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토스 스미르나이오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인토스 스미르나이오스(Quintus Smyrnaeus)는 서기 4세기 후반에 활동한 것으로 추정되는 고대 그리스 서사시인이다. 그의 대표작인 『트로이아 전쟁기(Posthomerica)』는 호메로스의 『일리아스』가 끝난 후부터 트로이 전쟁의 종결까지를 다룬 14권의 서사시로, 현존하는 동시대 작품 중 가장 오래된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이 작품은 주로 트로이 전쟁의 후일담을 다루며, 아킬레우스의 죽음, 아마존 여왕 펜테실레이아의 활약, 트로이 목마의 건조 등 다양한 에피소드를 포함한다. 코인토스는 호메로스를 모방했지만, 시적 재능은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4세기 그리스 사람 - 파울루스 알렉산드리누스
파울루스 알렉산드리누스는 로마 제국 후기 알렉산드리아 출신의 점성술사로, 헬레니즘 점성술의 주요 개념을 다룬 《입문》을 저술하여 후대 점성술에 큰 영향을 미쳤다. - 4세기 그리스 사람 - 플라비아 율리아 헬레나 아우구스타
플라비아 율리아 헬레나 아우구스타는 로마 황제 콘스탄티우스 클로루스의 아내이자 콘스탄티누스 1세의 어머니이며, 기독교로 개종하여 성지 순례, 교회 건립, 유물 발견에 기여했고, 예수가 십자가에 못 박혔던 십자가를 발견한 인물이다. - 고대 스미르나인 - 호메로스
호메로스는 고대 그리스의 서사시인으로 《일리아스》와 《오디세이아》의 저자로 알려져 있으나, 그의 실존 여부와 작품 저술 등에 대한 "호메로스 문제"는 논쟁 중이며, 생애와 출생지는 불확실하고, 그의 서사시는 구전 전승을 거쳐 기록되어 그리스 문학과 서구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고대 스미르나인 - 비온
비온은 기원전 2세기 말 또는 1세기 초에 활동한 고대 그리스 전원 시인으로, "아도니스 애가"와 같은 시를 통해 후대 시인들에게 영향을 주었고 그의 작품은 중세 필사본으로 보존되어 전해진다. - 4세기 시인 - 도연명
동진 말기에서 남조 송나라 초기에 활동한 도연명은 속세를 떠나 자연 속 은거 생활을 노래한 시인으로, 《귀거래사》, 《도화원기》 등의 대표작을 남기며 후대 문인들에게 큰 영향을 준 은일 시인이다. - 4세기 시인 - 프루덴티우스
프루덴티우스는 4-5세기 로마 제국에서 활동한 기독교 시인으로, 법률가와 정치인으로 활동하다가 말년에 수도원에서 금욕 생활을 하며 기독교 신앙을 옹호하는 시를 썼으며, 그의 작품은 중세 시대에 널리 읽혔다.
코인토스 스미르나이오스 | |
---|---|
기본 정보 | |
이름 (그리스어) | Κόιντος Σμυρναῖος |
이름 (라틴어) | Quintus Smyrnaeus |
인물 정보 | |
직업 | 서사시 작가 |
국적 | 고대 그리스 |
활동 시기 | 4세기 |
주요 작품 | |
작품 | 《트로이 함락》 |
2. 생애
코인토스 스미르나이오스는 고대 그리스의 서사시인으로, 호메로스의 서사시 이후의 이야기를 다룬 《트로이아 전쟁기》(Posthomerica)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그의 생애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려진 바가 거의 없으며, 활동했던 시기 등에 대해서도 학자들 사이에 여러 의견이 존재한다.[4][14][15][16] 그의 생애와 관련된 주요 논점 및 연구는 아래 하위 문단에서 자세히 다룬다.
2. 1. 출생 및 활동 시기
코인토스 스미르나이오스의 정확한 활동 연대에 대해서는 여러 의견이 있으나,[4][14][15][16] 전통적으로는 서기 4세기 후반으로 여겨진다. 아서 웨이(Arthur S. Way)는 코인토스의 시 두 구절을 근거로 제시한다. 하나는 테오도시우스 1세(재위 379–395) 시대에 금지된 검투사 시합과 맹수 싸움을 언급하는 부분(6. 531 이하)이고, 다른 하나는 코에클리(Koechly)가 4세기 중반 상황에만 적용 가능하다고 본 예언 부분(13. 335 이하)이다.[5]그러나 일부 학자들은 그의 작품 《트로이아 전쟁기》(Posthomerica)가 1~2세기에 성행했던 그리스 웅변가 학파인 '제2 소피스트'의 영향을 보여준다고 주장하며, 활동 시기를 3세기 또는 더 이른 2세기로 보기도 한다.[6]
코인토스 자신은 젊은 시절 스미르나(현재 이즈미르) 근처에서 양을 치면서 시를 쓰기 시작했다고 언급했다(12. 310). 이는 헤시오도스의 경우처럼 문학적 토포스일 가능성이 있으며,[14] 아폴론이나 파리스의 이야기와도 유사점을 보인다.
한편, 4세기의 기독교 시인 도르테오스는 자신이 '시인 코인토스의 아들'이라고 밝힌 바 있다. 그의 작품 《도르테오스의 환영》은 코인토스와 유사한 호메로스풍 시 형식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 시기에 다른 '코인토스'라는 이름의 시인이 알려지지 않았다는 점 등은 도르테오스가 코인토스 스미르나이오스의 아들일 가능성을 높인다.[7] 이는 코인토스의 활동 시기를 추정하는 데 간접적인 단서가 될 수 있다.
2. 2. 도르테오스와의 관계
4세기의 기독교 시인 도르테오스(Dorotheus)는 그의 그리스 서사시 《도르테오스의 환영(The Vision of Dorotheus)》으로 알려져 있으며, 코인토스 스미르나이오스의 아들로 확인되었다. 그는 자신의 작품 《환영》 원고 마지막 부분에서 스스로를 "시인 퀸토스의 아들 도르테오스"라고 밝히고 있다. 이러한 주장은 이 시기에 다른 '퀸토스'라는 이름을 가진 시인이 없다는 사실과 도르테오스가 코인토스와 같은 호메로스풍 시적 구조를 사용한다는 사실에 의해 뒷받침된다.[7]3. 작품
코인토스 스미르나이오스의 현존하는 유일한 작품은 서사시 『트로이아 전쟁기』(Τὰ μεθ' Ὅμηρον|Ta meth' Hómērongrc, ''Posthomerica'')이다. 이 작품은 총 14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호메로스의 『일리아스』가 끝나는 시점, 즉 헥토르의 장례식 직후부터 트로이아 전쟁의 종결까지의 사건들을 다룬다.[8] 해당 시기를 다룬 고대 서사시 중에서는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코인토스는 이 서사시를 집필하면서 밀레투스의 아르크티누스의 『아이티오피스』와 『트로이의 함락』(또는 『일리온의 함락』), 레스케스의 『작은 일리아스』 등 현재는 전해지지 않는 고대 "서사시의 고리"에 포함된 작품들을 주요 자료로 활용했다. 또한, 소포클레스의 비극 아이아스와 같은 그리스 비극 작품들로부터도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제기된다.[9] 비록 호메로스를 모범으로 삼아 쓰였으나, 후대의 비평가들에게는 문학적인 면에서 다소 서투른 모방이라는 평가를 받기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전 서사시들이 소실된 현재로서는 트로이아 전쟁 후반부의 이야기를 전해주는 귀중한 자료로 여겨진다.
3. 1. 『트로이아 전쟁기』 (Posthomerica)
코인토스의 대표작인 『트로이아 전쟁기』 (Τὰ μεθ' Ὅμηρον|Ta meth' Hómērongrc, ''Posthomerica'')는 호메로스의 『일리아스』가 끝나는 시점, 즉 헥토르의 장례식 직후부터 트로이아 전쟁의 종결까지의 사건들을 다루는 서사시이다.[8] 총 14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시기를 다룬 고대 서사시 중에서는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작품이다. 코인토스가 참고했을 것으로 여겨지는 "서사시의 고리"에 포함된 작품들은 현재 전해지지 않는다.
『트로이아 전쟁기』는 내용상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이는 소실된 고대 서사시들의 내용을 반영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 제1권 ~ 제4권: 밀레투스의 아르크티누스의 서사시 『아이티오피스』의 내용을 따른다. 아마존의 여왕 펜테실레이아와 새벽의 여신 에오스의 아들인 에티오피아 왕 멤논의 용맹한 활약과 죽음을 묘사한다. 이들은 모두 아킬레우스에게 죽임을 당하며, 이후 아킬레우스 자신의 죽음과 그를 기리기 위한 장례 경기 역시 이 부분에서 다루어진다.
- 제5권 ~ 제12권: 레스케스의 서사시 『작은 일리아스』의 내용을 따른다. 아킬레우스의 무구를 두고 벌어진 대(大) 아이아스와 오디세우스의 경쟁, 경쟁에서 패배한 아이아스의 자살, 네오프톨레모스, 에우리필로스, 데이포보스 등의 영웅들의 활약, 파리스와 오이노네의 죽음, 그리고 트로이 목마의 건설 과정이 상세하게 그려진다. 코인토스는 레스케스의 작품뿐만 아니라, 소포클레스의 비극 아이아스와 같은 그리스 비극 작품들로부터도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제기된다.[9]
- 제13권 ~ 제14권: 아르크티누스의 서사시 『트로이의 함락』(또는 『일리온의 함락』)의 내용을 따른다. 트로이 목마를 이용한 트로이의 함락, 아킬레우스의 무덤 앞에서 폴릭세네가 희생 제물로 바쳐지는 비극적인 사건, 그리스 군대의 귀향길과 그 과정에서 폭풍으로 인해 뿔뿔이 흩어지는 모습 등을 묘사하며 이야기가 마무리된다.
『트로이아 전쟁기』는 베르길리우스의 『아이네이스』와도 일부 소재를 공유하며, 주로 아르크티누스의 『아이티오피스』와 『트로이의 함락』, 그리고 레스케스의 『작은 일리아스』 등 현존하지 않는 고대 서사시들을 주요 자료로 삼아 집필되었다. 비록 호메로스를 모범으로 삼아 쓰였으나, 후대의 비평가들에게는 문학적인 면에서 다소 서투른 모방이라는 평가를 받기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전 서사시들이 소실된 현재로서는 트로이아 전쟁 후반부의 이야기를 전해주는 귀중한 자료로 평가받는다.
4. 이름 및 판본
1450년 요안니스 베사리온 추기경이 이탈리아 칼라브리아의 오트란토에서 코인토스의 시가 담긴 유일한 필사본을 발견했다.[17] 이 필사본이 발견된 장소의 이름을 따서, 1504년 알두스 마누티우스는 베네치아에서 ''Quinti Calabri derelictorum ab Homero libri XIV''라는 제목으로 초판본을 출판하면서 저자를 '''퀸투스 칼라브루스'''(Quintus Calaber, 칼라브리아의 퀸투스)라고 불렀다.[10][17] 현재 널리 알려진 '''퀸투스 스미르나이오스'''(Quintus Smyrnaeus)라는 이름은 1577년 편집자 로렌츠 로도만(Lorenz Rhodomann)이 미하엘 네안더의 라틴어 번역본을 출판하면서 처음 사용한 것이다.[10][17]
5. 한국어 번역
현재까지 한국어로 번역된 판본은 확인되지 않는다.
참조
[1]
간행물
2007
[2]
간행물
2012
[3]
간행물
2012
[4]
간행물
2007
[5]
서적
Quintus Smyrnaeus: The Fall of Troy
Harvard University Press
1913
[6]
간행물
2007
[7]
서적
The Rise and Fall of the Afterlife. The 1995 Read-Tuckwell Lecture at the University of Bristol
Routledge
2002
[8]
간행물
2012
[9]
간행물
2000
[10]
문서
Cointi Smyrnaei, popularis Homeri, poëtae vetustissimi et suavissimi, Ilii excidii libri duo, Reditus Graecorum capta liber unus. Expositi olim in schola Ilfeldensi et editi nunc studio, industria et labore Laurentii Rhodomanni
Steinmann
1577
[11]
서적
The War at Troy: What Homer Didn't Tell, by Quintus of Smyrna
1968
[12]
간행물
2000
[13]
간행물
2004
[14]
문서
Quinti Smyrnaei Posthomericorum libri XIV. Nunc primum ad librorum manoscriptorum fidem et virorum doctorum coniecturas recensuit, restituit et supplevit Thom. Christ. Tychsen acceserunt observationes Chr. Gottl. Heynii
Typhographia Societatis Bipontinae
1807
[15]
문서
Quinti Smyrnaei Posthomericorum libri XIV. Recensuit, prolegomenis et adnotatione critica instruxit Arminius Koechly
Weidmannos
1850
[16]
문서
Introduction
1913
[17]
문서
Cointi Smyrnaei, popularis Homeri, poëtae vetustissimi et suavissimi, Ilii excidii libri duo, Reditus Graecorum capta liber unus. Expositi olim in schola Ilfeldensi et editi nunc studio, industria et labore Laurentii Rhodomanni.
Steinmann
1577
[18]
문서
Quinti Smyrnaei Posthomericorum libri XIV. Nunc primum ad librorum manoscriptorum fidem et virorum doctorum coniecturas recensuit, restituit et supplevit Thom. Christ. Tychsen acceserunt observationes Chr. Gottl. Heynii
Typhographia Societatis Bipontinae
1807
[19]
문서
Quinti Smyrnaei Posthomericorum libri XIV. Recensuit, prolegomenis et adnotatione critica instruxit Arminius Koechly
Weidmannos
1850
[20]
문서
Introduction
1913
[21]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