 포괄하는 용어이다. - 독일의 음악사 - 만하임 악파
만하임 악파는 18세기 중엽 독일 만하임에서 활동하며 관악기 처리, 크레센도 기법, 소나타 형식 발전에 기여하고 클라리넷을 도입하는 등 고전 교향곡 발전에 영향을 미친 음악 유파이다. - 음악 관련 직업 - 음악가
음악가는 작곡, 편곡, 연주, 지휘 등 음악 관련 활동을 하는 사람을 통칭하며, 작곡가, 연주자, 가수, 지휘자, 음반 프로듀서 등으로 분류된다. - 음악 관련 직업 - 작사가
작사가는 노래의 멜로디와 분위기에 맞춰 가사를 창작하여 메시지와 감정을 전달하는 사람으로, 저작권료로 수입을 얻으며 작곡가와 협업하여 다양한 장르에서 활동한다. - 독일어 낱말 - 바이러스
바이러스는 DNA 또는 RNA를 유전 물질로 사용하고 단백질 껍질로 둘러싸인 비세포성 감염체이며, 숙주 세포 내에서만 증식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독일어 낱말 - 존더베크
존더베크 이론은 독일 근대화가 다른 유럽 국가들과 달리 늦은 산업화, 반민주적 엘리트, 바이마르 공화국 불안정, 나치즘 등장 등의 특수성을 보이며 전개되었다는 이론으로, 초기에는 긍정적으로 평가되었으나 나치즘 이후 부정적 의미를 갖게 되었고, 현재는 독일 역사 복잡성을 단순화한다는 비판과 유럽 근대화 과정에서 독일 경험의 특수성에 대한 반박이 제기되고 있다.
카펠마이스터 | |
---|---|
카펠마이스터 | |
기본 정보 | |
분야 | 음악 |
직업 | 음악가, 지휘자 |
역할 | 오케스트라, 합창단 등의 앙상블 음악 감독 및 지휘 |
어원 | |
독일어 | Kapellmeister |
Kapelle | (악단, 예배당) |
Meister | (장인, 스승) |
역사 | |
기원 | 중세 시대 교회 음악 감독에서 유래 |
발전 | 17~18세기 궁정 악장으로 발전 |
역할 변화 | 19세기 이후 지휘자의 역할로 통합 |
직무 | |
주요 업무 | 음악 앙상블의 훈련 및 지휘 오페라, 발레 공연의 음악적 준비 및 감독 새로운 음악 작품의 창작 또는 편곡 |
추가 업무 | 음악가 채용 및 관리 예산 관리 공연 기획 |
관련 용어 | |
다른 용어 | 음악 감독, 지휘자 |
참고 | 일본 해군에서는 군악대의 장을 '악장'이라고 불렀다. |
2. 역사와 어원
카펠마이스터는 원래 성가대를 관리하는 사람을 부르는 말이었으나, 이후 왕과 귀족에게 소속되어 음악을 총괄하는 직책으로 의미가 확장되었다. 15세기부터 19세기까지 유럽에서 악장은 지휘자, 작곡가, 편곡자 역할을 모두 수행했으며, 조직 관리까지 담당하는 등 음악 단체의 창조적인 통솔자였다. 궁정 악장(Hofkapellmeisterde)으로 하이든, 살리에리 등이 활동했다. 악장은 당시 궁정이나 시에서 수여하는 명예 칭호이기도 했다.
18세기 중반부터 각 극장에 악장이 배치되어 연습과 공연을 진행하고, 새로운 작품을 만드는 데 힘썼다. 19세기 중반 아돌프 뮐러 1세는 600개 이상의 무대 작품을 위한 신곡을 작곡했고, 프란츠 폰 주페는 오페라 연습과 더불어 서커스 음악, 오페레타 등을 작곡했다. 현악기를 포함하는 악단의 경우 악장이 카펠마이스터를 겸하거나 대리하기도 했는데, 요한 슈트라우스 1세와 요한 슈트라우스 2세는 바이올린을 연주하며 악단을 이끌고 신곡을 작곡했다.
1900년경 지휘자와 작곡가의 역할이 분리되기 시작했다. 구스타프 말러는 지휘와 작곡을 겸했지만, 생전에 작곡가로서 제대로 평가받지 못했다. 현대에도 여러 명의 지휘자를 둔 오페라 극장에서는 카펠마이스터라는 직업명이 사용된다. 음악 감독 다음 지휘자로 제1 카펠마이스터가 배치되지만, 게반트하우스 오케스트라의 수석 지휘자는 예외적으로 게반트하우스카펠마이스터(Gewandhauskapellmeister)라고 불린다.
2. 1. 어원
카펠마이스터(Kapellmeisterde)는 독일어로 ‘예배’(Kapellede)의 ‘장(長)’(Meisterde)이란 뜻으로, 원래는 성가대를 관장하는 사람을 부르는 말이었다. 이후 왕과 귀족들에게 소속되어 음악을 총괄하는 직책을 부르는 말이 되었다. 현재 독일에서는 음악 감독을 부르는 말로 쓰인다.[1]2. 2. 역사적 용법 (1500년 ~ 1800년)
카펠마이스터(Kapellmeisterde)는 1500년부터 1800년경까지 독일어권 국가에서 군주나 귀족에게 고용되어 그들의 음악 활동을 총괄하던 직책이었다. 이 직책은 고위직으로, 다른 음악가들을 감독하는 역할을 수행했다.[3]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는 1717년부터 1723년까지 안할트-쾨텐의 레오폴트 공의 카펠마이스터로 일했으며,[3] 요제프 하이든은 합스부르크 군주국의 에스테르하지 가문을 위해 수년간 카펠마이스터로 일했다.[3]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 또한 하노버의 선제후였던 게오르크(후에 조지 1세가 됨)의 카펠마이스터였다.[3]카펠마이스터는 교회의 음악 감독 역할도 겸했다. 빈 슈테판 대성당의 카펠마이스터였던 게오르크 로이터의 합창단에는 요제프 하이든과 미하엘 하이든이 있었다.[3]
카펠마이스터가 되는 것은 전문 음악가에게 성공의 상징이었다. 요제프 하이든의 아버지 마티아스 하이든은 아들이 카펠마이스터가 되는 것을 보게 되어 기뻐했다고 전해진다.[3] 18세기 배우이자 음악가였던 요아힘 다니엘 프라이슬러는 소프라노 알로이시아 베버(모차르트의 처제)의 공연을 보고, 모차르트가 카펠마이스터처럼 간주곡을 연주할 수 있을 정도로 그녀를 잘 가르쳤다고 칭찬했다.[3]
18세기 말, 많은 귀족들의 경제력이 쇠퇴하면서 카펠마이스터를 유지하는 것이 어려워졌고, 이는 카펠마이스터 직위의 감소로 이어졌다.[4] 1790년 안톤 1세 공작은 아버지 니콜라우스 1세의 뒤를 이어 음악 단체의 거의 모든 사람들을 해고했다.[4] 이러한 상황은 음악가들에게 어려운 시기였으며, 그들은 스스로 생계를 유지할 새로운 방법을 찾아야 했다.[4] 루트비히 판 베토벤은 카펠마이스터로 일한 적이 없지만, 귀족의 후원, 출판, 콘서트 수입 등으로 생계를 유지했다.[4]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는 1787년 오스트리아 황제 요제프 2세의 궁정에서 Kammercompositeurde(실내 작곡가) 직책을 받았지만, 궁정 음악 관련 권한은 주로 안토니오 살리에리가 행사했다.[5] 그러나 모차르트의 명성과 그가 다른 음악가들을 지휘하는 모습 때문에 "카펠마이스터"라는 용어는 존경의 의미로 사용되기도 했다.[5] 1791년 모차르트는 성 슈테판 대성당의 카펠마이스터 직에 지원하여 시의회로부터 임명받았으나, 그가 사망하면서 실제로 직책을 맡지는 못했다.[5]
유럽에서 악장은 원래 지휘자이자 작곡가, 편곡자였으며, 조직상의 임무도 담당했다. 15세기부터 19세기까지 각 음악 단체의 창조적인 책임자였다. 궁정 악장(Hofkapellmeisterde)에는 하이든이나 살리에리가 있었다. 악장은 이 당시 공적으로 궁정 또는 시로부터 수여되는 명예 칭호이기도 했다.
2. 3. 19세기 이후의 변화
19세기 중반, 아돌프 뮐러 1세는 무대 작품을 위한 광범위한 신곡을 600개 이상 작곡했고, 프란츠 폰 주페는 오페라 연습을 시키는 한편, 서커스 음악을 쓰고 오페레타를 작곡했다. 현악기를 포함하는 악단의 경우, 악장이 카펠마이스터를 겸하거나 대리하는 경우도 많았다. 특히 무곡에서 일반적이었으며, 요한 슈트라우스 1세와 요한 슈트라우스 2세는 악단을 이끌고 바이올린을 연주하며 신곡을 썼다.1900년경에는 지휘자와 작곡가가 각각 분리되었다. 구스타프 말러는 지휘와 작곡을 모두 했지만, 생전에 작곡가로서 정당한 평가를 받지 못했다.
여러 명의 지휘자를 거느린 가극에서는 카펠마이스터(Kapellmeister)가 지금도 직업명으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음악 감독 다음의 지휘자로 제1 카펠마이스터가 배치되지만, 게반트하우스 오케스트라의 수석 지휘자가 게반트하우스카펠마이스터(Gewandhauskapellmeister)라고 불리는 예도 있다.
2. 4. 모차르트의 경우
모차르트는 엄밀한 의미에서 카펠마이스터는 아니었다. 1787년, 오스트리아 황제 요제프 2세의 궁정에서 Kammercompositeurde(실내 작곡가)라는 보수를 받는 직책을 얻었지만, 궁정의 음악 관련 권한은 주로 안토니오 살리에리가 행사했다. 비평, 일기, 광고 등에서 모차르트는 일반적으로 (Herr) Kapellmeister Mozartde(모차르트 카펠마이스터)라고 불렸다. 모차르트의 명성과 그가 다른 음악가들을 지휘하며 자주 대중 앞에 모습을 드러낸 사실이 "카펠마이스터"라는 용어를 존경의 의미로 사용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5]1791년 4월, 모차르트는 빈 슈테판 대성당의 카펠마이스터 직에 지원했고, 당시 병을 앓고 있던 레오폴트 호프만이 사망하면 이 직책을 맡도록 시의회에 의해 지정되었다. 그러나 호프만이 1793년에 사망하기 전인 1791년 12월에 모차르트가 먼저 사망하면서 이 일은 무산되었다.[6]
2. 5. 현대적 용법
현대 독일어에서 "카펠마이스터"라는 용어는 Dirigentde(지휘자)보다 덜 일반적이다. 오늘날 이 용어는 오케스트라 또는 합창단의 지휘자 또는 수석 지휘자를 지칭한다. 이는 지휘뿐만 아니라 오케스트라 또는 합창단 정책(예: 레퍼토리 선정, 콘서트 일정 및 객원 지휘자 선정)에도 관여함을 시사한다. 군사 환경에서는 군악대장을 지칭한다.[13] 라이프치히 게반트하우스 오케스트라의 음악 감독은 전통적으로 구식 명칭인 Gewandhauskapellmeisterde를 사용한다.[14][15]다른 독일 오페라 하우스에서 이 용어는 일반적으로 Generalmusikdirektorde(총 음악 감독, 보통 수석 지휘자)에게 보고하는 부지휘자를 지칭한다. 오페라단은 Erste Kapellmeisterde(제1 카펠마이스터), Zweiter Kapellmeisterde(제2 카펠마이스터) 등으로 계급이 매겨진 여러 명의 카펠마이스터를 둘 수 있다.
지휘자 크리스티안 틸레만은 현대적 용법에서 ''Dirigent''과 ''Kapellmeister''의 차이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카펠마이스터"가 일상적인 느낌이나 매력을 투사하지 못하는 것으로 인식되어, 창백하고 유순하게 박자를 맞추는 인물, 악보대에서 음악적 교통을 지휘하는 근무 중인 경찰관,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라고 묘사한다. 그러나 틸레만은 "카펠마이스터"라는 용어는 작품에 대한 지식, 훌륭한 능력, 음악에 대한 헌신과 같은 미덕을 함축하기에 스스로 "카펠마이스터"로 불리기를 선호한다고 한다.
"카펠마이스터 전통"이라는 용어는 오토 클렘페러, 클레멘스 크라우스, 에리히 클라이버와 같은 역사적으로 중요한 지휘자들이 국제적인 명성을 얻기 위한 과정에서 이러한 자질을 설명하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된다.[16]
유럽에서의 악장은 원래 지휘자로서뿐만 아니라, 그 악단(옛날에는 궁정이나 시)의 작곡가나 편곡자였으며, 조직상의 임무도 담당했다. 15세기부터 19세기에 걸쳐, 각 음악 단체에서의 창조적인 통솔자였다. 궁정 악장(Hofkapellmeisterde)에는 하이든이나 살리에리가 있었다. 악장은 이 당시, 공적으로 궁정 또는 시로부터 수여되는 명예 칭호가 되기도 했다.
18세기 중반부터는, 각 극장에 악장이 배치되었다. 연습을 시키고, 공연을 하는 한편, 연목의 끊임없는 갱신을 위해 노력했다. 19세기 중반, 아돌프 뮐러 1세는, 무대 작품을 위한 광범위한 신곡을 600개 이상이나 썼고, 프란츠 폰 주페는, 고귀한 오페라의 연습을 시키는 일을 하는 곁에서, 서커스의 음악을 쓰고, 후에 오페레타를 작곡했다.
현악기를 포함하는 악단의 경우, 악장이 악장을 겸하거나 대리로 맡는 경우도 많았다. 이것은 특히 무곡에서 일반적이며, 요한 슈트라우스 1세와 요한 슈트라우스 2세(젊은 시절)는, 그들의 악단을 이끌고 바이올린을 밤새도록 연주하고, 낮에는 신곡을 썼다.
1900년경에는, 지휘자와 작곡가가 각각의 직종으로 분리되어 갔다. 구스타프 말러는, 전통에 따라 지휘도 작곡도 했던 음악가였지만, 생전에는 작곡가로서의 정당한 평가를 받았다고는 말하기 어렵다.
여러 명의 지휘자를 거느린 가극(오페라 극장)에서는, 카펠마이스터(Kapellmeister)는 지금도 직업명으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음악 감독 다음의 지휘자로서 제1 카펠마이스터가 배치되지만, 게반트하우스 오케스트라의 수석 지휘자가 전통적으로 Gewandhauskapellmeister (게반트하우스카펠마이스터)라고 불리는 등의 예도 있다.
3. 다른 국가에서의 유사 용어
다른 유럽 국가에도 유사한 직책이 존재했으며, 이에 상응하는 명칭으로 불렸다. 핀란드어에서 "kapellimestari"는 여전히 지휘자를 지칭하는 주요 단어이다.[11]
4. 카펠마이스터 직을 맡았던 작곡가
출생 연도 | 이름 | 활동 지역 및 고용주 |
---|---|---|
1500 | 아르놀트 폰 브루크 | 1527-1545: 페르디난트 1세 (비엔나) |
c. 1505 | 마테우스 르 마이스트르 | 1554-1568: 작센 선제후 (드레스덴) |
1517 | 안토니오 스칸델로 | 1568-: 작센 선제후 (드레스덴) |
1540년대 | 야코프 레그나르트 | 1585-c. 1596: 인스브루크 |
1571 | 미하엘 프레토리우스 | 1604-: 볼펜뷔텔 |
1585 | 하인리히 쉬츠 | 1619-: 작센 선제후 요한 게오르크 1세 |
1587 | 사무엘 샤이트 | 브란덴부르크 변경백 |
1644 | 하인리히 이그나츠 프란츠 비버 | 1684-: 잘츠부르크 |
1653 | 게오르크 무파트 | 1690-사망: 파사우 주교 |
1653 | 아고스티노 스테파니 | 1688-1698: 하노버 궁정 |
1677 이전 | 요한 카스파 페르디난트 피셔 | 최소 1695-: 바덴-바덴 변경백 루이 빌헬름 |
1677 | 요한 루드비히 바흐 | 마이닝겐 |
1681 | 게오르크 필리프 텔레만 | 1705-1721: 함부르크, 에르트만 2세, 프로미츠 백작 궁정 |
1683 | 요한 다비트 하이니헨 | 1717-사망: 작센 선제후 (드레스덴) |
1685 |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 1717-1723: 안할트-쾨텐 공 레오폴트 |
1685 |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 | 1710-1712: 하노버 선제후 게오르크 |
1685 | 도메니코 스카를라티 | 1715-1719: 프라스카티 대성당 (로마) |
1688 | 요한 프리드리히 파슈 | 1722-: 체르브스트 |
c. 1700 | 카를로 그루아 | 만하임 궁정 |
1704 | 카를 하인리히 그라운 | 1740-: 프리드리히 대왕 |
1711 | 주세페 본노 | 1750년대-1760년대: 작센-힐드부르크하우젠 공작 |
1711 | 자코모 마테오 이그나치오 치리 | 1759-: 포를리 대성당 |
1712 | 루트비히 판 베토벤 | 본 선제후 궁정 |
1714 | 크리스토프 빌리발트 글루크 | 1754-: 마리아 테레지아 (비엔나) |
1714 | 니콜로 요멜리 | 1753-1768: 뷔르템베르크 공작 카를 오이겐 (슈투트가르트) |
1724 | 조반니 바티스타 치리 | 포를리 대성당 |
1731 | 크리스티안 칸나비히 | 1774-: 만하임 궁정 오케스트라 |
1732 | 요제프 하이든 | 1757-1761: 모르친 백작, 1761-: 에스테르하지 가문 |
1736 | 요한 게오르크 알브레흐츠베르거 | 빈 슈테판 대성당 |
1737 | 미하엘 하이든 | 1760-1761: 그로스바르다인 |
1739 | 카를 디터스 폰 디터스도르프 | 1770-1795: 브레슬라우의 주교-공 |
1741 | 안드레아 루케시 | 1774-1794: 본 선제후 궁정 |
1750 | 안토니오 살리에리 | 1788-1824: 요제프 2세 |
1752 | 요한 프리드리히 라이하르트 | 베를린 오페라, 프리드리히 대왕 |
1756 | 요제프 마르틴 크라우스 | 구스타브 3세 (스톡홀름) |
1755 | 크리스티안 칼크브레너 | 1789: 프로이센 여왕, 1790-: 프로이센의 하인리히 왕자 (라인스베르크) |
1759 | 빌헬름 프리드리히 에른스트 바흐 | 1805-1811: 프로이센 여왕 |
1786 | 카를 마리아 폰 베버 | 1804-1807: 브레슬라우 극장, 1816-1826: 드레스덴 |
1813 | 리하르트 바그너 | 1843-1849: 작센의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투스 2세[12] |
1851 | 폴 바흐스 | 생-메리 교회 (파리) |
5. 한국에서의 악장
한국에서는 카펠마이스터라는 용어 대신 악장(樂長)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악장은 서양 관현악단에서 지휘자 다음으로 중요한 직책으로, 바이올린 연주자가 맡는다.
6. 일본 제국 해군
선행장을 1개 착용한 이등병을 나타내는 하사관 및 병의 속어였다. 3년 이상 근무하고도 일등병으로 진급하지 못하는 것은 인물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신병들에게는 두려움의 대상이었다. 이는 군악대의 진급이 늦은 것에 기인한다.[35]
참조
[1]
사전
Kapellmeister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2019-03-13
[2]
웹사이트
kapellmeister
https://web.archive.[...]
[3]
논문
[4]
문서
Haydn himself was retained in an essentially honorary role, but was free to pursue independent plans, his journeys to England; for details see [[Anton I, Prince Esterházy]].
[5]
논문
[6]
서적
A history of orchestral conducting: in theory and practice
Pendragon Press
[7]
서적
The Cello Suites: J. S. Bach, Pablo Casals, and the Search for a Baroque Masterpiece
https://books.google[...]
Grove Press
2012-01-15
[8]
서적
Johann Sebastian Bach: The Learned Musician
https://archive.org/[...]
W. W. Norton
[9]
서적
Bach: A Biography
Kessinger Publishing
2003-04
[10]
서적
Richard Wagner: His Life and Works
https://archive.org/[...]
J. B. Millet
[11]
문서
Collins German–English, English–German Dictionary
[12]
웹사이트
Richard Wagner's legacy in Dresden
https://www.dw.com/e[...]
Deutsche Welle
2013-06-27
[13]
문서
Collins German–English, English–German Dictionary
[14]
웹사이트
History – The three Gewandhauses
https://www.gewandha[...]
Leipzig Gewandhaus Orchestra
[15]
웹사이트
The Gewandhausorchester: from town band to institution of international renown
https://www.gewandha[...]
Leipzig Gewandhaus Orchestra
[16]
웹사이트
Otmar Suitner: Conductor who was the last surviving product of Germany's 'Kapellmeister' tradition
https://www.independ[...]
2010-02-19
[17]
문서
「海軍砲歩兵隊官等并俸給表」国立公文書館、請求番号:太00457100、件名番号:030、太政類典・第二編・明治四年~明治十年・第二百三十四巻・兵制三十三・会計二(第1画像目から第2画像目まで)
[18]
문서
「海軍武官官等表改定」国立公文書館、請求番号:太00431100、件名番号:035、太政類典・第二編・明治四年~明治十年・第二百九巻・兵制八・武官職制八
[19]
문서
「海軍文官官等表海兵部中楽隊等級改正・二条」国立公文書館、請求番号:太00431100、件名番号:031、太政類典・第二編・明治四年~明治十年・第二百九巻・兵制八・武官職制八
[20]
Wikiref
JACAR:A04017113000
[21]
Wikiref
JACAR:A04017113000
[22]
서적
五国対照兵語字書
参謀本部
1881-02
[23]
문서
「陸軍武官表・四条」国立公文書館、請求番号:太00424100、件名番号:015、太政類典・第二編・明治四年~明治十年・第二百二巻・兵制一・武官職制一(第8画像目から第9画像目まで)
[24]
문서
「従前ノ海軍機関総監中佐中尉及同等官并准士官下士ノ辞令書ヲ下付セサル者官等心得」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f.A15111148100、公文類聚・第十編・明治十九年・第十四巻・兵制三・陸海軍官制三(国立公文書館)
[25]
문서
「大正四年勅令第二百十六号海軍武官官階ノ件ヲ改正ス」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f.A13100411300、公文類聚・第四十四編・大正九年・第四巻・官職三・官制三(陸軍省・海軍省)(国立公文書館)
[26]
문서
「陸軍武官官等表改正・二条」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f.A15110464100、公文類聚・第七編・明治十六年・第十五巻・兵制一・兵制総・陸海軍官制一(国立公文書館)(第1画像目から第5画像目まで)
[27]
문서
「屯田兵大佐以下ヲ置キ軍楽長ノ官等ヲ改メ且屯田兵条例ヲ定ム」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f.A15111027700、公文類聚・第九編・明治十八年・第六巻・兵制・兵制総・陸海軍官制・庁衙及兵営・兵器馬匹及艦船・徴兵(国立公文書館)(第1画像目から第2画像目まで、第5画像目から第7画像目まで)
[28]
문서
「陸軍武官々等表ヲ改正ス」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f.A15111135200、公文類聚・第十編・明治十九年・第十二巻・兵制一・兵制総・陸海軍官制一(国立公文書館)
[29]
문서
「陸軍武官官等表〇文武判任官等級表中ヲ改正ス」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f.A15113268700、公文類聚・第二十三編・明治三十二年・第十三巻・官職六・官制六・官等俸給及給与一(内閣~陸軍省一)(国立公文書館)
[30]
문서
「海軍武官官階ヲ改正ス」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f.A15113143400、公文類聚・第二十一編・明治三十年・第十三巻・官職七・官制七・官等俸給及給与二(海軍省二~旅費)(国立公文書館)(第1画像目から第3画像目まで、第8画像目から第14画像目まで)
[31]
문서
「御署名原本・大正四年・勅令第二百十六号・海軍武官官階表改正」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f.A03021050200、御署名原本・大正四年・勅令第二百十六号・海軍武官官階表改正(国立公文書館)
[32]
문서
「陸軍武官官等表中ヲ改正ス」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f.A15113715600、公文類聚・第三十三編・明治四十二年・第六巻・官職五・官制五・官等俸給及給与(内閣~庁府県)(国立公文書館)
[33]
문서
「明治三十五年勅令第十一号陸軍武官官等表中ヲ改正ス」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f.A13100492700、公文類聚・第四十五編・大正十年・第十一巻・官職十・官制十(官等俸給給与~貴族院衆議院事務局)・旅費(国立公文書館)
[34]
문서
「明治三十五年勅令第十一号陸軍武官官等表ノ件ヲ改正シ〇昭和六年勅令第二百七十一号陸軍兵ノ兵科部、兵種及等級表ニ関スル件中ヲ改正ス・(官名改正)」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f.A14100567300、公文類聚・第六十一編・昭和十二年・第四十巻・官職三十八・官制三十八・官等俸給及給与附旅費(国立公文書館)(第1画像目から第10画像目まで)
[35]
서적
軍艦長門の生涯 上巻
新潮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